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156B1 - 윈도우 영역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윈도우 영역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156B1
KR102274156B1 KR1020200087037A KR20200087037A KR102274156B1 KR 102274156 B1 KR102274156 B1 KR 102274156B1 KR 1020200087037 A KR1020200087037 A KR 1020200087037A KR 20200087037 A KR20200087037 A KR 20200087037A KR 102274156 B1 KR102274156 B1 KR 102274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ize
area
window area
p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7742A (ko
Inventor
김종민
곽부식
김주용
정인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10140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35947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7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1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87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 영역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윈도우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확장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된 확장 이벤트를 기반으로 윈도우 영역을 확장하여 사용자가 윈도우 영역 확장을 위한 별도의 동작을 수행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확장된 윈도우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영역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METHOD FOR RESIZING WINDOW AREA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윈도우 영역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PC의 웹 브라우저와 같은 가변적인 윈도우 영역을 가지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실행된 응용 프로그램의 윈도우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윈도우 영역은 임의의 크기를 가지고,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자유롭게 크기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마우스 또는 타블렛 펜 등과 같은 입력 수단에 의해서 웹 브라우저의 윈도우 영역을 원하는 크기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는 텍스트 또는 사용자 필기 등과 같은 입력 데이터를 표시하는 메모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입력과 동시에 표시 가능한 윈도우 영역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수단에 의해서 텍스트 또는 사용자 필기을 입력할 경우 표시 장치는 윈도우 영역 내에 입력된 텍스트 또는 사용자 필기을 표시할 수 있다. 만약 디폴트된 크기를 가지는 윈도우 영역 내에 더 이상 입력 데이터를 표시할 수 없다면 표시 장치는 텍스트 기반의 경우 윈도우 영역 내 입력된 텍스트를 상단으로 이동시키고, 이동된 텍스트의 하단에 추가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필기 기반의 경우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윈도우 영역 크기 변경 요청에 의해서 윈도우 영역을 확장시켜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표시장치는 윈도우 영역 내 텍스트 또는 사용자 필기와 같은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표시할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입력 데이터를 이동시켜 추가 영역을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서 윈도우 영역을 임의의 크기만큼 확장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표시 장치는 계속적으로 텍스트가 입력될 때 윈도우 영역의 추가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입력된 텍스트를 계속적으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입력된 텍스트를 한눈에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표시 장치는 계속적으로 사용자 필기가 입력될 때 윈도우 영역의 확장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경우에만 윈도우 영역을 확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자 필기를 입력하면서 윈도우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입력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입력 이벤트 패턴을 분석하여 윈도우 영역을 자동으로 확장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윈도우 영역과 상기 윈도우 영역을 제외한 비 윈도우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윈도우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확장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발생된 확장 이벤트를 기반으로 상기 윈도우 영역을 확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윈도우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확장 이벤트가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발생된 확장 이벤트를 기반으로 상기 윈도우 영역을 확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윈도우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확장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된 확장 이벤트를 기반으로 윈도우 영역을 확장하여 사용자가 윈도우 영역 확장을 위한 별도의 동작을 수행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확장된 윈도우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 내 윈도우 영역과 비 윈도우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전에 입력된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확장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브 윈도우의 크기가 윈도우 영역의 크기를 초과한 경우 확장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가 산출된 확장 영역의 크기만큼 윈도우 영역을 확장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확장 영역을 위한 여분의 영역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은 경우 입력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윈도우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필기 입력을 기반으로 윈도우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오브젝트 삽입을 기반으로 윈도우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서브 윈도우 크기를 기반으로 윈도우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윈도우 영역 확장을 이용하여 서브 윈도우를 표시하기 위한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윈도우 영역 확장을 이용하여 입력된 드로잉을 표시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는 휴대 장치, 이동 단말, 통신 단말, 휴대용 통신 단말, 휴대용 이동 단말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휴대폰, 게임기, TV,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 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포켓 사이즈의 휴대용 통신 단말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외에도 이미지 센서 장착이 가능한 장치이면 모두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러한 전자 장치는 가상 공간을 위한 장치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은 휴대폰에 대한 것이며, 이러한 전자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에서 일부 구성 소자는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디스플레이부(100), 제어부(110), 저장부(1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00)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예를 들어 손가락)를 디스플레이부(100)와 접촉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사용자 입력(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00)는 윈도우 영역과 비 윈도우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진다.
