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1884B1 - 기울기검출장치 - Google Patents

기울기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1884B1
KR100261884B1 KR1019980025624A KR19980025624A KR100261884B1 KR 100261884 B1 KR100261884 B1 KR 100261884B1 KR 1019980025624 A KR1019980025624 A KR 1019980025624A KR 19980025624 A KR19980025624 A KR 19980025624A KR 100261884 B1 KR100261884 B1 KR 100261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case
sphere
conductive pins
insulat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5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3487A (ko
Inventor
마사요시 다나자와
순지 미나미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19990013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8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rolling bodies, e.g. spheres, cylinders, mercury dropl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02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position, inclination or orientation of the switch itself in relation to gravitational fie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G01C2009/068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resist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rolling bodies, e.g. spheres, cylinders, mercury droplets
    • G01C2009/107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rolling bodies, e.g. spheres, cylinders, mercury droplets sphe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2001/5888Terminals of surface mounted devices [SM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2011/0081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using double shot moulding, e.g. for forming elastomeric sealing elements on form stabl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of switch contacts
    • H01H11/06Fixing of contacts to carrier ; Fixing of contacts to insulating carrier
    • H01H2011/065Fixing of contacts to carrier ; Fixing of contacts to insulating carrier by plating metal or conductive rubber on insulating substrate, e.g. Molded Interconnect Devices [M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시계, 전자수첩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적용하여 유용한 기울기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장치는 절연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구(球)수납부의 일부에 돌기를 갖고, 이 절연케이스내에는 대직경부와 소직경부를 갖는 단부착형상의 2개의 도전핀이 서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이 구수납부내에는 절연케이스가 기울었을 때에 구수납부내에서 상기 2개의 도전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도체구가 배치되어 있고, 절연케이스를 기울였을 때에만 2개의 도전핀의 대직경부에 도체구가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대응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울기검출장치
본 발명은 기울기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손목시계에 있어서는, 손목을 자신의 앞으로 이동시켜서 바로 앞으로 기울이는 동작을 했을 때에만 손목시계케이스에 내장된 기울기검출장치에 의하여 손목시계케이스의 기울기를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시각 등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 등의 표시부를 점등표시시키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기울기검출장치에서는 손목시계본체케이스가 수평인 상태이면, 이 케이스내에 배치된 도체구가 동 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도전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아서 대응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일이 없는데, 손목시계케이스를 경사시키면 이에 응답하여 도체구가 한쌍의 도전부재의 양자에 걸쳐서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이에 따라 한쌍의 도전부재가 도체구를 통하여 도통해서 대응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울기검출장치의 경우 이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며 조립작업도 번잡하여 제조비용이 높았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부품수이며 구조가 간소하고 조립작업도 간단하여 저가격인 기울기검출장치를 얻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부에 형성된 구수납부의 일부에 돌기를 갖는 절연케이스와, 상기 절연케이스내에 서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대직경부와 소직경부를 갖는 단부착형상의 2개의 도전핀과, 상기 절연케이스내의 구수납부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해당 절연케이스가 기울었을 때에 상기 구수납부내에서 상기 2개의 도전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도체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돌기의 높이는 상기 절연케이스의 기울음에 동반하여 상기 2개의 도전핀의 대직경부상에 상기 도체구가 위치했을 때에는 상기 2개의 도전핀의 양자가 함께 상기 도체구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한편 상기 절연케이스의 기울음에 동반하여 상기 2개의 도전핀의 소직경부상에 상기 도체구가 위치했을 때에는 해당 도체구와 맞닿아서 상기 도체구가 상기 2개의 도전핀의 적어도 한쪽에는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연케이스를 기울여서 2개의 도전핀을 길이방향으로 적절히 기울이면 이에 응답하여 도체구를 대직경부상 또는 소직경부상의 어느쪽인가에 배치시킬 수 있고, 이 때문에 도체구를 통하여 2개의 도전핀을 도통상태로 시킬 수도, 또 비도통상태로 시킬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다. 그 뿐만이 아니라 2개의 도전핀을 평행하게 절연케이스내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2개의 도전핀을 같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부품의 공통화를 꾀할 수 있으며, 구조의 간소화 및 조립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어서 저가격인 것을 얻을 수 있다.
또 절연케이스의 내부의 돌기를 2개의 도전핀의 사이에 배치하면 2개의 도전핀을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절연케이스를 좌우로 분할했을 때 그 양자를 완전히 같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더한층 부품의 공통화를 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구수납부의 내면에 오목부가 설치된 절연케이스와, 이 절연케이스내에 배치된 2개의 도전핀과, 상기 절연케이스를 기울였을 때에 이 절연케이스의 구수납부내를 이동하여 상기 오목부로의 이동 또는 상기 오목부로부터 그 외부로의 이동을 실시하는 도체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도체구가 상기 오목부로 이동했을 때는 해당 도체구가 상기 2개의 도전핀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아서 대응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며, 한편 상기 도체구가 상기 오목부로부터 그 외부로 이동했을 때는 해당 도체구가 상기 2개의 도전핀의 양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대응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체구가 절연케이스내의 오목부에 위치해 있는 상태에서 절연케이스를 기울여서 도체구를 오목부로부터 이탈시키면 도체구를 2개의 도전핀의 양자에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체구를 통하여 2개의 도전핀을 도통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다. 그 뿐만이 아니라 2개의 도전핀을 같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발명과 똑같이 부품의 공통화를 꾀할 수 있고 구조의 간소화 및 조립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어서 저가격인 것을 얻을 수 있다.
또 오목부를 절연케이스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에 설치하고 2개의 도전핀을 오목부 근처에 위치시키며, 또한 오목부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상태로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2개의 도전핀을 수직으로 한 상태에서 절연케이스를 상하로 분할했을 때 그 양자를 같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더한층 부품의 공통화를 꾀할 수 있는 외에 절연케이스를 상하반전시켜도 같은 기능을 갖기 때문에 상하 어느쪽의 방향으로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수납부의 내부에 도금이 실시된 2개의 단자부를 갖고, 또한 이들 2개의 단자부의 단부 근처에 오목부가 설치된 절연케이스와, 이 절연케이스를 기울였을 때에 이 절연케이스의 구수납부내를 이동하여 상기 오목부로의 이동 또는 상기 오목부로부터 외부로의 이동을 실시하는 도체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도체구가 상기 오목부로 이동했을 때는 해당 도체구가 상기 2개의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아서 대응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며, 한편 상기 도체구가 상기 오목부로부터 외부로 이동했을 때는 해당 도체구가 상기 2개의 단자부의 양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대응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체구가 절연케이스내의 오목부에 위치해 있는 상태에서 상기한 발명과 똑같이 절연케이스를 기울여서 도체구를 오목부로부터 이탈시키면 이에 응답하여 도체구를 통해서 도금이 실시된 2개의 단자부를 도통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다. 그 밖에 절연케이스의 내부에 2개의 단자부를 일체로 형성했기 때문에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어서 조립작업의 대폭적인 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울기검출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확대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단면도.
도 5A는 도 4의 C-C단면도.
도 5B는 도 4의 D-D단면도.
도 6A∼도 6C는 도 1의 기울기검출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도 6A는 기울기검출장치가 부착된 회로기판을 대략 수평으로 한 상태의 단면도,
도 6B는 대직경부측보다도 소직경부측이 낮아지도록 회로기판을 오른쪽아래로 기울인 상태의 단면도.
