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2620B1 - 면역억제를 위한 항체-함유 제제의 용도 - Google Patents

면역억제를 위한 항체-함유 제제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2620B1
KR100252620B1 KR1019920019468A KR920019468A KR100252620B1 KR 100252620 B1 KR100252620 B1 KR 100252620B1 KR 1019920019468 A KR1019920019468 A KR 1019920019468A KR 920019468 A KR920019468 A KR 920019468A KR 100252620 B1 KR100252620 B1 KR 100252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formulation
antibody
vcd44
cells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9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460A (ko
Inventor
졸레르 마르고트
헤르리히 페터
폰타 헬무트
Original Assignee
에이취 쭈르 하우젠
도이췌스 크랩스포르슝스첸트룸 하이델베르그
디터 라우디엔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만프레드 크라이스
아달베르트 베. 플라텐타이히 하
포르슝스젠트룸 카를스루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취 쭈르 하우젠, 도이췌스 크랩스포르슝스첸트룸 하이델베르그, 디터 라우디엔,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만프레드 크라이스, 아달베르트 베. 플라텐타이히 하, 포르슝스젠트룸 카를스루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이취 쭈르 하우젠
Publication of KR930007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84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CD4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7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involving monoclonal antibodies binding reaction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onoclonal antibodies; monoclonal antibodies per se are classified with their corresponding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3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 C07K2317/34Identification of a linear epitope shorter than 20 amino acid residues or of a conformational epitope defined by amino acid residu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iotech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억제를 위한 vCD44에 대한 항체 제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면역억제를 위한 항체-함유 제제의 용도
제1도는 랫트, 마우스 및 인체간의 vCD44 서열의 크로스하이브리드화이다. 궤도 1=랫트(간세포), 궤도 2=마우스(L-세포), 궤도 3=인체(흉부 암세포주 T47D)
제2도는 인체 종양 세포주에서의 vCD44 및 sCD44 서열 발현도이다. 궤도 1=LCLC103, 궤도 2=LCLC97, 궤도 3=CH3LC, 궤도 4=EPLC32M1, 궤도 5=SCLC24, 궤도 6=SCLC18, 궤도 7은 랫트 세포주 BSp78ASML 및 궤도 8은 랫트세포주 BSp73AS에 관한 것이다. GAPDH=(적용한 RNA 양의 상대 양 결정을 위한 글리세린 알데하이드 포스페이트 탈수소효소)
제3도는 PCR 증폭에 의해 수득된 다양한 인체 세포주에서 발현된 CD44 RNAs에 대해 상보적인 cDNA의 아가로즈(agarose)겔 전기영동 분리이다. 궤도 1=SW620, 궤도 2=MeWo, 궤도 3=HT29, 궤도 4=LCLC97, 궤도 5=HPKII, 궤도 6=길이 표지자(베링거 만하임 제7호)
제4(a)도는 인체에서의 세포주 LCLC97의 vCD44 구역의 DNA 및 아미노산 서열이다. 비교로 랫트 종양세포주 BSpASML의 DNA 및 아미노산 서열을 게재하였으며, 수득한 DNA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화살표는 5개의 엑슨(exon) 또는 영역 DI 내지 DV를 나타낸다. H=인체, R=랫트. 모노클론성 항체 1.1ASML에 의해 인지될 수 있는 에피토프는 네모로 나타내었다.
제4(b)도는 LCLC97의 세포외 구역내의 5개의 엑슨(영역) DI 내지 DV의 조직적인 표시이다. 숫자는 아미노산 갯수이다.
제5도는 T-림프구의 동종 활성에 대한 안티-vCD44(1.1ASML)의 영향(자극후의3H-티미딘의 혼입으로 측정됨=CPM)에 관한 것이다. I=지라세포, II=림프 결절세포, 둘다 DA 랫트것임. DA 랫트를 BDX(3000R로 조사시킨 림프구)로 면역화.
=시험관내에서 BDX로 자극시켜 BDX로 면역화
=시험관내에서 BDX로 자극시킨 1.1ASML의 존재하에 BDX로 면역화
=1.1ASML의 존재하에 BDX로 면역화 및 자극함.
제6도는 세포 독성 T-세포, 즉 제1CTL의 활성에 대한 안티-vCD44(1.1ASML)의 영향에 관한 것이다. BDX(3000p로 조사시킨 림프구)로 DA 랫트를 면역화.
=BDX로 면역화
=1.1ASML의 존재하에 BDX로 면역화
E : T=표적 세포(T,51Cf-라벨된 BDX 림프 아세포)에 대한 효능자 세포(E, 지라세포)의 비율
본 발명은 포유동물 및 인체에서의 면역억제를 위한 글리코프로테인 CD44의 변이체(vCD44)에 대해 작용하는 항체, 특히 모노클론성 항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CD4는 원래 “림프구 거주 수용체(lymphocyte homing receptor)”로 기술되는 세포 표면에 위치하는 글리코프로테인이며 정맥의 특정 점막 내피세포에 대한 림프구의 유착(파이어판(Peyer′s patch) 또는 파이어 프라그(peyer-plagues) 또는 집합 림프 소절) 또는 림프 결절에서의 모세혈관후의 정맥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난다(S.T. JACKANEN et al., J. Exp. Immunol. 16, 1195-1202, 1986; R.L. CAMP et al., J. Exp. Med. 173, 763-766, 1991). 또한, CD44 글리코프로테인은 림프구의 숙성과 활성화에 관계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모든 림프 아세포의 유주능을 증가시키는데 (공)결정화 효과를 가지며(예 : R.L. CAMP et al., 1991, loc. cit; S. HUET et al., J. Immunol. 143, 798-801, 1989), 기타 유착 분자에 대해 고정점의 역활을 하는 것으로 믿어진다(Y. SHIMIZU et al., J. Immunol. 143, 2457-2463, 1989). 그러나, 지금까지는 CD44의 이들 모든 작용의 소유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최근에는, 림프 시스템을 통해 전이하는 랫트 종양세포(자연발생의 랫트 췌장선암의 BSp73 세포)에 대한 실험에서 이들 세포가 CD44 변이체(vCD44)를 보이며 종양세포의 “교역(trafficking)”에 책임이 있듯이 밝혀졌다. 이러한 상황은 또한 다른 종양세포주에 대해서도 증명되었다.
이 vCD44 글리코프로테인은 전이하는 특질을, 선천적으로는 전이하지 않는 종양에게 부여하는 반면, 표준 타입 CD44(SCD44)는 이것을 할 수 없음이 증명되었다. 따라서 현재 CD44에 반대되는 vCD44가 종양이 림프궤를 통해 전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이-특히 프로테인이라 추정될 수 있다(U.et al., Cell 65, 13-24, 1991).
