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092B1 - 전기장치플러그 - Google Patents

전기장치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092B1
KR100296092B1 KR1019930000162A KR930000162A KR100296092B1 KR 100296092 B1 KR100296092 B1 KR 100296092B1 KR 1019930000162 A KR1019930000162 A KR 1019930000162A KR 930000162 A KR930000162 A KR 930000162A KR 100296092 B1 KR100296092 B1 KR 100296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ans
plug
contact
supply line
electric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0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241A (ko
Inventor
토마스바이블레
Original Assignee
탈러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탈러게엠베하 filed Critical 탈러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30017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0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4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8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a separate clip or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접촉부재용의, 외부로 개방된 스프링 챔버를 가진 절연 플라스틱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연 플라스틱 하우징은 스프링 챔버를 가진 헤드부 및 접촉 스프링과 공급라인 사이에 있는 접촉장소를 절연시키고 헤드부를 부분적으로 덮는 사출 성형된 플러그부로 이루어지고, 플러그부의 사출 성형전에 부분적으로 헤드부내로 삽입되는 지지수단이 제공되는 전기장치 플러그에 있어서, 접촉스프링(64) 및 접속잭(60)으로 이루어진 일체로된 접촉부재가 지지수단(6)내로 사출성형된다.
따라서, 단계적인 제조동안 접촉부재가 지지수단내에 견고히 고정되는 장치플러그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전기장치 플러그
제1도는 완전한 2극의 장치 플러그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장치 플러그의 비탄성 성형부의 헤드부를 3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제3도는 제1도에 따른 헤드부에 대응하는 장치 플러그의 지지수단을 2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제4도는 제1도에 따른 장치 플러그의 삽입 깔때기를 가진 성형부를 2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치플러그 2 : 성형부
3 : 플러그부 4 : 공급라인
5 : 헤드부 6 : 지지수단
7 : 볼록부 9 : 성형부
60 : 접속잭 63 : 잠금 돌출부
64 : 접촉스프링 65 : 분리대
66 : 수용페그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전문에 따른 전기 장치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플러그는 공지되어 있다(독일특허공보 제 38 07 717 호 참조); 이것은 전기장치를 소켓에, 따라서 발전소의 에너지 공급 시스템에 접속시키는데 사용된다. 상응하는 접속 케이블, 즉 소비재 케이블은 접촉 플러그를 통해 전원 소켓에 그리고 유사한 장치 플러그를 통해 장치에 결합된다.
이러한 장치 플러그는 오늘날 자동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공급라인, 즉, 접속 케이블의 도체가 각각 접촉 스프링내로 삽입되어 압착 접속에 의해 접속된다. 접촉 스프링 자체가 부품마다 지지플레이트 또는 지지수단의 대응 개구내로 삽입됨으로써, 비탄성 성형부에 접속되어 플러그 본체를 형성하는 유니트가 미리 조립된다. 그 다음에 상기 플러그 본체가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됨으로써, 조종가능한, 즉 전원 소케트내로 삽입하고 빼낼 수 있는 플러그 헤드가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 본체의 사출성형시 플라스틱 재료가 부딪치면 느슨하게 삽입된 접촉 스프링이 밀려질 수 있다. 게다가, 느슨하게 삽입된 접촉 스프링으로 인해 소켓으로 부터 장치 플러그를 뽑을 때 플러그 본체가 불리한 상태로 다시 서로로 부터 당겨진다. 즉, 제조기술상의 불충분함으로 인해 플라스틱 커버링이 필요한 결합을 보장하지 못한다.
