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4952B1 - 소성변형에 기인한 화상열화를 방지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소성변형에 기인한 화상열화를 방지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4952B1
KR100314952B1 KR1019990024675A KR19990024675A KR100314952B1 KR 100314952 B1 KR100314952 B1 KR 100314952B1 KR 1019990024675 A KR1019990024675 A KR 1019990024675A KR 19990024675 A KR19990024675 A KR 19990024675A KR 100314952 B1 KR100314952 B1 KR 100314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belt
rollers
transfer unit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519A (ko
Inventor
가야하라신
비사이지다카시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20000006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single radiation source per colour, e.g. lighting beams or shutter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relating to the driving mechanism for the intermediate support, e.g. gears, couplings, belt tensio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03G2215/0177Rotating set of developing un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롤러들 주위에 각각 걸쳐지는 밸트 3g와 밸트 4g의 조합체의 사이에 전사영역을 갖추고, 어느 한 밸트의 전체 길이 3L이 다른 밸트의 전체 길이 4L의 거의 정수배에 일치한다. 상기 다수개의 롤러들은 이들에 의해서 소성변형으로 변형되어지는 변형부 3a'-3f',4a'및,4c' 들이 상기 전사영역내에서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소성변형에 기인한 화상열화를 방지하는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PREVENTS IMAGE QUALITY FROM DETERIORATION DUE TO PLASTIC DEFORMATION}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장치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적어도 하나의 벨트 구동유니트의 조합체를 갖고, 각각의 밸트들이 서로에 접촉하면서 동일한 원주속도에서 회전되도록 다수개의 롤러들 주위에 장력을 갖고서 감겨지며, 하나의 밸트로부터 다른 밸트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와 같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예를 들면 정전잠상을 기입하기 위한 상담지부재와, 토너로서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토너화상을 형성하는 현상부재, 상기 토너화상을 그 위에 전사하기 위한 제 1전사 유니트, 및 제 2전사유니트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전사 유니트는 상기 제 1전사 유니트로부터 토너화상을 종이로 이루어진 전사시트에 전사하며, 상기 전사시트는 제 2전사유니트에 의해서 상기 제 1전사 유니트와 제 2전사 유니트의 사이에 배치된 제 2전사영역으로 공급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내에 갖춰진 제 1전사 유니트와 제 2전사 유니트들은 동일한 원주속도로서 인접한 이동 유니트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토너화상을 전사시키는 유니트의 조합체들이고, 여러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유니트들은 다수개의 롤러들 주위를 감고 있는 무한 밸트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 2전사 유니트는 종이로 이루어진 전사시트에 대한 공급 유니트로서 작동한다.
이와 같이 밸트를 갖는 유니트는 장치를 설계함에 있어서 매우 유익한 바, 이는 그 구조를 설계함에 있어서 자유도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밸트를 갖는 유니트들의 조합체는 예를들면, 화상담지부재와 제 1전사 유니트의 조합체 혹은 제 1전사 유니트와 제 2전사 유니트의 조합체등이 화상형성장치내에 종종 사용되고 내장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밸트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유니트 조합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어느 한 유니트의 토너화상이 다른 유니트로 혹은 종이로 이루어진 전사시트로 향하여 서로 긴밀한 접촉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밸트들 사이의 닢부(nip)에 형성되어지는 전사영역내에서 정전기력을 사용하여 전사되어진다.
한편, 상기 다수개의 롤러들중의 하나이고 밸트를 구동시키는 구동롤러는 밸트를 갖는 유니트의 회전을 제어한다. 이러한 경우, 충분한 높은 장력이 다수개의 롤러들 주위에 걸려진 밸트상에 부과되어 구동롤러로부터 밸트로의 구동력의 전달이 안정되게 이루어진다.
밸트를 갖는 상기 유니트가 정지상태에 있는 시간주기동안, 상기 유니트는 정지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설명한 밸트에 고장력을 부여한다. 만일 고장력이 걸린 이와 같은 상태가 오랜 시간동안 지속되어 진다면, 상기 롤러들의 각각의 원주면을따라서 배치된 밸트의 일부분은 소성 변형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소성변형은 종종 '말림 경향(the curl tendency)'으로 불리운다. 이하에서는, 롤러에 의한 소성변형으로서 변형된 일부분을 변형부(deformed portion)라 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성변형으로서 각각 변형된 각각의 밸트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유니트들의 조합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어느 하나의 변형부가 전사영역에서 다른 밸트의 다른 변형부에 겹쳐지는 경우, 상기 화상전사능력이 열화된다. 이는 밸트사이에서 긴밀한 접촉이 유지하여야 하는 데에서 발생하는 단점에 기인한 것으로, 이러한 현상은 상기 소성변형에 기인하여 상기 전사영역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다. 특히, 정지시간이 길면 길수록, 소성변형 정도는 더욱 심화되고, 이는 밸트사이의 긴밀한 접촉에서 단점을 더욱 증대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화상품질이 열화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밸트 조합체들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미소 간극(micro gap)이 전사영역에서 생성되는 경우, 상기 간극을 통한 비정상적인 방전의 발생이 화상품질의 결함을 초래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기와 같은, 그리고 여러 가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함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다수개의 밸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사유니트 조립체를 갖고, 밸트의 소성변형에 기인하여 화상품질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신규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내용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개략의 다이아 그램;
도 2는 제 1전사밸트 3g와 제 2전사밸트 4d내에 형성된 변형부의 각각의 위치를 도시한 개략 다이어 그램;
도 3은 어느 한가지 작동에서 회전중의 제 1 및 제 2전사밸트에 대한 타이밍 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감광체 2.... 리벌버-현상제 장치
3.... 제 1전사유니트 3a.... 제 1전사 바이어스 롤러
3b.... 밸트 구동롤러 3c.... 텐션 롤러
3f.... 접지 롤러 3g.... 제 1전사밸트
4.... 제 2전사유니트 4a-4c.... 지지롤러
5.... 정착유니트 5b.... 윤활제 피복 브러쉬
7.... 전사영역 9.... 검출기
10.... 제 2전사영역 12.... 시트 제전기
13.... 밸트-제전기 14.... 소제 블레이드
105.... 시트공급 유니트 P.... 전사시트
본 내용에 기재되어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사유니트내에 배치된 다수개의 제 1롤러들과, 상기 제 1롤러들 주위에 걸쳐진 제 1밸트, 다른 전사 유니트에 배치된 다수개의 제 2롤러들 및, 상기 제 2롤러들 주위에 걸쳐진 제 2밸트등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되어진다.
