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7066B1 - 취반기 - Google Patents

취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7066B1
KR100297066B1 KR1019980021730A KR19980021730A KR100297066B1 KR 100297066 B1 KR100297066 B1 KR 100297066B1 KR 1019980021730 A KR1019980021730 A KR 1019980021730A KR 19980021730 A KR19980021730 A KR 19980021730A KR 100297066 B1 KR100297066 B1 KR 100297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heating
cooking
rice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1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891A (ko
Inventor
히로노리 하마다
메구미 아리히사
미쯔루 타케치
마사히로 코야마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9156551A external-priority patent/JP311686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5338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3768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970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1246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9709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552480B2/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19990006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0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58For cooking
    • H05B1/0261For cooking of foo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9/00Foods and beverages: apparatus
    • Y10S99/14Induc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뚜껑을 닫을 때에 조작부에 잘못해서 접촉해버려도 착오조작으로 되지 않고, 또한 취반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뿜어넘쳐흐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취반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으로서, 이 취반기는, 본체(31)와, 본체(31)의 상부를 덮는 뚜껑(36)과, 본체(31)내에 착탈자재하게 수납되는 내부남비(32)와, 내부남비(32)를 유도가열하는 가열수단(33)과, 가열수단(33)에의 고주파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1)과, 조작수단(46)과, 뚜껑(36)의 증기통(47)에 설치된 뚜껑개폐검지수단(50) 또는 밥물검지수단(103)을 구비하고, 그리고 제어수단(51)은 뚜껑(36)의 열린 상태의 검지시에 조작수단(46)의 조작신호입력을 금지하고, 또는 밥물의 상승검지시에, 가열수단(33)에의 전력공급량을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에 의해서, 뚜껑의 개폐시의 취반착오입력 또는 밥물의 뿜어넘쳐흐름을 미연에 방지한 밥맛이 좋은 취반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취반기
본 발명은, 일반가정 또는 업무용에 사용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한 취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취반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높은 화력으로 취반을 행하는 취반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또, 동일한 수량(水量)으로 된밥 진밥을 구분해서 밥짓기를 할 수 있는 취반기가 보급되어 있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취반기는, 예를 들면,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은 구성이었다. 도 8에 있어서, 보디(취반기본체)(1)는 상부면이 개구된 원통형상이고, 이 보디(1)의 내부에는, 내부남비(3)의 수납부인 보호프레임(2)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보호프레임(2)은 비금속재료에 의해 밑바닥부분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성형되고, 보호프레임(2)의 상단부는 보디(1)의 상단부의 안둘레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내부남비(3)는 상단부의 개구부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랜지(4)를 가지며, 이 내부남비(3)는, 플랜지(4)를 상부프레임(5)의 상부면에 매단 상태로 얹어 놓dma으로써, 보호프레임(2)내에 착탈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보호프레임(2)의 바깥쪽에는, 내부남비(3)를 가열하는 유도코일(6)이 배치되고, 이 유도코일(6)은, 내부남비(3)의 외주면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되도록, 보호프레임(2)의 외주하부에 내열성 수지재료에 의해 성형된 코일커버(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유도코일(6)의 중앙부에는 내부남비(3)의 온도를 검출하는 남비센서(8)가 설치되어 있다.
합성수지재의 바깥뚜껑(9)은, 상부프레임(5)의 상부에 일체성형된 힌지부재(10)에 핀(11)을 개재해서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바깥뚜껑(9)의 내면에는 내부커버(12)가 고착되어 있다. 내부커버(12)에는 발열체인 방열판(13)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방열판(13)의 상부에는 코일지지대(14)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유도코일(15)이 위치하고 있다. 이 유도코일(15)의 전자(電磁)작용에 의해 방열판(13)이 발열한다. 그리고 이 방열판(13)에는, 방열판(13)의 온도를 검지하는 뚜껑센서(16)가 알루미늄제의 테이프에 의해 직접 붙여 있어, 방열판(13)의 온도를 검지한다.
걸어맞춤부재(17)는 힌지부재(10)와 반대쪽에 위치해서 보호프레임(2)의 상단부에 일체성형되며, 이 걸어맞춤부재(17)와 대향하도록 바깥뚜껑(9)에 걸어맞춤레버(18)가 레버핀(19)을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남비패킹(20)은 바깥뚜껑(9)을 닫았을 때의 내부남비(3)의 플랜지(4)에 압접해서 그 내부남비(3)를 밀폐하는 것이다. 또, 바깥뚜껑(9)의 중앙부에 설치된 증기통(21)은, 밥물이 외부로 뿜어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기판(22)은, 유도코일(6), (12)에의 통전제어나, 남비센서(8)와 뚜껑센서(16)로부터의 신호 및 보디(1)의 상부면 바로 앞쪽에 설치된 조작표시부(23)의 신호를 입출력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냉각팬(24)은, 유도코일(6)이나 제어기판(22)을 냉각하는 것이다. 