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547B1 - 문자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문자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547B1
KR100298547B1 KR1019970054087A KR19970054087A KR100298547B1 KR 100298547 B1 KR100298547 B1 KR 100298547B1 KR 1019970054087 A KR1019970054087 A KR 1019970054087A KR 19970054087 A KR19970054087 A KR 19970054087A KR 100298547 B1 KR100298547 B1 KR 100298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put
characters
display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4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3033A (ko
Inventor
가츠야 고노
히로유키 구마이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19980033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퍼스널컴퓨터나 워드프로세서 등의 정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키보드에 의한 문자입력과 수서문자입력이 동시에 가능하고 문장 등의 일련의 문자열의 입력시에 그 각 문자를 키보드나 수서 중의 어느 것으로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서문자입력을 위한 표시일체형의 타블렛, 이 타블렛에서 입력된 수서정보에서 다국어의 문자를 인식하는 수서문자 인식부, 인식결과의 문자를 표시하는 다국어의 폰트생성부 및 이 인식결과를 주작업용 컴퓨터로 송출하는 문자출력 제어부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키보드로 부터의 입력이 곤란한 다른 나라의 문자의 입력이 용이하게 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문자입력장치{CHARACTER INPUT APPARATUS}
본 발명은 퍼스널컴퓨터나 워드프로세서 등의 정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러나라의 문자를 입력하는 다국어(multilingual) 정보처리장치의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정보화 사회의 무국경화(borderless)에 수반해서 정보처리 분야에서 는 여러 나라이 언어를 취급하는 소위 다국어(멀티링걸)처리가 필요로 되고 있다. 종래에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는 한 나라의 언어만을 취급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지만, 상술한 배경에 따라 여러 나라의 언어를 동시에 취급하는 시스템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ISO에서는 각 나라마다의 코드화된 문자를 모두 포함한 문자코드 체계 ISO10646을 정의하고 있다. 또, 여러 나라의 언어를 취급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 제공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오퍼레이팅시스템의 1예가 예를 들면 「덴노우(電腦) 외국어대학」 기술평론사 1993년 간행 pp.95-97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황중에서 각국의 언어의 입력수단으로서는 우선 키보드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키보드는 주로 알파벳을 입력하는 고작 100개의 키로 구성되어 있고, 일본의 문자나 중국의 한자, 한국의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소위 FEP(문자입력 프로세서)를 사용해서 키입력을 변환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문자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수서(手書)문자인식을 이용해서 수서 문자를 문자코드로 변환하는 시스템이 있다.
키보드 입력에서는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검색자인 음독(읽는 법)을 알아야만 하지만, 수서문자 입력에서는 한자의 자형(字形)만 알고 있으면 좋다는 이점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61-153788호에는 일본어의 문자인식에 있어서 한자/가타카나/히라가나의 문자종류를 전환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근래, 동아시아 한자권의 교류가 활발하게 됨과 동시에 관공서나 호텔 등에서 중국이나 한국 문자의 입력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일본 국내에서도 이들 중국이나 한국 문자의 정보로 액세스하거나 문자를 입력하는 기회가 관공서나 호텔 등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현상태에서는 이들 모든 나라의 한자를 간단하게 입력하는 방법은 없다. 반대로, 중국에서도 일본어나 한국어의 입력이, 또 한국에서는 일본어나 중국어의 입력이 각각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키보드에 의한 문자입력과 수서문자입력이 동시에 가능하고, 문장 등의 일련의 문자열의 입력시에 그 각 문자를 키보드나 수서 중의 어느 것으로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장치의 1실시예의 블럭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표시일체형 타블렛에서의 표면화면의 1구체예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의 입력 문장예와 그 입력방법을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의 제4도에 도시한 입력문장에 대한 입력동작과 그것에 의한 표시일체형 타블렛에서의 표시화면에서의 표시내용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의 표시일체형 타블렛에서의 다른 입력 조작에 의한 표시화면에서의 표시내용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수서문자입력을 위한 표시일체형의 타블렛, 이 타블렛에서 입력된 수서정보에서 다국어의 문자를 인식하는 수서문자 인식부, 인식결과의 문자를 표시하는 다국어의 폰트생성부 및 이 인식결과를 주작업용 컴퓨터로 송출하는 문자출력 제어부를 마련하고, 사용자가 키보드입력 도중이라도 다른 나라의 언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한 외관도로서, (1) 은 주작업 컴퓨터, (1a)는 표시화면, (2)는 키보드, (3)은 표시일체형 타블렛, (4)는 통신선이다.