상기 제 1밸트는 제 1롤러들 주위에 걸쳐지고, 임의의 원주속도로서 구동되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밸트는 상기 제 1밸트의 정지상태의 시간주기동안 소성변형으로서 상기 제 1밸트를 변형시키는 상기 제 1롤러의 각각의 원주표면상에 위치되는 제 1변형부를 갖는다.
상기 제 2밸트는 상기 제 2롤러들 주위에 걸쳐지고, 전사영역이 상기 제 1밸트와 제 2밸트사이의 닢부(nip)에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 1밸트와 동일한 원주속도로 구동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2밸트는 상기 제 2밸트의 정지상태의 시간동안 소성변형으로서 상기 제 2밸트를 변형시키는 상기 제 2롤러의 각각의 원주표면상에 위치되는 제 2변형부를 갖는다.
상기 제 1밸트 및 제 2밸트들은 상기 제 1 변형부중의 어느 하나라도 전사영역내에 위치되는 경우, 각각의 제 2변형부가 상기 전사영역내에 위치되는 것이 방지되어지도록 구동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제 1밸트의 길이는 제 2밸트길이의 정수배(integral multiples)에 거의 일치되어 질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제 2밸트의 길이는 제 1밸트 길이의 정수배에 거의 일치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제 1밸트상에 배치된 제 1검지마크와, 상기 제 1검지마크를 검지하기 위한 제 1검출기, 상기 제 2밸트상에 배치된 제 2검지마크, 상기 제 2검지마크를 검출하기 위한 제 2검출기 및, 상기 제 1밸트와 제 2밸트를 상기 전사영역내에서 서로 접촉/분리시키기 위한 접촉/분리메카니즘등을 추가 포함한다. 상기 제 1밸트와 제 2밸트는 각각 독립적인 타이밍으로서 회전을 개시할 수 있음으로서 상기 제 1변형부들중의 어느 하나가 전사영역내에 위치되는 경우, 각각의 상기 제 2변형부가 상기 전사영역내에 위치되어지는 것이 방지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밸트와 제 2밸트들은 각각 설정된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독립적인 타이밍으로서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촉/분리메카니즘은 제 1변형부들과 제 2변형부들이 전사영역내에서 서로 겹쳐지지 않는 시간주기동안, 상기 전사영역내에서 제 1밸트와 제 2밸트들이 서로 접촉하도록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사 유니트의 조합체가 화상담지부재와 제 1전사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전사 유니트의 조합체가 제 1전사유니트와 제 2전사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aspect)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제 1변형부의 어느 하나가 전사영역에서 제 2변형부중의 어느 하나에 겹쳐지는 때, 상기 제 1전사 유니트와 제 2전사 유니트의 사이에서 화상전사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콘트롤러를 추가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과 그로부터 얻어지는 유익한 효과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조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이에 일치하는 부분들을 나타내며, 도 1에는 본 내용에 기재된 일실시예에 따른 컬러 화상형성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컬러 화상형성장치는 예를들면, 컬러화상형성 유니트 101( 이하, 컬러 프린터 101라 함), 컬러화상 판독유니트( 미도시, 이하 컬러 스캐너라 함), 종이로 이루어진 전사시트를 수용하는 시트공급 유니트 105 및, 그리고 그밖의 유니트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 유니트(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컬러 스캐너들은 광학적으로 레드(red), 그린(green) 및, 블루(blue)와 같은 각각의 스펙트럼성분(spectral component)에 대하여 원고의 화상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컬러성분들에 관하여 결정된 화상신호들이 전기적인 신호로서 출력되어 진다. 다음, 컬러 스캐너들이 각각의 신호 강도(signal intensities)에 기초하여 컬러변환과정에 따라서 각각의 컬러의 화상신호를 처리한다. 이는 블랙( 이하 BK로 간략 표기함), 시안( 이하, C로서 간략 표기함), 마젠타( 이하, M 으로서 간략 표기함) 및, 옐로우(이하, Y로서 간략 표기함)의 컬러화상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컬러 프린터 101는 예를들면, 화상담지부재로서 드럼형상의 감광체( photoconductor) 1, 리볼버 현상장치 2, 제 1전사 유니트 3, 제 2전사 유니트 4, 정착 유니트 5, 광기입장치(미도시)등을 포함한다.
상기 감광체 1는 도 1에서 화살표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감광체 소제유니트 1a, 제전램프 1b, 대전기 1c, 상기 리볼버식 현상장치 2, 제 1전사 유니트 3, 및 그것들이 상기 감광체 1주위에 제공된다.
상기 광기입장치(미도시)들은 감광체 1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원고화상에 일치하는 광신호를 방출하며, 이는 컬러 스캐너로 부터의 화상데이터에 근거하여 생성되어 감광체 1상에 잠상을 기입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입 유니트는 예를들면, 레이저빔 방출기, 다면경(polygonal mirror), fθ렌즈, 및 반사미러등을 포함한다.
상기 리벌버식 현상장치 2는 4개의 현상장치( BK 화상에 대한 현상장치 2BK, C 화상에 대한 현상장치 2C, M 화상에 대한 현상장치 2M, Y화상에 대한 현상장치 2Y )와 상기 전체 리벌버 현상장치 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리벌버 회전구동 유니트(미도시)를 포함한다. 각각의 현상장치 2BK-2Y들은 현상장치를 회전시키고, 토너로서 정전잠상을 현상하기 위하여 감광체 1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하는 현상제-슬리브와, 상기 현상장치를 빨아 올려 교반하도록 회전시키는 현상제-패들등을 포함한다. 현상장치 2BK-2Y 각각의 내부토너들은 페라이트 담체(ferrite-carrier)로서 교반되어 음극성(negative electricity)으로 대전된다. 그리고, 각각의 현상제-슬리브는 진동전위(oscillating potential)가 중첩되어지는 음극성의 바이어스 전위를 생성할 수 있는 바이어스 전원(미도시)에 연결됨으로서, 각각의 현상제-슬리브에는 진동성분이 중첩되어지는 음극의 DC성분을 갖는 전류가 제공되어진다. 감광체 1의 금속 베이스에 관한 각각의 현상제-슬리브용 전압이 각각에 대하여 설정된 범위내에 있도록 제어된다.
