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9254B1 - 좌표검출태블릿을갖는필기데이터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좌표검출태블릿을갖는필기데이터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9254B1
KR100309254B1 KR1019980011467A KR19980011467A KR100309254B1 KR 100309254 B1 KR100309254 B1 KR 100309254B1 KR 1019980011467 A KR1019980011467 A KR 1019980011467A KR 19980011467 A KR19980011467 A KR 19980011467A KR 100309254 B1 KR100309254 B1 KR 100309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recognition
frame
data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0988A (ko
Inventor
이사오 에비사와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19980080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2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06V30/36Matching; Classification
    • G06V30/373Matching; Classification using a special pattern or subpattern alphab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펜에 의해 수기입력된 필기데이터를 검출하는 좌표검출태블릿을 갖는 필기데이터입력장치 및 프로그램기억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태블릿으로부터 수기입력된 필기데이터를 입력하여 입력처리하기 위해 소정의 앞처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앞처리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때의 쓸데없는 수기입력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필기데이터입력장치는 태블릿에 입력펜이 가까이 갔을 때에 CPU는 앞처리가 완료되어 있는지 판별하고 앞처리가 완료되어 있지 않으면 버저를 구동시켜서 알람음을 발생하고 오퍼레이터에 필기입력의 무효를 사전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좌표검출태블릿을 갖는 필기데이터입력장치
본 발명은 수기입력가능한 필기데이터입력장치 및 그 프로그램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태블릿부착데이터입력장치에 있어서는 문자기입란이 인쇄형성되어 있는 문서를 태블릿상에 서로 겹친 상태에서 문서의 문자기입란에 필기된 정보를 미리 정의되어 있는 태블릿상의 문자틀(인식틀)에 입력된 필기데이터로서 입력하여 문자인식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문서를 태블릿상에 서로 겹쳐서 문서상에 인쇄형성되어 있는 기준포인트를 태블릿상의 위치결정포인트에 맞추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문서를 태블릿상에 서로 겹친 상태에 있어서 문서기입은 필기데이터입력장치가 어떠한 상태이어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필기데이터입력장치의 전원이 OFF인채로 되어 있을 때, 또는 전원은 ON되어 있지만 필기데이터를 입력하여 입력처리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어 있지 않을 때, 또는 전자유도식의 태블릿에 있어서는 전용펜을 필요로 하지만 전용펜이 아니라 다른 필기구 등이 이용되었을 때에는 문서상에 실제로 필기된 데이터를 입력하여 처리할 수 없고 그것까지의 필기가 쓸데없게 되어 버린다.
또 태블릿부착데이터입력장치에 있어서는 문자기입란이 인쇄형성되어 있는 문서를 태블릿상에 서로 겹친 상태에서 문서의 문자기입란에 필기된 정보를 미리 정의되어 있는 태블릿상의 문자틀(인식틀)에 입력된 필기데이터로서 입력하여 문자인식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문서를 태블릿상에 서로 겹쳐서 문서상에 인쇄형성되어 있는 기준포인트를 태블릿상의 위치결정포인트에 맞추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문서와 태블릿의 위치맞춤을 실시했다고해도 문서기입시에 그 기입작업에 의해서 문서가 움직이거나 위치결정포인트의 지정이 정확하지 않거나 문서에 인쇄어긋남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문서의 문자기입란을 태블릿상의 문자틀과의 사이에 상대적인 어긋남을 생기게 하고 문자인식을 정확히 실시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제 1 과제는 태블릿으로부터 필기입력된 데이터를 입력하여 입력처리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미리 결정되어 있는 앞처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앞처리가 완료되어 있지 않을 때의 쓸데없는 필기입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과제는 문서 등의 기입시트를 태블릿에 놓은 상태에서 필기입력하는 경우에 기입시트와 태블릿의 사이에 위치어긋남이 발생해도 그 위치어긋남에 관계없이 필기데이터를 정확히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이하와 같다. 좌표검출태블릿을 갖는 필기데이터입력장치는 이하를 포함한다:
태블릿으로부터 필기입력된 데이터를 입력하여 입력처리하기 위한 준비로서 미리 결정되어 있는 앞처리를 실시하는 앞처리수단과,
태블릿으로부터 필기입력하고자 했을 때에 상기 앞처리가 완료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이 판별수단에 의해서 상기 앞처리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것이 판별되었을 때에 필기입력의 무효를 통지하는 통지수단.
또 본 발명의 특징은 이하와 같다. 좌표검출태블릿을 갖는 필기데이터입력장치는 이하를 포함한다:
수기기입란이 형성되어 있는 기입시트를 태블릿상에 서로 겹친 상태에서 기입시트의 수기기입란에 필기된 정보를 해당 기입란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되어 있는 태블릿상의 입력영역에 입력된 필기데이터로서 처리하는 제 1 입력처리수단과,
기입시트의 수기기입란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되어 있는 태블릿상의 입력영역을 기준입력영역으로 하고, 이 기준입력영역으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한 좌표위치에 새로운 입력영역을 이동입력영역으로서 생성하는 생성수단과,
기입시트의 수기기입란에 필기된 정보를 상기 생성수단에 의해서 생성된 이동입력영역에 입력된 필기데이터로서 처리하는 제 2 입력처리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입력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각각 입력후보로서 출력하는 출력수단.
