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9007B1 - 횡편기의 코 고리 예치장치 - Google Patents

횡편기의 코 고리 예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007B1
KR100299007B1 KR1019990017262A KR19990017262A KR100299007B1 KR 100299007 B1 KR100299007 B1 KR 100299007B1 KR 1019990017262 A KR1019990017262 A KR 1019990017262A KR 19990017262 A KR19990017262 A KR 19990017262A KR 100299007 B1 KR100299007 B1 KR 100299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needle
hook
cam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8278A (ko
Inventor
시마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시마 마사히로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 마사히로,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시마 마사히로
Publication of KR19990088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8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0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6Sliding-tongu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2Loop-transfer poi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36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 D04B15/365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with provision for loop transfer from one needle bed to the oth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편지편성(編地編成)의 도중, 이것을 편성하고 있는 침에 의해 다른 편지를 편성할 필요가 생기는 등의 경우, 그 침에 걸려져 있는 고리를, 일단 다른 침 등의 고리 유지부재에, 그 고리 유지부재가 이미 걸려져 있는 고리와 떨어지게 예치(預置)하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예치된 고리를 원래의 침으로 복귀할 수가 있는 코 예치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캐리지 상에, 코 고리 편성용 침 조작수단에 더하여, 편성된 코 고리를 더블 스티치가 되지 않도록 다른 침의 슬라이더의 탕(tongue)에 예치하기 위하여, 예치하기 위한 코 고리에 대하여 상기한 침의 훅과 탕을 진입시키고, 그 코 고리를 슬라이더 탕에 거는 침 본체 및 슬라이더 조작용 홀딩캠 및 예치된 고리가 탕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탕을 전진위치로 유지시키기 위한 슬라이더 버트(butt) 경로를 설치하였다.

Description

횡편기의 코 고리 예치장치{STITCH LOOP HOLDING APPARATUS FOR A FLA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복합침을 구비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을 행하는 도중, 편성에사용중인 침을 공침(空針)으로 되게 할 필요가 생길 때에, 그 침에 걸려져 있는 고리를 다른 침 또는 트랜스퍼 잭 등에 예치함으로서 공침으로 되게 하는 일을 가능하게 한 횡편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코 고리를 '예치하는' 것이란, 코 고리를 단지 다른 침의 훅 내로 이동시키는 통상의 ' 이동'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이 경우 수취측의 침이 코 고리를 걸게 되면, 그 침의 훅 내로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를 형성한다), 수취측의 침이 그 자신이 이미 보지되어 있는 코 고리와 새로이 수취한 코 고리를 서로 분리한 상태로 보지한다. 즉,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침 자신이 이미 보지되어 있는 코 고리를 침 본체의 훅 내에, 그리고 새로이 수취한 코 고리를 슬라이더 상에 거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용어 '이동'과 '예치'는, 각각 상기한 내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일반적인 횡편기는, 침을 다수 열설한 침상이 치구(齒口)를 끼워서 전후에 한쌍 설치한 소위 2매의 베드 횡편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횡편기에서는, 각 침상의 침을 사용하여 코 고리를 편성하는 것과 함께 각 침상에 형성된 코 고리를 대향하는 다른 쪽 침상의 침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코 형성과 이동을 조합시키는 것으로 다종다양한 니트 편지(編地)가 편성될 수 있다.
횡편기에 사용되는 침으로는 래치침이나 복합침이 있다. 복합침은 슬라이더와 침 본체를 상대이동시켜 훅의 개폐를 행하기 위한 종래의 래치침에 비하여 침의 진퇴행정을 약 반분 정도로 없앨 수가 있으므로 편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그 결과, 생산성 향상에 관련된 것이 공지되어 있어, 각종 유형의 복합침이 현재까지 연구되고 있다.
편지편성시에, 예를 들면 전 침상의 침만을 사용하여 편성하면 평편조직(표목(表目))의 편지가 편성되고, 전후 침상의 각 침에 지그재그형상으로 급사하면 리브(고무)편 조직의 편지가 편성된다. 또한, 전 침상의 각 침에 급사한 후, 계속하여 후침상의 각 침에 급사하고, 이와 같은 둘레 편성을 행하는 것으로 전측 편지와 후측 편지가 각 양단에서 연결된 통형상의 편지가 편성된다.
동일 웨일(wale) 내에 표목과 이목(裏目)을 혼재시켜 편성하는 경우나 편목 고리를 이동시켜 인접하는 코 고리에 겹치게 하는 등의 편성을 행하는 경우에 대향하는 침상상의 공침을 사용한다. 표목과 이목을 혼재시킨 모양, 예를 들면 링크스를 편성하는 경우에는 코 고리를 전침상에 형성한 후, 이 코 고리를 대향하는 후침상의 침에 이동하여 같은 침상에서 계속되는 코스의 코 고리를 형성하고, 이것에 계속되는 편성에 있어서 코 고리를 전후 침상의 사이를 왕복시키면서 계속되는 고스의 편성을 행하도록 한다. 또한 조직모양이나 형성편만을 행하는 경우에는 코 고리를 일단 다른 쪽 침상의 공침에 이동시킨 후, 침상을 래킹(racking)시키는 이 이동된 코 고리를 처음 침상의 침에 인접하는 침에 걸리는 코 고리에 이동하여 겹치도록 한다.
평편이나 위드리브 등의 편지편성의 경우에는, 대향하는 침이 공침으로 되어 있어서 이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전후 침상의 모든 침을 사용하여 편성되는 순고무의 편지나 통형상의 경우에는, 코 고리를 이동하기 위한 공침이 확보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편성을 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전후 한쌍의 침상에 더하여 이동 전용의 편(編)부재로서의 트랜스퍼 잭을 수용한 보조베드(트래스 퍼어 잭 베드)를 설치한 유형의 횡편기나 전후 침상의 상방에 또 한쌍의 침상을 설치한 소위 4매의 베드 횡편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공침을 얻는 등으로 해서 대처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침상 사이에 코 고리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다른 쪽 침상에 공침이 존재하는 것이 필수의 조건으로 되어 있어서, 공침을 확보할 수 없도록 한 편지의 편성을 행할 경우에는, 이것이 니트 편성의 다양성을 전개시킨다는 점에서 고정관념으로서 큰 제약으로 되었다. 이러한 것은 코 고리를 거는 침에 다른 코 고리를 이동한 경우에, 이 코 고리는 더블 스티치로 되어버리고, 이미 서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한 트랜스퍼 잭 베드나 4매의 베드 횡편기에 있어서도 2매의 베드 횡편기와 공통의 문제를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편지편성의 도중, 그것을 편성하고 있는 침에 의해 별도의 편지를 편성할 필요가 발생하도록 하는 경우, 그 침에 걸려져 있는 고리를, 일단 다른 침 등의 고리 보지부재에, 그 고리 보지부재가 이미 걸려져 있는 고리와 새로이 유지되는 고리를 간격을 띠우고 보지시키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예치된 고리를 원래의 침에 복귀시킬 수가 있는 코 예치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전후 한 쌍으로 대향배치된 침상에, 침 본체와 슬라이더가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 복합침(이하, 침이라고 함)을 나란히 설치하고, 이 침은 슬라이더의 탕(tongue)이 2매의 얇은 탄성판상체의 적층체로 형성되고, 침 본체의 선단에 설치된 훅의 갈고리 구멍을 개폐하는 것과 함께 훅을 초과하여 진출시킬 수 있고, 이 훅을 초과하여 진출할 때에 탕의 선단을 훅으로 확개하여, 탕의 위에 코의 몸이 걸리는 코 고리를 놓은 상태에서 치구(齒口)로 밀어올릴 수가 있고, 침 본체와 슬라이더의 각각은 캐리지에 설치된 침 본체 조작수단 및 슬라이더 조작수단으로 이루어진 침 조작수단으로서 진퇴제어가 가능하게 구성된 횡편기에 있어서, 코 고리 편성용 침 조작수단에 더하여, 편성된 코 고리를 더블 스티치가 되지 않도록 다른 침의 슬라이더의 탕에 예치하기 때문에, 유지시키기 위한 코 고리에 대한 상기 침의 훅과 탕을 진입시키고, 그 코 고리를 슬라이더 탕에 거는 침 본체 및 슬라이더 조작용 홀딩캠, 및 예치된 고리가 탕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탕을 전진위치로 보지하기 위한 슬라이더 버트 경로를 설치하였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전후 한 쌍으로 대향 배치된 침상에, 침 본체와 슬라이더가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 침을 나란히 설치하고, 이 침은 슬라이더의 탕이 2매의 얇은 탄성판상체의 적층체로 형성되고, 침 본체의 선단에 설치된 훅의 갈고리 구멍을 개폐하는 것과 함께 훅을 초과하여 진출시킬 수 있고, 이 훅을 초과하여 진출할 때에 탕의 선단을 훅으로 확개하여, 탕의 위에 코의 몸이 걸리는 코 고리를 놓은 상태에서 치구로 밀어올릴 수가 있고, 침 본체와 슬라이더의 각각은 캐리지에 설치된 침 본체 조작수단 및 슬라이더 조작수단으로 이루어진 침 조작수단으로서 진퇴제어가 가능하게 구성된 횡편기에 있어서, 코 고리 편성용 침 조작수단에 더하여, 편성된 코 고리를 더블 스티치가 되지 않도록 다른 침의 슬라이더의 탕에 예치하기 때문에, 유지시키기 위한 코 고리에 대한 상기 침의 훅과 탕을 진입시키고, 그 코 고리를 슬라이더 탕에 거는 침 본체 및 슬라이더를 조작하는 홀딩캠을 코 고리 편성용의 침 조작수단과는 별개로 캐리지 상에 위상을 겹치지 않게 설치하고, 예치된 고리가 탕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탕을 전진위치로 보지하기 위한 슬라이더 버트 경로를 설치하였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전후 한 쌍으로 대향 배치된 침상에, 침 본체와 슬라이더가 상대이동가능하게 구성된 침을 나란히 설치하고, 이 침은 슬라이더의 탕이 2매의 얇은 탄성판상체의 적층체로 형성되고, 침 본체의 선단에 설치된 훅의 갈고리 구멍을 개폐하는 것과 함께 훅을 초과하여 진출시킬 수 있고, 이 훅을 초과하여 진출할 때에 탕의 선단을 훅으로 확개하여, 탕의 위에 코의 몸이 걸리는 코 고리를 놓은 상태에서 치구로 밀어올릴 수가 있고, 침 본체와 슬라이더의 각각은 캐리지에 설치된 침 본체 조작수단 및 슬라이더 조작수단으로 이루어진 침 조작수단으로서 진퇴제어가 가능하게 구성된 횡편기에 있어서, 침 본체 조작수단은, 주변을 버트 상승면으로 하고 탕 높이의 저정부(低頂部)와 이 보다 높은 고정부(高頂部)로 이루어진 볼록부를 좌우로 한쌍 나란히 배치하고, 상기한 한쌍의 볼록부의 사이에는 니이들 트랜스퍼 캠을 설치하고, 상기 좌우 한쌍의 볼록부의 기부에는, 중앙부분에서 좌우 고저의 볼록부 주변의 버트 안내홈과 통하는 횡단로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상승 캠, 그 양측의 코팅 캠 및 상부의 가이드 캠을 보유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슬라이더 조작수단은, 상기 상승 캠과 동일 중심선상에 설치된 슬라이더 트랜스퍼 캠의 측방에 넘김 슬라이더 상승홈을 형성하는 넘김 슬라이더 진출캠과, 받음 슬라이더 상승홈을 형성하는 받음 슬라이더 홀딩캠, 및 예치된 고리가 탕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탕을 전진위치로 보지하기 위한 슬라이더 버트 경로를, 슬라이더 캠에 설치하였다.