또한 유우. 귄테르트 등(U.et a., 1991, loc. cit.,]은 두개의 형태학적으로 또는 표현형적으로 상이한 선천적 세포 변이체, 즉 비-전이 변이체 AS(BSp73AS) 및 전이 변이체 ASML(BSp73ASML)(S. MATZKU et al., Cancer Reaseuch 49, 1294-1299, 1989)로 이루어진 BSp73 랫트 세포 시스템을 이용하여 랫트의 vCD44 글리코프로테인을 명확히 하여 DNA 및 아미노산 서열의 최종 특정화까지를 수득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전이 변이체 BSp73ASML에 관한 항원성 결정 인자를 인지할 수 있는 모노클론성 항체(mAbs)가 제조되었다.
세포주는 제1종양(BSp73AS 세포로 이루어진 피하 비-전이결절) 및 또한 그의 전이체(림프 결절 및 폐에서 전이하는 BSp73SML 세포) 모두로 부터 수득하였다. BSp73ASML 세포의 막 단백질에 대해 작용하는 mAbs가 제조되었다(S. MATZKU et al., 1989, loc. cit). BSp73ASML에 대한 에피토프(epitope)만을 인지하며, BSp73AS 세포 또는 다른 비-종양 형성 세포에 대해서는 인지하지 못하는 이들 mAbs 중의 하나를 사용하여 BSp73ASML 세포로부터의 폴리(A)+RNA 및 적합한 벡터 시스템(스크린닝)으로부터 제조된 E. Coli cDNA 발현 라이브러리를 연구하였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3207bp의 길이를 갖는 총체적 cDNA를 함유하며 162 아미노산의 추가영역(domain)을 코드하는 클론(pMeta-1)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 영역은 sCD44 세포나 그외의 다른 비-전이 종양세포중 어느것에도 발견되지 않았으나, mAb 특이 에피토프-코딩구역(coding region)를 함유한다. 여러 조직세포로부터의 mRNA 제제 및 cDNA 클론으로 수득한 상이한 DNA 샘플과 함께 수행된 mRNA : DNA 하이브리드화를 이용하여, vCD44는 sCD44의 스프리싱(splicing) 변이체이며 vCD44 RNA의 발현이 전이 형성과 밀접히 연결됨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486bp 장삽입체(PMeta-1중의 아미노산 229 내지 385)에 의해 코드된 부가의 세포의 영역이 전이와 관련된 표면 글리코프로테인 vCD44의 일부임이 밝혀졌다.
전이성 종양 증식(랫트에서의 선암)은 상기 언급된 에피토프를 인식하거나, vCD44의 이 세포의 구역과 특이하게 반응하는 모노클론성 항체로 면역화 후에 성공적으로 억제되었다(S.REBER et al., Int. J. Cancer 46, 919-927, 1990).
랫트에서의 세포의 변이체 영역(pMeta-1 또는 rMeta-1)의 확인으로 하여 동등한 인간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아미노산 서열을 명확히 할 수 있게 되었다 :
랫트에서의 vCD44 영역의 DNA로부터 유래된 cDNA 프로브(Probe)를 이용하여, 이들 DNA에 있어서 동족구역은 임의의 가혹조건하에서, 다양한 종-특이 세포주(예 : 인체, 랫트, 마우스)의 게놈(genomic) DNA와 함께 하이브리드화시킴으로서 밝혀질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프로브는 다양한 인체 세포주, 특히 종양세포주 예를들어, 거대-세포 폐암, 흑색종, 대장암, 흉부종양, 케라티노사이트로부터의 RNA에 대해 하이브리드화 하는데 계속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적합한 인체 세포주, 예를들어 거대-세포 폐암의 세포주가 랫트의 cDNA 프로브와 동종인 서열을 함유함을 용이하게 밝혀낼 수 있다. DNA 폴리머라제 및 적합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DNA 분자의 혼합체로부터 특이 길이 및 특이서열의 DNA 구역을 선택적으로 농축시키는 공지 시험관내 방법인 PCR(폴리머라제 사슬 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으로써 sCD44 및 vCD44를 코드하는 다양한 인체 세포주, 예를들어 거대-세포 폐암, 흑색종, 대장암 및 영구적 케라티노사이트의 RNA 제제로부터 cDNA를 수득할 수 있다.
PCR에 의해 수득된 이런 종류의 cDNA는 이것으로 형질전환시킨 숙주세포, 바람직하게는 이. 콜라이(E. Coli)와 같은 박테리아의 상응하는 배양후에 공지의 방법으로 적합한 크론닝(cloning) 벡터내에 연결시킨 다음 서열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모든 가능한 종양세포 또는 세포주, 특히 전이특성을 갖는 것으로부터 선택된 다양한 인체세포로부터 85kDa 구역에서의 세포외 영역(S.JALKANEN et al., J. Cell Biol. 105 983-990, 1987)을 함유하는 350 아미노산 구역(I. STAMENKOVIC et al., Cell 56, 1057-1062, 1989)에서 크기가 공지된 순위를 갖는 정상 인체 sCD44 글리코프로테인을 코드하거나 다양화된 길이, 더욱 특히는 850bp 내지 1.5kb 사이, 예를들어 1014bp(또는 338 아미노산)의 정상 sCD44 글리코프로테인, 예를들어 뉴클레오타이드 782와 783 위치 사이를 코딩하는 DNA 서열내에 삽입되는 추가의 세포의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이는 변이체, 인체 vCD44 글리코프로테인을 코드하는 DNA 서열을 수득할 수 있다(제4도). 이런 종류의 DNA 서열은 몇곳에서, 예를들어 상이한 엑슨을 나타내며 여러 동물 세포주(예, 랫트 또는 마우스) 및 또한 인체 세포주 모두에서 발견될 수 있는 5개의 영역에서 생성될 수 있다.
제4(a)도에서 예로 나타낸, 수득된 인체 종양세포주의 가장 긴 변이체 섹션과 동종인 cDNA는 PCR를 사용하여 랫트 종양세포주 BSpASML로부터 분리된다. 이것으로부터 유래한 아미노산 서열과 인체 종양세포로부터 수득된 인체 클론의 것과의 직접적인 비교에서는 랫트 DNA 서열과의 동종성이 영역 I은 83%, 영역 II는 83%, 영역 III이 71%, 영역 IV가 82% 및 영역 V가 66%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전체적으로는 랫트서열과 비교하여 인체 서열의 약 76%가 변이체 구역에 존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전이 잠재성을 종양에 부여하는 상응하는 랫트 서열(U. GUNTHERT et al., 1991, loc. cit.)은 아미노산 258 내지 420으로 이루어지며 영역 II 및 III에 의해 코드된다.
