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845B1 - 햅틱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 Google Patents

햅틱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845B1
KR102178845B1 KR1020130009998A KR20130009998A KR102178845B1 KR 102178845 B1 KR102178845 B1 KR 102178845B1 KR 1020130009998 A KR1020130009998 A KR 1020130009998A KR 20130009998 A KR20130009998 A KR 20130009998A KR 102178845 B1 KR102178845 B1 KR 102178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screen
displayed
distanc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6860A (ko
Inventor
이주연
박진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9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845B1/ko
Priority to US14/167,595 priority patent/US9690377B2/en
Publication of KR20140096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860A/ko
Priority to US15/633,070 priority patent/US1040196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4Force feedback applied to GUI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햅틱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의 햅틱 피드백 및 비쥬얼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객체를 터치하는 제1 터치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제1 터치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객체를 스크롤링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객체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에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호버링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스크린과 상기 검출된 호버링 간의 거리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스크린과 상기 검출된 호버링 간의 상기 거리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스크롤링의 속도를 조절하는 과정과, 상기 조절된 스크롤링의 속도에 기반하여 객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거리가 제1 거리인 경우, 상기 제1 속도에 기반하여 객체의 스크롤링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결정된 거리가 제2 거리인 경우 제2 속도에 기반하여 객체의 스크롤링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2 거리보다 크며, 상기 제1 속도는 상기 제2 속도보다 빠름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햅틱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PTIC}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햅틱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휴대 단말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스마트 폰, 휴대폰, 노트 PC 및 태블릿 PC와 같은 이동이 가능하고, 터치 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단말 내에는 적어도 수 개에서 수백 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을 실행시키기 위한 객체들(또는 단축 아이콘)이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휴대 단말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상에는 상기 단축 아이콘들 이외에도 위젯, 사진 및 문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비쥬얼 객체들이 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은 표시된 객체들에 사용자의 손가락, 전자펜, 스타일러스 펜 등의 입력 유닛을 이용한 터치 입력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이때의 터치 입력 방식에는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과의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 방식과, 호버링(Hovering)과 같은 비접촉 상태로의 입력 방식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터치 입력 방식은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최근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한 입력 방식에서 터치 입력이 있을 경우 진동 소자 등을 통해 사용자가 마치 버튼을 누르는 조작감을 느낄 수 있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터치 입력 기술의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용자들이 원하는 즐겁고 새로운 다중 감각 인터페이스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을 조작함에 따라 그 조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 통해 진동을 제공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로 하여금 터치 스크린에 입력 유닛이 접촉됨을 인지시킬 뿐, 실제 어플리케이션 등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데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의 사용에 있어서, 입력 유닛에 의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를 선택하는 경우, 이를 시각적 및/또는 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할 시 햅틱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의 햅틱 피드백 및 비쥬얼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객체를 터치하는 제1 터치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제1 터치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객체를 스크롤링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객체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에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호버링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스크린과 상기 검출된 호버링 간의 거리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스크린과 상기 검출된 호버링 간의 상기 거리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스크롤링의 속도를 조절하는 과정과, 상기 조절된 스크롤링의 속도에 기반하여 객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거리가 제1 거리인 경우, 상기 제1 속도에 기반하여 객체의 스크롤링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결정된 거리가 제2 거리인 경우 제2 속도에 기반하여 객체의 스크롤링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2 거리보다 크며, 상기 제1 속도는 상기 제2 속도보다 빠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햅틱 피드백 및 비쥬얼 피드백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 모터와,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과,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를 터치하는 제1 터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1 터치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객체를 스크롤링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객체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에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호버링을 검출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과 상기 검출된 호버링 간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과 상기 검출된 호버링 간의 상기 거리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스크롤링의 속도를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스크롤링의 속도에 기반하여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결정된 거리가 제1 거리인 경우, 상기 제1 속도에 기반하여 객체의 스크롤링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결정된 거리가 제2 거리인 경우 제2 속도에 기반하여 객체의 스크롤링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2 거리보다 크며, 상기 제1 속도는 상기 제2 속도보다 빠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입력 유닛에 있어서, 진동 소자와, 상기 진동 소자의 진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진동 소자의 진동을 제어하는 햅틱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 상에 상기 입력 유닛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의해 변형되는 객체에 제공되는 비쥬얼 피드백에 대응되는 미리 결정된 햅틱 패턴을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입력 유닛의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진동 소자의 진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진동 소자의 진동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 상에 상기 입력 유닛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의해 변형되는 객체에 제공되는 비쥬얼 피드백에 대응되는 미리 결정된 햅틱 패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객체의 디스플레이 속도를 제어하고, 선택된 객체의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바운스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또는 촉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입력 유닛과 터치 스크린의 내부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입력 유닛을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 제어와 객체 선택에 따른 햅틱 효과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객체들을 스크롤링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객체들이 스크롤링 중인 예시도.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링되고 있는 복수의 객체들을 호버링 입력으로 스크롤링 속도를 제어하고 객체 선택에 따른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예시도.
도 7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링되고 있는 객체들을 호버링 입력으로 스크롤링 속도를 제어하는 예시도.
도 7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체를 선택하는 경우의 햅틱 패턴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핀치를 적용하는 경우의 비쥬얼 피드백 및 햅틱 피드백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여 핀치를 실행하는 예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더 이상 핀치를 할 수 없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핀치가 실행되는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
도 9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더 이상 핀치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스프레드를 적용하는 경우의 비쥬얼 피드백 및 햅틱 피드백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여 스프레드를 실행하는 예시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더 이상 스프레드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스프레드가 실행되는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더 이상 스프레드가 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핀치/스프레드가 더 이상 안되는 경우의 햅틱 패턴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객체 보다 하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를 적용하는 경우의 비쥬얼 피드백 및 햅틱 피드백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에 복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한 예시도.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객체 보다 하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를 실행하는 예시도.
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객체에 더 이상 하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
도 1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객체 보다 더 이상 하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
도 14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더 이상 하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의 가장 하위에 존재하는 복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한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객체 보다 상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를 적용하는 경우의 비쥬얼 피드백 및 햅틱 피드백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에 복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한 예시도.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객체 보다 상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를 실행하는 예시도.
도 16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객체에 더 이상 상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
도 16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더 이상 상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
도 16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더 이상 상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경우의 가장 상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한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보다 상위/하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경우의 햅틱 패턴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휴대 단말: 휴대 가능하고 데이터 송수신과 음성 및 영상 통화가 가능한 이동 단말로서 적어도 하나의 터치 스크린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3D-TV, 스마트 TV, LED TV, LCD TV등을 포함하며 이외도 주변 기기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 다른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모든 단말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 터치 스크린상의 접촉 또는 호버링과 같은 비접속 상태에서도 휴대 단말에 명령 또는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핑거, 전자펜, 및 스타일러스 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객체: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거나,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것으로서, 문서, 위젯, 사진, 지도, 동영상, 이메일, SMS 메시지 및 MMS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입력 유닛에 의해 실행, 삭제, 취소, 저장 및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객체는 단축 아이콘, 썸네일 이미지 및 휴대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저장하고 있는 폴더를 포괄하는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다.
