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7583B1 - 유약세포측정용 시약 - Google Patents

유약세포측정용 시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7583B1
KR100287583B1 KR1019940005602A KR19940005602A KR100287583B1 KR 100287583 B1 KR100287583 B1 KR 100287583B1 KR 1019940005602 A KR1019940005602 A KR 1019940005602A KR 19940005602 A KR19940005602 A KR 19940005602A KR 100287583 B1 KR100287583 B1 KR 100287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acid
reagent
cells
glaz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5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088A (ko
Inventor
쓰지노유끼오
모리가와다까시
하마구찌유끼오
Original Assignee
이에츠구 히사시
시스멕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츠구 히사시, 시스멕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에츠구 히사시
Publication of KR940022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9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blood cell popu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031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by measuring electrical or magnetic effects
    • G01N15/12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by measuring electrical or magnetic effects by observing changes in resistance or impedance across apertures when traversed by individual particles, e.g. by using the Coulter princip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15/1456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without spatial resolution of the texture or inner structure of the particle, e.g. processing of pulse signals
    • G01N15/1459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without spatial resolution of the texture or inner structure of the particle, e.g. processing of pulse signals the analysis being performed on a sample strea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2015/1006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for cytolog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2015/1402Data analysis by thresholding or gating operations performed on the acquired signals or stored dat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S436/825Pretreatment for removal of interfering factors from samp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25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including sample preparation
    • Y10T436/25125Digestion or removing interfering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25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including sample preparation
    • Y10T436/2525Stabilizing or preserv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E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혈액등의 액체시료중에 포함되는 유약한 세포를 분류계수하기 위한 시약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하기하는 (1)로부터 (4)를 함유하는 유약백혈구를 함유하는 피검사시료와 혼합시키므로서 유약백혈구의 각군을 다른 세포군으로부터 판별가능한 정도로 까지 차이가 생기게 하는 유약세포측정용시약이다.
(1) 혈구의 세포질 및 세포막을 고정화 시키기 위한 폴리옥시에틸렌계 비이온계면활성제
(2) 혈구의 세포막에 손상을 주어 축소화하기위한 가용화제
(3) 혈구의 세포질 및 세포막을 고정화 하기 위한 아미노산 및
(4) 액의 PH를 5.0-9.0침투압력을 150-600mOsm/kg 전기전도도를 6.0-9.0ms/cm로 하는 완충액.

Description

유약세포 측정용시약
제1도는 혈액시료를 본 발명의 시약을 사용해서 측정한 때의 DC신호강도와 RF신호강도를 축으로하는 2차원 산포도의 모식도의 1예, 제2도는 만성골수성 백혈병환자로부터 채취된 말초혈액을 본 발명의 시약을 사용해서 측정한 때의 DC신호강도와 RF신호강도를 축으로하는 2차원산포도, 제3도는 임파선계의 유약구가 출현한 환자로부터 채취된 말초혈액을 본발명의 시약을 사용해서 측정한 때의 DC신호강도와 RF신호강도를 축으로하는 2차원 산포도.
제4도는 정상인으로부터 채취된 말초혈액을 본 발명의 시약을 사용해서 측정한 때의 DC신호강도와 RF신호강도를 축으로하는 2차원 산포도.
제5도는 급성임파성 백혈병환자로부터 채취된 말초혈액을 본 발명의 시약을 사용해서 측정한 때의 DC신호강도와 RF신호강도를 축으로하는 2차원 산포도.
제6도는 급성골수성 백혈병환자로 부터 채취된 말초혈액을 본발명의 시약을 사용해서 측정한 때의 DC신호강도와 RF신호강도를 축으로하는 2차원 산포도.
본 발명은 혈액등의 액체시료중에 포함되는 유약한 세포를 분류 계수하기위한 시약에 관한 것이다.
정상인의 말초혈액중에는 각종혈구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포함되어 있다.
본래 혈구세포는 골수로 만들어지고 미숙한 세포로부터 분화하여 성숙과 동시에 혈류증으로 이동한다. 예를들면 과립구 (호증구, 호산구, 호염기구)의 경우 각각 (골수아구→전골수구→골수구→후골수구)→(간상핵구→분엽핵구)와 같이 유약한 혈구로부터 성숙한 혈구로 분화해간다.
정상인의 경우 후골수구이전의 유약한 백혈구가 말초혈액중에 출현하는 일은 없고, 간상핵구도 적다.
그러나, 특수한 경우 예를들면 백혈병등의 혈액질환, 암의 골수이전, 중증의 감염증등에 있어서는 유약한 백혈구가 출현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이 유약한 백혈구를 측정하는 것은 질병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극히 중요하고 또한 의의가 있는 것이다.
