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809B1 - 스탬프체,스탬프체를구비한스탬프유니트및천공장치 - Google Patents

스탬프체,스탬프체를구비한스탬프유니트및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809B1
KR100321809B1 KR1019950053249A KR19950053249A KR100321809B1 KR 100321809 B1 KR100321809 B1 KR 100321809B1 KR 1019950053249 A KR1019950053249 A KR 1019950053249A KR 19950053249 A KR19950053249 A KR 19950053249A KR 100321809 B1 KR100321809 B1 KR 100321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mp
stamp body
guide hole
hea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3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549A (ko
Inventor
케이지 세오
Original Assignee
시미즈 유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미즈 유,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미즈 유
Publication of KR960021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32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for stenc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36Details

Landscapes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탬프체, 스탬프체를 구비한 스탬프유니트 및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며, 스탬프체(1)의 파지부(2)의 좌측벽(17)에는 스탬프체(1)의 가열천공장치 (50)에의 장착시에, 가열천공장치(50)에 배설되어 있는 가이드바(33)가 삽통하는 가이드공(18)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 좌측벽(17)에는 상기 가이드공(18)을 개폐시키는 프로텍트덮개부(18a)를 배설한다. 프로텍트덮개부(18a)는 수동조작에 의하여 프로텍트덮개부용 홈(17a)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프로텍트덮개부 (18a)가 하위치에 있을 때는 (제 1(a)도), 상기 가이드공(18)은 폐쇄상태로 되고, 스탬프체(1)의 가열천공장치(50)에의 장착이 불가능하고, 프로텍트덮개부(18a)가 상위치에 있을 때는 (제1(b)도). 상기 가이드공(18)은 개구상태로 되어 스탬프체 (1)의 가열천공장치(50)에의 장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스탬프체, 스탬프체를 구비한 스탬프유니트 및 천공장치
본 발명은 스탬프체, 스탬프체를 구비한 스탬프유니트 및 가열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인면부(印面部)를 감열성(感熱性) 공판원지(孔版原紙)로 구성한 스탬프체와, 이 스탬프체의 인면부에 천공(參孔)을 형성하는 가열천공장치를 구비한 스탬프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사명, 주소, 기타 각종의 문자열을 지면(紙面)에 인쇄하기 위한 스탬프로서, 인면부가 고무로 구성된 각종의 스탬프가 사용되고 있다. 이 종류의 스탬프는 통상주문에 따라서 개별로 작성되는 관계상, 고가이고, 또한 주문으로부터 입수까지의 기간이 길어진다.
한편, 종래부터, 적외선의 조사(照射)나 서멀헤드에 의하여 원하는 패턴으로 천공할 수 있고, 그 천공군으로부터 잉크를 투과시킴으로써, 문자열, 도형, 마크 등의 각종의 패턴의 인쇄에 활용가능한 감열성 공판원지가 실용화되어 있다.
본원 출원인은 일본국 실개평5(1993) -74833호 공보에 있어서, 상기 감열성 공판원지와, 잉크를 함침(含浸)시킨 함침체와를 주체로 하는 공판인쇄용 원판으로서, 상기 종래의 인면부를 고무로 구성한 스탬프에 대신하는 스탬프를 작성하는데에 적합한 공판인쇄용 원판을 제안하였다. 이 공판인쇄용 원판은 기본적으로 잉크를 함침시킨 함침체와, 그 함침체의 주위를 에워싸는 프레임체와, 함침체와 프레임체의 한쪽면에 접착된 합성 수지제필름과, 함침체와 프레임체의 다른 쪽에 접착된 감열성 공판원지를 구비한 구성이다. 단, 함침체와 감열성 공판원판과의 사이에, 취출가능한 막상(膜狀)의 세퍼레이터가 장착되는 수도 있다.
상기 공판인쇄용 원판을 스탬프에 적용하는 경우, 파지부의 하면에 쿠션재를 개재하여 공판인쇄용 원판을 접착하고, 그 감열성 공판원지에 적외선 조사나 서멀헤드에 의하여, 원하는 문자열 등의 패턴을 천공한다. 이렇게 하여 파지부와 감열성 공판원판을 가지는 스탬프가 제작된다. 통상의 고무제의 스탬프와 마찬가지로, 상기 원하는 문자열 등의 패턴을 용지에 다수회에 걸쳐 인쇄할 수 있는 스탬프가 얻어진다. 이하, 이 공판인쇄용 원판을 사용한 스탬프를 스탬프체라고 칭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스탬프체는 서멀헤드 및 가이드바를 구비한 가열천공장치에 장착됨으로써, 원하는 문자열 등의 패턴이 감열성 공판원판에 천공된다. 이 때, 스탬프체의 파지부에 형성된 가이드공에, 가열천공장치측에 배설된 가이드바를 삽입시킴으로써, 스탬프체는 가열천공장치에 장착된다.
그런데, 상기 가이드공은 항상 열린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한번 천공한 스탬프체라도 가열천공장치내에 장착시킬 수 있고, 잘못하여 한번 천공한 스탬프체에 재차 천공하여 버릴 우려가 있었다. 또, 2중으로 천공을 행한 경우, 최초의 천공패턴이 사용불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고, 천공부로부터 잉크가 유출하여, 그 잉크로 서멀헤드가 더러워진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스탬프체에의 2중 천공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스탬프체 및 스탬프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스탬프체는, 감열성 공판원지에 천공을 행하고, 스탬프체를 가열천공장치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재를 가지는 가열천공장치에 장착가능한 스탬프체로서, 상기 가열천공장치에 상기 스탬프체를 장착하기 위하여 장착 부재가 삽입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고정되고, 잉크함침체와 감열성 공판원지를 포함하는 공판원판과, 상기 가이드공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스탬프유니트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파지부를 가지는 스탬프체와, 상기 스탬프체에 고정되고, 잉크함침체와 감열성 공판원지를 포함하는 공판원판과, 상기 감열성 공판원지에 천공을 행하는 가열천공장치와, 상기 가열천공장치가 감열성 공판원지에 천공을 행할 수 있는 위치에서 가이드공을 통과하여 상기 스탬프체를 위치결정하는 부재와, 상기 가이드공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스탬프체 및 스탬프유니트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동일한 부분 및 부품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중복 설명을 피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스탬프유니트는 제1도∼제11도에 나타낸 스탬프체(1)와, 제13도∼제25도에 나타낸 가열천공장치(5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별도의 설명이 없으면, 좌, 우, 상, 하, 전, 후 등의 표현은 스탬프유니트를 사용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배치할 때 각 부분의 상대적 위치를 정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최초에, 상기 스탬프체(1)에 대하여, 제1(a)도∼제11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a)도, 제 1(b)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탬프체(1)는 손으로 잡기 위한 파지부(2)와, 이 파지부(2)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스탬프부(3)와, 스탬프부(3)의 외주측을 덮는 스커트부재(6)와, 스탬프부(3)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보호캡(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2)는 상벽(19), 전벽(12), 후벽(13) 및 좌측벽(17)을 가지고,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하단(下端)개방의 직방체형의 중공체(中空體)로 구성되고, 그 정상부에는, 라벨(10)을 부착하기 위한 요부(凹部)(11)가 형성되고, 파지부(2)의 전벽(12)과 후벽(13)의 하단부에는, 각각 하방으로 돌출하는 1쌍의 계합클릭(14)이 배설되어 있다. 또, 파지부(2)의 전벽(12)과 후벽(13)의 하부에는, 가이드홈(15)이 형성되고, 좌측벽(17)에는, 가이드공(18) 및 프로텍트덮개부용 홈(17a)이 형성되고, 파지부(2)의 내부에 있어서 상벽(19)의 하면의 중앙부에는, 스프링지지부(2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프로텍트덮개부용 홈(17a)에는, 상기 가이드공(18)을 개폐시키는 프로텍트덮개부(18a)가 배설되어 있다. 프로텍트덮개부(18a)는 수동조작에 의하여, 프로텍트덮개부용 홈(17a)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프로텍트덮개부(18a)가 하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공(18)은 폐쇄상태로 되고, 상위치에 있을 때, 상기가이드공(18)은 개구상태로 된다.