여기서, 윈도우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0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임의의 크기를 가지는 일부 영역을 의미한다. 윈도우 영역은 터치, 사용자 필기, 드로잉 등과 같은 입력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해서 삽입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과 같은 오브젝트와,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로 구성된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영역은 메모 또는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입력 및 표시 영역, 웹 브라우저의 표시 영역, 메신저의 입력 및 표시 영역, 멀티 윈도우 화면의 표시 영역 등과 같은 표시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비 윈도우 영역은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윈도우 영역 이외의 영역을 의미한다.
제어부(110)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100), 저장부(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10)는 윈도우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입력 이벤트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입력 이벤트 패턴을 기반으로 윈도우 영역을 확장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입력 이벤트 발생을 인지하는 비 윈도우 영역 내에tj 입력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면 입력 이벤트를 기반으로 확장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고, 산출된 확장 영역의 크기만큼 윈도우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다음과 같은 실시 예들로 윈도우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윈도우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제1 실시 예로 제어부(110)는 입력 이벤트가 윈도우 영역을 초과하여 비 윈도우 영역 내에 인지되면 상기 입력 이벤트에 의한 입력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확장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고, 산출된 확장 영역의 크기만큼 윈도우 영역을 확장한 후 확장된 윈도우 영역에 입력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윈도우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제2 실시 예로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서 윈도우 영역에 삽입된 오브젝트가 윈도우 영역을 초과하면 삽입된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는 확장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고, 산출된 확장 영역의 크기만큼 윈도우 영역을 확장한 후 확장된 윈도우 영역에 오브젝트의 전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오브젝트의 전체 크기 중 윈도우 영역을 초과하는 크기만큼 윈도우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서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입력 수단에 의해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또는 카피 앤 페이스트(copy and paste)된 오브젝트가 윈도우 영역에 초과하면 제어부(110)는 오브젝트가 윈도우 영역에서 초과된 크기만큼을 확장 영역의 크기로 산출하고, 산출된 확장 영역의 크기만큼 윈도우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윈도우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제3 실시 예로 제어부(11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동작하는 중에 팝업 윈도우와 같은 서브 윈도우 영역을 표시할 시 표시할 서브 윈도우 영역의 크기가 윈도우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윈도우 영역의 크기를 서브 윈도우 영역의 크기로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다음과 같은 실시 예들로 확장 영역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확장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기 위한 제1 실시 예로 제어부(110)는 이전에 입력된 입력 데이터에 대한 수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확장 영역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데이터에 대한 수치 데이터는 입력 데이터의 가로 크기 또는 세로 크기, 평균 크기, 최대 크기, 최소 크기 등일 수 있다.
확장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기 위한 제2 실시 예로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서 윈도우 영역에 삽입된 오브젝트가 윈도우 영역을 초과하는 경우 오브젝트의 전체 크기 중 윈도우 영역을 초과한 크기를 확장 영역의 크기로 산출할 수 있다.
확장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기 위한 제3 실시 예로 제어부(110)는 팝업창과 같이 서브 윈도우를 표시할 시 표시할 서브 윈도우의 크기가 윈도우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서브 윈도우의 전체 크기 중 윈도우 영역을 초과한 크기를 확장 영역으로 산출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전자 장치(1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 내 윈도우 영역과 비 윈도우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영역(20)은 윈도우 영역(200)과 비 윈도우 영역(2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 영역(200)은 디스플레이 영역(20) 내에 임의의 크기를 가지고, 입력 데이터, 오브젝트, 서브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비 윈도우 영역(210)은 디스플레이 영역(20) 내에서 윈도우 영역(200)을 제외한 영역이며, 윈도우 영역(200)을 초과한 입력 데이터, 오브젝트, 서브 윈도우를 인지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윈도우 영역(200)은 제1 면(201), 제2 면(202), 제3 면(203), 제4면(204)을 포함하는 4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 영역(200)은 다양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는데, 도 3의 (a)에서 도면부호 300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 도면부호 310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단, 도면부호 320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도면부호 330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우측이라고 정의하면 윈도우 영역(200)은 도 3의 (a)와 같이 상단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단 우측에 위치한 윈도우 영역(20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비 윈도우 영역(210)일 수 있다.
