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7336B1 - 열가소성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가소성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336B1
KR100307336B1 KR1019940013426A KR19940013426A KR100307336B1 KR 100307336 B1 KR100307336 B1 KR 100307336B1 KR 1019940013426 A KR1019940013426 A KR 1019940013426A KR 19940013426 A KR19940013426 A KR 19940013426A KR 100307336 B1 KR100307336 B1 KR 100307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group
weight
carboxylic acid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3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804A (ko
Inventor
오마에다다유끼
야마구찌노보루
치까나리겐쪼
오구라기요시
Original Assignee
고오사이 아끼오
스미또모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마츠야마 기요시
닛폰 에이앤드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4950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30644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44951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169A/ja
Application filed by 고오사이 아끼오, 스미또모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마츠야마 기요시, 닛폰 에이앤드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오사이 아끼오
Publication of KR950000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3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55/00Characteristics of bituminous mixtures
    • C08L2555/40Mixtures based upon bitumen or asphalt containing functional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poxy Res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무정형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무정형 수지 100 중량부당, (B) 에폭시 그룹 함유 에틸렌 공중합체 0.01 내지 20 중량부, 및 분자당, 카복실 그룹, 아미노 그룹, 카복실산 무수물 그룹 및 하기 일반식 (1)로 나타낸 단위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2개의 같거나 다른 작용성 그룹을 함유하거나 또는 분자당, 하기 일반식 (2)로 나타낸, 적어도 하나의 단위를 함유하는 (C) 다작용성 화합물, 및 (D) 카복실산 금속 염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 0.01 내지 20 중량부를 또한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X 및 Y는 동일하며 각각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내거나, 또는
X 및 Y 중 하나는 산소 원자이고 다른 하나는 황 원자이고,
Z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열 가 소 성 수 지 조 성 물
본 발명은 내충격성 및 내열성과 같은 성질이 잘 조화를 이루고 있고, 균일하고 치밀하게 소광된 표면을 갖는 성형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스티렌 수지(방향족 비닐 중합체), AS 수지(비닐 시아나이드-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BS 수지(비닐 시아나이트-공액 디엔 형 고무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AES 수지(비닐 시아나이드-에틸렌/프로필렌 형 고무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등과 같은 무정형 수지가 이들의 탁월한 성형적성, 내충격성, 강성 및 탁월한 표면 광택성으로 인해, 자동차, 광전 전기기구 및 기타 상품등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의도된 용도에따라, 상기 특성들 모두가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자동차 내부 부품, 사무실 또는 가정용 전기기구등의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적 및 화학적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균일하고 치밀하게 소장된 표면을 제공하기위해 성형 제품의 표면광택성을 감소시키는 특성이 개선된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또는 ABS 수지와 같은 물질이 요구된다. 상기 물질의 사용목적은 다양하며, 예를 들면, 안전을 위해 자동차 내부 부품이 야간에 빛을 반사시키지 못하도록 하거나 또는 고품격 제품에 대한 현재 유행에 비추어 고품격 외관을 갖는 전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현재까지는,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등과 같은 무정형 수지에, 또는 폴리프로필렌,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등과 같은 결정성 수지에 티탄, 마그네슘, 칼슘등의 옥사이드 또는 카보네이트와 같은 충전제를 가하므로써 성형 제품의 표면을 소장시키는 것이 공지되어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성형 제품의 표면을 만족스럽게 소장시킬 수 없다.
또한 잘 알려진 소광법은 상기 수지에 고무 유사 탄성중합체를 가하거나 그라프트하거나, 또는 가교결합가능한 에틸렌 공중합체 함유 조성물(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 89346호/1984)을 사용함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소장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며, 상기 충전제, 탄성중합체 또는 가교결합 가능한 에틸렌 공중합체의 불균일한 분산으로인해 성형제품의 표면을 불규칙하게 소광하는 단점이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기법의 선행 문제를 극복하기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폴리스티렌-기제 수지, AS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BS 수지,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등과 같은 무정형 수지의 특성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인 수지 조성물에 대해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특정 화합물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잘 조화된 특성뿐아니라, 소장 표면을 갖는 성형 제품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상기 발견을 기초로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A) 무정형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무정형 수지 100 중량부당, (B) 에폭시 그룹 함유 에틸렌 공중합체 0.01 내지 20 중량부, (C) 다작용성 화합물 및 (D) 카복실산 금속 염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 0.01 내지 20중량부를 또한 포함하는, 개선된 소광 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다작용성 화합물은 분자당, 카복실 그룹, 아미노 그룹, 카복실산 무수물 그룹 및 하기 일반식(1)로 나타낸 단위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2개의 같거나 다른 작용성 그룹을 함유하거나, 또는 상기 다작용성 화합물은 분자당, 하기 일반식(2)로 나타낸 적어도 하나의 단위를 함유한다.
상기식에서,
X 및 Y 는 동일하며 각각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내거나 또는 X 및 Y 증 하나는 산소 원자이고 다른 하나는 황원자이고,
Z 는 산소 원자 또는 황원자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상기 무정형 수지 (A)는 고무 유사 중합체,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 시아나이드 화합물 및 기타 공중합가능한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으로부터 제조한 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라, 상기 무정형 수지 (A)는 고무유사 중합체,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 시아나이드 화합물 및 기타 공중합가능한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으로부터 제조한, 전술한 증합체와는 다른 무정형 수지이다.
본 발명을 하기에 상세히 기술할 것이다.