이어서, 프로텍트덮개부용 홈(17a) 및 프로텍트덮개부(18a)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텍트덮개부용 홈(17a)은 좌측벽(17)에 의하여 에워싸이고, 상기 프로텍트덮개부용 홈(17a)내에는 1쌍의 가이드벽(17b) 및 탄성을 가지는 계합편(17c)를 구비하는 홈판(17e)이 형성되어 있다. 1쌍의 가이드벽(17b)은 가이드공(18)의 양쪽에 평행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공(18)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연재하는 계합편(17c)이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그 계합편(17c)의 선단부(17d)는 외측을 향하여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프로텍트덮개부(18a)의 구성에 대하여 제5(b)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1쌍의 평행벽(l8f)의 사이에는, 프로텍트덮개부용 홈(17a)내에서 프로텍트덮개부 (18a)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프로텍트개폐부재(18a)의 후면에 따라서 연재되는 홈 (18g)이 형성된다. 각 평행벽(18f)의 내측벽에 정합된 내측에지를 가지는 탄성계합편(18b)의 각각은 각 평행벽(18f)에 배설되어 있다. 탄성계합편(18b)은 프로텍트개폐부재(18a)의 하단으로부터 그 중앙부 가까이까지 평행벽(18f)에 평행으로 연재되고, 그 상단에는 각각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8c)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계합편(18b)은 소정의 범위에서 탄성적으로 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하의 철부(凸部)(18d)가 평행벽(18f) 사이의 면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서로 평행으로 형성되어, 프로텍프덮개부(18a)가 프로텍트덮개부용 홈(17a)내에서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그리고, 제6(a)도 및 제6(b)도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텍트덮개부(18a)의 표면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맞추기 쉽게하기 위하여 R형으로 만곡시킨 형상으로 되어있으며, 그 하단부에는 프로텍트덮개부(18a)의 동작시 미끄럼방지용의 철부(18e)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프로텍트덮개부(l8a)를 프로텍트덮개부용 홈(17a)에 장착했을 때의 배면도를 제5(c)도에 나타낸다. 프로텍트덮개부(18a)를 프로텍트덮개부용 홈(17a)에 장착하면, 1쌍의 탄성계합편(18b)이 상기 가이드벽(17b)의 외면을 누르게 된다. 프로텍트개폐부재(18a)에 압력이 더 가해지면, 계합편(l8b)은 서로에 대하여 변형하여, 가이드벽(17b)을 회피하여 원상태로 되어 가이드벽(17b)의 내벽에 계합된다. 이로써, 양 가이드벽(17b)에 있어서, 한쪽은 계합편(18b)과 돌출부(18c)에, 다른 한쪽은 평행벽(18f)과의 사이에 협지됨으로써, 프로텍트덮개부(18a)는 프로텍트덮개부용 홈(17a)내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6(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프로텍트덮개부(18a)의 폐쇄상태에 있어서는, 상부측의 철부(18d)가 프로텍트덮개부용 홈(17a)의 계합편(17c)의 선단부(17d)의 하면에 계합하고, 이로써, 프로텍트덮개부(18a)를 확실하게 가이드공(18) 폐쇄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6(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프로텍트덮개부(18a)의 개구상태에 있어서는 하부측의 철부(18d)가 계합편(17c)의 선단부(17d)의 하측에 계합하고, 이로써, 프로텍트덮개부(18a)를 확실하게 가이드공(18) 개구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텍트덮개부(l8a)의 탄성계합편(18b)이 소정의 범위에서 탄성적으로 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장착시에 프로텍트덮개부(18a)를 프로텍트덮개부용 홈(17a)의 외측으로부터 압압하면, 상기 탄성계합편(18b)은 변형하여 가이드벽(17b)을 일단 회피하여 프로텍트덮개부용 홈(17a)애 들어갈 수 있으므로, 프로텍트덮개부용 홈(17a)에 프로텍트덮개부(18a)를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스탬프부(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탬프부(3)는 스탬프부 본체(4)와, 외주지지부재(5)로 구성되어 있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탬프부 본체(4)는 베이스부재(26), 함침체(27) 및 감열성 공판원지(2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26)는 직방체형이고 중공상(中空狀)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진다. 이 베이스부재(26)의 하면측에 요부 (25)가 형성되고, 또한 유성잉크를 함침시킨 함침체(27) (이것이 잉크체에 상당함)가 이 베이스부재(26)의 요부(25)에 장착된다. 감열성 공판원지(28)는 함침체(27)의 하면과 베이스부재(26)의 외주측을 덮는 접착제(29)로 베이스부재(26)의 외주면에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함침체(27)는 접착제 등에 의하여 베이스부재(26)의 요부(25)에 접착해도 된다.
