KR100327289B1 - 매체방출장치 - Google Patents

매체방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289B1
KR100327289B1 KR1019970703352A KR19970703352A KR100327289B1 KR 100327289 B1 KR100327289 B1 KR 100327289B1 KR 1019970703352 A KR1019970703352 A KR 1019970703352A KR 19970703352 A KR19970703352 A KR 19970703352A KR 100327289 B1 KR100327289 B1 KR 100327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ection
sections
rigid
sub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3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6908A (ko
Inventor
칼-하인쯔 푸흐스
Original Assignee
슈츠 한스 요세프
카이데일 엠. 피. 테오란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츠 한스 요세프, 카이데일 엠. 피. 테오란타 filed Critical 슈츠 한스 요세프
Publication of KR970706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6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16Piston pumps the outlet valve having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a movable valve element controlled by a pressure actuated controlling element
    • B05B11/1018Piston pumps the outlet valve having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a movable valve element controlled by a pressure actuated controlling element and the controlling element cooperating with means for opening or closing the inlet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7Spring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r material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Spring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출장치 (1) 는 스프링 섹션들 (28,29,30)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어 밸브 하우징 (18), 피스톤 (12) 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재 등을 형성하는 섹션들을 갖는 일체로된 연속적인 동작부재 (10) 를 펌프 하우징 (2) 내에 포함한다. 각각의 경우에 스프링 섹션은 폐쇄 스프링 자켓을 갖는 나선 또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됨으로써, 제조 및 조립이 간단하고 고기능의 신뢰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매체 방출장치{DISCHARGE APPARATUS FOR MEDIA}
방출장치는 유리하게 탄성 요소, 일체형 작동 스프링 등의 하나이상의 작동부재를 포함하며, 이 작동부재는 장치의 작동 중, 예컨대 방출작동 중 인장 및 해제되고 및/또는 다른 기능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제어운동, 복귀운동, 폐쇄운동, 접촉기능, 미끄럼 안내 따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경우에 방출장치 또는 작동부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다른 열가소성물질 등의 공중합체일 수 있는 플라스틱이나 비금속 재료로 전적으로 제조되며, 따라서 관련부품은 성형품으로서 제조된다.
또한, 파지되어 자유롭게 운반되고 한 손으로 동시에 작동되는 방출장치는 특히 유입부의 적어도 부분적인 폐쇄 직후에 작동 경로의 대부분에 걸쳐 매체를 방출 또는 그에 따라 분무한다. 방출장치의 개시 및 휴지상태에서 스프링의 최소 장력은 바람직하게 2 내지 5 N 이상, 10 또는 8 N 이하이며, 방출공정의 종료시의 최대 장력은 40 또는 50 N 이상, 100 또는 80 N 이하이다. 방출장치는 매우 작게 구성될 수도 있으며, 즉 매체와 접촉하는 그의 표면에 대해 30, 20 또는 대략 10 mm 의 최대 폭을 가지며 그의 길이는 최대 50 또는 40 mm 정도이다. 이 길이는 예컨대 압력공간의 내측 저면과 방출장치의 작동핸들의 외단부 사이의 간격에 관련되며, 이 작동핸들은 내단부가 병목부를 통해 작은 병 안으로 삽입되어 장착된다. 방출장치는 각각의 완전한 접촉한정 방출공정의 매우 작은 방출 체적, 즉 1, 1/2 또는 3/10 센티리터 또는 밀리리터의 체적에 적합하다. 방출공정에 대한 수작동력은 200 또는 100 N 이하에 각각 놓일 수도 있다.
국제공개 WO-A-91/03321 호에는 스프링으로서 형성된 주름통을 단순히 포함하는 분배 펌프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주름통은 전적으로 축방향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방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이 방출장치는 예컨대 방출 공정 전 또는 도중에 가스상, 액상, 페이스트상 및/또는 분말상일 수 있는 유동가능한 및/또는 다른 매체용으로 구성되었다. 방출은 단일 매체성분만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별도의 성분들을 그들의 방출 개시 및/또는 종료가 서로에 대해 지연되도록 별도의 방출 경로를 통해 동시에 방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에서,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출장치를 부분적으로 축방향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방출장치를 확대하여 약간 변형된 구조로 나타낸 도면,
도 3 은 또다른 실시예의 축방향 단면도,
도 4 는 하우징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는 방출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축방향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공지구성의 단점이 제거되고 및/또는 기재된 유형의 이점 및 효과가 얻어지는 매체의 방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 기초하는 바, 단순 제조 및/또는 완전자동 조립 및/또는 매우 소수의 부품을 적용하고 또는 최대의 온도변화에서도 고기능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특히, 초소형 매체 방출장치에 있어서는, 탄성 스프링이 벽두께 및 0.5 미리미터 이하의 직경으로 최소화되어야 하는 반면에, 스프링 섹션 (28, 29, 30) 에 탄성적으로 저장된 토크를부가하는 것 및 작동적으로 해제하는 것 때문에 스프링 섹션의 강도를 예상외로 증가시키기 위하여 그 크기를 크게 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어온 바, 종래기술에 있어서 이와 같은 어려움은 크기가 적합하지 않은 스프링 또는 스프링의 조기 피로(fatigue) 로 인한 고장이 나는 문제점으로 이어졌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토크를 저장하는 스프링을 그 해결 수단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특징들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다. 각각의 경우에 작동 스프링은 종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바람직하게 정렬된 작동섹션을 포함하고, 각각의 길이 유니트에 대해 상이한 강성 또는 탄성을 갖는다. 각 경우의 작동섹션은 탄력적으로 변형가능한 스프링 섹션, 비탄력적인 중간 섹션, 비탄력적인 단부 섹션 및/또는 탄력적인 단부 섹션일 수 있다. 각각의 비탄력적인 섹션은 바람직하게 근접 또는 접촉하는 나란한 스프링 권선에 의한 영향은 받지 않고, 작동 스프링의 단면 또는 다른 강성구조의 상응하는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따라서 각각의 스프링 섹션은 그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그리고 각각의 길이 유니트 또는 스프링 권선에 대한 일단부 또는 양단부까지 거의 동일한 탄성 효과를 가질 수도 있다. 각각의 스프링 권선은 서로에 대해 횡으로 배치된 방향으로 매우 상이한 연장부를 가지는, 예컨대 스프링의 종방향으로 그에 직각 또는 스프링 축선에 횡방향 또는 반경방향 보다 다수배 큰 단면 연장부를 가지는 바람직한 전체 단면을 형성한다.
각각의 작동섹션은 완전히 폐쇄된 또는 다수의 또는 일정한 다공성의 중공 자켓으로 구성됨으로써 인접 스프링 섹션 또는 스프링 권선들은 피치 경로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주름통처럼 스프링의 종방향으로도 서로 직접 연결된다. 접속 섹션들은 스프링의 종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각각 최대 90°의 각도로 또는 예각으로 종방향 섹션에서 이웃하는 절두원추부에 유사하게 서로 이웃하거나 또는 서로의 안으로 일체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것은 스프링이 그의 이동에 걸쳐서 비틀림이 걸리고 따라서 비틀림복귀력이 발현할 때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이들은 축방향 복귀력을 보충함으로써, 비교적 가는 치수로된 스프링이 높은 탄성력 또는 비교적 선형의 스프링 특성을 야기할 수 있다. 각각의 작동섹션은 나선부 또는 급경사 나선부로서 단일, 이중 또는 다중 피치 나사산 형식으로 내주 및/또는 외주 상에 형상화될 수도 있다. 내측 및 외측 나선 섹션이 대략 일치한다면, 이 부분에서의 작동섹션의 벽두께는 원주 또는 축방향 연장부에 걸쳐 대략 일정하다. 각각의 외측 또는 내측 나선부는 대략 동일 직경 또는 동일 피치로 두 개 이상 내지 모든 작동섹션을 단속적으로 또는 비단속적으로 각각 통과함으로써, 매우 간단한 제조가 가능하다.
