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844B1 - 압착단자 - Google Patents

압착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844B1
KR100270844B1 KR1019970037766A KR19970037766A KR100270844B1 KR 100270844 B1 KR100270844 B1 KR 100270844B1 KR 1019970037766 A KR1019970037766 A KR 1019970037766A KR 19970037766 A KR19970037766 A KR 19970037766A KR 100270844 B1 KR100270844 B1 KR 100270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rimping
pressing
conductive portion
bla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479A (ko
Inventor
오까베 도시아끼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야스히코
Publication of KR19980018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6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contact members having a channel-shaped part, the opposite sidewalls of which comprise insulation-cut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Abstract

압착단자는 하나의 금속판을 압착 가공하여 만들어지며, 전기적 접촉부와 전선조임부는 각기 앞단부와 뒷단부에서 형성되고, 압착전도부는 전기적 접촉부와 전선조임부 사이에서 형성되며, 전선조임부는 바닥벽 부분과, 전선을 절연피복속으로 조이기 위해 안쪽으로 구부러지는 좌우측벽을 가진다.
압착단자에 있어서, 압착전도부는 U자형 단면으로서, 좌우측벽과 바닥벽 부분을 가지며, 전선조임부와 압착전도부의 우측벽은 하나의 측벽으로서 일체로 제공되고, 역시 전선조임부와 압착전도부의 좌측벽은 하나의 측벽으로서 제공되며, 압착전도부의 좌우측벽은 좌우압착날을 형성하도록 부분적으로 잘려지고 안쪽으로 올려진다.

Description

압착단자
제1(a)도는 종래 압착단자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b)도는 제1(a)도의 B-B선을 따라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1(c)도는 전선에 연결된 종래 압착단자의 부분사시도.
제2(a)도는 종래 킨 압착단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b)도는 전선에 연결된 종래 압착단자의 부분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착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a)도는 전선에 연결된 압착단자의 부분사시도.
제4(b)도는 제4(a)도의 B-B선 단면도.
제4(c)도는 제4(a)도의 C-C선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착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절연 피복전선을 압착슬롯에 밀어넣어 절연피복을 박리하지않고도 내부의 심선 도체와 도통시킬 수 있는 압착단자에 관한 것이다.
제1(a)도 내지 제1(c)도는 미국 특허공보 USP 4,385,794에 공개된 종래의 압착단자를 나타내며, 제1(a)도는 압착단자의 사시도, 제1(b)도는 제1(a)도의 B-B선 단면도. 제1(c)도는 압착단자에 접속된 피복전선의 부분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제1도에서, 부호1은 상기 종래의 압착단자를 표시한다. 압착단자(1)는 얇은 금속 시이트를 프레스 가공하여 만들어진다. 그 앞단은 메이팅(mating) 단자(짝을 이루는 단자; 도시되지 않음)와 접속되는 전기접촉부(2)이며, 그 뒷단은 전선조임부(3)이고, 앞단과 뒷단 사이의 중간부분은 압착전도부(4)이다. 전기접촉부(2)는 메이팅 단자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선조임부(3)의 좌우고정부(3a)는 절연피복(Wb) 위에서 전선(W)을 고정하도록 안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압착전도부(4)는 전선의 도체(Wa)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선조임부(3)는 제1압축부(6)를 통하여 압착전도부(4)에 연결되며, 압착전도부(4)는 제2압축부(6b)를 통하여 전기접촉부(2)에 연결된다.
압착전도부(4)의 앞단과 뒷단에는 각각 앞쪽 압착부재(10A)와 뒷쪽 압착부재 (10B)가 배치된다. 앞쪽 압착부재(10A)와 뒤쪽 압착부재(10B) 각각은 한쌍의 좌우 압착날을 가지며, 이들 압착날은 상호 대향하면서 전선의 도체가 밀려들어가는 압착슬롯(12)을 형성하게 되다. 전선조임부(3)와 압착전도부(4) 및 전기접촉부(2)는 공통으로 벨트모양의 바닥벽을 구비한다. 압착전도부(4)는 바닥벽(7)과, 바닥벽의 좌우 가장자리부를 위쪽으로 구부려 형성된 한쌍의 좌우 측벽(9)을 구비하는 단면U자형으로 이루어진다. 압착부재(10A, 10B)의 압착날(11)은 측벽(9)의 앞쪽 가장자리부분과 뒷쪽 가장자리부분을 안쪽으로 구부려 형성된다. 압착전도부(7)는 측벽(9)이 바닥벽(7)에 대해 구부러지는 선위에는 홈(18)이 프레스가공되어 구부러진 부분의 강성이 강화되는 것을 도모하고 있다.
전선(W)은 다음과 같이 압착단자(1 )에 연결된다.
전선(W)의 일단부가 압착단자(1)의 뒷단부와 평행하게 이 뒷단부에 놓인다. 이렇게 놓여진 전선(W) 일단부는 위로부터 압착전도부(4)의 압착슬롯(12) 내로 밀려들어간다. 이 경우 좌우 압착날(11)은 전선의 절연피복(Wb)을 절단하며, 전선의 심선도체(Wba)와 접촉한다. 전선(W)의 이 일단부가 더욱 밀려들어가면, 도체(Wa)는 좌우 압착날(11)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작용에 따라 도체심선에 의해 힘이 좌우 압착날(11 )에 가해져 이 압착날을 바깥쪽으로 밀면서 벌어지게한다.
제2도는 일본 실용신안공보 15159/1992(미심사)에 의해 공개된 압착단자(21)를 나타낸다. 압착단자(21)는 역시 얇은 금속판을 프레스가공하여 만들어지며, 그 앞단부는 메이팅(mating) 단자와 접속되는 전기적 접촉부(2)이고, 그 뒷단부는 전선조임부(3)이며, 앞단부와 뒷단부 사이의 중간부분은 압착전도부(4)이다. 전선조임부(3)는 제1압축부를 통하여 압착전도부(4)에 연결되며, 압착전도부(4)는 제2압축부를 통하여 전기적 접촉부(2)에 연결된다.