무정형 수지 (A)
본 발명에서 무정형 수지 (A)로 사용될 수 있는 무정형 수지는 용융 온도로 가열한 후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사용하여 10℃/분의 비율로 냉각시킬때 결정화에 의한 발열 피크를 나타내지 않는 수지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무정형 수지 (A)는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기제 수지, AS 수지(비닐 시아나이드-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고무 유사 중합체,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 시아나이드 화합물과 기타 공중합가능한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으로 구성된 중합체(예를 들면, ABS수지(비닐 시아나이드-공액 디엔 형 고무-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및 AES 수지(비닐 시아나이드-에틸렌/프로필렌 형 고무-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상기 수지들의 혼합물(예를 들면,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와 폴리스티렌 기제 수지의 혼합물,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와 고무 개질된 폴리스티렌 기제 수지의 혼합물)등이다. 그중에서 폴리스티렌 기제 수지, AS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ABS 수지 뿐아니라 폴리스티렌 기제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혼합물,또는 폴리카보네이트수지와 ABS 수지의 혼합물 및 기타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스티렌 기제 수지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 이루어진 중합체이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예를 들면, 스티렌; 알킬 치환된 스티렌(특히 벤젠 고리상에 C1-C4알킬 그룹을 하나 내지 두개 갖는 스티렌), 예를 들면 o-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p-3급-부틸스티렌등;α-알킬-치환된 스티렌(특히 벤젠 고리상에 C1-C4알킬 그룹을 하나 내지 두개 가질수있는α-(C1-C4알킬)-스티렌, 예를 들면α-메틸스티렌,α메틸-p-메틸스티렌등; 할로겐 치환된 스티렌(예를 들면 클로로스티렌등)이 있으며; 폴리스티렌 기제 수지는 적어도 2개의 상기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단량체를 에틸렌형 불포화 카복실산의 에스테르(예를 들면, C1-C4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아미도 그룹 함유 비닐 화합물(예를 들면,(메트)아크릴아미드)등)와 같은 기타 공중합가능한 화합물 하나이상과 공중합시킬 수 있다.
폴리스티렌 기제 수지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PS), 스티렌-α-메틸스티렌 공중합체등이 있다.
필요에 따라, 전술한 폴리스티렌 기제 수지와 같은 무정형 수지를 공중합하거나 또는 고무 유사 중합체로 그라프트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 유사 중합체로 디엔 형 고무 유사 중합체 또는 디엔이 없는 고무 유사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유용한 디엔 형 고무 유사 중합체는 예를 들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천연 고무등이 있다. 유용한 디엔이 없는 고무 유사 중합체를 예를 들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비공액 디엔 공중합체, 아크괼성 고무등이있다. 상기 고무 유사 중합체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중 적어도 2개를 혼합물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공액 디엔 형 고무 유사 중합체 와 비공액 디엔 형 고무 유사 중합제의 혼합물을 사용할수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폴리부타디엔 고무 개질된 폴리스티렌 수지(HIPS, 즉 고충격 폴리스티렌으로 공지되어있다)와 같은 고무 개질된 폴리스티렌 기제 수지이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AS 수지는 비닐 시아나이드 화합물과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공중합시켜 제조한 공중합체이다. 비닐 시아나이드 화합물의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등이 있다.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기제 수지와 관련하여 상기에 예로든 화합물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적어도 2개의 비닐 시아나이드 화합물을 적어도 2개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중합할수있다.
AS 수지의 구체예로는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메타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α-메틸스티렌 상원공중합체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는 탄산 유도체와 하기 일반식 (3)의 2가 페놀을 축합시켜 제조한 생성물로 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식에서,
X 는 탄소원자 1 내지 10개를 갖는 알킬랜 그룹, 탄소원자 1 내지 10개를 갖는 알킬리덴 그룹, 탄소원자 4 내지 8 개를 갖는 사이클로알킬렌 그룹, -0-, -S-, 및 -SO2-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그룹이고,
R1및 R2는 같거나 다르고, 각각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원자 1 내지 12개를 갖는 알킬 그룹이고,
m 및 n 은 0 내지 4의 정수이고,
p 는 0 또는 1의 정수이다.
일반식 (3) 화합물의 구체예는 비스페놀 A,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레조르신, 하이드로퀴논등이다. 그중에서, 비스페놀 A가 바람직하다.
유용한 탄산 유도체는 예를 들면 포스겐, 디페닐카보네이트, 비스페놀 A의 할로포르메이트등이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고무 유사 중합체,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비닐 시아나이드 화합물과 기타 공중합가능한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으로 구성된 중합체로는 전형적으로 ABS 수지 및 AES 수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하기 중합체 (i),(ii), 및 (iii)을 포함한다:
(i) (a) 고무 유사 중합체, (b)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c) 비닐 시아나이드 화합물로 구성된 중합체,
(ii) (a) 고무 유사 중합체, (b)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d) 기타 공중합가능한 화합물로 구성된 중합체, 및
(iii) (a) 고무 유사 중합체, (b) 방향족 비닐 화합물, (c) 비닐 시아나이드 화합물 및 (d) 기타 공중합가능한 화합물로 구성된 중합체.
중합체 (i) 내지 (iii)은 고무 유사 중합체,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비닐 시아나이드 화합물 및 기타 공중합가능한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그라프트 중합시켜 제조한 합체이며, 상기 단량체를 공중합시키는 방법은 유화 중합, 현학 중합, 벌크 중합, 액상 중합, 및 상기 중합법의 조합과 같은 통상의 중합법을 포함한다.