나선부의 피치각도는 10°와 60°사이, 특히 20°와 45°사이일 수도 있으며, 따라서 이들 값에 더하여 5°, 30°, 40° 및 50°의 최소 또는 최대값이 유리할 수도 있다. 스프링이 변형하여 대략 동일 직경의 인접하는 권선섹션들이 서로 접촉할 때, 교대로 사이사이 배치된 여러 나선의 권선을 갖는 다중 피치 구조에는 상응하게 약간 내측의 재료 변형 또는 굽힘이 각각 발생한다. 나선 피치를 증가시킴으로써, 탄력적인 비틀림 부하가 증가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높은 기계적 및 열적 부하의 경우, 예컨대, 70℃ 이상 까지에서도 스프링 장력을 유지한다.
따라서 각각의 견고한 작동섹션은 내주의 반경방향 외측에 하나 또는 두 개의 인접하는 스프링 섹션과는 다른 단면, 예컨대 종방향 및/또는 반경방향으로 큰 전체 단면을 단순히 가짐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견고한 섹션은 축방향 및/또는 반경방향으로 탄력적이며, 예컨대 단면 압착으로 인해 탄력적이며 또는 상당히 치수적으로 견고하다.
각각의 작동섹션의 내주 및/또는 외주는 대응하는 대향면들 상에서 미끄럼안내하기에 적합하고, 이 대향면들이 단순히 선접촉 또는 가장자리 접촉하거나 큰 축방향 연장부를 통해 접촉한다. 또한, 각각의 원주는 매체 안내에 적합하며, 따라서 대향 면과 더불어 그의 단면의 원주에 의해 대략 폐쇄되는 나선 통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내주 및 외주에서의 유동방향은 따라서 유리하게 대향하며, 그에 따라 작동부재의 벽 통과부 또는 단부의 부분에서 통과흐름의 역전이 행해질 수도 있다. 비록, 스프링 이동을 통해, 각각의 나선통로 또는 나선홈이 스프링 이동의 끝까지 실질적으로 완전히 폐쇄되더라도, 치수들은 작동부재의 캐비티 또는 나선통로가 항상 개방되어 유지되도록 바람직하게 한정된다.
각각의 작동섹션은 또한 그의 축방향, 반경방향 및/또는 비회전 배치를 위한 또는 작동 스프링의 확고한 접촉부재, 지지부재, 중심맞춤부재, 위치잠금부 등을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스프링의 종방향으로 그러한 작동섹션 또는 견고한 작동섹션은 하나이상의 또는 모든 스프링 섹션 보다 또는 하나 이상의 직접 이웃하는 스프링 섹션 보다 각각 상당히 짧을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스프링 섹션은 그의 외폭 및/또는 내폭에 대해 길이가 크거나 작을 수 도 있으며, 그에 좌우하여 스프링 이동 또는 스프링 효과가 각각 필요하다. 작동 스프링이 스냅 커넥터 따위에 의한 체결섹션과 더불어 플런저 등의 또다른 구성품에 대해 축방향 및/또는 반경방향 틈새가 거의 제로로 한정된다면, 두 이웃하는 스프링 섹션은 서로 전적으로 독립하여 작동할 수도 있다. 접촉 섹션의 경우에, 각각 유효 스프링 길이의 단축 또는 스프링 특성의 급경사화는 접촉위치의 획득에 이어 실현되며, 따라서 유입 밸브가 폐쇄될 때까지는 작은 작동력이 요구되며 그후에 증가된 작동력이 요구되고, 반면에 복귀운동시에 접촉 섹션의 양측에 배치된 양 스프링 섹션은 개시후 바로 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왕복 부재 내에 배치된 압력의존 작동식 유출밸브와, 왕복 부재와 별도로 왕복 부재에 대해 축방향 작동운동을 행하는 밸브 폐쇄체를 포함하는 왕복 부재 또는 플런저 펌프에 특히 적합하다. 밸브 하우징은 바람직하게 이웃하는 스프링 섹션 또는 관련 밸브 스프링과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관련 작동스프링의 두 개 내지 모든 작동섹션과 일체로 구성된다. 펌프가 자체 프라이밍 펌프로 구성되면, 이 펌프는 압력을 유지하는 유입 밸브 또는 펌프 스트로크 (stroke) 중 내압적으로 (pressure-tightly) 폐쇄되는 변위 챔버를 포함한다. 밸브는 접촉제한 밸브로서 및/또는 게이트 밸브로서 구성될수도 있다. 그의 축방향 이동가능한 밸브 하우징은 작동부재의 각각의 달리 인용된 작동섹션들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방출장치는 그의 펌프챔버가 자체 프라이밍 또는 복귀 스트로크에 의해 재충전되지 않고, 대신에 개시로부터 바로 방출장치의 매체 총공급량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작동섹션 또는 그의 내주 및/또는 외주는 각기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매체 운반부의 외측에 예컨대 펌프챔버의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따라서 매체와 접촉하지 않는다.
방출장치 또는 작동 스프링이나 개별 작동섹션 등의 그의 구성품들은 특히 구성품들이 거의 회전대칭 형상으로 될 때, 매우 간단히 제조 및 조립될 수도 있고, 또한 그에 따라 그들의 직접적인 상호작용하는 결합을 위해 어떤 구성품들은 서로에 대해 종방향으로 배향된 운동에 의해 설치될 때 상호작용하는 자체 중심맞춤 효과를 가지며 종방향 힘에 의해서만 상호작용하는 기능적인 결합을 달성하고, 따라서 조립체들의 사전조립을 필요없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작동 스프링과 왕복 부재는 종방향의 중력에 의해 둘다의 가능한 순서로 펌프 하우징 안으로 차례로 하강될 수도 있고, 그후에 왕복 부재와 작동 스프링간의 위치설정 잠금부가 축방향 힘의 인가에 의해 자동적으로 결합된다. 그 다음, 왕복 부재는 하우징의 독자적인 별도의 면 폐쇄부를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이를 위해 별도의 하우징 커버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다시 전술한 축방향 결합력을 인가할 수 있다. 하우징내의 제위치에 자체 중심맞추어 스냅 결합하는 하나의 그러한 커버가 펌프 하우징의 내단부 및/또는외단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내단부는 외단부로부터 각기 멀리 향하는 단부를 지칭하며 이 외단부는 수동 방출 작동부 또는 매체 유출구에 각각 가까이 배치된다. 내단부가 관련 외단부에 각각 접속되었을 때, 이 접속방향은 유출통로의 또는 펌프 챔버의 주섹션에서 방출유동방향에 각기 통상적으로 대응하며, 이 유동방향은 변위 왕복 부재의 펌핑운동에 대향한다.
이러저러한 특징들은 청구범위 및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자명해 지고, 각각의 개별적인 특징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는 다른 분야에서 자체에 의해 또는 여러개의 소조합의 형태로 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보호받고자 하는 그들 자체의 권리가 특허가능하고 유리한 구성을 나타낸다.
방출장치 (1) 는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매체 저장소에 대해 견고하게 배치되는 베이스체 (2)를 포함하며, 이 베이스체 (2) 는 매체의 충전 또는 통과흐름을 위해 제공된다. 하우징 형상의 베이스체 (2) 는 기다란 슬리브 형상의 하우징 부분(3) 과 커버 (4) 로 구성되며, 이 커버는 패드형 하우징 부분 (3) 의 외단부를 환형으로 폐쇄하고 방출 작동기 (5) 가 커버를 통과한다. 방출 작동기 (5) 의 외단부에는 헤드 (6)를 가지며, 그의 최외측면은 압력 핸들 (7)을 형성하고 자유공간 내로 병합하는 분무노즐 형태의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매체 출구 (8)를 포함한다. 헤드 (6) 는 축방향 장착에 의해 왕복 부재 (9) 의 외단부에 고정되며 이 왕복 부재 (9) 와 함께 베이스체 (2) 의 내단부 또는 외단부에 대해 각각 동기적으로 이동가능하다.
