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2415B1 - 물품을일시적으로저장하고다발로방출하는장치 - Google Patents

물품을일시적으로저장하고다발로방출하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2415B1
KR100252415B1 KR1019970048486A KR19970048486A KR100252415B1 KR 100252415 B1 KR100252415 B1 KR 100252415B1 KR 1019970048486 A KR1019970048486 A KR 1019970048486A KR 19970048486 A KR19970048486 A KR 19970048486A KR 100252415 B1 KR100252415 B1 KR 100252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s
loading
carrying member
article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8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910A (ko
Inventor
모리스 르메리끄
Original Assignee
르메리끄 모리스
씨에람 에스.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메리끄 모리스, 씨에람 에스. 에이. filed Critical 르메리끄 모리스
Publication of KR19980024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B65G47/0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spacing or grouping the articles during feeding
    • B65G47/08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spacing or grouping the articles during feeding grouping articles in r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65G47/51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 B65G47/510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 B65G47/5109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first In - First Out systems: FIFO
    • B65G47/5113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first In - First Out systems: FIFO using endless conveyors
    • B65G47/5118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first In - First Out systems: FIFO using endless conveyors with variable accumulation capacity
    • B65G47/5122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first In - First Out systems: FIFO using endless conveyors with variable accumulation capacity by displacement of the conveyor-guiding means, e.g. of the loose pulley-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llation Of Sheets And Webs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형상의 물품(2)을 적재하고 이어서 이들 물품을 다발로 방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다각형상의 폐쇄궤도를 형성하며 이 궤도상의 방향(C1,C2)을 따라 그 진행을 안내하고 구동시키는 회전장치(6~10)와 공조하는 한편, 물품 수용수단(5A)을 구비하는 유연한 운반부재(5)와; 이 운반부재(5) 상에 물품(2)을 적재하는 적재부(P1)와; 이 운반부재(5)의 직선형상부(5B,5C)에 적재된 물품다발을 꺼내는 방출부(P2,P3)와; 적재부 및 방출부(P1,P2,P3)로의 운반부재(5)의 진행을 제어하는 구동제어수단(15A,15B); 및, 상기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제어장치(1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물품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다발로 방출하는 장치
본 발명은 적재부에 배달되는 물품, 특히 판형상 물품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이어서 이들 물품을 다발로 방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포장을 위해 묶음 방식으로 다발처리하기 위하여 예컨대 위생제품 등의 판형상 물품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부에서 물품들을 계속 저장하는 동안에 적어도 두 개의 독립된 부분에서 물품 다발들을 방출하여, 적재부의 전단에 있는 물품제조기의 생산리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포장기계에 의해 자동으로 처리될 물품 다발들은 방출부들중 한 곳에서 수집될 수 있으며,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물품 다발들이 특히 수동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다른 방출부에서 수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예컨대 제조기로부터 보내지는 물품다발들을 포장하는 장치가 멈춘 경우에, 필요하다면 단지 하나의 물품다발들만을 제조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치 2 : 물품
3 : 물품다발 5 : 운반부재
5A : 수용수단 5B~5F : 직선형상부
6~10 : 회전장치 15A~15C : 구동제어수단
16 : 기능제어장치 17,18 : 병진안내수단