도 6C는 대직경부측보다도 소직경부측이 높아지도록 회로기판을 왼쪽아래로 기울인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제 1 실시형태의 기울기검출장치를 회로기판에 부착하는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울기검출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9는 도 8의 분해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도 8의 기울기검출장치를 회로기판의 상면에 부착했을 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도 10A는 회로기판을 대략 수평으로 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10B는 그 횡단면도.
도 11A는 도 10의 회로기판을 오른쪽아래로 조금 기울인 상태의 종단면도.
도 11B는 그 횡단면도.
도 12A는 도 10의 회로기판을 더욱 오른쪽아래로 기울인 상태의 종단면도.
도 12B는 그 횡단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도 8의 기울기검출장치를 회로기판의 하면에 부착했을 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도 13A는 회로기판을 대략 수평으로 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13B는 그 횡단면도.
도 14A는 도 13의 회로기판을 오른쪽아래로 조금 기울인 상태의 종단면도.
도 14B는 그 횡단면도.
도 15A는 도 13의 회로기판을 더욱 오른쪽아래로 기울인 상태의 종단면도.
도 15B는 그 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기울기검출장치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분해사시도.
도 18은 도 16의 기울기검출장치를 상하반전시킨 상태의 외관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기울기검출장치를 회로기판에 부착한 상태의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기울기검출장치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분해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본체케이스의 평면도.
도 23은 도 20의 절연케이스의 E-E단면도.
도 24A는 본체케이스의 단자부재의 사시도.
도 24B는 그 단자부재를 본체케이스에 일체성형한 사시도.
도 25는 도 20의 기울기검출장치를 회로기판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분해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기울기검출장치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28은 도 27의 분해사시도.
도 29A 및 도 29B는 도 28의 본체케이스의 제조과정을 나타내고,
도 29A는 본체케이스를 성형한 상태의 사시도.
도 29B는 그 본체케이스에 부분도금을 실시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40, 55: 절연케이스 11, 12, 25, 26: 2개의 도전핀
13: 도체구
14, 15, 27, 28: 제 1, 제 2 케이스
16, 43, 49: 수납부 17, 18, 30, 31: 부착구멍
19: 돌기 20: 보스
21: 끼워맞춤구멍 22, 34, 35, 50: 회로기판
29: 오목부 32, 33: 홈
36: 한쌍의 단자판 41, 56: 본체케이스
42: 덮개케이스 44, 60: 부분도금
45: 단자부재 46: 베이스부
47, 48, 57, 58: 2개의 단자부
51: 2개의 접속전극
52: 양면접착테이프 59: 돌출부
[제 1 실시형태]
이하 도 1∼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울기검출장치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기울기검출장치의 외관사시도, 도 2는 그 분해사시도이다.
이 기울기검출장치는 절연케이스(10)와, 이 절연케이스(10)내에 설치되는 2개의 도전핀(11, 12)과, 절연케이스(10)를 기울였을 때에 절연케이스(10)내를 2개의 도전핀(11, 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도체구(13)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도전핀(11, 12)은 금속 등의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각각 대직경부(11a, 12a)와 소직경부(11b, 12b)를 갖고, 대직경부(11a, 12a)와 소직경부(11b, 12b)의 사이에 테이퍼부(11c, 12c)가 형성되고, 대직경부(11a, 12a)의 타단에 대직경부측부착부(11d, 12d)가 형성되며, 소직경부(11b, 12b)의 타단에 중간부(11e, 12e)를 통하여 소직경부측부착부(11f, 12f)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대직경부측부착부(11d, 12d)와 소직경부측부착부(11f, 12f)는 각 직경이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 대직경부(11a, 12a)와 중간부(11e, 12e)는 각 직경이 대략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절연케이스(10)는 좌우로 분할된 제 1 케이스(14)와 제 2 케이스(15)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제 2 케이스(14, 15)는 각각 합성수지 등의 절연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양자 함께 완전히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좌측의 제 1 케이스(14)는 그 내부에 수납부(16)가 설치되고, 이 수납부(16)가 제 2 케이스(15)에 대향하는 우면측으로 개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제 1 케이스(14)의 안벽(도 3에서는 좌측벽)의 하부에는 2개의 도전핀(11, 12)의 각 대직경부측부착부(11d, 12d) 또는 각 소직경부측부착부(11f, 12f)가 각각 삽입하는 부착구멍(17, 18)이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으며, 수납부(16)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돌기(19)가 2개의 도전핀(11, 12)간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제 1 케이스(14)의 우측면의 상부에 있어서의 한쪽의 구석부에는 보스(20)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그 다른쪽의 구석부에는 끼워맞춤구멍(2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케이스(14)와 제 2 케이스(15)는 양자 함께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16)의 개방측면끼리를 좌우로 대향시키는 동시에 각 부착구멍(17, 18)끼리를 좌우로 대향시키면 양자의 보스(20)가 각각 끼워맞춤구멍(21)에 대향한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제 1 케이스(14)의 수납부(16)측으로부터 2개의 도전핀(11, 12)의 각 대직경부측부착부(11d, 12d)를 제 1 케이스(14)의 각 부착구멍(17, 18)에 삽입시키면 2개의 도전핀(11, 12)이 제 1 케이스(14)에 대략 수평인 상태로 평행하게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제 1 케이스(14)의 수납부(16)내에 도체구(13)를 수납하고 제 2 케이스(15)의 수납부(16)측으로부터 2개의 도전핀(11, 12)의 각 소직경부측부착부(11f, 12f)를 제 2 케이스(15)의 각 부착구멍(14, 15)에 삽입시키면 2개의 도전핀(11, 12)이 제 1, 제 2 케이스(14, 15)에 부착되는 동시에 각 보스(20)가 각 끼워맞춤구멍(21)에 끼워맞추어진다. 이에 따라 제 1, 제 2 케이스(14, 15)는 각 수납부(16)내에 2개의 도전핀(11, 12) 및 도체구(13)가 배치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 결과 도 1에 나타내는 절연케이스(10)가 구성되고 2개의 도전핀(11, 12)의 각 대직경부측부착부(11d, 12d) 및 각 소직경부측부착부(11f, 12f)의 각 선단부가 절연케이스(10)로부터 외부로 돌출한다.
그런데 제 1, 제 2 케이스(14, 15)의 각 수납부(16)내에 설치되어 2개의 도전핀(11, 12)간에 위치하는 돌기(19)의 양단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도전핀(11, 12)의 윗쪽으로 돌출하는 경사부(19a)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들 경사부(19a)간에는 중간돌기부(19b)가 대략 수평으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양단의 경사부(19a)는 절연케이스(10)가 기울어서 도체구(13)가 수납부(16)내의 어느쪽인가 한쪽의 단부측에 위치했을 때에 그 어느쪽인가 한쪽에 도체구(13)가 맞닿는다.