도 1은 필기데이터입력장치의 외관사시도.
도 2는 필기데이터입력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RAM(12)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전원투입에 동반해서 실행개시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소정 시간마다 실행되는 인터럽트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필기데이터입력장치의 외관사시도.
도 7은 필기데이터입력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RAM(20)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문서를 태블릿(7)에 서로 겹친 상태에서 수기입력된 정보를 입력처리할 때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도 9에 계속되는 입력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11(a)∼도 11(e)는 기준문자틀과 그것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한 상이동문자틀, 하이동문자틀, 좌이동문자틀, 우이동문자틀을 나타내는 동시에 각 문자틀에서 문자인식된 인식결과를 예시한 도면.
도 12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13(a)∼도 13(d)는 문자틀과 인식결과를 예시한 도면.
도 14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15(a), 도 15(b)는 문자틀과 인식결과를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장치 본체 2, 70: 전자유도식태블릿
3: 전용펜 4: 버저
5, 60: 표시장치 6: 클립겸용문서검출기
10, 11: CPU 12, 20: RAM
12-1: 문서포맷메모리 12-2: 용지지정메모리
12-3: 포맷입력메모리 12-4: 플래그레지스터
13, 30: 기억장치 14, 40: 기억매체
15, 50: 입력장치 16: 파워스위치부재
16a: 작동레버 20-1: 문자인식용사전메모리
20-2: 문서포맷메모리 20-3: 문자인식결과메모리
20-4: 문서메모리
(제 1 실시형태)
이하 도 1∼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필기데이터입력장치의 외관사시도이다.
필기데이터입력장치는 그 전체가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그 장치 본체(1)의 상면에는 전자유도식의 태블릿(2)이 부착되어 있다. 3은 전자유도식태블릿(2)의 전용펜이고, 이 전용펜(3)을 태블릿(2)에 근접시켰을 때(예를 들면 약 15∼30㎜정도 가까이 댔을 때)에 있어서 버저(4)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앞처리가 완료되어 있지 않을 때 필기입력의 무효를 통지하는 것이다. 5는 표시장치이며 각종의 메시지데이터를 표시하거나 필기데이터가 문자인식되었을 때에 그 인식결과를 후보표시하는 것이다. 클립겸용문서검출기(6)는 전자유도식태블릿(2)상에 서로 겹쳐진 문서를 눌러 내려 고정하는 클립에 문서가 전자유도식태블릿(2)상에 세트되었는지를 검출하는 문서검출기를 겸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문서검출기는 마이크로스위치 또는 포토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필기데이터입력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CPU(11)는 RAM(12)내에 로드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이 필기데이터입력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연산처리장치이다. 기억장치(13)는 오퍼레이팅시스템이나 각종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 데이터파일, 문자폰트데이터 등이 미리 격납되어 있는 기억매체(14)나 그 구동계를 갖고 있다. 이 기억매체(14)는 고정적으로 설치한 것, 또는 착탈 자유롭게 장착가능한 것이며,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RAM카드 등의 자기적·광학적 기억매체, 반도체메모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기억매체(14)내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서 CPU(11)의 제어에 의해 RAM(12)에 로드된다. 또한 CPU(11)는 통신회선 등을 통해서 다른 기기측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프로그램,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억매체(14)에 격납하거나 다른 기기측에 설치되어 있는 기억매체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통신회선 등을 통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CPU(11)에는 입출력주변디바이스인 전자유도식태블릿(2), 버저(4), 표시장치(5), 클립겸용문서검출기(6), 입력장치(15)가 버스라인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으며, 입출력프로그램에 따라서 CPU(11)는 그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입력장치(15)는 문서의 종류를 임의로 선택하거나 각종 명령을 입력하는 키보드나 터치스크린을 구성하는 터치패널이다.
도 3은 RAM(12)내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며, 이 RAM(12)에는 필요에 따라서 소정의 메모리영역이 할당되어 있다. 문서포맷메모리(12-1)는 문서의 종류에 대응해서 문서상의 수기기입란을 전자유도식태블릿(2)상의 입력영역으로서 정의하는 문서포맷을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용지지정메모리(12-2)는 전자유도식태블릿(2)상에 세트되는 문서의 종류가 임의로 선택지정되었을 때에 그 지정문서의 종류를 일시 기억하고, 또 포맷입력메모리(12-3)는 용지지정메모리(12-2)의 내용에 의거하여 문서포맷메모리(12-1)로부터 판독된 문서포맷을 일시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플래그레지스터(12-4)는 전자유도식태블릿(2)에 전용펜(3)을 근접시켰을 때에 미리 결정되어 있는 앞처리가 완료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의해서 ON/OFF되는 플래그를 기억하는 것으로, 이 플래그상태에 의거하여 CPU(11)는 버저(4)를 구동하여 알람음을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필기데이터입력장치의 동작을 도 4, 도 5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들의 흐름도에 기술되어 있는 각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CPU(11)가 판독가능한 프로그램코드의 형태로 기억매체(14)에 기억되어 있으며 그 내용이 RAM(12)에 로드되어 있다.