자동 제조자체의 견지에서 볼 때 접촉 스프링의 공지된 " 삽입기술"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의를 하지 않으면 사출성형을 위해 접촉 스프링을 삽입하는 도중에 접촉 스프링을 잃어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불량 플러그가 제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접촉스프링 및 접속잭으로 이루어진 일체로 된 접촉부재가 지지수단내로 사출 성형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선험적으로 접촉스프링이 플러그내에 정확히 그리고 완전히 통합되는 것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개선예는 특허청구의 범위 종속항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플러그의 특별한 실시예에서는, 개별 와이어의 꺽어짐 및 측면이격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 지지수단에 또 다른 성형부가 배치되고 상기 성형부에 의해 공급라인의 도체용 삽입 깔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플러그의 세부사항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에 따른 장치 플러그(1)는 기본적으로 2부분의 절연재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그 측면에 2부분 또는 3부분의 비탄성형부(2) 및 탄성의,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사출 성형된 플러그부(3)(도면에는 빗금으로 표시되어 있음)로 이루어진다. 장치 플러그(1)의 비탄성 성형부(2)가 접속될 전기장치의 리셉턴스내로 삽입된다 : 플러그부(3)는 2심의 공급라인(4)의 한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라인(4)의 제 2단부는 일반적으로 전원 소켓내로 삽입될 수 있는 접촉 플러그에 접속되어 있다.
비탄성 성형부(2)는 기본 구성에 따라 점선으로 표시된 헤드부(5)(제2도 참조) 및 파선으로 표시된 지지수단(6)(제3도 참조)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부(5)는 최후에 장치 플러그(1)의 취급을 위한 손잡이로 사용된다. 상기 지지수단(6) 위로 탄성플러그부(3)가 사출 성형된다. 헤드부(5) 및 지지수단(6)은 지지수단(6)에 사출 성형된 둥근 볼록부(7)에 의해 서로 구분된다.
한편으로는 헤드부(5)의 점선 및 다른 한편으로는 지지수단(6)의 파선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헤드부(5) 및 지지수단(6)은 하나의 부품을 이루며, 두 부품의 윤곽 및 치수는 정결합의(positive) 및 비-정결합의 (non-positive) 조립 유니트가 형성되도록 서로에 대해 매칭되어 있다. 상기의 미리 조립된 유니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부(3)의 외주에 사출성형될 수 있으므로 작용적 전기적 장치 플러그(1)가 형성된다. 물론, 공급라인(4)의 절연된 도체 단부를 먼저 삽입한 다음 압착 접속에 의해 결합시킨다.
지지수단(6)의 접속잭(60)내로 공급라인(4)의 도체 단부를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삽입시 집군도체의 휘어진 또는 꺾어진 개별 와이어가 측면으로 이격됨으로써 취급시 경우에 따라 치명적인 위험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장치 플러그(1)의 본 발명에 따른 개선예에서는 지지수단(6)에 (또다른) 성형부(9)를 제공한다. 상기 성형부(9)는 지지수단(6)의 접속잭(60)마다 소위 삽입 깔때기(90)를 갖으며, 상기 깔때기는 지지수단(6)의 접소잭(60)내로의 집군도체의 확실한 삽입을 보장한다. 성형부(9), 지지수단(6) 및 헤드부(5)는 모듈식으로 조립되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부분(3)의 외주에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된다. 제1도에 도시된 최종 제품은 특히 소형 구조이며 전기적으로 확실하고 기계적으로 견고한, 즉 인장 및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갖는 특히 2극의 장치 플러그(1)이다.
제1도에 따른 장치 플러그(1)의 세부사항을 개별 구성부분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비탄성 성형부(제1도의 2)의 헤드부(5)를 나타낸다. 기본 형상은 편평한 직방체(50)이며, 상기 직방체(5)는 양측면(51)에 리세스형 손잡이(52)를 갖는다. 직방체(50)의 한 앞면에는 외부 윤곽이 줄어든 둥근 칼라(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칼라(53)는 전체 외주에 걸쳐 분포된 다수의 관통구를 갖는다. 쇼울더(55)에 인접한 관통구(56)는 직방체폭의 많은 부분에 걸쳐 뻗어 있다(지지수단의 잠금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해 - 제1도 및 3도 참조). 직방체(50)는 그것의 종방향으로 축에 평행한 2개의 보어(57)를 갖으며, 상기 보어(57)는 제2앞면으로부터 직경이 보다 낮은 보어(58)로 뻗어있다.