제어기판(22)은, 뚜껑센서(16)의 온도검지신호에 의해, 취반중의 취반량 판정행정에서 내부남비(3)내의 쌀과 물의 양을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에 의해, 유도코일(6)에의 통전상태를 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취반기의 구성에서는, 내부남비(3)를 착탈할 때에 바깥뚜껑(9)의 개폐가 필요하나, 특히 바깥뚜껑(9)을 닫는 경우, 바깥뚜껑(9)의 상부면의 보디(1)의 바로 앞쪽을 누르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 조작표시부(23)가 바깥뚜껑(9) 상부면을 손으로 누를 가능성이 있는 범위에 설치되어 있으면, 조작키를 잘못해서 눌러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 이와 같은 취반기에서는, 밥을 짓고 있는 한창때에 바깥뚜껑(9)을 열었을 경우, 뚜껑센서(16)는 정확한 내부남비(3)의 온도를 검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정상적인 취반량의 판정을 할 수 없어, 취반량에 맞는 최적의 취반을 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 취반화력이 높기 때문에, 특히 잘 퍼진 밥을 짓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통상보다 물을 더 가해서 취반을 행한다고 하는 사용법이 행해졌을 경우에는, 특히 뿜어넘쳐흐르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뚜껑을 닫을 때에 조작부에 잘못해서 접촉되어도 착오조작으로 되지 않는 구성의 취반기를 실현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취반중에 뚜껑이 열려서 최적의 취반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취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밥물이 내부남비보다도 상승한 것을 검지해서 취반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뿜어넘쳐흐름을 미연에 방지하는 취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7에 있어서의 취반기의 종단면도
도 2는 이 취반기의 블록도
도 3은 이 취반기의 뚜껑상부면앞부분외관도
도 4는 이 취반기의 뚜껑개폐검지수단겸 밥물검지수단을 표시한 요부확대단면도
도 5는 이 취반기의 취반시퀀스를 표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8~19에 있어서의 취반기의 블록도
도 7은 이 취반기의 동작파형도
도 8은 종래이 취반기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본체(취반기본체) 32, 101: 내부남비
33, 102: 가열수단 34: 인버터기판
35; 남비센서 36: 뚜껑
37: 상부프레임 38: 힌지부재
39: 핀 40: 방열판
41: 뚜껑센서 42: 제어기판
43: 마이크로컴퓨터 44: 액정표시장치(LCD)
45: 버저 46: 조작수단
47: 증기통 48: 플로트
49: 플로트검지부 50: 뚜껑개폐검지수단(밥물검지수단)
51: 제어수단 52: 취반량판정수단
53: 인버터 54: 표시수단
55: 경보수단 56: 취반제어수단
57: 기억수단 58: 취반키
59: 예약키 60: 보온키
61: 취소키 62: 보온코스키
63: 햅쌀도키 64: 메뉴키
65: 시(時)키 66: 분(分)키
67: 홈 68: (증기)분출구
103: 밥물검지수단 104: 가열제어수단
105: 이상검지수단 106: 입력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취반기는, 취반기본체(이하, "본체"라 약칭함)와,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과, 본체내에 착탈자재하게 수납되는 내부남비와, 내부남비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가열수단에 전력을 공급하여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적어도 취반개시의 조작 및 취반기능의 선택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뚜껑에 수납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은 뚜껑의 열린 상태를 검지했을 때에 조작부의 적어도 1개의 조작입력을 금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뚜껑이 열려 있는 상태나, 뚜껑을 닫으려고 하고 있을 때에 잘못해서 조작부의 키를 눌러버려도, 착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어수단을 뚜껑의 열림상태의 검지시에 취반개시의 지시입력을 금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뚜껑이 열려 있는 상태나 뚜껑을 닫으려고 하고 있을 때에 잘못해서 취반개시키를 눌러버려도 이 착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뚜껑을 열은 상태에서도, 보온의 취소나 메뉴의 선택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취반기에서는, 또 취반기능의 상태 및 뚜껑의 개폐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어수단이 뚜껑의 개폐상태를 어떻게 판정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제어수단은, 뚜껑의 열림상태시에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입력했을 경우에 그 취지를 알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뚜껑이 열려있는 상태나 닫으려고 하고 있을 때에 잘못해서 조작부의 키를 눌러버려도 착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고, 뚜껑을 연 상태에서 조작부의 키를 눌렀을 때에, 키가 받아들이지 않는 것을 알릴 수 있다.
제어수단은, 뚜껑이 닫혀진 다음에도 소정 시간 조작부의 조작신호입력을 금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뚜껑을 닫을 때의 착오동작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어수단은, 조작부의 특정한 조작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뚜껑이 열려있는 경우라도, 조작부의 조작신호입력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뚜껑개폐검지수단이 고장나버려도, 정상적으로 키조작할 수 있다.
제어수단은, 취반동작중의 특정행정에서 소정 시간 뚜껑의 열림상태를 검지했을 때에 그 취지를 알림으로써, 취반중에 뚜껑이 열려서 최적의 취반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취반기의 또 하나의 태양은, 조리물을 넣는 내부남비와, 내부남비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밥물이 내부남비의 상단부보다도 상승한 것을 검지하는 밥물검지수단과, 가열수단을 제어하는 가열제어수단을 구비하고, 가열제어수단이 밥물검지수단의 검지상태에 따라서 가열수단의 가열량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밥물이 내부남비로부터 상승한 것을 검지했을 때에 그 이상 밥물의 양이 증가해서 뿜어넘쳐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열제어수단은, 밥물검지수단에 의해서 밥물의 상승을 검지하고 있는 동안에, 가열수단의 가열을 정지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밥물상승과 가열수단에 의한 가열의 유무가 동일한 타이밍으로 연동하기 때문에, 제어를 간단히 할 수 있다.
또, 가열제어수단은, 밥물검지수단에 의해서 밥물의 상승이 없어진 것을 검지하고 나서부터 일정시간 가열수단의 가열을 정지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밥물의 상승이 즉시 발생하지 않게 될 때까지 확실하게 밥물을 내부남비에 되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밥물검지수단의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검지수단을 또 구비하여, 가열제어수단은 이상검지수단에 의해서 밥물검지수단의 이상이 검지되었을 때에 가열수단의 가열량을 변화시키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밥물검지수단의 이상이 있어도 가열량을 극도로 감소시켜서 취반성능을 저하시키는 일이나 뿜어넘쳐흐르는 일없이 정상적으로 취반을 완료할 수 있다.