우선 전원이 투입되면 도 4의 흐름도에 따른 동작이 실행되지만 이 동작중에 있어서 소정 시간마다 인터럽트에 의해서 도 5의 흐름도에 따른 인터럽트처리가 실시된다. 여기에서 전원투입에 동반하여 CPU(11)는 플래그레지스터(12-4)내의 플래그(검출알람플래그)를 ON하는 동시에(스텝A1) 키입력에 의해서 문서의 종류의 지정가능상태로 되고(스텝A2) 그 종류의 지정이 완료되기까지 대기상태로 된다(스텝A3). 이제 문서의 종류가 입력지정되면 CPU(11)는 문서포맷메모리(12-1)로부터 그 종류에 대응하는 문서포맷을 입력하고 포맷입력메모리(12-3)에 세트하는데(스텝A4) 그 때 문서의 종류가 입력지정되어 그 문서포맷의 입력이 완료되기까지 대기상태로 된다(스텝A5).
여기에서 문서포맷을 포맷입력메모리(12-3)에 세트하여 끝나면 다음의 스텝A6으로 진행하고, 클립겸용문서검출기(6)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전자유도식태블릿(2)상에 문서가 세트되었는지를 판별하고 세트완료까지 대기한다(스텝A7). 여기에서 오퍼레이터는 전자유도식태블릿(2)을 문서에 세트할 때에 문서상에 인쇄형성되어 있는 기준포인트를 전자유도식태블릿(2)상의 위치포인트에 맞추도록 전자유도식태블릿(2)상에 문서를 서로 겹친다. 이와 같이 문서를 전자유도식태블릿(2)상에 세트하여 그 위치맞춤이 완료되기까지 대기하고 그 작업이 완료된 것을 검출하면 CPU(11)는 플래그레지스터(12-4)내의 검출알람플래그를 OFF하는 동시에(스텝A8) 문서기입가능상태로 된다(스텝A9). 이 상태에 있어서 문서상의 수기기입란에 필기된 정보는 이 수기기입란을 정의하는 문서포맷에 따라서 그것에 대응하는 전자유도식태블릿(2)상의 입력영역에 입력된 필기데이터로서 입력된다. 그리고 CPU(11)는 이 필기데이터를 문자인식하고 그 인식결과를 후보표시하는 처리를 1문자마다 실시한다(스텝A10). 이와 같은 문자인식처리는 스텝A11에서 기입종료가 지정되기까지 반복된다.
한편 도 4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른 동작을 실행하고 있는 사이 CPU(11)는 소정 시간마다 도 5의 흐름도에 따른 인터럽트처리를 실시한다. 즉 오퍼레이터가 문서기입을 하고자 하여 전자유도식태블릿(2)에 전용펜(3)을 약 15∼30㎜정도 접근시키면 전자유도식태블릿(2)에 의해서 그것이 검출되므로 CPU(11)는 전자유도식태블릿(2)의 출력에 의거하여 전용펜(3)이 근접시켰는지를 조사한다(스텝B1). 여기에서 전용펜(3)의 근접이 검출되면 다음의 스텝B2으로 진행하고 CPU(11)는 플래그레지스터(12-4)를 액세스하여 검출알람플래그의 ON/OFF상태를 조사한다. 여기에서 검출알람플래그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원투입직후에 ON된 후 문서의 종류가 입력지정되어 그 종류에 대응하는 문서포맷의 입력이 완료되고 있으며, 또한 문서가 전자유도식태블릿(2)상에 세트되어 그 위치맞춤이 완료된 시점에서 OFF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준비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문서상에 필기된 데이터를 전자유도식태블릿(2)을 통해서 입력하여 문자인식하기 위한 준비로서 상기와 같은 각종의 앞처리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검출알람플래그는 ON인채로 되어 있다. 따라서 앞처리가 완료되기 전에 오퍼레이터가 문서기입을 통해서 하고자 하여 전용펜(3)을 전자유도식태블릿(2)에 근접시킨 경우에는 버저(4)가 소정 시간(n초간) 구동되어 알람음이 발생되고 오퍼레이터에 필기입력의 무효가 통지된다(스텝B3). 또한 상기와 같은 앞처리가 완료되어 있으면 알람음은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이 필기데이터입력장치에 있어서는 전자유도식태블릿(2)으로부터의 필기데이터를 입력하여 문자인식하기 위한 준비로서 그 앞처리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문서기입을 통하여 하고자 해도 필기입력의 무효가 통지되므로 쓸데없는 필기입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기입미스로 문서를 파기할 필요도 없고 용지의 쓸데없는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필기나 문서의 낭비를 피하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메시지표시 등에 의해 준비완료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없고 필기작업을 효율좋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알람음에 의해서 준비중을 통지하도록 했지만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파워OFF상태를 직감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레버식의 파워스위치부재(16)는 전자유도식태블릿(2)의 상면을 덮는 이동가능한 작동레버(16a)를 갖고, 이 작동레버(16a)의 일단부는 장치 본체(1)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며 그 타단부는 자유단으로서 전자유도식태블릿(2)의 상면을 부채모양으로 이동가능한 것으로, 작동레버(16a)의 이동에 동반하여 전원의 ON/OFF상태가 제어된다. 여기에서 파워스위치부재(16)는 작동레버(16a)가 전자유도식태블릿(2)의 상면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스위치OFF(파워OFF)로 되고, 작동레버(16a)를 도면중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전자유도식태블릿(2)의 상면을 개방시켰을 때에 스위치ON(파워ON)으로 전환하는 전원전환스위치이다.