일반적으로, 업무용도로는 디스크톱형의 퍼스널 컴퓨터(이하, 주작업 컴퓨터라 한다)가 사용되고 문자의 입력은 키보드로 실행된다. 이 때, 예를 들면 일본어에 대해서는 가나한자 변환 등의 소위 FEP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로마자등의 키입력을 가나나 한자로 변환해서 입력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이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보드(2)를 구비한 주작업 컴퓨터(1)에 부가해서 외부에 표시일체형 타블렛(3)을 추가하고, 이것을 통신선(4)에 의해 주작업 컴퓨터(1)에 접속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통상은 키보드(2)에 의해 문자를 입력하지만 음독이나 코드를 모르는 중국한자나 한글문자 등의 문자에 대해서는 타블렛(3)에 의해 수서로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은 이 실시예의 블럭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101)은 중앙처리 제어부, (102)은 수서입력부, (103)은 표시부, (104)는 수서문자인식 제어부, (105)는 일본어 인식부, (106)은 간체자(simplified chinese character) 인식부, (107)은 번체자(traditional chinese character) 인식부, (108)은 한국어 인식부, (109)는 폰트생성부, (110)은 일본어 폰트, (111)은 간체자 폰트, (112)는 번체자 폰트, (113)은 한국어 폰트, (114)는 문자출력 제어부, (120)은 문자입력 제어부, (121)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고, 도 2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중앙처리 제어부(101)이나 수서입력부(102), 표시부(103), 수서문자인식 제어부(104), 일본어 인식부(105), 간체자 인식부(106), 번체자 인식부(107), 한국어 인식부(108), 폰트생성부(109), 일본어 폰트(110), 간체자 폰트(111), 번체자 폰트(112), 한국어 폰트(113), 문자출력 제어부(114)는 타블렛(3)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고, 문자입력 제어부(120)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21)은 주작업 컴퓨터(1)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수서입력부(102)는 사용자가 수서문자입력을 위해 조작하는 전자펜에 의한 입력좌표를 검지하는 투명한 디지타이저(digitizer)이고, 표시부(103)은 액정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이고, 통상 이 표시부(103)에 타블렛이나 펜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서입력부(102)를 중합하고(포개놓고) 있다. 이 표시부(103)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수서문자의 궤적인 스트로크나 문자인식결과,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옵션지정이나 커맨드버튼 등이 표시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수서입력부(102)에서 입력된 문자의 스트로크 정보를 처리해서 문자인식하고 그 인식결과를 문자코드로 변환하는 인식부로서 일본어 인식부(105)나 간체자 인식부(106), 번체자 인식부(107), 한국어 인식부(108)의 4개국어에 대한 인식부가 마련되어 있고, 수서문자인식 제어부(104)는 사용자의 지정에 의해 이들 4개국어의 인식부(105)~(108) 중의 1개 또는 여러개를 선택하고 이것에 의해 인식된 입력스트로크정보를 문자코드로 변환해서 출력한다.
폰트생성부(109)는 일본어 인식부(105)에서 인식되어 변환된 문자코드에 대해서 일본어 폰트(110)을 생성하는 바와 같이 각국의 문자의 인식부(105)~(108)에서 인식되어 변환된 문자코드에서 해당하는 나라의 문자폰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상의 각 처리는 중앙처리 제어부(101)에 의해 제어되고, 또 이 중앙처리 제어부(101)은 폰트생성부(109)에서 생성된 문자폰트를 표시부(103)에 의해 표시시킴과 동시에 사용자로 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얻어진 문자코드를 문자출력 제어부(114) 및 통신선(115)를 거쳐서 주작업 컴퓨터(1)측으로 송출한다.
