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529B1 - 보호 플러그 - Google Patents
보호 플러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3529B1 KR102523529B1 KR1020197011753A KR20197011753A KR102523529B1 KR 102523529 B1 KR102523529 B1 KR 102523529B1 KR 1020197011753 A KR1020197011753 A KR 1020197011753A KR 20197011753 A KR20197011753 A KR 20197011753A KR 102523529 B1 KR102523529 B1 KR 1025235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n
- plug
- side plug
- socket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소켓측 플러그 (B)에 전기 접속을 위한 핀 측 플러그 (S)는 플러그 베이스(61)와 플러그 벽(62)을 가진 핀측 플러그 하우징(6), 핀측 플러그 하우징(6)에 접촉 핀을 고정하기 위하여 자유 핀 단부 (31)와 베이스 핀 단부(32)를 갖는 전기적으로 도전성인 접점 핀 (3) 및 전기적으로 절연성으로 설계되는 보호 부재(5)를 구비한다. 보호 부재(5)는 접촉 핀 (3)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핀측 플러그 하우징 (6) 상에 배열된다. 소켓측 플러그(B)는 플러그 베이스 (91) 및 플러그 벽(92)을 갖는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 (9)을 구비하고, 연결 상태에서 접촉 핀 (3)를 수용하도록 설계되고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 (9) 안에 배치되는 소켓 (100)을 가진다.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9)은 연결 상태에서 보호 소자 (5)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 (93)을 가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소켓측 플러그에 전기적 접속을 위한 핀측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구성 요소들, 라인들 등 사이의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플러그 부재 및 소켓 부재로 이루어진 플러그인 접속이 알려져 있다. 종종, 이 경우 플러그 부재는 하나 이상의 접촉 부재를 가지며, 이는 소켓 부재 내의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소켓 접촉부에 삽입된다. 전력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동되는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매우 큰 전류 및/또는 전압이 플러그 부재를 통해, 그리고 결과적으로 그 접촉 부재를 통해 전달된다.
높은 전류 또는 전압 때문에, 플러그 부재는 사람의 손가락이 의도하지 않게 접촉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특히 높은 안전 요구 사항을 충족시켜야 한다. 대응하는 시험이 규정 된 표준 IEC 60529에 따르는 소위 테스트 손가락(test finger)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테스트 손가락은 접촉 부재 또는 부재들이 위치하거나 또는 위치되는 플러그 부재의 부분 또는 개구에 규정된 시험력으로 가압된다. 이 시험에서 테스트 손가락은 접촉 부재의 전류가 흐르는 부분과 접촉하지 않아야 한다.
손가락에 의한 원하지 않는 접촉을 방지 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한 방법이 선행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8 734191 B2 호에는 접촉부를 구비한 플러그가 개시되는데, 여기에는 접촉부상의 절연 캡과 모든 면에서 접촉부를 둘러싸는 측면 보호 슈라우드(shroud)가 구비된다.
WO 제2014/187908호는 접촉부가 부분적으로 보호 슈라우드에 의해 둘러싸인 플러그 및 보호 슈라우드가 접촉부용 절연 캡과 일체로 형성된 플러그를 개시한다.
그러나, 임의의 접촉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의 제공은 증가된 공간을 요구하거나 또는 공간 부족을 가져오고, 특히 다수의 접촉 부재를 갖는 플러그의 경우에 불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콤팩트한 구조를 갖는 플러그가 제공된다. 추가로 바람직한 목적은 특별히 양호하고 일정한 전기 접촉을 제공하는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7의 플러그에 의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제 1 항에 있어서, 소켓측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핀측 플러그가 제공되며, 핀측 플러그는 플러그 베이스와 플러그 벽을 구비하는 핀측 플러그 하우징, 핀측 플러그 하우징에 접촉 핀을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측 핀 단부 및 자유 핀 단부를 갖는 전기적 전도성 접촉 핀 및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설계된 보호 부재를 구비한다. 보호 부재는 접촉 핀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핀측 플러그 하우징 상에 배치된다.
보호 부재는 손가락 등으로 접촉 핀이 불필요하게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접촉 핀의 전체 원주면이 소켓에 의해 전기적으로 둘러싸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거리로 형성된다.
또한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핀측 플러그는 하나 이상의 접촉 핀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때,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보호 부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접촉 핀에 대해 하나의 보호 부재가 배치된다. 따라서, 접촉 핀 또는 보호 부재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접촉 핀 또는 보호 부재에 대응하여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보호 부재는 접촉 핀과 별도로 형성된다. 다른 말로 말하면, 보호 부재는 별도로 형성되고 접촉 핀과는 별도로 배치되는 구성 요소이다.
바람직하게, 보호 부재와 접촉 핀 사이에는 구성 요소로 채워지지 않는 공간 영역이 있다. 보호 부재는 바람직하게 보호 부재가 접촉 핀의 측면과 접촉하지 않는 거리에 배치된다.
접촉 핀은 바람직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베이스 측 핀 단부로부터 자유 핀 단부의 방향으로 중심축을 따라 연장된다.
플러그 벽은 바람직하게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설계되고 접촉 핀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서 핀측 플러그 하우징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플러그 벽, 바람직하게 전체 핀측 플러그 하우징은 마찬가지로 전기 절연 재료로 형성되어, 보호 부재 및 플러그 벽이 함께 접촉 핀을 위한 전기적으로 절연된 커버 영역을 형성한다. 플러그 벽은 접촉 핀을 위한 추가적인 보호 부재로 이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호 부재는 플러그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보호 부재는 접촉 핀 및 플러그 벽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서 핀측 플러그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러그 벽은 접촉 핀 주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플러그 벽의 경우 바람직하게 테스트 손가락이 플러그 벽과 접촉 핀 사이에서 밀릴 수 없도록 접촉 핀에 대해 위치 설정된다. 중심축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 보았을 때, 플러그 벽은 적어도 일정 부분에서 단면이 원 또는 다각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의 일부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플러그 벽은 접촉 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통형으로 연장된다.
보호 부재 및 플러그 벽은 바람직하게 접촉 핀을 중심으로 사실상 동심원 상으로 또는 편심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동심원 상으로 배치된 경우, 보호 부재 및 플러그 벽은 각각의 경우 접촉 핀으로부터 대략 동일한 거리에서 접촉 핀 주위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편심 배치의 경우, 플러그 벽은 접촉 핀의 중심축에 평행한 축 주위에서 연장된다.