단축 아이콘: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휴대 단말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통화, 연락처, 메뉴 등의 빠른 실행을 위해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서, 이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 또는 입력이 입력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터치 제스처(touch gesture):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입력 유닛 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입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제스처가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에 손가락을 터치한 후, 손가락을 아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터치(또는 연속적인 움직임)하여 상위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 터치 스크린에 손가락을 터치한 후, 손가락을 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터치(또는 연속적인 움직임)하여 하위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 터치 스크린에 손가락을 터치한 후, 손가락을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터치(또는 연속적인 움직임)하여 우측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 터치 스크린에 손가락을 터치한 후, 손가락을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터치(또는 연속적인 움직임)하여 좌측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 터치 스크린에 두 개의 손가락을 터치한 후, 두 손가락의 간격을 좁게 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드래그를 하여 디스플레이된 객체를 축소하는 핀치 및 터치 스크린에 두 개의 손가락을 터치한 후, 두 손가락의 간격을 넓게 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드래그를 하여 디스플레이된 객체를 확대하는 스프레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제스처로 인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는 스크롤링, 축소 또는 확대될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된 객체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오목 또는 볼록으로 굴곡지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이동 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커넥터(165), 및 이어폰 연결잭(167)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100)에 탈착되어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이어폰(Earphone), 외부 스피커(External speaker),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충전기, 크래들/도크(Cradle/Dock), DMB 안테나, 모바일 결제 관련 장치, 건강 관리 장치(혈당계 등), 게임기,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 등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 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 및 WiFi Direct 통신 장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은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하여 다른 장치, 즉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및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스크린(190) 및 적어도 하나의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7),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및 전원 공급부(180)를 포함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 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100)의 카메라 모듈(150)은 휴대 단말(100)의 주 용도에 따라 제1 및/또는 제2 카메라(151, 152)의 줌 인/줌 아웃을 위한 경통부(155), 상기 경통부(155)의 줌 인/줌 아웃을 위해 경통부(155)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터부(154), 촬영을 위해 광원을 제공하는 플래시(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CPU(111), 휴대 단말(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휴대 단말(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휴대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7),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 공급부(180), 터치 스크린(190), 및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190) 상에 복수의 객체들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전자 펜 등의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168)에 의해 어느 하나의 객체에 근접함에 따른 호버링이 인식되는지 판단하고, 호버링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객체를 식별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100)로부터 입력 유닛까지의 높이와, 높이에 따른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호버링 입력 이벤트는 입력 유닛에 형성된 버튼 눌림, 입력 유닛에 대한 두드림, 입력 유닛이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함, 객체에 대한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입력 유닛과 터치 스크린 간의 거리에 따라 햅틱 패턴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햅틱 패턴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거리는 가변적이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가 발생되면,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를 터치 스크린(190)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190)을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 상의 입력 유닛에 의한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대응하여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의 상하좌우로의 이동 또는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만일, 상기 터치 제스처가 입력 유닛에 의한 호버링에 의한 입력인 경우,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190)과 입력 유닛과의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거리에 대응하여 터치 스크린의 객체 디스플레이 속도를 제어한다. 만일, 상기 터치 제스처가 스크롤링 입력인 경우, 가장 상위, 가장 하위, 가장 우측, 또는 가장 좌측에 존재하는 객체의 적어도 하나의 면을 오목 또는 볼록으로 굴곡지게 형성 또는 변형하거나, 떨림 및 출렁임과 같은 비쥬얼 피드백 제공하고, 휴대 단말(100)의 진동 모터를 제어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100)이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휴대 단말(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 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100)과 화상형성장치(도시되지 아니함)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통신 모듈(130) 무선랜 모듈(131)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제어부(110)는 햅틱 패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입력 유닛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송수신부라 칭하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축소하지 않는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 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 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50)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줌 인/줌 아웃을 수행하는 경통부(155), 상기 경통부(155)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터부(154),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 광원을 제공하는 플래시(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는 상기 휴대 단말(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52)는 상기 휴대 단말(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취한 방식으로,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는 인접(예,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의 간격이 1 cm 보다 크고, 8 cm 보다는 작은)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카메라(151, 152)는 각각 렌즈계,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카메라(151, 152)는 각각 렌즈계를 통해 입력되는(또는 촬영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하고, 사용자는 이러한 제1 및 제2 카메라(151, 152)를 통해 동영상 또는 정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GPS 모듈(157)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휴대 단말(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이어폰 연결잭(167) 및 입력 유닛(16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입/출력 모듈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마우스, 트랙볼, 조이스틱 또는 커서 방향 키들과 같은 커서 컨트롤(cursor control)이 제어부(110)와의 통신 상기 터치 스크린(190) 상의 커서 움직임 제어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휴대 단말(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16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소리를 휴대 단말(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63)는 근거리 통신 모듈(132)을 통해 입력 유닛(168)으로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소리는 입력 유닛(168)의 진동 소자(520)의 활성화에 따른 소리, 진동 세기에 대응하여 크기가 달라지는 소리, 및 진동 소자(520)의 비활성화에 따른 소리를 포함한다. 또한, 스피커(163)는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의 비쥬얼 피드백 및 햅틱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비쥬얼 피드백 및 햅틱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소리는 객체들의 스크롤링, 스크롤링되는 복수의 객체들 중 임의 객체가 선택될 때 떨림 또는 출렁임, 객체의 확대, 객체의 축소, 객체들을 상하로 스크롤링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스피커(163)는 상술한 경우에 대응한 소리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러한 소리는 입력 유닛(168)의 진동 소자(520)의 진동 세기에 따라 볼륨이 제어되거나 또는 진동 소자(520)의 활성과 동시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예: 10ms) 이전/이후의 간격으로 휴대 단말(100)의 스피커(163) 및/또는 입력 유닛(168)에 구비될 수 있는 스피커(56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리는 진동 소자(520)의 비활성과 동시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예: 10ms) 이전/이후의 간격으로 종료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163)는 휴대 단말(100)이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상기 휴대 단말(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휴대 단말(100)은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상기 휴대 단말(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터치 스크린(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 스크린(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64)는 사용자가 느끼는 촉감(예: 떨림, 출렁임 등등)에 대응하는 햅틱 피드백으로 진동될 수 있다. 이러한, 햅틱 피드백은 객체들의 스크롤링, 스크롤링되는 복수의 객체들 중 임의 객체의 선택, 객체의 확대, 객체의 축소, 또는 객체들을 상하로 스크롤링하는 경우에 따라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진동 모터(164)는 이러한 햅틱 피드백에 대응하여 진동한다.
커넥터(165)는 상기 휴대 단말(100)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10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휴대 단말(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100)은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거나, 상기 전원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 단말(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 단말(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 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휴대 단말(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에는 이어폰(도시되지 아니함)이 삽입되어 상기 휴대 단말(100)에 연결될 수 있고, 입력 유닛(168)은 휴대 단말(1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상기 휴대 단말(100)로부터 인출 또는 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유닛(168)이 삽입되는 휴대 단말(100) 내부의 일 영역에는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 및 탈착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가 구비되어, 제어부(110)로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 및 탈착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입력 유닛(168)이 삽입되는 일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시 직간접적으로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상기 입력 유닛(168)과의 직간접적으로 접촉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이나 탈착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센서 모듈(170)은 휴대 단말(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100)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휴대 단말(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휴대 단말(100)의 동작(예, 휴대 단말(100)의 회전, 휴대 단말(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도시되지 아니함),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휴대 단말(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7),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터치 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휴대 단말(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휴대 단말(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75)는 네비게이션, 화상 통화, 게임, 사용자에게 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알람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의 애플리케이션들과 이와 관련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데이터, 상기 휴대 단말(100)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경 이미지들(메뉴 화면, 대기 화면 등) 또는 운영 프로그램들, 카메라 모듈(15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사용자가 느끼는 촉감(예: 떨림, 출렁임 등등)에 대응하는 햅틱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75)는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이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라는 용어는 기계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기계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매체로 정의될 수 있다.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상기 저장부(175)는 비휘발성 매체(non-volatile media) 및 휘발성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매체는 상기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명령들이 상기 명령들을 상기 기계로 읽어 들이는 물리적 기구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유형의 것이어야 한다.
상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시디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광학 디스크,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램, 피롬(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이피롬(Erasable PROM: EPROM) 및 플래시-이피롬(FLASH-EPRO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휴대 단말(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 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 단말(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 단말(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터치 스크린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해당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100)은 복수의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는데, 각각의 터치 스크린 별로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터치 스크린은 힌지의 연결을 통한 복수의 하우징에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복수의 터치 스크린들이 힌지 연결 없이 하나의 하우징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 편의상 하나의 터치 스크린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예, 스타일러스 펜, 전자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90)은 스타일러스 펜 또는 전자 펜과 같은 펜을 통해서 입력되면, 이를 인식하는 펜 인식 패널(191)을 포함하며, 이러한 펜 인식 패널(191)은 펜과 터치 스크린(190)간의 거리를 자기장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 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 터치 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 접촉하지 않고 검출가능한 간격(예: 5mm 내외))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에서 검출가능한 간격은 휴대 단말(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터치 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과의 접촉에 의한 터치 이벤트와, 비접촉 상태로의 입력(예컨대, 호버링(Hovering)) 이벤트를 구분하여 검출 가능하도록, 상기 터치 이벤트와 호버링 이벤트에 의해 검출되는 값(예컨대, 아날로그 값으로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포함)이 다르게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 나아가, 터치 스크린(190)은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 공간과 터치 스크린(19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검출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다르게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에 의한 입력을 순차적 또는 동시에 입력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의 터치나 근접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은 서로 다른 출력 값을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에 제공하고,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에서 입력되는 값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여, 터치 스크린(190)으로부터의 입력이 사용자의 신체에 의한 입력인지,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에 의한 입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190)은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입력 유닛을 이용하여 스크롤링을 통해 최상, 최하, 최 우측 또는 최 좌측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바운스 효과 또는 비쥬얼 피드백(예: 물이 출렁이는 효과, 떨림 등등)를 디스플레이 한다.
보다 상세하게, 터치 스크린(190)은 핑거 또는 입력 유닛(168)을 통한 입력을 유도 기전력의 변화를 통해 감지하는 패널과, 터치 스크린(190)에 핑거 또는 입력 유닛(168)을 통한 접촉을 감지하는 패널이 서로 밀착되거나 또는 일부 이격되어 차례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190)은 다수의 픽셀들을 구비하고, 상기 픽셀들을 통해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190)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및 LED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90)은 표면에 핑거 또는 입력 유닛(168)이 닿거나, 터치 스크린(190)의 일정 거리에 놓이게 되면, 놓인 위치를 파악하는 복수의 센서를 구성하고 있다. 복수의 센서들 각각은 코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센서들로 형성되는 센서층은 각각의 센서들이 기 설정된 패턴들을 가지며, 복수의 전극 라인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터치 스크린(190)은 핑거 또는 입력 유닛(168)을 통해 터치 스크린(190)에 접촉 또는 호버링 입력이 발생되면, 센서층과 입력 수단 사이의 정전용량에 기인하여 파형이 변경된 감지 신호가 발생되는데, 터치 스크린(190)은 발생된 감지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입력 유닛(168)과 터치 스크린(190)간의 일정 거리는 코일(430)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의 세기를 통해 파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진동 세기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 스크린(190)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터치 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객체가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 스크린(1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 공간과 터치 스크린(190)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거리 값을 디지털 신호(예컨대, Z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의 전면(100a) 중앙에는 터치 스크린(190)이 배치된다. 터치 스크린(190)은 휴대 단말(100)의 전면(100a)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메인 홈 화면은 휴대 단말(100)의 전원을 켰을 때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이다. 또한, 휴대 단말(100)이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 화면들을 갖고 있을 경우, 메인 홈 화면은 상기 여러 페이지의 홈 화면들 중 첫 번째 홈 화면일 수 있다. 홈 화면에는 자주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191-1, 191-2, 191-3), 메인 메뉴 전환키(191-4),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메뉴 전환키(191-4)는 상기 터치 스크린(190) 상에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190)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상태, 수신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과 같은 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바(Status Bar, 19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190)의 하부에는 홈 버튼(161a), 메뉴 버튼(161b), 및 뒤로 가기 버튼(161c)이 형성될 수 있다.