도 1은, 트랜스퍼 잭을 설치한 니이들 베드 두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복합침을 삽입한 니이들 베드 두부의 단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도 3A는 복합침을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복합침의 훅이 열린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캐리지 지판(地板)에 배치된 니이들 조작용 캠(NC)과 트랜스퍼 트랜스 잭 조작용 캠군(TC)을 하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에 있어서, 도 5A는 캐리지 상의 침의 위치 5B 내지 5E를, 도 5B 내지 도 5E는 각 위치에 대응하는 니이들 베드상의 침과 트랜스퍼 잭의 관계위치를 나타낸다.
도 6에 있어서, 도 6A는 캐리지 상의 침의 위치 6B 내지 6E를, 도 6B 내지 6E는 각 위치에 대응하는 니이들 베드상의 침과 트랜스퍼 잭의 관계위치를 나타낸다.
도 7에 있어서, 도 7A는 캐리지 상의 침의 위치 7B, 7C를, 도 7B, 7C는 각 위치에 대응하는 니이들 베드 상의 침과 트랜스퍼 잭의 관계위치를 나타낸다.
도 8에 있어서, 도 8A는 캐리지 상의 침의 위치 8B, 8C를, 도 8B, 8C는 각위치에 대응하는 니이들 베드 상의 침과 트랜스퍼 잭의 관계위치를 나타낸다.
도 9에 있어서, 도 9A는 캐리지 상의 침의 위치 9C, 9B를, 도 9C, 9B는 각 위치에 대응하는 니이들 베드 상의 침과 트랜스퍼 잭의 관계위치를 나타낸다.
도 10은, 제2실시예에 있어서, 캐리지 지판에 배치된 니이들 조작용 캠(NC)을 하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제2실시예에서 캐리지 상의 위치 12A 내지 12F를 나타낸다.
도 12의 도 12A 내지 12F는 도 11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니이들 베드와 침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13은, 제2실시예에서 침의 캐리지 상의 위치 14A 내지 14D를 나타낸다.
도 14의 도 14A 내지 14D는 도 13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니이들 베드와 침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15의 도 15A 내지 15G는 옷자락 고무로부터 신경에 걸친 편성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의 도 16A 내지 16G는 순고무의 편성조직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편지를 편성하기 위한 편성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복합침 18 ‥‥ 트랜스퍼 잭 선택부
20 ‥‥ 트랜스퍼 가이드캠 21 ‥‥ 침 본체
23 ‥‥ 적층체 23a ‥‥ 얇은 탄성판상체
24 ‥‥ 슬라이더 27 ‥‥ 훅
37 ‥‥ 탕 51 ‥‥ 상승 캠
52 ‥‥ 가이드 캠 53 ‥‥ 니팅 캠
57 ‥‥ 슬라이더 버트 안내로 60L ‥‥ 저정부
60H ‥‥ 고정부 61 ‥‥ 버트(butt) 상승면
63 ‥‥ 횡단로 64 ‥‥ 니이들 트랜스퍼캠
65 ‥‥ 슬라이더 트랜스퍼캠 66 ‥‥ 슬라이더 진출캠
72 ‥‥ 니이들 홀딩캠 73 ‥‥ 슬라이더 홀딩캠
80 ‥‥ 슬라이더 캠 81 ‥‥ 슬라이더 홀딩캠
82 ‥‥ 넘김 슬라이더 진출캠 83 ‥‥ 받음 슬라이더 상승홈
84 ‥‥ 넘김 슬라이더 상승홈 86 ‥‥ 수평홈
88 ‥‥ 진출 슬라이더 버트 수용홈 FB ‥‥ 프론트 베드
BB ‥‥ 백베드
NC ‥‥ 침 조작수단(니이들 조작용 캠)
NCn ‥‥ 침 본체 조작수단(니이들 본체 조작캠군)
NCs ‥‥ 슬라이더 조작수단(슬라이더 조작캠군)
NL1, NL2 ‥‥ 코 고리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편지편성중의 침에 의해서 상기 편성중의 제1의 편지와는 다른 제2의 편지를 편성할 필요가 생길 때에, 그 침에 걸려져 있는 제1의 편지의 고리를 코 보지부재에 예치시키고, 공침된 침에 의한 제2의 편지편성 후 제2의 편지의 고리를 따로 이동시키고, 예치된 고리를 비어 있는 침 또는 다른 침 혹은 코 보지부재로 되돌리는 작용을 행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예치 고리를 수용하는 측의 코 보지부재는, 트랜스퍼 잭 또는 코 고리를 수용하기 위한 탕을 선단에 보유하는 복합침 등을 이용한다.
제1실시예에서, 코 보지부재로서 트랜스퍼 잭을 이용한 장치를 이하에 설명한다. 제1실시예는 두부(頭部)를 치구부(1)에 대향하여 전후에 볼록형상으로 설치한 한 쌍의 프론트베드(FB), 백베드(BB)의 적어도 한 쪽 니이들베드(도시된 예에서는 프론트베드(FB)) 상위에 트랜스퍼 잭(11)을 포함하는 트랜스퍼 부재(TR)를 설치하고 있다.
프론트베드(FB), 백베드(BB)는 종래의 공지된 것으로서, 그 침홈(3)에는 복합침(4)을 삽입하고, 침홈(3)을 분할하는 니이들 플레이트의 일부 또는 전부의 두부 부근을 상방으로 연장하고, 그 연장부분(6)에 축(7)을 통하게 하고, 축(7)에 지지된 블록(8)상에 트랜스퍼 잭 베드(9)를 설치한다. 트랜스퍼 잭 베드(9)에 병렬로 설치된 홈(10)에는 트랜스퍼 잭(11)이 삽입지지되어 있다. 트랜스퍼 잭(11)은 상기한 홈(10)으로부터의 탈출을 쇠테(12)에 의해 억압하고 있다. 트랜스퍼 잭(11)의 상부 주위에는, 트랜스퍼 잭 버트(13)를, 또한 꼬리부에는 돌출부(14)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돌출부(14)는 상부 주위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것(14a)과 하부 주위에 근접하게 설치된 것(14b)의 2종을 사용한다.
트랜스퍼 잭(11)의 두부에는 후술하는 편지의 고리를 걸기 위한 걸림편(15)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14a),(14b)에 대위하여, 상기 돌출부(14a), (14b)에 접하는 때에 트랜스퍼 잭(11)을 진출시키기 위한 요동캠(16)을 설치한다. 요동캠(16)은, 상기 돌출부(14a),(14b)의 각각에 대위하는 요동캠(16a),(16b)이 있고 또한 축(17),(17)에 의해 요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요동캠(16a),(16b)은, 측면에서 본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17)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L자형을 이루고, 상단부는 트랜스퍼 잭 선택부(솔레노이드)(18)의 요동암(19)에 걸어맞춰져 있다. 솔레노이드(18)는 요동캠(16a),(16b)용의 2개가 있다. 상기, 요동캠(16a),(16b)의 평면형상은 선단부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각형을 하고 있다.
트랜스퍼 잭 버트(13)는, 상술하는 트랜스퍼 잭용 조작캠(TC)의 트랜스퍼 잭 가이드캠(20)의 안내홈으로 미끄러져 끼워맞춰지게 된다.
