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5482B1 - 엘리베이터서비스억세스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서비스억세스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5482B1
KR100295482B1 KR1019980038938A KR19980038938A KR100295482B1 KR 100295482 B1 KR100295482 B1 KR 100295482B1 KR 1019980038938 A KR1019980038938 A KR 1019980038938A KR 19980038938 A KR19980038938 A KR 19980038938A KR 100295482 B1 KR100295482 B1 KR 100295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data
call
input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8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347A (ko
Inventor
이윤희
Original Assignee
백영문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영문,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백영문
Priority to KR1019980038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5482B1/ko
Publication of KR20000020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6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76Call registering systems for checking authorization of the passe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서비스 억세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의 소실등의 염려가 없는 데이터 저장수단으로서, 아이버튼(I-Button)을 이용하여 그 아이버튼내에 기록된 데이터를 감지하고 원하는 층의 버튼신호와 일치하는 가를 판단하여 서비스를 행하도록 제어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특정인에게 특정층만을 서비스할 수 있으므로 건물의 보안등이 요구되는 곳에 출입 통제를 확실히 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서비스 억세스 제어방법{ELEVATOR SERVICE ACCES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서비스 억세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이버튼(I-Button)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서비스 및 빌딩의 출입 통제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서비스 억세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엘리베이터 서비스 억세스 제어방법은 승객이 승강장에서 호출 버튼을 누르면 그에 따른 제어신호가 제어시스템에 인가되어 제어시스템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가 호출층에 서비스 되고, 승객이 엘리베이터 카에 승차한 후 가고자 하는 층의 숫자버튼을 누르면 해당층으로 이동한다.
그런데, 최근에는 건물의 특성에 따라 보안 및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를 통해 건물내로 외부인의 출입하는 것을 통제하거나 또는 외부인이 특정한 층에만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한하거나 또는 특정한 층에만 접근을 허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카내에서 특정층을 운행하고자 할 때는 비밀번호를 승객이 직접 입력하거나 또는 카드 키를 이용하여 호출등록을 하고, 엘리베이터 카 제어시스템이 이를 확인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원하는 층으로 운행시키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식은 특정층에 접근이 허가되지 않은 사람과 엘리베이터 카에 같이 탄 경우 그 사람에게 비밀번호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만약 데이터가 입력된 카드 키를 이용하여 특정층으로 운행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카드키 표면에 마그네틱이 부착된 플라스틱카드키가 사용되기 때문에 자석 등에 의해 마그네틱에 기록된 데이터가 손실되어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에는 특정층으로 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엘리베이터 서비스 제어방법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특정데이터가 격납된 아이버튼을 사용하여 입력신호를 감지하고 그 입력데이터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특정인에게만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행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서비스 억세스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아이버튼(I-Button)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서비스 및 빌딩의 출입 통제를 할 수 있도록 처리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서비스 억세스 제어방법에 있어서, 아이버튼으로부터의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그 아이버튼내에 격납된 데이터를 로드(Load)시키는 단계와, 호출버튼으로부터의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그 신호가 로드된 아이버튼의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호출버튼으로부터의 입력신호와 상기 로드된 아이버튼의 데이터가 일치하면 호출층 입력여부를 판단하는 반면, 상기 호출버튼 입력신호와 아이버튼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아이버튼의 메모리에서 로드한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층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호출층 정보가 상기 아이버튼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허가된 층의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호출층 정보와 허가된 층의 정보가 일치하면 서비스층으로 등록하기 위해 데이터를 메인컨트롤러로송신하는 반면, 호출버튼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와 상기 로드된 아이버튼(I-Button)의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음성출력부를 통하여 경고메시지를 출력하고 로드(Load)된 데이터를 삭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서비스 억세스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서비스 억세스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블
럭구성도,
도 2는 도 1에 사용되는 데이터 저장수단의 일예로서 아이버튼을 나타낸 도
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서비스 억세스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표시부, 4: 터치 프로브(Touch Probe),
6: 음성출력부, 8: 호출버튼 입력부,
10: 조작패널, 12: 구동회로,
14: 제어부, 16: 통신드라이브,
20: 통신제어 및 구동부, 30: 메인 컨트롤러.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서비스 억세스 제어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서비스 억세스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패널(10)은 입력신호에 따라 해당층의 숫자 및 기타 기능을 표시하는 표시부(2)와, 후술하는 데이터가 격납된 아이버튼(I-Button)의 접촉시 감지신호를 받아들이는 아이버튼용 터치 프로브(Touch Probe)(4)와, 입력신호에 따라 음성신호를 출력시키는 음성출력부(6)와, 숫자버튼 및 기능버튼이 구비된 호출버튼 입력부(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표시부(2)는 엘리베이터의 운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층 정보, 운행방향, 운행상태, 입력층 정보 등)를 표시한다. 호출버튼 입력부(8)는 승객이 가고자 하는 층에 해당하는 숫자버튼을 눌러 입력을 행할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음성출력부(6)는 엘리베이터의 운행관련 정보를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으로 승객에게 제공하는 부분이고, 아이버튼(I-Button)용 터치 프로브(Touch Probe)(4)는 후술하는 아이버튼(I-Button)에 기록되어 있는 허가된 층의 정보를 읽기 위한 부분이다.
