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6547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6547B1
KR100276547B1 KR1019980013436A KR19980013436A KR100276547B1 KR 100276547 B1 KR100276547 B1 KR 100276547B1 KR 1019980013436 A KR1019980013436 A KR 1019980013436A KR 19980013436 A KR19980013436 A KR 19980013436A KR 100276547 B1 KR100276547 B1 KR 100276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display panel
reinforcing plate
display device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1426A (ko
Inventor
미쯔루 나가노
노부아끼 다까하시
요시쯔구 가와히가시
아끼라 무라까미
Original Assignee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찌다 가쯔히꼬
Publication of KR19980081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5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보강판은 패널 고정부와 패널 고정부의 양단부에 제공된 접속부로 이루어진 플래너 부재로 제조된다. 주사 신호를 표시 패널에 공급하기 위한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과 데이타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타 신호 입력 회로 기판이 표시 패널의 각 측면 상에 제공된다.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 상에는 입력 코넥터 및 드라이버 IC와 같은 전자 부품 등이 실장되어 있다. 보강판의 접속부는 전자 부품과 충돌하지 않도록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한편, 보강판의 고정부는 표시 패널에 고정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본 발명은 FA 기기, AV 기기, OA 단말 기기 등의 전자 기기 및, 광고 표시 기기에도 사용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대해서는 도 1a 및 1b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1a 및 1b는 종래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투시도로서, 도 1a는 표시 장치의 표면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1b는 표시 장치의 이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입력 코넥터를 삽입할 때의 힘과 그 분력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종래 기술의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a 및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2), 표시 패널(2)의 한 측면의 길이를 따라 표시 패널(2)에 주사 신호를 입력하도록 배치된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13) 및 표시 패널(2)의 다른 측면을 따라 표시 패널(2)에 데이타를 입력시키도록 배치된 데이타 신호 입력 회로 기판(14)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2)은 주사 신호 및 데이타 각각을 입력하기 위한 한 쌍의 유리 기판과, 이들 기판 사이에 밀봉되어 있는 액정 물질로 이루어지고, 각 유리 기판은 주석 산화물, 인늄 산화물 등으로 이루어지고 대향하는 기판면 상에 형성된 전극 리드 패턴(도 2에서 참조 번호(3)로 도시)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전극 리드 패턴(3)이 플렉시블 회로 기판(8)에 결합되어짐으로써 표시 패널(2)이 예를 들어, 입력 코넥터(5), 전자 부품(9), 드라이버 IC(18) 등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2a는 도 1a의 300-300면을 따라 절취한 도면으로서, 상기 전기적 접속에 대한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에서, 표시 패널(2)의 유리 단자(4)와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13)은 갭(16)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배치되어 유리 단자(4) 상에 형성된 전극 리드 패턴(3)이 플렉시블 회로 기판(8)에 의해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3)에 접속되어진다. 전극 리드 패턴(3)과 플렉시블 회로 기판(8) 간의 죠인트(joint)는 수지(6)에 의해 보호된다.
이러한 종래 장치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죠인트에서는 일부 경우에 입력 코넥터(5)에 대한 착탈 처리를 행하였을 때 갭(16)을 따라 연장하는 전극 리드 패턴(3) 및/또는 플렉시블 회로 기판(8)에서 발생되는 응력(stress)으로 인해 박리(peel off) 현상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도 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코넥터(5)에 대한 착탈 처리를 행할 때 힘 f0가 가해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힘 f0는 스페이서(15)에 대해 작용하는 분력 f1과 플렉시블 회로 기판(8)의 죠인트에 대해 작용하는 분력 f2로 분해될 수 있다. 이 분력 f2에 의해 박리가 초래될 수 있다.
다음에, 이러한 박리력에 대해 도 2b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입력 코넥터(5)에 가해진 힘 f0는 아래의 수학식 1에서 나타난 분력 f1과 아래 수학식 2에서 나타난 분력 f2로 분해될 수 있다.
f1= (X/Y)·f0
f2= [1-(X/Y)]·f0
여기서, f0: 코넥터 삽입력
f1: 스페이서 가압력
f2: 응력
X: f0와 f2간의 거리
Y: f1과 f2간의 거리
이 분력 f2에 의해 플렉시블 회로 기판(8)이 휘어진다. 이러한 휨을 각 θ로 표시하면, 변형된 플렉시블 회로 기판(8)을 따르는 분력은 f2sinθ가 된다. 또한, 도 2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힘에 의해 f2sin2θ의 박리력이 발생되어, 유리 단자(4) 상에 형성된 전극 리드 패턴(3)을 갖는 이방성 도전막(7)에서 플렉시블 회로 기판(8)이 분리된다. 힘 f0의 분력 f1은 베젤(12)에 의해 생성된다. 여기서, 도 2c는 도 2a에서 원으로 도시된 부분 D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상기 문제에 대한 여러 대책들이 종래부터 강구되어 왔다.
