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9267B1 - 연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연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267B1
KR100299267B1 KR1019970011638A KR19970011638A KR100299267B1 KR 100299267 B1 KR100299267 B1 KR 100299267B1 KR 1019970011638 A KR1019970011638 A KR 1019970011638A KR 19970011638 A KR19970011638 A KR 19970011638A KR 100299267 B1 KR100299267 B1 KR 100299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sub tank
filte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1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9490A (ko
Inventor
기요시 나가타
마사시 미야모토
고지 이즈타니
Original Assignee
오카메 히로무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78799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6220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78800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640001B2/ja
Application filed by 오카메 히로무,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오카메 히로무
Publication of KR970069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9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6Filters with built-in pumps filters provided with a pump mounted in or on the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F02M37/106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the pump being installed in a sub-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44Filte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50Filters arranged in or on 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50Means for dissipating electrostatic char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187Plural tanks or compartments connected for serial flow
    • Y10T137/86196Separable with valved-connecting p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연료탱크내의 연료펌프의 입구측에 연료펌프가 시동가능한 연료량을 장기간 확보하기 위하여, 연료탱크내에 매달리게 하는 서브탱크내에 서브탱크내의 연료를 흡상하는 연료펌프가 설치된다. 연료펌프의 흡입구측에 상방으로 일어서도록 형성되는 연료액면 유지부재는 이 일어서는 용적부분에 연료가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연료탱크내의 연료펌프로서 흡상하는 연료량을 확보하는 구조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연료공급장치{FUEL SUPPLY SYSTEM HAVING A SUCTION FILTER IN A SUB-TANK}
본 발명은 연료를 흡상시키는 연료펌프를 연료탱크내에 구비한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탑재된 연료탱크의 서브탱크내에 연료를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미국 특허 제4,878,518, 4,750,522, 4,971,017, 5,070,849호의 각 특허공보가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공보에는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펌프와 서브탱크를 일체화하고, 일체화한 연료펌프의 연료탱크로의 탑재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 서브탱크의 저부에 연료탱크내의 서브탱크의 내외를 연통하는 밸브를 구비하고, 이 밸브는 미소압력에 의하여 개방가능하다. 차량조립 완료시에 연료탱크내에 소량의 연료가 있으면, 이 소량의 연료중의 일부의 연료가 상기 밸브를 통하여 서브탱크내에 유입하여, 이 서브탱크내의 연료를 연료펌프가 흡상(pumping)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3주간∼4주간의 장기간 차량을 주차했을 때, 그 동안에 서브탱크내의 연료가 상기 밸브에서 서브탱크외에 누출하고, 그 후의 시동시 서브탱크내의 연료가 적기 때문에 엔진을 시동할 수 없을 때가 있다.
일본국 특개평7-63133호 공보에는 연료탱크내의 서브탱크에 다이어 프레임밸브를 구비하고, 연료저류통 연료를 장기간 확보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연료저류통을 만드는 구성에 의하면, 다이어 프레임밸브를 비치하므로 가격이 오르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연료탱크내의 연료펌프에 의하여 흡상시키는 연료를 저장하는 장치가 복잡하여 고가이다.
또 일본국 특개평7-180632호 공보에는 연료탱크내에 메시필터를 구비하고, 연료탱크내에 되돌아오는 복귀연료에서 기액분리된 베이퍼를 필터본체의 내부의 상부에 형성된 복귀연료실에 모우고, 복귀연료실의 압력이 소정압 이상이되면 일방향 밸브를 개방하여 복귀연료실에서 탱크본체 내부의 상부공간에 증기를 배출하고, 복귀연료중의 연료액만을 연료펌프에 흡입하여 엔진쪽에 공급하도록 한다. 이 연료공급장치에 의하여 연료펌프로서 흡상한 연료중의 증기를 제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연료펌프를 흡상하는 펌프입구측에 연료를 장기간 확보하는 기능은 구비하지않고 있다.
특히 연료가 연료탱크내에 거의 다 사용된 상태에서 차량을 언덕길에 주차하면 밸브의 밀봉성이 나쁘면 서브탱크내에 연료가 모이지 않고, 서브탱크 내부에서 연료가 새어서 연료탱크의 모서리에 괴여서, 필터에 연료가 잠기지 않기 때문에 시동시에 엔진이 걸리지 않는 일이 있다.
가령 엔진시동에 필요한 연료량이 서브탱크내에 남아있었다고 해도, 연료량이 적으면 엔진이 시동된 후에 바로 엔진스톱을 일으키든지 주행개시후에 언덕길에서 빠져나오기 전에 서브탱크내의 연료를 완전소진하여 그곳에서 차가 스톱하는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불합리성에 대하여 발명자 등은 이것을 회피할려면 엔진이 걸린후 다시 언덕길에서 평탄한 길까지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연료량을 서브탱크에 확보하고, 경사면 주차시에 연료탱크의 모서리에 괴인 연료를 평탄로의 주행시에 서브탱크 내부에 되돌아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생각했다.
