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1881B1 - 풀룰란고함유물과 그 제조방법 및 용도 - Google Patents

풀룰란고함유물과 그 제조방법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1881B1
KR100261881B1 KR1019930003190A KR930003190A KR100261881B1 KR 100261881 B1 KR100261881 B1 KR 100261881B1 KR 1019930003190 A KR1019930003190 A KR 1019930003190A KR 930003190 A KR930003190 A KR 930003190A KR 100261881 B1 KR100261881 B1 KR 100261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ulan
weight
parts
nutrient medium
visco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3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803A (ko
Inventor
오자끼요시히데
노무라다쓰오
미야께도시오
Original Assignee
도시오 미야께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오 미야께,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filed Critical 도시오 미야께
Publication of KR940005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8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43Products for covering, coating, finishing, deco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14Organic oxygen compounds
    • A21D2/18Carbohydrates
    • A21D2/181Sugars or sugar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additives
    • A23C9/137Thicken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46Finished or semi-finished products in the form of powders, paste or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69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microbial origin, e.g. xanthan or dextran
    • A23L29/274Pullul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05Coating with compositions containing vegetable or microbial fermentation gums, e.g. cellulose or derivatives; Coating with edible polymers, e.g. polyvinyalcoh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3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86Polysaccharides, e.g. gum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16Wall or shel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10Solid or semi-solid fertilisers, e.g. powders
    • C05G5/14Tablets, spikes, rods, blocks or b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09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alpha-D-Glucans, e.g. polydextrose, alternan, glycogen; (alpha-1,4)(alpha-1,6)-D-Glucans; (alpha-1,3)(alpha-1,4)-D-Glucans, e.g. isolichenan or nigeran; (alpha-1,4)-D-Glucans; (alpha-1,3)-D-Glucans, e.g. pseudonigeran;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18Pullulan, i.e. (alpha-1,4)(alpha-1,6)-D-gluca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4Polysaccharides, i.e.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bonds
    • C12P19/10Pullula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3/00Pulp or paper, comprising synthetic cellulose or non-cellulose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 D21H13/10Organic non-cellulose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00/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 A23G2200/06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containing beet sugar or cane sugar if specifically mentioned or containing other carbohydrates, e.g. starches, gums, alcohol sugar, polysaccharides, dextrin or containing high or low amount of carbohyd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높은 당질 농도의 영양 배지를 특정의 저점도 범위로 유지하여 연속 배양함으로써 보다 생산성 높은 공업적으로 유리한 풀룰란 고함유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를 확립하였다.
본 발명은 풀룰란 생성능을 가진 미생물을 당질 농도 10∼20 w/v% 함유하는 영양 배지에서 이 배지의 점도를 30 센티포이즈 이하로 유지하면서 연속 배양하여 얻어진 평균 분자량 250,000 이하의 풀룰란 고함유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이것을 함유시킨 증점제, 코우팅제, 접착제 및 성형물, 혹은 음식물, 화장품, 의약품, 농림 수축산 자재, 종이 가공 자재 및 광공업 자재 등에의 용도를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풀룰란 고함유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본 발명은 풀룰란(pullulan) 고함유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풀룰란 생성능(生成能)을 가진 미생물을 당질(糖質) 농도 10∼20 w/v% 함유하는 영양 배지에서 이 배지의 점도를 30 센티포이즈(centipoise : 이하, 간단히 "cp"로 표기함) 이하로 유지하면서 연속 배양하여 얻어지는 평균 분자량 250,000 이하의 풀룰란 고함유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풀룰란은 풀룰란 생성능을 가진 미생물을 단당류, 올리고당류를 함유하는 영양 배지에서 호기적(好氣的)으로 배양하여 얻어지는 점성의 글루칸(glucan)으로서 공업적으로 제조되고 있다.
그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특허 공개 소 49-42894 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영양 배지의 초기 pH를 5.5∼8.0으로 조성하고, 특히 높은 pH를 조정함으로써 풀룰란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방법과, 일본국 특허 공개 소 52-130993 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풀룰란 생성능을 가진 미생물을 아밀라아제 활성 저해 물질 공존하에 영양 배지의 점도 저하를 방지하면서 배양하여 풀룰란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어느 것이나 뱃치식(batchwise : 즉, 回分式) 배양 방법이어서 풀룰란의 공업 생산적 견지에서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님이 판명되었다.
한편, 풀룰란 생성능을 가진 미생물을 연속 배양하여 풀룰란을 제조하는 방법이 아래의 간행물에서 개시되어 있다.
(1) Bulmaer 등,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제 25 권, 362-365 페이지, 1987년.
(2) Boa 등,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제 30 권, 463-470 페이지, 1987년.
(3) McNeil 등,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제 33 권, 1210-1212 페이지, 1989년.
(4) McNeil 등, Enzyme and Microbial Technology, 제 12 권, 521-525 페이지, 1990년.
그러나, 이들 간행물도 연속 배양에 의한 풀룰란 생산에 대하여 생물 화학 공학적으로 검토가 되어 있지 않고,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이탄 가수 분해물(peat hydrolyzate) 등의 당질의 농도가 2∼5 w/v%로서 낮으며, 영양 배지의 점도에 대해서도 검토가 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영양 배지의 pH에 대해서는 Boa 등의 문헌에서는 명확히 되어 있지 않고, Bulmer 등의 문헌에서는 pH 5.5로 유지하고 있고, McNeil 등의 문헌에서는 pH 4.5가 적당한 pH라고 보고되어 있다. 배양액 1L 당 및 배양 1 시간 당의 풀룰란의 생산성 (gL-1h-1)(이하, 본 발명에서는 간단히 "풀룰란 생산성"이라 함)에 대해서는 최고가 Boa등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0.48로서 낮은 값이고, 그 연속 배양의 기간에 대해서도 불명이다. 따라서, 이들 보고를 이용하여 공업적 생산에 유리한 풀룰란 고함유물을 생산한다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위와 같은 종래 방법의 결점을 해소하여 공업적으로 유리한 신규의 연속 배양 방법에 의한 풀룰란 고함유물의 제조 방법과 그 용도의 확립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자등은 연속 배양에 의한 풀룰란 고함유물의 제조 방법, 특히 고농도의 당질을 함유시킨 영양 배지를 사용하여 그 배양액의 점도와 그 풀룰란 생산성에 착안하여 공업적 생산에 유리한 풀룰란 고함유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의 확립을 목표로 하여 예의 연구를 계속하였다.
