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2437B1 - 엘리베이터 승강도어를 닫는 방법 및 도어 커플러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도어를 닫는 방법 및 도어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2437B1
KR100292437B1 KR1019960039235A KR19960039235A KR100292437B1 KR 100292437 B1 KR100292437 B1 KR 100292437B1 KR 1019960039235 A KR1019960039235 A KR 1019960039235A KR 19960039235 A KR19960039235 A KR 19960039235A KR 100292437 B1 KR100292437 B1 KR 100292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ator
coupler
doors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441A (ko
Inventor
오버라이트너 루베르트
Original Assignee
살로메키 유하
코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살로메키 유하, 코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살로메키 유하
Publication of KR970015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승강도어를 닫는 방법에 있어서, 승강도어는 도어커플러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도어(1,2)와 커플링되고,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도어는 엘리베이터 칸과 연관하여 제공된 액츄에이터에 의해 이동된다. 닫힘 이동의 초기단계시, 엘리베이터 칸도어와 승강도어는 동시에 이동되지만, 닫힘이동의 끝쪽으로 승강도어(3,4)는 엘리베이터 칸도어(1,2) 보다 신속하게 이동하도록 야기된다. 엘리베이터 칸도어 이동에 의한 제어를 근거로하여, 도어 커플러의 커플링 요소(5,6)는 엘리베이터 칸도어 이동방향으로 이동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도어를 닫는 방법 및 도어 커플러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도어의 닫힘 이동의 여러 단계를 도시한 도면.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도어의 닫힘 이동의 여러 단계들에서 본 발명의 도어 커플러를 도시한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도어 커플러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다른 도어 커플러를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3도어 커플러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제11도는 도어의 측면에서 본 엘리베이터 칸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청구 1항의 전문에 한정된 바와같은 엘리베이터 승강 도어를 닫는 방법과 청구 5항의 전문에 한정된 바와 같은 도어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자동도어로 구비된 엘리베이터에서, 엘리베이터 칸도어와 승강도어 사이의 커플링은 엘리베이터 칸도어상에 장착되어 승강도어상에 그 파지요소에 의해 장착된 대응물과 맞물림시키는 도어 커플러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도어 커플러와 대응물은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도어를 지나 이동될 때 승강도어상의 대응물이 도어 커플러의 파지요소들 사이를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서로에 대하여 끼워맞춤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이 승강상태에 있고 엘리베이터 칸도어가 이동상태에 있으면, 도어 커플러는 대응물과 맞물림상태에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승강도어는 엘리베이터 칸도어가 엘리베이터 칸도어에 연결된 동력수단에 의해 이동될 때 또한 이동한다. 종종, 파지요소는 도어 커플러에서 승강도어를 향하여 돌출하고 그리고 승강도어 쪽으로 개방된 일종의 수직슬롯을 형성하고 있는 금속베인들이다. 승강도어상에 장착되어 승강도어로부터 엘리베이터측 쪽으로 돌출한 롤러들로 흔히 이루어진 것으로 대응물은 사용되는데, 이 롤러의 축선은 승강도어의 평면에 수직인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이 도어를 닫는데 있어서의 도어 커플러의 이중기능은 문제를 유발한다. 그 이중기능에 있어서, 도어 커플러는 도어닫힘 운동의 최후까지 확실하게 승강도어를 이동시켜야 하는 한편 엘리베이터 칸이 이동을 시작하기 전에 승강도어를 해제하여야 한다. 이러한 2가지 기능들이 적절하게 쉽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복잡하고 비용이드는 해결책을 필요로하며, 전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송기능, 특히 운송능력을 성취하는데 있어서의 제한들이 부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자동 엘리베이터 도어의 닫힘에 관하여 언급하면, 승강도어의 적절한 닫힘은 의문시 되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예를들면,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발행된 기류는 승강도어의 적절한 닫음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실제, 도어가 적절하게 닫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예를들면 도어를 로프에 의해 닫음위치로 끌어당기는 소위 닫는 하중, 또는 승강도어상에 작용하는 별개의 모터 또는 다른 기어를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러한 해결책은 소음이 발생되고 공간을 차지하며 비용과 부가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이러한 해결책을 이용하는 것은 보다긴 문닫힘 시간을 유도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송능력에 직접적인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한다.
승강도어의 닫음에 관련한 상기된 문제를 극복하고 엘리베이터 칸도어와 승강도어 사이의 커플링을 개량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도어의 닫음방법과 도어 커플러가 본 발명으로서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청구 1항의 특징부에 제시된 것에 의해 특징되어 진다. 본 발명의 도어 커플러는 청구 5항의 특징부에 제시된 것에 의해 특징되어 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다른 청구항에 제시된 것에 의해 특징되어 진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장점들은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도어와 승강도어 사이의 확실한 커플링과 도어의 완전한 닫힘을 보장한다.
