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3691B1 - 포장재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재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691B1
KR100303691B1 KR1019940007885A KR19940007885A KR100303691B1 KR 100303691 B1 KR100303691 B1 KR 100303691B1 KR 1019940007885 A KR1019940007885 A KR 1019940007885A KR 19940007885 A KR19940007885 A KR 19940007885A KR 100303691 B1 KR100303691 B1 KR 100303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val
packaging material
package
uni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7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538A (ko
Inventor
야마미찌다까히로
시바다히로시
Original Assignee
마나배게이사꾸
기린비이루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나배게이사꾸, 기린비이루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마나배게이사꾸
Publication of KR950000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6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33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공정에서, 제조 자재를 포장하는 포장재의 제거가 이루어진 후, 포장재가 제거된 자재가 무너지거나 할 염려가 없고, 원활하게 제조 자재를 공급할 수 있는 포장재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포장체(1)를 흡인하여 포장재(3)에 캔 뚜껑(2)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이완부를 형성하여 포장재(3)를 커터(17)로 절개하고, 포장재가 절개된 포장체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1쌍의 제거 롤러(19a),(19b) 사이로 말려 들어가게 하여 포장재를 제거하고, 포장재가 제거된 캔 뚜껑을 제거 롤러의 측부의 제거 롤러로부터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된 전동판(轉動板, transfer board)(31)으로 이동하여 위치하고, 전동판의 상측으로 돌출하는 셔터판(33a),(33b)에 의해 캔 뚜껑의 공급 유니트 방향으로의 전동(轉動)을 일단 중지시킨 후, 셔터판을 실린더(34a),(34b)에 의해 하측으로 말려 들머가 캔 뚜껑의 전동을 허용하여, 측판(32a),(32b)에 의해 캔 뚜껑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면서, 캔 뚜껑을 반출(discharge)부(F)로 보낸다.

Description

포장재 제거장치
본 발명은 제조공정에서 자재를 공급하기 위해, 그 자재를 포장하고 있는 포장재를 자재의 포장체로부터 제거하여 다음 공정으로 공급하는 포장재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맥주, 청량 음료수 등의 음료수나 식품, 엔진 오일 등 기타 여러 가지 내용물이 충전되어 있는 캔의 충전공정 등에서는, 캔 본체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 이 캔 본체의 구부(口部)에 캔 뚜껑을 덮어 씌워 고정시켜 캔을 밀폐시킨다.
이 캔 뚜껑은 캔 본체와는 별도로 제조되어, 원주형으로 겹쳐진 상태로 포장된 후, 캔 충전 공정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캔 충전 공정에서 캔 뚜껑의 포장재가 제거된 후, 내용물을 충전한 캔 본체에 1개씩 공급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은 캔 충전 공정에서, 원주형으로 겹쳐진 캔 뚜겅을 포장하고 있는 포장재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미 일본국 특원소 제63(1988)-322608호에 기재된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 장치는 캔 충전 공정으로 공급된 캔 뚜껑의 포장체를 흡인장치로 흡인하고, 캔 뚜껑을 포장하고 있는 포장재를 이완시켜 캔 뚜껑과의 사이에 이완부를 형성한다. 과리고, 이 이완부를 커터로 절개한 후, 포장재 제거 유니트로 절개한 포장재를 포장체로부터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장치에서 포장재가 제거되면, 원주형으로 겹쳐진 캔 뚜껑은 시머(seamer)로 공급되는 공급공정에서 무너져 버려서 작업을 중단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캔 충전 공정 중에, 캔 뚜껑의 포장체에서 포장재를 제거하는 장치에만 한정되지 않고, 여러 제조공정에서 자재를 제공할 때 그 자재를 포장하고 있던 포장재를 제거하는 포장재 제거장치에도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 포장재 제거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공정에서, 제조 자재를 포장하고 있는 포장재를 제거한 후, 포장재가 제거된 자재가 무너질 염려없이, 원활하게 제조 자재를 공급할 수 있는 포장재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재 제거장치의 작업 대상물인 포장체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재 제거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제3도는 이 실시예의 평면도.
제4도는 이 실시예에의 이송 유니트를 나타낸 측면도.
제5도는 이 이송 유니트의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VI-VI 선을 따라 도시한 횡단면도.
제7도는 이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 절개 유니트를 도시한 횡단면도.
제8도는 이 포장재 절개 유니트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9도는 이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 제거 유니트의 측면도.
제10도는 이 포장재 제거 유니트의 평면도.
제11도는 이 포장재 제거 유니트의 배면도.
제12도는 이 포장재 제거 유니트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13도는 이 실시예에 따른 엔드스토퍼를 도시만 측면도.