혈구의 자동분류 계수를 행하는 기술로서는 혈구상을 촬상해서 그 화상을 화상처리하는 것에 의해 행하는 것이나, 혈구를 액체중에 흘려서 개개의 혈구로부터 얻어진 신호를 신호처리해서 행하는 것이 있다.
현상태에서는 정밀도 비용등 많은 점에서 플로우시스템에 의하는 편이 우수하다.
플로우시스템에서는 혈구를 액체중에 흘려서 혈구 개개에 신호 (예를들면 광학적특성의 차이에 기초한 신호나 전기적 특성의 차이에 기초한 신호)를 검출한다.
산란광이나 형광을 검출하는 플로우시스템사이트미터나 미세공에 전류를 흘려두고 혈구가 그 미세공을 통과하는 때에 발생시키는 전기신호를 검출하는 혈구계수장치가 각각의 1예이다.
후자는 다시 또 직류전류를 공급하여 혈구의 전기저항의 차이에 기초한 신호를 검출하는 DC법과 수MHZ의 고주파전류를 공급하여 혈구의 유전률의 차이에 기초한 신호를 검출하는 RF법으로 분류된다.
DC법에서는 입자의 체적과 비례하는 크기의 신호가 검출되고, RF법에서는 입자의 내부구조 (핵의크기)구성물질의 정보를 반영한 신호가 검출된다.
예를들면 ① W088/09504호공보, ② 일본국특개평 3-252556호 공보에는 DC법과 RF법과를 조합해서 백혈구의 5분류 및 이상혈구를 분류계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① 에는 폴리옥시에틸렌계 비이온계면활성제 또는 폴리옥시에틸렌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해서 정상 (성숙) 백혈구의 5분류 (임파구, 단구,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및 이상세포를 분류계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18도에는 임파아구 (n), 골수아구 (1), 기타미성숙과립구 (k), 좌측이동 (j)의 분포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좌측 이동이란 분엽이 적은 호중구 (간상핵호중구)가 증가한 것을 말하는 것이지만 여기서는 간상핵 호중구를 말하는 것이다.
② 에는 저침투압력 산성의 조건하에서 폴리옥시에틸렌계비이온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백혈구의 5분류및 기타의 이상혈구 [제 5도에는 백혈구병세포등의 이상세포 (e)의 분포가 표시되어 있다]를 분류계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혈구의 희석액이나 보존액도 각종 공지의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아미노산을 함유한 액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것은 아미노산을 세포막 외벽에 흡착시켜 세포의 형태를 유지 (세포보호)하기 위해 사용 되는 것이다.
상기한 ①② 의 기술은 유약혈구의 분류나 계수를 행하고 있는 것이지만 성숙백혈구의 5분류를 제 1의 목적으로 하고 있고 그에 부수된 형태로 유약혈구의 분류나 계수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분류되지 않는 유약 혈구가 있거나 또 그 분류정밀도에 대해서도 불충분한 것이 었다.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계의 비이온계면활성제만으로는 성숙백혈구 와 유약혈구와의 판별이 불충분하고 (성숙백혈구의 수축이 적다)적혈구의 용혈이 불충분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유약세표의 분류계수를 주안으로하고 그 분류 계수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시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하는 (1)로부터 (4)를 함유하는 유약백혈구를 함유하는 피검사시료와 혼합하므로서 유약백혈구의 각군을 다른 세포군으로부터 판별가능한 정도까지 차이를 생기게 하는 유약세포측정용시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1) 혈구의 세포질 및 세포막을 고정화하기위한 다음식으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에틸렌계비이온 계면 활성제
R1-R2-(CH2CH2O)m-H
[식중 R1은 탄소수 10-25의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기 : R2는또는 COO; n은 10-40의 정수를 나타낸다]
(2) 혈구의 세포막에 손상을 주어 축소화하기위한 가용화제로서 다음의 2개의 그룹으로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가용화제 ;
(a) 제 1의 군의 가용화제
· N - 라우로일사르코신산나트륨
· 라우로일 메틸 β - 알라닌나트륨
· 라우로일 사르코신
(b) 제 2군의 가용화제
· N - 옥틸β - 글루코시드
· CHAPS (3- [(3-클로르아미드프로필) 디메틸암모니오] - 1 - 프로판술포네이트)
· CHAPSO (3- [(3-클로르아미드프로필) 디메틸암모니오] - 2 - 히드락시 - 1 - 프로판술포네이트.
· MEGA 8 (옥타노일 - N - 메틸글루카미드)
· MEGA 9 (노나노일 - N - 메틸글구카미드)
· MEGA 10 (데카노일 - N - 메틸글루카미드)
· 슈크로오스모노카프레이트
· N - 포르밀메틸로이시루알라닌
(3) 혈구의 세포질 및 세포막을 고정화 시키기 위한 아미노산 및
(4) 액의 PH를 5.0-9.0침투압력을 150-600 m o sm/kg 전기전도도를 6.0-9.0ms/cm로한 완충액에 의해 달성된다.
