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517B1 - 발광체장착안테나 - Google Patents

발광체장착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517B1
KR100298517B1 KR1019960036349A KR19960036349A KR100298517B1 KR 100298517 B1 KR100298517 B1 KR 100298517B1 KR 1019960036349 A KR1019960036349 A KR 1019960036349A KR 19960036349 A KR19960036349 A KR 19960036349A KR 100298517 B1 KR100298517 B1 KR 100298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antenna
light
high frequency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6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8009A (ko
Inventor
시게루 우치노
가쯔히코 야마가와
Original Assignee
하라다 슈이치
하라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라다 슈이치, 하라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라다 슈이치
Publication of KR970068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8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5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6Means for the lighting or illuminating of antennas, e.g. for purpose of war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발광체 장착 안테나(3)는, 봉상 안테나 소자(10)의 정수리부에 발광체(23)를 장착하고, 이 발광체(23)를 수신 신호(1)의 작동시에 상기 봉상 안테나 소자(10) 위의 고주파 에너지로 점등시키도록 한 발광체 장착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봉상 안테나 소자(10)의 정수리부에, 고주파 검파용 다이오드(30) 및 유도소자(32)의 각 일단을 공통으로 접속하고, 상기 고주파 검파용 다이오드(31)의 타단과 상기 유도소자(32)의 타단의 사이에 상기 발광체(23)를 접속한 것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발광체 장착 안테나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나 PHS(개인 핸드폰) 단말기 등의 휴대형 송수신기에 장착되는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드형 안테나 소자의 상부에 발광체를 장착하고, 송수신기의 동작시에 이 발광체를 상기 로드형 안테나 소자상에 생기는 고주파 에너지로 점등시키도록 한 발광체 장착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발광체 장착 안테나로서, 예를 들면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 1993-9008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장치가 있다. 상기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발광체 장착 안테나는 초단파대역 휩 안테나(whip antenna) 소자 또는 극초단파대역용 휩 안테나 소자의 고주파 전압분포가 최대로 되는 점에 반도체 발광소자 등의 발광체를 장착하고, 이 발광체를 송수신기의 출력 파워에 의해 점등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발광체 장착 안테나에 있어서는, 송신기가 동작하여 안테나 소자로부터 전파가 발사되면, 발광체의 일측 단자에 높은 고주파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상기 발광체의 타측 단자는 공중에 개재하는 표유 용량(stray capcity)을 거쳐서 접지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발광체는 송수신기의 출력 파워에 의해서 점등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발광체 장착 안테나는 점등용의 전원장치 등을 특별히 설치하지 않더라도 안테나 소자의 상부에 장착된 발광체가 점등되어 발광체 장착 안테나로서 사용가능하다.
상기한 종래의 발광체 장착 안테나에 따르면, 송신기의 동작시에 있어서 안테나 소자의 상부에 장착한 발광체가 자동적으로 점등함으로써 안테나의 동작 표시된 위치 표시 등을 행하는 것 외에, 특별한 전원장치 등을 이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말하자면, 종래의 이런 종류의 발광체 장착 안테나는 동작효율이 그다지 좋지 않기 때문에, 송신기의 출력 파워가 저하되면 곧 점등하지 않게 되는 결점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기 등에 있어서는 내장 전지의 소모를 가급적 억제하고 장시간의 사용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강전계의 지역에서는 휴대 전화기의 출력을 낮추어 사용하는 방식의 것이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의 휴대전화기의 안테나에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발광체 장착 안테나를 적용한 경우에는, 당해 휴대 전화기가 강전계의 지역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휴대 전화기의 출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발광체가 점등 동작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록 로드형 안테나 소자상의 고주파 에너지가 미약한 경우라도 비교적 높은 검파 전압을 얻을 수 있고, 로드형 안테나 소자의 상부에 장착된 발광체를 안정되게 또한 확실하게 점등시킬 수 있는 점등수단을 구비한 발광체 장착 안테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수단을 이용하고 있다.
(1) 본 발명의 발광체 장착 안테나는, 로드형 안테나 소자의 상부에 발광체를 장착하고, 이 발광체를 송수신기의 동작시에 있어서 상기 로드형 안테나 소자상의 고주파 에너지로 점등시키도록 한 발광체 장착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로드형 안테나 소자의 상부에, 고주파 검파용 다이오드 및 유도소자의 각 일단을 공통으로 접속하고, 상기 고주파 검파용 다이오드의 타단과 상기 유도소자의 타단 사이에 상기 발광체를 접속한 것으로 되어 있다.
