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491B1 - 위치복귀시스템을 갖는 자동차 시이트용 슬라이드 - Google Patents

위치복귀시스템을 갖는 자동차 시이트용 슬라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491B1
KR100254491B1 KR1019920018541A KR920018541A KR100254491B1 KR 100254491 B1 KR100254491 B1 KR 100254491B1 KR 1019920018541 A KR1019920018541 A KR 1019920018541A KR 920018541 A KR920018541 A KR 920018541A KR 100254491 B1 KR100254491 B1 KR 100254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latch
lower frame
slide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8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713A (ko
Inventor
죠지스드루론
Original Assignee
베르트라포르오또모빌"베에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르트라포르오또모빌"베에프아" filed Critical 베르트라포르오또모빌"베에프아"
Publication of KR930007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4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60N2/12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and provided with memory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하측의 프레임부재가 L-자형의 두 수직판으로된 수직관을 갖는다. 제 1 수직판에는 스핀들이 착설되며 래치의 일측단부는 평상시에는 슈우(shoe)에 접하게 되어있고 다른 래치의 상측부에 연결된 수렵용 나팔형태의 스프링에 의하여 한 위치로 복귀된다. 두 베어링 요소가 단부에 두 세타가 고정되는 축을 지지하는 각 세터는 접속부와 핀으로 고정한다. 핀은 상측단부재상에 장착된 두번째 래치에 작용하도록 적용되며 첫번째 래치를 분리 시키도록 한다. 하측의 종단부재에 대한 상측종단부재의 후방을 향한 스트로크에 대한 제한을 제공하도록 사용된다.

Description

위치복귀시스템을 갖는 자동차 시이트용 슬라이드
제1도는 앞좌석에 사용되는 것으로 고정형 복귀장치를 포함하는 슬라이드의 하나를 보인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이트의 두 슬라이드를 보인 평면도.
제3도, 제4도, 제5도 및 제6도는 고정형 복귀위치시스템을 갖는 슬라이드의 상측프레임부재를 형성하는 부분의 운동을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측프레임부재 2 : 상측프레임부재
3 : 래치 4 : 스핀들
7 : 바아스프링 10 : 슈우
12, 13 : 수직판 14 : 스핀들
15 : 래치 16 : 스프링
20 : 베어링요소 21 : 축
26 : 접속부 27 : 핀
본 발명은 고정형 위치복귀시스템을 갖는 자동차 시이트용 슬라이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제조업자들은 오늘날 소비자들에게 소위 투-도어형 자동차를 권장하고 있다. 이러한 투-도어형 자동차는 4인용의 탑승공간을 가지나 뒷좌석의 탑승자는 이러한 자동차에 승하차하기 위하여서는 앞좌석이 비어 있는 상태에서 앞좌석의 등받이를 앞으로 회전시키거나 앞좌석 전체를 자동차의 계기판을 향하여 앞으로 밀어야 한다. 이로써 도어의 기둥과 앞좌석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탑승자가 뒷좌석에 승하차할 수 있다.
등받이를 앞으로 제친 후에 앞좌석의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풀고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장치가 이미 알려진 바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장치는 뒷좌석 탑승자가 승하차를 완료하였을 때 앞좌석을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되어 있으나 이러한 슬라이드장치는 중량이 많이 나가고 다루기 어려우며 제조코스트가 많이 나갈 뿐만 아니라 조절하기도 어렵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슬라이드장치는 이들이 구조가 간단하여야 하고 제조코스트가 낮아야 하면서도 신뢰도가 높아야 하고 잡아당기는 것에 대한 높은 견인저항을 가져야 하므로 저가의 자동차에는 사용될 수 없다. 