-덜거덕 거리는 소음, 도어작동의 중단, 도어들이 고정됨 등과 같은 부적절한 또는 불확실한 커플링의 결점이 회피된다.
-도어를 닫아서 잠금하는 전체 공정은 가속되어서, 엘리베이터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어 커플러 베인은 승강도어의 열림·닫힘 이동전역에 걸쳐 폐쇄된 채로 있어 이 승강도어를 파지하여 유지하여 정확한 승강도어 이동을 초래한다.
-엘리베이터 도어가 열려 있을 때 엘리베이터 칸도어의 옆기둥과 승강도어 사이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칸도어의 도어패널과 승강도어 사이의 양호한 정렬을 성취하는 것이 용이하고 양호한 시각적 감상을 준다.
-본 발명은 측개방과 중앙개방 자동 엘리베이터 도어들 양자에 적용가능하다.
-도어 커플러는 승강도어상에 장착된 롤러와 도어 커플러 베인 사이의 큰 간격을 이루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큰 간격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의 보다 유연한 스프링 현수의 이용을 허용하여 승차감을 좋게 한다. 큰 간격은 승강도어의 장착에서의 이탈에 대해 큰 허용 한도를 제공한다.
-간결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본 발명의 도어 커플러가 쉽게 유지보수가 된다. 그 제조 및 설치비용이 저렴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예시로서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중앙개방도어의 닫음이동의 여러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들은 승강도어의 도어패널(1,2)과 엘리베이터 칸도어의 도어패널(3,4) 뿐만아니라 엘리베이터 칸도어에 부착된 도어 커플러의 파지요소들을 이루고 있는 베인(5,6)과 승강도어에 부착된 롤러(7,8)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롤러들은 도어 커플러의 대응물로서 이용되고 베인이 폐쇄됨에 따라 베인에 의해 맞물림된다. 또한, 제1도 내지 제4도 각각은 엘리베이터 칸도어의 문턱선(9,10)과 이 도어의 중심선(11)을 도시하고 있다.
제1도에 있어서, 승강도어와 엘리베이터 칸도어 양자는 완전히 열려 있다. 승강도어의 도어패널(3,4)은 엘리베이터 칸도어의 양 도어패널(1,2)과 정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승강도어패널(3,4)과 엘리베이터 칸도어패널(1,2) 양자는 승강도어 옆기둥(40)과 열린 엘리베이터 칸도어의 에지(41)와 정렬되어 있다. 열린 도어의 에지(40,41)와 정렬된 도어패널(1, 2, 3, 4)의 에지는 엘리베이터에 대해서 우호적인 감상을 제공한다. 도어커플러 베인(5, 6)은 롤러(7, 8)를 파지하여 유지하고 있다. 도어기구가 엘리베이터 칸도어를 닫기 시작할 때, 승강도어의 닫힘이동은 도어 커플러의 작용으로 인해 또한 시작된다.
제2도에서, 도어들은 그들의 닫힘위치 쪽으로 이동되고 있고 승강도어의 닫힘이동이 엘리베이터 도어의 닫힘이동에 연관하여 가속되는 지점에 도달하게 된다. 이 지점은 완전히 닫힌 도어패널의 위치로부터 거리(L) 만큼 떨어져 있다. 거리(L)는 바람직하게 약 100mm이고, 이 거리는 도어기구 또는 다른 부품에서 평소 보다 강력한 구조물을 수반하는 일정레벨의 동력을 필요로함 없이 승강도어가 엘리베이터 칸도어에 앞서 전진하기에 충분하다. 한편, 이 지점까지, 승강도어패널(3, 4)은 엘리베이터 칸도어 패널(1, 2)과 동기적으로 이동되지만 이후에는 이들은 엘리베이터 칸도어패널에 앞서 이동하기 시작한다.
제3도에 있어서, 2개의 승강도어패널들은 서로 맞닿아 있다. 엘리베이터 칸도어 패널(1, 2)은 여전히 이동하고 있다. 승강도어가 닫힘위치에 도달하면, 엘리베이터 칸도어패널(1,2)은 완전한 닫힘위치로부터 거리(ℓ)만큼 떨어져 있다. 승강도어가 이 단계에서 엘리베이터 칸도어를 앞서게 되는 거리(ℓ)는 바람직하게 약 20mm이고, 이것은 한편으로는 승강도어가 닫힘되는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히 길고 다른 한편으로는 도어커플러의 작동 또는 위치에서의 변경을 통해 성취되기에 충분히 짧다. 도어 커플러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도어패널의 이동은 승강도어패널(3, 4)이 그들의 닫힘위치 내로 타이트하게 가압되도록하여 승강도어가 닫힘되는 것을 보장한다. 결과로서, 승강도어는 엘리베이터 칸도어가 닫혀지기 전에 이미 완전히 닫혀져서, 승강도어를 닫기 위한 어떠한 다른 수단도 필요되지 않아 시간손실이 없다.
