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205A - 주물럭 실리콘 클레이를 이용한 공예품 제조 교육방법 - Google Patents

주물럭 실리콘 클레이를 이용한 공예품 제조 교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205A
KR20190129205A KR1020180053490A KR20180053490A KR20190129205A KR 20190129205 A KR20190129205 A KR 20190129205A KR 1020180053490 A KR1020180053490 A KR 1020180053490A KR 20180053490 A KR20180053490 A KR 20180053490A KR 20190129205 A KR20190129205 A KR 20190129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clay
mold
silicone
sil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리
Original Assignee
김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리 filed Critical 김현리
Priority to KR1020180053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9205A/ko
Publication of KR20190129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2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26Cellulose ethers
    • C08L1/28Alkyl ethers
    • C08L1/286Alkyl ethers substituted with acid radicals, e.g. carboxymethyl cellulose [CM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물럭 실리콘 클레이의 경화 시간이 단축되도록 직접 제조하고, 또 이를 이용하여 성형하고자 모형 부분에 실리콘 클레이를 부착하는 방법을 통해 모형 성형에 필요한 몰드 제작을 교육 현장에서 교육생이 즉시 실시함과 동시에 이렇게 제작된 몰드를 통해 공예품(본 제품)을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주물럭 실리콘 클레이를 이용한 공예품 제조 교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반죽 상태의 실리콘 클레이를 준비단계; 반죽 상태의 실리콘 클레이를 모형 제작이 요구되는 모형에 부착하여 모형 제작 몰드를 성형하는 단계; 모형에 부착된 실리콘 클레이를 경화시키는 단계; 경화 후 실리콘 클레이를 모형으로부터 분리 탈형시키는 단계; 상기 모형으로부터 분리된 모형 제작 몰드의 내부에 성형재료를 충전하여 모형과 동일한 성형품을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모형 제작 몰드로 부터 성형품을 탈형시키는 단계; 를 과정을 통하여 공예품을 제조 교육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주물럭 실리콘 클레이를 이용한 공예품 제조 교육방법{Education method crafts manufacture using silcon clay}
본 발명은 주물럭 실리콘 클레이의 경화 시간이 단축되도록 직접 제조하고, 또 이를 이용하여 성형하고자 하는 모형 부분에 실리콘 클레이를 부착하는 방법을 통해 모형 성형에 필요한 몰드 제작을 교육 현장에서 교육생이 즉시 실시함과 동시에 이렇게 제작된 몰드를 통해 공예품(성형품)을 보다 간단하고, 또 신속하게 제작교육할 수 있도록 한 주물럭 실리콘 클레이를 이용한 공예품 제조 교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방이나, 공예품 교육 현장에서 공예품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모형(원형 성형물)의 테두리에 막을 세운 후 확장 우레탄을 주입하여 제1음각 몰드를 형성하고, 또 상기 제1음각 몰드에 파라핀을 주입하여 모형과 동일한 제1양각 몰드를 형성하며, 상기 제1음각 몰드(확장 우레탄)를 물에 넣어 원하는 크기로 확장하고, 상기 확장된 제1 음각 몰드의 테두리에 막을 세운 후 실리콘을 주입하여 제2양각 몰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양각 몰드에 파라핀을 주입하여 제2 음각 몰드를 형성하고, 상기 제1양각 몰드 성형물과, 제2음각 몰드 성형물을 세라믹을 이용한 정밀주조 방식으로 성형하거나 내열 석고를 이용하여 주물 성형하여 양각 및 음각의 성형물을 형성하고, 상기 양각 및 음각으로 주조된 성형물을 이용하여 한 틀의 상형(양각) 및 하형(음각) 금형을 제작하고, 상기 상형 및 하형을 사이에 실리콘을 주입하여 실리콘 몰드를 제작하고, 상기 실리콘 몰드에 비누, 파라핀 등의 원료를 주입하여 비누 양초 등의 성형물(본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을 통해 성형물을 제조하고 있다.
따라서, 모형과 동일한 성형물을 제작하는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관계로 인해 하나의 모형 제작에 따른 공예품을 제조하기 위한 교육 시간 및 날짜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를 비롯하여 그로 인해 교육생의 입장에서는 교육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를 피하기 어려웠다.
