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5803B1 - 고순도약품용용기 - Google Patents

고순도약품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803B1
KR100245803B1 KR1019950013944A KR19950013944A KR100245803B1 KR 100245803 B1 KR100245803 B1 KR 100245803B1 KR 1019950013944 A KR1019950013944 A KR 1019950013944A KR 19950013944 A KR19950013944 A KR 19950013944A KR 100245803 B1 KR100245803 B1 KR 100245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container
molecular weight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186A (ko
Inventor
가와이게이지
Original Assignee
마끼노 노부히로
아이세로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끼노 노부히로, 아이세로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마끼노 노부히로
Publication of KR960000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8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30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by excluding light or other outside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에 노출되는 것에 의해 약품의 순도가 저하되는 것이 없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보관 저장되어 있는 약품중에로의 불순미립자의 침출이 극히 적은 고순도 약품용 용기를 제공한다.
내측표면이 밀도 0.940∼0.970g/㎤인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 또는 그 수지에 중화제, 산화방지제 및 내광안정제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의 첨가제가 첨가된 수지조성물로 된 고순도 약품용 용기로서, 액체 크로마토그라피로 정량된 그 수지조성물 중의 중화제, 산화방지제 및 내광안정제의 각 함유량이 그 수지조성물의 0.01중량% 이하이고,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라피로 측정된 그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2∼26×104이고, 그 수지 중의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그 수지의 2.5중량% 미만이다.

Description

고순도 약품용 용기
본 발명은 중합체로 된 고순도 약품의 저장에 사용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품 등을 보존하는 용기로서 유리용기나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된 성형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반도체 분야에서는 저장되어 있는 고순도 약품류를 고순도 상태로 보존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약품류 중에는 장시간 광에 노출되면 변질되는 것이 많다. 이 때문에, 약품의 제조에서부터 소비되기까지의 사이에 변질을 방지하고 품질을 일정하게 보존하기 위하여 약품을 저장하고 있는 용기는 차광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광성을 갖는 용기로는 착색 유리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착색 유리용기는 재질을 선정하는 것에 따라, 용기에서 약품중으로의 불순미립자의 침출이 적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용기 자체가 무겁기 때문에 취급이 불편하고, 낙하 등에 의해 깨져 버리는 것도 있다.
한편,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된 성형용기는 취급시에 깨지기 어렵고, 경량인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반도체 제조에 있어서 에칭이나 세정에 사용되는 고순도 약품, 예를 들면 황산, 질산, 과산화수소수 등, 및 반도체 프로세스용, 액정 디스플레이용 등에 사용되는 고순도 용제계 레지스트나 희석용제, 예를들면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에틸렌글리콜, 아세톤, 초산에틸, 톨루엔, 디메틸포름아미드, 에틸렌 글리콜아세테이트, 메톡시프로필아세톤, 부틸셀로솔브 등, 및 살균, 소독, 제제원료(製劑原料)등의 의약용에 사용되는 고순도 용제, 예를들면,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은 보관 저장하고 있는 사이에 용기를 형성하고 있는 수지조성물로부터 저장하고 있는 약품 중으로 불순미립자가 침출되어, 약품의 순도를 떨어뜨린다. 이런 이유로 반도체, 액정의 품질 및 수율에 현저한 악영향을 미치거나, 의약용의 고순도 약품으로서 일본약전 시험에 합격하지 못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불순미립자가 내용물을 불순화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클린도라는 것이 있다. 클린도는 일단 검사용기를 성형하고, 그 검사용기에 일정 기간 물을 저장한 후, 수지제 용기에 저장하고 있는 물 1㎖중에 입경 0.2㎛이상인 미립자가 얼마나 존재하는가를 산정하여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 식(1)로 정의된다.
식(1)에서, a는 검사대상 용기의 용량, b는 검사대상 용기로부터 샘플링한 초순수(超純水)의 양이다. 샘플링수(水)는 다음과 같이 하여 채취된다. 용량 a(㎖)의 검사대상 용기에 용적의 절반, a/2(㎖)의 초순수(超純水)를 넣고, 그때마다 15초간 진탕하여 배출하고, 용기내를 세정한다. 진탕세정을 5회 반복한 후, 다시 그 a(㎖)의 용기에 초순수를 a/2(㎖) 넣고, 상온에서 1주간 방치하고, 다시 15초간 진탕하고, 진탕한 용기내의 물을 20분간 정치한다. 샘플링수(水)는 20분간 정치한 그 물에서 채취된다. c는 샘플링수 전량 중에 함유된 입경 0.2㎛ 이상인 미립자를 파티클 카운터로 계산한 값이다. 그 수치를 기초로 식(1)에서 클린도를 구한다. 클린도가 500개/㎖ 미만이면, 반도체, 액정의 품질 및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용기를 일본약전에 수록된 약품 용기로서 사용하는 경우, 클린도의 수치가 낮고, 일본약전에 정해진 품질기준에 합격한 용기가 아니면 사용할 수가 없다. 종래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된 용기는 클린도의 수치가 높고, 일본약전의 품질기준에 합격할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에 노출되는 것에 의해 약품의 순도가 저하되지 않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보관 저장하고 있는 약품중으로의 불순미립자의 침출이 매우 적고, 일본약전에 정해진 품질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고순도 약품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순도 약품용 용기는 내측 표면이 밀도 0.940∼0.970g/㎤인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린-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 또는 그 수지에 중화제, 산화방지제 및 내광안정제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종류의 첨가제가 첨가된 수지조성물로 된 고순도 약품용 용기로서, 약체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량된 그 수지조성물 중의 중화제, 산화방지제 및 내광안정제의 각 함유량이 그 수지조성물의 0.01중량% 이하이고,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측정된 그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2∼26×104이고, 그 수지 중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그 수지의 2.5중량% 미만이다.