그 결과, 종래의 기술과는 전혀 다르게 풀룰란 생성능을 가진 미생물을 당질 농도 10∼20 w/v% 함유하는 영양 배지에서 점도 30 cp 이하로 유지하면서 연속 배양하여 얻어지는 평균 분자량 250,000 이하의 풀룰란 고함유물은 연속 배양에 의한 풀룰란 생산성이 높고 그 배양 기간도 장시간에 걸쳐 안정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더욱이 그 공업적 생산이 극히 유리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연속 배양에 의한 제조 방법 및 제조되는 풀룰란 고함유물을 함유시켜 증점제, 코우팅제, 접착제, 성형물 등에, 그리고 음식물, 화장품, 의약품, 농림 수산 자재, 종이 가공 자재, 광공업 자재 등 다방면에 그 용도를 확립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풀룰란 생성능을 가진 미생물은 풀룰란을 생성할 수 있는 균주이면 어떠한 균주라도 좋다. 예를 들자면, 오레오바시듐 퍼어멘탄스 바르퍼어멘타스(Aureobasidium fermentans var fermentans) IFO 6410, 오레오바시듐 퍼어멘타스 바르 푸스카(Aureobasidium fermentans var fusca) IFO 6402, 오레오바시듐 풀룰란스(Aureobasidium pulluans) IFO 6353 및 오레오바시듐 풀룰란스(Aureobasidium pulluans) IFO 4464 등의 오레오바시듐속(Aureobasidium 層)에 속하는 미생물 또는 이들의 돌연변이주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영양 배지로서는 탄소원, 질소원, 유기 영양원, 무기 물질 등을 적절히 함유시킨 것이 사용된다. 탄소원으로서는 통상 예를 들자면,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전분 시럽 또는 전분 가수 분해물, 수크로오스, 푸럭토오스, 당화 전분, 전화당, 이성화당, 당밀 등에서 선택되는 한가지 또는 두가지 이상의 당질을 농도 10∼20 w/v%,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8 w/v% 의 범위에서 사용된다. 질소원으로서는 암모늄 염, 질산 염 등의 무기 질소원 또는 글루탐산 염, 펩톤, 효모엑스, 코온 스티입 리커(corn steep liquor)등의 유기 질소원 등으로 부터 선택되는 한가지 또는 두가지 이상이 사용된다. 기타 무기 물질로서는 인산 염, 마그네슘 염, 철 염 등이 적절히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배양은 연속 방법으로 영양 배지의 점도를 30 cp 이하로 유지하면서 호기적(好氣的)으로 실시한다. 바람직하게는 pH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2.0 이상, 4.0 이하에서 온도 약 25∼30℃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조건하에서 배양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영양 배지의 점도를 30 cp 이하로 유지하는 방법은, 예컨대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영양 배지 일부를 배출하면서 추가 공급하는 영양 배지의 공급 속도에 의하여 영양 배지의 희석 속도를 통상 0.01∼0.1 h-1의 범위로 조정하거나 또는 풀룰란을 부분적으로 가수 분해하여 영양 배지의 점도 저하를 일으키는 아밀라아제, 예컨대 액화형 α-아밀라아제, 이소아밀라아제 등의 전분질을 부분적으로 가수 분해하는 효소를 적당량 첨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더욱이, 필요하다면 영양 배지로서 예비 배양한 것을 사용하는 것도 유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수득한 풀룰란 고함유 배양액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균, 농축하고, 필요에 따라 탈색, 탈염하여 용액상의 풀룰란 고함유물 또는 이것을 다시 분말화 하여 분말상의 풀룰란 고함유물을 회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풀룰란 고함유물은 풀룰란을 고형물 당 약 50 w/w%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55∼90 w/w%의 범위에서 함유하며, 그 평균 분자량은 통상 300,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40,000∼250,000의 범위이다. 필요하다면 분자량 분획, 용기 용매 침전 분리 등에 의하여 이 생성물을 보다 고순도의 풀룰란 고함유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풀룰란 고함유물은 수용성, 증점성, 조막성(造膜性), 광택성, 투명성, 가스 배리어성(gas-barrier 性), 내유성, 내염성, 접착성, 성형성, 가식성(可食性), 난소화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용도로서는 예컨대 증점제, 코우팅제, 접착제, 성형물 등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풀룰란 고함유물은 음식물[예 :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미생물 증식 촉진제, 다이어터리 파이버(dietary fiber) 식품, 저칼로리 식품 등], 화장품[예 : 치마제(dentifrice), 유액, 크리임, 팩, 정발료, 삼푸우, 입욕제 등], 의약품 [예 : 정제, 캡슐제, 대용 혈장 등의 의약품 등], 농림 수축산(農林 水蓄産) 자재 [예 : 코우팅 종자, 조립(造粒)]농약, 성형 비료, 성형 사이료 등], 종이 가공 자재 [예 : 호제, 사이징제], 광공업 자재 [예 : 폐수 처리제, 용접봉, 주형 등]등 다방면의 산업 분야에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풀룰란 고함유물을 위해 나온 각종 용도에 이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의 풀룰란 고함유물을 단독으로 함유시키든지 본 발명의 풀룰란 고함유물과 더불어 글리세린, 소르비톨, 말티톨, 락티톨 등의 다가 알코올을 유리하게 함유시킬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위에 나온 제품중에 본 발명의 풀룰란 고함유물과 더불어 기타의 재료, 예컨대 풀룰란 이외의 다당류, 가소제, 증량제, 부형제, 충전제, 증점제, 계면 활성제, 발포제, 소포제, pH 조정제, 안정제, 난연제, 이형제, 항균제, 착색제, 착향제, 영양물, 기호물, 증미물, 약효 물질, 생리 활성 물질등으로 부터 선택되는 한가지 또는 두가지 이상을 적절히 함유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풀룰란 고함유물을 함유시킨다는 것은 그 용도 제품의 제조가 완료하기 까지의 공정에서 풀룰란 고함유물을 함유시킬 수 있으면 좋고, 그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혼화, 반죽, 용해, 침지, 도포, 산포, 분무, 주입 등의 공지의 방법을 적절히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증점제 제조의 경우에 있어서는 일본국 특허 공개 소 51-51543호, 특허 공개 소 52-41252호, 특허 공개 소 58-213076호 등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고, 코우팅제 제조의 경우에 있어서는 일본국 특허 공개 소 52-56603호, 특허 공개 소 53-19416호, 특허 공개 소 53-119741호 등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며, 접착제 제조의 경우에 있어서는 일본국 특허 공개 소 51-119321호, 특허 공개 소 53-54593호, 특허 공개 소 54-108828호 등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성형물 제조의 경우에 있어서는 일본국 특허 공개 소 50-116545호, 특허 공개 소 51-4272호, 특허 공개 소 51-100470호 등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고, 음식물 제조의 경우에 있어서는 일본국 특허 공개 소 53-79045호, 특허 공개 소 60-219238호, 특허 공개 평 2-289520호 등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며, 화장품 제조의 경우에 있어서는 일본국 특허 공개 소 50-6441호, 특허 공개 소 63-28369호 등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고, 의약품 제조의 경우에 있어서는 일본국 특허 공개 소 53-12417호, 특허 공개 소 57-67602호, 특허 공개 소 63-122739호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연속 배양에 의한 풀룰란 고함유물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아래의 실험에 따라 설명한다.
[실험 1]
[풀룰란 생산성에 미치는 당질 농도와 점도 제어의 영향]
[실험 1-A]
[영양 배지의 공급에 의한 점도 제어]
자아 퍼어멘터(jar fermentor)에 표 1에 나와 있는 영양 배지를 넣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20℃에서 20분간 가압 멸균하고 약 27℃로 냉각한 후 미생물의 종배양액(種培養液)을 무균적으로 식균(植菌)한 다음, 염산 또는 수산화 나트륨을 첨가하여 pH 3.6∼3.8로 유지하면서 통기 교반함으로써 배양하였다.
종배양액은 동일한 조성의 영양 배지의 균주인 오레오바시듐 풀룰란스 IFO 6353을 약 27℃에서 24 시간 동안 호기적으로 배양한 것을 사용하였다.
[표 1]
영양 배지의 점도 제어 방법은 영양 배지를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배출하면서 영양 배지를 추가 공급하는 희석 속도의 조정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영양 배지의 공급은 영양 배지가 정상 상태에 도달한 후부터 개시하였다. 영양 배지의 점도 측정은 연속 배양 도중 영양 배지의 일부를 샘플링하여 균을 제거한 후, 회전식 E 형 점도계 (30℃)를 사용하여 샘플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풀룰란 생산성의 측정은 연속 배양 300∼320시간의 사이에 채취한 영양 배지 시료에 대하여 영양 배지 1L 당 및 배양 1시간 당의 풀룰란의 약(g)을 측정함으로써 구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풀룰란의 양"이라 함은 75 v/v% 메탄올에 불용성이고 풀룰라나아제(pullulanase)(EC 3.2.1.41)에 의하여 가수 분해를 받아 주로 말토트리오스를 생성하는 고분자 물질의 양을 뜻하는 것이다.
대조로서 영양 배지의 추가 공급을 하지 않고 점도를 제어하지 않는 조건에서 동일한 연속 배양을 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와 있다.
[표 2]
(주) : 표에서 "cp"는 센티포이즈를 뜻함.