압착전도부(4)는 전기적접촉부(2)와 전선조임부(3)로 뻗어있는 바닥벽(7)부분과, 바닥벽(7)의 좌우가장자리부를 위쪽으로 구부려 형성된 한쌍의 좌우측벽(9)을 구비하며 단면 U자형으로 되어 있다. 압착전도부(4)의 한쌍의 측벽(9)은 각각 전선조임부(3)의 측벽에 이어져 있다. 압착전도부(4)는 앞단부와 뒷단부에 각각 앞쪽 압착부재(10A)와 뒷쪽 압착부재(10B)를 구비한다. 앞쪽 압착부재(10A)와 뒷쪽 압착부재(10B)는 각각 상호 대향하면서, 전선의 도체가 밀려들어가는 압착슬롯(12)을 형성하는 한쌍의 좌우 압착날을 구비한다. 압착날(11)은 측벽(9)의 앞쪽 가장자리부분을 안쪽으로 구부려 형성된다. 앞쪽 압착부재(10B)는 제2압축부의 바닥벽(7)을 절단하고 올려 만들어진 압착판(13)으로 형성된다. 압착판(13)은 좌우 압착날(13a)과, 좌우 압착날에 의해 한정된 압착슬롯(12)으로 구성된다. 압착판(13)의 좌우 상부 단부는 측벽(9)에 형성된 슬룻(14)과 접속되고, 이로 인해 압착판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압착단자는 대량생산되며, 많은 압착단자는 상호 인접하는 방식으로 코넥터 하우징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작고 경량의 압착단자의 공급에 대한 강한 요구가 있었다. 압착단자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서는 압착단자로 만들어지는 금속판의 두께를 줄이는 것이 필수적이며, 또한, 압착단자를 소형화하기 위하여 압착단자의 폭과 길이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들면, 압착단자의 폭을 줄이기 위하여 압착슬롯을 형성하는 압착날의 폭을 줄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압착단자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금속판의 두께가 줄어들거나, 또는 압착날의 폭이 줄어들면, 압착날의 기계적 강도가 감소하고, 그 결과 전선이 압착슬롯에 밀려들어갈 때 좌우 압착날은 바깥쪽으로 열린다.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압착단자에 있어서, 압착날(11)은 압착전도부(4)의 측벽(9)의 앞쪽 가장자리부분과 뒷쪽 가장자리부분을 안쪽으로 구부려 형성된다. 그러나, 전선이 압착슬롯에 밀려 들어갈 때 압착날(11)에 작용하는 힘은 측벽(9)과 바닥벽(7)의 이음부(굴절부)에 집합적으로 작용한다. 그 결과, 측벽(9)은 바깥쪽으로 구부러지며, 따라서 압착날(11)은 바깥쪽으로 구부러진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긴 위해서, 측벽(9)과 바닥벽(7)의 이음부에는 홈이 형성된다. 그러나, 홈은 측벽(9)의 상부 단부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별로 효과적이지 못하다. 즉, 홈은 압착날(11)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다.
제2도에 도시된 종래의 압착단자(21)에 있어서, 압착전도부(4)의 측벽(9)은 전선조임부(3)의 측벽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특성은 측벽(7)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압축부의 바닥벽(9)을 절단하여 세우는 것에 의하여 확보된 압착판(13)이 뒷쪽 압착부재(10B)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압착판(13)의 높이에 대응하는 제1압축부의 바닥벽(7)이 좀 더 큰 크기를 쫓는 것이 필요하며, 따라서 압착전도부(4)와 전선조임부(3) 사이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어렵게 되고, 그 결과 단자는 불가피하게 크게 된다. 더욱이, 압착전도부(4)의 측벽(9)은 압착판(13)으로 부터 분리되므로 측벽(9)은 압착판(13)을 측면으로 충분히 지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압착날(13a)이 바깥쪽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압착단자에 수반되는 전술한 문제점을 제거하는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된, 그리고 전선이 압착날들 사이의 공간에 밀려들어갈 때 압착날이 바깥쪽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압착단자, 즉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이 향상된 압착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구성특징에 따른 압착단자는 메이팅 단자와 접속하기 위한 전기적 접촉부와, 바닥벽과, 전선의 절연피복을 고정하기 위해 위쪽에서 전선을 향해 안쪽으로 구부러지는 부분이 있는 한쌍의 좌우측벽을 가지며, 단면이 U자형으로된 전선조임부와, 상기 전기적 접촉부와 전선조임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의 심선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압착전도부를, 구비하며, 상기 압착전도부는 단면 U자형으로서, 바닥벽과, 절연피복을 통과하는 우측 압착날부재를 갖는 우측벽과, 절연피복을 통과하는 좌측 압착날부재를 갖는 좌측벽을 가지고, 이 우측 압착날부재와 좌측 압착날부재 사이에는 압착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전선조임부의 우측벽과 압착전도부의 우측벽은 하나의 평탄측벽으로서 일체로 제공되고, 상기 전선조임부의 좌측벽과 압착전도부의 좌측벽도 하나의 평탄측벽으로서 일체로 제공되며, 상기 좌우측벽들은 전체 길이에 걸쳐 평탄한 부분을 일부가지며, 상기 압착전도부의 각 좌우측벽의 일부분은 부분적으로 절단되는 동시에 내측방향으로 프레스가공되어 상기 절연피복을 통과하는 좌우측 압착날부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1구성특징에 있어서, 압착전도부의 측벽은 전선조임부의 측벽에 이어지므로 압착전도부의 측벽은 전선조임부의 측벽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전선이 압착전도부의 압착슬롯에 밀려들어가면 좌우 압착날부재는 바깥으로 벌어져 열리게 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압착날부재를 갖는 측벽이 상기와 같이 한정되므로 압착날부재의 개구는 한정된다. 전선이 조여지고, 동시에 전선이 압착슬롯에 밀려들어가는 경우에는 전선조임부의 측벽은 전선이 조여질 때 안쪽으로 구부러진다. 