따라서, 이 분야에 숙련된 사람에게는 이들 에피토프, 즉 vCD44의 다양한 스플리싱 변이체에 대한 추가의 세포외 구역을 특이하게 인지하며 이것과 함께 반응하며, 방사성 동위원소에 의해 라벨되고/되거나 세포 파괴성 또는 세포독성물질과 컨쥬게이트할 수 있는 폴리- 또는 모노클론성 항체가인체의 전이 종양 처치에 있어 진단 및 치료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상기 요약된 내용은 국제출원 WO 91/17248의 요점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서는 CD44의 다양한 전이-특이적 변이체(vCD44)와 반응하는 항체, 특히 CD44의 모노클론성 항체가 면역억제 활성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새로운 특성은 상기 요약된 사실에 비추어서 어떤 상황에서도 예견할 수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유동물 및 인체에서 일시적 또는 지속적인 면역억제를 발생시키는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포유동물에서의 CD44의 전이-특이적 변이체(vCD44)와 반응하는 항체, 특히 모노클론성 항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동물 또는 인체 유래의 모든 가능한 변이체 CD44(vCD44) 글리코프로테인 및 이것을 코드하며 sCD44를 코딩하는 유전자부내의 삽입체로 생성되는 핵산(DNA 및 RNA)은 현재 이 분야에서-숙련된 사람들에게 이용되고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위한 특정의 목적 항체, 특히 모노클론성 항체, 그의 단편 및 유도체를 제조하여 사용하기 위해 이들 단백질 및 이들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의 사용은 이 분야에서 숙련된 사람이 일반적인 능력내에 있다는 점이 강조된다.
핵산 실체에 관한, 본 발명의 목적과 관련하여 용어 vCD44 또는, 이것과 동일 의미인 CD44 또는 sCD44의 변이체 세포외 영역 또는 구역은 돌연변이, 예를들어 결실, 삽입, 치환, 역전, 전위 및 전환에 의해 변형된 것 및 공지의 통상적인 조건하에서 제4(a)도에 나타낸 DNA 서열로 하이브리드화한 것을 포함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vCD44 단백질 또는 영역을 코딩하며, 그의 상보적 코딩 스트랜드(strand)는 이들 핵산이 합성 또는 반합성방법을 이용하여 세포 배양에 의해서 또는 DNA 재조합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제조되어 분리되었는지 여부와는 무관하게 전이 특성을 종양에 부여하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특정의 RNA, RNA 또는 그의 전사물을 의미한다.
관련되는 표면 단백질을 논할시에, 용어 vCD44 또는 그것과 동일 의미인 CD44 또는 sCD44의 변이체 세포외 영역 또는 구역은 본 발명의 목적과 관련하여, 통상적인 세포 배양법을 이용하거나 DNA 재조합 또는 합성 또는 반합성법에 의해 제조하거나 분리시키는 것에 상관없이, sCD44 내부에 추가의 섹션으로 존재하며 전이특성을 종양에 부여하는 동물 또는 인체로부터 유래된 모든 이들 글리코프로테인을 의미한다.
용어 항체는 일가-또는 다가의 항체 및 폴리-및 모노클론성 항체, 및 또한 F(ab′)2, Fab′및 Fab 단편을 포함한 그의 단편 및 유도체, 및 또한 적어도 두개의 항원 또는 에피토프 결합부위를 갖는 키메릭 항체 또는 하이브리드 항체, 또는 이중 특이적 재조합 항체(예 : 퀘드롬스(quadromes), 트리옴스(triomes)), 종간 하이드리드 항체, 안티-이디오타입 항체 및 화학적으로 변성시켜 이들 항체의 유도체로 간주되어야 하며 공지의 방법으로 하이브리도마 기술 또는 항체 엔지니어링 또는 합성적 또는 반합성적 방법을 이용하여 항체 제조의 공지된 통상의 방법 또는 DNA 재조합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기술되고 정의된 vCD44에 대해 중화성 또는 결합성 특성을 갖는 항체를 의미한다.
다음은 연구예로 주어진 여러가지 참고문헌이다 :G. & MILSTEIN, C., Nature 256, 495-497, 1975; BIOCCA, S. et al., EMBO J. 9, 101-108, 1990; BIRD, R. E. et al., Science 242, 423-426, 1988; BOSS, M.A. et al., Nucl. Acids Res. 12, 3791-3806, 1984; BOULIANNE, G.L. et al., Nature 312, 643-646, 1984; BUKOVSKY, J. & KENNETT, R. H., Hybridoma 6, 219-228, 1987, DIANO, M. et al., Anal. Biochem. 166, 223-229, 1987; HUSTON J.S.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5, 5879-5883, 1988; JONES, P.T. et al., Nature 321, 522-525, 1986; LANGONE, J.J. & VUNAKIS, H.V.(Editor), Methods Enzymol. 121, Academic Press. London, 1987; MORRISON, S.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1, 6851-6855, 1984; OI, V. T. & MORRISON, S.L., BioTechniques 4, 214-221, 1986; RIECHMANN, L. et al., Nature 332, 323-327, 1988; TRAMONTANO, A.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3, 6736-6740, 1986; WOOD, C.R. et al., Nature 314, 446-449, 1985.
vCD44의 에피토프에 대한 폴리클론성 항체의 제조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 예를들어, 이 목적을 위해서 여러 동물에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자연 발생된 것이나 DNA 재조합 또는 합성법으로 수득될 수 있는 vCD44 또는 그의 단편을 주사하여 면역시킬 수 있으며, 목적 폴리클론성 항체는 생성된 혈청으로부터 수득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정제시킨다. 다른 방법으로는, 원상태의 세포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아쥬반트(adjuvant)가 또한 면역화에 선택되는 동물에 따라서, vCD44 투여에 대한 면역 반응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아쥬반트의 예에는 프로인트(Freund)의 아쥬반트, 수산화 알루미늄과 같은 미네랄겔, 폴리아니온(polyanion)과 같은 계면활성제, 펩타이드, 오일 유제, 해모시아닌, 디니트로페놀 또는 리소레시틴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 바람직한 vCD44의 에피토프에 대한 모노클론성 항체는 세포주를 배양함으로써 항체를 제조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어떤 기술에 의해서나 제조될 수 있다. 이들 공지의 기술에는, 예를들어,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사용하는 방법(G. & MILSTEIN, C., 1975, loc. cit., 또는 TAGGART & SAMLOFF, Science 219, 1228-1230, 1983) 또는 인체 B 세포 하이브리도마를 사용하는 방법(KOZBOR et al. Immunology Today 4, 72-79 1983)이 포함된다. vCD44에 대한 키메릭 항체는, 예를들어 마우스 항원 결합영역 및 인체 일정구역에서부터 함께 생성될 수도 있다(MORRISO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1, 6851-6855, 1984; TAKEDA, et al., Nature 314, 452-454, 1985).