(2) 본 발명의 발광체 장착 안테나는 상기 (1)에 기재한 발광체 장착 안테나이고, 또 로드형 안테나 소자는 초단파 내지 극초단파를 송수신가능한 휩 안테나 소자이며, 휴대형 송수신기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 본 발명의 발광체 장착 안테나는, 상기 (2)에 기재한 발광체 장착 안테나이고, 또 발광체로서 10 내지 20mA 유형의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고, 유도소자로서 인덕턴스값이 13 내지 40nH 정도인 것을 이용한 것으로 되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광체 장착 안테나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광체 장착 안테나의 안테나 소자부 및 발광기구부의 측면도.
제3도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광체 장착 안테나의 발광기구부의 평면도.
제4도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광체 장착 안테나의 상부에 장착된 발광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광체 장착 안테나의 등가회로를 도시하는 도면.
제6도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광체 장착 안테나에서의 실험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유도소자의 최적 인덕턴스 값을 찾아내기 위한 실험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
제7도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광체 장착 안테나에 대한 실험결과를 종래예와 비교하여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 특성(A)과 종래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특성(B)을 비교하여 도시하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 전화기 또는 휴대형 송수신기 3 : 발광체 장착 안테나
10 : 로드형 안테나 소자 13 : 안테나 전력공급부
20 : 발광 기구 21 : 결합체
22 : 발광체 유닛 23 : 발광 다이오드
24 : 점등수단 26 : 인쇄회로기판
28 : 장착 캡 30 : 회로요소
31 : 고주파 검파용 다이오드 32 : 유도소자(코일)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광체 장착 안테나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1)는 예를들면 800MHz 대역의 초단파 또는 1.5GHz 대역의 초단파 등의 전파를 사용한다. 이 휴대 전화기(1)의 케이스에는, 발광체 장착 안테나(3)가 장착 기구(2)를 거쳐서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화살표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끼우고 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 발광체 장착 안테나(3)는 초단파 내지 극초단파를 송수신가능한 휩 안테나 소자로 이루어진 로드형 안테나 소자(10)와, 이 로드형 안테나 소자(10)의 상부에 장착된 발광기구(20)로 이루어져 있다.
도 4는 로드형 안테나 소자(10)의 상부에 장착된 발광기구(2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형 안테나 소자(10)는 로드형의 탄성 금속부재로 이루어진 안테나 소자 본체(11)의 표면을 절연 튜브(12)로 피복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로드형 안테나 소자(10)의 상부에서는 절연 튜브(12)가 박리되어 안테나 소자 본체(11)가 노출되어 있다.
발광기구(20)는 전도체로 이루어진 결합체(21)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결합체(21)는 그 기단부위(도면중 하단부위)가, 안테나 소자 본체(11)의 노출부분을 포함하는 로드형 안테나 소자(10)의 선단부위에 대하여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소경(小徑) 원통부(21a)로 이루어져 있다. 또, 결합체(21)는 그 선단부위(도면중 상단부위)가, 상측부에 개구단을 갖는 대경(大徑) 원통부(21b)로 이루어져 있다.
발광체 유닛(22)은 상기 대경 원통부(21b)의 중공부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이 발광체 유닛(22)은 발광체인 발광 다이오드(23)와, 이 발광 다이오드(23)를 효율적으로 점등시키는 점등수단(24)이 일체화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23)로서는 예를 들면 시판품의 것으로서 10mA 유형의 것 또는 20mA 유형의 것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구나, 사용조건 여하에 따라서는 1mA 유형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요컨대, 발광 다이오드(23)로서는 20mA 이하의 유형의 것이면 적용가능하다.