이와 같은 파워스위치부재(16)를 설치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그 작동레버(16a)의 위치상태로부터 파워ON/OFF상태를 직감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파워OFF상태에서의 쓸데없는 필기입력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자유도식의 태블릿을 예로 들었지만 감압식태블릿, 인체접촉식태블릿 등에도 물론 적용가능하다. 또 태블릿의 위에 문서를 서로 겹치도록 했지만, 투명태블릿이면 태블릿의 하측에 문서를 세트하도록 해도 좋다. 또 문서를 태블릿에 서로 겹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표시화면과 태블릿을 서로 겹친 것에도 적용가능하다.
(제 3 실시형태)
이하 도 7∼도 11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7은 필기데이터입력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CPU(10)는 RMA(20)내에 로드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이 필기데이터입력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연산처리장치이다. 기억장치(30)는 오퍼레이팅시스템이나 각종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 데이터파일, 문자폰트데이터 등이 미리 격납되어 있는 기억매체(40)나 그 구동계를 갖고 있다. 이 기억매체(40)는 고정적으로 설치한 것, 또는 착탈 자유롭게 장착가능한 것이며,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RAM카드 등의 자기적·광학적 기억매체, 반도체메모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기억매체(40)내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서 CPU(10)의 제어에 의해 RAM(20)에 로드된다. 또한 CPU(10)는 통신회선 등을 통해서 다른 기기측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프로그램,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억매체(40)에 격납하거나 다른 기기측에 설치되어 있는 기억매체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통신회선 등을 통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CPU(10)에는 그 입출력주변디바이스인 입력장치(50), 표시장치(60), 태블릿(70), 버스라인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으며 입출력프로그램에 따라서 CPU(10)는 그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입력장치(50)는 데이터나 각종 명령을 입력하는 키보드, 마우스 등의 포인팅디바이스를 갖고 있다. 태블릿(70)은 그 전체가 평판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그 위에 후술하는 문서를 서로 겹친 상태에 있어서 문서의 수기기입란에 필요사항을 필기구에 의해 기입하면 문서를 통해서 가한 필압(筆壓)에 의거하여 그 위치좌표를 검출함으로써 필기데이터를 입력하는 감압식의 좌표입력장치이다. 여기에서 문서는 수기기입란이 미리 소정 포맷으로 인쇄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용지 또는 필기가능한 필름시트이다. 또 태블릿(70)으로부터 입력된 필기데이터(좌표열데이터)에 의거해서 CPU(10)는 문자인식하고 문자코드로 변환하여 표시장치(60)의 텍스트화면상에 인식후보로서 표시출력시킨다.
도 8은 RAM(20)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RAM(20)에는 각종의 메모리영역이 필요에 따라서 할당되어 있다. 여기에서 문자인식용사전메모리(20-1)는 태블릿(70)으로부터 입력된 필기데이터를 문자인식할 때에 참조되는 것으로 1문자마다 필기패턴에 대응지워서 문자코드를 기억하는 통상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문서포맷메모리(20-2)는 미리 각종의 문서에 대응지워서 문서의 수기기입란을 정의하는 문서포맷을 기억하는 것으로, 이 문서포맷에 의해서 문서의 수기기입란과 태블릿(70)상의 입력영역(문자틀)이 대응지워진다. 이 경우 CPU(10)는 문서포맷에 의해 정의되는 태블릿(70)의 입력영역을 기준문자틀로 하고 이 기준문자틀의 좌표위치로부터 상하좌우방향으로 소정량씩 이동한 좌표위치에 각각 별개의 문자틀(이하 이동문자틀)을 생성한다. 즉 기준문자틀로부터 윗방향으로 이동한 문자틀과, 아래방향으로 이동한 문자틀과, 왼쪽방향으로 이동한 문자틀과, 오른쪽방향으로 이동한 문자틀을 생성한다. 그리고 기준문자틀과 4종류의 이동문자틀, 즉 합계 5개의 문자틀에 의거하여 CPU(10)는 1문자분의 필기데이터로서 잘라내어 문자인식하고 그 변환결과를 인식후보로서 가이드표시시킨다. 문자인식결과메모리(20-3)는 합계 5종류의 문자틀에 의거하여 문자인식된 변환결과를 일시 기억하는 것으로, 그 중에서 임의의 후보가 확정되면 그 확정후보는 문서메모리(20-4)에 격납된다.
다음으로 필기데이터입력장치의 동작을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들의 흐름도에 기술되어 있는 각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CPU(10)가 판독가능한 프로그램코드의 형태로 기억매체(40)에 기억되어 있으며, 그 내용이 RAM(20)내의 워크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로드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흐름도에 있어서도 똑같다.