항체는 공지의 방법, 예를들어 면역 흡착 또는 면역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HPLC(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해 또는 그의 혼합방법으로 정제할 수 있다. 분자의 이디오타입(idiotype)을 함유하는 항체 단편은 공지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F(ab′)2단편은 완전한 폴리- 또는 모노클론성 항체의 펩신 분해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Fab′단편은 예를들어 결합된 Fab′단편의 디설파이드 결합을 환원시켜 수득될 수 있으며 Fab 단편은 예를들어, 항체 분자를 파파인 및 환원제로 처리시켜 수득될 수 있다.
어떤 공지의 방법이라도 vCD44의 에피토프와 반응하는 항체, 그의 단편 또는 유도체의 확인 및 선택에 사용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예를들어 이들 항체가 이들이 vCD44가 분리되거나 정제된 vCD44에 결합하려할시 적합한 라벨링 후에 또는 예를들어 폴리아그릴아미드 겔을 이용하여 정제된 vCD44를 면역 침전시켜 측정할 수 있다는 사실, 또는 vCD44에 대한 항체가 vCD44에 결합하는 기타 vCD44 항체와 경쟁한다는 사실이 기초가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항체 제조를 위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의 용도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용도를 위한 제제 및 본 발명에 따른 용도를 위한 제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면역억제 및 자가면역 질환을 위한 모노클론성 항체의 일반적 용도 및 치료목적을 위한 하이브리드 항체의 일반적인 용도 및 DNA 재조합으로 제조한 항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참고문헌[Progress in Allergy Vol. 45 “Monoclonal antibody Therapy”, 1988 및 the work of SEAMAN, W.E. et al., Amm. Rev Med. 39, 231-241 1988]에 기술되어 있다.
동물(예 : 랫트) 및 인체 모두에서 vCD44 내의 추가 영역은 물질 매개변수 DNA 및 아미노산 서열, CD44를 코딩하는 완전 유전자내에서의 위치) 및 그의 제조에 대해 모든 것이 기술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 분야에 숙련된 사람이 이 기술내용을 이용하여 vCD44의 이 추가 세포의 영역상에 위치한 각 에피토프에 관한 상기 정의에 따라 특정의 목적 항체 또는 모노클론성 항체를 제조하여 이것을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의 용도는 특정의 특이 항체와 이들을 생산하는 하이브리드 세포주에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들어, mAb 1.1ASML에 의해 인지되는 에피토프는 아미노산 서열 E-E-A-A-T-Q-K-E-K-E-W 또는 Glu Glu Ala Ala Thr Gln Lys Glu Lys Trp(제4(a)도)로 정확하게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이들 항체, 그의 단편 및 유도체의 용도는 선행기술에 기술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종류의 항체를 가진 제제는 동물 및 인체의 면역 조절성 질병 및 질환에서 이의 방지 또는 예방(prophylaxis), 조절, 진단 또는 치료를 위해 사용된다.
그들의 면역 억제 활성의 견지에서, 지정된 항체 또는 그들을 함유하는 제제는 면역 반응의 일시적 또는 영구적 감소 또는 억제를 필요하는 질환 및 상태를 방지하고 치료하는데 적합하다. 특히 이들의 용도는 림프구 또는 세포독성 T-세포 및/또는 면역세포의 증식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예를들어 류마티스형 질환, 다발성 경화증,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자가면역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거나, 신장, 심장, 폐, 골수, 지라, 피부 또는 각막과 같은 이식된 조직 또는 기관에 대한 거부 반응, 혈관 주사하는 동안 또는 후에서의 원치않는 반응, 알레르기성 질환 특히 위장관계에 영향을 주며 염증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것, 또는 습진성 피부염, 담마진, 혈관염 및 경피증과 같은 염증성, 증식성 및 과증식성 질환 및 면역성 질병의 피부증상을 예방하는 것까지 확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도는 CD44 변이체 부분(vCD44)에 대한 항체가 생체내 및 시험관내에서 T 세포-의존형 및 T-세포-독립형 면역 반응을 크게 감소시킨다는 예기치 않았던 발견이 기본이 되었다. 상기 기술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항체, 그의 단편 또는 유도체가 체액성 면역 반응 뿐만 아니라 증식 및 세포독성 T-세포의 활성에 필수적인 것으로 추정되는 vCD44의 활성을 중화시킨다는 사실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이들 항체를 이용하여 투여할 항체 제제의 적용 양, 투여기간 및 특성에 따라 강도 및 기간을 조절할 수 있는 목표한 방식으로 면역 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상기 서술된 질병, 질환 및 상태에, 즉 동물 또는 인체에서 면역억제를 획득하는 것이 요구될 때에, 이들 항체를 임상학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치료될 질환 또는 질병의 특성 및 원인 또는 동물 또는 인체에 미친 상태에 따라 항체 제제를 문제된 조직 또는 기관에 전신적으로, 국부적으로 또는 국소적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신적 작용은, 예를들어 전신의 자가면역 질환 또는 알레르기 또는 거대 이종기관 또는 조직의 이식의 경우와 같이 다양한 기관 또는 기관계의 치료가 필요할 시에 바람직하다. 이와 반대로 피부 또는 각막의 소규모 이식 또는 국부의 피부염의 경우와 같이 면역학적 현상의 국부 발현만이 치료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국부적 효과가 고려될 수 있다.
해당 항체는 이 분야에 숙련된 사람에게 알려진 장내 또는 비경구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전신투여를 위해서, 예를들어 물질을 정맥내, 혈관내,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경구 또는 척추내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더욱더 국부적인 투여는 피하, 피내, 심장내, 엽내, 수질내 또는 폐내 경로에 의해서나 치료할 조직(결합, 골, 근육, 신경, 상피 또는 뼈조직)내로 수행될 수 있다. 필요한 면역 억제 활성의 지속기간 및 정도에 따라 항체제제가 일일 1회 또는 수회, 및 간헐적으로, 수일, 수주일 또는 수개월에 걸쳐서 다양한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서술된 투여형에 적합한 항체제제를 제조하기 위해, 이 분야에 숙련된 사람에게 공지된 주사용의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용액이 멸균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주사 또는 주입용 용액은 공지의 등장성 수용액, 예를들어 생리식염수 또는 감마글로블린이 없는 상응하는 혈장 단백질 용액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제제는 또한 사용하기 직전에 멸균 조건하에서 공지의 주사용 용액중의 하나로 재구성할 수 있는 동결건조되거나 건조된 제제형, 예를들어 키트 부품형으로 될 수 있다. 주사, 주입 또는 관류용의 즉시 사용형 항체 제제를 수득하기 위해서는, 상기 주어진 정의에 따라 공지방법으로 정제된 항체를 공지의 담체 또는 아쥬반트(예 : 혈청 알부민, 덱스트로즈, 나트륨 바이설파이트 또는 EDTA)가 임의로 보충될 수 있는 특정한,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용액중의 하나와 혼합한다.