제14도는 이 실시예에 따른 제거 롤러를 도시한 정면도.
제15도는 이 제거 롤러의 평면도.
제16도는 이 실시예에 따른 낙하 이송 유니트(dropping unit)를 도시한 평 면도.
제17도는 이 낙하 이송 유니트의 측단면도.
제18도는 이 낙하 이송 유니트의 가이드 샤프트를 도시한 측단면도.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트형의 포장재로 피포장 재료를 피복한 포장체로부터 포장재를 제거하여, 공급 유니트에 의해 피포장재를 다음 공정으로 공급하는 포장재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를 흡인하여 상기 포장재와 피포장재 사이에 간극을 갖는 이완부를 형성하는 흡인구와, 상기 포장재에 형성된 이완부를 절개하는 커터를 구비하는 절개 유니트,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절개 유니트에 의해 포장재가 절개된 포장체가 놓여지는 1쌍의 제거 롤러를 가지고, 절개된 포장재를 1쌍의 제거 롤러 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포장체로부터 포장재를 제거하는 제거 유니트, 및 상기 제거 유니트와 상기 공급 유니트 사이에 상기 제거 롤러로부터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제거 유니트에 의해 포장재가 제거된 피포장재가 그 상면에 따라서 전동(轉動)하는 전동판(轉動板, transfer board)과, 전동판에 형성된 개구부를 삽입 통과하여 제거 롤러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고, 전동판 상측으로 돌출하여 공급 유니트 방향으로의 피포장재 전동을 저지하여 전동판 아래쪽으로 말려 들어 공급 유니트 방향으로의 피포장재 전동을 허용하도록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셔터판과, 상기 셔터판을 전동판에 대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전동판의 양측부에 세워 설치되어 상기 전동판 위를 전동하는 피포장재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측판을 갖는 낙하 이송 유니트(dropping unit)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거 유니트가 구비하고 있는 1쌍의 제거 롤러의 외주부에 롤러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 열의 홈부를 각각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이 홈부를 롤러의 축 방향으로 단속적(斷續的)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거 롤러와 평행한 면내에서 하단부가 요동하도록 장착되는 동시에, 제거 롤러 위에 놓여진 포장체의 끝면이 이 하단부에 접촉되는 누름판과, 누름판을 그 하단부가 포장체의 선단부에 눌려 접촉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가진 엔드스 토퍼를 상기 제거 유니트가 구비하고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낙하 이송 유니트의 상기 구동 부재가 상기 셔터판의 적어도 1쌍의 판재를 각각 서로 교대로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낙하 이송 유니트의 적어도 한쪽의 측판에 이 측판을 전동판에 대하여 포장체의 전동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작동 부재가 접속되고, 양 측판 사이의 간격이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장재 제거장치는 포장재 절개 유니트로 반송되어 온 포장체를 흡인구에 의해 흡입하여 포장재에 이완부를 형성한 후, 이 이완부를 커터로 절개한다.
포장재가 절개된 포장체가 제거 유니트의 제거 롤러 위에 놓여지면, 절개된 포장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거 롤러의 사이에 끼어 들어가 피포장재로부터 벗겨짐으로써 제거된다.
이 포장재가 제거된 피포장재는 제거 롤러 위로부터 낙하 이송 유니트의 전동판 위로 이동하여 놓여지고(移載), 이 놓여진 피포장재는 측판에 의해 그 양단부가 지지되는 동시에, 전동판의 상측에 돌출한 셔터판에 의해 공급 유니트 방향으로의 전동을 저지 당한다. 그리고, 구동부재에 의해 셔터판이 전동판 하측으로 말려 들어가면, 피포장재가 측판에 의해 그 양단부가 지지되면서 전동판 위를 전동하여 공급 유니트에 보내져서, 다음의 공정에 공급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거 롤러에 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제거 롤러와 포장재와의 사이에 미끄러짐의 발생이 적어지고, 또 홈부를 단속적으로 형성함으로써 홈부 내로 포장재가 끼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거 롤러 위에 놓여지는 포장재가 제거된 피포장재의 끝부가 엔드스토퍼의 누름판에 눌리어 지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셔터판의 적어도 1쌍의 판재가 각각 서로 교대로 상하로 움직이므로, 포장재가 제거된 포장체가 단계적으로 낙하 이송 유니트의 전동판 위를 전동하여 공급 유니트 방향으로 이동해 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낙하 이송 유니트의 양 측판 사이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음으로써, 포장체의 폭에 대응하여 포장재가 제거된 포장체의 양단부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캔 충전 공정에 설치되는 캔 뚜껑 포장체의 포장재 제거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제1도는 작업 대상물인 캔 뚜껑의 포장체(1)를 나타내고 있으며, 원반형의 캔 뚜껑(2)을 원주형으로 소정 매수 적층하여, 그 외면을 시트(sheet)형 포장재(3)로 피복한다.
