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989B1 - 고주파증폭기 - Google Patents

고주파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989B1
KR100322989B1 KR1019970038031A KR19970038031A KR100322989B1 KR 100322989 B1 KR100322989 B1 KR 100322989B1 KR 1019970038031 A KR1019970038031 A KR 1019970038031A KR 19970038031 A KR19970038031 A KR 19970038031A KR 100322989 B1 KR100322989 B1 KR 100322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ching circuit
high frequency
output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540A (ko
Inventor
요시히토 마사토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무라타 야스타카
Publication of KR19980018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72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93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field-effect devices
    • H03F3/1935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field-effect devices with junction-FET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 Transmitters (AREA)
  • Microwave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고주파 증폭기(high-frequency amplifier)는 본 발명의 고주파 증폭기가 설치된 기구의 소형화, 경량화, 및 가격 절감을 이루게 한다. 본 발명의 고주파 증폭기에서, 전력 증폭회로(power amplification circuit)의 입력측 또는 입력단자에,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input matching circuit of low-pass type)와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를 병렬로 접속시켜 설치한다. 주파수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송신 입력신호 중의 한 종류의 송신 입력신호에 대해서는,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에 의해 정합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다른 종류의 송신 입력신호에 대해서는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에 의해 정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전력 증폭회로의 출력측 또는 출력단자에,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와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를 병렬로 접속시켜 설치한다. 또한, 송신 출력신호 중의 한 종류의 송신 출력신호에 대해서는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에 의해 정합이 이루어지며, 다른 종류의 송신 입력신호에 대해서는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에 의해 정합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고주파 증폭기{High-Frequency Amplifie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휴대용 전화, 무선 전화 등의 무선 통신 기구(radio communication equipment)에 사용하기 적합한 고주파 증폭기(high-frequency amplifi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하면, 주파수가 서로 다른 다수의 고주파 신호 각각에 대하여 정합(matching)을 이루며, 이 고주파 신호를 단일 증폭회로에의해 증폭하기에 적합한 고주파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휴대용 전화, 무선 전화 등의 이동(무선) 통신 기구에서는 각 전용 주파수 대역(exclusive(private) frequency band)의 송신 전파(radio (transmission) wave)를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휴대용 전화 등에 내장된 송신 장치에는, 전용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 신호(송신 전파)만을 증폭시키는 고주파 증폭기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고주파 증폭기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에서, 참고번호 1은 종래의 고주파 증폭기를 나타낸다. 이 고주파 증폭기 1은 예를 들면, 휴대용 전화에 내장된 송신 장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휴대용 전화의 송신 전파로 사용되는 전용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 신호를 증폭시키는 전용전력 증폭기이다. 예를 들면, 이 휴대용 전화의 송신 전파로 사용되는 신호의 전용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가 890∼915㎒이며, 중심 주파수의 범위는 902.5㎒인 경우에, 고주파 증폭기 1은 이러한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 신호만을 증폭시키기에 적합하다.
참고번호 2는 고주파 증폭기 1의 입력단자(input terminal)를 나타낸다. 입력단자 2는 휴대용 전화에 내장되어 통화신호(speech signal)와 반송신호(carrier signal)를 단일 신호로 합성하여 송신 입력신호(고주파 입력신호)를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송신신호 발생회로(transmission signal generating circuit: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또한, 송신신호 발생회로로부터 출력된 송신 입력신호는 입력단자 2에 입력된다.
참고번호 3은 결합 커패시터(coupling capacitor) 4를 통해 입력단자 2에 접속된 입력 정합회로(input matching circuit)를 나타낸다. 입력 정합회로 3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유도소자(inductive element)로 제공된 코일 5와 용량소자(capacitive element)로 제공된 커패시터 6을 L자형 구성으로 접속하여 구성된다. 또한, 입력 정합회로 3의 경우에는, 송신 입력신호의 중심 주파수(즉, 902.5㎒)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도록, 코일 5의 인덕턴스와 커패시터 6의 용량 등의 매개 변수가 설정된다. 즉, 송신 입력신호의 중심 주파수에 대한 반사 계수가 최적이 된다. 또한, 고주파 증폭기 1의 입력 귀환 감쇠량(input return loss)이 최소가 되도록, 코일 5와 커패시터 6의 각 매개 변수가 설정된다.
참고번호 7은 입력 정합회로 3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전력 증폭회로(power amplification circuit)를 나타낸다. 이 전력 증폭회로 7은 전력을 증폭시키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 8과 바이어스 회로(bias circuit: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등으로 대략 구성된다. 또한, 전력 증폭회로 7은 입력 정합회로 3에 의해 정합이 이루어지는 송신 입력신호를 휴대용 전화의 송신 전파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 예를 들면, 1W 정도로 증폭시킨다. 또한, 이렇게 얻어진 신호는 송신 출력신호로서 후술할 출력 정합회로 9에서 출력된다.
참고번호 9는 전력 증폭회로 7의 출력측에 설치된 출력 정합회로를 나타낸다. 이 출력 정합회로 9는 상술한 입력 정합회로 3과 거의 유사하게, 코일 10과 커패시터 11을 L자형 구성으로 접속하여 구성된다. 또한, 출력 정합회로 9의 경우에는, 송신 출력신호의 중심 주파수(즉, 902.5㎒)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도록, 코일10의 인덕턴스와 커패시터 11의 용량 등의 매개 변수가 설정된다. 즉, 전력 증폭회로 7의 출력 특성, 바이어스 조건, 이득 등을 고려하여, 상술한 송신 출력신호의 중심 주파수에 대한 반사 계수가 최적이 되게, 코일 10과 커패시터 11 각각의 매개 변수가 설정된다.
참고번호 12는 바이어스 전류를 제거하는 결합 커패시터를 나타낸다. 참고번호 13은 고주파 증폭기 1의 출력단자를 나타낸다. 출력단자 13은 휴대용 전화에 부착된 안테나측에 접속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고주파 증폭기 1에서, 송신신호 발생회로로부터 출력된 송신 입력신호를 증폭하여 송신 출력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이 송신 출력신호는 휴대용 전화의 안테나에서 출력된다. 따라서, 고주파 증폭기 1로부터 출력된 송신 출력신호는 송신 전파로서 상술한 안테나측으로부터 전송된다.
상술한 종래의 증폭기는 휴대용 전화에 사용된 송신 전파의 주파수 대역을 1종류만 사용하며, 중심 주파수는 예를 들면, 902.5㎒의 단일 주파수이다. 그러므로, 종래 고주파 증폭기 1의 입력 정합회로 3은 중심 주파수가 902.5㎒인 송신 입력신호에 대해서만 정합을 효과적으로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휴대용 전화를 사용하는 지역이 다양해지므로, 송신 전파의 주파수 대역도 다양해질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지역에서는 송신 전파의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가 890∼915㎒이며, 또 다른 지역에서는 송신 전파의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가 1430∼1450㎒인 경우가 있다. 따라서, 사용된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송신전파(송신신호)를 처리할 수 있어, 다수의 지역에서도 통화가 가능한 공용형의 휴대 전화를 실현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송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서, 한 지역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는 제 1 고주파 증폭기 21과, 또 다른 지역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는 제 2 고주파 증폭기 22를 병렬로 설치하며, 각 고주파 증폭기 21, 22의 입력측 또는 입력단자와 출력측 또는 출력단자에 절환 스위치(changeover switch) 23, 23을 설치하는 공용형의 휴대 전화가 고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증폭기는 두 개의 고주파 증폭기 21, 22를 병렬로 설치하며, 증폭기 21, 22의 입력측과 출력측에 절환 스위치 23, 23을 설치하는 동일한 구성의 두 개의 전력 증폭회로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상기 회로들과 스위치들이 실장된 회로 기판의 크기가 증가되며, 또한, 증폭기의 소형화와 경량화가 어렵게 된다. 또한, 부품의 수가 증가하며, 그 결과, 증폭기의 가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고주파 증폭기의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파수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고주파 신호를 증폭시켜, 이 고주파 증폭기가 설치된 기구의 소형화, 경량화 및 가격 절감에 기여하는 고주파 증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에서 실시되는 고주파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구현예에서 고주파 증폭기에 설치된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와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의 각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구현예에서 실시되는 고주파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구현예에서 실시되는 고주파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구현예에서 실시되는 고주파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구현예에서 고주파 증폭기에 설치된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와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의 각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구현예에서 고주파 증폭기의 입력 귀환 감쇠량의 특성을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구현예에서 실시되는 고주파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구현예에서 실시되는 고주파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구현예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종래의 고주파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12는 종래에 실시된 고주파 증폭기, 절환 스위치 등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31, 61, 71, 81, 91, 101 : 고주파 증폭기
34, 74, 86, 92, 93 :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8, 83, 102, 103 :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37 : 전력 증폭회로(증폭회로)
44, 62, 63 :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 :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고주파 증폭기는제 1 고주파 입력신호와,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와 주파수가 서로 다른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는 입력 정합회로; 상기한 입력 정합회로의 출력측(단자)에 접속되어,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를 증폭시켜 제 1 고주파 출력신호를 출력하며, 제 2 고주파 입력신호를 증폭시켜 제 2 고주파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증폭회로; 상기한 증폭회로의 출력측(단자)에 접속되어, 제 1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는 제 1 출력 정합회로; 및 상기한 증폭회로의 출력측(단자)에 상기한 제 1 출력 정합회로와 병렬로 접속되어, 제 2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는 제 2 출력 정합회로로 구성된다(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 1 고주파 증폭기라고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출력 정합회로를 병렬로 접속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 고주파 출력신호 각각에 대하여 정합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고주파 출력신호는 주파수가 서로 다르다. 그러므로, 고주파 출력신호 각각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상기한 증폭회로의 출력측(단자)에서 제 1 및 제 2 고주파 출력신호 각각에 대한 반사계수를 증폭회로의 출력특성, 바이어스 조건, 이득을 고려하여 최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 1 출력 정합회로는 제 1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하여 최적으로 반사계수를 설정하며, 제 2 출력 정합회로도 제 2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하여 최적으로 반사계수를 설정한다. 또한, 출력 정합회로들을 병렬로 접속시킴으로써, 단일 고주파 증폭기에 의해 고주파 출력신호(전파) 각각에 대하여 정합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제 1 및 제 2 고주파 입력신호 각각에 대한 정합은 상기한 입력 정합회로에 의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 1 및 제 2 고주파 입력신호 각각에 대한 정합은, 이 고주파 증폭기의 입력 귀환 감쇠량이 감소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입력 정합회로는 단일 입력 정합회로 또는 다수의 입력 정합회로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출력 정합회로는 중복통과범위(overlapping pass ranges) 또는 비중복통과범위(non-overlapping pass ranges)를 갖는다. 