상기 복합침(4)은 도 2 내지 도 3A, 3B에 나타낸다. 복합침(4)은 침 본체(21), 슬라이더 기체(基體)(22), 2매의 탄성판(23),(23)을 보유한슬라이더(24)로 이루어진다. 침 본체(21)는 꼬리부 부근에 니이들 잭(25)(도 2에 도시함)의 두부를 걸어맞추는 오목부(26)를 보유하고, 침 본체(21)의 선두부의 훅(27)의 기부의 슬롯부분(28)으로부터 침 본체 중앙에 걸쳐서 분할홈(29)을 형성하고 있다. 슬라이더 기체(22)는 꼬리부 부근에 상방으로 돌출한 슬라이더 버트(30) 및 보조버트(31)를 보유하고, 두부 부근에 하면으로 돌출하여 단면이 コ자형인 탄성판 보지부재(32)를 설치하고 있다. 탄성판(23),(23)은 대략 동일하게 중앙 상부에 슬라이더 기체(22)의 오목부(33)와 걸어맞춰지는 돌출부(34)을 보유하고, 2매의 탄성판(23),(23)은 돌출부(34)를 상기 오목부(33)에 끼워맞춰서 탄성판 보지부재(32)에 지지되게 된다.
2매의 탄성판(23),(23) 중 한쪽 탄성판(23)의 꼬리부에는, く자 형상의 굴절부(35)를 형성하는 니이들베드의 침홈(3)(도 1에 표시)에 침 본체(21)를 삽입한 때에 침홈 측벽과 눌려 접하는 망동이 없도록 되어 있다. 탄성판(23),(23)의 선단에는 층계부(36)를 형성하여 탕(37)을 설치하고 있다. 탕(37)은 선두부분을 약간 상방으로 경사지게 하여 실의 걸림을 확실하게 한다.
슬라이더 기체(22)는, 2매의 탄성판(23),(23)의 돌출부(34)를 오목부(33)에 끼워맞춰 탄성판 보지부재(32)에 지지되게 하고, 2매의 탄성판(23),(23)을 침 본체(21)의 분할홈(29)에 미끄럼이 자유롭도록 끼워맞추고, 슬라이더 버트(30)의 조작에 의해 탄성판(23),(23)을 침 본체(21)의 훅(27)에 대해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탄성판(23),(23)이 훅(27)의 하방으로부터 훅(27)을 향하여 상승한 때,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매의 탄성판(23),(23)은 2개로 나누어진 탕(37),(37)이훅(27)을 양측에서 끼워지도록 하여 각각 훅(27)의 양측을 상승시킨다. 부호 38은 니이들 잭 버트이고, 39는 선택 잭 버트이다.
본 실시예의 캐리지의 캠 배치에 대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도 4는 캐리지의 지판(50)에 배치된 니이들 조작캠(NC)과 트랜스퍼 잭 조작용 캠군(TC)를 하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다.
니이들 조작캠(NC)은, 니이들 본체 조작캠군(NCn)과 슬라이더 조작캠군(NCs)으로 이루어져 있다. 니이들 본체 조작캠군(NCn)은, 상승 캠(51), 그 상위에 설치된 가이드 캠(52), 상승 캠(51) 양측의 니팅 캠(53), 상승 캠(51)의 하위에 설치된 각각 한쌍의 출몰이 자유로운 A프레서(54), 하프 프레서(55), 하프 프레서(55)의 하위에 항시 돌출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B프레서(5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프레서의 높이(버트 가압량)에 있어서, A프레서(54), B프레서(56)는 최고의 높이이고, 하프 프레서(55)는 절반의 높이로 되어 있다. 캐리지 진행시의 상기 B프레서의 선행측 하위에는, 상기 각 프레서에서의 진로를 선택하는 침선택부(A),(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캠의 캐리지 지판면으로부터의 높이는 3가지로 하고, 최고 높이의 캠은 도면상에 가는 점으로 표시하고, 반이 되는 높이의 캠은 경사지게 교차하는 선으로, 또 그 보다 낮은 캠은 흑색으로 전부 칠했다. 무지(無地)의 부분은 지판(50)으로 되어 있다.
상승 캠(51)은, 볼록형의 고정부(高頂部)(60H) 및 그 어깨 높이의 저정부(60L)의 좌우 각각 2개의 볼록부를 보유하고, 볼록부의 외측벽은 버트 상승면(61)으로 하고, 대향하는 내측벽은 고정부(60H)를 점프할 수 있도록 경사면(62)으로 되어 있다. 2개의 고정부(60H) 하위에는 2개의 고정부(60H),(60H) 사이에 있는 최저 위치에 연결되는 횡단로(6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2개의 고정부(60H),(60H)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 캠(52) 하부의 일부는 역삼각형의 니이들 트랜스퍼 캠(64)으로 출몰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있다. 횡단로(63)를 측부로 연장한 니이들베드 통로(79)에 니이들 홀딩캠(72)를 설치한다.
슬라이더 조작캠군(NCs)은, 니이들 본체 조작캠군(NCn)과 중심을 동일하게 하여, 가이드 캠(52)의 두부에 대향하는 가이드 캠(7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슬라이더 조작캠군(NCs)의 중앙에 슬라이더 트랜스퍼 캠(65)을 출몰이 자유롭도록 설치한다. 그 상측부에는 슬라이더 진출캠(66),(66)을 설치하고, 그 상부 주위를 따라서 슬라이더 버트 상승로(67)를, 하부 주위를 따라서 슬라이더 트랜스 캠(65)과 동일한 레벨로 수평로(68)(도 4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를 구성한다. 수평로(68)는, 가이드 캠(69)과의 사이를 슬라이더 트랜스퍼 캠(65)의 측방으로 연장하고, 그 로(路) 상에 슬라이더 홀딩캠(73)을 구비한다. 상기 수평로(68)와 슬라이더 버트 상승로(67)는 연결로(71)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스퍼 잭용 조작캠(TC)은, 상술한 트랜스퍼 잭(11)을 선택하는 요동캠(16)에서 선택된 트랜스퍼 잭(11)을 안내하기 위한 트랜스퍼 잭 가이드 캠(20)으로 이루어지고, 선택되지 않은 트랜스퍼 잭(11)은, 그대로 직진통과하는 직진로(75), 선택된 트랜스퍼 잭(11)이 분기진출하는 분기로(76), 분기진출한 트랜스퍼 잭이 원래로 되돌아가는 후퇴로(77), 분기한 트랜스퍼는 진출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진출로(78)를 보유하고, 진출로(78)에는 출몰이 자유로운 트랜스퍼 캠(74)을 구비하고, 트랜스퍼 캠(74)이 돌출하게 될 때에는 그 위치에 트랜스퍼 잭(11)은 일단 후퇴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 도 5 내지 도 9와 함께 코 고리의 예치과정을 설명하지만, 각 도면에 있어서, 좌측에 도 5A 내지 도 9A로서 캠면 상에서의 선택 잭 버트(39), 니이들 잭 버트(38), 슬라이더 잭 버트(30), 보조 슬라이더 버트(31), 트랜스퍼 잭 버트(13)의 궤적을 그리고, 그 도면의 좌측에 도 5A 내지 도 9A에 기재된 괘적 중의 각 위치에서의 침(4fa) 및 트랜스퍼 잭(11)의 승강 또는 진퇴상태를 니이들 베드(FB)의 단면과 함께 나타낸다. 또 각 도 5A 내지 도 9A의 화살표는 캐리지의 진행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 예는 구체적으로는 프론트 베드(FB)의 침(4fa)의 코(NL1)를 트랜스퍼 잭(11)의 걸림편(15)으로 일단 이동하고, 침(4fa)을 공침으로 하고, 그 고리(NL1)를 상기 침(4fa)과는 다른 침(4fb)의 슬라이더의 탕(37)에 예치시키는 것으로, 최초에 고리(NL1)를 잡고 있는 침(4fa)을 공침으로 하고, 다음에 다른 침(4fb)의 탕(37)에 예치된 고리(NL1)를 트랜스퍼 잭(11)의 걸림편(15)으로 이동시키고, 트랜스퍼 잭(11)으로부터 고리(NL1)를 최초의 침(4fa) 또는 그것과 다른 침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도 5A 내지 5E에 있어서, 캐리지는 좌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하고, 프론트 베드(FB)의 침(4fa)의 선택 잭 버트(39)가 침선택부(A)에서 선택되고, A 위치로 상승된다. 이 때, 프론트 베드(FB)의 침(4fa)은 훅(27)에 니이들 고리(NL1)를 걸은상태에서 도 5A의 위치(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강하고, 트랜스퍼 잭(11)도 후퇴하게 된다. 캐리지의 진행에 따라 트랜스퍼 잭은(11) 트랜스퍼 잭 선택부(18)에서 선택되고, 도 1에 나타내는 솔레노이드의 요동암(19)의 요동으로 요동되는 요동캠(16)(16a 또는 16b중 어느 것)은 돌출부(14)에 접하여 요동캠(16)에 꼬리부를 눌러서 걸림부(15)를 진출시키고, 캐리지의 진행에 따라 선택되는 트랜스퍼 잭 버트(13)는 트랜스퍼 가이드 캠(20)의 분기로(76)로 상승하고, 위치(5C)에서 트랜스퍼 잭(11)의 걸림부(15)를 최고로 진출시킨다.
이 사이에 니이들 잭 버트(38)는 상승 캠(51)의 버트 상승면(61)에서 고정부(60H)까지 상승하여, 침(4fa)을 최고로 상승시키고, 그 도중에 슬라이더(24)를 동반하여 슬라이더(24)도 함께 상승한다. 니이들 잭 버트(38)는, 가이드 캠(52) 및 돌출되어 있는 니이들 트랜스퍼 캠(64)에 의해 하강하지만, 슬라이더(24)는 슬라이더 조작버트(30)가 슬라이더 트랜스퍼 캠(65)에 의해 더 상승하고 탕(37)도 상승한다.
