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6507B1 - 앵커보강토벽의 구조 - Google Patents

앵커보강토벽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6507B1
KR100276507B1 KR1019940000104A KR19940000104A KR100276507B1 KR 100276507 B1 KR100276507 B1 KR 100276507B1 KR 1019940000104 A KR1019940000104 A KR 1019940000104A KR 19940000104 A KR19940000104 A KR 19940000104A KR 100276507 B1 KR100276507 B1 KR 100276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ill
resistance
resistance member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0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8530A (ko
Inventor
쇼헤이 치다
기요시 미사와
Original Assignee
오카무라 유지
오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쇼헤이 치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카무라 유지, 오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쇼헤이 치다 filed Critical 오카무라 유지
Publication of KR940018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8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5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외측으로부터의 토압에 대하여 블록으로서 저항하는 기능을 성토에 발휘시켜, 성토를 안정적으로 지지시키고, 이것에 의해 벽면재의 뒤채움재료로서 점성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 성토의 안정성에 대한 설계 계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더욱이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원가를 절감시키는 것에 있다.
[구성]
이 때문에, 본 발명은, 벽면재 배면에 복수의 항장부재의 각 한쪽 끝을,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설치하고, 각 항장부재를 수평방향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이 항장부재의 각 다른쪽 끝에는 저항부재를 각각 설치하고, 각 저항부재 부위의 성토를 고화재에 의해 고화처리하여 상하방향으로 지향하는 배면벽을 형성하고 있다.

Description

앵커보강토벽의 구조
제1도는 앵커토벽(土壁)구조의 단면도.
제2도는 종래에 있어서의 보강구조의 단면도.
제3도는 저항부재에 의한 저항의 설명도.
제4도는 저항부재에 의한 별도저항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지반 4 : 벽면재
6 : 성토 8 : 기초
10 : 배면 12 : 항장부재
14, 18 : 부착구 16 : 저항부재
20 : 배면벽 22 : 보강토체
P : 고화재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앵커보강토벽의 구조에 관하여, 특히 성토(盛土)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앵커보강토벽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도로나 철도 등의 기초부분이나 벽변의 정비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토, 벽면재, 항장(抗張)부재, 저항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강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즉, 제2도에 있어서, 102는 지반, 104는 벽면재, 106은 성토이다. 복수의 벽면재 블록(104a)을 수평방향으로 얹어두는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적중(積重)하여 형성되는 벽면재(104)는 최하부가 기초(108)에 의해 지지되어서 지반(102)에 세워설치된다.
각 벽면재 블록(104a)의 배면(110)에는, 항장부재(112)의 한쪽 끝이 부착구(114)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각 항장부재(112)의 다른쪽 끝에는, 앵커 플레이트 등의 저항부재(116)가 부착구(118)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제2도와 같은 보강구조의 구축에 있어서는, 먼저 최하부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얹어둔 복수의 벽면재 블록(104a)과 저항부재(116)와 항장부재(112)를 부착하여 성토(106)를 투입·전압(轉壓)하고, 이어서 최하부의 벽면재 블록(104a)에 적중하여 수평방향으로 얹어둔 복수의 벽면재 블록(104a)과 저항부재(116)에 성토(106)상에 있어서 항장부재(112)를 부착하여 성토(106)를 투입·전압한다고 하는 작업을 하부로부터 상부에 향하여 층형상으로 순차적으로 행한다. 이것에 의해 벽면재(104)의 배면(110)에 작용하는 토압을, 복수의 저항부재(116)의 인발저항에 의해 지지시키고 있다.
벽면재(104)와 저항부재(116)와의 사이의 성토(106)는, 벽면재(104)에 수평방향의 주작용토압을 발생시키는 주작용토압부위(120)와, 저항부재(116)에 인발저항을 발생시키는 수용작용토압부위(122)로 형성된다.
저항부재(116)의 저항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부재(116)의 수용작용 토압부위(122)에 의한 전단인발저항, 혹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부재(116)의 주작용토압부위(120)에 의한 주작용토압과 수용작용토압부위(122)에 의한 수용작용 토압과의 차압으로 이루어진다.