실제로 이러한 슬라이드장치에 의하여 지지된 시이트는 안전벨트가 장착되어 있고 이러한 안전벨트는 충격이 있을 때 슬라이드장치에 상당한 견인력을 가하는 반면에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시이트의 탑승자가 심한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위치복귀시스템을 갖는 자동차 시이트용 슬라이드를 제공함으로서 상기 언급된 종래기술의 결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슬라이드는 적은 수의 부품이 사용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코스트가 낮으며 이들을 안전벨트를 갖는 시이트에 사용함에 있어 제공되는 모든 저항특성을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형 위치복귀시스템을 갖는 자동차 시이트용 슬라이드는 상측프레임부재와 하측프레임부재를 가지고, 상측프레임부재는 하측프레임부재를 따라 미끄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하측프레임부재는 자동차의 바닥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견고히 연결되고, 상측프레임부재는 고정된 하측프레임부재에 형성된 래크에 결합되는 톱니를 갖는 래치(latch)를 포함하며, 이 래치가 스핀들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되고 바아스프링(bar spring)의 작용을 받게 되어 있어 래치의 톱니가 래크의 톱니에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하측프레임부재가 제1수직판과 제2수직판을 갖는 L-형 부재로 된 수유가 착설되는 저면부를 가지고, 제1수직판에는 스핀들이 착설되며 이에 또 다른 래치가 착설되고 이 래치의 일측단부는 평상시에는 수유에 접하게 되어 있고 일측이 수직판에 견고히 연결되고 타측이 다른 래치의 상측부에 연결된 수렵용 나팔형태의 스프링에 의하여 이러한 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두 베어링요소가 단부에 두 섹터가 고정되는 축을 지지하고, 각 섹터는 접속부와 핀을 지지하며, 핀은 래크로부터 각 래치의 톱니를 분리하고 다른 래치를 수렵용 나팔형 스프링의 작용에 대하여 분리하기 위하여 각 래치에 작용토록 되어 있고, 접속부는 하측프레임부재에 대하여 상측프레임부재의 후진스트로크를 제한하기 위한 기준접속부로서 사용되며, 이러한 제한은 핀이 슈우의 수직판의 상측부에 접촉할 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자동차 시이트의 슬라이드를 구성하는 하측프레임부재(1)를 보이고 있으며, 이 프레임부재(1)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자동차의 바닥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운전자 및 앞좌석 탑승자의 시이트에는 두개의 평행한 슬라이드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제2부분은 하측프레임부재(1)상에 연장된 상측프레임부재 (2)로 구성된다. 두 프레임부재(1)(2)는 단면이 W자의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하측프레임부재(1)는 단면이 정상의 W자 형상이고 상측프레임부재(2)는 역 W자 형상이다. 각 하측프레임부재(1)에 대하여 각 상측프레임부재(2)의 미끄럼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두 프레임부재(1)(2)사이에는 통상적으로 볼과 지지구가 삽입되어 있다.
하측프레임부재(1)에는 그 일측 절곡부(내측 절곡부)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절결부(도시하지 않았음)가 내측부에서 각 슬라이드의 고정을 위한 래치(3)에 형성된 톱니에 결합되는 래크를 형성한다(제2도 참조). 이러한 래치(3)는 각 래치(3)의 전방측에 배치된 스핀들(4)에 축설된다.
또한 래치(3)는 그 후측부에 절곡부(5)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곡부의 후측부에는 바아스프링(7)을 걸기 위한 걸이구(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바아스프링(7)은 그 후측부(7a)가 각 상측프레임부재(2)의 내측면측에 절취하여 형성한 한 셋트의 돌기(8)에 걸리어 고정된다.
이러한 설치구성은 통상적인 것이므로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측프레임(1)의 하측면(1a)의 하측에 슈우(10)가 배치된다. 이 슈우(10)는 하측프레임부재(1)의 하측에 고정되는 두 하측판(11)과 그 기능이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은 두 수직판(12)(13)을 갖는 L-형 부재로 구성된다.
수직판(12)은 축공이 형성되어 이에 스핀들(14)이 착설되며 이 스핀들은 레바의 형태인 래치(15)의 회전축으로서 이용되며 평상시 래치(15)의 하측단부(15a)는 슈우(10)의 저면에 닿아 있다.
이 래치(15)는 수렵용 나팔의 형상인 스프링(16)에 의하여 그 정상위치로 복귀되며, 이 스프링(16)은 그 일측 단부(16a)가 레치(15)에 연결되고 타측단부(16b)는 하측판(11)의 수직판(12)에 연결되어 있다.
상측프레임부재(2)의 상부(2a)에는 두개의 베어링요소(20)가 착설되며 이에 자체 회전하는 축(21)의 양 단부(21a)(21b)가 착설된다. 이 축(21)에는 두개의 섹터(22)(23)가 착설되며 적어도 하나의 섹터(이 실시형태의 경우 외측의 섹터 23)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슬라이드에 의하여 지지된 시이트의 등받이부분(40)에 케이블(25)로 연결된다. 이 케이블(25)은 투-도어형 자동차의 뒷좌석 탑승자가 승하차할 때 앞좌석의 시이트를 앞으로 밀기전에 이 시이트의 좌부측으로 접히는 등받이부분과 시이트사이의 관절연결기구의 외측가동플랜지에 연결된다.