여기서, 중복통과범위는 통상적으로 이상적인 필터가 아님으로 인한 두 송신입력신호의 신호대역이 중첩되는 부분이고, 비중복통과범위는 통상적으로 이상적인 필터가 아님으로 인한 두 송신입력신호의 신호대역이 중첩되지 않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고주파 증폭기는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는 제 1 입력 정합회로; 상기한 제 1 입력 정합회로에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와 주파수가 서로 다른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는 제 2 입력 정합회로; 상기한 각 입력 정합회로의 출력측(단자)에 접속되어,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를 증폭시켜 제 1 고주파 출력신호를 출력하며, 제 2 고주파 입력신호를 증폭시켜 제 2 고주파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증폭회로; 상기한 증폭회로의 출력측(단자)에 접속되어, 제 1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는 제 1 출력 정합회로; 및 상기한 증폭회로의 출력측(단자)에 상기한 제 1 출력 정합회로와 병렬로 접속되어, 제 2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는 제 2 출력 정합회로로 구성된다(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 2 고주파 증폭기라고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입력 정합회로를 병렬로 접속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 고주파 입력신호 각각에 대하여 정합을 정확하거나 적절하며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고주파 입력신호는 주파수가 서로 다르다. 그러므로, 각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입력 귀환 감쇠량이 최소가 되도록 정합이 이루어질 때,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한 반사계수와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한 다른 반사계수 각각을 최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1 입력 정합회로는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최적으로 반사계수를 설정하며, 제 2 입력 정합회로도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최적으로 반사계수를 설정한다. 또한, 입력 정합회로들을 병렬로 접속시킴으로써, 주파수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고주파 입력신호 각각에 대하여 정확하고 적절하게 정합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출력 정합회로들을 병렬로 접속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고주파 증폭기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 1 및 제 2 고주파 출력신호 각각에 대하여 정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고주파 증폭기의 구현예에서, 상기한 제 1 입력 정합회로는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며,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보다 주파수가 높은 제 2 고주파 입력신호를 차단하는 저역통과 필터형(low-pass filter type)의 정합회로이다. 또한, 상기한 제 2 입력 정합회로는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며,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를 차단하는 고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이다(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 3 고주파 증폭기라고 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 1 입력 정합회로로 저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를 사용한다. 따라서, 제 1 입력 정합회로는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보다 주파수가 높은 제 2 고주파 입력신호를 차단하는 특성, 즉 저역통과 필터와 유사한 주파수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제 1 입력 정합회로를 구성하는 회로소자(예를 들면, 코일의 인덕턴스와 커패시터의 용량)에 대한 매개 변수들을 변경하며,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한 반사계수를 조정하더라도, 제 2 입력 정합회로에 의해 설정된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한 반사계수는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또한, 제 2 입력 정합회로로 고역통과 필터형(high-pass filter type)의 정합회로를 사용한다. 따라서, 제 2 입력 정합회로는 제 2 고주파 입력신호보다 주파수가 낮은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를 차단하는 특성, 즉 고역통과 필터와 유사한 주파수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제 2 입력 정합회로를 구성하는 회로소자(예를 들면, 코일의 인덕턴스와 커패시터의 용량)에 대한 매개 변수들을 변경하며,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한 반사계수를 조정하더라도, 제 1 입력 정합회로에 의해 설정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한 반사계수는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입력 정합회로는 서로 의존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 1 입력 정합회로에 의한 반사계수의 설정과, 제 2 입력 정합회로에 의한 반사계수의 설정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주파수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각 입력 정합회로는 중복통과범위(overlapping pass ranges) 또는 비중복통과범위(non-overlapping pass ranges)를 갖는다. 여기서, 중복통과범위는 통상적으로 이상적인 필터가 아님으로 인한 두 송신입력신호의 신호대역이 중첩되는 부분이고, 비중복통과범위는 통상적으로 이상적인 필터가 아님으로 인한 두 송신입력신호의 신호대역이 중첩되지 않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고주파 증폭기는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는 제 1 입력 정합회로; 상기한 제 1 입력 정합회로의 출력측(단자)에 직렬로 접속되어,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와 주파수가 서로 다른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는 제 2 입력 정합회로; 상기한 제 2 입력 정합회로의 출력측(단자)에 접속되어, 상기한 제 1 입력 정합회로에 의해 효과적으로 정합이 이루어지는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를 증폭시켜 제 1 고주파 출력신호를 출력하며, 상기한 제 2 입력 정합회로에 의해 효과적으로 정합이 이루어지는 제 2 고주파 입력신호를 증폭시켜 제 2 고주파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증폭회로; 상기한 증폭회로의 출력측(단자)에 접속되어, 제 1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는 제 1 출력 정합회로; 및 상기한 증폭회로의 출력측(단자)에 상기한 제 1 출력 정합회로와 병렬로 접속되어, 제 2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는 제 2 출력 정합회로로 구성된다(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 4 고주파 증폭기라고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입력 정합회로를 직렬로 접속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 고주파 입력신호 각각에 대하여 정합이 정확하고 적절하며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 1 및 제 2 고주파 입력신호는 주파수가 서로 다르다. 그러므로, 각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입력 귀환 감쇠량이 최소가 되도록 정합이 이루어질 때,제 1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한 반사계수와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한 다른 반사계수 각각을 최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 1 입력 정합회로는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최적으로 반사계수를 설정하며, 제 2 입력 정합회로도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최적으로 반사계수를 설정한다. 또한, 입력 정합회로들을 직렬로 접속시킴으로써, 주파수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고주파 입력신호 각각에 대하여 정합이 정확하고 적절하게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제 1 및 제 2 출력 정합회로들을 서로 병렬로 접속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고주파 증폭기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 1 및 제 2 고주파 출력신호 각각에 대하여 정합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상기한 제 1 입력 정합회로는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며,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보다 주파수가 높은 제 2 고주파 입력신호를 통과시키는 고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이다. 또한, 상기한 제 2 입력 정합회로는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며,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를 통과시키는 저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이다(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 5 고주파 증폭기라고 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 1 입력 정합회로로 고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를 사용한다. 따라서, 제 1 입력 정합회로는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보다 주파수가 높은 제 2 고주파 입력신호를 통과시키하는 특성, 즉 고역통과 필터와 유사한 주파수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제 1 입력 정합회로를 구성하는 회로소자(예를 들면, 코일의 인덕턴스와 커패시터의 용량)에 대한 매개 변수들을 변경하며,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한 반사계수를 조정하더라도, 제 2 입력 정합회로에 의해 설정된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한 반사계수는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또한, 제 2 입력 정합회로로 저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를 사용한다. 따라서, 제 2 입력 정합회로는 제 2 고주파 입력신호보다 주파수가 낮은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를 통과시키는 특성, 즉 저역통과 필터와 유사한 주파수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제 2 입력 정합회로를 구성하는 회로소자(예를 들면, 코일의 인덕턴스와 커패시터의 용량)에 대한 매개 변수들을 변경하며,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한 반사계수를 조정하더라도, 제 1 입력 정합회로에 의해 설정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한 반사계수는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입력 정합회로는 서로 의존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 1 입력 정합회로에 의한 반사계수의 설정과, 제 2 입력 정합회로에 의한 반사계수의 설정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주파수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4 고주파 증폭기의 구현예에서, 상기한 제 1 입력 정합회로는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며,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보다 주파수가 낮은 제 2 고주파 입력신호를 통과시키는 저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이다. 또한, 상기한 제 2 입력 정합회로는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며,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를 통과시키는 고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로서(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 6 고주파 증폭기라고 한다), 본 발명의 제 5 고주파 증폭기와 유사한 이점과 효과를 얻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제 2, 제 3, 제 4, 제 5 또는 제 6 고주파 증폭기중의 하나의 구현예에서, 상기한 제 1 출력 정합회로는 제 1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며, 상기한 제 1 고주파 출력신호보다 주파수가 높은 제 2 고주파 입력신호를 차단하는 저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이다. 또한, 상기한 제 2 입력 정합회로는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며, 상기한 제 1 고주파 출력신호를 차단하는 고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이다(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 7 고주파 증폭기라고 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 1 출력 정합회로로 저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를 사용한다. 따라서, 제 1 출력 정합회로는 제 1 고주파 출력신호보다 주파수가 높은 제 2 고주파 출력신호를 차단하는 특성, 즉 저역통과 필터와 유사한 주파수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제 1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제 1 출력 정합회로를 구성하는 회로소자(예를 들면, 코일의 인덕턴스와 커패시터의 용량)에 대한 매개 변수들을 변경하며, 제 1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한 반사계수를 조정하더라도, 제 2 출력 정합회로에 의해 설정된 제 2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한 반사계수는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또한, 제 2 출력 정합회로로 고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를 사용한다. 따라서, 제 2 출력 정합회로는 제 2 고주파 출력신호보다 주파수가 낮은 제 1 고주파 출력신호를 차단하는 특성, 즉 고역통과 필터와 유사한 주파수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제 2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제 2 출력 정합회로를 구성하는 회로소자(예를 들면, 코일의 인덕턴스와 커패시터의 용량)에 대한 매개 변수들을 변경하며, 제 2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한 반사계수를 조정하더라도, 제 1 출력 정합회로에 의해 설정된 제 1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한 반사계수는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출력 정합회로는 서로 의존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 1 출력 정합회로에 의한 반사계수의 설정과, 제 2 출력 정합회로에 의한 반사계수의 설정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주파수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실시예>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구현예)
먼저,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를 공용형의 휴대 전화의 송신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 증폭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참고번호 31은 본 발명의 고주파 증폭기를 나타낸다. 이 고주파 증폭기 31은, 예를 들어,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송신(무선) 전파를 송신하는 휴대용 전화에 설치되어, 각 송신전파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송신신호(즉, 고주파 신호)를 증폭시키는 고주파 전력 증폭기(high-frequency power amplifier)이다. 예를 들어, 어떤 지역에 사용된 송신전파의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가 890MHz∼915MHz이고, 그의 중심 주파수 f1은 902.5MHz이며, 다른 지역에 사용된 송신전파의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가 1430MHz∼1450MHz이고, 그의 중심 주파수 f2는 1440MHz이면, 고주파 증폭기 31은 중심 주파수 f1의 송신신호와 중심 주파수 f2의 송신신호 둘다를 증폭하기에 최적으로 적합하게 구성된다.