제1 방법은 도 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에폭시 또는 아크릴 타입의 수지(6)를 유리 단자(4)와의 죠인트에 충진시켜 플렉시블 회로 기판(8)과 표시 패널(2)을 일체화시키는 것이다.
제2 방법은 일본국 특개평 제 4-269,723호에서 개시된 방법으로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단자(4)와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3) 간의 갭을 수지(6)로 충진시켜 변형을 일어날 수도 있는 공간을 충진하는 것이다.
또한, 제3 방법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국 특개평 제8-152,644호에서 개시된 방법이다. 즉, 유리 단자(4)와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3)을 표시 패널(2)의 비표시 영역과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3)의 전면을 따라 보강판(19)을 배치하여 수지(6)에 접착시키면서 그들의 단면을 서로 당접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제1 방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박리를 저지시키기 위한 충분한 고강도를 재공할 수 없다.
제2 방법에서는, 유리 단자(4)와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3) 간의 갭이 수지(6)로 충진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물의 견고성은 향상되지만, 수리를 위해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3)을 제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수지(6)의 도포와 건조 및 처리에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곤란하다.
제3 방법에서는, 박리 저지를 위한 강도는 증가되지만, 처리는 제2 방법에서와 같이 떨어진다. 게다가,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13)의 배면판 전체에 보강판(19)이 설치되므로, 드라이버 IC(18) 등의 모든 전기 부품을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13)의 표면 상에 실장시켜야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기 부품들의 배치가 제한되고 보강판(19)의 사용으로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 및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 기판 간의 정착물에 대해 충분히 높은 강도를 제공하여 표시 패널과 회로 기판 간의 전기적 접속이 코넥터의 착탈시 표시 패널과 회로 기판 간에 발생된 응력으로 인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처리 성능이 보장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의 주변부에 상기 표시 패널과 소정의 갭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는 회로 기판과,
상기 갭을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을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플렉시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될 복수의 접속부와 표시 패널에 고정될 고정부를 갖는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은 플렉시블 회로 기판이 제공되는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 상에서 상기 회로 기판과 표시 패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1 특징을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보강판의 접속부는 죠인트가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 전자 부품들과 충돌하지 않는 위치에서 납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1 특징을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보강판은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양상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의 주변부에 상기 표시 패널과 소정의 갭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는 회로 기판과,
상기 갭을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을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플렉시블 회로 기판과,
표시 패널에 접속될 고정부와 복수의 접속부-이들 각각은 플렉시블 회로 기판이 제공되는 측면 상에서 회로 기판에 접속되도록 굽어 았고 단차를 이루고 있음-를 갖는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의 고정부는 플렉시블 회로 기판이 제공되는 측면과 대향하는 표시 패널의 측면에 고정되는 한편, 접속부는 상기 갭을 관통하여 플렉시블 회로 기판이 제공되는 측면까지 연장되어 플렉시블 회로 기판의 측면 상에서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4 특징을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보강판의 접속부는 죠인트가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 전자 부품들과 충돌하지 않는 위치에서 납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4 특징을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보강판은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회로 기판과 표시 패널은 플렉시블 회로 기판이 박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보강판은 이것이 회로 기판 상의 전자 부품들과 충돌하지 않도록 납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전자 부품들의 설계 배치에 대한 선택도를 보증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 표시 장치를 표면측에서 바라 본 투시도.
도 1b는 종래 표시 장치를 이면측에서 바라 본 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 표시 장치에서의 분력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
도 3은 종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다른 종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보강판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도시된 보강판을 사용한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투시도,.
도 8은 도 7의 400-400면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보강판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a는 도 9에서 도시된 보강판을 갖는 표시 장치를 표면측에서 바라 본 투시도.
도 10b는 도 9에서 도시된 보강판을 갖는 표시 장치를 이면측에서 바라 본 투시도.