제4도에서, 엘리베이터 칸도어패널(1, 2)은 서로 맞닿아 있어 엘리베이터 칸도어는 완전히 닫혀져 있다. 도어 커플러 베인(5, 6)은 롤러(7, 8)를 해제하고 있어 엘리베이터 칸은 출발할 준비가 되어 있다. 베인(5, 6)의 해제이동은 제3도에 의해 나타내어진 상태에서 이미 시작될 수 있다.
제5도 내지 제7도는 도어의 닫힘이동의 여러 단계에서 도어 커플러를 도시하고 있다. 제8도는 도어 커플러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예시하고 있다. 제5도에서의 도어 커플러 위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상태에 상응한다. 제6도에서의 도어 커플러 위치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상태에 상응한다. 제7도어에서의 도어 커플러 위치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상태에 상응한다. 제1도에서의 도어 커플러 위치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상태에 또한 상응하지만 롤러(25)가 만곡부(28)에 도달한 점만이 다르다. 제5도 내지 제7도는 도어 커플러의 대응물로서 이용되는 롤러(7, 8)를 또한 도시하고 있다. 베인이 롤러를 가압하고 다시 이 롤러를 해제할 때 발생하는 서로에 상대적인 롤러(7, 8) 또는 승강도어의 수평이동은 승강도어의 잠금을 또한 작용 시킨다. 롤러(7, 8)가 베인(5, 6) 사이에서 가압될 때, 승강도어 잠금이 해제된다. 베인(5, 6)이 승강도어가 닫혀진 후 분리될 때(제7도 참조), 롤러(7, 8) 또한 분리된다. 충분한 간격이 롤러(7, 8)와 베인(5, 6)사이에 제공되어 엘리베이터 칸이 그 경로상에서 승강도어를 지나 이동될 때 롤러가 베인과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제5도 내지 제7도는 상부안내트랙(27)을 따르는 롤러(25)상의 상기 안내트랙에 의해 발생되는 안내작용이 레버(23, 24)를 경유하여 도어커플러(12)의 프레임(13)에 관련한 전·후방 도어커플러 베인(6, 5)의 이동으로 변환되는 공정에 대한 일련의 연속적인 단계들을 도시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도어의 닫힘이동의 최종단계에 상응하는 부분에서, 안내트랙(27)은 상향곡면부를 갖춘 만곡부(28)를 가진다. 제5도에서 롤러(25)는 안내트랙(27)의 만곡부(28)에 도달되어 있다. 제5도의 상태에서, 승강도어의 가속이 이제 막 시작되려고 한다. 제6도에서, 롤러(25)는 만곡부(28)를 따라 상향으로 일정거리 만큼 이동되어 상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레버(23, 24)를 회전시켜, 이에 의해 베인(5, 6)을 하강시킨다. 베인의 하향이동은 도어커플러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베이스판(13)상에 베인(5, 6)을 지지한 링크(14, 15, 16)가 회전하도록하여, 베인(5, 6)이 도어의 닫힘방향으로 베이스판과 연관하여 이동하도록 한다. 이 단계에서, 차단레버(30)는 베인이 분리되는 것을 여전히 방지하고 있다. 베이스판(13)이 엘리베이터 칸도어에 부착되고 베인(5, 6)이 롤러(7, 8)를 경유하여 승강도어에 커플링되기 때문에 닫힘방향으로 베이스판(13)에 관련한 베인(5, 6)의 이동은 엘리베이터 칸도어에 앞서 이동하는 승강도어를 초래한다. 제7도에서, 승강도어와 엘리베이터 칸도어 양자는 닫혀져 있다. 도어 커플러 베인(5, 6)은 롤러(7, 8)를 해제하여 엘리베이터 칸이 출발될 수 있게 된다. 베인(5, 6)의 개방운동은 서로에 연관한 베인의 이동을 해제하고 베인(6)에 대하여 베인(5)이 하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작용되어, 베인(5)을 베인(6)에 연결한 링크(17, 18)가 회전하도록 하여, 이에 의해 베인(5)을 베인(6)으로부터 더 멀리 이동시킨다. 이 베인들은 승강도어가 닫혀진 후 단지 분리 이동이 시작된다.