플러그 벽은 원주 방향으로 차단될 수 있으며, 보호 부재는 플러그 벽의 차단부 안에 또는 차단부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플러그 벽은 하나의 차단부를 가질 수 있으며, 보호 부재는 이 하나의 차단부 안에 배치된다. 그러나, 플러그 벽은 다수의 차단부를 또한 가질 수 있으므로, 멀티 파트 플러그 벽이 접촉 핀 주위에서 연장되고, 플러그 벽의 개별 부분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바람직하게 보호 부재는 그러한 두 부분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나, 플러그 벽이 원주 상으로 차단되지 않고 그 대신 하나의 부분으로 형성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호 부재는 제1방향을 따라 배향된 제 1 부분과, 특히 제1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인 제2방향을 따라 배향된 제 2 부분을 구비하며, 보호 부재는 제1부분의 변형에 대한 보강을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보호 부재의 제1부분이 손가락 등으로 접촉되는 경우, 보호 부재의 제2부분이, 특히 전체 보호 부재에서, 제1부분이 접촉으로 인한 압력의 결과로서 변형되거나 구부러지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보호 부재는 실질적으로 U 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부분은 베이스 다리부(base leg)에 의해 형성되고, 제2부분은 베이스 다리부로부터 돌출되고, 서로 반대로 놓여져 있으며 접촉 핀과 대향하는 2개의 사이드 다리부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의 제 1 방향은 바람직하게 접촉 핀의 중심축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제 2 방향은 바람직하게 제 1 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보호 부재, 특히 베이스 다리부 및 사이드 다리부 및/또는 플러그 벽은 실질적으로 플러그 베이스로부터 접촉 핀의 자유 단의 방향으로 접촉 핀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상기 베이스 다리부는 바람직하게 중심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보았을 때 접촉 핀의 폭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폭을 구비한다. 즉, 베이스 다리부는 실질적으로 접촉 핀의 전체 폭을 커버한다.
바람직하게, 보호 부재는 중심축 방향으로의 길이가 동일한 방향으로 접촉 핀만큼 적어도 긴 길이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 보호 부재는 접촉 핀보다 길게 제조된다.
플러그 벽은 접촉 핀을 향하는 내면 상에 2 개의 평행한 벽 표면을 가지며, 이 평행한 벽 표면들은 자유 핀 단부의 방향으로 베이스 핀 단부로부터, 접촉 핀을 따라 연장되는 중심축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놓이도록 배치되고, 및/또는 각각의 경우에 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러그 벽은 바람직하게 두 개의 평행한 벽 표면을 아치형으로 서로 연결하는 아치형 부분을 갖는다. 평행한 벽 표면들은 바람직하게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자유 핀 단부의 방향으로 베이스측 핀 단부로부터 플러그 벽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보호 부재는 중심축 및 아치형 부분의 아치 중심점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서 플러그 벽에 대해 배치되고, 보호 부재는 평행한 벽 표면들 사이의 중간에 위치한 이 평면 안에 배치된다.
즉, 보호 부재는 플러그 벽의 차단부 안에 배치되고, 플러그 벽의 상기 아치형 부분은 상기 보호 부재의 반대측 상에 배치되고, 2 개의 평행한 벽 표면은 보호 부재에 인접한 상기 차단된 플러그 벽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플러그 벽은 평행한 벽 표면의 영역 내에서 각각 바깥쪽 또는 안쪽에 홈들(groovings)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홈들은 예를 들어 자유 핀 단부의 방향으로 플러그 베이스로부터, 플러그 벽의 전체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길다란 슬릿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홈은 플러그 벽이 보강되도록 한다. 이는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생산이 단순화되는 조건에서 특히 그러하다. 바람직하게, 홈은 재료가 과도하게 축적되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계적으로 튼튼한 벽이 제공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홈들은 특히, 테스트 손가락에 의해 가해지는 횡방향 힘에 대해 플러그 벽이 기계적으로 견고하도록 하는 이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보호 부재 및/또는 플러그 벽은 플러그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며, 이들은 접촉 핀을 위한 보호 배열체(protective arrangement)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핀측 플러그는 2 개 이상의 접촉 핀을 가지며, 각각의 접촉 핀은 각각의 경우에 보호 부재를 가지며, 바람직하게 적어도 각각의 경우에 플러그 벽을 가지며, 특히 바람직하게 각각의 경우 보호 배열체를 갖는다. 즉, 바람직하게 각각의 접촉 핀에 보호 배열체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보호 부재와 플러그 하우징은 하나의 제조 단계에서 하나의 부품으로, 특히 동시에 제조된다
그러나, 보호 부재가 플러그 하우징과는 별도로 제조되고, 제조 후에, 핀측 플러그 하우징을 통해 유도되어, 예를 들어, 플러그 베이스 내의 대응하는 간격(clearance)을 통해, 그 내부에 고정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보호 부재 및/또는 플러그 벽이 개별적으로 생성되고, 이어서 접촉 핀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연장되는 전기적으로 절연된 보호 부재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호 캡의 형태인 전기적으로 도전성인 접촉 보호부(contect protection)가 접촉 핀의 자유 단부 상에 배치된다.
또한, 청구항 11에 따르면, 상기 한 바와 같이, 핀측 플러그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소켓측 플러그가 제공된다. 이 경우에 소켓측 플러그는 플러그 베이스 및 플러그 벽을 갖는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과,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접속 상태에서 접촉 핀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소켓을 갖는다.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은 접속 상태에서 보호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receptacle)을 갖는다.