제3도는 제2도에 따른 헤드부(5)의 상부 또는 전방부로서 비탄성 성형부(제 1도의 2)의 지지수단(6)을 나타낸다. 지지수단(6)은, 횡단면이 헤드부(5)의 둥근 칼라(5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상응하는 비탄성의 플라스틱-성형부(61)로 이루어지며, 둥근 볼록부(7)를 갖는다. 상기 볼록부(7)는 조립된 상태에서 헤드부(5)의 칼라(53)에 놓인다; 상기 성형부(61) 자체는 조립된 상태에서 헤드부(5)의 칼라(53)의 공간내로 삽입된다. 상기 성형부분(61)은 횡으로 놓인 관통구(62)를 갖으며, 상기 관통구(62)는 볼록부(7)로 부터 떨어진 측면에 소위 잠금 돌출부(63)를 갖는다. 장치 플러그(1)의 조립 또는 작동부재로서 지지수단(6)은 제1도를 참고로 설명한 2개의 접속잭(60)을 갖으며, 상기 접속잭(60)은 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성형부(61)내에 견고히 그리고 안정하게 고정되도록 사출 성형된다. 접속잭(60)은 볼록부(7)에 의해 제한된 성형부(61)의 측면에 이격되어 있다; 성형부(61)의 제 2측면에는 접속잭(60)과 일체로 접속된 접촉 스프링(64)이 이격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64)은 장치 플러그(1)의 비탄성 성형부(2)의 조립시 헤드부(5)의 보어(57)내로 삽입되다; 상기 보어(57)는 줄어든 보어(58)의 쇼울더 근처에까지 뻗어있는 길이를 갖는다. 제 2도에 따른 측면도에 나타나있는 바와 같이, 한편으로는 접촉 스프링(64) 및 다른 한편으로는 접속잭(60)으로 이루어진 전기 접촉부재는 평형부재인 (축방향에서 볼 때) 중간부분(67)에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분(67)에는 성형부(61)의 양측면에 대해 링형으로 접속잭(60) 또는 접촉 스프링(64)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접촉 스프링(64)은 경우에 따라 앞면에 원추형으로 확대된 깔때기(도시되지 않음)를 가질 수 있다.
지지수단(6)의 특별한 실시예에서는 볼록부(7)에 인접한 성형부(61)의 측면상에서 접속잭(60) 사이의 중간에 분리대(65)가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분리대(65)는 접속잭(60) 사이에서 부가의 전기적 안전성을 위해 사용된다. 분리대(65)는 그 자유 앞면에 (삽입 깔때기(90)를 가진 후술될 성형부(9)용) 수용 페그(66)를 갖는다.
기본적으로, 헤드부(5)와 지지수단(6)을 미리 조립한 다음 공급라인(4)의 도체 단부를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완성된 유니트에, 플러그부(3)를 사출성형 공정에서 부가함으로써 장치 플러그(1)가 제조된다. 지지수단(6)은 헤드부(5)내로 삽입되고(제 2도 및 3도 사이의 화살표 X 참조) 잠금 돌출부(63)와 관통구(56) 사이의 잠금영역에 정결합으로 그리고 비-정결합으로 접속된다. 사출성형 공정에서 플라스틱 재료가 관통구(54) 및 (62) 사이에 남아 있는 공간내로 침투되므로, 헤드부(5)와 지지수단(6) 사이에 내부 접속 및 클램핑이 이루어진다.