점등수단(24)은 원통형을 이루는 장착 원통체(25)와, 인쇄회로기판(26)과, 전도성 접촉 스프링(27)과, 회로요소(30)로 이루어져 있다. 장착 원통체(25)는 일단 개구부가 상기 발광 다이오드(23)의 플랜지부(23a)에 접합되어 있다. 인쇄회로 기판(26)은 그의 일단측이 상기 장착 원통체(25)의 타단 개구부로부터 내부로 삽입 되고, 또 그의 양측 가장자리가 장착 원통체(25)의 내주면에 의하여 협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26)의 단자부(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23)의 단자부(23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도성 접촉 스프링(27)은 예를들면 인청동편(燐靑銅片)과 같은 탄성 금속부재를 J자 형태로 만곡시키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만곡형성된 일단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26)의 타단측에 고정되어 있다. 이리하여 이 전도성 접촉 스프링(27)의 타단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6)이 결합체(21)의 대경 원통부(21b)의 내부에 삽입된 경우 상기 대경 원통부(21b)의 중공부 내주변에 대하여 압접하여, 인쇄회로기판(26)과 결합체(21)간의 전기적인 도통이 도모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회로요소(3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6)상에 장착되고, 또 상기 발광 다이오드(23)의 단자부(23b)와 상기 전도성 접촉스프링(27) 사이를 이어주는 전기회로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이 회로요소(30)를 포함하는 전기회로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발광체 유닛(22)의 외주에는 수지제의 장착 캡(28)이 씌워져 있다. 이 장착 캡(28)은 전체가 대략 원통상을 형성하고 있고, 그 원통부의 기단부위(도면중 하단측)의 내주변에는 암나사부(28a)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원통부의 중앙부위의 내주면에는 단차부(28b)가 설치되어 있다. 더우기 상기 원통부의 선단부위(도면중 상단측)에는 120°의 간격으로 절개 홈을 설치한 소위 슬릿 형상을 이루는 슬릿부(28c)가 형성되어 있다.
이리하여, 발광체 유닛(22)은, 장착 캡(28)의 암나사부(28a)를 상기 결합체(21)의 대경 원통부(21b)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는 수나사부(21c)에 나사결합시키고, 단차부(28b)에서 발광 다이오드(23)의 플랜지부(23a)를 끼워맞춤하는 것에 의하여, 결합체(21)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발광 다이오드(23)로부터 방사되는 광은 장착 캡(28)의 슬릿부(28c)를 통하여 외부로 조사가능하게 된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23)를 교환할 필요가 생긴 경우에, 장착 캡(28)을 상기와 역으로 조작하여 결합체(21)로부터 취출하는 것에 의하여 발광체 유닛(22)은 결합체(21)로부터 분리가능한 상태로 된다.
게다가 장착 캡(28)의 착탈조작을 행한 때에 슬릿부(28c)를 회전조작용의 홈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슬릿부(28c)에 상자형의 스패너나 스크류 드라이버 등의 공구의 선단을 삽입하여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장착 캡(28)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발광체 장착 안테나(3)의 등가회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형의 안테나 소자(10)의 상부에는 상기 점등수단(24)의 주요소인 회로요소(30)를 거쳐서 발광 다이오드(23)가 접속되어 있다. 회로요소(30)는 고주파 검파용 다이오드(31)와 유도소자(코일)(32)로 이루어지고, 고주파 검파용 다이오드(31)의 애노드(anode)와 유도소자(32)의 일단이 로드형 안테나 소자(10)의 상부[정확히는 결합체(21)]에 공통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주파 검파용 다이오드(31)의 캐소드(cathode)와 상기 유도소자(32)의 타단 사이에 발광 다이오드(23)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참조부호(13)는 안테나 전력공급부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는 발광 다이오드(23)로서 시판의 20mA 이하의 유형(예를 들면 10mA 유형)을 이용하고, 유도소자(32)로서 인덕턴스값이 22nH 또는 그 이하인 것을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발광체 장착 안테나(3)에 있어서는, 휴대 전화기(1)의 사용 중, 즉 착신시 또는 통신중에 로드형 안테나 소자(10)를 거쳐서 전파가 방사되면, 유도소자(32)의 양단에 고주파 유도전압(V1)이 발생한다. 이 발생한 유도전압(V1)은 고주파 검파용 다이오드(31)에 의하여 정류되어 맥동성분을 포함하는 직류전압(맥류)(V2)으로 되어 발광 다이오드(23)에 인가된다. 이리하여 발광 다이오드(23)는 휴대 전화기(1)의 고주파 에너지로 효율적으로 점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일의 고주파 검파용 다이오드(31)가 회로요소(30)의 검파용 다이오드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과 유도소자(32)에 의하여 유기되는 V1인 고주파 유도전압이 발광 다이오드(23)로의 인가접압으로서 이용되는 것 등의 이유에 의하여 검파전압을 효율적으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강전계의 지역에서 휴대 전화기(1)의 출력이 자동적으로 저하됨으로 인해서 안테나에 미약한 전력만 공급되는 경우에도 발광 다이오드(23)를 양호하게 점등시킬 수가 있다.