1. KR101994005803 B1(1994.06.23. 공고) 2. KR101225461 B1(2013.02.06.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전에 제작된 모형에 대해 몰드를 제작하고자 하는 모형 부분에 대해 경화 시간이 매우 짧아지도록 제조되는 실리콘 클레이를 주물럭 주물럭하여 잘 부착 및 경화시켜 모형 제작 몰드를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성형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통해 공예품을 교육 현장에서 교육자가 직접 신속 용이하고, 또 간편하게 실습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주물럭 실리콘 클레이를 이용한 공예품 제조 교육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물럭 실리콘 클레이를 이용한 공예품 제조 교육방법은, 반죽 상태의 실리콘 클레이를 준비단계; 반죽 상태의 실리콘 클레이를 모형 제작이 요구되는 모형에 부착하여 모형 제작 몰드를 성형하는 단계; 모형에 부착된 실리콘 클레이를 경화시키는 단계; 경화 후 실리콘 클레이를 모형으로부터 분리 탈형시키는 단계; 상기 모형으로부터 분리된 모형 제작 몰드의 내부에 성형재료를 충전하여 모형과 동일한 성형품을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모형 제작 몰드로 부터 성형품을 탈형시키는 단계; 를 통하여 공예품을 제조 교육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반죽 상태의 실리콘 클레이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실리콘 클레이는, 액상 실리콘(축합 및 부가형)과, 실리콘 경화제, CMC분말, 콘스타치 분말, 식물성 오일이 적정한 배합 비율로 혼합 제조 교육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클레이를 구성하는 성분 비율은, 액상 실리콘 100g을 기준으로, 실리콘 경화제는 5g, CMC 분말은 3.4g, 콘스타치 분말은 50g, 식물성 오일은 6.6g이 혼합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클레이는 색상 안료가 더 혼합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리콘 클레이의 경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방이나 교육 현장에서 직접 실리콘 클레이를 이용하여 공예품의 성형을 위한 모형 몰드 제작이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 이를 통한 성형물의 제조를 짧은 시간에 실시 및 교육받을 수 있음으로 인해 공예품 제작을 위한 몰드 제작 교육 시간이나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리콘 클레이는 끈적임이 없고, 또 손에 묻지 않아 몰드 제작성이 매우 좋을 뿐 아니라 성형 대상 모형 부분에 부착하는 방식을 통해 몰드 제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형의 일부분만을 몰드로 제작하고 싶을 때 모형을 잘라내거나 할 필요가 전혀 없고, 또 음 양각의 어떠한 형태의 모형이라 하더라도 실리콘 클레이의 부착이 가능함에 따라 모형 몰드 제작에 제한이 없으며, 탄력성이 양호하여 어떠한 형태의 모형이라 하더라도 경화 후 탈형 작업을 쉽게 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이 매우 높아지게 되는 등의 여러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물럭 실리콘 클레이를 이용한 성형품 제작 교육을 실시하는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물럭 실리콘 클레이를 이용한 공예품 제조 교육방법은 다음의 공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주물럭 실리콘 클레이어 준비단계(S110)
본 단계는 사전에 준비된 모형 몰드를 제작하기 위한 실리콘 클레이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그 구성물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실리콘 베이스를 구성하는 액상 실리콘(축합 및 부가형)과, 실리콘 경화제, CMC분말, 콘스타치 분말, 식물성 오일을 적정한 배합 비율로 혼합하여 준다
상기 실리콘 클레이를 구성하는 성분 비율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최적의 혼합 비율은, 액상 실리콘 100g을 기준으로, 실리콘 경화제는 5g, CMC 분말은 3.4g, 콘스타치분말은 50g, 식물성 오일은 6.6g을 혼합하여 배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리콘 경화제는 촉매제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CMC 분말은 점증 및 부패방지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콘스타치 분말은 점증 및 흡수 유도 물질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식물성 오일은 이형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액상 실리콘은 구성 성분들과 잘 혼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배합물을 손으로 조물락 조물락 할 때 끈적 그리거나, 손에 달라붙지 않으면서 반죽 상태로 잘 뭉쳐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클레이를 준비하기 위한 각 성분의 배합 순서는 다양한 방법이 제시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액상 실리콘과 실리콘 경화제를 계량 후 CMC분말을 넣어 잘 교반해 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1차 교반물이 점증이 일어날 수 있도록 약 5분간 방치해 둔다. 그런 다음 점증이 일어나 걸죽해진 1차 교반물에 대해 콘스타치를 넣어준 뒤 액상 실리콘을 살살 굴리듯(인절미에 콩가루를 묻히는 느낌으로) 저어주면서 썩어준다. 그런 다음 식물성 오일을 넣어 교반하여 주는 과정을 통해 반죽 상태의 실리콘 클레이의 준비가 완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리콘 클레이 준비단계에서 색상 안료가 더 첨가될 수 있을 것이다. 색상 안료는 실리콘 클레이에 대해 다양한 칼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장미 무늬를 갖는 모형의 경우 적색 안료를 투입하여 실리콘 클레이를 제조함으로써 장미 모형과 연관되는 색상의 실리콘 클레이를 준비할 수 있게 된다.