도 9 및 도 10은 문서를 통해서 태블릿(70)상에 필기된 정보를 입력처리할 때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각종의 문서에 대응지워서 미리 그 문서포맷이 문서포맷메모리(20-2)에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소망의 문서를 태블릿(70)에 서로 겹치는 동시에 그 문서에 미리 마킹되어 있는 문서기준점(예를 들면 대각 2점)을 터치입력에 의해서 지정하면 CPU(10)는 태블릿(70)으로부터 입력된 문서기준점의 위치좌표를 입력하고(스텝C1) 이 위치좌표에 의거해서 문서포맷메모리(20-2)의 내용을 검색하여 대응하는 문서포맷을 호출한다(스텝C2). 즉 문서포맷메모리(20-2)에는 미리 문서기준점과 문서포맷이 대응지워져 있으며 문서기준점에 의해서 문서의 종류가 선택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선택된 문서포맷 중에서 최초의 기준문자틀을 꺼내고(스텝C3) 이 문자틀에 의거해서 1문자분의 필기데이터를 잘라내는 동시에, 그 필기데이터에 의거해서 문자인식용사전메모리(20-1)를 참조하여 문자인식처리를 실시하고(스텝C4) 그 변환결과를 문자인식결과메모리(20-3)에 세트해 둔다(스텝C5). 여기에서 인식불능의 경우에도 그 상태를 나타내는 불능코드를 문자인식결과메모리(20-3)에 세트해 둔다.
다음으로 기준문자틀로부터 윗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한 좌표위치에 새로운 문자틀(상이동문자틀)을 생성하고(스텝C6) 이 상이동문자틀에 의거하여 다시 문자인식처리를 실시하고(스텝C7) 그 변환결과를 문자인식결과메모리(20-3)에 세트해 둔다(스텝C8). 다음으로 기준문자틀로부터 아래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한 좌표위치에 새로운 문자틀(하이동문자틀)을 생성하고(스텝C9) 이 하이동문자틀에 의거하여 문자인식처리를 실시하고(스텝C10) 그 변환결과를 문자인식결과메모리(20-3)에 세트해 둔다(스텝C11). 똑같이 기준문자틀로부터 왼쪽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한 좌표위치에 새로운 문자틀(좌이동문자틀)을 생성하고(스텝C12) 이 좌이동문자틀에 의거하여 문자인식처리를 실시하고(스텝C13) 그 변환결과를 문자인식결과메모리(20-3)에 세트해 둔다(스텝C14). 최후에 기준문자틀로부터 오른쪽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한 좌표위치에 새로운 문자틀(우이동문자틀)을 생성하고(스텝C15) 이 우이동문자틀에 의거하여 문자인식처리를 실시하고(스텝C16) 그 변환결과를 문자인식결과메모리(20-3)에 세트해 둔다(스텝C17).
이것에 의해서 문자인식결과메모리(20-3)에는 기준문자틀의 외에 상하좌우로 이동한 각 이동문자틀에 대응하는 문자인식결과가 각각 세트되어 있으며, 이 문자인식결과메모리(20-3)의 내용이 판독되어 인식후보로서 가이드표시된다(스텝C18). 여기에서 도 11(a)는 기준문자틀, 도 11(b)는 상이동문자틀, 도 11(c)는 하이동문자틀, 도 11(d)는 좌이동문자틀, 도 11(e)는 우이동문자틀에 의거하여 문자인식을 실시한 경우를 나타내고, 숫자「4」를 필기한 경우에 문서와 태블릿(70)의 사이에 어긋남이 생기거나 문서의 인쇄어긋남에 의해서 기준문자틀에서는 「L」이라고 오인식되지만 우이동문자틀에서는 「4」라고 인식되므로 오퍼레이터는 이 후보표시 중에서 우이동문자틀의 인식결과를 입력조작에 의해 확정후보로서 선택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하여 확정조작이 실시되면(스텝C19) 그 확정문자는 문서메모리(20-4)에 격납되는 동시에(스텝C20) 문자인식결과메모리(20-3)의 내용이 클리어된다(스텝C21). 그리고 문서포맷으로부터 다음의 기준문서틀을 꺼내고(스텝C22) 그것이 최종문자틀을 넘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문서입력의 종료인지를 조사한다(스텝C23). 지금 최초의 1문자를 필기입력한 경우이고 2문자이상의 문자를 입력하는 문서이면 스텝C4로 되돌아가서 이하 1문자마다 상기의 동작이 반복된다.
이상과 같이 이 필기데이터입력장치에 있어서는 문서의 각 수기기입란에 1문자씩 필요사항이 기입될 때마다 기준문자틀을 그것을 상하좌우방향으로 이동한 각 이동문자틀에서 문자인식을 실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문서와 태블릿(70)의 위치맞춤이 어긋나있거나 필기작업중에 문서가 어긋나버리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어느쪽인지의 문자틀에서 문자인식을 정확히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즉 큰폭의 위치어긋남이 아닌 한 그 어긋남을 문자틀의 이동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어긋난채로의 상태이어도 문자인식을 정확히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4 실시형태)
이하 도 12 및 도 13(a)∼도 1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확정문자를 인식한 이동문자틀과 기준문자틀의 좌표차를 검출하고 이 좌표차에 의거해서 이후의 기준문자틀를 보정하는 동시에, 다음의 문자가 확정되었을 때에 이 확정문자를 인식한 문자틀이 상기와 같이 보정한 기준문자틀이면 이 기준문자틀의 보정은 실시하지 않지만 이동문자틀이면 다시 보정기준문자틀과 이 이동문자틀의 좌표차를 검출하고 이 좌표차에 의거해서 이후의 기준문자틀을 보정하는 동작을 1문자마다 반복함으로써 좌표와의 어긋남을 서서히 흡수하도록 한 것이다.
