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5305B1 - 폐쇄식통신장치및이의동작방법 - Google Patents

폐쇄식통신장치및이의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5305B1
KR100305305B1 KR1019980025091A KR19980025091A KR100305305B1 KR 100305305 B1 KR100305305 B1 KR 100305305B1 KR 1019980025091 A KR1019980025091 A KR 1019980025091A KR 19980025091 A KR19980025091 A KR 19980025091A KR 100305305 B1 KR100305305 B1 KR 100305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roller
closed position
incoming call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5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434A (ko
Inventor
주니어 윌리엄 폴 알버트
스콧 스틸
패트리시아 오자키
Original Assignee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Publication of KR19990007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셀룰러 전화기와 같은 폐쇄식 통신 장치는 하우징(105), 하우징(105) 상에 있는 입력 장치, 이를테면 버튼(208), 및 하우징(105) 내에 배치되며 버튼(208)에 연결되는 제어기(304)를 갖는다. 하우징(105)은 폐쇄 위치(200)와 개방 위치(114)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버튼(208)은 폐쇄 위치(200)에서 이용할 수 있다. 제어기(304)는 폐쇄 위치(200)에서 장치(102)의 유용성을 증가시키는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기(304)는 하우징(105)의 개방시 장치(102)에서 입중계 호출에 대답하고, 다르게는, 버튼의 작동 동안 하우징의 개방시 입중계 호출의 대답을 디스에이블함으로써 예를 들어, 장치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여 호출에 응답하지 않고 호출자 식별 정보를 볼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폐쇄식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CLOSE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장치들에 관련되고, 보다 상세히, 폐쇄식 통신 장치에 관련된다.
휴대하기 쉬우며, 바람직한 기능들을 지원하고, 그리고 휴대 가능한 시간량을 늘이기 위해서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는 통신 장치들이 상업적으로 이점이 있다. 휴대하기 쉬운 한 통신 장치는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를 가지는 폐쇄식 셀룰러 전화기이다. 개방 위치에서, 셀룰러 전화기의 종래 셀룰러 전화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스피커, 마이크로폰,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를 가지고 완전히 노출되어 있으며 셀룰러 전화기는 사용자의 귀와 입을 스피커와 마이크로폰 각각에 맞추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폐쇄 위치에서, 종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포개지거나 접어지고 그에 따라 셀룰러 전화기는 길이가 보다 짧아지게 된다. 부가적인 편의로서,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셀룰러 전화기의 이동은 입중계 전화 호출에 자동적으로 응답한다. 따라서, 호출이 수신되거나 행해지면, 셀룰러 전화기는 전화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개방 위치로 놓여지고, 호출이 수신되지 않거나 행해지지 않을 때는 언제나, 셀룰러 전화기는 휴대의 용이화를 위해서 닫혀진 상태로 유지된다.
휴대가 쉽다고 해도, 폐쇄식 셀룰러 전화기는 많은 사용자들이 원하는 호출자 식별 기능("호출자 ID")에 대응하지 못한다. 호출자 ID는 셀룰러 전화기 사용자가 입중계 호출에 응답하기 이전에 호출 가입자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셀룰러 전화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 또는 다른 원격 장치는 입중계 호출과 함께 호출 가입자의 전화 번호를 셀룰러 전화기에 송신한다. 셀룰러 전화기는 디스플레이 상에 전화 번호를 디스플레이하여 호출에 응답하기 이전에 관측자가 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폐쇄식 셀룰러 전화기의 디스플레이는 폐쇄 위치에서 숨겨져 있다. 디스플레이 상에 전화 번호를 보기 위해서 셀룰러 전화기를 개방하는 것은 자동적으로 호출에 응답하고, 그에 따라 호출자 ID의 목적을 이루지 못한다.
또한, 폐쇄식 셀룰러 전화기는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지 않는다. 셀룰러 전화기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의해 제공되는 셀룰러 전화기 상태 정보를 볼 수 없다. 그러한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기가 서비스되는지 그리고 셀룰러 전화기가 홈 시스템 외부에서 로밍 하는지에 대한 지시를 포함한다. 폐쇄 위치에서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셀룰러 전화기가 폐쇄 위치에 있는 동안 볼 수 있도록 셀룰러 전화기의 외부에, 다중 색의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디스플레이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LED는 서비스 불가능을 나타내는 적색의 플래시를, 로밍을 나타내는 황색의 플래시 및 서비스 가능을 나타내는 녹색의 플래시를 지속적으로 방사한다. 유감스럽게도, 이러한 LED의 지속적인 플래싱은 호출 이외의 셀룰러 전화기가 온인 상태의 시간량을, 25 %정도로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요구되는 것은, 예를 들어, 바람직한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고 소비 전력을 최소화함으로써 폐쇄 위치에서 장치의 유용성을 증가시키는 폐쇄식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이다.
셀룰러 전화기와 같은 폐쇄식 통신 장치는 하우징, 하우징 상에 있는 버튼과 같은 입력 장치, 및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버튼에 연결된 제어기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버튼은 폐쇄 위치에서 이용할 수 있다. 제어기는 폐쇄 위치에서 장치의 유용성을 증가시키는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사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기능을 사용하는 제어기는 장치에 대해 하우징의 개방시 입중계 호출에 응답하고, 다르게는, 사용자가 호출에 응답하지 않고 호출자 ID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버튼의 작동 동안 하우징의 개방시 호출에 대한 응답을 디스에이블한다. 부가적인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장치는 표시기와 같은 제어기에 연결된 출력 장치를 또한 가지고 있다. 표시기는 입중계 호출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 제어기가 버튼의 동작을 검출할 때까지 불활성화된 채 있다. 그러한 검출시, 제어기는 한정된 지속동안 상태 정보를 나타내도록 표시기를 활성화시킨다. 지속적으로 활성화된 표시기 보다 오히려 즉각적으로 활성화되는 표시기를 사용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최소화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개방 위치에 있는 폐쇄식 통신 장치를 설명하는 투시도이다.
도 2는 폐쇄 위치에 있는 도 1의 장치를 설명하는 투시도이다.