그러므로 전선조임부의 측벽에 작용하는 내향력(內向力)과 압착전도부의 압착날부재로부터 측벽에 작용하는 외향력(外向力)이 서로 상쇄되기 때문에 전선이 압착슬롯에 밀려들어가면서 압착전도부의 압착날부재에 외측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압착날부재가 바깥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구성특징에 따르면 상기 압착단자가 상기 압착전도부를 상기 전선조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는 단면 U자형으로서 바닥벽 및 좌우측벽을 가지고, 상기 압착전도부의 바닥벽 및 좌우측벽은 상기 제1 연결부의 바닥벽 및 좌우측벽을 통해 상기 전선조임부의 바닥벽 및 좌우측벽에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2구성특징에 있어서는 상기 압착전도부의 바닥벽 및 좌우측벽은 상기 제1 연결부의 바닥벽 밑 좌우측벽을 통해 상기 전선조임부의 바닥벽 및 좌우측벽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전선조임부 및 압착전도부가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구성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기적 접촉부는 우측벽, 좌측벽, 꼭대기벽, 바닥벽을 갖는 상자형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전기적 접촉부의 우측벽과 압착전도부의 우측벽은 하나의 평탄측벽으로서 일체로 제공되고, 상기 전기적 접촉부의 좌측벽과 상기 압착전도부의 좌측벽도 하나의 평탄측벽으로서 일체로 제공되며, 상기 전기적 접촉부, 압착전도부, 전선조임부 각각의 우측벽들은 상호 연속적으로 평탄하게 형성되며, 상기 전기적 접촉부, 압착전도부, 전선조임부 각각의 좌측벽들도 상호 연속적으로 평탄하게 형성되며, 상기 연속하면서 평탄한 상기 우측벽과 좌측벽 상호간은 일정한 길이를 따라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본 발명의 제3구성특징에 따른 압착단자에 있어서는 상기 전기적 접촉부의 우측벽과 압착전도부의 우측벽은 하나의 평탄측벽으로서 일체로 제공되고, 상기 전기적 접촉부의 좌측벽과 상기 압착전도부의 좌측벽도 하나의 평탄 측벽으로서 일체로 제공된다. 따라서, 압착전도부의 측벽은 전기적 접촉부의 측벽 및 전선조임부의 측벽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압착전도부의 압착슬롯에서 전선이 가압될 때 압착날부재를 포함하는 측벽이 전술한 바와같이 제한되므로 그 압착날부재 또한 외측으로 거의 벌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4구성특징에 따른 압착단자에 있어서는 전기적 접촉부가를 상기 압착전도부에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단면 U자형으로서 바닥벽과, 좌우측벽을 가지며, 상기 압착전도부의 바닥벽 및 좌우측벽은 제2 연결부의 바닥벽 및 좌우측벽을 통해 상기 전기적 접촉부의 바닥벽 및 좌우측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2결합부의 좌우측벽 각각은 상기 연속하면서 평탄한 좌우측벽의 일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4특징구성에 있어서는 전선조임부, 압착전도부, 전기적 접촉부에서 그 바닥벽, 좌우측벽 모두가 한 개의 벽으로서 제공된다. 따라서 압착단자의 강성이 전체적으로 강화된다.
본 발명의 제5구성특징에 있어서는 상기 절연피복을 통과하는 상기 좌측 압착날부재 및 우측 압착날부재 각각이 앞쪽 및 뒷쪽 압착날을 가지고 있어 상기 좌우 압착날부재 사이에서 앞쪽 압착슬롯 및 뒷쪽 압착슬롯을 형성하며, 상기 우측 압착날부재의 앞쪽 및 뒷쪽 압착날의 상부 단부는 우측연결벽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좌측 압착날부재의 상기 앞쪽 및 뒷쪽 압착날의 상부 단부는 좌측 연결벽을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5구성특징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같이 앞쪽압착부 및 뒤쪽압착부의 상단부가 연결벽을 통해 상호 결합되어 있다.
즉, 우측압착날이 한 개의 유니트로서 제공되고, 역시 좌측압착날 또한 한 개의 유니트로서 제공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앞뒷쪽 압착날들이 상호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구성특징에 있어서는 상기 우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의 상기 우측벽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좌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의 상기 좌측벽 일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같은 제6구성의 특징에 따라 압착날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측벽의 효과가 2개의 압착부의 압착날에 부가된다.
본 발명의 제7구성의 특징에 있어서는 상기 우측 압착날부재의 앞쪽 및 뒷쪽 압착날은 상기 압착전도부의 우측벽에 형성된 제1 개구의 앞쪽 및 뒷쪽 가장자리로 부터 뻗은 돌기를 구부려 만들어지고, 상기 우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의 우측벽 중에서 제1 개구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좌측 압착날부재의 앞쪽 및 뒷쪽 압착날은 각각 상기 압착전도부의 좌측벽에 형성된 제1 개구의 앞쪽 및 뒷쪽 가장자리로부터 뻗은 돌기를 구부려 만들어지며, 상기 좌측 연결벽은 압착전도부의 좌측벽 중에서 상기 제1 개구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제7구성특징에서는 제1개구가 압착전도부의 좌우측벽에 각각 형성되고, 제1개구 각각의 앞쪽 가장자리 및 뒤쪽 가장자리로 뻗는 돌기가 앞짝날을 형성하고, 이 앞착날의 상단부는 연결벽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8구성특징에 있어서는 상기 압착전도부의 좌우측벽은 각각 제2 개구를 가지며, 이 제2 개구는 각각 상기 제1 개구와 앞뒤 방향으로 정렬하고, 상기 제2 개구의 앞쪽 및 뒷쪽 가장자리로 부터 뻗은 돌기는 내측으로 구부러져 절연피복을 통과하는 한쌍의 압착날을 형성하며, 이 압착날에 의해 제3슬롯이 만들어진다.
제8구성특징에 따르면 제1개구 및 제2개구가 형성됨에 따라 최소한 2개의 압착부가 앞뒤방향으로 배치되고, 또, 모든 압착부가 측벽에 의해 상호 연속하며, 이러한 특징에 의해 압착부의 압착날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 및 이점은 다음에 첨부도면과 함께 설명하는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압착단자의 일 실시예를 제3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에서, 부호 51은 제1실시예의 압착단자를 표시한다. 압착단자(51)는 얇은 금속단자를 프레스가공하여 만들어진다. 압착단자(51)의 앞단부는 메이팅 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접속하는 전기적 접촉부(2)이며, 뒷단부는 전선조임부(3)이고, 앞단부와 뒷단부 사이의 중간 부분은 압착전도부(4)이다.