상기 제 1전사 유니트 3는 제 1전사 바이어스 롤러 3a, 밸트 구동롤러 3b, 텐션 롤러 3c, 제 2전사 대향롤러 3d, 소제기 대향 롤러 3e, 접지 롤러 3f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롤러 및 상기 다수개의 롤러 3a-3f 주위에 걸쳐진 제 1전사밸트 3g등을 포함한다. 상기 밸트구동롤러 3b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서 구동되는 경우, 제 1전사 유니트 3의 제 1전사밸트 3g는 도 1에서 화살표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 1전사밸트 3g는 단층(mono-layered) 구조이거나 다층(multi-layered)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반도체 재료 및/혹은 절연재료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단층 구조를 가진 밸트에서 사용되어질 수 있는 재료에 관하여, 예를들면, PVDF( Polyvinyliden fluoride) 수지, ETFE( ethylene/ polytetrafluoroethylene)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 폴리아미드(polyamide) 수지등이 사용가능하다.
상기 제 1전사밸트 3g 혹은 제 2전사밸트 4d등은 그 밖의 알려진 구조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밸트는 고무탄성층과 같은 탄성층과 상기 탄성층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강화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두께방향으로의 상기 탄성층의 경도는 규정값을 갖도록 설계되어 경도에 관련된 전사품질의 결함, 즉 토너화상의 내측부안에 토너의 흩어짐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절연섬유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절연섬유들 사이의 간격은 규정된 값, 예를들면 0.05 내지 2mm의 범위내 규정값을 갖도록 설계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밸트가 정전전사 프로세스중에 규정된 전기도전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토너화상이 감광체 1로부터 제 1전사영역 7을 통하여 전사되어지는 경우, 전사바이어스 전압이 제 1전사전원 8을 사용하여 제 1전사바이어스 롤러 3a로 인가되고, 이는 상기 바이어스 전압 혹은 전류가 겹쳐지는 토너화상수에 따라서 규정된 값을 갖도록 제어된다. 또한, 접지전위로 바이어스 되는 밸트-제전 브러쉬 19는 제 1전사영역 7내의 제 1전사밸트 3 g의 내측면상에 접하여 제 1전사영역 7을 제전(discharge)하게 된다.
그리고, 감광체 1와 제 1전사밸트 3g사이의 규정된 닢부들이, 제 1전사바이어스 롤러 3a와 접지롤러 3f사이에서 펼쳐진 제 1전사밸트 3g 의 일부분을 감광체 1의 표면에 대하여 밀음으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전사영역 7은 감광체 1로부터 제 1전사밸트 3g로 토너화상을 전사하도록 형성되어지며, 이는 상기 제 1전사밸트 3g의 상기 부분을 감광체 1의 표면에 긴밀하게 접촉시킴으로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각의 다수개의 롤러 3b-3f들은 전기적 도전성을 갖는 재료를 채용하고, 제 1전사바이어스 롤러 3a를 제외한 접지전위에 연결된다. 소제기 대향 롤러 3e상에서 제 1전사밸트 3g의 표면에 접촉하는 밸트소제 브러쉬 15, 소제-블레이드(미도시), 및 상기 소제 블레이드에 인접한 윤활제 피복 브러쉬 5a들이 각각 제 1전사밸트 3g를 위하여 제공된다. 상기 소제 블레이드와 윤활제 피복 브러쉬 5a들은 상기 제 1전사밸트 3g에 접촉하고 분리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규정된 타이밍에서 상기 제 1전사밸트 3g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윤활제 피복 브러쉬 5a는 징크 스테어레이트(zinc stearate)를 포함하는 윤활제 플레이트 5b를 마모시키고, 상기 마모된 징크 스테어레이트 미세-입자들을 상기 제 1전사밸트 3g 의표면상에 피복한다.
상기 제 2전사밸트 4는 3개의 지지롤러 4a-4c주위에 걸려진 제 2전사밸트 4d를 포함한다. 상기 3개의 지지롤러 4a-4c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밸트를 구동시키는 구동롤러로서 작용한다. 상기 구동롤러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서 구동되어지는 경우, 제 2전사밸트 4d는 도 1에서 화살표 c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전사밸트 4d는 제 1전사밸트 3g의 거의 반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도록 설계된다.
상기 제 2전사유니트 4는 제 2전사밸트 4d를 제 1전사밸트 3g에 접촉/분리시킬 수 있는 접촉/분리 메카니즘을 갖는다. 도 1에서 2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롤러 4a는 도 1에서 우측부에 도시되어 있고, 제 2전사를 위한 제 2전사 바이어스 롤러 4e는 상,하부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롤러 4a 및 4e들은 구동메카니즘을 사용하여 규정된 타이밍으로서 이동할 수 있다(미도시).
상기 지지롤러 4a와 제 2전사 바이어스 롤러 4e가 이러한 접촉/분리 메카니즘을 사용하여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는 때, 상기 지지롤러 4a 및 4c사이에서 펼쳐진 상태의 제 2전사밸트 4d는 상기 제 1전사유니트 3의 제 2전사 대향롤러 3d의 원주표면상에서 상기 제 1전사밸트 3g의 일부분에 대하여 가압됨으로서 닢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 2전사영역 10이 상기 제 2전사대향롤러 3d와 제 2전사바이어스 롤러 4e 의 사이에서 제 1전사밸트 3g와 제 2전사밸트 4d를 집음(nipping)으로서 형성된다.
제 2전사밸트 4d의 하류측 영역에서, 즉 도 1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롤러 4c의의 전사시트 제전기 12와, 상기 지지롤러 4c 하부측의 벨트-제전기 13등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소제 블레이드 14는 제 2전사밸트 4d 의 하부측 중간부분에서 상기 지지롤러 4b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제 2전사밸트 4d 에 대하여 접함으로서 제 2전사밸트 4d를 집게 된다.