본 명세서 중, 이하의 설명에서, 캔 뚜껑(2)이라고 하는 것은 적층된 집합체로서의 캔 뚜껑과, 1매 각각의 단일체로서의 캔 뚜껑 양쪽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제2도는 포장체(1)에서 포장재(3)를 제거하여 시머(도시하지 않음)로 공급하기 위한 포장재 제거장치의 측면도이며, 제3도는 그 평면도이다.
제2도 및 제3도에서, 포장재 제거장치는 도면 좌측에서부터 포장체(1)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유니트(A), 포장재(3) 일부를 절개하기 위한 포장재 절개 유니트(B), 포장체(1)로부터 포장재(3)를 제거하기 위한 포장재제거 유니트(C)를 구비하며, 또한 이 포장재 제거 유니트(C)의 옆쪽에 배치되어 포장재(3)가 제거된 캔 뚜껑(2)을 포장재 제거 유니트(7)로부터 이동시키기 위한 낙하 이송 유니트(D)와, 포장재 제거 유니트(C)를 사이에 두고 낙하 이송 유니트(D)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포장재(3)가 양호하게 제거되지 않은 포장체(1)를 배제하기 위한 배출부(E)와, 포장재(3)가 제거된 캔 뚜껑(2)을 시머로 반송하는 반출부(discharge)(공급 유니트)(F)를 구비하고 있다.
포장체(1)는 이송 유니트(A)측에서부터 포장재 절개 유니트(B), 포장재 제거 유니트(C), 낙하 이송 유니트(D), 반출부(F)로 순차 반송되어 가고, 포장재(3)가 양호하게 제거되지 않은 제거불량의 포장체(1)는 포장재제거 유니트(C)로부터 배출부(E)로 배출된다.
이송 유니트(A)는 포장재 절개 유니트(B)를 경유하여 포장재 제거 유니트(C)까지 포장체(1)를 이송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송 유니트(A)는 제4도, 제5도 및 제6도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평행한 1쌍의 가이드판(10a)과 스토퍼기구(10b)를 구비하는 공급부(10), 1쌍의 스프로킷(sprocket, 11a) 사이에 감긴 엔드리스타이밍벨트(endless timing belt, l1b)를 구비하는 대기부(待機部)(11), 이 대기부(11)의 측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실린더(12a)에 의해 요동하는 요동암(12b)을 가진 전이부(轉移部, transferring section part)(12), 및 앤드리스타이밍벨트(11b)의 측부에 벨트(11b)와 평행하게 배치된 1쌍의 가이드부(13a)와 레일(13b)을 따라서 이 가이드부(13a) 사이를 전/후진하는 푸셔(pusher, 13c)를 구비하는 이송부(13)로 구성되어 있다.
포장재 절개 유니트(B)는 이송 유니트(A)로부터 이송되어 온 포장체(1)의 포장재(3)를 절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포장재 절개 유니트(B)는 제7도 및 제8도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3a)의 하류측 상부에 위치되어 흡인 덕트(suction duct,14)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흡인원에 접속된 흡인구(15)와, 이 흡인구(15)내에 배치되어 모터(16)로 회전되는 커터(17)와, 이들 흡인구(15), 모터(16) 및 커터(17)를 지지하는 동시에 이들의 높이를 조절하는 지지체(18)를 구비하고 있다.
포장재 제거 유니트(C)는 포장재 절개 유니트(B)에서 절개된 포장재(3)를 포장체(1)로부터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포장재 제거 유니트(C)는 제9도, 제10도, 제11도 및 제12도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3a)에 대해 직렬로 배치되어 서로 역방향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평행한 1쌍의 제거 롤러(19a),(19b)와, 이들 제거롤러(19a),(19b)의 상부에 가로로 걸쳐져 있는 샤프트(20)와, 이 샤프트(2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샤프트(20)를 축 주위로 회전시키는 실린더(21)와, 샤프트(20) 양단에 아래로 늘어뜨려져 샤프트(20)의 선회(回動)에 따라서 요동되는 1쌍의 요동판(swinging plate, 22)과, 이 1쌍의 요동판(22) 사이를 건너지르는 평행한 1쌍의 바(23)와, 샤프트(2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가동 슬리브(movable sleeve, 24)에 실린더(25)의 동작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도록 장착된 누름 롤러(26),(26)와, 샤프트(2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브래킷(bracket, 27)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실린더(28)에 의해 샤프트(20)와 직교하는 평면 내를 회전 이동(回動)하는 셔터(29)와, 제거 롤러(19a),(19b)의 하류측 위치에 배치된 엔드스토퍼(end stopper, 30)와, 제거 롤러(19a),(19b)의 하부에 설치된 제거 슈트(40)와, 이 제거 슈트(40)에 장착되어 포장재(3)의 낙하를 검출하는 센서(S)를 구비하고 있다.