특히 이상검지수단에 의해서 밥물검지수단의 이상이 검지되었을 경우, 가열제어수단이 취반동작을 개시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취반가열시에 밥물검출수단이 반드시 정상(正常)에 있도록 함으로써 밥물검출수단의 이상(異常)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밥물의 상승이 없는 데도 불구하고 가열량을 내려서 취반성능을 저하시키거나, 밥물의 상승이 있는 데도 불구하고 검지하지 못하여 뿜어넘쳐흐르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가열제어수단에 입력을 행하는 입력수단을 또 구비하며, 가열제어수단은 이상검지수단에 의해서 밥물검지수단의 이상이 검지되었을 경우에 복수 회의 입력에 의해 취반기의 상태를 변경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밥물검지수단의 이상시에 복수 회의 입력에 의해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이상상태인 것을 사용자가 인식하고 나서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특히 가열제어수단이, 복수 회의 입력을 일정 시간내에 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때까지의 입력을 무효로 하는 구성인 경우에는, 일정 시간내에 눌렀던 것만 유효함으로써, 장시간 경과하고 나서 입력이 있었을 경우에 1회의 입력에 의한 취반기의 상태변경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상검지수단이 밥물검지수단에 의해서 일정 시간 이상 연속적으로 밥물의 상승을 검지했을 경우에 이상으로 판단하도록 한 구성의 경우에는, 이상검지수단을 기구적으로 따로 구성할 필요가 없어, 구성이 간단하다.
가열제어수단은, 취반기내의 온도가 소정 범위에 있는 경우에, 밥물검지수단의 검지결과에 의존하지 않고 가열수단을 제어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뿜어넘쳐흐름이 일어날 수 있는 온도에서만 가열량을 조정하고, 필요없는 온도범위에서의 착오검지에 의한 가열량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가열제어수단은, 취반시간이 소정의 범위에 있는 경우에, 밥물검지수단의 검지결과에 의존하지 않고 가열수단을 제어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뿜어넘쳐흐름이 일어날 수 없는 동안은 밥물검지수단에 의한 가열량의 조정을 행하지 않음으로써 필요없을 때의 착오검지에 의한 가열량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가열제어수단은, 소정의 취반행정에 있어서, 밥물검지수단의 검지결과에 의존하지 않고 가열수단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뿜어넘쳐흐름에 의해서 가열량을 변화할 필요가 없는 취반행정에서 착오검지에 의해서 가열량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또 취반기의 상태를 표시 또는 알리는 표시수단과,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표시제어수단을 설치하고, 표시제어수단을 밥물검지수단 또는 이상검지수단의 적어도 한쪽의 검지상태에 의존해서 표시수단의 동작을 변경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검지상태를 표시해서 사용자에게 동작을 알릴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 1~도 4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부면이 개구된 취반기본체(이하, "본체"라 약칭함)(31)내에는, 쌀과 물을 넣는 내부남비(32)가 착탈자재하게 수납되어 있다. 이 본체(31)내부에는 내부남비(32)를 가열하는 가열코일로 이루어진 가열수단(33)과, 가열수단(33)을 구동하는 인버터를 탑재한 인버터기판(34)이 배치되어 있다. 이 가열수단(33)의 중앙부에는 내부남비(32) 바닥의 온도를 검지하는 남비센서(35)가 설치되어 있다. 취반기본체(31)의 상부면개구부에는, 개폐자재하게 덮는 뚜껑(36)이 설치되고, 뚜껑(36)은 상부프레임(37)이 상부에 일체 성형된 힌지부재(38)에 핀(39)을 개재해서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뚜껑(36)에는 방열판(40)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방열판(40)에는 뚜껑(36)과 내부남비(32)내의 온도를 검지하는 뚜껑센서(41)가 밀착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 뚜껑(36)내에는 제어기판(42)이 설치되어 있다. 제어기판(42)은 가열제어수단인 마이크로컴퓨터(43)와 표시수단인 액정표시장치(LCD)(44)와 경보수단인 버저(45)와 조작수단(46) 등을 탑재하고 있다.
또, 뚜껑(36)에는, 증기통(47)내에 설치된 플로트(48)와 증기통(47)의 주변의 뚜껑앞쪽에 설치된 플로트검지부(49)로 이루어진 뚜껑개폐검지수단(5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뚜껑개폐검지수단(50)은, 후술하는 취반시에 있어서의 밥물검지수단으로서 기능시킬 수도, 뚜껑개폐검지와 밥물검지의 복합검지수단으로서 기능시킬 수도 있다.
또, 도 2에 있어서, 상기의 마이크로컴퓨터(43)인 제어수단(51)은, 뚜껑개폐검지수단(50)으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는 동시에, 남비센서(35)의 출력과 뚜껑센서(41)의 출력을 입력하고, 내부남비(32)내의 쌀과 물의 양, 즉 취반량을 판정하는 취반량판정수단(52)과, 취반량판정수단(52)의 출력에 의해 가열수단(33)의 가열출력을 결정하고, 뚜껑개폐검지수단(50)으로부터의 입력신호와 함께 남비센서(35)의 출력과 뚜껑센서(41)의 출력을 입력하고, 또한 취반시퀀스에 의거해서 인버터(53)를 제어해서 가열수단(33)의 가열출력을 제어하고, 또 취반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LCD(44)를 구비한 표시수단(54)과 취반기의 이상 등을 경보하는 버저(45)를 구비한 경보수단(55)에 신호를 출력하는 취반제어수단(56)과, 취반시퀀스를 기억하는 기억수단(57)을 구성하고 있다.
조작수단(46)은, 마이크로컴퓨터(43)내의 기억수단(57)에 기억되어 있는 취반시퀀스를 선택하거나 취반을 개시하는 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43)내의 기억수단(57)에 출력하는 것이다.
도 3은, 이 실시예의 취반기의 뚜껑(36)을 상부로부터 봤을 때의 뚜껑앞부분의 외관도이다.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뚜껑(36)의 상부면앞쪽에는, 표시수단(54)인, 현재시각, 선택되어 있는 보온코스, 햅쌀도, 취반메뉴 및 뚜껑(36)의 개폐상태 등을 표시하는 LCD(44)와, 조작수단(46)인 취반개시를 위한 취반키(58)와, 예약취반을 행하기 위한 예약키(59)와, 보온을 개시하기 위한 보온키(60)와, 취반이나 보온을 취소하는 취소키(61)와, 보온의 온도를 선택하는 보온코스키(62)와, 쌀의 상태에 맞추어서 최적의 취반시퀀스를 선택하기 위한 햅쌀도키(63)와, 취반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키(64)와, LCD(44)에 표시되어 있는 시각을 변경하기 위한 시(時)키(65) 및 분(分)키(66) 등이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뚜껑개폐검지수단(50)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뚜껑개폐검지수단(50)은, 뚜껑(36)을 개폐했을 때에 이동가능한 플로트(48)를 증기통(47)내부에 설치하고, 그 플로트(48)의 이동 및 유무를 검지하는 플로트검지부(49)를 증기통(47) 주변의 뚜껑앞쪽에 배치하고, 플로트(48)가 뚜껑(36)이 열렸을 때에 힌지부재(38)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이용해서, 뚜껑(36)의 개폐를 검지하고 있다. 또, 플로트(48)의 존재유무에 의해 증기통(47)의 착탈을 검지하고 있다.