표 2의 결과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 농도의 당질을 함유하는 영양 배지에서 영양 배지를 배출하면서 영양 배지를 추가 공급하여 그 점도를 제어해서 연속 배양을 했을 경우 당질 농도 10∼20 w/v%, 바람직하게는 10∼18 w/v%의 범위에서 영양 배지의 점도를 30cp 이하로 유지했을 때에 0.88 gL-1h-1이상의 높은 생산성을 얻을 수 있음이 판명되었다.
[실험 1-B]
[이소아밀라아제 공존에 의한 점도 제어]
실험 1-A의 경우와 동일한 조성의 영양 배지를 사용하여 영양 배지의 점도를 60cp 이상, 90 cp 이하로 제어하도록 영양 배지를 배출하면서 영양 배지를 추가 공급하고, 더욱이 이소아밀라아제 (일본국의 (株) 林原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의 첨가에 의하여 표 3에 있는 각종 점도 범위로 유지하면서 pH 2.6∼3.0의 범위로 유지하여 배양하였다. 그 외의 조건은 실험 1-A와 마찬가지로 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나와 있다.
[표 3]
(주) : 표에서 "cp"는 센티포이즈를 뜻함.
표 3의 결과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소아밀라아제 첨가에 의하여 영양 배지의 점도를 제어하면서 연속 배양을 했을 경우 당질 농도 10∼20 w/v%, 바람직하게는 10∼18 w/v%의 범위에서 영양 배지의 점도를 30cp 이하로 유지했을 때 0.92 gL-1h-1 이상의 극히 높은 풀룰란 생산성을 얻을 수 있음이 판명되었다.
[실험 2]
[점도 제어된 연속 배양에서의 풀룰란 생산성에 미치는 pH 제어의 영향]
당질 농도 16 w/v%의 영양 배지를 사용하고 실험 1-B에서와 마찬가지로 이소아밀라아제 공존하에 영양 배지의 점도를 30cp 이하로 유지하면서 각종 pH에서 연속 배양하여 풀룰란 생산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와 있다.
[표 4]
표 4의 결과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연속 배양시의 pH 제어를 pH 4.0 이하, 바람직하게는 pH 2.0 이상, 4.0 이하로 하였을 때 0.92 gL-1h-1이상의 극히 높은 풀룰란 생산성을 얻을 수 있음이 판명되었다.
이하 실시예 A 에서는 풀룰란 고함유물의 제조예를, 그리고 실시예 B 에서는 풀룰란 고함유물의 용도예를 각각 설명한다.
[실시예 A-1]
[풀룰란 고함유물]
당질로서 고 DE의 전분 시럽(일본국 (株) 林原 상사 판매, 등록상표 "SUN ROSE") 농도 14 w/v%을 사용한 것 외에는 표 1과 동일한 조성으로 된 영양 배지를 사용하여 오레오바시듐 풀룰란스 IFO 6365의 종배양액을 접종하여 연속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배출하면서 여기에 영양 배지를 0.01∼0.04 h-1의 희석 속도로 추가공급 하면서 영양 배지의 점도를 30cp 이하로 유지하고 pH를 3.6∼3.8의 범위로 유지하여 27℃에서 1 개월간 연속 배양을 하였다. 배양 개시후 4 일째 되는 날부터 영양 배지를 회수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균 탈색, 농축, 건조하여 분말상의 풀룰란 고함유물을 얻었다.
이 제품의 분석 결과는 표 5에 나와 있다.
[표 5]
이 제품은 증점제, 코우팅제, 접착제, 성형물 등에, 그리고 음식물, 화장품, 의약품, 농림 수산 자재, 종이 가공 자재, 광공업 자재 등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A-2]
[풀룰란 고함유물]
실시예 A-1과 동일한 성분으로 된 영양 배지에서 오레오바시듐 풀룰란스 IFO 6353의 종배양액을 접종하고 연속 배양을 하였다. 배양액을 배출하면서 여기에 영양 배지를 0.01∼0.02h-1의 희석 속도로 추가 공급하면서 액화형 α-아밀라아제(일본국의 上田化學工業 (株) 판매, 상품명 "Hi-Maltosin S")의 첨가에 의하여 점도를 30cp 이하로 유지하고 pH를 3.2∼3.4로 유지하면서 27℃에서 2개월간 연속 배양을 하였다. 실시예 A-1과 마찬가지로 영양 배지를 회수하고 처리하여 분말상의 풀룰란 고함유물을 얻었다.
이 제품의 분석 결과는 표 6에 나와 있다.
[표 6]
이 제품은 증점제, 코우팅제, 접착제, 성형물 등에, 그리고 음식물, 화장품, 의약품, 농림 수산 자재, 종이 가공 자재, 광공업 자재 등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A-3]
[풀룰란 고함유물]
당질로서 말토오스 고함유 전분 시럽 (일본국의 (株) 林原 상사 판매, 등록 상표 "MALTO-RUP")을 농도 11, 12, 13, 14, 15, 16 또는 18 w/v%을 사용한 것 외에는 표 1과 동일한 조성의 영양 배지에서 오레오바시듐 풀룰란스 IFO 4464의 종배양액을 접종하여 연속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배출하면서 여기에 영양 배지를 0.01∼0.02 h-1의 희석 속도로 추가 공급하면서 이소 아밀라아제 (일본국의 (株) 林原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의 첨가에 의하여 영양 배지의 점도를 30cp 이하로 유지하고 pH를 2.4, 2.5, 2.6 또는 2.8로 유지하여 27℃에서 2개월간 연속 배양을 가하였다. 실시예 A-1과 마찬가지로 영양 배지를 회수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멤브레인 여과 및 농축하여 액상의 풀룰란 고함유물을 얻었다.
이들 제품의 분석 결과는 표 7에 나와 있다.
[표 7]
이들 제품은 증점제, 코우팅제, 접착제, 성형물 등에, 그리고 음식물, 화장품, 의약품, 농림 수산 자재, 종이 가공 자재, 광공업 자재 등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B-1]
[슬라이딩 접촉부 시일용 조성물]
글리세린 56 중량부에 실시예 A-1의 방법으로 제조한 분말상 풀룰란 고함유물 6 중량부를 가하고 110℃로 가열하면서 교반 혼합하여 균일히 용해시킨 후 글리코실 수크로오스 [일본국의 (株) 林原 상사 판매, 등록상표 "COUPLING SUGAR") 137 중량부를 가한 다음, 수분 증발을 방지하면서 탈포(脫泡), 교반 혼합하였다.
이 조성물의 점도는 약 300 cp이었다. 이 조성물을 가스, 특히 액화 가스를 추진제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용 슬라이딩 접촉부의 시일용 조성물로 사용했을 경우 45℃에서 6 개월간, -5℃에서 1년간 방치하였으나 가스 배리어(gas-barrier) 성능에 이상이 없이 만족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 조성물을 사람과 가족에 무독, 무해한 것이므로 슬라이딩 접촉부에 압력차를 가진 기체나 액화 가스가 접해 있는 각종 가정용품, 식료품, 화장품, 의약품 등을 충전하는 에어로졸 용기의 슬라이딩 접촉부 시일제로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B-2]
[무우절임(신-즈께]
무우 30kg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절임(pickling)하고 사카린 10g과 더불어 계속해서 절임한 다음, 겨 1.7 kg, 사카린 10g, 글리신 30g, 글루탐산 나트륨 200g, 복합 조미료 70g, 소르비톨 500g, 식염 360g, 소주(35도) 250㎖ 및 A-2의 방법으로 제조한 분말상 풀룰란 고함유물 340g으로 된 혼합물에서 마무리 절임을 하였다.
이 제품은 제조 12일 후에 있어서도 점도 저하가 거의 없고, 겨가 제품에 잘 부착해 있어 광택과 텍스쳐(texture)가 모두 양호하였다.
[실시예 B-3]
[보냉재(保冷材)]
실시예 A-1의 방법으로 제조한 분말상 풀룰란 고함유물 16 중량부를 글리세린 16중량부와 물 68 중량부에 가열 용해하고, 여기에 적당량의 항균제를 혼합하여 패킹하므로써 보냉재를 제조하였다.