엔드스토퍼(30)는 제13도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가 포장재 제거 유니트(C)의 프레임(Cl)에 고정되어 힌지(30a)에 의해 제거 롤러(19a),(19b)와 평행한 평면 내에서 요동 가능한 누름판(30b)과, 이 누름판(30b)과 프레임(C1) 사이에 장착되어 누름판(30b)을 제거 롤러(19a),(19b)의 상류 방향으로 향하여 힘을 가하는 스프링(30c)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누름판(30b)의 하단부가 제거 롤러(19a),(19b) 위에 있는 포장체(1)의 끝면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제거 롤러(19a),(19b)의 외주면에는,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 방향으로 뻗는 홈(19′a),(19′b)이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복수 열 형성되어 있다. 이 홈(19′a),(19′b)은 제15도에서 잘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롤러(19a),(19b)의 축 방향으로 연속되지 않고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낙하 이송 유니트(D)는 포장재(3)가 제거된 캔 뚜껑(2)을 포장재 제거 유니트(C)에서부터 반출부(F)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낙하 이송 유니트(D)는 제16도 및 제17도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제거 롤러(19a),(19b)의 측부로부터 이 제거 롤러(19a),(19b)의 측방하부에 배치된 반출부(시머까지 캔 뚜껑(2)을 반출하는 기구)(F)까지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전동판(轉動板)(31)과, 이 전동판(31) 양측부에 포장체(1)의 축 방향 길이보다 약간 큰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된 측판(32a),(32a′),(32b),(32b′)과, 전동판(31)에 형성된 개구홈(31a),(31b)을 하측에서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는 서로 평행한 1쌍의 셔터판(33a),(33b)과, 전동판(31)의 하부에 설치되어 각각 셔터판(33a),(33b)에 연결된 1쌍의 실린더(34a),(34b)와, 셔터판(33a),(33b)의 상하 움직임을 각각 안내하는 2쌍의 가이드 샤프트(35a),(35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개구홈(31a),(31b)은 각각 제거 롤러(19a),(19b)의 축 방향과 평행하게, 그리고 바로 앞쪽의 제거 롤러(19a)와 개구홈(31a)간의 간격 및 개구홈(31a)과 개구홈(31b)간의 간격이 캔 뚜껑(2)의 직경보다 약간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셔터판(33a),(33b)은 각각 제거 롤러(19a),(19b)와 평행하게 그리고 서로 상기와 같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 하측의 개구홈(31b)은 될 수 있는 한 반출부(F)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셔터판(33a),(33b)의 하부에는 각각 전동판(31) 아래쪽에 위치하고, 서로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부(33a′),(33b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플랜지부(33a′) 및 플랜지부(33b′)는 제16도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그 에지부가 요철(凹凸)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이 요철이 서로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34a),(34b)는 제17도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33a′),(33b′)의 하부에 셔터판(33a),(33b)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병렬로 배치되며, 각각의 피스톤 샤프트가 플랜지부(33a′),(33b′)의 볼록부(凸部)에 연결되어 있다. 또, 가이드 샤프트(35a),(35b)도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34a),(34b)와 같은 병렬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쌍마다 플랜지부(33a′),(33b′)의 볼록부에 연결되어 있고, 셔터판(33a),(33b)의 슬라이딩 방향이 전동판(31)에 대해 직각 방향이 되도록 되어 있다.
측판(32a),(32a′)은 전동판(31)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실린더(32c),(32c′) 동작에 의해 포장체(1)의 축 방향 길이에 대응하여 측판(32b),(32b′)과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배출부(E)는 공정에서 배제되는 포장재(3)가 양호하게 제거되지 않은 포장재 제거 불량의 포장체(1)를 회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배출부(E)는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재 제거 유리트(C)의 낙하 이송 유니트(D)와의 반대쪽 측부에 배치되고, 개구부가 제거 롤러(19a)근처에 위치하는 배출 슈트(removal shoot, 42)를 구비하고 있다.
