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6589A -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및 감지 안테나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및 감지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6589A
KR20010026589A KR1019990037959A KR19990037959A KR20010026589A KR 20010026589 A KR20010026589 A KR 20010026589A KR 1019990037959 A KR1019990037959 A KR 1019990037959A KR 19990037959 A KR19990037959 A KR 19990037959A KR 20010026589 A KR20010026589 A KR 20010026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electromagnetic wave
high frequency
unit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복
Original Assignee
이승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복 filed Critical 이승복
Priority to KR1019990037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6589A/ko
Publication of KR20010026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58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6Electromagnetic sh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6Means for the lighting or illuminating of antennas, e.g. for purpose of war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means for shaping the antenna pattern, e.g. in order to protect user against rf expo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3/00Antennas with active circuits or circuit elements integrated within them or attached to the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 및 감지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특히 RFC(Radio Frequent Choke)코일과 안테나단자 및 콘덴서와 코일로 이루어진 안테나 겸 L-C공진회로부와; 상기 안테나 겸 L-C공진회로부와 연결되어 사인파를 정류하여 직류전환하며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고주파정류부; 상기 고주파정류부와 연결되어 충전 및 고주파 차단 그리고 과전압을 방지하며 콘덴서로 이루어진 과전압 차단부와; 그리고 상기 과전압 차단부와 연결되어 부하를 형성하여 전자파를 감쇄시키며 LED로 이루어진 전자파 및 고주파소멸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여, 첫째로 유해한 전자파를 LED의 불빛으로 전환시켜 고주파를 감쇄하여 전자파에 따른 폐해를 최소화하고, 둘째로 사용자가 사용중에 전자파의 발생을 불빛을 통해 알 수 있으므로 스스로 전자파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도록하며, 셋째로, 휴대폰 사용중에 형형색색의 빛을 발생시키므로 시각적으로 미감을 자아내도록 하고, 넷째로 RFC코일을 헬리컬안테나로 사용하므로, 안테나의 길이를 더욱 짧게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 및 감지 안테나{An antenna which is able to sense and attenuate the electromagnetic wave at a celluar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 및 감지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을 사용할 때 전자파를 이용하여 휴대폰 안테나 내부에 부착된 LED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유해한 전자파를 LED의 불빛으로 전환시켜 감쇄하여 전자파에 따른 폐해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사용중에 시각적인 효과를 주어 휴대폰의 멋을 더해주는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 및 감지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휴대통신방식에는 아날로그 셀룰러 시스템(AMPS)에서 더 많은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는 디지털 셀룰러방식, 보행자 중심의 발신전용전화 (Cordless Telephone-2, CT-2)방식등이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중 셀룰러방식에 따른 통신경로는, 발신단의 단말기로부터 해당기지국을 거쳐 이동교환국으로 호설정메시지가 전달되고 또 홈위치등록기에 상대방의 위치정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보내어지며, 이후 착신단 단말기의 위치 등록이 이루어지면 홈위치등록기로부터 이 착신단 이동교환국의 아이디가 발신측 이동교환국으로 보내줌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의 전파경로는 발신단과 착신단 단말기의 안테나를 통해 최초 또는 최종적으로 수행된다. 그런데, 휴대폰으로 불리는 상기 단말기는 안테나를 통해 전파를 주고 받을 때에 안테나 뿐만아니라 단말기 자체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방사하는 데, 이때의 전자파는 전자렌지에서 발생되는 주파수(1.7GHZ)보다 큰 주파수 (1.8GHZ)를 갖는다.
전자파가 인체에 해롭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고, 특히 휴대폰에서 발생되는 고주파수인 전자파는 사용자의 뇌를 달구어 기억력을 감퇴시키거나 심하게는 뇌종양을 일으키는 등의 악영향을 끼친다는 연구보고가 있었고, 또 최근에는 휴대폰의 오랜 사용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청각장애를 일으킨 사례가 소개된 바 있다.