핀측 플러그와 소켓측 플러그가 서로 연결되면, 보호 부재는 소켓측 플러그의 리셉터클에 수용되고, 콤팩트한 구조의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또한, 소켓측 플러그는 핀측 플러그의 접촉 핀 또는 보호 배열체의 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소켓 및 리셉터클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바람직하게, 리셉터클은 접속 상태에서 보호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이때 보호 부재는 바람직하게 리셉터클 내에 정확하게 끼워질 수 있고, 및/또는 리셉터클은 바람직하게 보호 부재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셉터클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 표면은 접속 상태에서 보호 부재의 외부 표면에 대하여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리셉터클은 리셉터클의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완전히 보호 부재를 둘러싼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U자형 모양인 보호 부재를 정확하게 수용하기 위해, 보호 부재와 대면하는 리셉터클의 내부 형태는, 내부 표면이 보호 부재의 아치형 베이스 다리부에 대응하도록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각각의 경우 보호 부재의 직선형 측 다리부들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직선이며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 2개의 내부 표면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은 특히 원형의 형태인 추가의 간격(clearance)을 가지며, 그 안에 상기 플러그 벽은, 특히 원의 일부인 형태로 수용 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접촉 핀의 경우에,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은 바람직하게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간격들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접촉 부재, 특히 접촉편이, 핀측 플러그의 접촉 핀과의 전기 접촉을 하도록 설계되며, 소켓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접속된 상태에서, 접촉 핀과 소켓 사이의 전기 접촉이 상기 접촉 부재를 통해 일어난다.
바람직하게, 소켓은 컨덕터 부재 내에 배치된다. 보호 부재를 위한 상기 리셉터클은 컨덕터 부재 내로 연장된다. 즉, 컨덕터 부재는 보호 부재의 리셉터클이 연장되는 간격을 구비한다. 결과적으로, 따라서 보호 부재는 플러그 부재의 리셉터클을 통해 그리고 컨덕터 부재 안의 간격을 통해 돌출한다. 이 경우 컨덕터 부재의 전류 경로는 간격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흐른다.
바람직하게 상기 간격은 소켓 아래에 놓인다.
특히 바람직하게, 리셉터클은 보호 부재가 그 원주 방향 측면에서만 컨덕터 부재에 의해서 독점적으로 둘러싸이고 그 단부 면에서는 그렇지 않은 방식으로 컨덕터 부재 내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 원주 방향 측면은 중심축 주위로 연장되는 횡방향 표면의 일부에 의해 형성된 보호 부재의 일면이다. 단부 면은 중심축에 직각으로 배향되고 보호 부재를 전방 방향으로 폐쇄하는 보호 부재의 일면이다.
리셉터클이 컨덕터 부재 내로 연장된다는 사실 때문에, 소켓측이 보다 콤팩트하게 형성 될 수 있는 이점이 얻어진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은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과 컨덕터 부재 모두에 의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컨덕터 부재는 케이블을 위한 연결 영역을 가지며, 특히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의 플러그 베이스에 대해 소정 각도로 또는 평행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연결 영역은 플러그 베이스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직각 구조의 경우, 컨덕터 부재에서의 간격의 배치는 보호 부재가 막음 방향으로 간격 안으로 돌출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유사하게, 핀측 플러그는 또한 케이블을 위한 연결 영역을 구비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핀측 플러그 하우징에 소정 각도로, 특히 수직으로 또는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가 종속항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을 기초로 이하 설명되며,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면에서:
도 1은 핀측 플러그의 사시도;
도 2는 소켓측 플러그의 사시도;
도3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의 도 1 및 도 2에 따른 핀측 플러그 및 소켓측 플러그의 사시도;
도 4는 연결된 상태의 도 1 및 도 2에 따른 핀측 플러그 및 소켓측 플러그의 종단면도;
도 5는 소켓측 플러그용 컨덕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은 핀측 플러그의 사시도;
도 2는 소켓측 플러그의 사시도;
도3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의 도 1 및 도 2에 따른 핀측 플러그 및 소켓측 플러그의 사시도;
도 4는 연결된 상태의 도 1 및 도 2에 따른 핀측 플러그 및 소켓측 플러그의 종단면도;
도 5는 소켓측 플러그용 컨덕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는 각각의 경우(도 1 및 도 2), 비 접속 상태(도3) 및 접속 상태(도 4)의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의 다양한 모습을 도시한다.
특히 도 1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핀측 플러그(S)는 플러그 베이스(61) 및 플러그 벽(62, 62')을 구비하는 핀측 플러그 하우징(6)을 갖는다. 여기에서 플러그 하우징(6)은, 차례로 하우징 장착부(21)와 하우징 베이스(22)를 갖는 핀측 장착부(2) 상에 배치된다. 플러그 베이스(61)에는 2개의 전기적으로 도전성인 접촉 핀(3,3')이 배치되며, 이는 각각 자유 핀 단부(31,31')와 베이스측 핀 단부(32,32')를 갖는다. 접촉 핀(3,3')은 핀측 플러그 하우징(6)에 그들의 베이스 측 핀 단부(32,32')로 체결된다.
또한, 각각의 경우에 접촉 핀(3,3')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핀측 플러그 하우징(6) 상에 배치된 2개의 전기적으로 절연된 보호 부재(5, 5')가 제공된다. 핀측 플러그 하우징(6)은 원의 일부로서 형성된 플러그 벽(62, 62')을 가지며, 각각의 경우에 상기 벽(62, 62')은 각각의 접촉 핀(3,3') 주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접촉 핀(3,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원의 일부 형태이다.
여기에 도시된 도면들에는, 대응하는 보호 부재들(5, 5') 및 플러그 벽들(62, 62')을 구비하는 2개의 접촉 핀들(3,3')이 각각 대표적으로 도시되었지만, 하나의 보호 부재 및 하나의 플러그 벽을 갖는 하나의 그러한 접촉 핀, 또는 각각 3개 이상의 보호 부재 및 3개 이상의 플러그 벽을 갖는 그러한 접촉 핀들이 제공될 수 있다.
플러그 벽(62, 62') 및 보호 부재(5, 5')는 테스트 손가락 또는 사람의 손가락이 접촉 핀(3,3')을 만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 보호 부재(5, 5')는 원통형 접촉핀(3,3')의 횡방향 표면(33,33')과 접촉하지 않도록 접촉 핀(3,3')과 별개로 형성되고 접촉 핀(3,3')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핀측 플러그 하우징(6)의 플러그 벽(62,62')은 접촉 핀(3,3') 및 핀측 플러그 하우징(6) 상의 보호 부재(5, 5')로부터 간격을 두고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플러그 벽(62, 62')은 접촉 핀(3,3')의 원하지 않는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전기적으로 절연된 보호 부재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 부재(5,5') 및 플러그 벽(62, 62')은 각각 대응하는 접촉 핀(3') 주위에 사실상 동심원으로 배치되고, 접촉 핀(3,3')의 자유 단부(31,31')의 방향으로 핀측 플러그 베이스(61)로부터 실질적으로 접촉 핀(3,3')의 전체 길이(LK)를 따라 연장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플러그 벽(62,62')은 접촉 핀(3,3') 둘레에서 부분적으로만 연장되고 차단부(63, 63')를 구비하며, 핀측 플러그 하우징(6) 상에서 이 차단부(63,63')의 영역 내에 보호 부재(5, 5')가 배치된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벽(62,62 ')은 원주 방향으로 정확히 한번 차단되었으나, 그러한 차단부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것 또한 고려 될 수 있다. 보호 부재(5,5')는 플러그 벽(62, 62')이 접촉 핀(3,3')으로부터 배치되는 것과 같이, 각각의 경우에 접촉 핀(3')으로부터 동일한 반경 방향 거리(radial distance)에 배치된다.