도 3은 도 1 장치의 전기 회로를 설명하는 회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장치
103 : 기지국
105 : 하우징
108 : 안테나
109 : 배터리
110, 112 : 하우징 부분
134 : 디스플레이
204 : 표시기
206 : 신호기 개구
208 : 측면 버튼
도 1은 폐쇄식 통신 장치(102) 및 기지국(103)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0)을 나타낸다. 장치(102) 및 기지국(103)은 무선 통신과 페이징, 전화, 및 단락 메시지와 같은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무선 주파수(RF) 신호들(104)을 통해 통신한다. 장치(102)는 셀룰러 전화기이고, 기지국(103)은 셀룰러 전화 통신들 및 부가적인 통신 서비스들을 장치(102)에 제공하는 셀룰러 기지국이고, 통신 시스템(100)은 셀룰러 전화 시스템인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러 전화기로 설명되었다 해도, 이하 설명될 장치 및 방법은 무선(cordless) 전화들, 양방향 라디오들, 페이저들, 개인 디지털 보조물들, 등등에서 응용을 또한 발견할 것이고, 여기서 사용되는 "장치"는 그들 각각 및 그들의 동들물을 참조할 것이다.
폐쇄식 통신 장치(102)는 하우징(105), 안테나(108), 및 배터리(109)를 가지고 있다. 안테나(108)는 기지국(103)으로/으로부터 각각, RF 신호들(104)을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해서 하우징(105) 상에 있다. 배터리(109)는 장치(10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하우징(105)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105)은 하우징 부분들(110 및 112)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 부분(112)은, 도 1에서 보여진 바와 같은 개방 위치(114)와 도 2에서 보여진 바와 같은 폐쇄 위치(200)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하우징 부분(112)은 일반적으로 이동 가능한 소자 또는 플랩(flap)으로 불린다. 설명된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 부분들(100 및 112)은 화살표(118)에 의해 묘사된 바와 같이 개방 및 폐쇄 위치(114 및 200)로/로부터 하우징 부분(112)에 대해 회전을 제공하는 힌지(116)를 통해서 연결된다. 대신해서, 하우징 부분들(110 및 112)은 개방 및 폐쇄 위치들(114 및 200)을 제공하기 위해서 미끄러지게 연결될 수도 있다.
하우징 부분(110)은 정면 및 배면(120 및 121), 상부면 및 하부면(122 및 123), 그리고 우측면 및 좌측면(124 및 125)을 가지고 있다. 면들(122 내지 125)각각은 면(120)과 (121) 사이에서 넓어지며, 이 면(120)과 (121)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직이다. 면들(120, 121, 124 및 125)은 실질상 길이에서 비슷하고 도 2의 폐쇄 위치(200)에서 장치(102)의 길이를 정의한다. 도 1의 면들(122 내지 125)은 폭에 있어서 면들(120 및 121)의 폭보다 매우 작다. 설명된 실시예에 있어서, 면들(120, 121, 124, 및 125)의 길이는 대략 85mm, 면들(120 및 121)의 폭은 대략 50mm, 그리고 면들(122 내지 125)의 폭은 대략 10mm이다. 하우징 부분(112)은 하우징 부분(110)의 것과 유사한 크기와 모양으로 되고, 유사하게 정의된 면들(126 내지 131)을 포함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크기로 됨에 의해, 장치(102)는 옷 주머니 속이나 벨트 홀스터 내에 이송되기 위해서 도 2의 폐쇄 위치에서 충분히 치수적으로 억제되어 있다.
종래의 셀룰러 전화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06)는 하우징(105) 상에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6)는, 바람직하게 디스플레이(134)와 스피커 베젤(bezel)(140) 뒤에 위치한 스피커(303)(도 3 참조)인 출력 장치들, 및 바람직하게 키패드(136)와 마이크로폰 개구(138) 뒤에 위치한 마이크로폰(307)(도 3 참조)인 입력 장치들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6)의 출력 장치들은 하우징(105)이 개방 위치(114)인 경우에만 검출 가능하도록 내부적으로 위치된다. 디스플레이(134)는 하우징 부분(110)의 면(120)에 있고 디스플레이 영역(142)을 가지고 있고, 도 1에서 전화 번호 "847-555-1212"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보여진다. 스피커 베젤(140)은 사용자의 귀에 맞추기 위해 하우징 부분(112)의 면(126) 상에 말단 끝에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6)의 입력 장치들은 하우징(105)이 개방 위치(114)인 경우에만 이용할 수 있도록 내부적으로 위치된다. 키패드(136)는 하우징 부분(110)의 면(120) 상에 있는 다수의 키들(137)을 가지고 있다. 키들(137)은 종래의 영숫자 전화 키들(0-9, *, #)과 종래의 셀룰러 전화 키들, 이를테면 전원 온/오프 키(PWR), 기능키(FNC), 송신키(SND), 및 종료키(END)이다. 마이크로폰 개구(138)는 사용자의 입에 맞추기 위해 하우징 부분(110)의 면(120) 상에 말단 끝에 형성된다.
도 2에서 보여진, 확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201)는 하우징(105) 상에 있으며 하우징(105)이 폐쇄 위치(200)인 경우에 주로 사용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01)는, 바람직하게 표시기(204)와 신호기(309)(도 3 참조)인 출력 장치들, 바람직하게 측면 버튼들(208)인 입력 장치들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01)의 출력 장치들은 하우징(105)이 도 1의 개방 위치(114) 및 도 2의 폐쇄 위치(200)인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서 검출 가능하도록 외부적으로 위치된다. 표시기(204)는 하우징 부분(110)의 면(122) 상에 있다. 음파들의 통과를 허가하는 신호기 개구(206)는 면(122)에 형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01)의 입력 장치들은 하우징(105)이 개방 및 폐쇄 위치들(114 및 200)인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이용할 수 있도록 외부적으로 위치된다. 측면 버튼들(208)은 하우징(110)의 면(124) 상에 배치되어 있다.
폐쇄식 통신 장치(102)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회로(300)를 가지고 있다. 전기 회로(300)는 안테나(108), 송수신기(302), 제어기(304), 메모리(305), 도 3의 스피커(303), 디스플레이(134), 신호기(309), 표시기(204),및 진동기(310)를 포함하는 도 1 및 도 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6 및 201)의 출력 장치들, 키패드 회로(306), 마이크로폰(307), 측면 버튼들 회로(308), 및 스위치(312)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6 및 201)의 입력 장치들을 포함한다. 안테나(108)를 제외한 전기 회로(300)는 직접 제어기(304)에 연결된다.
