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1894B1 -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및메모리 테스트 방법 - Google Patents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및메모리 테스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1894B1
KR100281894B1 KR1019980023919A KR19980023919A KR100281894B1 KR 100281894 B1 KR100281894 B1 KR 100281894B1 KR 1019980023919 A KR1019980023919 A KR 1019980023919A KR 19980023919 A KR19980023919 A KR 19980023919A KR 100281894 B1 KR100281894 B1 KR 100281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memory
logic
main control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292A (ko
Inventor
원종학
박상봉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70031321A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09056A/ko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ublication of KR19990007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8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18Address generation devices; Devices for accessing memories, e.g. details of address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10Aspects relating to interfaces of memory device to external buses
    • G11C2207/105Aspects related to pads, pins or terminals

Landscapes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및 메모리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및 제2 메모리들,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 신호들이 입력되는 패드,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로 입력되거나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인가되는 다른 패드, 로직,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및 상기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 및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상기 로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에 연결되는 것을 제어하는 테스트 제어 신호들이 입력되는 두 개의 패드들을 구비한다. 상기 로직은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는 상기 패드와 상기 다른 패드와 상기 로직 및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에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을 테스트할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과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은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에 전달되고 정상 동작을 할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과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은 상기 로직으로 전달된다.

Description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및 메모리 테스트 방법
본 발명은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에 내장된 메모리를 테스트하기 위한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및 메모리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로직/메모리 복합 반도체 장치는 반도체 장치를 이용하는 시스템의 경박단소, 고성능화, 저전력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메모리, 예컨대 디램(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에스램(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과 상기 메모리에 맞는 로직을 하나의 칩에 구현한 것을 말한다.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내장된 메모리의 테스트는 패드를 통하여 실행되었다. 그러나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에 내장된 메모리는 패드를 통하여는 테스트될 수가 없다. 왜냐하면,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에 내장된 메모리는 상기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에 내장된 로직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에 내장된 메모리의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패드가 필요하다. 하지만, 패드의 수가 많아지게되면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그로 인하여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제조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메모리 용량이 증가하면 할수록 테스트 타임도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메모리 테스트 타임이 증가하면 반도체 장치의 제조비가 증가하므로 메모리 용량이 점차 증가되고있는 추세에 비추어볼 때, 큰 용량의 메모리를 갖는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타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테스트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패드를 이용하여 내장된 메모리를 테스트할 수 있는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복수개의 디램 뱅크를 갖는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테스트 타임이 감소되는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의 회로도.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의 회로도.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의 회로도.
도 7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제1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의 회로도.
도 8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제2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의 회로도.
도 9는 일반적인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블록도.
도 10은 상기 도 9에 도시된 메모리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테스트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및 제2 메모리들과,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 신호들이 입력되는 패드와,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로 입력되거나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인가되는 다른 패드와,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을 제어하는 로직과, 상기 패드와 상기 다른 패드와 상기 로직 및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에 연결된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및 상기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 및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상기 로직으로 전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에 전달되는 것을 제어하는 테스트 제어 신호들이 입력되는 두 개의 패드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을 테스트할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과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에 전달하고 정상 동작을 할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과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로직으로 전달하는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로직과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 사이에 연결된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 및 상기 로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 신호들을 전달하는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와,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 및 상기 로직으로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 및 상기 로직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외부로 전달하는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에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1 및 제2 테스트 제어 신호의 조합에 의해 적어도 세 개의 주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여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이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 및 상기 로직으로 전달되는 여부와,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 및 상기 로직으로 전달되는 여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 및 상기 로직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외부로 전달되는 여부를 제어하는 주 제어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주 제어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1 및 제2 테스트 제어 신호들이 모두 인액티브일 때는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의 출력은 상기 제1 메모리 수단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1 테스트 제어 신호가 액티브이고 제2 테스트 제어 신호는 인액티브일 때는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의 출력은 상기 제2 메모리 수단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1 테스트 제어 신호가 인액티브이고 제2 테스트 제어 신호는 액티브일 때는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의 출력은 상기 로직으로 전달되도록하는 발생부이다.
또 바람직하기는,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을 입력으로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들을 입력으로하고 그 출력들 중 하나는 상기 로직으로 전달하는 논리 게이트, 및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과 상기 로직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 또는 상기 로직의 출력을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로 전달하는 메모리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는, 상기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인가되는 입출력 버퍼와, 상기 입출력 버퍼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들을 입력으로하고 그 출력들 중 하나는 상기 로직으로 전달하는 논리 게이트와,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과 상기 로직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 또는 상기 로직의 출력을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로 전달하는 메모리 제어부와,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과 상기 로직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 또는 상기 로직의 출력을 상기 입출력 버퍼로 전달하는 출력 제어부, 및 상기 주 제어 신호들과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입력으로하고 그 출력은 상기 입출력 버퍼로 전달되며 그 출력이 액티브이면 상기 출력 제어부의 출력이 상기 입출력 버퍼를 통과하고 그 출력이 인액티브이면 상기 출력 제어부의 출력이 상기 입출력 버퍼를 통과하지못하게하는 출력 버퍼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로직과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 사이에 연결된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 및 상기 로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 신호들을 전달하는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와, 상기 제1 메모리 수단 및 상기 로직으로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메모리 수단 및 상기 로직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외부로 전달하는 제1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와, 상기 제2 메모리 수단 및 상기 로직으로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메모리 수단 및 상기 로직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외부로 전달하는 제2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에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테스트 제어 신호의 조합에 의해 메모리 주 제어 신호와 로직 주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주 제어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가 액티브이면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과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로 전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로부터 발생한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외부로 전달되고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가 인액티브이면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 또는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모두 상기 로직으로 전달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주 제어 신호 발생부는 상기 테스트 제어 신호들이 액티브일 때는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를 액티브시키고 상기 테스트 제어 신호가 인액티브일 때는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를 액티브시킨다.
또 바람직하기는,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을 입력으로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 및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하고 그 출력들 중 하나는 상기 로직으로 전달되는 논리 게이트, 및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과 상기 로직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와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 또는 상기 로직의 출력을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로 전달하는 메모리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는, 상기 제1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인가되는 제1 입출력 버퍼와, 상기 제1 입출력 버퍼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와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하고 그 출력들 중 하나는 상기 로직으로 전달하는 제1 논리 게이트와, 상기 제1 논리 게이트의 출력과 상기 로직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와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논리 게이트의 출력 또는 상기 로직의 출력을 상기 제1 메모리 수단으로 전달하는 제1 메모리 제어부와, 상기 제1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과 상기 로직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와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 또는 상기 로직의 출력을 상기 제1 입출력 버퍼로 전달하는 제1 출력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와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 및 상기 제1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를 입력으로하고 그 출력은 상기 제1 입출력 버퍼로 전달하는 제1 출력 버퍼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출력 버퍼 제어부의 출력이 액티브이면 상기 제1 출력 제어부의 출력이 상기 제1 입출력 버퍼를 통과하고 상기 제1 출력 버퍼 제어부의 출력이 인액티브이면 상기 제1 출력 제어부의 출력이 상기 제1 입출력 버퍼를 통과하지못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를 제공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와 연결되는 내장 셀프 테스트부와 복수개의 디램 뱅크들을 갖는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가 상기 복수개의 디램 뱅크들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데이터 기입 단계, 및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가 상기 복수개의 디램 뱅크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데이터 독출 단계를 구비하는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데이터 기입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디램 뱅크들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가 상기 복수개의 디램 뱅크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가 상기 복수개의 디램 뱅크들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디램 뱅크들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외부로부터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가 상기 복수개의 디램 뱅크를 활성화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독출 단계는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가 상기 디램 뱅크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디램 뱅크들을 프리차지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패드를 이용하여 내장된 메모리를 테스트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내장된 메모리를 테스트하는데 제조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지않으며, 메모리 테스트 타임이 감소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5)는 패드들(7,8,9,10),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13), 로직(15), 제1 메모리(17) 및 제2 메모리(19)를 구비한다.
상기 패드들(7,8,9,10)에 상기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13)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13)에 상기 로직(15)과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17,19)이 연결된다.
