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9299B1 -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79299B1 KR100279299B1 KR1019970055034A KR19970055034A KR100279299B1 KR 100279299 B1 KR100279299 B1 KR 100279299B1 KR 1019970055034 A KR1019970055034 A KR 1019970055034A KR 19970055034 A KR19970055034 A KR 19970055034A KR 100279299 B1 KR100279299 B1 KR 1002792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rroelectric
- voltage
- memory cell
- memory device
-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2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ferroelectric eleme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10B41/35—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with a cell select transistor, e.g. NAND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30/021—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 H10D30/04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of FETs having float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Dram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38)
- 셀 어레이 영역, 주변 영역 및 코어 영역을 갖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물질층 상에 제 1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물질층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절연층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콘택홀을 포함한 상기 제 1 절연층 상에 비트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비트 라인 상에 표면이 평탄한 제 2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절연층에 핸들링 웨이퍼를 본딩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물질층이 소정 두께로 남도록 상기 반도체 물질층을 연마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물질층 전면에 제 1 도전형의 불순물 이온을 도핑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물질층 상에 제 3 절연층 및 도전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물질층에 제 2 도전형의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서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절연층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도전층을 식각하여서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전극을 포함한 상기 제 3 절연층 상에 강유전층을 형성하되, 상기 반도체 물질층의 셀 어레이 영역 상부 전면에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강유전층 상에 상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층은 SiO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형의 불순물 이온은 p형이고, 상기 제 2 도전형의 불순물 이온은 n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절연층은 SiO2, TiO2, Y2O3, CeO3, SrTiO3, BaSrTiO3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은 Pt, IrO2, 그리고 RhO2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은 Pt, IrO2, RhO2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도전층 상에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비트 라인용 콘택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폭으로 상기 도전층이 노출되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이온 주입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 형성 단계는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전극을 포함한 상기 제 3 절연층 상에 강유전 물질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강유전 물질을 열처리하여 상기 강유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전극 상에 형성된 강유전층이 상기 제 3 절연층 상에 형성된 강유전층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좋은, 강유전체 특성을 나타내는, 결정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인접한 셀들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 물질은 PZT, SBT(SrBiTa), 그리고 PbTiO3및 PZT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 셀 어레이 영역, 주변 영역 및 코어 영역을 갖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제 1 절연층과; 상기 제 1 절연층 상에 형성되어 있되, 소오스, 드레인 및 채널 영역이 형성된 반도체 물질층과; 상기 제 1 절연층 내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반도체 물질층의 소오스/드레인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플러그를 갖는 비트 라인과; 상기 반도체 물질층 상에 형성된 제 2 절연층과; 상기 패널 영역의 상기 제 2 절연층 상에 형성된 하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을 포함한 상기 제 2 절연층 상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반도체 물질층의 셀 어레이 영역 상부 전면에 형성된 강유전층 및; 상기 강유전층 상에 형성된 상부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두 개의 전극들을 가지며, 상기 두 전극들 사이에 강유전 물질로 채워진 하나의 강유전체 커패시터와,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들, 상기 영역들 사이의 채널 영역 및 게이트 전극을 갖는 하나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셀과, 상기 두 전극들 중 제 1 전극이 워드 라인으로 작용하고, 상기 전극들 중 제 2 전극이 상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으로 작용하며; 상기 강유전 물질의 분극 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또는 초기의 분극 방향을 유지하기 위한 기입 전계를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메모리 셀에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한 기입 수단 및; 상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가 도전되었는지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메모리 셀에 기입된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독출 수단을 포함하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수단은 상기 강유전 물질의 분극 방향이 반전되도록 또는 초기의 분극 방향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모리 셀에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해 상기 제 1 전극에 기입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반전 영역에 제 1 구동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기입 전계가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에 인가되도록 하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수단은 상기 기입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에 상기 메모리 셀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플로팅 상태로 유지시키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전압은 상기 강유전 물질의 