이상과 같은 표시일체형 타블렛(3)의 구성은 예를 들면 펜컴퓨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수서입력가능한 장치와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주작업 컴퓨터(1)측에서는 문자입력 제어부(120)이 타블렛(3)에서 보내져온 문자코드를 문자의 입력을 요구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21)로 보낸다.
주작업 컴퓨터(1)은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와 그것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현되고, 통신선(4)는 직렬통신이나 적외선통신 등에 의해 실현된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표시일체형의 타블렛(3)의 표시화면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1구체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201)~(205)는 언어종별의 선택버튼, (206), (207)은 스트로크 묘화영역, (208)은 클리어버튼, (209)는 인식개시버튼, (210)은 입력문자 가(假)표시부, (211)은 후퇴버튼, (212)는 인식후보 리스트영역, (213)은 송출버튼이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선택버튼(201), (202), (203), (204), (205)는 수서문자 인식에 의해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언어종별을 사용자가 지정하는 것이고, 일본어의 문자를 수서입력할 때는 선택버튼(201)을, 중국어 간체자를 수서입력할 때는 선택버튼(202)를, 중국의 번체자를 수서입력할 때는 선택버튼(203)을, 한국어의 문자를 수서입력할 때는 선택버튼(204)를 각각 조작하고, 또 수서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나라별 언어종별을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선택버튼(205)를 조작한다. 여기서,「조작」이라는 것은 물론 펜 등에 의해 조작버튼을 지시하는 것이고, 다른 조작버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는 표시화면에 2개의 스트로크 묘화영역(206), (207)이 마련되어 있고, 각각에 1문자씩을 수서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클리어버튼(208)은 이들 스트로크 묘화영역(206), (207)에 묘화중인 문자를 소거(캔슬)하기 위한 것으로서, 묘화중인 문자가 잘못되었거나 했을 때 이 클리어버튼(208)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이 문자의 쓰다만(라이트중인) 스트로크를 소거할 수 있다.
스트로크 묘화영역(206), (207) 중의 어느 하나에서 원하는 문자의 묘화를 종료하면, 인식개시버튼(209)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도 1에 있어서 수서문자 인식제어부(104)가 이 문자의 스트로크의 좌표데이타를 중앙처리 제어부(101)을 거쳐서 페치(입력)하고, 인식부(105)~(108) 중의 선택버튼(201)~(205) 중의 어느 하나의 조작에 따른 인식부를 동작시켜 문자인식처리와 인식결과의 문자코드로의 변환을 실행시킨다. 이 문자코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문자폰트로 변환되어 표시부(103)으로 공급되지만, 이 문자폰트에 의해 인식결과의 문자가 입력문자 가표시부(210)에 표시된다. 스트로크 묘화영역(206), (207)에 교대로 1문자씩 수서입력되고 1문자의 입력어마다 인식개시버튼(209)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그들 입력문자의 인식결과가 그 입력순으로 입력문자 가표시부(210)에 표시된다.
또한, 인식개시버튼(209)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스트로크 묘화영역(206), (207)에 묘화된 수서문자의 인식동작이 개시되지만, 여기에서는 또 수서문자의 묘화종료후 인식개시버튼(209)를 조작하지 않아도 일정시간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인식동작을 개시하도록 하고 있기도 하다.
입력문자 가표시부(210)에 표시되는 인식결과 중에는 제2위 이하의 인식후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도 있다. 그래서, 그곳에 인식결과의 문자가 표시되면 이 문자를 펜 등으로 지시하는 것에 의해, 이 문자에 제2위 이하의 인식후보가 있는 경우 이들 인식후보가 인식후보 리스트영역(212)에 표시된다. 그리고, 인식후보 리스트영역(212)에 표시되어 있는 인식후보 중의 어느 하나를 펜 등으로 지시하면, 이 지시된 인식후보가 입력문자 가표시부(210)에 의해 그 때의 최후에 배열되는 문자와 교체된다. 이것에 의해, 입력문자 가표시부(210)에 표시되는 인식결과가 잘못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인식결과 이외의 인식후보를 인식후보 리스트영역(212)에 표시시키고, 그 중의 정확한 인식후보를 지시하는 것을 의해 입력문자 가표시부(210)에 정확한 인식결과가 얻어지게 된다.
