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267A - 안테나 - Google Patents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267A
KR19990063267A KR1019980056723A KR19980056723A KR19990063267A KR 19990063267 A KR19990063267 A KR 19990063267A KR 1019980056723 A KR1019980056723 A KR 1019980056723A KR 19980056723 A KR19980056723 A KR 19980056723A KR 19990063267 A KR19990063267 A KR 19990063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main body
resonant circuit
head portion
antenna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미쓰 스다
Original Assignee
도시미쓰 스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36562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33591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8009048U external-priority patent/JP3060368U/ja
Application filed by 도시미쓰 스다 filed Critical 도시미쓰 스다
Publication of KR19990063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26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6Means for the lighting or illuminating of antennas, e.g. for purpose of war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8Quick-releasable antenna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수신감도가 높고, 나아가 전파 발신원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장치되는 기기의 식별이 가능한 안테나를 제공하려고 한다.
안테나 본체와, 이 안테나 본체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헤드부와 상기 안테나 본체에 삽입 통과되어 안테나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한다.
본 발명의 안테나는 상기 헤드부에 코일과 정류용(整流用) 다이오드,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 또는 다른 것과 구별하는 식별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테나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나 통신기 등, 그 밖의 기기(機器)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무선송수신장치는 휴대전화기를 비롯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지형이나 건물 등 입지장소에 따라서는 전파상태가 나쁘고, 감도가 저하되어 잡음 등 때문에, 정확히 수신할 수 없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불사용 시는 수축(收縮)하여 수신장치 본체에 수납시켜 두는 구조에서 수신감도가 더욱 나빠지는 결점이 있었다.
이들의 수신감도 향상과 검출전파의 시각화를 도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일본국 특개평 10(1998)-197581호 공보에 의하면 LC공진회로(共振回路)에 의해 전파가 여기(勵起)된 고주파교류를 감지하고, 또한 정류회로(整流回路)를 통해 직류전류로 정류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를 발광시켜, 전파의 강약방향을 지각하고, 그 방향으로 안테나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안테나에서는 회로가 복잡하고 고(高)코스트였다. 또, 종래의 안테나에서는, 자기 휴대전화를 다른 휴대전화와 식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신감도가 높고, 나아가 전파 발신원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장착되는 기기의 식별이 가능한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헤드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분해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분해정면도, 및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분해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분해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분해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분해정면도, 및 회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의 헤드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의 안테나 지지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안테나 접속부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상태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항 부호의 설명
A: 안테나, 1: 안테나 본체, 1b,1c,1d: 안테나, 2: 헤드부, 3: 지지부, 11: 접속부, 12: 걸림부, 13a,13b,13c,13d,13e: 파이프, 14: 중간 접속부, 20a: 공진회로, 20b,20c,20f: 직렬공진회로, 20d,20e: 병렬공진회로, 31,32: 지지부, 33: 회전축, 201: 저항, 202: 코일, 203: 엘리먼트, 204: 검파다이오드, 205: 발광다이오드, 206: 와셔, 207: 식별체, 208: 파이프, 209: 콘덴서, 210, 210a: 캡부, 220,220a: 안테나 접속부, 230: 고지부.
본 발명의 안테나는 도체(導體)에 의해 막대형으로 형성된 안테나 본체와, 이 안테나 본체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헤드부(頭部)와, 상기 안테나 본체에 삽입 통과되어 안테나 본체의 신축을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에는 전파를 수신하여 고주파교류를 여기하는 공진회로를 내장하고, 이에 따라 수신감도의 향상을 행할 수 있다.
상기 공진회로는 용량성(容量性) 저항에 고정된 코일에 의한 직렬공진회로, 또는 용량성 저항 상부에 끼워 맞춰 목적 주파수의 전파를 선택하는 금속와셔를 가지는 직렬공진회로로 함으로써 저(低)코스트를 가능하게 한다.
또, 상기 공진회로는 용량성 저항으로부터 연장되는 막대형의 엘리멘트와, 이 엘리멘트의 외주(外周)를 피복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코일로 이루어지는 병렬공진회로 또는 엘리멘트에 삽입 통과하여 설치되고, 목적 주파수의 전파를 선택하는 금속파이프를 가지는 병렬공진회로로 함으로써 저코스트와 고감도를 가능하게 한다.