이 보다 우선, 침(4fa)의 훅(27)에 걸려진 고리(NL1)는 침 본체(21)의 상승으로 침 본체의 슬롯부(28)(도 2 참조) 보다 하부에 걸려짐으로서, 슬라이더(25)가 진출할 때에 탕(37)의 층계부(36)에 걸려 있는 고리(NL1) 중에 탕(37)을 송입할 수가 있다.
니이들 트랜스퍼 캠(64)으로 하강된 니이들 잭 버트(38)는, 캐리지의 진행에 따라, 선택 잭 버트(39)가 후행 측의 A프레서(54)로 눌리기 때문에 점프하여 횡단로(63)로 들어가는 수평디동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트랜스퍼 잭(11)의걸림부(15) 및 슬라이더(24)의 탕(37)이 최고로 진출 또는 상승하고, 동시에 니이들 고리(NL1)가 걸리게 되지만, 침(4fa)의 훅이 최하위에 근접할 때까지는 하강하게 된다(위치 5C).
이후의 캐리지의 진행에 의해 니이들 잭 버트(38)가 최하위로 내려가고, 또한 슬라이더(24)도 약간 하강하여, 탕(37)을 고리(NL1)로부터 하강하게 하며(위치 5D), 다음에 슬라이더(24)가 최하위까지 내려감에 따라서 반전상승하여 탕(37)이 훅(27)을 막는 위치로 되게 된다(위치 5E).
이상의 공정에서 침(4fa)의 니이들 고리(NL1)는 트랜스퍼 잭(11)의 걸림부(15)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에, 트랜스퍼 잭(11)으로 이동된 니이들 고리(NL1)를 다른 침(4fb)에 예치한다. 상기 공정과는 반대로 캐리지는 반전되어 도 6A에 있어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캐리지 주행 전에 예치하는 니이들 고리(NL1)를 받아들이는 침(4fb)은 니이들 고리(NL1)를 거는 트랜스퍼 잭에 대향하도록 래킹(racking)을 행한다. 침(4fb)의 훅(27)에는 니이들 고리(2)가 걸리게 된다. 그리고 캐리지를 반전이동한다. 이 과정에서는 니이들 고리(NL1)가 예치되는 침(4fb)이, 고리(NL1)가 걸리는 트랜스퍼 잭(11)의 걸림편(15)의 높이까지 상승되는 것이 좋으므로, 상승 캠을 사용하지 않고 니이들 홀딩캠(72)으로 니이들 버트(38)를 상승시키고, 슬라이더 홀딩캠(73)으로 슬라이더(24)를 작동하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E에서 나타내는 예에서는, 니이들 고리(NL2)를 훅(27)에 거는 침(4fb)의 슬라이더(24)의 탕(37)에 니이들 고리(NL1)를 예치시키지만, 캐리지반전 후, 위치(6B)에서 니이들 잭 버트(38), 슬라이더 조작버트(30)의 각각이 니이들 홀딩캠(72), 슬라이더 홀딩캠(73)에 의해 상승된다. 이 때에 침(4fb)은 훅(27)에 니이들 고리(NL2)를 걸고 훅(27)과 탕(37)이 접하게 훅을 닫은 상태로 유지하고, 트랜스퍼 잭(1)의 걸림편(15)에 걸려져 있는 니이들 고리(NL1) 중에 훅(27)을 삽입한다(위치 6B).
다음에, 니이들 잭 버트(38)가, 니이들 홀딩캠(72)의 외주로(72a)를 따라서 하강하고, 슬라이더 조작버트(30)도 슬라이더 홀딩캠(73)의 외주로(73a)를 따라서 하강하며, 트랜스퍼 잭(11)도 그 버트(13)가 트랜스퍼 잭 트랜스퍼 캠(74)에 의해 그 외주로(74a)를 통하여 하강하게 된다. 상기한 슬라이더(24)의 탕(37)의 하강은 침(4fb)의 훅(27)의 하강 보다 작기 때문에, 훅(27)에 걸린 니이들 고리(NL2)의 상위에 위치하는 탕(37)에 예치된 니이들 고리(NL1)가 위치하게 된다(위치 6C). 그리고, 트랜스퍼 캠(74)의 외주로를 통과한 트랜스퍼 잭 버트(13)의 진출에 의해 트랜스퍼 잭(11)이 두 번째 걸림편(15)을 진출시키고(위치 6D), 트랜스퍼 잭 버트(13)는 진출로(78)를 통해 귀환로(77)로 후퇴되어 원위치로 복귀한다(위치 6E). 이 과정에서 침(4fb)의 훅(27)에 니이들 고리(NL2)를, 탕(37)에 니이들 고리(NL1)를 각각 유지시키고, 침(4fa)을 공침으로 되게 할 수 있었다.
공침된 침(4fa)을 사용하여 다른 적당한 코 편성을 행하고, 캐리지의 왕복운동이 있지만, 그 사이에 침(4fb)의 선택 잭 버트(39), 니이들 잭 버트(38), 슬라이더 조작버트(30), 보조버트(31), 트랜스퍼 잭 버트(13)는 도 7A 내지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이동이 없으며, 직선형으로 왕복동하는 침(4fb) 선택 잭(11)도상하 이동, 진퇴 이동이 없다(위치 7B, 7C).
다음에, 침(4fb)에 예치된 니이들 고리(NL1)를 원래의 침(4fa)으로 되돌리는 과정을 설명한다.
트랜스퍼 잭 선택부(18)에서 선택된 트랜스퍼 잭(11)을 상기한 바와 같이 진행시키는 것과 동시에, 선택 잭 버트(39)를 B프레서(56)에 통하게 하는 것에 의해 니이들 잭 버트(38)를 상승 캠(51)에 접하지 않게 통과시킨다. 프레서(56)를 통과 후, 선택 잭 버트(39)는 후행측의 침선택부(B)에서 선택되는 H위치에 들어가는 프레서(58)와는 접하지 않고 삽입되지는 않으며, 따라서 니이들 잭 버트(38)도 돌출된 그대로의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니이들 홀딩캠(72)에 접하여, 침(4fa)의 훅을 상승시킨다. 이 때, 니이들 홀딩캠(72)의 꼭대기부까지 상승하지 않고 어깨부의 높이로 통과한다. 한편, 슬라이더 조작버트(30)도 슬라이더 홀딩캠(73)에 의해 상승함으로서, 슬라이더(24)의 탕(37)도 니이들 고리(NL1)가 걸린 상태로, 니이들 고리(NL1)가 진출하는 트랜스퍼 잭(11)의 탕의 진출 괘적의 높이까지 상승한다. 이 때의 훅(27)의 높이는 니이들 홀딩캠(72)과 슬라이더 홀딩캠(73)과의 높이 차이에 의해, 탕(37)의 높이보다 약간 낮다.
여기에 트랜스퍼 잭 트랜스퍼 캠(74)을 통과하여 일단 하강된 트랜스퍼 잭 버트(13)가 진출하고, 트랜스퍼 잭(11)의 걸림편(15)은 탕(37)에 걸려져 있는 니이들 고리(NL1)로 들어간다(위치 8B).
니이들 홀딩캠(72), 슬라이더 홀딩캠(73)을 통과한 니이들 잭 버트(38), 슬라이더 조작버트(30)는 함께 하강하고, 훅(27), 탕(37)과 함께 하강한다. 이로 인하여 니이들 고리(NL1)가 트랜스퍼 잭(11)의 걸림편(15)으로 이동하고 침(4fb)의 훅(27)에는 니이들 고리(NL2)가 남게 된다(위치 8C).
다음에, 트랜스퍼 잭(11)이 잡고 있는 니이들 고리(NL1)를 원래의 침(4fa)(공침되어 있음) 또는 다른 공침으로 되돌리기 위하여 트랜스퍼 잭(11)과 공침(4fa) 또는 다른 공침이 대향하도록 래킹을 행하고 캐리지를 우행시킨다(도 9A 내지 도 9C). 도시된 예에서는 공침(4fa)으로 되돌아간 예를 나타내고, 이 때 니이들 홀딩캠(72), 슬라이더 홀딩캠(73), 트랜스퍼 잭 트랜스퍼 캠(74)은 모두 내려앉게 되고, 침(4fa)의 니이들 잭 버트(39)는 침선택부(B)에서 H위치로 선택되고, 하프 프레서(55)가 돌출되는 것에 의해 상승 캠(51)의 선행측 볼록부를 점프하고, 후행측 볼록부의 저정부(60L)까지 상승하는 훅(27)을 상승시킨다. 이 상승에 의해 공침된 침(4fa)의 훅(27)은, 트랜스퍼 잭 버트(13)가 트랜스퍼 가이드 캠(20)의 진출로(78)에 위치하여 최고로 진출된 트랜스퍼 잭(11)의 걸림편(15)에 걸려져 있는 니이들 고리(NL1) 중으로 들어간다(위치 9B).
계속하여, 캐리지의 이동에 의해 트랜스퍼 잭 버트(13)가 귀환로로 후퇴하고, 트랜스퍼 잭 버트(11)의 걸림편(15)으로부터 니이들 고리(NL1)가 떨어져서, 침(4fa)의 훅(27)에 걸리게 된다. 니이들 잭 버트(38)는 니팅 캠(53)에 의해 하강하고 슬라이더 조작버트(30)는 일단 하강하고 이후에 상승하여 훅(27)을 닫히게 한다(위치 9C).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니이들 홀딩캠(72), 슬라이더 홀딩캠(73)을, 상승 캠(51) 등으로 이루어진 코 고리 편성용 침 조작수단과는 별도로 그 우측에 설치하기 때문에, 캐리지가 좌우방향으로 진행중이지 않으면 고리의 예치가 가능하지 않게 되어 캐리지 진행방향에 제약이 생기지만, 캐리지의 양단에 상기 홀딩캠을 설치하면 상기 진행방향에 의한 제약을 없앨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제2실시예는, 니이들베드 및 이것에 삽입되는 복합침이 제1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캐리지의 캠 배치는 다르게 되어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제1의 침 고리를 트랜스퍼 잭을 통하여 동일 베드의 제2의 침에 예치되지만, 제2의 실시예에서는 고리를 대향하는 베드의 침에 직접 예치하게 된다.
