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5445B1 -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445B1
KR100265445B1 KR1019910014624A KR910014624A KR100265445B1 KR 100265445 B1 KR100265445 B1 KR 100265445B1 KR 1019910014624 A KR1019910014624 A KR 1019910014624A KR 910014624 A KR910014624 A KR 910014624A KR 100265445 B1 KR100265445 B1 KR 100265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cm
processing
error rat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4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111A (ko
Inventor
다까오 다까하시
노보루 무라바야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20005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4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8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sound signal being pulse code modulated and recorded in time division multiplex with the modulated vide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Digital Magnetic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8 밀리 비디오에서 재생된 PCM 음성신호를 서로 상이한 조건 내지 알고리즘으로 처리하고, 그 처리결과 중 가장 정확한 것 같은 PCM 출력을 부여하는 처리 결과를 선택함으로써 항상 양호한 에러율이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음성신호에서 엔코딩된 PCM 음성 신호와, 비디오 신호가 기록된 자기 테이프에서 상기 PCM 음성 신호 및 상기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고, 이 재생된 PCM 음성 신호에서 상기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도록 한 VTR에 있어서, 상기 재생한 PCM 음성 신호를 서로 상이한 조건 내지 알고리즘으로 처리하는 복수의 처리 회로와, 이들 복수의 처리 회로의 처리 결과 중에서 최량의 에러율의 PCM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 회로와, 이 검출 회로의 검출 출력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처리 회로의 처리 결과 중 최량의 에러율의 PCM 음성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회로와, 이 선택 회로의 선택한 PCM 음성 신호에서 상기 원래의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는 회로를 가진 VTR이 공개된다.

Description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예를 나타낸 계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부의 특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예의 계통도.
제5a도 내지 제5d도는 본 발명의 동작을 나타낸 파형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예의 계통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동작을 나타낸 파형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예의 계통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예의 계통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예의 계통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예의 계통도.
제12도는 주파수 스펙트럼도.
제13도는 트랙 포맷도.
제14도는 에러율을 나타낸 특성도.
제15도는 처리 과정을 나타낸 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 : 회전 자기 헤드 2 : 자기 테이프
13 : 비디오 재생 처리 회로 15 : 오디오 재생 처리 회로
22,22A∼22C : 재생 등화 회로 23,23A∼22C : 재생 등화 회로
23,23A∼23C : 파형 정형 회로 24 : 스위치 회로
25,25A∼25C : D 플립플롭 26 : 복조 회로
27 : 재생 처리 회로 29 : D/A 변환기
30 : 클럭 추출 회로 31B,31C : 지연 회로
33A∼33C : 메모리 41A∼41C : 신드롬 발생기
42 : 제어기 SA : PCM 음성 신호
SV : 비디오 신호
[산업상의 이용 분야]
본 발명은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VTR)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예컨대, 8 밀리 비디오에서 재생된 PCM 음성 신호를 서로 상이한 조건 내지 알고리즘(산법)으로 처리하고, 그 처리 결과 중 가장 정확한 것 같은 PCM 복조 출력을 부여하는 처리 결과를 선택함으로써 항상 양호한 에러율이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종래 기술]
8 밀리 비디오에서, 비디오 신호는 제12도 및 제13도에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된다(수치는 NTSC 방식용의 신규격의 경우임. 이하 같다).
즉, 제12도에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 신호(SY)에 의해 FM 변조된 FM 신호(SF)와, 저역 변환된 반송 색 신호(SC)와, 좌 및 우 채널의 음성 신호(L, R)의 합신호(L+R)에 의해 FM 변조된 FM 신호(SM)와, 차 신호(L-R)에 의해 FM 변조된 FM 신호(SS)와, 재생시의 트래킹 서보용의 파일럿 신호(SP)가 주파수 다중화된다.
그리고, 그 다중화 신호(비디오 신호)(SV)가 회전 자기 헤드에 의해,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드 기간마다 경사진 1 개의 영상 트랙(2V)으로서 자기테이프(2)에 기록된다.
또한, FM 휘도 신호(SF)의 주파수는 휘도 신호(SY)의 싱크 칩 레벨에서 5.7MHz, 화이트 피크에서 7.7 MHz로 된다.
또한, 8 밀리 비디오에 있어서, 음성 신호가 PCM 신호로 변환되어 기록될 때에는 다음과 같은 규격으로 기록된다.