상기 제 2전사밸트 4d 상에서 전사시트 P에 인가된 전하(electric charge)가 상기 전사시트 제전기 12를 사용하여 제거되어지는 경우, 상기 전사시트 P는 그 견고성에 따라서 상기 제 2전사밸트 4d 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밸트-제전기 13는 상기 제 2전사밸트 4d의 표면을 제전(discharge)시키고, 그로부터 상기 전사시트 P가 분리되어진 후, 상기 소제 블레이드 14는 상기 제 2전사밸트 4d의 표면상에 부착하여 잔류하는 부착 잔류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상술한다. 이하, 컬러토너화상을 현상하는 일련의 예시적인 순서를, BK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사작으로 하여, C화상을 형성하고, M화상과, Y화상을 후속적으로 현상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순서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예시적인 순서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복사작동이 시작하면, 복사개시의 지령에 따라서, 감광체 1는 모터(미도시)에 의해서 구동되어 도 1에서 화살표 A방향으로 도시된 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 1전사유니트 3의 제 1전사밸트 3g는 밸트구동롤러 3b에 의해서 구동되어 도 1에서 화살표 B로 도시된 방향으로, 상기 감광체 1와 동일한 원주속도로 회전된다.
이러한 감광체 1와 제 1전사밸트 3g의 회전이 개시된 때, 상기 제 2전사 유니트 4는 대기상태에서, 상기 접촉/분리 메카니즘을 사용하여 제 1전사밸트 3g하부의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대기상태에 있는 경우, 리벌버-현상제장치 2의 현상장치 BK는 현상을 위하여 홈위치(home position)에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BK화상에 대한 판독작동은 컬러 스캐너를 사용하여 규정된 타이밍에서 개시된다. 연속적으로, 광학기입유니트(미도시)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빔을 활용하는 기입작동이 개시되어 상기 감광체 1의 표면상에 얻어진 화상데이터에 일치하는 잠상의 형성을 시작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BK화상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어진 정전잠상을 BK잠상이라 한다. C잠상, M잠상, 혹은 Y잠상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현상작동은 상기 BK잠상의 전방측 모서리로부터 개시하기 때문에, 상기 현상제-슬리브는 그 회전을 개시하여 상기 BK잠상의 전방모서리가 현상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토너로서 BK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준비가 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현상작동은 BK잠상의 후방모서리가 BK의 현상위치를 통과할 때 까지 지속된다. 이러한 현상작동이 종료된 후, 상기 리벌버-현상제장치 2는 후속적인 C현상작동을 실행하기 위하여, BK의 현상위치로부터 C의 현상위치 까지 빠르게 회전하여 그 위치를 절환한다. 이는, C화상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된 C잠상의 전방모서리가 현상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종료된다.
다음, 감광체 1의 표면상에 형성된 BK토너화상이 제 1전사영역 7을 통하여제 1전사밸트 3g의 표면상으로 전사된다( 이하, 감광체 1로부터 제 1전사밸트 3g로의 토너화상의 전사작동을 제 1전사라 한다). 상기 제 1전사는 상기 제 1전사 바이어스 롤러 3a로 전압을 인가함으로서 생성되어진 전사 바이어스 자장하에서 감광체 1가 제 1전사밸트 3g에 접촉 유지되는 상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감광체 1상에 후속적으로 형성되어진 BK, C, M 및 Y의 4개의 토너의 화상이 각각의 화상에 대한 정확한 위치제어하에, 제 1전사밸트 3g의 동일표면상에 각각 중첩(overlaid)되어 짐으로서 4 컬러의 제 1전사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감광치 1에 대한 BK프로세스에 후속하여, 감광체 1는 C화상에 대한 다음의 프로세스로 진행한다. 상기 C화상에 대한 판독 프로세스는 컬러 스캐너를 사용하는 규정된 타이밍으로서 시작을 개시하고, C화상에 대한 기입 프로세스는 광학 기입유니트가 컬러 스캐너에 의해서 얻어진 화상데이터에 일치하는 상기 C잠상을 기입하기 위한 레이저빔을 방출하는 때에 개시한다. 상기 리벌버- 현상제 장치 2는 상기 BK화상의 후방부가 상기 현상영역을 통과한 후, 일정 타이밍으로서 회전을 개시하고, 상기 C잠상이 현상영역에 도달하기 전에 그 회전이 종료되어 상기 리벌버-현상제 장치 2가 C토너로서 상기 C잠상을 현상하게 된다.
상기 C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상기 C 잠상의 후방모서리가 상기 현상영역을 통과할 때까지 지속되고, 상기 현상장치 2C는 회전을 개시하여 다음의 M잠상의 전방모서리가 현상영역에 도달하기 전에 그 회전이 종료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M화상과 Y화상에 대한 프로세스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들의 판독, 잠상형성, 현상등의 각각의 프로세스는 BK 및 C화상의 것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 1전사 유니트 3에 대한 제 1전사가 종료되기 전에, 제 2전사유니트 4는 규정된 타이밍으로서 회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전사유니트 3와 제 2전사유니트 4사이의 제 2전사영역 10의 형성은, 제 1전사유니트 3상의 4 컬러 제 1전사토너화상의 전방모서리가 제 2전사영역 10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접촉/분리 메카니즘을 사용하여 종료된다.
상기 전사시트 P는, 상기의 화상형성작동이 이루어지는 시간 동안, 전사시트 카세트 혹은 수동 종이공급 트레이와 같은 시트공급유니트 105를 통하여 공급되어, 한쌍의 등록 롤러사이의 닢부에서 대기상태로 정지한다. 상기 등록롤러쌍은 일정 타이밍으로서 구동되어 제 1전사밸트 3g상에 전사된 토너화상의 전방모서리가 상기 전사시트 P의 전방모서리에 일치하거나 혹은 근접한 사전에 설정된 위치에서 정확하게 중첩되도록 한다. 조절된 등록위치를 갖고 상기 전사시트 P가 도 1에 도시된 제 2전사영역 10으로 이동된다.