섹터(22)(23)의 회전운동(제4도의 화살표 F1 방향)중에, 동시에 축(21)을 중심으로 하여 섹터(22)(23)의 단부측에 형성된 접속부(26)가 회전하고 이들 섹터(22)(23)에 견고히 연결된 핀(27)이 회전한다.
접속부(26)가 래치(3)의 절곡부(5)상에 접속되고 동시에 핀(27)이 래치(15)의 상측부에 결합하게 될 때, 이들 구성요소는 제4도에서 보인 바와같은 위치에 놓인다.
따라서, 래치(15)의 하측단부(15a)는 더 이상 슈우(10)에 접하지 않게 되며, 동시에 두 래치(3)는 화살표 F2의 방향으로 하강된다(제4도). 이로써 각 슬라이드의 하측프레임부재(1)로부터 상측프레임부재(2)가 완전히 분리된다.
실제로 래치(3)가 화살표 F2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서 래치(3)의 톱니가 하측프레임부재(1)에 형성되어 있는 래크의 톱니로부터 분리될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앞좌석 시이트를 탑승공간의 전방으로 쉽게 밀 수 있다.
탑승자가 자동차의 뒷좌석에서 하차하였을 때 또는 탑승자가 탑승하여 뒷좌석에 착석하였을 때, 앞좌석의 시이트는 그 등받이가 앞으로 접혀있고 이에 따라 래치(3)가 래치(15)가 제4도에서 보인 위치에 놓여 있는 상태에서 각 슬라이드의 상측프레임부재가 하측프레임부재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앞좌석의 시이트를 후방으로 밀 수 있다.
이는 제4도에서 보인 위치에서 핀(27)이 제4도에서 실선 LC로 보인 데드 포인트(dead point)을 넘어가기 때문에 가능하다.
실제로, 이러한 상태는 래치(3)의 절곡부(5)에 대하여 강하게 접하게 되는 접속부(26)에 의하여 유지된다.
앞좌석의 시이트를 후방으로 밀어 이동시킨 다음에 등받이를 직립상태로 복귀시킨다. 이제 핀(27)이 더 이상 래치(15)를 누르지 않으므로 이 래치는 수렵용 나팔형태인 스프링(16)의 효과하에 제자리로 복귀된다.
마찬가지로, 접속부(26)가 래치(3)의 후측부로부터 분리되므로 바아스프링 (7)의 작용하에 이 래치(3)는 제4도의 화살표 F2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향하여 이동할 것이다. 따라서, 각 상측프레임부재(2)는 각 상측프레임부재(2)에 견고히 연결된 톱니가 각 하측프레임부재(1)의 래크에 결합되어 이 하측프레임부재(1)상에 고정된다.
이때에 앞좌석 탑승자나 운전자는 시이트에 앉아 통상적으로 슬라이드의 래치에 착설된 조절봉(30)(제2도 참조)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시이트를 조절할 수 있다.
만약 어떠한 이유에서, 상측프레임부재(2)가 하측프레임부재(1)로부터 분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시이트의 등받이가 직립위치로 복귀되지 않거나 또는 등받이가 정확히 직립위치로 복귀되지 않아 상측프레임부재(2)가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게 되었을 때, 접속부(26)가 아직 이들의 정상위치로 복귀되지 않고 핀(27)이 슈우(10)의 수직판(13)의 전면에 대하여 후측방향으로 접속되어 있을 것이므로 시이트가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거나 상측프레임부재(2)가 하측프레임부재(1)로부터 분리되어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것이다.