보호 부재(5,5')는 대체로 U 자형으로 형성되고, 제1 방향(R1)을 따라 연장되는 베이스 다리부 형태의 제1 부분(51, 51')을 구비한다. 보호 부재(51,51')는 베이스 다리부(51, 51')로부터 돌출하고 제2 방향(R2)을 따라 연장되는 서로 마주하는 사이드 다리부의 형태인 제2 부분(52, 52', 53, 53')을 또한 구비한다. U 자형 보호 부재(5,5')의 경우, 제2 방향(R2)은 제1 방향(R1)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즉, 사이드 다리부(52,52', 53,53')는 베이스 다리부(51,51')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고, 이 경우에는 접촉 핀(3,3')과 대면한다. 사이드 다리부(52,52', 53,53')는 베이스 다리부(51,51')의 변형에 대해 베이스 다리부(51, 51')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 다리부(51,51')는 여기에서 접촉 핀(3,3')의 폭(BK)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폭(BS)을 갖는다.
중심축(M)의 방향에서 본 보호 부재(5, 5')의 길이는 접촉 핀의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 핀은 실질적으로 접촉 핀의 중심축 또는 횡방향 표면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 U 자형 보호 부재(5, 5')의 외부 형상(54, 54')은 베이스 다리부(51, 51')가 아치형 외부 표면(54, 54')을 구비하는 반면, 사이드 다리부(52, 52', 53, 53')는 각각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 직선형 외부 표면(54, 54')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대조적으로, U 자형 보호 부재(5,5')의, 접촉 핀(3)과 마주하는 내부 형상(55, 55')은, 베이스 다리부(51, 51')와 사이드 다리부(52, 52', 53, 53')가 각각 직선형 내부 표면(55, 55')을 가지며, 이 때, 사이드 다리부(52, 52', 53, 53')의 내부 표면(55, 55')이 베이스 다리부(51)의 내부 표면(55, 55')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특히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이드 다리부(52, 52', 53, 53')는 각각 접촉 핀(3,3')과 대면하는 자유 단부(57, 57')에 경사진 단부 표면을 갖는데, 이는 각각 사이드 다리부(52,52', 53, 53')의 외부 표면(54, 54')으로부터 사이드 다리부(52, 52', 53)의 내부 표면(55, 55', 53')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핀측 플러그 하우징(6)의 플러그 벽(62,62')은 접촉 핀(3,3')과 마주하는 그 내부 표면(64, 64') 상에 두 개의 평행한 벽 표면(65,65')을 갖고, 두 개의 평행한 벽 표면(65,65')은 베이스 핀 단부(32,32')로부터 자유 핀 단부(31,31') 방향으로 접촉 핀(3,3')을 따라 중심축(M)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놓이도록 배열되고, 각각의 경우 중심축(M)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놓이도록 배열된다. 게다가 플러그 벽(62, 62')은 2 개의 평행한 벽면(65,65')을 원호형으로 서로 연결하는 아치형 부분(66, 66')을 갖는다. 벽 표면(65,65')은 내측 및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 부재(5, 5')는 플러그 벽(62, 62')의 아치형 부분(66, 66')의 원호 중심점(B) 및 중심축(M)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E)에서 플러그 벽(62, 62')에 대하여 배열된다. 이 경우, 보호 부재(5,5')는 평행한 벽 표면(65,65')의 중간에서 이 평면(E)에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플러그 벽(62,62')은 그 원호형 부분(66, 66')을 갖도록 형성되고, 평행한 벽면(65,65')을 갖는 부분은 실질적으로 원의 일부로서 형성되고, 보호 부재(5, 5')가 차단부(63,63') 안에 배치될 수 있고, 특히 원형의 일부의 형태로 이 플러그 벽(62, 62')의 원형 라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아치형 부분(66,66')은 중심축에 평행하게 놓이는 축 주위로 연장된다.
또한, 플러그 벽(62,62')은 평행한 벽 표면(65,65')의 영역에서, 외부, 즉 하우징 장착부(21)와 대면하는 그 외측 표면 상에 각각 홈들(67, 67')을 갖는다. 이러한 홈(67,67')은 실질적으로 자유 핀 단부(31,31')의 방향으로 플러그 베이스(61)로부터 플러그 벽(62,62')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긴 슬릿의 형태를 갖는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보호 부재(5,5') 및 플러그 벽(62, 62')은 플러그 하우징(6)과 일체로 형성되며, 이들은 함께 접촉 핀(3,3')을 위한 보호 배열체(8, 8')를 형성한다.
이미 언급 한 바와 같이, 대응하는 보호 부재(5, 5') 및 플러그 벽(62, 62')을 갖는 2 개의 접촉 핀(3,3')이 여기에서 도시된 도면 내에 각각 대표되었지만, 하나의 보호 부재 및 플러그 벽을 갖는 단지 하나의 접촉핀 혹은 제공되는 각각의 보호 부재 및 플러그 벽을 갖는 복수의 접촉 핀이 제공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접촉핀을 위한 하나의 보호 배열체 혹은 둘 이상의 접촉 핀을 위한 둘 이상의 보호 배열체가 제공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각 접촉 핀에 대하여, 그와 관련된 보호 배열체가 제공된다.