에틸렌과 공중합하는 α-올레핀은 프로필렌, 부텐-1,4-메틸-펜텐-1, 헥센-1, 옥텐-1이 사용된다. 공중합체 중의 α-올레핀의 함유량은 15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공중합체의 분자구조는 아탁틱, 아이소탁틱 또는 신디오탁틱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중합법은 저압법 또는 중압법 중 어느 것에 의해도 된다.
첨가제로서, 촉매는 중합시에 적당량 사용하고 있으나, 중화제, 산화방지제 및 내광안정제는 용기에서 약품 중으로 용출하여 불순미립자의 원인이 되므로, 첨가량은 중요하다.
중화제는 중합법이 중압버의 경우에는 필요없고, 저압법의 경우에는 염소 개체로서 사용되고 있다. 중화제는 칼슘, 마그네슘, 바륨과 같은 알카리토류금속의 스테아린산염이 있으나, 이들은 중합공정에서의 촉매의 활성을 높이기 위해 최저량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화제의 함유량이 수지조성물에 대해 0.01중량%를 넘으면, 클린도는 500개/㎖을 초과하여 일본약전에 정해진 품질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중화제의 함유량은 수지조성물에 대해 0.01중량%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산화방지제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펜타에리스틸-테트라키스 [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의 페놀계 산화방지제가 있고, 전기 중화제가 같은 이유에 의해, 산화방지제의 함유량은 수지조성물에 대해 0.01중량%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내광안정제로는 2-(5-메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t-부틸-5-메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의 벤조트리아졸계 내광안정제,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세바케이트,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의 힌더드 아민계 내광안정제가 있고, 전기 중화제와 같은 이유에 의해 내광안정제의 함유량은 수지조성물에 대해 0.01중량%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수지조성물에 함유된 첨가제의 함유량은 수지조성물을 테트라히드로푸란(THF)을 사용하여 속슬레 추출기로 8시간 추출한 추출액을 액체 크로마토그라피로 분리, 정량한 값이다. 그 측정 조건은 장치가 GULLIVER(일본분광주식회사제), 칼럼이 Finepak GEL 101(일본분광주식회사제), 용매가 THF, 검출기가 UV-970(일본분광주식회사제)과 830-RI(일본분광주식회사제)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고순도 약품용 용기에 있어서는, 다른 안료, 분산제 등의 첨가제는 극력 첨가량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순도 약품용 용기를 예를들면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밀도 0.940∼0.970g/㎤인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조성물을 용융압출성형하여 얻는다. 이때, 수지조성물에 함유된 첨가제, 즉 중화제, 산화방지제 및 내광안정제의 각 함유량은 수지조성물에 대해서 0.01중량% 이하로 한다. 수지에 첨가제를 혼합하는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들면 중합후의 펠레타이즈 공정에서 직접 첨가하는 방법, 또한 미리 고농도의 마스터배치를 작성하고, 이것을 성형시에 드라이 블랜드하는 방법이 있다. 용융압출성형에 이용되는 압출기는 통상의 단축압출기여도 좋고, 스크루우도 적당한 전단력을 주는 것이면 괜찮다. 압출기에 의해 수지조성물을 용융하여 원통상의 파리손(parison)으로 압출하고, 압출된 파리손을 금형에 끼워 브로핀에서 가압가스를 취입하고, 냉각하고, 성형한다.
얻어진 용기에서, GPC에 의해 측정된 용기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2∼26×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수지의 2.5중량% 미만으로 제어되는 것이 중요하다.
용기수지의 분자량 측정방법은 용기에서 절취한 수지조성물을 용매(오르소-디클로로벤젠)에 녹여 시료용액으로 하고, GPC로 분자량 및 분자량분포를 측정한다. 중량평균분자량은 하기 식(2)에 의해 산출된다.
중량평균분자량 =Σ(M×w)/Σw (2)
단, M은 분자량, w은 중량분율이다. 또한, GPC 측정조건은 장치가 150CV(워터스사제), 칼럼이 TSKgel GMH-HT(동소주식회사제), 용매가 오르소-디클로로벤젠, 온도가 138℃, 검출기는 시차굴절계이다.
용기수지의 분자량분포를 전기 범위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원료수지도 일정범위의 분자량분포를 갖는 것이어야만 한다.