전기적 접촉부(2)는 메이팅 단자와 접속되어 전선(W)을 메이팅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전기적 접촉부(2)는 좌우측벽(52)과, 꼭대기벽(55) 및 바닥벽부분에 의해 한정되는 상자형으로 되어 있다. 전선조임부(3)는 절연피복(Wb)속으로 전선(W)을 고정한다. 전선조임부(3)는 바닥벽(7)과 좌우측벽(53)에 의해 구성되며, 단면이 U자형으로 되어 있다. 좌우측벽(53)의 상부 단부는 전선(W)의 외측에서 안쪽으로 구부려 전선(W)을 고정하는 고정부(3a)이다. 압착전도부(4) 자체는 전선의 도체(Wa)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하며, 바닥벽(7)의 일부분과 좌우측벽(54)에 의해 형성되는 한편 단면 U자형으로 되어 있다. 전선조임부(3)는 제1 연결부(56)를 통하여 압착전도부(4)에 연결된다. 제1 연결부(56)도 바닥벽(7)과, 좌우측벽(55a)을 가지며, 그 단면이 U자형으로 되어 있다. 압착전도부(4)는 제2 연결부(57)를 통하여 전선조임부(3)에 연결된다. 제2 연결부(57)도 유사하게 바닥벽(7)과 좌우측벽(57a)에 의해 형성되며 역시 단면 U자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의 서술로부터 명백하듯이, 전선조임부(3)와, 압착전도부(4) 및 전기적 접촉부(2)는 하나의 바닥벽(7)을 갖는다. 우측벽(53, 56a, 54, 57a, 52)은 하나의 평평한 벽으로서 제공되며, 마찬가지로 좌측벽(53, 56a, 54, 57a, 52) 또한 하나의 평평한 벽으로서 제공된다. 즉, 이러한 좌우측벽(53, 56a, 54, 57a, 52)은 바닥벽(7)의 좌우 가장자리로 부터 뻗어있는 좌우벽판을 위쪽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압착전도부(4)의 앞단부 및 뒷단부에는 각각 앞쪽 압착부(10A)와 뒤쪽압착부(10B)가 배치된다. 각각의 압착부(10A, 10B)는 전선의 도체를 받아들이는 압착슬롯(12)을 형성하는 한쌍의 좌우압착날(11)을 구비한다. 압착전도부(4)의 좌우측벽(54)은 각기 두 개의 직사각형 개구(61)를 갖는다. 각각의 제1 개구(61)의 앞쪽 및 뒷쪽 가장자리로부터 구부러져 뻗은 돌기가 상기 압착날(11)을 형성한다. 상기 직사각형 개구(61)와, 벽(측벽(54)의 일부분)은 연결벽(62)으로서 작용한다. 즉, 압착부(10A, 10B)의 우측 압착날의 상부 단부는 각각 우측연결벽(62)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마찬가지로 압착부재(10A, l0B)의 좌측 압착날의 상부 단부는 좌측연결벽(62)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압착단자에 있어서, 직사각형 개구(61)는 압착전도부(4)의 측벽(54)에 형성되고, 개구(61)의 앞쪽 및 뒷쪽 가장자리로 부터 뻗은 돌기는 압착날(11) 내로 형성되어 측벽(53, 56a, 54, 57a, 52)이 서로 이어져 하나의 측벽으로서 제공된다.
이제,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압착단자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전선(W)은 다음과 같이 본 발명의 암착단자에 연결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W)의 일단부를 압착단자(51)의 뒷단부와 평행하게 이 뒷단부에 놓는다. 이 상태에서, 전선은 위로부터 압착전도부(4)의 압착슬롯(12)에 밀려 들어간다. 그 결과, 제4(b)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압착날은 전선(W)의 절연피복(Wb)을 절단하며, 양면에서 도체(Wa)와 접촉한다. 전선(W)이 더 밀려들어가면, 도체(Wa)는 좌우압착날(11) 사이에서 이 압착날(11)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있어서, 힘이 제4(b)도의 화살표(b)에 의해 표시된 것처럼 좌우압착날(11)에 미친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이유로 해서 압착날(11)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압착단자(51)에 있어서, 전기 접촉부(2)의 우측벽(52, 54, 53)과, 압착전도부(4) 및 전선조임부(3)는 하나로 이어진 측벽으로서 제공된다. 그리고 좌측벽(52, 54, 53)도 또한 하나로 이어진 측벽으로서 제공된다. 또한, 압착전도부(4)를 전선조임부(3)에 연결하는 제1 연결부(56)는 바닥벽(7)과 좌우측벽(57a)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단면이 U자형으로 되고, 압착전도부(4)를 전기적 접촉부(2)에 연결하는 제2 연결부(57) 또한 바닥벽(7)과 좌우측벽(57a)에 의해 형성되며, 그 단면이 U자형으로 된다. 그러므로, 압착단자(51)의 경도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압착전도부(4)의 측벽(54)이 전기적 접촉부(2)의 측벽(52, 54)과, 압착전도부(4)의 앞쪽 및 뒤쪽에 배치되는 전선조임부(3)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전기적 접촉부(2)는 상자형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측벽(54)에 대한 다른 측벽(52)의 구속력이 훨씬 크다. 그 결과, 비록 압착전도부(4)의 압착날(11)을 바깥쪽으로 열도록 힘이 가해져도, 압착날(11)을 형성하는 측벽(54)은 앞쪽 및 뒷쪽 단부에 한정된다. 즉. 압착날(11)은 절대로 바깥쪽으로는 벌어지지 않는다.
