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3648B1 - 발광장치,시계,전자기기,발광장치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광장치,시계,전자기기,발광장치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3648B1
KR100283648B1 KR1019980038733A KR19980038733A KR100283648B1 KR 100283648 B1 KR100283648 B1 KR 100283648B1 KR 1019980038733 A KR1019980038733 A KR 1019980038733A KR 19980038733 A KR19980038733 A KR 19980038733A KR 100283648 B1 KR100283648 B1 KR 100283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convex
emitting device
convex por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8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949A (ko
Inventor
나오히코 사쿠라자와
순지 미나미
히로유키 소노다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19990029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6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30Illumination of dials or hand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30Illumination of dials or hands
    • G04B19/32Illumination of dials or hands by luminescent substan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손목시계, 전자수첩, 퍼스널컴퓨터 등의 각종의 전자기기에 적용해서 유용한 발광장치와, 이와 같은 발광장치를 구비하는 시계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고 또 발광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취미성이나 고급감을 가진 발광장치, 또한 이와 같은 발광장치를 구비한 시계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고,
상면에 볼록부(11)를 형성한 반투명 또는 투명의 패널부재(9)를 판상의 발광부재(8)의 상면에 배치하여 발광장치(10)를 구성하고, 이 발광장치(10)는 패널부재(9)의 상면에 볼록부(11)를 형성해서 이 볼록부(11)의 주위면 및 상면을 마스킹(33)하고, 패널부재(9)의 상면에 인쇄층(32)을 형성하고 나서 마스킹(33)을 벗긴 후 볼록부(11)의 상면에 인쇄층(31)을 형성하고 나서 패널부재(9)를 판상의 발광부재(8)의 상면에 배치하여 제조하고, 이렇게 하여 판상을 이루는 발광장치(10)를 시계의 아날로그지침기구부(4)를 조명하기 위해 시계케이스(1)내에 배치하고, 또 판상을 이루는 발광장치(10)를 전자기기의 액정표시장치(25)를 조명하기 위해 기기케이스(1)내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광장치, 시계, 전자기기, 발광장치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전자손목시계, 전자수첩, 퍼스널컴퓨터 등의 각종의 전자기기에 적용해서 유용한 발광장치와, 이와 같은 발광장치를 구비하는 시계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며, 또 발광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루미네선스=Electro Luminescence소자(이하 「EL발광부재」라고 한다.)는 공급된 전압에 의해 표면 전체가 면발광을 실시하는 판상의 발광부재이다.
이 EL발광부재는 최근 손목시계, 전자수첩 등의 각종의 전자기기에 구비되어 있으며, 발열을 동반하지 않는 것, 소비전력이 작은 것 등으로부터 이런 종류의 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EL발광부재를 구비한 종래의 손목시계의 구성예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EL발광부재를 구비한 종래의 손목시계의 경우는 시계케이스의 상부위치에 시계유리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 시계케이스의 하부위치에 설치된 뒷쪽덮개와 시계유리의 사이의 공간내, 즉 시계케이스의 내부에는 아날로그지침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아날로그지침기구는 중앙부분으로부터 윗쪽으로 연장되는 지침축을 갖고, 이 지침축에 분침, 시침으로 이루어지는 지침이 부착되어 있다.
또 아날로그지침기구의 상면에는 적층된 문자판 및 평판상의 EL발광부재가 재치되어 있다. 이들의 문자판 및 평판상의 EL발광부재의 주위는 누름부재에 의해서 꽉 눌러짐으로써 시계케이스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문자판은 반투과성의 필름 또는 투과성의 컬러필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에는 시간문자 등의 마크가 인쇄되어 있다.
또 EL발광부재는 아날로그지침기구에 편입된 회로기판상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공급된 발광용 전력 또는 전압에 의해서 면발광하고, 이 면발광의 작용에 의해 그 상부위치에 설치된 문자판의 전체 및 아날로그지침기구의 지침 전체를 조명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야간, 어두운 곳 안에서도 EL발광부재에 의해 조명된 문자판 및 지침을 통하여 현재 시각을 외부에서 판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EL발광부재에 의해 문자판 등을 조명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문자판으로서는 EL발광부재로부터의 빛이 투과하는 재질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반투과성 필름, 투과성의 컬러필름이 문자판으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의해 EL발광부재의 발광에 의해 문자판의 전체가 밝아져서 시간문자 및 지침의 판독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것으로부터 종래에 있어서는 문자판의 표면이 필름이기 때문에 금속감을 낼 수 없어 취미성에 뒤떨어질 뿐만 아니라 고급감에 떨어진다는 해결해야 할 과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취미성이나 고급감을 가진 발광장치, 또한 이와 같은 발광장치를 구비한 시계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취미성이나 고급감을 갖는 발광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즉 본 발명의 하나의 구성에 관련되는 발광장치는 판상의 발광부재와, 이 판상의 발광부재의 상면에 배치한 반투명 또는 투명의 패널부재와, 이 패널부재의 상면에 형성한 볼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하나의 구성에 관련되는 발광장치는 판상의 발광부재와, 이 판상의 발광부재의 상면에 배치한 반투명 또는 투명의 볼록부재와, 이 볼록부재를 제외하고 상기 판상의 발광부재상면에 배치한 금속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패널의 상면에 돌출하는 상기 볼록부재의 주위면을 제외하고 상기 볼록부재의 상면에 인쇄층 또는 금속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하나의 구성에 관련되는 시계는 제 1 항에 기재한 발명장치와, 지침을 갖는 아날로그지침기구부를 내부에 가진 시계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아날로그지침기구부를 조명하기 위해 상기 시계케이스내에 상기 발광장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하나의 구성에 관련되는 발광장치의 제조방법은 반투명 또는 투명의 패널부재의 상면에 볼록부를 형성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볼록부의 주위면 및 상면에 마스킹을 실시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마스킹이 실시된 상기 볼록부의 주위면 및 상면을 제외하는 상기 패널부재의 상면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제 3 공정과, 상기 볼록부로부터 상기 마스킹을 벗긴 후에 해당 볼록부의 상면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제 4 공정과, 상기 제 4 공정을 상기 패널부재의 하면에 판상의 발광부재를 배치하여 발광장치를 제조하는 제 5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1 실시형태예로서의 손목시계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손목시계내의 발광장치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손목시계내의 문자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3a는 시간문자(時字)를 나타내는 볼록부로서 막대기시간문자에 의한 경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b는 시간문자를 나타내는 볼록부로서 숫자에 의한 경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2 실시형태예로서의 발광장치를 나타낸 확대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3 실시형태예로서의 발광장치를 나타낸 확대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4 실시형태예로서의 발광장치를 나타낸 확대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5 실시형태예로서의 전자손목시계(전자기기)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6 실시형태예로서의 손목시계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손목시계내의 발광장치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10a∼도 10e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발광장치의 제조방법을 차례로 나타내는 것으로, 도 10a는 볼록부를 형성하는 제 1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b는 마스킹하는 제 2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c는 인쇄하는 제 3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d는 마스킹을 벗기는 제 4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e는 인쇄하는 제 5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7 실시형태예로서의 전자손목시계(전자기기)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8 실시형태예로서의 발광장치를 나타낸 확대종단면도.
도 13a∼도 13d는 도 12에 나타낸 발광장치의 제조방법을 차례로 나타내는 것으로, 도 13a는 볼록부를 형성하는 제 1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b는 마스킹하는 제 2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c는 증착하는 제 3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d는 마스킹을 벗기는 제 4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9 실시형태예로서의 발광장치를 나타낸 확대종단면도.