접촉 핀(3,3')의 자유 단부(31,31')에는 각각 접촉 핀(3,3')의 원하지 않는 접촉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접촉 보호 역할을 하는 전기적 절연 보호 캡(4, 4')이 제공된다. 보호 캡(4, 4')은 중심축(M)을 중심으로 완전히 연장되고 접촉 핀(3,3')의 전체 자유 단부(31,31')를 덮는다. 접촉 핀(3,3')에 대한 측면 보호 효과를 제공하는 보호 배열체(8, 8') 및 접촉 핀(3,3')에 대한 상부 보호 효과를 제공하는 보호 캡(4, 4')에 따라서, 접촉 핀(3,3')이 접촉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는 핀측 플러그(S)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소켓측 플러그(B)를 도시한다. 이 소켓측 플러그(B)는 플러그 베이스(91)와 플러그 벽(92)을 갖는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9)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9)은 소켓측 장착부(400) 상에 배치되고, 소켓측 장착부(400)는 차례로 소켓측 하우징 장착부(401) 및 소켓측 하우징 베이스(402)를 갖는다.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9)에는, 접속 상태의 접촉 핀(3,3')을 수용하기 위한 소켓(100, 10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소켓 측에, 접속된 상태의 보호 부재(5,5')를 수용하는 리셉터클(93,93')이 배치된다. 본 경우의 리셉터클(93,93')은 플러그 하우징(9)과 컨덕터 부재(300)를 모두 통해 연장된다.
여기서,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9)은 핀측 플러그(S)의 2 개의 접촉 핀(3,3')을 위한 2 개의 리셉터클(93,93')을 갖는다. 핀측 플러그(S)가 하나 이상의 접촉 핀을 갖는다면,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9)은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을 갖는다. 바꾸어 말하면,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9)은 각각 각각의 접촉 핀용 리셉터클을 갖는다.
특히, 도 4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접속 상태에서, 보호 부재(5, 5')는 소켓측 플러그(B)의 리셉터클(93,93') 안에 정확히 고정되고, 리셉터클(93,93')은 보호 부재(5)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리셉터클(93,93')은 이 목적을 위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접속된 상태에서 리셉터클(93,93')의 내부 표면(94,94')은 보호 부재(5,5')의 외부 표면(54, 54')을 적어도 일부에서 둘러싼다.
전술 한 바와 같은 U 자형 보호 부재(5,5')의 정확한 끼워 맞춤을 위해, 리셉터클(93,93')의 보호 부재(5,5')와 대면하는 내부 형상(94,94')은, 그것이 아치형 베이스 다리부(51,51')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아치형인 내부 표면을 가지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또한 각각의 경우에 직선형 사이드 다리부(52,52', 53, 53')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직선인, 서로 평행하게 정렬 된 2 개의 내부 표면을 갖는다.
보호 부재(5,5')의 리셉터클(93,93')에 부가하여,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9)은, 추가적으로 간격(95, 95')을 갖는데, 이는 특히 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안에, 플러그 벽(62,62')이 특히 원의 일부의 형태로 수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이 간극(95,95')은 소켓(100,100') 및 또한 리셉터클(93,93')의 주위로 완전히 연장된다. 여기서 또한, 소켓 및 간격은 각각의 접촉 핀에 제공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핀측 플러그(S)와 소켓측 플러그(B)는 함께 결합되어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1)을 형성할 수 있고, 핀측 플러그(S)의 각각의 접촉 핀(3,3') 및 그와 관련된 보호 배열체(8,8')가 소켓측 플러그(B)의 간극(95,95') 또는 대응되는 리셉터클(93,93') 안에 그리고 또한 소켓측 장착부(400)의 하우징 장착부(401)에 있는 핀측 장착부(2)의 하우징 장착부(21) 안에 수용되고, 그 결과, 바깥쪽으로 완전히 폐쇄 된 플러그-인 연결부가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 의해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핀-측 플러그(S)의 접촉 핀(3)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설계된 접촉편 형태의 접촉 부재(200)가 소켓(100)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접촉편은 소켓(100)의 전체 원주 방향을 따라 완전히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례로 소켓(100)은 컨덕터 부재(300) 내에 배열되며, 컨덕터 부재(300)는 케이블을 위한 연결 영역(301)을 가지며, 본 명세서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9)의 플러그 베이스(91)에 수직으로 형성된다. 플러그 베이스(91)에 수직으로 형성된 접속 영역(301) 대신에, 플러그 베이스(91)와 평행하게 배열된 접속 영역이 제공 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덕터 부재(300)는 리셉터클(93,93')의 일부를 제공한다. 이 경우 리셉터클은 컨덕터 부재(300)를 관통하여 그 단면이 약해진다. 전류 경로는 리셉터클(93,93')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컨덕터 부재(300) 내의 리셉터클(93,93')의 배열은 컨덕터 부재(300)가 매우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바꾸어 말하면, 보호 부재(5,5')는 컨덕터 부재를 관통하며, 이는 컨덕터 부재(300)가 보호 부재(5, 5')의 단부면 주위에 구성될 필요가 없는 이점을 갖는다. 즉, 컨덕터 부재(300)는 보호 부재(5,5')를 원주 측면 또는 측방향으로 둘러싸지만 보호 부재의 단부면 또는 가까운 단부 둘레를 둘러싸지는 않는다. 그 결과, 하우징을 보다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핀측 플러그(S)는 또한 케이블을 위한 연결 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핀측 플러그 하우징(6)에 평행하게 또는 소정 각도, 특히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전술한 플러그 하우징 또는 소켓 하우징 또는 다른 플러그 하우징 및 소켓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사출-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9)은 차폐부(500)를 포함한다. 차폐부(500)는 외부 부품(501) 및/또는 내부 부품(502) 상에 몰딩된다. 특히 바람직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차폐부(500)의 내측 부분(502)은 먼저 차폐부(500) 상에 성형된다. 그 후, 차폐부(500)의 외부 부분(501)이 성형된다. 차폐부(500)는 또한 외부 부품(501) 상에 성형 될 수 있으며, 내부 부품(502)은 이후에 성형된다.
특히, 다극 플러그-인 커넥터의 경우, 외부 부품 및 내부 부품도 차폐부 상에 동시에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폐부가 단일 플러그 하우징에 형성된다.