상기 패드들(8)에는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17,19)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 신호들(PC)이 인가되고, 상기 패드들(9,10)에는 상기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13)를 제어하는 테스트 제어 신호들(TESTMD0,TESTMD1)이 인가되며, 상기 패드(7)에는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17,19)로 입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DQi)이 인가된다. 상기 패드들(7,8)은 상기 로직(15)과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17,19)을 사용하기 위해 기존에 존재하는 패드들이고, 상기 패드들(9,10)은 상기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13)를 외부에서 제어하기 위해 추가한 패드들이다.
상기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5)의 제1 및 제2 메모리들(17,19)의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해서 상기 패드들(7,8,9,10)에 메모리 테스터(Memory Tester)(도시안됨)가 연결된다. 상기 메모리 테스터(도시안됨)는 상기 패드들(7,8)을 통해서 상기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13)에 메모리 제어 신호(PC) 및 메모리 데이터 신호(DQi)를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테스트 제어 신호들(TESTMD0,TESTMD1)의 조합을 통하여 상기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13)를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17,19)을 테스트할 경우, 상기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13)는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PC) 및 메모리 데이터 신호(DQi)를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17,19)에 인가한다.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17,19)은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PC) 및 메모리 데이터 신호(DQi)를 받아서 동작한 다음 그 결과를 상기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13)로 전달한다. 상기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13)는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17,19)의 출력을 상기 패드들(7,8)을 통해서 상기 메모리 테스터(도시안됨)로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 테스터(도시안됨)는 상기 패드들(7,8)을 통해서 전달된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17,19)의 기능을 판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17,19)을 테스트하지 않고 상기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5)가 정상 동작을 수행할 경우, 상기 테스트 제어 신호(TESTMD0,TESTMD1)의 조합에 의해 상기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13)의 일부는 동작하지 않는다. 상기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5)가 정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패드들(7,8)에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PC)와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DQi)이 인가되면 이들은 상기 로직(15)으로 입력되고, 상기 로직(15)은 상기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13)를 통해서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17,19)을 제어한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두 개의 메모리들을 갖는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메모리가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인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5)는 기존의 패드들(7,8)을 이용하여 내장된 제1 및 제2 메모리들(17,19)을 테스트할 수가 있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13)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번호들 중 도 1과 동일한 번호는 도 1과 동일한 소자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113)는 주 제어 신호 발생(23)부,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25) 및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27)를 구비한다.
상기 주 제어 신호 발생부(23)는 상기 테스트 제어 신호들(TESTMD0, TESTMD1)이 입력단에 인가되고,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25)와 상기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27)에 출력단이 연결된다. 상기 주 제어 신호 발생부(23)는 상기 테스트 제어 신호들(TESTMD0, TESTMD1)에 응답하여 주 제어 신호들(MEMTEST1, MEMTEST2, NORMAL)을 발생한다. 예컨대, 상기 주 제어 신호 발생부(23)는 다음 표 1과 같은 진리치를 갖는다.
기능 TESTMD0 TESTMD1 주 제어 신호
제1 메모리 뱅크 테스트 'L' 'L' MEMTEST1
제2 메모리 뱅크 테스트 'H' 'L' MEMTEST2
정상 동작 'L' 'H' NORMAL
'H' 'H' 현상 유지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테스트 제어 신호들(TESTMD0, TESTMD1)이 모두 논리 로우('L')로 인액티브(inactive)이면 주 제어 신호(MEMTEST1)가 액티브(ACTIVE)되어 제1 메모리(도 1의 17)가 테스트되고, 테스트 제어 신호(TESTMD0)가 논리 하이('H')로 액티브이고 테스트 제어 신호(TESTMD1)가 논리 로우('L')이면 주 제어 신호(MEMTEST2)가 액티브되어 제2 메모리(도 1의 19)가 테스트된다. 또, 테스트 제어 신호(TESTMD0)가 논리 로우('L')이고 테스트 제어 신호(TESTMD1)가 논리 하이('H')이면 신호(NORMAL)가 액티브되어 정상 동작으로서 상기 로직(도 1의 15)이 동작하게 된다. 상기 테스트 제어 신호들(TESTMD0,TESTMD1)이 모두 논리 로우('L')이면 이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25)는 상기 패드(8)를 통해서 인가되는 메모리 제어 신호(PC)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MEMTEST1,MEMTEST2,NORMAL)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PC)를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도 1의 17,19)과 상기 로직(도 1의 15)으로 전달한다.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PC)로는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RASB), 칼럼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CASB), 쓰기 인에이블 신호(WEB), 출력 인에이블 신호(OEB), 어드레스 신호(Ai) 등이 있다.
상기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27)는 상기 패드(7)를 통해서 인가되는 메모리데이터 신호(DQi)를 입력으로하고, 주 제어 신호들(MEMTEST1,MEMTEST2,NORMAL)에 의해 제어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DQi)를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도 1의 17,19) 또는 상기 로직(도 1의 15)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도 1의 17,19) 또는 상기 로직(도 1의 15)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DQi)를 상기 패드(7)로 전달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는 메모리가 두 개일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메모리가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일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113)는 기존의 패드들(도 1의 7,8)을 이용하여 로직(도 1의 15)을 통하지 않고도 제1 및 제2 메모리들(도 1의 17,19)을 테스트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25)의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25)는 버퍼(31), 논리 게이트(33) 및 메모리 제어부(35)를 구비한다.
상기 버퍼(31)는 메모리 제어 신호(PC)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논리 게이트(33)에 그 출력을 전달한다. 상기 버퍼(31)는 메모리 제어 신호(PC)의 전압 레벨을 변환시킨다. 예컨대 TTL(Transistor Transistor Logic) 레벨의 전압을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레벨의 전압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논리 게이트(33)는 상기 버퍼(31)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메모리 제어부(35)에 그 출력을 전달한다. 상기 논리 게이트(33)는 제1 내지 제3 앤드(AND) 게이트들(33a,33b,33c)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앤드 게이트(33a)는 상기 버퍼(31)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MEMTEST1)를 입력으로한다. 상기 제1 앤드 게이트(33a)는 상기 버퍼(31)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MEMTEST1) 중 어느 하나라도 논리 로우이면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버퍼(31)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MEMTEST1)가 모두 논리 하이이면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2 앤드 게이트(33b)는 상기 버퍼(31)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NORMAL)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로직(도 1의 15)에 그 출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2 앤드 게이트(33b)는 상기 버퍼(31)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NORMAL) 중 어느 하나라도 논리 로우이면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버퍼(31)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NORMAL)가 모두 논리 하이이면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3 앤드 게이트(33c)는 상기 버퍼(31)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MEMTEST2)를 입력으로한다. 상기 제3 앤드 게이트(33b)는 상기 버퍼(31)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MEMTEST2) 중 어느 하나라도 논리 로우이면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버퍼(31)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MEMTEST2)가 모두 논리 하이이면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메모리 제어부(35)는 제1 및 제2 멀티플렉서(35a,35b)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멀티플렉서(33a)로는 2입력 1출력 멀티플렉서를 사용한다. 상기 제1 멀티플렉서(33a)는 상기 제1 앤드 게이트(33a)의 출력과 상기 로직(도 1의 15)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NORMAL, MEMTEST1)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1 앤드 게이트(33a)의 출력과 상기 로직(도 1의 15)의 출력을 상기 제1 메모리(도 1의 17)에 전달한다. 즉, 상기 제1 멀티플렉서(35a)는 상기 주 제어 신호(NORMAL)가 액티브이면 상기 로직(도 1의 15)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1 메모리(도 1의 17)로 전달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MEMTEST1)가 액티브이면 상기 제1 앤드 게이트(33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1 메모리(도 1의 17)로 전달한다.
상기 제2 멀티플렉서(35b)로는 2입력 1출력 멀티플렉서를 사용한다. 상기 제2 멀티플렉서(35b)는 상기 제3 앤드 게이트(33c)의 출력과 상기 로직(도 1의 15)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NORMAL, MEMTEST2)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3 앤드 게이트(33c)의 출력과 상기 로직(도 1의 15)의 출력을 상기 제2 메모리(도 1의 19)에 전달한다. 즉, 상기 제2 멀티플렉서(35b)는 상기 주 제어 신호(NORMAL)가 액티브이면 상기 로직(도 1의 15)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2 메모리(도 1의 19)로 전달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MEMTEST2)가 액티브이면 상기 제3 앤드 게이트(33c)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2 메모리(도 1의 19)로 전달한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27)의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27)는 입출력 버퍼(41), 논리 게이트(43), 메모리 제어부(45), 출력 제어부(47), 출력 버퍼 제어부(49)를 구비한다.