증기통(47)은, 경사하부면에 플로트(48)의 이동을 안내하는 홈(67)을 형성하고, 경사최하부에 증기의 분출구(68)를 형성하고 있다. 플로트(48)는, 원통형상, 또는 구(球)형상의 자석(magnet)에 의해 형성되고, 이동시에 홈(67)에 안내되는 볼록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플로트(48)는, 뚜껑(36)이 닫힌 상태에서는, 증기분출구(68)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플로트검지부(49)는 플로트(48)의 자기에 의해 접점을 개폐하는 예를 들면 리드스위치이다. 플로트(48)는 경사가 있는 홈(67)위에 얹혀 있기 때문에, 뚜껑(36)이 닫힌 상태에서는, 플로트(48)는 플로트검지부(49)쪽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뚜껑(36)이 열린 상태에서는 플로트(48)가 플로트검지부(49)와 반대쪽으로 이동한다. 이 플로트(48)의 이동에 의해, 플로트검지부(49)와 반대쪽으로 이동한다. 이 플로트(48)의 이동에 의해 플로트검지부(49)에의 자기의 영향이 변화하기 때문에 플로트검지부(49)의 접점이 개폐되어, 뚜껑(36)의 개폐검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 후술하는 밥물검지에 관해서 언급하면, 증기통(47)의 홈(67)은, 밥물발생시에 이 밥물의 통과길을 형성하는 동시에 플로트(48)가 밥물에 의해서 이동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담당하는 것이다. 밥물검지의 경우에는, 이 플로트(48) 등의 구성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광센서를 플로트검지부(49)에 사용하여, 플로트(48)의 존재를 그 반사유무 등에 의해 검지하는 등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으나, 어떻든 간에, 플로트(48)가 증기에 의해서만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밥물의 상승에 따라 이동하게 되는 중량 및 증기통(47)의 바닥부의 경사각도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중량 등과 밥물관의 관계는, 실험에 의하면, 원주형상의 플로트를 사용했을 경우, 바닥면각도를 약 12° 정도로 하면, 2~4g정도의 중량이 취반시의 뿜어넘쳐흐름에 대해서 적정하다는 결과를 얻고 있다.
플로트검지부(49)는, 플로트(48)의 움직임을 검지하고, 그 검지내용(뚜껑의 개폐, 밥물의 상승 등)에 따라서, 가열코일로 이루어진 가열수단(33)에의 고주파전력의 공급을 제어하고 있다. 즉, 취반시에는, 밥물의 증기분출구(68)로부터의 유입에 따라, 플로트(48)의 하부에 밥물이 괴고, 내부압력의 상승에 의해, 플로트(48)가 경사면을 상향이동하고, 플로트검지부(49)가 동작함으로써, 상기 전력제어가 행하여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뚜껑(36)의 개폐상태의 검지는, 증기통(47)의 내부에 설치된 플로트(48)가, 뚜껑(36)을 열었을 경우에 플로트검지부(49)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이용하고 있으나, 플로트이외의 검지수단이어도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 밥물과 증기와의 차이를 플로트의 운동 등에 의해 검지하고 있으나, 그 검지는, 반드시, 역학적인 이동 등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도, 밥물의 점성이나 열용량 등의 물성적인 상이를 이용하는 구성의 것이어도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취반기에 대해서 동작을 설명한다.
마이크로컴퓨터(43)는, 뚜껑개폐검지수단(50)인 플로트검지부(49)로부터 뚜껑(36)이 열린 상태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있을 때는, 뚜껑(36)상부면에 설치된 조작수단(46)인 취반키(58)와, 예약키(59)와, 보온키(60)와, 취소키(61)와, 보온코스키(62)와, 햅쌀도키(63)와, 메뉴키(64)와 시키(65) 및 분키(66)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해도 그 신호를 받아들이지 않아 취반기의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뚜껑(36)을 열어서 쌀과 물을 넣은 내부남비(32)를 본체(31)내에 수납한 후, 뚜껑(36)을 닫을 때에, 당연히 뚜껑(36)의 상부면 앞쪽부분을 누를 필요가 있으나, 그 때 가끔 손가락이 취반키(58)에 걸려버려도, 취반키(58)가 눌린 것을 마이크로컴퓨터(43)는 받아들이지 않으므로 취반을 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뚜껑(36)의 상부면앞쪽에 조작수단(46)이 있어도, 뚜껑(36)을 닫을 때에 잘못해서 조작수단(46)을 눌러버려도 착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제 2실시예에 대해서, 도 1~도 4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단,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작만을 설명한다.
마이크로컴퓨터(43)는, 뚜껑개폐검지수단(50)인 플로트검지부(49)로부터 뚜껑(36)이 열린 상태인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있을 때는, 뚜껑(36)상부면에 있는 조작수단(46)의 취반키(58)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해도 그 신호를 받아들이지 않아 취반기의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뚜껑(36)을 열어서 쌀과 물을 넣은 내부남비(32)를 본체(31)내에 수납한 후, 뚜껑(36)을 닫을 때에, 당연히 뚜껑(36)의 상부면 앞쪽부분을 누를 필요가 있으나, 그 때 가끔 손가락이 취반키(58)에 걸려버려도, 취반키(58)가 눌러진 것을 마이크로컴퓨터(43)는 받아들이지 않으므로 취반을 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뚜껑(36)의 상부면앞쪽에 취반키(58)가 있어도, 뚜껑(36)을 닫을 때에 잘못해서 취반키(58)을 눌러버려도 착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고, 그 밖의 키는 받아들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밥을 보온중에 뚜껑(36)을 열고 내부남비(32)를 본체(31)로부터 빼낸 후, 보온상태를 취소하고 싶은 경우, 뚜껑(36)을 연 채로 취소키(61)를 눌러도 보온을 취소할 수 있다.