S 핀측 플러그 67,67' 홈들
B 소켓측 플러그 7 보호 부재 베이스
1 플러그 인 커넥터 시스템 8,8' 보호 배열체
2 핀측 장착부 9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
21 하우징 장착부 91 플러그 베이스
22 하우징 베이스 92 플러그 벽
3,3' 접촉 핀 93,93' 리셉터클
31,31' 자유 핀 단부 94,94' 내부 표면
32,32' 베이스측 핀 단부 95,95' 간격
33,33' 횡방향 표면 100 소켓
4,4' 접촉 보호부 200 접촉편
5,5' 보호 부재 300 컨덕터 부재
51,51' 베이스 다리부 301 접속 영역
52,52' 사이드 다리부 400 소켓측 장착부
53,53' 사이드 다리부 401 하우징 장착부
54,54' 외측 표면 402 하우징 베이스
55,55' 내측 표면 500 차폐부
56,56' 단부면 501 외측 부분
6 핀측 플러그 하우징 502 내측 부분
61 플러그 베이스 B 원호 중심점
62,62' 플러그 벽 E 평면
63,63' 차단부 M 중심축
64,64' 내부 표면 BK 접촉핀의 폭
65,65' 벽 표면 BS element 보호 부재의 폭
66,66' 아치형 부분 LK 접촉 핀의 길이
R1 제 1 방향 LS 보호 부재의 길이
R2 제 2 방향
B 소켓측 플러그 7 보호 부재 베이스
1 플러그 인 커넥터 시스템 8,8' 보호 배열체
2 핀측 장착부 9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
21 하우징 장착부 91 플러그 베이스
22 하우징 베이스 92 플러그 벽
3,3' 접촉 핀 93,93' 리셉터클
31,31' 자유 핀 단부 94,94' 내부 표면
32,32' 베이스측 핀 단부 95,95' 간격
33,33' 횡방향 표면 100 소켓
4,4' 접촉 보호부 200 접촉편
5,5' 보호 부재 300 컨덕터 부재
51,51' 베이스 다리부 301 접속 영역
52,52' 사이드 다리부 400 소켓측 장착부
53,53' 사이드 다리부 401 하우징 장착부
54,54' 외측 표면 402 하우징 베이스
55,55' 내측 표면 500 차폐부
56,56' 단부면 501 외측 부분
6 핀측 플러그 하우징 502 내측 부분
61 플러그 베이스 B 원호 중심점
62,62' 플러그 벽 E 평면
63,63' 차단부 M 중심축
64,64' 내부 표면 BK 접촉핀의 폭
65,65' 벽 표면 BS element 보호 부재의 폭
66,66' 아치형 부분 LK 접촉 핀의 길이
R1 제 1 방향 LS 보호 부재의 길이
R2 제 2 방향
Claims (31)
-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로서,
상기 핀측 플러그(S)는,
플러그 베이스(61)와 플러그 벽(62)을 구비하는 핀측 플러그 하우징(6),
상기 핀측 플러그 하우징(6)에 접촉 핀을 고정하기 위한 자유 핀 단부(31) 및 베이스 측 핀 단부(32)를 갖는 전기적으로 도전성인 접촉 핀(3), 및
전기적 절연성을 갖도록 설계된 보호 부재(5)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 부재(5)는 접촉 핀(3)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핀측 플러그 하우징(6) 상에 배치되고,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9)에는 플러그 베이스(91) 및 플러그 벽(92)이 제공되고, 상기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9)에 배치되고 접속 상태에서 상기 접촉 핀(3)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소켓(100)이 제공되고,
상기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9)은 상기 접속 상태에서 상기 보호 부재(5)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93)을 구비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5)는 상기 접촉 핀(3)과 별개로 형성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5)가 상기 접촉 핀(3)의 횡방향 표면(33)과 접촉하지 않는 정도의 거리에 배치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벽(62)이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접촉 핀(3)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핀측 플러그 하우징(6) 상에 배치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5)가 상기 플러그 벽(62)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벽(62)은 상기 접촉 핀(3) 주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중심축(M)에 대해 횡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플러그 벽이 단면으로 볼 때 원의 일부 또는 다각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 또는 전술 한 형상의 혼합 된 형태로서 적어도 일정 부분 형성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5) 및 상기 플러그 벽(62)이 상기 접촉 핀(3) 주위에 사실상 동심원 또는 편심으로 배치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벽(62)은 원주 방향으로 차단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5)가 상기 플러그 벽(62)의 차단부(63)에 배치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5)는 제1 방향을 따라 배향된 제1 부분(51)과, 제1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배향되고 제1 부분(51)의 변형에 대한 보강을 제공하기 위한 의도를 갖는 제2 방향을 따라 배향된 제2 부분(52,53)을 구비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비스듬한 방향인,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벽(62)이, 상기 접촉 핀(3)과 대면하는 그 내부 표면(64) 상에 또는 접촉 핀의 반대 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외부 표면 상에, 적어도 하나, 또는 2개의 평행한 벽 표면들을 구비하고, 이때 평행한 벽 표면들(65,65')은 자유 핀 단부(31)의 방향으로, 베이스 측 핀 단부(32)로부터 상기 접촉 핀(3)을 따라 연장된 중심축(M)에 대해 서로 반대로 놓이며, 및 각각의 경우에 상기 중심축(M)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벽(62)이, 상기 접촉 핀(3)과 대면하는 그 내부 표면(64) 상에 또는 접촉 핀의 반대 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외부 표면 상에, 적어도 하나, 또는 2개의 평행한 벽 표면들을 구비하고, 이때 평행한 벽 표면들(65, 65')은 자유 핀 단부(31)의 방향으로, 베이스 측 핀 단부(32)로부터 상기 접촉 핀(3)을 따라 연장된 중심축(M)에 대해 서로 반대로 놓이며, 또는 각각의 경우에 상기 중심축(M)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벽(62)이 두 개의 평행한 벽면을 아치형으로 서로 연결하는 아치형 또는 각진 부분(66)을 구비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벽(62)이 두 개의 평행한 벽면을 아치형으로 서로 연결하는 아치형 또는 각진 부분(66)을 구비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5)는 상기 중심축(M)과 아치형 부분(66)의 원호 중심점(B)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E)에서 상기 플러그 벽(62)에 대해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보호 부재(5)는 상기 평행한 벽 표면들(65, 65') 중간에서 상기 평면(E)에 배치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5) 및 플러그 벽(62)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6)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 핀(3)을 위한 보호 배열체(8)를 형성하고; 또는