투여할 항체의 양은 치료할 병 또는 질병의 특성 및 중증도 또는 영향받은 상태 및 해당되는 환자(동물 또는 사람)에 따라 변한다. 그러나, 기준으로는 면역억제가 어떤 정도로 크게 얼마나 오랜 기간에 걸쳐 이루어지는지에 따라 목적하는 효과를 성취하기 위해 1일 0.01 내지 20mg 및 더 오랜 기간(일, 주, 달)에 걸쳐서는 1일에 체중 1kg 당 0.1 내지 100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다른 항체 또는 모노클론성 항체에 통상적인 것으로서 용량은 복용 단위체당 항체 1 내지 1000m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mg의 범위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랫트에서의 vCD44의 특정화]
랫트에서의 vCD44 글리코프로테인 및 이것을 코딩하는 DNA 서열을 특정화하는 방법 및 수단은 문헌[U.et al., Cell 65, 13-24, 1991]에 충분히 기술되어 있으며, 이 참고문헌은 그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헌에 기술된 설명을 더 자세히 설명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이 문헌이 실시예 1의 구성부로 완전한 것이 될 수 있다.
[실시예 2]
[인체에서의 vCD44의 특정화]
2.1 랫트, 마우스 및 인체간에 동종인 vCD44 서열의 확인
게놈(Genomic) DNA는 공지의 방법(T. MANIATIS, E.F. TRITSCH, J. SAMBROOK in :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1982, Clod Spring Harbor)에 따라 랫트의 간, 마우스의 L-세포 및 인체 흉부 암세포주 T47D(ATCC No. HTB133)로부터 분리하였다. 이것의 10μg을 표준방법으로 EcoRI에 의해 완전히 분해시키고 랫트에서의 변이체 CD44 구역의 pMeta-1의 941 내지 1108 위치의 cDNA 섹션으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화 프로브와의 후속 크로스하이드리드화를 위해 제조하고(U.et al, Cell 65, 13-24, 1991), 공지의 방법으로 DNA : DNA 사우던(Southern) 하이브리드화를 위해 제조하고 여과기에 고정시킨다. 하이브리드화는 6xSSC 중, 65℃에서 밤새 수행한다. 여과기를 65℃에서 세척 완충액(2xSSC, 0.1% SDS)으로 30분동안 3회 세척한 다음 마지막으로 0.5xSSC, 0.1%SDS로 1회 세척한다. 인체, 랫트 및 마우스에서 DNA 단편들은 서로서로 명백하게 동종인 것으로 밝혀졌다(제1도).
2.2 인체 종양세포에서의 vCD44 서열 발현
배양조건 및 특성이 문헌[G. BEPLER et al., J. Cancer Res. 및 Clin. Oncol. 113, 31-40, 1987; G. BEPLER et al., Differentiation 37, 158-171, 1988; H.-H. HEIDTMANN et al., Cancer Res. 49, 6960-6965, 1989)에 기술되어 있는 공지의 폐암 세포주 SCLC18, SCLC24, EPLC32M1, CH3LC, LCLC97, LCLC103으로부터 노던 블럿팅(Northern blotting)에 의한 RNA 하이브리드화를 위해 폴리(A)+RNA 3μg을 제조한다. 겔내에서 에티듐 브로마이드-염색된 RNA로 “블럿팅”하기 전에 동량의 RNA를 겔에 적용시키거나 각 궤도에 존재하도록 설정한다. 폴리(A)+RNA 제조, 그의 변성(denaturing) 및 블럿팅 및 RNA 블럿 분석의 기타 방법은 문헌[U.et al., 1991, loc. cit.]에 따라 수행한다. 하이브리드화에 사용된 pMeta-1의 변이체 CD44 구역으로 부터의 프로브 A는 상기 2.1에 기술된 바와 동일하다. 문헌[U.et al., 1991. loc. cit.]에 게재된 구역을 vCD44의 하부에 위치한 pMeta-1의 정상 CD44 구역로부터 유래한 프로브 B로 선택한다. 제2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대형 세포 폐암의 인체 세포주 LCLC97은 랫트에서의 vCD44의 프로브 A와 동종인 서열을 발현하였다. 프로브 B(랫트에서의 정상적인 sCD44 구역)에 관하여, sCD44의 명확한 하이브리드화 시그날 또는 발현은 또한 다른 세포주에서도 검출될 수 있었다. 세포주 SCLC18 및 SCLC24는 두개의 프로브에 대해 음성이었다. 랫트 세포주 BSpAS(비전이) 및 BSpASML(전이)의 RNA가 비교 목적으로 사용되었다(제2도, 궤도 7 및 8).
2.3 인체에서의 CD44 변이체 분리 및 특정화
공지의 방법(M. SCHWAB et al., Nature 303, 497-501, 1983)으로 공지의 세포주 SW260, HT29(ATCC, Nos. CCL227 및 HTB38로부터 수득할 수 있음), LCLC97(2.2에 기술됨), HPKII[문헌(P. BOUKAMP et al., J. Cell Biol. 106, 761-771, 1988)에 기술된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주] 및 MeWo(흑색종 세포주, T.E. CAREY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73, 3278-3282, 1976)으로부터 폴리(A)+RNA를 분리하고 계속해서, PCR 증폭을 위해 AMV-역전사효소(20단위)를 사용하여 단일 스트랜드(strand) DNA로 전사시킨다.
PCR 증폭을 사용한 cDNA의 제조는 정상 인체 CD44 cDNA 서열로 부터 두개의 프라이머 및, 더욱 특히 513 내지 540 및 900 내지 922 위치를 나타내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I. STAMENKOVIC et al., Cell 56, 1057-1062, 1989)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이러한 선택은 전이-특이적 엑스트라 서열의 삽입이 랫트에서 이들 위치 사이에서 발견되기 때문이다(U. GUNTHERT et al., 1991. loc. cit.). 60 사이클 후에 PCR이 완결되며 수득한 DNA 생성물은 공지의 방법(T. MANIATIS et al., 1982, loc. cit.)에 따라 아가로즈 겔 전기영동(1% 아가로즈, 시그마)으로 분리하고 에티듐 브로마이드로 염색시킨다. “정상” CD44 RNA 발현(sCD44)과 관련하여, 이들 프라이머를 사용하는 경우에 cDNA 440bp 길이의 cDNA(크론닝을 위한 제한 위치를 포함)가 수득되었으며, 이것은 이들 RNA(MeWo 및 SW620 세포)의 발현에 대해 예상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외의 다른 세포주로부터의 RNA에 의해 동일한 길이의 밴드가 발견되었지만, 이와 더불어 더 큰 PCR 생성물(cDNA)가 존재하였다. 850bp 길이를 갖는 주요한 단편은 HT29 및 LCLC97 세포에 의해 수득되었다. HPKII 세포에서는 440bp 밴드와는 별도로 가장 강한 밴드는 1.5kb 길이의 구역에서 발견되었다. 이들 발견물은 제3도에 나타내었다.