반출부(F)는 낙하 이송 유니트(D)에 의해 이동되어 온 캔 뚜껑(2)을 시머까지 반송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반출부(F)는 제거 롤러(19a),(19b)에 평행하게 배치된 엔드리스벨트(50)와 캔 뚜껑(2)의 후단부를 반송 방향으로 미는 실린더(51)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 이 포장재 제거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반송 컨베이어(conveyor)에서 이송 유니트(A)의 공급부(10)로 반송되어 온 포장체(1)는 가이드판(10a) 내측을 따라 스토퍼기구(10b)까지 진행하고, 스토퍼기구(10b)는 대기부(11)에 앞서 이동하는(先行)포장체(1)가 대기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 포장체(1)를 그대로 대기부(11)까지 진행시키고, 이 대기부(11)에 포장체(1)가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는 포장체(1)의 진행을 저지한다.
스토퍼기구(10b)를 통과한 포장체(1)는 대기부(11)에서 엔드리스타이밍벨트(11b)에 놓여져 스프로킷(11a)의 회전에 따라서 대기위치까지 반송된다. 이 대기위치에 있는 포장체(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포장재 절개 유니트(B)에서 앞서 이동하는 포장체(1)의 절개가 종료되면, 전이부(12)의 실린더(12a)가 구동하여 요동암(12b)이 요동하므로, 대기부(11)에서부터 이송부(13)의 가이드부(13a) 위로 이동하여 위치한다(移載).
이송부(13)로 이동하여 놓여진 포장체(1)는 레일(13b) 위를 전진하는 푸셔(13c)에 의해 밀리어 가이드부(13a) 위를 포장재 절개 유니트(B)까지 이송된다.
포장재 절개 유니트(B)에서, 흡인구(15) 아래쪽을 포장체(1)가 통과할 때, 제8도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인 덕트(14)에 의한 흡인에 의해 포장체(1)의 포장재(3)가 위쪽으로 흡인되어 캔 뚜껑(2)과의 사이에 이완부(3a)가 형성되고, 이 이완부(3a)는 커터(17)에 의해 포장체(1)가 이동함에 따라 절개된다. 그리고, 흡인 덕트(14), 흡인구(15) 및 커터(17)는 지지체(18)에 의한 높이 조절에 의해 포장체(1) 크기에 따라서 그 높이가 조절된다.
포장재 절개유니트(B)에서 포장체(1)의 절개가 끝난 포장체(1)는 또한 가이드부(13a) 위에서부터 포장재 제거 유니트(C)의 제거 롤러(19a),(19b) 위로 이송된다.
포장재 제거 유니트(C)에서, 이송되어 온 포장체(1)는 1쌍의 바(23)사이로 진입하여 제거 롤러(19a),(19b) 위를 엔드스토퍼(30)와 부딪힐 때까지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 때, 셔터(29)는 실린더(28)의 동작에 의해 위쪽방향으로 회전 이동(제12도에서 사선으로 도시한 상태)하여 포장체(1)를 통과시키고, 포장체(1)가 통과하면 역방향으로 회전 이동하여 포장체(1)의 후단부를 지지한다. 이 셔터(29)의 위치는 샤프트(20)에 따라서 브래킷(27)을 슬라이딩시켜 포장체(1) 축 방향 길이에 대응하게 설정된다.
엔드스토퍼(30)에 의해 포장체(1)가 위치 결정되면, 롤러(26)는 실린더(25)에 의해 하강하여 포장체(1)를 누른다. 이 때, 롤러(26)는 샤프트(20)에 따라서 가동 슬리브(24)를 슬라이딩시켜, 포장체(1) 바로 위에 위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거 롤러(19a),(19b)가 서로 내측 방향(제12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부가 절개된 포장재(3)가 제거 롤러(19a),(19b) 사이로 말려 들어가 캔 뚜껑(2)에서 벗겨져, 제거 슈트(40)내로 떨어진다. 이 때, 제거 롤러(19a),(19b)가 하류측으로 약간 경사져있음으로, 포장재(3)가 벗겨져 나간 캔 뚜껑(2)은 선단부는 엔드스토퍼(30)에 의해 눌리고, 후단부는 셔터(29)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흩어지지 않는다.
이 포장재(3)를 벗겨낼 때, 제거 롤러(19a),(19b) 외주면에 각각 홈(19′a),(19′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포장재(3)와의 사이에 미끄러짐(slip)이 적어져, 포장재(3)가 양호하게 제거되지 않은 포장재 제거불량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 홈(19′a),(19′b)은 제거 롤러(19a),(19b)의 축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포장재(3)가 홈(19′ a),(19′ b)내로 끼어 들어갈 염려도 없다.