또, 만일 취반도중이나 보온도중에 뚜껑개폐검지수단(50)이 고장나 버려도 취소키(61)에 의해 취반상태나 보온상태를 취소할 수 있으므로, 가열수단(33)에의 통전을 정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제 3실시예에 대해서, 도 1~도 4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단,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작만을 설명한다.
마이크로컴퓨터(43)는, 뚜껑개폐검지수단(50)인 플로트검지부(49)로부터 뚜껑(36)이 열린 상태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있을 때는, LCD(44)에 뚜껑(36)이 열린 상태인 것을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뚜껑(36)상부면에 있는 조작수단(46)인 취반키(58)와, 예약키(59)와, 보온키(60)와, 취소키(61)와, 보온코스키(62)와, 햅쌀도키(63)와, 메뉴키(64)와 시키(65) 및 분키(66)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해도 그 신호를 받아들이지 않아 취반기의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뚜껑(36)을 열어서 쌀과 물을 넣은 내부남비(32)를 본체(31)내에 수납한 후, 뚜껑(36)을 닫을 때에, 당연히 뚜껑(36)의 상부면 앞쪽부분을 누를 필요가 있으나, 그 때 가끔 손가락이 취반키(58)에 걸려버려도, 취반키(58)가 눌린 것을 마이크로컴퓨터(43)는 받아들이지 않으므로 취반을 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뚜껑(36)의 상부면앞쪽에 조작수단(46)이 있어도, 뚜껑(36)을 닫을 때에 잘못해서 조작수단(46)을 눌러버려도 착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LCD(44)의 표시에 의해 뚜껑(36)을 연 상태에서 조작부의 키를 눌렀을 때에, 키가 받아들이지 않아도 고장났다고 하는 틀린 생각을 하는 일은 없다. 또한, 반대로 뚜껑개폐검지수단(50)이 고장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제 4실시예에 대해서, 도 1~도 4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단,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작만을 설명한다.
마이크로컴퓨터(43)는, 뚜껑개폐검지수단(50)인 플로트검지부(49)로부터 뚜껑(36)이 열린 상태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있을 때는, 뚜껑(36) 상부면에 있는 조작수단(46)인 취반키(58)와, 예약키(59)와, 보온키(60)와, 취소키(61)와, 보온코스키(62)와, 햅쌀도키(63)와, 메뉴키(64)와 시키(65) 및 분키(66)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해도 그 신호를 받아들이지 않고, 경보수단(55)인 버저(45)에 신호를 출력하여 동작시키고, 또한, 취반기의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뚜껑(36)을 열어서 쌀과 물을 넣은 내부남비(32)를 본체(31)내에 수납한 후, 뚜껑(36)을 닫을 때에, 당연히 뚜껑(36)의 상부면 앞쪽부분을 누를 필요가 있으나, 그 때 가끔 손가락이 취반키(58)에 걸려버려도, 취반키(58)가 눌러진 것을 마이크로컴퓨터(43)는 받아들이지 않으므로 취반을 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뚜껑(36)의 상부면앞쪽에 조작수단(46)이 있어도, 뚜껑(36)을 닫을 때에 잘못해서 조작수단(46)을 눌러버려도 착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고, 뚜껑(36)을 연 상태에서 조작부의 키를 눌렀을 때에, 키가 받아들이지 않는 것을 알릴 수 있다.
[실시예 5]
제 5실시예에 대해서, 도 1~도 4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단,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작만을 설명한다.
마이크로컴퓨터(43)는, 뚜껑개폐검지수단(50)인 플로트검지부(49)로부터 뚜껑(36)이 열린 상태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있을 때와, 출력신호가 뚜껑(36)의 닫힌 상태인 출력신호로 절환되고 나서부터 약 1초간은, 뚜껑(36)상부면에 있는 조작수단(46)인 취반키(58)와, 예약키(59)와, 보온키(60)와, 취소키(61)와, 보온코스키(62)와, 햅쌀도키(63)와, 메뉴키(64)와 시키(65) 및 분키(66)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해도 그 신호를 받아들이지 않아 취반기의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플로트(48)는, 뚜껑(36)을 개폐하면 홈(67)위를 이동하나, 뚜껑(36)이 닫히기 전에 플로트검지부(49)쪽으로 이동해 버리거나, 플로트검지부(49)의 검지정밀도에 따라, 뚜껑(36)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도 닫힌 상태인 신호를 출력해도, 뚜껑(36)을 열어서 쌀과 물을 넣은 내부남비(32)를 본체(31)내에 수납한 후, 뚜껑(36)을 닫을 때에, 당연히 뚜껑(36)의 상부면 앞쪽부분을 누를 필요가 있으나, 그 때 가끔 손가락이 취반키(58)에 걸려버려도, 취반키(58)가 눌린 것을 마이크로컴퓨터(43)는 받아들이지 않으므로 취반을 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뚜껑(36)의 상부면앞쪽에 조작수단(46)이 있어도, 뚜껑(36)을 닫을 때에 잘못해서 조작수단(46)을 눌러버려도 확실하게 착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대해서, 도 1~도 4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단,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작만을 설명한다.