본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옥시에틸렌계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상기한 식으로 나타낸 것을 사용 할 수가 있으나 부가몰수 n이 10-30 R1이 탄소수 10-20의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기, R2가 0의 것이 아주 적당하다.
이 둘 계면활성제는 적혈구에 대한 용혈력과 백혈구세포의 고정화라고 하는 2가지의 특성을 균형이 양호하게 함께 갖는 것이다.
특히 C18H34O (CH2CH2O)16H, C18H34O (CH2CH2O)15H가 적당하다.
가용화제에 대해서는 N-라우로일 사르코신산나트륨이 특히 적당하지만 이이외에도 상기의 것이 사용된다.
농도에 대해서는 개별적으로 설명하지 않지만 적혈구 용혈 및 나핵화 성숙 백혈구를 효과적으로 수축시킬 수 있는 농도로 조정해서 사용하면 된다.
아미노산에 대해서는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이면 무엇이나 사용할 수 가 있다.
단백질 구성 아미노산을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성아미노산, 산성아미노산, 염기성 아미노산으로 크게 분류된다.
산성아미노산인 글루타민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50g/1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아주적당하게는 8-12g/1 예를 들면 10.0g/1) 중성아미노산의 지방족아미노산인 발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50g/1의 농도로 사용된다.
(아주 적당하게는 8-12g/1, 예를들면 10.0g/1)유약세포의 고정 유약백혈구의 분류하고 하는 점에서 특히 적당한 것으로는 유황함유아미노산이며 메티오닌이 특히 적당했다. (제 1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미노산〉 중성아미노산〉 지방족아미노산〉 유황함유아미노산〉 메티오닌과같이 세분류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완충액으로서는 HEPES 인산완충액등의 각종완충액을 사용할 수 있으나 여기에 PH조정제로서의 수산화나트륨 침투압력조정제로서의 식염등을 첨가해서 완충액의 PH를 5.0-9.0 침투압력을 150-600 m O sm/kg 전기전도도를 6.0-9.0 ms/cm로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해서 조제되는 본발명의 시약을 유약백혈구를 함유하는 피검사시료(구체적으로는 혈액)과 혼합하므로서 유약백혈구의 각군을 다른세포군으로부터 판별가능한 정도까지 차이가 생기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시약의 작용을 고려한데에서 중요한 점은 다음과 같다.
(1)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옥시에틸렌계 비이온계면활성제를 사용하면 유약백혈구 쪽이 성숙 백혈구보다도 세포막의 손상을 받기 어렵다.
(2)아미노산 및 폴리옥시에틸렌계 바이온계면활성제가 세포막의 손상개소로부터 유약백혈구의 세포내에 침입하여 세포내성분및 세포막을 고정화한다.
일반적으로 폴리옥시에틸렌계 비이온계면활성제는 부가몰수 n이 적은것일수록 강한 용혈력을 갖고 n이 큰것일수록 용혈력이 약해지는 것은 알려져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해 n이 10 이상인것은 세포를 안정화시키는 작용을 갖는 것이 판명되었다.
일반적으로는 세포막의 강도 (저항력)는 성숙백혈구〉유약백혈구〉적혈구의 순이라고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약을 사용한 경우에는 이외에도 유약백혈구〉성숙백혈구〉적혈구의 순이 된다.
즉 유약백혈구쪽이 성숙백혈구 보다도 손상의 정도가 적다.
본 발명의 시약과 혈액이 혼합되면 다음과 같은 작용이 생긴다.
PH 5.0-8.0하에서 본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옥시에틸렌계 비이온계면활성제를 사용하면 각세포모두 손상을 받지만 그 정도에 차이가 나온다.
즉 적혈구의 세포막은 손상을 받고 적혈구는 즉시 용혈한다.
성숙 백혈구는 세포막에 손상을 받아서 세포내성분이 용출해 버리고 나핵화상태가 된다.
유약백혈구도 세포막에 손상을 받지만 세포내 성분이 용출해 버리기 전에 폴리옥시에틸렌계 비이온계면활성제 및 아미노산이 세포막의 손상개소로부터 세포내로 침입하여세포막 및 세포내성분을 고정화시킨다. 이것에 의해 세포막 세포질을 유지한 상태로 유약백혈구가 고정화 된다.
세포를 분류하기 위해서는 세포간에 판별가능한 정도의 차이를 생기게하여 그 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후에 고정화제를 첨가하여 고정화시키는 것이 종래에 행해 저 왔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54-22891호 (미국특허 4.099.917호)에는 고정화 제로서 포름알데히드를 사용하는것 일본국 특개소 61-502277호 (미국특허4.751.179호)에는 글루탈알데히드를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에 있어서의 고정화는 종래의 고정화와는 다르다. 종래의 고정화는 세포막에 대해 외부로 부터 작용시켜서 행하는 것이지만 본 출원의 고정화는 세포 내부에서 행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상태에서는 유약백혈구와 성숙백혈구 적혈구 잔해의 판별은 아직 불충분하다.