또 중간돌기부(19b)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도전핀(11, 12)의 대직경부(11a, 12a)로부터 소직경부(11b, 12b)에 걸쳐서 대략 수평으로 설치되고, 그 높이가 소직경부(11b, 12b)의 상단부보다도 조금 낮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체구(13)는 2개의 도전핀(11, 12)의 각 대직경부(11a, 12a)상에 위치했을 때에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돌기부(19b)로부터 윗쪽으로 이간하여 2개의 도전핀(11, 12)의 양자에 걸쳐서 접촉하고, 2개의 도전핀(11, 12)의 각 소직경부(11b, 12b)상에 위치했을 때에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돌기부(19b)의 상단에 맞닿아서 2개의 도전핀(11, 12)의 적어도 한쪽에는 접촉하지 않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기울기검출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 6A∼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기울기검출장치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전자손목시계내의 회로기판(22)에 설치된 개구부(22a)에 절연케이스(10)의 하부를 윗쪽으로부터 삽입하고, 절연케이스(10)로부터 돌출한 2개의 도전핀(11, 12)의 각 부착부(11d, 12d, 11f, 12f)를 회로기판(22)의 상면에 설치된 접속전극(도시하지 않음)에 납땜함으로써 회로기판(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울기검출장치는 통상은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도전핀(11, 12)의 소직경부(11b, 12b)측이 대직경부(11a, 12a)측보다도 낮아지도록 절연케이스(10)가 기울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구(13)가 돌기(19)의 중간돌기부(19b)의 상단에 맞닿아서 2개의 도전핀(11, 12)의 적어도 한쪽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2개의 도전핀(11, 12)이 도통하지 않아서 OFF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도전핀(11, 12)의 대직경부(11a, 12a)측이 소직경부(11b, 12b)측보다도 낮아지도록 절연케이스(10)를 기울이면 도전체(13)가 2개의 도전핀(11, 12)상을 굴러서 소직경부(11b, 12b)로부터 테이퍼부(11c, 12c)를 넘어 대직경부(11a, 12a)상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구(13)가 돌기(19)의 중간돌기부(19b)로부터 윗쪽으로 이간하여 2개의 도전핀(11, 12)의 양자에 걸쳐서 접촉한다. 이에 따라 2개의 도전핀(11, 12)이 도체구(13)를 통하여 도통하고 ON상태로 되어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절연케이스(10)가 도 6A에 나타내는 대략 수평인 상태로 되고, 또한 도체구(13)가 2개의 도전핀(11, 12)의 각 테이퍼부(11c, 12c)에 맞닿았을 때에는 도체구(13)가 돌기(19)의 중간돌기부(19b)로부터 떨어져서 각 테이퍼부(11c, 12c)의 양자에 접촉하게 되고, 이 때문에 상기와 똑같이 2개의 도전핀(11, 12)이 도체구(13)를 통하여 도통하고 ON상태로 되어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이 기울기검출장치에서는 절연케이스(10)를 기울여서 2개의 도전핀(11, 12)을 길이방향으로 적절히 기울임으로써 도체구(13)를 대직경부(11a, 12a)상 또는 소직경부(11b, 12b)상의 어느쪽인가에 배치시킬 수 있고, 이 때문에 도체구(13)를 통하여 2개의 도전핀(11, 12)을 도통상태로 하거나 비도통상태로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다.
또 이 기울기검출장치에서는 특히 2개의 도전핀(11, 12)을 절연케이스(10)내에 대략 평행이며 같은 방향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2개의 도전핀(11, 12)을 완전히 같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부품의 공통화를 꾀할 수 있어서 구조의 간소화 및 조립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저가격인 것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절연케이스(10)내의 돌기(19)를 2개의 도전핀(11, 1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했기 때문에 2개의 도전핀(11, 12)을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절연케이스(10)를 좌우의 제 1, 제 2 케이스(14, 15)로 분할했을 때 그 양자를 완전히 같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도 부품의 공통화를 꾀할 수 있어서 더욱 구조의 간소화 및 조립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고, 더한층의 저가격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회로기판(22)의 개구부(22a)에 절연케이스(10)를 윗쪽으로부터 삽입하여 절연케이스(10)로부터 돌출한 2개의 도전핀(11, 12)의 각 부착부(11d, 12d, 11f, 12f)를 회로기판(22)의 상면의 접속전극에 납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22)의 개구부(22a)에 절연케이스(10)를 아래쪽으로부터 삽입하여 절연케이스(10)로부터 돌출한 2개의 도전핀(11, 12)의 각 부착부(11d, 12d, 11f, 12f)를 회로기판(220의 하면에 설치된 접속전극(도시하지 않음)에 납땜함으로써 회로기판(22)에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로 부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절연케이스(10)가 대략 수평인 상태로 기울고, 또한 도체구(13)가 2개의 도전핀(11, 12)의 각 테이퍼부(11c, 12c)에 맞닿았을 때에 도체구(13)가 각 테이퍼부(11c, 12c)의 양자에 걸쳐서 접촉하고 2개의 도전핀(11, 12)을 도체구(13)로 도통시켜서 ON상태로 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개의 도전핀(11, 12)의 각 테이퍼부(11c, 12c)의 표면에 절연피막을 설치하고 도체구(13)가 2개의 도전핀(11, 12)의 각 테이퍼부(11c, 12c)에 맞닿아도 2개의 도전핀(11, 12)이 도체구(13)에 의하여 도통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2개의 도전핀(11, 12)이 조금 기울어서 도체구(13)가 테이퍼부(11c, 12c)에 맞닿아도 2개의 도전핀(11, 12)은 도통하지 않고, 이 상태에서 2개의 도전핀(11, 12)이 더욱 기울어서 도체구(13)가 테이퍼부(11c, 12c)를 넘어 대직경부(11a, 12a)상으로 이동했을 때에만 도체구(13)가 2개의 도전핀(11, 12)을 도통시켜서 검출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8∼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울기검출장치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도 6에 나타내어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기울기검출장치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케이스(10)와, 이 절연케이스(10)내에 설치되는 2개의 도전핀(25, 26)과, 절연케이스(10)를 기울였을 때에 절연케이스(10)내를 이동하여 2개의 도전핀(25, 26)에 접촉 또는 이간하는 도체구(13)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도전핀(25, 26)은 금속 등의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각각 각 중간부에 소직경부(25a, 26a)가 형성되며, 각 상단부에 헤드부(25b, 26b)가 설치되고 각 하단부가 끝이 가늘어지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절연케이스(10)는 상하로 분할된 제 1 케이스(27)와 제 2 케이스(28)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제 2 케이스(27, 28)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합성수지 등의 절연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양자 함께 완전히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하측의 제 2 케이스(28)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수납부(16)가 설치되고, 이 수납부(16)가 제 1 케이스(27)에 대향하는 상면측으로 개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제 2 케이스(28)의 바닥부에는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구(13)가 배치하는 오목부(29)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29)에 인접하는 제 2 케이스(28)의 바닥부의 우측에는 2개의 도전핀(25, 26)이 각각 삽입하는 부착구멍(30, 31)이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또 제 2 케이스(28)의 수납부(16)의 내면에는 대략 반원호상의 홈(32, 33)이 부착구멍(30, 31)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케이스(28)의 상면 좌측에 있어서의 한쪽의 구석부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보스(20)가 윗쪽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그 다른쪽의 구석부에는 끼워맞춤구멍(2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케이스(27)와 제 2 케이스(28)는 양자 함께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16)의 개방측면끼리를 상하로 대향시키는 동시에 각 부착구멍(30, 31)끼리를 상하로 대향시키면 양자의 보스(20)가 각각 끼워맞춤구멍(21)에 대향한다. 이 상태에서 제 2 케이스(28)의 수납부(16)내에 도체구(13)를 배치한 후 각 보스(20)를 각 끼워맞춤구멍(21)에 끼워맞춤으로써 제 1, 제 2 케이스(27, 28)가 결합되고, 이에 따라 절연케이스(10)가 구성된다.