상기 입출력 버퍼(41)는 입력 버퍼(41a)와 출력 버퍼(41b)를 구비한다.
상기 입력 버퍼(41a)는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DQi)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논리 게이트(43)에 그 출력을 전달한다. 상기 입력 버퍼(41a)는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DQi)의 전압 레벨을 변환시킨다. 예컨대, TTL 레벨의 전압을 CMOS 레벨의 전압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출력 버퍼(41b)는 상기 출력 버퍼 제어부(49)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출력 제어부(47)의 출력을 외부로 전달한다. 즉, 상기 출력 버퍼(41b)는 상기 출력 버퍼 제어부(49)의 출력이 액티브이면 활성화되어 상기 출력 제어부(47)의 출력을 외부로 전달하고, 상기 출력 버퍼 제어부(49)의 출력이 인액티브이면 비활성화되어 상기 출력 제어부(47)의 출력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논리 게이트(43)는 상기 입력 버퍼(41a)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메모리 제어부(45)에 그 출력을 전달한다. 상기 논리 게이트(43)는 제1 내지 제3 앤드 게이트들(43a,43b,43c)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앤드 게이트(43a)는 상기 입력 버퍼(41a)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MEMTEST1)를 입력으로하고 그 출력은 상기 메모리 제어부(45)로 전달한다. 상기 제1 앤드 게이트(43a)는 상기 입력 버퍼(41a)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MEMTEST1) 중 어느 하나라도 논리 로우이면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 버퍼(41a)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MEMTEST1)가 모두 논리 하이이면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2 앤드 게이트(43b)는 상기 입력 버퍼(41a)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NORMAL)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로직(도 1의 15)에 그 출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2 앤드 게이트(43b)는 상기 입력 버퍼(41a)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NORMAL) 중 어느 하나라도 논리 로우이면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 버퍼(41a)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NORMAL)가 모두 논리 하이이면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3 앤드 게이트(43c)는 상기 입력 버퍼(41a)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MEMTEST2)를 입력으로하고 그 출력은 상기 메모리 제어부(45)로 전달한다. 상기 제3 앤드 게이트43c)는 상기 입력 버퍼(41a)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MEMTEST2) 중 어느 하나라도 논리 로우이면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 버퍼(41a)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MEMTEST2)가 모두 논리 하이이면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메모리 제어부(45)는 제1 및 제2 멀티플렉서(45a,45b)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멀티플렉서(45a)로는 2입력 1출력 멀티플렉서를 사용한다. 상기 제1 멀티플렉서(45a)는 상기 제1 앤드 게이트(43a)의 출력과 상기 로직(도 1의 15)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NORMAL, MEMTEST1)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1 앤드 게이트(43a)의 출력과 상기 로직(도 1의 15)의 출력을 상기 제1 메모리(도 1의 17)로 전달한다. 즉, 상기 제1 멀티플렉서(45a)는 상기 주 제어 신호(NORMAL)가 액티브이면 상기 로직(도 1의 15)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1 메모리(도 1의 17)로 전달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MEMTEST1)가 액티브이면 상기 제1 앤드 게이트(43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1 메모리(도 1의 17)로 전달한다.
상기 제2 멀티플렉서(45b)로는 2입력 1출력 멀티플렉서를 사용한다. 상기 제2 멀티플렉서(45b)는 상기 제3 앤드 게이트(43c)의 출력과 상기 로직(도 1의 15)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NORMAL, MEMTEST2)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3 앤드 게이트(43c)의 출력과 상기 로직(도 1의 15)의 출력을 상기 제2 메모리(도 1의 19)에 전달한다. 즉, 상기 제2 멀티플렉서(45b)는 상기 주 제어 신호(NORMAL)가 액티브이면 상기 로직(도 1의 15)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2 메모리(도 1의 19)로 전달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MEMTEST2)가 액티브이면 상기 제3 앤드 게이트(43c)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2 메모리(도 1의 19)로 전달한다.
상기 출력 제어부(47)는 상기 로직(도 1의 15)과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도 1의 17,1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출력 버퍼(41b)로 그 출력을 전달한다. 상기 출력 제어부(47)로는 3입력 1출력 멀티플렉서를 이용한다. 상기 출력 제어부(47)는 상기 주 제어 신호들(NORMAL, MEMTEST1, MEMTEST2)에 의해 제어된다. 즉, 상기 출력 제어부(47)는 상기 주 제어 신호(NORMAL)가 액티브이면 상기 로직(도 1의 15)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출력 버퍼(41b)로 전달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MEMTEST1)가 액티브이면 상기 제1 메모리(도 1의 1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출력 버퍼(41b)로 전달하며, 상기 주 제어 신호(MEMTEST2)가 액티브이면 상기 제2 메모리(도 1의 1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출력 버퍼(41b)로 전달한다.
상기 출력 버퍼 제어부(49)는 제1 내지 제3 오아 게이트(OR Gate)들(49a,49b,49d)과 제4 앤드 게이트(49c) 및 낸드 게이트(NAND Gate)(49e)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오아 게이트(49a)는 상기 주 제어 신호들(MEMTEST1,MEMTEST2)을 입력으로한다. 상기 제1 오아 게이트(49a)는 상기 주 제어 신호들(MEMTEST1, MEMTEST2) 중 어느 하나라도 논리 하이이면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MEMTEST1, MEMTEST2)이 모두 논리 로우이면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2 오아 게이트(49b)는 상기 제1 메모리(도 1의 17)로부터 발생되는 제1 출력 버퍼 인에이블 신호(TRST1)와 상기 제2 메모리(도 1의 19)로부터 발생되는 제2 출력 버퍼 인에이블 신호(TRST2)를 입력으로한다. 상기 제2 오아 게이트(49b)는 상기 제1 출력 버퍼 인에이블 신호(TRST1)와 상기 제2 출력 버퍼 인에이블 신호(TRST2) 중 어느 하나라도 논리 하이이면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출력 버퍼 인에이블 신호(TRST1)와 상기 제2 출력 버퍼 인에이블 신호(TRST2)가 모두 논리 로우이면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4 앤드 게이트(49c)는 상기 제1 오아 게이트(49a)의 출력과 상기 제2 오아 게이트(49b)의 출력을 입력으로한다. 상기 제4 앤드 게이트(49c)는 상기 제1 오아 게이트(49a)의 출력과 상기 제2 오아 게이트(49b)의 출력 중 어느 하나라도 논리 로우이면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오아 게이트(49a)의 출력과 상기 제2 오아 게이트(49b)의 출력이 모두 논리 하이이면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3 오아 게이트(49d)는 상기 제4 앤드 게이트(49c)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NORMAL)를 입력으로한다. 상기 제3 오아 게이트(49d)는 상기 제4 앤드 게이트(49c)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NORMAL) 중 어느 하나라도 논리 하이이면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4 앤드 게이트(49c)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NORMAL)가 모두 논리 로우이면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낸드 게이트(49e)는 상기 제3 오아 게이트(49d)의 출력과 전원 전압(VCC)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출력 버퍼(41b)의 제어단에 그 출력을 전달한다. 상기 낸드 게이트(49e)는 상기 제3 오아 게이트(49d)의 출력을 그대로 상기 출력 버퍼(41b)의 제어단에 전달한다. 즉, 상기 낸드 게이트(49e)는 상기 제3 오아 게이트(49d)의 출력이 논리 하이이면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3 오아 게이트(49d)의 출력이 논리 로우이면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낸드 게이트(49e)의 출력이 논리 로우 즉, 액티브이면 상기 출력 버퍼(41b)는 활성화되고, 상기 낸드 게이트(49e)의 출력이 논리 하이 즉, 인액티브이면 상기 출력 버퍼(41b)는 비활성화된다.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13)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번호들 중 도 1과 동일한 번호는 도 1과 동일한 소자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213)는 주 제어 신호 발생부(51),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53), 제1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55) 및 제2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57)를 구비한다.