마이크로컴퓨터(43)는, 뚜껑개폐검지수단(50)인 플로트검지부(49)로부터 뚜껑(36)이 열린 상태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있을 때는, 뚜껑(36) 상부면에 있는 조작수단(46)인 취반키(58)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해도 그 신호를 받아들이지 않아 취반기의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다. 단, 이 상태에서도, 마이크로컴퓨터(43)는 취반키(58)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연속해서 3초동안에 3회 입력함으로써, 신호를 받아들여서 취반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뚜껑(36)을 열어서 쌀과 물을 넣은 내부남비(32)를 본체(31)내에 수납한 후, 뚜껑(36)을 닫을 때에, 당연히 뚜껑(36)의 상부면 앞쪽부분을 누를 필요가 있으나, 그 때 가끔 손가락이 취반키(58)에 걸려버려도, 취반키(58)를 1회 누른 것만으로는 마이크로컴퓨터(43)는 입력을 받아들이지 않으므로 취반을 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뚜껑(36)의 상부면앞쪽에 취반키(58)가 있어도, 그리고 뚜껑(36)을 닫을 때에 잘못하여 조작수단(46)을 눌러버려도 착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뚜껑개폐검지수단(50)이 고장나 버려도, 취반키(58)를 계속해서 3회 누름으로써 정상적으로 취반을 개시시킬 수 있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대해서, 도 1~도 4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단,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작에 대해서 도 5에 의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취반기에 있어서 밥을 취반할 때의 취반시퀀스와, 남비센서(35) 및 뚜껑센서(41)의 검지온도를 표시하고 있다. 도 5의 실선은 남비센서(35)의 검지온도를 표시하고 있으며, 점선은 뚜껑센서(41)의 검지온도를 표시하고 있다. 취반량판정행정에 있어서, 남비센서(35)의 검지온도가 소정온도 θ2에 도달하고 나서부터, 뚜껑센서(41)의 검지온도가 소정온도 θ3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 T1에 의해서 내부남비(32)내의 취반량을 판정하고, 그 후는 취반량에 따라서 가열출력을 조절해서 비등유지행정을 진행하고, 남비센서(35)의 검지온도가 소정온도 θ4에 도달하면 뜸들임행정에 들어간다.
여기서 상기 취반량판정행정중에 뚜껑(36)을 열어버리면, 뚜껑센서(41)는 내부남비(32)내의 정상적인 온도를 검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검지온도가 소정온도 θ3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 T1이 연장되어 버려, 정확하게 취반량을 판정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마이크로컴퓨터(43)는, 취반시의 취반량판정행정중에 뚜껑개폐검지수단(50)인 플로트검지부(49)로부터 뚜껑(36)이 열린 상태인 출력신호를 입력했을 경우는, 경보수단(55)인 버저(45)에 신호를 출력하여 동작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취반시의 취반량행정중에 뚜껑(36)을 열어버렸을 경우, 버저(45)에 의해 정상적인 취반량판정을 할 수 없는 것을 알릴 수 있어, 언제든지 정확한 취반량판정에 의해 맛있는 밥을 짓게 할 수 있다.
[실시예 8]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대해서, 도 6 및 도 7(a), 도 7(b), 도 7(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취반기 및 밥물검출수단의 구성의 구체예는 상기한 도 1 및 도 4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 구체예로서 들고 있는 시간, 온도, 행정은 임의로 설정해서 실시가능하다.
도 6에 있어서, 부호 (101)은 조리물을 넣는 내부남비이며, 가열수단(102)에 의해 해당 내부남비(101)가 가열된다. 밥물검지수단(103)은 액체 및 고체의 밥물을 검지하는 것이다. 가열제어수단(104)는 밥물검지수단(103)의 검지결과에 의해서 가열수단(102)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취반기에 대해서, 동작을 설명한다. 가열수단(102)에 의한 가열이 개시되면, 가열에 따라서 내부남비(101)내의 조리물이나 물이 상승한다. 일정 위치까지 상승한 경우에 밥물검지수단(103)에 의해서 검지된 가열제어수단(104)은 가열수단(102)의 가열량을 바꿈으로써 뿜어넘쳐흐름을 억제한다.
[실시예 9]
제 9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이것은 제 8실시예와 마찬가지 구성의 취반기이므로, 동작만을 설명한다. 도 7(a)에 밥물검지수단(103)의 검지결과와 가열수단(102)의 동작관계를 표시한다. 가열제어수단(104)은 밥물검지수단(103)에 의해서 밥물의 상승을 검지한 경우는 가열수단(102)을 정지하고, 밥물이 하강을 검지한 경우는 가열량을 증가한다.
[실시예 10]
제 10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이것은 제 8실시예와 마찬가지 구성의 취반기이므로, 동작만을 설명한다. 도 7(b)에 밥물검지수단(103)의 검지결과와 가열수단(102)의 동작관계를 표시한다. 가열제어수단(104)은 밥물검지수단(103)에 의해서 밥물의 상승을 검지한 경우는 가열수단(102)을 정지하고, 밥물의 하강을 검지한 경우는, 그 후 수초간의 대기후, 가열량을 증가한다.
[실시예 11]
제 11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이상검지수단(105)은 밥물검지수단(103)의 이상을 검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 8실시예와 동일번호의 것은 공통의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취반기에 대해서 동작을 설명한다. 이상검지수단(105)이 밥물검지수단(103)의 이상을 검지했을 경우, 가열제어수단(104)은 가열수단(102)을 제어해서 취반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로 도 7(c)와 같이 가열량을 감소함으로써 뿜어넘쳐흐름을 억제한다.
[실시예 12]
제 12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이것은 제 11실시예와 마찬가지 구성의 취반기이므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취반동작개시시에 이상검지수단(105)이 밥물검지수단(103)의 이상을 검지하고 있었을 경우, 가열제어수단(104)은 취반 동작의 개시를 그만둔다.