송수신기(302)는 도 1의 기지국(103)과 도 3의 제어기 사이에서 정보를 연결한다. 송수신기(302)는 안테나(108)에 연결되고 수신기(314)와 송신기(316)를 포함한다. 수신기(314)는 안테나(108)를 통해 도 1의 RF 신호들(104)을 수신하고 RF 신호들(104)을 복조한다. 복조된 정보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음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수신 신호들처럼 수신기(314)에 의해 제어기(304)로 공급된다. 송신기(316)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음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송신 신호들을 송신을 위해 제어기(304)로부터 수신한다. 송신기는 신호들을 변조하고 변조된 정보를 RF 신호들(104)처럼 전파하기 위해서 안테나(108)에 공급한다.
출력 장치들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공급하도록 제어기(304)에 의해 제어된다. 스피커(303)는 수신기(314)에 의해 공급된 신호들에서 음성 정보로부터 추출된 가청 언어를 출력하도록 제어기(304)에 의해 구동된다. 디스플레이(134)는 도 1의 키패드(136)를 통해 만들어진 기재 사항들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메모리(305)로부터 검색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수신기(314)에 의해 공급된 신호들에서 제어 정보로부터 추출된 정보, 이를테면 상태 정보들 및 호출자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또는 그런 종류의 다른 것을 위해서 제어기(304)에 의해 구동된다. 신호기(309)는 소정의 톤 패턴에 따른 가청 경보를 발하도록제어기(304)에 의해 구동된다. 진동기(310)는 소정의 진동 패턴에 따라 진동하고, 도 1의 하우징(105)이 도 1의 개방 위치(114) 및 도 2의 폐쇄 위치(200)인 경우에 검출 가능한 촉각 경보를 제공하도록 제어기(304)에 의해 구동된다. 소정의 톤 및 진동 패턴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표시기(204)는 시각 경보를 플래시 또는 조명하며 제공하도록 도 3의 제어기(304)에 의해 구동된다. 표시기(204)는 다중-색의 발광 다이오드(LED)가 바람직하지만, 대신해서 다른 적당한 디스플레이 소자일 수 있다.
제어기(304)는 사용자 입력 장치들을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키패드 회로(306)는 키패드(136)의 도 1의 키들(137)의 작동에 응하여 제어기(304)에 신호들을 제공한다. 도 3의 마이크로폰(307)은 변환된 가청 언어 신호들을 제어기(304)에 제공한다. 측면 버튼들 회로(308)는 도 2의 임의의 측면 버튼들(208)의 작동에 응하여 제어기(304)에 신호들을 제공한다. 도 3의 스위치(312)는 도 1의 하우징(105)의 위치에 응하여 제어기(304)에 신호들을 제공한다. 스위치(312)는 자기 리드스위치이거나 다른 적당한 센서 또는 스위치이다.
메모리(305)는 제어기(304)에 의해 이용할 수 있는 기억 매체이다. 메모리(305)는 동작 지시들과 사용자가 정의할 수 있는 정보, 이를테면 인명별 전자 전화 번호부 및 도 1의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관계된 전화 번호들의 형태인 호출자 정보, 키패드(136)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톤 및 진동 패턴 선택, 등을 영구히 기억한다. 메모리(305)는 처리된 제어 정보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메모리(305)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또는 다른 적당한 메모리 장치의 결합이 바람직하다. 분리되게 보여진다고 해도, 메모리(305)는 대안으로 제어기(304) 안에 포함되어 질 수 있다.
제어기(304)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메모리(305) 안에 기억된 동작 지시들에 따라서 전기 회로(300)를 제어한다. 제어기(304)는 동작 지시를 실행하고, 전술한 수신된 신호들을 처리하고, 그리고 전술한 방법으로 전기 회로(300)를 구동하기 위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보이지 않음)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모토로라 주식회사에서 제조하고 판매된 68HC11 마이크로프로세서이거나 또는 다른 적당한 처리 장치이다.
전기 회로(300)를 제어하기 위해서 제어기(304)에 의해 실행된 지시들의 한 집합은 도 4에 설명된 다수의 방법 단계들 안에 구체화되어 있다. 방법 단계들은, 도 2의 측면 버튼들(208)의 기능성을 포함하는 장치(102)의 기능들을 정의하고, 도 1 내지 4에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방법은 장치(102)가 동작의 대기 상태에 들어갈 때, 즉, 장치(102)의 전원이 켜졌지만 호출은 아닌 경우에 시작된다(단계 400). 장치(102)가 대기 상태로 들어갈 때, 신호기(309), 표시기(204), 및 진동기(310)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1)의 출력 장치들은 비활성화된다. 대기 상태에서, 제어기(304)는 하우징(105)이 폐쇄 위치(200)인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스위치(312)로부터 신호들을 처리한다(단계 402).
하우징(105)이 폐쇄 위치(200)가 아니라면(즉, 하우징(105)은 개방 위치(114)), 제어기(304)는 하우징이 오프훅(off-hook)으로 제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즉, 하우징(105)이 개방 위치(114)인 동안 입중계 호출의 응답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위치(312)로부터 신호들의 적용을 디스에이블한다(단계 404). 제어기(304)는 그리고 나서 수신기(314)에 의해 제공된 제어 정보로부터 장치(102)로 호출이 착신되는 지를 결정한다(단계 406). 어떤 호출도 착신되지 않는다면, 제어기(304)는 하우징(105)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되돌아간다(단계 402). 호출이 착신한다면, 제어기(304)는 사용자에게 입중계 호출을 경보하기 위해서 신호기(309), 진동기(310), 또는 표시기(204)를 활성화시킨다(단계 407). 제어기(304)는 그리고 나서 수신기(314)에 의해 제공된 제어 정보로부터 입중계 호출의 호출자 식별 정보를 검색하고 호출자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134)를 구동한다(단계 408). 예를 들어, 입중계 호출의 발신자 전화 번호가 "847-555-1212"라면, 디스플레이(134)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번호를 디스플레이할 것이다.
다음으로, 제어기(304)는, 처리 시에, 측면 버튼들(208) 중 하나 또는 키들(137) 중 하나의 작동을 각각 나타내는 신호를 위하여 측면 버튼들 회로(308) 및 키패드 회로(306)를 모니터 한다(단계 410). 그러한 신호가 발견되지 않는다면, 제어기(304)는 호출이 여전히 착신하는지(즉, 종료되는 않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수신기(314)에 의해 제공된 제어 정보를 처리한다(단계 412). 호출이 여전히 착신한다면, 제어기는 경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다시 신호기(309), 진동기(310), 표시기(204)를 활성화시키고(단계 414) 호출자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디스플레이(134)를 구동하기 위해서 되돌아간다(단계 408). 호출이 더이상 착신하지않는다면(즉, 종료되었다면), 제어기(304)는 방법을 종료한다(단계 416). 측면 버튼들(208) 또는 키들(137) 중 하나의 작동을 나타내는 신호가 발견된다면, 제어기(304)는 스위치(312)로부터 신호들의 처리가 하우징이 오프훅으로 제어되도록 허가하게 한다(즉, 하우징(105)이 개방 위치(114)인 동안 입중계 호출의 응답을 허가하게 한다)(단계 418). 일단 인에이블되면, 제어기(304)는 입중계 호출에 응답하고(단계 420) 방법을 종료한다(단계 416).