도 15a∼도 15c는 도 14에 나타낸 발광장치의 제조방법을 차례로 나타내는 것으로, 도 15a는 문자판의 구멍부와 볼록부재를 형성하는 제 1 공정을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15b는 문자판과 볼록부재를 장식하는 제 2 공정을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15c는 문자판의 구멍부에 볼록부재를 조합하는 제 3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시계케이스 2: 시계유리
3: 뒤쪽덮개 4: 아날로그지침기구
5: 본체부 6: 지침축
7: 지침 8: EL발광부재
9: 문자판 10: 발광장치
11: 볼록부 12: 누름부재
13: 시일부재 14: 주름면
15: 거울면 16, 18, 22, 31, 32: 인쇄층
17: 요철면 19: 날짜바퀴(또는 요일바퀴)
20: 창부 21: 볼록렌즈면
23: 나사 24: 분할커버
25: LCD(액정표시장치) 26, 27: 유리판
28, 29: 편광판 30: 인터커넥터
33, 36: 마스킹 34, 35, 40: 금속층
37: 볼록부재 38: 금속문자판(금속패널)
39: 구멍부 41: 장식층
이하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발광장치, 시계, 전자기기, 발광장치의 제조방법의 실시의 각 형태예를 도 1에서부터 도 15c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예〉
우선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1 실시형태예로서의 손목시계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그 손목시계내의 발광장치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이들의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1은 시계케이스, 2는 시계유리, 3은 뒷쪽덮개, 4는 아날로그지침기구, 5는 본체부, 6은 지침축, 7은 지침, 8은 EL발광부재(판상의 발광부재), 9는 반투명 또는 투명의 문자판(패널부재), 10은 판상의 발광장치, 11은 볼록부, 12는 누름부재, 13은 시일부재이다.
이 손목시계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에 시계유리(2)가 하부에 뒷쪽덮개(3)가 부착된 시계케이스(1)와, 이 시계케이스(1)내에 설치된 아날로그지침기구(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아날로그지침기구(4)는 회로기판, 전지 그 밖의 부품이 편입된 본체부(5)와, 이 본체부(5)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윗쪽으로 연장되는 지침축(6)과, 이 지침축(6)에 부착된 시침, 분침 등의 지침(7, 7)을 구비하고 있다.
이상의 아날로그지침기구(4)의 본체부(5)상면에는 판상으로 성형된 EL발광부재(8)와, 반투명 또는 투명한 수지 등의 패널부재로 이루어지는 문자판(9)이 서로 적층상태로 재치되어 있다.
이 판상의 EL발광부재(8)와 반투명 또는 투명의 문자판(9)에 의해 판상의 발광장치(10)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판상의 발광장치(10)를 구성하는 EL발광부재(8) 및 문자판(9)의 중앙부분에는 관통구멍(8a, 9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관통구멍(8a, 9a)내를 지침축(6)이 관통하여 윗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도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판(9)의 상면에는 시간문자를 나타내는 볼록부(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11)를 일체로 형성하는 수법으로서는 사출성형, 프레스가공, 반 따내기(half die cutting)가공, 돋움(building up)인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부재(12)는 문자판(9) 및 EL발광부재(8)의 외주부분을 꽉 눌러서 이들을 본체부(5)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또 시일부재(13)는 뒷쪽덮개(3)의 상면과 시계케이스(1)의 하면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발광장치(10)에 있어서 EL발광부재(8)는 아날로그지침기구(4)의 본체부(5)의 회로기판상에 설치된 전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전압에 의해서 면발광하고, 이 EL발광부재(8)의 윗쪽에 설치되어 있는 반투명 또는 투명의 문자판(9)의 전체를 조명하도록 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문자판(9)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3a는 시간문자를 나타내는 볼록부(11)로서 막대기시간문자에 의한 경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b는 시간문자를 나타내는 볼록부(11)로서 숫자에 의한 경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즉 문자판(9)의 시간문자를 나타내는 볼록부(11)로서는 우선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시에서 12시까지의 위치에 설치하는 단순한 막대기시간문자(11a, 11a, 11a, …)이어도, 또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시에서 12시에 대응한 아라비아숫자(11b, 11b, 11b, …)이어도 좋고, 또한 다른 로고나 마크나 임의의 형상 등이어도 좋다.
또한 문자판(9)의 상면 및 볼록부(11)상면을 장식해도 좋다.
예를 들면 그 문자판(9)상면 및 볼록부(11)상면을 장식하는 수법으로서는 알루미늄, 은, 금, 그 밖의 금속의 증착층을 붙이는 수법이나 컬러필름을 이용하는 수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볼록부(11)상면의 장식으로서 핫스탬프 등으로 금속박을 붙이는 것 등을 들 수 있고, 또 볼록부(11)이외의 문자판(9)상면의 장식으로서 전기주조형으로 모양을 붙이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손목시계에 의하면 EL발광부재(8)가 면발광한 때에는 그 빛이 문자판(9)을 통하여 윗쪽으로 투과하고 그 윗쪽의 지침(7, 7)은 빛을 투과하지 않기 때문에 빛의 대비에 의해 시각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EL발광부재(8)에 의해 전체가 조명되는 반투명 또는 투명의 문자판(9)상에는 시간문자를 나타내는 볼록부(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볼록부(11)를 떠오르도록 조명하기 때문에 입체감이 얻어지고 종래의 필름문자판 등에 의한 넓적한 느낌과 달리 흥취성이 얻어지는 동시에 고급감을 얻을 수 있다.
또 볼록부(11)의 상면에 예를 들면 핫스탬프 등으로 금속박을 붙이면 볼록부(11)에 의한 시간문자 등으로서 금속제에 가까운 외관을 얻을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예〉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2 실시형태예로서의 발광장치를 나타낸 확대종단면도이다.
이 도 4에 있어서 상기 도 2와 똑같은 부재·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상기 도 2와 다른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이 실시형태예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자판(9)의 볼록부(11)를 제외한 상면을 광택제거기능을 가진 주름면(14)으로 하고, 볼록부(11)의 상면을 표면반사기능을 가진 거울면(15)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했으므로 EL발광부재(8)가 면발광했을 때에 반투명 또는 투명의 문자판(9)상면의 주름면(14)에 비하여 볼록부(11)상면의 거울면(15)이 볼록부(11)의 주위면으로부터 투과하는 빛에 의해 밝게 보이기 때문에 흥취성이 더욱 커지게 된다.
또한 도 4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11)상면의 거울면(15)상에 예를 들면 금속층, 컬러 등의 인쇄(투과·반투과·비투과)층(16)을 형성해도 좋다.
〈제 3 실시형태예〉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3 실시형태예로서의 발광장치를 나타낸 확대종단면도이다.
이 도 5에 있어서 상기 도 2와 똑같은 부재·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상기 도 2와 다른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이 실시형태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자판(9)상의 볼록부(11)상면을 예를 들면 전기주조 등에 의해서 가공되는 파형면에 확산·반사기능을 가진 요철면(17)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했으므로 EL발광부재(8)가 면발광했을 때에 반투명 또는 투명의 문자판(9)상의 볼록부(11)상면의 요철면(17)이 파형면에 의해 빛이 확산·반사를 일으키고, 그 빛의 확산·반사에 의해서 문자판(9)의 다른 평면보다도 두드러지게 보이기 때문에 흥취성이 더욱 커지게 된다.
또한 도 5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11)상면의 요철면(17)상에 예를 들면 금속층, 컬러 등의 인쇄(투과·반투과·비투과)층(18)을 형성해도 좋다.
〈제 4 실시형태예〉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4 실시형태예로서의 발광장치를 나타낸 확대종단면도이다.
이 도 6에 있어서 상기 도 2와 똑같은 부재·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상기 도 2와 다른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이 실시형태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L발광부재(8)의 아래에 예를 들면 아날로그시계의 3자방향에 붙어 있는 날짜를 나타내는 날짜바퀴(또는 요일을 나타내는 요일바퀴)(19)를 설치하고, 이 날짜바퀴(또는 요일바퀴)(19)의 날짜(또는 요일)의 표시부분에 대응하고, 또한 문자판(9)의 볼록부(11)에 대응하는 창부(20)를 EL발광부재(8)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문자판(9)상의 볼록부(11)상면을 그 배면측의 표시요소 등의 확대기능을 가진 볼록렌즈면(21)으로 하고 잇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했으므로 EL발광부재(8)의 점등시나 비점등시에도 반투명 또는 투명의 문자판(9)상의 볼록부(11)상면의 볼록렌즈면(21)에 의해서 EL발광부재(8)의 창부(20)를 통하여 아래쪽의 날짜바퀴(또는 요일바퀴)(19)의 날짜(또는 요일)가 빛의 확대에 의해 크게 보이기 때문에 흥취성이 더욱 커지게 된다.
또한 도 6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11)상면의 볼록렌즈면(21)상에 예를 들면 금속층, 컬러 등의 인쇄(투과·반투과·비투과)층(22)을 형성해도 좋다.
