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319Y1 - 기판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기판 연결부재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319Y1
KR880000319Y1 KR2019850006356U KR850006356U KR880000319Y1 KR 880000319 Y1 KR880000319 Y1 KR 880000319Y1 KR 2019850006356 U KR2019850006356 U KR 2019850006356U KR 850006356 U KR850006356 U KR 850006356U KR 880000319 Y1 KR880000319 Y1 KR 8800003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ixed
housing
socke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63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5491U (ko
Inventor
김경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500063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319Y1/ko
Publication of KR8600154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54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3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3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 H05K13/0465Surface mounting by sol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판 연결부재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의 (a)(b)는 본 고안을 조립시킨 평면도 및 측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을 부착하여 기판과 브라운관 기판을 고정시킨 상태도.
제4도는 종래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기판과 브라운관 기판을 고정시킨 상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속홈 3 : 하우징
4 : 돌기 5 : 돌출판
6a, 6b : 턱걸이부 8 : 기판
9a, 9b : 턱걸이홈 11 : 브라운관 기판
12 :소켓 14 : 삽입구멍
15 : 탄성판 16a, 16b : 절결부
본 고안은 두개의 기판을 연결 고정시키기 위한 기판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기판의 고정과 회로의 연결을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종래에는 두개의 기판 즉 기판(PCB)(8)과 브라운관 기판(PCB)(11)을 지지하기 위해 제4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별개의 연결부재(21)를 이용하여 나사(22)로 조여 연결 고정시켰던 것이며 또한 상기 2개의 기판(8)과 (11)의 회로를 연결하기 위해 소켓(12)과 하우징(3)을 별도로 고정 설치하여 리드선(23)으로 연결 접속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두개의 기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작업공정 및 시간이 소요되는 폐단으로 원가인상의 원인이 되었던 것이며 또한 일일이 두개의 기판의 회로를 연결시키기 위해 리드선을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복잡화와 납땜하기 위한 시간적 낭비를 초래하여 이 또한 작업 공정이 많이 소모되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두개의 기판을 간단히 조립 고정시킴과 동시에 기판의 회로를 연결 접속토록 함으로써 작업 공정의 단순화로 인해 작업시간의 절약, 원가를 인하시킬 수 있는 유익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에 다수개의 접속홈(1)을 균등 배열하여 그 내부에 단자(2)가 각각 설치되게 하여 일측으로 돌출시킨 하우징(3)의 일측 상부에 돌기(4)가 형성된 돌출판(5)을 형성시키며 하부 일측에 2개의 턱걸이부(6a)(6b)를 형성시켜 통상의 단자공(7)을 균등 배열 형성시키며 기판(8)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턱걸이홈(9a)(9b)에 끼워 고정시킴과 동시에 각 단자(2)를 단자공(7)에 각각 삽입시켜 납땜하고, 하부에 다수개의 단자 (10a)를 균등 배열시켜 브라운관 기판(11)에 납땜하여 고정된 통상의 소켓(12)의 공간(13)내에 각 단자(l0b)를 돌출시키며 일측 상부에 삽입구멍(14)을 형성시킨 탄성판 (15)이 탄력되게 절결부(16a)(16b)를 형성한 것으로, 미설명부호 17은 브라운관 기판의 단자공, 18은 브라운관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기판(8)의 턱걸이홈(9a )(9b)에 하우징(3)의 턱걸이부(6a)(6b)를 끼워 고정 시킴과 동시에 하우징(3)의 단자 (2)를 기판(8)의 단자공(7)에 끼운후 납땜하여 하우징(3)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브라운관 기판(11)에 형성된 단자공(17)에 소켓(12)의 단자(10a)를 끼워 납땜하면 되고, 기판(8)과 브라운관 기판(11)의 고정과 회로의 접속을 위해 하우징(3)을 소켓(12)의 공간(13)에 삽입 시킨다.