참고번호 32는 고주파 증폭기 31의 입력단자를 나타낸다. 입력단자 32는 공용형의 휴대 전화의 송신신호 발생회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주파수 대역이 다른 두 종류의 고주파 입력신호인 송신 입력신호들은, 송신신호 발생회로에서 입력 단자 32로 입력된다. 즉, 입력단자 32에는, 중심 주파수가 f1(즉, 902.5MHz)인 송신 입력신호 A1과 중심 주파수가 f2(즉, 1440MHz)인 다른 송신 입력신호 A2가 입력된다. 참고번호 33은 고주파 증폭기 31의 입력측에서 송신 입력신호 A1, A2의 직류성분을 제거하는 결합 커패시터를 나타낸다.
참고번호 34는 저역통과 필터형의 입력 정합회로(이하에서,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34"라고 한다)를 나타낸다.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34는 입력 단자32측으로부터 후술할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FET 38의 게이트 단자(gate terminal)까지 연장된 신호선의 중간 지점에 설치되어 유도소자로서 작용하는 코일 35와 신호선과 접지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용량소자로서 작용하는 커패시터 36으로 구성된다. 즉,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34는 코일 35와 커패시터 36을 L자형 구성으로 접속시켜, 저역통과 필터(low-pass filter: LPF)와 유사한 회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34에서, 송신 입력신호 A1, A2 각각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코일 35의 인덕턴스와 커패시터 36의 용량 등의 매개 변수가 설정된다. 즉, 송신 입력신호 A1의 중심 주파수 f1에 대한 반사계수와 송신 입력신호 A2의 중심 주파수 f2에 대한 다른 반사계수를 균형이 양호하게 최적화하여, 입력 귀환 감쇠량이 최소가 되도록, 코일 35 및 커패시터 36 각각에 대한 매개 변수를 설정한다.
참고번호 37은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34의 출력측(단자)에 접속된 전력 증폭회로를 나타낸다. 이 전력 증폭회로 37은 FET 38, 이 FET 38의 입력측 바이어스 전압을 설정하는 입력측 바이어스 회로 39, 및 FET 38의 출력측 바이어스 전압을 설정하는 출력측 바이어스 회로 40 등으로 대략 구성된다. 또한, 바이어스 회로 39, 40 각각은 직류 전원(d.c. power supply) 41, 초크 코일(choke coil) 42 및 바이패스 커패시터(bypass capacitor) 43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접속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 전력 증폭회로 37은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34에 의해 정합이 이루어지는 각 송신 입력신호 A1, A2를 휴대용 전화의 송신전파로 사용할 수 있는정도(예를 들어, 1W 정도)의 입력신호로 증폭한다. 그 결과, 전력 증폭회로 37은 출력 정합회로 44, 49에서 상기에서 얻은 신호를 송신 출력신호 B1, B2로 출력한다. 즉, 전력 증폭회로 37은 송신 입력신호 A1을 증폭하여, 중심 주파수가 f1인 송신 출력신호 B1을 출력한다. 또한, 전력 증폭회로 37은 송신 입력신호 A2를 증폭하여, 중심 주파수가 f2인 송신 출력신호 B2를 출력한다.
부수적으로, 본 구현예에서는 전력 증폭회로 37에 FET 38을 설치하는 구성이었지만, FET 38 대신에 양극 트랜지스터(bipolar transistor) 등의 다른 능동 소자(active element)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구현예에서는 전력 증폭회로 37을 단일 FET 38로 이루어진 1단 증폭기(single-stage amplifier)로 구성하였지만, 복수의 FET 또는 복수의 트랜지스터 등으로 이루어진 다단 증폭기로도 구성할 수 있다.
참고번호 44는 송신 출력신호 B1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는 저역통과 필터형 출력 정합회로(이하에서,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라고 한다)를 나타낸다. 이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는 FET 38의 드레인 단자(drain terminal)로부터 후술할 출력단자 48측까지 연장된 신호선의 중간 지점에 설치되어 유도소자로서 작용하는 코일 45와 신호선과 접지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용량소자로서 작용하는 커패시터 46으로 구성된다. 즉,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는 코일 45와 커패시터 46을 L자형 구성으로 접속시켜, 저역통과 필터(LPF)와 유사한 회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에서, 송신 출력신호 B1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코일 45의 인덕턴스와 커패시터 46의 용량 등의 매개 변수가 설정된다. 즉, 송신 출력신호 B1의 중심 주파수 f1에 대한 반사계수가 최적화되도록, 코일 45와 커패시터 46 각각에 대한 매개 변수가 설정된다.
또한,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는, 도 2에서 특성선 또는 곡선 α1으로 나타낸 주파수 특성을 갖는다. 즉, 송신 출력신호 B1의 중심 주파수 f1(즉, 902.5MHz)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코일 45와 커패시터 46에 대한 매개 변수를 설정하면,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는 송신 출력신호 B1의 중심 주파수 f1보다 주파수가 높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차단하는 특성이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 출력신호 B1의 중심 주파수 f1이, 예를 들어, 902.5MHz이고, 송신 출력신호 B2의 중심 주파수 f2가, 예를 들어, 1440MHz이므로, 송신 출력신호 B2의 중심 주파수 f2는 송신 출력신호 B1의 중심주파수 f1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출력신호 B2의 중심 주파수 f2는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의 주파수 특성에서 차단 영역에 있다. 그러므로,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는 송신 출력신호 B1에 대해서 정합을 이루며, 송신 출력신호 B2를 차단한다.
참고번호 47은 바이어스 전류를 제거하는 결합 커패시터를 나타낸다. 또한, 참고번호 48은 고주파 증폭기 31의 제 1 출력단자를 나타낸다. 출력단자 48은 휴대용 전화의 안테나측 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에 의해 정합이 이루어지는 송신 출력신호 B1은 출력단자 48로부터 출력된다.
참고번호 49는 고역통과 필터형의 출력 정합회로 49(이하에선,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라고 한다)를 나타낸다. 이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는 FET38의 드레인 단자에서부터 후술할 출력단자 52까지 연장된 신호선의 중간 지점에 설치되어 용량소자로서 작용하는 커패시터 50과 신호선과 접지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도소자로서 작용하는 코일 51로 구성된다. 즉,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는 커패시터 50과 코일 51을 서로 L자형 구성으로 접속시켜, 고역통과 필터(high-pass filter: HPF)와 유사한 회로 구성을 갖는다.
또한,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에서는 송신 출력신호 B2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커패시터 50의 용량과 코일 51의 인덕턴스 등의 각 매개 변수가 설정된다.
또한,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는, 도 2에서 특성선 또는 곡선 α2로 나타낸 주파수 특성을 갖는다. 즉, 송신 출력신호 B2의 중심 주파수 f2(즉, 1440MHz)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커패시터 50과 코일 51에 대한 매개 변수를 설정하면,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는 송신 출력신호 B2의 중심 주파수 f2보다 주파수가 낮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차단하는 특성이 있다. 그 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출력신호 B1의 중심 주파수 f1은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의 주파수 특성에서 차단 영역에 있다. 그러므로,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는 송신 출력신호 B2에 대해서 정합을 이루며, 송신 출력신호 B1을 차단한다.
참고번호 52는 고주파 증폭기 31의 제 2 출력단자를 나타낸다. 출력단자 52는 상기한 제 1 출력단자 48과 함께 휴대용 전화의 안테나측 단자에 접속된다. 즉, 출력단자 48과 52는 휴대용 전화의 안테나측 단자에 병렬로 접속된다. 또한,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에 의해 정합이 이루어지는 송신 출력신호 B2는 출력단자52로부터 출력된다.