하우징(105)이 폐쇄 위치(200)인 경우에, 제어기(304)는 스위치(312)로부터 신호들의 적용이 하우징이 오프훅으로 제어되도록 하게 한다(즉, 폐쇄 위치(200)에서 개방 위치(114)로 하우징(105)을 이동함으로써 입중계 호출에 응답하게 한다)(단계 422). 제어기(304)는 그리고 나서 장치(102)에 호출이 착신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수신기(314)에 의해 제공된 제어 정보를 처리한다(단계 424). 어떤 호출도 착신하지 않았다면, 제어기(304)는, 처리 시에, 측면 버튼들(208)의 작동을 나타내는 신호를 위해 측면 버튼들 회로(308)를 모니터 한다(단계 426).
측면 버튼들(208) 중 하나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가 발견된다면, 제어기(304)는 수신기(314)에 의해 제공된 제어 정보로부터 추출되는 것처럼 장치(102)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표시기(204)를 제어함으로써 상태 확인을 실행한다(단계 427). 제어 정보가 기지국(103)은 장치(102)에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나타낸다면(즉, 장치(102)는 "서비스 중" 이다), 제어기(304)는 표시기(204)가 녹색으로 플래싱 함으로써 제1 표시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제어 정보가 장치(102)는 서비스를 하지만 지리학적으로 홈 통신 시스템의 밖에 위치된다면(즉,장치(102)는 "로밍"), 제어기(304)는 표시기(204)가 황색으로 플래싱 함으로써 제1 표시와 다른 제2 표시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제어 정보가 장치(102)는 서비스하지 않는다고 나타낸다면(즉, 장치(102)는 "서비스 정지"), 제어기(304)는 표시기(204)가 적색을 플래싱 함으로써 제1 및 제2 표시들과 다른 제3 표시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제어기(304)는 표시기(204)가 간헐적으로, 이를테면 5초 정도의 짧은 시간 주기 동안, 0.5Hz에서 20% 듀티 사이클로 플래시 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제어기(304)는 표시기(204)의 온 시간을 최소화하고, 상태들의 시각적 인식을 더욱(yet) 용이하게 하는 다른 적당한 특색 있는 플래싱 패턴에 따라서 표시기(204)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304)는 상태 확인을 제공하기 위해서 신호기(309) 또는 진동기(310)를 대신해서 사용할 수 있다. 신호기(309)를 사용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서, 제어기(304)는 5초 정도의 짧은 시간 주기 동안, 특색 있는 톤 패턴에 따라서 신호기(309)를 활성화시킨다. 예를 들어, 제어기(304)는 신호기(309)가 "서비스 중"을 표시하기 위해서 550 ms 온 / 266ms 오프 동안 25 Hz 비율로 2113 Hz 톤 및 2566 Hz 톤을 번갈아 제공하고, "로밍"을 위해 1000 ms 온 / 2000ms 오프 동안 25 Hz 비율로 2133 Hz 톤 및 2566 Hz 톤을 번갈아 제공하고, 그리고 "서비스 정지"를 표시하기 위해서 1000 ms 온 / 1000 ms 오프 동안 8 Hz 비율로 2500 Hz 톤 및 2000 Hz 톤을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진동기(310)를 사용하여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서, 제어기(304)는, 5초 정도의 짧은 시간 주기 동안, 특색 있는 진동 패턴에 따라서 진동기(310)를 활성화시킨다. 예를 들어, 제어기(304)는 진동기(310)가 "서비스중"을 표시하기 위해서 500 ms 온 / 500ms 오프 동안, "로밍"을 표시하기 위해서 2초 온 /2초 오프 동안, 및 "서비스 정지"를 표시하기 위해서 250 ms 온 / 250 ms 오프 동안 반복되게 진동함으로써 제1 표시를 만들도록 제어한다. 상태 확인 후에, 제어기(304)는 스위치(312)로부터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서 되돌아간다(단계402).
측면 버튼들(208) 중 하나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가 발견되지 않는다면, 제어기(304)는 상태 변화 경보를 실행한다. 제어기(304)는 장치(102)의 현재 상태를 결정하고 현재 상태를 메모리(305)로부터 기억된 이전 상태와 비교하기 위해서 수신기(314)에 의해 제공된 제어 정보를 처리한다(단계402). 현재 상태가 이전에 기억된 상태와 일치한다면(즉, 상태가 변하지 않았다면), 제어기(304)는 스위치(312)로부터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서 되돌아온다(단계 402). 현재 상태가 이전에 기억된 상태와 일치하지 않는다면(즉, 상태가 변했다면), 제어기(304)는 상태 변화에 대해 사용자에게 경보하기 위한 신호기(309), 진동기(310), 또는 표시기(204)를 제어하고, 메모리(305) 내의 이전 상태를 현재 상태로 덮어쓴다(단계 429). 신호기(309), 진동기(310), 및 표시기(204)는 단계 427의 상태 확인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특색 있는 톤들, 진동들, 및 플래시들을 각각 제공하기 위해서 활성화된다. 상태 변화 경보 이후, 제어기(304)는 스위치(312)로부터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서 되돌아간다(단계 402).