즉, 스테레오의 좌 및 우 채널의 음성 신호(L, R)는 샘플링 주파수가 48KHz, 44.1 KHz 및 32 KHz 중 어느 하나이고, 1 샘플이 16 비트인 디지탈 신호(DD)로 양자화되며, 이 신호(DD)에 에러 정정 코드의 부가 및 시간 축 압축 등이 행해지므로 8-10 변환되며, 그 피변환 신호(PCM 음성 신호)(SA)가 영상 트랙(2V)의 앞측의 오버 스캔 구간에 41˚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트랙(2A)으로서 기록된다.
따라서, 이 PCM 음성의 규격을 따를 때에는 CD나 R-DAT와 동등 내지 그 이상의 특성으로 음성 신호를 기록 재생할 수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음성 신호(L, R)를 디지탈 기록한 경우에, 부호간 간섭이 없도록 한 재생 등화를 행하고, 양호한 에러율의 디지탈 데이타로 부터의 음성 신호(L, R)의 복조를 행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테이프(2), 자기 헤드, 신호 라인 등의 신호 전송계에는 불균일이 있으므로, 예컨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테이프(Q))에서는 최량의 에러율이 되도록 재생 등화 특성이 설정되어 있어도, 다른 테이프(ⓛ, ③, ④)에서는 에러율이 최량으로 되지 않는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자동화 회로가 고려되어 있다. 하지만. 이 자동 등화 회로에서는 회로가 복잡하고, 회로에 따라서는 원가가 대폭적으로 상승한다.
또한. 최량의 등화 특성을 얻는 수법으로서, 일반으로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산등법(山登法)이 사용되지만, 이 때문에; 최량의 등화 특성으로 되기까지 시간이 소요되며, 유저가 재생 조작을 행하고부터 실제로 PCM의 음성이 출력되기까지 수초의 시간이 걸려, 사용 편의가 나빠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따라, 기록 매체로 부터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는 디지탈 신호 재생장치는, 상기 기록 매체로 부터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재생된 상기디지탈 신호를 공급받고, 상기 디지탈 신호를 처리하는 복수의 처리 수단으로서, 처리된 상기 디지탈 신호에 상이한 에러율을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특성을 나타내는 복수의 처리 수단과; 상기 복수의 처리 수단에 접속되어, 각각의 상기 처리 수단에 의해 처리된 디지탈 신호의 에러율을 지시하고, 최량의 에러율을 가지고 있는 상기 처리된 디지탈 신호를 검출하는 복수의 에러 지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처리수단에 접속되어, 최량의 에러율을 가지고 있는 상기 처리된 디지탈 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처리 수단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각 부의 명칭 및 참조 부호를 후술의 제1 실시예에 대응시키면, VTR은, 음성 신호(L, R)로 부터 엔코딩된 PCM 음성 신호(SA)와 비디오 신호(SV)가 기록된 자기 테이프(2)로 부터 PCM 음성 신호(SA) 및 비디오 신호(SV)를 재생하고, 이 재생된 PCM 음성 신호(SA)로 부터 음성 신호(L, R)를 디코딩하도록 한 VTR에 있어서, 재생된 PCM 음성 신호(SA)를 서로 상이한 조건 또는 알고리즘으로 처리하는 복수의 처리 회로(22A,23A)∼(22C,23C)와, 이들 복수의 처리회로(22A,23A)∼(22C,23C)의 처리 결과 중, 최량의 에러율의 PCM 음성 신호(SA)를 검출하는 검출 회로(41A∼41C,42)와 이 검출 회로(41A∼41C,42)의 검출 출력을 기초로 복수의 처리 회로(22A,23A)∼(22C,23C)의 처리 결과 중, 최량의 에러율의 PCM 음성 신호(SA)를 선택하는 선택 회로(24)와, 이 선택 회로(24)의 선택된 PCM 음성 신호(SA)로 부터 원래의 음성 신호(L, R)를 디코딩하는 회로(26,27,28)를 가지고 있다.
[작용]
재생된 PCM 음성 신호(SA)가 서로 상이한 조건 내지 알고리즘으로 처리되며, 이 처리 결과중 최량의 에러율의 PCM 음성 신호(SA)가 선택된 원래의 음성 신호(L,R)가 디코딩된다.