이 제품을 냉각한 것은 보냉 효과가 높기 때문에 사람이 열이 날 때 머리를 차게 한다거나 야채류 등 식물의 선도 유지 등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B-4]
[피복막]
실시예 A-3의 No.4의 방법으로 제조한 액상의 풀룰란 고함유물을 농도 1.0 w/w% 수용액으로 하여, 여기에 산란 후 10시간 이내의 신선 란을 30초 동안 침지한 다음 30℃의 온도에서 2시간 건조하여 란 껍질 표면에 피복막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은 란을 실온(15∼25℃)에서 보존하여 그 가식(可食) 기간을 대조인 무처리 란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피복막을 형성시킨 란의 보존 기간은 약 5∼10배나 더 연장되었다.
[실시예 B-5]
[추출용 포장재]
시판의 비교적 망목(網目)이 큰 여과지로 제조된 홍차용의 작은 포장체에 실시예 A-3의 No.6의 방법으로 제조한 액상 풀룰란 고함유물을 농도 10 w/w% 수용액으로 하여, 이것을 칼렌더법(Calender method)으로 코우팅하고 60℃에서 열풍으로 건조하였다.
제조된 소포장체에 1회 사용량 만큼의 홍차를 넣고 히이트 시일(heat seal)하여 밀봉하였다. 대조로서 동일 품질의 홍차를 넣은 시판의 소포장체를 사용하였다. 상대 습도를 60%, 온도를 30℃로 유지하고 1 개월간 방치한 후 여기에 열탕을 부어 넣어 홍차를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의 우열로써 포장체를 비교하였다.
본 발명의 풀룰란 고함유물로 코우팅된 것도 열탕을 부어주면 대조와 마찬가지로 용이하게 추출되었다. 추출액은 어느것이나 투명하였다. 그러나, 추출액의 향기, 색, 맛의 어느 점에 있어서도 풀룰란 고함유물로 코우팅된 것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B-6]
[골판지용 접착 호료]
실시예 A-3의 No.5의 방법으로 제조한 액상 풀룰란 고함유물을 농도 3 w/w% 수용액으로 한 것 100 중량부에 10 w/v%의 수산화 나트륨을 10 중량부 첨가하고 20 분간 교반하여 캐리어부(carrier 部)로 하였다. 따로 물 100 중량부에 옥수수 전분 40 중량부를 가해 슬러리로 하고, 다시 붕사 1 중량부를 첨가하여 메인부(main 부)를 제조하였다. 이 메인부 중에 캐리어부를 서서히 첨가 혼합한 후 5분간 교반하여 호료(糊料)를 제조하였다.
이 호료(糊料)는 종래의 전분 호료에 비하여 점도 변화가 작고, 또한 양면 코루게이터(corrugator)를 사용하여 B 급 라이너 240 g/㎡와 세미 중심(中芯) 125 g/㎡을 서로 첩합(貼合) 시키는 첩합 실험을 한 결과, 종래의 전분 호료에서는 120 m/min 이상에서는 첩합성 불량을 일으키는 경향이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호료 사용시에는 160 m/min 에서도 문제가 없이 첩합이 가능하였고 접착성도 양호하였다.
[실시예 B-7]
[고형상 접착제]
디메틸술폭시드 30 중량부, 물 25 중량부, 에루시난 5 중량부, 실시예 A-2의 방법으로 제조한 분말상 풀룰란 고함유물 5 중량부 및 벤질리덴 크실리톨 2 중량부로 된 혼합물을 온도 90℃에서 1시간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이것을 직경 14 mm, 높이 50 mm의 원통상의 반복 상하 이동이 가능한 기구(mechanism)를 가진 립스틱형 용기속에 주입하여 실온에서 방냉함으로써 고형상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이 접착제를 크라프트지에 도포한 결과, 얇고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었고 초기 접착력도 충분하였다. 이 접착제는 온도 변화에 따른 경도 변화가 비교적 작고 극히 양호한 도포성과 접착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B-8]
[필름]
실시예 A-3의 No.4의 방법으로 제조한 액상 풀룰란 고함유물을 농도 15 w/w% 수용액으로 하고, 여기에 고형물당 카라게난 1 w/w%와 수크로오스 모노라우레이트 0.1 w/w%을 용해하여 이 액을 폴리에스테르 필름 위에 부어 흘려 인취(引取) 속도 3 m/min으로 두께 0.03㎜ 필름으로 한 후 90℃의 열풍으로 건조시켜 제품으로 하였다.
이 제품은 풀룰란 단독 필름과는 달리 수성계에서는 신속히 용해하지 않으나 서서히 용해하여 붕괴하며 먹을 수 있는 필름이다.
따라서, 의약용 웨이퍼와 마찬가지로 먹기 어려운 가루 모양 의약 등의 포장제로서, 그리고 용해, 붕괴했을 때 점착성을 가지므로 인공치아 고정용 필름 등으로서도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B-9]
[섬유]
실시예 A-3의 No.1의 방법으로 제조한 액상 풀룰란 고함유물을 농도 40 w/w% 용액으로 하고, 여기에 알긴산을 용해하여 고형물당 2 w/w%의 농도가 되게 하였다. 수득한 용액을 방사(紡絲) 원액으로 하고 이것을 60℃로 하여 직경 0.3 mm, 길이 1 mm의 원통상 노즐로 부터 압력을 3 kg/㎠으로 하여 실온의 공기중으로 압출하여 스트랜드를 만든 다음, 수분을 증발 건조시키면서 권취기에서 권취하였다.
제조된 섬유의 굵기는 약 20㎛ 이었고 충분한 강도를 가졌으며, 이 섬유는 연산, 편직, 제직 등으로 가공할 수 있다. 더욱이, 친수성이고 무독하며 피부에 대해 자극이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자면 탈지면, 생리면, 거어즈, 수술용 실(絲) 등에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기타 섬유와 혼방하면 그 흡습성, 비대전성, 염색성을 살려 내의나 기타 옷감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B-10]
[종이]
실시예 B-9의 방법으로 제조한 풀룰란 고함유물의 섬유를 5∼10 cm로 절단한 것과, 이 섬유의 절반량의 목재 펄프로 된 혼합물을 제조하고, 이 혼합물의 약 50 배량 되는 10℃의 75 v/v% 메탄올에 이 혼합물을 균일히 현탁하여 초지기(抄紙機)에서 처리하였다.
건조 로울은 50∼80℃로 조절하여 건조한 후 가볍게 칼렌더 로울을 통과시켜 종이를 제조하였다.
이 종이는 표면이 평활하며 광택이 비교적 작고 일본지의 지합(地合)과 비슷하다. 필기용 잉크와 잘 조화되었고 잉크의 얼룩이 없었다.
이 종이는 뜨거운 물에 쉽게 용해하기 때문에 비밀 문서 등의 특수 용지에 적합하다. 그리고, 먹을 수 있으므로 의약품의 내포장재, 조미료, 커피, 코코아 등의 식품 포장재 등으로서도 적합하다.
[실시예 B-11]
[발포 시이트]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로서 디옥틸 프탈레이트 60 중량부를 가하고, 이 혼합물에 실시예 A-2의 방법으로 제조한 분말상 풀룰란 고함유물의 50 w/w% 수용액을 전체량에 대하여 30 w/w% 가한 다음, 이 혼합물을 혼합기에서 충분히 혼합한 후 애플리케이터(applicator)를 사용하여 알루미늄판 위에 3 mm 두께의 시이트로 하고, 이것을 190℃의 열풍로에서 10 분간 열처리함으로써 발포 배율이 약 5배인 균일한 셀(cell)을 가진 발포 시이트를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방음재, 단열재, 포장용기, 완충재 등에 적합하다. 이 제품을 하천물에 침지하여 방치하면 1 개월 이내에 붕괴한 반면, 본 발명의 풀룰란 고함유물 무첨가의 것은 12 개월 후에도 원형을 그대로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B-12]
[골프 티이]
실시예 A-2의 방법으로 제조한 분말상 풀룰란 고함유물 10 중량부와 산성 백토 4 중량부를 교반하면서 물을 분무하여 수분 함량 약 30 w/w% 되게 하고, 이것을 사출성형기에서 120℃에서 골프 티이를 성형한 다음, 쉘락-알코올 용액에 침지한 후 공기 건조하여 제품을 얻었다.