〈제 5 실시형태예〉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5 실시형태예로서의 전자손목시계(전자기기)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 도 7에 있어서 상기 도 1과 똑같은 부재·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상기 도 1과 다른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이 실시형태예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날로그지침기구(4)를 나사(23)에 의해 시계케이스(1)에 고정하고, 이 아날로그지침기구(4)의 본체부(5)상에 문자판(9) 및 EL발광부재(8)의 외주부분을 분할커버(24)에 의해 꽉 눌러서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시계유리(2)와 지침(7, 7)의 사이에 시각 및 정보를 디지털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이하 실시형태예 중에서는 LCD라 약칭한다.)(25)를 설치하고 있다.
이 LCD(25)는 상하의 유리판(26, 27)사이에 액정을 봉입하고 그 유리판(26, 27)의 표리면에 편광판(28, 29)을 설치한 것이다.
이 LCD(25)의 한쪽의 유리판(26)하면의 단자부와, 아날로그지침기구(4)의 본체부(5)의 회로기판(5a)상의 단자부는 인터커넥터(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판상의 발광장치(10)로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예(도 2 참조)의 것, 제 2 실시형태예(도 4 참조)의 것, 제 3 실시형태예(도 5 참조)의 것, 제 4 실시형태예(도 6 참조)의 것의 어느 쪽이어도 좋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전자손목시계(전자기기)에 의하면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예, 제 2 실시형태예, 제 3 실시형태예, 제 4 실시형태예에 의해 얻어지는 이점에 덧붙여서 이하와 같은 이점이 얻어진다.
즉 EL발광부재(8)로부터의 빛이 문자판(9)을 투과하여 그 윗쪽의 LCD(25)를 조명하는 동시에, 그 LCD(25)의 안쪽에서 문자판(9)의 볼록부(11)가 떠오르는 것같은 시각적인 깊이가 얻어지기 때문에, 흥취성이 더욱 높아지는 동시에 고급감도 더욱 높일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예〉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6 실시형태예로서의 손목시계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9는 그 손목시계내의 발광장치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이들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상기 도 1과 똑같은 부재·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상기 도 1과 다른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이 실시형태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내고, 또한 도 9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자판(9)상의 볼록부(11)의 주위면을 제외하고 상면에 인쇄층(31)을 형성하는 동시에 문자판(9)의 상면에도 인쇄층(32)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문자판(9)상의 볼록부(11)의 주위면만이 도 9에 화살표(P)로 나타낸 바와 같이 빛을 투과하는 부분으로 되어 있다.
또 도 10a∼도 10e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발광장치(10)의 제조방법을 차례로 나타낸다. 도 10a는 볼록부(11)를 형성하는 제 1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b는 마스킹하는 제 2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c는 인쇄하는 제 3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d는 마스킹을 벗기는 제 4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e는 인쇄하는 제 5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제 1 공정에서는 사출성형이나 그 밖의 제법에 의해 상면에 볼록부(11)가 있는 문자판(9)을 만든다. 다음의 제 2 공정에서는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11)의 주위면 및 상면을 마스킹(33)한다. 다음의 제 3 공정에서는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자판(9)의 마스킹(33)한 볼록부(11)이외의 상면에 OFFSET인쇄 또는 실크인쇄 등의 인쇄에 의해 적당한 착색잉크에 의한 인쇄층(32)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제 4 공정에서는 도 10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11)의 주위면 및 상면을 덮는 마스킹(33)을 벗긴다. 다음의 제 5 공정에서는 도 10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킹(33)을 벗긴 볼록부(11)의 주위면을 제외하는 상면만에 OFFSET인쇄 또는 실크인쇄 등의 인쇄에 의해 적당한 착색잉크에 의한 인쇄층(31)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상에 의해 인쇄층(31, 32)을 형성한 문자판(9)을 최후의 제 6 공정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EL발광부재(8)상면에 적층한다.
또한 인쇄층(31, 32)의 형성에 대신하여 도장에 의한 도장층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발광장치(10)를 구비한 손목시계에 의하면 EL발광부재(8)상의 반투명 또는 투명의 문자판(9)상의 볼록부(11)상면과 문자판(9)상면 자체가 인쇄층(31, 32)에 의해 장식되어 있기 때문에, 입체감이 얻어지는 동시에 인쇄층(31, 32)에 의한 색채감도 부여되는 것으로부터 흥취성 및 고급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EL발광부재(8)가 면발광했을 때는 그 빛이 도 9에 화살표(P)로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판(9)상의 볼록부(11)의 주위면으로부터 투과하여 문자판(9)상면의 인쇄층(32)을 옆쪽으로부터 비추는 동시에, 그 윗쪽에서 지침(7, 7)을 비추기 시작하여 볼록부(11)상면의 인쇄층(31)을 그 주위로부터 떠오르는 것같이 밝게 하기 때문에 흥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예〉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7 실시형태예로서의 전자손목시계(전자기기)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 도 11에 있어서는 상기 도 7과 도 8 및 도 9와 똑같은 부재·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즉 이 실시형태예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유리(2)와 지침(7, 7)의 사이에 LCD(25)를 설치하고 있는 점이 상기 도 8과 달라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전자손목시계(전자기기)에 의하면 상기한 제 6 실시형태예에 의해 얻어지는 이점에 덧붙여서 이하와 같은 이점이 얻어진다.
즉 EL발광부재(8)로부터의 빛이 문자판(9)상의 볼록부(11)주위면을 투과하여 그 윗쪽의 LCD(25)를 조명하는 동시에, 그 LCD(25)의 안쪽에서 문자판(9)의 볼록부(11)상면의 인쇄층(31)이 떠오르는 것같은 시각적인 깊이가 얻어지기 때문에 흥취성이 더욱 높이지는 동시에 고급감도 더욱 높일 수 있다.
〈제 8 실시형태예〉
도 1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8 실시형태예로서의 발광장치를 나타낸 확대종단면도이다.
이 도 12에 있어서 상기 도 9와 똑같은 부재·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상기 도 9와 다른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이 실시형태예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자판(9)상의 볼록부(11)의 주위면을 제외하고 상면에 금속층(34)을 형성하는 동시에, 문자판(9)의 상면에도 금속층(35)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문자판(9)상의 볼록부(11)의 주위면만이 도 12에 화살표(P)로 나타낸 바와 같이 빛을 투과하는 부분으로 되어 있다.
또 도 13a∼도 13d는 도 13에 나타낸 발광장치(10)의 제조방법을 차례로 나타내는 것으로, 도 13a는 볼록부(11)를 형성하는 제 1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b는 마스킹하는 제 2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c는 증착하는 제 3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d는 마스킹을 벗기는 제 4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제 1 공정에서는 사출성형이나 그 밖의 제법에 의해 상면에 볼록부(11)가 있는 문자판(9)을 만든다. 다음의 제 2 공정에서는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11)의 주위면만을 마스킹(36)한다. 다음의 제 3 공정에서는 도 1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킹(36)한 이외의 볼록부(11)상면과 문자판(9)상면에 예를 들면 알루미늄, 은, 금, 그 밖의 금속의 증착에 의해 금속층(34, 35)을 동시에 형성한다.
계속해서 제 4 공정에서는 도 1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11)의 주위면을 덮는 마스킹(36)을 벗긴다.
그리고 이상에 의해 금속층(34, 35)을 형성한 문자판(9)을 최후의 제 5 공정에 있어서 도 12에 나타내는 EL발광부재(8)상면에 적층한다.
또한 금속층(34, 35)의 형성은 증착에 대신하여 핫스탬프 등에 의한 금속박의 붙임에 의해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발광장치(10)를 구비한 손목시계에 의하면 EL발광부재(8)상의 반투명 또는 투명의 문자판(9)상의 볼록부(11)상면과 문자판(9)상면 자체가 금속층(34, 35)에 의해 장식되어 있기 때문에, 입체감이 얻어지는 동시에 금속층(34, 35)에 의한 금속문자판식의 광택감도 부여되는 것으로부터 흥취성 및 고급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EL발광부재(8)가 면발광했을 때는 그 빛이 도 12에 화살표(P)로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판(9)상의 볼록부(11)의 주위면으로부터 투과하여 문자판(9)상면의 금속층(35)을 옆쪽으로부터 비추는 동시에, 그 윗쪽에서 상기 지침(7, 7)(도 8 참조)을 비추기 시작하여 볼록부(11)상면의 금속층(34)을 그 주위로부터 떠오르는 것같이 밝게 하기 때문에 흥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예에 의한 구성의 발광장치(10)를 상기한 제 7 실시형태예(도 11 참조)의 전자손목시계(전자기기)에 적용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제 9 실시형태예〉
도 1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9 실시형태예로서의 발광장치를 나타낸 확대종단면도이다.