PCR 증폭으로부터 수득한 모든 cDNA를 벡터 pT7T3-19(BRL, Gibco)내에 크론닝시킨 다음 표준방법을 이용하여 서열화시켰다. MeWo 세포 및 SW60의 클론은 정상 CD44(sCD44) 서열을 함유하였다(I. STAMENKOVIC et al., 1978, loc. cit.).
PCR에 의해 LCLC97 세포로부터 수득되고 pT7T3-19 내에 크론닝된 가장 긴 cDNA의 전체 변이체구역의 DNA 및 아미노산 서열은 제4(a)도에 나타내었다. 변이 섹션은 “정상” sCD44 RNA의 뉴클레오티드 위치 782과 783 사이에 삽입된 1014bp(또는 338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다. 이 변이 구역의 서열은 가장 큰 클론(LCL97로부터)의 정확하게 정의된 영역을 포함하는 더 작은 PCR 생성물의 발견에 따라 5개의 섹션 또는 영역으로 분할된다. 이러한 클론의 다양한 세포주로부터의 분리가 재현될 수 있다는 사실에 비추어 LCLC97 세포주의 이들 5개의 영역 DI 내지 DV(제4(a)도)는 차등한 RNA 스폴리싱 방법을 이용하여 PCR 클론이 유래되는 RNA를 생산하는 5개의 상이한 엑슨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영역의 존재는 랫트 종양세포주에서 동일한 상태의 현상이 발견됨으로 확인되었다.
제4(b)도는 LCLC97에서 나타나는 상황의 도식이다. LCLC97 세포에서의 가장 긴 스플리스 생성물과 동종인 cDNA 클론은 공지의 방법(U.et al., 1991, loc. cit.)에 따라 PCR을 사용하여 전이 랫트 종양세포주 BSpASML로부터 분리된다. 제4(a)도는 이로부터 유도한 아미노산 서열과 인체 클론(LCLC97로부터)의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한 것이다. 이들 변이체 서열의 삽입위치는 3가지의 아미노산에서 상이하다(아미노산 위치는 인체에서는 222이고 랫트에서는 226임). 랫트에서의 상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영역 I은 83%, 영역 II는 83%, 영역 III은 77%, 영역 IV은 82% 및 영역 V는 66%의 동종성을 나타낸다.
전이 가능성을 종양에게 부여하는, 제4(a)도에서의 LCLC97에 상응하는 랫트 cDNA(U. GUNTHERT et al., 1991, loc. cit.)은 아미노산 258 내지 420을 포함하며 영역 II 및 III을 코드한다. 이들 두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클론 pMeta-1의 cDNA로부터 유래된 BSp73ASML 특이적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U.et al., 1991, loc. cit.,에 기술됨]과 동일하다.
[실시예 3]
[vCD44에 대해 작용하는 모노클론성 항체 1.1ASML의 면역 억제 활성]
3.1 체액성 면역 반응에 대한 안티-vCD44(1.1ASML)의 효과]
모노클론성 항체 1.1ASML 200μg을 항원 투여와 동시에 BDX 랫트에 정맥내 주사한다. 투여한 T-세포-독립형 항원은 2,4,6 -트리니트로페닐-피로폴리삭카라이드(TNP-LPS) 50μg으로 이루어지며(J. M. FIDLER, Cellul. Immunol. 16, 223, 1975) T-세포 의존형 항원은 합텐-단백질 컨쥬게이트 2,4,6-트리니트로페닐 말 적혈구(TNP-HRBC) 5×108세포로 구성되고(M. B. RITTENBERG, Proc. Soc. Exp. Biol. Med. 132, 575-581, 1969), 복강내로 투여하여 랫트를 면역화시킨다. 항원-특이적 플라그를 형성하는 세포의 수는 2,4,6-트리니트로 페닐과 양의 에리트로사이트(양의 적혈구; TNP-SRBC) 및 HRBC(말의 에리트로사이트 또는 말 적혈구)와의 표적 세포 컨쥬게이트를 사용하여, 항원의 투여 또는 1.1ASML의 주사후 3일 및 5일만에 측정하였다. PFC는 용혈성 플라그 분석법(N. K. JERNE & A. A. NORDIN, Science 140, 405, 1963)을 변형시킨 방법(M.& G. ANDIGHETTO, Cellul. Immunol. 89, 310, 1984)에 따라 측정하였다. 면역시킨 랫트의 혈청의 안티-TNP 항체 양은 공지의 방법(M. ZOLLER, Scand. J. Immunol. 31, 619, 1990)으로, ELISA(E. ENGVALL & P. PERLMAN, J. Immunol. 109, 121, 1982)을 사용하여 정제된 안티-TNP 모노클론성 항체의 표준곡선과 혈청 적정곡선을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T-세포 독립형 항원 및 T-세포 의존형 항원 모두에 대한 면역 반응은 1.1ASML의 존재하에서 현저하게 감소되거나 억제되었다. 항원 특이적 PFC의 수는 대조-자극시킨 동물과 비교하여 8% 내지 21%로 감소되었으며 생성 혈청-항체 수준도 또한 억제되었다(표 1).
[표 1]
이들 데이타는 B-림프구의 자극을 단지 억제시키기만 하거나, 또는 B-및 T-림프구 모드를 차단시킴을 통해 항체 작용을 차단시킨다는 결론을 준다.
그러나, vCD44의 발현은 체액뿐만 아니라 세포의 면역 반응에도 필요하다.
3.2 T-림프구의 활성화에 대한 안티-vCD44의 효과
동종 자극의 효율은 면역화후 4일만에 시험관내에서 다시 새롭게 자극시킨 후에 T-세포의 증식을 결정함으로써 측정한다. 이 목적에 사용된 DA 랫트는 BDX 랫트에서부터의 5×107조사시킨 림프구(3000R)만으로 처리하거나 조사시킨 BDX 림프구와 더불어 1.1ASML(200μg)으로 처리한다. DA 랫트의 지라 및 림프 결절세포는 시험관내에서 조사시킨 BDX 림프구로 재자극시킨다. 5일후에 지라 및 림프 결절을 수거한다. 기관을 조심스럽게 분쇄하고 RPMI1640 15ml로 세척한 후에 세포를 L-글루타민(4mM), 항생물질(페니실린 34μM, 스트렙토마이신 32μM), 5×10-5M 2-머캅토에탄올, 10-3M 헤페스(HEPES) 완충용액 및 2% 가열-불활성화 랫트 혈청(RPMI-s)가 보충된 RPMI1640의 ml당 3×106세포로 조정한다. 세포 현탁액의 분취액을 U-형 웰(well)을 갖는 마이크로 적정판에서 3회 적정한다. 각 웰에는 100㎕의 RPMI-s 중의 1.5×105whtktlzls(3000R) BDX 림프구 및, 임의로 PRMI-s 1ml 당 10μg의 최종 농도로 단백질 A 세파로즈 4B 크로마토그래피(Pharmacia)로 정제한 모노클론성 항체 1.1ASML를 놓는다. 배양은 37℃에서 대기에 5% CO2가스를 가하여 72시간동안 항온 배양한다. DA 림프구의 증식은 배양을 끝내기 전의 8시간에 걸쳐 50μCi3H-티미딘의 첨가로 결정한다.