상기 주 제어 신호 발생부(51)는 상기 패드(9)를 통해서 인가되는 테스트 제어 신호(TESTMD0)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53)와 상기 제1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55) 및 상기 제2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57)에 그 출력을 전달한다. 상기 주 제어 신호 발생부(51)는 상기 테스트 제어 신호(TESTMD0)에 응답하여 주 제어 신호들, 즉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와 로직 주 제어 신호(NORMAL)를 발생한다. 예컨대, 상기 주 제어 신호 발생부(51)는 다음 표 2와 같은 진리치를 갖는다.
기능 TESTMD0 주 제어 신호
제1 및 제2 메모리 뱅크 테스트 'L' MEMTEST
정상 동작 'H' NORMAL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테스트 제어 신호(TESTMD0)가 논리 로우('L')이면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가 액티브되어 제1 및 제2 메모리들(도 1의 17,19)이 테스트되고, 테스트 제어 신호(TESTMD0)가 논리 하이('H')이면 로직 주 제어 신호(NORMAL)가 액티브되어 정상 동작으로서 상기 로직(도 1의 15)이 동작하게 된다.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53)는 상기 패드(8)를 통해서 인가되는 메모리 제어 신호(PC)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MEMTEST,NORMAL)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PC)를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도 1의 17,19) 또는 상기 로직(도 1의 15)으로 전달한다.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PC)로는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RASB), 칼럼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CASB), 쓰기 인에이블 신호(WEB), 출력 인에이블 신호(OEB), 어드레스 신호(Ai) 등이 있다.
상기 제1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55)는 상기 패드(7)를 통해서 인가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DQ1i)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MEMTEST,NORMAL)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DQ1i)를 상기 제1 메모리(도 1의 17) 또는 상기 로직(도 1의 15)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1 메모리(도 1의 17) 또는 상기 로직(도 1의 15)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DQ1i)를 상기 패드(7)외부로 전달한다.
상기 제2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57)는 상기 패드(7')를 통해서 인가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DQ2i)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MEMTEST,NORMAL)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DQ2i)를 상기 제2 메모리(도 1의 19) 또는 상기 로직(도 1의 15)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2 메모리(도 1의 19) 또는 상기 로직(도 1의 15)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DQ2i)를 상기 패드(7')로 전달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는 메모리가 두 개일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메모리가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일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213)는 기존의 패드들(7,8,7')을 이용하여 로직(도 1의 15)을 통하지 않고도 제1 및 제2 메모리들(도 1의 17,19)을 동시에 테스트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53)의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53)는 버퍼(61), 논리 게이트(63) 및 메모리 제어부(65)를 구비한다.
상기 버퍼(61)는 메모리 제어 신호(PC)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논리 게이트(63)에 그 출력을 전달한다. 상기 버퍼(61)는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PC)의 전압 레벨을 변환시킨다. 예컨대 TTL 레벨의 전압을 CMOS 레벨의 전압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논리 게이트(63)는 상기 버퍼(61)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메모리 제어부(65)에 그 출력을 전달한다. 상기 논리 게이트(63)는 제1 내지 제3 앤드(AND) 게이트들(63a,63b,63c)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앤드 게이트(63a)는 상기 버퍼(61)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를 입력으로한다. 상기 제1 앤드 게이트(63a)는 상기 버퍼(61)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 중 어느 하나라도 논리 로우이면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버퍼(61)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가 모두 논리 하이이면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2 앤드 게이트(63b)는 상기 버퍼(61)의 출력과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NORMAL)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로직(도 1의 15)에 그 출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2 앤드 게이트(63b)는 상기 버퍼(61)의 출력과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NORMAL) 중 어느 하나라도 논리 로우이면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버퍼(61)의 출력과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NORMAL)가 모두 논리 하이이면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3 앤드 게이트(63c)는 상기 버퍼(61)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를 입력으로한다. 상기 제3 앤드 게이트(63c)는 상기 버퍼(61)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 중 어느 하나라도 논리 로우이면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버퍼(61)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가 모두 논리 하이이면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메모리 제어부(65)는 제1 및 제2 멀티플렉서(65a,65b)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멀티플렉서로(65a)는 2입력 1출력 멀티플렉서를 사용한다. 상기 제1 멀티플렉서(65a)는 상기 제1 앤드 게이트(63a)의 출력과 상기 로직(도 1의 15)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NORMAL, MEMTEST)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1 앤드 게이트(63a)의 출력과 상기 로직(도 1의 15)의 출력을 상기 제1 메모리(도 1의 17)에 전달한다. 즉, 상기 제1 멀티플렉서(65a)는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NORMAL)가 액티브이면 상기 로직(도 1의 15)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1 메모리(도 1의 17)로 전달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가 액티브이면 상기 제1 앤드 게이트(63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1 메모리(도 1의 17)로 전달한다.
상기 제2 멀티플렉서(63b)로는 2입력 1출력 멀티플렉서를 사용한다. 상기 제2 멀티플렉서(63b)는 상기 제3 앤드 게이트(63c)의 출력과 상기 로직(도 1의 15)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NORMAL, MEMTEST)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3 앤드 게이트(53c)의 출력과 상기 로직(도 1의 15)의 출력을 상기 제2 메모리(도 1의 19)에 전달한다. 즉, 상기 제2 멀티플렉서(65b)는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NORMAL)가 액티브이면 상기 로직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2 메모리(도 1의 19)로 전달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가 액티브이면 상기 제3 앤드 게이트(63c)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2 메모리(도 1의 19)로 전달한다.
도 7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제1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55)의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55)는 제1 입출력 버퍼(71), 제1 논리 게이트(73), 제1 메모리 제어부(75), 제1 출력 제어부(77) 및 제1 출력 버퍼 제어부(79)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입출력 버퍼(71)는 제1 입력 버퍼(71a)와 제1 출력 버퍼(71b)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입력 버퍼(71a)는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DQ1i)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제1 논리 게이트(73)에 그 출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1 입력 버퍼(71a)는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DQ1i)의 전압 레벨을 변환시킨다. 예컨대, TTL 레벨의 전압을 CMOS 레벨의 전압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제1 출력 버퍼(71b)는 상기 제1 출력 버퍼 제어부(79)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1 출력 제어부(77)의 출력을 외부로 전달한다. 즉, 상기 제1 출력 버퍼(71b)는 상기 제1 출력 버퍼 제어부(79)의 출력이 액티브이면 활성화되어 상기 제1 출력 제어부(77)의 출력을 외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1 출력 버퍼 제어부(79)의 출력이 인액티브이면 비활성화되어 상기 제1 출력 제어부(77)의 출력을 외부로 전달하지않는다.
상기 제1 논리 게이트(73)는 상기 제1 입력 버퍼(71a)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제1 메모리 제어부(75)에 그 출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1 논리 게이트(73)는 제1 및 제2 앤드 게이트들(73a,73b)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앤드 게이트(73a)는 상기 제1 입력 버퍼(71a)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를 입력으로한다. 상기 제1 앤드 게이트(73a)는 상기 제1 입력 버퍼(71a)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 중 어느 하나라도 논리 로우이면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입력 버퍼(71a)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가 모두 논리 하이이면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2 앤드 게이트(73c)는 상기 제1 입력 버퍼(71a)의 출력과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NORMAL)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로직(도 1의 15)에 그 출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2 앤드 게이트(73c)는 상기 제1 입력 버퍼(71a)의 출력과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NORMAL) 중 어느 하나라도 논리 로우이면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입력 버퍼(71a)의 출력과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NORMAL)의 출력이 모두 논리 하이이면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 메모리 제어부(75)는 2입력 1출력 멀티플렉서로 구성한다. 상기 제1 메모리 제어부(75)는 상기 제1 앤드 게이트(73a)의 출력과 상기 로직(도 1의 15)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NORMAL, MEMTEST)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1 앤드 게이트(73a)의 출력 또는 상기 로직(도 1의 15)의 출력을 상기 제1 메모리(도 1의 17)에 전달한다. 즉, 상기 제1 메모리 제어부(75)는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NORMAL)가 액티브이면 상기 로직(도 1의 15)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1 메모리(도 1의 17)로 전달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가 액티브이면 상기 제1 앤드 게이트(73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1 메모리(도 1의 17)로 전달한다.