상기 베이스부재(26)는 유성잉크에 접촉하는 관계상 내유성(耐油性)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료 (예를 들면, 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세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 또는 금속재료로 구성되고, 이 베이스부재(26)의 요부(25)에 함침체(27)를 장착함으로써, 함침체(27)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고, 함침체(27)로부터의 잉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함침체(27)는 합성수지재료 (예를 들면 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등)의 탄력성이 있는 발포체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이 함침체(27)에는 유성잉크가 포화상태로 함침되어 있으며, 이 함침체(27)에 압력이 부가되떤, 잉크가 삼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감열성 공판원지(28)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가소성 필름(30)과, 다공성 지지체(31)와, 이들을 접착하는 접착제층(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열가소성 필름(30)은 두께 1∼4㎛, 바람직하기로는 2㎛의 열가소성 합성수지재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염화비닐리덴 -염화비닐공중합체 등)의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께 1㎛ 미만의 것은 제조코스트가 고가이고 강도도 약하고 실용성이 결여되어 있으므로 실용적이 아니고, 또 두께 4㎛ 이상의 것은 너무 두꺼우므로, 정격(定格)출력이 50mJ/mm2정도의 일반의 서멀헤드로는 천공할 수 없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31)는 천연섬유 (예를 들면, 마닐라마, 닥나무 (Broussonetia kazinoki), 삼지닥나무(Edgeworthia papyrifera) 등), 합성섬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 또는 레이온 등의 반합성섬유를 주원료로 한 다공성(多孔性) 박엽지(薄葉紙)로 구성되어 있다.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함침체(27)에 유성잉크를 함침하고, 베이스부재 (26)를 상하역으로 한 상태에서, 그 요부(25)에 함침체(27)를 탑재하고, 그 함침체 (27)의 위로부터, 다공성 지지체(31)가 함침체(27)측으로 되도록, 감열성 공판원지 (28)를 덮고 함침체(27)의 표면에 감열성 공판원지(28)를 밀착시키고, 감열성 공판원지(28)의 외주측 부분을 베이스부재(26)의 외주면에 밀착상태로 접어 붙여서 접착제층(29)으로 접착함으로써, 제7도에 나타낸 스탬프부 본체(4)로 된다. 그리고, 상기 함침체(27)의 표면(제7도에서는 하면)에 밀착한 감열성 공판원지(28)의 부분이 인면부(33)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감열성 공판원지(28)의 외주측부분을 베이스부재(26)의 외주면에 접착하기 위하여, 다공성 지지체(31)의 부분에 미리 접착제층(29)을 형성하여 두어도 되고, 또는 베이스부재(26)의 외주면에 접착제층(29)을 미리 형성하여 두어도 되고, 또는 감열성 공판원지(28)의 다공성 지지체(31)와 기부재(26)의 외주면의 양쪽에 접착제층(29)을 미리 형성하여 두어도 된다.
제2도∼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주지지부재(5)는 스탬프부 본체 (4)가 내감상(內槪狀)으로 접착되는 평면으로 보아 사각형의 외주벽부(外周壁部) (34)와, 상벽부(35)와, 이 상벽부(35)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하는 좌우 1쌍의 계합벽부(36)로 구성되어 있다. 각 계합벽부(36)의 끝부는 대향하는 계합벽부(36)의 대응하는 끝부에 향하여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내측으로 돌출하는 단부에는, 파지부(2)의 4개의 계합클릭(14)에 대응하는 계합공(37)이 형성된다.
제2도∼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커트부재(6)는 외주벽부(40), 상벽부(41), 문형부(43) 및 스프링지지부(45)로 구성되어 있다. 외주벽부(40)는 4개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이고, 보호캡(7)의 장착, 분리 및 인면부(33)의 위치를 결정하는 긴 형태의 노치가 외주벽부(40)의 4개의 하단에 형성된다. 문형부(43)는 상벽부(41)의 중앙부로부터 소정 높이 위쪽으로 돌출된다. 사각공(42)이 문형부(43)의 양쪽으로 상벽부(41)에 개구되어 있다. 스프링지지부(45)가 문형부(43)의 상단의 중앙부에 돌출설치된다. 상기 문형부(43)의 좌우의 벽부의 하부에는, 그 양벽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가이드공(18)에 대응하는 좌우방향위치에 있어서 가이드공(4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공(44)은 후술하는 가열천공장치(50)의 가이드바와 계합한다.
다음에, 제2도를 참조하면서 스탬프체(1)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보호캡(7)이 부착된 스탬프부 본체(4)는 외주지지부재(5)에 끼워져 고정되어, 외주지지부재(5)에 의하여 그 상측 주변부의 3분의 2가 덮여져 있다. 스커트부재(6)의 상벽부(41)는 외주지지부재(5)의 상벽부(35) 위쪽에 위치한다. 외주지지부재(5)의 외주벽부(34)는 외주벽부(40)의 아래쪽으로부터 삽입되어. 좌, 우 계합벽부(36)가 스커트부재(6)의 1쌍의 사각공(42)을 관통한다. 외주벽부(34)가 외주벽부(40)에 끼워져서, 외주지지부재(5)가 스커트부재(6)내에서 자유롭게 상하이동가능하게 된다. 끝으로, 4개의 계합클릭(14)이 개합벽부(36)의 계합공(37)에 대응하여 위로부터 계합되어 외주지지부재(5)가 파지부(2)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파지부(2)의 스프링지지부(20)와, 스커트부재(6)의 스프링지지부(45) 사이에는, 파지부(2)에 대하여 스커트부재(6)를 아래쪽으로 부세하는 압축스프링 (21)이 장착되고, 스커트부재(6)는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제1 위치와, 제11도에 나타낸 제2 위치와, 제10도에 나타낸 제3 위치에 걸쳐서 승강가능하게 구성되고, 스커트부재(6)는 스프링(21)에 의하여, 통상 제1 위치의 쪽으로 부세되어 있다. 제1 위치일 때, 스커트부재(6)의 상벽부(41)는 외주지지부재(5)의 상벽부(35)에 맞닿아서, 스커트부재(6)의 하단이 인면부(33)보다 낮게 돌출하고, 또 제2 위치일 때, 스커트부재(6)의 상벽부(41)는 외주지지부재(5)의 상벽부(35)와, 파지부(2)의 하단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스커트부재(6)의 하단이 인면부(33)와 동일 레벨에 위치하고, 또 제3위치일 때, 스커트부재(6)의 상벽부(41)는 파지부(2)의 하단에 맞닿아서, 스커트부재(6)의 하단이 인면부(33)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스커트부재(6)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에의 스트로크는 약 5mm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캡(7)은 스탬프부 본체(4)의 하단측을 착탈가능하게 덮어 보호하기 위한 것이고, 그 외주벽부(48)는 외주지지부재(5)의 외주벽(34)과, 평면에서 보아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보호캡(7)의 외주벽부(48)는 스커트부재(6)의 외주벽부(40)에 내감시켜서 지지된다.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캡(7)을 스커트부재(6)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그 상단은 외주벽부(34)의 하단에 맞닿고, 보호캡(7)과 인면부(33) 사이에는 작은 간극이 생기고, 보호캡(7)은 외주벽부(48)의 외주면과 스커트부재(6)의 외주벽부(40)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마찰력을 가지고 지지된다. 그러므로, 보호캡(7)을 장착한 상태에서 파지부(2)를 아래쪽으로 압동해도, 보호캡(7)의 상단과 외주벽부(34)의 하단과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간극이 유지되고 있으므로, 보호캡(7)에 잉크가 부착되는 일이 없다.