홈 버튼(161a)은 터치 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main Home screen)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90)에 상기 메인 홈 화면과 다른 홈 화면(any Home screen) 또는 메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키(161a)가 터치되면, 터치 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90) 상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도중 홈 버튼(191a)이 터치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190)상에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홈 버튼(161a)은 상기 터치 스크린(190) 상에 최근에(recently) 사용된 어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거나,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메뉴 버튼(161b)은 터치 스크린(190)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 메뉴에는 위젯 추가 메뉴, 배경화면 변경 메뉴, 검색 메뉴, 편집 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뒤로 가기 버튼(161c)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킬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전면(100a) 가장자리에는 제1 카메라(151)와 조도 센서(170a) 및 근접 센서(170b)가 배치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후면(100c)에는 제2 카메라(152), 플래시(flash, 153), 스피커(163)가 배치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측면(100b)에는 예를 들어 전원/리셋 버튼(160a), 음량 버튼(161b), 방송 수신을 위한 지상파 DMB 안테나(141a),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들(16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DMB 안테나(141a)는 휴대 단말(100)에 고정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의 하단 측면에는 커넥터(165)가 형성된다. 커넥터(165)에는 다수의 전극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상단 측면에는 이어폰 연결잭(16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167)에는 이어폰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의 하단 측면에는 입력 유닛(168)이 형성될 수 있다. 입력 유닛(168)은 휴대 단말(1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상기 휴대 단말(100)로부터 인출 및 탈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입력 유닛과 터치 스크린의 내부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90)은 제1 터치 패널(440), 표시 패널(450), 제2 터치 패널(46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450)은 LCD, AMOLED 등과 같은 패널이 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100)의 각종 동작 상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및 서비스 등에 따른 다양한 영상과, 복수의 객체들을 표시한다.
제1 터치 패널(440)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로서, 유리의 양면에 얇은 금속 전도성 물질(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산화 인듐주석) 막 등)을 코팅하여 유리표면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유전체로 코팅된 패널이다. 이러한 제1 터치 패널(440)의 표면에 입력 유닛(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이 터치되면 정전기에 의해 일정량의 전하가 터치된 위치로 이동하고, 제1 터치 패널(440)은 전하의 이동에 따른 전류의 변화량을 인식해서 터치된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제1 터치 패널(440)을 통해서는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터치의 감지가 가능하며, 입력 유닛인 손가락이나 펜에 의한 터치의 감지가 모두 가능하다.
제2 터치 패널(460)은 EMR(Electronic Magnetic Resonance) 방식 터치 패널로서, 복수의 루프 코일이 미리 정해진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 터치 패널(460)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입력 유닛(168)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입력 유닛(168)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전류를 기초로 하여, 입력 유닛(168)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미도시)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제2 터치 패널(460)은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입력 유닛(168)의 호버링(Hovering) 위치, 터치 위치,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제1 터치 패널(440)로부터 입력 유닛(168)의 펜촉(430)까지의 높이(h)를 감지한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190)의 제1 터치 패널(440)에서 펜촉(430)까지의 높이(h)는 휴대 단말(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제2 터치 패널(460)을 통해서는 전자기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입력 유닛이라면 호버링 및 터치의 감지가 가능하며, 상기 제2 터치 패널(460)은 입력 유닛(168)에 의한 호버링 또는 터치 감지 전용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입력 유닛(168)은 전자기 펜 또는 EMR 펜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유닛(168)은 상기 제1 터치 패널(440)을 통해 감지되는 공진회로가 포함되지 아니한 일반적인 펜과는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유닛(168)은 펜촉(430)에 인접된 영역의 펜대 내부에 배치되는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값을 변경할 수 있는 버튼(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유닛(168)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에서 후술한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1 터치 패널 컨트롤러와 제2 터치 패널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패널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터치 패널(440)로부터 손 또는 펜 터치 감지에 의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컨대 X, Y, Z 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터치 패널 컨트롤러는 제2 터치 패널(460)로부터 입력 유닛(168)의 호버링 또는 터치 감지에 의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제1 및 제2 터치 패널 컨트롤러로부터 각각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450), 제1 터치 패널(440), 제2 터치 패널(46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손가락이나 펜, 또는 입력 유닛(168) 등의 호버링 또는 터치에 응답하여 표시 패널(450)에 미리 정해진 형태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에 의하면 상기 제1 터치 패널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2 터치 패널은 상기 입력 유닛(168)에 의한 호버링 또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에 의한 터치와 입력 유닛(168)에 의한 호버링 또는 터치를 구별하여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는 단지 하나의 터치 스크린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단지 하나의 터치 스크린에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터치 스크린은 각각 하우징에 구비되어 힌지에 의해 연결되거나 또는 하나의 하우징이 복수의 터치 스크린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터치 스크린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과 적어도 하나의 터치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입력 유닛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유닛(예: 터치용 펜)은 펜대와, 펜대 끝에 배치된 펜촉(430), 펜촉(430)에 인접된 영역의 펜대 내부에 배치되는 코일 (510)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값을 변경할 수 있는 버튼(420), 호버링 입력 효과 발생시 진동하는 진동 소자(520), 휴대 단말(100)과의 호버링으로 인해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입력 유닛(168)에 햅틱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진동 소자(520)의 진동 세기, 진동 주기를 제어하는 햅틱 제어부(530), 휴대 단말(100)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540) 및 입력 유닛(168)의 진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유닛(168)은 입력 유닛(168)의 진동 주기 및/또는 진동 세기에 대응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5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560)는 입력 유닛(168)에 제공되는 햅틱 효과에 대응하는 소리를 휴대 단말(100)에 구비된 스피커(163)와 동시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예: 10ms) 이전/이후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입력 유닛(168)은 정전유도 방식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코일(510)에 의하여 터치 스크린(190)의 일정 지점에 자기장이 형성되면, 터치 스크린(190)은 해당 자기장 위치를 검출하여 터치 지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스피커(560)는 햅틱 제어부(53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100)에 구비된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또는 멀티미디어 모듈(140)로부터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또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560)는 휴대 단말(100)이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 유닛(168)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햅틱 제어부(530)는 펜 촉(430)이 터치 스크린(190) 상에 접촉하거나 호버링이 감지될 수 있는 위치(예: 5mm)에 놓이게 되면, 근거리 통신부(540)를 통해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유닛(168)에 구비된 진동 소자(520)의 진동 주기, 진동 세기 등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 신호는 휴대 단말(100)이 송신한 신호이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또는 호버링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주기적으로 입력 유닛(168)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신호는 사용자가 느끼는 촉감(예: 떨림, 출렁임 등등)에 대응하는 햅틱 피드백의 패턴을 포함하며, 이러한, 햅틱 피드백은 객체들의 스크롤링, 스크롤링되는 복수의 객체들 중 임의 객체의 선택, 객체의 확대, 객체의 축소, 또는 객체들을 상하로 스크롤링하는 경우에 따라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제어 신호는 휴대 단말(100)의 이동 통신 모듈(120) 및 서브 통신 모듈(1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입력 유닛(168)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제어 신호는 입력 유닛(168)의 진동 소자의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 입력 유닛(168)의 진동 세기를 나타내는 정보, 입력 유닛(168)의 진동 소자의 모드를 비활성화하기 위한 정보,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총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 신호는 대략 8bit의 크기를 가지며 미리 정해진 주기(예: 5ms) 마다 반복적으로 전송되어 입력 유닛(168)의 진동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햅틱 효과에 따른 진동이 일정한 주기로 반복적으로 수행됨을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는 아래 [표 1]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필드 진동 소자 활성 진동 세기 진동 소자 비활성
정보 1 125 125 131 131 0 2
[표 1]과 같이, 제어 신호는 입력 유닛의 진동 소자(520)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 진동 소자(520)의 진동 세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진동 소자(520)를 비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어 신호는 5ms 단위로 입력 유닛(168)로 전송될 수 있으나, 이는 단지 실시 예일 뿐 햅틱 패턴의 주기에 따라 제어 신호의 전송은 가변적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신호의 전송 주기와 전송 기간 역시 가변적이다. 이러한, 전송 기간은 호버링 인식이 종료되는 시점까지의 기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 제어와 객체 선택에 따른 햅틱 효과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 제어와 객체 선택에 따른 햅틱 효과 제공 예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객체들을 스크롤링하는 화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객체들이 스크롤링 중인 예시도이고,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링되고 있는 복수의 객체들을 호버링 입력으로 스크롤링 속도를 제어하고 객체 선택에 따른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예시도이고, 도 7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링되고 있는 객체들을 호버링 입력으로 스크롤링 속도를 제어하는 예시도이고, 도 7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체를 선택하는 경우의 햅틱 패턴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 제어와 객체 선택에 따른 햅틱 효과 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상에 복수의 객체들(도 7a의 720a 내지 720h)) 또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손가락(710)을 이용하여 상위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제스처에 의해 객체를 스크롤링하고, 스크롤링되는 복수의 객체들(예: 도 7b의 740a 내지 740h)을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한다(S610, S612). 본 발명은 손가락뿐만 아니라 입력 유닛에 의해서도 스크롤링을 입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 편의상 손가락의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 제스처는 손가락의 진행 방향을 아래로 향하도록 움직여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보다 상위의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 손가락의 진행 방향을 위로 향하도록 움직여(즉, 위 방향으로의 플릭)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보다 하위의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 손가락의 진행 방향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향하도록 움직여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의 좌측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 및 손가락의 진행 방향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향하도록 움직여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우측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상하좌우로의 터치 제스처 외에 대각선 방향의 터치 제스처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대각선 방향의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터치 제스처의 진행 방향을 분석하고, 진행 방향의 반대에 존재하는 복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와 같이, 대각선 방향의 터치 제스처 입력에 의한 객체의 디스플레이는 상술한 상하좌우로의 제스처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알고리즘과 같은 기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터치 제스처에 의한 디스플레이는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의 속도에 대응하여 제어된다. 즉, 터치 제스처의 속도가 빠르면, 스크롤링되는 객체의 디스플레이 속도를 빠르게 증가되고, 터치 제스처의 속도가 느리면, 스크롤링되는 객체의 디스플레이 속도를 감소시킨다. 이후, 점진적으로 객체의 디스플레이 속도를 감소시켜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디스플레이 속도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손가락과의 호버링에 의한 거리가 가까울수록 감소된다.