본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 31은 상술한 구성을 갖는다. 고주파 증폭기 31에 있어서, 송신 입력신호 A1이 상기한 송신신호 발생 회로로부터 출력될 때,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34는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하여 정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력 증폭회로 37은 송신 입력신호 A1을 증폭하며, 송신 출력신호 B1을 출력한다. 또한,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는 송신 출력신호 B1에 대해서 정합을 효과적으로 이루며, 송신 출력신호 B1을 출력단자 48을 통해 휴대용 전화의 안테나측 단자에서 출력한다. 부수적으로, 전력 증폭회로 37로부터 출력된 송신 출력신호 B1은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에 의해 차단된다. 이로 인하여, 송신 출력신호 B1은 출력단자 52를 통해 흐르지 않는다.
한편, 송신 입력신호 A2가 상기한 송신신호 발생회로로부터 출력될 때,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34는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하여 정합을 이룬다. 또한, 전력 증폭회로 37은 송신 입력신호 A2를 증폭하며, 송신 출력신호 B2를 출력한다. 또한,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는 송신 출력신호 B2에 대하여 정합을 효과적으로 이루며, 출력단자 52를 통해 휴대용 전화의 안테나측 단자에서 상기한 송신 출력신호 B2를 출력한다. 부수적으로, 전력 증폭회로 37로부터 출력된 송신 출력신호 B2는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에 의해 차단된다. 이로 인하여, 송신 출력신호 B2는 출력 단자 48을 통해 흐르지 않는다.
이하에서, 상기한 고주파 증폭기 31이 각 송신 출력신호 B1, B2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는 것을 설명한다.
즉, 송신 출력신호 B1, B2는 주파수가 서로 다르다. 각 송신 출력신호 B1, B2에 대해서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전력 증폭회로 37의 출력측 단자에서, 송신 출력신호 B1에 대한 반사계수와 송신 출력신호 B2에 대한 반사계수를 전력 증폭회로 37의 출력 특성, 바이어스 조건 및 이득을 고려하여, 최적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로 인하여,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에서, 송신 출력신호 B1에 대하여 최적의 반사계수를 얻도록,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를 구성하는 코일 45, 커패시터 46에 대한 각 매개 변수를 설정한다. 또한,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에서, 송신 출력신호 B2에 대한 최적의 반사계수를 얻도록,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를 구성하는 커패시터 50, 코일 51에 대한 각 매개 변수를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각 송신 출력신호 B1, B2에 대하여, 최대의 이득을 얻도록 정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 31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역의 주파수 대역을 차단하는 주파수 특성을 갖은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와, 저역의 주파수 대역을 차단하는 주파수 특성을 갖은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를 병렬로 접속한다. 이로 인하여,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는 송신 출력신호 B1에 대해서는 정합을 이루지만, 송신 출력신호 B2는 차단한다. 다시 말해,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는 송신 출력신호 B2에 대해서는 정합을 이루지만, 송신 출력신호 B1은 차단한다.
그 결과, 전력 증폭회로 37을 구성하는 FET 38의 드레인 단자로부터 부하측을 관찰할 때(즉, 출력단자 48, 52를 대면시킬 때), 송신 출력신호 B1에 대한 반사계수는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의 회로 특성에는 약간의 영향을 받지만,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의 회로 특성에는 지배적인 영향을 받는다. 다시 말해, 송신 출력신호 B2에 대한 반사계수는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의 회로 특성에는 약간의 영향을 받지만,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의 회로 특성에는 지배적인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송신 출력신호 B1에 대해서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에 설치된 코일 45와 커패시터 46에 대한 각 매개 변수를 변경하며, 송신 출력신호 B1에 대한 반사계수를 조정하더라도,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에 의해 설정된 송신 출력신호 B2에 대한 반사계수는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또한, 이와 동일한 양상으로, 송신 출력신호 B2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여,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에 설치된 커패시터 50, 코일 51에 대한 각 매개 변수를 변경하며, 송신 출력신호 B2에 대한 반사계수를 조정하더라도,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에 의해 설정된 송신 출력신호 B1에 대한 반사계수는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구현예의 경우에, 고주파 증폭기 31의 출력측에서,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와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를 병렬로 접속시킨 결과, 주파수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송신신호는 최적의 특성을 갖는 회로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주파 증폭기 31를 공용형 휴대 전화에 한 개 설치함으로써, 주파수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고주파 증폭기(도 11 참조)에 두 개의 고주파 증폭기 21, 22 및 각 절환 스위치 23, 23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 결과, 고주파 증폭기 31을 설치한 휴대용 전화의 소형화, 경량화 및 비용절감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출력 정합회로 44, 49로서, 저역통과형 정합회로 및 고역통과형 정합회로를 조합하여 사용한다. 이것에 의해,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 및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는 서로 독립적이다. 그러므로, 송신 출력신호 B1에 대한 반사계수의 설정과, 송신 출력신호 B2에 대한 반사계수의 설정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출력 정합회로 44, 49 각각의 설계 및 조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제 2 구현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를 공용형의 휴대 전화의 송신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 증폭기에 적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 61의 특징은 중심 주파수가 f1(즉, 902.5MHz)인송신 출력신호 B1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는 제 1 출력 정합회로로서, 저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로 구성된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62를 사용하며, 중심 주파수가 f2(즉, 1440MHz)인 송신 출력신호 B2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는 제 2 출력 정합회로로서, 저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로 구성된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63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즉,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62는 상술한 제 1 구현예의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와 유사하게, 코일 64와 커패시터 65를 서로 L자형 구성으로 접속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하여,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62는 저역통과 필터와 유사한 회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62에서는, 송신 출력신호 B1의 중심 주파수 f1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코일 64의 인덕턴스와 커패시터 65의 용량 등의 각 매개 변수가 설정된다. 또한,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62의 출력측에, 바이패스 전류를 제거하는 결합 커패시터 66을 설치한다.
또한,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63은 상술한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62와 유사하게, 코일 67과 커패시터 68을 서로 L자형 구성으로 접속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하여,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63은 저역통과 필터와 유사한 회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63에서는, 송신 출력신호 B2의 중심 주파수 f2에 대해서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코일 67의 인덕턴스와 커패시터 68의 용량 등의 각 매개 변수가 설정된다. 또한,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63의 출력측에, 바이패스 전류를 제거하는 결합 커패시터 69를 설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 61은 제 1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 31과 거의 동일한 이점과 효과가 있다. 부수적으로, 출력 정합회로 62, 63 둘다가 저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이기 때문에, 출력 정합회로 62의 회로 특성과 출력 정합회로 63의 회로 특성은 서로 의존한다. 따라서, 출력 정합회로 62의 코일 64와 커패시터 65의 각 매개 변수와, 출력 정합회로 63의 코일 67과 커패시터 68의 각 매개 변수는 송신 출력신호 B1에 대한 정합과 송신 출력신호 B2에 대한 정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조정되어 설정된다.
(제 3 구현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를 공용형의 휴대 전화의 송신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 증폭기에 적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구현예의 특징은, 고주파 증폭기의 입력측에 설치된 입력 정합회로는 저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와 고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를 병렬로 접속하여 구성된다는 것이다. 부수적으로, 상술한 제 1 구현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며,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서, 참고번호 71은 본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를 나타낸다. 참고번호 72는 고주파 증폭기 71의 제 1 입력단자를 나타낸다. 입력단자 72는 공용형 휴대 전화의 송신신호 발생회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또한, 입력 단자 72에는, 중심 주파수가 f1(즉, 902.5MHz)인 송신 입력신호 A1과, 중심 주파수가 f2(즉, 1440MHz)인 송신 입력신호 A2가 입력된다.
참고번호 74는 결합 커패시터 73을 통해 입력단자 72에 접속되는 저역통과 필터형의 입력 정합회로(이하에서,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4"라고 한다)를 나타낸다.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4는, 입력단자 72측으로부터 FET 38의 게이트 단자까지 연장된 신호선의 중간 지점에 설치되어 유도소자로서 작용하는 코일 75와, 신호선과 접지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용량소자로서 작용하는 커패시터 76으로 구성된다. 즉,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4는 코일 75와 커패시터 76을 L자형 구성으로 접속시켜, 저역통과 필터(LPF)와 유사한 회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4에서, 송신 입력신호 A1의 중심 주파수 f1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코일 75의 인덕턴스와 커패시터 76의 용량 등의 매개 변수가 설정된다. 즉, 송신 입력신호 A1의 중심 주파수 f1에 대한 반사계수를 최적화하여, 입력 귀환 감쇠량이 최소가 되도록, 코일 75와 커패시터 76에 대한 각 매개 변수를 설정한다.
또한,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4는 제 1 구현예에서 상술된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와 거의 동일하며, 송신 입력신호 A1의 중심 주파수 f1(즉, 902.5MHz)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코일 75와 커패시터 76에 대한 각 매개 변수를 설정한다. 그것에 의해,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4는 송신 입력신호 A1의 중심 주파수 f1보다 주파수가 높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차단하는 특성이 있다(도 2의 특성선 α1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 입력신호 A1의 중심 주파수 f1은 예를 들어, 902.5MHz이며, 송신 출력신호 A2의 중심 주파수 f2는 예를 들어, 1440MHz이므로, 송신 입력신호 A2의 중심 주파수 f2는 송신 입력신호 A1의 중심 주파수 f1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송신 출력신호 A2의 중심 주파수 f2는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4의 주파수 특성에서 차단 영역에 있다. 그러므로,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4는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며, 송신 입력신호 A2를 차단한다.