제 4도는 장치 플러그(1)의 전기적 안전성의 견지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또 다른 성형부(9)를 나타낸다. 상기 성형부(9)의 과제는, 지지수단(6)의 접속잭내로 공급라인 (제1도의 4)의 집군도체 단부를 삽입할 때 개별 와이어가 꺾여지지 않게 하고, 만약 개별 와이어가 꺾여졌다면 이것을 확실하게 포착하여 커버링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성형부(9)는 지지수단(6)의 횡단면에 상응하는 기본형상(91)을 가지며, 상기 기본형상(91)에는 각 하나의 수용튜브(92)가 지지수단(6)의 접소잭(60)에 대해 동축으로 사출 성형된다. 상기 수용튜브(92)에 의해 성형부(9)가 지지수단상에 장착될 수 있다. 수용튜브(92)의 연장부에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본형상(91)의 영역에서 수용튜브(92)의 내부 보어가 원추형 삽입 깔때기(90)내로 이어지므로, 성형부(9)의 자유 앞면으로부터 공급라인의 도체를 삽입하는 것이 보조된다. 조립을 간소화하기 위해, 분리대(65)의 수용페그(66)에 대응하는 관통구(93)가 삽입깔때기(9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93)를 통해 성형부(9)가 지지수단(6)에 접속된다. 조립방향은 제3도와 제4도 사이의 화살표 Y로 표시되어 있다.
제 2,3 및 4도를 참고로 설명된 장치 플러그의 부재는 조립된다; 지지수단(6) 및 성형부(9)로 형성된 부분이 공급라인(4)에 접속된다. 이렇게 형성된 또는 조립된 유니트가 사출 성형됨으로써, 한편으로는 플러그부가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완전한 장치 플러그(1)가 형성된다.

Claims (7)

  1. 접촉부재가 삽입되는 외부로 개방된 스프링 챔버를 가진 절연 플라스틱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촉부재는 한편으로는 (일체로 성형된 접속잭을 통해) 공급라인에 접속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일체로 성형된 접촉 스프링으로서) 접속될 전기장치의 대응 리셉턴스의 플러그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절연 플라스틱 하우징은 스프링 챔버를 가진 헤드부 및 접촉 스프링과 공급라인 사이에 있는 접촉장소를 절연시키고 헤드부를 부분적으로 덮는 사출성형된 플러그부로 이루어지며,
    플러그부를 사출성형하기 전에 부분적으로 헤드부내로 삽입되는 지지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지지수단은 스프링 챔버쪽으로 가늘어져 접촉 스프링을 지지하며, 상기 접촉 스프링은 한편으로는 스프링 챔버내로 돌출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지수단의 제2측면 상에서 돌출하며 공급라인에 대한 접속잭으로 사용되는, 전기장치 플러그에 있어서,
    접촉 스프링(64) 및 접속잭(60)으로 이루어진 일체로 된 접촉부재가 지지수단(6)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 플러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스프링(64)은 외부로부터 리셉턴스에 접근하기 쉬운 앞면이 원추형으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 플러그.
  3. 제 2항에 있어서, 지지수단(6)과 헤드부(5) 사이의 중첩 부분에 관통구(6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 플러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6)은 적어도 하나의 잠금 돌출부(63)를 가지며 헤드부(5)가 대응홈(관통구 5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 플러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6)은 공급라인(4)에 대한 접속잭(60)으로 사용되는 접촉 부재의 돌출 단부 사이에 분리대(6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 플러그.
  6. 제 5항에 있어서, 성형부(9)가 상기 헤드부(5)로부터 떨어진 측면으로부터 상기 지지수단(6)에 제공되며, 상기 성형부(9)는 상기 접속잭(60)을 수용하는 2개의 튜브(92)를 갖고 있고, 상기 성형부(9)내의 제 2개구는 공급라인의 집군도체를 위한 삽입 깔때기(90)의 형성을 위해 원추형으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 플러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6) 및 상기 성형부(9)는, 분리대(65)가 수용페그(66)를 가지며 상기 성형부(9)가 대응 관통구(93)를 가지므로 상호 보충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 플러그.