기다란 작동 유니트 또는 작동 스프링 (10) 은 외측의 전방단부가 거의 완전히 덮여서 커버되고 각기 구성품 (3 또는 4) 내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 유니트 또는 작동 스프링 (10) 은 그의 개시상태에서 부분 (3) 의 대략 전체 내측길이에 걸쳐 신장한다. 구성품 (2 내지 10) 의 임의의 쌍들은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또는 축방향으로 서로 동일하게 배치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방출장치 (1) 의 중심축선 (11)을 한정한다. 왕복 부재 (9) 의 내단부는 패드형 왕복 부재의 측벽 (12) 을 형성하며, 이 패드형 왕복 부재의 측벽은 최외측 단부에서 환형 저벽을 통해 태핏 (13) 내로 이동한다. 이 태핏 (13) 은 외측으로 커버 (4)를 통해 안내되며 헤드 (6) 를 지지한다. 각각의 구성품들 (3, 4, 9, 10) 은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방출장치 (1) 는 헤드 (6) 없이 조립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흡입 또는 충전 튜브 없이 단지 4개의 구성품으로 기능적으로 조립됨으로써 매체가 베이스체 (2) 의 펌프챔버 (14) 로부터 태핏 (13)을 통해 외부로 펌프될 수도 있다.
왕복 부재의 측벽 (12) 은 서로 대향 돌출하는 축방향 이격배치된 두 개의 환형 밀봉립에 의해 하우징 (3) 의 자켓의 내주면상에서 밀봉되어 접촉제한 개시위치로부터 펌프 스트로크 단부위치까지 가동하며, 펌프 스트로크 단부위치에서 왕복 부재의 측벽 (12) 자체는 접촉되지 않는다. 왕복 부재의 측벽 (12) 은 그의 외면 단부에서 펌프챔버 (14) 를 한정하며 그의 캐비티 자체에 의해 가변체적 펌프챔버 (14) 의 종방향 섹션을 한정한다. 임의의 스트로크 위치에서, 구성품들 (9, 12 및 13) 은 구성품들 (2, 3 및 4) 에 대해 각각 마찰적으로 또는 확고하게 접촉함으로써 비틀리지 않게 고정될 수도 있다.
유출 밸브 (15) 가 왕복 부재의 측벽 (12) 의 내측 및/또는 외측 왕복 부재 립에 대해 외향 편위되어, 태핏 (13) 과 일체로 이웃하는 왕복 부재의 측벽 (12) 의 저벽 부분에서 왕복 부재 (9) 내에 제공되며, 이 유출 밸브는 펌프챔버 (14) 내의 제한압력 이상에서 밸브 하우징 (16) 에 의한 복귀력에 대항하여 밸브시트로부터 자동적으로 들어올려진다. 밸브 시트는 환형 내측견부에 의해 형성되며, 이 견부는 구성품들 (9, 12, 13) 과 일체로 되어 있고 밸브 하우징 (16) 의 폐쇄위치에 대한 단부 접촉부를 형성하며, 그의 폐쇄운동은 방출장치 (1) 의 외단부쪽으로 향하거나 또는 밸브 (15) 내의 매체의 유동방향에 평행하게 향한다.
유입 밸브 (17) 가 하우징 (3) 내에서 각각 유니트들 (2 및 3) 의 내단부와 외단부 사이에서 그로부터 이격되어 제공되며, 이 유입 밸브는 두 개의 상호작용하는 밸브부분, 즉 축방향 이동가능한 밸브 하우징 (18) 과 이 하우징에 견고히 부착된 밸브 시트 (19)를 구비한다. 방출장치 (1) 또는 베이스체 (2)의 내단부는 부호 20 으로 지시되어 있고, 방출장치가 완전히 구성된 상태에서 외단부 (21) 는 헤드 (6) 의 외면에 의해 형성된다. 각각의 설명된 구성품 또는 이러한 일 구성품의 각각의 종방향 섹션은 상응하는 내단부 및 외단부를 포함하고, 따라서 내단부 (20) 는 매체 저장소 내에 배치되는 한편, 구성품들 (3, 4, 9, 10) 의 외단부들은 매체 저장소의 외측에 배치된다. 유입 밸브 (17) 는 폐쇄상태에서 유입챔버 (22) 를 펌프챔버 (14) 로부터 내압적으로 분리하며, 펌프챔버 (14) 는 밸브 (17) 가 개방되면 두 개의 이웃하는 챔버 단부의 직접 접속에 의해 유입챔버 (22) 에 소통할 수 있게 연결된다. 유입챔버 (22) 는 실질적으로 하우징 (3) 에 의해 전적으로 한정되며, 유입통로 (23) 는 유입구멍 (24) 을 통해 상기 펌프챔버 내로 안내되고, 유입통로 (23) 의 매체 유입부와 유입구멍 (24) 또는 밸브 (17) 사이에는 더 이상의 밸브가 제공되지 않는다.
유입통로 (23) 는 내단부 (20) 로부터 돌출하는 유연한 호스형 흡입 튜브에 의해 실질적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매체 유입부는 저장 용기의 바닥 영역에 있게 된다. 이 경우에, 흡입 튜브 (25) 는 구성품 (3 또는 4) 과는 분리되어구성품 (3) 의 지지부 (26) 에 위치고정상태로 배치된 구성품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구성품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관형 지지부 (26) 는 커넥터를 통해 내주면에서 흡입 튜브 (25) 의 외단부를 수용하고 그의 외단부가 유입구멍 (24) 을 형성하며, 이 유입구멍은 그의 휴지위치에서 밸브 (17) 에 대해 축방향 바깥쪽으로 그리고 왕복 부재의 측벽 (12) 에 대해 축방향 안쪽으로 편위될 수도 있다. 튜브 (26) 와 마찬가지로 유입구멍 (24) 은 작동부재 (10) 내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배치되고, 튜브 (26) 는 내단부 (20) 를 형성하는 베이스체의 저벽 (27) 으로부터만 일체로 돌출한다.
작동 스프링 (10) 은 다수의 축방향으로 이웃하는 작동섹션 (28 내지 34)을 형성함으로써, 직접 나란히 배치된 섹션들은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각각 대향하여 상이한 길이, 내폭 및/또는 외폭 뿐만 아니라 휨 또는 치수적 강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섹션들 (28, 29, 30) 은 축방향으로 탄력적인 또는 신장가능한 스프링 섹션들로서 제공되는 한편, 각각의 섹션들 (31 내지 34) 은 각각 인장 및 압축에 대해 상당히 치수적으로 견고하다. 섹션들 (31, 32, 34) 은 작동 스프링 (10) 의 중간 섹션들인 한편, 섹션 (33) 은 작동 스프링 (10) 의 외단부 섹션을 형성한다.
작동 스프링 (10) 의 내단부 (35) 는 단부 섹션 (30) 에 의해 형성되어 베이스체 (2) 에 대해 직접 지지됨으로써, 그에 대해 항상 동일한 축방향 위치를 취하고 및/또는 마찰이나 확고한 접촉에 의해 비틀림 고정된다. 작동 스프링 (10) 은 그의 전체 길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중공이고, 즉 대략 연속적인내단면의 전체 길이를 가지며, 캐비티의 외단부는 섹션 (33) 에 의해 내압적으로 폐쇄된다.