[실시예 13]
제 13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입력수단(106)은 가열제어수단(104)에 대해서 입력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제 8실시예 또는 제 11실시예와 동일 번호의 것은 공통의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취반기에 대해서 동작을 설명한다. 이상검지수단(105)이 밥물검지수단(103)의 이상을 검지했을 경우, 1회째에 입력수단(106)에 의해서 입력이 있었을 때는 그 입력을 무효로 하고, 2회째의 입력에 의해 비로소 취반기의 상태를 변경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2회 뿐만 아니고 임의의 복수 회의 입력에 의해 비로소 취반기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14]
제 14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이것은 제 13실시예와 마찬가지 구성의 취반기이므로, 동작만을 설명한다. 이상검지수단(105)이 밥물검지수단(103)의 이상을 검지했을 경우, 1회째에 입력수단(106)에 의해서 입력이 있었을 때는 그 입력을 무효로 하고, 그 시점에서부터 시간을 계측한다. 10초간 경과할 때까지 소정 횟수의 입력이 종료했을 경우, 그 입력을 유효로 해서 취반기의 상태를 변경한다. 입력이 종료되기 전에 10초 경과했을 경우는 그 때까지의 입력을 모두 무효로 하고, 다음 입력은 1회째의 입력으로 해서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또한, 1회째부터 소정 횟수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에 한하지 않고, 임의의 횟수에서부터 시간계측의 개시 및 종료가 가능하며, 소정 횟수에 도달할 때까지의 계측의 횟수도 1회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5]
제 15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이것은 제 11실시예와 마찬가지 구성의 취반기이므로, 동작만을 설명한다. 이상검지수단(105)은 밥물검지수단(103)에 의해서 밥물의 상승이라고 하는 검지결과가 나왔을 경우에 밥물의 연속상승시간을 측정한다. 통상, 밥물의 연속상승이 5초~10초정도인 경우, 30초간 밥물의 연속상승을 검지하였으면 밥물검지수단(103)의 이상이라 판단하고, 가열제어수단(104)은 가열수단(102)을 제어해서 취반성능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도 7(c)와 같이 가열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뿜어넘쳐흐름을 억제한다.
[실시예 16]
제 16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이것은 제 8실시예와 마찬가지 구성의 취반기이므로, 동작만을 설명한다. 가열제어수단(104)은 취반기내의 남비바닥의 온도가 90°~110°의 범위에 있을 때만, 밥물검지수단(103)에 의해서 밥물의 상승을 검지했을 경우에 가열수단(102)에 의한 가열량을 감소시키고, 다른 범위에 있을 때는 밥물검지수단(103)의 검지결과에 의한 가열량의 변경은 행하지 않는다. 또한, 취반기내의 임의의 장소의 온도에 의해 실시가능하다.
[실시예 17]
제 17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이것은 제 8실시예와 마찬가지 구성의 취반기이므로, 동작만을 설명한다. 가열제어수단(104)은 취반시간이 10분이상 50분이내에 있을 때만, 밥물검지수단(103)에 의해서 밥물의 상승을 검지했을 경우에 가열수단(102)에 의한 가열량을 감소시키고, 다른 범위에 있을 때는 밥물검지수단(103)의 검지결과에 의한 가열량의 변경은 행하지 않는다.
[실시예 18]
제 18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이것은 제 8실시예와 마찬가지 구성의 취반기이므로, 동작만을 설명한다. 가열제어수단(104)은 취반행정이 비등유지 행정에 있을 때만, 밥물검지수단(103)에 의해서 밥물의 상승을 검지했을 경우에 가열수단(102)에 의한 가열량을 감소시키고, 다른 범위에 있을 때는 밥물검지수단(103)의 검지결과에 의한 가열량의 변경은 행하지 않는다. 또한, 이것은 취반의 개시로부터 완료까지의 복수의 행정에서 실시가능하다.
[실시예 19]
제 19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표시수단(107)은 취반기의 상태를 표시 또는 경보하는 것으로서 표시제어수단(108)은 표시수단(107)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제 8실시예 또는 제 11실시예와 동일 번호의 것은 공통의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취반기에서 동작을 설명한다. 밥물검지수단(103)에 의해서 검지가 행하여졌을 때, 표시제어수단(108)이 표시수단(107)에 의해 밥물의 상승유무를 표시한다. 또, 밥물의 상승이 검지되었을 경우에 버저소리에 의한 경보를 행한다.
또한, 취반기의 일부의 상태만으로 표시나 경보를 행하거나, 표시나 경보를 밥물검지수단(103)의 어느 상태에서 행하느냐에 대해서는 이상의 경우뿐만 아니고, 임의의 상태를 생각할 수 있다. 또, 밥물검지수단(103) 대신에 이상검지수단(105)에 의해서도 마찬가지의 동작을 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뚜껑을 닫을 때에 조작부에 잘못해서 접촉되어도 착오조작으로 되지 않고, 또한 취반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뿜어넘쳐흐름을 미연에 방지하여 밥맛이 좋은 취반이 가능한 취반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9)

  1. 취반기본체와, 상기 취반기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과, 상기 취반기본체내에 착탈자재하게 수납되는 내부남비와, 상기 내부남비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 전력의 공급을 공급하여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적어도 취반개시의 지시 및 취반기능의 선택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뚜껑에 수납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뚜껑의 열린 상태를 검지했을 때에 상기 조작부의 적어도 1개의 지시입력을 금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뚜껑의 개방상태를 검지했을 때에 취반개시의 지시입력을 금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취반기능의 상태 및 뚜껑이 개폐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뚜껑의 열린 상태시에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입력했을 경우에 그 취지를 알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뚜껑이 닫혀진 후에도 소정 시간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입력을 금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조작부의 특정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뚜껑이 열려 있는 경우에라도,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입력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취반동작중의 특정 행정에서 소정 시간 상기 뚜껑의 열린 상태를 검지했을 때에 그 취지를 알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8. 조리물을 넣는 내부남비와, 상기 내부남비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밥물이 상기 내부남비의 상단부보다도 상승한 것을 검지하는 밥물검지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을 제어하는 가열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열제어수단은, 상기 밥물검지수단의 검지상태에 따라서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량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제어수단은, 상기 밥물검지수단에 의한 검지기간동안, 가열을 정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제어수단은, 상기 밥물검지수단에 의해서 밥물의 상승이 없어진 것을 검지하고 나서 일정시간 가열을 정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밥물검지수단의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검지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가열제어수단은, 상기 이상검지수단에 의해서 이상이 검지되었을 때에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량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지수단에 의해서 이상이 검지되었을 경우에, 상기 가열제어수단은 취반동작을 개시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제어수단에 입력을 행하는 입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열제어수단은, 상기 이상검지수단에 의해서 이상이 검지되었을 경우에 복수 회의 입력에 의해 취반기의 상태를 변경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제어수단은, 복수 회의 입력이 일정 시간내에 행하여지지 않을 경우에 그 때까지의 입력을 무효로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15.