이 도 14에 있어서 상기 도 9와 똑같은 부재·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상기 도 9와 다른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예에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L발광부재(8)상에 반투명 또는 투명의 볼록부재(37)와 금속문자판(금속패널)(38)을 설치하고 금속문자판(38)의 구멍부(39)에 조합한 볼록부재(37)의 상면에 금속층(40)을 설치하고 있다.
즉 EL발광부재(8)상면에 시간문자를 나타내는 반투명 또는 투명의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볼록부재(37)와, 이 볼록부재(37)를 아래쪽으로부터 편입하여 윗쪽에 돌출시키는 구멍부(39)를 갖는 금속패널에 의한 금속문자판(38)을 재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볼록부재(37)의 하부외주를 대직경플랜지부(37a)로 하고, 구멍부(39)의 하부측을 대직경오목부(39a)로 하고 있으며, 이 결과 볼록부재(37)의 하부외주의 대직경플랜지부(37a)가 구멍부(39)의 하부측의 대직경오목부(39a)에 적합하여 볼록부재(37)의 구멍부(39)로부터 윗쪽으로의 이탈방지가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금속문자판(38)상에 돌출하는 볼록부재(37)의 상면만에 금속층(40)을 형성하고 있다.
또 도 15a∼도 15c는 도 14에 나타낸 발광장치(10)의 제조방법을 차례로 나타내는 것으로, 도 15a는 금속문자판(38)의 구멍부(39)와 볼록부재(37)를 형성하는 제 1 공정을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15b는 금속문자판(38)과 볼록부재(37)를 장식하는 제 2 공정을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15c는 금속문자판(38)의 구멍부(39)에 볼록부재(37)를 조합하는 제 3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제 1 공정에서는 사출성형이나 그 밖의 제법에 의해 볼록부재(37)를 만드는 한편, 프레스가공이나 그 밖의 제법 등에 의해 볼록부재(37)용의 구멍부(39)를 뺀 금속문자판(38)을 만든다.
다음의 제 2 공정에서는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재(37)상면에 예를 들면 알루미늄, 은, 금 그 밖의 금속의 증착에 의해 금속층(40)을 형성하는 한편, 금속문자판(38)의 상면에는 예를 들면 착색잉크에 의해 인쇄, 컬러필름의 접착, 전기주조형에 의한 모양붙임 등의 수법에 의해 적당한 장식층(41)을 형성한다.
그 후 다음의 제 3 공정에서는 도 1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재(37)를 금속문자판(38)의 구멍부(39)에 아래쪽으로부터 삽입하고 볼록부재(37)의 하부외주의 대직경플랜지부(37a)를 구멍부(39)의 하부측의 대직경오목부(39a)에 적합시킴으로써, 볼록부재(37)의 구멍부(39)로부터 윗쪽으로의 이탈방지를 실시하고 볼록부재(37)를 금속문자판(38)의 구멍부(39)에 조합한다.
그리고 이상에 의해 맞붙은 볼록부재(37) 및 금속문자판(38)을 최후의 제 4 공정에 있어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EL발광부재(8)상면에 적층한다.
또한 금속층(40)의 형성에 대신하여 인쇄층이나 도장층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고, 또 장식층(41)은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발광장치(10)를 구비한 손목시계에 의하면 EL발광부재(8)상의 금속문자판(38)과 그 윗쪽에 돌출하는 볼록부재(37)상면의 금속층(40)에 의해 장식되어 있기 때문에, 입체감이 얻어지는 동시에 금속문자판(38)에 덧붙여서 볼록부재(37)상면의 금속층(40)에 의한 광택감도 부여되는 것으로부터 흥취성 및 고급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EL발광부재(8)가 면발광했을 때는 그 빛이 도 14에 화살표(P)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문자판(38)상의 볼록부재(37)의 주위면으로부터 투과하여 금속문자판(38)상면을 옆쪽으로부터 비추는 동시에, 그 윗쪽에서 상기 지침(7, 7)(도 8 참조)을 비추기 시작하여 볼록부재(37)상면의 금속층(40)을 그 주위로부터 떠오르는 것같이 밝게 하기 때문에 흥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예에 의한 구성의 발광장치(10)를 상기한 제 7 실시형태예(도 11 참조)의 전자손목시계(전자기기)에 적용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발광장치(10)는 도 1, 도 2, 도 4∼도 6, 도 7∼도 1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의 발광부재(8)와, 이 판상의 발광부재의 상면에 배치한 반투명 또는 투명의 패널부재(9)와, 이 패널부재의 상면에 형성한 볼록부(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볼록부의 상면에 거울면(15)을 형성하고, 상기 볼록부를 제외하고 상기 패널부재의 상면에는 주름면(14)을 형성하고 있다. 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볼록부의 상면에는 요철면(17)을 형성하고 있다. 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볼록부의 상면에는 볼록렌즈면(21)을 형성하고 있다. 또는 도 8∼도 1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볼록부의 주위면을 제외하고 상기 볼록부의 상면과 상기 패널부재의 상면에는 인쇄층(31, 32) 또는 금속층(34, 35)을 형성하고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발광장치(10)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의 발광부재(8)와, 이 판상의 발광부재의 상면에 배치한 반투명 또는 투명의 볼록부재(37)와, 이 볼록부재를 제외하고 상기 판상의 발광부재상면에 배치한 금속패널(38)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패널의 상면에 돌출하는 상기 볼록부재의 주위면을 제외하고 상기 볼록부재의 상면에 인쇄층(31, 32) 또는 금속층(4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발광장치는 손목시계나 전자수첩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내장되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것이다.
판상의 발광부재는 예를 들면 EL발광부재가 대표적인데, 램프나 형광등의 각종 발광부재이어도 좋다.
반투명 또는 투명의 패널부재는 예를 들면 손목시계의 문자판에 대표되는데, 다른 표시판이어도 좋다.
볼록부는 예를 들면 시간문자나 로고 등의 표시요소이다.
또한 이 볼록부는 예를 들면 사출성형에 의한 일체화, 클리어잉크에 의한 돋움화, 프레스가공에 의한 엠보싱 등에 의해 형성한다.
즉 하나의 실시형태예에 관련되는 발광장치에 의하면 판상의 발광부재상면의 반투명 또는 투명의 패널부재상면에 볼록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아래쪽의 판상 발광부재로부터의 빛이 패널부재를 투과하여 그 상면의 볼록부를 떠오르는 것같이 조명함으로써 입체감이 얻어지고 이에 의해 흥취성이나 고급감이 얻어진다.
또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전자기기는 도 1, 도 7,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항에 기재한 발광장치(10)와, 지침(7)을 갖는 아날로그지침기구부(4)를 내부에 가진 시계케이스(1)를 구비하고, 상기 아날로그지침기구부를 조명하기 위해 상기 시계케이스내에 상기 발광장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패널부재(9)는 시각을 나타내는 문자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시계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항에 기재한 발광장치(10)와, 액정표시장치(25)를 내부에 가진 기기케이스(1)를 구비하고, 상기 액정표시장치를 조명하기 위해 상기 기기케이스내에 상기 발광장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발광장치의 제조방법은 도 10a∼도 10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투명 또는 투명의 패널부재(9)의 상면에 볼록부(11)를 형성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볼록부의 주위면 및 상면에 마스킹(33)을 실시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마스킹이 실시된 상기 볼록부의 주위면 및 상면을 제외하는 상기 패널부재의 상면에 인쇄층(32)을 형성하는 제 3 공정과, 상기 볼록부로부터 상기 마스킹을 벗긴 후에 해당 볼록부의 상면에 인쇄층(31)을 형성하는 제 4 공정과, 상기 제 4 공정을 거친 상기 패널부재의 하면에 판상의 발광부재(8)를 배치하여 발광장치를 제조하는 제 5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발광장치의 제조방법은 도 13a∼도 1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투명 또는 투명의 패널부재(9)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11)의 주위면에 마스킹(36)을 실시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마스킹이 실시된 상기 볼록부(11)의 주위면을 제외하는 상기 패널부재의 상면에 금속층(35)을 형성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볼록부로부터 상기 마스킹을 벗긴 후에 해당 볼록부의 상면에 금속층(34)을 형성하는 제 3 공정과, 상기 제 3 공정을 거친 상기 패널부재의 하면에 판상의 발광부재(8)를 배치하여 발광장치를 제조하는 제 4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발광장치의 제조방법은 도 15a∼도 1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투명 또는 투명의 볼록부재(37)를 형성하는 한편, 금속패널(38)에 볼록부재에 대응하는 구멍부(39)를 형성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볼록부재의 상면에 인쇄층(31) 또는 금속층(40)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금속패널의 상면에 장식층(41)을 형성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볼록부재를 상기 금속패널의 상기 구멍부에 조합하는 제 3 공정과, 상기 볼록부재 및 상기 금속패널을 판상의 발광부재(8)의 상면에 배치하여 발광장치를 제조하는 제 4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제 1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발광장치(10)는 도 1, 도 2, 도 4∼도 6, 도 7∼도 1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의 발광부재(8)와, 이 판상의 발광부재의 상면에 배치한 반투명 또는 투명의 패널부재(9)와, 이 패널부재의 상면에 형성한 볼록부(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발광장치는 손목시계나 전자수첩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내장되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것이다.