또한, 작동 스프링 (10) 의 자켓은 실질적으로 그의 전체 길이에 걸쳐 매체 불침투성이고, 따라서 단부 (35) 만이 작동 스프링 (10) 의 내측으로부터 유입챔버 (22) 로의 매체용의 천이구멍을 형성한다. 작동 스프링 (10) 의 내주 (36) 와 외주 (37) 각각은 각각의 섹션 (28 내지 34) 의 부분에서 또한 그의 축방향 연장부에 걸쳐 원통형상에서 벗어나며, 따라서 섹션들 (31 내지 34) 의 외주면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원통형일 수도 있다. 내주 (36) 는 거의 모든 섹션 (28 내지 32 및 34) 에 걸쳐 일정한 구조로, 즉 나선부 (39) 에 의한 2중 V자형 나사부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작동 스프링 (10) 의 제조에 이어 내측 성형툴이 그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외주 (37) 는 암나사에 대해 각 섹션 (28, 29, 30) 의 자켓 (38) 의 부분에서 대략 일정한 벽두께를 각각 갖도록 배치된 2중 V자형 나사부의 상응하는 나선부 (40) 에 의해 섹션들 (28 내지 30) 의 부분에만 형성되고 섹션들 (31 내지 34) 의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나선부 (39) 등의 가장 안쪽에 배치된 반경방향 가장자리 (41) 는 지지부 (26) 의 부분의 외주 상에서 중심적으로 활주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외측 나선부 (40) 의 가장 바깥에 배치된 반경방향 가장자리 (42) 는 하우징 (3) 또는 유입챔버 (22) 및/또는 왕복 부재의 측벽 (12) 의 내주 상에서 중심적으로 활주할 수 있다. 섹션들 (29 및 31 내지 33) 은 왕복 부재의 측벽 (12) 내에 완전히 배치되고, 섹션 (28) 의 외단부는 왕복 부재의 측벽 (12) 내로 연장하며,섹션 (34) 은 섹션 (28) 의 종방향 대부분처럼 유입챔버 (22) 에 대해 확장된 펌프챔버 (14) 에 전적으로 배치되고, 섹션 (30) 은 밸브 (17) 가 폐쇄되었을 때 유입챔버 (22) 에 전적으로 배치되는 한편, 밸브 (17) 가 개방되었을 때 부분적으로 펌프챔버 (14) 내로 돌출한다.
구성품 (10) 은 구성품 (9, 12, 13) 에 대해 전적으로 종방향으로 즉, 섹션들 (31, 32) 의 부분에서 확고히 접촉하여 한정되며, 이 섹션들은 스냅 커넥터 (49) 를 통해 그리고 왕복 부재의 측벽 (12) 의 내주면에 면 단부접촉하여 결합함으로써 양축방향 및/또는 회전방향으로 거의 틈새없이 마찰 또는 확고한 접촉에 의해 제위치에 고정된다. 섹션들 (31, 32) 은 섹션들 (28, 29) 의 외주면으로부터 환형 칼라로서 돌출하여 양측을 연결하고, 섹션 (31) 의 외주면은 왕복 부재 스커트의 내주면상에서 왕복 부재 립들 사이에 이격 배치된 스냅 구멍에 탄력적으로 걸리는 스냅부재를 형성한다. 섹션 (31) 에 대해 안쪽으로 축방향으로 편위된 섹션 (32) 은 왕복 부재의 측벽 (12) 의 내측 견부와 접촉함으로써 외향 이동하지 못하게 확실히 고정된다. 섹션들 (31, 32) 사이에는 이들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약간 감소된 중앙 섹션이 마련되어 왕복 부재 스커트의 내주와 접촉한다. 확고히 맞물린 섹션들 (31, 32) 과 관련하여, 모든 나머지 섹션들 (28, 29, 30, 33, 34) 은 작동 스트로크, 복귀 스트로크 또는 챔버 (14) 내 압력변화의 결과로서 축방향 및/또는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체결구 (43) 또는 섹션들 (31, 32) 과 그의 외면 또는 저벽 사이에서, 각각 피스톤 (12) 는 그의 내부공간에 의해, 펌프챔버 (14) 로부터 분리되어 그에 대해 상당히 작은 스로틀링 단면을 통해 챔버 (44) 를 형성하며, 이 챔버 내 에 섹션들 (29, 33) 및 밸브 하우징 (16) 이 배치되어 있고, 이 챔버로부터 매체 유출물이 밸브 (15)를 통해 펌프챔버 (14) 로부터 안내되어 나온다. 원주 둘레에 분포된 통로들 (45) 또는 스로틀링 단면을 통해 챔버 (44) 는 챔버 (14) 와 연속적으로 소통상태로 접속되고, 통로들 (45) 은 섹션들 (31, 32) 의 외주를 우회하여 왕복 부재의 측벽 (12) 의 내주상의 축방향 홈들에 의해 형성될 수 도 있다.
내단부 (25) 를 축방향으로 비회전적으로 지지하고 반경방향으로 자체 중심잡도록 안내하는 접촉부로서, 지지 가장자리들이 원주 둘레에 배치되는데, 이 가장자리들은 리브 (46) 등의 돌출부들에 의해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이들은 하우징 (3) 과 일체로 형성되며 챔버의 자켓 또는 바닥 (37) 의 내면으로부터 각각 돌출하여 내단부 (35) 로부터 유출하는 매체가 이들 사이에서 반대방향으로 편향하여 챔버 (22) 내로 그리고 섹션들 (28 내지 34) 상으로 유동할 수 있다. 지지부 (26) 의 외주는 섹션들 (28, 34, 30) 의 내주에 의해 나선 통로 (47) 를 한정하고, 그의 피치 및 통로단면은 작동 스트로크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챔버 (22) 의 유입실 및 또는 적용가능하다면 챔버 (14) 또는 왕복 부재의 측벽 (12) 의 유입실은 각각 섹션 (30, 28, 29) 의 외측 나선부 (40) 에 의해 상응하는 외측 나선통로 (48) 를 각각 한정한다. 각각의 나선통로 (47, 48) 에는 두줄의 선회부가 마련되어 있고, 또한 나선통로 (48)는 관련 섹션(28, 29, 30) 의 길이가 변화함에 따라 그의 피치와 그의 단면 또는 그의 체적이 각각 변화되며, 필요한 경우 축방향으로 나란한 나선 플랭크들이 스트로크의 말기에 접촉한다면 적어도 대략 제로이다. 모든 스프링 (28, 29, 30) 의 특정 변형은 그들의 나선부 (40) 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일정하다.
작동 스프링 (10) 의 내측 및 챔버들 (14, 22) 이 매체로 완전히 채워질 때, 왕복 부재 (9) 의 내향 스트로크 운동은 먼저 단순히 압축 스프링들 (28, 30) 의 단축 및 비틀림 응력을 초래하여, 압축 스프링들의 양측을 잇는 밸브 하우징 (18) 이 밸브 시트 (19) 에 맞닿아 약간 회전되면서 지지된다. 밸브 시트 (19) 는 환형 리브에 의해 형성되고, 이 리브에 맞닿아 밸브 하우징 (18) 의 반대쪽 면이 스트로크의 제 1 의 부분적인 이동에 이어 회전적으로 접촉함으로써 밸브 통로를 내압적으로 차단한다. 따라서 스프링 (30) 의 단축이 종결되고 추가의 스트로크 중 스프링 (28) 만이 여전히 작동하고, 그의 내단부는 각각 단부 (35) 또는 섹션 (34) 에 의해 비틀리지않게 고정된다. 그러나, 밸브 하우징 (18) 은 또한 그의 외주가 챔버 (22) 의 내주와 밀봉결합하여 일종의 게이트 밸브로서 작용함으로써 접촉제한되지 않고, 따라서 스프링 (30) 도 왕복 부재의 측벽 (12) 의 총 스트로크 이동에 걸쳐 비틀림 또는 길이 변화를 각각 받게 된다.
밸브 (17) 의 폐쇄에 이어, 추가의 스트로크 운동은 챔버 (14) 내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작동 스프링 (10) 의 캐비티를 감소시키며, 따라서 매체가이 캐비티로부터 밀려나와 구멍 (24) 및 통로 (23) 를 통해 다시 저장소로 들어가는 한편, 챔버내의 압력은 차동 왕복 부재로서 제공된 섹션 (33) 상에서 작용하며, 이 섹션은 그의 외면에 밸브 하우징 (16) 을 갖는다. 이 압력이 제한치를 초과하자마자, 지금까지 일정 길이인 압축스프링 (29) 은 단축되고 비틀림변형함으로써, 밸브 (15) 가 개방되고 매체가 태핏 (13) 에 전적으로 포함된 유출통로를 통해 헤드 (6) 또는 유출노즐 (8) 내로 각각 흐른다. 펌프 스트로크는 각각 왕복 부재 (9) 또는 헤드 (6) 가 베이스체 (2) 에 접촉함으로써 종결되며 챔버의 외측에서 밸브 (15) 는 밸브 시트 (19) 의 복귀 회전에 의해 즉시 폐쇄된다. 나선 통로 (48) 및 그들의 압축으로 인해 매체는 그의 방출중 챔버들 (14, 44) 내에서 회전 유동하게 되고 그의 유동은 변위에 의해 가속된다. 각 섹션 (28, 29, 30) 의 외단부는 특히 베이스체 (2) 또는 왕복 부재 각각에 대해 마찰 또는 확고한 접촉에 의해 비틀림에 대항할 수도 있다.