이 제품은 쇼트(shot)에 의하여 조그만 덩어리로 파괴되어 빗물에 의하여 서서히 붕괴하여 생분해 된다.
따라서, 이 제품은 골프장의 미관을 해치는 일이 없고 환경도 파괴하지 않는다.
[실시예 B-13]
[화분]
실시예 A-1의 방법으로 제조한 분말상 풀룰란 고함유물 100 중량부와 글리세린 15 중량부 및 소르비톨 5 중량부의 혼합물을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135℃에서 화분을 성형하고 용융 왁스에 침지한 다음 방냉하여 제품을 얻었다.
이 제품은 서서히 붕괴하고 생분해성이기 때문에 이식용 화분으로써 적합하다. 이 화분에서 성장한 식물을 화분으로 부터 끄집어 내는 일이 없이 이식할 수 있기 때문에 식물이 손상을 입을 우려가 없다.
[실시예 B-14]
[캡슐]
실시예 A-1의 방법으로 제조한 분말상 풀룰란 고함유물 40 중량부, 젤라틴 60 중량부, 글리세린 30 중량부를 혼합하고, 여기에 물 80 중량부를 가하여 70℃에서 가열 용해하고 탈기하여 피막용 용액을 제조한 다음, 이것을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비타민 E 고함유 기름을 내용물로 한 연질 캡슐을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젤라틴 단독 캡슐과는 달리 가스 배리어성이 높고, 비타민 E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성계에서 신속히 용해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실시예 B-15]
[막대상 비료]
배합 비료(N=14 w/w%, P2O5=8 w/w%, K2O=12 w/w%)와 와 실시예 A-1의 방법으로 제조한 분말상 풀룰란 고함유물, 황산 칼슘, 물의 비율을 중량부로 각각 70, 10, 15, 5로 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압출기 [L/D비=20, 압축비=1.8, 다이(die)의 구경=30mm]에서 80℃로 가열하여 표제의 제품을 얻었다.
이 제품은 비료용 용기가 불필요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전층 시비(全層施肥)에 적합한 강도를 가지고 있고, 더욱이 배합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비료 성분의 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이 막대상 비료에 식물 호르몬, 농업용 약제 및 토양 개량제 등의 혼합도 용이하다.
[실시예 B-16]
[담배 성형물]
담황색 담배 식물로 부터 제조한 분말 담배 원료 50 중량부에 실시예 A-2의 방법으로 제조한 분말상 풀룰란 고함유물의 2 w/w% 수용액 200 중량부, 락티톨 0.1 중량부를 혼합하고, 0.2 mm 슬리트(slit)로 부터 스테인레스-스틸제 엔드레스 벨트 위에 사출하여, 이것을 적외선 건조함으로써 수분 13 w/w%의 시이트상 담배 65 중량부를 얻었다.
이 제품은 궐련(cigarette) 용의 담배 또는 충전제 및 시가(cigar)와 시가릴로(cigarilro) 용의 결합제로서 적합하다. 그리고, 이 제품은 담배의 각종 성분의 열화(劣化)를 억제함과 아울러 보향성(保香性)이 크며, 끽연시에 이취(異臭), 이미(異味)를 발생하지 않으므로 향기와 맛이 양호하였다. 이 제품중의 풀룰란의 배합비를 변화시킴으로써 니코틴 함량과 연소 속도를 조절할 수 있었다.
[실시예 B-17]
[비피도박테리움균 증식 촉진 락트산 음료]
탈지유 10,000 중량부를 80℃에서 20 분간 가열 살균한 후 40℃로 냉각하고, 여기에 스타아터(starter)(락트산균) 300 중량부를 가하여 35∼37℃에서 10시간 발효시켰다. 이어서, 이것을 균질화한 후 이성화당 시럽 4,000 중량부, 수크로오스 2,000 중량부, 실시예 A-1의 방법으로 제조한 분말상 풀룰란 고함유물 170 중량부를 혼합 용해하고 70℃로 유지하여 살균 하였다. 이것을 냉각한 후 소량의 향료를 가하고 병에 채워 종래의 락트산 음료 타입의 비피도박테리움균 증식 촉진 락트산 음료를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비피도박테리움균 증식 촉진 효과 뿐만 아니라 식물 섬유의 효과도 발휘할 수 있고, 장내의 pH를 저하시키며 부패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변비를 예방할 수 있다.
[실시예 B-18]
[저칼로리 빵]
주재료의 일부로서 강략분 6 중량부와 아밀로오스 12 중량부에 물을 가하여 혼합기에서 반죽하였다. 이 혼합물에 부재료(마아가린 6 중량부, 수크로오스 2.5 중량부, 란 6 중량부, 식엽 0.4 중량부 및 물 6.5 중량부로 된 것) 21.4 중량부와 발효 물질(드라이 이스트 0.8 중량부, 수크로오스 0.4 중량부 및 물 4 중량부로 된 것) 5.2 중량부를 가하고 적당한 굳기의, 반죽을 만들었다. 이어서, 30℃에서 60 분간 제 1 발효를 시켜 도중 생성된 가스를 제거하였다. 다시, 주재료의 나머지 12 중량부(강략분 3 중량부 및 실시예 A-2의 방법으로 제조한 분말상 풀룰란 고함유물 9 중량부)를 가하고 반죽하여 균일히 혼합하고, 필요량의 물을 가하여 반죽의 굳기를 조절하였다. 냉장고에 60 분간 두어 제 2 발효를 하였다. 제 3 발효는 35℃에서 30분간 하여 생성된 가스를 제거하고 성형하였다. 다시, 35℃에서 30 분간 제 4 발효를 한 후 210℃의 오븐속에 넣고 20 분간 구웠다. 대조용의 빵은 주재료로서 강력분 30 중량부만을 사용하고, 또한 부재료인 물을 8 중량부로 한 것 외에는 위와 마찬가지로 하였다.
빵의 외관은 대조인 통상의 빵에 비하여 표면의 색조가 진하고, 내부 조직은 균일하였다. 식미는 대조인 통상의 빵과 거의 차가 없고, 이취, 의미가 없는 것은 물론이고 다소 담백한 감이 있었다. 치아에 대한 부착은 거의 느껴지지 않고 깨물기도 좋고 표피는 거의 굳은 감이 있었다.
이 제품은 저칼로리 식품으로서의 효과 뿐만 아니라 비피도박테리움균 증식 촉진 효과, 다이어터리 파이버로서의 효과도 발휘할 수 있으므로 미용, 건강의 유지 증진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B-19]
[연치마(練齒魔)]
제 2 인산 칼슘 45.0 중량부, 실시예 A-3의 No.4의 방법으로 제조한 액상의 풀룰란 고함유물을 농도 10 w/w% 수용액으로 한 것 30.0 중량부, 폴리에틸렌 글리콜(평균 분자량 1,500) 30.0 중량부, 라우릴 황산 나트륨 1.5 중량부, 글리세린 17.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0.5 중량부, α-글리코실 스테비오시드 감미료(일본국의 東洋精糖 (株) 제조, 상품명 "αG Sweet") 0.2 중량부, 방부제 0.05 중량부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연치마를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적당한 감미를 가지고 있고 어린이용 연치마로서 적합하다. 그리고, 이 제품은 풀룰란과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회합물(會合物)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풀룰란 단독 사용의 경우와 비교하여 점착성이 없는 사용하기 용이한 연치마이다.