제2실시예의 캐리지의 캠 배치에 대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도 10은 캐리지의 지판(50)에 배치된 니이들 조작용 캠군을 하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다.
니이들용 조작캠(NC)은, 니이들 본체 조작캠군(NCn)과 슬라이더 조작캠군(NCs)으로 이루어져 있다. 니이들 본체 조작캠군(NCn)은, 상승 캠(51), 그 상위에 설치된 가이드 캠(52), 상승 캠(51) 양측의 니팅 캠(53) 및 상승 캠(51)의 하위에 설치된 각각 한쌍의 출몰이 자유로운 A프레서(54), 하프 프레서(55), 하프 프레서(55)의 하위에 항시 돌출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B프레서(5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프레서의 높이(버트의 가압량)는 A프레서(54), B프레서(56)가 최고의 높이이고, 하프 프레서(55)는 반이 되는 높이로 되어 있다. 캐리지 진행시의 상기한 B프레서의 선행측 하위에는, 상기한 각 프레서의 진로를 선택하는 침선택부(액추에이터)(A), (B)가 설치되어 있다.
상승 캠(51)은, 볼록형상의 고정부(60H) 및 그 어깨 높이의 저정부(60L)의 좌우 각각 2개의 볼록부를 보유하고, 볼록부의 외측벽은 버트 상승면으로 하고, 대향하는 내측벽은 고정부(60H)를 점프할 수 있도록 경사면(62)으로 되어 있다. 2개의 고정부(60H) 하위에는 2개의 고정부(60H),(60H) 사이에 있는 최저위치로 연결되는 횡단로(6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2개의 고정부(60H),(60H)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 캠(52) 하부의 일부를 역삼각형의 니이들 트랜스퍼 캠(64)으로 하여 출몰이 자유롭도록 설치한다.
슬라이더 조작캠군(NCs)은 니이들 본체 조작캠군(NCn)과 중심을 동일하게 하여, 가이드 캠(52)의 꼭대기부에 대향하여 슬라이더 캠(80)내에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 캠(80)의 중앙에 슬라이더 트랜스퍼 캠(65)을 출몰이 자유롭게 설치한다. 그 양측에는 출몰이 가능한 슬라이더 홀딩캠(81),(81) 및 고정된 넘김 슬라이더 진출캠(82),(82)을 설치하고 양 캠 사이를 받음 슬라이더 상승홈(83),(83)으로 한다.
넘김 슬라이더 진출캠(82),(82)은, 슬라이더 트랜스퍼 캠(65)의 좌우에 역八자 형상으로 배치되고, 그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넘김 슬라이더 가이드홈(84)이 설치된다. 넘김 슬라이더 가이드홈(84)은, 넘김 슬라이더 진출캠(82)의 상부 가장자리에 대한 위치를 최고위치로 하고 하강 가이드 캠(85)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일단 수평방향으로 된 후 아래로 향하게 된다. 슬라이더 캠(80)에는 상기 가이드 캠(85)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향하는 넘김 슬라이더 가이드홈(84)과 동일 높이의 수평홈(86)을 설치한다. 수평홈(86)은 직접적으로는 넘김 슬라이더 가이드홈(84)에 연결되지는 않지만, 경사면(87)에 의해 점프하는 것으로수평홈(86)으로부터 넘김 슬라이더 가이드홈(84)으로 슬라이더 버트가 진입될 수가 있다. 수평홈(86)의 상위에 평행하게 분기된 진출 슬라이더 수용홈(88)을 보유하고, 그 단부의 경사면(89)은, 슬라이더 홀딩캠(81)의 꼭대기부 부근에서 받음 슬라이더 가이드홈(83)의 단부에 접근되어 있다. 부호 90은 홀딩 프레서로서, 받음 슬라이더 가이드홈(83)으로부터 상기 진출 슬라이더 수용홈(88)에 슬라이더 버트(30)가 진입하도록 할 때에, 슬라이더 보조버트(31)를 삽입하고 슬라이더 버트(30)가 받음 슬라이더 가이드홈(83)으로부터 경사면(89)에 점프하기 위하여 좌우 한쌍으로 출몰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 도 11 내지 도 14와 함께 그 공정을 설명하지만, 도 11, 13에 있어서 캠면상으로의 선택 잭 버트(39), 니이들 잭 버트(38), 슬라이더 잭 버트(30), 보조 슬라이더 버트(31), 트랜스 잭 버트(13)의 괘적을 나타내고, 도 12A 내지 12F, 도 14A 내지 14D에서는 상기 괘적중의 각 위치에서의 침(4)(4fa,4fb) 및 트랜스퍼 잭(11)의 승강 또는 진퇴상태를 니이들 베드(FB)의 단면과 함께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 13에서는 가까운 측에 프론트 베드측이 향하는 측에 백베드 측의 캐리지를 각각 나타내고, 중앙의 화살표 방향으로 캐리지가 진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예로는, 구체적으로 백베드(BB)의 침(4ba)의 코(NL2)를 프론트 베드(FB)의 침(4fa)의 슬라이더(24f)의 탕(37f)에 예치하고, 침(4ba)은 공침으로 하고, 침(4ba)을 적당히 사용한 후, 공침되어 있는 침(4ba)에 프론트 베드(FB)의 침(4fa)의 탕(37f)으로부터 고리(NL2)의 반환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도 11에서, 캐리지의 좌행에 의해 백베드(BB) 측 및 프론트베드(FB) 측에서,니이들 고리(NL2)의 예치를 하고자 하는 침(4ba)과 이것을 유지시키는 침(4fa)은, 각각 A위치, H위치로 침선택부(A)에서 선택된다(도 11의 위치 12A는 H위치까지 진출한 상태). 이 때 예치되는 측(백베드(BB)측), 예치하는 측(프론트 베드(FB)측)과 함께 니이들 잭 버트(38b),(38f)가 상승하지 않으므로 훅(27b), 훅(27f)이 함께 상승하지 않는다(도 12A).
다음에, 예치측 선택 잭 버트(39b)가 A위치로 상승하지만 선행측 A프레서(54)는 내려앉기 때문에 캐리지의 진행에 대해 예치측 니이들 잭 버트(38b)가 상승 캠(54)의 버트 상승면(61)을 고정부(61H)까지 상승하여 침(4ba)의 훅(27b)을 최고로 상승시킨다. 이 때에 슬라이더(24b)도 슬라이더 홀딩캠(81)이 내려앉게 되어 슬라이더 버트(30b)가 이것과 접하지 않고 침(4ba)의 상승에 대해 상승하며, 침(4ba)의 훅(27b)에 걸려져 있는 고리(NL2)가 니이들의 슬롯부분(28)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탕(37b)의 층계부(36)에서 수용하게 된다. 예치하는 측의 니이들 잭 버트(38f)는, 선택 잭 버트(39f)가 선행측의 하프 프레서(55)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침 홈 내로 약간 압입되고, 상승 캠(51)의 버트 상승면(61)과 접하지 않고 직진하며, 횡단로(63)로 들어가거나, 니이들 잭 버트(38f)는 반이 잠겨 있기 때문에 횡단로(63)의 로벽(路壁)과 접하는 도중 약간 상승하거나, 슬라이더 버트(30f)는 선행측 슬라이더 홀딩캠(81)이 내려앉으므로 이것에 접하지 않고 직진하여 상승하지 않고, 침(4fa)의 훅(27f)만 상승하며 훅(27f)과 탕(37f)이 열리게 된다(도 11의 위치 12B 내지 도 12B).
위치 12B를 통과하면 예치되는 측에서는 니이들 잭 버트(38b)가 가이드캠(52), 돌출되어 있는 니이들 트랜스퍼 캠(64)에 의해 횡단로(63)의 높이까지 하강하고, 후행측 A프레서(54)가 돌출되므로 선택 잭 버트(39b)가 침홈 내로 압입되어 니이들 잭 버트(38b)도 마찬가지로 압입되어 그대로 횡단로(63)로 수평이동하여 들어간다. 슬라이더 버트(30b)는 돌출되어 있는 슬라이더 트랜스퍼 캠(65)에 의해 상승되므로, 침(4ba)의 슬롯부(38)에 있는 니이들 고리(NL)를 탕(37b)에 걸어 상승하고, 훅(27b)은 하강한다.
한 편, 예치하는 측에서는, 후행측 하프 프레서(55)가 내려않게 되기 때문에, 선택 잭 버트(39f), 니이들 잭 버트(38f)가 돌출하고, 니이들 잭 버트(38f)는 상승 캠(51)의 후행측 저정부(60L)를 탕 레벨까지 상승한다. 슬라이더 버트(30f)는 슬라이더 홀딩캠(81)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것에 의해 상승된다. 이 때의 상승량은 슬라이더 버트(30f) 쪽이 니이들 잭 버트(38f) 보다 크게 되기 때문에 침(4fa)이 훅(27f)에 의해 폐쇄된다(도 11의 위치 12C 및 도 12C).