핸들 (7) 을 놓으면, 밸브 (17) 는 초기에 여전히 폐쇄되어 있고, 스프링(28) 에 의해 왕복 부재의 측벽 (12) 은 복귀 스트로크의 제 1 부분을 수행하며, 여기에서 챔버 (14) 는 배기되는 한편, 작동 스프링 (10) 의 캐비티는 확대에 의해 통로 (23)를 통해 미리 흡인된다. 이어서, 밸브 (17) 가 스프링 (30) 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매체는 왕복 부재의 측벽 (12) 이 그의 시작위치를 취할 때까지, 캐비티 및 챔버(22) 로부터 챔버 (14) 내로 급격히 개시하여 흡인된다. 구멍 (24) 은 밸브 (17) 의 밸브통로에 대해 바깥으로 편위되어 있다. 이 흡인중, 매체는 차례로 캐비티 및 챔버들 (22, 14) 내에서 회전적으로 유동하게 되지만 그의 유동은 지연된다. 섹션 (28) 은 섹션 (30) 보다 길며 왕복 부재의 측벽 (12) 상에서만 복귀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는 한편, 섹션 (30) 은 밸브 (17) 에 대한 밸브 스프링으로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왕복 부재의 측벽 (12) 에 대한 복귀 스프링으로서도 작용한다. 헤드 (6) 는 왕복 부재의 측벽 (9) 에 축방향으로 위치하여 확실하게 접속된다.
커버 (4) 는 축방향으로 걸리는 스냅 커넥터 (49) 에 의해 하우징 (3) 에 접속되어 있고, 하우징 (3) 의 외단부의 슬리브형 가장자리는 커버 (4) 의 외주 및 내주 모두에서 잠궈진다. 커버 (4) 는 베이스체 (2) 또는 전체 장치 (1)를 저장소에 일체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 (50) 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체결부재 (50) 는 챔버 (14) 의 부분에서 하우징 (3) 의 외주를 간격을 두고 둘러싸는 캡이고, 이 캡은 하우징 (3) 의 외단부에 대해 안쪽으로 편위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저장소의 목부상의 수나사와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로 이루어진다. 또한, 커버 (4) 는 하우징 (3) 의 외주를 간격을 두고 둘러싸는 슬리브형 시일 (51) 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그의 외주는 저장 목부의 내주에 밀봉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커버 (4) 는 또한 장치 (1) 의 최대 외폭에 대해 또는 헤드 (6) 및 커버에 대해 각각 감소된 폭을 갖는 융기면 (52) 과 일체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융기면은 섹션 (29) 의 부분 및 밸브 (15) 의 개시위치에서 스냅 커넥터 (49) 를 장착시키고, 외주면은 헤드 (6) 를 반경방향으로 안내하는 작용을 하는데, 이 헤드는 그의 내주에 의해 모든 위치에서 융기면 (52) 을 붙잡는다. 펌핑 스트로크의 말기 위치에서 헤드 (6) 는 바람직하게 부재 (50) 의 외면에 접촉하고, 이 외면으로부터 융기면 (52) 이 돌출함으로써, 융기면이 헤드 (6) 내에 완전히 배치된다.
도 2 에 따르면, 부분들 (50a, 51a, 52a) 은 상기와 비교하여 하우징 (3) 과 일체의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하우징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이들은 서로 이어진다. 커버 (4a) 는 이들 부분 (50a, 51a, 52a) 내에 전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스냅 커넥터 (49a) 를 통해 고정되며, 이 경우의 커버 (4a) 는 환형 디스크 형상을 갖는 플랜지의 유입챔버에 의해 하우징 (3) 의 스냅부재의 내주와 결합한다. 헤드 (6) 는 그의 외주에 의해 융기면 (52a) 의 내주에서 반경방향으로 안내되고 펌핑 스트로크의 말기위치에서 스냅 커넥터 (49a) 의 외주를 둘러싸며, 또한 부재 (50a) 의 전방벽에 접촉한다.
매체 방출로 인한 저장소의 진공화를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방출장치 (1) 또는 베이스체 (2) 를 외단부로부터 펌핑 챔버 자켓의 외주를 따라 직접 용기 목부안으로 그리고 이로부터 저장소 공간으로 통과하는 배기공이 마련되어 있다. 배출 통로 (53) 는 왕복 부재 립들에 대해 좁아진 왕복 부재 본체의 그리고 태핏 (13) 의 외주를 따라 이어지며, 왕복 부재 본체의 저벽은 태핏 (13) 을 직접 일체로 연결한다. 이들 원주면 및 상기 저벽의 외면에 대해 커버 (4) 의 내주 및 표면은 간극을 갖는 통로 한정부로서 배치되어 있다. 태핏 (13) 의 외주와 왕복 부재 저벽 사이에는 배기밸브 (54) 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배기밸브는 작동기 (5) 의 개시위치에서 접촉에 의해 내압적으로 폐쇄되고 작동 개시 시에 즉시 개방된다. 밸브 (54) 는 밸브 (15) 와 대략 동일한 축방향 부위에 배치되어 있고, 가동 밸브 부분은 태핏 (13) 과 일체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채널 (53) 은 하우징 (3) 의 내주와 결합하는 커버 (4) 의 슬리브 부분의 내주에 직접 배치되어, 이 슬리브 부분의 내측 전방단 부로 향한 다음, 커버 (4) 의 양 슬리브 부분들 사이에서 하우징 (3) 의 자켓을 통과하고 하우징 자켓과 시일 (51) 사이에서 병목부로 향한다. 도 2 에 따르면 배기 채널 (53a) 과 밸브 (54a) 도 또한 유사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개시위치에서 왕복 부재의 측벽 (12) 의 후방의 슬리브형상의 축방향 외향 밀봉 립은 커버 슬리브의 내단부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그와 더불어 환형 공간을 한정하며, 이 환형공간은 챔버 (14) 에 대해 내압적으로 폐쇄되는 한편 배기통로의 섹션을 형성한다.
도 1 및 도 2 에 따르면, 구성품 (10) 의 내단부 (35) 로부터 시작하여, 섹션들 (30, 34, 28, 32, 29 및 33) 이 연속하여 직접 일체로 나란히 제공되고, 섹션들 (30, 28, 29) 은 작동시 길이가 변화하지만 섹션들 (34, 32, 31, 33) 은 그렇지 않다. 섹션 (33) 외의 모든 다른 섹션들은 환형 단면이며 링벽에서 폐쇄된다. 이와 비교하여, 도 3 에 따르면 섹션 (32) 이 제공되지 않으며, 단순히 섹션 (31b) 및 이웃하는 중심 섹션이 제공된다. 또한, 섹션 (30b) 은 신장가능하게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반경방향 보상운동을 할 수 있으면 된다. 슬리브 형상이며 자유롭게 내향 돌출하는 왕복 부재의 측벽 (12b) 의 왕복 부재 립은 이 경우에 밸브 (17b) 의 밸브 시트 (19b) 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왕복 부재의 측벽 (12b) 또는 이 립은 안쪽으로 충분히 멀리 신장하고,따라서 섹션들 (28b, 34b) 은 항상 왕복 부재의 측벽 (12b) 내에 배치된다. 미끄럼면으로서 둥글게 된 섹션(34b) 의 외주는 개시 위치에서 깔때기 형의 원추형으로 벌어진 왕복 부재 립의 내주 (19b) 와 대향하여 약간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왕복 부재의 측벽 (12b) 이 안쪽으로 이동할 때, 밸브 하우징의 폐쇄면 (18b) 은 면 (19b) 에 맞닿아 접촉하고, 밸브 (17b) 는 폐쇄된다. 펌프 챔버 (14b) 는 이 경우에 왕복 부재의 측벽 (12b) 내에만 배치되고, 섹션들 (18b, 34b) 은 실질적으로 정지된 카운터 왕복 부재를 형성하며, 이 카운터 왕복 부재는 왕복 부재의 측벽 (12b) 과 함께 펌프 스트로크시 펌프챔버(14b) 의 체적을 제한한다. 접촉부 (46b) 는 이 경우에 왕복 부재의 측벽 (12b) 에 맞닿아 신장되어, 개시위치에서 그의 외단부는 왕복 부재 내단부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스프링 또는 섹션 (30b) 은 각기 이 경우에 그의 폭보다 상당히 짧다. 이것은 또한 환형의 디스크형상 섹션들 (31 내지 34) 에도 적용된다. 섹션 (28) 은 그의 폭 보다 최대 두배 내지 세배 길고, 섹션들 (28 내지 30)의 내폭 또는 외폭은 동일하다.