P1 : 적재부 P2~P4 : 방출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청구항에 기재된 구성을 구비한다. 특히,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운반부재(5)의 두 개의 인접 직선형상부(5B,5C) 즉 동일 회전장치(6,9)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인접 직선형상부(5B,5C)의 떨어져 이격된 끝부분들에 각각 배치된 회전장치(8,10)는, 상기 인접 직선형상부(5B,5C)의 연장방향(D1,D2)에 대략 평행한 방향(D1A,D2A)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또한 이 회전장치(8,10)와 협동하는 다른 인접 직선형상부(5C,5D; 5B,5F)의 모서리에서 병진안내수단(17,18)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인접 직선형상부(5B,5C)에 장력을 초래하는 이동방향(S1,S2)으로 적어도 탄성적으로 압력이 가해진다. 그리고 상기 두개의 인접 직선형상부(5B,5C)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회전장치(6,9)와 그리고 다른 적어도 하나의 회전장치(7)는 구동제어수단(15A~15C)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결합된다. 물품다발을 방출하는 적어도 두 개의 독립적인 방출수단(P2A~P4A)은 인접 직선형상부(5B,5C)의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물품다발을 운반부재(5)로부터 빼내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도에는, 물품들(2) 특히 판형상 물품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이어서 다발(3)로 이들 물품들을 방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1)는, 프레임(미도시)에 추가하여, 대략 수평면에서 폐쇄된 운반루프를 구성하되 소정의 다각형 경로를 따라 한 방향(C1 또는 C2)으로 그 운동을 안내하고 구동시키는 회전장치(6~10)와 공조하며 그리고 물품들을 수용하는 수단(5A)을 지지하는 유연한 운반부재(5);와, 적어도 하나의 적재수단(P1A)을 구비하여 운반부재(5)에 물품들(2)을 적재하는 적재부(P1);와, 운반부재(5) 상에 적재된 물품(2) 다발을 운반부재(5)의 직선부분(5B,5C)에서 꺼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출수단(P2A~P4A)을 구비하는 방출부(P2~P4);와, 적재부와 방출부(P1~P4)로의 운반부재(5)의 진행을 제어하는 구동제어수단(15A~15C);과, 장치의 기능 즉 구동제어수단(15A~15C)과 그리고 적재부와 방출부(P1~P4)를 제어하는 기능제어장치(16);를 적어도 구비한다.
회전장치(6~10)는 유연한 운반부재(5)가 다각형의 측변을 따라 배치되는 별개의 대략 직선형상부(5B~5F)를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회전장치(8,10)는 운반부재(5)의 두개의 인접하는 직선형상부들(5B,5C), 즉 교차하는 방향(D1,D2)으로 연장되며 동일 회전장치(6,9)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인접 직선형상부들(5B,5C)의 떨어져 이격된 끝부분들에 설치되는데, 이 회전장치(8,10)는 각각 인접 직선형상부(5B,5C)의 연장방향(D1,D2)에 대략 평행한 방향(D1A,D2A)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또한 이 회전장치(8,10)와 협동하는 다른 인접 직선형상부(5C,5D; 5B,5F)의 모서리에서 병진안내수단(17,18)에 의해 지지되며, 그리고 이 인접 직선형상부(5B,5C)에 장력을 초래하는 이동방향(S1,S2)으로 적어도 탄성적으로 압력이 가해진다. 상기 두 개의 인접 직선형상부(5B,5C)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회전장치(6,9)와 그리고 다른 적어도 하나의 회전장치(7)는 적재부와 방출부(P1~P4)로의 운반부재(5)의 진행을 제어하기 위하여 그 회전에 대하여 적어도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구동제어수단(15A~15C)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결합된다. 물품다발을 방출하는 적어도 두 개의 독립적인 방출수단(P2A~P4A)은 인접 직선형상부(5B,5C)의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물품다발을 운반부재(5)로부터 빼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적 특징으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특징으로부터 적재부에서 다른 물품을 계속 저장하는 동안 적어도 두 개의 독립된 방출부(P2~P4)에서 물품다발(3)을 제조할 수 있고, 따라서 적재부의 전단에 있는 물품제조기(미도시)의 생산리듬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장기계(미도시)에 의해 자동적으로 처리될 물품다발(3)은 방출부(P2~P4)중 하나(제1도의 P2 또는 제2도의 P3)에서 수집하고, 다른 물품다발(3)은 특히 수동처리하기 위해 다른 방출부(제1도의 P3, 제2도의 P2,P4)에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운반부재(5)와 협동하는 회전장치(6,7,9)의 회전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구동제어수단(15A~15C)중 적어도 몇 개는 쌍방향 회전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운반부재(5)와 협동하는 회전장치(6,7,9)의 회전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구동제어수단(15A~15C)중 적어도 몇 개는 각 회전장치(6,7,9)의 회전구동 및 회전정지조작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특히 운반부재(5)는 쌍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장치(1)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 방법은, 적어도 두 개의 연속하는 방출부(P2~P4), 즉 운반부재(5)가 통과하는 진행하는 진행방향으로 연속하는 방출부에서 각각 소정 개수의 물품으로 이루어진 물품다발(3)을 꺼낼 수 있도록, 적재부(P1)의 단으로 운반부재(5)를 진행시켜 이 운반부재(5)에 연속하는 방출부의 물품다발(3)을 구성하는 물품수의 합과 적어도 같은 개수의 물품을 적재하고, 그리고 소정 개수의 물품이 적재된 운반부재(5)가 각각의 방출부(P2~P4)로 이동하는 동안 해당 방출부의 단에서 그 물품다발을 꺼내기 전에 운반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이 방출부에 이어지는 복수의 방출부에서 꺼내어질 물품다발을 구성하는 물품수의 합과 적어도 같은 개수의 물품이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적재부(P1)의 단에서 운반부재(5)에 소정 개수의 물품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회전장치(6,7,9)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구동시키고, 적어도 운반부재에 소정 개수의 물품이 완전히 적재될 때까지 다른 모든 회전장치의 회전구동을 해제한다.