도 12는 이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스텝D1∼스텝D7은 도 9의 스텝C1∼C21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스텝C1∼C21과 똑같다. 즉 문서기준점이 터치입력되면 그것에 대응하는 문서포맷을 호출하고(스텝D1) 이 문서포맷으로부터 전체의 기준문자틀을 꺼내어 워크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일시 기억하는 동시에 이 워크메모리로부터 최초의 기준문자틀을 꺼낸다(스텝D2). 그리고 이 기준문자틀에 의거하여 문자인식을 실시하는 동시에(스텝D3) 상하좌우의 이동문자틀을 각각 생성하고 각 이동문자틀에 의거해서 문자인식을 다시 실시한다(스텝D4). 그리고 각 문자인식결과를 표시하고(스텝D5) 그 중에서 임의의 후보가 확정후보로서 선택되면(스텝D6) 그 확정문자를 문서메모리(20-4)에 격납하는 동시에 문자인식결과메모리(20-3)의 내용을 클리어한다(스텝D7).
이와 같이 해서 최초의 첫번째문자가 확정되면 다음의 스텝D8에서는 이 확정문자를 인식하기 위해 사용된 문자틀은 이동문자틀인지 기준문자틀인지를 조사하고, 기준문자틀이면 문서와의 위치어긋남이 없는 것으로서 스텝D10으로 진행하고 워크메모리로부터 다음의 기준문자틀을 꺼내어 최종 문자틀을 넘었는지(문서입력의 종료인지)를 조사하고(스텝D11) 넘고 있지 않으면 스텝D3으로 되돌아간다. 이에 의해서 다음의 수기문자의 인식처리로 이동하고 기준문자틀의 외에 상하좌우의 이동문자틀에서 문자인식이 실시되며, 그 인식후보 중에서 임의의 후보가 확정후보로서 선택된 경우에 확정문자를 인식한 문자틀이 이동문자틀이면 스텝D8에서 그것이 검출되어 스텝D9로 진행하고, 확정문자를 인식한 이동문자틀좌표와 워크메모리내의 기준문자틀좌표의 좌표차(이동량)를 검출하고 이 좌표차에 의거해서 워크메모리내의 이후의 각 기준문자틀좌표를 보정한다. 이 경우 이동량의 ½의 보정이 실시된다. 그리고 워크메모리로부터 다음의 기준문자틀을 꺼내고, 스텝D11에서 문서입력의 종료가 검출되기까지 스텝D3으로 되돌아가서 상기의 동작이 반복된다. 따라서 이 경우 기준문자틀에 의거한 문자인식처리에서는 보정기준문자틀에 의거해서 실시된다. 그리고 문서입력의 종료가 검출되면 워크메모리의 내용(기준문자틀좌표)이 클리어된다(스텝D12).
도 13(a)∼도 13(d)는 이 경우의 구체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3(a)는 문서의 수기기입란(실선)에 대해서 기준문자틀(파선)의 좌표가 왼쪽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이 경우에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우이동문자틀에서 인식된 후보「4」가 확정문자로서 선택되면 이 우이동문자틀과 기준문자틀의 좌표차(이동량)에 의거해서 이후의 기준문자틀은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른쪽방향으로 이동량의 ½보정이 가해진다. 그리고 다음의 문자로서 「±」가 수기입력된 것으로 하면(도 13(c) 참조) 보정후의 기준문자틀에서 「+」라고 인식되고 하이동문자틀에서 「±」라고 인식된 경우, 하이동문자틀에서 인식된 「±」가 확정문자로서 선택되면 이후의 기준문자틀은 도 1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방향으로 ½보정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서 문서의 수기기입란과 태블릿(70)의 기준문자틀의 위치어긋남을 서서히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5 실시형태)
이하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이 제 5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는 기준문자틀을 상하좌우로 이동하도록 했지만 이 제 5 실시형태는 기준문자틀을 확대하도록 한 것이다.
도 14는 이 제 5 실시형태의 특징부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1문자분의 데이터가 수기입력될 때마다 실행개시되고, 우선 문서포맷의 기준문자틀에서 문자인식처리가 실행되고(스텝E1) 그 인식결과는 문자인식결과메모리(20-3)에 세트된다(스텝E2). 다음으로 기준문자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문자틀을 소정 크기로 크게 확대한다(스텝E3). 이 경우 기준문자틀을 비슷하게 확대하지만 짧은 변측만을 확대하거나 긴 변측만을 확대해도 좋고 그 확대방법은 임의이다. 이와 같이 해서 확대된 확대문자틀에 의거해서 문자인식처리가 실시되고(스텝E4) 그 인식결과는 문자인식결과메모리(20-3)에 세트된다(스텝E5). 그리고 문자인식결과메모리(20-3)내의 인식결과를 일람 표시시키고(스텝E6) 그 중에서 임의의 후보가 확정후보로서 선택되면(스텝E7) 그 확정문자는 문서메모리(20-4)에 격납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1문자마다 반복된다.