상기 보호 부재(5) 또는 플러그 벽(62)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6)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 핀(3)을 위한 보호 배열체(8)를 형성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2 개 이상의 접촉 핀(3, 3')을 구비하고, 각각의 접촉 핀(3, 3')은 각각 보호 부재(5, 5')를 구비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기 절연성인 접촉 보호부(4)가 상기 접촉 핀(3)의 자유 단부(31) 상에 배치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2 개 이상의 접촉 핀(3, 3')을 구비하고, 각각의 접촉 핀(3, 3')은 각각 보호 부재(5, 5'), 적어도 각각의 플러그 벽(62, 63)과 유사한, 또는 각각의 경우에 보호 배열체(8, 8')를 구비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보호 캡의 형태인 전기 절연성인 접촉 보호부(4)가 상기 접촉 핀(3)의 자유 단부(31) 상에 배치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100)은 컨덕터 부재(300)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보호 부재(5)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리셉터클(93)은 상기 컨덕터 부재(300) 안으로 연장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93)은, 컨덕터 부재(300)에 의해 상기 보호 부재(5)가 상기 컨덕터 부재(300)에 의하여 원주 측면에만 배타적으로 둘러싸이고 그 단부면에는 둘러싸이지 않도록 상기 컨덕터 부재(300) 안에 배열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컨덕터 부재(300)는 케이블용 접속 영역(301)을 구비하며,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9)의 상기 플러그 베이스(91)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또는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및 상기 리셉터클(93)이 접속 상태에서 상기 보호 부재(5)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보호 부재(5)는 상기 리셉터클(93)에 정확하게 끼울 수 있고 및 상기 리셉터클(93)은 바람직하게 보호 부재(5)의 전체 길이를 실질적으로 수용하도록 설계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93)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접속 상태에서 상기 보호 부재(5)의 내부 표면(94)과 외부 표면(54) 사이가 접촉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93)이 상기 리셉터클(93)의 소정 영역 내에서 상기 보호 부재(5)를 완전히 둘러싸고 있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측 플러그 하우징(9)은, 추가의 간격(95)을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벽(62)은 상기 간격 내에 수용될 수 있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간격(95)은 원형의 형태인,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벽(62)은, 원의 일부 형태인,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 제 1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핀측 플러그(S)의 접촉 핀(3)과의 전기적 접촉을 위해 설계된 접촉 부재(200), 또는 접촉편이 상기 소켓(100) 내에 배치되는,
핀측 플러그(S) 및 소켓측 플러그(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6190273 | 2016-09-23 | ||
EP16190273.9 | 2016-09-23 | ||
PCT/EP2017/072335 WO2018054685A1 (de) | 2016-09-23 | 2017-09-06 | Stecker mit schutz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1060A KR20190051060A (ko) | 2019-05-14 |
KR102523529B1 true KR102523529B1 (ko) | 2023-04-18 |
Family
ID=56990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11753A KR102523529B1 (ko) | 2016-09-23 | 2017-09-06 | 보호 플러그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873147B2 (ko) |
EP (1) | EP3516741B1 (ko) |
JP (1) | JP6968875B2 (ko) |
KR (1) | KR102523529B1 (ko) |
CN (1) | CN109804510B (ko) |
WO (1) | WO201805468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54685A1 (de) * | 2016-09-23 | 2018-03-29 | Stäubli Electrical Connectors Ag | Stecker mit schutz |
JP1622369S (ko) * | 2018-06-21 | 2019-01-21 | ||
JP1622368S (ko) * | 2018-06-21 | 2019-01-21 | ||
JP1622367S (ko) * | 2018-06-21 | 2019-01-21 | ||
JP2020072064A (ja) * | 2018-11-02 | 2020-05-07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インターロック機能を有する電源用コネクタ、及び、該電源用コネクタを用いた電源コネクタ装置 |
KR102564227B1 (ko) * | 2021-03-02 | 2023-08-08 | 주식회사 원익피앤이 | 소켓 및 플러그 타입 전기배선용 커넥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090009A1 (en) * | 2011-10-06 | 2013-04-11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Power connector system |
JP2016522550A (ja) * | 2013-05-24 | 2016-07-28 | ティーイー コネクティビティ ジャーマニ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クTE Connectivity Germany GmbH | 高電圧指保護 |
Family Cites Families (4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802821A1 (de) * | 1968-10-12 | 1970-06-04 | Standard Elek K Lorenz Ag | Hochpoliger Steckverbinder fuer die Fernsprech- oder eine andere Informationen verarbeitende Technik |
US3888559A (en) * | 1972-04-13 | 1975-06-10 | Amp Inc | High voltage quick disconnect assembly |
US5391972A (en) * | 1988-03-11 | 1995-02-21 | Gardner; Billy J. | Cordless tool battery housing and charging system |
US5173063A (en) * | 1990-02-20 | 1992-12-22 | Amp Incorporated | Receptacle connector having protected power contacts |
US5297972A (en) * | 1992-07-10 | 1994-03-29 | Raychem Corporation | Coaxial cable connection protection system |
JP2729561B2 (ja) * | 1993-04-16 | 1998-03-18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5588852A (en) * | 1995-03-21 | 1996-12-31 | The Whitaker Corporatio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ocket contacts with safety shields |
US5703324A (en) * | 1996-04-30 | 1997-12-30 | Fluke Corporation | Shielded banana plug with double shroud and input receptacle |
US6113426A (en) * | 1997-11-10 | 2000-09-05 | Molex Incorporated |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 and terminal structure |
JP3575295B2 (ja) * | 1998-04-15 | 2004-10-13 | 住友電装株式会社 | 電気接続用コネクタのプラグ |
JP4034125B2 (ja) * | 2002-06-06 | 2008-01-16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電気的接続装置 |
GB0420666D0 (en) * | 2004-09-17 | 2004-10-20 | Smiths Group Plc | Electrical connectors |
DE602005003447T2 (de) * | 2005-03-18 | 2008-09-25 | 3M Innovative Properties Co., St. Paul | Elektrische Verbindervorrichtung |
DE102005016266B4 (de) * | 2005-04-08 | 2007-10-25 |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 Berührungssichere Steckverbindung, insbesondere Solarsteckverbindung |
US7179100B2 (en) * | 2005-05-06 | 2007-02-20 |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 Security shield integral with tap faceplate |
ES2389887T3 (es) * | 2008-09-10 | 2012-11-02 | Fci Automotive Holding | Contacto eléctrico , conjunto de contacto eléctrico, producto y conjunto que comprenden dicho contacto eléctrico, su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y procedimiento de conexión eléctrica |