전선(W)을 전선조임부(3)에 고정하는 것과 전선(W)을 압착전도부(4)에 밀어넣는 것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4(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선조임부(3)의 측벽(53)의 상부 단부의 고정부(3a)는 화살표(a)로 표시된 것처럼 안쪽으로 구부러진다.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록 압착전도부(4)의 압착날(11)이 전선이 밀려들어감에 따라 화살표(b)로 표시된 것처럼 바깥으로 벌어지도록(또는 열리도륵) 작용하지만, 전선조임부(3)의 측벽(53)에 작용하는 내향력과 압착전도부(4)의 압착날(11)로 부터 측벽(54)에 작용하는 외향력은 서로 상쇄된다. 그 결과, 압착날(11)이 바깥쪽으로 열라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압착날(11)이 바깥쪽으로 열리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기 때문에, 압착날(11)의 폭을 감소시켜 압착단자를 소형화한다면, 전선(W)이 압착슬롯에 밀려들어갈 때태 압착날(11)이 절연피복(Wb)을 제대로 절단하지 못하는 어려움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또한, 전선(W)의 심선도체(Wa)위의 접촉부하가 충분히 높아질 수 있다. 즉, 전기적 접촉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압착단자에 있어서, 압착전도부(4)의 압착날(11)은 좌우측벽(54)을 절단하여 세움으로써 얻어진다. 그러므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날이 바닥벽(7)을 절단하여 세워서 얻어지는 종래의 압착단자와는 달리, 본 발명의 압착단자에 있어서는 압착날을 절단하여 세우는데 필요한 크기 정도의 치수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압착단자의 세로방향의 크기가 많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압착단자에 있어서, 전선조임부(3)로 부터 압착전도부(4)에 까지 우측벽(53, 54)이 이어지고 좌측벽(53, 54)도 또한 이어지므로, 압착전도부(4)의 중심과 전선조임부(3)의 중심이 서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압착단자는 전선(W)이 압착슬롯에 밀려들어갔거나 조여질 때 전선이 구부러지는 사실에 의해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어려움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압착단자에는 앞쪽 및 뒷쪽 단부에 압착부재(10A, 10B)가 각각 제공되며, 우측 압착날(11)은 연결벽(62)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마찬가지로 좌측 압착날(11)도 연결벽(62)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즉, 우측 압착날(11)은 서로 일체가 되며, 좌측 압착날도 서로 일체를 이룬다. 그리하여, 측벽(54)은 동일하게 두 개의 압착부재(10A, 10B)의 압착날(11)이 서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압착전도부(4)의 측벽(54)은 직사각형 개구(61)를 구비하며, 직사각형 개구(61)의 앞쪽 및 뒷쪽 가장자리로부터 안쪽으로 구부러져 뻗은 돌기가 압착날(11)을 형성하고 그 상부 단부는 연결벽(62)으로 연결되며, 서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강한 힘을 쉽게 얻을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압착단자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제5도에서, 부호(8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압착단자를 표시한다. 압착단자(81)는 제1실시예의 압착단자(51)와 구조가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의 압착단자(81)는 단지 다음과 같은 점에서만 제1실시예의 압착단자(51)와 다르다. 압착전도부(4)는 두 개의 압착부재(10A, 10B ; 이하에서는 제 1 및 제2 압착부재 10A, 10B라고 함)외에 뒷단부에 제3 압착부재(l0C)를 갖는다. 압착전도부(4)의 좌우측벽(54)은 개구(61; 이하에서는 제1 개구(61)라고 함)와, 제1 개구 뒤에 제2 개구(61B)를 갖는다. 제2 개구(61B)의 뒤쪽 가장자리로부터 뻗은 돌기는 제3 압착부재(10C)의 압착날(11)과 압착슬롯(12)을 형성하도록 안쪽으로 구부러진다. 그 외의 다른 구성은 상기한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제5도에 있어서 제3도와 제4도(제1실시예)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기능적으로 대응하는 부재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개구(61, 61B)는 제1, 제2 및 제3 압착부재(10A, 10B, lOC)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전선(W)은 압착단자와 더욱 확실히 고정되고,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제2 개구(61B)는 제1 개구(61)의 앞쪽에 배치된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압착부재는 제2 개구(61B)의 앞쪽 가장자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압착부재는 제2 개구(61B)의 뒷쪽 가장자리를 이용하여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3 및 제4 압착부재는 제2 개구(61B)의 앞쪽 및 뒤쪽 가장자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압착부재의 수는 하나 이상이어야 하며, 개구의 수는 압착부재의 수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양상의 압착단자에 있어서, 전선조임부와 압착전도부의 우측벽이 하나의 측벽으로서 제공되며, 전선조임부와 압착전도부의 좌측벽도 또한 하나의 측벽으로서 제공된다. 그러므로, 압착전도부의 측벽은 전선조임부의 측벽에 의해 한정된다. 압착날부재를 형성하는 측벽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한정되기 때문에, 전선이 압착전도부의 압착슬롯에 밀려들어갈 때는 압착날부재가 바깥쪽으로 열리는 것이 방지된다. 전선이 조여지는 경우, 그리고 동시에 전선이 압착슬롯에 밀려들어갈 경우에는 전선이 조여질 때 전선조임부의 측벽이 안쪽으로 구부러진다. 그러므로, 비록 전선이 압착슬롯에 밀려들어감에 따라 압착전도부의 압착날부재가 바깥쪽으로 열리게 되는 경향이 있게되더라도, 전선조임부의 측벽에 작용하는 내향력과 압착전도부의 압착날부재로 부터 측벽에 적용하는 외향력이 서로 상쇄되기 때문에 압착날부재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는(즉 열리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양상의 압착단자에 있어서, 바닥벽과 압착전도부의 좌우벽은 제1 연결부의 좌우벽과 바닥벽을 통해 전선조임부의 좌우벽과 바닥벽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전선조임부와 압착전도부는 기계적 강도가 높으며, 전선조임부의 중심과 압착전도부의 중심이 상호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양상의 압착단자에 있어서, 전기적 접촉부의 우측벽과 압착전도부 및 전선 조임부는 하나의 측벽으로서 제공되며, 전기적 접촉부의 좌측벽과 압착전도부 및 전선조임부가 또한 하나의 측벽으로서 제공된다. 그러므로, 압착전도부의 측벽은 전기적 접촉부의 측벽과 전선조임부의 측벽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전선이 압착전도부의 압착슬롯에 밀려들어갈 때, 압착날을 갖는 측벽은 상기와 같이 형성되므로 좌우 압착날부재는 바깥쪽으로 열리지 않는다. 전기적 접촉부는 상자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압착날을 형성하는 측벽의 구속력이 매우 크고, 이것은 압착날이 바깥쪽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특성은 본 발명의 제1양상 또는 제2 양상의 압착단자의 효과 또는 장점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제4양상의 압착단자는 제3양상의 압착단자의 효과 또는 장점외에도 다음과 같은 효과 또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4양상의 압착단자에 있어서, 압착전도부와 전기적 접촉부는 제2 연결부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또한 전선조임부와, 압착전도부 및 전기적 접촉부에 있어서, 그 바닥벽들은 하나의 벽으로서 제공되며, 그 우측벽들도 하나의 벽으로서 제공되고, 그 좌측벽들도 하나의 벽으로서 제공된다. 그러므로, 압착단자는 경도가 높으며, 전선조임부의 중심과 압착전도부의 중심이 서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5양상의 압착단자는 본 발명의 제1양상 내지 제4양상의 압착단자의 효과 또는 장점외에도 다음과 같은 효과 또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5양상의 압착단자에 있어서, 앞쪽 및 뒷쪽 압착날이 제공되며, 앞쪽 및 뒷쪽 압착날의 좌우 압착날부재의 상부 단부는 연결벽에 연결된다. 즉, 우측 압착날부재는 하나의 유니트로서 제공되며, 좌측 압착날부재도 또한 하나의 유니트로서 제공되고, 이것은 앞쪽 및 뒷쪽 압착날을 가진 압착날부재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6양상의 압착단자는 제5양상의 압착단자의 효과 또는 장점외에도 다음과 같은 효과 또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6양상의 압착단자에 있어서, 연결벽은 압착전도부의 측벽이다. 그러므로, 압착날부재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측벽의 효과는 2개의 압착날을 가진 압착날부재에 미친다.