도 4 에 따르면, 별도의 커버 (5) 가 제공되지 않으며, 대신에 폐쇄부(4c) 가 왕복 부재의 측벽 (12c) 의 외측 왕복 부재 립에 의해 독자적으로 형성되며, 이 립은 링 가장자리에 의해 융기면 (52c) 의 내주 상에서 미끄러지고, 동시에 밸브 (54c) 의 밸브 하우징을 형성한다. 목부 (52c) 의 내주에는 종방향 홈이 마련되어 각기 배기통로 (53) 의 관련 섹션 또는 밸브 시트를 형성하고, 이 홈들은 게이트 밸브 형식으로 밸브 하우징에 의해 피스톤스트로크의 개시에 바로 이어서 개방된다. 이 경우에, 외측 왕복 부재 립은 내측 왕복 부재 립의 미끄럼 가장자리의 폭 보다 큰 폭을 가지는 한편, 도 1 내지 도 3 에 따른 두 개의 왕복 부재 립은 동일한 폭을 갖는다. 이 경우에 헤드 (6c) 는 특히 개시위치에서 거의 제로의 틈새로 맞닿아 제거되는 축방향 잠금부 (55) 에 의해 전체 길이의 일체형 베이스체 (2c) 에 대해 제위치에 잠궈진다. 잠금부 (55) 는 또한 헤드 (6c) 를 폐쇄하는 왕복 부재 (9c) 의 개시위치를 제한하는 접촉부로서 작용한다. 잠금부재들은 각기 부분들 (2c 및 6c 또는 9c) 의 축방향 조립시 자동적으로 함께 맞물려 끼워지고, 이들은 헤드 자켓의 내주상의 돌출 링견부와 융기면 (52c) 의 외주 및 외단부상의 대응견부에 의해 형성된다.
도 5 에 따르면, 커버 (4d) 는 각기 구성품들 (2d 또는 3d) 의 내단부에서 비틀리지않게 잠궈져서 제공된다. 커버 (4d) 는 그의 외면에 의해 밸브 시트 (19d), 유입부 (24d), 지지부 (26d), 저벽 (27d) 을 형성하고 또한 그의 내면에 의해 접촉부 (46d) 및 통로 (48d) 또는 챔버 (22d) 의 외측 제한부를 각기 형성한다. 섹션 (30d) 의 내단부 섹션은 자켓 (38d) 내에 축방향 천이 구멍들을 포함하고, 이 구멍들을 통해 매체가 구성품 (10d) 의 캐비티로부터 챔버 (22d) 내로 흐를 수 있고 또한 이 구멍은 단부면 (35d) 까지 신장하거나 또는 비틀림에 대한 잠금부 작용을 한다. 하우징 (3d) 은 외단부에 일체의 링 디스크형 전방벽 (56) 을 형성하고, 이 벽을 태핏 (13d) 이 통과하며 개시 위치에서 그의 내면에 왕복 부재의 측벽 (12d) 이 맞닿아 접촉한다. 또한,하우징 (3d) 은 외주에서 그와 일체로 구성된 링 디스크형 돌출 체결 플랜지 (50d) 를 포함하고, 이 플랜지는 접시와셔 형식으로 절두원추형상을 갖는다. 이 체결플랜지 (50d) 가 크림핑 링, 스크루 캡 따위에 의해 용기 목부의 외면에 클램프될 때, 플랜지 (50d) 가 탄력적으로 납작해지고, 그의 내면 또는 그의 외주가장자리는 각기 시일 (51d) 을 형성한다.
도 5 에 따른 베이스체의 형상, 특히 커버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4 에 따른 실시예들에 제공될 수도 있다. 장치 (1d) 는 특히 상하 역전위치에서 매우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왕복 부재 (9d), 구성품 (10d) 및 최종적으로 커버 (4d) 가 차례로 하우징 (3d) 안에 하강됨으로써 이들 자체를 하우징에 대해 그리고 서로에 대해 경사 자체 중심맞춤으로써 배향하고 커버 (4d) 를 제위치에 삽입하고 스냅결합시키며 또한 구성품 (10d) 의 스냅커넥터에 걸리기 때문이다. 커버 (4d) 는 스냅 커넥터 (49d) 를 통해 하우징(3d) 의 내주에 결합한다. 하우징은 챔버 (14d) 로부터 커넥터 (49d) 에 걸쳐서 동일한 폭을 갖는다. 구성품들 (10d, 12d) 간의 스냅 접속은 또한 유니트 (4d) 의 스트로크에 의해 커버 (4d) 의 걸림 전이 아니더라도 걸릴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 섹션 (34d) 은 면(19d) 에 맞닿아 접촉한 다음 스프링 (28d) 에 대한 강성 접촉부를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5 에서 서로 대응하는 부분들에는 동일 참조번호에 상이한 지수문자를 붙여 이용되었으며, 그 이유는 설명의 모든 부분들이 상응하게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되고 매 실시예의 모든 구성이 각각의 나머지 실시예들에대해 제공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도 3 과 일치하는 실시예에서는, 또한 섹션 (28b 또는 30b) 의 외주를 왕복 부재의 측벽 (12b) 의 내주에 각기 매우 가까이 안내하거나 이들을 그 위에 서 미끄러지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설명된 유형의 대응 나선통로가 초래된다. 또한, 구성품 (10b) 의 캐비티와 챔버 (22b) 사이의 천이 구멍은 각기 그의 자켓내의 및/또는 섹션 (31 또는 32) 내의 하나이상의 횡방향 구멍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천이 구멍이 섹션 (28b 또는 30b) 내에 각기 배치되면, 그의 외주는 천이 구멍에 대해 축방향 안쪽으로 편위된 섹션과 함께 유입 밸브의 밸브 하우징을 형성할 수도 있다. 왕복 부재는 또한 내주에 섹션 (32) 과 바로 인접하여 섹션 (28) 의 외주의 나선홈에 결합하는 돌출 캠 또는 나선 칼라를 포함하고 따라서 스냅 커넥터 (43) 에 대응하는 커넥터를 형성한다. 유입 밸브는 구성품 (10) 내에 예컨대 튜브 (25) 또는 지지부 (26) 의 외주에 배치된 밸브 시트를 더 포함하고, 그 위에서 왕복 부재 스트로크의 개시 시, 구성품 (10), 예컨대 밸브 하우징이 정지할 때 횡방향 통로가 통과하는 각각의 섹션 (32 또는 31) 의 내주, 횡방향 채널 및 그에 따른 구성품 (10) 의 캐비티와 챔버 (14) 간의 접속이 폐쇄된다. 이 경우에, 유입챔버는 이 캐비티에 의해 형성된다. 각 섹션 (28 내지 30) 의 각각의 나선 형상 대신에, 상응하는 환형 홈 또는 다른 형상의 축방향 섹션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들 각각은 원주 상에서 폐쇄되고 축방향으로 나란한 링크식으로 배치된다.