상기 제1 출력 제어부(77)는 2입력 1출력 멀티플렉서로 구성한다. 상기 제2 출력 제어부(77)는 상기 로직(도 1의 15)과 상기 제1 메모리(도 1의 1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제1 출력 버퍼(71b)로 그 출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2 출력 제어부(77)는 상기 주 제어 신호들(NORMAL, MEMTEST)에 의해 제어된다. 즉, 상기 제1 출력 제어부(77)는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NORMAL)가 액티브이면 상기 로직(도 1의 15)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1 출력 버퍼(71b)로 전달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가 액티브이면 상기 제1 메모리(도 1의 1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1 출력 버퍼(71b)로 전달한다.
상기 제1 출력 버퍼 제어부(79)는 제3 앤드 게이트(79a)와 제1 오아 게이트(79c) 및 제1 낸드 게이트(79d)를 구비한다.
상기 제3 앤드 게이트(79a)는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와 상기 제1 출력 버퍼 인에이블 신호(TRST1)를 입력으로한다. 상기 제3 앤드 게이트(79a)는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와 상기 제1 출력 버퍼 인에이블 신호(TRST1) 중 어느 하나라도 논리 로우이면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와 상기 제1 출력 버퍼 인에이블 신호(TRST1)가 모두 논리 하이이면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 오아 게이트(79c)는 상기 제3 앤드 게이트(79a)의 출력과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NORMAL)를 입력으로한다. 상기 제1 오아 게이트(79c)는 상기 제3 앤드 게이트(79a)의 출력과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NORMAL) 중 어느 하나라도 논리 하이이면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상기 제3 앤드 게이트(79a)의 출력과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NORMAL)가 모두 논리 로우이면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 낸드 게이트(79d)는 상기 제1 오아 게이트(79c)의 출력과 전원 전압(VCC)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제1 출력 버퍼(71b)의 제어단에 그 출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1 낸드 게이트(79d)는 상기 제1 오아 게이트의 출력을 그대로 상기 제1 출력 버퍼(71b)의 제어단에 전달한다. 즉, 상기 제1 낸드 게이트(79d)는 상기 제1 오아 게이트(79c)의 출력이 논리 로우이면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오아 게이트(79c)의 출력이 논리 하이이면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 낸드 게이트(79d)의 출력이 논리 로우 즉, 액티브이면 상기 제1 출력 버퍼(71b)는 활성화되고, 상기 낸드 게이트(79d)의 출력이 논리 하이 즉, 인액티브이면 상기 제1 출력 버퍼(71b)는 비활성화된다.
도 8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제2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57)의 회로도이다.도 8을 참조하면, 제2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57)는 제2 입출력 버퍼(81), 제2 논리 게이트(83), 제2 메모리 제어부(85), 제2 출력 제어부(87) 및 제2 출력 버퍼 제어부(89)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입출력 버퍼(81)는 제2 입력 버퍼(81a)와 제2 출력 버퍼(81b)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입력 버퍼(81a)는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DQ2i)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제2 논리 게이트(83)에 그 출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2 입력 버퍼(81a)는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DQ1i)의 전압 레벨을 변환시킨다. 예컨대, TTL 레벨의 전압을 CMOS 레벨의 전압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제2 출력 버퍼(81b)는 상기 제2 출력 버퍼 제어부(89)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2 출력 제어부(87)의 출력을 외부로 전달한다. 즉, 상기 제2 출력 버퍼(81b)는 상기 제2 출력 버퍼 제어부(89)의 출력이 액티브이면 활성화되어 상기 제2 출력 제어부(87)의 출력을 외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2 출력 버퍼 제어부(89)의 출력이 인액티브이면 비활성화되어 상기 제2 출력 제어부(87)의 출력을 외부로 전달하지않는다.
상기 제2 논리 게이트(83)는 상기 제2 입력 버퍼(81a)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제2 메모리 제어부(85)에 그 출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2 논리 게이트(83)는 제4 및 제5 앤드 게이트들(83a,83b)을 구비한다.
상기 제4 앤드 게이트(83a)는 상기 제2 입력 버퍼(81a)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를 입력으로한다. 상기 제4 앤드 게이트(83a)는 상기 제2 입력 버퍼(81a)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 중 어느 하나라도 논리 로우이면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입력 버퍼(81a)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가 모두 논리 하이이면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5 앤드 게이트(83c)는 상기 제2 입력 버퍼(81a)의 출력과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NORMAL)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로직(도 1의 15)에 그 출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5 앤드 게이트(83c)는 상기 제2 입력 버퍼(81a)의 출력과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NORMAL) 중 어느 하나라도 논리 로우이면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입력 버퍼(81a)의 출력과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NORMAL)가 모두 논리 하이이면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2 메모리 제어부(85)는 2입력 1출력 멀티플렉서로 구성한다. 상기 제2 메모리 제어부(85)는 상기 제4 앤드 게이트(83a)의 출력과 상기 로직(도 1의 15)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NORMAL, MEMTEST)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4 앤드 게이트(83a)의 출력 또는 상기 로직(도 1의 15)의 출력을 상기 제2 메모리(도 1의 19)에 전달한다. 즉, 상기 제2 메모리 제어부(85)는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NORMAL)가 액티브이면 상기 로직(도 1의 15)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2 메모리(도 1의 19)로 전달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가 액티브이면 상기 제4 앤드 게이트(83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2 메모리(도 1의 19)로 전달한다.
상기 제2 출력 제어부(87)는 2입력 1출력 멀티플렉서로 구성한다. 상기 제2 출력 제어부(87)는 상기 로직(도 1의 15)과 상기 제2 메모리(도 1의 1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제2 출력 버퍼(81b)로 그 출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2 출력 제어부(87)는 상기 주 제어 신호들(NORMAL, MEMTEST)에 의해 제어된다. 즉, 상기 제2 출력 제어부(87)는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NORMAL)가 액티브이면 상기 로직(도 1의 15)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2 출력 버퍼(81b)로 전달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가 액티브이면 상기 제2 메모리(도 1의 1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2 출력 버퍼(81b)로 전달한다.
상기 제2 출력 버퍼 제어부(89)는 제6 앤드 게이트(89a)와 제2 오아 게이트(89c) 및 제2 낸드 게이트(89d)를 구비한다.
상기 제6 앤드 게이트(89a)는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와 상기 제2 출력 버퍼 인에이블 신호(TRST1)를 입력으로한다. 상기 제6 앤드 게이트(89a)는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와 상기 제2 출력 버퍼 인에이블 신호(TRST2) 중 어느 하나라도 논리 로우이면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MEMTEST)와 상기 제2 출력 버퍼 인에이블 신호(TRST2)가 모두 논리 하이이면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2 오아 게이트(89c)는 상기 제6 앤드 게이트(89a)의 출력과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NORMAL)를 입력으로한다. 상기 제2 오아 게이트(89c)는 상기 제6 앤드 게이트(89a)의 출력과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NORMAL) 중 어느 하나라도 논리 하이이면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상기 제6 앤드 게이트(89a)의 출력과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NORMAL)가 모두 논리 로우이면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2 낸드 게이트(89d)는 상기 제2 오아 게이트(89c)의 출력과 전원 전압(VCC)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제2 출력 버퍼(81b)의 제어단에 그 출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2 낸드 게이트(89d)는 상기 제2 오아 게이트의 출력을 그대로 상기 제2 출력 버퍼(81b)의 제어단에 전달한다. 즉, 상기 제2 낸드 게이트(89d)는 상기 제2 오아 게이트(89c)의 출력이 논리 로우이면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오아 게이트(89c)의 출력이 논리 하이이면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2 낸드 게이트(89d)의 출력이 논리 로우 즉, 액티브이면 상기 제2 출력 버퍼(81b)는 활성화되고, 상기 낸드 게이트(89d)의 출력이 논리 하이 즉, 인액티브이면 상기 제2 출력 버퍼(81b)는 비활성화된다.
도 9는 일반적인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911)는 내장 셀프 테스트부(913), 로직(915) 및 제1 및 제2 메모리들(917,919)을 구비한다.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913)는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917,919)의 기능을 테스트한다.
상기 로직(915)은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917,919)을 제어한다.