목적 주파수의 전파를 선택하기 위해, 엘리멘트의 중간에 1 내지 2개의 평활(平滑)콘덴서를 직렬로 짜 넣고, 코일의 상단을 접속한 직렬공진회로로 고감도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공진회로는 용량성 저항으로부터 연장되는 엘리멘트의 중앙에 검파다이오드를 직렬로 짜 넣고, 코일의 상단과 엘리멘트의 상단에 직렬로 접속한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하여, 발광직렬공진회로로 함으로써 고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고지부가 발광함에 따라 전파를 수신한 것을 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헤드부는 공진회로를 내장하고 있으며, 도체로 형성된 안테나 접속부와 캡부로 구성된다.
또, 상기 캡부는 상부 내지 전체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절연재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수납된 고지부 또는 식별체를 외부로부터 볼 수 있다. 또는 채색 내지는 모양 등을 한 불투명한 절연재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자타(自他) 안테나의 식별성을 구비할 수 있다.
안테나 접속부는 외주에 나사를 설치하고, 상기 캡부와 나사맞춤에 의해 고정되는 동시에, 이 안테나 접속부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구멍을 형성하고, 안테나 본체의 접속부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상기 캡부 및 안테나 본체를 식별성을 가지는 여러 종류 가운데서 선택 교환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안테나 본체는 길이방향의 상단부에, 상기 헤드부와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는 동시에, 하단에 상기 지지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테나 본체는 수신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신축 가능하고 중합(重合) 가능한 직경이 상이한 다단의 파이프로 형성하고, 꺼내서 신장시키면 수납 시의 배 이상의 길이가 얻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의 안테나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등에 미리 장착되어 있는 기존의 안테나를 떼어내고, 휴대전화기 등의 안테나 장착부에 상기 지지부를 고정시킴으로써 교환 시의 장착이 완료되어, 수신감도의 향상, 전파발신원의 방향 감지, 착신의 고지(告知)와 함께 타인의 휴대전화와 식별하는 기능을 발휘시킨다.
(제1 실시형태)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 A는, 도체에 의해 막대형으로 형성된 안테나 본체(1)와, 이 안테나 본체(1)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헤드부(2)와, 안테나 본체(1)에 삽입 통과되어 안테나 본체(1)를 지지하는 지지부(3)로 구성된다.
헤드부(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파를 수신하여 고주파교류를 여기하여 고지하는 공진회로(20a)를 내장하고 있다. 상부는 투명 내지는 반투명의 캡부(210)로 피복되어 있는, 캡부(210)의 하부에는 나사맞춤에 의해 고정된 안테나 접속부(2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진회로(20a)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 접속부(220) 위에 눌러 붙여 설치되어 있는 용량성 저항(201) 및 이 용량성 저항(201) 상부의 철부(凸部)에 끼워 맞춰 고정된 코일(202)과, 코일(202)의 중간부분으로부터 코일(202)의 내부에 설치되는 엘리먼트(203)와, 이 엘리먼트(203)의 중간부분에 직렬로 접속되는 검파다이오드(204)와, 코일(202)의 종단(終端)과, 엘리먼트(203)의 종단에 직렬로 접속되는 발광다이오드(205)로 구성된다. (도 3 참조)
도 4는 상기 발광직렬공진회로를 나타낸 회로도로, 코일(202)에서 여기된 고주파교류를 검파다이오드(204)에서 직류전류로 정류(整流)하고, 발광다이오드(205)를 점등(点燈)시킴으로써 고지부(230)의 고지기능을 완수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본체(1)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상단에 헤드부(2)와의 나사맞춤에 의해 접속하기 위해 나사(11m)를 설치한 접속부(11)를 형성하고 있다. 하단에는 안테나 본체(1)가 지지부(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안테나 A는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 등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존의 안테나를 떼어내고, 휴대전화기의 안테나장착부에 지지부(3)를 나사맞춤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장착할 수 있어, 수신감도를 보다 양호하게 향상시키는 동시에, 고지부(230)의 점등표시의 강약에 의해 전파의 지향성(指向性)의 감지와 방향의 조정을 할 수 있다. 또, 시판되고 있는 기기의 다른 것과 상이한 헤드부를 가지므로 안테나에 의해 타인의 휴대전화와 식별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에, 이 실시형태와 상이한 형태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11에 의해 헤드부(2)가 상이한 형태를 설명하고, 도 13 내지 도 16에 의해 안테나 본체(1)가 상이한 형태를 설명한다. 이들 상이한 헤드부(2)와 상이한 안테나 본체(1)는 상기 헤드부(2)의 안테나 접속부(220)와 안테나 본체(1)의 접속부(11)에서 나사맞춤에 의해 고정되므로, 자유롭게 조합(組合)하여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안테나 접속부(220) 위에 눌러 붙여 설치되어 있는 직렬공진회로(20b)와, 각종의 색이나 모양이 행해진 절연재제의 식별체(207)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캡부(210)에 수납되어 있다.