판상의 발광부재는 예를 들면 EL발광부재가 대표적인데, 램프나 형광등의 각종 발광부재이어도 좋다.
반투명 또는 투명의 패널부재는 예를 들면 문자판에 대표되는데, 다른 표시판이어도 좋다.
볼록부는 예를 들면 시간문자나 로고 등의 표시요소이다.
또한 이 볼록부는 예를 들면 사출성형에 의한 일체화, 클리어잉크에 의한 돋움화, 프레스가공에 의한 엠보싱 등에 의해 형성한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제 1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발광장치에 의하면 판상의 발광부재상면의 반투명 또는 투명의 패널부재상면에 볼록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아래쪽의 판상 발광부재로부터의 빛이 패널부재를 투과하여 그 상면의 볼록부를 떠오르는 것같이 조명함으로써 입체감이 얻어지고 이에 의해 흥취성이나 고급감이 얻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볼록부의 상면에 거울면을 형성하고, 상기 볼록부를 제외하고 상기 패널의 상면에 주름면을 형성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거울면은 표면반사기능을 가진 면인 것이다.
또한 이 거울면상에 예를 들면 금속층, 컬러 등의 인쇄(투과·반투과·비투과)층을 형성해도 좋다.
주름면은 예를 들면 광택제거면인 것이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제 2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제 1 항에 기재한 볼록부상면에 거울면을 형성하고 볼록부를 제외한 패널부재상면에 주름면을 형성한 발광장치이므로, 아래쪽의 판상 발광부재가 점등했을 때에 패널부재상면의 주름면에 비하여 볼록부상면의 거울면의 주위가 밝게 보이는 것으로부터 흥취성이 더욱 커진다.
또 상기 볼록부의 상면에 요철면을 형성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잇다.
예를 들면 요철면은 예를 들면 전기주조 등에 의해서 가공되는 파형면에 대표되는데, 요는 확산·반사기능을 가진 면인 것이다.
또한 이 요철면상에 예를 들면 금속층, 컬러 등의 인쇄(투과·반투과·비투과)층을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제 3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제 1 항에 기재한 볼록부상면에 요철면을 형성한 발광장치이므로, 아래쪽의 판상 발광부재가 점등했을 때에 패널부재상면에 비하여 볼록부상면의 요철면이 빛의 확산·반사에 의해 두드러지게 보이는 것으로부터 흥취성이 더욱 커진다.
여기에서 상기 볼록부의 상면에 볼록렌즈면을 형성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볼록렌즈면은 그 배면측의 표시요소 등의 확대기능을 가진 면인 것이다.
또한 이 볼록렌즈면상에 예를 들면 금속층, 컬러 등의 인쇄(투과·반투과·비투과)층을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제 4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제 1 항에 기재한 볼록부상면에 볼록렌즈면을 형성한 발광장치이므로, 아래쪽의 판상 발광부재가 점등했을 때에 이면측의 표시요소 등의 일부가 볼록렌즈에 의해 확대되는 것으로부터 흥취성이 더욱 커진다.
또 상기 볼록부의 주위면을 제외하고 상기 볼록부의 상면과 상기 패널부재의 상면에 인쇄층 또는 금속층을 형성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인쇄층은 OFFSET인쇄 또는 실크인쇄 등에 형성된다.
금속층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은, 금, 그 밖의 금속을 증착하거나, 핫스탬프 등으로 금속박을 붙임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제 5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제 1 항에 기재한 볼록부주위면을 제외한 볼록부상면과 패널부재상면에 인쇄층 또는 금속층을 형성한 발광장치이므로, 아래쪽의 판상 발광부재가 점등했을 때에 패널부재상면 및 볼록부상면으로부터는 인쇄층 또는 금속층에 의해 빛이 투과하지 않지만 볼록부주위면으로부터 빛이 투과하여 볼록부상면의 인쇄층 또는 금속층의 주위가 밝게 보이는 것으로부터 흥취성이 더욱 커진다.
또 패널부재상면과 볼록부상면의 금속층에 의해서 고급감이 더욱 커진다.
이 실시형태(제 6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발광장치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의 발광부재(8)와, 이 판상의 발광부재의 상면에 배치한 반투명 또는 투명의 볼록부재(37)와, 이 볼록부재를 제외하고 상기 판상의 발광부재상면에 배치한 금속패널(38)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패널의 상면에 돌출하는 상기 볼록부재의 주위면을 제외하고 상기 볼록부재의 상면에 인쇄층(31) 또는 금속층(4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발광장치는 손목시계나 전자수첩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내장되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것이다.
판상의 발광부재는 예를 들면 EL발광부재가 대표적인데, 램프나 형광등의 각종 발광부재이어도 좋다.
반투명 또는 투명의 볼록부재는 예를 들면 시간문자나 로고 등의 표시요소이다.
금속패널은 예를 들면 손목시계의 문자판에 대표되는데, 다른 표시판이어도 좋다.
인쇄층은 예를 들면 OFFSET인쇄 또는 실크인쇄 등에 의해 형성된다.
금속층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은, 금, 그 밖의 금속을 증착하거나 핫스탬프 등으로 금속박을 붙임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제 6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판상의 발광부재상면의 반투명 또는 투명의 볼록부재를 제외한 발광부재상면에 배치한 금속패널의 상면에 돌출하는 볼록부재의 주위면을 제외한 볼록부재상면에 인쇄층 또는 금속층을 형성한 발광장치이므로, 판상 발광부재상의 금속패널상에 돌출하는 볼록부재에 의해 입체감이 얻어지고 흥취성이 얻어지는 동시에 금속패널과 볼록부재상면의 금속층에 의해서 고급감이 얻어진다.
그리고 아래쪽의 판상 발광부재가 점등했을 때에 금속패널 및 볼록부재상면의 금속층으로부터는 빛이 투과하지 않지만, 볼록부재주위면으로부터 빛이 투과하여 볼록부재상면의 금속층의 주위가 밝게 보이는 것으로부터 흥취성이 더욱 커진다.
또 이 실시형태(제 7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시계는 제 1 항에 기재한 발광장치(10)와, 지침(7)을 갖는 아날로그지침기구부(4)를 내부에 가진 시계케이스(1)를 구비하고, 상기 아날로그지침기구부를 조명하기 위해 상기 시계케이스내에 상기 발광장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시계는 손목시계에 대표되는데 탁상시계나 벽시계이어도 좋다.
지침은 시침, 분침, 초침을 말하는데 초침이 없는 것도 있다.
아날로그지침기구부는 예를 들면 회로기판, 전지 그 밖의 부품이 편입된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윗쪽으로 연장되는 지침축과, 이 지침축에 부착된 시침, 분침 등의 지침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제 7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시계에 의하면 제 1 항에 기재한 발광장치를 아날로그지침기구부를 조명하기 위해 시계케이스내에 배치했기 때문에, 아래쪽의 판상 발광부재로부터의 빛이 패널부재를 투과하여 그 윗쪽의 지침을 조명하는 동시에, 패널부재상면의 볼록부를 떠오르는 것같이 조명함으로써 입체감이 얻어지는 것으로부터 흥취성이나 고급감이 얻어진다.