상기 전사시트 P가 제 1전사밸트 3g의 4개 컬러토너화상상에 중첩되어진 제 2전사영역을 통과하는 때, 4-컬러토너화상은 전체적으로, 제 2전사바이어스 롤러 4e로 인가된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서 생성된 전사바이어스 전기장에 의하여 상기 전사시트 P로 이동된다. 상기 전사시트 P는, 전하가 그 상부에 수반되면서 상기 이동된 전체 4-컬러토너화상을 포함하며, 제 2전사밸트 4d에 긴밀하게 접촉되고, 한쌍의 정착롤러를 갖는 정착 유니트 5를 향하여 전진한다. 상기 전사시트 P가 상기 전사시트 P의 공급방향으로 하류측에 위치되는 전사시트 제전기 12에 마주하는 영역을 통과하는 때, 상기 전사시트 P는 제전(discharge)된다. 다음, 상기 전사시트 P는 제 2전사밸트 4d 로부터 분리되어 정착 유니트 5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전진되어지는 전사시트 P상의 토너화상은 정착유니트 5의 한쌍의 정착롤러 사이의 닢부(nip)에서 정착되기 위하여 용융된다(fused). 그리고, 상기 전사시트 P는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배출되어 복사시트용 트레이(미도시)상에 적재되고, 완전한 컬러 복사화상이 전사시트 P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전사가 감광체 소제유니트 1a를 사용하여 소제된 후, 상기 감광체 1의 표면은 제전램프 1b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제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전사밸트 3g의 표면상에 남아 있는 잔류토너는 밸트소제 블레이드(미도시)와 상기 밸트소제 브러쉬 15를 사용하여 상기 표면으로부터 제거된다.
반복 복사작동이 지시되는 경우, 종이로 이루어진 제 1시트의 Y화상형성 프로세스를 후속하여, 컬러스캐너의 작동과 감광체 1의 화상형성작동이 다음 전사시트 P 에 대한 제 1토너화상에 일치하는 BK화상을 형성하도록 적절한 타이밍으로서 각각의 작동으로 진행한다. 상기 제 1전사시트 P 에 대한 상기 설명된 4-컬러토너화상의 제 2전사에 후속하는 제 1전사에 관해서는, 다음 전사시트 P에 대한 BK토너화상이 상기 언급된 소제 블레이드등을 사용하여 소제작동이 완료된 제 1전사밸트 3g의 표면으로 전사된다. 연속적으로, 상기 프로세스는 제 1전사시트 P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상기의 설명은 4-컬러 혹은 풀-컬러(full color)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작동에 대하여 이루어졌다. 2-컬러 혹은 3-컬러화상에 대한 작동도 상기 4-컬러 화상에 대한 것과 유사하며, 상기 토너화상을 중첩시키기 위한 전사 프로세스는 토너의 규정된 회수동안, 그리고 반복복사 프로세스에 대한 규정된 횟수동안 지속된다.
단일 컬러화상(mono-color images)의 작동에 관하여는, 상기 복사 프로세스는 지시된 컬러에 일치하는 현상장치 2BK-2Y중의 어느 하나가 규정된 위치, 즉 현상 프로세스를 항상 이루는 위치에 유지되는 상태에서, 규정된 전사지 매수에 대한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까지 연속적으로 지속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설명된 밸트소제 블레이드는 상기 일련의 복사작동도중에 제 1전사밸트 3g에 가압된 상태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제 1전사유니트 3와 제 2전사유니트 4는 상기 전사 밸트 3g와 4d가 각각 다수개의 롤러 주위에 걸쳐지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그것들이 오랜시간 동안 대기상태로 남아 있는 경우, 상기 다수개의 롤러의 원주면상에 정지하고 있는 상기 밸트의 각각의 부분들이 소성변형으로 변형된다. 상기 소성변형으로 변형된 부분들은 각각 다수개의 롤러들의 배치에 따라서 상기 밸트내에 각각 위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변형부들의 위치는 일반적인 경우, 상기 롤러들의 배치가 변화하는 경우, 변화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전사유니트 3의 제 1전사밸트 3g가 다수개의 롤러 3a-3f에 의해서 고장력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상기 다수개의 롤러들의 원주면에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어지는 제 1전사밸트 3g의 부분들은 소성변형으로서 변형되고, 상기 변형부 3a'-3f'가 형성된다. 이하에서, 참조부호 3a-3f의 우측에 첨자가 부여된 참조부호 3a'-3f'들은 모두, 상기와 일치하는 참조부호들로 표시된 롤러에 접촉함으로서 소성변형으로 변형되어진 상기 제 1전사밸트 3g의 일부분을 나타낸다. 예를들면, 참조부호 3a'는 오랜 시간주기동안, 상기 롤러 3a의 원주면에 접촉함으로서 소성변형으로 변형된 제 1전사밸트 3g의 일부분을 나타낸다. 이하, 소성변형으로 변형되어진 다른 부분들은 이와 유사한 방식의 참조부호들을 사용하여 표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2전사유니트 4의 제 2전사밸트 4d는 상기 롤러 4a와 4c에 의한 고장력으로서 당겨진다. 상기 제 2전사밸트 4d가 오랜 시간주기동안 다수개의 롤러들의 원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 후, 상기 부분 4a'와 4c'들도 소성변형으로 변형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변형부 4a'는 상기 지지롤러 4a의 원주면에 접촉된 상태이었던 제 2전사밸트 4d의 일부분에 일치하고, 상기 변형부 4c'는 상기 지지롤러 4c의 원주면에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었던 일부분에 일치한다. 그러나, 상기 지지롤러 4b에 의한 소성변형의 효과는 본 내용에서 고려되지 않으며, 그 이유는 상기 지지롤러 4b가 상기 제 2전사밸트 4d를 날카롭게 굽지 않는 위치에 제공되어 소성변형이 상기 지지롤러 4b와의 접촉을 통하여 초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만일, 상기 변형부 3a'-3f'중의 어느 하나와 상기 변형부 4a'와 4c'중의 어느 하나가 제 2전사영역 10에서 서로 겹쳐진다면, 화상품질은 상기 겹침부와 같은 부분을 통하여 전사되어진 화상의 일부분에 빈번한 열화가 일어난다. 이는, 상기 제 2전사영역 10내의 긴밀한 접촉이 이 같은 경우에서 쉽게 깨지기 때문이다. 상기 다수의 밸트의 소성변형에 관계된 결점들을 고려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전사유니트 3와 제 2전사유니트 4들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각각의 특정 구조들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이후에 설명될 구정된 제어하에서 제 1전사유니트와 제 2전사유니트 4를 구동시킨다.