도 11은 도 9에서 도시된 보강판을 갖는 표시 장치를 도 7의 400-400면에 대응하는 면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분력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시 장치
2 : 표시 패널
3 : 전극 리드 패턴
4 : 유리 단자
5 : 입력 코넥터
6 : 수지
8 : 플렉시블 회로 기판
9 : 전자 부품
10, 19, 20 : 보강판
13 :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
14 : 데이타 신호 입력 회로 기판
15 : 스페이서
101, 201 : 패널 고정부
102a, 102b, 202a, 202b, 202c : 접속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 5 내지 도 12a 내지 도 12d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판(10)을 도시한다. 보강판(10)은 패널 고정부(101)와, 패널 고정부(101)의 양단부에 제공된 접속부(102a 및 102b)를 구비하는 플래너 부(planar portion)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보강판(10)을 사용하는 표시 장치(도 7에서 도시된 베젤(12)은 갖고 있지 않음)를 도시한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2)의 한 측면의 길이를 따라 표시 패널(2)에 주사 신호를 인가하도록 배치된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3)과 표시 패널(2)의 다른 면의 길이를 따라 표시 패널(2)에 데이타를 입력시키도록 배치된 데이타 신호 입력 회로 기판(14)을 포함한다.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3) 상에는 예를 들어, 입력 코넥터(5)와, 드라이버 IC(18)를 포함한 전자 부품(9) 등이 제공되어 있다. 보강판(10)의 접속부(102a 및 102b)는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3)의 측면에 고정되는 한편, 패널 고정부(101)는 표시 패널(2)의 측면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도 16에서, 보강판(10)의 접속부(102a 및 102b)는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3) 상에 제공된 입력 코넥터(5)의 양측면에 고정된다.
도 7은 보강판(10)을 사용한 표시 장치(1)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400-400면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표시 패널(2)의 유리 단자(4)와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3)은 갭(16)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다. 표시 패널(2)의 유리 단자(4)와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3)은 플렉시블 회로 기판(8)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의 보강판(10)은 유리 단자(4)와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3) 사이에서 갭(16)을 따라 연장하여 고정된다.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3)에 대한 보강판(10)의 고정은 예를 들어, 납땜 접속부(11)에서 땜납에 의해 이루어진다. 보강판(10)과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3)은 납땝 접속부가 전자 부품(9)과 충돌하지 않는 한편, 보강판(10)이 접착 테이프 등에 의해 유리 단자(4)에 고정되도록 납땜된다. 플렉시블 회로 기판(8)의 다른 단부는 베젤(12)과 기판(13) 사이에서 이들 사이에 있는 스페이서(15)에 의해 압접되어 있다.
여기서, 보강판을 구성하는 금속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인청동이 있으며, 이것은 얇은 경우에도 강한 견고성을 나타낸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판(20)을 도시한다. 이 보강판(20)은 패널 고정부(201)와, 패널 고정부(201)에 형성된 접속부(202a, 202b 및 202c)를 구비한다. 이들 접속부(202a, 202b 및 202c)는 패널 고정부(201)에 대해 단차를 형성하도록 굽어 있다. 도 10은 보강판(20)을 사용하는 표시 장치를 도시한다. 이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2)의 한 측면의 길이를 따라 표시 패널(2)에 주사 신호를 입력하도록 배치된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13)과 표시 패널(2)의 다른 측면의 길이를 따라 표시 패널(2)에 데이타를 입력하도록 배치된 데이타 신호 입력 회로 기판(14)을 포함한다.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13) 상에는 예를 들어, 입력 코넥터(5)와, 드라이버 IC(18)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9) 등이 제공되어 있다. 보강판(20)의 접속부(202a, 202b 및 202c)는 도 10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13)의 전방면 상에 고정되는 한편, 패널 고정부(201)는 도 10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2)의 배면 상에 고정된다.
도 11은 보강판(20)을 사용하는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표시 패널(2)의 유리 단자(4)와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13)은 이들 사이에 갭(16)을 두고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다. 표시 패널(2)의 유리 단자(4)와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13)은 플렉시블 회로 기판(8)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보강판(20)은 그 접속부(202a, 202b 및 202c)가 갭(16)을 관통하여 납땜 접속부(11)에서 납땜에 의해 주사 신호 입력 회로 기판(13)의 표면 상에 고정되는 한편, 패널 고정부(201)는 접착 테이프 등에 의해 유리 단자(4)의 배면에 고정되도록 배치된다. 플렉시블 회로 기판(8)의 다른 단부는 베젤(12)과 회로 기판(8) 사이에서 이들 간의 스페이서(15)에 의해 압접되어 있다.