[실시예 B-20]
[화장 팩]
리놀렌산 0.5 중량부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스콰알렌 1.5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0.5 중량부, L-락트산 나트륨 5.5 중량부, 글리세린 4.0 중량부, 실시예 A-3의 No.2의 방법으로 제조한 액상의 풀룰란 고함유물을 농도 40 w/w% 수용액으로 한 것 50.0 중량부, 에틸 알코올 10.0 중량부 및 정제수 33.0 중량부에 균일하게 혼합하여 화장 팩을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색백제로서 적합하며, 갈색반점, 주근깨, 햇볕에 그을음 등의 국소성 및 아디소니즘 등의 전신성 색소 침착증의 치료용 및 예방용 등의 경우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B-21]
[샴푸우]
실시예 A-3의 No.4의 방법으로 제조한 액상의 풀룰란 고함유물을 2.5 w/w% 수용액으로 한 것 80.0 중량부에 에틸 알코올 13.0 중량부, 글리세린 2.0 중량부, 향료 0.3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1.5 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 용해하여 샴푸우를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손가락으로 머리칼을 쉽사리 헤집을 수 있고 머리를 씻은 후의 모발의 촉감이 부드러우며, 사용감, 상쾌감이 극히 우수한 샴푸우이다.
[실시예 B-22]
[당의정]
중량 150 mg되는 소정(素錠)을 심제(芯劑)로 하고, 여기에 결정 말티톨 40 중량부, 실시예 A-3의 No.2의 방법으로 제조한 액상의 풀룰란 고함유물을 농도 10 w/w% 수용액으로 한 것 20 중량부, 물 12 중량부, 탈크 25 중량부 및 산화 티탄 3 중량부로 된 제1코우팅액을 사용하여 정제 중량이 약 230 mg 되기 까지 당의(糖衣)하고, 이어서 마찬가지 결정 말티톨 65 중량부, 마찬가지 10 w/w% 농도의 풀룰란 수용액 10 중량부 및 물 25 중량부로 된 제2코우팅액을 사용하여 당의하고, 왁스액으로 다시 코우팅하여 우수한 광택이 있는 외면을 가진 당의정을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당의(糖衣)작업이 용이하고 내충격성도 우수하며 고품질을 장시간 유지한다.
[실시예 B-23]
[대용 혈장]
실시예 A-3의 No.7의 방법으로 제조한 액상의 풀룰란 고함유물을 농도 10 w/w% 수용액으로 하고, 여기에 메탄올을 40 v/v%가 되도록 가하고, 생성된 하층부를 제거한 후 수득한 상층부에 다시 메탄올을 55 v/v% 가 되도록 가하여 방치한 다음 하층부를 분별 채취하였다. 수득한 하층부중의 메탄올을 증류하여 제거하고, 잔존한 풀룰란 수용액에 활성탄을 가하고 탈색하여 H+형 및 OH-형 이온 교환 수지로 탈염한 다음, 다시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얻는 정제 풀룰란을 농축, 건조 분쇄하여 ()이 1.4 이고 ()가 50,000인 파이로겐 무함유의 풀룰란 백색 분말을 약 45%의 수율로 얻었다. 이렇게 하여 제조한 풀룰란을 4∼10 w/v%의 수용액으로 하여 여기에 염류, 당류 등의 등장화제(等張化劑)를 가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혈장 증량제, 혈류 개선제 등으로 적합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당질 온도 10∼20 w/v%로 한 영양 배지를 30 cp 이하로 유지하면서 연속 배양함으로써 보다 높은 풀룰란 생산성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여 공업적 생산에 유리한 분자량 250,000 이하의 풀룰란 고함유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를 확립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속 배양 방법에 의하여 풀룰란 고함유물의 대량 및 저렴한 공급을 용이하게 하며, 이것을 함유시켜 증점제, 코우팅제, 접착제, 성형물 등에, 그리고 음식물, 화장품, 의약품, 나아가서는 농림 수축산 자재, 종이 가공 자재, 광공업 자재 등에 그 이용이 길을 개척한 것이어서 그 공업적 의의는 크다.

Claims (5)

  1. 풀룰란 생성능을 가진 오레오바시듐속 미생물을 당질 온도 10∼20 w/v% 함유하는 영양 배지에서 이 배지의 점도를 30 센티포이즈 이하로 유지하면서 pH 2.0 이상 4.0 이하에서 연속 배양하고, 수득한 배양물을 농축한 후, 농축된 풀룰란 고함유물의 배양물을 회수함을 특징으로 하는 풀룰란 고함유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당질은 글루코오스, 푸럭토오스, 수크로오스, 말토오스, 말토올리고당류, 이소말토올리고당류, 전분 가수 분해물, 당화 전분, 전화당, 이성화당 및 당밀로 된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연속 배양을 호기적 조건하에서 실시하는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연속 배양은 풀룰란을 부분적으로 가수 분해하는 아밀라아제의 공존하에 실시하는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아밀라아제는 액화형 α-아밀라아제와 이소아밀라아제로된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조 방법.
KR1019930003190A 1992-08-20 1993-03-04 풀룰란고함유물과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100261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65285 1992-08-20
JP26528592A JP3232488B2 (ja) 1992-08-20 1992-08-20 プルラン高含有物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803A KR940005803A (ko) 1994-03-22
KR100261881B1 true KR100261881B1 (ko) 2000-07-15

Family

ID=17415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190A KR100261881B1 (ko) 1992-08-20 1993-03-04 풀룰란고함유물과 그 제조방법 및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18902A (ko)
EP (1) EP0586034B1 (ko)
JP (1) JP3232488B2 (ko)
KR (1) KR100261881B1 (ko)
AU (1) AU673151B2 (ko)
CA (1) CA2090953C (ko)
DE (1) DE69329321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9666A1 (ko) * 2022-02-07 2023-08-10 주식회사 글루칸 베타 글루칸 함량이 증대된 흑효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9719B2 (en) 1997-02-24 2002-02-26 Aradigm Corporation Formulation and devices for monitoring the efficacy of the delivery of aerosols
US6192882B1 (en) * 1997-02-24 2001-02-27 Aradigm Corporation Formulation and devices for monitoring the efficacy of the delivery of aerosols
US6596298B2 (en) * 1998-09-25 2003-07-22 Warner-Lambert Company Fast dissolving orally comsumable films
US20030211136A1 (en) * 1998-09-25 2003-11-13 Neema Kulkarni Fast dissolving orally consumable films containing a sweetener
US20030206942A1 (en) * 1998-09-25 2003-11-06 Neema Kulkarni Fast dissolving orally consumable films containing an antitussive and a mucosa coating agent
WO2000038536A2 (en) 1998-12-23 2000-07-06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Of New York University Inhibitors of the bitter taste response
US6552024B1 (en) 1999-01-21 2003-04-22 Lavipharm Laboratorie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ucosal delivery
US7314716B2 (en) * 1999-11-19 2008-01-01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Gustducin γ subunit materials and methods
US7067116B1 (en) 2000-03-23 2006-06-27 Warner-Lambert Company Llc Fast dissolving orally consumable solid film containing a taste masking agent and pharmaceutically active agent at weight ratio of 1:3 to 3:1
JP2002047174A (ja) * 2000-05-26 2002-02-12 Towa Chem Ind Co Ltd 無糖コーティング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01141A (ja) 2000-10-27 2002-07-16 Hayashibara Biochem Lab Inc 蛋白質合成抑制遺伝子の発現増強剤
US20040043013A1 (en) 2000-12-28 2004-03-04 Mccleary Edward Larry Metabolic uncoupling therapy
US20060062864A1 (en) * 2000-12-28 2006-03-23 Mccleary Edward L Weight loss composition and method
US20060014773A1 (en) * 2001-04-19 2006-01-19 Mccleary Edward L Mental agility lozenge, edible strip, food or drink
US20060110478A1 (en) * 2004-11-22 2006-05-25 Mccleary Edward L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and promoting healthy sexual function and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exual dysfunction
WO2002088246A1 (fr) * 2001-04-26 2002-11-07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Objet moule ayant une teneur de pullulane elevee, son procede de production et son utilisation
US8900498B2 (en) 2001-10-12 2014-12-02 Monosol Rx, Llc Process for manufacturing a resulting multi-layer pharmaceutical film
US7910641B2 (en) * 2001-10-12 2011-03-22 Monosol Rx, Llc PH modulated films for delivery of actives
US20100021526A1 (en) * 2001-10-12 2010-01-28 Monosol Rx, Llc Ph modulated films for delivery of actives
WO2003030881A1 (en) * 2001-10-12 2003-04-17 Kosmos Pharma Glucan based film delivery systems
US8765167B2 (en) * 2001-10-12 2014-07-01 Monosol Rx, Llc Uniform films for rapid-dissolve dosage form incorporating anti-tacking compositions