Claims (13)

  1. 베이스체 (2, 2b, 2c, 2d) 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고 작동 섹션 (28 내지 34) 을 포함하며 종축 (11, 11b, 11c, 11d) 을 구비하는 작동스프링 (10, 10b, 10c, 10d) 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 섹션 (28 내지 34) 중의 하나 이상은 스프링 섹션 (28, 29, 30) 이고, 상기 스프링 섹션은 미리 가해진 하중과 상기 매체 방출장치 (1) 의 작동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응력을 받으며, 상기 스프링 섹션 (28, 29, 30) 은 하위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섹션 (28, 29, 30) 은 상기 미리 가해진 하중에 부가되는 작동하중 하에서 변형가능한 매체 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체 방출장치 (1) 의 작동 중에, 변화하는 토크가 상기 스프링 섹션 (28, 29, 30) 에 가해지고, 상기 토크는 상기 스프링 섹션 (28, 29, 30) 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저장되며, 또한
    상기 저장된 토크를 상기 스프링 섹션 (28, 29, 30) 으로부터 작동가능하게 해제하기 위한 해제 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방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섹션은 제 1 하위 섹션, 제 2 하위 섹션, 및 연결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위 섹션은, 상기 종축에 대하여 피치각만큼 경사지고 상기 종축(11) 의 주위로 회전각에 걸쳐서 연장하는 나선형 회전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각도는 경계 각도 플랭크를 한정하며,
    상기 제 2 하위 섹션은, 상기 제 1 하위 섹션과 종축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병치되고, 상기 경계 각도 플랭크는 제 1 하위 섹션 단부와 제 2 하위 섹션 단부를 한정하며, 상기 제 2 하위 섹션 단부는 상기 제 1 하위 섹션 단부로부터 종축방향으로 평행하게 거리를 두고, 또한
    상기 연결 섹션은 상기 나선형 회전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연결 섹션은 상기 제 1 하위 섹션과 상기 제 2 하위 섹션을 방해받지 않고 연결하고, 상기 토크 해제 수단은 상기 스프링 섹션 (28, 29, 30) 의 신장과 압축 시의 토크 응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방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각은 굵은 피치를 형성하고 10도 또는 20도 보다 크며, 상기 토크는 상기 스프링 섹션의 압축 시에 상기 스프링 섹션 (28, 29, 30) 내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방출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섹션들과 상기 연결 섹션은 축방향으로 일체로 만들어지고, 상기 연결 섹션은 상기 하위 섹션들과 함께 변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방출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섹션 (28 내지 34) 중의 하나는상기 스프링 섹션 (28, 29, 30) 보다 본래 딱딱한 견고 섹션 (31 내지 34) 을 한정하고, 상기 스프링 섹션은 제 1 스프링 단부와 제 2 스프링 단부를 한정하며, 상기 제 1 스프링 단부와 제 2 스프링 단부 양자는 상기 스프링 섹션 (28, 29, 30) 과 함께 상기 견고 섹션 (31 내지 34) 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고, 상기 스프링 단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견고 섹션에 견고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프링 단부와 상기 견고 섹션은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방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섹션 (28, 29, 30) 은 상기 종축에 대하여 횡방향에서 벽 단면을 가지고,
    상기 견고 섹션 (31, 32, 34) 은 상기 벽 단면보다 두꺼운 견고 단면을 한정하며,
    상기 견고 섹션 (31, 32, 34) 은 상기 견고 섹션과 일체로 된 내부 나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방출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견고 섹션 (31 내지 34), 및 상기 스프링 단부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매체 방출장치 (1) 의 왕복 부재의 측벽에 작동가능하고 견고하게 연결되며, 상기 견고 섹션 (31, 32) 은 스냅 연결 (43) 에 의하여 상기 왕복 부재의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스냅 연결은 상호결합된 스냅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냅 부재는 매체를 위한 통로 (45) 를 함께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섹션 (28 내지 34) 중의 둘은 각각 견고 섹션 (31 내지 34) 을 한정하고,
    상기 견고 섹션은, 밸브 폐쇄 부재 (16, 34), 접촉부 (18), 및 가이드 부재 (39)를 포함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견고 섹션 (31 내지 34) 은 상기 제 1 스프링 단부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견고 섹션 (33, 34) 은 개별적으로 상기 스프링 섹션 (28, 29, 30) 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견고 섹션 (31, 32, 34)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스프링 섹션 (28, 29, 30) 중의 두 개 사이에 위치한 중간 섹션을 형성하며,
    상기 견고 섹션 (31, 32, 34) 중의 하나는 상기 견고 섹션과 일체로 된 내부 나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방출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섹션 (28 내지 34) 은 본래 비탄성인 견고 섹션 (31 내지 34)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섹션 (28, 29, 30) 및 상기 견고 섹션 (31 내지 34) 은 상기 종축에 평행하게 병치되고 일체로서 서로 직접 결합되며,
    하나 이상의 돌출웨브 (40, 41) 는 상기 견고 섹션 (31 내지 34) 및 상기 스프링 섹션 (28, 29, 30) 을 따라 실질적으로 연속하여 통과하며, 상기 스프링 섹션에는 상기 돌출웨브 (40, 41) 가 상기 종축 (11) 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인접하거나,또는 상기 종축 (11)을 향하여 인접하거나, 또는 상기 종축 (11) 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인접하고 상기 종축 (11)을 향하여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방출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섹션 (28, 29, 30) 은 제 1 탄성 나선과 제 2 탄성 나선을 구비하는 다선 나선 (40, 41)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탄성 나선은 상기 제 1 탄성 나선에 대하여 거리를 두고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방출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섹션이 종방향으로 변형될 때 상기 스프링 섹션 (28, 29, 30) 에 토크를 가하고 동시에 축방향으로 하중을 가하는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축방향의 하중과 상기 토크가 해제될 때 상기 토크가 상기 축방향의 하중에 부가되고 상기 축방향의 하중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방출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동 엑츄에이터 (7) 가 포함되고, 상기 스프링 섹션 (28, 29, 30) 은 나선형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나선형 스프링은 밸브 제어 스프링 (29, 30), 및 상기 수동 엑츄에이터 (7)를 위한 회복 스프링 (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방출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섹션 (28, 29, 30) 는 플라스틱 재료로서 일체로 만들어지고 벨로우즈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스프링 (10) 은 상기 벨로우즈의 내부에 대하여 폐쇄된 최외각 구성품 단부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최외각 구성품 단부는 단부벽 (33), 및 상기 단부벽의 외부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 (16)를 포함하며,
    상기 매체 방출장치는, 상기 돌출부 (16) 에 직접 대향하고 상기 돌출부 (16) 로부터 작동가능하게 가변적으로 거리를 둔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방출장치.