제8도는 도어의 닫힘이동의 최종지점이고 도어커플러 베인(5, 6)이 개방되는 중앙선(11)에 엘리베이터 도어가 도달된 상태에 있는 도어 커플러(12)를 도시하고 있다. 도어 커플러의 구조와 작동은 제8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그들의 개방위치에 있는 도어 커플러 베인(5, 6)은 도어 커플러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베이스판(13)상에 위치되는데, 도어의 닫힘방향으로의 전방 베인(도면에서 우측베인)(6)은 베이스판(13)에 평행한 부분(6a)에 의해 링크(14, 15, 16)를 경유하여 도어 커플러의 베이스판에 연결되는 한편, 도어의 닫힘방향으로의 후방베인(5)은 베이스판에 평행한 부분(5a)에 의해 다른 링크(17, 18)를 경유하여 베이스판에 평행한 전방베인부분(6a)에 연결된다. 나사 또는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도어커플러(12)는 프레임(13)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도어의 지지판(20)에 부착된다. 적절한 고정요소(21)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도어의 도어패널상에 도어커플러를 장착하는 것은 또한 가능하며, 이 경우에 도어커플러(12)의 프레임(13), 지지판(20) 및 엘리베이터 칸도어는 어떤 별개의 보강재료 없이 적절한 강성 구조물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베인은 제1링크(14, 15, 16)에 의해 프레임(13)상에 현서되어 있다. 각각의 링크의 제1끝은 조인트(14a, 15a, 16a)를 경유하여 프레임(13)상에 피벗운동되고 각각의 링크의 제2끝은 조인트(14b, 15b, 16b)를 경유하여 프레임에 평행한 전방베인(6)의 부문(6a)상에 피벗운동된다. 각각의 제1링크에서, 제1피벗부(14a, 15a, 16a)와 제2피벗부(14b, 15b, 16b)사이의 거리는 같다.
제1링크(14, 15, 16)는 도어 커플러 베인(5, 6) 사이의 간격이 개방 또는 폐쇄될 때 전방베인이 프레임(13)과 연관하여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동안 서로에 평행하게 유지된다. 그러므로, 승강도어상에 롤러(8)와 맞물림하고 있는 전방베인의 부분(6b)은 수직위치에 항상 유지된다.
후방베인(5)은 제2링크(17, 18)에 의해 전방베인(6)상에 현수된다. 각각의 링크의 제1끝은 조인트(17a, 18a)를 경유하여 전방베인(6)에 피벗지지되어 있고 유사하게 제2끝은 조인트(17b, 18b)를 경유하여 도어커플러의 프레임에 평행한 후방베인(5)의 부분(5a)에 피벗지지되어 있다. 각각의 제2링크(17, 18)에서, 제1피벗부(17a, 18a)와 제2피벗부(17b, 18b)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다. 제2링크들은 도어 커플러 베인(5, 6)사이의 간격이 개방 또는 폐쇄될 때 후방베인이 전방베인에 연관하여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동안 서로에 평행하게 유지된다. 그러므로, 승강도어상에서 롤러(7)와 맞물림하는 후방베인의 부분(5b)은 수직위치에 항상 유지되어 있다. 후방베인(5)은 레버(23)가 제2끝에서 제2피벗부(23b)를 경유하여 연결되어 있는 돌기(22)로 구비된다. 레버(23)의 제1끝에는 피벗부(23a)가 았는데, 이것에 의해 레버는 로커아암(24)의 제2끝(24b)에 연결된다. 레버(23)는 로커아암(24)의 운동을 돌기(22)를 경유하여 후방베인에 전달한다. 로커아암의 제1끝(24a)상에서 베어링으로 장착된 것은 롤러(25)이다. 제1끝(24a)과 제2끝(24b) 사이에서 로커아암(24)은 베이스판(13)에 부착되어 있거나 이 베이스판과 연관하여 이동가능하지 않게 장착되어 있는 피벗부(26)에 의해 지지된다. 도어 커플러(12)가 엘리베이터 칸도어와 함께 이동함에 따라, 롤러(25)는 엘리베이터 칸도어가 현수되어 있는 오버헤드 지지비임에 제공된 롤러상의 안내트랙(27)을 따른다. 엘리베이터 칸도어의 닫힘이동의 최종 단계에 상응하는 부분에서, 안내트랙(27)은 상향 곡면부를 갖춘 만곡부(28)를 가진다. 도면에서, 도어의 닫힘이동방향은 안내트랙(27) 밑에 화살표로 나타내어져 있다. 롤러(25)가 어떤 이유, 예를들면 오기능으로 인해서, 상부 만곡부(28)를 따르지 않은 경우에, 오버헤드 비임은 하부만곡부(29)로 또한 구비되어 있어, 이 경우에 폐쇄이동 끝에서 롤러(25)와 만나 이 롤러를 위로 가압하여 로커아암(24)의 이동을 야기한다.