이때, 하우징(3)의 접속홈(1)에 소켓(12)의 중간(13)에 돌출된 단자(10b)가 끼워지게 되며 각 단자(10b)가 하우징(3)의 단자(2)와 접촉하여 회로상으로 접속하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하우징(3)의 돌출판(5)에 형성된 돌기(4)가 소켓(12)의 탄성판(15)면에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탄성판(15)이 돌기(4)에 의해 탄력있게 휘어지게 된다.
물론 돌기(4)가 돌출된 만큼 탄성판(15)이 휘어지게 되는 것이고 하우징(3)이 소켓(12)의 공간(13)에 완전히 삽입이 되면 돌기(4)가 삽밉구멍(14)에 삽입이 된다.
따라서 탄성판(15)이 탄력있게 휘어져 있다가 돌기(4)가 삽입구멍(14)에 삽입함에 따라 탄성판(15)이 원상복귀하여 하우징(3)이 소켓(12)에서 분리됨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기판(8)과 브라운관 기판(11)이 회로의 접속과 동시에 고정이 되므로 조립 과정이 간편하여 생산원가를 인하시키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다수개의 단자(2)를 형중시킨 하우징(3)을 브라운관 기판(11)에 납땜된 소켓(12)에 고정설치하여 기판(8)과 회로의 접속 및 각 기판(8)(11)을 연결 고정시킨 것에 있어서, 상부에 다수개의 접속홈(1)을 균등배열 형성한 하우징(3)의 일측 상부에 돌기(4)가 형성된 돌출판(5)을 형성시키며 하부 일측에 2개의 턱걸이부(6a)(6b)를 형성시켜 기판(8)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턱걸이홈(9a)(9b)에 끼워 고정시킴과 동시에 각단자(2)를 납땜시켜 고정하고, 하부에 다수개의 단자(10a)를 균등 배열되게 브라운관 기판(11)에 납땜하여 고정된 통상의 소켓(12)의 공간(13)내에 각 단자(l0b)를 돌출시키며 일측 상부에 삽입구멍(14)을 형성시킨 탄성판(15)이 탄력되게 절결부(16a)(16 b)를 형성하여 상기 소켓에 하우징을 조립시켜 기판과 브라운관 기판의 연결고정과 회로의 접속을 동시에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기판 연결부재.
KR2019850006356U 1985-05-29 1985-05-29 기판 연결부재 KR8800003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6356U KR880000319Y1 (ko) 1985-05-29 1985-05-29 기판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6356U KR880000319Y1 (ko) 1985-05-29 1985-05-29 기판 연결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5491U KR860015491U (ko) 1986-12-30
KR880000319Y1 true KR880000319Y1 (ko) 1988-03-10

Family

ID=19242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6356U KR880000319Y1 (ko) 1985-05-29 1985-05-29 기판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31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123B1 (ko) * 2005-01-18 2007-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소켓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5491U (ko) 198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55593Y2 (ja) 表面実装型コネクタ
KR100384740B1 (ko) 평행한 두 기판을 용이하게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있는 기판 대 기판 접속기
US7029308B2 (en) Socket for electronic module
US4872845A (en) Retention means for chip carrier sockets
KR950034923A (ko) 낮은 형상의 기판연결용 컨넥터
JPH06151021A (ja) Simmソケット及びそれに使用する端子
KR0122783Y1 (ko) 인쇄 회로 기판용 연부 접속기
KR970000129B1 (ko) 보드 대 보드 접속형 전기 커넥터
JPS5826152B2 (ja) 多極コネクタ
JPS6217837B2 (ko)
JP2006269169A (ja) 基板接続用コネクタ
KR950004987B1 (ko) 전기 커넥터
JPH11144823A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及びその実装構造
JP3123630B2 (ja) モジュラージャック
KR880000319Y1 (ko) 기판 연결부재
US5104325A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JPH0789507B2 (ja) チップキャリアソケットアセンブリ
US5984722A (en) Printed board connector
JP3401449B2 (ja) プリント配線基板用コネクタ
JP2560143Y2 (ja) Fpc接続用コネクタ
JPH0119338Y2 (ko)
IE930588A1 (en) Contact connector
JPH0562742A (ja) 基板用接続コネクタ
JPH033967Y2 (ko)
JPH062579U (ja) 固定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