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370B1 - 필기 데이터 입력 ui의 작업 영역 확장 및 그룹화 방법 - Google Patents

필기 데이터 입력 ui의 작업 영역 확장 및 그룹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1370B1
KR100791370B1 KR1020060021506A KR20060021506A KR100791370B1 KR 100791370 B1 KR100791370 B1 KR 100791370B1 KR 1020060021506 A KR1020060021506 A KR 1020060021506A KR 20060021506 A KR20060021506 A KR 20060021506A KR 100791370 B1 KR100791370 B1 KR 100791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area
input
area
writing data
grou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1852A (ko
Inventor
서영완
이정봉
이자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1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1370B1/ko
Publication of KR20070091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 데이터 입력 UI(User Interface)의 작업 영역 확장 및 그룹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필기 데이터 입력 UI에 필기 데이터 입력 시 스트로크의 현재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스트로크의 위치 값과 작업 영역의 가장자리 값을 비교하는 단계, 해당 비교 값을 바탕으로 작업 영역을 확장하여 그룹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필기 데이터, 작업 영역 확장, 그룹화

Description

필기 데이터 입력 UI의 작업 영역 확장 및 그룹화 방법{Work area extension and grouping method of ink data input user interfa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작업 영역의 그룹화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필기 데이터의 영역 그룹화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 데이터 입력 UI의 작업 영역 확장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 데이터 입력 UI의 작업 영역 그룹화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 데이터 입력 UI의 작업 영역 확장 및 그룹화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작업 영역 300: 확장 기준선
310: 확장 기준 영역 320: 필기 데이터
330: 확장 영역
본 발명은 필기 데이터 입력 UI의 작업 영역 확장 방법 및 그룹화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필기 데이터 입력 UI에서 필기 데이터 입력 시 작업 영역을 확장하고, 해당 필기 데이터를 그룹화하는 필기 데이터 입력 UI의 작업 영역 확장 방법 및 그룹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디스플레이 또는 필기 데이터를 이용한 필기 데이터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디지털 기기, 예를 들어, Tablet PC, PDA, PMP, 휴대폰에 있어서 필기 데이터의 입력은 터치 스크린에 문자 입력 판을 디스플레이하여 해당 문자를 터치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메모 애플리케이션 및 스케줄러와 같은 입력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문자, 그림 등의 필기 데이터를 입력받고, 해당 필기 데이터에 대한 그룹화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작업 영역의 그룹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작업 영역의 그룹화는 입력 도구 창(100), 작업 영역(110), 필기 데이터(120a, 120b), 선택 영역(130)으로 구성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필기 데이터 입력 UI에서의 작업 영역 그룹화이다.
입력 도구 창(100)은 필기 데이터(120a, 120b)를 입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작업 영역이며, 작업 영역(110)은 입력 도구 창(100)에서 필기 데이터(120a, 120b)를 입력하는 영역을 말한다.
필기 데이터(120a, 120b)는 입력 도구, 예를 들어, 마우스, 펜 마우스, 터치 펜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또는 이들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입력되는 데이터들이다.
선택 영역(130)은 필기 데이터(120a, 120b)의 입력 완료 시 사용자가 입력 도구를 이용하여 드래그를 하거나 전체 선택을 하여 해당 필기 데이터(120a, 120b)들을 그룹화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필기 데이터의 영역 그룹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필기 데이터의 영역 그룹화는 도 1의 구성과 동일하며, 입력 도구 창(100), 작업 영역(110)으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입력 도구 창(110)의 작업 영역(110)에서 입력 도구를 이용하여 필기 데이터(140a)를 한 자씩 입력하고, 두 번째 필기 데이터(140b)가 입력되면, 앞서 입력된 필기 데이터(140a)를 포함하는 소정 영역으로 앞서 입력된 필기 데이터(140a)가 그룹화된다.