다음에, 예치되는 측은, 니이들 잭 버트(38b)가 상승 캠(51)의 횡단로(63)를 수평이동하므로 훅(27b)의 상승이 없고 정지하여 있지만, 슬라이더(24b)는 슬라이더 버트(30b)가 넘김 슬라이더 진출캠(82)을 상승시킴으로서 탕(37b)을 최고로 상승하게 한다. 이러한 상승에 의해 훅(27b)의 니이들 고리(NL2)는 탕(37b)의 층계부(36)에 걸려 상승한다. 수용측은 니이들 잭 버트(38f)가 상승 캠(51)의 후행측 저정부(60L)의 탕 위치까지 상승하고, 슬라이더 버트(30f)는 슬라이더 홀딩캠(81)에 의해 최고위치까지 상승하므로, 훅(27f)은 탕(37f)에서 닫혀진 상태대로 넘김측 슬라이더(24b)의 탕(37b)에 걸려져 있는 니이들 고리(NL2) 중으로 삽입된다(도 11의 위치 12D 및 도 12D).
상기한 예치하는 측의 훅(27f)이 예치되는 측의 니이들 고리(NL2)에 삽입되면, 예치되는 측의 침(4ba)은 슬라이더 버트(30b)를 슬라이더 캠(80)의 하강 경사면에 더불어 하강하는 것과 함께 니이들 잭 버트(38b)도 상승 캠(51)의 횡단로(63) 단부의 경사에 의해 하강되고, 훅(27b)을 탕(37b)에서 닫은 상태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예치하는 측의 침(4fa)은 상기한 예치되는 측의 침(4ba)의 하강을 기다리면서 하강된다. 즉, 홀딩 프레서(90)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버트(31f)는 침홈으로 압입되고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 버트(30f)도 침홈으로 삽입되게 되고 받음 슬라이더 상승홈(83)으로부터 나온 위치에서 슬라이더 캠(80)의 홈벽으로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는 진출 슬라이더 버트 수용홈(88)으로 점프된다. 이 사이에 니이들 잭 버트(38f)는 니팅 캠(53)에 의해 하강되어 훅(27f)이 원위치로 복귀하므로, 슬라이더(24f)만이 탕(37f)에 예치된 고리(NL2)를 걸은 상태로 고위치를 확보하게 된다(도 11의 위치 12E 및 도 12E).
다음에, 캐리지의 좌행에 의해, 예치하는 측의 니이들 잭 버트(38f)가 수평으로 이동하고 훅(27f)도 최초의 위치를 유지하며, 슬라이더 버트(30f)는 진출 슬라이더 수용홈(88)으로부터 수평홈(86)으로 들어가서 탕(37f)을 하강하게 하지만, 최초의 위치보다 약간 높다. 선택 잭 버트(39f)도 B위치로 하강하고, 예치되는 측도 모두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도 1의 위치 12F 및 도 12F).
상기 조작에 의해 백베드(BB)의 침(4ba)의 훅(27b)에 걸려져 있는 니이들 고리(NL2)는, 프론트 베드(FB)의 침(4fa)의 슬라이더(24f)의 탕(37f)에 걸려지게 되고 백베드(BB)의 침(4ba)이 공침되므로 적당한 다른 침과 조합하여 편성을 행하며, 이것이 종료한 후에, 침(4fa)의 탕(37f)에 예치되고 또한 니이들 고리(NL2)를 침(4ba)으로 복귀시킨다. 또 고리의 반려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곳 반려 고리를 잡고 있는 침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침으로 복귀하여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의 복귀 조작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캐리지는 반전되어 도 13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우행한다. 이 때 좌우의 슬라이더 홀딩캠(81),(81)은 내려앉게 된다. 복귀조작은 프론트 베드(FB)의 침(4fa)의 탕(37f)의 니이들 고리(NL2)를 백베드(BB)의 침(4ba)의 훅(27b)으로 돌아오게 하는 것이다. 캐리지의 좌행에 의해 복귀측 프론트 베드(FB)측의 침선택부(B)에서 침(4fa)을 H위치로 선택한다. 하프 프레서(55),(55)는 선행측과 후행측이 함께 돌출된다. 이 때문에 선택 잭 버트(39f)가 침홈으로 압입되고 니이들 잭 버트(38f)도 압입되어 상승 캠(51)의 버트 상승면(61)과 접하지 않고 점프하고, 상승 캠(51)의 횡단로(63)로 진입한다. 또한, 슬라이더 버트(30f)는 수평홈(86) 내에 있어서, 그 단부의 경사면(87)을 상승 점프하고, 슬라이더 홀딩잭 캠(81)이 내려앉으므로 그대로 직진한다. 수용측에서는 백베드(BB)측의 침선택부(B)에서 침(4ba)를 H위치로 선택하고, 선행측만 돌출되어 있는 하프 프레서(55)에 의해 선택 잭 버트(39b)가 침홈으로 반 상당분 압입되고, 니이들 잭 버트(38b)도 압입됨으로서 상승 캠(51)의 버트 상승면(61)을 점프하고 상승 캠(51)의 횡단로(63)로 진입하는 횡단로(63)의 도중 약간 상승한다. 슬라이더 버트(30b)는, 슬라이더 캠(80)의 하부 가장자리(도13상에서는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직진한다. 따라서, 복귀측 수용측과 함께 훅(27f)이 약간 상승하는 것에 불과하다(도 13의 위치 14A 및 도 14A).
계속하여, 캐리지의 우행에 의해 복귀측 프론트 베드(FB)의 선택 잭 버트(39f)가 하프 프레서(55)로 눌려 접하게 되고, 니이들 잭 버트(38f)는 상승 캠(51)의 횡단로(63)을 수평으로 이동하게 한다. 슬라이더 버트(30f)는, 슬라이더 트랜스퍼 캠(65)에 의해 상승하고, 넘김 슬라이더 가이드 홈(84)으로 들어가며, 슬라이더(24f)의 탕(37f)이 고리(NL1)를 건 상태로 약간 상승한다. 수용측 백베드(BB)에서는, 니이들 잭 버트(38b)가 복귀측 프론트 베드(BB) 높이의 니이들 잭 버트(3f)와 마찬가지로 수평하게 이동하고, 훅(27b)은 높이가 변화하지 않는다. 슬라이더 버트(30b)는 슬라이더 캠(80)의 하부 가장자리(도 13상에서는 상부 가장자리)로 직진하고, 또한 슬라이더 홀딩캠(81)이 내려앉기 때문에 그 영향도 받지 않아서 슬라이더(24b)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변위하지 않는다. 따라서, 훅(27b), 탕(37b)과 함께 정지된 상태로 된다(도 13의 위치 14B, 도 14B).
다음에, 캐리지의 이행에 의해, 복귀측 프론트 베드(FB)의 니이들 잭 버트(38f)가 횡단로(63)를 직진하고 침(4fa)의 훅(27f)에 변화가 없지만, 슬라이더 버트(30f)는 넘김 슬라이더 가이드 홈(84) 내를 넘김 슬라이더 진출캠(82)을 따라서 상승 슬라이더(24f)의 탕(37f)을 최고로 돌출하게 한다. 이 때에 수용측에서는, 횡단로(63)를 직진하게 한 니이들 잭 버트(38b)가 횡단로(63)의 중간부분에 설치되는 반이 되는 높이보다도 낮은 높이의 분기캠(63a)으로 들어가는 횡단로(63)와 분기캠(63a)과의 경계벽을 따라서 횡단로(63)와 떨어진 저정부(60L)측으로 진행하고,니이들 잭 버트(38b)는 상승 캠(51)의 후행측 저정부(60L)로 상승하고 훅(27b)을 탕(37f)에 걸려져 있는 니이들 고리(NL2)로 삽입한다(도 13의 위치 14C 및 도 14C).
그리고, 복귀측 니이들 잭 버트(38f)는 횡단로(63)로 진행하고, 그 출구에서 약간 하강하는 원위치로 복귀하고, 슬라이더 버트(30f)는 슬라이더 캠(80)의 경사면을 따라서 하강하여 복귀하지만, 그 하강에 의해 탕(37f)의 고리(NL2)가 이탈하여 고리(NL2)는 수용측 훅(27b)에 남게 된다. 수용측은 상기한 복귀측의 하강보다 약간 느리게 니이들 잭 베드(38b)가 니팅 캠(53)에 의해 하강되고 슬라이더 버트(30b)는, 가이드 캠(85)에 의해 니이들 잭 버트(38b)의 하강괘적과 마찬가지의 괘적을 보유하여 하강한다. 이렇게, 프론트 베드(FB)의 니이들(4fa)에 니이들 고리(NL1)가 걸리고, 백베드(BB)의 니이들(4ba)에 니이들 고리(NL2)가 각각 걸리고 원래로 복귀하게 된다(도 13의 위치 14D 및 도 14D).
다음에 코 고리의 예치장치를 사용한 편지편성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평편(平編) 조직으로 이루어진 전신경(前身頃)과 후신경(後身頃)을 그 양단에 연결하여 원통형상으로 편성된 신경의 각 옷자락부에 1×1 리브편으로 이루어진 옷자락 고무부를 편성하는 예로서, 도 15A 내지 15G는 옷자락 고무부로부터 신경부에 걸친 편성 단계를 나타낸다. 우선 단계 1(도 15A)에서 전침상(FB)의 침(a, c, e,...,)과 후침상(BB)의 침(b, d, f,...)에 급사하여 전신경(f)측의 옷자락 고무부의 코스편성을 행한다. 이 단계 1의 편성을 소정회수 반복하여 행함으로서 소망하는 크기의 옷자락 고무를 얻는다. 다음에 단계 2(도 15B)에서는, 후침상(BB)의침(b, d, f,...)으로 짜여진 코 고리를 전침상(FB)의 코 고리를 거는 침(a, c, e,...)에 예치한다. 이 코 고리의 예치는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행한다. 계속하여 단계 3(도 15C)은 후신경의 1×1 옷자락 고무부의 편성을 나타내고, 후침상(BB)의 침(a, c, e,...)과 전침상(FB)의 침(b, d, f,...)에 의해 행해진다. 이러한 편성도 상기 단계 1의 전신경측의 옷자락 고무부와 마찬가지로 소정 회수 반복하여 행하여 소망하는 크기의 옷자락 고무부를 얻는다.