도 10은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에 대한 본 발명의 테스트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여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911)의 메모리에 대한 본 발명의 테스트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911)의 메모리에 대한 본 발명의 테스트 방법은 제1 메모리 활성화 단계(1001), 제2 메모리 활성화 단계(1011), 제1 메모리의 데이터 독출 단계(1021), 제2 메모리의 데이터 독출 단계(1031), 제1 메모리에 데이터 쓰기 단계(1041), 제2 메모리에 데이터 쓰기 단계(1051), 제1 메모리의 데이터 재독출 단계(1061), 제2 메모리의 데이터 재독출 단계(1071), 제1 메모리의 프리차지 단계(1081) 및 제2 메모리의 프리차지 단계(1091)를 구비한다.
제1 메모리 활성화 단계(1001)에서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913)가 활성화되고, 그리고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913)는 상기 제1 메모리(917)를 활성화시킨다.
제2 메모리 활성화 단계(1011)에서는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913)가 상기 제2 메모리(919)를 활성화시킨다.
제1 메모리의 데이터 독출 단계(1021)에서는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913)가 상기 제1 메모리(917)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한다.
제2 메모리의 데이터 독출 단계(1031)에서는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913)가 상기 제2 메모리(919)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한다.
제1 메모리에 데이터 쓰기 단계(1041)에서는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913)가 상기 제1 메모리(917)에 '1' 또는 '0'의 데이터를 기입한다.
제2 메모리에 데이터 쓰기 단계(1051)에서는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913)가 상기 제2 메모리(919)에 '1' 또는 '0'의 데이터를 기입한다.
제1 메모리의 데이터 재독출 단계(1061)에서는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913)가 상기 제1 메모리(917)에 기입된 데이터를 독출한다.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913)는 상기 제1 메모리(917)가 정상적인 상태일 때의 가지고있는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913)는 제1 메모리(917)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상기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고 상기 독출된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와 다르면 에러 신호를 발생하여 외부로 전달한다.
제2 메모리의 데이터 재독출 단계(1071)에서는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913)가 상기 제2 메모리(919)에 기입된 데이터를 독출한다. 그리고,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913)는 상기 제2 메모리(919)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상기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고 상기 독출된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와 다르면 에러 신호를 발생하여 외부로 전달한다.
제1 메모리의 프리차지 단계(1081)에서는 상기 제1 메모리(917)에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메모리(917)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서 상기 제1 메모리(917)를 프리차지시킨다.
제2 메모리의 프리차지 단계(1091)에서는 상기 제2 메모리(919)에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메모리(919)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서 상기 제2 메모리(919)를 프리차지시킨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테스트 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917,919)에 대한 테스트를 인터리브(Interleave) 방식으로 진행한다.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917,919)이 16M 동기식 메모리라고 할 때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917,919)에 대한 테스트 사이클을 14N Y-마치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여기서, 데이터 버스는 64비트를 전송한다고 가정한다.
Test cycle = 데이터 포맷 × 스테이지 × 128K
= 2×6×128K
= 1,572,864 [사이클 타임]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917,919)에 대한 각 스테이지를 인터리브 방식으로 동시에 진행하기 위해서는 다음 표 3과 같이 11클럭이 소요된다.
1 2 3 4 5 6 7 8 9 10 11
제1 메모리 블럭 액티브 대기 대기 대기 독출 대기 쓰기 대기 재독출 프리차지 대기
제2 메모리 블럭 대기 대기 액티브 대기 대기 독출 대기 독출 대기 독출 프리차지
입력 데이터 제1 데이터 입력 제2 데이터 입력
출력 데이터 제1 데이터출력 제2 데이터 출력
따라서 제1 및 제2 메모리들(917,919)에 대한 전체 테스트 타임은 다음 수학식 2와 같다.
테스트 타임 = 1,572,864 × 11
= 17,301,504(cycle time)
수학식 2에 나타난 본 발명의 테스트 타임은 종래의 테스트 타임에 비해 약 55[%]밖에 안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테스트 타임은 종래의 메모리 테스트 타임에 비해 45[%]정도 단축된다.
메모리가 3개 이상인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에 대해서도 본 발명과 동일한 인터리브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메모리 테스트 타임이 대폭적으로 감소되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명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패드를 추가시키지 않고도 기존의 패드를 이용하여 내부 메모리를 테스트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제조 비용의 증가없이 내부 메모리를 테스트할 수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메모리들을 갖는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타임이 대폭적으로 감소된다.

Claims (39)

  1. 다수개의 메모리들;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들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 신호들이 입력되는 패드들;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들로 입력되거나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들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인가되는 다른 패드들;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들을 제어하는 로직;
    상기 패드들과 상기 다른 패드들과 상기 로직 및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들에 연결된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및
    상기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 및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상기 로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들에 연결되는 것을 제어하는 테스트 제어 신호들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들을 테스트할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과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들에 전달하고 정상 동작을 할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과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로직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
  2. 제1 및 제2 메모리들;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 신호들이 입력되는 패드;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로 입력되거나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인가되는 다른 패드;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을 제어하는 로직;
    상기 패드와 상기 다른 패드와 상기 로직 및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에 연결된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및
    상기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 및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상기 로직으로 전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에 전달되는 것을 제어하는 테스트 제어 신호들이 입력되는 두 개의 패드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을 테스트할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과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에 전달하고 정상 동작을 할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과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로직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는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을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 및 상기 로직으로 전달하는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 및 상기 로직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 및 상기 로직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다른 패드로 전달하는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이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 및 상기 로직으로 전달되는 여부와,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 및 상기 로직으로 전달되는 여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 및 상기 로직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상기 다른 패드로 전달되는 여부를 제어하는 주 제어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
  4. 로직과 다수개의 메모리 수단들 사이에 연결된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 수단들 및 상기 로직으로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 수단들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 신호들을 전달하는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 수단들 및 상기 로직으로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 수단들 및 상기 로직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외부로 전달하는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이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 수단들 및 상기 로직으로 전달되는 여부와,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 수단들 및 상기 로직으로 전달되는 여부, 및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 수단들 및 상기 로직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외부로 전달되는 여부를 제어하는 주 제어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5. 로직과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 사이에 연결된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 및 상기 로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들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 신호들을 전달하는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 및 상기 로직으로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 및 상기 로직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외부로 전달하는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에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1 및 제2 테스트 제어 신호의 조합에 의해 적어도 세 개의 주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여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이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 및 상기 로직으로 전달되는 여부와,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 및 상기 로직으로 전달되는 여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 및 상기 로직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외부로 전달되는 여부를 제어하는 주 제어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1 및 제2 테스트 제어 신호들이 모두 인액티브일 때는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의 출력을 상기 제1 메모리 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1 테스트 제어 신호가 액티브이고 제2 테스트 제어 신호는 인액티브일 때는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의 출력을 상기 제2 메모리 수단으로 전달하며, 상기 제1 테스트 제어 신호가 인액티브이고 제2 테스트 제어 신호는 액티브일 때는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의 출력을 상기 로직으로 전달하지않는 발생부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을 입력으로하는 버퍼;
    상기 버퍼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들을 입력으로하고 그 출력들 중 하나는 상기 로직으로 전달하는 논리 게이트; 및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과 상기 로직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 또는 상기 로직의 출력을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로 전달하는 메모리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게이트는
    상기 버퍼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들 중 하나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 중 하나가 논리 하이이면 상기 버퍼의 출력을 상기 메모리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 중 하나가 논리 로우이면 상기 버퍼의 출력을 차단시하는 제1 앤드 게이트;
    상기 버퍼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들 중 다른 하나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 중 다른 하나가 논리 하이이면 상기 버퍼의 출력을 상기 로직으로 전달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 중 다른 하나가 논리 로우이면 상기 버퍼의 출력을 차단하는 제2 앤드 게이트; 및
    상기 버퍼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들 중 또 다른 하나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 중 다른 하나가 논리 하이이면 상기 버퍼의 출력을 상기 메모리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 중 또 다른 하나가 논리 로우이면 상기 버퍼의 출력을 차단하는 제3 앤드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제어부는
    상기 로직의 출력과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로직의 출력 또는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을 상기 제1 메모리 수단으로 전달하는 제1 멀티플렉서; 및
    상기 로직의 출력과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로직의 출력 또는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을 상기 제2 메모리 수단으로 전달하는 제2 멀티플렉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인가되는 입출력 버퍼;
    상기 입출력 버퍼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들을 입력으로하고 그 출력들 중 하나는 상기 로직으로 전달하는 논리 게이트;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과 상기 로직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 또는 상기 로직의 출력을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로 전달하는 메모리 제어부;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과 상기 로직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 또는 상기 로직의 출력을 상기 입출력 버퍼로 전달하는 출력 제어부; 및
    상기 주 제어 신호들과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입력으로하고 그 출력은 상기 입출력 버퍼로 전달되며 그 출력이 액티브이면 상기 출력 제어부의 출력이 상기 입출력 버퍼를 통과하고 그 출력이 인액티브이면 상기 출력 제어부의 출력이 상기 입출력 버퍼를 통과하지못하게하는 출력 버퍼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버퍼는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를 상기 논리 게이트로 전달하는 입력 버퍼; 및
    상기 출력 버퍼 제어부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제어부의 출력을 외부로 전달하는 출력 버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게이트는
    상기 입출력 버퍼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들 중 하나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 중 하나가 논리 하이이면 상기 버퍼의 출력을 상기 메모리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 중 하나가 논리 로우이면 상기 버퍼의 출력을 차단시하는 제4 앤드 게이트;