윈도우 영역(200)은 도 3의 (b)와 같이 하단 좌측에 위치하고, 도 3의 (c)와 같이 하단 우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도 3의 (d)와 같이 중앙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때, 비 윈도우 영역(210)은 이와 같이 위치한 윈도우 영역(20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전에 입력된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확장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특히,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전에 입력된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확장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A(400), B(410), C(420)와 같은 드로잉 입력에 따라 윈도우 영역(200) 내에 A(400), B(410), C(420)를 표시할 수 있다. 윈도우 영역(200) 내에 도면부호 400과 같은 드로잉 입력이 비 윈도우 영역(210)에 근접하면 제어부(110)는 이전에 입력된 드로잉 A(400), B(410), C(420)에 대한 수치 데이터 d 를 산출한다. 여기서, 수치 데이터는 입력 데이터의 가로 크기 또는 세로 크기, 입력 데이터의 가로 크기 또는 세로 크기에 대한 평균 크기, 최대 크기, 최소 크기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400), B(410), C(420)의 세로 크기에 대한 평균 크기를 산출하는 경우 평균 크기는 드로잉 A(400)의 길이 a, B(410)의 길이 b, C(430)의 길이 c에 대한 평균 길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윈도우 영역이 상하 방향으로 확장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윈도우 영역이 좌우 방향으로 확장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입력 데이터의 가로 크기, 입력 데이터의 가로 크기에 대한 평균 크기, 최대 크기, 최소 크기 등을 입력 데이터의 수치 데이터로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드로잉 입력이 시작되는 위치(440)에서부터 산출된 수치 데이터 d에 임의의 크기 α를 추가한 크기(450)를 확장 영역의 크기로 산출하고, 산출된 확장 영역의 크기만큼 윈도우 영역(200)을 확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임의의 크기 α는 선택적으로 추가되지 않을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10)는 수치 데이터 d의 n(n은 자연수) 배수에 임의의 크기 α를 추가한 크기 d×n + α를 확장 영역의 크기로 산출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비 윈도우 영역에 인지된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확장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의 (a)와 같이 윈도우 영역(200)으로부터 시작된 드로잉이 윈도우 영역(200)을 초과하여 비 윈도우 영역(210)에서 계속적으로 인지되면 제어부(110)는 적어도 비 윈도우 영역(210)에 인지된 드로잉이 윈도우 영역(200) 내에 표시될 수 있도록 윈도우 영역(200)을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영역(200) 내에 인지된 드로잉 입력이 표시되고(500), 비 윈도우 영역(210) 내에 드로잉 입력이 인지된 후(510) 다시 윈도우 영역(200) 내에 인지된 드로잉 입력이 표시되면(520) 제어부(110)는 윈도우 영역(210) 내 인지된 드로잉 입력을 표시하기 위한 크기 d를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산출된 크기 d에 임의의 크기 α를 추가한 크기 d+α(530)를 확장 영역의 크기로 산출하고, 도 5의 (b)와 같이 산출된 확장 영역의 크기만큼 윈도우 영역(200)을 확장하여 인지된 드로잉 입력(540)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10)는 산출된 크기 d의 n(n은 자연수) 배수에 임의의 크기 α를 추가한 크기 d×n + α를 확장 영역의 크기로 산출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윈도우 영역에 삽입된 오브젝트가 윈도우 영역의 크기를 초과한 경우 확장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사용자에 의해서 삽입된 오브젝트(600)가 도 6의 (a)와 같이 윈도우 영역(200)을 초과하면 제어부(110)는 오브젝트(600)의 전체 크기 중 윈도우 영역(200)을 초과한 크기만큼 윈도우 영역(200)을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오브젝트(600)의 전체 크기 중 윈도우 영역(200)을 초과하는 크기 d를 산출하고, 산출된 크기 d에 임의의 크기 α를 추가한 크기(610)를 확장 영역의 크기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10)는 산출된 크기 d의 n(n은 자연수) 배수에 임의의 크기 α를 추가한 크기 d×n + α를 확장 영역의 크기로 산출할 수도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도 6의 (b)와 같이 산출된 확장 영역의 크기만큼 윈도우 영역(200)을 확장하여 오브젝트(600)의 전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브 윈도우의 크기가 윈도우 영역의 크기를 초과한 경우 확장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서 팝업창과 같은 서브 윈도우(700)가 윈도우 영역(200)에 표시될 시 서브 윈도우의 크기가 도 7의 (a)와 같이 윈도우 영역(200)을 초과하면 제어부(110)는 서브 윈도우(700)의 전체 크기 중 윈도우 영역(200)을 초과한 크기만큼 윈도우 영역(200)을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서브 윈도우(700)의 전체 크기 중 윈도우 영역(200)을 초과하는 크기 d를 확장 영역의 크기로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도 7의 (b)와 같이 산출된 확장 영역의 크기만큼 윈도우 영역(200)을 확장하여 오브젝트(600)의 전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서브 윈도우(700)가 도 7의 (c)와 같이 윈도우 영역(200)을 초과하면 제어부(110)는 서브 윈도우(200)의 전체 크기 중 윈도우 영역(200)을 초과하는 서브 윈도우(700)의 가로 크기 d'와 세로 크기 d를 확장 영역의 크기로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10)는 도 7의 (d)와 같이 산출된 확장 영역의 크기만큼 윈도우 영역(200)을 확장하여 서브 윈도우(700)의 전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가 산출된 확장 영역의 크기만큼 윈도우 영역을 확장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사용자 필기가 계속적으로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에 따르면 도 8의 (a)와 같이 윈도우 영역(200)에 사용자 필기 입력에 따라 입력된 사용자 필기가 표시되고, 비 윈도우 영역(210)으로부터 사용자 필기 입력이 인지되면 제어부(200)는 비 윈도우 영역(210) 내에 인지된 사용자 필기 입력을 바탕으로 확장 영역의 크기를 산출한다.