US20070281003A1 (en) * 2001-10-12 2007-12-06 Fuisz Richard C Polymer-Based Films and Drug Delivery Systems Made Therefrom
US10285910B2 (en) 2001-10-12 2019-05-14 Aquestive Therapeutics, Inc. Sublingual and buccal film compositions
US8663687B2 (en) 2001-10-12 2014-03-04 Monosol Rx, Llc Film compositions for delivery of actives
US7666337B2 (en) * 2002-04-11 2010-02-23 Monosol Rx, Llc Polyethylene oxide-based films and drug delivery systems made therefrom
US8900497B2 (en) 2001-10-12 2014-12-02 Monosol Rx, Llc Process for making a film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distribution of components
US8603514B2 (en) 2002-04-11 2013-12-10 Monosol Rx, Llc Uniform films for rapid dissolve dosage form incorporating taste-masking compositions
US20110033542A1 (en) 2009-08-07 2011-02-10 Monosol Rx, Llc Sublingual and buccal film compositions
US20060039958A1 (en) * 2003-05-28 2006-02-23 Monosolrx, Llc. Multi-layer films having uniform content
US20190328679A1 (en) 2001-10-12 2019-10-31 Aquestive Therapeutics, Inc. Uniform films for rapid-dissolve dosage form incorporating anti-tacking compositions
US7357891B2 (en) 2001-10-12 2008-04-15 Monosol Rx, Llc Process for making an ingestible film
US20070154527A1 (en) * 2001-10-12 2007-07-05 Monosoirx, Llc Topical film compositions for delivery of actives
US7425292B2 (en) * 2001-10-12 2008-09-16 Monosol Rx, Llc Thin film with non-self-aggregating uniform heterogeneity and drug delivery systems made therefrom
US11207805B2 (en) 2001-10-12 2021-12-28 Aquestive Therapeutics,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a resulting pharmaceutical film
US8017150B2 (en) * 2002-04-11 2011-09-13 Monosol Rx, Llc Polyethylene oxide-based films and drug delivery systems made therefrom
EP1542903B1 (en) * 2002-07-22 2015-05-20 MonoSolRX, LLC Packaging and dispensing of rapid dissolve dosage form
US20040131661A1 (en) * 2002-07-26 2004-07-08 Pfizer Inc. Process for making orally consumable dosage forms
GB0217382D0 (en) * 2002-07-26 2002-09-04 Pfizer Ltd Process for making orally consumable dosage forms
WO2004019885A2 (en) * 2002-08-29 2004-03-11 Linguagen Corp. Fast dissolving film delivery of nucleotides that inhibit the unpleasant taste of bitter tasting medications
AU2003297260A1 (en) * 2002-11-12 2004-06-03 Elan Pharma International Ltd. Fast-disintegrating solid dosage forms being not friable and comprising pullulan
WO2004048420A1 (ja) * 2002-11-22 2004-06-10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高濃度液状プルランとその流通方法
ITBO20020794A1 (it) * 2002-12-17 2004-06-18 Conti & Figli S R L Materiale biodegradabile e prodotti ottenuti con tale materiale e metodo per realizzarli.
JP2006525308A (ja) * 2003-05-02 2006-11-09 ワーナー−ランバー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ィ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耐熱性および耐湿性が改善された変性デンプンを含有する速溶性の経口消耗フィルム
US8703209B2 (en) * 2003-06-17 2014-04-22 Edward Larry McCleary Composition and method for modulating hydrogen ion physiology
WO2005004989A2 (en) * 2003-07-01 2005-01-20 Todd Maibach Film comprising therapeutic agents
CN102669810B (zh) 2003-11-07 2014-11-05 美国无烟烟草有限责任公司 烟草组合物
US8627828B2 (en) 2003-11-07 2014-01-14 U.S. Smokeless Tobacco Company Llc Tobacco compositions
EP1580229A1 (en) * 2004-03-22 2005-09-28 Warner-Lambert Company Llc Biopolymer compositons and products thereof
US20050226964A1 (en) * 2004-04-07 2005-10-13 Michael Small Water soluble seal and cap
US7334538B1 (en) * 2004-07-27 2008-02-26 Aquascience Research Group, Inc. Topical medicants for aquatic animals
US7607834B2 (en) * 2004-08-02 2009-10-27 R.P. Scherer Technologies, Inc. Peelable pouch containing a single or multiple dosage forms and process of making same
JP4518905B2 (ja) * 2004-10-19 2010-08-04 昭和化学工業株式会社 易水中崩壊性珪藻土成形物からなる濾過助剤及びその製造方法
EP1909603B1 (en) * 2005-04-29 2009-10-21 Philip Morris Products S.A. Tobacco pouch product
US8778369B2 (en) * 2005-07-29 2014-07-15 Delaval Holding Ab Barrier film-form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KR100739022B1 (ko) * 2005-12-12 2007-07-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설탕액을 이용한 풀루란의 연속 생산 방법
US20070137668A1 (en) * 2005-12-15 2007-06-21 Borschke August J Smoking articles and wrapping materials therefor
CA2636026A1 (en) * 2006-01-20 2007-07-26 Monosol Rx, Llc Film lined pouc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is pouch
US20070205127A1 (en) * 2006-03-06 2007-09-06 R.P. Scherer Technologies, Inc. Peelable pouch containing a single film dosage and process of making same
US20070231387A1 (en) * 2006-04-04 2007-10-04 Luigi Levi Film-coated solid dosage forms
CA2652682C (en) * 2006-05-19 2013-02-26 Monosolrx Llc Pouch cutter
EP2063864A4 (en) * 2006-09-20 2012-03-14 Monosol Rx Llc EDIBLE WATER-SOLUBLE FILM CONTAINING FLAVOR-REDUCING AGENT
WO2008042331A2 (en) * 2006-09-29 2008-04-10 Monosol Rx Llc Film embedded packag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08080146A1 (en) * 2006-12-26 2008-07-03 Discus Dental, Llc Disposable tongue scraper
WO2008098195A2 (en) * 2007-02-09 2008-08-14 Todd Maibach Film comprising nitroglycerin
US8900629B2 (en) 2007-04-05 2014-12-02 University Of Kansas Rapidly dissolv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pullulan
CA2682752C (en) * 2007-04-05 2015-07-07 University Of Kansas Rapidly dissolv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pullulan
KR100891196B1 (ko) * 2007-04-17 2009-04-02 (주)바즈라 생화를 이용한 주조방법
US20090004254A1 (en) * 2007-06-19 2009-01-01 Todd Maibach Film comprising active drugs
US20090253754A1 (en) * 2007-12-04 2009-10-08 Francesca Selmin Fast dissolving films and coatings for controlled release of flavors,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 food substances, and nicotine
CA2758352A1 (en) * 2009-04-14 2010-10-21 Syngenta Participations Ag A product for use in agriculture or horticulture
US8475832B2 (en) 2009-08-07 2013-07-02 Rb Pharmaceuticals Limited Sublingual and buccal film compositions
EP2579844B1 (en) 2010-06-10 2016-02-24 Midatech Ltd. Nanoparticle film delivery systems
US20130195941A1 (en) 2010-06-17 2013-08-01 Hayashibara Co., Ltd. Pullulan-containing powder,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WO2012053006A2 (en) 2010-10-18 2012-04-26 Panacea Biotec Ltd Improved oral fast dissolving films comprising combination of polymers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US9149959B2 (en) 2010-10-22 2015-10-06 Monosol Rx, Llc Manufacturing of small film strips
ES2556985T3 (es) * 2011-01-11 2016-01-21 Capsugel Belgium Nv Nuevas cápsulas duras que comprenden pululano