이와 같이 기준문자틀을 확대하는 것에 의해서도 문서의 위치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다. 즉 도 15(a) 및 도 15(b)는 이 경우의 구체예를 나타낸 것으로, 기준문자틀을 닯은꼴의 문자틀로 확대한 경우를 나타내고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문자틀에서 오인식되었다고 해도 확대문자틀에서 그것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도 15(b) 참조).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태블릿의 위에 용지를 서로 겹치도록 했지만 투명태블릿을 이용하면 태블릿의 하측에 용지를 세트하도록 해도 좋다. 또 태블릿으로서는 전자유도식태블릿이어도 좋다. 또 태블릿으로부터 입력된 필기데이터를 1문자마다 문자인식하도록 했지만 필기데이터를 1문자마다 단순히 잘라내는 만큼의 처리를 실시해도 좋고 또 문자에 한하지 않고 도형, 기호 등을 수기입력하도록 한 것이어도 좋다.

Claims (8)

  1. 기입시트가 재치되는 태블릿이고, 상기 기입시트에 데이터가 수기되는 것에 의해 기입위치에 따라서 좌표신호를 출력하는 태블릿; 상기 태블릿에 재치된 기입시트에 사용자가 데이터를 필기 입력하고자 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이 사용자가 필기입력하고자 하는 것을 검출했을 때에 입력된 데이터의 판독준비가 완료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 및 이 판별수단에 의하여 데이터의 판독준비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것이 판별된 것에 의해 필기입력의 무효를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데이터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기기입란이 형성되어 있는 기입시트가 태블릿상에 재치된 것에 따라서 그 기입시트의 수기기입란에 대응하는 태블릿상의 영역을 입력영역으로서 정의하는 서식정의수단을 갖고,
    상기 판별수단은 입력된 데이터의 판독준비로서 상기 서식정의수단의 처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데이터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태블릿상에 입력펜이 접촉 또는 근접된 것을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데이터입력장치.
  4. 기입시트가 재치되는 태블릿이고, 상기 기입시트에 데이터가 수기되는 것에 의해 기입위치에 따라서 좌표신호를 출력하는 태블릿과, 태블릿상의 상면을 덮는 이동 가능한 스위치부재와, 이 스위치부재를 이동하여 태블릿의 상면을 개방시켰을 때에 그 이동에 동반하여 전원을 투입하는 전원전환수단을 갖고,
    상기 스위치부재가 태블릿의 상면을 덮고 있는 경우에 전원의 차단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데이터입력장치.
  5. 기입시트가 재치되는 태블릿이고, 상기 기입시트에 데이터가 수기되는 것에 의해 기입위치에 따른 좌표신호를 출력하는 태블릿과, 태블릿상에 재치된 기입시트의 종류에 대응하여 문자인식을 위한 인식틀을 소정의 위치에 생성하는 제 1 인식틀생성수단과, 상기 제 1 인식틀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인식틀을 소정의 이동량에 따라서 다른 위치에 재생성시키는 제 2 인식틀생성수단과, 태블릿상에 재치된 기입시트에 데이터가 기입된 경우 상기 제 1, 제 2 인식틀생성수단에서 인식틀이 생성될 때마다 인식틀에 포함되는 상기 태블릿으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필기데이터를 문자인식하는 인식수단과, 이 인식수단에서 인식된 복수의 인식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기 위해 입력후보로서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데이터입력장치.
  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식틀생성수단은 기입시트의 수기기입란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되어 있는 태블릿상의 기준입력영역으로부터 왼쪽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한 좌표위치에 이동문자틀을 생성하는 동시에 오른쪽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한 좌표위치에 이동문자틀을 생성하고, 또한 윗쪽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한 좌표위치에 이동문자틀을 생성하는 동시에 아랫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한 좌표위치에 이동문자틀을 생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데이터입력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이 출력한 복수의 입력후보로부터 1개의 데이터가 선택되었을 때에, 이 선택된 인식데이터를 얻기 위해 상기 제 2 인식틀생성수단에 의하여 생성된 인식틀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이 검출한 이동량에 의거하여 기입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그 이후에 존재하는 수기기입란에 대응하는 각 인식틀의 생성위치를 보정하는 보정수단을 추가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데이터입력장치.
  8. 기입시트가 재치되는 태블릿이고, 상기 기입시트에 데이터가 기입되는 것에 의해 기입위치에 따른 좌표신호를 출력하는 태블릿과,
    태블릿상에 재치된 기입시트의 종류에 대응하여 문자인식을 위한 인식틀을 소정의 위치에 생성하는 제 1 인식틀생성수단과,
    상기 제 1 인식틀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인식틀을 소정량 확대하여 재생성시키는 제 2 인식틀생성수단과,
    태블릿상에 재치된 기입시트에 데이터가 기입된 경우 상기 제 1, 제 2 인식틀생성수단에 의하여 인식틀이 생성될 때마다 인식틀에 포함되는 상기 태블릿으로 부터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필기데이터를 문자인식하는 인식수단과,
    이 인식수단에서 인식된 복수의 인식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기 위해 입력후보로서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데이터입력장치.