1.1ASML과 함께 동종 면역시킨 이들 랫트로부터 T-세포 및 지라세포의 증식의 측정가를3H-티미딘의 혼입은 이 항체의 부재하에 면역시킨 랫트 세포와 비교하여 급격하게 감소시킨다. 이 결과는 지라 세포 및 림프 결절세포가 이들 자체에 대한 동종세포로 재자극시켰거나 동종세포와 더불어 1.1ASML로 재자극시키거나 상관없이 그대로 유지된다(제5도).
3.3 세포독성 T-세포의 활성화에 대한 안티-vCD44의 영향
실시예 3.2의 T-세포 증식과 비교하여, 세포독성도는 동종 자극한지 7일만에 결정하였다. 세포독성 T-세포(CTL)의 숙성 및/또는 활성화하는 동안의 vCD44의 결여와 관련하여서는 실시예 3.2에서 수득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현상이 이루어졌다(제5도). 1.1ASML의 존재하에서는 세포 독성 T-림프구의 수가 극도로 감소되었다.(제6도)
실시예 3.2에서 기술된 바와같이 BDX 림프구로 면역시킨 DA 랫트로부터 면역후 7일만에 지라세포(DA 지라세포)를 수거하여 BDX 링크 아세포에 대한 세포독성도(제1CTL)에 대해 시험한다.
면역화 직후에 수득한 DA 지라세포를 RPMI-s ml당 1×107세포로 조절한다. 세포 현탁액의 분취액(효능자 세포, E)을 U-형 웰을 갖는 마이크로 적정판에서 적정하고 여기에다 표적 세포(표적세포, T, 1×104 51Cr-라벨된 BDX 콘카나발린(Concanavalin) A 림프아세포) 100㎕을 가한다. 37℃에서 6시간동안 배양한 후에 판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의 분취액을 분리하여51Cr의 방사능을 r-계수기로 측정한다. 제6도는 세개의 값을 평균하여 주어진 특이적 방사능의 평균 백분율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18)

  1. 제4(a)도에 나타내어진 서열을 갖는 포유류의 전이-특이적 변이체 CD44(vCD44) 표면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적어도 하나 함유하는, 포유류 유기체에서 면역억제를 획득하기 위한 약제학적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면역반응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억제시키기 위한 약제학적 제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면역조절성 질병 및/또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제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면역조절성 질병 및/또는 질환을 방지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학적 제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면역반응의 일시적이거나 지속적인 감소 또는 억제가 필요한 질환 및 상태를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제제.
  6. 제5항에 있어서,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제제.
  7. 제5항에 있어서, 알레르기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제제.
  8. 제5항에 있어서, 퇴행성, 염증성, 증식성 및/또는 과증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제제.
  9. 제8항에 있어서, 류마티스 형태의 질환, 다발성 경화증, 건선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제제.
  10. 제5항에 있어서, 조직 또는 기관의 이식시에 조직 및/또는 기관의 거부 반응을 방지하기 위한 약제학적 제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포유류 유기체가 인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항체가 모노클로날 항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항체가 적어도 정상 CD44 영역(sCD44) 이외에 추가로 존재하는 전이-특이적 vCD44 표면 단백질을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14. 제12항에 있어서, 모노클로날 항체가 아미노산 서열 E-E-A-A-T-Q-K-E-K-W로 정의되는 에피토프를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15.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항체가 그의 단편 또는 유도체이거나 키메릭 또는 하이브리드 항체, 안티-이디오타입 항체 또는 이중특이성 항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16.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즉시 사용형 용액, 재조제에 적합한 형태인 건조 제제, 또는 키트로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17. 제16항에 있어서, 장내 또는 비경구, 전신, 국부 및/또는 국소 경로로 투여하기 위한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주사, 주입 또는 관류에 적합한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KR1019920019468A 1991-10-23 1992-10-22 면역억제를 위한 항체-함유 제제의 용도 KR100252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134982.2 1991-10-23
DE4134982A DE4134982A1 (de) 1991-10-23 1991-10-23 Verwendung von antikoerper enthaltenden praeparationen zur immunsuppre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460A KR930007460A (ko) 1993-05-20
KR100252620B1 true KR100252620B1 (ko) 2000-09-01

Family

ID=6443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9468A KR100252620B1 (ko) 1991-10-23 1992-10-22 면역억제를 위한 항체-함유 제제의 용도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5951982A (ko)
EP (1) EP0538754B1 (ko)
JP (1) JPH05310596A (ko)
KR (1) KR100252620B1 (ko)
AT (1) ATE162079T1 (ko)
AU (1) AU659687B2 (ko)
CA (1) CA2081150C (ko)
DE (2) DE4134982A1 (ko)
DK (1) DK0538754T3 (ko)
ES (1) ES2111031T3 (ko)
GR (1) GR3026526T3 (ko)
HU (1) HU216020B (ko)
IL (1) IL103510A0 (ko)
NO (1) NO311965B1 (ko)
NZ (1) NZ244851A (ko)
TW (1) TW273514B (ko)
ZA (1) ZA9281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9458A (en) * 1992-11-13 1996-12-31 Thomas Jefferson University Compounds that inhibit T cell proliferation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WO1995000658A1 (en) * 1993-06-18 1995-01-05 Sirpa Jalkanen COMPOSITIONS AND DIAGNOSTIC METHODS USING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CD44v6
DE4326573A1 (de) * 1993-08-07 1995-02-23 Boehringer Ingelheim Int Durch Exon v5 des CD44-Gens kodierte Polypeptide als Targets für Immuntherapie und Immunszintigraphie von Tumoren
DE4431297A1 (de) * 1994-09-02 1996-03-07 Boehringer Ingelheim Int Monoklonaler Antikörper gegen CD44v6
DE19540515C1 (de) * 1995-10-31 1997-02-06 Boehringer Ingelheim Int Tumortherapie durch adoptiven Transfer CD44v-spezifischer zytotoxischer T-Lymphozyten
US6440733B1 (en) * 1996-02-15 2002-08-27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Monoclonal antibodies recognizing antigens on the surface of endothelial cells of tumor vessel
US6136311A (en) 1996-05-06 2000-10-24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Treatment and diagnosis of cancer
DE19652815C2 (de) * 1996-12-18 1999-11-11 Karlsruhe Forschzent Mittel zur Identifizierung und Therapie metastasierender Tumore
DE19653607A1 (de) 1996-12-20 1998-06-25 Boehringer Ingelheim Int Verfahren zur Diagnose und Therapie von Hodgkin-Lymphomen
DE19708713C2 (de) * 1997-03-04 2002-11-28 Boehringer Ingelheim Int Verwendung von anti-CD44 Antikörpern enthaltenden Präparationen zur Behandlung bestimmter Tumore und zur Unterdrückung von Immunreaktionen
IL121656A0 (en) * 1997-08-29 1998-02-08 Yissum Res Dev Co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abetes
US7534605B2 (en) 1999-06-08 2009-05-19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CD44 polypeptides, polynucleotides encoding same, antibodies directed thereagainst and method of using same for diagnos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US20040110933A1 (en) * 2002-09-13 2004-06-10 Dyax Corporation CD44-binding ligands
US9701754B1 (en) 2002-10-23 2017-07-11 City Of Hope Covalent disulfide-linked diabodies and uses thereof
CA2560200A1 (en) * 2004-03-17 2005-09-22 Academisch Ziekenhuis Bij De Universiteit Van Amsterdam Cd44-targeting for reducing/preventing ischemia-reperfusion-injury
EP1924606A4 (en) 2005-08-25 2010-01-13 Repair Technologies Inc DEVICE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TECTING AND REPAIRING CELLS AND TISSUE
ES2363891T3 (es) 2006-03-20 2011-08-1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nticuerpos contra el antígeno de células troncales de la próstata (psca) modificados genéticamente para el direccionamiento al cáncer.