문제는 이와 같은 큰용기의 연료량을 어떻게 확보할 것이냐고 하는 것이다. 서브탱크 내부에 다시 칸막이로 방을 설치하여, 이 방에서 연료를 흡상하도록 서브탱크외와 서브탱크내를 연통하는 연통구멍과의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격벽의 높이는 공장출하 직후에 연료를 주입하는 초기주입량의 높이 보다 높게 하면, 연료가 그 방안에 자연적으로 유입하지 않아서, 연료를 흡상할수가 없으므로 엔진을 시동할 수가 없다. 즉, 필연적으로 격벽의 높이는 낮은 것으로 되지 않으면, 않되나 상기 불합리점에 대한 효과적인 대책으로서는 될 수 없다.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탱크내의 연료펌프의 흡입구측에 연료펌프가 시동가능한 연료를 항상 확보하는 연료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이 경사지게 되어도 연료펌프의 흡입구측에 연료펌프 시동가능한 연료량을 항상 확보하는 연료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를 비축하는 연료탱크와, 연료탱크내의 연료를 흡상하기 위하여 연료탱크내에 구비하는 연료펌프와, 연료펌프를 덥도록 설치되고 하부에서 내부에 연료를 집어넣는 연료취입구를 지닌 서브탱크와, 서브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펌프필터와, 서브탱크를 연료탱크에 고정하는 플랜지를 구비한다. 그리고, 연료펌프의 흡입구측에 상방으로 일어서도록 연료액면 유지수단이 형성되어서, 이 일어서는 부분의 용적부분에 연료가 비축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간단한 구성으로서 연료탱크내의 연료펌프의 시동에 필요한 연료량을 대용량 확보할 수가있다. 이 연료공급장치에 의하면, 연료탱크내의 연료펌프의 입구측의 연료를 흡상 가능한 높이의 연료액면 위치에 연료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는 서브탱크의 저부의 연료취입구에서 서브탱크의 내부에 연통하는 통로가 통로벽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연료탱크가 경사져도 통로벽에 칸막이되는 내부에 연료를 확보할 수가 있다.
바람직하기는 플랜지가 연료탱크측에 배출하는 복귀파이프를 가지며, 서브탱크 뚜껑체가 복귀파이프에 끼워맞추는 슬라이딩일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서브탱크내의 밀성성이 향상한다.
바람직하기는 연료펌프의 복귀측에 제트펌프를 비치하고 있으므로, 연료펌프의 배출연료가 지니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연료탱크내의 연료를 서브탱크내에 흡상시킨다.
바람직하기는 플랜지의 스프링 받침부가 반연료 탱크축에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플랜지에 대하여 스프링이 어긋나기 어려움으로 플랜지에 서브탱크를 안정하게부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연료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연료공급유닛이 차량선회시 등에 경사진 경우의 연료액면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흡입필터의 기름막강도의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연료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연료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연료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서브탱크본체를 위에서 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연료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연료공급유닛이 차량선회시 등에 경사진 경우의 연료액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랜지 2 : 전기코네크터
3 : 공급파이프 4 : 상부탱크
6 : 필터하우징 9 : 서브탱크
11 : 연료공급유닛 12 : 서브탱크본체
28 : 스냅피트 네일(snap fit nail) 29 : 끼워맞춤 구멍
31 : 흡입필터 32 : 액면유지수단
33 : 필터 35 : 미로벽저부
36 : 연료취입구 37 : 미로벽
40 : 밸브 41 : 압축코일 스프링
43 : 슬롯부 44 : 슬라이딩시일
45 : 볼록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 1, 도 2 및 도 7에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연료공급유닛(11)은 도시생략한 연료탱크의 상부탱크(4)에서 연료탱크의 바닥으로 가압된다.
수지제의 플랜지(1)는 금속제의 상부탱크(4)의 개구부에 부착된다. 이 플랜지(1)는 수전용(受電用)의 전기커네터(2)와 엔진측에 연료를 공급하는 공급파이프(3)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1)의 연료탱크 내측에는 서브탱크(9)가 설치되어 있다.
서브탱크(9)는 서브탱크본체(12)와 이 서브탱크본체(12)의 상부개구를 뚜껑을 덮는 서브탱크 뚜껑체(13)로 된다. 서브탱크 뚜껑체(13)의 서브탱크 내측에는 필터하우징(6)을 설치하고 있다.
필터하우징(6)의 중앙측에 연료펌프(14)가 구비되어 있다. 연료펌프(14)의 흡입구(15)에는 브래킷(17)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브래킷(17)에서 L자형으로 흡입 파이프(18)가 뻗어있다. 연료펌프(14)의 배출구(16)는 그 둘레에 시일링(19)을 개재하여 필터하우징(6)에 연결되어 있다. 필터하우징(6)에는 연료펌프(14)의 외주부의 일부분에 반원통형상으로 필터소자(20)가 수용되어 있다. 필터소자(20)는 접착제(21)에 의하여 필터하우징(6)에 고정되어 있다. 서브탱크 뚜껑체(13)는 그 스냅피트 네일(snap fit nail)(28)이 서브탱크본체(12)의 끼워맞춤 구멍(22)에 탄성으로 끼워맞추어져 있다. 연료펌프(14)에서 연료필터소자(20)를 통과한 연료는 필터 하우징(6)의 분기부(23)에서 엔진공급측에 공급되는 공급로(24)와 서브탱크내에 되돌아오는 복귀로(25)로 나눈다. 복귀로(25)측에는 압력조절기(26)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압력조절기(26)의 출구측에 노즐(27)이 설치되어 있다. 서브탱크본체(12)는 그 스냅피트 네일(28)이 플랜지(1)의 끼워맞춤구멍(29)에 탄성으로 끼워맞추어져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연료공급유닛(11)에 있어서 다수의 요부(要部)에 대하여 순차설명한다.