분극을 충분히 포화시킬 수 있는 레벨의 전압인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전압은 접지 전압의 레벨을 갖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 수단은 상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에 감지전압을 인가하는 수단 및; 상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의 전위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 수단은 상기 메모리 셀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동안 상기 워드라인을 제 2 구동 전압으로 구동하되, 기입 전압과 접지 전압 사이의 레벨을 갖는 상기 제 2 구동 전압으로 구동하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전압은 상기 강유전 물질의 분극을 충분히 포화시킬 수 있는 레벨의 전압인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수단은 상기 강유전 물질의 분극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 상기 제 1 전극에 소거 진압을 인가하고 상기 채널 영역에 상기 제 1 구동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에 소거 전계가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소거하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소거 전압은 상기 강유전 물질의 분극을 충분히 포화시킬 수 있는 레벨의 전압인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소거 전압은 상기 기입 전압과 반대의 극성을 갖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수단은 상기 소거 전계가 생성되는 동안에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들을 플로팅 상태로 유지시키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행들과 열들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메모리 셀들과; 상기 행들을 따라 신장하는 복수 개의 워드 라인들과; 상기 각 워드 라인에 대응하는 각 메모리 셀은 두 개의 전극들 사이에 강유전 물질로 채워진 강유전체 커패시터와, 게이트 전극, 소오스/드레인 영역들 및 상기 영역들 사이의 채널 영역을 갖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 구성되고,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의 일 전극이 대응하는 워드 라인에 연결되고, 타 전극이 상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각 워드 라인에 대응하는 메모리 셀들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 중 인접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는 소오스/드레인 영역들을 공유하고; 상기 워드 라인들과 동일한 방향으로 신장하는 복수 개의 비트 라인들과; 상기 워드 라인들과 상기 비트 라인들의 비는 1 : 2이고, 상기 각 행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의 공유된 소오스/드레인 영역들 중 짝수번째 영역은 상기 각 행에 대응하는 비트 라인들에 번갈아 연결되어 있되, 하나의 워드 라인에 대응하는 비트 라인들이 인접한 행들에 공유되며; 상기 각 행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의 소오스/드레인 영역들 중 홀수번째 영역들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제 1 구동 라인들과; 상기 각 열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의 채널 영역들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제 2 구동 라인과; 데이터를 기입하고자 하는 메모리 셀에 대응하는 워드 라인을 선택하고 그리고 상기 선택된 워드 라인에 기입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에 연결된 제 2 구동 라인을 제 1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의 강유전체 커패시터의 분극 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또는 초기의 분극 방향을 유지하기 위한 기입 전계를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에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한 기입 수단 및;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에 연결된 제 1 구동 라인을 제 2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에 대응하는 비트 라인의 전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가 도전되었는지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메모리 셀에 기입된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독출 수단을 포함하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들은 절연층 상에 반도체 물질층이 적층된 소이 기판에 형성되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라인들은 상기 소이 기판의 절연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반도체 물질층의 채널 영역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플러그들을 구비한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 물질은 단지 상기 메모리 셀들이 형성되는 영역의 상기 반도체 물질층 상부 전면에 형성되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압은 접지 전압의 레벨을 갖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전압은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를 구성하는 강유전 물질의 분극을 충분히 포화시킬 수 있는 레벨을 갖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수단은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안에 상기 제 1 구동 라인들을 플로팅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수단은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안에 비선택된 워드 라인들과,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의 제 2 구동 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제 2 구동 라인들을 플로팅 상태로 유지시키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 수단은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동안에 상기 선택된 워드 라인을 제 3 전압으로 구동하는 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전압은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를 구성하는 강유전 물질의 분극을 충분히 포화시킬 수 있는 레벨의 전압과 접지 전압 사이의 레벨을 갖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 수단은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동안에 비선택된 워드 라인들, 비선택된 메모리 셀의 제 1 구동 라인들 및 상기 모든 제 2 구동 라인들을 플로팅 상태로 유지시키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수단은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에 대응하는 워드 라인을 선택한 후 상기 선텍된 워드 라인에 소거 전압을 인가하고, 그리고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의 제 2 구동 라인을 제 3 전압으로 구동하여서, 상기 강유전 물질의 분극 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또는 초기의 분극 방향을 유지하기 위한 소거 전계가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에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거하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전압은 접지 전압의 레벨인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소거 전압은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를 구성하는 강유전 물질의 분극을 충분히 포화시킬 수 있는 레벨을 갖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 제29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소거 전압은 상기 기입 전압에 반대의 극성의 레벨을 갖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55034A KR100279299B1 (ko) | 1997-10-25 | 1997-10-25 |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US09/177,569 US6046927A (en) | 1997-10-25 | 1998-10-23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read, erase write methods of the same |