모형 제작 몰드 성형단계(S120)
본 단계는 사전에 반죽 상태로 준비된 실리콘 클레이를 이용하여 모형 제작 몰드를 성형하는 단계로서, 실리콘 클레이를 모형 크기나 형태를 감안하여 적정한 크기를 갖도록 조물락 조물락하여 잘 뭉쳐준 다음 몰드를 제작하고자 하는 모형 부분에 대해 실리콘 클레이를 위치시킨 다음 잘 감싸지도록 부착하여 준다. 이때 모형에 부착되는 실리콘 클레이는 적정한 두께를 갖도록 부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실리콘 클레이를 몰드 제작이 용구되는 모형 부분에 부착하는 방식을 통해 몰드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몰딩이나 커다란 오브제의 몰드를 제작이 가능하게 되고, 또는 모형의 일부분만을 몰드로 제작하는 경우에도 모형을 잘라내거나 손상 없이 간편하게 필요한 부분의 몰드제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경화단계(S130)
경화단계는 모형에 도포된 실리콘 클레이가 모형 형태를 갖추도록 굳어지도록 하는 단계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리콘 클레이를 사용하는 경우, 약 30분 경과시, 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탈형단계 (S140)
본 단계는 경화가 완료된 실리콘 클레이, 즉, 모형 제작 몰드를 모형으로 부터 분리해내는 단계이다.
모형으로부터 분리된 모형 제작 몰드는 그 내부에 모형과 동일한 형태의 모양을 갖는 모형 공간이 마련되어 진다.
이때, 실리콘 클레이는 소재 특성상, 자체 탄력성에 의해 모형의 형태와 관계없이 모형으로부터 쉽게 탈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모형 제작 몰드를 이용한 성형품 성형단계(S150)
본 단계는 모형과 동일한 형태의 성형품을 제작하는 단계로서, 모형 제작 몰드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모형 제작 몰드를 이용함으로써 반복적인 성형품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성형품 형성은 모형 제작 몰드의 내부에 석고, 또는 비누 액, 캔들 왁스, 우레탄, 수지 등의 성형재료를 충전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한 성형재료를 모형 제작 몰드에 충전한 성형재료가 굳어질 때까지 일정 시간 대기한다.
성형품 탈형단계 (S160)
본 단계는 모형 제작 몰드에 충전된 성형재료가 일정 시간 경과 후 굳어진 상태에서 모형 제작 몰드로부터 성형품을 탈형시키는 과정이다. 성형품의 탈형 역시, 실리콘 클레이의 재질 특성상 탄력성을 가짐에 따라 모형 제작 몰드로부터 쉽게 탈형 가능하게 되고, 또 탈형 과정에서 성형품의 손상이나 훼손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경화 시간이 단축 가능하게 제조되는 주물럭 실리콘 클레이를 이용하여 공방이나 교육 현장에서 실습자로 하여금 모형과 동일한 형태의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한 모형 제작 몰드 제조를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모형 제작 몰드의 제작이 매우 신속 용이하고, 또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그로 인해 모형 제작 몰드의 제조 시간의 현저한 단축이 가능함에 따라 관련 교육 시간 및 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 이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모형 제작 몰드 성형 과정에서 반죽 상태의 실리콘 클레이는 식물성 오일 성분에 의해 끈적임 없어 손에 달라붙거나 묻지 않게 되어 모형에 대한 부착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실리콘 클레이의 소재 특성상, 양호한 탄력성을 갖기 때문에 모형의 형태에 관계없이 모형 제작 몰드나 성형품으로 부터 몰드의 탈형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에 첨부된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 교육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수 있음은 물론이다.