(1) 흡입필터(suctiou filter)
흡입필터(31)는 연료펌프(14)의 흡입파이프(18)의 입구측에 용기가 수직상방으로 세워진 형상으로 연료액면유지수단(32)을 형성하고 있다. 이 연료액면유지수단(32)은 흡입파이프(18)의 입구측에 상방으로 세워지도록 구멍(그물눈)이 30∼50 μm정도의 기름막(油膜)형성 필터(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름막형성 필터(33)의 상부에는 체크밸브(3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름막형성 필터(33)의 저부(51)는 후술하는 미로벽통로 저부(35) 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다.
이 흡입필터(31)는 세워진 형상으로 되어 있고며, 이 부분에 100∼300cc 정도의 연료가 충만되는 상태를 만든다. 이로 인하여, 이 흡입필터(31)내에 충만되는연료가 흡입파이프(18)를 통하여 연료펌프(14)에 흡입가능하다. 구멍이 60㎛(도 3 A∼3C)인 평직과 구멍이 30㎛(도 3D∼3F)인 평직으로 된 필터의 재료에 대하여, 연료펌프(14)의 막강도실험이 수행되었다. 도 3A∼3F에 도시된 결과는 30㎛의 구멍을 가지는 연료필터가 보다 높은 기름막강도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용될 수 있는 흡입필터의 메시의 종류로서는 ①평직(구멍이 30㎛), ②능직(구멍이 30㎛), ③평직(구멍이 30㎛)+접은직(100㎛) ④능직(구멍이 30㎛)+접은직(100㎛)가 있다. 상기 ③,④는 2중메시로 함으로써, 구멍(그물눈)의 막힘으로 인해 수명이 저하되지 않고 또한 흡입필터(31)의 표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2) 미로구조(迷路構造)
서브탱크(9)의 저부에는 서브탱크(9)의 저부에 형성된 연료취입구(36)에서 서브탱크(9)내에 집어넣는 연료가 액면경사시 도망치지 못하도록 미로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 미로구조는 취입구(36), 슬롯부(43), 미로벽저부(35),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미로벽(37), 미로벽종단(38)으로서 된다. 이 미로구조에 의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공급유닛(11)이 경사졌을 때도 미로벽(37)의 내부의 연료를 연료펌프(14)의 흡입구(15)에서 흡입되도록 하고 있다.
(3) 슬라이딩시일(sliding seal)
플랜지(1)의 공급파이프(3)의 내측에 돌출하는 파이프(52)의 외주부에는 서브탱크 뚜껑체(13)에 부착되는 고리형상의 슬라이딩 시일부재(39)가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4) 제트펌프(jet pump)
제트펌프의 노즐(27)은 O링(42)을 통하여 서브탱크(9)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노즐(27)의 내경은 1.0∼3.6mm간에 설정되고, 제트펌프의 슬롯부(43)의 내경은 4∼13mm간에 설정되어 있다. 서브탱크(9)의 연료취입구(36)에 만들어진 밸브(40)는, 우산모양으로서 재질이 FKM 또는 플로오르 실리콘(fluorosilicone)으로서 된다.
서브탱크(9)의 저부에 형성되는 연료취입구(36)에는 밸브(40)가 설치되어 있으며, 노즐(27)의 분출공(30)에서 분출하는 복귀연료의 분출류(噴出流)에 의하여 발생하는 부압에 따라 서브탱크(9)의 외부로부터 연료취입구(36)를 통하여 서브탱크(9)의 내부에 연료를 흡입한다. 이로 인하여, 복귀연료의 분출류에 의하여 연료 탱크 내부에 설치한 서브탱크(9)의 외부로부터 내부에 연료를 흡입할 수가 있다. 따라서, 서브탱크(9)내에는 연료펌프(14)가 구동하고 있을 때, 연료펌프(14)가 흡입에 필요한 양의 연료가 항시 충만되게 된다.
(5) 스프링 받침부(spring receiving part)
플랜지(1)에 대하여 서브탱크 뚜껑체(13)는 압축코일 스프링(41)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서브탱크(9)가 항시 탱크저면에 가압되어서 무효잔량을 저감함과 동시에 연료탱크내의 서브탱크의 위치결정을 행하고 있다. 플랜지(1)에 대하여 서브탱크(9)의 덜컹거림을 방지하고 있다. 스프링 받침부의 철부(凸部)(45, 46)를 철형상(凸形狀)으로 한 것은 압축코일 스프링(41)의 축방향 길이를 길게 안정하게 부착하기 위함이다.