[실시예]
[제 1 실시예]
제1도에 있어서,lA,lB는 회전 자기 헤드를 나타내고. 이 회전 자기 헤드(1A, 1B)는 서보 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프레임 주파수로 회전된다. 그리고, 이 헤드(1A,1B)의 회전 주위면에 대해 자기 테이프(2)가 221˚의 각도 범위에 걸쳐 경사지게 일정한 속도로 주행된다. 또한, 테이프(2)에는 제13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트랙(2A,2V)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1A,1B)에 의해 테이프(2)로 부터 1 필드 기간마다 교호로 신호(SV, SA)가 재생되고, 이들 신호(SV, SA)가 헤드 증폭기(11A,11B)를 통해 스위치 회로(12)에 공급됨과 함께, 스위치 회로(12)가 1 필드 기간마다 교호로 절환되며, 스위치 회로(12)로 부터는 각각의 필드 기간의 신호(SV)가 연속적으로 도출된다.
그리고, 이 신호(SV)가 비디오 재생 처리 회로(13)에 공급되며. 신호(SV) 내의 신호(SF, SC)로 부터 원래의 컬러 합성 비디오 신호가 도출되고, 이 신호가 단자(14)에 출력된다.
또한, 스위치 회로(12)로 부터의 신호(SV)가 오디오 재생 처리 회로(15)에 공급되며, 신호(SV) 내의 신호(SM, SS)로 부터 원래의 좌 및 우 채널의 음성 신호(L,R)가 도출되고, 이 신호(L, R)가 단자(16)에 출력된다.
또한, 헤드 증폭기(11A,11B)로 부터의 신호(SV, SA)가 스위치 회로(21)에 공급됨과 함께, 스위치 회로(21)가 1 필드 기간마다 교호로 절환되며, 스위치 회로(21)로 부터는 각각의 필드 기간의 PCM 음성 신호(SA)가 도출된다.
그리고, 이 신호(SV)가 재생 등화 회로(22A∼22C)에 공급되어, 재생 등화가 행해진다. 이 경우, 등학 회로(22A∼22C)는 예컨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한 등화 특성(EQA∼EQC)으로 된다. 또한, 에러율의 문턱값 레벨(R+h)로 하면, 등화 특성 EQA와 EQB와의 교점, 및 등화 특성 EQB와 EQC와의 교점이 각각 문턱값 레벨(Rth) 이하로 된다.
따라서, 등화 회로(23A∼23C)로 부터는 특성(EQA∼EQC)에 의해 각각 재생 등화가 행해진 PCM 음성 신호(SA∼SA)가 출력된다. 또한, 등화 회로(22A∼22C)의 등화 특성(EQA∼EQC)은 서로 상이하므로, 등화 회로(22A∼22C)로 부터의 신호(SA∼SA)의 에러율은 서로 상이하다.
그리고, 이 재생 등화가 행해진 신호(SA∼SA)가 파형 정형 회로(23A∼23C)에 공급되어, 레벨이 "0" 또는 "1"로 규격화되고, 이 신호(SA∼SA)가 스위치 회로(24)의 접점(A∼C)에 공급되어 후술되는 조건의 신호(SA)가 선택되어 도출된다.
그리고, 이 스위치 회로(24)로 부터의 신호(SA)가 D 플립플롭(25)의 데이타 입력에 공급됨과 함께, 스위치 회로(24)로 부터의 신호(SA)가 PLL 등에 의해 구성된 클럭 추출 회로(재생 회로)(30)에 공급되어 신호(SA)로 부터 클럭(CK)이 추출되며, 이 클럭(CK)이 플립플롭(25)의 클럭 입력에 공급된다.
따라서, 플립플롭(25)으로 부터는 클럭(CK)에 동기된 신호(SA)가 도출된다.
그리고, 이 도출된 신호(SA)가 복조 회로(26)에서 기록될 때와는 반대로 10-8 변환되어 재생 처리 회로(27)에 공급되며, 여기서 에러 정정이나 시간 축 신장 등의 처리가 행해져 원래의 디지탈 음성 신호(DD)가 도출되고, 이 신호(DD)가 D/A 변환기(28)에 공급되어 원래의 좌 및 우 채널의 음성 신호(L, R)로 변환되며, 이 신호(L, R)가 단자(29)에 출력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 스위치 회로(24)가 다음과 같이 절환되며, 재생 등화 회로(22A∼22C)로 부터의 PCM 음성 신호(SA∼SA) 중 에러율이 최량인 PCM 음성 신호가 스위치 회로(21)로 부터 도출된다.