적어도 소정의 방출부까지 운반부재를 이동시켜 소정의 방출부(P2~P4)에서 소정 개수의 물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소정 개수의 물품을 방출부(P2~P4)로 이동시키고, 꺼내어질 물품이 팽팽하게 유지되어 있는 운반부재의 인접 직선형상부 사이의 회전장치(6,7,9)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정지시켜 운반부재를 정지시키고, 그리고 방출부(P2~P4)에 운반부재가 정지하고 있는 동안 물품을 꺼내고, 필요하다면 적재부(P1)에서 물품을 계속 적재한다. 물품다발을 꺼내는 동안에 적재부가 동작을 계속하는 경우, 병진안내수단(17,18)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장치(8,10)중 적어도 하나가 운반부재의 인접 직선형상부(5B,5C)의 방향(D1,D2)에 대략 평행한 방향(D1A,D2A)을 따라 병진이동된다.
그 결과, 당업자는 물품다발이 방출되는 동안 내내 적재부(P1)로 운반부재가 이동되는 것이 보장되도록 제공되어야만 하는 병진안내행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물품(2)의 다발(3)이 방출되고, 병진안내되는 회전장치(8,10)중 적어도 하나가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병진이동되는 경우, 이 병진이동된 회전장치(8,10)가 탄성복귀수단의 영향하에서 제1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하여, 이동된 상기 회전장치(8,10)의 위치를 감시하는 한편, 이 회전에 대하여 적어도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구동제어수단(15A~15C)의 영향을 받고 있는 회전장치(6,7,9)의 회전속도를 선택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상기 제1위치로의 복귀가 서서히 행해지도록 한다.
장치(1)의 기능, 즉 운반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수단(15A~15C)과 적재부 및 방출부를 제어하는 방법은 기능제어장치(16)로 실현된다.