참고번호 77은 고주파 증폭기 71의 제 2 입력단자를 나타낸다. 이 입력단자 77은 입력단자 72와 함께 공용형의 휴대 전화의 송신신호 발생회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즉, 상기한 입력단자 72와 입력단자 77은 공용형의 휴대 전화의 송신신호 발생회로와 병렬로 접속된다. 또한, 입력단자 77에 송신 입력신호 A1, A2가 입력된다.
참고번호 78은 입력단자 77에 접속되며,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는 고역통과 필터형의 입력 정합회로(이하에서,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8"이라 한다)를 나타낸다.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8은 입력단자 77측으로부터 FET 38까지 연장된 신호선의 중간 지점에 설치되어 용량소자로서 작용하는 커패시터 79와, 신호선과 접지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도소자로서 작용하는 코일 80으로 구성된다. 즉,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8은 커패시터 79와 코일 80을 L자형 구성으로 접속시켜, 고역통과 필터(HPF)와 유사한 회로 구성을 갖는다.
또한,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8에서, 송신 입력신호 A2의 중심 주파수 f2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커패시터 79의 용량과 코일 80의 인덕턴스 등의 각 매개 변수가 설정된다.
또한,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8은 제 1 실시예에서 상술된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와 거의 동일하며, 송신 입력신호 A2의 중심 주파수 f2(즉, 1440MHz)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커패시터 79와 코일 80에 대한 각 매개 변수를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8은 송신 입력신호 A2의 중심 주파수 f2보다 주파수가 낮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차단하는 특성이 있다(도 2의 특성선 또는 곡선 α2 참조). 그 결과, 송신 입력신호 A1의 중심 주파수 f1은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8의 주파수 특성에서 차단 영역에 있다. 그러므로,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8은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며, 송신 입력신호 A1을 차단한다.
본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 71은 상술한 구성을 갖는다. 고주파 증폭기 71에 있어서, 송신 입력신호 A1이 상기한 송신신호 발생 회로로부터 입력단자 72에까지 출력될 때,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4는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하여 정합을 효과적으로 이룬다. 이 때에, 송신 입력신호 A1은 입력단자 77에 출력된다. 송신 입력신호 A1은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8에 의해 차단된다. 그러므로, 송신 입력신호 A1은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8을 통해 전력 증폭회로 37측으로 흐르지 않는다. 또한, 전력 증폭회로 37은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4에 의해 정합이 이루어지는 송신 입력신호 A1을 증폭하며, 송신 출력신호 B1을 출력한다. 또한,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는 송신 출력신호 B1에 대해서 정합을 효과적으로 이룬다. 출력단자 48을 통해 휴대용 전화의 안테나측 단자에서 송신 출력신호 B1을 출력한다. 부수적으로, 전력 증폭회로 37로부터 출력된 송신 출력신호 B1은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에 의해 차단된다. 이로 인하여, 송신 출력신호 B1은 출력단자 52를 통해 흐르지 않는다.
한편, 송신 입력신호 A2가 상기한 송신신호 발생회로로부터 입력단자 77에서 출력될 때,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8은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하여 정합을 이룬다. 이 때에, 송신 입력신호 A2는 입력단자 72에서 출력된다. 이 송신 입력신호 A2는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4에 의해 차단된다. 그러므로, 송신 입력신호 A2는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4를 통해 전력 증폭회로 37측으로 흐르지 않는다.또한, 전력 증폭회로 37은 송신 입력신호 A2를 증폭하며, 송신 출력신호 B2를 출력한다. 또한,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는 송신 출력신호 B2에 대하여 정합을 효과적으로 이루며, 출력단자 52를 통해 휴대용 전화의 안테나측 단자에서 상기한 송신 출력신호 B2를 출력한다. 부수적으로, 전력 증폭회로 37로부터 출력된 송신 출력신호 B2는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에 의해 차단된다. 이로 인하여, 송신 출력신호 B2는 출력 단자 48을 통해 흐르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구현예의 특징적인 구성요소인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4와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8에 의해, 송신 입력신호 A1, A2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정합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송신 입력신호 A1과 A2는 주파수가 서로 다르다. 각 송신 입력신호 A1, A2에 대해서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전력 증폭회로 37의 입력측 단자에서,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한 반사계수와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한 반사계수를 입력 귀환 감쇠량이 최소가 되도록 각각 최적의 값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하여,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4에서,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하여 최적의 반사계수를 얻도록,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4를 구성하는 코일 75와 커패시터 76에 대한 각 매개 변수를 설정한다. 또한,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8에서,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한 최적의 반사계수를 얻도록,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8를 구성하는 커패시터 79와 코일 80에 대한 각 매개 변수를 설정한다.
그 결과, 각 송신 입력신호 A1, A2에 대하여, 입력 귀환 감쇠량이 최소화된 정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구현예의 경우에는, 고역의 주파수 대역을 차단하는 주파수 특성을 갖은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4와, 저역의 주파수 대역을 차단하는 주파수 특성을 갖은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8를 병렬로 접속한다. 이로 인하여,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4는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해서는 정합을 이루지만, 송신 입력신호 A2는 차단한다. 다시 말해,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78은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해서는 정합을 이루지만, 송신 입력신호 A1은 차단한다.
그 결과, 전력 증폭회로 37의 입력측에서,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한 반사계수는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8의 회로 특성에는 약간의 영향을 받지만,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44의 회로 특성에는 지배적인 영향을 받는다. 다시 말해,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한 반사계수는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74의 회로 특성에는 약간의 영향을 받지만,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8의 회로 특성에는 지배적인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해서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4에 설치된 코일 75와 커패시터 76에 대한 각 매개 변수를 변경하며,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한 반사계수를 조정하더라도,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8에 의해 설정된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한 반사계수는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또한, 이와 동일한 양상으로,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해서 정합을 이루기 위해여,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8에 설치된 커패시터 79와 코일 80에 대한 각 매개 변수를 변경하며,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한 반사계수를 조정하더라도,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4에 의해 설정된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한 반사계수는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본 구현예에 있어서, 고주파 증폭기 71의 입력측에서는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4와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8를 병렬로 접속시키며, 고주파 증폭기 71의 출력측에서는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와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를 병렬로 접속시켜 구성한다. 그 결과, 주파수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송신신호는 최적의 특성을 갖은 회로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즉, 고주파 증폭기 71의 입력측에서, 각 송신 입력신호 A1, A2에 대해서 입력 귀환 감쇠량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고주파 증폭기 71의 출력측에서, 각 송신 출력신호 B1, B2에 대해서 증폭의 이득을 최대화 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 71도 제 1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 31의 경우와 유사하게, 고주파 증폭기 71을 설치한 휴대용 전화의 소형화, 경량화 및 비용절감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입력 정합회로 74, 78로서, 저역통과형의 정합회로와 고역통과형의 정합회로를 조합하여 사용한다. 이것에 의해,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4와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78은 서로 독립적이다. 그 결과,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한 반사계수의 설정과,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한 반사계수의 설정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정합회로 74, 79 각각의 설계 및 조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4에 의해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해서 정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송신 입력신호 A2는 차단된다. 또한,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8에 의해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해서 정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송신 입력신호 A1은 차단된다. 따라서, 고주파 증폭기 71의 입력측에서, 송신 입력신호 A1과 A2의 사이에서의 선택용 절환 스위치 등이 필요없게 된다.
(제 4 구현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를 공용형의 휴대 전화의 송신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 증폭기에 적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구현예의 특징은, 고주파 증폭기의 입력측에 설치된 입력 정합회로가 고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와 저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를 직렬로 접속시켜 구성된다는 것이다. 부수적으로, 본 구현예에서는 상술한 제 1 구현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고부호로 나타내며,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서, 참고번호 81은 본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를 나타낸다. 참고번호 82는 고주파 증폭기 81의 입력단자를 나타낸다. 입력단자 82는 공용형의 휴대 전화의 송신신호 발생회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또한, 입력단자 82에는, 중심 주파수가 f1(즉, 902.5MHz)인 송신 입력신호 A1과 중심 주파수가 f2(즉, 1440MHz)인 송신 입력신호 A2가 입력된다.
참고번호 83은 입력단자 82에 접속된 고역통과 필터형의 입력 정합회로(이하에서,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3"이라 한다)를 나타낸다.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3은 입력단자 82측으로부터 FET 38까지 연장된 신호선의 중간 지점에 설치되어 용량소자로서 작용하는 커패시터 84와, 신호선과 접지와의 사이에 설치되어유도소자로서 작용하는 코일 85로 구성된다. 즉,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3은 커패시터 84와 코일 85를 L자형 구성으로 접속시켜, 고역통과 필터(HPF)와 유사한 회로 구성을 갖는다.
또한,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3에서, 송신 입력신호 A1의 중심 주파수 f1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커패시터 84의 용량과 코일 85의 인덕턴스 등의 각 매개 변수가 설정된다.
또한,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3은 도 6에서 특성선 β1으로 나타낸 주파수 특성을 갖는다. 즉, 송신 입력신호 A1의 중심 주파수 f1(즉, 902.5MHz)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커패시터 84와 코일 85에 대한 각 매개 변수가 설정된다. 이에 의하여,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3는 송신 입력신호 A1의 중심 주파수 f1보다 주파수가 높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특성이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 입력신호 A1의 중심 주파수 f1이, 예를 들어, 902.5MHz이며, 송신 입력신호 A2의 중심 주파수 f2가, 예를 들어, 1440MHz이므로, 송신 입력신호 A2의 중심 주파수 f2는 송신 입력신호 A1의 중심주파수 f1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입력신호 A2의 중심 주파수 f2는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3의 주파수 특성에서 통과 영역에 있다. 그러므로,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3은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해서 정합을 이루며, 송신 입력신호 A2를 통과시킨다.