상기한 단계 1∼3에 의해 전후의 옷자락 고무부의 편성이 종료하고, 계속되는 단계에서 옷자락 고무부에 계속하여 행해지는 신경의 편성을 위한 코 고리가 이동분배의 편성이 행하여진다. 즉, 단계 4(도 15D)에서는 전침상(FB)의 침(b, d, f,...)에서 짜여진 후신경의 옷자락 고무부의 코 고리를 후침상(BB)의 공침(b, d, f,...)으로 이동시키고, 계속하여 단계 5(도 15E)에서는, 상기한 단계 2에서 예치된 전신경의 옷자락 고무부의 코 고리를 후침상(BB)의 코 고리를 거는 침(a, c, e,...)에 일단 예치한 후, 단계 6(도 15F)에서 후침상(BB)을 좌방향으로 래킹하여 예치된 코 고리를 전침상(FB)의 공침(b, d, f,...)으로 이동시킨다. 이로 인하여, 전후 침상(FB),(BB)의 각 침은 코 고리를 건 상태로 되고, 이후 단계 7(도 15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사(編絲)를 후침상(BB), 계속하여 전침상(FB)의 각 침에 시계침 방향으로 주위에 공급함으로서 옷자락 고무부에 계속하여 신경을 원통형상으로 편성할 수가 있다.
다음에 순 고무조직으로 이루어진 전측 편지와 후측 편지가 그 양단에 연결된 원통형상의 편지를 편성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6A 내지 16G는 그 편성 단계를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후 침상의 상방에 한쌍의 침상을 설치한 4매-베드 편성기를 더 사용한다.
단계 1(도 16A)은, 전하부 침상(FD)의 침(a, b, c,...)과 후상부 침상(BU)의 침(a, b, c,...)을 사용하여 순 고무의 전측 편지의 코스편성을 행한다. 이 때에 도 16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측 편지의 코 고리는 후하부 침상(BD)의 침(a, b, c,...)에, 상세하게는 후하부 침상(BD)의 침의 훅 내에 후측 편지의 표목(表目) 고리를 거는 것과 함께 동일 침의 슬라이더의 탕 상에 후측 편지의 이목(裏目) 고리를 예치한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다음에 전측 편지의 코스편성에 계속하여 후측 편지의 코스편성을 행하기 위하여 우선 단계 2(도 16B)에서 후상부 침상(BU)의 침으로 편성된 전측 편지의 이목고리를 전하부 침상(FD)의 각 침의 슬라이더의 탕상에 예치한 후, 단계 3(도 16C)에서 후하부 침상(BD)의 침의 슬라이더의 탕상에 예치되어 있는 후측 편지의 이목 고리를 전상부 침상(FU)의 침으로 이동시킨다. 단계 4(도 16D)는, 후하부 침상(BD)의 침(a, b, c,...)과 전상부 침상(FU)의 침(a, b, c,...)을 사용하여 후측 편지의 코스편성을 행한다. 계속되는 단계(5∼7)에(도 16E 내지 16G)에 나타낸 편성에 의해 후측 편지의 코스편성에 계속하여 행해지는 전측 편지의 코스편성을 나타내고, 단계 5(도 16E)에서 후측 편지의 이목고리를 후하부 침상(BD)의 침에 예치시키고, 다음 단계 6(도 16F)에서 전하부 침상의 침에 예치되어 있는 전측 편지의 이목 고리를 후상부 침상의 침에 예치한 후, 단계 7(도 16G)에서 전측 편지의 편성을 행한다. 상기한 단계(1∼6)의 편성을 반복하여 행하여 순 고무조직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편지를 편성한다.
상기한 예에서는, 전후 어느 쪽의 하부 침상(FD),(BD)에 원통형상의 편지를 구성하는 전후 편지의 한쪽 코 고리를 예치하고, 코 고리가 예치되어 있지 않은 측의 하부 침상(FD)과 치구를 끼워서 그것과 대향하는 상부 침상(BU)의 침으로 원통형상의 편지의 다른 쪽의 편지를 편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부 베드의 배치위치에 의해 코 고리를 예치한 하부 침상의 침의 상위에 있는 상부 침상의 침은 치구를 향하여 진출할 때에 하위의 침과 충돌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는 코 고리를 예치하고 있는 침이 탕으로부터 코 고리가 흘러 넘쳐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슬라이더를 후퇴시키거나 또는 하부 침상을 치구로부터 후퇴시켜 퇴피위치로 이동시키는 기구를 횡편기에 부설하여 상기한 침끼리의 돌출을 회피한다.
이와 같이, 4매 베드 횡편기에 본 발명의 장치를 적용시키는 것으로, 종래 4매 베드 횡편기에서도 편성할 수 없었던 편지 편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가 예컨대 원통형상의 편지에 링스대, 케이블대, 그물대 등의 받침대 고무의 내감되는 편성을 처음 각종의 편성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 제1실시예에 의해 고리를 침으로부터 트랜스퍼 잭을 통하여 침에 예치하는 예, 제2실시예에 의해 고리를 침으로부터 침에 예치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제1실시예의 편성 캠과는 다른 위상으로 설치한 홀딩캠으로 침으로부터 침으로 예치하는 유형으로 하고, 제2실시예의 편성 캠 내에 설치한 홀딩캠으로, 잭을 통하여 설치하는 유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제2실시예에서는, 코 고리 편성용 침 조작수단과 일체로 홀딩캠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캐리지를 소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캐리지의 진행방향도 좌우 어느 쪽이든 간에 홀딩이 가능하다. 보통 홀딩캠을 조립할 때의 베이스로 하는 코 편성용 록(lock) 자체는 좌우대칭이 아니고, 이동 등에 캐리지의 방향성을 제약하도록 한 유형(예컨대, 좌행시 앞에서 뒤로, 우행시 뒤에서 앞으로)으로 홀딩캠을 내장시키면, 홀딩시의 캐리지의 이행방향이 한쪽으로 규제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침의 훅 내와 슬라이더의 탕상에 2개의 코 고리를 각각 분리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대향하는 침상에 공침이 없는 것으로 침상 사이에서 코 고리를 주고받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종래의 편지 편성상의 고정 관념적인 제약을 적게 하여 니트 편성의 다양성, 즉 신규한 편조직이 얻어지거나 니트 생산에서의 힘의 절약을 도모할 수가 있다.

Claims (3)

  1. 적어도 전후 한 쌍으로 대향 배치된 침상에, 침 본체와 슬라이더가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한 복합침(이하, 침이라고 함)을 나란히 설치하고, 이 침은 슬라이더의 탕(tongue)이 2매의 얇은 탄성판상체의 적층체로 형성되고, 침 본체의 선단에 설치된 훅의 갈고리 구멍을 개폐하는 것과 함께 훅을 초과하여 진출할 수 있고, 이 훅을 초과하여 진출할 때에 탕의 선단을 훅으로 확개하여, 탕 위에 침 자신이 걸은 코 고리를 놓은 상태에서 치구(齒口)로 밀어올릴 수가 있고, 침 본체와 슬라이더의 각각은 캐리지에 설치된 침 본체 조작수단 및 슬라이더 조작수단으로 이루어진 침 조작수단으로 진퇴제어가 가능하게 구성된 횡편기에 있어서, 코 고리 편성용 침 조작수단에 더하여, 편성된 코 고리를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가 되지 않도록 다른 침의 슬라이더의 탕에 예치하기 때문에, 유지시키기 위한 코 고리에 대하여 상기 침의 훅과 탕을 진입시키고, 그 코 고리를 슬라이더 탕에 거는 침 본체 및 슬라이더 조작용 홀딩캠, 및 예치된 고리가 탕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탕을 전진위치로 보지하기 위한 슬라이더 버트 경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코 고리 예치장치.
  2. 적어도 전후 한 쌍으로 대향 배치된 침상에, 침 본체와 슬라이더가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한 침을 나란히 설치하고, 이 침은 슬라이더의 탕이 2매의 얇은 탄성판상체의 적층체로 형성되고, 침 본체의 선단에 설치된 훅의 갈고리 구멍을 개폐하는 것과 함께 훅을 초과하여 진출할 수 있고, 이 훅을 초과하여 진출할 때에 탕의 선단을 훅으로 확개하여, 탕 위에 침 자신이 걸은 코 고리를 놓은 상태에서 치구로 밀어올릴 수가 있고, 침 본체와 슬라이더의 각각은 캐리지에 설치된 침 본체 조작수단 및 슬라이더 조작수단으로 이루어진 침 조작수단으로 진퇴제어가 가능하게 구성된 횡편기에 있어서, 코 고리 편성용 침 조작수단에 더하여, 편성된 코 고리를 더블 스티치가 되지 않도록 다른 침의 슬라이더의 탕에 예치하기 때문에, 유지시키기 위한 코 고리에 대하여 상기 침의 훅과 탕을 진입시키고, 그 코 고리를 슬라이더 탕에 거는 침 본체 및 슬라이더를 조작하는 홀딩캠을 코 고리 편성용의 침 조작수단과는 별개로 캐리지 상에 위상을 겹치지 않게 설치하고, 예치된 고리가 탕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탕을 전진위치로 보지하기 위한 슬라이더 버트 경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코 고리 예치장치.