KR1019980011467A 1997-04-01 1998-04-01 좌표검출태블릿을갖는필기데이터입력장치 KR1003092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96353 1997-04-01
JP9635397A JPH10283108A (ja) 1997-04-01 1997-04-01 筆記データ入力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988A KR19980080988A (ko) 1998-11-25
KR100309254B1 true KR100309254B1 (ko) 2001-12-17

Family

ID=1416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467A KR100309254B1 (ko) 1997-04-01 1998-04-01 좌표검출태블릿을갖는필기데이터입력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69802B1 (ko)
JP (1) JPH10283108A (ko)
KR (1) KR100309254B1 (ko)
CN (1) CN1144123C (ko)
HK (1) HK10171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3730B2 (en) * 2000-11-10 2005-06-07 Microsoft Corporation In-air gestures for electromagnetic coordinate digitizers
FI114346B (fi) * 2002-06-25 2004-09-30 Nokia Corp Menetelmä symbolien tunnistamiseksi ja kannettava elektroninen laite
JP4733415B2 (ja) * 2005-04-05 2011-07-27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文書の表示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791370B1 (ko) * 2006-03-07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필기 데이터 입력 ui의 작업 영역 확장 및 그룹화 방법
US7817858B2 (en) * 2006-10-31 2010-10-19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JP2009015388A (ja) * 2007-06-29 2009-01-22 Casio Comput Co Ltd 電子式計算機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60047738A (ko) * 2014-10-23 2016-05-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2017215631A (ja) * 2016-05-30 2017-12-0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入力装置、入力システム、入力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1575613S (ko) * 2016-10-28 2018-04-23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5686A (ja) * 1984-03-30 1985-10-17 Hitachi Ltd 手書き文字・図形認識システム
US5133076A (en) * 1989-06-12 1992-07-21 Grid Systems Corporation Hand held computer
US5455901A (en) * 1991-11-12 1995-10-03 Compaq Computer Corporation Input device with deferred translation
JPH05241716A (ja) * 1992-02-29 1993-09-21 Toppan Moore Co Ltd 信号入力用シート
JP3188039B2 (ja) * 1993-05-11 2001-07-16 三洋電機株式会社 手書き文字記入枠の制御方法
JP3362913B2 (ja) * 1993-05-27 2003-01-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手書き文字入力装置
EP0655674B1 (en) * 1993-11-30 2000-03-08 Hewlett-Packard Company Data input apparatus
EP0704789A2 (en) * 1994-09-30 1996-04-03 AT&T Corp. Mobile pen computer having an integrated palm rest
US5600781A (en) * 1994-09-30 1997-02-0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portable personalized operating environment
JPH08137842A (ja) * 1994-11-08 1996-05-31 Canon Inc 言語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5691928A (en) * 1995-04-05 1997-11-25 Dell Usa, L.P. Portable personal computer having removable security module
US5587560A (en) * 1995-04-10 1996-12-24 At&T Global Information Solutions Company Portable handwritten data capture device and method of using
JPH08286809A (ja) 1995-04-18 1996-11-01 Casio Comput Co Ltd 筆記データ入力装置
JPH0991083A (ja) 1995-09-22 1997-04-04 Casio Comput Co Ltd 筆記データ入力装置
JPH0991377A (ja) 1995-09-26 1997-04-04 Casio Comput Co Ltd 手書き文字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69802B1 (en) 2002-04-09
CN1144123C (zh) 2004-03-31
HK1017110A1 (en) 1999-11-12
CN1202650A (zh) 1998-12-23
JPH10283108A (ja) 1998-10-23
KR19980080988A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4255B2 (ja)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EP099287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WI435238B (zh) 整合式輸入/輸出裝置,以及用於在此種裝置上顯示的方法及電腦可讀取儲存媒體
EP0607926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a gesture editing function
US693822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H0981320A (ja) ペン入力式選択入力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309254B1 (ko) 좌표검출태블릿을갖는필기데이터입력장치
JPH0769765B2 (ja) 命令入力装置
JPS6228828A (ja) 情報処理方法
JP3317379B2 (ja) 表示画面入力装置
JPH1115918A (ja) 手書き文字認識装置
JP2517543B2 (ja) 情報入力方法
JPS60225224A (ja) 手書き文字認識装置のタブレツト装置
JP2531502B2 (ja) 文字処理方法
JP3448968B2 (ja) 文章処理装置
JPH087034A (ja) 手書き文字認識入力装置
JPH0218670A (ja) Cad装置
JPH09231208A (ja) 表形式の文書データ処理装置
JPH02301862A (ja) 文書作成装置
JP2000076366A (ja) データ呼び出し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H10254611A (ja) 筆記データ入力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H04155596A (ja) 手書き文字入力装置
JPH1097531A (ja) 文書編集装置
JPH0728950A (ja) 手書き文字認識装置
JPS5866149A (ja) ワ−ドプロセツ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