[실험예]
도 6 및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광체 장착 안테나(3)에 대하여 행한 실험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하는 그래프는 유도소자(32)의 최적 인덕턴스 값을 발견하기 위하여 행해진 실험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즉 이 실험은 발광 다이오드(23)로서 10mA 유형의 것을 이용하고 송수신기를 주파수 904MHz에서 작동시키는 때에, 발광 다이오드(23)가 점등 개시하는 최소의 안테나 공급전력 P(mW)을 10 종류의 유도 소자(32)에 대하여 각기 측정하고 기록한 것이다. 10 종류의 유도소자(32)로서는 인덕턴스값이 10nH 내지 100nH 사이의 값을 나타내는 코일을 10개 선택하고 이들 코일을 유도소자(32)로서 순차적으로 적용하도록 하였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험의 결과에 의하면, 발광 다이오드(23)로서 10mA 유형의 것을 사용하고 또 주파수가 904MHz 전후의 전파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유도소자(32)로서 인덕턴스 값이 22nH 정도의 코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과, 인덕턴스 값이 13nH 내지 40nH 정도의 코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0mW 이하의 전력으로도 점등가능하다는 것 등이 판명되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23)로서는 20mA 유형의 것 또는 1mA 유형의 것이어도 좋고, 또 사용전파의 주파수로서는 800MHz 대역 또는 1.5GHz 대역에서도 실시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도 7에 도시하는 그래프는 유도소자(32)로서 인덕턴스 값이 22nH의 코일을 사용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23)의 점등특성(A)과, 종래의 안테나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특성(B)을 비교 실험한 결과이다. 즉 이 실험은 발광 다이오드로서 10mA 유형의 것을 사용하고, 송수신기를 주파수 904MHz에서 작동시켰을 때에 안테나 공급전력 P(mW)에 대하여 발광 다이오드의 단자전압 E(V)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하여 측정하고 기록한 것이다. 또 10mA 유형의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 개시하는 단자전압(E)은 측정 결과 1.48V였다. 그러므로, 도 7에 있어서 파선으로 도시한 레벨(1.48V) 이상이 발광 다이오도(LED)의 점등영역이고, 상기 레벨 미만이 발광 다이오드(LED)의 소등영역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유도소자(32)로서 인덕턴스 값이 22nH 정도의 코일을 사용한 제 1 실시예의 안테나에 대하여는 점등특성(A)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4mW 정도의 미약한 전력(P)이 공급된 경우에도 점등가능하다. 이것에 대하여 유도소자를 갖고 있지 않은 종래형의 안테나의 경우에는 점등특성(B)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최저 50mW 정도 이상의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한 점등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변형예]
상기 실시예(실험예를 포함함)에 도시한 발광체 장착 안테나는 하기의 변형 예를 포함하고 있다.
ㆍ 발광 다이오드(23) 및 고주파 검파 다이오드(31)의 방향이 도 3의 경우와는 역방향으로 되어 있는 것.
ㆍ 슬릿부(28c)를 설치하는 대신 투광성을 갖는 부재로써 광 조사용의 윈도우를 형성한 장착 캡(28)을 이용하는 것.
[실시예의 특징점의 종합]
실험예 및 변형예를 포함하는 상기 실시예로 나타낸 발광체 장착 다이오드의 특징점을 종합한면 다음과 같다.
[1] 실시예로 나타낸 발광체 장착 안테나(3)는 로드형 안테나 소자(10)의 상부에 발광체(23)를 장착하고, 이 발광체(23)를 휴대형 송수신기(1)의 작동시에 상기 로드형 안테나 소자(10)상의 고주파 에너지로 점등시키도록 한 발광체 장착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로드형 안테나 소자(10)의 상부에 고주파 검파용 다이오드(31) 및 유도 소자(32)의 각 일단을 공통으로 접속하고, 상기 고주파 검파용 다이오드(31)의 타단과 상기 유도소자(32)의 타단 사이에 상기 발광체(23)를 접속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발광체 장착 안테나(3)에 있어서는 유도소자(32)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유기된 고주파 유도전압(V1)이 단일의 고주파 검파용 다이오드(31)에 의해 정류되어 취출되고, 발광체(23)에 센 인가전압(V2)으로 부여됨으로써, 공급되는 고주파 에너지가 상당히 미약한 경우에도 발광체(23)를 안정하게 또한 확실하게 점등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2] 실시예로 나타낸 발광체 장착 안테나(3)는 상기 [1]에 기재한 발광체 장착 안테나(3)이고, 또 로드형 안테나소자(10)는 초단파 내지 극초단파를 송수신 가능한 휩 안테나 소자로서, 휴대형 송수신기(1)에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발광체 장착 안테나(3)에 있어서는, 상기 [1]과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내는 결과, 예를 들면 적용되는 휴대형 송수신기(1)가 내장 전지의 소모를 회피하기 위하여 강전계의 지역에서는 출력을 저하시켜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된 것인 경우에도, 상기 발광체(23)가 안정하게 또한 확실하게 점등 동작하게 된다.