예를 들어, 터치 제스처의 속도와 이에 대응하여 객체의 디스플레이 속도는 아래 [표 2]로 표현될 수 있다.
제스처 속도(제스처 거리/시간) 디스플레이되는 객체 개수(개수/초당)
10cm/s 이상 30개/s 이상
4cm/s ~ 10cm/s 10개/s ~ 30개/s
4cm/s 이하 10개/s 이하
그리고, 터치 스크린과 손가락간의 거리에 의한 객체의 속도는 아래 [표 3]으로 표현될 수 있다.
호버링 거리 디스플레이되는 객체 개수(개수/초당)
5mm 이상 20개/s 이상
2mm ~ 5mm 5개/s ~ 20개/s
2mm 이하 5개/s 이하
상술한 [표 2] 및 [표 3]과 같이, 터치 제스처의 속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객체의 개수는 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고, 터치 스크린과의 호버링 거리는 가까울수록 감소된다. 상술한 [표 2] 및 [표 3]은 단지 실시 예이며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터치 제스처에 의해 상기 객체들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손가락에 의한 호버링이 감지되는 경우(예: 5mm 이하), 휴대 단말(100)은 호버링이 감지된 높이를 파악한다(S614, S616). 그리고, 감지된 높이에 대응하여 스크롤링 속도를 제어한다(S618). 상기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복수의 객체는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의 진행방향에 반대의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가락(도 7c의 730)을 이용한 터치 또는 호버링을 통해서 스크롤링의 속도를 줄이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터치는 스크롤링의 속도를 정지시키며, 호버링은 스크롤링 속도를 손가락과 터치 스크린의 간격에 따라 정지시킨다. 그리고, 미리 정해진 시간(예: 1s) 이상으로 호버링이 감지되면, 휴대 단말(100)은 터치 스크린과 손가락(760) 간의 간격(도 7d의 h)을 계산한다. 즉, 이러한, 계산된 간격은 스크롤링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간격이 짧을수록 스크롤링 속도를 급감하고 간격을 클수록 스크롤링 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스크롤링 속도는 터치 스크린과 손가락 간의 거리(h)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3]과 같이, 터치 스크린과 손가락 간의 호버링 거리가 5mm 이상인 경우, 초당 20개의 객체들을 디스플레이 하고, 호버링 거리가 2mm 에서 5mm인 경우, 초당 5개 에서 20개의 객체들을 디스플레이 하고, 호버링 거리가 2mm 이하인 경우, 초당 5개 이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 한다. [표 3]의 경우는 호버링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의 디스플레이되는 객체들의 개수보다 적다.
이후, 휴대 단말(100)은 상기 제어된 스크롤링 속도에 대응하여 객체들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객체가 선택되면, 선택된 객체의 비쥬얼 피드백, 햅틱 피드백 및 이에 대응하는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한다(S620, S622). 즉, 휴대 단말(100)은 객체들을 디스플레이한 상태(도 7c의 750)에서 객체 (도 7c의 751)를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선택된 객체에 비쥬얼 피드백 제공하고, 상기 객체를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 상기 미리 결정된 햅틱은 휴대 단말(100)의 진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 단말(100)은 객체가 선택되면, 파도가 출렁이는 효과의 미리 정해진 햅틱 피드백으로 진동하고, 이에 대응되는 소리를 출력한다. 그리고, 비쥬얼 피드백은 선택된 객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효과로서, 선택된 객체의 떨림 및 출렁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쥬얼 피드백은 도 7c의 752와 같이, 선택된 객체에서부터 디스플레이된 전 객체로 전 방향의 떨림 및 출렁임 중 하나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비쥬얼 피드백은 손가락에 의해 터치된 지점은 출렁임 또는 떨림 중 적어도 하나를 강하게 하고, 터치된 지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출렁임 또는 떨림 중 적어도 하나를 점진적으로 약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떨림 및 출렁임뿐만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객체의 움직임을 지각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피드백을 포함함은 자명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비쥬얼 피드백은 객체가 처음 또는 마지막에 존재할 경우, 마지막에 존재하는 객체의 일 면을 오목 또는 볼록으로 굴곡지게 변형하는 것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미리 정해진 햅틱 피드백은 휴대 단말의 진동을 제어하는 패턴으로서 도 7e와 같은 진동 주기 및 진동 시간을 갖는다.
도 7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면 도 6의 실시 예에 따른 객체를 선택하는 경우의 햅틱 패턴의 파형은 50ms 동안에 2V에 대응하는 진동으로 휴대 단말에 햅틱을 제공하고, 대략 30mV의 에 대응하는 진동을 제공하고, 이후 다시 처음에 제공되는 진동(즉, 2V에 대응하는 진동)로 진동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객체를 호버링 또는 터치에 대응한 진동을 느끼게끔 할 수 있다. 또한 ,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를 선택하는 경우의 햅틱 패턴의 파형은 1.5V 전압에 대응하는 진동 세기의 진동으로 50ms 동안 진동하고, 500mV 전압에 대응하는 진동 세기의 진동으로 70ms 동안 진동하고, 50ms 이후 다시 1.5V 전압에 대응하는 진동 세기의 진동으로 50ms 동안 진동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객체를 호버링 또는 터치에 대응한 진동을 느끼게끔 할 수 있다. 즉, 도 7e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 상에 객체를 선택하는 경우 파도가 출렁이는 느낌의 촉각적 햅틱 패턴에 대한 파형이다. 그리고 도 7e의 가로 축(즉, X축)은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축이고, 단위(1610)는 50ms이다. 그리고, 세로 축(즉, Y 축)은 진동 세기를 나타내고, 단위(1620)는 500mV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체를 선택하는 경우의 햅틱 패턴의 파형은 도 7e에 국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 7e 이외에 주기, 세기가 다른 다양한 파형이 저장되어 있으며, 기 저장된 파형의 조합으로 또 다른 햅틱 패턴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핀치를 적용하는 경우의 비쥬얼 피드백 및 햅틱 피드백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가 핀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여 핀치를 실행하는 예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더 이상 핀치를 할 수 없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핀치가 실행되는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더 이상 핀치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핀치를 적용하는 경우의 비쥬얼 피드백 및 햅틱 피드백 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190) 상에 객체를 디스플레이한다(S810). 상기 객체는 사진, 지도, 문서, 이메일 등과 같은 이미지뿐만 아니라 터치 스크린(190)에 확대 또는 축소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객체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 편의상 지도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지도에 국한되지 않고,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객체에서도 적용됨은 자명하다. 도 9a는 터치 스크린에 지도(910)를 디스플레이한 예시도이다. 상기 지도는 제1 지점 A(911)와 상기 제1 지점 A와 떨어져 있는 제2 지점 B(912)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지점 A(911)은 오른쪽으로, 제2 지점 B(912)는 왼쪽으로 핀치가 실행된다.