포장재(3)가 제거되지 않아 센서(S)에 의해 제거 슈트(40)내로 포장재(3)가 떨어지는 것이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 실린더(21)의 동작에 의해 샤프트(20)가 제12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요동판(22) 및 바(23)가 배출부(E) 방향으로 이동되어, 배출 롤러(19a),(19b) 위에서 배출 슈트(42)로 포장체(1)를 배출한다.
포장재(3)가 제거되어 센서(S)에 의해 제거 슈트(40)내로 포장재(3)가 떨어진 것이 검지될 경우에, 실린더(21′)의 동작에 의해 샤프트(20)가 제12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된다. 이로써, 요동판(22) 및 바(23)가 낙하 이송 유니트(D)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어, 포장체(1)를 제거 롤러(19a),(19b) 위로부터 전동판(31) 위로 이동하여 위치시킨다.
낙하 이송 유니트(D)에서, 제거 롤러(19a),(19b) 위로부터 전동된 캔 뚜껑(2)은 측판(32a),(32b) 사이로 굴러 떨어지고, 상승위치에 있는 셔터판(33a)에 의해 정지된다. 이 때, 겹쳐진 캔 뚜껑(2)은 그 양단이 측판(32a),(32b)에 의해 밀착되므로 흩어지지 않는다.
다음에, 측판(32a′),(32b′) 사이에 캔 뚜껑(2)이 없어지면, 실린더(34a)가 작동하여 셔터판(33a)이 하강항으로써, 측판(32a),(32b) 사이의 캔 뚜껑(2)은 전동판(31) 위를 굴러 측판(32a′),(32b′) 사이로 이동하고, 상승위치에 있는 셔터판(33b)에 의해 정지된다. 이 때에도, 겹쳐진 캔 뚜껑(2)은 그 양단이 측판(32a′),(32b′)에 의해 밀착되므로 흩어지지 않는다. 이후, 셔터판(33a)은 이 후 실린더(34a)의 작동에 의해 상승되어 대기한다.
반출부(F)에 앞서 이동한 캔 뚜껑(2)이 없어지면, 실린더(34b)가 동작하여 셔터판(33b)이 하강함으로써, 측판(32a′ ),(32b′ ) 사이의 캔 뚜껑 (2)은 전동판(31) 위를 굴러 반출부(F)로 이동한다. 이 후, 셔터판(33b)은 실린더(34b)의 동작에 의해 상승되어 대기한다.
이 때, 이송 유리트(A), 포장재 절개 유니트(B), 포장재 제거 유니트(C)에서, 전술한 것과 같은 공정이 순차로 행해지며, 측판(32a),(32b) 사이에는 후속의 캔 뚜껑(2)이 대기하고 있다.
반출부(F)로 이동된 캔 뚜껑(2)은 엔드리스벨트(50) 위에 놓여져, 이동된 캔 뚜껑(2)의 선단부가 앞서 이동한 캔 뚜껑(2)의 후단부에 맞닿고 이동된 캔 뚜껑(2)의 후단부가 실린더(51)에 의해 눌리어 흩어지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엔드리스벨트(50)의 동작에 의해, 앞서 이동한 캔 뚜껑(2)에서 부터 시머로 순차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재가 제거된 피포장재는 그 양단부가 측판에 지지되면서 전동판 위를 전동하므로 그 상하 움직임이 적고, 또한 셔터판의 작동에 의해 단계적으로 공급 유니트에 보내지므로, 포장재의 제거 후에도 피포장재가 허물어질 염려가 없고, 원활한 자재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22)

  1. 시트형의 포장재로 피포장 재료를 피복한 포장체로부터 포장재를 제거하여, 공급 유니트에 의해 피포장재를 다음 공정으로 공급하는 포장재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를 흡인하여 상기 포장재와 피포장재 사이에 간극을 갖는 이완부를 형성하는 흡인구와, 상기 포장재에 형성된 이완부를 절개하는 커터를 구비하는 절개 유니트,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절개 유니트에 의해 포장재가 절개된 포장체가 놓여지는 1쌍의 제거 롤러를 가지고, 절개된 포장재를 1쌍의 제거 롤러 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포장체로부터 포장재를 제거하는 제거 유니트, 및 상기 제거 유니트와 상기 공급 유니트 사이에 상기 제거 롤러로부터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제거 유니트에 의해 포장재가 제거된 피포장재가 그 상면에 따라서 전동(轉動)하는 전동판(轉動板)과, 전동판에 형성된 개구부를 삽입 통과하여 제거 롤러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고, 전동판 상측으로 돌출하여 공급 유니트 방향으로의 피포장재 전동을 저지하여 전동판 아래쪽으로 말려 들어 공급 유니트 방향으로의 피포장재 전동을 허용하도록 상하고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셔터판과, 상기 셔터판을 전동판에 대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구동 부재와, 상기 전동판의 양측부에 세워 설치되어 상기 전동판 위를 전동하는 피포장재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측판을 갖는 낙하 이송 유니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유니트를 경유하여 상기 제거 유니트까지 연장하는 가이드부를 가지고,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서 절개 유니트를 경유하여 제거 유니트까지 상기 포장체를 이송하는 이송 유니트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니트가 이송경로로 상기 포장체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포장체를 밀음으로써 레일을 따라서 상기 절개 유니트 및 상기 제거 유니트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푸셔를 가진 이송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니트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포장체를 일단 대기(待機)시킨 후, 상기 이송부로 이송하는 대기부(待機部)를 추가고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부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포장체를 위치시키는 엔드리스타이밍벨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제거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대기부에 포장체가 대기하고 있을 때 포장체의 공급을 중지하고, 대기부에 포장체가 대기하고 있지 않을 때 대기부로의 포장체 공급을 허용하는 스토퍼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제거장치.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니트는 상기 대기부에 대기하고 송부에 전이(轉移)시키는 전이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제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유니트의 상기 흡인구가 흡인 덕트를 통해 흡인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제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절개 유니트의 상기 커터가 상기 흡인구내에 배치되고, 상기 흡인구 내에 배치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제거장치.