[3] 실시예로 나타낸 발광체 장착 안테나(3)는 상기 [2]에 기재한 발광체 장착 안테나(3)이고, 또 발광체로써 10 내지 20mA 유형의 발광 다이오드(23)를 사용하며, 유도소자(32)로서 인덕턴스 값이 13 내지 40nH 정도인 것을 사용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발광체 장착 안테나(3)에 있어서는 상기 [2]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내는 결과, 발광 다이오드(23)가 효율적으로 점등동작을 행하도록 하기 때문에 최적의 수치가 구체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바람직한 태양으로의 실시를 용이하게 행하는 이점이 있다.
[4] 실시예로 나타낸 발광체 장착 안테나(3)는 상기 [1] 또는 [3]에 기재한 발광체 장착 안테나(3)이고, 또 발광체(23)와 점등수단(24)으로 이루어진 발광체 유닛(22)이 로드형 안테나 소자(10)의 상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된 것이다.
상기 발광체 장착 안테나(3)에 있어서는, 상기 [1] 또는 [3]과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내는 결과, 발광체(23) 등이 고장난 것과 같은 경우에 간단한 조작으로 신제품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5] 실시예로 나타낸 발광체 장착 안테나(3)는 상기 [4]에 기재한 발광체 장착 안테나(3)이고, 또 장착 캡(28)은, 그의 원통부의 기단부위를 결합체(21)에 나사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의 선단부위에 광 조사용의 윈도우 및 회전조작용의 홈을 겸하는 슬릿부(23c)를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발광체 장착 안테나(3)에 있어서는, 상기 [4]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내는 결과, 장착 캡(28)의 간략화된 구체적인 구서예가 명확해지므로 실시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록 로드형 안테나 소자상의 고주파 에너지가 미약한 경우에도, 비교적 높은 검파전압을 얻을 수가 있고, 로드형 안테나 소자의 상부에 장착된 발광체를 안정하게 또한 확실하게 점등시킬 수 있는 점등수단을 구비한 발광체 장착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발광체 장착 안테나(3)(an illuminant-mounted antena)에 있어서, 로드형 안테나 소자(10)와, 상기 로드형 안테나 소자(10)의 상부에 장착된 발광체(23)와, 휴대형 송수신기(1)가 작동되는 경우에 상기 로드형 안테나 소자(10)상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에너지로 상기 발광체(23)를 점등시키는 점등수단(24)을 포함하며; 상기 점등수단(24)이 고주파 검파용 다이오드(31)와, 고주파 유도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유도소자(32)를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검파용 다이오드(31)의 일단과 상기 유도소자(32)의 일단이 상기 로드형 안테나 소자(10)의 상부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상기 고주파 검파용 다이오드(31)의 타단과 상기 유도소자(32)의 타단이 상기 발광체(23)의 양 단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 장착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형 안테나 소자(10)는 초단파 내지 극초단파를 송수신 가능한 휩안테나 소자이고,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1)에 장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 장착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23)가 10mA 내지 20mA 유형의 발광 다이오드이고, 상기 유도소자(32)가 인덕턱스 값이 13nH 내지 40nH 정도인 코일인 것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 장착 안테나.