벽면재(104) 는 이와 같은 저항부재(116)의 저항에 의해 배면(110)에 작용하는 토압을 지지한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런데, 종래의 보강구조에 있어서는, 벽면재(104)의 뒤채움재(裏入材)로서 점성토를 사용하는 경우에, 저항부재(116)에 항상 인장하중이 작용함으로써, 크리이프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는, 안전성이 확인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뒤채움재로서 점성토를 사용할 수 없는 결함이 있었다.
또 종래의 보강구조에 있어서는 벽면재(104)의 배면(110)에 작용하는 토압을 복수의 저항부재(116)의 인발저항에 의해 지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내부안정, 외부안정 공히 역학모델의 설정이 복잡하게 되며, 안정에 대한 설계계산이 곤란하다고하는 결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보강구조에 있어서, 저항부재(112)의 저항은 벽면재(104)와 저항부재(112)와의 사이의 성토(106)의 폭(A)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충분한 저항을 얻기 위해서는, 성토(106)의 폭(A)을 크게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시공이 곤란하게 되는 동시에 원가가 상승하는 결함이 있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그래서, 이와 같은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벽면재 배면에 복수의 항장부재의 각 한쪽 끝을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설치하고, 이 각 항장부재를 수평방향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각 항장부재의 각 다른쪽 끝에는 저항부재를 각각 설치하고, 이 각 저항부재 부위의 성토를 고화재(固化材)에 의해 고화처리하여 상하방향으로 지향하는 배면벽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벽면재 배면측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지향하여 고화 처리된 배면벽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벽면재와 배면벽간에 보강토체가 존재하게 되고, 외측으로부터의 토압에 대하여 블록으로서 저항하는 기능을 발휘하여 성토를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이며, 앵커보강토벽의 구조를 도시하는 것이다.
제1도에 있어서, 2는 지반, 4는 벽면재, 6은 성토이다.
복수의 벽면재 블록(4a)을 수평방향으로 얹어두는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적중하고, 또한 이들 벽면재 블록(4a)을 예컨대 위치어긋남 방지수단(도시않음)에 의해 걸어맞춤시켜 구성되는 벽면재(4)는, 최하부를 기초(8)에 의해 지지되어서 지반(2)에 세워설치된다.
복수의 벽면재 블록(4a)의 적재·적중에 의해 형성되는 벽면재(4)의 배면(10)에는 각 벽면재 블록(4a)마다에 항장부재(12)의 한쪽 끝이 부착구(14)에 의해 부착되어있다.
이들 항장부재(12)의 각 다른쪽 끝에는 벽면재(4)의 배면(10)과 대략 평행으로, 즉 상하방향으로 성토(6)에 매설되는 앵커 플레이트 등의 저항부재(16)가 부착구(18)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각 저항부재(16)를 성토(6)에 매설할 경우에는, 이 각 저항부재(16) 부위의 성토(6)에 시멘트나 석회등의 고화재(P)를 사용하여 고화처리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성토(6)중에는, 상하방향으로 지향하여 벽면재(4)와 대략 평행으로 폭(W)의 배면벽(20)이 형성된다.
또 성토(6)중에는, 벽면재(4)와 배면멱(20) 사이에 보강토체(22)가 형성된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앵커보강토벽구조의 구축에 있어서는, 먼저, 최하부에 있어서 복수의 벽면재 블록(4a)을 수평방향으로 얹어두고, 이들 벽면재 블록(4a)의 배면(10)에 각 항장부재(12)의 각 한쪽 끝을 부착구(14)에 의해 각각 부착한다.
그리고, 예컨대, 이 항장부재(12)의 부착위치까지 성토(6)를 수평방향으로 행한다.
다음으로 항장부재(12)의 다른쪽 끝에 저항부재(16)를 부착구(18)에 의해 부착한다.
항장부재(12)를 수평방향으로 배치한 경우에 저항부재(16)가 위치하는 부위의 성토(6)를 파서 일으키고, 시멘트나 석회 등의 고화재(P)를 이 성토(6)에 혼련시켜서 고화처리를 행하고, 이 고화처리된 부위에 저항부재(16)를 세워설치하여 성토(6)를 전압한다.