차단레버(30)에 의해 도어 커플러 베인(5, 6) 사이의 간격은 개폐이동시 베인(5, 6) 사이의 승강도어롤러(7, 8)에 대하여 폐쇄된 채로 유지되어 있다. 차단레버(30)는 조인트(31)에 의해 전방베인(6)상에 피벗지지되어 있다. 이 베인들이 그들의 폐쇄위치에 있을 때, 차단레버(30)는 발톱부(32)로 멈춤블록(33)상에 단단히 유지되어 있다. 멈춤블록(33)은 후방베인(5)의 개방이동을 제한하는데 또한 이용된다. 베인(5)이 그 최종개방위치에 있을 때, 멈춤블록(33)은 후방베인의 개방이동을 제한하는 멈춤버퍼(34)에 대하여 놓여져 있다. 베인(5)의 폐쇄이동은 후방베인(5)의 폐쇄이동을 제한하는 멈춤버퍼(39)에 의해 제한받아, 링크(18)가 후방베인의 폐쇄이동의 끝에서 상기 멈춤버퍼(39)와 만난다. 도어가 그 폐쇄위치에 도달하면, 전방베인(6)의 이동은 베이스판상에 장착된 스톱퍼(35)에 의해 정지되어, 스톱퍼(35)가 차단레버에 부착된 버퍼(36)와 만난다.그 다음 차단레버(30)는 회전하여 차단레버의 발톱부(32)가 멈춤블록(33)을 해제시키고 스프링(37)이 후방베인(5)을 그 개방위치로 당긴다. 이 스프링(37)은 제1 끝에 의해 차단레버의 제3아암에 부착되고 제2 끝에 의해 후방베인(5)에 부착된다. 발톱부(32)는 차단레버의 제2아암상에 장착되고 버퍼(36)는 차단레버의 제1아암상에 장착된다. 도어의 개방위치에서, 스프링은 발톱부가 멈춤블록(33)과 맞물림할 수 있는 위치에 차단레버(30)를 유지시킨다. 멈춤블록(33)이 맞물림되는 차단레버(30)의 위치는 시계방향으로의 작동시 극단위치에 있다. 스톱퍼(35)는 차단레버를 다른 또는 대향극단위치로 다시 가압한다. 도어의 닫힘이동의 끝에서 후방베인(5)을 개방위치로 당기고 도어의 열림시 멈춤블록(33)상의 발톱부(32)의 파지상태를 유지하는 것 이외에, 스프링(37)은 도어가 닫힘될 때 도어의 일정 힘을 또한 적용하여 도어를 그 닫힘위치에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스프링(37)의 한끝이 후방베인(5)에 부착되고 다른 한끝이 차단레버(30)에 부착되어, 멈춤블록(33)이 맞물림되는 위치쪽으로 차단레버를 당기고 또한 베인(5)을 그 개방 위치쪽으로 당긴다. 제6도에서, 전방베인(6)의 일부분은 작용스프링(38)의 제1끝을 도시하기 위해 절결되어 있다. 작용스프링(38)의 제1끝은 베이스판(13)에 부착되어 있고 제2끝은 전방베인(6)에 부착되어 있다. 스프링은 도어의 닫힘방향으로 전방베인을 당긴다. 작용스프링(38)의 작용에 의해, 도어 커플러 베인(5, 6)은 도어의 닫힘방향으로 도어 커플러 프레임(13)에 관하여 이동되는 한편, 이와 동시에 만곡부(28)에 대항하여 가압된 롤러(25)는 만곡부를 따라 상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도어 커플러는 승강도어에 부착된 롤러(7, 8)를 이동시켜 승강도어 자체가 엘리베이터 칸도어와 연관하여 닫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도어 커플러 베인(5, 6)은 승강도어가 폐쇄된 후 단지 개방된다. 만곡부(28)에 의해 안내되는 베인(5, 6)은 차단레버가 멈춤블록(33)상의 파지상태를 해제하여 베인을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스프링(37)의 텐션과 남아 있는 거리(ℓ)를 이용하여, 전체 엘리베이터 칸도어는 베인의 개방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최종닫힘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여전히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베인이 롤러를 해제하도록 개방된다. 베인을 개방하는데 적절한 거리는 비교적 긴, 20mm 또는 그 이상으로 길기 때문에 베인은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되어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승강도어상의 롤러와 도어 커플러 베인 사이의 종래의 도어 커플러에서 보다 2 내지 3배의 간격이 쉽게 성취될 수 있다.
제9도는 베이스판(113) 및 서로에 대한 베인(5, 6)의 이동이 안내트랙(127)을 따르는 롤러(125)에 의해 제어되는 도어 커플러(112)를 도시하고 있다. 도어의 닫힘 이동의 최종단계에 상응하는 부분에서 안내트랙이 하향곡면부가 있는 만곡부를 가진다. 이 안내트랙은 엘리베이터 칸도어의 오버헤드 지지비임에 또는 엘리베이터 칸도어 위의 다른 적절한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안내트랙은 엘리베이터 칸에 연관하여 이동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롤러(125)는 안내트랙(127)의 상면을 구른다. 만곡부에 의해 야기된 롤러(125)의 수직운동은 베인(5, 6)을 작용시키도록 링크부재(124)를 경유하여 전달된다.