본 발명의 제7양상의 압착단자는 제6양상의 압착단자의 효과 또는 장점외에도 다음과 같은 효과 또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7양상의 압착단자에 있어서, 제1 개구는 각각 압착전도부의 좌측벽에 형성되며, 제1 개구의 앞쪽 및 뒷쪽 가장자리로 부터 뻗은 돌기는 상부 단부가 연결벽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압착날을 형성하도록 안쪽으로 구부러진다.
본 발명의 제8양상의 압착단자는 제7양상의 압착단자의 효과 또는 장점외에도 다음과 같은 효과 또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8양상의 압착단자에 있어서, 제1 개구와 제2 개구를 형성함으로 인해 3개의 압착부재가 앞쪽으로 부터 뒷쪽방향으로 배열된다. 또한, 모든 압착부재는 측벽에 의해 서로 이어지도록 만들어진다. 이러한 특성은 압착부재의 압착날이 바깥쪽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며, 압착단자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Claims (30)

  1. 메이팅 단자와 접속하기 위한 전기적 접촉부(2)와, 바닥벽(7)과, 전선(W)을 고정하기 위해 전선의 절연피복(Wb) 위쪽에서 전선을 향해 안쪽으로 구부러지는 부분이 있는 한쌍의 좌우측벽을 가지며, 단면이 U자형으로된 전선조임부(3)와, 상기 전기적 접촉부(2)와 전선조임부(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의 심선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압착전도부(4)를 구비하며, 상기 압착전도부(4)는 단면 U자형으로서, 바닥벽(7)과, 절연피복을 통과하는 우측 압착날부재를 갖는 우측벽과, 절연피복을 통과하는 좌측 압착날부재를 갖는 좌측벽을 가지고, 이 우측 압착날부재와 좌측 압착날부재 사이에는 압착슬롯(12)이 형송되며, 상기 전선조임부(3)의 우측벽과 압착전도부(4)의 우측벽은 하나의 평탄측벽으로서 일체로 제공되고, 상기 전선조임부(3)의 좌측벽과 압착전도부(4)의 좌측벽도 하나의 평탄측벽으로서 일체로 제공되며, 상기 좌우측벽들은 전체 길이에 걸쳐 평탄한 부분을 일부가지며, 상기 압착전도부(4)의 각 좌우측벽의 일부분은 부분적으로 절단되는 동시에 내측방향으로 프레스가공되어 상기 절연피복을 통과하는 좌우측 압착날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전도부(4)를 상기 전선조임부(3)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연결부(56)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56)는 단면 U자형으로서 바닥벽 및 좌우측벽을 가지고, 상기 압착전도부(4)의 바닥벽 밑 좌우측벽은 상기 제1 연결부(56)의 바닥벽 및 좌우측벽을 통해 상기 전선조임부(3)의 바닥벽 및 좌우측벽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접촉부(2)는 우측벽, 좌측벽, 꼭대기벽, 바닥벽을 갖는 상자형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전기적 접촉부(2)의 우측벽과 압착전도부(4)의 우측벽은 하나의 평탄측벽으로서 일체로 제공되고, 상기 전기적 접촉부(2)의 좌측벽과 상기 압착전도부(4)의 좌측벽도 하나의 평탄 측벽으로서 일체로 제공되며, 상기 전기적 접촉부(2), 압착전도부(4), 전선조임부(3) 각각의 우측벽들은 상호 연속적으로 평탄하게 형성되며, 상기 전기적 접촉부(2), 압착전도부(4), 전선조임부(3) 각각의 좌측벽들도 상호 연속적으로 평탄하게 형성되며, 상기 연속하면서 평탄한 상기 우측벽과 좌측벽 상호간은 일정한 길이를 따라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접촉부(2)를 상기 압착전도부(4)에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부(57)를 구비하며, 상기 제2연결부는 단면 U자형으로서 바닥벽과, 좌우측벽을 가지며, 상기 압착전도부(4)의 바닥벽 및 좌우측벽은 제2 연결부의 바닥벽 및 좌우측벽을 통해 상기 전기적 접촉부(2)의 바닥벽 및 좌우측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2 결합부의 좌우측벽 각각은 상기 연속하면서 평탄한 좌우측벽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피복을 통과하는 상기 좌측 압착날부재 및 우측 압착날부재 각각은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을 가지고 있어 상기 좌우 압착날부재 사이에서 앞쪽 압착슬롯(12) 및 뒷쪽 압착슬롯(12)을 형성하며, 상기 우측 압착날부재의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의 상부 단부는 우측연결벽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좌측 압착날부재의 상기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의 상부 단부는 좌측 연결벽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상기 우측벽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좌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상기 좌측벽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압착날부재의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우측벽에 형성된 제1 개구(61)의 앞쪽 및 뒷쪽 가장자리로 부터 뻗은 돌기를 구부려 만들어지며, 상기 우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의 우측벽 중에서 제1 개구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좌측 압착날부재의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은 각각 상기 압착전도부(4)의 좌측벽에 형성된 제1 개구(61)의 앞쪽 및 뒷쪽 가장자리로부터 뻗은 돌기를 구부려 만들어지며, 상기 좌측 연결벽은 압착전도부의 좌측벽 중에서 상기 제1 개구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전도부(4)의 좌우측벽은 각각 제2 개구(61B)를 가지며, 이 제2 개구는 각각 상기 제1 개구와 앞뒤 방향으로 정렬하며, 상기 제2 개구의 앞쪽 및 뒷쪽 가장자리로 부터 뻗은 돌기는 내측으로 구부러져 절연피복을 통과하는 한쌍의 압착날을 형성하며, 이 압착날에 의해 제3슬롯이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접촉부(2)는 우측벽, 좌측벽, 꼭대기벽, 바닥벽을 갖는 상자형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전기적 접촉부(2)의 우측벽과 압착전도부(4)의 우측벽은 하나의 평탄측벽으로서 일체로 제공되고, 상기 전기적 접촉부(2)의 좌측벽과 상기 압착전도부(4)의 좌측벽도 하나의 평탄 측벽으로서 일체로 제공되며, 상기 전기적 접촉부(2), 압착전도부(4), 전선조임부(3) 각각의 우측벽들은 상호 연속적으로 평탄하게 형성되며, 상기 전기적 접촉부(2), 압착전도부(4), 전선조임부(3) 각각의 좌측 벽들도 상호 연속적으로 평탄하게 형성되며, 상기 연속하면서 평탄한 상기 우측벽과 좌측벽 상호간은 일정한 길이를 따라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접촉부(2)를 상기 압착전도부(4)에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부(57)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단면 U자형으로서 바닥벽과, 좌우측벽을 가지며, 상기 압착전도부(4)의 바닥벽 및 좌우측벽은 제2 연결부의 바닥벽 및 좌우측벽을 통해 상기 전기적 접촉부(2)의 바닥벽 및 좌우측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2 결합부의 좌우측벽 각각은 상기 연속하면서 평탄한 좌우측벽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피복을 통과하는 상기 좌측 압착날부재 및 우측 압착날부재 각각은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을 가지고 있어 상기 좌우 압착날부재 사이에서 앞쪽 압착슬롯(12) 및 뒷쪽 압착슬롯(12)을 형성하며, 상기 우측 압착날부재의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의 상부 단부는 우측연결벽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좌측 압착날부재의 상기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의 상부 단부는 좌측 연결벽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피복을 통과하는 상기 좌측 압착날부재 및 우측 압착날부재 