    상기 버퍼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들 중 다른 하나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 중 다른 하나가 논리 하이이면 상기 버퍼의 출력을 상기 로직으로 전달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 중 다른 하나가 논리 로우이면 상기 버퍼의 출력을 차단하는 제5 앤드 게이트; 및
    상기 버퍼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들 중 또 다른 하나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 중 다른 하나가 논리 하이이면 상기 버퍼의 출력을 상기 메모리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 중 또 다른 하나가 논리 로우이면 상기 버퍼의 출력을 차단하는 제6 앤드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제어부는
    상기 로직의 출력과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로직의 출력 또는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을 상기 제1 메모리 수단으로 전달하는 제3 멀티플렉서; 및
    상기 로직의 출력과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로직의 출력 또는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을 상기 제2 메모리 수단으로 전달하는 제4 멀티플렉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 및 상기 로직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주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 또는 상기 로직의 출력을 상기 입출력 버퍼로 전달하는 멀티플렉서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버퍼 제어부는
    상기 주 제어 신호들 중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을 제어하는 신호들을 입력으로하는 제1 오아 게이트;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입력으로하는 제2 오아 게이트;
    상기 제1 오아 게이트와 상기 제2 오아 게이트의 출력을 입력으로하는 제7 앤드 게이트;
    상기 제7 앤드 게이트의 출력과 상기 주 제어 신호들 중 상기 로직을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으로하는 제3 오아 게이트; 및
    상기 제3 오아 게이트의 출력과 전원 전압을 입력으로하고 그 출력은 상기 입출력 버퍼로 전달하는 낸드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16. 로직과 다수개의 메모리 수단들 사이에 연결된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 수단들 및 상기 로직으로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 수단들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 신호들을 전달하는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 수단들의 각각 및 상기 로직으로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각각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 수단들의 각각 및 상기 로직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외부로 각각 전달하는 다수개의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들; 및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들에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이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 수단들 및 상기 로직으로 전달되는 여부와,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 수단들 및 상기 로직으로 전달되는 여부, 및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 수단들 및 상기 로직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외부로 전달되는 여부를 제어하는 주 제어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17. 로직과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 사이에 연결된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 및 상기 로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 신호들을 전달하는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
    상기 제1 메모리 수단 및 상기 로직으로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메모리 수단 및 상기 로직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외부로 전달하는 제1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
    상기 제2 메모리 수단 및 상기 로직으로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메모리 수단 및 상기 로직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을 외부로 전달하는 제2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에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테스트 제어 신호의 조합에 의해 메모리 주 제어 신호와 로직 주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주 제어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가 액티브이면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과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로 전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로부터 발생한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외부로 전달되고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가 인액티브이면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 또는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모두 상기 로직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 신호 발생부는
    상기 테스트 제어 신호들이 액티브일 때는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를 액티브시키고 상기 테스트 제어 신호가 인액티브일 때는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를 액티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들을 입력으로하는 버퍼;
    상기 버퍼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 및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하고 그 출력들 중 하나는 상기 로직으로 전달되는 논리 게이트; 및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과 상기 로직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와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 또는 상기 로직의 출력을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들로 전달하는 메모리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게이트는
    상기 버퍼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가 논리 하이이면 상기 버퍼의 출력을 상기 메모리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가 논리 로우이면 상기 버퍼의 출력을 차단하는 제1 앤드 게이트;
    상기 버퍼의 출력과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가 논리 하이이면 상기 버퍼의 출력을 상기 로직으로 전달하고,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가 논리 로우이면 상기 버퍼의 출력을 차단하는 제2 앤드 게이트; 및
    상기 버퍼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가 논리 하이이면 상기 버퍼의 출력을 상기 메모리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가 논리 로우이면 상기 버퍼의 출력을 차단하는 제3 앤드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제어부는
    상기 로직의 출력과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와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로직의 출력 또는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을 상기 제1 메모리 수단으로 전달하는 제1 멀티플렉서; 및
    상기 로직의 출력과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와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로직의 출력 또는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을 상기 제2 메모리 수단으로 전달하는 제2 멀티플렉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인가되는 제1 입출력 버퍼;
    상기 제1 입출력 버퍼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와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하고 그 출력들 중 하나는 상기 로직으로 전달하는 제1 논리 게이트;
    상기 제1 논리 게이트의 출력과 상기 로직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와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논리 게이트의 출력 또는 상기 로직의 출력을 상기 제1 메모리 수단으로 전달하는 제1 메모리 제어부;
    상기 제1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과 상기 로직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와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 또는 상기 로직의 출력을 상기 제1 입출력 버퍼로 전달하는 제1 출력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와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 및 상기 제1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를 입력으로하고 그 출력은 상기 제1 입출력 버퍼로 전달하는 제1 출력 버퍼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출력 버퍼 제어부의 출력이 액티브이면 상기 제1 출력 제어부의 출력이 상기 제1 입출력 버퍼를 통과하고 상기 제1 출력 버퍼 제어부의 출력이 인액티브이면 상기 제1 출력 제어부의 출력이 상기 제1 입출력 버퍼를 통과하지못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출력 버퍼는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1 논리 게이트로 전달하는 제1 입력 버퍼; 및
    상기 제1 출력 버퍼 제어부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출력 제어부의 출력을 외부로 전달하는 제1 출력 버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논리 게이트는
    상기 제1 입출력 버퍼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가 논리 하이이면 상기 제1 입출력 버퍼의 출력을 상기 제1 메모리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가 논리 로우이면 상기 제1 입출력 버퍼의 출력을 차단하는 제1 앤드 게이트; 및
    상기 제1 입출력 버퍼의 출력과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이 논리 하이이면 상기 제1 입출력 버퍼의 출력을 상기 로직으로 전달하고,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가 논리 로우이면 상기 제1 입출력 버퍼의 출력을 차단하는 제2 앤드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 제어부는
    상기 로직의 출력과 상기 제1 논리 게이트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와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로직의 출력 또는 상기 제1 논리 게이트의 출력을 상기 제 메모리 수단으로 전달하는 멀티플렉서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1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 및 상기 로직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와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 또는 상기 로직의 출력을 상기 제1 입출력 버퍼로 전달하는 멀티플렉서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버퍼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와 상기 제1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를 입력으로하는 제3 앤드 게이트;
    상기 제3 앤드 게이트의 출력과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하는 제1 오아 게이트; 및
    상기 제1 오아 게이트의 출력과 전원 전압을 입력으로하는 제1 낸드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2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모리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이 인가되는 제2 입출력 버퍼;
    상기 제2 입출력 버퍼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와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하고 그 출력들 중 하나는 상기 로직으로 전달하는 제2 논리 게이트;
    상기 제2 논리 게이트의 출력과 상기 로직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와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논리 게이트의 출력 또는 상기 로직의 출력을 상기 제2 메모리 수단으로 전달하는 제2 메모리 제어부;
    상기 제2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과 상기 로직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와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 또는 상기 로직의 출력을 상기 제2 입출력 버퍼로 전달하는 제2 출력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와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를 입력으로하고 그 출력은 상기 제2 입출력 버퍼로 전달하는 제2 출력 버퍼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출력 버퍼 제어부의 출력이 액티브이면 상기 제2 출력 제어부의 출력이 상기 제2 입출력 버퍼를 통과하고 상기 제2 출력 버퍼 제어부의 출력이 인액티브이면 상기 제2 출력 제어부의 출력이 상기 제2 입출력 버퍼를 통과하지못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출력 버퍼는
    상기 메모리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2 논리 게이트로 전달하는 제2 입력 버퍼; 및
    상기 제2 출력 버퍼 제어부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출력 제어부의 출력을 외부로 전달하는 제2 출력 버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논리 게이트는
    상기 제2 입출력 버퍼의 출력과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가 논리 하이이면 상기 제2 입출력 버퍼의 출력을 상기 제2 메모리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가 논리 로우이면 상기 제2 입출력 버퍼의 출력을 차단하는 제4 앤드 게이트; 및
    상기 제2 입출력 버퍼의 출력과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하고 상기 제2 인버터의 출력이 논리 하이이면 상기 제2 입출력 버퍼의 출력을 상기 로직으로 전달하고,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가 논리 로우이면 상기 제2 입출력 버퍼의 출력을 차단하는 제5 앤드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모리 제어부는
    상기 로직의 출력과 상기 제2 논리 게이트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와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로직의 출력 또는 상기 제2 논리 게이트의 출력을 상기 제 메모리 수단으로 전달하는 멀티플렉서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32.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2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 및 상기 로직의 출력을 입력으로하고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와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들 또는 상기 로직의 출력을 상기 제2 입출력 버퍼로 전달하는 멀티플렉서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33.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버퍼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주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신호를 입력으로하는 제6 앤드 게이트;
    상기 제6 앤드 게이트의 출력과 상기 로직 주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하는 제2 오아 게이트; 및
    상기 제2 오아 게이트의 출력과 전원 전압을 입력으로하는 제2 낸드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34. 외부와 연결되는 내장 셀프 테스트부와 복수개의 메모리들을 갖는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가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들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데이터 기입 단계; 및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가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데이터 독출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입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들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가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가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들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들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외부로부터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가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들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방법.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독출 단계는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가 상기 메모리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들을 프리차지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방법.