또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시계는 지침을 갖는 아날로그지침기구부를 내부에 가진 시계케이스와, 이 시계케이스내에서 상기 아날로그지침기구부의 상면에 배치한 발광장치를 구비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시계는 손목시계에 대표되는데 탁상시계나 벽시계이어도 좋다.
지침은 시침, 분침, 초침을 말하는데 초침이 없는 것도 있다.
아날로그지침기구부는 예를 들면 회로기판, 전지 그 밖의 부품이 편입된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윗쪽으로 연장되는 지침축과, 이 지침축에 부착된 시침, 분침 등의 지침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제 8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판상을 이루는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기재한 발광장치와, 시계케이스내에서 아날로그지침기구부의 상면에 배치한 시계이므로, 제 7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시계에 비하여 흥취성과 고급감이 커진다.
즉 제 5 항에 기재한 발광장치를 구비한 시계의 경우는 아래쪽의 판상 발광부재가 점등했을 때에 패널부재상면 및 볼록부상면으로부터는 인쇄층 또는 금속층에 의해 빛이 투과하지 않지만 볼록부주위면으로부터 투과한 빛에 의해 그 윗쪽의 지침을 조명하는 동시에, 볼록부상면의 인쇄층 또는 금속층의 주위가 밝게 보여서 입체감이 얻어지는 것으로부터 흥취성이 커지고, 또 패널부재상면과 볼록부상면을 금속층으로 하는 것으로 고급감이 커진다.
또 이 실시형태(제 6 항에 기재한 발광장치를 구비한 시계)의 경우에는 판상 발광부재상의 금속패널상에 돌출하는 볼록부재에 의해 입체감이 얻어져서 흥취성이 얻어지는 동시에, 금속패널과 볼록부재상면의 금속층에 의해서 고급감이 얻어지고, 게다가 아래쪽의 판상 발광부재가 점등했을 때에 금속패널 및 볼록부재상면의 금속층으로부터는 빛이 투과하지 않지만 볼록부재주위면으로부터 투과한 빛에 의해 그 윗쪽의 지침을 조명하는 동시에, 볼록부재상면의 금속층의 주위가 밝게 보이는 것으로부터 흥취성이 더욱 커진다.
또 이 실시형태(제 9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기기)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항에 기재한 발광장치(10)와, 액정표시장치(25)를 내부에 가진 기기케이스(1)를 구비하고, 상기 액정표시장치를 조명하기 위해 상기 기기케이스내에 상기 발광장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전자기기는 전자손목시계가 대표적인데, 전자탁상시계나 전자벽시계나 전자수첩 등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제 9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기기)에 의하면 제 1 항에 기재한 발광장치를 액정표시장치를 조명하기 위해 기기케이스내에 배치했기 때문에, 아래쪽의 판상 발광부재로부터의 빛이 패널부재를 투과하여 그 윗쪽의 액정표시장치를 조명하는 동시에, 패널부재상면의 볼록부를 떠오르는 것같이 조명함으로써 입체감이 얻어지고, 또한 액정표시장치의 안쪽에서 볼록부가 떠오르는 것같은 시각적인 깊이가 얻어지는 것으로부터 흥취성이나 고급감이 얻어진다.
이 실시형태(제 10 항에 기재한 발명)의 전자기기는 액정표시장치를 내부에 가진 기기케이스와, 이 기기케이스내에서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아래쪽에 배치한 판상을 이루는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기재한 상기 발광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자기기는 전자손목시계가 대표적인데, 전자탁상시계나 전자벽시계나 전자수첩 등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제 10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판상을 이루는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기재한 발광장치를 기기케이스내에서 액정표시장치의 아래쪽에 배치한 전자기기이므로, 제 9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기기에 비하여 흥취성과 고급감이 커진다.
즉 이 실시형태(제 5 항에 기재한 발광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경우는 아래쪽의 판상 발광부재가 점등했을 때에 패널부재상면 및 볼록부상면으로부터는 인쇄층 또는 금속층에 의해 빛이 투과하지 않지만 볼록부주위면으로부터 투과한 빛에 의해 그 윗쪽의 액정표시장치를 조명하는 동시에, 볼록부상면의 인쇄층 또는 금속층의 주위가 밝게 보여서 입체감이 얻어지고, 또한 액정표시장치의 안쪽에서 볼록부가 떠오르는 것같은 시각적인 깊이가 얻어지는 것으로부터 흥취성이 커지고, 또 패널부재상면과 볼록부상면을 금속층올 하는 것으로 고급감이 커진다.
또 이 실시형태(제 6 항에 기재한 발광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의 경우에는 판상 발광부재상의 금속패널상에 돌출하는 볼록부재에 의해 입체감이 얻어져서 흥취성이 얻어지는 동시에, 금속패널과 볼록부재상면의 금속층에 의해서 고급감이 얻어지고, 게다가 아래쪽의 판상 발광부재가 점등했을 때에 금속패널 및 볼록부재상면의 금속층으로부터는 빛이 투과하지 않지만 볼록부재주위면으로부터 투과한 빛에 의해 그 윗쪽의 액정표시장치를 조명하는 동시에, 볼록부재상면의 금속층의 주위가 밝게 보이고, 또한 액정표시장치의 안쪽에서 볼록부재가 떠오르는 것같은 시각적인 깊이가 얻어지는 것으로부터 흥취성이 더욱 커진다.
이 실시형태(제 11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발광장치의 제조방법)는 도 10a∼도 10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투명 또는 투명의 패널부재(9)의 상면에 볼록부(11)를 형성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볼록부의 주위면 및 상면에 마스킹(33)을 실시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마스킹이 실시된 상기 볼록부의 주위면 및 상면을 제외하는 상기 패널부재의 상면에 인쇄층(32)을 형성하는 제 3 공정과, 상기 볼록부로부터 상기 마스킹을 벗긴 후에 해당 볼록부의 상면에 인쇄층(31)을 형성하는 제 4 공정과, 상기 제 4 공정을 거친 상기 패널부재의 하면에 판상의 발광부재(8)를 배치하여 발광장치를 제조하는 제 5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발광장치는 손목시계나 전자수첩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내장되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것이다.
반투명 또는 투명의 패널부재는 예를 들면 손목시계의 문자판에 대표되는데, 다른 표시판이어도 좋다.
볼록부는 예를 들면 시간문자나 로고 등의 표시요소이다.
또한 이 볼록부는 예를 들면 사출성형에 의한 일체화, 클리어잉크에 의한 돋움화, 프레스가공에 의한 엠보싱 등에 의해 형성한다.
마스킹은 다음 공정에서의 인쇄층을 형성하지 않는 면에 실시하는 것이다.
인쇄층은 예를 들면 OFFSET인쇄 또는 실크인쇄 등에 의해 형성된다.
판상의 발광부재는 예를 들면 EL발광부재가 대표적인데, 램프나 형광등의 각종 발광부재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제 11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반투명 또는 투명의 패널부재상면에 볼록부를 형성하여 볼록부주위면 및 상면을 마스킹하고, 패널부재상면에 인쇄층을 형성하여 마스킹을 벗기고, 볼록부상면에 인쇄층을 형성하여 패널부재를 판상의 발광부재상면에 배치하는 것으로 판상 발광부재상의 패널부재상면과 볼록부상면에 인쇄층을 가진 제 5 항과 같은 발광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제 12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발광장치의 제조방법)는 도 13a∼도 1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투명 또는 투명의 패널부재(9)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11)의 주위면에 마스킹(36)을 실시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마스킹이 실시된 상기 볼록부(11)의 주위면을 제외하는 상기 패널부재의 상면에 금속층(35)을 형성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볼록부로부터 상기 마스킹을 벗긴 후에 해당 볼록부의 상면에 금속층(34)을 형성하는 제 3 공정과, 상기 제 3 공정을 거친 상기 패널부재의 하면에 판상의 발광부재(8)를 배치하여 발광장치를 제조하는 제 4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발광장치는 손목시계나 전자수첩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내장되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것이다.
반투명 또는 투명의 패널부재는 예를 들면 손목시계의 문자판에 대표되는데, 다른 표시판이어도 좋다.
볼록부는 예를 들면 시간문자나 로고 등의 표시요소이다.
또한 이 볼록부는 예를 들면 사출성형에 의한 일체화, 클리어잉크에 의한 돋움화, 프레스가공에 의한 엠보싱 등에 의해 형성한다.