제10도에 도시된 도어 커플러(212)에서, 엘리베이터 칸도어에 앞서 승강도어를 전진시키는데 필요되는 베인의 제어는 엘리베이터 칸도어의 오버헤드 지지비임에 있는 만곡부와 다른 해결안으로 이용하여 수행된다. 대응물(251), 바람직하게는 롤러는 엘리베이터 칸도어와 연관하여,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도어의 오버헤드 지지비임상에 이동불가능하게 장착된다. 도어 커플러는 베인(5, 6)에 연결되고 프레임(213)상에 지점을 링크부재(224)로 구성된다. 이 링크부재는 도어가 닫힘에 따라 대응물(251)에 대항하여 가압될 때 링크부재(224)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커플링부분(250)을 포함한다. 링크부재를 경유하여 그리고 도어이동의 작용에 의해 대응물에 대항하여 가압도는 커풀링 부분은 베인(5, 6)을 먼저 도어의 닫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다음 개방한다. 링크부재(224)에 연결된 것은 복귀스프링(252)인데, 이 스프링은 대응물(251)에 대항하여 가압되는 커플링부분(250)에 의해 링크부재에서 발생된 변화에 저항하여 링크부재를 그 변화전에 작용하였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경향이 있다.
상기된 도어 커플러 해결안들중, 만곡부를 채용한 것들은 제10도의 도어커플러 보다 더 신뢰성 있고 소음이 적다. 만곡부를 채용한 도어커플러 해결안들중, 만곡부 아래를 구르는 롤러 또는 다른 종동자를 이용한 것은 만곡부위를 구르는 롤러 또는 다른 종동자를 이용하는 것보다 좋으며, 그 이유는 전자의 경우에는 안내트랙상에 축적된 먼지가 도어 커플러 이동의 제어에 영향을 주지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제4도 내지 제8도에 의해 예시된 도어 커플러에 의해 성취된 대부분의 기능적 특징과 장점은 제9도 및 제10도에 있는 도어 커플러가 상이한 기계적 구조를 갖고 있지만 이 도어 커플러 경우에도 또한 적용가능하다.
제11도는 엘리베이터 칸도어의 도어패널(1, 2)이 엘리베이터 칸도어 지지판(20)을 이용하여 현수되어 오버헤드 지지비임(44)을 갖춘 엘리베이터 칸(55)을 예시하고 있다. 단지 베인(5, 6)과 외형이 도시되어 있는 도어 커플러(12)는 좌측도어패널의 제2지지판상에 장착된다. 이 도면은 도어작동기구와 그리고 이 작동력을 도어에 전달하는 장비를 도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상기된 예에 제한 받지않고 아래에 제시된 청구의 범위의 범주내에서 가변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당연한 것이다. 예를들면, 도어 커플러는 지지판상이 아닌 엘리베이터 칸도어상의 어떤 다른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발명적인 관점에서, 도어에 구성되어 있는 도어 패널의 수는 중요하지도 않고 또한 도어가 측개방 또는 중앙개방 타입인지의 여부도 중요하지 않다. 도어가 열릴 때 그리고 도어가 닫혀질 때 도어 커플러와 도어의 상기된 기능들이 반대방향으로 발생한다는 것은 당해분야 사람들에게는 또한 당연한 것이다.

Claims (11)

  1. 엘리베이터 승강도어(3, 4)를 닫는 방법으로서, 승강도어가 도어커플러(12, 112, 212)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도어(1, 2)와 커플링되고 엘리베이터 칸도어가 엘리베이터 칸(55)과 연관하여 장착된 구동기어에 의해 이동되는 방법에 있어서, 닫힘이동의 초기단계시, 엘리베이터 칸도어와 승강도어는 동일속도에서 이동되고, 그리고 닫힘이동의 최종단계에서, 승강도어(3, 4)는 엘리베이터 칸도어(1, 2)보다 적어도 일시적으로 신속하게 이동하도록 야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닫힘이동의 초기단계시, 엘리베이터 칸도어(1, 2)와 승강도어(3, 4)는 나란하게 이동되고, 그리고 닫힘이동의 최종단계에서, 승강도어는 엘리베이터 칸도어에 앞서 이동하도록 야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승강도어(3, 4)와 엘리베이터 칸도어(1, 2) 양자는 엘리베이터 칸도어상에만 작용하는 구동기어에 의해 발생되는 작동력을 이용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승강도어(3, 4)는 엘리베이터 칸도어와 연관하여 도어커플러(12, 112, 212)에 구성되어 있는 파지요소(5, 6)를 이동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 칸도어(1, 2)에 앞서 이동되고, 이 파지요소의 상기 이동이 엘리베이터 칸도어(1, 2)의 위치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엘리베이터가 승강위치에서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 승강도어에 부착된 대응물(7, 8)을 맞물림하도록 설계된 파지요소(5, 6)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 칸도어에 연결된 도어 커플러(12, 112, 212)에 있어서, 파지요소(5, 6)를 엘리베이터 칸도어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도어커플러(12, 112, 212)는 엘리베이터 칸도어의 이동으로부터 제어력을 전달하는 요소(25, 125, 250)와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도어의 이동에 의해 발생된 제어력에 의해 작용되는 전달기구(23, 24, 124, 224)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커플러.