S110: 주물럭 실리콘 클레이어 준비단계
S120: 모형 제작 몰드 성형단계
S130: 경화단계
S140: 모형 제작 몰드 탈형단계
S150: 모형 제작 몰드를 이용한 성형품 성형단계
S160: 성형품 탈형단계

Claims (4)

  1. 반죽 상태의 실리콘 클레이를 준비단계;
    반죽 상태의 실리콘 클레이를 모형 제작이 요구되는 모형에 부착하여 모형 제작 몰드를 성형하는 단계;
    모형에 부착된 실리콘 클레이를 경화시키는 단계;
    경화 후 실리콘 클레이를 모형으로부터 분리 탈형시키는 단계;
    상기 모형으로부터 분리된 모형 제작 몰드의 내부에 성형재료를 충전하여 모형과 동일한 성형품을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모형 제작 몰드로 부터 성형품을 탈형시키는 단계; 를 통하여 공예품을 제조 교육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럭 실리콘 클레이를 이용한 공예품 제조 교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 상태의 실리콘 클레이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실리콘 클레이는, 액상 실리콘(축합 및 부가형)과, 실리콘 경화제, CMC분말, 콘스타치 분말, 식물성 오일이 적정한 배합 비율로 혼합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럭 실리콘 클레이를 이용한 공예품 제조 교육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클레이를 구성하는 성분 비율은, 액상 실리콘 100g을 기준으로, 실리콘 경화제는 5g, CMC 분말은 3.4g, 콘스타치 분말은 50g, 식물성 오일은 6.6g이 혼합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럭 실리콘 클레이를 이용한 공예품 제조 교육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클레이는 색상 안료가 더 혼합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럭 실리콘 클레이를 이용한 공예품 제조 교육방법.
KR1020180053490A 2018-05-10 2018-05-10 주물럭 실리콘 클레이를 이용한 공예품 제조 교육방법 KR201901292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490A KR20190129205A (ko) 2018-05-10 2018-05-10 주물럭 실리콘 클레이를 이용한 공예품 제조 교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490A KR20190129205A (ko) 2018-05-10 2018-05-10 주물럭 실리콘 클레이를 이용한 공예품 제조 교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205A true KR20190129205A (ko) 2019-11-20

Family

ID=68729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490A KR20190129205A (ko) 2018-05-10 2018-05-10 주물럭 실리콘 클레이를 이용한 공예품 제조 교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92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022A (ko) 2020-12-03 2022-06-10 김성미 저융점 합금을 이용한 주조 체험 키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803A (ko) 1992-08-20 1994-03-22 하야시바라 겡 풀룰란 고함유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1225461B1 (ko) 2011-09-16 2013-02-06 김혜경 아트 성형물 금형 제조 방법과 그 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803A (ko) 1992-08-20 1994-03-22 하야시바라 겡 풀룰란 고함유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1225461B1 (ko) 2011-09-16 2013-02-06 김혜경 아트 성형물 금형 제조 방법과 그 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022A (ko) 2020-12-03 2022-06-10 김성미 저융점 합금을 이용한 주조 체험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78390B (zh) 一种仿制多种装饰雕塑石材的材料及制作工艺
KR20190129205A (ko) 주물럭 실리콘 클레이를 이용한 공예품 제조 교육방법
CN106182509A (zh) 使用硅胶模具二次成型的操作方法
CN107759145B (zh) 一种多彩软瓷装饰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029506A (zh) 一种仿陶瓷雕塑的加工方法
CN101177531A (zh) 一种彩色油泥及制备方法
CN104249595A (zh) 树脂工艺品的制作方法
JP3683503B2 (ja) 人工石材の製造方法及び接合方法
CN105820297A (zh) 一种不饱和代木的制备方法
CN103214247A (zh) 一种美式手工砖配方及其美式手工砖制备工艺
KR20050080030A (ko) 인체 조형물 제조방법
CN100427298C (zh) 内设光源用玻璃钢人、物壳体的生产方法
KR20000065663A (ko) 캐릭터 인형의 제작방법
KR100675561B1 (ko) 장식용 조형물 제조방법
CN101367270B (zh) 一种塑胶模型的生产方法及其制品
CN102504168A (zh) 一种硬质发泡树脂坯托的生产工艺
RU2311291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ативных 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варианты)
KR20040038404A (ko) 알지네이트를 이용한 즉석 조형물 제조방법
CN105082320A (zh) 一种镂花装饰石膏板的制作方法
KR970014961A (ko) 문양인조석 판재의 제조방법
KR20050022171A (ko) 분리형 몰드를 이용한 초콜릿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초콜릿
CN1098364A (zh) 聚胺酯塑像的成型方法与模具及其产品
KR970021009A (ko) 경석(輕石)을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방법
SU1342582A1 (ru) Композици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моделей,используемых при вакуумной формовке
KR101136950B1 (ko) 장식재용 곤죽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