시일링(19)과 슬라이딩시일(44)은 FKM, H-NBR, 플로오로 실리콘 등을 사용한다. 서브탱크(9)는 카아본을 넣은 POM 또는 PO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1)의 하면에는 압축코일 스프링(41)의 일단을 유지하는 철부(45)가 설치되고, 서브탱크 뚜껑체(13)의 상면에는 압축코일 스프링(41)의 타단을 유지하는 철부(46)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이 연료공급유닛의 연료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료펌프(14)가 구동되면, 연료펌프(14)의 배출구(16)에서 배출되는 연료는 필터소자(20)를 통하여 분기부(分岐部)(23)에서 엔진측에 공급되는 연료와 압력조절기(26)를 통하여 연료탱크내에 복귀되는 연료로 분류된다.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는 공급로(24)에서 공급파이프(3)내의 통로를 통하여 엔진에 공급된다. 압력조절기(26)측에 흐르는 복귀연료는 노즐(27)의 분출공(30)에서 분출된다. 이 때에 분출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부압에 의한 연료흡상 작업에 의하여 서브탱크(9)의 외부로부터 연료취입구(36)를 통하여 연료를 흡입하고, 슬롯부(43)에서 서브탱크(9)의 내부로 흡입한다. 서브탱크 내부에 흡입된 연료는 흡입필터(31)의 내부에 들어가서 흡입파이프(18)를 통하여 흡입구(15)에서 연료펌프(14)의 내부를 통하여 배출구(16)에서 배출된다.
이 연료공급장치를 탑재한 차량의 조립완료시, 연료탱크내에 초기주행이 가능한 정도, 예컨대 6∼10ℓ 정도의 연료가 공급된다. 이 때의 연료탱크내의 연료액면 레벨은 미로벽 통로저부(35)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며, 밸브(40)는 흡입탱크(9)의 내외의 압력차이의 근소한 값에 의하여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연료의 액면레벨이 미로벽 통로저부(35) 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연료는연료취입구(36)에서 스롯부(43), 미로벽종단(38)에서 서브탱크(9) 내부의 흡입필터(31) 내부의 저부에 유입한다. 이 때에, 흡입필터(31)의 흡입파이프(18)가 연료를 채우게 되면, 연료펌프(14)는 연료를 흡입배출 가능하게 되어서 연료를 압송한다.
통상의 주행시, 연료는 배출구(16)에서 필터소자(20)를 통하여, 필터하우징(6)의 분기부(23)에서 엔진측 유로와 복귀측 유로로 분기하여, 엔진측에 흐르는 연료는 공급파이프(3)를 통하여 엔진에 공급된다. 복귀측에 흐르는 연료는 압력조절기(26)에서 압력이 조절되어서 노즐(27)에 유입한다. 노즐(27)의 분출공(30)에서 분출한 연료는 분출류로 되어서, 슬롯부(43)에 유입한다. 이 때에, 유체에너지 변환에 의하여 압력에너지가 유량에너지로 변하고, 서브탱크(9)의 내부에 흡입된다. 이로 인하여서 서브탱크(9)내의 액면레벨은 서브탱크(9)의 외부에 대하여 위로 올라가며, 서브탱크(9)의 내부는 연료로서 충만된다.
통상의 주행시 엔진소비량에 대하여, 복귀유량이 충분히 많기 때문에 서브탱크(9)의 외부의 연료가 소진하더라도 서브탱크(9)의 내부에 괴어있는 연료에 의하여 선회시에 기름이 떨어지는 현상을 일으키는 일없이 안정한 연료공급을 행한다.
차량을 경사지게 장기방치한 경우, 흡입필터(31)의 구멍(그물눈)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밀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기름막강도가 향상하고 있으므로, 서브탱크(9)내의 내부에 있는 흡입필터(31)의 상부에 까지 채워지는 상태가 장기간 유지되어서 100∼300cc의 연료를 확보할 수가 있다. 즉 차량을 경사지게 장기방치했을 경우 100~300cc 정도의 연료량을 확보하는 것에 대해서는, 상기 동작으로 서브탱크(9)에 연료가 충만되기 때문에, 압력 헤드차이에 의하여 흡입필터(31)내도 연료가 충만된다. 이 때에, 흡입필터(31)내에 저장된 에어는 체크밸브(34)에서 배출된다.