두 번째 필기 데이터(140b)까지 입력이 되고, 세 번째 필기 데이터(140c)가 입력되면, 앞서 입력된 필기 데이터(140a, 140b)를 포함하는 소정 영역이 그룹화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필기 데이터(140c, 140d, 140e)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입력된 필기 데이터(140a~140e)의 순서대로 차례로 그룹화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작업 영역 확장 및 그룹화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도 1의 그룹화는 사용자가 입력 도구를 이용하여 드래그하거나 입력 도구 창의 전체 선택 도구를 이용하여 그룹화를 함으로써 그룹화 과정이 수동으로 수행되고, 그룹화된 영역에 불필요한 여백이 있어서 해당 그룹을 다른 작업 창으로 옮겨 작업을 할 경우 다른 그룹들과 겹치는 영역이 발생하여 부분적으로 그룹화를 하여 재 작업을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도 2의 그룹화에 있어서 여백을 최소화하면서 자동으로 그룹화가 이루어지지만, 소정 범위로 제한된 작업 영역에서 필기 데이터를 입력할 경우, 작업 영역의 가장자리에 막혀 더 이상 필기 데이터를 입력하지 못하고, 사용자가 작업 영역을 확장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 필기 데이터 작업 영역에서의 필기 데이터 스트로크 위치와 작업 영역 값을 비교하여 작업 영역을 소정 범위로 확장하고, 그룹화하는 필기 데이터 입력 UI의 작업 영역 확장 및 그룹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 데이터 입력 UI에 필기 데이터 입력 시 스트로크의 현재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스트로크의 위치 값과 작업 영역의 가장자리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값을 바탕으로 작업 영역을 확장하고, 입력된 필기 데이터의 가장자리 값을 바탕으로 그룹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 데이터 입력 UI의 작업 영역 확장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 데이터(330) 입력 UI의 작업 영역 확장은 작업 영역(300), 확장 기준선(310), 확장 기준 영역(320), 필기 데이터(330), 확장 영역(3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성은 이들로 제한되지 않고, 이들로부터 파생 되거나 조합 가능한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 영역(3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필기 데이터(330)를 입력할 수 있는 영역으로 핸드 라이팅(Hand Writting) 또는 드로잉(Drawing) 입력이 가능한 메모 애플리케이션, 스케줄러, Tablet PC, PDA, PMP 등의 필기 데이터(330) 입력이 가능한 영역이 될 수 있다.
작업 영역(300)의 구성은 확장 기준선(310), 확장 기준 영역(320)로 구성 될 수 있으며, 작업 영역(300)의 구성 역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이들로부터 파생 되거나 조합 가능한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 영역(300)에서는 스트로크(미도시)의 현재 위치와 작업 영역(300)의 가장자리 값의 거리를 비교하여 작업 영역(300)을 확장할 수 있다. 작업 영역(300)의 확장 방향은 상, 하, 좌, 우, 대각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작업 영역(300)이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어 확장될 여유 공간이 없을 경우 작업 창 또는 작업 영역(300)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스크롤 막대가 생성되어 확장된 영역을 표시할 수 있으며, 작업 영역(300) 대비 필기 데이터(330)의 크기를 축소하여 작업 영역(300)의 확장 효과로 표시할 수 있다.
확장 기준선(310)은 작업 영역(300)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간격 안쪽에 형성되는 것으로 앞서 언급한 스트로크 위치와 가장자리 값을 비교하기 위한 기준이 될 수 있다. 확장 기준선(310)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고, 표시 하지 않을 수도 있다.
확장 기준 영역(320)은 작업 영역(300) 가장자리와 확장 기준선(310) 사이의 소정 간격의 영역을 의미한다. 확장 기준선(310)과 마찬가지로 사용자 설정에 따라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고,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화면에 표시할 경우 해당 영역을 음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필기 데이터(330)가 확장 기준 영역(320)을 침범할 경우 작업 영역(300)이 확장될 수 있다.
필기 데이터(330)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데이터로 메모 애플리케이션, 스케줄러와 같은 작업 영역(300)에 입력 가능한 점, 선, 면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작업 영역(300) 확장 시 필기 데이터(330)의 스트로크 위치 값과 작업 영역(300)의 가장자리 값, 확장 기준선(310), 확장 기준 영역(320)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되어 작업 영역(300)이 소정 간격 확장될 수 있다. 스트로크 위치 값과 가장자리 값의 비교는 도 5에서 후술 된다.
확장 영역(340)은 스트로크 현재 위치 값과 작업 영역(300)의 가장자리 값, 확장 기준선(310), 확장 기준 영역(320)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되어 확장되는 영역으로 스트로크의 현재 위치 값이 작업 영역(300) 좌측 가장자리에 근접하면 좌측 영역이 확장될 수 있고, 우측 가장자리에 근접할 경우 우측으로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확장 영역(340)은 스트로크의 현재 위치와 가장자리 값을 비교하여 해당 비교 값과 근접한 가장자리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즉, 작업 영역(300)은 상, 하, 좌, 우, 대각선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 데이터의 그룹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 데이터(330)의 그룹화는 사용자가 작업 영역(300)에 입력되는 필기 데이터(330)의 영역을 그룹화하는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된 필기 데이터(330)는 문자, 점, 선, 면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이들로부터 파생되거나 조합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필기 데이터(330)의 입력을 마치고, 입력된 필기 데이터(330)를 전 체 선택할 경우 종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법으로 필기 데이터(330) 입력 도구, 예를 들어, 마우스, 펜 마우스, 터치 펜을 이용하여 입력된 필기 데이터(330) 전체를 포함할 수 있도록 드래그를 하거나 전체 선택 단축키를 이용할 수 있다.