다음에, 가열천공장치(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3도∼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천공장치(50)는 본체프레임(51)과 본체프레임(51)의 앞부분에 배설된키보드(52) 및 액정디스플레이(53)와, 본체프레임(51)의 뒷부분에 배설된 가열천공부(54)와, 본체프레임(51)내에 배설된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제어유니트(11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키보드(52)에는, 일본문자의 가나키와 알파벳키겸용의 복수의 문자키와 복수의 기호키를 포함하는 문자기호키(56), 각종의 기능키 (커서이동키(57), 실행키(58), 개행키(59), 확정/종료키(60), 취소키(61), 삭제키(62), 시프트키(63) 소문자스위치(64), 문자종류설정스위치(65), 천공스위치(66) 등), 메인스위치(67)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액정디스플레이장치(53)는 상기 스탬프체(1)로 인쇄하는 인쇄대상의 패턴에 상당하는 복수행의 문자열을 표시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가열천공부(54)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5도∼제2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천공부(54)에는 서브프레임(70)과, 서브프레임(70)에 수용되어 스탬프체(1)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천공용 장착부(71)와, 이 천공용 장착부 (71)에 수용되어 천공용 장착부(71)에 장착된 스탬프체(1)의 인면부(33)에 도트형으로 천공하는 가열 천공기구(72) 등이 배설되어 있다.
서브프레임(70)은 우측벽(73), 좌측벽(69) 및 우측벽(73)과 좌측벽(69)의 사이에 연재된 전면벽(99)과 후면벽(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우측벽(73)에는 스탬프체(1)의 단면형상과 대략 동형의 개구(74)가 형성되고, 이 개구(74)의 최대 폭은 스탬프부(3) 전후간의 치수에 대응한다. 이 개구(74)를 개폐하는 개폐도어(75)에는 섹터기어(76)가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피봇축(77)에 의하여 우측벽(73)에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천공용 장착부(71)에 대하여 제16도∼제1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천공용 장착부(71)는 서브프레임(70)내에 배설된다. 상기 서브프레임(70)의 상부에는, 전후 1쌍의 평행한 가이드부재(78),(79)가 우측벽(73)과 좌측벽(69) 사이에 배설되고, 이들 가이드부재(78), (79)의 하단에는 좌우방향으로 수평 또한 평행으로 연재하고, 내측으로 향하는 가이드(80)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앞쪽의 가이드부재(78)의 앞쪽에는, 좌우 1쌍의 롤러(81)가 가이드부재(78)에 개구된 장공을 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짧은 거리 이동가능하게 배설되고, 이들 롤러(81)는 스프링(82)에 의하여 후방으로 부세되어 있다.
가이드부재(78)에 고정된 가이드바(83)는 가이드부재(78),(79) 사이의 중간위치에 배설되고, 스탬프체(1)를 가열천공기구(72)에 향하여 가이드하기 위하여 가이드공(44)에 삽입된다. 제18도, 제22도 및 제2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바 (83)의 우단부의 상면에는, 우측 아래쪽으로 경사진 테이퍼면(84)이 형성되고, 또 가이드바(83)의 우단부 측면에는, 스탬프체(1)의 좌한계위치를 규제하는 계지면 (8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탬프체(1)가 가열천공기구(72)에 바르게 장착된 상태로 된다. 스탬프체(1)가 가열천공부(50)에 바르게 장착되면, 가이드바(83)의 우단부 측면의 계지부(85b)가 프로텍트덮개부용 홈(17a)의 철부(18e)에 맞닿거나 파지부(2)의 가이드공(18)을 통하여 삽입된다.
스탬프체(1)의 인면부(33)에 도트패턴을 천공하기 위하여 스탬프체(1)는 가열천공장치(50)의 개구(74)로부터 삽입되고, 스탬프체(1)의 파지부(2)의 전후 1쌍의 가이드홈(15)에 가열천공부(54)의 전후 1쌍의 가이드(80)를 계합시킴으로써, 스탬프체(1)가 1쌍의 가이드(80)로 지지되고, 스탬프체(1)는 1쌍의 롤러(81)를 통하여 스프링(82)으로 후방으로 부세되어 전후방향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된다. 또, 가이드바(83)가 스탬프체(1)의 문형부(43)에 형성된 가이드공(44)을 삽통함으로써, 스커트부재(6)가 천공시 제10도에 나타낸 제3 위치에 상승한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에, 상기 가열천공기구(72)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5도∼제2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천공용 장착부(71)의 가이드부재(78), (79)의 아래쪽에 있어서 평행으로 연재되도록 서브프레임(70)의 우단벽(73)과 좌단벽(69)에 걸쳐서, 가이드로드(88)와 헤드전환로드(89)가 장착된다. 서멀헤드(90)가 탑재되는 캐리지(87)는 가이드로드(88)와 헤드전환로드(89)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캐리지(87)의 전단부에는, 그 전체 길이에 걸친 소정의 길이의 랙(92)이 형성되어 있다.
타원형의 캠체(91)는 헤드전환로드(89)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헤드전환로드(89)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가능하게 헤드전환로드(89)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캐리지(87)에는 캠당접판(93)과, 헤드방열판(94)이 캐리지(87)의 이동방향에 직교하도록 배설된 지축(95)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상하요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헤드 방열판(94)에는, 서멀헤드(90)가 고정되고, 헤드방열판(94)은 그것에 고정된 핀(96)에 외장(外裝)된 스프링(97)에 의하여 캠당접판(93)에 대하여 위쪽으로 탄성부세되어 있다.
상기 캠체(91)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캠당접판(93)의 하면에 맞닿고,캠체(91)를 회동시켜서 캐리지(87)에 장착된 서멀헤드(90)의 위치를 전환시킨다. 헤드전환로드(89)를 회동시켜서 캠체(91)를 옆으로 향한 자세로 하면, 캠당접판 (93)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서멀헤드(90)는 헤드방열판(94)과 함께 아래쪽으로 릴리스되고, 또 캠체(91)를 위로 향한 자세로 하면, 서멀헤드(90)는 캠당접판 (93)과 스프링(97)을 통하여, 위쪽으로 요동하여 천공위치로 전환된다.
상기 헤드전환로드(89)의 우단부에는, 서브프레임(70)의 우측벽(73)의 외측에 있어서, 섹터기어(76)에 맞물린 기어(98)가 배설되고, 개폐도어(75)를 열면 캠체(91)가 옆으로 향한 자세로 되고, 또 개폐도어(75)를 닫으면 캠체(91)가 위로 향한 자세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70)의 전면벽(99)에는, 캐리지(87)를 구동하는 스테핑모터 (100)와, 랙(92)에 맞물린 구동기어(101)와, 스테핑모터(100) 출력축의 출력기어 (102)의 회전을 구동기어(101)에 전달하는 감속기어기구(107)가 부설되어 있다. 그러므로, 스테핑모터(100)의 회전구동력이 구동기어(101)에 감속되어 전달되므로, 스테핑모터(100)에 의하여 캐리지(87)를 좌우방향으로 이동구동할 수 있다.