가용화제가 적혈구 잔해와 나핵화한 성숙백혈구를 수축시키므로서 각 유약백혈구를 성숙백혈구 적혈구잔해로부터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해서 형태상의 차이가 생긴 혈구를 각각 계측하므로서 유약 백혈구가 안정되어서 정밀도가 양호하게 분류 계수된다.
제 1도에 CD법 및 RF법에 의해 얻어지는 2차원 산포도의 모식도의 1예를 나타낸다.
(a),(b),(c),(d)는 각각 아구 [과립구계의 아구 (a1)및 임파구계의 아구 (a2)를 포함한다] 골수구와 후골수구, 전골수구, 간상핵호중구의 각군이다.
(e)는 적혈구 잔해 및 성숙백혈구의 군이다.
적혈구와 성숙백혈구는 유약백혈구와 완전히 판별가능한 정도로 수축화 해버리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우선 혈액과 아미노산 함유액과를 혼합하고 이어서 그 혼합액에 상기한 계면활성제를 첨가했다고하면 최종적으로는 조성의 점에서 본 발명의 시약을 사용한때와 동일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본 발명과 같은 작용 효과는 생기지 않는다.
양자의 사이에는 작용효과에 있어서 커다란 차이가 있다.
그것을 설명한다.
전자의 경우 아미노산이 세포막 외부에 작용하고 우선 세포의 형태를 유지한다. 거기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해도 이미아미노산에 의한 세포보호기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계면활성제는 충분히 기능하지 않는다.
즉 유약백혈구의 분류는 되지 않는 것이다.
유약백혈구의 판별을 충분히 살리기위해서는 아미노산에 의한 세포보호기능이 작용하기 전에 세초막을 손상시키고 더구나 손상과 동시에 세포내부에 아미노산을 침입시킬 필요가 있다.
또 세포막을 손상시킨후에 아미노산을 첨가해도 본 발명과 같은 작용효과는 생기지 않는다.
아미노산을 세포외부로부터가 아니고 내부에서 작용시키는 점이 중요하다.
이 때문에 아미노산과 상기한 계면활성제와는 같은액에 함유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또한, 본발명의 시약을 사용한 경우에는 전기임피이던스 검출 방식 (DC법, RF법)만이 아니고 광학식의 플로우시이트미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플로우사이트미터의 전방산란광 FSC와 측면산란광 SSC를 검출하여 전방산란광강도 FSC와 측면산란광 강도 SSC를 축으로하는 산포도를 얻으면 제 1도와 거의 같은 산포도가 얻어진다.
전방산란광은 입자의 외부정도 (크기)를 반영하고 측면 산란광은 내부정보 (핵의 크기나 복잡도)를 반영한다. 이것으로부터 DC신호강도 DC와 전방산란광강도 FSC, RF신호강도 RF와 측면산란광강도 SSC가 각각 대응하는것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시약의 아주 적당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Ⅰ]
시약조성
① 폴리옥시에틸렌계 비이온 계면 활성제
C18H34- O - (CH2CH2O)16- H 24.0g
② 가용화제
(음이온계면활성제)
N - 라우로일사르코신산나트륨 1.5g
③ 아미노산 (유황함유아미노산)
DL - 메티오닌 20.0g
④ 완충액
HEPES 12.0g
NaoH (IN) 0.3g
⑤ 침투압력조정제
Nacl 4.0g
⑥ 물
전체용적을 1000ml로 하는 양
상기한 조성의 시약을 사용해서 혈액을 256배로 희석시켰다. PH는 6.8이고 π(침투압력)은 350 m O sm/kg H2O이며 ρ (전기전도도)는 7.4ms/cm, 액온은 33℃이 조건하에서 13초 배양시킨후 6초간 RF/DC법으로 입자 개개를 계측했다.
제 2도, 제 3도, 제 4도는 얻어진 RF신호강도와 DC신호강도를 축으로하는 2차원 산포도의 1예이다. 각 도면은 다름 혈액검사체의 측정결과이다.
제 2도는 만성골수성백혈병환자 제 3도는 임파선계의 유약혈구가 출현한 환자 제 4도는 정상인으로 부터 각각 채취된 말초혈액의 측정결과이다.
제 2도의 검사체는 아구 (골수아구) 골수구, 후골수구, 전골수구 및 간상핵구를 많이 함유하는 것이었으나 이들은 아구 (골수아구)의 집단 (a1)골수구 및 후골수구의 집단 (b), 전골수구의 집단 (c), 간상핵구의 집단 (d)로서 분포했다.