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 커터 및 모터가 높이 조절 가능한 지지체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제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유니트의 상기 1쌍의 제거 롤러 외주부에 롤러의 축 방향 연장하는 복수 열의 홈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제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가 제거 롤러의 축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제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롤러와 평행한 면내에서 하단부가 요동하도록 장착되는 동시에, 제거 롤러 위에 놓여진 포장체의 끝면이 상기 하단부와 접촉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을 상기 하단부가 포장체의 선단부에 눌려 접촉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갖는 엔드스토퍼를 상기 제거 유니트가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제거장치.
  14. 제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롤러의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면내에서 요동하도록 설치되어, 포장체의 이송경로를 개폐하는 동시에, 상기 포장체의 이송경로를 닫았을 때, 제거 롤러 위에 놓여져 엔드스토퍼에 선단부가 접촉되는 포장체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셔터를 상기 제거 유니트가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제거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롤러 위에 놓여진 포장체의 양 측부에서, 제거 롤러와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거 롤러의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면내에서 요동 가능하고, 요동되었을 때 제거 롤러 위에 놓여진 포장체의 측부에 접촉하여, 포장체를 제거 롤러의 측부로 전동시키는 1쌍의 바를 상기 제거 유니트가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제거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유니트가 상기 제거 롤러의 하부에 배치되고, 포장체로부터 제거된 포장재가 떨어지는 제거 슈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제거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롤러의 상기 낙하 이송 유니트와의 반대쪽 측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포장재가 제거되지 않은 제거불량의 포장체를 회수하기 위한 배출 슈트를 가진 배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제거장치.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슈트에 포장재의 떨어짐을 검출하는 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센서가 제거 슈트에 포장재가 떨어진 것을 검지하면, 상기 바는 상기 낙하 이송 유니트측으로 회전 이동(回動)되고, 상기 제거 슈트에 포장재가 떨어진 것을 검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바는 상기 배출부측으로 회전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제거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유니트가 상기 제거 롤러의 위쪽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고, 하강함으로써 제거 롤러 위에 놓여진 포장체의 상부를 누르는 누름 롤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제거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판이 포장체의 폭 이상의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병렬로 설치된 적어도 1쌍의 판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제거장치.
  21. 제1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이송 유니트의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셔터판의 적어도 1쌍의 판재를 각각 서로 교대로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제거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이송 유니트의 적어도 한쪽 측판에 상기 측판을 전동판에 대하여 포장체의 전동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작동부재가 접속되고, 양 측판 사이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제거장치.
KR1019940007885A 1993-06-21 1994-04-15 포장재제거장치 KR100303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149253A JP2802473B2 (ja) 1993-06-21 1993-06-21 包装材除去装置
JP93-149,253 1993-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538A KR950000538A (ko) 1995-01-03
KR100303691B1 true KR100303691B1 (ko) 2001-11-30

Family

ID=1547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7885A KR100303691B1 (ko) 1993-06-21 1994-04-15 포장재제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13346A (ko)
JP (1) JP2802473B2 (ko)
KR (1) KR100303691B1 (ko)
NL (1) NL194753C (ko)
TW (1) TW2426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09575C2 (nl) * 1998-03-30 1999-10-01 Scheuter Machinery B V Uitpakinrichting.