KR1019930000162A 1992-01-09 1993-01-08 전기장치플러그 KR100296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200301.6 1992-01-09
DE4200301A DE4200301C1 (ko) 1992-01-09 1992-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241A KR930017241A (ko) 1993-08-30
KR100296092B1 true KR100296092B1 (ko) 2001-10-24

Family

ID=644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0162A KR100296092B1 (ko) 1992-01-09 1993-01-08 전기장치플러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551068B1 (ko)
JP (1) JP2648078B2 (ko)
KR (1) KR100296092B1 (ko)
AT (1) ATE129099T1 (ko)
DE (2) DE4200301C1 (ko)
ES (1) ES2080528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9539A1 (de) * 1999-06-28 2001-01-18 Kazmierczak Gmbh Elektrische Schutzkontaktsteckerbrücke
DE202016000137U1 (de) 2016-01-11 2016-02-02 Axel R. Hidde Gerätestecker mit wahlfreiem Kabelgang
CN114947531B (zh) * 2022-06-22 2023-11-0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饮水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7240B (de) * 1954-12-03 1957-10-10 Leonische Drahtwerke A G Verbindung von elektrischen Leitungen mit in Gummi oder Kunststoff eingebetteten Kontaktteil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BE621357A (ko) * 1960-01-04
DE1465675A1 (de) * 1964-05-30 1969-04-24 Heil Ohg O Geraetesteckdose
JPS5847654Y2 (ja) * 1975-07-09 1983-10-31 松下電工株式会社 プラグ
NL8006481A (nl) * 1980-11-28 1982-06-16 Philips Nv Elektrische steker.
JPS6062783U (ja) * 1983-10-05 1985-05-02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源プラグ
DE8632797U1 (de) * 1986-12-06 1987-02-19 Kabelwerke Reinshagen Gmbh, 5600 Wuppertal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festangeschlossener Leitung
JPS6416076U (ko) * 1987-07-21 1989-01-26
DE3807717A1 (de) * 1988-03-09 1989-09-28 Taller Gmbh Elektrischer geraetestecker mit einer halteplatte fuer die kontaktfedern
JPH0727579Y2 (ja) * 1988-08-26 1995-06-21 松下電工株式会社 配線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29099T1 (de) 1995-10-15
DE4200301C1 (ko) 1993-05-19
JPH05258799A (ja) 1993-10-08
DE59300721D1 (de) 1995-11-16
EP0551068B1 (de) 1995-10-11
KR930017241A (ko) 1993-08-30
JP2648078B2 (ja) 1997-08-27
ES2080528T3 (es) 1996-02-01
EP0551068A1 (de) 1993-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3913B1 (en) Shielded connector structure
US6250952B1 (en) Air bag connector
US6203376B1 (en) Cable wafer connector with integrated strain relief
US20180294600A1 (en) Electric connection arrangement
US7413478B2 (en) Electric contact for contacting a protecting conductor with conductive housing
US6062200A (en) Motor fuel dispenser
EP2942843B1 (en) Vehicle-side connector
JPH11162556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KR101701587B1 (ko) 플러그 커넥터의 절연 바디
KR102523529B1 (ko) 보호 플러그
KR20130069590A (ko) 전기 커넥터를 위한 케이블 오거나이저
CN110611189A (zh) 端子
KR100296092B1 (ko) 전기장치플러그
US6475032B1 (en) Geophysical connector
KR20100083600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
CN110034442A (zh) 电连接器
JP5976944B2 (ja) 電気コネクタ
US4722696A (en) Environmentally and abuse-protected plug connector
US20080026617A1 (en) Assembly for connecting the stator windings of an electric motor to the respective power supply
EP1002215A1 (en) Air bag connector
US6179669B1 (en) Molded receptacle for a daisy chain power cord assembly
US5607321A (en) Cable plug connector
CN112204824B (zh) 多芯电线的防水构造
CN215497421U (zh) 电极连接器
JP7211301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