참고번호 86은 상술한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3의 출력측에 직렬로 접속되며, 송신 입력신호 A2의 중심 주파수 f2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는 저역통과 필터형의 입력 정합회로(이하에서,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이라 한다)를 나타낸다. 이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은 입력단자 82측으로부터 FET 38의 게이트 단자측까지 연장하는 신호선의 중간 지점에 설치되어 유도소자로 작용하는 코일 87과, 상기한 신호선과 접지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용량소자로 작용하는 커패시터 88로 구성된다. 즉,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은 코일 87과 커패시터 88을 L자형 구성으로 접속시켜, 저역통과 필터와 유사한 회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은 송신 입력신호 A2의 중심 주파수 f2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코일 87의 인덕턴스와 커패시터 88의 용량에 대한 각 매개 변수가 설정된다.
또한,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은 도 6의 특성선 β2로 나타낸 주파수 특성을 갖는다. 즉, 송신 입력신호 A2의 중심 주파수 f2(즉, 1440㎒)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코일 87, 커패시터 88에 대한 매개 변수를 설정한다. 그러므로,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은 송신 입력신호 A2의 중심 주파수 f2보다 주파수가 낮은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특성이 있다. 그 결과, 송신 입력신호 A1의 중심 주파수 f1이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의 주파수 특성에서 통과영역 내에있다. 그러므로,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은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며, 송신 입력신호 A1을 통과시킨다.
본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 81은 상술한 구성을 갖는다. 이 고주파 증폭기 81에 있어서, 송신 입력신호 A1은 송신신호 발생회호로부터 입력단자 82에 출력되며,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3은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하여 정합을 효과적으로이룬다. 또한, 전력 증폭회로 37은 송신 입력신호 A1을 증폭하며, 송신 출력신호 B1을 출력한다. 또한,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가 송신 출력신호 B1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정합을 이루며, 송신 출력신호 B1을 출력단자 48을 통해 휴대 전화의 안테나측 단자에 출력한다.
한편, 송신 입력신호 A2를 상기한 송신신호 발생회로부터 입력단자 82에서 출력할 때,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은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하여 정합을 이룬다. 또한, 전력 증폭회로 37은 송신 입력신호 A2를 증폭하며, 송신 출력신호 B2를 출력한다. 또한,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는 송신 출력신호 B2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며, 상기한 송신 출력신호 B2를 출력단자 52를 통해 휴대 전화의 안테나측 단자에서 출력한다.
이하에서, 고주파 증폭기 81의 입력 정합회로 83, 86이 각 송신 입력신호 A1, A2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정합을 설명한다.
송신 입력신호 A1과 A2는 주파수가 서로 다르다. 각 송신 입력신호 A1, A2에 대하여 입력 귀환 감쇠량을 최소화시키는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전력 증폭회로 37의 입력측 단자에서,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한 반사계수와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한 반사계수를 최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3에 있어서,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하여 최적의 반사계수를 얻도록,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3을 구성하는 커패시터 84, 코일 85에 대한 각 매개 변수를 설정한다. 또한,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에 있어서,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하여 최적의 반사계수를 얻도록, 저역통과형 입력정합회로 86을 구성하는 코일 87, 커패시터 88에 대한 각 매개 변수를 설정한다. 그러므로, 송신 입력신호 A1, A2 각각에 대하여 입력 귀환 감쇠량을 최소화시키는 정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 8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역의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는 주파수 특성을 지닌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3과, 저역의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는 주파수 특성을 지닌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을 직렬로 접속시켜 구성한다. 그러므로,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3은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며, 송신 입력신호 A2를 통과시킨다. 또한,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은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며, 송신 입력신호 A1를 통과시킨다. 따라서,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3의 회로특성과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의 회로특성은 서로 의존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3에 설치된 커패시터 84와 코일 85에 대한 각 매개 변수를 변경하며,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한 반사계수를 조정하더라도,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에 의해 설정된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한 반사계수는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경우와 유사하게,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에 설치된 코일 87과 커패시터 88에 대한 각 매개 변수를 변경하며,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한 반사계수를 조정하더라도,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3에 의해 설정된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한 반사계수는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도 7은 고주파 증폭기 81의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에 설치된 커패시터 88의 용량값을 변화시킬 때, 고주파 증폭기 81의 입력 귀환 감쇠량 특성이 변화하는 양태를 도시한다. 즉, 도 7의 특성선 γ1은 상기한 커패시터 88의 용량값을 변화시키기 전의 고주파 증폭기 81의 입력 귀환 감쇠량 특성을 나타내며, 특성선 γ2는 상기한 커패시터 88의 용량값을 변화시킨 후의 고주파 증폭기 81의 입력 귀환 감쇠량 특성을 나타낸다. 도면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에 설치된 커패시터 88의 용량값을 변화시킨 결과, 송신 입력신호 A2의 중심 주파수 f2 부근의 입력 귀환 감쇠량 특성이 화살표 R로 표현되어 변화한다. 그러나, 송신 입력신호 A1의 중심 주파수 f1 부근의 입력 귀환 감쇠량 특성은 변화하지 않는다. 즉, 도 7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3의 회로 특성은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의 회로특성에 대하여 독립성을 갖는다.
따라서,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83과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은 서로 의존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한 반사계수의 설정은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한 반사계수의 설정과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각 입력 정합회로 83, 86의 설계와 조정이 보다 더 용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구현예에서는 고주파 증폭기 81의 입력측에서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83과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을 직렬로 접속시키며, 고주파 증폭기 81의 출력측에서 저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4와 고역통과형 출력 정합회로 49를 병렬로 접속시켜 구성함으로써, 주파수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송신신호가 최적의 특성을 갖은 회로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 81을 공용형 휴대 전화에 1개만 설치하여도 주파수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송신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고주파 증폭기(도 12 참조)에 설치되었던 2개의 고주파 증폭기 21, 22, 각 절환 스위치 23, 23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 결과, 고주파 증폭기 81을 설치한 휴대용 전화기의 소형화, 경량화 및 가격 절감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입력 정합회로 83, 86으로, 고역통과형의 입력 정합회로와 저역통과형의 입력 정합회로를 조합하여 사용한다. 그 결과,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3과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은 서로 독립적이다. 따라서,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한 반사계수의 설정은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한 반사계수의 설정과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각 입력 정합회로 83, 86의 설계와 조정이 한층 더 용이해 질 수 있다.
(제 5 구현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를 공용형의 휴대 전화의 송신 신호를 증폭시키는 고주파 증폭기에 적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주파 증폭기 91의 특징은 중심 주파수가 f1(즉, 902.5㎒)인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는 제 1 입력 정합회로로, 저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로 구성되는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92를 사용하며, 중심 주파수가 f2 (즉, 1440㎒)인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는 제 2 입력 정합회로로, 저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로 구성되는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93을 사용한다.
즉,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92는 상술한 제 1 구현예의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의 경우와 유사하게, 코일 94와 커패시터 95를 서로 L자형 구성으로 접속시켜, 저역통과 필터와 유사한 회로구성을 갖는다. 또한,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92에서, 송신 입력신호 A1의 중심 주파수 f1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코일 94의 인덕턴스와 커패시터 95의 용량 등의 각 매개 변수가 설정된다.
또한,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93은 상술한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92의 경우와 유사하게, 코일 96과 커패시터 97을 서로 L자형 구성으로 접속시켜, 저역통과 필터와 유사한 회로구성을 갖는다. 또한,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93에서, 송신 입력신호 A2의 중심 주파수 f2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코일 96의 인덕턴스와 커패시터 97의 용량 등의 각 매개 변수가 설정된다.
부수적으로, 입력단자 82와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92와의 사이에는, 결합 커패시터 98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 91은 상술한 제 4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 81과 거의 동일한 이점과 효과가 있다. 부수적으로, 본 구현예에서의 두 개의 입력 정합회로 92, 93이 저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이기 때문에, 입력 정합회로 92와 입력 정합회로 93은 서로 의존한다. 따라서, 입력 정합회로 92에 설치된 코일 94와 커패시터 95의 각 매개 변수와 입력 정합회로 93에 설치된 코일 96과 커패시터 97의 각 매개 변수는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한 정합과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한 정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조정되어 설정된다.
(제 6 구현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6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를 공용형의 휴대 전화기의 송신 신호를 증폭시키는 고주파 증폭기에 적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주파 증폭기 101의 특징은 중심 주파수가 f1(즉, 902.5㎒)인 송신 입력신호 A1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는 제 1 입력 정합회로로, 고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로 구성되는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102를 사용하며, 중심 주파수가 f2(즉, 1440㎒)인 송신 입력신호 A2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는 제 2 입력 정합회로로, 고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로 구성되는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103을 사용한다.
즉,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102는 상술한 제 3 구현예의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78의 경우와 유사하게, 커패시터 104와 코일 105를 서로 L자형 구성으로 접속시켜, 고역통과 필터와 유사한 회로구성을 갖는다. 또한, 이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102는 송신 입력신호 A1의 중심 주파수 f1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커패시터 104의 용량과 코일 105의 인덕턴스 등의 각 매개 변수가 설정된다.
또한,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103은 상술한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102의 경우와 유사하게, 커패시터 106와 코일 107을 서로 L자형 구성으로 접속시켜, 고역통과 필터와 유사한 회로구성을 갖는다. 또한, 이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103은 송신 입력신호 A2의 중심 주파수 f2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커패시터 106의 용량과 코일 107의 인덕턴스 등의 각 매개 변수가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 6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 101은 상술한 제 5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 91과 거의 동일한 이점과 효과가 있다.