전술한 중합법중 임의의 중합법에 의해 제조한 중합체를 본 발명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벌크 중합 또는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한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 유사 중합체(a)의 예로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이소프렌 -스티렌 공중합체,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부타디엔-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프렌 등과 같은 공액 디엔 형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비공액 디엔(예를 들면, 에틸리덴-노르보넨, 디사이클로펜타디엔등)공중합체등과 같은 에틸렌-프로필렌 형 고무; 및 폴리부틸 아크릴레이트등과 같은 아크릴성 고무가 있다. 상기 고무 유사 중합체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그들중 적어도 2개를 혼합물 형태로 사용할 수있다. 바람직하게는 공액 디엔-형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형 고무등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중합체(i)-(iii)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 (b), 비닐 시아나이드 화합물(c) 및/또는 기타 공중합가능한 화합물(d)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무 유사 중합체(a)에 그라프트 중합되기 때문에, 그라프트 중합체가 형성되며, 상기 그라프트 중합체는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 과 비닐 시아나이드 화합물 및 기타 공중합가능한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으로 구성된 연속상에 분산된 채로 존재한다. 그라프트 중합체의 입자 크기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이들의 평균 입자 크기는 내충격성 , 내열성, 소광 특성(광택성), 강성, 가공성등의 관점에서, 0.1 내지 5㎛ 범위, 0.2 내지 3㎛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방향족 비닐 화합물(b)는 예를 들면 스티렌,α-메틸스티렌,α-에틸스티렌, 디메틸스티렌, 클로로스티렌, 파라-메틸스티렌등이 있다. 상기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그들중 적어도 2개를 혼합물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비닐 시아나이드 화합물(c)의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등이 있다. 상기 기타 공중합가능한 화합물(d)은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 특히 (메트)아크릴산의 C1-C4알킬에스테르, 예를 들면,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등; N-패닐말레이미드,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등과 같은 말레이미드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그들중 적어도 2개를 혼합물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기계적 특성, 열 특성 및 가공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중합체는 고무 유사 중합체(a) 5 내지 30중량%(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b)70 내지 40중량%(바람직하게는 65 내지 50중량%), 및 비닐 시아나이드 화합물 (c)및 기타 공중합가능한 화합물(d)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 10 내지 40중량%(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중량%)로 구성된 중합체이다.
상기 단량체 조성을 갖는 중합체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형 고무-스티렌 공중합체(ABS),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 형 고무-스티렌 공중합체(AES),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형 고무-스티렌 공중합체(MB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형 고무-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BSM),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산 에스테르 형 고무-스티렌 공중합체(AAS)등이 있다.
필요한 경우, 상기 그라프트 중합체와 고무 성분이 없는 기타공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혼합물의 단량체 조성은 전술한 범위내에 있다. 예를 들면, 무정형 수지(A)로, (i) 상기 고무 유사 중합체(a),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b), 및 상기 비닐 시아나이드 화합물 (c) 및 상기 기타 공중합가능한 화합물(d)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으로 구성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약 30 내지 70중량%와 (ii)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b), 상기 비닐 시아나이드 화합물(c) 및 상기 기타 공중합가능한 화합물 (d)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으로 구성된 공중합체 약 70 내지 3O중량%의 혼합물(이때, 상기 고무-유사 중합체(a), 단량체(b) 및 단량체(c) 및 (d)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규정된 비율로 존재한다)을 사용할 수 있다.
공중합체(ii)의 예를 들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AS), 메길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MS),메틸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MAS)등이있다. 상기 중합체 혼합물의 추가의 예를 들면 ABS 수지와,α-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αMS-ACN), 스티렌-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S-NPMI) 및 그 티렌-N-페닐말레이미드-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S-A-NPMI)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과의 혼합물이다.
그중에서, ABS 및 AES 수지와 같은 아크릴로니트릴-디엔 형 고무-스티렌 공중합체 뿐아니라, (i) ABS 및 AES 수지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과 (ii) AS,αMS-ACN, 및 S-A-NPMI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과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화 중합법 또는 벌크 중합법에 비해 제조한 것이 바람직하다.
에폭시 그룹 함유 에틸렌 공중합체(B)
본 발명에 유용한 에폭시 그룹 함유 에틸렌 공중합체(B)는 에폭시 그룹(들)을 함유하는 임의의 에틸렌 공중합체일 수 있다. 바람직한 에폭시 그룹 함유 에틸렌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a) 에틸렌 단위 50내지 99 중량%, (b) 불포화 카복실산 글리시딜 에스테르 단위 또는 불포화 글리시딜 에테르 단위 0.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중량%, 및 (c) 기타 에틸렌형 불포화 화합물 단위 0 내지 50중량%의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에폭시 그룹 함유 에틸렌 공중합체(B)에서 상기 불포화 카복실산 글리시딜 에스테르 단위는 하기 일반식 (4)로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식에서,
R은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형 불포화 결합을 갖는, 탄소원자 2 내지 18개를 갖는 탄화수소 그룹이다)
상기 불포화 글리시딜 에테르 단위는 하기 일반식 (5)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식에서,
R은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형 불포화 결합을 갖는, 탄소원자 2 내지 18개를 갖는 탄화수소 그룹이고,
X 는 -CH2-O- 또는 구조식 (6)으로 나타낸 그룹이다.
불포화 카복실산 글리시딜 에스테르 단위 또는 불포화 글리시딜 에테르 단위는 예를 들면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이타콘산의 글리시딜 에스테르,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2-메틸알릴글리시딜 에테르, 스티렌-p-글리시딜 에테르등이있다.
상기 기타 에틸렌형 불포화 화합물(c)의 예를 들면α,β-불포화 카복실산 알킬 에스테르, 특히 (메트)아크릴산의 C1-C4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면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등;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비닐 부타노에이트, 비닐 벤조에이트 등과같은 카복실산 비닐 에스테르, 메틸 비닐 에테르, 에틸 비닐에테르, 페닐 비닐 에테르등과 같은 비닐 에테르 및 스티렌, 메틸 스티렌, 에틸스티렌, 디메틸스티렌등과 같은 스티렌이 있다.
에폭시 그룹 함유 에틸렌 공중합체(B)의 예를 들면 3개 이상의 공단량체로 구성된 공중합체, 즉 적어도 (a) 에틸렌, (b) 상기 불포화 카복실산 글리시딜 에스테르 또는 불포화 글리시딜 에테르 및 (c) 상기 기타 에틸렌형 불포화 화합물을 함유하는 공중합체(상기 성분 (a),(b),(c) 각각은 전술한 비율로 존재한다)이다. 에폭시 그룹 함유 에틸렌 공중합체(B)의 또다른 예를 들면 상기 기타 에틸렌형 불포화 화합물(c)가 없는 공중합체, 예를 들면 (a) 에틸렌 79 내지 99중량% 및 (b) 상기 불포화 카복실산 글리시딜 에스테르 또는 불포화 글리시딜 에테르 1 내지 30 중량%의 공중합체이다.