보강판(10)의 경우에서와 같이, 보강판을 구성하는 금속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인청동이있으며, 이것은 얇은 경우에도 강한 견고성을 나타낸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보강판의 기능에 대해 보강판(10)을 예로 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상황은 보강판(20)의 경우에서도 동일하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1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코넥터(5)에 대한 착탈 처리를 행할 시에 힘 f0를 인가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힘 f0는 스페이서(15)에 대해 작용하는 분력 f1과 플렉시블 회로 기판(8)에 대해 작용하는 분력 f2'로 분해될 수 있다. 여기서, 분력 f2'는 종래예에서 설명된 분력 f2에 대응하는 것이지만, 도 12b에서 도시된 보강판(10)으로 인해 발생된 분력 f3의 크기를 뺀 분력 f2와 동일하다. 보강판(20)의 경우에, 상황은 도 12c에서 도시된 바와 동일하다.
다음에 도 12d를 참조하여, 박리력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입력 코넥터(5)에 인가된 힘 f0는 다음과 같이 수학식 3에서 나타난 분력 f1과 수학식 4에서 나타난 분력 f2로 분해될 수 있다.
f1= (X/Y)·f0
f2= [1-(X/Y)]·f0
여기서, f0: 코넥터 삽입력
f1: 스페이서 가압력
f2: 응력
X: f0와 f2간의 거리
Y: f1과 f2간의 거리
플렉시블 회로 기판(8)의 접속부 상에 실제로 인가된 힘 f2'는 힘 f2에서 힘 f3를 감산한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다음의 수학식 5로 표현된다.
f2' = f2 -f3
= [1-(X/Y)]·f0-f3
플렉시블 회로 기판(8)의 벤딩각을 θ로 표현하면, 박리력 F는 f2'sin2θ로 표현되고, 이것은 유리 단자(4) 상에 제공된 전극 리드 패턴(3)으로서의 이방성 도전막(7)에서 플렉시블 회로 기판(8)을 분리시키도록 작용할 것이다. 그러나, 힘 f2'는 상술된 바와 같이 보강판(10)으로부터 얻어지는 통상적인 힘 f3때문에 매우 작으므로, 박리의 위험성은 허용가능한 낮은 레벨로 감소된다.
아래의 표 1에서는 표시 장치가 보강판(10)을 가진 경우와 표시 장치가 보강판을 갖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기 위해 접속부의 박리를 일으키는 코넥터 삽입력 f0(kgf)에 대한 측정을 나타내고 있다. 각 구성마다 5개의 샘플을 테스트하였다. 표 1의 결과로부터, 보강판(10)을 사용한 표시 장치가 보강판을 사용하지 않은 표시 장치에 비해 박리에 대한 저항이 2 내지 3배 크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접속부에서 박리가 발생하는 코넥터 삽입력(kgf)
샘플 번호 보강판을 가짐 보강판을 갖지 않음
1 15.8 8.0
2 15.4 9.8
3 25.0 10.2
4 17.0 7.0
5 22.0 7.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패널은 이 패널을 구동시키는 회로 기판에 충분히 높은 강도로 고정되기 때문에, 코넥터의 착탈 등의 처리로 인해 표시 패널과 회로 기판 간에 발생하는 굽힘력이 감소되어 플렉시블 회로 기판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판을 회로 기판 상에 고정할 경우, 회로 기판 상의 전기 부품들에서 멀리 떨어져 납땜을 행하는 방식의 납땜에 의해 고정될 수 있어 전자 부품들을 실장하는 설계 배치의 선택도 및 처리 성능이 보장되고 부품 및 제조 비용을 절감시키는 표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Claims (6)

  1.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의 주변부에 상기 표시 패널과 소정의 갭을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회로 기판과,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회로 기판을 접속하도록 상기 갭을 따라 연장하는 플렉시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될 복수의 접속부와 상기 표시 패널에 고정될 고정부를 갖는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은 상기 플렉시블 회로 기판이 제공되는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 상에서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표시 패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의 접속부는 죠인트(joint)가 상기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 전자 부품과 충돌하지 않는 위치에서 납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의 주변부에 상기 표시 패널과 소정의 갭을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회로 기판과,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회로 기판을 접속하도록 상기 갭을 따라 연장하는 플렉시블 회로 기판과,
    상기 표시 패널에 고정될 고정부와 복수의 접속부-이들 접속부 각각은 상기 플렉시블 회로 기판이 제공되는 측면 상에서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되도록 굽어지고 단차를 이루고 있음-를 갖는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의 고정부는 상기 플렉시블 회로 기판이 제공되는 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접속부는 상기 플렉시블 회로 기판이 제공되는 면에 상기 갭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플렉시블 회로 기판면 상에서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의 접속부는 죠인트가 상기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 전자 부품과 충돌하지 않는 위치에서 납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19980013436A 1997-04-16 1998-04-15 표시 장치 KR100276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9934997A JP3431447B2 (ja) 1997-04-16 1997-04-16 表示装置
JP97-099349 1997-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426A KR19980081426A (ko) 1998-11-25
KR100276547B1 true KR100276547B1 (ko) 2000-12-15

Family

ID=14245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436A KR100276547B1 (ko) 1997-04-16 1998-04-15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72731B1 (ko)
JP (1) JP3431447B2 (ko)
KR (1) KR100276547B1 (ko)