직렬공진회로(20b)는 용량성 저항(201) 상부의 철부에 끼워 맞춰 고정된 코일(202)에 의해 구성되는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지만,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지는 동시에 식별체(207)에 의해 다른 안테나나 다른 안테나가 장착되어 있는 기기를 구별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6에 나타낸 제3 실시형태는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용량성 저항(201)의 철부에 금속와셔(206)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에 따라 목적 전파에 맞추는 기능을 가질 수 있는 직렬공진회로(20c)로 한 것으로,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7에 나타낸 제4 실시형태는 용량성 저항(201)으로부터 연장되는 막대형 엘리먼트(203)와, 이 엘리먼트(203)의 외주를 피복하도록 설치되고, 용량성 저항(201)에 끼워 맞춰 장착된 코일(202)에 의해 병렬공진회로(20d)가 구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2,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도 8에 나타낸 제5 실시형태는 상기 제4 실시형태에 대하여, 엘리먼트(203)로 삽입 통과하여, 목적 주파수의 전파를 선택하는 금속파이프(208)를 설치하고 있다. 금속파이프(208)는 엘리먼트(203)가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코일(202)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병렬공진회로(20e)로 하는 것이고, 제2, 제3 내지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제6 실시형태)
도 9 (a)에 나타낸 제6 실시형태는 용량성 저항(201)으로부터 연장되는 막대형 엘리먼트(203)에 직렬로 접속하여 설치된 콘덴서(209)를 구비하는 것이다. 콘덴서(209)는 엘리먼트(203)의 외주와 피복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용량성 저항(201)의 철부에 끼워 맞춰 장착된 코일(202)과 함께 직렬공진회로(20f)를 구성하고 있다. 도 9 (b)에 회로를 나타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콘덴서(209)를 설치함으로써 목적 주파수로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에서 5까지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7 실시형태)
도 10, 11에 나타낸 제7 실시형태는 채색 내지는 모양을 행하여 다른 것과 식별 가능하게 한 불투명한 캡부(210a)를 헤드부에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공진회로(20b)를 내장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제3, 4, 5 및 6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공진회로(20c,20d,20e,2
0f)를 내장시킬 수도 있다.
(제8 실시형태)
다음에, 안테나 본체(1)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도 13에 나타낸 제8 실시형태는 수신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외경(外徑)이 상이한 (13a), (13b), (13c) 및 (13d)의 다단 파이프로 안테나 본체(1b)를 신축 가능하게 형성하고, 사용 시에 꺼내 신장시킬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 안테나 본체(1b)의 하단부에는 지지부(31)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부(31)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경이 가장 큰 하부의 파이프(13a)가 나사맞춤됨으로써 안테나 본체(1b)에 장착되는 것이다.
(제9 실시형태)
도 15에 나타낸 제9 실시형태는 제8 실시형태의 안테나 본체(1b)와 달리, 지지부(32)의 상부에 회전축(33)이 설치되고, 이 회전축(33)에 안테나 본체(1c) 하단의 직경이 큰 파이프(13e)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실시형태에서는 안테나(1c)를 접을 수 있다.
(제10 실시형태)
도 16에 나타낸 제10 실시형태는 안테나 본체(1)를 상하로 구비하는 것이고, 상부의 안테나 본체(1)와 하부의 안테나 본체(1)를 중간 접속부(14)에서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안테나 전체(1d)가 길어져, 용이하게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8, 9, 10 실시형태의 안테나 (1b), (1c), (1d)와, 제1 내지 제7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헤드부(2)를 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이용자가 요구하는 감도, 식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7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 본체(1)의 접속부(11)를 헤드부(2)의 하부에 설치된 안테나 접속부(220)에 나사맞춤하여 접속해도 되고, 도 17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 접속부(220a)와 안테나(1)를 일체로 하여 형성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수신감도가 높고, 종래와 같이 안테나 본체가 수축된 상태에 있어도, 수신 불능이 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전파의 발신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전파상태가 나쁜 지형이나 건물의 뒤 등에서도 최량의 수신을 행할 수 있다.