하우징(105)이 폐쇄 위치(200)인 동안, 장치(102)에 호출이 착신하는 경우에, 제어기(304)는 사용자에게 입중계 호출을 경보하기 위해서 신호기(309), 진동기(310), 또는 표시기(204)를 활성화시킨다(단계 430). 다음으로, 제어기(304)는 스마트 호출 표시를 실행한다. 제어기(304)는 수신기(314)에 의해 수신된 제어 정보로부터 입중계 호출의 호출자 식별 정보를 검색하고, 사용자 식별 정보를 메모리(305)내의 사용자 정보, 이를테면 전화 번호부와 비교한다(단계 432). 호출자 식별 정보와 기억된 호출자 정보 사이에서 일치가 발견되는 경우에, 제어기(304)는 표시기(204)가, 이를테면 녹색 플래시들을 방사함으로써 제1 표시를 만들도록 제어한다(단계 434). 어떤 일치도 발견되지 않는 경우에, 제어기(304)는 수신기(314)에 의해 제공된 제어 정보로부터 장치(102)가 로밍인지를 결정한다(단계 436). 장치(102)가 로밍인 경우에, 제어기(304)는, 이를테면 황색 플래시들을 방사함으로써 표시기(204)가 제1과 다른 제2 표시를 만들도록 제어한다(단계 438). 어떤 일치도 발견되지 않고 로밍도 아닌 경우에, 제어기(304)는, 이를테면 적색 플래시들을 방사함으로써 표시기(204)가 제1 및 제2와 다른 제3 표시를 만들도록 제어한다(단계 440). 제어기(304)는 표시기(204)가 단계 428의 상태 확인에 관련해서 설명된 전술한 구성에 따른 표시들을 만들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기(204)를 제어하는 것보다 오히려, 제어기(304)는 단계 427의 상태 확인에 대해서 설명된 바와 같이, 특색 있는 톤들 또는 진동들을 방사함으로써 스마트 호출 표시를 실행하기 위해서 대신해서 신호기(309) 또는 진동기(3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제3 표시 이후(단계 434, 438, 또는 440), 제어기(304)는 처리 시에, 측면 버튼들(208) 중 하나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위해서 측면 버튼들(308)을 모니터 한다(단계 442). 신호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 제어기(304)는 하우징(105)이 폐쇄 위치(200)로부터 개방 위치(114)로 이동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스위치(312)로부터 신호들을 처리한다(단계 444). 하우징(105)이 이동된 경우에, 제어기(304)는 입중계 호출에 응답한다(단계 420). 하우징(105)이 이동되지 않는 경우에, 제어기(304)는 호출이 여전히 착신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수신기(314)에 의해 제공된 제어 정보를 처리한다(즉, 종료되지 않았다)(단계 446). 호출이 더이상 착신하지 않는 경우에, 제어기(304)는 방법을 종료한다(단계 416). 호출이 여전히 착신하는 경우에, 제어기(304)는 사용자에게 경보하기 위해서 되돌아간다(단계 430).
측면 버튼들(208) 중 하나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가 발견되는 경우, 제어기(304)는 하우징이 오프훅으로 제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즉, 하우징(105)이 개방 위치(114)인 동안 입중계 호출의 응답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위치(312)로부터 신호들의 인가를 디스에이블함으로써 하우징 오프훅 디스에이블을 실행한다(단계 448). 다음으로, 제어기(304)는 하우징(105)이 폐쇄 위치(200)로부터 개방 위치(114)로 이동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스위치(312)로부터 신호들을 처리한다(단계 450). 하우징(105)이 이동되지 않는 경우에, 제어기(304)는 호출이 여전히 착신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수신기(314)에 의해 제공된 제어 정보를 처리한다(단계 452). 호출이 더이상 착신하지 않는 경우에, 제어기(304)는 방법을 종료한다(단계 416). 호출이 여전히 착신하는 경우에, 제어기(304)는 사용자를 경보하기 위해서 되돌아간다(단계 430).
측면 버튼들(208) 중 하나가 작동하는 동안에 하우징(105)이 이동되는 경우에, 제어기(304)는 디스플레이(134)가 입중계 호출의 호출자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동하고(단계 408) 이전에 설명된 방법으로 남은 단계들(410, 412, 414, 416, 418 및/또는 420)을 실행한다.
사용자가 상태 정보에 대해 장치(102)를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도 4의 방법의 단계들(402, 424, 426 및 427)에서 구체화된 확인 상태 기능은, 하우징(105)이 폐쇄 위치(200)인 경우에 장치(102)가 지속적으로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종래 기술 장치들보다 대략 25% 더 오래 대기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다음의 예제로 증명되었다. 장치(102) 및 종래 기술 장치가 다음의 특징들을 공유한다고 가정하자: 배터리(109)는 1512000mA*초의 용량을 가지는 리튬 셀 배터리이다; 표시기(204)를 제외한 전기 회로(300)는 대기 상태에서 동작하는 동안 3mA의 드레인 전류를 갖는다; 및 표시기(204)는 활성시에 전류의 5mA를 끌어내는 LED이고 20% 듀티 사이클에서 활성시에 대기 상태의 전류 드레인에 1mA를 더한다. 지속적으로 유효한 LED를 사용하는 종래 기술 장치는 378000초(1512000mA*초/(3mA + 1mA)) 동안 대기 상태에서 동작한다. 사용자가 그렇게 선택하면, 대기 상태에서 결코 활성화되지 않을 LED를 사용하는 장치(102)는, 504000초(1512000mA*초/3mA) 동안 대기 상태에서 동작하는데, 이것은 종래 기술 장치가 대기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는 것보다 25%((504000초 - 378000초)/504000초)*100%) 더 길다. 장치(102)의 사용자가 한 시간에 4번 상태 확인을 실행하고 LED는 5초에 대해 20% 듀티 사이클로 플래시 한다는 가정일 지라도, 장치(102)는 여전히 대기 상태에서 대략 503067.6초(1512000 mA*초/[(3 mA*(3580초/3600초)) + (4 mA*4*(5초/3600초))] 동안 동작하고 이것은 종래 기술 장치가 대기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는 것보다 24.8%(((503067.6초 - 378000초)/504000초)*100%) 더 길다.
하우징(105)이 폐쇄 위치(200)인 경우에 자동적으로 사용자에게 장치(102)의 상태의 변화를 경보하는 도 4의 방법의 단계들(402, 424, 428 및 429) 내에 구체화된 상태 변화 경보 기능은, 연속적으로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종래 기술 장치들보다 더 긴 대기 상태에서 장치(102)가 동작하게 한다. 상태가 변화하는 경우에만 장치(102)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경보함으로써, 종래 기술 장치들에 의해 사용되는 지속적으로 활성 상태인 LED의 사용이 억제되어 대기 상태의 동작 길이가 확인 상태 기능에 관련하여 기재된 이유들로 인해 연장될 수 있다.