앞선 방법들로 선택된 필기 데이터(330)의 그룹화는 입력된 필기 데이터(330)와 소정 간격을 두고 필기 데이터(33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체 선택 시 필기 데이터(3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필기 데이터(330)가 선택(340) 됨으로써, 다른 작업 창으로 이동하여 작업을 할 경우 겹치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데이터들의 겹침 현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설정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 데이터 입력 UI의 작업 영역 확장 및 그룹화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 데이터(330) 입력 UI의 작업 영역 확장 및 그룹화의 흐름도는 사용자가 필기 데이터(330)를 입력하여 해당 영역을 그룹화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먼저 사용자는 필기 데이터(330) 입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기기, 예를 들어, Tablet PC, PDA, PMP 또는 메모 애플리케이션, 스케줄러와 같은 필기 데이터(330) 입력 기능을 구비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입력 도구, 예를 들어, 마우스, 펜 마우스, 터치 펜을 이용하여 해당 기기 또는 해당 프로그램의 작업 영역(300)에 필기 데이터(330)를 입력할 수 있다(S400). 입력 되는 필기 데이터(330)는 문자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입력 가능한 점, 선, 면으로 구성되는 모든 데이터를 의미한다.
사용자에 의해 필기 데이터(330)가 입력되면(S400), 작업 영역(300)에서의 현재 스트로크 위치 값을 추출한다(S410).
터치 스크린을 이용할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현 방식, 예를 들어, 저항성, 표면파, 전기 용량성에 따라 스트로크 위치 값의 추출 방식이 다를 수 있다.
메모 애플리케이션, 스케줄러 등과 같은 필기 데이터(330) 입력이 가능한 프로그램에서는 작업 영역에서 마우스 포인터 즉, 스트로크 위치가 화면에 표시되어 해당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현재 스트로크 위치 값이 추출되면(S410), 추출된 스트로크의 위치 값과 작업 영역(300)의 가장자리 값들을 비교한다(S420).
추출된 스트로크의 위치 값과 작업 영역(300)의 가장자리 값들 간의 비교는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함으로써, 비교 값들을 구할 수 있다.
즉, 두 점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은 가장자리 방향으로 작업 영역(300)이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된 스트로크의 현재 위치 값이 (35, 40) 이고, 스트로크의 위치 값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작업 영역의 상, 하, 좌, 우의 가장자리 값이 (35, 0), (35, 50), (0, 35), (50, 35) 일 때, 스트로크의 위치 값과 작업 영역의 상, 하, 좌, 우 가장자리 값과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두 점 사이의 거리로 구해진 상측 가장자리와의 거리는 40, 하측 10, 좌측 35.36, 우측 15.81이 추출될 수 있고, 추출된 값들 중 가장 작은 값인 10, 즉, 하 측 방향으로 작업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S430). 비교되는 거리 중 두 개의 거리가 소정거리 값으로 비슷할 경우 두 방향(대각선 방향)으로 작업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스트로크가 도 3의 확장 기준 영역(320)으로 진입하는 330의 경우처럼 거리 값을 비교하지 않고, 소정 간격의 확장 기준 영역(320)을 설정하여 확장 기준 영역(320) 내로 스트로크가 위치할 경우 해당 스트로크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작업 영역(300)이 확장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기 데이터(330) 입력이 가능한 소형의 기기에서처럼 작업 영역(300)이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어 확장될 여유 공간이 없을 경우 작업 창 또는 터치 스크린에 가로, 세로의 스크롤 막대가 생성되어 확장된 영역을 표시할 수 있고, 작업 영역(300) 대비 필기 데이터(330)의 크기를 축소하여 작업 영역(300)을 확장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또 다른 필기 데이터(330)가 입력될 경우 앞선 과정(S410~S430)들이 반복 수행되어 작업 영역(300)이 확장될 수 있으며, 더 이상의 필기 데이터 입력이 없을 경우 작업 영역(300) 확장이 종료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필기 데이터 입력 UI의 작업 영역 확장 및 그룹화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필기 데이터 입력 시 작업 영역이 자동으로 확장되어 작업 영역에 대한 설정 과정이 축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필기 데이터의 전체 선택 시 해당 필기데이터와 소정 간격을 두고 선택이 됨으로써, 다른 작업 데이터와의 겹침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4)

  1. 작업 영역에 입력되는 필기 데이터의 스트로크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스트로크 위치 추출에 따라 확장 기준선 또는 확장 기준 영역을 바탕으로 상기 작업 영역의 확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작업 영역 대비 상기 필기 데이터의 크기를 축소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 입력 UI의 작업 영역 확장 및 그룹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작업 영역 또는 상기 작업 영역을 표시하는 작업 창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스크롤 막대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 입력 UI의 작업 영역 확장 및 그룹화 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060021506A 2006-03-07 2006-03-07 필기 데이터 입력 ui의 작업 영역 확장 및 그룹화 방법 KR100791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506A KR100791370B1 (ko) 2006-03-07 2006-03-07 필기 데이터 입력 ui의 작업 영역 확장 및 그룹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506A KR100791370B1 (ko) 2006-03-07 2006-03-07 필기 데이터 입력 ui의 작업 영역 확장 및 그룹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852A KR20070091852A (ko) 2007-09-12
KR100791370B1 true KR100791370B1 (ko) 2008-01-07

Family