WO2009032949A2 (en) 2007-09-04 2009-03-1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igh affinity anti-prostate stem cell antigen (psca) antibodies for cancer targeting and detection
WO2010058396A1 (en) 2008-11-19 2010-05-27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Ltd. A cd44vra antibody and diagnostic and therapeutic methods using same
EP2398504B1 (en) 2009-02-17 2018-11-28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s and kits for diagnosis of cancer and prediction of therapeutic value
WO2011069019A2 (en) 2009-12-02 2011-06-09 David Ho J591 minibodies and cys-diabodies for targeting human prostate specific membrane antigen (psma) and methods for their use
PT2886126T (pt) 2013-12-23 2017-09-13 Exchange Imaging Tech Gmbh Nanopartícula conjugada a péptidos de ligação a cd44
RU2017104284A (ru) 2014-07-15 2018-08-15 Йиссум Рисеч Девелопмент Компани Оф Зе Хебрю Юниверсити Оф Джерусалем Лтд. Выделенные полипептиды cd44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KR20180050321A (ko) 2015-08-07 2018-05-14 이미지냅 인코포레이티드 분자를 표적화하기 위한 항원 결합 구조체
US11266745B2 (en) 2017-02-08 2022-03-08 Imaginab, Inc. Extension sequences for diabodies
US11313243B2 (en) 2018-07-12 2022-04-26 Rolls-Royce North American Technologies, Inc. Non-continuous abradable coating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52236T2 (de) * 1987-08-11 1995-04-06 Univ Leland Stanford Junior Verfahren zur Kontrolle der Leukozyten-Extravasation.
DE4014510A1 (de) * 1990-05-07 1991-11-14 Kernforschungsz Karlsruhe Variante cd44-oberflaechenproteine, diese kodierende c-dna-sequenzen, antikoerper gegen diese proteine sowie ihre verwendung in der diagnostik und therapie
CA2059824A1 (en) * 1991-02-26 1992-08-27 Thomas M. Aune Hybridomas and monoclonal antibodies that inhibit anti-cd3-stimulated t cell proliferation
WO1995000658A1 (en) * 1993-06-18 1995-01-05 Sirpa Jalkanen COMPOSITIONS AND DIAGNOSTIC METHODS USING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CD44v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38754A2 (de) 1993-04-28
DE4134982A1 (de) 1993-04-29
IL103510A0 (en) 1993-03-15
EP0538754B1 (de) 1998-01-14
DE59209129D1 (de) 1998-02-19
ZA928162B (en) 1993-05-05
GR3026526T3 (en) 1998-07-31
ATE162079T1 (de) 1998-01-15
KR930007460A (ko) 1993-05-20
CA2081150A1 (en) 1993-04-24
JPH05310596A (ja) 1993-11-22
HUT63063A (en) 1993-07-28
AU659687B2 (en) 1995-05-25
TW273514B (ko) 1996-04-01
CA2081150C (en) 2001-04-10
NO924103L (no) 1993-04-26
ES2111031T3 (es) 1998-03-01
EP0538754A3 (en) 1994-05-25
US5951982A (en) 1999-09-14
AU2724492A (en) 1993-04-29
DK0538754T3 (da) 1998-03-30
HU216020B (hu) 1999-04-28
NO924103D0 (no) 1992-10-22
NO311965B1 (no) 2002-02-25
NZ244851A (en) 199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2620B1 (ko) 면역억제를 위한 항체-함유 제제의 용도
JP4113929B2 (ja) アンチcd6モノクロナール抗体とその利用
US7910097B2 (en) Common lymphatic endothelial and vascular endothelial receptor-1 (CLEVER-1) and uses thereof
JP2001502325A (ja) 免疫調整の方法および組成物
CA2900172C (en) Negative immunomodulation of immune responses by erp5
MXPA01005515A (es) Anticuerpos humanizados para gamma-interferon.
WO2019095358A1 (zh) 一种靶向cd47与pd-l1的双功能融合蛋白
US20130028835A1 (en) Method for generating active antibodies against a resistance antigen, antibodies obtained by said method and their uses
EP1004312A1 (en) Method for treating multiple sclerosis
KR102159412B1 (ko) 염증 질환 치료제
JP2002519303A (ja) 脂質動員性を有する糖タンパク質およびその治療的適用
RU2714205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и/или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злокачественной опухоли
EP0569141A2 (en) Methods of inhibiting the growth of multidrug resistant tumors with an antibody
TW201206476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rheumatoid arthritis with anti-IL-19 antibody
JPH03502446A (ja) 動物およびヒトのレクチン類の少なくとも一部分の配列を再現するアミノ酸配列,それを得る方法,およびその診断および治療への用途
US5719268A (en) Endo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s
JP2001506993A (ja) 転移性腫瘍の同定および治療用組成物
TW202305006A (zh) 與cd47及pd—l1特異性結合的雙特異性抗體
EP0668923B1 (en) Monoclonal antibody
JPH11310537A (ja) 温熱療法及び薬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