즉, 파형 정형 회로(23A∼23C)로 부터의 PCM 음성 신호(SA∼SA)가 신드롬 발생기(41A∼41C)에 공급된다. 이 신드롬 발생기(41A∼41C)는 에러 플래그에 의해 에러 검출을 행하는 것이며, 그 검출 출력(BA∼BC)이 제어기(42)에 공급된다.
이 제어기(42)는 예컨대 제3도에 도시된 흐름도(43)에 따라 스위치 회로(24)를 제어하는 것이며, 이 스위치 회로(24)의 제어에 의해 검출 출력(EA∼EC) 중 출력(EA)이 최소일 때 정형 회로(23a)로 부터의 신호(SA)가 도출되고, 출력(EB)이 최소일 때 정형 희로(23B)로 부터의 신호(SB)가 도출되며, 출력(EC)이 최소일 때는 정형 회로(23C)로 부터의 신호(SC)가 도출된다.
따라서, 스위치 회로(24)로 부터는 정형 회로(23A∼23C)로 부터의 PCM 음성 신호(SA∼SA) 중 최량의 에러율의 PCM 음성 신호(SA)가 도출된다.
그리고, 이 도출된 PCM 음성 신호(SA)로 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원래의 음성신호(L, R)가 디코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재생된 PCM 음성 신호(SA)를 서로 등화 특성이 상이한 재생 등화 회로(22A∼22C)에 공급하고, 그 등화 출력 중 최량의 에러율의 PCM 음성 신호(SA)를 선택하여 원래의 음성 신호(L, R)를 얻고 있으므로, 테이프(2), 자기 헤드(1A,1B), 신호 라인 등의 신호 전송계에 불균일이 있어도 최량의 에러율로 원래의 음성 신호(L, R)를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경우에, 제2도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에러율의 마진이 대폭으로 매우 넓어진다.
또한, 이 때문에 서로 상이한 특성으로 재생 등화가 행해진 PCM 음성신호(SA∼SA)에 대해, 에러율의 크기(EA∼EC)를 검출하고, 그 검출 출력을 기초로 스위치회로(24)를 절환할 뿐이므로 제어 또는 처리가 간단하다. 또한, 이에 의해 원가상승이 적다.
또한, 유저에 의해 재생 조작이 행해지면 곧 원래의 음성 신호(L, R)를 출력할 수 있고 사용 편의가 우수하다.
[제2실시예]
제4도에 도시된 예에서, 재생된 PCM 음성 신호(SA)의 레벨을 "0" 또는 "1"로 규격화할 때, 예컨대, 3 종류의 문턱값 레벨을 준비하고 최량의 에러율의 PCM 음성 신호(SA)를 선택하는 경우이다.
즉, 스위치 회로(21)로 부터의 PCM 음성 신호(SA)가 단일의 재생 등화 회로(22)에 공급되어 재생 등화가 행해지며, 이 재생 등화가 행해진 신호(SA)가 파형정형 회로(23A∼23C)에 공급된다.
이 경우, 이들 정형 회로(23A∼23C)는 레벨 비교 회로에 의해 구성되고, 이들 비교 회로(23A∼23C)에는 서로 레벨이 상이한 기준 전압(Va∼Vb)이 공급된다.
따라서, 등화 회로(22)로 부터의 신호(SA)가 예컨대 제5a도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되면, 비교 회로(23A∼23C)로 부터는 제5b∼5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0" 또는 "1"로 레벨 규격화되어 있음과 함게, 기준 전압(Va∼Vc)에 대응해서 에러율이 서로 다른 PCM 음성 신호(SA∼SA)가 도출된다.
그리고, 이 도출된 신호(SA∼SA)가 스위치 회로(24)에 공급되므로, 상술한 바와 마찬 가지로 해서 최량의 에러율의 신호(SA)가 선택되며, 이 선택된 신호(SA)로 부터 원래의 신호(L, R)가도출된다.
[제3실시예]
제6도에 도시된 예에서, 재생된 PCM 음성 신호(SA)의 클럭 등기를 취할때, 예컨대, 3 종류의 클럭(CK)을 준비하고, 최량의 에러율의 PCM 음성 신호(SA)를 선택하는 경우이다.