도 4의 방법의 단계들(402, 424, 430, 432, 434, 436, 438 및 440)에서 구체화된 스마트 호출 기능은 하우징(105)이 폐쇄 위치(200)인 경우에 사용자에게 입중계 호출 정보를 제공한다. 요금은 통상 장치(102)로 호출을 수신하는 당사자(party)에게 부과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입중계 호출을 스크리닝하기 위해서 이러한 기능을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넓은 레벨에서의 스크리닝을 가능하게 하므로 메모리(305) 내의 기억된 임의의 호출자 정보와 일치하는 호출자 식별 정보를 가지는 임의의 입중계 호출들이 단계(434)의 제1 표시를 시작하게 한다. 대신해서, 스크리닝은 좁은 레벨 상에 있을 수 있는데 이에 의하면 특정 당사자로부터의 입중계 호출만으로 단계(434)의 제1 표시를 시작하게 하도록 특정당사자를 정의하는 메모리(305) 내에 기억된 호출자 정보만을 사용자가 플래그할 수 있다.
도 4의 방법들의 단계들(402, 422, 424, 442, 448, 450, 408, 410, 418 및 420)내에 구체화된 하우징 오프훅 디스에이블 기능은 하우징(105)이 폐쇄 위치(200)에서 개방 위치(114)로 이동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장치(102)에서 입중계 호출의 응답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게 한다. 이것은, 폐쇄 위치(200)로 숨겨진 장치(102)의 디스플레이(134) 상에서 입중계 호출의 호출자 식별 정보를 호출에 응답하지 않고 사용자가 보게 한다. 이것은, 폐쇄 위치에서, 숨겨진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있고 하우징을 열자마자 입중계 호출에 자동으로 응답하고, 그 때문에 호출에 응답하기 이전에 호출자 식별 정보를 볼 기회를 제공하지 않는 종래 기술 장치들을 넘은 진보이다. 호출자 식별 정보를 보는 것을 제외하고, 오프훅 기능 억제 기능은 또한 다른 기능들, 이를테면 응답기 기능, 착신호 전환 기능, 등을 액세스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하우징(105)을 개방하는 것을 허가한다.
폐쇄식 통신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특정 입력 장치들, 이를테면 키패드 및 버튼들을 사용하기 위해 보여진다고 해도, 당업자는 그러한 입력 장치들이 대신해서 스위치들, 센서들, 소프트 키들, 터치 센서티브 패드들, 음성 인식/표기 장치들, 등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폐쇄식 통신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특정 출력 장치들, 이를테면 디스플레이, 표시기, 신호기, 및 진동기를 사용하기 위해 보여진다고 해도, 당업자는 그러한 출력 장치들이 대신해서 음성 합성기 등을 사용해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따라서 폐쇄식 통신 장치는 폐쇄 위치에서 그것의 유용성을 증가시키는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한 기능들은, 폐쇄 위치 동안 장치의 동작시간을 늘이는 사용자-즉각적인 상태 확인과 입중계 호출에 응답하지 않고 장치의 개방을 허가하는 선택적 하우징 오프훅 기능 억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들을 사용함으로써, 폐쇄식 통신 장치는 쉽게 운송되는 폐쇄 위치에서 보다 긴 시간 주기 동안 동작할 수 있다.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입중계 호출을 수신하기 위한 폐쇄식 통신 장치(102)에 있어서:
    폐쇄 위치(200)와 개방 위치(114)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하우징(105);
    상기 하우징 상에 있으며, 상기 폐쇄 위치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제1 입력 장치(208);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입력 장치에 연결된 제어기(304)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입중계 호출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의 이동시 상기 입중계 호출에 응답하고, 다르게는, 상기 제1 입력 장치의 작동 동안 상기 하우징의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의 이동시 상기 입중계 호출의 응답을 디스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식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상에 있고 상기 제어기에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폐쇄 위치 내에 숨겨지는 출력 장치(134)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개방 위치에서 보기 위해서 상기 입중계 호출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출력 장치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식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호출자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식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상에 있고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며, 상기 개방 위치에서 이용할 수 있고 상기 폐쇄 위치에서는 이용할 수 없는 제2 입력 장치(137)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및 제2 입력 장치들 중 하나의 작동시 상기 호출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식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상에 있고 상기 제어기에 연결되며, 상기 폐쇄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출력 장치(204, 309, 3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입중계 호출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 입력 장치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태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식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장치는 표시기(204), 신호기(309), 및 진동기(310)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식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연결되며, 상기 폐쇄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출력 장치(204, 309, 310),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기에 연결되며, 호출자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305)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입중계 호출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입중계 호출의 호출자 식별 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호출자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경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식 통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연결되며, 상기 폐쇄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출력 장치(204, 309, 310),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기에 연결되며, 이전 상태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305)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현재 상태 정보와 상기 이전 상태 정보의 비교에 응답하여, 현재 상태 정보가 상기 메모리 내에 기억된 상기 이전 상태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경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식 통신 장치.
  9. 대기 상태에서 동작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입중계 호출을 수신하며,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한 배터리 전원 무선 통신 장치인 폐쇄식 통신 장치(102)에 있어서:
    폐쇄 위치(200)와 개방 위치(114)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하우징(105);
    상기 하우징 상에 있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때 이용할 수 있는 입력 장치(208);
    상기 하우징 상에 있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일부가 숨겨지는 디스플레이(134);
    상기 하우징 상에 있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폐쇄 위치있을때 검출 가능한 상태 표시 장치(204, 309, 310);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상태 표시 장치에 연결되는 제어기(304)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입중계 호출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입력 장치의 작동시 상기 상태 표시 장치가 상기 폐쇄식 통신 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대기 상태에서의 상기 폐쇄식 통신 장치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며 동작을 연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식 통신 장치.