바로 앞에서 언급한 에폭시 그룹 함유 에틸렌 공중합체(B)의 구체예는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메틸 아크릴레이트 삼원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에틸 아크릴레이트 삼원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비닐 아세테이트 삼원공중합체등이며, 각각은 전술한 단량체 조성을 갖는다. 그중에서 상기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메틸 아크릴레이트 삼원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비닐 아세테이트 삼원공중합채등이 바람직하다.
에폭시 그룹 함유 에틸렌 공중합체(B)의 용융 지수(ASTMD1238에따라 측정)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0.5 내지 100g/10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에폭시 그룹 함유 에틸렌 공중합체(B)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않으나 임의의 방법, 예를 들면 불포화 에폭시 화합물을 공중합체의 주쇄에 도입하는 랜덤공중합법 및 불포화 에폭시 화합물을 공중합체의 측쇄에 도입하는 그라프트 공중합법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불포화 에폭시 화합물, 에틸렌 및 경우에 따라, 기타 에틸렌형 불포화 화합물을 적합한 용매 및 쇄 전이제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100 내지 300℃의 온도 및 500 내지 4000atm의 압력에서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공중합함을 포함하는 방법 및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 기제공중합체, 불포화 에폭시 화합물 및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함께 혼합하고, 용융된 혼합물을 압출기에서 그라프트 공중합시킴을 포함하는 방법을 언급할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 방법은 예를 들면 일본국 미심사 특허 공개 공보 제 47-23490 호에 개시되어있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에폭시 그룹 함유 에틸렌 공중합체(B)의 양은 무정형 수지(A) 100중량부당 0.01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부이다. 0.01 중량부 미만을 사용하면 생성된 성형제품에 만족스럽게 소광된 표면을 부여하지 못하는 반면, 20중량부 이상을 사용하면 가공성 및 기계적 특성을 손상시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한다.
다작용성 화합물(C)
다작용성 화합물(C)는 예를 들면 카복실 그룹, 아미노 그룹, 카복실산 무수물 그룹 및 상기 일반식(1)의 단위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같거나 다른 작용성 그룹을 분자당 적어도 2개(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함유하는 화합물이다.
분자당 적어도 2개(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의 카복실 그룹을 갖는 다작용성 화합물(C)의 예를 들면 폴리카복실산이다. 상기 폴리카복실산은 예를 들면 옥살산, 숙신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크산, 도데칸-디카복실산, 카브아릴산, 사이클로헥산디카복실산, 사이클로펜탄디카복실산등과 같은 지방족 폴리카복실산, 특히 C2-C20지방족 디카복실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나프탈렌디카복실산, 비페닐디카복실산, 트리메스산, 트리멜리트산등과 같은 방향족 폴리카복실산, 특히 C8-C20방향족 디- 또는 트리-카복실산이 있다. 상기 폴리카복실산중에서, 지방족 폴리카복실산이 바람직하다.
분자당 적어도 2개(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의 아미노 그룹을 갖는 다작용성 화합물(C)의 예를 들면 지방족 디아민, 특히 C2-C20지방족 디아민, 예를 들면 1,6-헥사메틸렌디아민,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1,4-디아미노부탄, 1,3-디아미노프로판, 에틸렌디아민등; 지방족 디아민 카바메이트, 특히 C3-C21지방족 디아민 카바메이트,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디아민 카바메이트, 에틸렌디아민 카바메이트등; 지방족 폴리아민, 특히 C4-C20지방족 폴리아민, 예를 들면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 펜타에틸렌헥사아민, 에틸아미노에틸아민, 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 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1,3-비스(3-아미노프로폭시)-2,2-디메틸프로판, 1,3,6-트리스아미노메틸헥산, 이미노비스프로필아민, 메틸이미노비스프로필아민, 비스(헥사메틸렌)트리아민등; 지환족 폴리아민, 특히 C4-C20지환족 폴리아민, 예를 들면 메텐디아민, N-아미노에틸피페라진, 1,3-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이소포론디아민, 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등; 방향족 고리를 갖는 지방족 폴리아민, 특히 벤젠 고리를갖는 C6-C20지방족 아민, 예를 들면 m-크실릴렌디아민, 테트라클로로-p-크실릴렌디아민등; 방향족 아민, 특히 C6-C20방향족 아민, 예를 들면 m-페닐렌디아민, o-페닐렌디아민, 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4,4'-메틸렌디아닐린, 디아미노디페닐설폰, 벤지딘, 4,4'-비스(o-톨루이딘), 4,4'-티오디아닐린, 디아니시린, 메틸렌비스(o-클로로아닐린), 2,4-톨루엔디아민, 비스(3,4-디아미노페닐)설폰, 디아미노디톨릴설폰, 4-클로로-o-페닐렌디아민, 4-메톡시-6-메틸-m-페닐렌디아민, m-아미노벤질아민등; 1,3-비스(r-아미노프로필)-1,1,3,3,-테트라메틸디사이클로헥산등과 같은 실리콘 함유 폴리아민이 있다.
분자당 적어도 2개의 아미노 그룹을 갖는 다작용성 화합물(C)로 또한 유용한 것은 예를 들면 디하이드라지드 화합물, 특히 C4-C22디카복실산의 디하이드라지드, 예를 들면 숙신산 디하이드라지드,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지드, 이소프탈산 디하이드라지드, 에이코산디오산 디하이드라지드등; 디아미노말레오니트릴, 멜라민등 뿐아니라 에폭시 수지에 대한 경화제로 통상 사용되는 화합물, 예를 들면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2-에틸-4-메틸이미다졸등이 있다.
분자당 적어도 2개(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의 카복실산 무수물 그룹을 갖는 다작용성 화합물(C)의 예를 들면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피로멜리트산 무수물, 에틸렌 글리콜 비스(트리멜리트산무수물)등이 있다.