즉, 스위치 회로(21)로 부터의 PCM 음성 신호(SA)가 재생 등화 회로(22)에 공급되어 재생 등화가 행해지며, 이 재생 등화가 행해진 신호(SA)가 파형 정형 회로(23)에 공급되어 "0" 또는 "1"로 레벨로 규격화된다.
그리고, 이 규격화된 신호(SA)가 D 플립플롭(25A∼25C)의 데이타 입력에 공급됨과 함께, 클럭 추출 회로(재생 회로)(30)에 공급되어, 예컨대,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SA)에 대해 일정한 위상 관계가 있는 클럭(KCA)이 추출되며, 이 클럭(CKA)이 플립플롭(25A)의 클럭 입력에 공급된다.
또한, 이 클럭(CKA)이 지연 회로(31B,31C)에 순차로 공급되며.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CKA)에 대해 위상이 예컨대 120˚ 및 240˚ 지연된 클럭(CKB, CKC)이 도출되며, 이들 클럭(CKB, CKC)이 플립플롭(25B,25C)의 클럭 입력에 각각 공급된다.
따라서, 플립플롭(25A∼25C)으로 부터는, 클럭(CKA∼CKC)에 동기된 PCM 음성신호(SA∼SA)가 도출됨과 함께, 이들 신호(SA∼SA)의 에러율은 클럭(CKA∼CKC)의 위상에 대응해서 서로 상이한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 도출된 신호(SA∼SA)가 스위치 회로(24)에 공급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최량의 에러율의 신호(SA)가 선택되며, 이 선택된 신호(SA)로 부터 원래의 음성 신호(L, R)가 도출된다.
또한, 이때, 클럭(CKA∼CKC)이 스위치 회로(34)에 공급되고, 스위치 회로(24)에서 선택된 신호(SA)에 대응하는 위상의 클럭이 선택되며, 이후에 이 선택된 클럭이 사용된다.
[제4실시예]
제8도에 도시된 예에서, 기본적으로는 제1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지만, 정형 회로(23A∼23C)로 부터의 신호(SA∼SA)가 FIFO 형태의 메모리(33A∼33C)에서 지연되어 스위치 회로(24)에 공급됨과 더불어, 이 스위치 회로(24)에 의해 에러율이 최소인 신호(SA)가 선택된다.
따라서, 이 예에 있어서; 스위치 회로(24)에서 절환되는 신호(SA∼SA)와, 그 스위치 회로(24)의 절환 신호를 동시화할 수 있으므로, 재생된 PCM 음성 신호(SA)의 에러율이 악화되면, 악화되기 직전부터 에러율이 최량인 신호(SA)로 절환될 수 있다.
[제5실시예]
제9도에 도시된 예에서, 불필요한 신호 라인의 전원을 끊도록 한 경우이다.
즉, 이 예에서, PCM 음성 신호(SA)의 신호 라인은 제1도의 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또한, 전원 회로(49)와 회로(22A,23A,41A)의 전원 라인 사이에 스위치 회로(44A)가 설치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전원 회로(49)와 화로(22B,23B,41B)의 전원 라인 사이에, 전원 회로(49)와 회로(22C,23C,41C)의 전원 라인 사이에 스위치회로(44B,44C)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어기(42)에 의해, 스위치 회로(44A∼44C)는 소정의 기간마다 모두온으로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에러율이 최소인 신호(SA)의 라인이 선택됨과 더불어, 스위치 회로(44A∼44C) 중 나머지 선택되지 않은 신호(SA, SA)의 라인에 삽입되어 있는 스위치 회로는 오프로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며, 따라서 소비전력이 절감된다.
[제6실시예]
제10도에 도시된 예에서, 재생 등화 회로(22)로 부터의 신호(SA)가 처리 회로(50A ∼ 50C)에 공급되며, 이들 처리 회로(50A∼50C)에서 각각 에러율을 최량으로 하는 알고리즘으로 파형 정형, 비트 동기 등의 처리가 행해지고, 그 처리 결과의 신호(SA ∼ SA)가 스위치 회로(24)에 공급되어, 에러율이 최량인 신호(SA)가 선택된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도, 제9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처리 회로(50A∼50C)중 최량의 에러율의 신호(SA)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회로의 전원은 오프로 되고, 정기적으로 에러율의 최량의 회로가 체크되어 선택된다.