  6. 제5항에 있어서, 제어력을 전달하는 요소(25, 125, 250)는 전달기구(23, 24, 124, 224)의 일부분으로서, 오버헤드 지지비임에 구성되어 있는 대응요소(27, 127, 251)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커플러.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도어 커플러는 승강도어가 이동될 때 파지요소(5, 6)가 승강도어상의 롤러(7, 8)와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계된 차단장치(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커플러.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제어력을 전달하는 요소는 엘리베이터 칸도어의 닫힘이동의 최종단계에 상응하는 부분에서 만곡부를 가진 안내트랙(27, 127)을 따르는 롤러(25, 1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커플러.
  9. 제8항에 있어서, 제어력을 전달하는 요소(25)는 안내트랙(27)의 하면을 따르도록 끼워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커플러.
  1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제어력을 전달하는 요소는 파지요소상에 작용하는 링크부재(224)에서의 지레작용을 발생시키는 커플링부분(250)이고, 상기 커플링부분(250)은 롤러로 이루어지고 엘리베이터 칸과 연관하여 이동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대응물(251)과, 엘리베이터 칸도어의 닫힘이동의 최종단계에서, 끼워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커플러.
  11.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제어력을 전달하는 요소는 파지요소상에 작용하는 링크부재(224)에서의 지레작용을 발생시키는 커플링부분(250)이고, 상기 커플링부분(250)은 롤러로 이루어지고 엘리베이터 칸과 연관하여 엘리베이터 칸도어의 오버헤드 지지비임상에 이동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대응물(251)과, 엘리베이터 칸도어의 닫힘이동의 최종단계에서, 끼워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커플러.
KR1019960039235A 1995-09-13 1996-09-11 엘리베이터 승강도어를 닫는 방법 및 도어 커플러 KR1002924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54305A FI100517B (fi) 1995-09-13 1995-09-13 Menetelmä hissin tasonoven sulkemisessa ja mukaanottaja
FIFI954305 1995-09-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441A KR970015441A (ko) 1997-04-28
KR100292437B1 true KR100292437B1 (ko) 2001-06-01

Family

ID=8544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235A KR100292437B1 (ko) 1995-09-13 1996-09-11 엘리베이터 승강도어를 닫는 방법 및 도어 커플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5950766A (ko)
EP (1) EP0763496B1 (ko)
JP (1) JP3091836B2 (ko)
KR (1) KR100292437B1 (ko)
CN (1) CN1116218C (ko)
AU (1) AU718671B2 (ko)
DE (1) DE69618884T2 (ko)
ES (1) ES2169186T3 (ko)
FI (1) FI1005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9656U (ko) * 1990-01-31 1991-10-18
FI101784B (fi) * 1995-09-13 1998-08-31 Kone Corp Menetelmä hissin tasonoven liikuttamiseksi ja mukaanottaja
KR100336346B1 (ko) * 1999-07-29 2002-05-13 장병우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US6508332B2 (en) * 2000-11-15 2003-01-21 Fujitec America, Inc. Elevator car door locking and unlocking mechanism
FI113260B (fi) * 2001-03-02 2004-03-31 Kone Corp Mukaanottaja ja lukituslaite
US6446759B1 (en) * 2001-06-08 2002-09-10 Otis Elevator Company Door coupler and latch system for elevator car and landing doors
US6739431B1 (en) * 2003-03-13 2004-05-25 Jiun Jyh Wang Elevator escape device
ZA200406978B (en) * 2003-09-17 2005-06-20 Inventio Ag Device for connecting a cage door with a shaft door and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s, a device for emergency unlocking of a cage door and a method for emergency unlocking of a cage door.
JP4544887B2 (ja) * 2004-03-26 2010-09-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ITMI20042249A1 (it) * 2004-11-19 2005-02-19 Sematic Italia Spa Scivolo attivo per porte di cabina di ascensori
JP2006290566A (ja) * 2005-04-12 2006-10-2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CN102414113B (zh) * 2009-04-28 2014-06-1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门装置
KR101173360B1 (ko) 2010-05-11 2012-08-10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닫힘방지장치
EP2571802A4 (en) * 2010-05-17 2017-12-2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coupler assembly
JP5804695B2 (ja) * 2010-11-30 2015-11-0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振動抑制装置
CN103415668B (zh) * 2011-03-10 2016-05-11 纳博特斯克有限公司 塞拉门装置
EP2971427A4 (en) * 2013-03-15 2016-10-12 Veritas Medical Solutions Llc SLIDING DOOR WITH WOUND FRONT ANCHOR
CN103723605B (zh) * 2013-09-23 2015-08-26 西子奥的斯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集成轿门锁的异步门刀
JP6308614B2 (ja) * 2014-01-17 2018-04-11 パナソニック ホームエレベーター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ドア開閉装置
KR200477026Y1 (ko) * 2014-02-03 2015-05-04 박종현 친환경 괄사 도구
CN104743429B (zh) * 2014-11-27 2016-09-21 西子奥的斯电梯有限公司 一种层门门锁装置
CN104787651B (zh) * 2015-02-13 2016-06-22 西子奥的斯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同步门刀
US10882720B2 (en) * 2015-08-04 2021-01-0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door interlock
WO2017023928A1 (en) 2015-08-04 2017-02-09 Otis Elevator Company Car door interlock with sill lock
CN109720972B (zh) * 2017-10-27 2020-05-01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轿厢门机装置
EP3560872A1 (en) 2018-04-26 2019-10-30 KONE Corporation Method for electrical power transfer in an elevator and an elevator
CN108706415A (zh) * 2018-06-12 2018-10-26 芜湖市晨曦新型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轿顶检修安全保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6440A (en) * 1919-05-26 1919-12-30 Eugene Chaudoir Apparatus for operating and interlocking the landing and cage gates of elevators.