분자당 일반식(1)의 단위를 적어도 2개(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를 갖는 다작용성 화합물 (C)의 예를 들면 피로멜리트산 디이미드, 멜리트산 트리이미드,1,4,5,8-나프탈산 디이미드 및 상응하는 티오이미드뿐 아니라 알록산틴등이 있다.
다작용성 화합물(C)는 또한 카복실 그룹, 아미노 그룹,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성분을 분자당 적어도 하나 함유하고, 일반식 (1)의 단위를 분자당 적어도 하나 함유하는 화합물을 또한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대표적인 예를 들면 트리우렛, 1-메틸트리우렛, 1,1-디에틸트리우렛, 테트라우렛 뿐 아니라 상응하는 티오우렛 등이 있다.
다작용성 화합물 (C)의 예에는 카복실 그룹, 아미노 그룹, 및 카복실산 무수물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작용성 그룹을 분자당 적어도 2개 함유하는 화합물이 포함된다. 상기 유형의 다작용성 화합물은 탄소 원자 2 내지 20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를 들면 4-아미노부티르산, 6-아미노헥사노산, 12-아미노도데카노산등이 있다.
상기 일반식(2)의 단위를 분자당 적어도 1개 함유하는 다작용성 화합물(C)의 예를 들면 파라반산, 이소시아누르산, 알록산, 알록산-5-옥심, 바비투르산, 5,5-디에틸바비투르산, 5-에틸-5-페닐-바비투르산, 5-(1-메틸-부틸)-5-알릴-바비투르산, 5,5-디알릴바비투르산, 히단토산등 뿐아니라 이들의 -C=O 잔기 또는 잔기들의 산소 원자 또는 원자들이 황원자로 치환된 상응하는 화합물, 예를 들면 2,4-디티오바비투르산, 2-티오바비투르산등이 있다.
상기 언급한 다작용성 화합물(C)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중 적어도 2개를 혼합물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카복실산 금속 염(D)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카복실산 금속 염(D)은 적어도 하나의 카복실 그룹,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개의 카복실 그룹을 갖는 화합물의 염이다. 이들의 예를 들면 지방족 카복실산, 바람직하게는 C2-C20지방족 모노-또는 디-카복실산, 예를 들면 아세트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트리데실산,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 노나데카노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크산, 도데칸디카복실산, 트리카브알릴산, 올레산, 리놀레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등의 금속염, 방향족 카복실산, 바람직하게는 C7-C13방향족 모노-, 디- 또는 트리-카복실산, 예를 들면 벤조산, 톨루산, 나프토산, 아트라센카복실산, 비페닐카복실산, 트리메스산, 트리멜리트산, 신남산등의 금속염이 있다.
상기 언급한 금속염을 구성하는 금속을 예를 들면 리튬, 나트륨, 칼륨등과 같은 알칼리 금속,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등과 같은 알칼리 토금속, 아연, 알루미늄등이 있다.
카복실산 금속 염(D)의 바람직한 예를 들면 지방족 카복실산, 바람직하게는 C4-C22지방족 모노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예를 들면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마스네슘 스테아레이트, 칼슘스테아레이트, 나트륨 아세테이트, 나트륨 올리에이트등이 있다.
상기 성분 (C) 및 (D)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서로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의 흔합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성분(D)를 사용할 때는, 스테아르산, 올레산, 벤조산등과 같은 카복실산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다작용성 화합물(C) 와 카복실산 금속 염(D)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의 양은 무정형 수지(A) 100중량부당 0.01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부이다. 0.01중량부 미만의 양을 사용하면 만족스럽게 소광된 표면을 갖는 성형 제품을 제공할 수 없으며, 반면 20중량부 이상의 양을 사용하면 성형적성을 감소시켜 이로인해 생성된 성형 제품에 손상된 외관(예를 들면 이들의 표면상에 흐름자국이 형성됨)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시에는 성분들을 어떤 방법으로 혼합하는 지에 대한 특별한 규정은 없으며, 통상의 방법, 예를들면 이들의 용융된 혼합물등을 혼련시키므로써 함께 혼합할수있다. 상기 혼련법은 통상의 혼련 장치, 예를 들면 단일-스크루, 또는 이중-스크루, 밴부리 혼합기, 롤, 다양한 혼련기등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혼합 순서는 중요치 않다. 예를 들면, 성분들을 한꺼번에 혼련할수있거나 또는 2개의 다른 성분의 예비혼합물에 하나의 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 양자택일적으로, 무정형 수지(A), 에폭시 그룹-함유 에틸렌 공중합체(B), 및 다작용성 화합물(C) 및 카복실산 금속 염(D)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의 일부로된 용융 혼합물을 혼련시키므로써 먼저 고농도 매스터 배치를 제조한 후, 적당량의 매스터 배치를 잔여량의 무정형 수지(A)에 첨가하므로써 제조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첨가제의 사용이 조성물의 성형적성 및 기타 특성에 손상을 입히지 않는 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유용한 첨가제의 예를 들면 안료, 염료, 강화제, 충전제, 열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내후제, 핵화제, 윤활제, 대전방지제, 이형제, 난연제, 가소화제등이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등과 같은 기타 열가소성 수지를 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 방법은 중요치 않으며, 사출 성형, 압출 성형등과 같은 통상의 성형 방법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조성물을 통상의 방식으로 간단히 성형하므로써 균일하고 치밀하게 소광된 표면을 갖는 성형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기계적 특성(예를들면, 내충격성 및 강성), 열적 특성 및 가공성 또는 성형성과 같은 특성을 갖는 성형 제품(상기 성질들이 잘 조화를 이루고 있다)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는데 통상 사용된 방법, 예를 들면 사출 성형, 압출 성형등에 의해 성형 제품, 필름, 시트등으로 쉽게 성형할 수 있다.
실 시 예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한다. 그러나, 이들이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다음의 방법에 의해 성질을 측정 하였다.