KR1019980025091A 1997-06-30 1998-06-29 폐쇄식통신장치및이의동작방법 KR100305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84,892 1997-06-30
US08/884,892 US6094565A (en) 1997-06-30 1997-06-30 Close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8/884,892 1997-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434A KR19990007434A (ko) 1999-01-25
KR100305305B1 true KR100305305B1 (ko) 2001-09-29

Family

ID=25385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5091A KR100305305B1 (ko) 1997-06-30 1998-06-29 폐쇄식통신장치및이의동작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94565A (ko)
JP (1) JP4149569B2 (ko)
KR (1) KR100305305B1 (ko)
CN (1) CN1139281C (ko)
BR (1) BR9802300B1 (ko)
DE (2) DE19861393B4 (ko)
FR (1) FR2765431B1 (ko)
GB (1) GB23283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7440A (ja) * 1997-12-22 1999-07-09 Nec Shizuoka Ltd 無線受信機表示方式
US6272331B1 (en) * 1998-02-23 2001-08-07 Cobra Electronics Corporation 2-way radio with silent annunciation
JP3098488B2 (ja) * 1998-04-20 2000-10-16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の不在時着信通知装置及び方法
US6429846B2 (en) 1998-06-23 2002-08-06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feedback for touchpads and other touch controls
KR100270381B1 (ko) * 1998-09-24 2000-11-01 윤종용 플립형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시에 통화로 유지 및 차단 방법
GB2343536B (en) 1998-11-06 2003-10-08 Nokia Mobile Phones Ltd Alerting apparatus
US6215993B1 (en) * 1999-02-24 2001-04-10 Ericsson Inc. Caller ID preview for mobile telephones
JP2001053838A (ja) * 1999-08-10 2001-02-23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型携帯電話装置の圏内外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US7007239B1 (en) * 2000-09-21 2006-02-28 Pal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contacts database and telephone services
GB2355146B (en) * 1999-10-08 2004-01-07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 communications device
US6304765B1 (en) * 1999-11-16 2001-10-16 Motorola, Inc. Fold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GB2356760B (en) 1999-11-23 2004-06-23 Nokia Mobile Phones Ltd A radiotelephone handset
US6850150B1 (en) * 2000-11-21 2005-02-01 Nokia Mobile Phones Ltd. Portable device
US6822635B2 (en) 2000-01-19 2004-11-23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interface for laptop computers and other portable devices
JP2001268187A (ja) * 2000-03-14 2001-09-28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の呼出音の鳴動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1274802A (ja) * 2000-03-24 2001-10-05 Toshiba Corp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
JP2001356862A (ja) * 2000-04-14 2001-12-26 Fuji Xerox Co Ltd 触力覚呈示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2007864A (ja) * 2000-06-26 2002-01-11 Nec Corp 情報配信システム
JP2002057759A (ja) 2000-08-09 2002-02-22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可能な携帯電話
JP2002135380A (ja) * 2000-10-27 2002-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り畳み式携帯型電子機器
JP3707417B2 (ja) * 2000-10-30 2005-10-19 日本電気株式会社 ダイヤルロック機能を有する携帯端末
KR100350504B1 (ko) * 2000-10-31 2002-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파워 제어 장치
US7151912B1 (en) * 2000-11-07 2006-12-19 Morrison Mark D Cable retra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050227746A1 (en) * 2000-11-07 2005-10-13 Morrison Mark D Wireless earpiece and actuator
AU2002214319A1 (en) * 2000-11-20 2002-05-27 Helios Co., Lt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utomatic line connection method, information storing medium and program
KR100350867B1 (ko) * 2000-11-23 200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및 장치
WO2002054301A1 (en) * 2001-01-04 2002-07-11 Roger Murphy System for delivering goods
KR100369653B1 (ko) * 2001-02-16 2003-0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및 장치
JP3703726B2 (ja) * 2001-03-02 2005-10-05 株式会社東芝 移動通信端末装置
US20020194587A1 (en) * 2001-03-13 2002-12-19 Lampton David P. Enhanced communication,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JP2002314658A (ja) * 2001-04-16 2002-10-25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端末
US6779246B2 (en) * 2001-04-23 2004-08-24 Appleton Papers Inc.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RF reflective pathways
US6892441B2 (en) * 2001-04-23 2005-05-17 Appleton Papers Inc. Method for forming electrically conductive pathways
US6747578B1 (en) * 2001-04-27 2004-06-08 Palmone, Inc. Integrated removable functional faceplate for portable computer system
US6456487B1 (en) * 2001-04-30 2002-09-24 Nokia Corporation Enclos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7010121B2 (en) * 2001-08-06 2006-03-07 Siemens Communications, Inc. Mobile telephon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4642292B2 (ja) * 2001-09-06 2011-03-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りたたみ式の無線端末、通話開始方法および通話開始プログラム
US7499282B1 (en) 2001-09-19 2009-03-03 Palm, Inc. Successively layered modular construction for a portable computer system
JP3790143B2 (ja) * 2001-10-01 2006-06-28 株式会社東芝 移動無線端末装置
JP2003258944A (ja) * 2002-02-28 2003-09-12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およびスライド式携帯電話機
US20040204049A1 (en) * 2002-08-16 2004-10-14 High Tech Computer, Corp. Cover for a hand-held device
JP4070192B2 (ja) * 2002-09-26 2008-04-02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JP3961397B2 (ja) * 2002-10-29 2007-08-22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20060136630A1 (en) * 2002-12-08 2006-06-22 Immersion Corporation, A Delaware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haptic messaging to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GB2412989B (en) 2002-12-08 2007-02-14 Immersion Corp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virtual touch haptic effect to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US20060136631A1 (en) * 2002-12-08 2006-06-22 Immersion Corporation, A Delaware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haptic messaging to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US8830161B2 (en) * 2002-12-08 2014-09-09 Immersion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virtual touch haptic effect to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US7779166B2 (en) * 2002-12-08 2010-08-17 Immersion Corporation Using haptic effects to enhance information content in communications
US8059088B2 (en) 2002-12-08 2011-11-15 Immersion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haptic messaging to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US7295852B1 (en) 2003-05-01 2007-11-13 Palm, Inc. Automated telephone conferencing method and system
JP4905871B2 (ja) * 2003-09-30 2012-03-28 京セラ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
JP4622223B2 (ja) * 2003-09-30 2011-02-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20060066569A1 (en) * 2003-12-08 2006-03-30 Immersion Corporation, A Delaware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haptic messaging to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FI20031871A0 (fi) * 2003-12-19 2003-12-19 Nokia Corp Multimediasanomapalvelujärjestelmä ja menetelmä
JP4131237B2 (ja) * 2003-12-24 2008-08-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US7388590B2 (en) * 2004-02-27 2008-06-17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color scheme to communic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 computing device
CN1747489A (zh) * 2004-09-08 2006-03-15 摩托罗拉公司 可闭合的无线通信设备及其方法
US20060061993A1 (en) * 2004-09-23 2006-03-23 Eagle Fan Dual-purpose clamping socket
DE102005001357A1 (de) * 2005-01-11 2006-07-20 Vodafone Holding Gmbh Mobiles Endgerät zur Nutzung in Telekommunikationsnetzen
US7187952B2 (en) * 2005-03-07 2007-03-06 Benq Corporation Method of accepting a phone call based on motion properties of the phone and related device
JP4405457B2 (ja) * 2005-10-28 2010-01-27 京セラ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US20080026784A1 (en) * 2006-07-31 2008-01-31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rapid initiation sequence for mobile unit
US20080063182A1 (en) * 2006-08-10 2008-03-13 Kuan-Di Huang Voice device
US20080132300A1 (en) * 2006-11-30 2008-06-0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portable device by movement of a flip portion of the device
JP4679543B2 (ja) * 2007-03-27 2011-04-27 京セラ株式会社 通信端末
US8050230B2 (en) * 2007-07-07 2011-11-01 Wipro Limited VoWLAN roaming controller with station pre-authentication
JP4917124B2 (ja) * 2009-03-30 2012-04-1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情報表示装置
JP4917125B2 (ja) * 2009-03-30 2012-04-18 京セラ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
WO2010118341A1 (en) * 2009-04-10 2010-10-14 Movik Networks Vibration modulation applications and techniques in mobile devices
JP2009201157A (ja) * 2009-06-08 2009-09-03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端末
US20120196580A1 (en) * 2011-01-28 2012-08-02 Sorenson Communication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actile caller identification in hearing-impaired communication systems
CN104883451A (zh) * 2015-06-15 2015-09-0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通话处理方法和电子设备
US11693423B2 (en) * 2018-12-19 2023-07-04 Waymo Llc Model for excluding vehicle from sensor field of view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35606B (en) * 1989-08-24 1994-03-30 Technophone Ltd Portable telephone
US5148471A (en) * 1989-11-20 1992-09-15 Motorola, Inc. Communications device with voice recognition and movable element control interface
US5687218A (en) * 1990-02-15 1997-11-11 Canon Kabushiki Kaisha Cordless telephone
FI85776C (fi) * 1990-08-20 1992-05-25 Nokia Oy Ab Transportabel personlig arbetsstation.