이 후 제 1 케이스(27)의 윗쪽으로부터 2개의 도전핀(25, 26)을 제 1 케이스(25)의 각 부착구멍(30, 31)을 통하여 제 2 케이스(28)의 각 부착구멍(30, 31)에 삽입시키고 2개의 도전핀(25, 26)의 각 하단부를 제 2 케이스(28)의 아래쪽으로 돌출시킨다. 이에 따라 절연케이스(10)에 2개의 도전핀(25, 26)이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는 2개의 도전핀(25, 26)의 각 소직경부(25a, 26a)가 제 1, 제 2 케이스(27, 28)내의 대략 반원호상의 홈(32, 33)내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각 수납부(16)내에 노출되어 도체구(13)가 접촉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기울기검출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 10∼도 1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기울기검출장치는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전자손목시계내의 회로기판(34)에 설치된 부착구멍(34a)에 그 윗쪽으로부터 절연케이스(10)의 아래쪽으로 돌출한 2개의 도전핀(25, 26)의 각 하단부를 삽입하여 회로기판(34)의 하면측으로 돌출시키고, 이 돌출한 2개의 도전핀(25, 26)의 각 하단부를 회로기판(34)의 하면에 설치된 접속전극(도시하지 않음)에 납땜함으로써 회로기판(34)의 상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울기검출장치는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34)이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면 절연케이스(10)내의 2개의 도전핀(25, 26)이 대략 수직인 상태로 된다. 이 때에는 절연케이스(10)의 하측의 제 2 케이스(28)내의 오목부(29)에 도체구(13)가 배치되고 도체구(13)가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도전핀(25, 26)의 각 소직경부(25a, 26a)로부터 이간한다. 이 때문에 2개의 도전핀(25, 26)은 도체구(13)에 의하여 도통하지 않고 OFF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34)과 함께 절연케이스(10)가 오른쪽아래로 조금 기울어도 도체구(13)가 제 2 케이스(28)의 오목부(29)로부터 이탈하지 않기 때문에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구(13)가 2개의 도전핀(25, 26)의 각 소직경부(25a, 26a)에 접근해도 접촉하지 않고, 이 때문에 2개의 도전핀(25, 26)은 도체구(13)에 의하여 도통하지 않으며, OFF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34)과 함께 절연케이스(10)가 더욱 오른쪽아래로 기울어서 도체구(13)가 제 2 케이스(28)의 오목부(29)로부터 이탈하면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구(13)가 2개의 도전핀(25, 26)의 각 소직경부(25a, 26a)의 양자에 걸쳐서 접촉한다. 이에 따라 2개의 도전핀(25, 26)이 도체구(13)를 통하여 도통하고 ON상태로 되어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또 이 기울기검출장치는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케이스(10)를 상하반전시키고, 이 상태에서 절연케이스(10)의 윗쪽으로 돌출한 2개의 도전핀(25, 26)의 각 선단부를 회로기판(34)의 부착구멍(34a)에 그 아래쪽으로부터 삽입하여 회로기판(34)의 상면측으로 돌출시키고, 이 돌출한 2개의 도전핀(25, 26)의 각 선단부를 회로기판(34)의 상면에 설치된 접속전극(도시하지 않음)에 납땜함으로써 회로기판(3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착된 기울기검출장치는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34)이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면 절연케이스(10)내의 2개의 도전핀(25, 26)이 대략 수직인 상태로 된다. 이 때에는 절연케이스(10)의 하측의 제 1 케이스(27)내의 오목부(29)에 도체구(13)가 배치되기 때문에 도체구(13)는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도전핀(25, 26)의 각 소직경부(25a, 26a)로부터 이간한다. 이 때문에 2개의 도전핀(25, 26)은 도체구(13)에 의하여 도통하지 않고 OFF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34)과 함께 절연케이스(10)가 오른쪽아래로 조금 기울어도 도체구(13)가 제 2 케이스(28)의 오목부(29)로부터 이탈하지 않기 때문에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구(13)가 2개의 도전핀(25, 26)의 각 소직경부(25a, 26a)에 접근해도 접촉하지 않고 2개의 도전핀(25, 26)은 도체구(13)에 의하여 도통하지 않기 때문에 OFF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34)과 함께 절연케이스(10)가 더욱 오른쪽아래로 기울어서 도체구(13)가 제 2 케이스(28)의 오목부(29)로부터 이탈하면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구(13)가 2개의 도전핀(25, 26)의 각 소직경부(25a, 26a)의 양자에 걸쳐서 접촉한다. 이에 따라 2개의 도전핀(25, 26)이 도체구(13)를 통하여 도통하고 ON상태로 되어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이 기울기검출장치에서는 절연케이스(10)를 기울여서 절연케이스(10)내의 오목부(29)에 배치되어 있는 도체구(13)를 오목부(29)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도체구(13)를 2개의 도전핀(25, 26)의 각 소직경부(25a, 26a)의 양자에 접촉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체구(13)를 통하여 2개의 도전핀(25, 26)을 도통시킬 수 있어서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다.
또 이 기울기검출장치에서는 절연케이스(10)내의 오목부(29) 근처에 2개의 도전핀(25, 26)을 대략 수직으로 배치하기 때문에 2개의 도전핀(25, 26)을 완전히 같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부품의 공통화를 꾀할 수 있어서 구조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는 동시에 제 1, 제 2 케이스(27, 28)의 어느쪽인가의 수납부(16)내에 도체구(13)를 수납시키고 제 1, 제 2 케이스(27, 28)를 결합시킨 후에 2개의 도전핀(25, 26)을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의 것보다도 조립작업성이 좋아서 더한층의 저가격화를 꾀할 수 있다.
특히 이 기울기검출장치에서는 절연케이스(10)내의 오목부(29)를 제 1, 제 2 케이스(27, 28)의 각 수납부(16)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에 설치했기 때문에 2개의 도전핀(25, 26)을 수직으로 한 상태에서 절연케이스(10)를 상하의 제 1, 제 2 케이스(27, 28)로 분할했을 때 그 양자를 완전히 같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도 부품의 공통화를 꾀할 수 있어서 더욱 구조의 간소화 및 조립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고, 더한층의 저가격화를 꾀할 수 있는 동시에 절연케이스(10)를 상하반전시켜도 같은 기능을 갖기 때문에 회로기판(34)에 대하여 상하 어느쪽의 방향으로도 배치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6∼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울기검출장치의 제 3 시릿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8∼도 15에 나타내어진 제 2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기울기검출장치는 제 2 실시형태와 똑같이 절연케이스(10)와, 이 절연케이스(10)내에 설치되는 2개의 도전핀(25, 26)과, 절연케이스(10)내를 이동하는 도체구(13)를 구비하고 있는 외에 특히 2개의 도전핀(25, 26)을 각각 회로기판(35)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 상태에서 절연케이스(10)를 회로기판(35)에 고정하는 한쌍의 단자판(접속고정부재)(36)을 구비하고 있다.
한쌍의 단자판(36)은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간부가 직사각형상으로 도려내어진 후 상하양단부(36a, 36b)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접어 구부러지며, 이 접어 구부러진 하단부(36b)에 2개의 도전핀(25, 26)의 각 하단부가 각각 압입하는 2개의 핀부착구멍(37)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울기검출장치를 예를 들면 전자손목시계내의 회로기판(35)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제 2 실시형태와 똑같이 우선 제 1, 제 2 케이스(27, 28)를 결합시켜서 절연케이스(10)를 조립한 후, 이 절연케이스(10)에 2개의 도전핀(25, 26)을 부착하고, 이 2개의 도전핀(25, 26)의 각 하단부를 절연케이스(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단자판(36)의 각 하단부(36b)를 절연케이스(10)의 하측에 배치하여 한쌍의 단자판(36)의 중간부를 절연케이스(10)의 측면에 대응시키고 한쌍의 단자판(36)의 각 상단부(36a)를 절연케이스(10)의 상부옆쪽을 향하여 배치한다. 이 후 한쌍의 단자판(36)의 각 하단부(36b)에 설치된 2개의 핀부착구멍(37)의 각 한쪽에 2개의 도전핀(25, 26)의 각 하단부를 각각 압입한다. 이에 따라 한쌍의 단자판(36)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케이스(10)에 각각 부착된다.