또, 입력문자 가표시부(210)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중 임의의 문자를 펜 등에 의해 지정해서 후퇴버튼(211)을 조작하면, 이 지시된 문자는 소거된다. 이때, 이 지시된 문자는 도시하지 않은 커서에 의해 지시되기 때문에, 이 문자가 소거되더라도 이 소거된 문자의 위치가 커서에 의해 그대로 지시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스트로크 묘화영역(206), (207)중의 어느 하나에 문자를 수서입력하고 인식개시버튼(209)를 조작하면, 이 수서입력문자의 인식결과가 입력문자 가표시부(210)의 커서에 의해 지시되는 위치에 삽입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잘못해서 수서입력된 문자의 수정을 실행할 수 있다. 문자의 수서입력이 모두 종료하고 입력문자 가표시부(210)에 의해 표시되는 문자가 모두 정확할 때, 송출버튼(213)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이들 문자의 문자코드가 도 1에 있어서 중앙처리 제어부(101)에서 주작업 컴퓨터(1) 측으로 송출된다.
또한, 이상의 각 조작버튼(201)~(205), (208), (209), (211), (213)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표시하고 있다.
다음에, 도 4에 도시한 문장(문자열)을 예로 들어 이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주작업 컴퓨터(1)에서는 FEP를 사용해서 키보드(2)에서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장은 예를 들면 도 4의 (a)에 도시한 것으로 하고, 이 중의 문자열(401), (403)은 일본어이고, 문자열(402)는 일본어에 없는 중국어의 문자인 것으로 한다.
이러한 문장을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우선 FEP를 사용하여 키보드(2)에서 일본어 부분을 이루는 문자열(401)을 입력한다. 이 때의 주작업 컴퓨터(1)의 표시화면(1a)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문자열(401)이 표시된다. 다음에, 사용자는 표시일체형 타블렛(3)에서 상기의 조작에 의해 중국어의 부분을 이루는 문자열(402)의 입력을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주작업 컴퓨터(1)의 표시화면(1a)에는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문자열(401), (402)가 표시된다. 또, 사용자는 키보드(2)에서 일본어 부분을 이루는 문자열(403)을 입력한다. 이 때의 주작업 컴퓨터(1)의 표시화면(1a)에는 도 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문자열(401), (402), (403) 즉 문장전체가 표시된다.
다음에, 이러한 중국어의 문자열(402)의 입력조작에 대해서 도 5에 의해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 문자열(402)의 언어종별이 중국어의 간체자라고 알고 있는 것으로 하면 선택버튼(202)를 선택한다. 이것을 모르는 경우에는 선택버튼(205)를 선택한다. 여기서는 선택버튼(202)를 선택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 문자열(402)의 1문자째를 수서에 의해 스트로크 묘화영역(206)에 묘화한다. 이것에 의해, 도 5의 (a)에 도시한 상태가 얻어진다.
스트로크 묘화영역(206)에서의 묘화가 종료한 경우, 일정시간이 경과하거나 사용자가 인식개시버튼(209)를 지시하면 이 스트로크 묘화영역(206)에 묘화된 수서문자의 인식이 개시되고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인식결과의 문자(300)이 입력문자 가표시부(210)에 표시된다.
이 때, 이 표시된 문자(300)이 원하는 문자가 아닌 경우에는 이 문자(300)을 도시하지 않은 펜 등으로 지시하는 것에 의해,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식후보 리스트영역(212)에 인식결과 이외의 후보의 문자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이 인식후보 리스트영역(212)에 표시되는 문자 중의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면, 입력문자 가표시부(210)의 문자(300)이 이 선택된 문자와 교체된다. 또한, 인식후보 리스트영역(212)에도 원하는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후퇴버튼(211)을 지시해서 일단 입력문자(300)을 삭제하고 다시 수서로 문자를 묘화한다.