이와같이 휴대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로 인한 잠재적인 피해는 매우 큰데에도 불구하고 이에 따른 방지책은 이어폰을 사용하여 휴대폰을 몸으로부터 멀리하는 것 외에 거의 전무하다시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 사용할 때 전자파를 이용하여 휴대폰 안테나 내부에 부착된 LED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유해한 전자파를 LED의 불빛으로 전환시켜 감쇄하여 전자파에 따른 폐해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사용중에 시각적인 효과를 주어 휴대폰의 멋을 더해주는 등의 부수적인 효과를 얻는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 및 감지 안테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본 발명은, 콘덴서와 RFC(Radio Frequent Choke)코일로 구성된 상태에서 공지된 안테나의 단자를 설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각종 전자파를 포함하여 공중선 착발신신호를 송,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고주파 무선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만 공진이 이루어지는 단축안테나겸 L-C 공진회로부와; 상기 단축안테나겸 L-C 공진회로부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출력되는 사인파신호를 정류하여 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 주기 위해 두 개의 다이오드로 구성된 고주파정류부와; 상기 고주파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충전되고 고주파는 차단하며 과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막아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과전압 차단부와; 그리고 상기 과전압 차단부의 출력단에 병렬 연결되어 전자파의 유입시 빛을 발생시키는 동작을 통해 전자파 및 고주파를 소멸시키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LED를 연결하여 이루어진 전자파 및 고주파 소멸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 및 감지 안테나이다.
따라서, 안테나 겸 L-C공진회로부의 안테나단자에서 신호가 전해지면 이 신호에 따라 RFC코일과 콘덴서에서 공진주파수를 형성하고, 또 고주파정류부에서 사인파를 정류하여 직류로 전환하며 아울러 과전압 차단부에서 과전압을 충전시킴으로써 용량에 부합되는 전압을 인가하고 또 리플을 제거하여 전자파 및 고주파소멸부로 인가함으로써 LED로 하여금 빛으로 전환하여 전자파를 소멸하게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 및 감지 안테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 및 감지 안테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 및 감지 안테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 및 감지 안테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안테나 101 : 나사부
102 : 발광부 110,210,310 : 단축안테나 겸 L-C공진회로부
114,214,314 : 고주파정류부 116,216,316 : 과전압차단부
118,218,318 : 전자파 및 고주파 소멸부
이하, 본 발명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 및 감지 안테나(100,이하‘안테나’라 함)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안테나(100)는 휴대폰 몸체에 나선방향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아랫쪽에는 나사부(101)를 형성하고 그 상측으로 발광부(102)를 형성하고 있다.
이 발광부(102)는 LED로 구성되어 안테나(100)에서 신호가 발신 또는 착신하였을 때를 감지하여 ‘ON’되면서 빛을 발생시키는 데, 발광되는 빛의 색깔은 핑크(pink), 그린(green) 또는 블루(blue) 등 여러 가지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 및 감지 안테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로서, 단축안테나 겸 L-C공진회로부(110)와, 고주파정류부(114), 과전압 차단부(116) 그리고 전자파 및 고주파 소멸부(118)로 주로 구성된다.
상기 단축안테나 겸 L-C공진회로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각종 전자파를 포함하여 공중선 착발신신호를 송,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고주파 무선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만 공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공지된 안테나단자(ANT)와 RFC(Radio Frequent Choke)코일(RFC1)을 직렬연결하며 콘덴서(C1)와 RFC코일(RFC2)을 병렬로 연결한 단자에 접속하여 약 800∼900 MHZ동조변환이 가능하며, 상기 RFC코일(RFC1)은 헬리컬안테나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고주파정류부(114)는 두 개의 다이오드(D1,D2)를 직렬연결하여 사인파인 고주파를 정류하여 직류로 전환하게 되는 데, 상기 단축안테나 겸 L-C공진회로부(110)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과전압 차단부(116)는 상기 단축안테나 겸 L-C공진회로부(110)와 상기 고주파정류부(114)의 출력단 사이에 콘덴서(C2)를 병렬로 연결시켜, 고주파정류부 (114)에서 출력되는 전압에의해 충전되고 고주파는 차단하여 안정된 직류전압을 상기 전자파 및 고주파 소멸부(118)로 인가시킨다.