부수적으로, 상술한 제 1 또는 제 2 구현예의 경우에는 고주파 증폭기 31(61)의 입력 정합회로 34를 저역통과 필터형의 입력 정합회로로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고주파 증폭기 31(61)의 입력 정합회로를 고역통과 필터형의 입력 정합회로로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2 구현예의 경우에는 고주파 증폭기 61의 출력 정합회로 62, 63를 저역통과 필터형의 입력 정합회로로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고주파 증폭기 61의 각 출력 정합회로를 고역통과 필터형의 입력 정합회로로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4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 81의 경우에는 입력단자 82에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3을 접속하며,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3의 출력측(단자)에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을 접속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3과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을 서로 교체하여 고주파 증폭기에 접속시켜도, 제 4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와 실질적인 차이는 없다. 즉, 입력단자 82에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을 접속하며, 저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6의 출력측에 고역통과형 입력 정합회로 83을 접속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제까지, 상기한 각 구현예에서, 고주파 증폭기 31, 61, 71, 81, 91 101을 공용형 휴대 전화에 설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것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고주파 증폭기는 주파수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 증폭기에도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현예에서, 고주파 증폭기 31, 61, 71, 81, 91, 101을 전력 증폭기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고주파 증폭기를 소신호 증폭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고주파 증폭기의 경우에는, 증폭회로의 출력측(단자)에 제 1 및 제 2 출력 정합회로를 병렬로 접속시켜 구성된다. 그러므로, 증폭 회로로부터 출력되며 주파수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각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한 증폭 인자를 최대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단일 고주파 증폭기에 의해 주파수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고주파 출력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고주파 증폭기는 주파수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고주파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해 종래의 증폭기에 필요했던 절환 스위치와 구성이 유사한 두 개의 증폭 회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고주파 증폭기가 설치된 기구의 소형화, 경량화 및 가격 절감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고주파 증폭기의 경우에는, 증폭회로의 입력측에 제 1 및 제 2 입력 정합회로를 병렬로 접속하며, 증폭회로의 출력측에 제 1 및 제 2 출력 정합회로를 병렬로 접속시켜 구성된다. 따라서, 증폭회로의 입력측에서, 주파수가 서로 두 종류의 고주파 입력신호 각각에 대하여 정합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각 고주파 신호에 대한 입력 귀환 감쇠량이 최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증폭회로의 출력측에서 증폭회로로부터 출력되며 주파수가 서로 두 종류의 고주파 출력신호 각각에 대하여 정합을 이룰 수 있다. 그러므로, 각 고주파 신호에 대한 증폭 인자가 최대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일 고주파 증폭기에 의해 주파수가 서로 두 종류의 고주파 출력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 1 고주파 증폭기와 유사하게, 고주파 증폭기가 설치된 기구의 소형화, 경량화 및 가격 절감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고주파 증폭기의 경우에는, 상기한 제 1 입력 정합회로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며,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보다 주파수가 높은 제 2 고주파 입력신호를 차단하는 저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한 제 2 입력 정합회로로,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며,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를 차단하는 고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를 사용한다. 따라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제 1 입력 정합회로를 구성하는 회로소자에 대한 매개 변수들을 변경하더라도, 이것은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정합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또한,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제 2 입력 정합회로를 구성하는 회로소자에 대한 매개 변수들을 변경하더라도, 이것은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정합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제 1 입력 정합회로의 설계와 조정은 제 2 입력 정합회로와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각 입력 정합회로의 설계와 조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고주파 증폭기의 경우에는, 증폭회로의 입력측에 제 1및 제 2 입력 정합회로를 직렬로 접속하며, 증폭회로의 출력측에 제 1 및 제 2 출력 정합회로를 병렬로 접속시켜 구성한다. 따라서, 증폭회로의 입력측에서, 주파수가 서로 두 종류의 고주파 입력신호 각각에 대하여 정합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각 고주파 신호에 대한 입력 귀환 감쇠량이 최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증폭회로의 출력측에서, 증폭회로로부터 출력되며 주파수가 서로 두 종류의 고주파 출력신호 각각에 대하여 정합을 이룰 수 있다. 그러므로, 각 고주파 신호에 대한 증폭 인자가 최대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일 고주파 증폭기에 의해 주파수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고주파 출력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 1 고주파 증폭기와 유사하게, 고주파 증폭기가 설치된 기구의 소형화, 경량화 및 가격 절감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고주파 증폭기의 경우에는, 상기한 제 1 입력 정합회로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며,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보다 주파수가 높은 제 2 고주파 입력신호를 통과시키는 고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한 제 2 입력 정합회로로,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며,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를 통과시키는 저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를 사용한다. 따라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제 1 입력 정합회로를 구성하는 회로소자에 대한 매개 변수들을 변경하더라도, 이것은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정합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또한,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제 2 입력 정합회로를 구성하는 회로소자에 대한 매개 변수들을 변경하더라도, 이것은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정합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제 1 입력 정합회로의 설계와 조정은 제 2 입력 정합회로와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각 입력 정합회로의 설계와 조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고주파 증폭기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 6 구현예의 고주파 증폭기에서는, 상기한 제 1 입력 정합회로가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며,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보다 주파수가 낮은 제 2 고주파 입력신호를 통과시키는 저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이며, 상기한 제 2 입력 정합회로가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며,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를 통과시키는 고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이다. 본 발명의 제 5 고주파 증폭기와 유사한 이점과 효과를 얻게 된다.
본 발명의 제 7 고주파 증폭기의 경우에는, 상기한 제 1 출력 정합회로로, 제 1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며, 상기한 제 1 고주파 출력신호보다 주파수가 높은 제 2 고주파 출력신호를 차단하는 저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한 제 2 출력 정합회로로, 제 2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며, 제 1 고주파 출력신호를 차단하는 고역통과 필터형의 정합회로를 사용한다. 따라서, 제 1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제 1 출력 정합회로를 구성하는 회로소자에 대한 매개 변수들을 변경하더라도, 이것은 제 2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정합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또한, 제 2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 제 2 출력 정합회로를 구성하는 회로소자에 대한 매개 변수들을 변경하더라도, 이것은 제 1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정합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제 1 출력 정합회로의 설계와 조정은 제 2 출력 정합회로와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각 출력 정합회로의 설계와 조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을 본 발명의 특정한 구현예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되는 다른 다양한 변화, 변형 및 용도 등이 본 기술 분야의 전문가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20)

  1. 제 1 고주파 입력신호(high-frequency input signal)와,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와 주파수가 서로 다른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도록 작동하는 입력 정합회로(input matching circuit);
    상기한 입력 정합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를 증폭시켜 제 1 고주파 출력신호를 출력하며, 상기한 제 2 고주파 입력신호를 증폭시켜 제 2 고주파 출력신호를 출력하도록 작동하는 증폭회로(amplification circuit);
    상기한 증폭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상기한 제 1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도록 작동하는 제 1 출력 정합회로; 및
    상기한 증폭회로의 출력측에, 상기한 제 1 출력 정합회로와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한 제 2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도록 작동하는 제 2 출력 정합회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증폭기(high-frequency amplifier).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입력 정합회로는 저역통과 필터(low-pass filter)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증폭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출력 정합회로는 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한 제 2 출력 정합회로는 고역통과 필터(high-pass filter)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증폭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한 입력 정합회로는 저역통과 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증폭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및 제 2 출력 정합회로는 각각 저역통과 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증폭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한 입력 정합회로는 저역통과 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증폭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출력 정합회로는 각각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각 필터는 중복 통과범위(overlapping pass ranges)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증폭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출력 정합회로는 각각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각 필터는 비중복성 통과범위(non-overlapping pass ranges)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증폭기.
  9.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도록 작동하는 제 1 입력 정합회로;
    상기한 제 1 입력 정합회로에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와 주파수가 서로 다른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도록 작동하는 제 2 입력 정합회로;
    상기한 각 입력 정합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를 증폭시켜 제 1 고주파 출력신호를 출력하며, 상기한 제 2 고주파 입력신호를 증폭시켜 제 2 고주파 출력신호를 출력하도록 작동하는 증폭회로;
    상기한 증폭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상기한 제 1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도록 작동하는 제 1 출력 정합회로; 및
    상기한 증폭회로의 출력측에, 상기한 제 1 출력 정합회로와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한 제 2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도록 작동하는 제 2 출력 정합회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증폭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입력 정합회로는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보다 주파수가 높은 상기한 제 2 고주파 입력신호를 차단하는 저역통과 필터 정합회로(low-pass filter matching circuit)이며;
    상기한 제 2 입력 정합회로는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를 차단하는 고역통과 필터 정합회로(high-pass filter matching circuit)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증폭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출력 정합회로는 상기한 제 1 고주파 출력신호보다 주파수가 높은 상기한 제 2 고주파 출력신호를 차단하는 저역통과 필터 정합회로이며;
    상기한 제 2 출력 정합회로는 상기한 제 1 고주파 출력신호를 차단하는 고역통과 필터 정합회로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증폭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출력 정합회로는 상기한 제 1 고주파 출력신호보다 주파수가 높은 상기한 제 2 고주파 출력신호를 차단하는 저역통과 필터 정합회로이며;
    상기한 제 2 출력 정합회로는 상기한 제 1 고주파 출력신호를 차단하는 고역통과 필터 정합회로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증폭기.