또한 각 집단 (al),(b),(c),(d)가 각각 골수아구골수구 및 후골수구, 전골수구, 간상핵구의 집단인것은 혈액검사체로부터 각 세포를 분리채취한 시표를 측정하는것 및 시산법과의 상관시험에 의해 확인되었다. 또한 (e)는 적혈구잔해와 성숙백혈구의 집단이다.
어느것이나 충분히 수축되어 있고 유약세포의 분류에 지장을 가저오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3도의 검사체는 유약세포로서는 임파계의 유약혈구 (임파종양세포나 이형임파혈구)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었으나 이들은 (f)에 분포되었다. (f)가 임파계의 유약혈구인것은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e)는 적혈구잔해 및 성숙백혈구의 집단이다.
제 4도의 검사체는 정상인의 것이다.
약간의 간상핵구 (간상핵호증구)를 함유하고 있을 뿐으로 다른 유약한 세포는 함유되어 있지 않다.
간상핵구는 (d)에 분포되었다. 이것은 제 2도에 있어서의 영역과 같은 영역에 분포되었다.
제 5도, 제 6도는 각각 급성임파성 백혈병환자 급성골수성 백혈병환자의 측정 결과이다.
(a2)는 임파성의 아구, (a1)은 골수성의 아구의 집단을 나타낸다.
각 집단이 임파아구 골수아구인것은 세포 분류기를 사용하여 확인했다.
이와같이 유약백혈구를 성숙백혈구로 부터 판별 할 수 있고, 유약백혈구는 아구 골수구와 후골수구, 전골수구 간상핵구와 같이 분류할 수 있고, 다시 또 임파아구, 골수아구의 분류도 되었다. 그런데 상기한 실시예 1에서는 다음의 범위에서사용가능했다.
① C18H34O (CH2CH2O)16H 5-50g (20-28g)
② N-라우로일 사르코신산 나트륨 0.1-2.0g (1.2-2.0g)
③ DL-메티오닌 1-50g (16-24g)
④ PH 5.0-10.0 (6.0-8.0)
⑤ π 150-500 (250-380)
⑥ ρ 3.0-12.0 (6.0-9.0)
⑦ 희석배율 100-500 (200-300)
⑧ 액온 25.0-40.0 (30.0-34.0)
(주) : 괄호안은 보다 바람직한 범위를 나타낸다.
[실시예 Ⅱ]
실시예 Ⅰ의 아미노산 (유황함유아미노산) : 메티오닌대신에 산성아미노산인 글루타민산을 사용했다. 사용량은 10.0g (농도는 10.0g/1)로 했다.
기타는 같은 조건을 사용했다.
또한 글루타민산의 사용가능범위는 1-50g로서 아주적당하게는 8-12g였다.
[실시예 Ⅲ]
실시예 Ⅰ의 아미노산 (유황함유아미노산) : 메타오닌 대신에 분지사슬아미노산인 발린을 사용했다. 사용량은 10.0g (농도는 10.0g/1)기타는 같은 조건을 사용했다.
또한 발린의 사용가능범위는 1.0-50g으로서 아주 적당하게는 8-12g였다.
[실시예 Ⅳ]
실시예 Ⅰ의 폴리옥시에틸렌계 비이온계면활성제와 가용화제를 바꾸었다.
각각 C18H34- O - (CH2CH2O)15- H, 와 CHAPS를 사용했다.
C18H34- O - (CH2CH2O)15- H의 사용량은 5.0g (5.0g/1) CHAPS는 0.3g (0.3g/1)로 했다. 기타는 같은 조건을 사용했다. 사용가능범위는 C18H34- O - (CH2CH2O)15- H에 대해서는 1-9g (아주 적당하게는 3-7g) CHAPS에 대해서는 0.1-0.5g (아주 적당하게는 0.2-0.4g)였다.
또한 사용한 아미노산은 메티오닌이었다.
[실시예 Ⅴ]
실시예 Ⅰ의 폴리옥시에틸렌계 비이온계면활성제 가용화제 및 아미노산을 바꾸었다.
각각 C18H34- O - (CH2CH2O)15- H, MEGA 8, 및 발린을 사용했다. C18H34- O - (CH2CH2O)15- H의 사용량은 5.0g (5.0g/1) MEGA 8은 5.0g (5.0g/1)발린은 20.0g (20.0g/1)로 했다. 기타는 같은 조건을 사용했다.
사용가능범위는 C18H34- O -(CH2CH2O)15- H에 대해서는 1-9g (아주적당하게는 3-7g) MEGA 8에 대해서는 1-8g (아주적당하게는 (4-6g) 발린에 대해서는 1-50g(아주적당하게는 16-24g)였다.
이들 실시예 Ⅰ-Ⅴ까지의 실시예를 비교하면 각 유약백혈구집단의 출현영역은 동일했다.