ID=38689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506A KR100791370B1 (ko) 2006-03-07 2006-03-07 필기 데이터 입력 ui의 작업 영역 확장 및 그룹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13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9622B2 (en) 2013-08-26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ndow expansion method and associated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174B1 (ko) * 2012-05-22 2016-06-21 주식회사 성우모바일 교육매체 제작방법 및 교육매체 시스템
KR101428395B1 (ko) * 2013-06-11 2014-08-14 한국과학기술원 스크린에 글씨를 쓰고 있는 상태에서의 손 이동을 통해 화면을 이동하는 방법
KR102274156B1 (ko) * 2013-08-26 2021-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윈도우 영역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KR20220102263A (ko) * 2021-01-13 2022-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620B1 (ko) * 1991-09-27 1994-04-25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불연속 스트로크 개선 방법
US5517578A (en) 1993-05-20 1996-05-14 Aha! Softwar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ping and manipulating electronic representations of handwriting, printing and drawings
KR19980080988A (ko) * 1997-04-01 1998-11-25 가시오가즈오 좌표검출태블릿을 갖는 필기데이터입력장치
KR0160695B1 (ko) * 1995-05-11 1998-12-15 김광호 휴대용 기기의 정보 입력방법
JP2003044214A (ja) * 2001-07-26 2003-02-14 Fujitsu Ltd 手書き文字入力装置及びそれ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
KR20040043454A (ko) * 2002-11-18 2004-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펜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펜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60096182A (ko) * 2003-05-19 2006-09-08 가부시키가이샤 이아이티 에어리어 이미지 센서를 사용한 위치 검출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620B1 (ko) * 1991-09-27 1994-04-25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불연속 스트로크 개선 방법
US5517578A (en) 1993-05-20 1996-05-14 Aha! Softwar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ping and manipulating electronic representations of handwriting, printing and drawings
KR0160695B1 (ko) * 1995-05-11 1998-12-15 김광호 휴대용 기기의 정보 입력방법
KR19980080988A (ko) * 1997-04-01 1998-11-25 가시오가즈오 좌표검출태블릿을 갖는 필기데이터입력장치
JP2003044214A (ja) * 2001-07-26 2003-02-14 Fujitsu Ltd 手書き文字入力装置及びそれ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
KR20040043454A (ko) * 2002-11-18 2004-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펜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펜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60096182A (ko) * 2003-05-19 2006-09-08 가부시키가이샤 이아이티 에어리어 이미지 센서를 사용한 위치 검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9622B2 (en) 2013-08-26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ndow expansion method and associate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852A (ko) 200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5615B2 (ja) 電子情報ボード装置
RU267934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диаграммы в электронном устройстве
KR100703771B1 (ko) 문자 입력판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6041425A1 (zh) 输入法虚拟键盘的调整方法和输入法装置
US20130191768A1 (en) Method for manipulating a graphical object and an interactive input system employing the same
US2015015444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JP5371798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146986A1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0791370B1 (ko) 필기 데이터 입력 ui의 작업 영역 확장 및 그룹화 방법
US2015026943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066511A (ko) 필기 문자들을 미화변형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6014743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KR102075433B1 (ko) 필기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9514096A5 (ko)
JP2015032050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201293A (zh) 文本选取方法和装置、文本处理方法和装置
US20120274573A1 (en) Korean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touch screen,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key input apparatus
EP2767897A2 (en) Method for generating writing data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210271380A1 (en) Display device
KR101142270B1 (ko) 문서 편집 기능을 갖는 필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CN105511772B (zh) 通过手势操作触发触摸屏上按钮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JP6659210B2 (ja) 手書入力装置及び手書入力方法
CN105549837A (zh) 基于触屏设备的通讯录中联系人项的展示方法及装置
JP2016148887A (ja) タッチパネルのジェスチャ操作による編集が可能なラダープログラムの編集装置
JP5712232B2 (ja) 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