터치 스크린(190) 상에 디스플레이된 지도에 터치 제스처(예: 핀치(pinch)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핀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된 지도를 축소하여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다(S812, S814). 상기 핀치는 터치 스크린상의 두 지점을 가깝게 하도록 두 손가락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드래그하는 것이다. 이러한, 핀치는 터치 스크린상의 두 지점을 터치한 후, 드래그를 통해 입력할 수 있거나, 또는 터치 스크린과의 호버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점 A(911)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 지점 B(912)를 좌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휴대 단말은 디스플레이된 지도를 축소하여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10)는 핀치를 수행하기 위해 손가락을 이용해 터치된 지점들 간의 거리와 핀치가 수행된 후의 터치된 지점들 간의 거리를 계산 및 비교하여 핀치가 수행된 후의 터치된 지점들 간의 거리가 좁게 되는 경우 핀치가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지도를 축소하기 위한 핀치가 지속적으로 입력되면, 상기 과정(S812)으로 궤환(return)하여 지도 축소를 위한 핀치가 입력되면, 지도의 축소를 지속한다(S816, S818). 이러한, 핀치를 통해 지도를 축소하는 과정은 상기 지도가 더 이상 축소되지 않을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정(S818)에서 핀치 명령으로 더 이상 지도의 축소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휴대 단말(100)은 더 이상 축소가 제공되지 않는 지도에 비쥬얼 피드백, 햅틱 피드백 및 이에 대응하는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고, 지도를 디스플레이 한다(S820). 제어부는 지도를 제공하는 업체의 객체 특성에 따라 더 이상 지도가 축소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지도는 크기가 확대 또는 축소되는데, 지도 축소 비율을 통해서 더 이상 축소되지 않음을 알 수 있거나 또는 휴대 단말에서 제공되는 기능에 의해 더 이상 축소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더 이상 지도의 축소가 제공되지 않으면, 상기 지도에 바운스 효과와 비쥬얼 피드백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비쥬얼 피드백은 선택된 지도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피드백으로서, 선택된 지도의 크기를 더 이상 줄일 수 없음을 나타내기 위한 피드백이다. 예를 들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지도(930)의 위면(934a), 아래 면(934d) 그리고 양 옆면(934b 및 934c)을 오목으로 굴곡지게 변형한다. 상술한 핀치로 인해 지도(930) 상의 두 지점(931, 932)는 최대로 가까워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나의 지도의 네 면을 오목으로 굴곡지게 변형하여 비쥬얼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면을 오목으로 굴곡지게 변형하여 비쥬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950)에 디스플레이되는 지도에서 두 지점을 핀치를 수행한 결과, 드래그 거리가 많은 지점에 대응하는 면을 그렇지 않은 면보다 오목으로 크게 굴곡지게 변형한다. 즉, 도 9d에서 지점 A가 터치 스크린 상의 제1 지점(951)에서 제2 지점(952)로 드래그하고, 지점 B가 제3 지점(953)에서 제4 지점(954)로 드래그하는 경우, 지점 A의 드래그 거리(d1)가 지점 B의 드래그 거리(d2)보다 길 경우, 지점 A의 좌측의 면을 지점 B의 우측 면보다 오목으로 크게 굴곡지게 변형한다. 반대로, 지점 A의 드래그 거리(d1)가 지점 B의 드래그 거리(d2)보다 길지 않을 경우, 지점 B의 좌측의 면을 지점 A의 우측 면보다 오목으로 크게 굴곡지게 변형한다. 이때, 본 발명은 객체의 모서리에 위치한 네 개의 꼭지점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좌우뿐만 아니라 상하에서도 마찬가지로 상하를 거리의 차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오목으로 굴곡지게 변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선택된 지도의 크기가 더 이상 줄일 수 없게 되면, 휴대 단말은 미리 결정된 햅틱 피드백에 대응하여 진동을 제어하고, 이에 대응하는 소리를 출력한다. 또한, 휴대 단말은 핀치의 입력이 종료되면(즉, 핀치를 위한 터치가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면), 선택된 객체에 출렁이는 비쥬얼 피드백을 제공한다. 그리고, 미리 결정된 햅틱 피드백은 객체의 상하좌우로의 이동 또는 지도의 크기 조절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9c에 도시된 지도(940)의 두 지점(931, 932)간의 거리는 도 9b의 두 지점(931, 932)간의 거리와 동일하다. 그리고, 도 9c에 도시된 지도는 더 이상 핀치의 기능이 적용되지 않는 최소로 축소된 지도이며, 만일, 이러한 지도를 다시 확대하고자 할 경우 스프레드의 기능을 적용하려 확대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핀치로 인해 지도(930) 상의 두 지점(931, 932)는 최대로 가까워진 후, 더 이상 핀치를 할 수 없는 경우의 미리 결정된 햅틱 패턴의 파형은 도 12와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스프레드를 적용하는 경우의 비쥬얼 피드백 및 햅틱 피드백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스프레드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여 스프레드를 실행하는 예시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더 이상 스프레드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스프레드가 실행되는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1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더 이상 스프레드가 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스프레드를 적용하는 경우의 비쥬얼 피드백 및 햅틱 피드백 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190) 상에 객체를 디스플레이한다(S1010). 상기 객체는 사진, 지도, 문서, 이메일 등과 같은 이미지뿐만 아니라 터치 스크린(190)에 확대 또는 축소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객체를 포함한다. 도 11a는 터치 스크린에 지도(1110)를 디스플레이한 예시도이다. 상기 지도는 제1 지점 A(1111)와 상기 제1 지점 A와 떨어져 있는 지점에 제2 지점 B(1112)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지점 A(1111)은 왼쪽으로, 제2 지점 B(1112)는 오른쪽으로 핀치가 실행된다.
터치 스크린(190) 상에 디스플레이된 지도를 축소하기 위한 스프레드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스프레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된 지도를 확대하여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다(S1012, S1014). 상기 스프레드는 터치 스크린상의 두 지점을 멀리하도록 두 손가락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드래그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프레드는 터치 스크린상의 두 지점을 터치한 후, 드래그를 통해 입력할 수 있거나, 또는 터치 스크린과의 호버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점 A(1111)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 지점 B(1112)를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휴대 단말은 디스플레이된 지도를 확대하여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10)는 스프레드를 수행하기 위해 손가락을 이용해 터치된 지점들 간의 거리와 핀치가 수행된 후의 터치된 지점들 간의 거리를 계산 및 비교하여 스프레드가 수행된 후의 터치된 지점들 간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스프레드가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지도를 확대하기 위한 스프레드가 지속적으로 입력되면, 상기 과정(S1012)으로 궤환(return)하여 지도 확대를 위한 스프레드가 입력되면, 지도의 확대를 지속한다(S1016, S1018). 이러한, 스프레드를 통해 지도를 확대하는 과정은 상기 지도가 더 이상 확대되지 않을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정(S1018)에서 스프레드로 더 이상 지도의 확대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휴대 단말(100)은 더 이상 확대가 제공되지 않는 지도에 비쥬얼 피드백, 햅틱 피드백 및 이에 대응하는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고, 지도를 디스플레이 한다(S1020). 제어부는 지도를 제공하는 업체의 객체 특성에 따라 더 이상 지도가 확대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지도는 크기가 확대 또는 축소되는데, 지도 확대 비율을 통해서 더 이상 확대되지 않음을 알 수 있거나 또는 휴대 단말에서 제공되는 기능에 의해 더 이상 축소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더 이상 지도의 축소가 제공되지 않으면, 상기 지도에 비쥬얼 피드백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비쥬얼 피드백은 선택된 지도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피드백으로서, 선택된 지도의 크기를 더 이상 크게 할 수 없음을 나타내기 위한 피드백이다. 예를 들어, 도 11b는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더 이상 스프레드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손가락(1133)에 의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지도(1130)의 위면(1134a), 아래 면(1134d) 그리고 양 옆면(1134b 및 1134c)은 바깥쪽 방향으로 볼록으로 굴곡지게 변형된다. 상술한 스프레드로 인해 지도(1130) 상의 두 지점(1131, 1132)는 최대로 멀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나의 지도의 네 면을 볼록으로 굴곡지게 변형하여 비쥬얼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면을 볼록으로 굴곡지게 변형하여 비쥬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지도(1150)에서 두 지점을 스프레드를 수행한 결과, 드래그 거리가 많은 지점에 대응하는 면을 그렇지 않은 면보다 볼록으로 크게 굴곡지게 변형한다. 즉, 도 11d에서 지점 A가 터치 스크린 상의 제1 지점(1151)에서 제2 지점(1152)로 드래그하고, 지점 B가 제3 지점(1153)에서 제4 지점(1154)로 드래그하는 경우, 지점 A의 드래그 거리(d1)가 지점 B의 드래그 거리(d2)보다 길 경우, 지점 A의 좌측의 면을 지점 B의 우측 면보다 볼록으로 크게 굴곡지게 변형한다. 반대로, 지점 A의 드래그 거리(d1)가 지점 B의 드래그 거리(d2)보다 길지 않을 경우, 지점 B의 좌측의 면을 지점 A의 우측 면보다 볼록으로 크게 굴곡지게 변형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좌우뿐만 아니라 상하에서도 마찬가지로 상하를 거리의 차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볼록으로 굴곡지게 변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선택된 지도의 크기를 더 이상 크게 할 수 없게 되면, 휴대 단말은 미리 결정된 햅틱 피드백에 대응하여 진동을 제어하고, 이에 대응하는 소리를 출력한다.
도 11c에 도시된 지도(1140)의 두 지점(1131, 1132)간의 거리는 도 11b의 두 지점(1131, 1132)간의 거리와 동일하다. 그리고, 도 11c에 도시된 지도는 더 이상 스프레드의 기능이 적용되지 않는 최대로 확대된 지도이며, 만일, 이러한 지도를 다시 축소하고자 할 경우 핀치의 기능을 적용하려 축소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스프레드로 인해 지도(1130) 상의 두 지점(131, 1132)은 최대로 멀어진 후, 더 이상 스프레드를 할 수 없는 경우의 미리 결정된 햅틱 패턴의 파형은 도 12와 같다.