이 기능제어장치(16)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즉, 기능제어장치(16)는 연속하는 방출부의 물품다발을 구성하는 물품수의 합과 적어도 같은 개수의 물품을 운반부재(5)에 적재할 수 있도록 운반부재(5)의 진행을 제어하는 구동제어수단(15A~15C)과 그리고 적재부(P1)를 제어하는 제1제어수단(M1); 및, 운반부재(5)가 소정 개수의 물품다발(3)을 방출하는 각 방출부(P2~P4)를 향해 진행하는 동안에 각 방출부의 단에서 물품다발을 꺼내기 전에 운반부재의 진행방향(C1,C2)을 따라서 이 방출부에 이어지는 방출부들의 물품다발을 구성하는 물품수의 합과 적어도 같은 개수의 물품이 통과하도록 운반부재(5)의 진행을 제어하는 수단(15A~15C)과 그리고 방출부들을 제어하는 제2제어수단(M2);을 구비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는, 적재부에서 물품들을 계속 저장하는 동안에 적어도 두 개의 독립된 부분에서 물품 다발들을 방출함으로써, 적재부의 전단에 있는 물품제조기의 생산리듬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제조기로부터 보내지는 물품다발들을 포장하는 장치가 멈춘 경우에, 필요하다면 단지 하나의 물품다발들만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3)

  1. 특히 판형상의 물품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이어서 이 물품을 소정 개수의 다발(3)로 방출하는 장치로서,
    대략 수평면에서 폐쇄된 운반루프를 구성하되 소정의 다각형 경로를 따라 한 방향(C1,C2)으로 그 운동을 안내하고 구동시키는 회전장치(6~10)와 공조하며 그리고 물품들을 수용하는 수단(5A)을 지지하는 유연한 운반부재(5);와, 적어도 하나의 적재수단(P1A)을 구비하여 상기 운반부재(5)에 물품(2)을 적재하는 적재부(P1);와, 상기 운반부재(5)에 적재된 물품(2) 다발을 상기 운반부재(5)의 직선형상부(5B,5C)에서 꺼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출수단(P2A~P4A)을 구비하는 방출부(P2~P4);와, 적재부와 방출부(P1~P4)로의 운반부재(5)의 진행을 제어하는 구동제어수단(15A~15C);과, 장치의 기능 즉 상기 구동제어수단(15A~15C)과 그리고 적재부와 방출부(P1~P4)의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제어장치(16);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장치(8,10)는 운반부재(5)의 두개의 인접하는 직선형상부들(5B,5C), 즉 교차하는 방향(D1,D2)으로 연장되며 동일 회전장치(6,9)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개의 인접 직선형상부들(5B,5C)의 떨어져 이격된 끝부분들에 설치되며, 이 회전장치(8,10)는 각각 인접 직선형상부(5B,5C)의 연장방향(D1,D2)에 대략 평행한 방향(D1A,D2A)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또한 이 회전장치(8,10)와 협동하는 다른 인접 직선형상부(5C,5D; 5B,5F)의 모서리에서 병진안내수단(17,18)에 의해 지지되며, 그리고 이 인접 직선형상부(5B,5C)에 장력을 초래하는 이동방향(S1,S2)으로 적어도 탄성적으로 압력이 가해지고,
    상기 직선형상부(5B,5C)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회전장치(6,9)와 그리고 다른 회전장치(7)는 적재부와 방출부(P1~P4)로의 운반부재(5)의 진행을 제어하기 위하여 그 회전에 대하여 적어도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구동제어수단(15A~15C)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결합되고,
    물품다발을 방출하는 적어도 두 개의 독립적인 방출수단(P2A~P4A)은 상기 직선형상부(5B,5C)의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물품다발을 운반부재(5)로부터 빼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다발로 방출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재(5)와 협동하는 회전장치(6,7,9)의 회전에 대하여 적어도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구동제어수단(15A,15B,15C)중 적어도 몇 개는 쌍방향 회전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다발로 방출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재(5)와 협동하는 회전장치(6,7,9)의 회전에 대하여 적어도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구동제어수단(15A,15B,15C)중 적어도 몇 개는 각 회전장치(6,7,9)의 회전구동 및 회전정지 조작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다발로 방출하는 장치.