상기 전자파 및 고주파 소멸부(118)는 도1에서 발광부(102)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과전압 차단부(116)의 출력단에 병렬 연결되어 전자파의 유입시 빛을 발생시키는 동작을 통해 전자파 및 고주파를 소멸시키는 LED(LED1,LED2,LED3,LED4)를 두 개씩 직렬연결하고 다시 병렬연결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 및 감지 안테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안테나 겸 L-C공진회로부(210)는 두 개의 콘덴서(C1,C2)를 직렬연결하여 두 개의 다이오드(D1,D2)를 직렬로 연결한 고주파정류부(214)의 입출력단자에 병렬로 연결한 다음, 다이오드(D1,D2)사이에서 직렬연결된 두 개의 콘덴서(C1,C2)사이를 직접연결한 후, 이 연결단자에 RFC코일(RFC1)과 안테나단자(ANT)를 직렬연결하여 1700MHZ∼1900MHZ의 변환이 가능하다.
한편, 과전압 차단부(216)를 구성하는 콘덴서(C3)는 고주파정류부(214)의 출력단자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자파 및 고주파소멸부(218)는 이 과전압차단부(216)의 출력단자에 병렬연결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 및 감지 안테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안테나 겸 L-C공진회로부(310)는 상기 고주파차단부(314)의 직렬연결된 다이오드(D1,D2)와 역시 직렬연결된 콘덴서(C1,C2)사이를 RFC코일(RFC1)로 연결하고 이 RFC코일(RFC1)에 안테나단자(ANT)가 직접 연결되며, 800∼1900MHZ의 변환이 가능한 공진주파수를 형성한다.
그리고, 고전압 차단부(316)는 고주파 정류부(314)의 출력단자와 콘덴서(c3)를 병렬연결하여 회로를 구성하며, 전자파 및 고주파소멸부(318)는 상기 고전압 차단부(316)의 출력단자에 LED를 병렬연결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및 L-C공진회로부의 RFC 코일과 안테나단자에 전파가 착신 또는 발신하면서 전자파가 발생되면, 먼저 에서 RFC코일과 콘덴서에서 공진주파수를 형성하여 전압과 전류를 최대치로 한다음 고주파정류부에서 직류전압으로 정류한다. 이렇게 정류된 직류전압이 만약 과전압으로 걸리면 과전압 차단부에서 충진시켜 용량내의 전압을 전자파 및 고주파소멸부로 인가시키며 상기한 경로로 전해진 고주파의 전자파는 LED에서 빛을 발산하는 데 소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 및 감지 안테나는, 휴대폰 사용할 때 전자파를 이용하여 휴대폰 안테나 내부에 부착된 LED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첫째로 유해한 전자파를 LED의 불빛으로 전환시켜 고주파를 감쇄하여 전자파에 따른 폐해를 최소화하고, 둘째로 사용자가 사용중에 전자파의 발생을 불빛을 통해 알 수 있으므로 스스로 전자파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도록하며, 셋째로, 휴대폰 사용중에 형형색색의 빛을 발생시키므로 시각적으로 미감을 자아내도록 하고, 넷째로 RFC코일을 헬리컬안테나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의 길이를 더욱 짧게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서술된 것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변형예 및 균등한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3)

  1. 휴대폰의 몸체에 나선결합으로 체결되며 하측에 나선부를 형성하는 안테나에 있어서, 상측에 LED를 장착한 발광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 및 감지 안테나.
  2. 콘덴서와 RFC(Radio Frequent Choke)코일로 구성된 상태에서 공지된 안테나의 단자를 설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각종 전자파를 포함하여 공중선 착발신신호를 송,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고주파 무선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만 공진이 이루어지는 단축안테나겸 L-C 공진회로부와;
    상기 단축안테나겸 L-C 공진회로부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출력되는 사인파신호를 정류하여 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 주기 위해 두 개의 다이오드로 구성된 고주파정류부와;
    상기 고주파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충전되고 고주파는 차단함과 아울러 과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과전압 차단부와; 그리고
    상기 과전압 차단부의 출력단에 병렬 연결되어 전자파의 유입시 빛을 발생시키는 동작을 통해 전자파 및 고주파를 소멸시키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LED를 연결하여 이루어진 전자파 및 고주파 소멸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 및 감지 안테나.