주차장에서는 체크밸브(40)로부터 서브탱크(9)의 외부에 연료가 누설되어도 흡입필터(31)의 구멍(그물눈)을 도 3과 같이 세밀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기름막강도에 의하여 밀봉되어 흡입필터(31)내의 연료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름막의 자연현상을 사용하여 밀봉할 수 있으므로 염가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또, 흡입필터(31)의 저부에는 미로형상벽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흡입필터(31)의 저부에는 항상 연료가 존재하기 때문에 표면장력에 의하여 기름막파괴를 방지한다. 더욱이 이 조건하에 있어서는 흡입필터(31)내에 베이퍼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체크밸브(34)에서 증기가 외부로 빠져나간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슬라이딩시일(39)을 사용함으로써, 연료탱크내의 서브탱크(9)의 위치의 높이변화를 연료탱크 높이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근년에 특히 키가 낮은 연료탱크에 대해서는 이와 같은 콤팩트화한 구조에 의하여 호오스의 교환함이 없이 용이하게 서브탱크(9)를 부착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시일(39)을 설치함으로써 예컨대 160mm 정도의 얕은 연료탱크에 있어서도 폭 30∼40mm 정도의 탱크높이 변화의 추종(追從)을 가능하게 한다. 또다시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시일(39)의 두께를 증대하여 슬라이딩 저항을 2kgf 정도로 누르고 있으므로, 연료펌프(14)의 진동을 감쇠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서는 차실내 소음의 원인으로 되는 플랜지(1)의 진동을 저감할 수가 있다. 또, 연료압력에 의하여 플랜지(1)와 서브탱크(9)를 멀리하게 하는 방향으로 연료압력이 걸리기 때문에, 압축코일 스프링(41)의 보조력을 얻는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 4에 표시한다.
도 4에 표시한 제2실시예는 플랜지(1)에 형성하는 스프링 가이드부(49)를 상방에 철(凸)형상으로 한 예이다. 도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인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압축코일 스프링(41)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공급유닛(11)의 탱크높이 방향에 따른 범위를 크게 잡을 수가 있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제5에 표시한다. 도 5에 표시한 제3실시예는 연료취입구(36)에 밸브를 설치하지 않는 예이다. 서브탱크(9)의 저부에 밸브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수일간의 연료의 확보가 불필요한 사양(설계구조)의 연료공급 시스템이 유효하다. 즉 체크밸브를 폐지하고 3주간 내지 4주간 차량을 장기방치한 경우의 연료확보만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코스트를 내릴 수가 있다.
(제4실시예)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 6에 표시한다.
도 6에 표시한 실시예는 도 1에 표시한 실시예에 대하여 미로벽구조를 생략한 실시예이다. 미로벽의 구성을 서브탱크에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서브탱크내의 구조가 간소화되어서 코스트다운이 가능하게 된다. 흡입필터(31) 그외의 구성부분에 대하여는 도 1에 나타내는 예와 동일하다.
(제5실시예)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 8, 도 9에 표시한다.
도 8에 표시한 연료공급유닛(11)은 도시생략한 연료탱크의 상탱크(4)에서 연료탱크의 내부에 매달리게 된다.
수지제의 플랜지(1)는 절연성수지로 되었으며, 연료탱크를 구성하는 금속제의 상탱크(4)의 개구부에 부착된다. 이 플랜지(1)에는 절연성수지중에 연료펌프(14)로의 급전용(給電用)의 복수의 터어미날핀이 삽입 형성되는 수전용(受電用)의 전기커네터(2)와 엔진측에 연료를 공급하는 공급파이프(3)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1)의 연료탱크 안쪽에는 서브탱크(9)가 설치되어 있다.
서브탱크(9)는 도전성수지로서 되며, 서브탱크본체(12)와 이 서브탱크본체(12)의 상부개구를 덮는 서브탱크 뚜껑체(13)로서 된다. 서브탱크 뚜껑체(13)의 서브탱크 안쪽에는 필터하우징(6)이 설치되어 있다.
서브탱크(9)의 서브탱크본체(12)와 서브탱크 뚜껑체(13)는 다같이 카아본이들어간 도전성 수지로서 된다. 서브탱크(9)는 카아본이 들어간 POM 또는 POM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서브탱크본체(12) 및 서브탱크 뚜껑체(13)는 외표면적을 충분한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이 넓은 표면적을 가진 부품이 카아본을 넣은 수지로 되어 있으므로, 연료필터소자(20)를 통과할 때에 필터소자(20)에 대전(帶電)할려고 하는 전하(電荷)가, 서브탱크본체(12) 및 서브탱크 뚜껑체(13)를 통하여 외부로 소산(消散)하기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서브탱크(9)에서 연료를 통하여 외부에 도전(導電)하기가 쉽다. 따라서, 필터하우징(6)에 정전기가 발생하기 어렵다. 필터하우징(6)은 서브탱크 뚜껑체(13)에 열판용착으로 고정시키고 있다. 그 외에 대하여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연료펌프(14)를 작동하면, 필터소자(20)에 연료가 흐를때에 마찰에 의하여 정전기가 발생한다. 필터하우징(6)과 서브탱크본체(12)와 서브탱크 뚜껑체(13)가 도전성 수지로서 구성됨으로써, 서브탱크(9)내에 정전기를 저장함이 없이 소산할 수가 있다. 서브탱크가 비도전성이면 정전기가 서브탱크내에 저장되어서, 방전에 의하여 필터케이스나 서브탱크에 구멍이 뚫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가령 필터케이스를 금속으로 형성할 경우 ①어스(earth)가 있으면, 제작 코스트가 높게 되어서, 어스 때문에 리이드 와이어가 필요하게 되어 배선코스트도 높아진다. ②어스가 없으면, 비도전성의 수지로 된 서브탱크에서 둘려쌓인 필터케이스 표면에 정전기가 저장되며, 서브탱크 자체가 높은 대전레벨이 되어서 서브탱크의 변형 등에 의한 스파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결과, 연료탱크 또는 서브탱크에 구멍이 뚫릴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하우징(6)과 서브탱크본체(12)와 서브탱크 뚜껑체(13)가 도전성 수지로 되기 때문에, 서브탱크(9)에는 정전기가 발생하기 어렵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탱크본체(12)와 서브탱크 뚜껑체(13)가 도전성 수지로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서브탱크본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절연수지로 형성되어서, 서브탱크 뚜껑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도전성 수지로되는 것이라도 좋다. 특히, 서브탱크 뚜껑체는 면적을 작게할 수가 있으며, 이것만을 도전성 수지로 하면 제조상의 이익과 편리함이 있다. 또 서브탱크 뚜껑체에 용착으로 필터하우징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서브탱크 뚜껑체만을 도전성 수지로 하여도 용이하게 정전기를 소산시킬 수가 있어서 편리하다.