  13. 제 1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도록 작동하는 제 1 입력 정합회로;
    상기한 제 1 입력 정합회로의 출력측에 직렬로 접속되어, 상기한 제 1고주파 입력신호와 주파수가 서로 다른 제 2 고주파 입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도록 작동하는 제 2 입력 정합회로;
    상기한 제 2 입력 정합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를 증폭시켜 제 1 고주파 출력신호를 출력하며, 상기한 제 2 고주파 입력신호를 증폭시켜 제 2 고주파 출력신호를 출력하도록 작동하는 증폭회로;
    상기한 증폭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상기한 제 1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도록 작동하는 제 1 출력 정합회로; 및
    상기한 증폭회로의 출력측에 상기한 제 1 출력 정합회로와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한 제 2 고주파 출력신호에 대하여 정합을 이루도록 작동하는 제 2 출력 정합회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증폭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입력 정합회로는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보다 주파수가 높은 상기한 제 2 고주파 입력신호를 통과시키는 고역통과 필터 정합회로이며;
    상기한 제 2 입력 정합회로는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를 통과시키는 저역통과 필터 정합회로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증폭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입력 정합회로는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보다 주파수가 낮은 상기한 제 2 고주파 입력신호를 통과시키는 저역통과 필터 정합회로이며;
    상기한 제 2 입력 정합회로는 상기한 제 1 고주파 입력신호를 통과시키는 고역통과 필터 정합회로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증폭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및 제 2 입력 정합회로는 각각 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증폭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필터는 중복 통과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증폭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 필터는 저역통과 필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증폭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 필터는 고역통과 필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증폭기.
  20. 제 13항, 제 14항, 제 15항, 제 18항 및 제 1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출력 정합회로는 상기한 제 1 고주파 출력신호보다 주파수가 높은 상기한 제 2 고주파 출력신호를 차단하는 저역통과 필터 정합회로이며;
    상기한 제 2 출력 정합회로는 상기한 제 1 고주파 출력신호를 차단하는 고역통과 필터 정합회로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증폭기.
KR1019970038031A 1996-08-09 1997-08-09 고주파증폭기 KR1003229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27769 1996-08-09
JP22776996A JP3336868B2 (ja) 1996-08-09 1996-08-09 周波数の異なる複数の信号に整合する高周波増幅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540A KR19980018540A (ko) 1998-06-05
KR100322989B1 true KR100322989B1 (ko) 2002-03-08

Family

ID=16866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031A KR100322989B1 (ko) 1996-08-09 1997-08-09 고주파증폭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54902A (ko)
EP (1) EP0823779A3 (ko)
JP (1) JP3336868B2 (ko)
KR (1) KR1003229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8610B2 (ja) * 1998-04-10 2005-07-06 太陽誘電株式会社 高周波電力増幅回路
JP3695938B2 (ja) * 1998-05-28 2005-09-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緩衝増幅回路
KR100414252B1 (ko) 2000-02-08 2004-01-0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다단 증폭기
WO2001073942A2 (en) * 2000-03-28 2001-10-04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Concurrent multi-band low noise amplifier architecture
US6529081B1 (en) 2000-06-08 2003-03-04 Zeta, Division Of Sierra Tech Inc. Method of operating a solid state power amplifying device
JP2002252526A (ja) * 2001-02-23 2002-09-06 Nec Corp アナログ増幅回路
AU2002231210A1 (en) * 2001-03-14 2002-10-03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Concurrent dual-band receiver architecture
JP2002280911A (ja) * 2001-03-19 2002-09-27 Nec Corp 送信回路及びそれを搭載した通信端末
WO2002103893A1 (en) * 2001-06-19 2002-12-27 Zeta, A Division Of Sierratech, Inc. A method of operating a current-controlled solid state power amplifying device
WO2004034569A2 (en) * 2002-10-08 2004-04-22 M/A-Com, Inc. Apparatu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multiband signal processing
US20040150489A1 (en) * 2003-02-05 2004-08-05 Sirenza Microdevices, Inc On-carrier impedance transform network
US7064611B2 (en) * 2003-04-12 2006-06-20 Chung-Sh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DSS RF amplifier
JP4394498B2 (ja) 2004-03-31 2010-01-06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高周波回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移動体通信端末
JP2006135518A (ja) * 2004-11-04 2006-05-25 Alps Electric Co Ltd 高周波増幅器
JP2006222629A (ja) * 2005-02-09 2006-08-24 Shimada Phys & Chem Ind Co Ltd 増幅装置
DE102008024482B4 (de) * 2008-05-21 2016-10-06 Qualcomm Technologies, Inc. (N.D.Ges.D. Staates Delaware) Schaltungsanordnung zur Impedanzanpassung, elektronisches Bauelement und Mobilfunkgerät
CN102640350B (zh) 2009-02-18 2015-02-04 豪沃基金有限责任公司 超材料功率放大器系统
US8536950B2 (en) * 2009-08-03 2013-09-17 Qualcomm Incorporated Multi-stage impedance matching
JPWO2012098863A1 (ja) * 2011-01-20 2014-06-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高周波電力増幅器
JP6098508B2 (ja) 2011-04-21 2017-03-22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源回路
US8736378B1 (en) * 2011-12-06 2014-05-27 Anadigics, Inc. Reconfigureable output matching network for multi band RF power amplifier
KR101599417B1 (ko) 2014-07-18 2016-03-03 하용간 충격스크린 및 충격 선별 방법
US10003311B1 (en) * 2016-12-21 2018-06-19 Infineon Technologies Ag Compact class-F chip and wire matching topology
US9979361B1 (en) * 2016-12-27 2018-05-22 Nxp Usa, Inc. Input circuits for RF amplifier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JP2019083476A (ja) * 2017-10-31 2019-05-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力増幅回路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04113A (fr) * 1958-10-08 1960-01-22 Optique Electronique L Installation de réception de radiodiffustion et de télévision
DE1163926B (de) * 1960-08-05 1964-02-27 Siemens Ag Empfaengeranschlussschnur fuer erdunsymmetrische Empfangsantennenanlagen
US3768020A (en) * 1970-12-29 1973-10-23 Sansui Electric Co Group delay time correcting circuit including a toulon circuit for use in an intermediate-frequency amplifying circuit
DE2310672A1 (de) * 1973-03-03 1974-09-19 Fte Maximal Fernsehtech Zimmerantenne fuer den vhf- und/oder uhf-fernsehbereich
AT355094B (de) * 1976-06-04 1980-02-11 Siemens Ag Oesterreich Kettenverstaerker fuer den vhf- und uhf-bereich
JPS52153364A (en) * 1976-06-15 1977-12-20 Fujitsu Ltd Microwave amplifier
JPS5894210A (ja) * 1981-11-28 1983-06-04 Mitsubishi Electric Corp 内部整合形高周波トランジスタ
JPS6180920A (ja) * 1984-09-28 1986-04-24 Toshiba Corp チユ−ナ入力整合回路
JPH0767057B2 (ja) * 1987-04-10 1995-07-19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イクロ波電力合成fet増幅器
JPH06103810B2 (ja) * 1989-09-13 1994-12-1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増幅器
JP2835150B2 (ja) * 1990-06-14 1998-12-14 富士通株式会社 マイクロ波帯用増幅器
US5420541A (en) * 1993-06-04 1995-05-30 Raytheon Company Microwave doherty amplifier
DE19518605A1 (de) * 1995-05-23 1996-11-28 Cindatec Ingenieurtechnische D Verstärkeranordnung für angepaßte Leitungen
US5742205A (en) * 1995-07-27 1998-04-21 Scientific-Atlanta, Inc. Field effect transistor cable television line ampl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56340A (ja) 1998-02-24
EP0823779A3 (en) 2000-09-13
KR19980018540A (ko) 1998-06-05
US6054902A (en) 2000-04-25
EP0823779A2 (en) 1998-02-11
JP3336868B2 (ja) 200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2989B1 (ko) 고주파증폭기
US7266360B2 (en) Low noise amplifier for wireless communications
EP0911985B1 (en) Dual band transmitter with switchable matching circuit
US7650163B2 (en) Impedance matching circuit for a multi-band radio frequency device
KR20010053413A (ko) 이동체 전화 장치
US7839217B2 (en) High-frequency amplifier, high-frequency module, and mobile wireless apparatus using the same
US7440729B2 (en) Apparatu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output impedance matching using multi-band signal processing
KR20010106398A (ko) 고주파 전력 증폭기 모듈
KR20050046731A (ko) 고전력 도허티 증폭기 회로 및 고전력 도허티 증폭기 회로패키지
KR20010042499A (ko) 안테나 스위치
US6630899B2 (en) Scheme for maximizing efficiency of power amplifier under power backoff conditions
JPH11274804A (ja) 高周波スイッチ
JP2003198413A (ja) 差動無線通信装置
JP3436850B2 (ja) 周波数の異なる複数の信号に整合する無線通信機用の高周波増幅器
KR20070094206A (ko) 광대역 저잡음 증폭기의 입력 매칭 회로
JP2007180956A (ja) 低雑音増幅器及びその低雑音増幅器を備えるアンテナ装置
KR20040052379A (ko) 증폭기능을 구비한 안테나 스위칭 모듈
US20240022280A1 (en) Radio frequency circuit, radio 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000070991A (ko) 통신 장치 및 방법
JP2005531951A (ja) 移動電話用回路装置
KR20110060735A (ko) 고주파 변압기를 이용한 다중 대역 전력증폭기
CN111988004A (zh) 放大电路、高频前端电路以及通信装置
US1156341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band power amplifiers
US6992545B2 (en) GPS low noise amplifier unit, duplex filter unit and GPS-cellular hand-set
WO2023203858A1 (ja) 高周波回路および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