마찬가지로 해서, 도 4의 (a)에 도시한 문자열(402)의 2문자째의 문자를 입력하면 도 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문자 가표시부(210)에 이 문자열(402)의 인식결과(301)이 표시되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송출버튼(213)을 지시하면 입력문자 가표시부(210)에 표시되어 있던 문자열(301)의 문자코드가 주작업 컴퓨터(1)로 송출된다.
주작업 컴퓨터(1)에서는 통신선(4)를 통해 이러한 문자코드를 수취하면, 이 문자열과 키보드(2)에서 입력된 문자열(401), (403)을 도 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작업컴퓨터(1)의 표시화면(1a)에 표시한다.
또한, 도 5의 (d)에 도시된 표시상태에서 입력문자 가표시부(210)에 표시되는 문자열(301)의 1문자째(300)이 잘못되어 있는 것이 판명되고 이것을 정정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펜 등에 의해 이 문자(300)을 지시하고 후퇴버튼(213)을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이 문자(300)은 소거되지만, 이 소거된 문자(300)의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도시하지 않음)가 표시되고 있다. 그래서, 이 문자(300)에 대해 다시 스트로크 묘화영역(206) 또는 (207)에 문자를 재차 수서입력하고 이것을 인식처리시키는 것에 의해, 그 인식결과가 입력문자 가표시부(210)의 커서에 의해 지정되는 위치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해서, 입력문자 가표시부(210)에 표시된 문자도 송출버튼(213)을 선택하기 전이라면 언제든지 정정할 수 있다.
도 4의 (a)의 문자열(402)의 수서입력시 선택버튼(205)를 선택한 경우에는 도 1에 있어서 이 문자열(402)의 각각의 문자는 일본어 인식부(105), 간체자 인식부(106), 번체자 인식부(107) 및 한국어 인식부(108)에 의해 인식처리되고, 이 결과에 의한 인식후보가 얻어진다. 이들 인식후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두 인식후보 리스트영역(212)에 표시됨과 동시에, 그 중 예를 들면 가장 비슷한 문자가 입력문자 가표시부(210)에 표시된다. 그리고, 입력문자 가표시부(210)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보다 더욱 적정한 문자가 인식후보 리스트영역(212)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 문자를 지정하는 것에 의해 이 문자를 입력문자 가표시부(210)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와 교체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식후보 리스트영역(212)에는 사용자의 스트로크정보에 따라서 문자형이 매우 유사한 문자가 여러개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사용자는 어느 문자를 선택할지 망설이게 된다. 그래서, 인식후보 리스트영역(212)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서입력문자의 인식처리에 의해, 인식부(105)~(108) 중 어느 것에서 얻어졌는지를 나타내는 언어종별의 정보를 각 문자마다 표시하면 좋다. 도 6에 있어서는 인식후보 리스트영역(212)에 표시되는 각 문자 뒤에 예를 들면 (日)이나 (簡)과 같은 표시를 실행하고, (日)이라고 표시하고 일본의 문자인 것, (簡)이라고 표시하고 중국 간체자인 것을 각각 나타내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작업 컴퓨터(1)에 키보드(2)에서 입력되는 언어를 일본어로 했지만, 중국어라도 좋고 한국어라도 좋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작성하는 문서의 내용이나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언어에 따라서 다르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서문자 인식부를 표시일체형 타블렛(3)측에 마련하도록 했지만, 주작업 컴퓨터(1)측에 마련하도록 해도 좋고 주작업 컴퓨터(1)과 표시일체형 타블렛(3)의 구성은 이하와 같이 여러가지로 고려된다.
즉, 표시일체형의 타블렛(3)으로서는
[1] 펜컴퓨터 또는 PDA 등 단체로서 디지타이즈부나 표시부, 표시제어부, 메모리, 고기능 CPU를 갖고, 문자인식엔진을 가동할 수 있고, 주작업 컴퓨터(1)에 대해서 문자코드를 송신하는 건 및
[2] 디지타이즈부와 표시부, 표시제어부와 저기능CPU를 갖고, 주작업 컴퓨터(1)에 대한 입력좌표의 송신과 묘화좌표의 수신만을 실행하는 것이 있다.