상기 서멀헤드(90)는 서멀프린터의 서멀헤드와 동일한 것이고, 이 서멀헤드 (90)에는 제2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192개의 발열소자(103)가 전후방향을 향하여 1열로 배설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가열천공기구(72)와 액정디스플레이(53)를 구동제어하는 제어유니트(110)를 포함하는 제어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유니트(110)에는, 키보드(52)와, 서멀헤드(90)와, 캐리지이송모터인 스테핑모터(100)와, 액정디스플레이(53)와, 스탬프체(1)의 유무와 전후폭을 검지하기 위한 2개의 근접스위치(104),(105)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가열천공장치(50)는 2종류의 스탬프체(1)의 인면부(33)에 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탬프체(1)는 본 실시예의 경우, 제17도 및 제21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협폭타입과, 쇄선으로 도시한 광폭타입의 2종류가 있고, 2개의 근접스위치 (104).(105)는 제15도, 제17도 및 제2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측의 가이드부재 (79)의 하면에 고정된 판편(板片)(106)에 부설되고, 2개의 근접스위치(104),(105)에 의하여 광폭타입의 스탬프체(1)가 검지되고, 또 근접스위치(104)에 의하여 협폭타입의 스탬프체(1)가 검지된다.
제2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에유니트(110)에는, CPU(111)와, ROM(112)과, RAM(113)과, 천공용 CG-ROM(114)과, 디스플레이(53)에의 표시를 위한 표시용 CG- ROM(115)과, 키보드(52) 및 근접스위치(104),(105)에 접속된 입력인터페이스(116)와, 출력인터페이스(117)가 배설되고, 이들은 버스(118)에 의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유니트(110)에는, 출력인터페이스(117)에 각각 접속된, 헤드구동회로(119)와, 모터 구동회로(120)와, 디스플레이구동회로(121)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ROM(112)에는, 이 가열천공장치(50)의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을 기억한 프로그램메모리(122)와, 일본문자의 가나·한자변환 등을 위한 사전메모리(123)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RAM(113)에는, 입력데이터를 기억하는 입력버퍼(124), 천공용 도트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 천공버퍼(125), 시프트레지스터(126), 기타 각종의 카운터나 레지스터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천공용 CG-ROM(114)에는, 천공대상으로 되는 다수의 문자의 도트패턴데이터가 코드데이터와 대응하여 기억되고, 또 표시용 CG-ROM(115)에는, 천공대상으로 되는 다수의 문자의 표시용 도트패턴데이터가 코드데이터와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헤드구동회로(119)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발열소자(103)의 한쪽의 전극은 +12V의 전원단자(127)에 각각 접속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전극은 대응하는 드라이버(128)의 출력단자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각 드라이버(128)의 한쪽의 입력단자에는 천공용 스트로브입력단자(130)에 접속된 인버터(129)의 출력단자와 접속되고, 각 드라이버(128)의 다른 쪽의 입력단자에는 대응하는 데이터래치회로(132)의 각 출력단자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래치신호입력단자(131)에는 각 래치회로(132)의 입력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1군의 시프트레지스터(135)중 하나에 대응하는 출력단자에는 대응하는 데이터래치회로(132)의 입력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클록입력단자(133)와 데이터입력단자(134)에는 각 시프트레지스터(135)의 입력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헤드구동회로(119)에 있어서, 시프트레지스터(135)는 천공용의 데이터가 클록신호에 동기하여 기억되고, 그 후 래치신호가 데이터래치회로(132)에 공급되면, 시프트레지스터(135)에 있어서 기억된 데이터가 대응하는 데이터래치회로 (132)에 출력되어 기억된다. 이와 동시에, 그 데이터가 대응하는 각 드라이버(128)의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천공용 스트로브입력단자(130)로부터 논리"0"의 천공펄스신호가 인버터(129)의 입력단자에 인가되면, 인버터(129)의 출력단자로부터 논리"1"의 신호가 출력되어, 각 드라이버(128)의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따라서, 데이터래치회로(132)의 데이터가 논리"1"의 경우에는, 드라이버 (128)의 출력측은 논리"0"으로 되고, 그것에 대응하는 발열소자(103)에 전원단자 (127)로부터 구동전류가 통전된다. 그 때, 발열소자(103)의 표면온도가 열가소성 필름(30)의 열천공에 적합한 온도로 되도록 천공용 스트로브입력단자(130)에 입력되는 천공펄스신호의 펄스 폭이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가열천공장치(50)를 사용하여, 스탬프체(1)의 인면부(33)에 문자열의 패턴을 천공하는 천공처리에 대하여, 제26도 및 제27도의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이 천공처리는 제어유니트(110)에 의하여 실행되는 처리와, 오퍼레이터에 의하여 실행되는 조작을 포함하고, 도면중 부호 Si (i=1, 2, 3 …)는 각 스텝을 나타낸 것이다.
메인스위치(67)의 투입과 동시에 처리가 개시되고, 최초에 근접스위치(104), (105)로부터의 검출신호를 읽어넣고(S1), 다음에 스탬프체(1)가 있는가 여부, 즉 스탬프체(1)가 천공용 장착부(71)에 장착되어 있는가 여부가 판정되고(S2), 그 판정이 Yes일 때, 즉 스탬프체(1)가 천공용 장착부(71)에 장착된 대로의 상태에서 전원이 투입되면, 액정디스플레이 (이하, LCD라고 함)(53)에 "스탬프체를 꺼내어 주십시오"라고 매시지가 표시되고(S3), S1로 귀환한다. 오퍼레이터에 의하여 스탬프체(1)를 꺼내기까지, 상기 S1∼S3이 반복하여 실행된다. 개폐도어(75)를 열어 스탬프체(1)를 꺼내면, 상기 S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된다.
다음에, 전원투입시에 스탬프체(1)가 천공용 장착부(71)에 장착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전원투입시에는 스탬프체(1)가 천공용 장착부(71)에 장착되어 있었지만, 그 후 오퍼레이터에 의하여 스탬프체(1)를 꺼내어, S2의 판정이 No로 되면, 가열천공장치(50)의 RAM(112)의 데이터를 클리어하는, 캐리지이송모터(100)를 구동하여 캐리지(87)를 가이드로드(88) 우단의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등의 초기설정이 실행되고 또한 LCD(53)에 "준비중"이라고 표시된다(S4). 다음에, S5에 있어서 키보드(52)를 조작함으로써 인면 내용의 입력설정이 실행되지만, 이 입력설정에 있어서는, 인면사이즈지정과, 문자사이즈나 문자배치의 설정 등을 포함하는 서식입력과, 천공용 문자열 데이터의 입력버퍼(124)에의 입력이 실행된다.
다음에, LCD(53)에 "스탬프체를 장착하여 주십시오"라고 메시지가 표시되고 (S6), 천공스위치(66)가 ON조작되기까지 대기한다 (S7 : No). 그 동안, 오퍼레이터는 개폐도어(75)를 열고, 스탬프체(1)를 장착하고나서, 개페도어를 닫고, 즉 스탬프체(1)를 천공용장작부(71)에 장착한다.
이 개폐도어(75)의 개방조작에 의하여 섹터기어(76)가 제21도의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섹터기어(76)의 회동에 따라서, 섹터기어(76)와 맞물려 있는 기어 (98)를 통하여 헤드전환로드(89)가 제21도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러면, 헤드전환로드(89)에 장착되어 있는 캠체(91)가 옆으로 향한 자세로 되고, 서멀헤드 (90)가 헤드방열판(94)과 함께 아래쪽으로 릴리스된다.