참조부호 20은 상기 조작패널(10)과 신호를 교환하며, 또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회로(12)와, 또한 구동회로(12)와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하는 제어부(CPU)(14)와, 그 제어부(14)와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하는 통신드라이브(16)로 구성된 통신제어 및 구동부를 나타낸다.
상기 제어부(14)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램(RAM)과 롬(ROM)을 구비하고 있어서 아이버튼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독취해 낼 수 있다.
30은 통신제어 및 구동부(20)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하고, 서로 시리얼 통신규격(예를 들면,RS485 통신규격)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메인콘트롤러를 나타낸다.
도 2a와 도2b는 도 1에서 사용된 데이터 저장수단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40,50은 데이터가 그 내부에 설치된 저장수단에 격납되어 있는 아이버튼을 각각 일반적인 카드(도2a)와 반지(도2b)에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아이버튼은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아이버튼은 미국 달라스 세미컨덕터사에서 나온 제품으로서, 원형의 스텐레스재질내에 메모리, 예를 들면, 이이피롬(EEPROM)이 내장되어있고 (도시안됨), 외측에는 엘리베이터의 조작패널의 프로우브와 접촉되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동일 프로우브재질(40a,50a)이 감싸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아이버튼을 기존 플라스틱이나, 반지등기타 부착가능한 곳에 부착하여 사용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서비스 억세스 제어시스템을 통한 엘리베이터서비스 제어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서비스 억세스 제어시스템의 구성에 따른 서비스 억세스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먼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아이버튼(I-Button)의 해당 프로우브부분을 조작패널(10)의 아이버튼용 터치 프로브(Touch Probe)(4)에 접촉시키게 되는데, 통신제어 및 구동부(20)는 단계 60에서 아이버튼의 입력여부를 판단하고, 아이버튼(I-Button)용 터치 프로브(Touch Probe)(4)를 통하여 아이버튼(I-Button)(40,50)의 입력이 감지되면, 단계 62에서 아이버튼(I-Button)(40,50)내의 메모리(예를들면, 이이피롬(EEPROM))에 내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로드(Load)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호출버튼 입력부(8)를 통하여 서비스에 해당하는 숫자버튼을 누르는데, 단계 64에서는 호출버튼 입력부(6)로부터의 신호 입력 유무를 판단하고, 호출버튼 입력부(8)로부터의 입력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단계 62의 아이버튼(I-Button)(40,50)의 메모리에서 로드(Load)한 데이터를 삭제시킨다. 또한, 호출버튼 입력부(8)에서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단계 66에서는 제어부(CPU)를 통해 입력된 신호가 아이버튼(I-Button)(40,5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허가된 층의 정보에 따른 신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 66에서의 판단결과, 호출버튼 입력부(8)로부터 입력된 정보와 아이버튼(I-Button)(40,5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허가된 층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음성출력부(6)를 통하여 허가된 층이 아니라는 경고메시지를 출력한 후 상기 단계 62에서 아이버튼(I-Button)(40,50)의 메모리에서 로드(Load)한 데이터를 삭제시킨다. 또한, 만일 호출버튼 입력부(8)에 입력된 정보와 아이버튼(I-Button)(40,5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허가된 층의 정보가 일치하게 되면 단계 68에서 서비스 층으로 등록하기 위해 데이터를 시리얼 통신(예를 들면,RS485 통신)을 통하여 메인 컨트롤러(30)로 송신한다. 그후, 단계 70에서 호출된 층의 데이터를 표시부(2)에 표시하고 호출층으로의 서비스를 행함으로써 아이버튼(I-Button)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종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빌딩의 사용자들에게 사용이 허가된 층에 대한 정보를 아이버튼(I-Button)(40,50)의 메모리에 입력하여, 이를 가지고 있는 사람만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허가된 층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으며, 만일 외부인이 업무상 방문시 가고자 하는 층의 데이터가 입력된 아이버튼(I-Button)(40,50)을 경비실이나 안내실에서 수령하여 해당 층만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거나 허가된 아이디(ID)를 가지고 있는 사람과 동행 할 경우에만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여 외부인이 단독으로 빌딩을 출입할 수 없도록 하여 보안 및 기밀유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아이버튼(I-Button)은 시리얼 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의 적용이 용이하기 때문에 쉽게 데이터를 입출력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승강장의 조작패널(10)에서 입력되어 허가된 호출층의 데이터는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에 도착하여 호출한 승객이 탑승한 후부터 유효하게 되며, 호출의 입력은 엘리베이터가 도착하여 도어를 열 때까지만 입력을 받고, 늦게 도착하여 승차한 사람의 경우는 카 내부의 조작패널(10)을 통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입력을 행하면 된다.