이와 같이 한쌍의 단자판(36)이 부착된 절연케이스(10)를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반전시켜서 한쌍의 단자판(36)의 각 상단부(36a)를 아래로 하고, 이들 각 상단부(36a)를 회로기판(35)의 상면에 형성된 접속전극(35a)상에 배치하여 납땜함으로써 2개의 도전핀(25, 26)을 각각 단자판(36)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동시에 이들 한쌍의 단자판(36)에 의해 절연케이스(10)가 회로기판(35)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이 기울기검출장치에서는 한쌍의 단자판(36)의 각 하단부(36b)에 설치된 2개의 핀부착구멍(37)의 각 한쪽에 2개의 도전핀(25, 26)의 각 하단부를 압입함으로써 한쌍의 단자판(36)을 절연케이스(10)에 각각 부착하고, 이 절연케이스(10)를 상하반전시켜서 한쌍의 단자판(36)의 각 상단부(36a)를 회로기판(35)의 접속전극(35a)상에 배치하여 납땜함으로써 2개의 도전핀(25, 26)을 각각 단자판(36)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동시에 이들 한쌍의 단자판(36)에 의하여 절연케이스(10)를 회로기판(35)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회로기판(35)에 부착용의 구멍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이 절연케이스(10)를 회로기판(35)에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0∼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울기검출장치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도 8∼도 15에 나타내어진 제 2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기울기검출장치는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케이스(40)와, 이 절연케이스(40)를 기울였을 때에 절연케이스(40)내를 이동하는 도체구(13)를 구비하고 있다.
절연케이스(40)는 본체케이스(41)와 덮개케이스(42)로 이루어지고, 각각 합성수지 등의 절연성을 갖는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체케이스(41)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수납부(43)가 설치되고, 이 수납부(43)가 덮개케이스(42)에 대향하는 상면측으로 개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본체케이스(41)의 바닥부에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구(13)가 배치하는 오목부(29)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29)에 인접하는 본체케이스(41)에는 부분도금(44)이 실시된 단자부재(4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부재(45)는 도 2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46)상에 2개의 단자부(47, 48)가 서로 대향하여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베이스부(46)는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41)의 하부에 배치되고, 그 양단부에 본체케이스(41)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돌출부(46a)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2개의 단자부(47, 48)는 본체케이스(41)의 외측면과 동일면으로 배치되는 판부를 갖고, 이 판부의 대향면에 각각 반원호부가 대향하여 형성되며, 이들 각 반원호부의 각 일부가 수납부(43)내로 돌출하여 노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자부재(45)에는 2개의 단자부(47, 48)의 각 표면 및 베이스부(46)의 양단의 각 돌출부(46a)의 하면을 포함하는 표면에 무전해도금에 의해 부분도금(44)이 실시되어 있다. 즉 부분도금(44)은 2개의 단자부(47, 48)가 서로 도통하지 않도록 단자부재(45)에 실시되어 있다.
또한 본체케이스(41)의 상면에 있어서의 4개의 구석부에는 각각 보스(20)가 윗쪽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덮개케이스(42)의 4개의 구석부에는 각각 본체케이스(41)의 각 보스(20)가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구멍(21)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덮개케이스(42)의 하면에는 본체케이스(41)의 수납부(43)에 대응하는 수납부(49)가 하측으로 개방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수납부(49)내의 상면에는 절연케이스(40)를 상하반전시켰을 때에 도체구(13)가 배치하는 오목부(29)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울기검출장치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우선 도 2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부재(45)를 일차성형한 후 이 단자부재(45)의 2개의 단자부(47, 48)의 각 표면 및 베이스부(46)의 양단의 각 돌출부(46a)의 하면을 포함하는 표면에 무전해도금에 의해 부분도금(44)을 실시한다. 이 후 부분도금(44)이 실시된 단자부재(45)를 2차성형용의 금형내에 배치하고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41)를 2차성형한다. 이에 따라 단자부재(45)가 본체케이스(43)의 오목부(29) 근처에 위치하고, 또한 2개의 단자부재(47, 48)의 반원호부의 일부가 수납부(43)내에 노출된다. 이 후 본체케이스(41)의 수납부(43)내에 도체구(13)를 수납하고 본체케이스(41)의 상면의 보스(20)에 덮개케이스(42)의 끼워맞춤구멍(21)을 끼워맞추면 본체케이스(41)에 덮개케이스(42)가 부착되어 절연케이스(40)가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절연케이스(40)의 내부에는 수납부(43, 49)가 대응하고, 이들 수납부(43, 49)의 양자에 걸쳐서 도체구(13)가 이동 자유롭게 수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된 기울기검출장치를 예를 들면 전자손목시계내의 회로기판(50)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50)의 상면에 설치된 2개의 접속전극(51)의 윗쪽에 절연케이스(40)의 단자부재(45)의 각 돌출부(46a)를 대응시킨다. 이 상태에서 각 접속전극(51)과 각 돌출부(46a)의 사이에 도전성을 갖는 양면접착테이프(52)를 각각 개재시키고 이들 양면접착테이프(52)로 각 돌출부(46a)를 각 접속전극(51)에 접착고정한다. 이에 따라 각 접속전극(51)과 단자부재(45)의 각 부분도금(44)이 양면접착테이프(52)에 의하여 도통하는 동시에 단자부재(45)의 2개의 단자부(47, 48)가 각각 각 접속전극(5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 기울기검출장치에서는 제 2 실시형태와 똑같이 절연케이스(40)를 기울여서 절연케이스(40)내의 오목부(29)에 배치되어 있는 도체구(13)를 오목부(29)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도체구(13)를 부분도금(44)이 실시된 2개의 단자부(47, 48)의 양자에 접촉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체구(13)를 통하여 2개의 단자부(47, 48)를 도통시킬 수 있어서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다.
또 이 기울기검출장치에서는 2개의 단자부(47, 48) 및 베이스부(46)의 각 돌출부(46a)에 부분도금(44)이 실시된 단자부재(45)를 절연케이스(40)의 본체케이스(41)에 2색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했기 때문에 제 1∼제 3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도전핀 등의 별개부품이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어서 조립작업의 대폭적인 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이 기울기검출장치에서는 도전성을 갖는 양면접착테이프(52)에 의하여 본체케이스(41)의 각 돌출부(46a)와 회로기판(50)을 접착함으로써 절연케이스(40)를 회로기판(50)에 고정하는 동시에 본체케이스(41)의 2개의 단자부(47, 48)와 회로기판(50)의 각 접속전극(51)을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간단히 회로기판(50)에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 반드시 회로기판(50)의 상면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회로기판(50)의 하면에 도전성을 갖는 양면접착테이프(52)에 의하여 접착고정해도 좋다. 이와 같이 상하반전시켜서 부착하면 덮개케이스(42)의 수납부(49)내의 오목부(29)에 도체구(13)가 배치되는데, 이 경우에도 상기와 완전히 같은 작용효과가 있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7∼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울기검출장치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20∼도 26에 나타내어진 제 4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기울기검출장치는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케이스(55)와, 이 절연케이스(55)를 기울였을 때에 절연케이스(55)내를 이동하는 도체구(13)를 구비하고 있다.