각각은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을 가지고 있어 상기 좌우 압착날부재 사이에서 앞쪽 압착슬롯(12) 및 뒷쪽 압착슬롯(12)을 형성하며, 상기 우측 압착날부재의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의 상부 단부는 우측연결벽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좌측 압착날부재의 상기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의 상부 단부는 좌측 연결벽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피복을 통과하는 상기 좌측 압착날부재 및 우측 압착날부재 각각은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을 가지고 있어 상기 좌우 압착날부재 사이에서 앞쪽 압착슬롯(12) 및 뒷쪽 압착슬롯(12)을 형성하며, 상기 우측 압착날부재의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의 상부 단부는 우측연결벽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좌측 압착날부재의 상기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의 상부 단부는 좌측 연결벽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피복을 통과하는 상기 좌측 압착날부재 및 우측 압착날부재 각각은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을 가지고 있어 상기 좌우 압착날부재 사이에서 앞쪽 압착슬롯(12) 및 뒷쪽 압착슬롯(12)을 형성하며, 상기 우측 압착날부재의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의 상부 단부는 우측연결벽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좌측 압착날부재의 상기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의 상부 단부는 좌측 연결벽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피복을 통과하는 상기 좌측 압착날부재 및 우측 압착날부재 각각은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을 가지고 있어 상기 좌우 압착날부재 사이에서 앞쪽 압착슬롯(12) 및 뒷쪽 압착슬롯(12)을 형성하며, 상기 우측 압착날부재의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의 상부 단부는 우측연결벽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좌측 압착날부재의 상기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의 상부 단부는 좌측 연결벽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상기 우측벽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좌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상기 좌측벽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상기 우측벽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좌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상기 좌측벽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상기 우측벽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좌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상기 좌측벽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상기 우측벽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좌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상기 좌측벽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상기 우측벽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좌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상기 좌측벽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압착날부재의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우측벽에 형성된 제1 개구(61)의 앞쪽 및 뒷쪽 가장자리로 부터 뻗은 돌기를 구부려 만들어지며, 상기 우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의 우측벽 중에서 제1 개구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좌측 압착날부재의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은 각각 상기 압착전도부(4)의 좌측벽에 형성된 제1 개구(61)의 앞쪽 및 뒷쪽 가장자리로부터 뻗은 돌기를 구부려 만들어지며, 상기 좌측 연결벽은 압착전도부의 좌측벽 중에서 상기 제1 개구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압착날부재의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우측벽에 형성된 제1 개구(61)의 앞쪽 및 뒷쪽 가장자리로 부터 뻗은 돌기를 구부려 만들어지며, 상기 우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의 우측벽 중에서 제1 개구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좌측 압착날부재의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은 각각 상기 압착전도부(4)의 좌측벽에 형성된 제1 개구(61)의 앞쪽 및 뒷쪽 가장자리로부터 뻗은 돌기를 구부려 만들어지며, 상기 좌측 연결벽은 압착전도부의 좌측벽 중에서 상기 제1 개구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압착날부재의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우측벽에 형성된 제1 개구(61)의 앞쪽 및 뒷쪽 가장자리로 부터 뻗은 돌기를 구부려 만들어지며, 상기 우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의 우측벽 중에서 제1 개구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좌측 압착날부재의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은 각각 상기 압착전도부(4)의 좌측벽에 형성된 제1 개구(61)의 앞쪽 및 뒷쪽 가장자리로부터 뻗은 돌기를 구부려 만들어지며, 상기 좌측 연결벽은 압착전도부의 좌측벽 중에서 상기 제1 개구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압착날부재의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우측벽에 형성된 제1 개구(61)의 앞쪽 및 뒷쪽 가장자리로 부터 뻗은 돌기를 구부려 만들어지며, 상기 우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의 우측벽 중에서 제1 개구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좌측 압착날부재의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은 각각 상기 압착전도부(4)의 좌측벽에 형성된 제1 개구(61)의 앞쪽 및 뒷쪽 가장자리로부터 뻗은 돌기를 구부려 만들어지며, 상기 좌측 연결벽은 압착전도부의 좌측벽 중에서 상기 제1 개구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압착날부재의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우측벽에 형성된 제1 개구(61)의 앞쪽 및 뒷쪽 가장자리로 부터 뻗은 돌기를 구부려 만들어지며, 상기 우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의 우측벽 중에서 제1 개구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좌측 압착날부재의 앞쪽 및 뒷쪽 압착날(11)은 각각 상기 압착전도부(4)의 좌측벽에 형성된 제1 개구(61)의 앞쪽 및 뒷쪽 가장자리로부터 뻗은 돌기를 구부려 만들어지며, 상기 좌측 연결벽은 압착전도부의 좌측벽 중에서 상기 제1 개구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상기 우측벽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좌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상기 