[2]의 경우에는 수서문자 인식부는 주작업컴퓨터(1)측에 마련되고, [1]의 경우에는 하드웨어는 고가이지만 주작업 컴퓨터(1)과의 통신량이 저감되고 전체로서 고속인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 [2]의 경우에는 주작업 컴퓨터(1)의 부담이 많아지고 통신량이 많아진다. 또, [2]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동일한 주작업 컴퓨터(1) 중에서 문자인식 프로그램이 키보드(2)의 문자입력 프로그램과 동시에 동작하고, 통신은 양프로그램간의 메세지의 수수로서 실현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키보드로 부터의 입력이 곤란한 다른 나라의 문자의 입력이 용이하게 된다.

Claims (5)

  1. 각 언어의 수서문자입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수서입력이나 좌표지시입력을 실행하는 입력수단, 다른 언어마다 마련되고 상기 입력수단의 수서입력이나 좌표지시를 나타내는 스트로크정보를 검색자로하여 대응하는 언어의 문자로 변환하는 여러개의 문자인식수단, 상기 문자인식수단에 의해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폰트를 생성하는 폰트생성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으로 부터의 입력이나 상기 폰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폰트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표시일체형 타블렛장치; 상기 표시일체형 타블렛장치에 의해 변환된 문자를 송출하는 통신선 및; 키보드로 부터의 입력에 의해 문자의 입력 및 편집을 실행함과 동시에 상기 통신선을 통해서 상기 표시일체형 타블렛장치에서 송출된 문자를 수신하고 입력하는 주작업 컴퓨터장치를 포함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개의 문자인식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서 입력된 문자를 나타내는 스트로크정보를 검색자로하여 대응하는 일본어의 문자로 변환하는 일본어 인식수단, 상기 입력수단에서 입력된 문자를 나타내는 스트로크정보를 검색자로하여 대응하는 중국어의 간체자의 문자로 변환하는 간체자 인식수단, 상기 입력수단에서 입력된 문자를 나타내는 스트로크정보를 검색자로하여 대응하는 중국어의 번체자의 문자로 변환하는 인식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에서 입력된 문자를 나타내는 스트로크정보를 검색자로하여 대응하는 한국어의 문자로 변환하는 한국어 인식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일체형 타블렛장치는 상기 문자인식수단 중의 1개 또는 여러개의 문자인식수단을 지정하는 언어종별 지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언어종별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1개 또는 여러개의 상기 문자인식 수단을 사용해서 수서문자의 인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문자인식수단에 의해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상기 폰트생성수단이 생성한 폰트를 표시할 때, 대응하는 상기 문자인식수단의 식별정보를 아울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5. 문자입력을 위한 키보드를 구비한 주작업 컴퓨터와 표시일체형 타블렛이 통신선을 거쳐서 접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표시일체형 타블렛은 좌표지시를 실행하는 입력수단과 지정된 좌표에 점을 묘화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또 상기 주작업 컴퓨터는 상기 키보드로 부터의 입력에 의해 문자의 입력 및 편집을 실행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일체형 타블렛의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수서입력되고 상기 통신선을 거쳐서 공급되는 문자를 나타내는 스트로크정보를 검색자로하여 대응하는 일본어의 문자로 변환하는 일본어 인식수단, 상기 표시일체형 타블렛의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수서입력되고 상기 통신선을 거쳐서 공급되는 문자를 나타내는 스트로크정보를 검색자로하여 대응하는 중국어의 간체자의 문자로 변환하는 간체자 인식수단, 상기 표시일체형 타블렛의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수서입력되고 상기 통신선을 거쳐서 공급되는 문자를 나타내는 스트로크정보를 검색자로하여 대응하는 중국어의 번체자의 문자로 변환하는 번체자 인식수단, 상기 표시일체형 타블렛의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수서입력되고 상기 통신선을 거쳐서 공급되는 문자를 나타내는 스트로크정보를 검색자로하여 대응하는 한국어의 문자로 변환하는 한국어 인식수단 및 상기 각각의 인식수단에 의해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폰트정보를 생성하는 폰트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폰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폰트정보를 상기 통신선을 거쳐서 상기 표시일체형 타블렛으로 송신하고, 상기 표시일체형 타블렛에서는 상기 주작업 컴퓨터장치에서 수신한 폰트정보와 묘화좌표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표시수단에 폰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KR1019970054087A 1996-10-25 1997-10-22 문자입력장치 KR100298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84128 1996-10-25