KR1019970703352A 1994-11-19 1995-11-10 매체방출장치 KR100327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441263.0 1994-11-19
DE4441263A DE4441263A1 (de) 1994-11-19 1994-11-19 Austragvorrichtung für Medien
PCT/EP1995/004426 WO1996015855A1 (de) 1994-11-19 1995-11-10 Austragvorrichtung für medi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6908A KR970706908A (ko) 1997-12-01
KR100327289B1 true KR100327289B1 (ko) 2002-04-17

Family

ID=6533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3352A KR100327289B1 (ko) 1994-11-19 1995-11-10 매체방출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073814A (ko)
EP (1) EP0792192B1 (ko)
JP (1) JP3935204B2 (ko)
KR (1) KR100327289B1 (ko)
AT (1) ATE247526T1 (ko)
AU (1) AU703646B2 (ko)
BR (1) BR9510339A (ko)
DE (2) DE4441263A1 (ko)
ES (1) ES2203648T3 (ko)
WO (1) WO19960158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06702A1 (de) * 1996-02-22 1997-08-28 Caideil M P Teoranta Tourmakea Austragvorrichtung für Medien
DE19627228A1 (de) * 1996-07-05 1998-01-08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ür Medien
DE19723133A1 (de) * 1997-06-03 1998-12-10 Caideil M P Teoranta Tourmakea Austragvorrichtung für Medien
DE19739989A1 (de) 1997-09-11 1999-03-18 Pfeiffer Erich Gmbh & Co Kg Spender für Medien
DE19739990A1 (de) 1997-09-11 1999-03-18 Pfeiffer Erich Gmbh & Co Kg Spender für Medien
DE29717034U1 (de) * 1997-09-23 1999-01-28 Josef Wischerath Gmbh & Co. Kg, 50259 Pulheim Spenderpumpe, Spender und Spender-Baukastensystem
DE19742559C2 (de) * 1997-09-26 1999-08-05 Gaplast Gmbh Behälter mit Pumpe
DE19749514A1 (de) * 1997-11-08 1999-05-12 Pfeiffer Erich Gmbh & Co Kg Verfahren zum Ausbringen von wenigstens zwei verschiedenen Medien und Spender dafür
DE19807921A1 (de) * 1998-02-25 1999-08-26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Steuerung für einen Medien-Spender
US7367478B2 (en) * 2003-06-25 2008-05-06 Ing. Erich Pfeiffer Gmbh Dosing device for at least one medium
GB0514584D0 (en) * 2005-07-15 2005-08-24 R J Doran & Co Ltd Apparatus for causing fluid flow
GB0613153D0 (en) * 2006-06-30 2006-08-09 Novartis Ag Device
ES2569359T3 (es) * 2007-07-06 2016-05-10 Vectura Delivery Devices Limited Inhalador
CN109250526A (zh) * 2018-08-20 2019-01-22 武汉市艺茂机械有限公司 一种特粘性粉末高速间歇式添加装置
GB2587372B (en) * 2019-09-25 2022-09-07 Berlin Packaging Uk Ltd Improved fluid dispensers
CN115697568A (zh) * 2020-05-29 2023-02-03 普罗门斯公司 分配流体的泵
WO2022038199A1 (en) * 2020-08-18 2022-02-24 Rieke Packaging Systems Limited All-polymer helical biasing member and pump dispenser incorporating same
EP4341003A1 (de) 2021-05-20 2024-03-27 Aptar Dortmund GmbH Feder aus kunststoff und abgabevorrichtung
DE102021122705A1 (de) 2021-05-20 2022-11-24 Aptar Dortmund Gmbh Feder aus Kunststoff und Abgabevorricht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8156A (en) * 1990-12-21 1993-08-24 Firma Raimund Andris Gmbh & Co., Kg. Metering and spray pump for dispensing liquid, low-viscosity, and pasty substance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62475A (fr) * 1963-03-04 1964-06-05 Evor Soc Perfectionnement aux appareils distributeurs de doses volumétriques définies par une capacité déformable
US4260079A (en) * 1978-01-25 1981-04-07 The Afa Corporation Manually operated liquid dispensers
FR2380076A1 (fr) * 1977-02-15 1978-09-08 Normos Norbert Dispositif de dosage et pulverisation des liquides comportant un soufflet
FR2380077A1 (fr) * 1977-02-15 1978-09-08 Normos Norbert Dispositif de dosage et pulverisation d'un liquide comportant un element compressible
DE3225910A1 (de) * 1982-07-10 1984-01-12 Pfeiffer Zerstäuber Vertriebsgesellschaft mbH & Co KG, 7760 Radolfzell Zerstaeuber- oder dosierpumpe
DE8702986U1 (de) * 1987-02-26 1987-04-09 Aerosol Inventions and Development S.A. A.I.D. S.A., Freiburg/Fribourg Schnell zu schließende und zu öffnende Verpackung mit einem mit einer Pumpe ausgestatteten Behälter
DE8713891U1 (de) * 1987-10-16 1989-02-16 Wella Ag, 6100 Darmstadt Handpumpe für eine dosierte Entnahme eines fließfähigen Stoffes aus einem Vorratsbehälter
DE3907964A1 (de) * 1989-03-11 1990-09-13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yndiotaktischen polyolefins
DE8905137U1 (de) * 1989-04-24 1990-08-23 MegaPlast Dosiersysteme GmbH & Co, 5600 Wuppertal Dosierpumpe für Flaschen o.dgl.
DE3928521A1 (de) * 1989-08-29 1991-03-14 Megaplast Dosiersysteme Dosierpumpe
DE3942365A1 (de) * 1989-12-21 1991-06-27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olypropylen-formmasse
DE4015367A1 (de) * 1990-05-12 1991-11-14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uer mindestens ein medium
US5265771A (en) * 1990-05-22 1993-11-30 Philip Meshberg Self-purging actuator
DE4041135C2 (de) * 1990-12-21 1994-10-20 Andris Raimund Gmbh & Co Kg Ansaug- oder Ausgabeventil für eine Dosier- und Spraypumpe zur Abgabe flüssiger, niederviskoser und pastöser Stoffe
DE4110303A1 (de) * 1991-03-28 1992-10-01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uer medien
DE9106417U1 (de) * 1991-05-24 1991-12-05 Pharma Performance Werbeagentur GmbH, 8000 München Flüssigkeitsbehälter
DE4207800C1 (ko) * 1992-03-12 1993-09-16 Raimund Andris Gmbh & Co Kg, 7730 Villingen-Schwenningen, De
IT1260302B (it) * 1993-03-12 1996-04-03 Taplast Srl Pompa dosatrice in plastica per l'erogazione di liquidi da contenitori
US5303867A (en) * 1993-06-24 1994-04-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rigger operated fluid dispensing device
DE29506682U1 (de) * 1995-04-19 1995-06-29 Megaplast Dosiersysteme GmbH, 78052 Villingen-Schwenningen Abgabepumpe aus Kunststoff für pastenartige Stoff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8156A (en) * 1990-12-21 1993-08-24 Firma Raimund Andris Gmbh & Co., Kg. Metering and spray pump for dispensing liquid, low-viscosity, and pasty substa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441263A1 (de) 1996-05-23
JPH10513101A (ja) 1998-12-15
BR9510339A (pt) 1999-08-31
US6073814A (en) 2000-06-13
WO1996015855A1 (de) 1996-05-30
JP3935204B2 (ja) 2007-06-20
ES2203648T3 (es) 2004-04-16
EP0792192B1 (de) 2003-08-20
AU4115596A (en) 1996-06-17
ATE247526T1 (de) 2003-09-15
DE59510772D1 (de) 2003-09-25
AU703646B2 (en) 1999-03-25
EP0792192A1 (de) 1997-09-03
KR970706908A (ko) 199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7289B1 (ko) 매체방출장치
AU740121B2 (en) Media dispenser having a plurality of flow operating states
EP1384517B1 (en) Fluid discharge pump
CA1148514A (en) Dispensing pump locking means
EP1637232B1 (en) Elastomer discharge valve
EP2480339B1 (en) Manually operated pump comprising an assembly for pressurization and dispensing of fluid
US6200055B1 (en) Dispenser device for dispensing metered doses of viscous material
US7097077B2 (en) Fluid-dispensing pump and container provided therewith
EP0755305A1 (en) Manually operated reciprocating liquid pump
KR960008273B1 (ko) 수축가능한 챔버를 가지는 계량 밸브
US20170246648A1 (en) Pump for a Receptacle, in Particular a Bottle for a Cosmetic Product, and a Dispensing Device Comprising Such a Pump
JP2012520212A (ja) 流体ディスペンサヘッド
JPH09225360A (ja) 媒体吐出装置と吐出装置等の製造方法
JP5099929B2 (ja) 流体ディスペンサ装置
JP4327277B2 (ja) 媒体ディスペンサー
KR20200032085A (ko) 액체 분배기
CA2725610C (en) Fluid discharge head
KR100466063B1 (ko) 매체방출장치
AU712492B2 (en) Dispenser for media
US5411181A (en) Variable restrictor for a manually actuated pump
US10677256B1 (en) Connecting assembly for fluid dispensing pump
US7055721B2 (en) Finger-operated spray pump ejaculating fluid in fixed quantity
JP2005526602A (ja) 流体ディスペンサポンプ
CA2410580A1 (en) Finger-operated spray pump ejaculating fluid in fixed quantity
IE56873B1 (en) Liquid dispensing p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