(1) 표면 소광도(광택성)
6O℃의 조건하에서 광택 측정기 GM-3D (무라가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품)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용융 흐름지수 (MI)
ASTM D1238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3) 아이조드 충격 강도
ASTM D256 (샘플 두께 6.4 mm, 측정 온도 23℃ 및 -30℃, V형-놋치 부착)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4) 굴곡 탄성율
ASTM D790 (샘플 두께 3.2 mm)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5) 열 변형 온도
ASTM D648 (샘플 두께 6.4 mm, 섬유 응력 18.6 kgf/㎠)에 따라서 측정 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서, 다음의 수지가 무정형 수지(A)및 에폭시 함유 에틸렌 공중합체(B)로 사용된다.
무정형 수지(A)
(i) PS: 폴리스티렌 (스미또모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의 제품, 상표명 "스미브라이트 이183( Sumibrite E183)", MI=2.3 g/10분, 200℃, 5kg 하중)
(ii) HIPS: 폴리부타디엔 고무-개질된 폴리스티렌 수지 (스미또모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의 제품, 상표명 "스미브라이트 M540", MI=11 g/10분, 200℃, 5kg 하중)
(iii) AS: 아크릴로니트릴 28 중량% 및 스티렌 72 중량%의 공중합체(MI=39 g/10분, 220℃, 10 kg 하중)
(iv) PC: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스미또모 다우 리미티드의 제품, 상표명 "칼리브레(Calibre) 200-13", MI=13 g/10분, 300℃, 1.2 kg하중)
(v) ABS (1):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로니트릴-디엔 형 고무-스티렌 공중합체와α-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혼합물로 구성된 고내열성 ABS (스미또모 다우 리미티드의 제품, 상표명 "크랄라스틱(Kralastic) K2938F")
(vi) ABS (2): 벌크 중합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로니트릴-디엔 형 고무-스티렌 공중합체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혼합물로 구성된 다용도 ABS (다우 케미칼 캄파니의 제품, 상표명 "매그넘(Magnum) 213")
에폭시 함유 에틸렌 공중합체(B)
상기에서, E는 에틸렌; GMA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MA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MI는 ASTM D1238에 따라 190℃ 및 2.16 kg 하중의 조건하에서 측정되는 용융 흐름지수를 나타낸다.
실시예 1 내지 21
단일 스크루 압출기 (직경 30 mm)를 사용하여, 표 1, 2 및 3에 나타낸 무정형 수지(A)에 표 1, 2 및 3에 나타낸 에폭시 함유 에틸렌 공중합체(B) 및 다작용성 화합물(C) 또는 카복실산 금속 염(D)을 상기 표에 나타낸 비율로 첨가하고, 각 혼합물을 250℃에서 용융 및 혼련시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수록한다.
각각의 조성물을 3시간동안 105 내지 110℃에서 건조시키고, 이어서, 5온스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다음 조건하에서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PS, HIPS, AS 또는 ABS를 함유하는 시험편에 대해서는, 최소 충진 압력 + 10 kgf/㎠과 동일한 사출 압력하에 250℃의 성형 온도 및 50℃의 금형 온도사용; 및 PC를 함유하는 시험편에 대해서는, 최소 충진 압력 + 10 kgf/㎠과 동일한 사출 압력하에 280℃의 성형 온도 및 90℃의 금형 온도사용.
시험편의 물성 측정의 결과는 표 1, 2 및 4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1, 5, 9, 13, 17 및 21
표 1, 2 및 3에 나타낸 에폭시 함유 에틸렌 공중합체(B)를 표 1, 2 및 3에 나타낸 무정형 수지(A)에 첨가하고, 각 혼합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용융 및 혼련시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시험편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하였다.
시험편의 물성 측정의 결과를 표 1, 2 및 4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2, 3, 6, 7, 10, 11, 14, 15, 18, 19, 22 및 23
표 1, 2 및 3에 나타낸 다작용성 화합물(C) 또는 카복실산 금속 염(D)을 표1, 2 및 3에 나타낸 무정형 수지(A)에 첨가하고, 각 혼합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용융 및 혼련시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시험편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하였다.
시험편의 물성 측정의 결과는 표 1, 2 및 4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4, 8, 12, 16, 20 및 24
표 1, 2 및 3에서 나타낸 무정형 수지(A)만을 사용하여, 시험편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시험편의 물성 측정의 결과는 표 1, 2 및 4에 나타내었다.
표 1 및 2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다음 사항이 분명해 진다.
성분 (A)로서 단지 PS만이 사용될 때, 생성된 시험편은 99%의 광택성을 나타낸다 (비교 실시예 4). PS 및 성분 (B), (C) 및 (D)중의 하나로 구성된 시험편도 또한 99%의 광택성을 나타내고 광택성감소를 얻을 수 없다 (비교 실시예 1 내지 3), 반면에, PS가 성분 (B)및 (C)와 조합되거나 또는 성분 (B) 및 (D)와 조합되어 사용될 때, 생성된 시험편은 약 60% 정도의 낮은 광택성을 나타내며, 이는 우수한 소광성질을 갖는 조성물이 수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실시예 1 내지 7).
성분 (A)로서 HIPS만이 사용될 때, 생성된 시험편은 50%의 광택성을 나타낸다 (비교 실시예 8). HIPS 및 성분 (B), (C) 및 (D)중의 하나로 구성된 시험편도 또한 약 50%의 광택성을 나타내고 광택성 감소를 얻을 수 없다 (비교 실시예 5 내지 7). 반면에, HIPS가 성분 (B) 및 (C) 또는 (B) 및 (D)와 조합되어 사용될 때, 생성된 시험편은 약 40% 정도의 낮은 광택성을 나타내며, 이는 우수한 소광 성질을갖는 조성물이 수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실시예 8 및 9).
성분 (A)가 AS (실시예 10 및 11 및 비교 실시예 9 내지 12)일 때 및 성분 (A)가 PC (실시예 12 및 13 및 비교 실시예 13 내지 16)일 때도, 상기 결과와 유사하다.
표 4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다음 사항이 분명해 진다.