도 12에 도시된 미리 결정된 햅틱 패턴에 따른 파형은 본 발명의 도 8 및 도 9a 내지 9d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 10 및 도 11a 내지 도 11d에 개시된 실시 예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핀치/스프레드가 더 이상 안되는 경우의 햅틱 패턴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의 햅틱 패턴의 파형은 50ms 동안 대략 3V에 대응하는 진동을 제공한 후, 50ms동안은 진동을 제공하지 않는다. 그리고, 다시 2V에 대응하는 진동을 오랜 시간 동안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의 스프레드/핀치가 더 이상 제공되지 않음을 느끼게끔 할 수 있다. 또한 ,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핀치/스프레드가 더 이상 안 되는 경우의 햅틱 패턴의 파형은 2V 내지 2.5V 전압에 대응하는 진동 세기의 진동으로 70ms 동안 진동하고, 50ms 동안 진동을 정지한 후 다시 2V 전압에 대응하는 진동 세기의 진동으로 400ms 동안 진동 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의 스프레드/핀치가 더 이상 제공되지 않음을 느끼게끔 할 수 있다. 즉, 도 12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 상에 스프레드 또는 핀치를 하다가 더 이상 할 수 없는 경우, 반동으로 튕겨져 나가는 느낌의 촉각적 햅틱 패턴에 대한 파형이다. 그리고, 도 12의 가로 축(즉, X축)은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축이고, 단위(1210)는 50ms이다. 그리고, 세로 축(즉, Y 축)은 진동 세기를 나타내고, 단위(1220)는 500mV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핀치/스프레드가 더 이상 안되는 경우의 햅틱 패턴의 파형은 도 12에 국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 12 이외에 주기, 세기가 다른 다양한 파형이 저장되어 있으며, 기 저장된 파형의 조합으로 또 다른 햅틱 패턴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객체 보다 하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를 적용하는 경우의 비쥬얼 피드백 및 햅틱 피드백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객체 보다 하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를 적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에 복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한 예시도이고,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객체 보다 하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를 실행하는 예시도이고, 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객체에 더 이상 하위에 존재하는 객체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객체 보다 더 이상 하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4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객체 보다 더 이상 하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경우의 가장 하위에 존재하는 복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한 예시도이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객체 보다 하위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를 적용하는 경우의 비쥬얼 피드백 및 햅틱 피드백 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190)에 복수의 객체들을 디스플레이 한다(S1310). 상기 객체는 사진, 지도, 문서, 이메일 등과 같은 이미지뿐만 아니라 터치 스크린(190)에 확대 또는 축소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객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1411 내지 141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스크린(190)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객체들(도 14a의 1411 내지 1413)보다 하위(객체(1313)보다 하위의 객체)에 복수의 객체들(도 14b의 1414 내지 1418)이 존재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상에 복수의 객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위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제스처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한다(S1312, S1314). 상기 제스처는 손가락(1410)의 진행 방향을 위로 향하도록 움직여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들보다 하위에 존재하는 객체들(도 14b의 1414 내지 1418)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과정(S1314)에서 복수의 객체들이 디스플레이되는 속도는 제스처의 속도에 비례한다. 즉, 제스처의 속도가 빠른 경우 디스플레이 속도가 빠르고, 제스처의 속도가 느린 경우 디스플레이 속도도 느리다. 이러한, 제스처의 속도는 상술한 [표 2]와 같다.
제스처를 지속적으로 입력하고자 하고, 제스처가 가능하면 상기 과정(S1312)로 궤환(return)한다(S1316, S1318). 한 번의 제스처로 가장 하위에 존재하는 복수의 객체들을 디스플레이하지 못하는 경우, 제스처를 다시 입력함으로써 하위에 존재하는 객체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스처는 가장 하위에 존재하는 객체들(도 14c의 1416 내지 1418)을 디스플레이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만일, 제스처를 하지 않는 경우 상기 과정(S1314)으로 진행하여 복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 한다(S1316, S1322). 이러한 경우는 상기 과정(S1312)에서 한번의 제스처로 인해 가장 하위에 존재하는 복수의 객체가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객체가 발견된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정(S1318)에서 제스처가 가능하지 않으면, 객체의 비쥬얼 피드백, 햅틱 피드백 및 이에 대응하는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고, 복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 한다(S1320). 적어도 한 번 이상의 제스처로 인해 가장 하위에 존재하는 복수의 객체들(도 14c의 1416 내지 1418)이 디스플레이 되면, 더 이상 제스처는 입력될 수 없다. 이런 경우, 객체들에서 가장 하위에 존재하는 객체(도 14c의 1418)에 비쥬얼 피드백, 햅틱 피드백 및 이에 대응하는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한다. 상기 비쥬얼 피드백은 바운스로서 제스처를 입력하여도 더 이상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객체가 존재하지 않음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피드백이다. 이러한 비쥬얼 피드백은 가장 하위에 존재하는 객체(1418)의 아래 면(1418a)을 오목으로 굴곡지게 변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체스처를 입력한 손가락이 위치한 지점을 파악하여 손가락이 위치한 지점의 수직한 부분을 가장 오목하게 굴곡지게 변형한다. 즉,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제스처의 시작점, 상기 제스처가 끝나는 끝 지점 및 상기 제스처의 진행 방향을 파악하고,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객체의 면에서 상기 시작점과 가장 가까운 지점을 가장 크게 굴곡으로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1418)의 아래 면(1418a)를 안쪽 방향으로 오목으로 굴곡지게 변형하는데, 손가락이 위치한 지점의 수직한 부분의 아래 면(1418a)을 가장 오목하게 한다. 즉, 드래그되는 손가락의 위치에 따라 비쥬얼 피드백이 다를 수 있다. 즉,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손가락이 우측에서 제스처를 하는 경우, 손가락의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객체(즉, 가장 하위에 존재하는 객체(1418)의 아래 면에서 손가락의 제스처가 시작되는 시작점과 가장 가까운 지점을 가장 크게 굴곡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손가락이 위치한 좌우 측면에서 가장 가까운 측면을 오목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객체의 아래 면을 오목으로 굴곡지게 변형하여 비쥬얼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면을 오목으로 굴곡지게 변형하여 비쥬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비쥬얼 피드백은 입력되는 제스처에 의한 터치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제공될 수 있다. 즉, 제스처로 인한 터치 스크린과의 터치가 지속되는 동안 비쥬얼 피드백을 제공하고,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터치를 종료하면 비쥬얼 피드백도 종료되어 도 14e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더 이상 하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게 되면, 상술한 비쥬얼 피드백과 동시 또는 전후로 휴대 단말은 미리 결정된 햅틱 피드백에 대응하여 진동을 제어하고, 이에 대응하는 소리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과정(S1318)에서 제스처가 가능하면, 상기 과정(S1212)으로 궤환(return)하여 제스처를 입력 받는다(S1318, S1312). 상술한 과정들(S1312 내지 S1318)은 가장 하위에 존재하는 객체가 디스플레이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과정(S1320)에서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객체들(도 14e의 1416 내지 1418)은 비쥬얼 피드백이 제공된 복수의 객체들(도 14c의 1416 내지 1418)에서 비쥬얼 피드백의 제공이 완료된 이후의 객체들이다.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스처로 인해 도 14c의 객체(1418)의 아래 면(1418a)이 오목으로 굴곡지게 변형되면, 더 이상 제스처를 할 수 없는 경우의 미리 결정된 햅틱 피드백의 파형은 도 17과 같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객체 보다 상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를 적용하는 경우의 비쥬얼 피드백 및 햅틱 피드백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객체 보다 상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를 적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에 복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한 예시도이고,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객체 보다 상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를 실행하는 예시도이고, 도 16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객체에 더 이상 상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6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더 이상 하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6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더 이상 상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경우의 가장 상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한 예시도이다.
이하,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객체 보다 하위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를 적용하는 경우의 비쥬얼 피드백 및 햅틱 피드백 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190)에 복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한다(S1510). 상기 객체는 사진, 지도, 문서, 이메일 등과 같은 이미지뿐만 아니라 터치 스크린(19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객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1611 내지 161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스크린(190)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객체들(도 16a의 1611 내지 1613)보다 상위에 복수의 객체들(도 16b의 1614 내지 1616)이 존재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상에 복수의 객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위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제스처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한다(S1512, S1514). 제스처는 입력 유닛(예: 손가락(1510))의 진행 방향을 아래로 향하도록 움직여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보다 상위의 객체들(도 16b의 1614 내지 1616)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과정(S1514)에서 복수의 객체들이 디스플레이되는 속도는 제스처의 속도에 비례한다. 즉, 제스처의 속도가 빠른 경우 디스플레이의 스크롤링 속도가 빠르고, 제스처의 속도가 느린 경우 디스플레이의 스크롤링 속도도 느리다.