상기 제 1전사유니트 3와 제 2전사유니트 4는 각각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검출기 6와 9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전사밸트 3g 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 6는 예를들면, 제 1전사밸트 3g의 데이텀위치(datum position)를 나타내는 검출마크 6a와, 상기 검출 마크 6a를 검지하는 광학 센서 6b 들을 포함한다. 반사식 센서 혹은 투과식 센서(transmission type sensor)등이 검출기 6로서 사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얇은 반사부재 6a( 이하, 반사마크 6a라 한다)가 제 1전사밸트 3g의 내측면상에 부착되고, 반사식 광센서 6b( 이하, 광학센서 6b라 한다)가 상기 제 1전사밸트 3g의 내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됨으로서 작동중에 상기 광학 센서 6b를 통과하는 상기 검출 마크 6a를 검지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검출 마크의 반사성(reflectivity)은 제 1전사밸트 3g의 내측면의 것과는 다름으로서, 상기 검출마크 6a가 광학센서 6b를 통과하는 때, 상기 광학센서 6b는 반사성의 변화를 검출한다. 즉, 검출된 반사성의 변화는 예를 들면, 높은 반사성을 갖는 다른 표면으로 부터의 반사성에 대하여 낮은 반사성을 간는 표면으로 부터의 반사성, 혹은 낮은 반사성을 갖는 다른 표면으로 부터의 반사성에 대한 높은 반사성을 갖는 표면으로 부터의 반사성등이다. 그리고, 다수개의 검출 마크등이 사용가능하다.
다르게는, 투과식 광센서가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예를들면, 구멍이전사영역으로서 사용되어지지 않는 상기 제 1전사밸트 3g의 규정된 부분을 통하여 가공된다. 상기 투과식 광센서는 상기 구멍을 통하여 투과된 광 플럭스(light flux)를 검출하도록 된 위치에 제공된다.
상기 제 2전사밸트 4d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된 검출기 9는 상기 제 2전사밸트 4d 에 대한 데이텀 위치를 나타내는 검출마크 9a와, 상기 검출 마크 9a를 검지하는 광학 센서들을 포함한다. 상기 검출마크 9a는 제 1전사유니트 3에 대한 검출기 6와 유사할 수 있다. 상기 검출기 9는 반사식 센서나 혹은 투과식 센서중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반사식 검출 마크 9a는 제 2전사밸트 4d의 내측표면에 부착되고, 반사식 광학 센서 9b는 제 2전사밸트 4d의 내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검출마크 9a가 상기 광학 센서 9b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 1전사 유니트 3와 제 2전사유니트 4는 각각 검출기 6와 9를 갖추고, 각각 적절한 타이밍에서 정지하도록 제어되어 상기 제 1전사밸트 3g와 제 2전사밸트 4d들은, 제 1전사유니트 3와 제 2전사유니트 4가 화상형성을 위하여 그 작동을 정지하도록 제어되는 경우, 각각의 규정된 위치에서 정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전사밸트 3g 의 회전은 상기 제 1전사밸트 3g의 검출마크 6a가 검출된 후, 규정된 타이밍에서 정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 2전사밸트 4d의 회전은 상기 제 2전사밸트 4d의 검출마크 9a가 검지된 후, 규정된 타이밍에서 정지한다. 이러한 경우, 제 1전사밸트 3g에 대한 규정된 타이밍은 상기 검출마크 6a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학센서 6b에 대한 대향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전사유니트 4의 제 2전사밸트 4d에 대한 규정된 타이밍은 상기 검출 마크 9a가 도 1에서 좌측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롤러 4c의 저부에 인접한 고정된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제 1전사유니트 3와 제 2전사 유니트 4를 정지시키기 위한 상기 설명된 제어로서, 제 1전사밸트 3g와 제 2전사밸트 4d는 각각 상기 동일위치에 항상 정지한다. 따라서, 변형부 3a'-3f', 4a' 및 4c'들이 상기 롤러 3a-3f, 4a 및 4c의 동일 원주표면상에서 항상 정지하는 밸트의 부분들에서 형성되어진다. 상기 제 1전사밸트 3g와 제 2전사밸트 4d가 회전하는 시간도중에, 상기 변형부들의 각각의 위치들은 상기 밸트의 속도와 상기 검출 마크 6a혹은 검출 마크 9a가 검지되어진 가장 늦은 시간에 근거하는 계산을 사용하여 결정되어 질 수 있다.
도 2는 제 1전사밸트 3g와 제 2전사밸트 4d에 형성된 상기 변형부들의 각각의 위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다이아그램이다. 도 2에서, 각각의 밸트들은 밸트사이의 비교가 용이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즉,제 1전사밸트 3g와 제 2전사밸트 4d들은 검출마크 6a와 9a부근의 각각의 위치에서 절개 개방된 것이고,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무한궤도형을 갖는 제 1전사밸트 3g 는 도 1에서 화살표 D로 도시된 지점에서 절단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무한궤도형을 갖는 제 2전사밸트 4d는 도 1에서 화살표 E로 도시된 바와 같은 지점에서 절단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동일한 구조를 갖는 다른 제 2전사밸트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어 상기 2 밸트사이의 비교가 제 1전사밸트 3g의 전체 길이에 관하여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된다. 상기 제 1전사밸트 3g의 검출마크 6a와 상기 연결된 제 2전사밸트 4d의 제 1검출마크 9a들은 각각의 모서리에 위치되고 도 2에서 가장 좌측에도시되어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전사밸트 3g의 전체 원주길이 3L은 상기 제 2전사밸트 4d의 전체 원주길이 4L의 거의 2배가 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변형부 3a'-3f'는, 상기 검출마크 6a가 상기 검출마크 9a에 일치하도록 조정되어지는 경우, 변형부 4a' 와 4c'에 겹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1전사밸트 3g가 그 주위에 감겨지는 다수개의 롤러 3a-3f의 배치와, 상기 제 2전사밸트 4d 가 감겨지는 상기 다수개의 롤러 4a와 4c들은 하나의 밸트의 변형부들이 각각 다른 하나의 밸트의 변형부들 사이의 중간부분에 각각 위치되도록 설계되어진다.