절연케이스(55)는 제 4 실시형태와 똑같이 본체케이스(56)와 덮개케이스(42)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케이스(56)는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수납부(43)가 상면측으로 개방되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본체케이스(56)의 바닥부에는 제 4 실시형태와 똑같이 도체구(13)가 배치하는 오목부(29)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29)에 인접하는 수납부(43)의 내면에는 원호상의 2개의 단자부(57, 5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2개의 단자부(57, 58)에 대응하는 본체케이스(56)의 외측면하부에는 돌출부(59)가 각각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단자부(57, 58)의 표면, 이에 대응하는 본체케이스(56)의 표면 및 각 돌출부(59)의 하면을 포함하는 표면에는 부분도금(60)이 무전해도금에 의하여 실시되어 있다. 이들 2군데의 부분도금(60)은 제 4 실시형태와 똑같이 2개의 단자부(57, 58)가 서로 도통하지 않도록 본체케이스(56)에 부분적으로 실시되어 있다.
또한 본체케이스(56)의 상면의 4구석에는 제 4 실시형태와 똑같이 보스(20)가 윗쪽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덮개케이스(42)의 4구석에는 각각 본체케이스(56)의 각 보스(20)가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구멍(21)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덮개케이스(42)의 하면에는 본체케이스(56)의 수납부(43)에 대응하는 수납부(49)가 하측으로 개방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수납부(49)내의 상면에는 절연케이스(55)를 상하반전시켰을 때에 도체구(13)가 배치하는 오목부(29)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울기검출장치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우선 도 2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케이스(55)의 본체케이스(56)만을 제작한다. 이 때에는 본체케이스(56)에는 수납부(43)가 설치되고, 이 수납부(43)의 바닥부에는 오목부(29)가 설치되며, 이 오목부(29) 근처에 위치하는 수납부(43)의 내면에는 2개의 단자부(57, 58)가 설치되고, 이들 2개의 단자부(57, 58)에 대응하는 본체케이스(56)의 외측면의 하부에는 돌출부(59)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이 후 도 2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56)의 소정 장소의 표면에 마스크를 실시하고, 이 상태에서 무전해도금에 의해 2개의 단자부(57, 58)의 표면, 이에 대응하는 본체케이스(56)의 표면 및 각 돌출부(59)의 하면을 포함하는 표면에 부분도금(60)을 실시한다.
또한 이 후는 제 4 실시형태와 똑같이 본체케이스(56)의 수납부(43)내에 도체구(13)를 수납하고 본체케이스(56)의 상면의 보스(20)에 덮개케이스(42)의 끼워맞춤구멍(21)을 끼워맞춘다. 이에 따라 본체케이스(56)에 덮개케이스(42)가 부착되고 절연케이스(55)가 구성되는 동시에 절연케이스(55)의 내부에는 수납부(43, 49)가 대응하며, 이들 수납부(43, 49)의 양자에 걸쳐서 도체구(13)가 이동 자유롭게 수납된다.
이와 같이 이 기울기검출장치에서는 제 4 실시형태와 똑같이 절연케이스(55)를 기울여서 본체케이스(56)내의 오목부(29)에 배치되어 있는 도체구(13)를 오목부(29)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도체구(13)를 부분도금(60)이 실시된 2개의 단자부(57, 58)의 양자에 접촉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체구(13)를 통하여 2개의 단자부(57, 58)를 도통시킬 수 있어서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다.
또 이 기울기검출장치에서는 본체케이스(56)에 2개의 단자부(57, 58)를 수납부(43)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일체로 형성하고, 이들 2개의 단자부(57, 58)의 표면, 이에 대응하는 장소의 본체케이스(56)의 표면 및 각 돌출부(59)의 표면에 무전해도금에 의해 부분도금(60)을 실시했기 때문에 제 1∼제 3 실시형태에서 이용하는 도전핀 등의 별도부품이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어서 조립작업의 대폭적인 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이 기울기검출장치에서는 제 4 실시형태와 똑같이 도전성을 갖는 양면접착테이프(52)에 의하여 본체케이스(56)의 각 돌출부(59)와 회로기판(50)을 접착함으로써 절연케이스(55)를 회로기판(50)에 고정하는 동시에 본체케이스(56)의 2개의 단자부(57, 58)와 회로기판(50)의 각 접속전극(51)을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간단히 회로기판(50)에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반드시 회로기판(50)의 상면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회로기판(50)의 하면에 도전성을 갖는 양면접착테이프(52)에 의하여 접착고정해도 좋다. 이와 같이 상하반전시켜서 부착하면 덮개케이스(42)의 수납오목부(49)내의 오목부(29)에 도체구(13)가 배치되는데, 이 경우에도 상기와 완전히 같은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 1∼제 5 실시형태에서는 전자손목시계에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트래블워치 등의 다른 전자시계에도 적용할 수 있는 외에 페이져(포켓벨) 등의 전자기기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기울기검출장치에서는 도 1∼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에 형성된 구수납부(16)의 일부에 돌기(19)를 갖는 절연케이스(14, 15)와, 상기 절연케이스내에 서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대직경부(11a, 12a)와 소직경부(11b, 12b)를 갖는 단부착형상의 2개의 도전핀(11, 12)과, 상기 절연케이스내의 구수납부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해당 절연케이스가 기울었을 때에 상기 구수납부내에서 상기 2개의 도전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도체구(1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돌기의 높이는 상기 절연케이스의 기울음에 동반하여 상기 2개의 도전핀의 대직경부상에 상기 도체구가 위치했을 때에는 상기 2개의 도전핀의 양자가 함께 상기 도체구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한편 상기 절연케이스의 기울음에 동반하여 상기 2개의 도전핀의 소직경부상에 상기 도체구가 위치했을 때에는 해당 도체구와 맞닿아서 상기 도체구가 상기 2개의 도전핀의 적어도 한쪽에는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예를 들면 상기 2개의 도전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기울기검출장치에서는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수납부(16)의 내면에 오목부(29)가 설치된 절연케이스(27, 28)와, 이 절연케이스내에 배치된 2개의 도전핀(25, 26; 25a, 26a)과, 상기 절연케이스를 기울였을 때에 이 절연케이스의 구수납부내를 이동하여 상기 오목부로의 이동 또는 상기 오목부로부터 그 외부로의 이동을 실시하는 도체구(1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도체구가 상기 오목부로 이동했을 때는 해당 도체구가 상기 2개의 도전핀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아서 대응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며, 한편 상기 도체구가 상기 오목부로부터 그 외부로 이동했을 때는 해당 도체구가 상기 2개의 도전핀의 양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대응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오목부는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구수납부내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도전핀은 상기 오목부 근처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오목부에 대하여 수직인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또한 상기 2개의 도전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회로기판에 설치되어 있는 접속전극(35a)에 납땜되는 한쌍의 접속고정부재(36)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기울기검출장치에서는 도 20∼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수납부(43)의 내부에 도금(44)이 실시된 2개의 단자부(45; 47, 48; 57, 58)를 갖고, 또한 이들 2개의 단자부의 단부 근처에 오목부(29)가 설치된 절연케이스(41, 42)와, 이 절연케이스를 기울였을 때에 이 절연케이스의 구수납부내를 이동하여 상기 오목부로의 이동 또는 상기 오목부로부터 외부로의 이동을 실시하는 