[제7실시예]
제11도에 도시된 예에서는, 기수 필드 기간에 PCM 음성 신호(SA)를 재생하여 음성 신호(L, R)를 디코딩하는 신호계와; 우수 필드 기간에 PCM 음성 신호(SA)를 재생하여 음성 신호(L, R)를 디코딩하는 신호계를 각각 3 채널로 분할하고, 각각에 있어서 최량의 에러율의 신호(SA)로 부터 음성 신호(L, R)가 디코딩되도록 한 경우이다.
즉, 회전 자기 헤드(1AA∼1AC)와 회전 자기 헤드(1BA∼1BC)가 서로 180˚의 각도 간격을 두고 프레임 주파수로 회전된다. 또한, 이때, 헤드(1AB,1AC)(1BB,1BC)는 헤드(1AA,1BA)에 대해 소정의 작은 각도 간격 및 단차가 부여되어, 헤드(1AA∼1AC)는 서로 동등한 트랙(2A,2V)을 대략 동시에 주사하고, 헤드(1BA∼1BC)도 서로 동등한 트랙(2A,2V)을 대략 동시에 주사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1AA∼1AC)의 재생된 PCM 음성 신호(SA∼SC)가 헤드 증폭기(11AA∼11AC)→재생 등화 회로(22A∼22C)→파형 정형 회로(23A∼23C)를 통해 스위치 회로(24) 및 신드롬 발생기(41A∼41C)에 공급되어 에러율이 최량인 PCM 음성 신호(SA)가 선택된다. 또한, 이 경우에, 재생 등화 회로(22A∼22C) 및 파형 정형 회로(23A∼23C)는 헤드(1AA∼1AC)에 대응하여 각각 상이한 특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헤드(1BA∼1BC)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그리고, 헤드(1AA∼1AC)로 부터의 PCM 음성 신호(SA) 중 스위치 회로(24)에 의해 선택된 신호(SA)와 헤드(1BA∼1BC)로 부터의 PCM 음성 신호(SA) 중 마찬가지로 선택된 신호(SA)가 스위치 회로(21)에서 각각의 필드 기간마다의 신호(SA)로 되며, 이후, 이 신호(SA)로 부터 음성 신호(L, R)가 디코딩된다.
따라서, 헤드나 테이프의 불균일, 재생 중의 상태의 변동 등에도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재생된 PCM 음성 신호(SA)를 서로 상이한 조건 내지 알고리즘으로 처리하고, 그 처리 결과 중, 최량의 에러율의 PCM 음성 신호(SA)를 선택하여 원래의 음성 신호(L, R)를 얻고 있으므로, 테이프(2), 자기 헤드(1A,1B), 신호 라인 등의 신호 전송계에 불균일이 생겨도 최량의 에러율로 원래의 음성 신호(L, R)를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경우, 제2도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에러율의 마진이 매우 넓다.
또한. 그러기 위해서는, 서로 상이한 특성으로 재생 등화가 행해진 PCM 음성신호(SA∼SA)에 대해, 에러율의 크기(EA∼EC)를 검출하고, 그 검출 출력을 기초로 스위치 회로(24)를 절환할 뿐이므로, 제어 또는 처리가 간단하다. 또한, 이에 의해 원가 상승이 적다.
또한, 유저에 의해 재생 조작이 행해지면, 곧 원래의 음성 신호(L, R)를 출력할 수 있고, 사용 편의가 우수하다.