Claims (12)

  1.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와 ;
    연료탱크에 설치되고 이 연료탱크의 저부에서 내측으로 연료를 흡입하기 위한 연료취입구를 지니는 서브탱크와 ;
    상기 서브탱크에 설치된 흡입필터와 ;
    상기 서브탱크내 연료를 흡입필터를 통해 흡입구멍으로부터 흡상하기 위해 서브탱크내에 설치된 연료펌프와 ;
    서브탱크를 연료탱크에 고정시키는 플랜지와 ; 및
    상기 연료펌프의 흡입구멍측에 상방으로 상승하도록 형성되고, 상승부의 용적부분에 연료를 축적하는 연료액면 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취입구는 서브탱크의 저부에 제설치되고 ;
    상기 흡입필터는 연료액면 유지수단에 축적된 연료를 흡입필터내에 비축하도록 배치되고 ;
    상기 서브탱크는 체크밸브와 통로벽에 의해 형성되어 연료취입구에서 서브탱크 내부를 연통하는 통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펌프 주위에 설치된 연료필터와 ;
    상기 연료필터를 수용함과 동시에 서브탱크에 연결된 필터하우징과 ;
    상기 서브탱크에 대하여 플랜지에 설치된 뚜껑체와 ;
    상기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고 서브탱크를 통해서 연료를 방출하는 복귀파이프와 ;
    뚜껑부재에 설치되어 복귀파이프와 슬라이딩 연결되는 슬라이딩시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펌프는 연료공급측과 복귀측으로 연료를 분기시키기 위한 분기부를 가지고, 이 분기부의 복귀측에 제트펌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연료펌프 주위에 설치되는 연료필터와, 상기 연료필터를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서브탱크와 결합된 필터하우징과,
    서브탱크본체와 뚜껑부재 사이의 연료탱크의 깊이에 따라 플랜지와 서브탱크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스프링과 ;
    플랜지에 형성되어 뚜껑부재를 향해 돌출하는 스프링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6. 연료탱크와 연료탱크의 하부에 설치되어 밖에서 안으로 연료를 도입하기 위한 연통공간이 연료탱크의 저부에 형성된 서브탱크와 서브탱크안에 형성된 연료저류실과,
    연료저류실 안에서 연료를 흡상하여 가압하는 연료펌프와, 연료저류실 안에 그 일부가 수용되고, 연료펌프의 이 물질을 제거하는 흡입필터와, 서브탱크 밖에서 연료저류실을 향하여 상기 연료펌프에서 배출한 연료의 일부의 유체에너지를 사용하여 연료를 이송하기 위한 제트펌프와, 제트펌프로서 흡입한 연료를 보내는 흡입통로와,
    중력방향으로 형성되고 연료저류실과 흡입통로와를 구획하는 구획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필터는 그 외주면이 메시로 덮이고 연료에 의한 유막이 상기 메시를 덮음으로써, 형성되는 폐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폐공간은 연료탱크의 모서리에 체류한 연료가 연통 공간에 되돌아오기 까지의 시간주행할 수 있는 소정용적을 상기 폐공간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소정용적은 100cc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연료저류실은 상방향으로 돌출하여 연료의 유출을 방지하는 미로벽을 가지고,
    구획벽부는 서브탱크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미로벽과 구획벽부가 상기연료필터의 주위를 둘려쌓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서브탱크를 지지하기 위해 연료탱크의 부착구멍에 지지된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연료필터의 외형은 상하방향 치수가 좌우방향 치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12. 청구항 6에 있어서, 흡입필터의 메시는 30㎛의 구멍들을 가지는 직조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KR1019970011638A 1996-04-01 1997-03-31 연료공급장치 KR100299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78799 1996-04-01
JP96-78800 1996-04-01
JP07879996A JP3622064B2 (ja) 1996-04-01 1996-04-01 燃料供給装置
JP07880096A JP3640001B2 (ja) 1996-04-01 1996-04-01 燃料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490A KR970069490A (ko) 1997-11-07
KR100299267B1 true KR100299267B1 (ko) 2002-07-02

Family

ID=26419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1638A KR100299267B1 (ko) 1996-04-01 1997-03-31 연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769061A (ko)
KR (1) KR1002992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2808B2 (ja) * 1997-02-07 2003-03-04 株式会社日立ユニシアオートモティブ 燃料供給装置
JP3130269B2 (ja) * 1997-05-30 2001-01-31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US6170472B1 (en) * 1997-06-04 2001-01-09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Fuel delivery module for an automotive fuel system
BR9811899A (pt) * 1997-08-14 2000-08-15 Bosch Gmbh Robert Agregado de transporte
JPH1182209A (ja) * 1997-08-29 1999-03-26 Unisia Jecs Corp 燃料供給装置
JP3846604B2 (ja) * 1997-09-30 2006-11-15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EP0959241B1 (en) * 1997-11-19 2006-05-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Fuel feeder for vehicles
DE19806412B4 (de) * 1998-02-17 2006-12-28 Robert Bosch Gmbh Kraftstoffversorgungsanlage zum Zuliefern von Kraftstoff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JP3283240B2 (ja) 1998-03-12 2002-05-20 東洋▲ろ▼機製造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FR2779184B1 (fr) * 1998-05-26 2001-01-26 Marwal Systems Ensemble de puisage de carburant dans un reservoir de vehicule automobile