또한, 주차(Parking), 브이아이피 서비스(VIP Service) 등의 기능에 대응하기 위해 승강장 측의 조작패널에 별도의 키 스위치를 설치할 필요 없이, 해당 데이터가 입력된 아이버튼(I-Button)(40,50)을 이용하여 사용한다.
즉, 상기의 기능들을 사용하도록 허가된 사용자의 아이버튼(I-Button) (40,50)에 입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호출층에서 사용자가 이 기능을 사용하려 할 경우, 아이버튼(I-Button)(40,50)을 입력한 후 호출층의 값을 조작패널(10)상의 호출버튼입력부(8)에서 층입력을 하면, 통신제어 및 구동부(20)의 씨피유(CPU)(14)에서 이 데이터를 분석, 판단하여 허가된 데이터이면 해당 서비스를 행하고, 허가되지 않을 경우에는 경고메시지를 음성출력부(6)와 표시부(2)를 통하여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빌딩의 사용자들에게 각각 접근할 수 있는 층의 데이터가 기록되어진 아이버튼(I-Button)을 이용한 카드(아이디(ID) 카드 공용)나 반지를 빌딩의 사용자들에게 배포하여 사용할 경우, 빌딩의 출입 제한 및 보안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외부인이 다른 사람이 입력한 층으로 같이 타고 이동할 수는 있다고 하더라도 그 층에서 다시 내려오거나 다른 층으로 이동하려면 반드시 아이버튼(I-Button)을 이용하거나 허가된 동행인이 있어야만 엘리베이터를 호출 할 수 있으므로 외부인의 출입통제가 기존의 방식보다 유리한 효과가 있다. 즉, 허가된 사람만이 허가된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건물의 출입자 통제 및 보안에 쉽게 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이버튼(I-Button)의 구조가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이므로 마그네틱 카드처럼 손상되지도 않고 카드 휨 등에 의한 데이터 입력이 불가능한 경우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아이버튼(I-Button)(40,50)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서비스 및 빌딩의 출입 통제를 할 수 있도록 처리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서비스 억세스 제어방법에 있어서,
    아이버튼으로부터의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그 아이버튼(I-Button)내에 격납된 데이터를 로드(Load)시키는 단계와,
    호출버튼으로부터의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그 신호가 로드된 아이버튼의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호출버튼으로부터의 입력신호와 상기 로드된 아이버튼(40,50)의 데이터가 일치하면 호출층 입력여부를 판단하는 반면, 상기 호출버튼 입력신호와 아이버튼(40,50)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아이버튼(40,50)의 메모리에서 로드한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층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호출층 정보가 상기 아이버튼(40,5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허가된 층의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호출층 정보와 허가된 층의 정보가 일치하면 서비스층으로 등록하기 위해 데이터를 메인컨트롤러(30)로 송신하는 반면, 호출버튼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와 상기 로드된 아이버튼(I-Button)의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음성출력부(6)를 통하여 경고메시지를 출력하고 로드(Load)된 데이터를 삭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서비스 억세스 제어방법.
KR1019980038938A 1998-09-21 1998-09-21 엘리베이터서비스억세스제어방법 KR100295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938A KR100295482B1 (ko) 1998-09-21 1998-09-21 엘리베이터서비스억세스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938A KR100295482B1 (ko) 1998-09-21 1998-09-21 엘리베이터서비스억세스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347A KR20000020347A (ko) 2000-04-15
KR100295482B1 true KR100295482B1 (ko) 2002-05-09

Family

ID=1955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938A KR100295482B1 (ko) 1998-09-21 1998-09-21 엘리베이터서비스억세스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54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8721B (zh) * 2020-03-11 2023-09-26 深圳市筑汀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机器人输送系统中的接地地板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347A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657B1 (ko)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처리 장치
JP4773655B2 (ja) 自動的なエレベータ呼びの行先階の登録及び処理
JP5530048B2 (ja) エレベータ行先階呼びの自動処理
CN105189325B (zh) 外围设备近场通信(nfc)读卡器
CN101413365A (zh) 智能进入系统
JP4754765B2 (ja) エレベータの行先登録装置
CN101209792B (zh) 电梯控制装置
JPH05201624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7131434A (ja) エレベータの防犯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117398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WO2009116129A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エレベータ装置、エレベータ制御装置のエレベータ制御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プログラム
KR100295482B1 (ko) 엘리베이터서비스억세스제어방법
KR200417893Y1 (ko) 승강기 보안 운행시스템
JP4776267B2 (ja) エレベーター遠隔制御システム
JP2003104633A (ja) エレベータ呼び登録装置
JP2005263363A (ja) エレベータの防犯システム
JPH10250945A (ja) エレベーターの管理装置
JP2010208725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KR100312766B1 (ko) 엘리베이터의보안운전제어장치
JP2006065379A (ja) 機械警備システム
JP4592301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3401632B2 (ja) エレベータ不停止制御システム
JP3015515U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H01236183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645857B2 (ja) エレベータの防犯運転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