JP4613235B2 (ja) * | 2008-09-11 | 2011-01-12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018740B2 (ja) * | 2008-11-10 | 2012-09-05 | 日立電線株式会社 | コネクタ |
EP2200130A1 (en) * | 2008-12-17 | 2010-06-23 | Tyco Elektronics AMP GmbH | Shielded electrical plug-in connector |
JP2011048945A (ja) * | 2009-08-25 | 2011-03-10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コネクタ |
JP5375440B2 (ja) * | 2009-08-26 | 2013-12-25 | 住友電装株式会社 | 雄型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
DE102009043516A1 (de) * | 2009-09-30 | 2011-04-07 | Tyco Electronics Amp Gmbh | Zweiteiliges Kontaktelement für Hochspannungssteckverbinder |
US8545275B2 (en) * | 2010-04-07 | 2013-10-01 | Alltop Electronics (Suzhou) Ltd. | Electrical connector with touch-safety contact structures |
DE102010035943A1 (de) * | 2010-08-31 | 2012-03-01 | Kostal Kontakt Systeme Gmbh | Steckverbinder für Hochspannungsanwendungen |
US8827741B2 (en) * | 2011-04-08 | 2014-09-09 | Fci Americas Technology Llc | Housing insert contact protection |
US9004954B2 (en) * | 2012-03-21 | 2015-04-14 | Delphi Technologies, Inc. |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
JP5850337B2 (ja) * | 2012-09-06 | 2016-02-03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2014154370A (ja) * | 2013-02-08 | 2014-08-25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充電用コネクタ |
KR102115040B1 (ko) * | 2014-03-14 | 2020-05-26 | 엘에스이브이코리아 주식회사 | 고전압 수형 커넥터 |
US9444205B2 (en) * | 2014-03-25 | 2016-09-13 | Lear Corporation | Electric connector with contact protection |
CN204361359U (zh) * | 2015-01-28 | 2015-05-27 |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 带线缆的端子组件及连接器组件 |
DE202015001331U1 (de) * | 2015-02-19 | 2015-04-15 |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 Steckverbinder mit Dämpfungselement |
US10122131B2 (en) * | 2015-05-15 | 2018-11-06 | John Mezzalingua Associates, LLC |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spring-biased conductor elements |
JP6605333B2 (ja) * | 2016-01-05 | 2019-11-13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
DE102016005508A1 (de) * | 2016-05-04 | 2017-11-09 |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 Hochvoltverbinder |
US10128624B2 (en) * | 2016-08-01 | 2018-11-13 | Te Connectivity Corporation | Power connector system |
WO2018054685A1 (de) * | 2016-09-23 | 2018-03-29 | Stäubli Electrical Connectors Ag | Stecker mit schutz |
EP3389146B1 (en) * | 2017-04-11 | 2020-08-05 | Yazaki Europe Ltd. | Electric connection arrangement |
DE102017210425A1 (de) * | 2017-06-21 | 2018-12-27 |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 Modulverbinder |
US10355389B2 (en) * | 2017-08-01 | 2019-07-16 | Delphi Technologies, Llc | High-current electrical terminal |
JP2019200844A (ja) * | 2018-05-14 | 2019-11-21 | 矢崎総業株式会社 | 雌コネクタ及び嵌合コネクタ |
DE102018211043A1 (de) * | 2018-07-04 | 2020-01-09 |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 Berührgeschützte Kontaktanordnung |
-
2017
- 2017-09-06 WO PCT/EP2017/072335 patent/WO2018054685A1/de unknown
- 2017-09-06 EP EP17761893.1A patent/EP3516741B1/de active Active
- 2017-09-06 US US16/335,736 patent/US10873147B2/en active Active
- 2017-09-06 JP JP2019515343A patent/JP6968875B2/ja active Active
- 2017-09-06 KR KR1020197011753A patent/KR10252352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9-06 CN CN201780058502.1A patent/CN109804510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090009A1 (en) * | 2011-10-06 | 2013-04-11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Power connector system |
JP2016522550A (ja) * | 2013-05-24 | 2016-07-28 | ティーイー コネクティビティ ジャーマニ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クTE Connectivity Germany GmbH | 高電圧指保護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90237895A1 (en) | 2019-08-01 |
KR20190051060A (ko) | 2019-05-14 |
JP6968875B2 (ja) | 2021-11-17 |
WO2018054685A1 (de) | 2018-03-29 |
EP3516741B1 (de) | 2021-06-02 |
CN109804510B (zh) | 2021-05-11 |
EP3516741A1 (de) | 2019-07-31 |
US10873147B2 (en) | 2020-12-22 |
JP2019530160A (ja) | 2019-10-17 |
CN109804510A (zh) | 2019-05-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23529B1 (ko) | 보호 플러그 | |
US9647372B2 (en) | High-voltage finger protection | |
KR102004736B1 (ko) | 삽입형 컨넥터 | |
US7413478B2 (en) | Electric contact for contacting a protecting conductor with conductive housing | |
US9577373B2 (en) | Electric connector | |
EP2642607B1 (en) |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 |
US9673568B2 (en) | Plug connector | |
KR101994573B1 (ko) |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 |
US10290966B2 (en) | Joint connector | |
KR101486166B1 (ko) | 자동차 분야에서 고압 전류를 전송하기 위한 연결 장치 | |
KR20140059798A (ko) | 플러그 커넥터 | |
KR101248896B1 (ko) | 전기 구동력 전송을 위한 플러그 하우징 및 전기 플러그 | |
US20190229461A1 (en) | Power connector with terminal | |
US11088485B2 (en) |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 |
CN109792118B (zh) | 连接器 | |
CN118156862A (zh) | 具有可移动防触摸元件的功率连接器 | |
CN116960666A (zh) | 固定极的接触嵌件和接触嵌件组件 | |
CN117977314A (zh) | 具有能可变配置的接口几何的多件式同轴插塞连接器 | |
US20140004750A1 (en) | Electrical plug type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