성분 (A)로서 단지 ABS만이 사용될 때, 생성된 시험편은 87%의 광택성을 나타낸다 (비교 실시예 20). ABS (I) 및 성분 (C) 및 (D) 중의 하나로 구성된 시험편도 또한 85%의 광택성을 나타내고 광택성은 감소를 얻을 수 없다 (비교 실시예 18 내지 19). ABS (1) 및 성분(B)로 구성된 시험편은 38% 정도의 비교적 낮은 광택성을 나타내나, 충분히 낮지는 않다(비교 실시예 17). 반면에, ABS (1)가 성분(B) 및 성분 (C) 및 (D) 중의 하나와 조합되어 사용될 때, 생성된 시험편은 약 20% 정도의 낮은 광택성을 나타내고, 여전히 비교적 높은 MI값 및 충격 강도를 가지며, 이는 상기 시험편의 성질이 잘 조화되어 있음을 의미한다(실시예 4 내지 19).
성분 (A)가 ABS (2) (실시예 20 및 21 및 비교 실시예 21 내지 24)일 때, 상기 결과와 유사하다.
표 1
표 2
표 3
표 4

Claims (25)

  1. (A) 무정형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무정형 수지 100 중량부당,
    (B) 에폭시 그룹 함유 에틸렌 공중합체 0.01 내지 20 중량부, 및
    (C) 다작용성 화합물 및 (D) 카복실산 금속 염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 0.01 내지 20 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다작용성 화합물이 분자당 카복실 그룹, 아미노 그룹, 카복실산 무수물 그룹 및 하기 일반식 (1)로 나타낸 단위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2개의 같거나 다른 작용성 그룹을 함유하거나, 또는 분자당 하기 일반식 (2)로 나타낸 적어도 하나의 단위를 함유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상기식에서 ,
    X 및 Y는 동일하며 각각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내거나, 또는
    X 및 Y 중 하나는 산소 원자이고 다른 하나는 황 원자이고,
    Z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형 수지 (A)가 폴리스티렌-기제 수지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형 수지 (A)가 비닐 시아나이드-방향족 비닐 공중합체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형 수지 (A)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형 수지 (A)가 아크릴로니트릴-공액 디엔 형고무-스티렌 공중합체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가 벌크 중합 또는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된 공중합체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그룹 함유 에틸렌 공증합체(B)가,
    (a) 에틸렌 단위 50 내지 99 중량%,
    (b) 불포화 카복실산 글리시딜 에스테르 단위 또는 불포화 글리시딜 에테르 단위 0.1 내지 30 중량% 및
    (c) 기타 에틸렌형 불포화 화합물 단위 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작용성 화합물 (C)가 폴리카복실산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작용성 화합물 (C)가 분자당, 하기 일반식 (2)로 나타낸 적어도 하나의 단위를 갖는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상기식에서,
    Z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복실산 금속 염 (D)가 지방족 카복실산의 금속 염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고무 유사 중합체,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 시아나이드 화합물 및 기타 공중합가능한 화합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으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인 무정형 수지(A)를 포함하고, 무정형 수지 100 중량부당,
    에폭시 그룹 함유 에틸렌 공중합체 (B) 0.01 내지 20 중량부, 및 다작용성 화합물 (C) 및 카복실산 금속 염 (D)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 0.01 내지 20 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작용성 화합물 (C)가 분자당 카복실 그룹, 아미노 그룹, 카복실산 무수물 그룹 및 하기 일반식 (1)로 나타낸 단위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2개의 작용성 그룹을 함유하거나, 또는 분자당 하기 일반식 (2)로 나타낸 적어도 하나의 단위를 함유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상기식에서,
    X 및 Y는 동일하며 각각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내거나, 또는
    X 및 Y 중 하나는 산소 원자이고 다른 하나는 황 원자이고,
    Z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형 수지 (A)가
    (i) 고무 유사 중합체,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 시아나이드 화합물 및 기타 공중합가능한 화합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으로 구성된 공중합체와
    (ii)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 시아나이드 화합물 및 기타 공중합가능한 화합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으로 구성된 공중합체의
    혼합물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형 수지가 벌크 중합 또는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그룹 함유 에틸렌 공중합체 (B)가
    (a) 에틸렌 단위 50 내지 99 중량%,
    (b) 불포화 카복실산 글리시딜 에스테르 단위 또는 불포화 글리시딜 에테르 단위 0.1 내지 30 중량% 및
    (c) 기타 에틸렌형 불포화 화합물 단위 0 내지 50 중량%
    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작용성 화합물 (C)가 폴리카복실산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작용성 화합물 (C)가 분자당, 하기 일반식 (2)로 나타낸 적어도 하나의 단위를 갖는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상기식에서,
    Z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복실산 금속 염 (D)가 지방족 카복실산의 금속 염인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18. 고무 유사 중합체,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 시아나이드 화합물 및 기타 공중합가능한 화합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으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 이외의 무정형 수지 (A)를 포함하고, 무정형 수지 100 중량부당,
    에폭시 그룹 함유 에틸렌 공중합체 (B) 0.01 내지 20 중량부, 및 다작용성 화합물 (C) 및 카복실산 금속 염 (D)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 0.01 내지 20 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작용성 화합물 (C)가 분자당 카복실 그룹, 아미노 그룹, 카복실산 무수물 그룹 및 하기 일반식 (1)로 나타낸 단위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2개의 작용성 그룹을 함유하거나, 또는 분자당, 하기 일반식 (2)로 나타낸 적어도 하나의 단위를 함유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상기식에서,
    X 및 Y는 동일하며 각각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내거나,
    X 및 Y 중 하나는 산소 원자이고 다른 하나는 황 원자이고,
    Z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형 수지 (A)가 폴리스티렌 기제 수지이나, 단 고무유사 중합체,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 시아나이드 화합물 및 기타 공중합가능한 화합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으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는 제외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0. 1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형 수지(A)가 비닐 시아나이드-방향족 비닐 공중합체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형 수직 (A)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그룹 함유 에틸렌 공중합체 (B)가
    (a) 에틸렌 단위 50 내지 99 중량%,
    (b) 불포화 카복실산 글리시딜 에스테르 단위 또는 불포화 글리시딜 에테르 단위 0.1 내지 30 중량% 및
    (c) 기타 에틸렌형 불포화 화합물 단위 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작용성 화합물 (C)가 폴리카복실산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작용성 화합물 (C)가 분자당, 하기 일반식 (2)로 나타낸 적어도 하나의 단위를 갖는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상기식에서,
    Z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복실산 금속 염 (D)가 지방족 카복실산의 금속 염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9940013426A 1993-06-16 1994-06-15 열가소성수지조성물 KR1003073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44950 1993-06-16