제스처를 지속적으로 입력하고자 하고, 제스처가 가능하면 상기 과정(S1512)로 궤환한다(S1516, S1518). 한 번의 제스처로 가장 상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지 못하는 경우, 제스처를 다시 입력함으로써 상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스처는 가장 상위에 존재하는 객체(도 16c의 1616 내지 1618)를 디스플레이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만일, 제스처를 하지 않는 경우 상기 과정(S1514)으로 진행하여 객체를 디스플레이한다(S1516, S1522). 이러한 경우는 상기 과정(S1512)에서 한번의 제스처로 인해 가장 상위에 존재하는 객체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객체가 발견된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정(S1518)에서 제스처가 가능하지 않으면, 객체의 비쥬얼 피드백, 햅틱 피드백 및 이에 대응하는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고, 복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 한다(S1520). 적어도 한 번 이상의 제스처로 인해 가장 상위에 존재하는 객체(도 16c의 1614, 1617 및 1618)가 디스플레이되면, 더 이상 제스처는 입력될 수 없다. 이런 경우, 객체에서 가장 상위에 존재하는 객체(도 16c의 1618)에 비쥬얼 피드백, 햅틱 피드백 및 이에 대응하는 소리를 제공한다. 상기 비쥬얼 피드백은 바운스로서 제스처를 입력하여도 더 이상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객체가 존재하지 않음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피드백이다. 이러한 비쥬얼 피드백은 가장 상위에 존재하는 객체(1618)의 윗 면(1618a)을 오목으로 굴곡지게 형성 또는 변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1618)의 윗 면(1618a)를 안쪽 방향으로 오목으로 굴곡지게 변형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는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제스처가 시작되는 시작점, 끝나는 끝 지점 및 진행 방향을 파악하고,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객체의 면에서 상기 시작점과 가장 가까운 지점을 가장 크게 굴곡으로 형성한다. 예를 들어, 손가락(1610)의 제스처는 우측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윗 면(1618a)이 가장 크게 굴곡지게 변형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객체의 윗 면을 오목으로 굴곡지게 변형하여 비쥬얼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면을 오목으로 굴곡지게 변형하여 비쥬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비쥬얼 피드백은 입력되는 제스처에 의한 터치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제공될 수 있다. 즉, 제스처로 인한 터치 스크린과의 터치가 지속되는 동안 비쥬얼 피드백을 제공하고,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터치를 종료하면 비쥬얼 피드백도 종료되어 도 16d와 같이 디스플레이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더 이상 상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게 되면, 상술한 비쥬얼 피드백과 동시 또는 전후로 휴대 단말은 미리 결정된 햅틱 피드백에 대응하여 진동을 제어하고, 이에 대응하는 소리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과정(S1518)에서 제스처가 가능하면, 상기 과정(S1512)으로 궤환하여 제스처를 입력 받는다(S1518, S1512). 상술한 과정들(S1512 내지 S1518)은 가장 상위에 존재하는 객체가 디스플레이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과정(S1520)에서 디스플레이된 객체(도 16e의 1614, 1617 및 1618)는 비쥬얼 피드백이 제공된 객체(16e의 1614, 1617 및 1618)에서 비쥬얼 피드백의 제공이 완료된 이후의 객체이다.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스처로 인해 도 16c의 객체(1618)의 윗 면(1618a)이 오목으로 굴곡지게 변형되면, 더 이상 제스처를 할 수 없는 경우의 미리 결정된 햅틱 피드백의 파형은 도 17과 같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보다 상위/하위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경우의 햅틱 패턴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미리 결정된 햅틱 패턴에 따른 파형은 본 발명의 도 13 및 도 14a 내지 14d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 15 및 도 16a 내지 도 16d에 개시된 실시 예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복수의 객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하위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 또는 상위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가 더 이상 입력이 안되는 경우의 햅틱 패턴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의 햅틱 패턴의 파형은 50ms 단위로 1V에 대응하는 진동이 주기적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 제스처를 입력한 후, 터치 스크린에 입력 유닛(예: 손가락)을 떼지 않았을 경우에 해당된다. 즉, 도 17은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 상에 제스처를 하다가 더 이상 할 수 없는 경우, 반동으로 튕겨져 나가는 느낌의 촉각적 햅틱 패턴에 대한 파형이다. 그리고 도 17의 가로 축(즉, X축)은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축이고, 단위(1710)는 50ms이다. 그리고, 세로 축(즉, Y 축)은 진동 세기를 나타내고, 단위(1720)는 500mV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복수의 객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스처가 더 이상 입력이 안되는 경우의 햅틱 패턴의 파형은 도 17에 국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 17 이외에 주기, 세기가 다른 다양한 파형이 저장되어 있으며, 기 저장된 파형의 조합으로 또 다른 햅틱 패턴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이 기 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이동 단말과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이동 단말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제어부 120: 이동통신 모듈
130: 서브 통신 모듈 140: 멀티미디어 모듈
150: 카메라 모듈 160: 입/출력 모듈
168: 입력 수단 170: 센서 모듈
180: 전원 공급부 190: 터치 스크린

Claims (28)

  1. 휴대 단말의 햅틱 피드백 및 비쥬얼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객체를 터치하는 제1 터치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제1 터치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객체를 스크롤링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객체를 스크롤링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동안에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호버링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스크린과 상기 검출된 호버링 간의 거리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스크린과 상기 검출된 호버링 간의 상기 거리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스크롤링의 속도를 조절하는 과정과,
    상기 조절된 스크롤링의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결정된 거리가 제1 거리인 것에 기초하여, 제1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의 스크롤링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결정된 거리가 제2 거리인 것에 기초하여, 제2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의 스크롤링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2 거리보다 크며, 상기 제1 속도는 상기 제2 속도보다 빠름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쥬얼 피드백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객체 상에서 제2 터치가 검출된 위치에서부터 시작하는 떨림 또는 출렁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출력을 포함하고, 상기 햅틱 피드백은 상기 비쥬얼 피드백에 대응되는 진동 출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를 스크롤링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제1 터치의 상기 움직임의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를 변형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객체 상에 제2 터치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2 터치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비쥬얼 피드백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의 진동 모터를 이용하여 미리 결정된 햅틱 패턴에 해당되는 햅틱 피드백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및 상기 제2 터치는 상기 휴대 단말과 통신 가능한 입력 유닛을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피드백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입력 유닛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피드백은 1.5V 전압에 대응하는 진동 세기의 진동으로 50ms 동안 진동하고, 500mV 전압에 대응하는 진동 세기의 진동으로 70ms 동안 진동하고, 50ms 이후 다시 1.5V 전압에 대응하는 진동 세기의 진동으로 50ms 동안 진동하는 파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및 상기 제2 터치는 멀티 터치들을 포함하되,
    상기 멀티 터치들 각각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객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멀티 터치들 각각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객체의 크기가 더 이상 확대 또는 축소되지 않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의 적어도 한 면을 볼록 또는 오목으로 굴곡지게 변형하는 비쥬얼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적어도 한 면을 볼록 또는 오목으로 굴곡지게 변형하는 상기 비쥬얼 피드백에 대응되는 햅틱 피드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가 검출된 터치 위치에서부터 상기 제2 터치의 움직임의 방향에 반대 면까지의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의 한 면을 더 오목으로 굴곡지게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가 검출된 터치 위치에서부터 상기 제2 터치의 움직임의 방향의 면까지의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의 한 면을 더 볼록으로 굴곡지게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피드백은 2V 내지 2.5V 전압에 대응하는 진동 세기의 진동으로 70ms 동안 진동하고, 50ms 동안 진동을 정지한 후 다시 2V 전압에 대응하는 진동 세기의 진동으로 400ms 동안 진동하는 파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객체가 더 이상 스크롤링 되지 않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의 네 면 중 상기 제1 터치의 움직임의 반대 방향에 있는 한 면을 오목으로 굴곡지게 변형하는 비쥬얼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한 면을 오목으로 굴곡지게 변형하는 상기 비쥬얼 피드백에 대응되는 햅틱 피드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쥬얼 피드백은 상기 객체의 한 면의 양 꼭지점을 기준으로 오목으로 굴곡지게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피드백은 1V 전압에 대응하는 진동 세기의 진동으로 50ms 동안 진동하는 주기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파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햅틱 피드백 및 비쥬얼 피드백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 모터와,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과,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객체를 터치하는 제1 터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1 터치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객체를 스크롤링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객체를 스크롤링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동안에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호버링을 검출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과 상기 검출된 호버링 간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과 상기 검출된 호버링 간의 상기 거리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스크롤링의 속도를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스크롤링의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결정된 거리가 제1 거리인 것에 기초하여, 제1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의 스크롤링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결정된 거리가 제2 거리인 것에 기초하여, 제2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의 스크롤링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2 거리보다 크며, 상기 제1 속도는 상기 제2 속도보다 빠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피드백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터치를 제공하는 입력 유닛으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객체 상에 제2 터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2 터치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비쥬얼 피드백을 표시하고, 상기 진동 모터를 이용하여 미리 결정된 햅틱 패턴에 해당되는 햅틱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2 터치가 상기 객체를 선택하는 터치인 것에 기초하여, 터치된 지점을 파악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의 출렁임이 상기 터치된 지점을 중심으로 바깥으로 확산하는 비쥬얼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및 상기 제2 터치는 멀티 터치들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 터치들 각각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객체의 크기가 더 이상 확대 또는 축소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의 적어도 한 면을 볼록 또는 오목으로 굴곡지게 변형하는 비쥬얼 피드백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제공하고, 상기 비쥬얼 피드백에 대응되는 햅틱 피드백을 상기 진동 모터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가 검출된 터치 위치에서부터 상기 제2 터치의 움직임의 방향의 면까지의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의 한 면을 더 볼록으로 굴곡지게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가 검출된 터치 위치에서부터 상기 제2 터치의 움직임의 방향에 반대 면까지의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의 한 면을 더 오목으로 굴곡지게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의 모서리에 위치한 네 개의 꼭지점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4.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객체가 더 이상 스크롤링 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의 네 면 중 상기 제1 터치의 움직임의 반대 방향에 있는 한 면을 오목으로 굴곡지게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의 움직임이 시작되는 지점, 끝나는 지점 및 진행 방향을 파악하여 상기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객체의 면에서 상기 시작되는 지점과 가장 가까운 지점을 가장 크게 굴곡으로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6.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면의 양 끝점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7. 삭제