또, 헤드부가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사용자가 요구하는 감도, 성능에 따른 조합으로 할 수 있고, 또한 미리 기기에 장착되어 있는 기존의 안테나에 대신해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기기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Claims (8)

  1. 도체(導體)에 의해 막대형으로 형성된 안테나 본체와, 이 안테나 본체의 상단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설치된 헤드부와, 상기 안테나 본체에 끼워져 안테나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가 전파를 수신하여 고주파교류를 여기(勵起)하는 공진(共振)회로를 내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회로가 여기된 고주파교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하는 검파(檢波)다이오드를 가지는 동시에,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한 고지부(告知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가 자타(自他) 식별을 행하는 식별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절연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내부에 고지부 또는 식별체가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도록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본체가 상단부에 상기 헤드부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는 동시에, 하단부에 상기 지지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억지부(抑止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본체가 신축(伸縮) 가능한 다단(多段)의 파이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KR1019980056723A 1997-12-22 1998-12-21 안테나 KR199900632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65627A JPH10335914A (ja) 1997-04-03 1997-12-22 携帯電話機用アンテナ
JP97-365627 1997-12-22
JP98-9048 1998-11-16
JP1998009048U JP3060368U (ja) 1998-11-16 1998-11-16 アンテナ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267A true KR19990063267A (ko) 1999-07-26

Family

ID=31189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723A KR19990063267A (ko) 1997-12-22 1998-12-21 안테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KR (1) KR19990063267A (ko)
CN (1) CN1252173A (ko)
AP (1) AP9901639A0 (ko)
AU (1) AU1685899A (ko)
BR (1) BR9807602A (ko)
CA (1) CA2281539A1 (ko)
EA (1) EA199900761A1 (ko)
ID (1) ID24905A (ko)
IL (1) IL131497A0 (ko)
OA (1) OA11259A (ko)
WO (1) WO19990331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829B1 (ko) * 2008-11-13 2011-08-05 (주)파트론 착탈식 헬리컬 꼭지를 갖는 방송수신용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0167A1 (fr) * 1999-02-24 2000-08-25 Guillaume Fontaine Dispositif lumineux de signalisation d'appel et de communication pour telephone cellulaire
CN101833047B (zh) * 2009-03-13 2012-12-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6504U (ko) * 1977-12-20 1979-07-07
JPH0327794U (ko) * 1989-07-26 1991-03-20
JPH0636381Y2 (ja) * 1989-08-10 1994-09-21 株式会社イナックス 分離可能な湯水混合水栓
JP3222056B2 (ja) * 1996-03-07 2001-10-22 原田工業株式会社 発光体装着アンテ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829B1 (ko) * 2008-11-13 2011-08-05 (주)파트론 착탈식 헬리컬 꼭지를 갖는 방송수신용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P9901639A0 (en) 2000-06-22
AU1685899A (en) 1999-07-12
EA199900761A1 (ru) 2000-04-24
IL131497A0 (en) 2001-01-28
CN1252173A (zh) 2000-05-03
ID24905A (id) 2000-08-31
OA11259A (en) 2002-11-20
CA2281539A1 (en) 1999-07-01
WO1999033140A1 (fr) 1999-07-01
BR9807602A (pt) 2000-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8802B2 (en) Direction finder and locator
ES2080036T3 (es) Adaptador de localizador de conductores para marcadores electronicos.
FR2849964B1 (fr) Structure d'un seul tenant incluant une antenne et un couvercle de blindage et son module sans fil
DE69837596D1 (de) Integrierte sende-/empfangsantenne mit beliebiger verwendung der antennenapertur
KR19990063267A (ko) 안테나
JP3060368U (ja) アンテナ
JP2001217620A (ja) 電磁波検知器
JP3062483U (ja) 合成色発光付アンテナ
JP3065668U (ja) アンテナ
US6232881B1 (en) Hand held electromagnetic field detector
WO2002067370A3 (en) Minimum frequency shift telescoping antenna
JP3070726U (ja) 電磁波検知器
US6064190A (en) Hand held electromagnetic field detector
JP3064374U (ja) 通信電磁波検知用発光素子付アンテナ
KR200227791Y1 (ko) 무선통신 장치가 구비된 우산
JP3066889U (ja) 通信機器用発光装置
JP3061425U (ja) 携帯電話機用ストラップ
JP2000323911A (ja) 通信電磁波検知用発光素子付アンテナ及びこのアンテナを用いた着信報知装置
JP3614715B2 (ja) 携帯電話機用アンテナ
KR200188088Y1 (ko) 이동통신기기의 수신알림 회로
JP3063107U (ja) 携帯型通信機用アンテナ装置
JP3060236U (ja) 携帯電話機用高感度電波目視装置
DE50108504D1 (de) Lawinen-Verschütteten-Suchsystem
JP3061737U (ja) 携帯型通信機用アンテナ装置
JPH10197581A (ja) 電波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