CN102634556A (zh) * 2012-03-29 2012-08-15 陈洁 一种利用土豆淀粉废水发酵普鲁兰多糖的方法
US9850512B2 (en) 2013-03-15 2017-12-26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Hydrolysis of cellulosic fines in primary clarified sludge of paper mills and the addition of a surfactant to increase the yield
US9951363B2 (en) 2014-03-14 2018-04-24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College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Forestry Enzymatic hydrolysis of old corrugated cardboard (OCC) fines from recycled linerboard mill waste rejects
CN104432492A (zh) * 2014-11-03 2015-03-25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普鲁兰多糖或其复配物在卷烟中的应用
CA2969466A1 (en) 2014-12-09 2016-06-16 Monosolrx Llc Linear polysaccharide based film products
US11273131B2 (en) 2016-05-05 2022-03-15 Aquestive Therapeutic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ith enhanced permeation
KR20190005199A (ko) 2016-05-05 2019-01-15 어퀘스티브 테라퓨틱스, 아이엔씨. 강화된 전달 에프네프린 조성물
JP2020516653A (ja) 2017-04-14 2020-06-11 カプスゲル・ベルギウム・ナムローゼ・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Capsugel Belgium NV プルランカプセル
AU2018253392B2 (en) 2017-04-14 2023-11-02 Capsugel Belgium Nv Process for making pullulan
US11708613B2 (en) 2017-05-03 2023-07-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Rapid detection of Zika virus by reverse transcription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KR20190129205A (ko) 2018-05-10 2019-11-20 김현리 주물럭 실리콘 클레이를 이용한 공예품 제조 교육방법
CN113974202B (zh) * 2021-10-25 2023-09-01 深圳市真味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型电子雾化液增稠剂及其制备方法
KR102420535B1 (ko) * 2022-04-27 2022-07-13 (주)우리들처럼 탈착 가능한 골프 볼 마커를 구비한 골프화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2199B2 (ko) * 1972-09-04 1976-11-13
JPS5231019B2 (ko) * 1973-10-16 1977-08-12
JPS5644903B2 (ko) * 1974-02-28 1981-10-22
JPS51543A (ja) * 1974-06-25 1976-01-06 Heishiro Matsuda Sekyukagakugoseizaitosomenjonihodokosurushitosoho
JPS51100470A (en) * 1975-02-24 1976-09-04 Sumitomo Chemical Co Hiryokuioyobi sonoseizoho
JPS51119321A (en) * 1975-04-11 1976-10-19 Hayashibara Biochem Lab Sand mold composite material for casting metal
JPS5241252A (en) * 1975-09-26 1977-03-30 Hayashibara Biochem Lab Production of tofu
JPS5256603A (en) * 1975-10-31 1977-05-10 Sumitomo Chemical Co Liquid of forming protection film for lithographic press plate
JPS5840479B2 (ja) * 1976-04-24 1983-09-06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アミラゼ活性阻害物質を用いるプルランの製造方法
JPS5312417A (en) * 1976-07-20 1978-02-03 Sumitomo Chem Co Ltd Preparation of amorphous d rugs
JPS5319416A (en) * 1976-08-04 1978-02-22 Hayashibara Biochem Lab Oil resistant paper with puluran coating
JPS5354593A (en) * 1976-10-26 1978-05-18 Hayashibara Biochem Lab Solid compositions
JPS5379045A (en) * 1976-12-18 1978-07-13 Takasago Perfumery Co Ltd Production of foods with rich chewingability using purulane
JPS5940557B2 (ja) * 1977-03-29 1984-10-01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被覆ア−ク溶接棒の製造法
JPS54108828A (en) * 1978-02-15 1979-08-25 Sumitomo Chem Co Ltd Coating composition of fluorescent substance
JPS5652000A (en) * 1979-10-04 1981-05-09 Nikken Chemicals Co Ltd Novel starch hydrolysate and production thereof
JPS5767602A (en) * 1980-10-15 1982-04-24 Hayashibara Biochem Lab Inc Preparation of pullulan for expanding plasma
JPS57141401A (en) * 1981-10-02 1982-09-01 Hayashibara Biochem Lab Inc Production of pullulan with narrowe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JPS58213076A (ja) * 1982-06-05 1983-12-10 Hayashibara Biochem Lab Inc 摺動部シ−ル剤
JPS60219238A (ja) * 1984-04-14 1985-11-01 Hayashibara Biochem Lab Inc 徐崩性プルラン含有成形物とその製法
US4628028A (en) * 1985-05-23 1986-12-09 Cpc International Inc. Novel thermostable pullulanase enzyme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JPH0739508B2 (ja) * 1986-11-11 1995-05-01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プルラン・ポリエチレングリコ−ル会合物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H0722B2 (ja) * 1987-05-30 1995-01-11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シュクロース含有飲食物中のシュクロースに起因する水不溶性グルカンの生成を抑制する方法
JPH0696165B2 (ja) * 1988-09-27 1994-11-30 有限会社イデアリサーチ 強化金属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779963B2 (ja) * 1989-02-09 1998-07-23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ビフィズス菌増殖促進剤
US5268460A (en) * 1991-10-16 1993-12-07 Shin-Estu Bio, Inc. High molecular weight pullula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9666A1 (ko) * 2022-02-07 2023-08-10 주식회사 글루칸 베타 글루칸 함량이 증대된 흑효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86034B1 (en) 2000-08-30
JPH0665302A (ja) 1994-03-08
AU673151B2 (en) 1996-10-31
KR940005803A (ko) 1994-03-22
EP0586034A3 (en) 1994-12-14
JP3232488B2 (ja) 2001-11-26
US5518902A (en) 1996-05-21
CA2090953C (en) 2004-04-13
DE69329321T2 (de) 2001-02-08
DE69329321D1 (de) 2000-10-05
AU3397893A (en) 1994-02-24
CA2090953A1 (en) 1994-02-21
EP0586034A2 (en) 1994-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1881B1 (ko) 풀룰란고함유물과 그 제조방법 및 용도
US5411945A (en) Pullulan binder and its uses
US4306059A (en) Shaped products of alpha-glucan
DE69434590T2 (de) Maltose-Trehalose-konvertierendes Enzym,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69332781T2 (de) Reinigung von Trehalose
US5472863A (en) Trehalose-releasing enzyme
DE69528019T9 (de) Nicht reduzierendes Saccharid, seine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EP0559450B1 (en) Binder and its uses
TW507008B (en) Thermostable trehalose-releasing enzyme, and its preparation and uses
DE69535029T2 (de) Thermostabiles, nichtreduzierendes Saccharid-bildendes Enzym, seine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en
DE4224781A1 (de) (alpha)-glycosylquerceti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5923633B2 (ja) 分岐澱粉を含有する成形物
FR2566409A1 (fr) Alpha-maltose cristallin
KR100946828B1 (ko) 풀룰란 함유 분말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WO2018190310A1 (ja) 品質改善剤並びにその用途
KR100545108B1 (ko) β-프룩토푸라노시다아제, 그 제조방법 및 용도
DE60128944T2 (de) Polypeptide mit alpha-isomaltosyl transferase aktivität
US5578469A (en) Process for preparing neotrehalose, and its uses
KR20180058446A (ko) 개선된 마스크, 마스크 팩, 및 그 제조 방법
US6808651B1 (en) Thermoplastic shaped-body of trehalose, process and uses thereof
CN101186939B (zh) 非还原性糖类生成酶及其制备和应用
JP2002069089A (ja) 熱可塑性トレハロース成形物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KR100240044B1 (ko) 결착제 및 그 용도
KR20130062545A (ko) 올리고당을 함유한 연질 캡슐의 피막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