US6029633A (en) * 1998-07-02 2000-02-29 Parr Manufacturing, Inc. Passive fuel delivery module and suspension mechanism
US5908020A (en) * 1998-07-13 1999-06-01 Uis, Inc. Marine fuel pump and cooling system
DE19843019C1 (de) * 1998-09-19 2000-03-09 Bosch Gmbh Robert Fördereinrichtung für Kraftstoff
JP3761340B2 (ja) * 1998-10-15 2006-03-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燃料供給装置
DE19848571A1 (de) * 1998-10-21 2000-05-04 Bosch Gmbh Robert Kraftstoff-Fördermodul
US6196200B1 (en) * 1999-01-12 2001-03-06 Walbro Corporation Compact fuel pump module and final filter
US6155238A (en) * 1999-04-01 2000-12-05 Walbro Corporation Fuel pressure regulator and fuel filter module
TW426783B (en) * 1999-04-16 2001-03-21 Mitsuba Corp Fuel supply system
DE29922325U1 (de) * 1999-12-21 2001-04-26 Bosch Gmbh Robert Kraftstofffördermodul für ein Kraftfahrzeug
DE29922473U1 (de) * 1999-12-22 2001-05-03 Bosch Gmbh Robert Kraftstofffördermodul für Kraftfahrzeuge
DE29922474U1 (de) * 1999-12-22 2001-05-03 Bosch Gmbh Robert Kraftstoffversorgungsein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s
DE19961923A1 (de) * 1999-12-22 2001-07-05 Bosch Gmbh Robert Kraftstofffördermodul für Kraftfahrzeuge
JP3884212B2 (ja) * 2000-03-24 2007-02-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燃料供給装置
US6553973B1 (en) * 2000-05-25 2003-04-29 Delphi Technologies, Inc. Fuel tank cover and filter assembly for fuel tank
JP3651365B2 (ja) * 2000-06-30 2005-05-25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WO2002016752A1 (en) * 2000-08-18 2002-02-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Fuel feed device
JP4374789B2 (ja) * 2000-09-06 2009-12-02 三菱電機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US6408830B1 (en) * 2000-12-15 2002-06-25 Delphi Technologies, Inc. Fuel pump module for a fuel tank
US6619271B2 (en) * 2001-01-24 2003-09-16 Nifco Inc. Fuel supply apparatus
JP4450527B2 (ja) * 2001-03-30 2010-04-14 京三電機株式会社 ポンプユニット
JP4370610B2 (ja) * 2001-06-29 2009-11-25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JP2003139007A (ja) * 2001-10-30 2003-05-14 Denso Corp 燃料供給装置
JP3929809B2 (ja) * 2002-04-03 2007-06-13 愛三工業株式会社 リザーブ容器ユニット
US6655365B2 (en) 2002-04-08 2003-12-02 Delphi Technologies, Inc. Fuel filter assembly for fuel delivery module
US6705298B2 (en) * 2002-05-20 2004-03-16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Fuel pump module
US7306715B2 (en) * 2002-08-05 2007-12-11 Denso Corporation Pump module
JP3941012B2 (ja) * 2002-08-22 2007-07-04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JP4051564B2 (ja) * 2002-10-18 2008-02-27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US20040089274A1 (en) * 2002-11-12 2004-05-1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Fuel delivery module integral resonator
JP4243845B2 (ja) * 2002-11-28 2009-03-25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JP3956867B2 (ja) * 2003-02-27 2007-08-08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JP2005069171A (ja) * 2003-08-27 2005-03-17 Aisan Ind Co Ltd 燃料供給装置
US6951208B2 (en) * 2003-10-22 2005-10-04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Fuel delivery system with flow re-director for improved re-priming sequence
CN100445548C (zh) * 2003-10-22 2008-12-24 西门子Vdo汽车公司 带有流转向器、用于改善的再起动注油顺序的燃油供应系统
JP4123520B2 (ja) * 2004-01-19 2008-07-23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JP2005214122A (ja) * 2004-01-30 2005-08-11 Denso Corp 燃料供給装置
US20060070941A1 (en) * 2004-10-05 2006-04-06 Arvin Technologies, Inc. In-tank fuel module
US7591250B2 (en) * 2005-06-22 2009-09-22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Pump retaining structure for fuel pump module
WO2008024229A1 (en) * 2006-08-21 2008-02-28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Interface hose seal for low permeation fuel supply flange
US7757671B2 (en) * 2006-09-29 2010-07-20 Denso Corporation Fuel feed apparatus
DE102007007912A1 (de) * 2007-02-14 2008-08-21 Siemens Ag Fördereinheit
DE102007007918A1 (de) * 2007-02-14 2008-08-21 Siemens Ag Fördereinheit