도체구(1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도체구가 상기 오목부로 이동했을 때는 해당 도체구가 상기 2개의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아서 대응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한편 상기 도체구가 상기 오목부로부터 외부로 이동했을 때는 해당 도체구가 상기 2개의 단자부의 양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대응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단자부(47, 48)는 그 표면에 각각 상기 도금이 실시된 상태에서 2색성형에 의해 상기 절연케이스(4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7∼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단자부(57, 58)는 상기 절연케이스(55)와 같은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단자부에 대응하는 표면만에 부분적으로 상기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또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단자부(47, 48)는 회로기판의 접속전극(51)에 도전성을 갖는 양면접착테이프(52)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돌기를 갖는 절연케이스와, 대직경부와 소직경부를 갖는 단부착형상의 2개의 도전핀과, 절연케이스를 기울였을 때에 절연케이스내를 2개의 도전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도체구를 구비하고, 2개의 도전핀을 절연케이스내에 대략 평행하게 같은 방향으로 배치하고, 절연케이스의 돌기를 2개의 도전핀의 대직경부끼리상에 도체구가 위치했을 때에 2개의 도전핀의 양자에 도체구가 접촉하며, 또한 2개의 도전핀의 소직경부끼리상에 도체구가 위치했을 때에 도체구가 2개의 도전핀의 적어도 한쪽에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했기 때문에 절연케이스를 기울여서 2개의 도전핀을 길이방향으로 적절히 기울음으로써 도체구를 대직경부끼리상 또는 소직경부끼리상의 어느쪽인가에 배치시킬 수 있고, 이 때문에 도체구를 통하여 2개의 도전핀을 도통상태로 시키거나, 또 비도통상태로 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밖에 2개의 도전핀을 같은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절연케이스내에 설치하기 때문에 2개의 도전핀을 같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부품의 공통화를 꾀할 수 있으며, 구조의 간소화 및 조립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어서 저가격인 것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내면에 오목부가 설치된 절연케이스와, 이 절연케이스내에 배치된 2개의 도전핀과, 절연케이스를 기울였을 때에 절연케이스내를 이동하는 도체구를 구비하고, 도체구가 오목부에 위치해 있을 때에 2개의 도전핀에 접촉하지 않고 도체구가 오목부로부터 이탈했을 때에 2개의 도전핀의 양자에 접촉하도록 했기 때문에 도체구가 절연케이스내의 오목부에 위치해 있는 상태에서 절연케이스를 기울여서 도체구를 오목부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도체구를 2개의 도전핀의 양자에 접촉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체구를 통하여 2개의 도전핀을 도통시킬 수 있어서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밖에 2개의 도전핀을 완전히 같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발명과 똑같이 부품의 공통화를 꾀할 수 있어서 구조의 간소화 및 조립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고 저가격인 것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도금이 실시된 2개의 단자부를 갖고, 또한 이들 2개의 단자부의 단부 근처에 오목부가 설치된 절연케이스와, 이 절연케이스를 기울였을 때에 절연케이스내를 이동하는 도체구를 구비하고, 도체구가 오목부에 위치해 있을 때에 2개의 단자부에 접촉하지 않고 도체구가 오목부로부터 이탈했을 때에 2개의 단자부의 양자에 접촉하도록 했기 때문에 도체구가 절연케이스내의 오목부에 위치해 있는 상태에서 상기한 발명과 똑같이 절연케이스를 기울여서 도체구를 오목부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도체구를 통하여 도금이 실시된 2개의 단자부를 도통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밖에 절연케이스의 내부에 2개의 단자부를 일체로 형성했기 때문에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어서 조립작업의 대폭적인 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

Claims (9)

  1. 내부에 형성된 구수납부의 일부에 돌기를 갖는 절연케이스와,
    상기 절연케이스내에 서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대직경부와 소직경부를 갖는 단부착형상의 2개의 도전핀과,
    상기 절연케이스내의 구수납부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해당 절연케이스가 기울었을 때에 상기 구수납부내에서 상기 2개의 도전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도체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돌기의 높이는 상기 절연케이스의 기울음에 동반하여 상기 2개의 도전핀의 대직경부상에 상기 도체구가 위치했을 때에는 상기 2개의 도전핀의 양자가 함께 상기 도체구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한편 상기 절연케이스의 기울음에 동반하여 상기 2개의 도전핀의 소직경부상에 상기 도체구가 위치했을 때에는 해당 도체구와 맞닿아서 상기 도체구가 상기 2개의 도전핀의 적어도 한쪽에는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2개의 도전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검출장치.
  3. 구수납부의 내면에 오목부가 설치된 절연케이스와,
    이 절연케이스내에 배치된 2개의 도전핀과,
    상기 절연케이스를 기울였을 때에 이 절연케이스의 구수납부내를 이동하여 상기 오목부로의 이동 또는 상기 오목부로부터 그 외부로의 이동을 실시하는 도체구를 구비하고,
    상기 도체구가 상기 오목부로 이동했을 때는 해당 도체구가 상기 2개의 도전핀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아서 대응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며, 한편 상기 도체구가 상기 오목부로부터 그 외부로 이동했을 때는 해당 도체구가 상기 2개의 도전핀의 양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대응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검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구수납부내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도전핀은 상기 오목부 근처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오목부에 대하여 수직인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검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2개의 도전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회로기판에 설치되어 있는 접속전극에 납땜되는 한쌍의 접속고정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검출장치.
  6. 구수납부의 내부에 도금이 실시된 2개의 단자부를 갖고, 또한 이들 2개의 단자부의 단부 근처에 오목부가 설치된 절연케이스와,
    이 절연케이스를 기울였을 때에 이 절연케이스의 구수납부내를 이동하여 상기 오목부로의 이동 또는 상기 오목부로부터 외부로의 이동을 실시하는 도체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도체구가 상기 오목부로 이동했을 때는 해당 도체구가 상기 2개의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아서 대응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며, 한편 상기 도체구가 상기 오목부로부터 외부로 이동했을 때는 해당 도체구가 상기 2개의 단자부의 양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대응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검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단자부는 그 표면에 각각 상기 도금이 실시된 상태에서 2색성형에 의해 상기 절연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검출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단자부는 상기 절연케이스와 같은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단자부에 대응하는 표면에만 부분적으로 상기 도금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검출장치.
  9. 청구항 6에 기재한 기울기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단자부는 회로기판의 접속전극에 도전성을 갖는 양면접착테이프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검출장치.