마스킹은 다음 공정에서의 인쇄층을 형성하지 않는 면에 실시하는 것이다.
금속층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은, 금, 그 밖의 금속을 증착하거나 핫스탬프 등으로 금속박을 붙임으로써 형성된다.
판상의 발광부재는 예를 들면 EL발광부재가 대표적인데, 램프나 형광등의 각종 발광부재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제 12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반투명 또는 투명의 패널부재상면에 볼록부를 형성하여 볼록부주위면을 마스킹하고, 패널부재 및 볼록부상면에 금속층을 형성하여 마스킹을 벗기고, 패널부재를 판상의 발광부재상면에 배치하는 것으로 판상 발광부재상의 패널부재상면과 볼록부상면에 금속층을 가진 제 5 항과 같은 발광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제 13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발광장치의 제조방법)은 도 15a∼도 1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투명 또는 투명의 볼록부재(37)를 형성하는 한편, 금속패널(38)에 볼록부재에 대응하는 구멍부(39)를 형성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볼록부재의 상면에 인쇄층(31) 또는 금속층(40)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금속패널의 상면에 장식층(41)을 형성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볼록부재를 상기 금속패널의 상기 구멍부에 조합하는 제 3 공정과, 상기 볼록부재 및 상기 금속패널을 판상의 발광부재(8)의 상면에 배치하여 발광장치를 제조하는 제 4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발광장치는 손목시계나 전사수첩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내장되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것이다.
반투명 또는 투명의 볼록부재는 예를 들면 시간문자나 로고 등의 표시요소이다.
금속패널은 예를 들면 손목시계의 문자판에 대표되는데, 다른 표시판이어도 좋다.
구멍부는 볼록부재에 합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금속층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은, 금, 그 밖의 금속을 증착하거나, 핫스탬프 등으로 금속박을 붙임으로써 형성된다.
장식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의 증착, 컬러필름의 접착, 전기주조형에 의한 모양붙임 등을 들 수 있다.
판상의 발광부재는 예를 들면 EL발광부재가 대표적인데, 램프나 형광등의 각종 발광부재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제 13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반투명 또는 투명의 볼록부재를 형성하는 한편, 금속패널에 볼록부재에 대응하는 구멍부를 형성하고, 볼록부재상면에 인쇄층 또는 금속층을 형성하는 한편, 금속패널상면에 장식층을 형성하고, 볼록부재를 금속패널의 구멍부에 조합하여 볼록부재 및 금속패널을 판상의 발광부재상면에 배치하는 것으로 판상의 발광부재상에 금속패널과 볼록부재를 배치하고 그 볼록부재상면에 인쇄층 또는 금속층을 가진 제 6 항과 같은 발광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또 실시의 각 형태예에서는 전자손목시계에 대해서 서술했는데, 손목시계이외의 전자기기, 예를 들면 전자수첩, 페이저, 퍼스널컴퓨터 등에도 본 발명은 똑같이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그 외 구체적인 세부구조 등에 대해서도 적당히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제 1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발광장치에 의하면 아래쪽의 판상 발광부재로부터의 빛이 패널부재상면의 볼록부를 떠오르는 것같이 조명하여 입체감이 얻어지기 때문에 흥취성이나 고급감을 얻을 수 있다.
제 2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발광장치에 의하면 아래쪽의 판상 발광부재가 점등했을 때에 패널부재상면의 주름면에 비하여 볼록부상면의 거울면의 주위가 밝게 보이기 때문에, 제 1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덧붙여서 흥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얻어진다.
제 3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발광장치에 의하면 아래쪽의 판상 발광부재가 점등했을 때에 패널부재상면에 비하여 볼록부상면의 요철면이 빛의 확산·반사에 의해 두드러지게 보이기 때문에, 제 1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덧붙여서 흥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얻어진다.
제 4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발광장치에 의하면 아래쪽의 판상 발광부재가 점등했을 때에 패널부재상면에 비하여 볼록부상면의 볼록렌즈면이 빛의 확대에 의해 크게 보이기 때문에, 제 1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덧붙여서 흥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얻어진다.
제 5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발광장치에 의하면 패널부재상면 및 볼록부상면이 인쇄층 또는 금속층으로 되어 있으며, 아래쪽의 판상 발광부재가 점등했을 때에 볼록부주위면으로부터 투과한 빛에 의해서 볼록부상면의 인쇄층 또는 금속층의 주위가 밝게 보이기 때문에, 제 1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덧붙여서 흥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 패널부재상면과 볼록부상면을 금속층으로 하는 것으로 고급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제 6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발광장치에 의하면 판상 발광부재상의 금속패널상에 돌출하는 볼록부재에 의해 입체감이 얻어지기 때문에 흥취성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금속패널을 설치하여 볼록부재상면을 금속층으로 했기 때문에 고급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아래쪽의 판상 발광부재가 점등했을 때에 볼록부재주위면으로부터 투과한 빛에 의해서 금속패널상에 돌출하는 볼록부재상면의 금속층의 주위가 밝게 보이기 때문에 흥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제 7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시계에 의하면 아래쪽의 판상 발광부재로부터의 빛이 패널부재를 투과하여 그 윗쪽의 지침을 조명하는 동시에, 패널부재상면의 볼록부를 떠오르는 것같이 조명하여 입체감이 얻어지기 때문에 흥취성이나 고급감을 얻을 수 있다.
제 8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시계에 의하면 제 7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시계와 비교하여 아날로그지침기구부상의 패널부재상면 및 볼록부상면에 형성한 인쇄층 또는 금속층에 의해서, 또는 아날로그지침기구부상의 금속패널과 그 위에 돌출하는 볼록부재상면에 형성한 금속층에 의해서 흥취성과 고급감을 높일 수 있다.
제 9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기기에 의하면 아래쪽의 판상 발광부재로부터의 빛이 패널부재를 투과하여 그 윗쪽의 액정표시장치를 조명하는 동시에, 패널부재상면의 볼록부를 떠오르는 것같이 조명함으로써 입체감이 얻어지고, 또한 액정표시장치의 안쪽에서 볼록부가 떠오르는 것같은 시각적인 깊이가 얻어지기 때문에 흥취성이나 고급감을 얻을 수 있다.
제 10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기기에 의하면 제 9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기기와 비교하여 액정표시장치아래쪽의 패널부재상면 및 볼록부상면에 형성한 인쇄층 또는 금속층에 의해서, 또는 액정표시장치아래쪽의 금속패널과 그 위에 돌출하는 볼록부재상면에 형성한 금속층에 의해서 흥취성과 고급감을 높일 수 있다.
제 11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발광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판상 발광부재상의 패널부재상면과 볼록부상면에 인쇄층을 가진 제 5 항과 같은 발광장치를 얻을 수 있다.
제 12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발광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판상 발광부재상의 패널부재상면과 볼록부상면에 금속층을 가진 제 5 항과 같은 발광장치를 얻을 수 있다.
제 13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발광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판상 발광부재상에 금속패널과 볼록부재를 배치하고, 그 볼록부재상면에 인쇄층 또는 금속층을 가진 제 6 항과 같은 발광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3)

  1. 판상의 발광부재(8)와,
    이 판상의 발광부재의 상면에 배치한 반투명 또는 투명의 패널부재(9)와,
    이 패널부재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한, 시자(時字)를 나타내기 위한 볼록부(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상면에 거울면(15)을 형성하고, 상기 볼록부를 제외하고 상기 패널부재의 상면에 주름면(1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상면에 요철면(1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볼록렌즈(2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주위면을 제외하고 상기 볼록부의 상면과 상기 패널부재의 상면에 인쇄층(31, 32) 또는 금속층(34, 3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주위면을 제외하고 상기 볼록부의 상면과 상기 패널부재의 상면에 인쇄층(31, 32) 또는 금속층(34, 3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7. 청구항 1에 기재한 발광장치(10)와,
    지침(7)을 갖는 아날로그지침기구부(4)를 내부에 가진 시계케이스(1)를 구비하고,
    상기 아날로그지침기구부를 조명하기 위해 상기 시계케이스내에 상기 발광장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9)는 시각을 나타내는 문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9. 청구항 1에 기재한 발광장치(10)와,
    액정표시장치(25)를 내부에 가진 기기케이스(1)를 구비하고,
    상기 액정표시장치를 조명하기 위해 상기 기기케이스내에 상기 발광장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반투명 또는 투명의 패널부재(9)의 상면에 볼록부(11)를 형성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볼록부의 주위면 및 상면에 마스킹(33)을 실시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마스킹이 실시된 상기 볼록부의 주위면 및 상면을 제외하는 상기 패널부재의 상면에 인쇄층(32)을 형성하는 제 3 공정과,
    상기 볼록부로부터 상기 마스킹을 벗긴 후에 해당 볼록부의 상면에 인쇄층(31)을 형성하는 제 4 공정과,
    상기 제 4 공정을 거친 상기 패널부재의 하면에 판상의 발광부재(8)를 배치하여 발광장치를 제조하는 제 5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의 제조방법.