  28. 삭제
KR1020130009998A 2013-01-29 2013-01-29 햅틱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102178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998A KR102178845B1 (ko) 2013-01-29 2013-01-29 햅틱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US14/167,595 US9690377B2 (en) 2013-01-29 2014-01-29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ptic feedback
US15/633,070 US10401964B2 (en) 2013-01-29 2017-06-26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ptic feedb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998A KR102178845B1 (ko) 2013-01-29 2013-01-29 햅틱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860A KR20140096860A (ko) 2014-08-06
KR102178845B1 true KR102178845B1 (ko) 2020-11-13

Family

ID=51222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998A KR102178845B1 (ko) 2013-01-29 2013-01-29 햅틱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690377B2 (ko)
KR (1) KR1021788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2091B2 (en) 2010-06-04 2017-01-10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through a user interface using a dynamic object selection indicator
KR20150078315A (ko) * 2013-12-30 201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US9898162B2 (en) 2014-05-30 2018-02-20 Apple Inc. Swiping functions for messaging applications
US9971500B2 (en) 2014-06-01 2018-05-15 Apple Inc. Displaying options, assigning notification, ignoring messages, and simultaneous user interface displays in a messaging application
JP6357387B2 (ja) * 2014-08-26 2018-07-11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FR3026867A1 (fr) * 2014-10-02 2016-04-08 Dav Dispositif et procede de commande pour vehicule automobile
FR3026866B1 (fr) * 2014-10-02 2019-09-06 Dav Dispositif et procede de commande pour vehicule automobile
KR20160063812A (ko) * 2014-11-27 2016-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구성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US10997188B2 (en) 2015-03-23 2021-05-04 Dropbox, Inc. Commenting in shared folder backed integrated workspaces
JPWO2016163000A1 (ja) * 2015-04-09 2018-02-15 富士通株式会社 駆動制御装置、電子機器、駆動制御プログラム、及び駆動制御方法
KR20160142716A (ko) 2015-06-03 2016-12-13 김종호 액세서리, 지문인식 인증방법 및 시스템과 전자기기
US10108688B2 (en) 2015-12-22 2018-10-23 Dropbox, Inc. Managing content across discrete systems
TW201737277A (zh) * 2016-04-14 2017-10-16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力回饋功能的電子開關
US10175941B2 (en) * 2016-05-24 2019-01-08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Audio feedback for continuous scrolled content
JP6843530B2 (ja) * 2016-06-15 2021-03-17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方法、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US10296089B2 (en) * 2016-08-10 2019-05-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aptic stylus
US10725544B1 (en) 2016-09-09 2020-07-28 Apple Inc. Pencil haptics
US10268273B1 (en) 2016-09-09 2019-04-23 Apple Inc. Stylus with multiple inputs
US10268288B1 (en) 2016-09-20 2019-04-23 Apple Inc. Stiffness rendering for a pencil
JP6521460B2 (ja) * 2016-12-28 2019-05-29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588421B2 (ja) * 2016-12-28 2019-10-09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0970679B2 (en) 2016-12-29 2021-04-06 Dropbox, Inc. Presenting project data managed by a content management system
US10970656B2 (en) 2016-12-29 2021-04-06 Dropbox, Inc. Automatically suggesting project affiliations
US10402786B2 (en) 2016-12-30 2019-09-03 Dropbox, Inc. Managing projects in a content management system
JP6613267B2 (ja) 2017-06-02 2019-11-27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837921B2 (ja) 2017-06-02 2021-03-03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653293B2 (ja) 2017-06-05 2020-02-26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961917B1 (ko) * 2017-07-25 2019-03-26 주식회사 지니틱스 향상된 입력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장치
US10365719B2 (en) * 2017-07-26 2019-07-30 Google Llc Haptic feedback of user interface scrolling with synchronized visual animation components
US11226939B2 (en) 2017-12-29 2022-01-18 Dropbox, Inc. Synchronizing changes within a collaborative content management system
WO2019229698A1 (en) 2018-05-31 2019-12-05 Purple Tambourine Limited Interacting with a virtual environment using a pointing controller
US11194766B2 (en) 2018-11-06 2021-12-07 Dropbox, Inc. Technologies for integrating cloud content items across platforms
US11157765B2 (en) 2018-11-21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hysical characteristics of objects
KR20200060991A (ko) * 2018-11-23 2020-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자성 차폐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852831B2 (en) 2018-11-26 2020-12-01 Zinitix Co., Ltd. User interface device driving chip for providing improved input feedback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1086431B2 (en) * 2019-01-30 2021-08-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by display device
JP7282639B2 (ja) * 2019-09-10 2023-05-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406328B2 (ja) * 2019-09-10 2023-12-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755111B2 (en) 2020-03-16 2023-09-12 Arkh, Inc. Spatially aware computing hub and environment
CN111443824B (zh) * 2020-03-24 2023-06-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触控屏控制方法及电子设备
USD1009861S1 (en) 2020-09-25 2024-01-02 Arkh, Inc. Smart ring
WO2022108303A1 (ko) * 2020-11-19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106357B1 (en) * 2021-02-15 2021-08-31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Low latency tactile telepresence
US11797090B2 (en) 2021-05-13 2023-10-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tylus haptic output
CN113311950B (zh) * 2021-05-27 2022-12-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触控笔、触控笔的控制方法和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1954256B2 (en) * 2021-12-17 2024-04-09 Google Llc Haptic interface for computing devi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5834A1 (en) 2008-06-18 2009-12-24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ipulating a device using dual side input devices
US20120120002A1 (en) 2010-11-17 2012-05-17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proximity based control of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US20120293464A1 (en) 2011-05-20 2012-11-22 Sony Corporation Haptic device for position detection
US20120306632A1 (en) 2011-06-03 2012-12-06 Apple Inc. Custom Vibration Pattern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2635B2 (en) * 2000-01-19 2004-11-23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interface for laptop computers and other portable devices
US8830161B2 (en) * 2002-12-08 2014-09-09 Immersion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virtual touch haptic effect to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WO2006103541A1 (en) 2005-04-01 2006-10-05 Abb Research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7890863B2 (en) 2006-10-04 2011-02-15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effects with proximity sensing
US7956847B2 (en) * 2007-01-05 2011-06-07 Apple Inc. Gestures for controlling, manipulating, and editing of media files using touch sensitive devices
US8098235B2 (en) * 2007-09-28 2012-01-17 Immersion Corporation Multi-touch device having dynamic haptic effects
US8363019B2 (en) * 2008-05-26 2013-01-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ing proximity sens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US8686952B2 (en) * 2008-12-23 2014-04-01 Apple Inc. Multi touch with multi haptics
US9696803B2 (en) * 2009-03-12 2017-07-04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riction displays and additional haptic effects
KR101553842B1 (ko) * 2009-04-21 2015-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51135B1 (ko) * 2010-07-12 2016-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582178B2 (en) * 2011-11-07 2017-02-28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ressure interaction on touch-sensitive surfa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5834A1 (en) 2008-06-18 2009-12-24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ipulating a device using dual side input devices
US20120120002A1 (en) 2010-11-17 2012-05-17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proximity based control of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US20120293464A1 (en) 2011-05-20 2012-11-22 Sony Corporation Haptic device for position detection
US20120306632A1 (en) 2011-06-03 2012-12-06 Apple Inc. Custom Vibration Patter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01964B2 (en) 2019-09-03
KR20140096860A (ko) 2014-08-06
US20140210756A1 (en) 2014-07-31
US9690377B2 (en) 2017-06-27
US20170293361A1 (en)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845B1 (ko) 햅틱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102090964B1 (ko)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102091077B1 (ko) 입력 유닛의 피드백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과, 이를 제공하는 상기 입력 유닛 및 방법
EP3754471B1 (en)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for providing a haptic effect
KR102160767B1 (ko) 제스처를 감지하여 기능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102184288B1 (ko) 입력 유닛에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102081817B1 (ko) 디지타이저 모드 전환 방법
KR102031142B1 (ko) 영상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155836B1 (ko) 터치 스크린 상에서 객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US10579248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by using scroll bar
KR101815720B1 (ko) 진동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025635A (ko)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286361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bject display
KR20140134940A (ko)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50008963A (ko) 스크린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102118091B1 (ko) 오브젝트에 대한 사전 실행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92106A (ko) 터치 스크린 상의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단말과 저장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