US2458702A (en) * 1947-02-14 1949-01-11 Elevator Supplies Co Inc Elevator hatchway door operator
GB1238806A (ko) * 1969-07-04 1971-07-14
FR2053622A5 (ko) * 1969-07-11 1971-04-16 Dellerba Olivier
US3605952A (en) * 1969-09-30 1971-09-20 Otis Elevator Co Door coupling apparatus for elevator systems
SU548532A1 (ru) * 1975-10-13 1977-02-28 Центральное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По Лифтам Всесоюзного Объединения "Союзлифтмаш" Министерства Строительного, Дорожного И Коммуналь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Ссср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открывани и закрывани дверей кабины и шахты лифта
US4410067A (en) * 1981-09-30 1983-10-1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operator
IT1204176B (it) * 1986-02-07 1989-03-01 Selcom Spa Dispositivo per il comando della apertura e della chiusura di porte ad ante scorrevoli per ascensori
JPH0266093A (ja) * 1988-08-30 1990-03-06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係合装置
US5005673A (en) * 1989-09-27 1991-04-09 Otis Elevator Company Coordinated elevator car door-hall door movement
JPH03186589A (ja) * 1989-12-16 1991-08-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扉の制御装置
FI85845C (fi) * 1990-03-21 1992-06-10 Kone Oy Anordning foer oeppnande av hissdoerrar.
US5105916A (en) * 1990-10-31 1992-04-2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coupling device
DK0513509T3 (da) * 1991-05-14 1996-03-18 Inventio Ag Elevator
JPH0578067A (ja) * 1991-09-19 1993-03-30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ドア装置
JPH05338971A (ja) * 1992-06-11 1993-12-21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扉の制御装置
US5435415A (en) * 1994-04-06 1995-07-25 Otis Elevator Company Cammed wedge elevator car door coupling
JP3260055B2 (ja) * 1995-03-10 2002-02-25 東芝アイティー・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エレベータ出入口戸の開閉装置
US5918706A (en) * 1997-11-24 1999-07-06 Otis Elevator Company Hold closed feature for elevator car do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441A (ko) 1997-04-28
EP0763496A1 (en) 1997-03-19
CN1116218C (zh) 2003-07-30
FI100517B (fi) 1997-12-31
EP0763496B1 (en) 2002-01-30
JPH09110346A (ja) 1997-04-28
CN1154339A (zh) 1997-07-16
FI954305A0 (fi) 1995-09-13
DE69618884T2 (de) 2002-08-22
AU6555296A (en) 1997-03-20
AU718671B2 (en) 2000-04-20
FI954305A (fi) 1997-03-14
ES2169186T3 (es) 2002-07-01
JP3091836B2 (ja) 2000-09-25
US5950766A (en) 1999-09-14
US6164417A (en) 2000-12-26
DE69618884D1 (de) 200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2437B1 (ko) 엘리베이터 승강도어를 닫는 방법 및 도어 커플러
US4947964A (en) Door drive apparatus with locking mechanism for elevators
CA2161582C (en) Apparatus for locking the door of an elevator car and procedure for locking and unlocking a car door
US5651428A (en) Stationary actuator moving vane elevator car door coupling
US5538106A (en) Rotationally stiff elevator car door coupling
CN1076005C (zh) 自动电梯门的开闭装置和门联接器
WO2002072374A1 (en) Drive mechanism for power operated slideable side door
EP0850189B1 (en) Procedure for moving the landing door of an elevator, and a door coupler
CN109720972B (zh) 电梯轿厢门机装置
JPH08143252A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AU725589B2 (en) Procedure for closing an elevator landing door
KR100428401B1 (ko) 도어커플러와잠금장치
EP0484170B1 (en) Door coupling device
JP3778147B2 (ja) 建設機械の前窓ロック装置
KR20030005729A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잠금장치
US3910384A (en) Power operator for elevator shaft doors
JPH0872536A (ja) 建設機械のためのフロントウインド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