  12. 반투명 또는 투명의 패널부재(9)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11)의 주위면에 마스킹(36)을 실시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마스킹이 실시된 상기 볼록부(11)의 주위면을 제외하는 상기 패널부재의 상면에 금속층(35)을 형성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볼록부로부터 상기 마스킹을 벗긴 후에 해당 볼록부의 상면에 금속층(34)을 형성하는 제 3 공정과,
    상기 제 3 공정을 거친 상기 패널부재의 하면에 판상의 발광부재(8)를 배치하여 발광장치를 제조하는 제 4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의 제조방법.
  13. 반투명 또는 투명의 볼록부재(37)를 형성하는 한편, 금속패널(38)에 볼록부재에 대응하는 구멍부(39)를 형성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볼록부재의 상면에 인쇄층(31) 또는 금속층(40)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금속패널의 상면에 장식층(41)을 형성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볼록부재를 상기 금속패널의 상기 구멍부에 조합하는 제 3 공정과,
    상기 볼록부재 및 상기 금속패널을 판상의 발광부재(8)의 상면에 배치하여 발광장치를 제조하는 제 4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의 제조방법.
KR1019980038733A 1997-09-19 1998-09-18 발광장치,시계,전자기기,발광장치의제조방법 KR100283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55438A JPH1195698A (ja) 1997-09-19 1997-09-19 発光装置、時計、電子機器、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97-255438 1997-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949A KR19990029949A (ko) 1999-04-26
KR100283648B1 true KR100283648B1 (ko) 2001-03-02

Family

ID=1727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733A KR100283648B1 (ko) 1997-09-19 1998-09-18 발광장치,시계,전자기기,발광장치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08591B1 (ko)
JP (1) JPH1195698A (ko)
KR (1) KR100283648B1 (ko)
CN (1) CN1144066C (ko)
TW (1) TW3723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9189A (ja) * 1999-11-12 2001-09-14 Casio Comput Co Ltd 時計用文字板および時計
JP2001296374A (ja) * 2000-04-13 2001-10-26 Casio Comput Co Ltd 時計用文字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時計
US6515416B1 (en) * 2000-04-28 2003-02-04 Timex Group B.V.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luminescent lamps and apparatus produced thereby
EP1419341A4 (en) 2001-05-03 2005-12-14 Luminary Logic Ltd ULTRAVIOLETTE LIGHTING OF INFORMATION
JP2003076305A (ja) * 2001-08-31 2003-03-14 Casio Comput Co Ltd 紫外線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US6714488B1 (en) * 2001-09-04 2004-03-30 Eric J. Vogel Kinetichrome
US7366059B2 (en) * 2001-11-12 2008-04-29 Eterna Ag Uhrenfabrik Display device for a wristwatch
JP3782731B2 (ja) * 2001-12-27 2006-06-07 矢崎総業株式会社 表示器
US20030151980A1 (en) * 2002-02-13 2003-08-14 Isador Farash Color referenced multi-time watch
US7126881B2 (en) * 2002-05-13 2006-10-24 8 Point 5 Concepts, Ltd. Customizable timepiece device
US20060072302A1 (en) * 2004-10-01 2006-04-06 Chien Tseng L Electro-luminescent (EL) illuminated wall plate device with push-tighten frame means
JP2004271259A (ja) * 2003-03-06 2004-09-30 Casio Comput Co Ltd 時計モジュール
DE10336283A1 (de) * 2003-08-08 2005-03-10 Saint Gobain Sekurit D Gmbh Flächenleuchtelement
US20080205201A1 (en) * 2005-11-02 2008-08-28 Hwa Su Time display apparatus
JP4973213B2 (ja) 2007-01-31 2012-07-11 三菱電機株式会社 光源装置、面状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20090080293A1 (en) * 2007-09-25 2009-03-26 Richman Stephen A Clock having an electroluminescent light (el) face plate and method therefor
US8488418B2 (en) 2009-06-18 2013-07-16 Eta Sa Manufacture Horlogere Suisse Timepiece with special aesthetic effects
EP3719586B1 (fr) * 2009-06-18 2023-03-01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Piece d'horlogerie a effets esthetiques speciaux
DE202010008275U1 (de) * 2010-08-12 2010-11-18 Pietsch, Michael Flächenelement, insbesondere Zifferblatt einer Uhr oder Schmuckelement
JP5885188B2 (ja) * 2011-08-11 2016-03-15 矢崎総業株式会社 金属調文字板及び当該金属調文字板の製造方法
JP2013164368A (ja) * 2012-02-13 2013-08-22 Seiko Clock Inc 時計
CH707060B1 (fr) * 2012-10-04 2017-05-31 Swatch Group Res & Dev Ltd Afficheur horloger lumineux.
JP7432311B2 (ja) * 2018-06-25 2024-02-16 ロレックス・ソシエテ・アノニム 可変時計部品
EP3650958B1 (fr) * 2018-11-06 2021-08-11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Objet muni d'un dispositif d'affichage electrooptique
EP3650957B1 (fr) * 2018-11-06 2021-06-09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Objet muni d'un dispositif d'affichage électrooptique
EP4102307A1 (fr) * 2021-06-08 2022-12-14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Pièce d'horlogerie à illumination localisée
JP2022188663A (ja) * 2021-06-09 2022-12-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時計及び時計ケース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47612B (en) * 1983-09-29 1986-10-22 Suwa Seikosha Kk Method of producing timepiece dial
US4775964A (en) 1988-01-11 1988-10-04 Timex Corporation Electroluminescent dial for an analog watch and process for making it
US5265071A (en) * 1993-02-02 1993-11-23 Timex Corporation Electroluminescent watch dial support and connector assembly
JP2896980B2 (ja) * 1994-10-27 1999-05-31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El表示装置およびこのel表示装置を用いた発光文字板
US5513153A (en) * 1995-02-13 1996-04-30 Timex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indicia on electroluminescent timepiece dials and timepiece dials produced thereby
US5734627A (en) * 1996-11-27 1998-03-31 Timex Corporation Silhouette image on illuminated watch d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2377A (zh) 1999-03-31
CN1144066C (zh) 2004-03-31
KR19990029949A (ko) 1999-04-26
JPH1195698A (ja) 1999-04-09
TW372306B (en) 1999-10-21
US6208591B1 (en) 2001-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3648B1 (ko) 발광장치,시계,전자기기,발광장치의제조방법
TWI306968B (en) Display device
US6663252B1 (en) Automotive display panel
JP3611965B2 (ja) 時計用文字板
US7347619B2 (en) Watch assembly having a dial integrally formed in the watch-glass
JP2016170399A (ja) 夜光性装飾物
JP2010020047A (ja) 照明式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TW463074B (en) Dial for timepiece and timepiece
JPH0743477A (ja) 時計用夜光文字板構造
KR100246699B1 (ko) 발광장치 및 발광장치를 구비한 시계
JP3743885B2 (ja) 表示部材、時計および電子機器
JP3563175B2 (ja) El照明付き複合表示時計
JPH07128458A (ja) 時計用文字板構造
JPH10206560A (ja) 化粧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化粧部材を用いた時 計装置
JP2018040698A (ja) 指針、指針表示装置及び時計
JP2003248445A (ja) 光透過型金属部材、これを用いた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3853626B2 (ja) 光透過型金属調表示板の製造方法
JP2005031641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3651190B2 (ja) 表示装置及び時計
JP2002023670A (ja) 光透過性表示板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表示機器
US20080062821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n electroluminescence lens mask
JP3639913B2 (ja) 電子機器
JP5029241B2 (ja) 電子機器
JP2002098776A (ja) 時計用文字板および時計
JP2003295794A (ja) 装飾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