상기 제 1전사밸트 3g와 제 2전사밸트 4d가 각각 동일한 원주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제 2전사밸트 4d는 1싸이클의 제 1전사밸트 3g의 회전에 비하여 정확하게 2싸이클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제 1전사밸트 3g와 제 2전사밸트 4d사이의 위치일치는 회전중에 유지되고, 상기 변형부 3a'-3f'중의 어느 부분도 상기 제 2전사영역 10내에서 변형부 4a'와 4c'에 접촉되지 않게 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작동시키는 한가지 모드에서, 제 1전사유니트 3는 먼저 회전을 개시하고, 그 다음 제 2전사유니트 4는 감광체 1로부터 제 1전사유니트 3로의 토너화상의 전사가 종료되는 타이밍에서 회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 2전사밸트 4d의 원주속도가 제 1전사밸트 3g와 동일한 속도에 도달한 후, 제 2전사영역 10이 상기 제 2전사밸트 4d를 제 1전사밸트 3g에 접촉시키는 상기 접촉/분리 메카니즘을 사용하여 설정된다.
이러한 작동모드에서, 상기 제 2전사 유니트 4는 상기 제 1전사 유니트 3의검출 마크 6a의 검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특정 타이밍으로서 회전을 개시하도록 요구되어짐으로서 상기 변형부 3a'-3f'들이 제 2전사영역 10내에서 변형부 4a'와 4c'에 겹쳐지지 않는다.
도 3은 제 1전사밸트 3g와 제 2전사밸트 4d의 타이밍 챠트이다. 상기 검출 마크 6a, 검출마크 9a, 상기 변형부 3a'-3f' 및 변형부 4a'와 4c'들이 각각 상기 제 2전사영역 10을 통과하는 때의 타이밍을 지시하는 일련의 타이밍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 2전사밸트 4g의 회전을 개시하기 위한 타이밍이 제어되어 상기 제 1전사밸트 3g가 대략 1싸이클로 회전하는 시간주기내에, 상기 검출마크 9a가 제 2전사영역 10을 통과하는 타이밍이 상기 검출마크 6a의 타이밍과 일치하게 된다. 그 후, 회전하는 제 1전사밸트 3g와, 회전하는 제 2전사밸트 4d들이 제 2전사영역 10에서 서로 접촉하게 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상의 일치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변형부 3a'-3f'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형부 4a'와 4c'에 겹쳐지지 않도록 됨으로서, 이러한 모드의 작동에서 화상품질의 열화가 방지되어지며, 만일 이와 같지 않으면, 상기 변형부들이 서로 겹쳐지는 때, 화상열화가 발생되는 것이다.
비록, 상기 모드의 작동이 상기 설명에서는 검출 마크 6a와 검출마크 9a사이의 일치에 근거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작동모드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일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작동모드로서도 대기상태(a standstill state)에 관련된 상기 검출마크 6a와 검출마크 9a 사이의 특정 위치관계를 충분히 만족하여 상기 전사영역에서 아무런 변형부들이 겹쳐지지 않도록 하는 작동모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 2전사유니트를 구동하기 위한 타이밍은 회전하는 제 1전사밸트 3g의 위치와, 아직 정지상태의 제 1전사밸트 3g의 위치 및, 각각의 변형부의 위치들에 근거하여 일반적으로 결정되어 진다.
따라서, 지금까지 제 1전사유니트와 제 2전사유니트의 조합체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를 기술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며, 이는 다수개의 롤러주위에 감겨진 밸트를 갖는 화상담지부재와 밸트를 갖는 중간 전사유니트들의 조합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화상담지부재와 중간전사 유니트들은 상기 제 1전사유니트 3와 제 2전사유니트 4와 유사한 각각의 상황으로 설명되어 질 수 있다.
명백한 것은, 여기에 기재된 상기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구조 및 개선구조들이 본 개시내용에 의해서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클레임의 범위내에서 본 발명은 여기에 특별하게 기재된 것과는 다르게 실행되어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내용은 1998, 6, 29 자로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제 10-196523/1998호에 근거한 것으로, 그 전체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기재되어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가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밸트의 소성변형에 기인하여 화상품질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신규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8)

  1. 적어도 하나의 전사유니트들의 조합체를 가지고, 어느 하나의 전사유니트로부터 상기 전사유니트들 사이의 전사영역을 통하여 다른 전사유니트로 토너화상이 전사되어지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전사유니트내에 배치된 다수개의 제 1롤러들;
    상기 제 1롤러들의 주위에 걸리고, 일정원주속도로서 구동되어지며, 대기상태(a standstill state)의 시간주기동안 소성변형에 의하여 변형을 시키는 상기 제 1롤러들의 각각의 원주표면상에 위치되어지는 제 1변형부들을 갖는 제 1밸트;
    다른 전사유니트내에 배치된 다수개의 제 2롤러들;
    상기 제 2롤러들의 주위에 걸리고, 전사영역이 제 1밸트와의 사이의 닢부(nip)에서 형성되어지는 때, 상기 제 1밸트와 동일한 원주속도로서 구동되어지며, 대기상태의 시간주기동안 소성변형에 의하여 변형을 시키는 상기 제 2롤러들의 각각의 원주표면상에 위치되어지는 제 2변형부들을 갖는 제 2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밸트와 제 2밸트들은 상기 제 1변형부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전사영역내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 2변형부들의 각각이 상기 전사영역내에 위치되는 것이 방지되어지도록 구동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밸트의 길이는 상기 제 2밸트의 길이의 정수배(integral multiples)에 거의 동일하도록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밸트의 길이는 상기 제 1밸트의 길이의 정수배(integral multiples)에 거의 동일하도록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밸트상에 배치된 제 1검출마크;
    상기 제 1검출마크를 검지하기 위한 제 1검출기;
    상기 제 2밸트상에 배치된 제 2검출마크;
    상기 제 2검출마크를 검지하기 위한 제 2검출기; 및
    전사영역에서 상기 제 1밸트와 제 2밸트를 서로 접촉/분리시키기 위한 접촉/분리 메카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밸트와 제 2밸트들은 각각 독립적인 타이밍으로서 회전을 개시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제 2변형부들은 제 1변형부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전사영역내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전사영역내에 위치되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각각의 규정된 위치에 정지하도록 각각 독립적인 타이밍으로서 각각 회전을 정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분리 메카니즘은 상기 제 1변형부 및 제 2변형부들이 전사영역내에서 서로 겹쳐지지 않는 때의 시간 주기동안 상기 제 1밸트와제 2밸트들이 상기 접촉영역내에서 서로 접촉하도록 제어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유니트의 조립체들은 화상담지부재와 제 1전사유니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유니트의 조립체들은 제 1전사유니트와 제 2전사유니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적어도 하나의 전사유니트들의 조합체를 가지고, 어느 하나의 전사유니트로부터 상기 전사유니트들 사이의 전사영역을 통하여 다른 전사유니트로 토너화상이 전사되어지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전사유니트내에 배치된 다수개의 제 1롤러들;
    상기 제 1롤러들의 주위에 걸리고, 일정원주속도로서 구동되어지며, 대기상태(a standstill state)의 시간주기동안 소성변형에 의하여 변형을 일으키는 상기 제 1롤러들의 각각의 원주표면상에 위치되어지는 제 1변형부들을 갖는 제 1밸트;
    다른 전사유니트내에 배치된 다수개의 제 2롤러들;
    상기 제 2롤러들의 주위에 걸리고, 전사영역이 제 1밸트와의 사이의 닢부(nip)에서 형성되어지는 때, 상기 제 1밸트와 동일한 원주속도로서 구동되어지며, 대기상태의 시간주기동안 소성변형에 의하여 변형을 일으키는 상기 제 2롤러들의 각각의 원주표면상에 위치되어지는 제 2변형부들을 갖는 제 2밸트;및,