분류결과 (계수치)의 정밀도는 실시예 Ⅰ이 가장 양호하고 Ⅱ, Ⅲ, Ⅳ및 Ⅴ의 순이였다.
실시예 Ⅰ-Ⅴ의 시약의 조성을 다음의 제 2표에 정리했다.
(주) 모든 실예에 대해
* 희석배율 100-500배 (200-300배)로
* 액온 25.0-40.0℃ (30-34.0℃)로 ← 는 실시예 Ⅰ과 같은 조건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해 유약 백혈구의 분류계수가 가능하게 되었다.
다시 또 유약백혈구를 세분화해서 분류계수하는 것이 가능해 졌다.
또 본 발명의 시약은 1액성이기 때문에 자동분석장치에의 사용에 적합하다.
또 전기 임피이던스검출형의 장치만이 아니고 광학식의 장치에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6)

  1. 하기하는 (1)로부터 (4)를 함유하는 유약백혈구를 함유하는 피검사시료와 혼합하므로서 유약백혈구의 각군을 다른 세포군으로부터 판별가능한 정도까지 차이가 생기게하는 유약세포측정용시약
    (1) 혈구의 세포질 및 세포막을 고정화 시키기위한 다음식으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에틸렌계의 비이온계면활성제 :
    R1-R2-(CH2CH2O)n-H
    [식중 R1은 탄소수 10-25의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기 : R2또는 COO : n은 10-40의 정수를 나타낸다.]
    (2) 혈구의 세포막에 손상을 주어 축소화하기 위한 가용화제로서 다음의 2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가용화제:
    (a) 제 1의군의 가용화제 :
    ·N - 라우로일사르코신산나트륨
    ·라우로일메틸 β - 알라닌나트륨
    ·라우로일사르코신
    (b) 제 2군의 가용화제 :
    ·n - 옥틸 β - 글루코시드
    ·CHAPS (3-[(3-클로르아미드프로필)디메틸 암모니오] - 1 - 프로판술포네이트
    ·CHAPSO (3 [(3-클로르아미드프로필)디메틸암모니오] - 2 - 히드락시 - 1 - 프로판술포네이트
    ·MEGA 8 (옥타노일 - N - 메틸글루카미드)
    ·MEGA 9 (노나노일 - N - 메틸글루카미드)
    ·MEGA 10 (데카노일 - N - 메틸글루카미드)
    ·슈크로오스모노카프레이트
    ·N - 포르밀메틸로이시루알라닌
    (3) 혈구의 세포질 및 세포막을 고정화 하기 위한 아미노산 및
    (4) 액의 PH를 5.0-9.0침투압력을 150-600m O sm/kg 전기전도도를 6.0-9.0ms/cm로하는 완충액.
  2. 제1항에 있어서 아미노산이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인것을 특징으로하는 유약세포 측정용시약.
  3. 제2항에 있어서, 아미노산이 유황섬유 아미노산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약세포측정용시약.
  4. 제3항에 있어서, 유황함유 아미노산이 메티오닌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약세포측정용시약.
  5. 제2항에 있어서 아미노산이 글루타민산인것을 특징으로하는 유약세포측정용시약.
  6. 제2항에 있어서 아미노산이 발린인것을 특징으로하는 유약세포 측정용시약.
KR1019940005602A 1993-03-19 1994-03-19 유약세포측정용 시약 KR100287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6003793A JP3301646B2 (ja) 1993-03-19 1993-03-19 幼若細胞測定用試薬
JP93-60037 1993-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088A KR940022088A (ko) 1994-10-20
KR100287583B1 true KR100287583B1 (ko) 2001-05-02

Family

ID=1313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5602A KR100287583B1 (ko) 1993-03-19 1994-03-19 유약세포측정용 시약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413938A (ko)
EP (1) EP0617281B1 (ko)
JP (1) JP3301646B2 (ko)
KR (1) KR100287583B1 (ko)
CN (1) CN1088194C (ko)
AU (1) AU665508B2 (ko)
CA (1) CA2119390C (ko)
DE (1) DE69419053T2 (ko)
ES (1) ES2132352T3 (ko)
TW (1) TW29709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698B1 (ko) * 2017-08-24 2018-04-18 한국화학연구원 생체 조직 크기 조절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생체 조직의 크기 조절 방법
WO2019151838A1 (ko) * 2018-02-05 2019-08-08 한국화학연구원 스페로이드 투명화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스페로이드 투명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7310B2 (ja) * 1994-04-21 2003-11-17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白血球分析用試薬及び白血球の分類方法
JP3324050B2 (ja) * 1994-10-31 2002-09-17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白血球分類用試薬および白血球分類方法
US5691204A (en) * 1995-04-21 1997-11-25 Abbott Laboratorie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rapid analysis of reticulocytes
FR2735579B1 (fr) * 1995-06-13 1997-09-19 Hycel Groupe Lisabio Procede de discrimination et d'isolement de sous-populations de leucocytes a partir d'echantillons sanguins par traitement par du polyoxyethylene 9-lauryl ether, et reactif pour sa mise en oeuvre
JP4042925B2 (ja) * 1996-11-20 2008-02-06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幼若白血球の分類計数法
US5830701A (en) * 1997-03-28 1998-11-03 Tao Medical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etecting hematopoietic progenitor cells
JP3783808B2 (ja) * 1997-05-19 2006-06-07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白血球分類計数用試薬
KR19980042627A (ko) * 1997-11-20 1998-08-17 이에츠구히사시 유약백혈구의 분류계수법
US6225124B1 (en) * 1999-06-02 2001-05-01 Sysmex Corporation Diluting reagent and method compelling time-independent consistency in MCV assay