제어부(110)는 비 윈도우 영역(210)에서 사용자 필기가 입력된 시점부터 임의의 시간까지 윈도우 영역(200)의 확장을 홀딩(Holding)한다.
임의의 시간이 지나면 제어부(110)는 도 8의 (b)와 같이 산출된 확장 영역의 크기만큼 윈도우 영역(200)을 확장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확장된 윈도우 영역(200)으로부터 계속적으로 사용자 필기가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필기를 확장된 윈도우 영역(200)에 표시한다.
도 8의 (c)와 같이 비 윈도우 영역(210)에 사용자 필기가 인지되면 제어부(110)는 비 윈도우 영역(210) 내에 인지된 사용자 필기 입력을 바탕으로 확장 영역의 크기를 산출한다.
제어부(110)는 비 윈도우 영역(210)에서 사용자 필기가 입력된 시점부터 임의의 시간까지 윈도우 영역(200)의 확장을 홀딩(Holding)한다.
이후 임의의 시간이 지나거나 사용자 필기 입력이 완료되면 제어부(110)는 도 8의 (d)와 같이 산출된 확장 영역의 크기만큼 윈도우 영역(200)을 확장하여 입력된 사용자 필기를 확장된 윈도우 영역(200) 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확장 영역을 위한 여분의 영역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은 경우 입력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영역(20)에서 도면부호 900의 면을 ‘상단’, 도면부호 910의 면을 ‘하단’으로 정의하고, 윈도우 영역(200)이 상단(800)에서 하단(910)의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윈도우 영역(200)에서 도면부호 930의 면을 ‘상단’, 도면부호 940의 면을 ‘하단’으로 정의하고, 디스플레이 영역(20)의 하단(810)과 윈도우 영역(200)의 하단(940)이 밀접하여 더 이상 확장을 위한 여분의 영역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인 것을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의 (a)와 같이 오브젝트의 크기가 뷰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지만 뷰 영역(200)이 확장할 수 있는 여분의 영역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10)는 확장 영역의 크기(920)를 산출하고, 도 9의 (b)와 같이 하단(910)에서 상단(900)의 방향으로 산출된 확장 영역의 크기(920)만큼 뷰 영역(200)을 확장한 후 확장된 뷰 영역(200)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윈도우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00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확장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면 1010단계에서 발생된 확장 이벤트를 기반으로 확장 영역의 크기를 산출한다. 여기서 확장 이벤트는 비 윈도우 영역에 입력 데이터가 인지되는 이벤트, 사용자에 의해서 삽입된 오브젝트가 윈도우 영역을 초과하는 이벤트, 서브 윈도우의 크기가 윈도우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는 이벤트 등일 수 있다.
102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산출된 확장 영역의 크기만큼 윈도우 영역을 확장한다.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윈도우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필기 입력을 기반으로 윈도우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에 따르면 110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윈도우 영역(200)에 사용자 필기를 입력받는다.
111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입력된 사용자 필기가 윈도우 영역(200)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 필기가 윈도우 영역(200)을 초과하면 1130단계로 진행하고, 사용자 필기가 윈도우 영역(200)을 초과하지 않으면 1120단계에서 윈도우 영역(200)에 입력된 사용자 필기를 표시한다.