JP14495093A JP3306446B2 (ja) 1993-06-16 1993-06-16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93-144951 1993-06-16
JP14495193A JPH073169A (ja) 1993-06-16 1993-06-16 艶消し性が改良さ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804A KR950000804A (ko) 1995-01-03
KR100307336B1 true KR100307336B1 (ko) 2002-06-22

Family

ID=26476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3426A KR100307336B1 (ko) 1993-06-16 1994-06-15 열가소성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5508347A (ko)
EP (1) EP0629661B1 (ko)
KR (1) KR100307336B1 (ko)
CN (1) CN1062000C (ko)
CA (1) CA2125898A1 (ko)
DE (1) DE69405305T2 (ko)
TW (1) TW2978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4062A (en) * 1994-03-16 1997-01-14 Kawasaki Steel Corporation Polycarbonate/polyolefin based resin compositions and their production processes and uses
US5770652A (en) * 1994-11-28 1998-06-23 Gen Electric Dispersive reactive extrusion of polymer gels
US9193860B2 (en) * 2007-03-02 2015-11-24 Bayer Materialscience Llc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 based on AES rubber with low surface gloss
US8273825B2 (en) 2007-03-20 2012-09-25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carbonate/polyolefin based resin compositions and their production processes and uses
US8795269B2 (en) 2010-07-26 2014-08-05 Covidien Lp Rotary tissue sealer and divider
US9045615B2 (en) * 2011-08-24 2015-06-02 Fina Technology, Inc. Metal carboxylate additives for thermoplastics
CN103289357B (zh) * 2013-05-07 2015-09-23 普立优高分子(福建)有限公司 电线包覆用哑光性组合物及电线用哑光性壳层
JP6915277B2 (ja) * 2015-12-25 2021-08-04 東レ株式会社 複合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7978A (en) * 1967-01-04 1969-11-11 Gen Electric Heat moldable polycarbonate composition
US4172859A (en) * 1975-05-23 1979-10-3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ough thermoplastic polyester compositions
JPS55137155A (en) * 1979-03-30 1980-10-25 Toray Ind In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molding use
JPS5699248A (en) * 1980-01-11 1981-08-10 Toray Ind Inc Thermoplastic polyester composition for molding
JPS56159247A (en) * 1980-05-12 1981-12-08 Toray Ind In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S57108153A (en) * 1980-12-25 1982-07-06 Sumitomo Chem Co Ltd Resin composition
JPS57125253A (en) * 1981-01-28 1982-08-04 Sumitomo Chem Co Ltd Resin composition
JPS5817148A (ja) * 1981-07-24 1983-02-01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S6144897A (ja) * 1984-08-10 1986-03-04 Terumo Corp 5−フルオロウラシル誘導体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医薬製剤
JPS6153355A (ja) * 1984-08-21 1986-03-17 Mitsubishi Petrochem Co Ltd ポリフエニレンエ−テル組成物
US4898911A (en) * 1986-11-20 1990-02-06 Kanegafuchi Kagaku Kogyo Kabushiki Resin composition
JPH0615651B2 (ja) * 1986-11-29 1994-03-02 住友ダウ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730228B2 (ja) * 1987-08-18 1995-04-05 住友ダウ株式会社 艶消し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676534B2 (ja) * 1987-10-14 1994-09-28 住友ダウ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623294B2 (ja) * 1987-10-26 1994-03-30 住友ダウ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CA1335125C (en) * 1988-08-03 1995-04-04 Takuya Ogaw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delustered and pleasing appearance
CA2017213C (en) * 1989-05-23 2000-10-31 Tadayuki Ohmae Method for producing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JP2704304B2 (ja) * 1990-01-29 1998-01-26 住化エイビーエス・ラテックス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147960B2 (ja) * 1991-12-27 2001-03-19 日本ジーイー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低光沢の熱可塑性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25898A1 (en) 1994-12-17
TW297825B (ko) 1997-02-11
CN1062000C (zh) 2001-02-14
EP0629661A1 (en) 1994-12-21
EP0629661B1 (en) 1997-09-03
US5508347A (en) 1996-04-16
US5623018A (en) 1997-04-22
DE69405305D1 (de) 1997-10-09
DE69405305T2 (de) 1998-04-09
CN1100442A (zh) 1995-03-22
KR950000804A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6469B2 (en) Glass fiber-reinforc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JP3117030B2 (ja) 低光沢の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WO2005030819A1 (ja) 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用流動性向上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ならびにその成形品
KR100307336B1 (ko) 열가소성수지조성물
CA2489511C (en) Glass fiber filled thermoplastic compositions with good surface appearance
JPH04175370A (ja) 樹脂組成物
EP0911367B1 (en) Polycarbonate/polyolefin resin composition, process for producingthe same, and moldings
JP3513543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306446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CA1319215C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S6220915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CA2169042A1 (en) Process for producing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JP3923812B2 (ja) 着色難燃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H09216981A (ja) マレイミド系abs樹脂組成物
JP3613911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
KR101409432B1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물품
JPH073169A (ja) 艶消し性が改良さ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372568B1 (ko)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JPH06299021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252499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502840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11140266A (ja) ゴム変成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JPH04125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415822B2 (ko)
JPH0395252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