    상기 제 1변형부중의 어느 하나가 전사영역내에서 상기 제 2변형부중의 어느 하나에 겹쳐지는 경우, 상기 제 1전사유니트와 제 2전사유니트사이의 화상전사작동을 방지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9990024675A 1998-06-29 1999-06-28 소성변형에 기인한 화상열화를 방지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314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96523 1998-06-29
JP19652398 1998-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519A KR20000006519A (ko) 2000-01-25
KR100314952B1 true KR100314952B1 (ko) 2001-11-23

Family

ID=16359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675A KR100314952B1 (ko) 1998-06-29 1999-06-28 소성변형에 기인한 화상열화를 방지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061543A (ko)
KR (1) KR1003149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805C (zh) 1998-11-24 2003-10-08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中的消电技术及清洁技术的改良
JP3676932B2 (ja) * 1998-11-24 2005-07-27 株式会社リコー 転写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3963638B2 (ja) 2000-09-07 2007-08-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6701100B2 (en) 2001-01-23 2004-03-02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n image carrier and a polarization uniforming structure
JP3888862B2 (ja) 2001-05-28 2007-03-0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6901234B2 (en) * 2002-03-18 2005-05-3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n intermediate image transfer belt and high resistance contact member
JP3901647B2 (ja) * 2002-04-04 2007-04-04 株式会社リコー ベルト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037889A (ja) * 2002-07-04 2004-02-05 Ricoh Co Ltd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7054587B2 (en) * 2003-06-23 2006-05-30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recording on two sides in a single pass
US7203433B2 (en) * 2003-06-25 2007-04-10 Ricoh Company, Ltd. Apparatus for detecting amount of toner deposit and controlling density of image, method of forming misalignment correction pattern,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correcting misalignment of image
JP4778671B2 (ja) * 2003-07-02 2011-09-2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に用いる転写用部材の抵抗変化判定方法
JP3954999B2 (ja) 2003-08-18 2007-08-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KR100618326B1 (ko) 2004-08-31 200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벨트 클러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7286785B2 (en) * 2004-12-27 2007-10-23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7643767B2 (en) 2006-03-02 2010-01-05 Ricoh Co., Ltd. Transfer-fix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enhanced image quality
US7711301B2 (en) * 2006-03-10 2010-05-04 Ricoh Company, Ltd. Image transfer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4914122B2 (ja) * 2006-06-08 2012-04-11 株式会社リコー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371291B2 (ja) * 2008-06-06 2013-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750912B2 (ja) * 2011-01-28 2015-07-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04360B2 (ja) 2011-07-04 2015-11-0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769035B2 (ja) * 2016-01-20 2020-10-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US10324388B2 (en) 2016-03-18 2019-06-18 Ricoh Company, Ltd. Toner, toner stored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19060952A (ja) * 2017-09-25 2019-04-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79851C (nl) * 1976-03-18 1986-11-17 Oce Van Der Grinten N V P A Oc Inrichting voor het overdragen en fixeren van beelden.
JPH06124049A (ja) * 1992-08-28 1994-05-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470472B2 (ja) * 1995-09-27 2003-11-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転写装置
KR100270058B1 (ko) * 1996-04-01 2000-10-16 사가이 가쯔히로 화상형성장치
US5887218A (en) * 1996-06-10 1999-03-23 Ricoh Co., Ltd.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and transfer sheet bearing members and image form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519A (ko) 2000-01-25
US6061543A (en) 2000-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4952B1 (ko) 소성변형에 기인한 화상열화를 방지하는 화상형성장치
US7657196B2 (en) Compact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moveable optical sensor
US741159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31788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eaturing a defined relationship among an image length, transforming member length, and length of an electric field area
JP3772032B2 (ja) 画像形成装置
US687980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6907217B2 (en) Image forming device capable of suppressing distortion in output image
US1147445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an selectively switch between two transfer rollers
JP200207257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031927A (ja) 画像形成装置
JP3736941B2 (ja) 多色画像形成装置
JP393682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194921A (ja) ベル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053814B1 (ja) 画像形成装置
JP3968200B2 (ja) 画像形成装置
JP4147310B2 (ja) 画像形成装置
JPS59154465A (ja) 二色電子写真複写機
JPH0635262A (ja) 画像形成装置
JPH0721001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20199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56601A (ja) ベルト走行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825924B2 (ja) カラー画像形成方法及び装置
JPH10133495A (ja) 画像形成装置
JP5560692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21000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