113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윈도우 영역(200)에 사용자 필기를 표시하기 위한 확장 영역의 크기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윈도우 영역(200)을 초과하여 비 윈도우 영역(210)에 인지된 사용자 필기를 기반으로 확장 영역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인지된 사용자 필기에 대한 수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확장 영역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114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산출된 확장 영역의 크기만큼 윈도우 영역(200)을 확장하고, 1150단계에서 확장된 윈도우 영역(200)에 입력된 사용자 필기를 표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오브젝트 삽입을 기반으로 윈도우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20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윈도우 영역(200)에 오브젝트를 삽입한다.
121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삽입된 오브젝트가 윈도우 영역(200)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삽입된 오브젝트가 윈도우 영역(200)을 초과하면 1230단계로 진행하고, 삽입된 오브젝트가 윈도우 영역(200)을 초과하지 않으면 1220단계에서 윈도우 영역(200) 내에 삽입된 오브젝트를 표시한다.
123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윈도우 영역(200) 내에 삽입된 오브젝트를 표시하기 위한 확장 영역의 크기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오브젝트의 전체크기 중 윈도우 영역(200)을 초과한 오브젝트의 크기를 확장 영역의 크기로 산출할 수 있다.
124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산출된 확장 영역의 크기만큼 윈도우 영역(200)을 확장하고, 확장된 윈도우 영역(200)내에 삽입된 오브젝트를 표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서브 윈도우 크기를 기반으로 윈도우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30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윈도우 영역(200)에 서브 윈도우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팝업창과 같은 서브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
131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서브 윈도우의 크기가 윈도우 영역(200)의 크기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서브 윈도우의 크기가 윈도우 영역(200)의 크기를 초과하면 1330단계를 진행하고, 서브 윈도우의 크기가 윈도우 영역(200)의 크기를 초과하지 않으면 윈도우 영역 확장 동작을 종료한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110)는 서브 윈도우의 크기가 윈도우 영역(200)의 크기를 초과하지 않으면 윈도우 영역(200)에 삽입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133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윈도우 영역(200) 내에 서브 윈도우를 표시하기 위한 확장 영역의 크기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서브 윈도우의 전체 크기에서 윈도우 영역(200)의 크기를 초과하는 크기만큼을 확장 영역의 크기로 산출할 수 있다.
134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산출된 확장 영역의 크기만큼 윈도우 영역(200)을 확장하고, 1350단계에서 확장된 윈도우 영역(200)에 서브 윈도우를 표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윈도우 영역 확장을 이용하여 서브 윈도우를 표시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제어부(11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서 도 14의 (a)와 같이 서브 윈도우(140)를 윈도우 영역(200)에 표시할 수 있다. 서브 윈도우(140)를 윈도우 영역(200)에 표시할 시 서브 윈도우(1400)의 전체 크기가 윈도우 영역(200)의 크기보다 더 크면 제어부(110)는 서브 윈도우(1400)의 전체 크기에서 윈도우 영역(200)을 초과하는 크기를 확장 영역의 크기로 산출한다. 제어부(110)는 산출된 확장 영역의 크기만큼 윈도우 영역(200)을 확장하고, 도 14의 (b)와 같이 확장된 윈도우 영역(200)에 서브 윈도우(140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윈도우 영역 확장을 이용하여 입력된 드로잉을 표시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5의 (a)와 같이 드로잉 입력(1500)이 윈도우 영역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도 15의 (b)와 같이 입력된 드로잉의 크기만큼 윈도우 영역의 크기를 더 확장하여 확장된 윈도우 영역에 입력된 드로잉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확장 이벤트가 발생 시 발생된 확장 이벤트를 기반으로 확장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고, 산출된 확장 영역의 크기만큼 윈도우 영역을 확장하여 사용자가 윈도우 영역 확장을 위한 별도의 동작을 수행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확장된 윈도우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10: 전자장치
100: 디스플레이부
110: 제어부
120: 저장부

Claims (16)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2 화면 상에 제1 팝업 윈도우 크기로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1 화면은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면의 크기가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제1 화면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1 팝업 윈도우의 엣지를 넘어 상기 제2 화면으로 연장되는 연속적인 드래그 입력을 포함하는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드로잉 입력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팝업 윈도우의 엣지를 넘어 연장되는 드로잉 입력의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드로잉 입력을 상기 제1 화면의 크기가 유지되는 동안에 드로잉 정보로서 처리하고,
    상기 제1 팝업 윈도우 크기의 엣지를 넘어 확장되는 상기 드로잉 입력의 일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팝업 윈도우의 크기보다 큰 제2 팝업 윈도우 크기로 상기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2 팝업 윈도우의 크기로 디스플레이 된 상기 제1 화면은 상기 제1 팝업 윈도우의 엣지를 넘어 연장되는 상기 드로잉 입력의 부분에 대응하는 드로잉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메모 어플리케이션, 노트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또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2 화면 상에 제1 팝업 윈도우 크기로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과, 상기 제1 화면은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면의 크기가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제1 화면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1 팝업 윈도우의 엣지를 넘어 상기 제2 화면으로 연장되는 연속적인 드래그 입력을 포함하는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드로잉 입력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팝업 윈도우의 엣지를 넘어 연장되는 드로잉 입력의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드로잉 입력을 상기 제1 화면의 크기가 유지되는 동안에 드로잉 정보로서 처리하는 동작과,
    상기 제1 팝업 윈도우 크기의 엣지를 넘어 확장되는 상기 드로잉 입력의 일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팝업 윈도우의 크기보다 큰 제2 팝업 윈도우 크기로 상기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과,