  3. 적어도 전후 한 쌍으로 대향배치된 침상에, 침 본체와 슬라이더가 상대이동가능하게 구성한 침을 나란히 설치하고, 이 침은 슬라이더의 탕이 2매의 얇은 탄성판상체의 적층체로 형성되고, 침 본체의 선단에 설치된 훅의 갈고리 구멍을 개폐하는 것과 함께 훅을 초과하여 진출시킬 수 있고, 이 훅을 초과하여 진출할 때에 탕의 선단을 훅으로 확개하여, 탕 위에 침 자신이 걸은 코 고리를 놓은 상태에서 치구로 밀어올릴 수가 있고, 침 본체와 슬라이더의 각각은 캐리지에 설치된 침 본체 조작수단 및 슬라이더 조작수단으로 이루어진 침 조작수단으로 진퇴제어가 가능하게 구성된 횡편기에 있어서, 침 본체 조작수단은, 주변을 버트 상승면으로 하고 탕높이의 저정부(低頂部)와 이 보다 높은 고정부(高頂部)로 이루어진 볼록부를 좌우로 한쌍 나란히 배치하고, 상기한 한쌍의 볼록부의 사이에는 니이들 트랜스퍼 캠을 설치하고, 상기 좌우 한쌍의 볼록부의 기부(基部)에는, 중앙부분에서 좌우 고저의 볼록부 주변의 버트 안내홈과 통하는 횡단로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상승 캠, 그 양측의 코팅 캠 및 상부의 가이드 캠을 보유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슬라이더 조작수단은, 상기 상승 캠과 동일 중심선상에 설치된 슬라이더 트랜스퍼 캠의 측방에 넘김 슬라이더 상승홈을 형성하는 넘김 슬라이더 진출캠과, 받음 슬라이더 상승홈을 형성하는 받음 슬라이더 홀딩캠 및 예치된 고리가 탕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탕을 전진위치로 보지하기 위한 슬라이더 버트 경로를, 슬라이더 캠에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코 고리 예치장치.
KR1019990017262A 1998-05-15 1999-05-14 횡편기의 코 고리 예치장치 KR100299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32922A JP2995464B2 (ja) 1998-05-15 1998-05-15 横編機における編目ループの預け置き装置
JP98-132922 1998-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8278A KR19990088278A (ko) 1999-12-27
KR100299007B1 true KR100299007B1 (ko) 2001-10-29

Family

ID=1509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262A KR100299007B1 (ko) 1998-05-15 1999-05-14 횡편기의 코 고리 예치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79231A (ko)
EP (1) EP0959162B1 (ko)
JP (1) JP2995464B2 (ko)
KR (1) KR100299007B1 (ko)
CN (1) CN1133767C (ko)
DE (1) DE69934047T2 (ko)
ES (1) ES2276505T3 (ko)
TW (1) TW4467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8109B2 (ja) * 1999-02-12 2001-04-2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よる編目係止方法
DE19954477A1 (de) * 1999-11-12 2001-06-07 Stoll & Co 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Umhängen von Maschen auf einer Strickmaschine
DE19962032A1 (de) * 1999-12-22 2001-06-28 Stoll & Co H Verfahrung zur Bildung neuer Maschen auf einer Strickmaschine
FR2806102B1 (fr) * 2000-03-08 2002-05-24 Terrot Article tricote, notamment body, et procede de fabrication
TW575705B (en) * 2000-03-30 2004-02-11 Shima Seiki Mfg Weft knitting machine with transferring mechanism and transferring method
TW584684B (en) * 2000-05-18 2004-04-21 Shima Seiki Mfg Weft knitting machine with transfer mechanism
TW548358B (en) * 2000-08-22 2003-08-21 Shima Seiki Mfg Weft knitting machine with transfer mechanism and transferring method
EP1262585B1 (de) * 2001-06-01 2010-07-21 H. Stoll GmbH & Co. Verfahren zum Verschleifen von Maschen
WO2003097915A1 (fr) * 2002-05-15 2003-11-27 Shima Seiki Mfg., Ltd. Platine de report, metier a mailles cueillies equipe de cette platine, et procede de report de mailles utilisant cette platine
JP4015982B2 (ja) * 2003-10-10 2007-1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編成用カム装置
WO2007020829A1 (ja) * 2005-08-12 2007-02-22 Shima Seiki Mfg., Ltd. パイピング部を有する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EP2180093B1 (en) * 2007-06-29 2015-11-11 Shima Seiki Mfg., Ltd Cylindrical fabric knitting method
CN101314887B (zh) * 2008-07-16 2011-04-06 冯加林 一种适用于电磁选针的织针组合
JP5452791B2 (ja) 2010-03-15 2014-03-2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側端部を補強した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RU2493301C2 (ru) * 2011-09-16 2013-09-20 Пай Лун Машинери Милл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фонтуры плосковязальной машины
JP5875347B2 (ja) * 2011-11-30 2016-03-0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複合針
FR2986242B1 (fr) * 2012-01-26 2014-02-14 Steiger Participations Sa Procede de tricotage pour machine a tricoter rectiligne et machine a tricoter rectiligne
US9226540B2 (en) 2013-02-28 2016-01-05 Nike, Inc. Method of knit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a vertically inlaid tensile element
CN103866478B (zh) * 2014-03-04 2015-06-17 江苏金龙科技股份有限公司 由双针床横编机编织织可穿1×1罗纹组织织物的方法
CN103882617B (zh) * 2014-03-10 2015-08-19 江苏金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由双针床横编机编织织可穿织物的加针编织方法
EP3034665B1 (de) * 2014-12-18 2024-01-24 KARL MAYER STOLL R&D GmbH Flachstrickmaschine mit einer Vorrichtung zum Einstreifen und Einlegen von Schuss-, Kett- und/oder Flottfäden
CN105239264B (zh) * 2015-10-28 2017-03-29 东华大学 一种复合三角系统
CN105239263B (zh) * 2015-10-28 2017-03-29 东华大学 一种应用于全成型电脑横机的复合三角系统
ITUA20162241A1 (it) * 2016-04-01 2017-10-01 Staeubli Italia S P A Dispositivo di rimagliatura e macchina comprendente detto dispositiv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51150C2 (de) * 1981-12-23 1984-09-13 Universal Maschinenfabrik Dr. Rudolf Schieber GmbH & Co KG, 7081 Westhausen Schiebernadel
DE3220055A1 (de) * 1982-05-27 1983-12-01 Universal Maschinenfabrik Dr. Rudolf Schieber GmbH & Co KG, 7081 Westhausen Strick-umhaengeschloss fuer v-bett-flachstrickmaschinen mit schiebernadeln
DE3327093C2 (de) * 1983-07-27 1986-05-22 Universal Maschinenfabrik Dr. Rudolf Schieber GmbH & Co KG, 7081 Westhausen Kombiniertes Strick-Umhhängeschloß für R-R-Flachstrickmaschinen mit V-förmig angeordneten Nadelbetten und mit Schiebernadeln
CA2085881C (en) * 1991-04-19 2002-06-25 Joseph A. Beavo Dna encoding mammalian phosphodiesterases
JP2794144B2 (ja) * 1992-10-22 1998-09-0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目移し装置を有する横編機
JP2604677B2 (ja) * 1992-12-17 1997-04-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
JP3192510B2 (ja) * 1992-12-22 2001-07-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交差柄編成方法及び交差柄編成装置
US6047569A (en) * 1997-05-27 2000-04-11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Method for holding a stitch loop
US6018966A (en) * 1997-07-11 2000-02-01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Stitch forming method and a flat knitting machine therefor
JP3085657B2 (ja) * 1997-08-08 2000-09-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59162A3 (en) 2002-05-29
ES2276505T3 (es) 2007-06-16
CN1236031A (zh) 1999-11-24
JPH11323704A (ja) 1999-11-26
TW446773B (en) 2001-07-21
US6079231A (en) 2000-06-27
JP2995464B2 (ja) 1999-12-27
CN1133767C (zh) 2004-01-07
KR19990088278A (ko) 1999-12-27
DE69934047T2 (de) 2007-05-31
DE69934047D1 (de) 2007-01-04
EP0959162A2 (en) 1999-11-24
EP0959162B1 (en) 200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9007B1 (ko) 횡편기의 코 고리 예치장치
US6125661A (en) Flat knitting machine
US6079233A (en) Fla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loop forming plates
KR101223919B1 (ko)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횡편기
US5367892A (en) Stitch increasing for flat knitting machines
US5398527A (en)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transferring mechanism
US6018966A (en) Stitch forming method and a flat knitting machine therefor
EP2711447B1 (en) Knitting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ove
EP0751248B1 (en) Knitting and transfer cam for flat knitting machine
JP4015982B2 (ja) 編地編成用カム装置
EP0567282A1 (en) Flat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rocking sinkers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JPS6214663B2 (ko)
US4667488A (en) Device for the selection of the sinker and needle assemblies of an automatic flat knitting machine
JPH0874146A (ja) コンパウンドニードルを用いた横編機における経糸用カムロック
JPH0684583B2 (ja) 増目方法及び増目機能を有する横編機用操針カム
JPH04272259A (ja) ジャカードパイル編地の編成方法及び装置
JPS6252063B2 (ko)
US4333320A (en) Left-left flat knitting machine
JPS5837421B2 (ja) インタ−シヤ編編成方法
CN213447524U (zh) 电脑针织横机山板
WO2022191204A1 (ja) 横編機によるパンチレース編地の編成方法
JPS5823944A (ja) 丸編機による柄パイル編地の製造方法
CN116988213A (zh) 一种基于电脑横机三角系统的编织工艺
KR100318757B1 (ko) 원형 편성기용 컴퓨터 제어방식의 니이들 선택 장치
JPH06287841A (ja) カ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