Claims (3)

  1. 상측프레임부재(2)와 하측프레임부재(1)를 가지고, 상기 상측프레임부재(2)가 상기 하측프레임부재(1)를 따라 미끄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하측프레임부재(1)가 자동차의 바닥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견고히 연결되고, 상기 상측프레임부재가 고정된 상기 하측프레임부재(1)에 형성된 래크에 결합되는 톱니를 갖는 래치(3)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가 스핀들(4)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되고 바아스프링(7)의 작용을 받게 되어 있어 상기 래치(3)의 톱니가 상기 래크의 톱니에 결합될 수 있게 된 고정형 위치복귀시스템을 갖는 자동차 시이트용 슬라이드에 있어서, 상기 하측프레임부재(1)의 저면부에 제1수직판(12)과 제2수직판(13)을 갖는 L-형 부재로 된 슈우(10)가 착설되고, 상기 제1수직판에는 스핀들(14)이 착설되며 이에 또 다른 래치(15)가 착설되고 이 래치의 하측단부(15a)는 평상시에는 상기 슈우(10)에 접하게 되며 일측이 상기 수직판(12)에 견고히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다른 래치(15)의 상측부에 연결된 수렵용 나팔형태의 스프링(16)에 의하여 이러한 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두 베어링요소(20)가 단부에 두 섹터(22, 23)가 고정되는 축(21)를 지지하고, 상기 각 섹터는 접속부(26)와 핀(27)을 지지하며, 상기 핀(27)은 상기 래크로부터 상기 래치의 톱니를 분리하고 상기 다른 래치(15)를 수렵용 나팔형 스프링(16)의 작용에 대하여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래치(3)에 작용토록 되어 있고, 상기 접속부(26)는 상기 하측프레임부재(1)에 대하여 상기 상측프레임부재(2)의 후진스트로크를 제한하기 위한 기준접속부로서 사용되며, 이러한 제한은 상기 핀(27)이 슈우(10)의 상기 제2수직판(13)의 상측부에 접촉할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복귀시스템을 갖는 자동차 시이트용 슬라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섹터(22, 23)의 하나에 케이블(25)의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측단은 상기 시이트의 좌부와 등받이부분(40)사이에 배치된 관절연결기구의 가동플랜지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복귀시스템을 갖는 자동차 시이트용 슬라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프레임부재(1)에 대하여 상기 상측프레임부재(2)의 운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래치(3)의 톱니가 상기 하측프레임부재(1)의 상기 래크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핀(27)이 상기 두 섹터(22, 23)의 데드 포인트를 넘어 통과하므로서 안정된 분리상태가 유지되고 시이트의 등받이를 직립상태로 복귀시킴으로서 상기 하측프레임부재에 대한 상기 상측프레임부재의 재결합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복귀시스템을 갖는 자동차 시이트용 슬라이드.
KR1019920018541A 1991-10-11 1992-10-09 위치복귀시스템을 갖는 자동차 시이트용 슬라이드 KR100254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112537A FR2682332B1 (fr) 1991-10-11 1991-10-11 Glissiere pour siege de vehicule a position de retour fixe.
FR91-12537 1991-10-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713A KR930007713A (ko) 1993-05-20
KR100254491B1 true KR100254491B1 (ko) 2000-05-01

Family

ID=941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8541A KR100254491B1 (ko) 1991-10-11 1992-10-09 위치복귀시스템을 갖는 자동차 시이트용 슬라이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273241A (ko)
EP (1) EP0537057B1 (ko)
JP (1) JP3293903B2 (ko)
KR (1) KR100254491B1 (ko)
CA (1) CA2080145C (ko)
DE (1) DE69202541T2 (ko)
ES (1) ES2072730T3 (ko)
FR (1) FR26823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2149B1 (fr) * 1994-07-08 1996-09-20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Glissiere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de vehicule equipe d'une telle glissiere
JP3757320B2 (ja) * 1995-07-19 2006-03-22 カイペル・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 自動車の座席を長手方向に調節する装置
GB2303299A (en) * 1995-07-20 1997-02-19 Dunlop Cox Ltd Sliding vehicle seat with position memory
JP3687144B2 (ja) * 1995-08-09 2005-08-2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5957535A (en) * 1996-03-29 1999-09-28 Dura Automotive Systems, Inc. Seat track assembly with vertical dislocation resistance bracket
JP3568174B2 (ja) * 1996-03-31 2004-09-22 株式会社タチエス ウォークイン機構付シートアジャスタ
US5785387A (en) * 1996-09-23 1998-07-28 Excel Industries, Inc. Vehicle seat assembly with position-fixing means
FR2756522B1 (fr) * 1996-12-03 1999-01-29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Glissiere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comportant une telle glissiere
WO1998025785A1 (en) * 1996-12-09 1998-06-18 Magna Interior Systems Inc. Easy entry seat with seat back lockout until full return
US5893545A (en) * 1997-10-23 1999-04-13 Excel Industries, Inc. Seat track assembly with enhanced vertical dislocation resistance
US6102478A (en) * 1998-01-16 2000-08-15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slide mechanism