좌측벽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상기 우측벽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좌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상기 좌측벽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상기 우측벽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좌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상기 좌측벽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상기 우측벽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좌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상기 좌측벽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상기 우측벽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좌측 연결벽은 상기 압착전도부(4)의 상기 좌측벽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KR1019970037766A 1996-08-08 1997-08-07 압착단자 KR100270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012896A JP3315870B2 (ja) 1996-08-08 1996-08-08 圧接端子
JP96-210128 1996-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479A KR19980018479A (ko) 1998-06-05
KR100270844B1 true KR100270844B1 (ko) 2000-11-01

Family

ID=1658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766A KR100270844B1 (ko) 1996-08-08 1997-08-07 압착단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13695A (ko)
JP (1) JP3315870B2 (ko)
KR (1) KR100270844B1 (ko)
DE (1) DE19734476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66804B1 (en) * 1996-03-05 2004-07-14 Evysio Medical Devices Ulc Expandable stent
JP3300259B2 (ja) * 1997-06-06 2002-07-08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端子及び圧接端子と電線との接続方法
JP3542712B2 (ja) * 1998-03-20 2004-07-14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端子
JP3523074B2 (ja) * 1998-07-31 2004-04-26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端子
DE19900392C1 (de) * 1999-01-08 2000-08-24 Krone Ag Anschlußelelement
JP3797539B2 (ja) * 2000-09-14 2006-07-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圧接端子の形成方法
US6755696B1 (en) 2003-04-14 2004-06-2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retention means
KR100739017B1 (ko) * 2006-06-29 2007-07-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 터미널
JP5437685B2 (ja) 2009-04-07 2014-03-12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圧着端子の圧着構造、および圧着端子の圧着方法
JP5707735B2 (ja) * 2009-07-24 2015-04-30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付き電線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の製造方法
US20150275952A1 (en) * 2014-03-25 2015-10-01 Fritz Stepper Gmbh & Co. Kg Plug-on part for a plug connector
JP6911727B2 (ja) * 2017-11-22 2021-07-2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端子およびコネクタ
JP6544412B2 (ja) * 2017-11-22 2019-07-17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端子およびコネクタ
JP7408592B2 (ja) * 2021-03-23 2024-01-0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6081U (de) * 1968-03-01 1968-11-07 Siemens Ag Klemmelement zum anschluss isolierter elektrischer leiter.
US4385794A (en) * 1978-07-25 1983-05-31 Amp Incorporated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GB8817783D0 (en) * 1988-07-26 1988-09-01 Amp Gmbh Electrical contact member
JPH0415159A (ja) * 1990-05-08 1992-01-20 Toshiba Corp 電車の自動ドア開閉装置
DE4027773C2 (de) * 1990-09-01 2000-09-07 Molex Inc Verbindungsvorrichtung für Mehrleiterkabel
DE4340377A1 (de) * 1993-11-26 1995-06-01 Grote & Hartmann Elektrisches Kontaktelement mit Überfeder
JP2729574B2 (ja) * 1993-12-24 1998-03-18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734476C2 (de) 2000-05-18
JPH1055834A (ja) 1998-02-24
US5913695A (en) 1999-06-22
JP3315870B2 (ja) 2002-08-19
KR19980018479A (ko) 1998-06-05
DE19734476A1 (de) 199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7603A (en) Dual thickness blade type electrical terminal
KR100270844B1 (ko) 압착단자
US4113341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rovision for circuit components
US4838816A (en) Electrical terminal having a receptacle contact section of low insertion force
US5911605A (en) Universal terminal connection
US6077131A (en) Male terminal
US6551129B2 (en) Ground connector
EP0795930B1 (en) High contact force pin-receiving electrical contact
US5713756A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JP3115805B2 (ja)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の製造方法
US5879181A (en) Insulation piercing terminal
JP2611901B2 (ja) 楔形コネクタ
US6019626A (en) Contact terminal
EP0649186B1 (en) Conductor crimping electrical terminal
US5554046A (en) Solderless terminal
EP1168501B1 (en) A terminal fitting
JP2891317B2 (ja) 圧接端子
JPH0638338A (ja) ブスバーと電線の圧接構造
US5928025A (en)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EP0600402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retention
JP3300251B2 (ja) 圧接コネクタ
US5830004A (en) Press-connecting terminal
JP2529838Y2 (ja) 圧接端子用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3651416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526875Y2 (ja) 圧接ジヨイント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