US7631634B2 (en) * 2007-11-08 2009-12-1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Fuel delivery module for high fuel pressure for engines
US8459960B2 (en) * 2009-02-09 2013-06-11 Robert Bosch Gmbh Jet pump assembly
JP4889780B2 (ja) * 2009-10-30 2012-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US8360740B2 (en) * 2010-02-12 2013-01-29 Synerject, Llc Integrated fuel delivery module and methods of manufacture
CA2770867C (en) 2011-03-08 2018-11-06 Synerject Llc In-tank fluid transfer assembly
EP2931804B1 (en) * 2012-12-13 2018-08-08 Ticona LLC Laser-weldable electrostatically dissipative polyoxymethylene based on conductive metal filler
CN103552525B (zh) * 2013-11-12 2015-07-29 上海大众汽车有限公司 汽车汽油滤清器防静电放电结构及方法
US9753443B2 (en) 2014-04-21 2017-09-05 Synerject Llc Solenoi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length of travel
US9997287B2 (en) 2014-06-06 2018-06-12 Synerject Llc Electromagnetic solenoids having controlled reluctance
WO2015191348A1 (en) 2014-06-09 2015-12-17 Synerject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oling a solenoid coil of a solenoid pump
JP6287749B2 (ja) * 2014-10-13 2018-03-07 株式会社デンソー ジェットポンプ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燃料供給装置
JP6331980B2 (ja) * 2014-11-06 2018-05-30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JP6424854B2 (ja) * 2016-03-18 2018-11-21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1035491B2 (en) * 2017-07-03 2021-06-15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Fuel pump solenoid having hydraulic dampi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8518A (en) * 1986-11-07 1989-11-07 Walbro Corporation In-tank fuel reservoir with fuel vapor separation
US4807582A (en) * 1986-11-07 1989-02-28 Walbro Corporation Reserve fuel shut-off valve
DE3887263T2 (de) * 1987-10-26 1994-05-19 Nippon Denso Co Brennstoffzufuhrvorrichtung für Fahrzeuge.
US4750522A (en) * 1987-11-18 1988-06-14 Chrysler Motors Corporation Fuel collector with aspirator device
DE3827572C2 (de) * 1988-08-13 1999-02-11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Kraftstoff aus einem Vorratstank zu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es
JP2858327B2 (ja) * 1989-09-05 1999-02-1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燃料供給装置
US5070849A (en) * 1991-02-15 1991-12-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dular fuel delivery system
US5186152A (en) * 1992-02-10 1993-02-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Automotive fuel system
JP3572639B2 (ja) * 1993-08-26 2004-10-06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US5584988A (en) * 1993-11-11 1996-12-17 Nissan Motor Co., Ltd. Filter for in-tank fuel pump
US5647328A (en) * 1995-06-30 1997-07-15 Walbro Corporation In-tank fuel pump and reservoir
US5680847A (en) * 1996-11-07 1997-10-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sender for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69061A (en) 1998-06-23
KR970069490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9267B1 (ko) 연료공급장치
US4869225A (en) Fuel supply device for vehicles
EP1861613B1 (en) Fuel system with direct connection between fuel pump, jet pump and fuel filter
US5649514A (en) Fuel supply apparatus
US6158975A (en) Fuel pump module
US5787865A (en) Reservoir for motor vehicle fuel tank
JP2551400B2 (ja) タンク内燃料ポンプモジュール
JP2003534490A (ja) 一体形フィルタ付き燃料送出しモジュール
JP5414483B2 (ja) 燃料供給装置
JP3640001B2 (ja) 燃料供給装置
JP6005507B2 (ja) 燃料供給装置
US5520547A (en) Corrosion-free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KR20080082424A (ko) 연료 공급 장치
JP3956867B2 (ja) 燃料供給装置
WO2002016754A1 (fr) Dispositif d'alimentation en carburant
US9435304B2 (en) Diesel fuel pump module
JP5407617B2 (ja) セジメンタ
JPH0697015B2 (ja) 燃料供給装置
JP2789707B2 (ja) 車両用燃料供給装置
JP2008180112A (ja) 燃料供給装置
JP3622064B2 (ja) 燃料供給装置
JP4442997B2 (ja) 燃料供給装置
JPH03105054A (ja) 車両用燃料供給装置
JP2666394B2 (ja) 車両用燃料供給装置
JP2003201932A (ja) 燃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