TW (1) TW5058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9665A (ja) * 2001-11-08 2003-05-21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US6476902B1 (en) 2001-11-29 2002-11-05 Eastman Kodak Company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674506B2 (en) 2001-11-29 2004-01-06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for introducing a fluid into vias form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US6619334B2 (en) 2001-11-29 2003-09-16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delivering fluid into constricted openings free of voids
US6924866B2 (en) * 2001-11-29 2005-08-02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constructing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that includes dispensing an optical grade adhesive to fill vias in a transparent substrate
JP4562403B2 (ja) * 2004-02-26 2010-10-13 京セラ株式会社 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709197B1 (ko) * 2005-10-18 2007-04-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보강 부재
KR100722098B1 (ko) * 2005-11-23 200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
JP5547901B2 (ja) * 2009-03-25 2014-07-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WO2011155117A1 (ja) * 2010-06-09 2011-12-1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2446455A (zh) * 2010-10-13 2012-05-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JP2023008539A (ja) * 2021-07-06 2023-01-19 オムロン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516344Y1 (ko) * 1966-12-06 1970-07-07
JPS4820209U (ko) * 1971-07-16 1973-03-07
JPS48104115U (ko) * 1972-03-06 1973-12-05
JPS5640517B2 (ko) * 1973-10-20 1981-09-21
JPS51144646U (ko) * 1975-05-16 1976-11-20
JPS619923Y2 (ko) * 1981-02-05 1986-03-31
JPS5829867U (ja) * 1981-08-20 1983-02-2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集積回路取り付け構造
JPS60159731A (ja) * 1984-01-30 1985-08-21 Sharp Corp 液晶表示体
JPS62280889A (ja) * 1986-05-30 1987-12-05 シャープ株式会社 平面形表示装置
JPH03177884A (ja) * 1989-12-06 1991-08-01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H03261916A (ja) * 1990-03-13 1991-11-21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液晶電気光学装置の作製方法
JPH0426824A (ja) * 1990-05-23 1992-01-30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US5193022A (en) * 1991-02-26 1993-03-09 Rohm Co., Ltd. Plane-type display apparatus
JPH04269723A (ja) 1991-02-26 1992-09-25 Rohm Co Ltd 表示装置
JPH04301817A (ja) * 1991-03-29 1992-10-26 Rohm Co Ltd 液晶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3187265B2 (ja) 1994-11-28 2001-07-11 京セラ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72731B1 (en) 2001-01-09
TW505802B (en) 2002-10-11
KR19980081426A (ko) 1998-11-25
JPH10288948A (ja) 1998-10-27
JP3431447B2 (ja) 200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7415B1 (en) Flat display unit and method fabricating same
US6191838B1 (en) Circuit board connecting structure,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o-optical device
KR100276547B1 (ko) 표시 장치
US6025644A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30035888A (ko) 플렉시블 회로기판의 압착구조
JP2000002882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22629B1 (ko) 플랙시블 기판의 실장방법 및 표시장치
JPH08166590A (ja) 液晶表示装置
US5193022A (en) Plane-type display apparatus
EP139177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040041960A1 (en) Mold frame structure of liquid crystal display
US2003023127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10272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different shaped terminals configured to become substantially aligned
US20200133047A1 (en) Display module
US20190369434A1 (en) Electro-optical apparatus
JPH08241044A (ja) 液晶表示装置
JPH06232523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JP2001264794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WO1998041067A1 (fr) Module de composants electroniques et materiel electronique
JPH10282516A (ja) 液晶表示装置
JP2948466B2 (ja) 液晶表示素子
JPH0651285A (ja) 液晶表示パネルユニット
KR100551030B1 (ko) 화상 표시 장치
JPH1139953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JP3091725B2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