JP8284128A JPH10124505A (ja) 1996-10-25 1996-10-25 文字入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033A KR19980033033A (ko) 1998-07-25
KR100298547B1 true KR100298547B1 (ko) 2001-10-27

Family

ID=17674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4087A KR100298547B1 (ko) 1996-10-25 1997-10-22 문자입력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124505A (ko)
KR (1) KR100298547B1 (ko)
CN (1) CN11808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143A (ko) * 2000-05-24 2000-09-05 도정인 전자잉크 방식을 이용한 통신방법
KR100562421B1 (ko) * 2001-03-28 2006-03-22 주식회사 디오텍 전자 잉크 방식을 이용한 잉크 에디터 시스템의 잉크 데이터 처리 방법
JP4574313B2 (ja) * 2004-10-04 2010-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4647285B2 (ja) * 2004-11-05 2011-03-09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設定情報変更方法、設定情報変更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1930545A (zh) * 2009-06-24 2010-12-29 夏普株式会社 手写识别方法和设备
CN102043568A (zh) * 2009-10-16 2011-05-04 孙振峰 一种在手写输入装置中用于辅助输入的控制装置及方法
CN102200970A (zh) * 2010-03-22 2011-09-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中文输入过程中的整句生成方法和装置
CN103197869B (zh) * 2012-01-05 2016-01-27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简繁体中文输入方法及装置
CN104704510B (zh) * 2012-10-10 2018-08-31 摩托罗拉解决方案公司 识别在文档中使用的语言并且基于识别的语言执行ocr识别的方法和装置
JP6655331B2 (ja) 2015-09-24 2020-02-26 Dynabook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方法
EP3882757A1 (en) * 2020-03-20 2021-09-22 Ricoh Company, Ltd.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3193A (ja) * 1988-08-17 1990-02-22 Sony Corp 文字認識方法および文字認識装置
EP0644476A2 (en) * 1993-08-11 1995-03-22 Sony Corporation Method of changing display condition of handwritten inpu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3193A (ja) * 1988-08-17 1990-02-22 Sony Corp 文字認識方法および文字認識装置
EP0644476A2 (en) * 1993-08-11 1995-03-22 Sony Corporation Method of changing display condition of handwritten in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0858A (zh) 1998-05-06
JPH10124505A (ja) 1998-05-15
KR19980033033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75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mediate response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that handles multiple character sets
US5187480A (en) Symbol definition apparatus
KR101006749B1 (ko) 전자 장치들 내에서 수기 인식
JPH06139229A (ja) ペン型スタイラスおよびコンピュータを使用するかな文字−漢字変換方法
KR100298547B1 (ko) 문자입력장치
US6542090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JP2004523034A (ja) 文字生成システム
EP0268262A2 (en) Character entry device
JPS6227861A (ja) 漢字入力装置
JPH10320107A (ja) 手書き文字認識機能を有する手書き文字入力装置
JP2902182B2 (ja) オンライン手書き文字認識装置
JPS61173378A (ja) ワ−ドプロセツサ
JPH0435785B2 (ko)
JP3710157B2 (ja) 漢字語句処理方法及び装置
JPH03160580A (ja) 文字認識システムにおける文字修正方法
JPH03129459A (ja) かな漢字変換装置
JPS61292774A (ja) 手書き入力ワ−ドプロセツサ
JPH0883276A (ja) 文書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H06187502A (ja) オンライン手書き文字認識装置
JPS63174165A (ja) ワ−ドプロセツサ
JP2002297298A (ja) キーボードを用いた文書入力システムと該システムを備えた電子機器
JPH06309490A (ja) 文字入力装置及び方式
JPH04551A (ja) 文字・記号入力方式
JPS6091434A (ja) 文書作成装置
JPS61107465A (ja) 和文作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