US6900023B1 (en) 1999-09-02 2005-05-31 Sysmex Corporation Method for classifying and counting leukocytes
US6916658B2 (en) * 2001-07-27 2005-07-12 Beckman Coulter, Inc. Method for measurement of immature granulocytes
JP4227019B2 (ja) * 2001-10-23 2009-02-18 デンカ生研株式会社 血液中の血球と菌の分離方法および血液中の菌の検出方法
JP4212827B2 (ja) * 2002-05-16 2009-01-21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骨髄液有核細胞自動分析方法
AU2003243945A1 (en) 2002-06-24 2004-01-06 Sysmex Corporation Method of classifying and counting leucocytes
JP4118618B2 (ja) * 2002-07-01 2008-07-16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試料分析装置
US20040166540A1 (en) * 2003-02-24 2004-08-26 Sysmex Corporation Methods of detecting CD34 positive and negative hematopoietic stem cells in human samples
US7678578B2 (en) 2005-02-07 2010-03-16 Beckman Coulter, Inc. Cell permeabilization and stabilization reagent and method of use
US7541190B2 (en) * 2005-02-07 2009-06-02 Beckman Coulter, Inc. Method of measurement of cellular hemoglobin
JP4806342B2 (ja) * 2006-01-27 2011-11-02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幼若白血球分析用試薬及び試薬キット
US7625757B2 (en) * 2006-01-27 2009-12-01 Sysmex Corporation Reagent for immature leukocyte analysis and reagent kit
JP4976038B2 (ja) * 2006-03-29 2012-07-18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血液学的試料の測定方法
JP4806334B2 (ja) * 2006-11-27 2011-11-02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血液学的試料の測定方法および測定装置
EP2166354B1 (en) * 2007-06-25 2012-11-07 Sysmex Corporation Reagent and reagent kit for analysis of primitive leukocyte
RU2435164C2 (ru) 2007-06-25 2011-11-27 Сисмекс Корпорейшн Реактив и набор реактивов для анализа незрелых лейкоцитов
CN101349644B (zh) * 2007-07-20 2012-06-27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白细胞分类试剂和其使用方法
CN101475754A (zh) * 2008-01-04 2009-07-08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不对称菁类荧光染料,组合物及在生物样品染色中的用途
US20110027826A1 (en) * 2008-05-02 2011-02-03 Arkray, Inc. Leukocyte analysis method and analysis reagent for use in the method
CN101602762B (zh) * 2008-06-10 2013-10-16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不对称菁类化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CN101726579B (zh) * 2008-10-17 2014-06-18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血液检测试剂和方法
CN101723874B (zh) * 2008-10-31 2013-09-11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花菁类化合物及其在生物样品染色中的用途
JP5168658B2 (ja) * 2008-11-21 2013-03-21 国立大学法人高知大学 血球分析装置、血球分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750476B (zh) * 2008-12-08 2015-06-03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血液分析试剂及其使用方法
CN101750274B (zh) * 2008-12-17 2014-06-25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白细胞分类计数试剂、试剂盒以及白细胞分类计数的方法
CN101988082B (zh) * 2009-07-31 2015-04-08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白细胞分类计数试剂、试剂盒及其制备方法和白细胞分类计数的方法
JP5416232B2 (ja) * 2012-01-23 2014-02-12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血液学的試料の測定装置
US20140377374A1 (en) * 2012-02-08 2014-12-25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Materials and methods for treating diarrhea
JP6319959B2 (ja) * 2013-07-05 2018-05-09 国立大学法人信州大学 白血球数及び左方移動を指標とした細菌感染症の検出
CN106687810B (zh) * 2014-12-31 2019-10-22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非诊断目的的有核红细胞报警方法、装置及流式细胞分析仪
CN111024563A (zh) * 2019-12-30 2020-04-17 深圳开立生物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白细胞分类试剂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9917A (en) 1977-07-21 1978-07-11 Technicon Instruments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a cell suspension from blood for discrimination of white blood cells and platelets from other blood particles
JPS5743364A (en) 1980-06-27 1982-03-11 Union Carbide Corp Non-aquous battery
US4751179A (en) 1984-05-31 1988-06-14 Coulter Electronics, Inc. Method and reagents for differential determination of four populations of leukocytes in blood