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지수단은, 상기 밥물검지수단에 의해서 일정 시간 이상 연속적으로 밥물의 상승을 검지했을 경우에 이상이라고 판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16.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제어수단은, 취반기내의 온도가 소정의 범위에 있는 경우에 상기 밥물검지수단의 검지결과에 의존하지 않고 상기 가열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17.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제어수단은, 취반시간이 소정의 범위에 있는 경우에 상기 밥물검지수단의 검지결과에 의존하지 않고 상기 가열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18.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제어수단은, 소정의 취반행정에 있어서 상기 밥물검지수단의 검지결과에 의존하지 않고 상기 가열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19.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취반기의 상태를 표시 또는 알리는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표시제어수단을 또 구비하고,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밥물검지수단 또는 상기 이상검지수단의 적어도 한쪽의 검지상태에 의존해서 상기 표시수단의 동작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KR1019980021730A 1997-06-13 1998-06-11 취반기 KR1002970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7-156551 1997-06-13
JP09156551A JP3116861B2 (ja) 1997-06-13 1997-06-13 炊飯器
JP97-156551 1997-06-13
JP1997-225338 1997-08-21
JP22533897A JP3376871B2 (ja) 1997-08-21 1997-08-21 炊飯器
JP22970697A JP3412468B2 (ja) 1997-08-26 1997-08-26 炊飯器
JP1997-229706 1997-08-26
JP22970997A JP3552480B2 (ja) 1997-08-26 1997-08-26 炊飯器
JP1997-229709 1997-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891A KR19990006891A (ko) 1999-01-25
KR100297066B1 true KR100297066B1 (ko) 2001-11-22

Family

ID=27473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1730A KR100297066B1 (ko) 1997-06-13 1998-06-11 취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28297A (ko)
KR (1) KR100297066B1 (ko)
TW (1) TW3933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97677B (en) * 1997-06-13 2000-07-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ice cooker
US6476367B2 (en) * 2001-02-20 2002-11-05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Auto-bake out system
CN101404836B (zh) * 2002-03-12 2011-04-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带有蒸汽发生功能的高频加热装置
US7057144B2 (en) * 2002-03-12 2006-06-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duction heating device
JP3821054B2 (ja) * 2002-06-05 2006-09-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周波加熱装置
KR100812177B1 (ko) * 2007-01-25 2008-03-12 웅진쿠첸 주식회사 전기밥솥의 보온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5116380B2 (ja) * 2007-07-02 2013-01-09 株式会社パロマ フライヤー
CN101797116B (zh) * 2009-02-11 2012-06-27 汪家岭 一种多功能电饭煲
CN101940433B (zh) * 2010-02-22 2012-10-17 谢国华 一种具有称重功能的电加热锅及其称重控制方法
FR2966911B1 (fr) 2010-10-28 2012-11-16 Thirode Grandes Cuisines Poligny Procede de cuisson de produits alimentaires dans un four
WO2013069443A1 (ja) * 2011-11-07 2013-05-16 三菱電機株式会社 炊飯器
US10455983B2 (en) * 2015-09-10 2019-10-29 Prince Castle LLC Modular food holding system
WO2018000170A1 (zh) * 2016-06-28 2018-01-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烹调设备运行方法及装置
FR3062561B1 (fr) * 2017-02-03 2020-10-02 Seb Sa Cuiseur equipe de moyens de mesure du gonflement de l'aliment.
FR3062560B1 (fr) * 2017-02-03 2020-05-08 Seb S.A. Cuiseur a enceinte d'analyse.
CN107361625A (zh) * 2017-04-11 2017-11-21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和应用烹饪器具进行烹饪的方法
IT201900002861A1 (it) * 2019-02-27 2020-08-27 Giannantonio Spotorno Apparato per la cottura automatica e veloce di cibi
CN114246449B (zh) * 2020-09-21 2023-01-31 杭州九阳小家电有限公司 一种烹饪器具的智能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5179B2 (ja) * 1984-10-05 1994-07-27 株式会社東芝 炊飯器
KR0170125B1 (ko) * 1996-02-28 1999-01-15 배순훈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TW354635U (en) * 1998-03-24 1999-03-11 Cai-Yun Lin Smart card controlled food proces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93308B (en) 2000-06-11
US6028297A (en) 2000-02-22
KR19990006891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7066B1 (ko) 취반기
JP5950687B2 (ja) 炊飯器
JP2006141978A (ja) 電気圧力炊飯ジャーの炊飯制御装置
JP2007143893A (ja) 炊飯器
JP3412468B2 (ja) 炊飯器
JP3055532B2 (ja) 電気炊飯器
JP4804223B2 (ja) 炊飯器
JP2639329B2 (ja) 電磁炊飯器
JPH08332143A (ja) 調理器
JP2920191B2 (ja) 電磁炊飯器
JP2650624B2 (ja) 電気炊飯器
JPH074317B2 (ja) 炊飯器
JPH07284443A (ja) 電磁炊飯器
JP2005205060A (ja) 電気炊飯器
JP3626840B2 (ja) 炊飯器
JP3058148B2 (ja) 電気炊飯器
JPH07102185B2 (ja) 炊飯器
JPH057526A (ja) 保温ジヤー
JP2008036288A (ja) 炊飯器
JP2692540B2 (ja) 蓋付加熱調理用容器
JPH0824620B2 (ja) 電気炊飯器
JP3626841B2 (ja) 炊飯器
JP2000300431A (ja) 電気炊飯器
JP5041347B2 (ja) 炊飯器
JPH0815456B2 (ja) 電気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