오퍼레이터는 스탬프체(1)의 파지부(2)의 가이드홈(15)을 가이드부(80)에 계합시키면서, 스탬프체(1)를 개구(74)로부터 삽입한다. 이 삽입시, 서멀헤드(90)가 한쪽으로 시프트하여 스탬프체(1)의 장착을 방해하는 일은 없다. 또, 삽입에 따라서, 가이드바(83)가 스탬프체(1)의 가이드공(18),(44),(44)에 걸쳐서 삽통된다. 이로써, 가이드바(83)의 테이퍼면(84)에 따라서 문형부(43)가 상승하고, 이 문형부 (43)의 상승에 따라서, 제2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커트부재(6)가 그 하단이 인면부(33)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상승하고, 제2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태가 유지된다.
오퍼레이터는 스탬프체(1)가 가이드바(83)의 계지면(85)에 맞닿기까지 삽입하면, 스탬프체(1)는 제23도에 나타낸 천공용 장착부(71)내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
다음에, 오퍼레이터는 개폐도어(75)를 제21도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폐쇄조작을 행한다. 이 폐쇄조작에 따라서 섹터기어(76)가 제19도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섹터기어(76)의 회동에 따라서 헤드전환로드(89)가 제19도의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러면, 헤드전환로드(89)에 장착되어 있는 캠체(91)가 위로 향한 자세로 되고, 서멀헤드(90)가 캠당접판(93)과 스프링(97)을 통하여 위쪽으로 요동하여, 제23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스탬프체(1)의 인면부(33) 우단을 압압하는 천공위치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오퍼레이터는 스탬프체(1)를 장착한 후에 천공스위치(66)를 ON조작한다. 다음에, 천공스위치(66)가 ON조작되면 (S7 : Yes), 근접스위치(104),(105)의 검출 신호를 읽어넣고 (S8), 다음에 스탬프체(1)가 있는가 여부, 즉 스탬프체(1)가 천공용 장착부(71)에 장착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정하고(S9), 그 판정이 No일 때, 즉 오퍼레이터가 스탬프체(1)의 장착을 행하지 않고 천공스위치(66)를 조작한 경우에는, S10에 있어서 LCD(53)에 "스탬프체를 장착하여 주십시오"라고 표시되고, 그 후 S7로 이행한다. 한편, S9의 판정이 Yes이고 스탬프체(1)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 , S11에 있어서 S5에서 설정한 인면사이즈와 스탬프체(1)의 사이즈가 적합한가 여부가 판정된다. 그리고, 상기 스탬프체(1)의 사이즈라는 것은 근접스위치(104), (105)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판별되는 스탬프체(1)의 폭사이즈를 말한다.
다음에, S11의 판정이 No일 때, 즉 스탬프체(1)의 사이즈가 설정한 인면사이즈에 적합하지 않을 때에는, LCD(53)에 "스탬프체를 교체하여 주십시오"라고 표시되고(S12), S7로 이행한다. 그리고, 현재 장착되어 있는 스탬프체(1)를 꺼내고, 설정된 인면사이즈에 적합한 사이즈의 스탬프체(1)가 장착되기까지, 상기 S7∼S12가 반복하여 실행된다.
한편, S11의 판정이 Yes일 때, 즉 장착되어 있는 스탬프체(1)의 사이즈가 설정되어 있는 인면사이즈에 적합할 때에는, 스탬프체(1)의 인면부(33)에 천공처리가 실행되어 그 천공처리의 동안 LCD(53)에는 "천공중"이라고 표시된다(S13). 그리고 천공처리는 먼저 입력버퍼(124)에 입력되어 있는 서식과 천공용 문자열데이터에 따라서 천공용의 도트패턴데이터가 작성되어, 천공버퍼(125)에 격납된다. 이 천공버퍼(125)에 격납되어 있는 도트패턴데이터에 따라서 캐리지이송모터(100)가 구동되어, 캐리지(87)가 제23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부터 2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시에, 서멀헤드(90)가 구동되어, 인면부(33)에 천공용 도트패턴데이터에 따른 천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천공종료시에는, 서멀헤드(90)가 인면부(33)로부터 좌측으로 벗어나는 위치까지 캐리지(87)가 이동구동되므로, 서멀헤드(90)로 인면부(33)를 계속압압하여 잉크의 누출을 초래하는 일이 없다. 다음에, S14에 있어서 천공종료인가 여부를 판정하고, 천공이 종료하면, S15에 있어서, LCD(53)에 "천공처리종료" "스탬프체를 꺼내어 주십시오"라고 표시되고, 상기 S1로 귀환한다. 상기 "스탬프체를 꺼내어 주십시오"의 표시를 보고, 오퍼레이터는 개폐도어(75)를 열고, 스탬프체(1)를 꺼낸다. 이 때 캐리지(87)는 제23도의 2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이동하고 있으므로, 캐리지(87) 및 서멀헤드(90)가 스탬프체(1)의 꺼내는 것을 방해하는 일은 없다.
또, 스램프체(1)를 꺼내지 않으면, 오퍼레이터에 의하여 꺼내기까지 상기 처리공정의 S1∼S3이 반복된다.
그리고, 한번 천공이 형성된 스탬프체(1)에 대하여는, 전술한 프로텍트덮개부(18a)를 아래쪽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제1(a)도 및 제6(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공(18)을 폐쇄상태로 하여 둔다. 이로써, 오퍼레이터가 그 스탬프체(1)를 가열천공장치(50)에 장착하려고 해도, 가이드바(38)가 삽통되는 가이드공(18)이 폐쇄되어 있어 장착할 수 없으므로, 2중으로 천공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새로이 천공할 경우에는, 프로텍트덮개부(18a)를 위쪽으로 슬라이드시키고,제1(b)도 및 제6(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공(18)을 개구상태로 하면, 재차 가열천공장치(50)에의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하여, 스탬프체(1)에 대하여, 그 인면부(33)를 형성하는 감열성 공판원지(28)에 미러형상의 원하는 패턴의 다수의 천공이 형성된다. 서멀헤드의 대신에 적외선 조사(照射)에 의하여도 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미러형상은 예를 들면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ABC"의 미러문자의 문자열과 그 외측을 에워싸는 6겹의 직사각형 프레임이다. 제12도의 패턴의 미러형상의 "ABC"의 문자열과 6겹의 직사각형 프레임을 인쇄할 수 있는 스탬프체가 구성되므로, 통상의 고무제의 인면부를 가지는 스탬프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약 1000회에 걸쳐 상기 패턴을 인쇄할 수 있다.