JP30299198A JP4343294B2 (ja) | 1997-10-25 | 1998-10-23 | 非揮発性メモリ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55034A KR100279299B1 (ko) | 1997-10-25 | 1997-10-25 |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3623A KR19990033623A (ko) | 1999-05-15 |
KR100279299B1 true KR100279299B1 (ko) | 2001-02-01 |
Family
ID=19523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55034A Expired - Fee Related KR100279299B1 (ko) | 1997-10-25 | 1997-10-25 |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6046927A (ko) |
JP (1) | JP4343294B2 (ko) |
KR (1) | KR10027929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094457A1 (en) * | 1999-06-10 | 2005-05-05 | Symetrix Corporation | Ferroelectric memory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
KR100365296B1 (ko) * | 2000-08-01 | 2002-12-18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구동 회로 |
US6574131B1 (en) * | 2000-08-31 | 2003-06-03 | Micron Technology, Inc. | Depletion mod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and method of writing to and reading from the same |
KR100780985B1 (ko) | 2005-10-17 | 2007-11-30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반도체 기억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JP2007141170A (ja) * | 2005-11-22 | 2007-06-0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データキャリアシステム及びそのデータの退避復元方法 |
KR100818379B1 (ko) * | 2006-01-19 | 2008-04-02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Nand형 반도체 기억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US10636471B2 (en) | 2016-04-20 | 2020-04-28 | Micron Technology, Inc. | Memory arrays, ferroelectric transistors, and methods of reading and writing relative to memory cells of memory arrays |
JP2022048489A (ja) * | 2020-09-15 | 2022-03-28 | キオクシア株式会社 | 半導体記憶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73463A (en) * | 1993-07-06 | 1994-12-13 | Motorola Inc. | Ferroelectric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having drive line segments |
-
1997
- 1997-10-25 KR KR1019970055034A patent/KR10027929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
- 1998-10-23 JP JP30299198A patent/JP434329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10-23 US US09/177,569 patent/US6046927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6046927A (en) | 2000-04-04 |
KR19990033623A (ko) | 1999-05-15 |
JP4343294B2 (ja) | 2009-10-14 |
JPH11214659A (ja) | 1999-08-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59879A (en) | Ferroelectric memory devices having well region word line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 |
KR100899583B1 (ko) | 반도체 소자, 이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반도체 기억 장치,그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판독 방법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US5940705A (en) | Methods of forming floating-gate FFRAM devices | |
US5708284A (en) |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 |
US5303182A (en)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utilizing a ferroelectric film | |
US5300799A (en) | Nonvolatile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with ferroelectric capacitors | |
KR100663310B1 (ko) | 불휘발성 메모리 | |
US6532165B1 (en)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0261221B1 (ko) | 단일 트랜지스터 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소자로 구성된 메모리 회로와 이를 구동하는 방법 | |
JPH09326200A (ja) |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 |
KR100279299B1 (ko) |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
JP3802809B2 (ja) | 記憶セルアレイ | |
KR100745938B1 (ko) | 강유전체 메모리 및 그 동작 방법 | |
US6205048B1 (en) | Single transistor cell,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emory circuit composed of single transistor cell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 |
JP3360471B2 (ja) | 強誘電体記憶装置 | |
US6449185B2 (en) | Semiconductor memor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 |
JP2003229545A (ja) | 強誘電体メモリ | |
JP3144599B2 (ja) | 半導体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 |
JP4827316B2 (ja) | 強誘電体トランジスタ型不揮発性記憶素子の駆動方法 | |
JP3144597B2 (ja) | 強誘電体不揮発性メモリの構造および製造方法 | |
KR0183878B1 (ko) | 강유전체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셀로 형성된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20010061102A (ko) |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 |
KR100624472B1 (ko) | 강유전체 기억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
JP3144598B2 (ja) | 半導体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 |
JPH06275841A (ja) |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0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0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7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0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9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9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10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10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0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