Claims (1)

  1. 기록 매체로 부터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는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로 부터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재생된 상기 디지탈 신호를 공급받고, 상기 디지탈 신호를 처리하는 복수의 처리 수단으로서, 처리된 상기 디지탈 신호에 상이한 에러율을 제공하기 위한 각각의 특성을 나타내는 복수의 처리 수단과; 상기 복수의 처리 수단에 접속되어, 각각의 상기 처리 수단에 의해 처리된 디지탈 신호의 에러율을 지시하고, 최량의 에러율을 가지고 있는 상기 처리된 디지탈 신호를 검출하는 복수의 에러 지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처리 수단에 접속되어, 최량의 에러율을 가지고 있는 상기 처리된 디지탈 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처리 수단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한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KR1019910014624A 1990-08-28 1991-08-23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KR100265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575690A JP3282180B2 (ja) 1990-08-28 1990-08-28 磁気記録再生装置
JP225756 1990-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111A KR920005111A (ko) 1992-03-28
KR100265445B1 true KR100265445B1 (ko) 2000-09-15

Family

ID=16834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4624A KR100265445B1 (ko) 1990-08-28 1991-08-23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99070A (ko)
EP (1) EP0473417B1 (ko)
JP (1) JP3282180B2 (ko)
KR (1) KR100265445B1 (ko)
CA (1) CA2049905C (ko)
DE (1) DE6912390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6426C2 (de) * 1990-03-01 1993-11-18 Siemens Nixdorf Inf Syst Verfahren zum Auswerten binärer Informationen einer Magnetspeicherkarte
CA2073804C (en) * 1991-07-15 1998-12-22 Chikashi Inokuchi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3290728B2 (ja) * 1992-12-28 2002-06-1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情報再生装置
CA2116736C (en) * 1993-03-05 1999-08-10 Edward M. Roney, Iv Decoder selection
US5430743A (en) * 1993-06-29 1995-07-0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data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970010637B1 (ko) * 1994-04-27 1997-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에러율을 이용한 디스크 구동 기록매체의 리드채널 최적화방법
US5557482A (en) * 1994-12-19 1996-09-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ath channel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storage devices and communications systems wherein a data path is selected based on errors
JP3483064B2 (ja) * 1995-04-20 2004-01-06 富士通株式会社 再生装置
US6625777B1 (en) * 1999-10-19 2003-09-23 Motorola, Inc. Method of identifying an improved configuration for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coding gain and an apparatus therefor
JP4481266B2 (ja) * 2006-03-30 2010-06-1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受信回路および伝送システム
JP5213799B2 (ja) * 2009-06-05 2013-06-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信号の等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7784B2 (ja) * 1979-04-17 1985-12-17 松下電送株式会社 位相パルス信号再生方法
US4672637A (en) * 1985-07-31 1987-06-09 Halpern Peter H Adaptive bit synchronizer
JPH0770157B2 (ja) * 1986-07-23 1995-07-31 日立電子株式会社 自動等化・調相方法
JPH0740332B2 (ja) * 1986-10-11 1995-05-01 ソニー株式会社 デ−タ再生装置
JPS6459672A (en) * 1987-08-31 1989-03-07 Canon Kk Regenerative signal processing circuit
JP2661062B2 (ja) * 1987-09-21 1997-10-0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再生装置
US4951283A (en) * 1988-07-08 1990-08-21 Genra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defective bus devices
JPH0687540B2 (ja) * 1988-11-10 1994-11-02 日本電気株式会社 復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73417B1 (en) 1997-01-02
EP0473417A3 (en) 1992-10-21
CA2049905A1 (en) 1992-03-01
US5299070A (en) 1994-03-29
JPH04106765A (ja) 1992-04-08
DE69123901D1 (de) 1997-02-13
JP3282180B2 (ja) 2002-05-13
CA2049905C (en) 2000-11-28
KR920005111A (ko) 1992-03-28
EP0473417A2 (en) 1992-03-04
DE69123901T2 (de) 199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5445B1 (ko)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KR100233760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US5311373A (en) Video tape recorder
US4541089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digital data
JPS60111369A (ja) 記録再生装置
US5181125A (en) Apparatus for muting noise resulting from reproducing of a PCM audio signal recorded in an extension of a slant track containing a recorded video signal
US6349012B1 (en)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3196645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5347073A (ja) 記録再生装置
JPH06325499A (ja) 記録装置、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装置
JPH04271069A (ja) Pcm信号記録方法及び装置
JP2543318Y2 (ja) ディジタル信号切換装置
JP2987962B2 (ja) Vtr装置
JP2947393B2 (ja) タイムコード信号再生装置
JPS61284874A (ja) デイジタルデ−タの再生装置
JPS62294384A (ja) 基準信号発生回路
JPS61104369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128690A (ja) 映像記録再生装置
JPH0831969B2 (ja) クランプ方法及びその回路
JPH05191780A (ja) 映像信号再生装置
JPH05328300A (ja) 記録再生装置
JPH1121955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015770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4280596A (ja) ビデオ情報再生システム
JPH0312869A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