천공이 형성된 스탬프체(1)는 통상시는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캡(7)을 장착함으로써 인면부(33)를 보호하고, 사용시에는 보호캡(7)을 벗기고, 스커트부재(6)를 통하여, 인면부(33)를 용지의 표면의 원하는 위치에 위치결정하고나서, 파지부(2)를 잡고 파지부(2)를 아래쪽으로 압동하여, 인면부(33)를 용지의 표면에 압압하면, 함침체(27)내의 잉크가 다수의 천공으로부터 스며나오므로, 용지의 표면에 상기 천공패턴을 인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다음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정의된 범위 및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고 각종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인면부(33)의 감열성 공판원지(28)에 천공하는 패턴으로서는, 상기의 것에 한하지 않고, 용도에 따른 각종의 문자열, 도형, 마크, 형상 등의 각종의 패턴을 다수의 천공의 도트패턴으로 형성하고, 그 패턴을 인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파지부(2)와 스탬프부(3)의 높이를 작게 하여, 파지부(2)와 스탬프부 본체 (4)와를 일체화해도 되고, 또한 스커트부재(6)를 스탬프부 본체(4)에 대하여 승강가능하게 장착해도 된다.
파지부(2)는 스탬프부 본체(4)의 위쪽에 설치하지 않고, 측방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인면부(33)가 예를 들어 사각형의 경우, 상기 스커트부재(6)는 최소한 4코너부에 다리부분을 구비한 구성이면, 스커트부재(6)의 필요한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스탬프유니트(1)의 인면부(33)의 평면형상은 사각형에 한하지 않고, 타원형, 원형. 정방형, 3자형, 다각형, 기타 각종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함침체(27)에 함침되는 유성잉크의 색으로서는, 청색, 흑색, 적색, 기타 각종의 색이 적용되지만, 상기 라벨(10)에는 잉크의 색도 표시하기 위하여, 스탬프유니트(1)로 실제로 인쇄한 지편(紙片)을 파지부(2)의 상단에 형성된 요부(11)에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함침제(27)의 대신에, 점도가 높은 잉크의 덩어리로 이루어지는 잉크체를 사용하고, 이 잉크체를 요부(25)에 장착하여, 함침체(27)와 동일한 형상으로 넣어두어도 된다.
상기 친공용 장착부(71)는 스탬프체(1)를 우측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스탬프체(1)를 위쪽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가열용 천공기구(72)는 스탬프체(1)를 소정 위치에 유지한 상태에서, 캐리지(87)를 통하여 서멀헤드(90)를 이동시키면서 천공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서멀헤드(90)를 고정적으로 설치하고, 스탬프체(1)를 이동시키면서 천공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상기 캠체(91)의 대신에, 솔레노이드 액튜에이터를 배설하고, 그 솔레노이드 액류에이터에 의하여 서멀헤드(90)의 위치를 전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상기 랙(92) 구동기어(101) 감속기어기구(107)의 대신에 와이어와 풀리를 통하여 캐리지(87)를 좌우방향으로 이동구동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스탬프체(1)의 문형부(43)에는, 상기 가이드공(44)의 대신에, 경사형의 테이퍼면을 상벽으로서 가지는 가이드공을 구비해도 된다. 그리고, 이 경우, 가이드바 (83)는 테이퍼면(84)을 구비하지 않은 것이라도 된다. 스탬프체(1)를 천공용 장착부(71)에 장착하면, 가이드바(83)가 스탬프체(1)의 가이드공을 삽통하고, 가이드공의 상벽의 테이퍼면에 따라서 문형부(43)가 상승하고, 이 문형부(43)의 상승에 따라서 스커트부재(6)도 상승하도록 작용한다.
이상 설명한 바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탬프유니트에 있어서는, 가이드공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한번 천공을 형성한 스탬프체에 대하여는, 상기 개폐수단에 의하여 가이드공을 폐쇄상태로 하여 둠으로써, 2중으로 천공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스탬프유니트의 스탬프체의 사시도로서, 제1(a)도는 스탬프체의 프로텍트덮개부의 폐쇄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1(b)도는 프로텍트덮개부의 개구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스탬프체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스탬프체의 종단정면도.
제4도는 스탬프체의 종단측면도.
제5(a)도는 프로텍트덮개부가 장착되는 스탬프체의 프로텍트덮개부용 홈의 정면도.
제5(b)도는 스탬프체와 대향하는 프로텍트덮개부의 배면도, 제5(c)도는 스탬프체의 내부로부터 보았을 때 프로텍트덮개부용 홈에 프로텍트덮개부를 장착했을 때의 배면도.
제6(a)도는 가이드공을 폐쇄상태로 한 경우의 설명도, 제6(b)도는 가이드공을 개구상태로 한 경우의 설명도.
제7도는 스탬프체의 스탬프부 본체의 확대종단정면도.
제8도는 스탬프부 본체의 감열성 공판원지의 확대단면도.
제9도는 스탬프부 본체의 제작방법을 설명하는 사시도.
제10도는 스커트부재가 제3 위치일 때의 스탬프체의 종단정면도.
제11도는 스커트부재가 제2 위치일 때의 스탬프체의 종단정면도.
제12도는 스탬프체의 인면부에 천공하는 패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제13도는 스탬프유니트의 가열천공장치의 사시도.
제14도는 스탬프유니트의 가열천공장치와 스탬프체의 사시도.
제15도는 설명의 편의상 하우징부분을 제거한 가열천공장치의 평면도.
제16도는 가열천공장치의 부분절결 정면도.
제17도는 가열천공장치의 부분절결 종단측면도.
제18도는 가열천공장치의 가열천공부의 사시도.
제19도는 가열천공장치의 가열천공부의 요부사시도.
제20도는 가열천공기구의 분해사시도.
제21도는 가열천공장치의 가열천공부의 요부측면도.
제22도는 천공용 장착부에 장착 중의 스탬프체와 가열천공부의 종단정면도.
제23도는 천공용 장착부에 장착 후의 스탬프체와 가열천공부의 종단정면도.
제24도는 가열천공장치의 제어계의 블록도.
제25도는 가열천공장치의 헤드구동회로의 전기회로도.
제26도는 가열천공장치의 제어계에 의한 천공처리의 플로차트의 일부.
제27도는 가열천공장치에 의한 천공처리의 플로차트의 잔부.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탬프체, (2) : 파지부, (3) : 스탬프부, (4) : 스탬프부 본체.(17a) : 프로텍트덮개부용 홈, (18) : 가이드공, (18a) : 프로텍트덮개부, (27) :함침체, (28) : 감열성 공판원지, (33) 인면부, (50) : 가열천공장치, (83) : 가이드바.

Claims (8)

  1. 감열성 공판원지에 천공을 행하고, 스탬프체를 가열천공장치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재를 가지는 가열천공장치에 장착가능한 스탬프체로서,
    상기 가열천공장치에 상기 스탬프체를 장착하기 위하여 장착부재가 삽입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고정되고, 잉크함침체와 감열성 공판원지를 포함하는 공판원판과,
    상기 가이드공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수동조작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공을 여는 개구위치 및 가이드공을 닫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가능한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체.