KR1019970048486A 1996-09-24 1997-09-24 물품을일시적으로저장하고다발로방출하는장치 KR1002524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11829 1996-09-24
FR9611829A FR2751627B1 (fr) 1996-09-24 1996-09-24 Installation pour l'emmagasinage temporaire d'articles et procede de commande du fonctionnement de cette instal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910A KR19980024910A (ko) 1998-07-06
KR100252415B1 true KR100252415B1 (ko) 2000-04-15

Family

ID=9496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8486A KR100252415B1 (ko) 1996-09-24 1997-09-24 물품을일시적으로저장하고다발로방출하는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21886A (ko)
EP (1) EP0831039A1 (ko)
JP (1) JP3256843B2 (ko)
KR (1) KR100252415B1 (ko)
CN (1) CN1078865C (ko)
AR (1) AR008485A1 (ko)
BR (1) BR9704711A (ko)
FR (1) FR2751627B1 (ko)
TW (1) TW3908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41992A1 (de) * 2003-09-08 2005-03-31 Optima Filling And Packaging Machines Gmbh Stapelbildungsvorrichtung
DE10348233A1 (de) * 2003-10-09 2005-05-04 Optima Filling & Packaging Vorrichtung zur Bildung von Stapeln
DE102004030013A1 (de) * 2004-06-22 2006-01-12 Premark Feg L.L.C. (N.D.Ges.D. Staates Delaware), Wilmington Geschirrspülmaschine und Betriebsverfahren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DE102004031290A1 (de) * 2004-06-29 2006-02-09 Adam Opel Ag Ankippsystem für eine Bördelvorrichtung
DE102006005397A1 (de) * 2006-02-03 2007-08-09 Focke & Co.(Gmbh & Co. Kg) Vorrichtung zum Handhaben von flachen Gegenständen, insbesondere Windeln
DE102006045087A1 (de) * 2006-09-21 2008-03-27 Focke & Co.(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andhaben von Windeln
DE102007010990A1 (de) * 2007-03-05 2008-09-11 Focke & Co.(Gmbh & Co. Kg) Einrichtung zum Handhaben von Windeln
CN102883957B (zh) 2010-05-11 2015-12-16 宝洁公司 用于包装吸收制品的小数量包装的方法
CN102892676A (zh) 2010-05-11 2013-01-23 宝洁公司 用于包装吸收制品的小数量包装的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4165A (en) * 1973-07-12 1976-05-04 R. C. H. Tool Corporation Automatic collating machine
US4325475A (en) * 1980-05-21 1982-04-20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tacking
US4523671A (en) * 1983-06-21 1985-06-18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Apparatus for multiple lane stacking
DE29600932U1 (de) * 1996-01-22 1996-03-07 Paper Converting Mach Gmbh Gruppierungsvorrichtung für Hygieneprodukte
US5897292A (en) * 1997-10-07 1999-04-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rrays of articles for packa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90863B (en) 2000-05-21
FR2751627A1 (fr) 1998-01-30
JP3256843B2 (ja) 2002-02-18
BR9704711A (pt) 1999-02-23
JPH10181837A (ja) 1998-07-07
EP0831039A1 (fr) 1998-03-25
CN1078865C (zh) 2002-02-06
US6021886A (en) 2000-02-08
KR19980024910A (ko) 1998-07-06
CN1182038A (zh) 1998-05-20
MX9707222A (es) 1998-08-30
FR2751627B1 (fr) 1998-10-16
AR008485A1 (es) 2000-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38658B1 (en) Chute apparatus
KR100252415B1 (ko) 물품을일시적으로저장하고다발로방출하는장치
IT9021538A1 (it) Modulo di smistamento per apparati di convogliamento.
US20220177236A1 (en) Buffer device and method for buffering containers
JPH0413204B2 (ko)
CA2460913C (en) Bundling assembly for strapping machine
CN114502471A (zh) 物品拾取和处理设备
US10450094B2 (en) Film wrapping module for containers as a component of a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thereof
KR20060081707A (ko) 적재기
US20080010954A1 (en) Packing system, module for use in a transport system, a transport system comprising such a module
CN114450227A (zh) 包装设备
KR20180028970A (ko) 용기 수납 설비
IT201900002563A1 (it) Metodo ed impianto per l’imballaggio di confezioni
CN115676334A (zh) 用于缓冲对象的设备和方法
RU206092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мены ленточных тазов на текстильной машине
KR100215714B1 (ko) 면용기를 포장상자에 포장하는 방법
JP2622467B2 (ja) ワインダにおける巻取り用コアの取出し装置
US20230373673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strapping packaging articles or packaging materials, and methods of use
GB2301120A (en) Device for removing wound bobbins from a textile machine
JPH04214428A (ja) ボビン供給・排出装置
JP2022079330A (ja) 積解兼用のパレット積荷処理装置
EP3395700A1 (en) Packaging system
ITMI971685A1 (it) Sistema di trasporto di vasi fra due stiratoi consecutivi nel ciclo di lavorazione
JP2582953Y2 (ja) 被包装品の供給装置
CN116119461A (zh) 纸管补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