KR1019960036349A 1996-03-07 1996-08-29 발광체장착안테나 KR1002985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5027296A JP3222056B2 (ja) 1996-03-07 1996-03-07 発光体装着アンテナ
JP96-050272 1996-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009A KR970068009A (ko) 1997-10-13
KR100298517B1 true KR100298517B1 (ko) 2001-10-22

Family

ID=12854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6349A KR100298517B1 (ko) 1996-03-07 1996-08-29 발광체장착안테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17453A (ko)
JP (1) JP3222056B2 (ko)
KR (1) KR1002985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4835U (ja) * 1996-07-08 1997-03-07 有限会社大雄 携帯型移動通信機用表示装置
DE69801852T2 (de) * 1997-02-14 2002-05-2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Leuchtantenne und Gerät zur Funkkommunikation mit einer derartigen Antenne
US6209011B1 (en) * 1997-05-08 2001-03-27 Microsoft Corporation Handheld computing device with external notification system
US7463863B1 (en) * 1997-08-08 2008-12-09 Agere Systems, Inc. Wireless terminal adapted for detachably connecting with a radio
KR19990063267A (ko) * 1997-12-22 1999-07-26 도시미쓰 스다 안테나
EP1003237A1 (fr) * 1998-11-17 2000-05-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ntenne destinée à un émetteur récepteur de radiocommunication
FR2790167A1 (fr) * 1999-02-24 2000-08-25 Guillaume Fontaine Dispositif lumineux de signalisation d'appel et de communication pour telephone cellulaire
US6181284B1 (en) * 1999-05-28 2001-01-30 3 Com Corporation Antenna for portable computers
JP2001024764A (ja) * 1999-07-09 2001-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機の着信表示装置
EP1076423A1 (en) * 1999-08-12 2001-02-14 Cosmos Trading and Consulting Holding Limited Protecting device in receiving and trasmitting electromagnetic waves
KR20010026589A (ko) * 1999-09-07 2001-04-06 이승복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및 감지 안테나
US6438391B1 (en) * 1999-10-13 2002-08-20 Harvatek Corp. Laser diode antenna for mobile phone
JP4242528B2 (ja) * 1999-10-26 2009-03-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アンテナ固定方法及び装置
US6879688B2 (en) * 2000-11-09 2005-04-12 Lighten-Up, Llc Telephone headset with indicator light
US20020155855A1 (en) * 2001-04-20 2002-10-24 Yung-Tang Lee Conversation timer for mobile phone
KR100503207B1 (ko) * 2002-03-11 2005-07-25 박춘식 전자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전자파 감소장치
US7867095B2 (en) * 2005-06-17 2011-01-11 Igt Candle radio
KR101536171B1 (ko) * 2009-02-27 2015-07-1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조명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안테나
US10755536B2 (en) * 2019-01-16 2020-08-25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e of a light reflecting antenna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2189A (en) * 1947-07-01 1950-09-12 Joseph T Morrow Illuminated antenna for automobiles
JP2591235B2 (ja) * 1989-03-30 1997-03-19 吉富製薬株式会社 アルキルシステインまたはその酸付加塩を含有する安定な錠剤
JP2676468B2 (ja) * 1992-12-16 1997-11-17 研 土屋 電波発射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17453A (en) 1999-06-29
JPH09246823A (ja) 1997-09-19
KR970068009A (ko) 1997-10-13
JP3222056B2 (ja) 2001-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8517B1 (ko) 발광체장착안테나
RU1838850C (ru) Выдвижна антенна система дл портативного приемопередатчика
CA2186112C (en) Antenna unit for two frequency bands
CA2729062C (en) Microstrip antenna for electromagnetic radiation dissipation device
EP1069643A3 (en) Antenna assembly and portable radio apparatus
US6438391B1 (en) Laser diode antenna for mobile phone
CN209782564U (zh) 一种智能灯具
US6212400B1 (en) Antenna device for mobile radio telephone devices
AU733260B2 (en) Antenna for portable radio unit
JP3603625B2 (ja) 無電極放電灯装置
US6292145B1 (en) Angled antenna for portable telephone
KR101120939B1 (ko) 내장형 안테나의 컨택트 구조
JP3392364B2 (ja) タイヤ空気圧警報装置
JPH09298410A (ja) Led発光装置
KR100688283B1 (ko) 무선 통신 안테나
JP3053253U (ja) 周波数センサコイル発光装置
US7167131B2 (en) Antenna
JP3059286U (ja) ヘリカル・モノポール複合アンテナ
JP2523867B2 (ja) ワイヤレスマイクロホン
JP3071276U (ja) 携帯型通信機用アンテナ装置
JP3052839U (ja) ロツド・アンテナ調整用発光装置
JPH11307144A (ja) 同軸接続部材とアンテナ給電構造および無線機
JP3062482U (ja) 発光素子付アンテナ
CN116137377A (zh) 有外电源引线产品的高增益隐蔽天线电路和结构
JP2002354709A (ja) 携帯電話機充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