JP3747256B2 (ja) * 2000-01-07 2006-02-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主幹制御器
DE10310016A1 (de) * 2003-02-28 2004-09-0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Kraftfahrzeugsitz
JP4631327B2 (ja) * 2004-06-28 2011-02-1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JP5309802B2 (ja) * 2008-09-02 2013-10-0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10076974B2 (en) 2015-06-04 2018-09-18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A Unit Of Jason Incorporated Modular forward and rearward seat position adjustment system, with integral vibration isolation system
IT201800007333A1 (it) * 2018-07-19 2020-01-19 Dispositivo di scorrimento per un sedile di veicolo provvisto di un gruppo di rilascio migliorato
US11427111B2 (en) 2020-04-15 2022-08-30 Lippert Components, Inc. Latch for sliding vehicle seat adjustmen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59311A1 (de) * 1976-12-29 1978-07-06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Laengsverschiebbarer und in waehlbaren laengslagen feststellbarer, insbesondere in kraftfahrzeugen anzuordnender sitz
FR2430330A1 (fr) * 1978-07-07 1980-02-01 Cousin Cie Ets A & M Freres Dispositif a memoire de reglage longitudinal pour siege de vehicules automobiles, notamment pour vehicules a deux portes
US4455009A (en) * 1982-05-10 1984-06-19 Sears Manufacturing Co., Inc. Adjustable vehicle seat mounting device
US4648657A (en) * 1985-07-02 1987-03-10 Atwood Vacuum Machine Company Seat adjuster responsive to tilting of seat back
US4671571A (en) * 1986-06-16 1987-06-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Easy entry seat adjuster slide
FR2623451B1 (fr) * 1987-11-20 1990-04-06 Cousin Cie Ets A & M Freres Glissieres a vis sans fin reversibles permettant un deplacement micro-millimetrique et comportant une memoire pour siege de vehicule
US4881774A (en) * 1988-11-07 1989-11-21 Bertrand Faure Automobile Memory seat track assembly for vehicle seat
JPH0630547Y2 (ja) * 1989-06-22 1994-08-17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車両用シートのウォークイン装置
GB8917633D0 (en) * 1989-08-02 1989-09-20 Ti Cox Ltd Improvements in vehicle seat slide mechanisms
FR2656262B1 (fr) * 1989-12-22 1994-10-28 Faure Bertrand Automobile Verrou manuel de glissiere de siege comportant un rattrapage de jeu horizontal.
US5100092A (en) * 1990-03-05 1992-03-31 Hoover Universal, Inc. Two-way manual seat adjuster with full memory easy ent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223470A (ja) 1995-08-22
ES2072730T3 (es) 1995-07-16
CA2080145A1 (fr) 1993-04-12
EP0537057B1 (fr) 1995-05-17
DE69202541D1 (de) 1995-06-22
DE69202541T2 (de) 1996-02-01
CA2080145C (fr) 1999-07-13
US5273241A (en) 1993-12-28
JP3293903B2 (ja) 2002-06-17
FR2682332B1 (fr) 1993-12-17
EP0537057A1 (fr) 1993-04-14
FR2682332A1 (fr) 1993-04-16
KR930007713A (ko) 199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4491B1 (ko) 위치복귀시스템을 갖는 자동차 시이트용 슬라이드
US6135558A (en) Motor vehicle seat with backrest foldable into sleeping position
US6550856B1 (en) Vehicle seat
US7484808B2 (en) Vision improving system for a head restraint
US5597206A (en) Easy entry seat adjuster
US3637253A (en) Laterally slidable seat
KR101407198B1 (ko) 후방 절첩 모션을 갖는 절첩 편평 좌석 조립체
US8061776B2 (en) Walk-in and folding apparatus for seat
US6036252A (en) Automotive bench seat with fixed rollers and linear floor latch
US4711494A (en) Foldable headrest for vehicle rear seat
US7118171B2 (en) Seat assembly with folding head restraint and method for folding same
WO2006130975A1 (en) Mono leg transformer seat
US20040051361A1 (en) Motor vehicle seat
US6196628B1 (en) Device for fixing a child seat to the seat of a motor vehicle
US6481799B1 (en) Vehicle sensitive inertia lockout
US4408798A (en) Vehicle seat structure for two-door type vehicle
JP2004526626A (ja) 原動機付き車両シート
GB2207860A (en) Vehicle seats
GB2065761A (en) Improved folding seat
US2828806A (en) Latchable tilting seat back
US2752988A (en) Lock for folding auto seats
JP4031826B2 (ja) シート・トラックに用いるレバー・ストッパ
KR102623415B1 (ko) 차량용 시트백 구속장치
CN113547964B (zh) 二排座椅eze组件
JP3216555B2 (ja)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