    상기 제2 팝업 윈도우의 크기로 디스플레이 된 상기 제1 화면은 상기 제1 팝업 윈도우의 엣지를 넘어 연장되는 상기 드로잉 입력의 부분에 대응하는 드로잉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메모 어플리케이션, 노트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또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5.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팝업 윈도우 영역 및 상기 팝업 윈도우 영역 아래의 나머지 디스플레이 화면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고,
    제1 드로잉 입력을 식별하고,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은 상기 팝업 윈도우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종료하고, 상기 팝업 윈도우 영역은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대응하고,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대응하는 객체를 저장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객체는 상기 윈도우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의 제1 부분 및 상기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영역은 상기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을 오버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가 저장된 경우에 상기 윈도우 영역은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상기 확장된 윈도우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윈도우 영역의 확장에 대한 크기를 식별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은 스타일러스 펜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팝업 윈도우 영역 및 상기 팝업 윈도우 영역 아래의 나머지 디스플레이 화면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과,
    제1 드로잉 입력을 식별하는 동작과,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은 상기 팝업 윈도우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종료하고, 상기 팝업 윈도우 영역은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대응하고,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대응하는 객체를 저장하는 동작과, 상기 객체는 상기 윈도우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의 제1 부분 및 상기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영역은 상기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을 오버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가 저장된 경우에 상기 윈도우 영역은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상기 확장된 윈도우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윈도우 영역의 확장에 대한 크기를 식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은 스타일러스 펜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200087037A 2013-08-26 2020-07-14 윈도우 영역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KR102274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037A KR102274156B1 (ko) 2013-08-26 2020-07-14 윈도우 영역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402A KR102135947B1 (ko) 2013-08-26 2013-08-26 윈도우 영역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KR1020200087037A KR102274156B1 (ko) 2013-08-26 2020-07-14 윈도우 영역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1402A Division KR102135947B1 (ko) 2013-08-26 2013-08-26 윈도우 영역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742A KR20200087742A (ko) 2020-07-21
KR102274156B1 true KR102274156B1 (ko) 2021-07-07

Family

ID=71832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037A KR102274156B1 (ko) 2013-08-26 2020-07-14 윈도우 영역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1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1850A (ko) * 2021-01-12 2022-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24049270A1 (ko) * 2022-09-01 2024-03-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407B1 (ko) * 2002-11-18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펜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펜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791370B1 (ko) * 2006-03-07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필기 데이터 입력 ui의 작업 영역 확장 및 그룹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742A (ko) 202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1866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editing screenshot images
KR102178845B1 (ko) 햅틱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EP250079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679169B2 (ja) メニュー表示装置、メニュー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116230A1 (en) Display Device and Icon Control Method Thereof
JP5846857B2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電子コンテンツ表示方法
US20120062604A1 (en) Flexible touch-based scrolling
US9904400B2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touch region to be shown and method thereof
KR20110041915A (ko) 데이터 표시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단말기
JP566414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A2767515A1 (en) Scroll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20140136500A (ko) 터치 스크린 호버 입력 핸들링
US20140145945A1 (en) Touch-based input control method
US11119622B2 (en) Window expansion method and associated electronic device
EP3343341A1 (en) Touch input method through edg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US10048726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KR20090102727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74156B1 (ko) 윈도우 영역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US98518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 playback
US20140164993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contents
EP30199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KR102438823B1 (ko)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기능 실행 방법 및 그 장치
US20210389849A1 (en)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implementing method is recorded
KR102157078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전자문서 작성 방법 및 장치
CN103106023B (zh) 用于控制便携式终端中的显示尺寸的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