다음으로, 최하부의 복수의 벽면재 블록(4a)에 적중하여 각 벽면재 블록(4a)을 수평방향으로 얹어두고, 상기와 동일하게 이들 벽면재 블록(4a)의 배면(10)에 각 항장부재(12)의 각 한쪽 끝을 부착구(14)에 의해 각각 부착한다.
그리고, 동일하게 이 항장부재(12)의 부착위치까지 성토(6)를 수평방향으로 행한다.
다음으로 항장부재(12)의 다른쪽 끝에 저항부재(16)를 부착구(18)에 의해 부착한다.
항장부재(12)를 수평방향으로 배치한 때에 저항부재(16)가 위치하는 성토(6)를 파서 일으키고, 시멘트나 석회 등의 고화재(P)를 이 성토(6)에 혼련시켜서 고화처리를 행하고, 이 고화처리된 부위에 저항부재(16)를 세워설치하여 성토(6)를 전압한다.
이 작업은 순차적으로 윗쪽에 행해지고, 벽면재(4)의 최상부까지 달하면 종료된다.
이것에 의해 최하부를 기초(8)에 의해 지지하여 지반(2)에 세워설치되는 벽면재(4)는 배면(10)에 복수의 항장부재(12)의 각 한쪽 끝을 수평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배열하여 부착구(14)에 의해 부착하여 설치하고, 이들 항장부재(12)의 각 다른쪽 끝을 벽면재(4)의 배면(10)과 대략 평행으로 고화처리된 성토(6)내에 매설한 저항부재(16)에, 수평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배열하여 각각 부착구(18)에 의해 부착되고, 이들 항장부재(12) 및 저항부재(16)에 의해 지지된다.
또 각 저항부재(16)가 위치하는 부위에는, 성토(6)가 고화처리되어서 소정폭(W)의 배면벽(20)이 형성된다.
또 이 배면벽(20)과 벽면재(4)사이에는 보강토체(22)가 형성되게 된다.
이 보강토체(22)의 존재에 의해 벽면재(4)와 배면(20)에 균등하게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벽면재(4)와 배면(20)이 파괴되지 않도록, 벽면재(4)와 배면(20)을 연결하는 항장부재(12)에 의해 저항함으로써 얻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의 외적안정으로서는 외측으로부터의 토압에 대하여 블록으로서 저항할 수 있는 형상이며, 외측으로부터의 토압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는 중량이 있으면 무방하게 된다.
이결과 벽면재(4)와 저항부재(16) 부위에 형성되는 배면벽(20)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보강토체(22)는 외측으로부터의 토압에 대하여 블록으로서 저항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앵커보강토벽의 구조에 의하면, 벽면재(4)의 뒤채움재로서, 점성토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보강구조에 있어서는, 점성토를 사용하는 경우에 저항부재(16)에 항상 인장하중이 작용함으로써, 클리프 변형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으나,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안전성이 확인되어 있지 않는다.
그러나, 이 실시예의 앵커보강토벽의 구조에 의하면, 저항부재(16) 부위에 형성되는 배면벽(20)에 의해 뒤채움재가 구속된 상태에 있음으로써, 점성토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 앵커보강토벽의 구조는 내부안정, 외부안정 공히 단순한 역학모델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성토(6)의 안정에 대한 설계 계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배면벽(20)을 저항부재(16) 부위에서 형성하였으므로, 저항부재(16)에 의한 지지상태를 견고한 것으로 하고, 성토(6)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면벽(20)이 성토(6)에 혼합하는 고화재(P)에 의해 형성되므로, 배면벽(20)의 형성작업이 용이한 동시에, 다른 구성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부품점수의 증가를 회피하여 시공비,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상세한 설명으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벽면제 배면에 복수의 항장부재의 각 한쪽 끝을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설치하고, 각 항장부재를 수평방향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이 항장부재의 각 다른쪽 끝에는 저항부재를 각각 설치하고, 각 저항부재 부위의 성토를 고화재에 의해 고화처리하여 상하방향으로 지향하는 배면벽을 형성한 것에 의해, 벽면재와 배면벽 사이에 보강통체가 존재하게 되어, 외측으로부터의 토압에 대하여 블록으로서 저항하는 기능을 발휘하여 성토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벽면재의 뒤채움재료로서 점성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 성토의 안정성에 대한 설계계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그위에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 배면벽을 저항부재 부위에서 형성하였으므로, 저항부재에 의한 지지상태를 견고한 것으로 하여 성토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면벽이 성토에 혼합하는 고화재에 의해 형성되므로, 배면벽의 형성작업이 용이한 동시에 다른 구성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부품점수의 증가를 회피하여 시공비,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Claims (1)

  1. 벽면재 배면에 복수의 항장부재의 각 한쪽 끝을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설치하고, 이 각 항장부재를 수평방향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이 항장부재의 각 다른쪽 끝에는 저항부재를 각각 설치하고, 이 각 저항부개 부위의 성토를 고화재에 의해 고화처리하여 상하방향으로 지향하는 배면벽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보강토벽의 구조.