JP2935529B2 (ja) * 1990-03-01 1999-08-16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白血球分類方法および試薬
AU613642B2 (en) 1987-05-29 1991-08-08 Toa Medical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lassifying leukocytes and reagents
JP2778745B2 (ja) * 1989-06-19 1998-07-23 東亜医用電子株式会社 血液中の白血球弁別測定用試薬
JP2836865B2 (ja) * 1989-10-23 1998-12-14 東亜医用電子株式会社 血液中の白血球およびヘモグロビンの測定用試薬
US5242832A (en) * 1990-03-01 1993-09-07 Toa Medical Electronics Co., Ltd. Reagent for measurement of leukocytes and hemoglobin in blood
DE4018502A1 (de) * 1990-06-09 1991-12-12 Merck Patent Gmbh Verfahren und mittel zur beseitigung von truebungen in biologischen fluessigkeiten
CA2048302A1 (en) * 1990-08-15 1992-02-16 Victoria P. Meucci Solubilization reagent for biological test samples
DE69327775T2 (de) * 1992-11-19 2000-06-21 Sysmex Corp Verfahren zur Vorbehandlung für Blutanalys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698B1 (ko) * 2017-08-24 2018-04-18 한국화학연구원 생체 조직 크기 조절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생체 조직의 크기 조절 방법
WO2019039767A3 (ko) * 2017-08-24 2019-04-18 한국화학연구원 생체 조직 크기 조절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생체 조직의 크기 조절 방법
US11168108B2 (en) 2017-08-24 2021-11-09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Composition for adjusting biological tissue size, and method for adjusting size of biological tissue using said composition
WO2019151838A1 (ko) * 2018-02-05 2019-08-08 한국화학연구원 스페로이드 투명화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스페로이드 투명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US11365213B2 (en) 2018-02-05 2022-06-21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Composition for clearing spheroids, method for clearing spheroids using same, and kit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17281A2 (en) 1994-09-28
AU5785694A (en) 1994-09-22
JP3301646B2 (ja) 2002-07-15
CA2119390A1 (en) 1994-09-20
JPH06273413A (ja) 1994-09-30
DE69419053D1 (de) 1999-07-22
EP0617281B1 (en) 1999-06-16
ES2132352T3 (es) 1999-08-16
AU665508B2 (en) 1996-01-04
TW297093B (ko) 1997-02-01
CN1095481A (zh) 1994-11-23
CA2119390C (en) 1997-04-08
DE69419053T2 (de) 1999-10-21
EP0617281A3 (en) 1995-09-06
CN1088194C (zh) 2002-07-24
KR940022088A (ko) 1994-10-20
US5413938A (en) 1995-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7583B1 (ko) 유약세포측정용 시약
CA2138622C (en) Reagent for analyzing leucocytes
US6664110B1 (en) Erythroblast diagnostic flow-cytometry method and reagents
JP2619900B2 (ja) 血液中の白血球およびヘモグロビンの測定用試薬および方法
US5155044A (en) Lysing reagent system for isolation, identification and/or analysis of leukocytes from whole blood samples
US5686308A (en) Reagent and method for differential determination of leukocytes in blood
EP0627624B1 (en) System for isolating and identifying leukocytes
US5958776A (en) Method for classifying and counting immature leukocytes
US5786224A (en) Reagent and method for differential determination of leukocytes in blood
EP0874988B1 (en) Reagent and method for differential determination of leukocytes in blood
Schuster et al. Colocalization of H (+)-ATPase and band 3 anion exchanger in rabbit collecting duct intercalated cells
JP2935529B2 (ja) 白血球分類方法および試薬
US5843608A (en) Reagent and method for differential determination of leukocytes in blood
RU2435164C2 (ru) Реактив и набор реактивов для анализа незрелых лейкоцитов
JPH10282094A (ja) 全血中の網状赤血球、赤血球及び血小板を迅速に同定及び特徴付けるための完全に自動化された方法及びそれらのための試薬組成物
JP3345135B2 (ja) 血液分析方法
Saad et al. Differential analysis of rat bone marrow by flow cytometry
Vossen et al. The detection of cytoplasmic immunoglobulins by immunofluorescence: improvements in techniques and standardization procedures
Kurata et al. Simultaneous measurement of nucleated cell counts and cellular differentials in rat bone marrow examination using flow cytometer
Barton et al. Light microscopic, non-immunologic demonstration of iron-binding proteins in hematopoietic cells.
JP2000329762A (ja) 白血球測定用試薬及び白血球測定用試料調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