  3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입 단계에서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는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들에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방법.
  3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독출 단계에서
    상기 내장 셀프 테스트부는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들로부터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방법.
KR1019980023919A 1997-06-26 1998-06-24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및메모리 테스트 방법 KR100281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7603 1997-06-26
KR1019970027603 1997-06-26
KR19970027603 1997-06-26
KR31321 1997-07-07
KR1019970031321 1997-07-07
KR1019970031321A KR19990009056A (ko) 1997-07-07 1997-07-07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292A KR19990007292A (ko) 1999-01-25
KR100281894B1 true KR100281894B1 (ko) 2001-02-15

Family

ID=26632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919A KR100281894B1 (ko) 1997-06-26 1998-06-24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및메모리 테스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216240B1 (ko)
KR (1) KR1002818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6478B2 (ja) * 2000-03-28 2007-01-10 株式会社東芝 半導体集積回路
JP3502033B2 (ja) * 2000-10-20 2004-03-0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テスト回路
JP4339534B2 (ja) * 2001-09-05 2009-10-07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メモリチップとロジックチップとを搭載し,メモリチップの試験を可能にした半導体装置
US7245141B2 (en) * 2002-11-27 2007-07-17 Inapac Technology, Inc. Shared bond pad for testing a memory within a packaged semiconductor device
US8001439B2 (en) 2001-09-28 2011-08-16 Rambus Inc. Integrated circuit testing module including signal shaping interface
US8166361B2 (en) * 2001-09-28 2012-04-24 Rambus Inc. Integrated circuit testing module configured for set-up and hold time testing
US8286046B2 (en) 2001-09-28 2012-10-09 Rambus Inc. Integrated circuit testing module including signal shaping interface
US7404117B2 (en) * 2005-10-24 2008-07-22 Inapac Technology, Inc. Component testing and recovery
US8063650B2 (en) 2002-11-27 2011-11-22 Rambus Inc. Testing fuse configurations in semiconductor devices
US7466160B2 (en) 2002-11-27 2008-12-16 Inapac Technology, Inc. Shared memory bus architecture for system with processor and memory units
US7309999B2 (en) * 2002-11-27 2007-12-18 Inapac Technology,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n interface supported testing mode
US7779311B2 (en) * 2005-10-24 2010-08-17 Rambus Inc. Testing and recovery in a multilayer device
WO2008042403A2 (en) 2006-10-03 2008-04-10 Inapac Technologies, Inc. Memory accessing circuit system
US7561027B2 (en) * 2006-10-26 2009-07-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nsing device
US8154901B1 (en) 2008-04-14 2012-04-10 Netlist, Inc. Circuit providing load isolation and noise reduction
US8001434B1 (en) 2008-04-14 2011-08-16 Netlist, Inc. Memory board with self-testing capability
US9558131B1 (en) * 2011-06-20 2017-01-31 Altera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with bonding circuits for bonding memory controllers
KR101919415B1 (ko) * 2012-08-08 2018-11-1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JP2019168755A (ja) * 2018-03-22 2019-10-03 東芝メモリ株式会社 メモリシステム、電源制御回路及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3874A (en) * 1989-02-03 1991-08-27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Memory configuration for use with means for interfacing a system control unit for a multi-processor system with the system main memory
JP2519580B2 (ja) * 1990-06-19 1996-07-31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US5504706A (en) * 1993-10-12 1996-04-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ow voltage Fowler-Nordheim flash EEPROM memory array utilizing single level poly cells
US5606710A (en) * 1994-12-20 1997-02-25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ultiple chip package processor having feed through paths on one die
US5737748A (en) * 1995-03-15 1998-04-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icroprocessor unit having a first level write-through cache memory and a smaller second-level write-back cache memory
US5535165A (en) * 1995-06-30 1996-07-09 Cirrus Logic, Inc. Circuits,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 devices including logic and memory circuitry
EP0801401B1 (en) 1996-04-02 2003-08-27 STMicroelectronics, Inc. Testing and repair of embedded memory
US5841784A (en) 1996-04-02 1998-11-24 Stmicroelectronics, Inc. Testing and repair of embedded memory
US5734661A (en) 1996-09-20 1998-03-31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xternal access to internal integrated circuit test circuits
KR100269299B1 (ko) * 1997-07-14 2000-10-16 윤종용 데이터패쓰(dq)수감소회로및감소방법과이를이용한반도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16240B1 (en) 2001-04-10
KR19990007292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1894B1 (ko)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제어 회로 및메모리 테스트 방법
US8120986B2 (en) Multi-port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variable access paths and method therefor
KR960016804B1 (ko) 병렬비트테스트모드내장 반도체 메모리
KR100745374B1 (ko)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에 따른 신호 입출력방법
JPH06333391A (ja) 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
US6154864A (en) Read only memory embedded in a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US6252805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programmable output pin determining unit and method of reading the same during test mode
JP3918317B2 (ja) 半導体記憶装置
JP3860436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20100103752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reading/writing data thereof
US58090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compressed test data from memory devices
GB2326961A (en) A merged memory and logic (MML)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independent memory bank signals
US7047461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with test data output nodes for parallel test results output
US6158036A (en) Merged memory and logic (MML) integrated circuits including built-in test circuits and methods
KR10076139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3822371B2 (ja) 同時カラム選択ライン活性化回路を具備する半導体メモリ装置及びカラム選択ライン制御方法
KR100368105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
JPH08235852A (ja) 半導体記憶装置
JP2007179731A (ja) メモリロジック複合半導体装置及びメモリテスト方法
CA1172316A (en) Refresh counter test
KR100275724B1 (ko) 테스트 타임이 감소되는 고속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출력 회로
US5177573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US6108248A (en) Column address strobe signal generator for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KR100307626B1 (ko) 디램과버퍼메모리를갖는메모리로직복합집적회로장치
KR19990009056A (ko)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