KR1019940000104A 1993-01-22 1994-01-05 앵커보강토벽의 구조 KR100276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7408 1993-01-22
JP02740893A JP3177331B2 (ja) 1993-01-22 1993-01-22 アンカー補強土壁の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530A KR940018530A (ko) 1994-08-18
KR100276507B1 true KR100276507B1 (ko) 2000-12-15

Family

ID=1222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0104A KR100276507B1 (ko) 1993-01-22 1994-01-05 앵커보강토벽의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77331B2 (ko)
KR (1) KR100276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684A (ko) 2020-12-30 2022-07-08 주식회사 더드림헬스케어 복합놀이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2922A (ja) * 1995-11-08 1997-05-20 Kaihatsu Concrete Kk コンクリートウォールブロック
JP4562745B2 (ja) * 2007-03-13 2010-10-13 株式会社箱型擁壁研究所 擁壁及びその構築方法
JP5266099B2 (ja) * 2009-03-05 2013-08-21 和雄 田中 土留め用引抜き抵抗体の設計方法
JP6196901B2 (ja) * 2013-12-20 2017-09-13 五洋建設株式会社 既設構造物を補強する工法および構造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684A (ko) 2020-12-30 2022-07-08 주식회사 더드림헬스케어 복합놀이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220856A (ja) 1994-08-09
KR940018530A (ko) 1994-08-18
JP3177331B2 (ja) 200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0121B1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US4728225A (en) Method of rehabilitating a waterfront bulkhead
US6234716B1 (en) Underground structural work including prefabricated elements associated with piles and a process for its production
AU689527B2 (en) Constructions and corresponding production processes and sets of associated construction elements
JPH0756140B2 (ja) 擁壁構造物の建設方法及び擁壁構造物
JP2645899B2 (ja) 固化工法を用いた高水平耐力基礎工法
KR100276507B1 (ko) 앵커보강토벽의 구조
JP5437149B2 (ja) 擁壁土留構造体とその設置方法
US2880588A (en) Retaining walls
US4659261A (en) Retaining wall for earth and similar materials
US5123777A (en) Construction elements
JP4987652B2 (ja) 盛土の補強構造と補強方法および線状盛土
PT2206836E (pt) Estrutura de talude
CN106245673A (zh) 一种肋桩式桩板挡土墙及其构筑方法
CN109944162A (zh) 一种用于大吨位缆索吊系统的组合式轻型锚碇及施工方法
JP5184393B2 (ja) 防護壁及び防護壁形成方法
JP2000096584A (ja) 鋼製土留め擁壁
JP2963360B2 (ja) 補強土構造物の壁面構造
JPS6043531A (ja) 擁壁の構築方法
JP3564092B2 (ja) 橋台構造
US4594825A (en) Cantilevered support member and foundation unit
JP3210745B2 (ja) 網状部材を使用して構築される急勾配盛土構造物
CN213539041U (zh) 一种施工电梯基础装置
JPH0813494A (ja) 山留壁体と支保工の固定工法
JPS6043495B2 (ja) 擁壁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