DE19922902A1 (de) 1999-05-19 2000-11-30 Gpc Ag Genome Pharmaceutical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Öffnen von mit einer Siegelfolie verschlossenen Behältern
NL1028794C2 (nl) * 2005-04-18 2006-10-20 Celema B V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openen van een kunststoffen verpakking van een stapel blikdeksels.
ITBO20070673A1 (it) * 2007-10-03 2009-04-04 Corima Internat Machinery S R Macchina per la recisione dell'involucro cartaceo di avvolgimento di prodotti, in particolare di pile di coperchi
ITPR20080024A1 (it) * 2008-04-18 2009-10-19 Clevertech Srl Apparato e procedimento per rimuovere un film di un imballaggio per oggetti
JP5213603B2 (ja) * 2008-09-16 2013-06-19 麒麟麦酒株式会社 包装材切開除去装置
DE102014003652A1 (de) * 2014-03-13 2015-09-17 Giesecke & Devrien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Öffnen eines Behälters
ITUB20152283A1 (it) * 2015-07-17 2017-01-17 Corima Int Machinery S R L Macchina per immagazzinare e trasferire confezioni di coperchi da almeno due rispettivi magazzini
JP7133224B2 (ja) * 2019-12-18 2022-09-08 匠技研株式会社 食品原木のケーシング除去方法および原木ピーラーマシン
KR102119679B1 (ko) * 2020-02-19 2020-06-08 씨제이제일제당(주) 물품으로부터 포장 필름을 제거하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0014A (en) * 1959-12-08 1963-03-05 Beloit Iron Works Suppression of objectionable noise in rotating machinery
JPS5485894A (en) * 1977-12-17 1979-07-07 Toyo Seikan Kaisha Ltd Packing materials cutting depriving treating method of cylindrical package and its machine
US4390313A (en) * 1980-03-27 1983-06-28 Hoehn John Walter Method and apparatus for depacking articles
JPS6013900A (ja) * 1983-07-05 1985-01-24 山陰酸素工業株式会社 皮革の造形方法
JPS6099837A (ja) * 1983-11-01 1985-06-03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缶蓋包装袋の自動切断開封装置
DE3443362A1 (de) * 1984-11-28 1986-05-28 Kodak Ag, 7000 Stuttgart Kopiergeraet
DE3902454C2 (de) * 1988-01-29 1995-06-29 Kirin Brewery Vorrichtung zum Auftrennen und Entfernen einer Verpackungsmaterialhülle
JPH0446813A (ja) * 1990-06-11 1992-02-17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JPH0480100A (ja) * 1990-07-24 1992-03-13 Mimaki Eng:Kk プロッタ
JPH0451143U (ko) * 1990-09-08 1992-04-30
JP2529626B2 (ja) * 1991-07-30 1996-08-28 麒麟麦酒株式会社 包装材切開除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538A (ko) 1995-01-03
NL194753C (nl) 2003-02-04
US5613346A (en) 1997-03-25
JPH0710140A (ja) 1995-01-13
NL194753B (nl) 2002-10-01
TW242609B (ko) 1995-03-11
NL9400897A (nl) 1995-01-16
JP2802473B2 (ja) 1998-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7436B2 (ja) 多数個パックの包装装置
US8151971B2 (en) Device for forming a continuous flow of oriented products
KR100303691B1 (ko) 포장재제거장치
JP2529626B2 (ja) 包装材切開除去装置
JP2529721Y2 (ja) 包装機械
JP2530208Y2 (ja) シート状ブランクを容器へ充填する装置
JP2001310816A (ja) 物品の位置決め方法及びその装置
US6544158B2 (en) High speed feeding apparatus for clamshell die cutter
JP3236948B2 (ja) 折畳みカートンの取出し開口方法および装置
JP2001002033A (ja) 連続した個装袋の分配装置
JP2006213459A (ja) シート状物品の取り出し装置
US6039169A (en) Multilevel storage device for containers, in particular CD cases
US4995225A (en) Compact food tray film wrapping machine
JP2008150142A (ja) 給紙装置
JP2008156075A (ja) 給紙装置
US4029197A (en) Apparatus for handling cigarettes or other rod-like articles
JPH0629063B2 (ja) 果実のパック詰め装置
JP2004189423A (ja) 集積搬送装置
JPH082090Y2 (ja) 包装材切開除去装置
JPS6013933B2 (ja) 板状物体送り出し装置
JPS6175752A (ja) シ−ト状物の供給装置
JP4219059B2 (ja) 物品移送装置
JPS5856694B2 (ja) 板状物体送り出し装置
JP2004059338A (ja) 折割装置
JP3262023B2 (ja) カートン取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