  3. 제 2 항에 있어서, 안테나 겸 L-C공진회로부는 고주파정류부의 직렬연결된 다이오드의 사이와 직렬연결된 콘덴서사이를 RFC코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 및 감지 안테나.
KR1019990037959A 1999-09-07 1999-09-07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및 감지 안테나 KR20010026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959A KR20010026589A (ko) 1999-09-07 1999-09-07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및 감지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959A KR20010026589A (ko) 1999-09-07 1999-09-07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및 감지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589A true KR20010026589A (ko) 2001-04-06

Family

ID=19610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959A KR20010026589A (ko) 1999-09-07 1999-09-07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및 감지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65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503A (ko) * 2002-02-20 2002-05-11 주성숙 무선통신단말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나 전자파를내부에서 흡수하여 이를 전원으로 작동하는무선통신단말기용 장식물
KR100503207B1 (ko) * 2002-03-11 2005-07-25 박춘식 전자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전자파 감소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7907A (ja) * 1995-12-14 1997-06-24 Casio Comput Co Ltd アンテナ装置
KR970068009A (ko) * 1996-03-07 1997-10-13 하라다 슈이치 발광체 장착 안테나
JPH09298410A (ja) * 1996-05-07 1997-11-18 Maki Kinzoku:Kk Led発光装置
KR19980061220U (ko) * 1997-03-21 1998-11-05 구라따가쓰히꼬 이동체 통신기의 발신 표시 장치
KR19990028384U (ko) * 1997-12-26 1999-07-15 유승철 무선송수신기의 발광장치
KR20000015427U (ko) * 1998-12-31 2000-07-25 이양희 핸드폰의 전자파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7907A (ja) * 1995-12-14 1997-06-24 Casio Comput Co Ltd アンテナ装置
KR970068009A (ko) * 1996-03-07 1997-10-13 하라다 슈이치 발광체 장착 안테나
JPH09298410A (ja) * 1996-05-07 1997-11-18 Maki Kinzoku:Kk Led発光装置
KR19980061220U (ko) * 1997-03-21 1998-11-05 구라따가쓰히꼬 이동체 통신기의 발신 표시 장치
KR19990028384U (ko) * 1997-12-26 1999-07-15 유승철 무선송수신기의 발광장치
KR20000015427U (ko) * 1998-12-31 2000-07-25 이양희 핸드폰의 전자파 차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503A (ko) * 2002-02-20 2002-05-11 주성숙 무선통신단말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나 전자파를내부에서 흡수하여 이를 전원으로 작동하는무선통신단말기용 장식물
KR100503207B1 (ko) * 2002-03-11 2005-07-25 박춘식 전자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전자파 감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5614B2 (en) Antenna switch with adaptive filter
DE60334888D1 (de) Schaltnetzwerk und zusammengesetzter hochfrequenzteil
WO2004057697A3 (en) Antenna with rapid frequency switching
US6314277B1 (en) Electromagnetic radiation protection device of a mobile phone
KR100514568B1 (ko)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 결합 장치 및 방법
JP2018509798A (ja) 出力整合素子における集積フィルタ
SE9604016L (sv) Radiotelefon med hög antenneffektivitet
US20190131716A1 (en) Terminal antenna and terminal
US6381446B1 (en) Controllable filter
KR20010026589A (ko) 휴대폰의 전자파 감쇄및 감지 안테나
WO2016086593A1 (zh) 一种移动终端切换天线及其切换方法
US8423100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low near-field radiation and related antenna structure
US20040242165A1 (en) RF signal switch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P0973270A2 (en) Variable impedance matching circuit and portable phone employing the same
KR20010008654A (ko) 듀얼 밴드용 안테나 임피던스 정합회로
JP3232012B2 (ja) 移動通信方法、通信装置及び筐体
JP2001308739A (ja) 無線機
KR20100043483A (ko) 주파수 대역을 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
CN118101381A (zh) 通讯装置
KR10033986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파 경고 장치
JP3891394B2 (ja) 高周波スイッチモジュール
JP2002016401A (ja) 高周波スイッチ回路
RU2174271C2 (ru) Двухдиапазонная антенна
KR200179162Y1 (ko) 안테나용 표시장치
EMMANUEL DESIGN AND CONSTRUCTION OF A WIRELESS TRANS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