  3. 제2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파지부와 상기 덮개부와의 사이에 배설되고, 그 덮개부를 개구위치 및 폐쇄위치에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가이드공내로 뻗는 돌출선단부를 가지는계합편과, 상기 덮개부의 슬라이드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서로 평행을 이루면서 그 덮개부의 표면상에 형성된 2개의 탄성철부(凸部)로서, 그 중 하나는 상기 덮개부가 페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출선단부와 계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덮개부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출선단부와 계합되는 탄성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선단부는 상면과 하면을 가지고, 2개의 철부중 하나의 상면은 폐쇄위치에서 돌출선단부의 하면에 접하고, 다른 철부의 하면은 개구위치에서 돌출선단부의 상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는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서 뻗고, 내측과 외측을 가지는 가이드벽이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부에는 그 덮개부를 상기 가이드 벽의 외측에 대해 압압함으로써 변형되어 상기 가이드벽을 우회하여 그 가이드벽의 내측에 계합하는 탄성계합편이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스탬프체로 스탬프를 인쇄하는 동안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체.
  8. 가이드공이 형성된 파지부를 가지는 스탬프체와,
    상기 스탬프체에 고정되고, 잉크함침체와 감열성 공판원지를 포함하는 공판원판과,
    상기 감열성 공판원지에 천공을 행하는 가열천공장치와,
    상기 가열천공장치가 감열성 공판원지에 천공을 행할 수 있는 위치에서 가이드공을 통과하여 상기 스탬프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부재와,
    상기 가이드공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유니트.
KR1019950053249A 1994-12-22 1995-12-21 스탬프체,스탬프체를구비한스탬프유니트및천공장치 KR100321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9704A JP2900809B2 (ja) 1994-12-22 1994-12-22 スタンプユニット
JP1994-319704 1994-12-22
JP94-319704 1994-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549A KR960021549A (ko) 1996-07-18
KR100321809B1 true KR100321809B1 (ko) 2002-06-20

Family

ID=18113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3249A KR100321809B1 (ko) 1994-12-22 1995-12-21 스탬프체,스탬프체를구비한스탬프유니트및천공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595112A (ko)
EP (1) EP0718111B1 (ko)
JP (1) JP2900809B2 (ko)
KR (1) KR100321809B1 (ko)
CN (1) CN1090570C (ko)
DE (1) DE6950607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9403A (ja) * 1996-08-30 1998-05-12 Seiko Epson Corp スタンプ素材およびスタンプ素材のセット治具
JPH09141991A (ja) * 1995-11-20 1997-06-03 Brother Ind Ltd スタンプ
PL311908A1 (en) * 1995-12-18 1997-06-23 Lucjan Poplawski Stamp holder
JPH10193763A (ja) * 1997-01-08 1998-07-28 Alps Electric Co Ltd 平面スタンプの製造方法
US6367382B1 (en) * 1997-08-29 2002-04-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Stamp making device
US5996493A (en) * 1998-03-09 1999-12-0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Stamp unit protection element
JP3885348B2 (ja) * 1998-03-31 2007-02-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判製造装置
JP4389281B2 (ja) * 1998-10-30 2009-12-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スタンプユニット作成システム
US6732649B1 (en) 1999-09-28 2004-05-11 Alexander C. Wall Methods for providing custom rubber stamps
AT7861U1 (de) * 2004-09-14 2005-10-17 Trodat Gmbh Handstempel, sowie abdeckung für handstempel
JP2010047418A (ja) * 2008-07-23 2010-03-04 Ricoh Co Ltd 紙折り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紙折り方法
JP5846175B2 (ja) * 2013-09-20 2016-01-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印面製版装置、印面材サイズ検出方法、媒体ホルダおよび媒体ホルダ製造方法
JP5900444B2 (ja) 2013-09-20 2016-04-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印面製版装置、印面材寸法検出方法、媒体ホルダおよび媒体ホルダ製造方法
JP5885082B2 (ja) * 2013-10-09 2016-03-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印面形成装置及び印面形成方法
CN112848643A (zh) * 2020-12-31 2021-05-28 曹凤奎 一种纺织布料预处理用印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121A (en) * 1900-12-20 1901-08-20 William H Hudson Perforating-machine.
US1285837A (en) * 1918-08-19 1918-11-26 B F Cummins Company Perforating-machine.
US2667119A (en) * 1952-04-28 1954-01-26 Joseph A Weber Hand stamping stencil holder
US5253581A (en) * 1990-12-29 1993-10-1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Stamp device employing a heat sensitive stencil paper to be perforated by heat of a thermal head
US5184549A (en) * 1990-12-29 1993-02-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Stamp device with a printing element, movable ink supplying device, and plate making device employing an elongate heat sensitive stencil paper
US5184849A (en) * 1991-05-07 1993-02-09 Taylor Geoffrey L Security system method and article for photocopiers and telefax machines
JP2722886B2 (ja) * 1991-09-11 1998-03-09 日本電気株式会社 ワイヤボンディング装置
JP2582728Y2 (ja) * 1992-01-20 1998-10-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感熱性孔版原紙
US5483880A (en) * 1993-11-30 1996-01-1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Stamp unit whose print face portion is formed of a heat sensitive stencil pa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240A (zh) 1996-10-16
EP0718111A1 (en) 1996-06-26
KR960021549A (ko) 1996-07-18
DE69506078D1 (de) 1998-12-24
EP0718111B1 (en) 1998-11-18
US5595112A (en) 1997-01-21
JP2900809B2 (ja) 1999-06-02
DE69506078T2 (de) 1999-06-02
CN1090570C (zh) 2002-09-11
JPH08174983A (ja) 1996-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1809B1 (ko) 스탬프체,스탬프체를구비한스탬프유니트및천공장치
KR100263274B1 (ko) 인면부를 감열성 공판원지로 구성한 스탬프체를 구비한 스탬프장치 및 그 천공방법
JP3006663B2 (ja) 印面作成装置
JP3224934B2 (ja) スタンプ装置
JP2988301B2 (ja) スタンプユニット
JP2924646B2 (ja) スタンプ装置
JP3028785B2 (ja) スタンプ体用加熱穿孔装置
JP3304199B2 (ja) 加熱穿孔装置
JP3366831B2 (ja) スタンプ装置
JP3008783B2 (ja) スタンプ装置
JP2959397B2 (ja) 孔版印刷用原板
JP2894212B2 (ja) スタンプ装置
JP3139421B2 (ja) スタンプ作成装置
JP3163895B2 (ja) スタンプユニット
JP3224676B2 (ja) スタンプ装置
JP3060822B2 (ja) スタンプ装置
JP3951343B2 (ja) スタンプ装置及びスタンプ体
JP3033461B2 (ja) スタンプ作成用の加熱穿孔装置
JP3028729B2 (ja) スタンプ装置
JPH10287031A (ja) スタンプ体
JPH10217422A (ja) スタンプユニットの穿孔装置
JPH09277681A (ja) 加熱穿孔装置
JPH07290809A (ja) スタンプ装置
JP2001096709A (ja) スタンプ作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