JP3109089B2 (ja) * 1990-08-31 2000-11-13 日本電気株式会社 折畳式携帯電話機
JP2689785B2 (ja) * 1991-09-30 1997-12-10 日本電気株式会社 小型携帯無線機
JPH05211693A (ja) * 1992-01-30 1993-08-20 Sony Corp 折り畳み式電子機器
JPH0661910A (ja) * 1992-04-21 1994-03-04 Nec Corp 携帯電話装置
US5559860A (en) * 1992-06-11 1996-09-24 Sony Corporation User selectable response to an incoming call at a mobile station
JP3268467B2 (ja) * 1992-09-08 2002-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話機
US5907615A (en) * 1992-12-02 1999-05-25 Motorola, Inc. Miniatur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H0824325B2 (ja) * 1993-01-25 1996-03-0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833964B2 (ja) * 1993-06-28 1998-12-0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畳型携帯電話機
JPH0738627A (ja) * 1993-07-15 1995-02-07 Casio Comput Co Ltd 無線電話機及び無線送受信機
JP2630224B2 (ja) * 1993-09-30 1997-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機
JP2689880B2 (ja) * 1993-12-28 1997-12-1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5722068A (en) * 1994-01-26 1998-02-24 Oki Telecom, Inc. Imminent change warning
JPH07273843A (ja) * 1994-03-25 1995-10-20 Nec Corp 携帯無線機の着信通報方法及び通報装置
US5414444A (en) * 1994-03-30 1995-05-09 At&T Corp. Personal communicator having orientable video imaging element
JP2690685B2 (ja) * 1994-04-18 1997-12-10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機能付携帯無線機
US5584054A (en) * 1994-07-18 1996-12-10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movable front cover for expos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US5715311A (en) * 1994-08-31 1998-02-03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US5657372A (en) * 1994-10-17 1997-08-12 Ericss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accepting telephone calls without establishing voice communications
US5742894A (en) * 1995-02-06 1998-04-21 Motorola, Inc. Radio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moveable housing element and keypad disposed therein
JP3700200B2 (ja) * 1995-06-05 2005-09-28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用電話装置
US5809414A (en) * 1995-11-22 1998-09-15 Northern Telecom Limited User out-of-range indication for digital wireless systems
GB2310568B (en) * 1996-02-26 1999-10-20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 telephone
GB2310561B (en) * 1996-02-26 2000-06-21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 telephone
US5953413A (en) * 1997-07-14 1999-09-14 Motorola, Inc. Close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827833B4 (de) 2006-07-13
BR9802300A (pt) 1999-11-03
JP4149569B2 (ja) 2008-09-10
CN1139281C (zh) 2004-02-18
BR9802300B1 (pt) 2012-05-29
FR2765431B1 (fr) 2004-10-22
KR19990007434A (ko) 1999-01-25
GB2328348B (en) 2002-07-31
US6094565A (en) 2000-07-25
FR2765431A1 (fr) 1998-12-31
DE19861393B4 (de) 2013-10-17
GB9813956D0 (en) 1998-08-26
DE19827833A1 (de) 1999-01-07
JPH1141648A (ja) 1999-02-12
GB2328348A (en) 1999-02-17
MX9805274A (es) 1998-12-31
CN1207003A (zh) 1999-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5305B1 (ko) 폐쇄식통신장치및이의동작방법
US5953413A (en) Close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4243367B2 (ja) 複数の表示装置を有する通信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EP0275193B1 (en) Telephone having receive call indicating function and mute/light key
GB2318671A (en) Radiotelephone proximity detector
US6904289B1 (en) Method and apparatus that annunciates when a mobile telephone is out of a service area
GB2344971A (en) A controller for portable telephone which can set a restricted format for call transmission and acceptance and a defined channel for a restricted area.
JPH1118157A (ja) 折畳み式携帯電話機
JP3068478B2 (ja) 携帯無線装置
JP3292664B2 (ja) 移動体電話の着信通知装置
GB2372912A (en) Closeable communication device
JP2872162B2 (ja) 無音報知および可聴報知機能を有する携帯無線機
JPH06188827A (ja) コードレス電話の呼出報知装置
KR100205910B1 (ko) 휴대용 통신기기의 호출음향 및 진동모드 스위칭방법 및 그 장치
JP2852199B2 (ja) 無線端末機
MXPA98005274A (en) Cerr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i operation method
JPH0514453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H05130201A (ja) 携帯電話機
JP3148598B2 (ja) 携帯無線電話機の呼び出し装置
JPH0998205A (ja) 携帯無線電話機の呼び出し装置
JPH1174950A (ja) 端末装置
JPH11205863A (ja) 通話状態報知機能付き移動無線装置
JPH11187090A (ja) 携帯電話機
JPH07184257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10145850A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