KR1019980025624A 1997-07-02 1998-06-30 기울기검출장치 KR100261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90757 1997-07-02
JP19075797A JP3687285B2 (ja) 1997-07-02 1997-07-02 傾き検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487A KR19990013487A (ko) 1999-02-25
KR100261884B1 true KR100261884B1 (ko) 2000-08-01

Family

ID=16263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5624A KR100261884B1 (ko) 1997-07-02 1998-06-30 기울기검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115929A (ko)
JP (1) JP3687285B2 (ko)
KR (1) KR100261884B1 (ko)
CN (1) CN1126938C (ko)
HK (1) HK1017424A1 (ko)
MY (1) MY114819A (ko)
TW (1) TW38439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104B1 (ko) * 2003-05-30 201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게임동작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7240B2 (en) * 1994-09-06 2005-04-12 Randi Henden Tranas Apparatus for indicating correct or faulty back posture
JP3687285B2 (ja) * 1997-07-02 2005-08-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傾き検出装置
US6301795B1 (en) * 1998-09-11 2001-10-16 Honeywell Inc. Tilt sensor using magnet and magnetic sensor
JP2002372416A (ja) * 2001-04-09 2002-12-26 Nagano Fujitsu Component Kk センサユニット
US6733146B1 (en) 2003-01-10 2004-05-11 Pat J. Vastano Illuminated knob for indicating the operative condition of an appliance
US7088258B2 (en) 2004-03-08 2006-08-08 Nuvo Holdings, Llc Tilt sensor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7190278B2 (en) * 2004-03-08 2007-03-13 Nuvo Holdings, Llc Asset tag with event detection capabilities
US7230193B2 (en) * 2005-07-14 2007-06-12 Tien-Ming Chou Jerk-initiated switch
US7473857B2 (en) * 2006-07-25 2009-01-06 Tien-Ming Chou Switch having a rolling conductive ball
TW200816246A (en) * 2006-09-29 2008-04-01 Oncque Corp Ball switch
US7353615B1 (en) 2007-01-03 2008-04-08 Shockwatch, Inc. Anti-vibration tilt detector
CN101236859B (zh) * 2007-02-02 2010-05-26 大日科技股份有限公司 滚珠开关及其制造方法
US7563997B2 (en) * 2007-03-27 2009-07-21 Tien-Ming Chou Rolling-ball switch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TW201111754A (en) * 2009-09-28 2011-04-01 Everlight Electronics Co Ltd Tilt sensor
JP6275136B2 (ja) 2012-08-01 2018-02-07 ショックウォッチ インクShockWatch,Inc. 傾斜インジケータ
US9058945B2 (en) * 2012-11-20 2015-06-16 Tien-Ming Chou Electrical switch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1485710B1 (ko) * 2013-11-06 2015-01-2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시계 제어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US8941490B2 (en) * 2013-03-08 2015-01-27 Albert Ky Automatic life alarm
CN105700456B (zh) * 2016-02-04 2018-04-13 苏州健雄职业技术学院 一种自动反馈功能的平衡控制装置
CN106246981B (zh) * 2016-09-27 2019-01-04 罗昆 一种物联网管道平衡控制设备的平衡方法
CN106441076B (zh) * 2016-10-25 2019-06-04 国动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通信铁塔变形自动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08163722A (zh) * 2017-12-23 2018-06-15 玉林市玉州区万通华信科技服务部 一种起重机用定柱式悬臂
CN108692706A (zh) * 2018-04-26 2018-10-23 合肥海银杆塔有限公司 一种倾斜报警式电力杆塔
CN110907669B (zh) * 2019-12-20 2021-11-16 南京慧亦普系统集成有限公司 一种智能化网络故障查找标定装置
GB2606501B (en) 2020-01-14 2024-06-26 Shockwatch Inc Tilt indicator
CN112781560B (zh) * 2021-01-26 2022-09-16 太原理工大学 一种自动手动联合调平装置及方法
US11530916B1 (en) * 2021-08-09 2022-12-20 Peaceful Thriving Enterprise Co., Ltd. Electromagnetic angle sensing structure
CN114753656B (zh) * 2022-06-06 2024-02-09 广厦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施工用卸料平台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0200A (en) * 1967-10-03 1970-07-14 Motorola Inc Movement responsive apparatus
DE2228683C2 (de) * 1972-06-13 1982-01-21 Artur 7060 Schorndorf Föhl Beschleunigungs- und verzögerungsabhängige, elektrische Schaltvorrichtung zum Einbau in Fahrzeuge
US4001185A (en) * 1972-06-28 1977-0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cceleration sensing device
US4344235A (en) * 1980-12-29 1982-08-17 General Electric Co. Levitated ball inclinometer
US4450326A (en) * 1981-10-19 1984-05-22 Ledger Curtis G Anti-theft vibration detector switch and system
US4493155A (en) * 1982-09-29 1985-01-15 Combustion Engineering, Inc. Apparatus for remotely indicating angular position
JPH01128115U (ko) * 1988-02-25 1989-09-01
US4833281A (en) * 1988-05-27 1989-05-23 Lectron Products, Inc. Motion detector
FR2671869B1 (fr) * 1990-08-10 1995-10-27 Gonda Jean Claude Dispositif electronique pour obtenir ou verifier le niveau de zero a cent quatre vingt degres.
US5178410A (en) * 1991-06-14 1993-01-12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Velocity change sensor with lateral shock absorber
US5136126A (en) * 1991-06-24 1992-08-04 Honeywell Inc. Tilt switch
US5136127A (en) * 1991-09-16 1992-08-04 Honeywell Inc. Tilt actuated switch
JPH0587518U (ja) * 1992-04-23 1993-11-26 株式会社ニコン 傾斜センサ
US5408457A (en) * 1994-02-04 1995-04-18 Osaka Gas Co., Ltd. Device for detecting seismic motion
DE4412294A1 (de) * 1994-04-09 1995-10-12 Braun Ag Sicherheitsabschaltung
US5765290A (en) * 1995-09-15 1998-06-16 Harley-Davidson, Inc. Adaptable tip sensor
JPH09167551A (ja) * 1995-12-18 1997-06-24 Jeco Co Ltd 加速度スイッチ
US5965855A (en) * 1997-01-14 1999-10-12 Casio Computer Co., Ltd. Detecting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etec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detecting device
JP3687285B2 (ja) * 1997-07-02 2005-08-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傾き検出装置
US5955713A (en) * 1997-10-03 1999-09-21 Circle Seal Corporation Tilt switch array for electronic orientation dete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104B1 (ko) * 2003-05-30 201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게임동작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17424A1 (en) 1999-11-19
JPH1123211A (ja) 1999-01-29
CN1126938C (zh) 2003-11-05
CN1204764A (zh) 1999-01-13
TW384390B (en) 2000-03-11
MY114819A (en) 2003-01-31
KR19990013487A (ko) 1999-02-25
US6341428B1 (en) 2002-01-29
US6115929A (en) 2000-09-12
JP3687285B2 (ja) 200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1884B1 (ko) 기울기검출장치
US20040203274A1 (en)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electrically a flexible printed board to a circuit board
US4435088A (en) Battery switch plate for a timepiece
JPH11297435A (ja) コネクタ装置、コネクタ装置を有する回路モジュールおよび回路モジュールを搭載した電子機器
JPH11242721A (ja) 電気的接続装置
JPH11162423A (ja) パック電池
JPH07245147A (ja) モジュラージャック
JP3891204B2 (ja) 傾き検出装置
US4632571A (en) Electronic watch module able to adapt the polarity of a cell to that of the watch circuit
JPH0410620Y2 (ko)
JP3717278B2 (ja) 傾斜センサ
JPS6214720Y2 (ko)
JPH07192572A (ja) 小型電子機器のプッシュ釦構造
JPH0735342Y2 (ja) プリント基板用ソケット
JPS6182625A (ja) プツシユ式スイツチ
JPH11306934A (ja) 小型傾斜スイッチ
JPH02865Y2 (ko)
KR880000319Y1 (ko) 기판 연결부재
JP3783250B2 (ja) 電子部品の保持部材
JPH0327301Y2 (ko)
JP2000180470A (ja) 検査用プロ―ブ
JPH0611669Y2 (ja) 電子機器の筐体構造
JPS6182626A (ja) プツシユ式スイツチ
JPS62154522A (ja) ヒユ−ズ検査装置
JPS5915395Y2 (ja) 腕時計の電池端子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