원료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2×104미만의 경우, 일반적으로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를 수지의 2.5중량% 미만으로 하는 것은 곤란하다. 가령 중합법의 고안에 의해 수지를 얻었다고 하여도 분자량분포가 매우 좁은 수지나 분자량분포가 고분자량쪽으로 치우진 수지로 된다. 이 수지를 성형하는 데에는 성형온도를 올리거나, 전단응력을 크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성형성은 대단히 악화된다.
원료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26×104을 넘는 경우, 수지의 용융점도가 높기 때문에, 전단응력에 의한 분자절단을 피할 수 없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를 수지의 2.5중량% 미만으로 억제할 수가 없다.
원료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2∼26×104이라도, 성형성을 개량하기 위해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수지의 2.5중량% 이상인 수지에서는, 성형된 용기수지의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를 수지의 2.5중량% 미만으로 억제할 수가 없고, 과도한 전단응력을 주는 성형방법을 취하여도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용기수지의 2.5중량% 이상에서는 약품중에로 불순미립자가 침출되어 클린도가 500개/㎖ 이상으로 되어, 고순도 약품용 용기로는 사용할 수 없다.
성형방법은 상기한 취업성형 이외에, 인플레이션성형, 회전성형 등이 있다. 또한 용융성형방법중의 다층성형방법에서, 전기 수지조성물을 최내층으로 하여도 된다.
전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순도 약품용 용기는 밀도 0.940∼0.970g/㎤인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에 차광성안료와 안료분산제가 첨가된 수지조성물 또는 그 수지에 차광성안료와 안료분산제와 중화제, 산화방지제 및 내광안정제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종류의 첨가제가 첨가된 수지조성물로 된 고순도 약품용 용기로서, 액체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량된 그 수지조성물 중의 중화제, 산화방지제 및 내광안정제의 각 함유량이 그 수지조성물의 0.01중량% 이하이고,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측정된 그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2∼26×104이고, 그 수지중의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그 수지의 5중량% 미만, 그 차광성 안료가 산화티탄, 카본블랙 및 벵갈라의 무기안료, 프탈로시아닌계, 키나크리돈계, 및 아조계의 유기안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류로 그 수지조성물의 0.01∼5중량%, 그 안료분산제가 수평균분자량 2×103이상인 올레핀계 중합체로 그 수지조성물의 5중량% 미만이다.
에틸렌과 공중합하는 α-올레핀과, 중화제, 산화방지제 및 내광안정제 등의 첨가제의 구체적인 종류, 첨가제의 함유량의 측정조건은 전술한 바와 같다.
차광성안료는 산화티탄, 카본블랙, 벵갈라의 무기안료, 프탈로시아닌계, 키나크리돈계, 아조계의 유기안료가 있다. 차광성 안료의 함유량은 수지조성물에 대해서 0.0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차광성안료의 함유량이 수지조성물에 대해서 0.01중량% 미만으로는 충분한 차광효과를 얻을 수 없고, 5중량%를 넘으면 클린도는 500개/㎖을 넘어, 고순도 약품용 용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안료분산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의 올리핀계 중합체가 있다. 전기 안료가 고도의 분산을 얻기 위해 첨가되는 안료분산제의 수평균분자량은 2×103이상이고, 또한 안료분산제의 함유량이 5중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료분산제의 GPC에 의해 측정된 수평균분자량이 2×103미만이거나, 안료분산제의 함유량이 5중량%를 넘으면 클린도는 500개/㎖을 넘어, 고순도 약품용 용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 고순도 약품용 용기는 예를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밀도 0.940∼0.970g/㎤인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조성물을 용융압출성형하여 얻는다. 이때, 수지조성물에 함유된 첨가제, 즉 중화제, 산화방지제 및 내광안정제의 함유량은 수지조성물에 대해서 0.01중량% 이하로 한다.
또한 차광성안료의 첨가량은 수지조성물에 대해 0.01∼5중량%로 하고, 올레핀계 중합체로 된 안료분산제는 수평균분자량은 2×103이상이고, 또한 함유량은 수지조성물에 대해서 5중량% 미만으로 한다.
수지에 차광성안료, 안료분산제, 첨가제를 혼합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예를들면 중합후 펠레타이즈 공정에서 직접 첨가하는 방법, 또한 미리 고농도 마스터 배치를 작성하고, 이것은 성형시에 드라이 블랜드하는 방법이 있다. 첨가제나 차과성 안료의 마스터 배치를 작성하는 경우, 배이스 레진으로는 원료수지와 동일하게 중량평균분자량이 12∼26×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수지의 5중량% 미만의 것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차광성안료를 배합하는 경우, 차광성능 뿐만 아니라, 외관, 디자인의 변경이 용이하므로 마스터 배치를 이용하는 것이 많다.
마스터배치의 제조장치로는 반바리믹서, 믹싱롤이나 기타 특수 믹서가 있으며, 반바리믹서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또 카본블랙이나 산화티탄과 같은 비교적 분산성이 좋은 안료의 경우, 2축 혼련기로 베이스 레진의 파우더 원료와 안료를 분산 배합함으로써 마스터 배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마스터배치 작성시에도 중화제, 산화방지제 및 내광안정제의 첨가제 함유량이 수지조성물의 0.01중량%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할 수 있다.
용융압출성형에 이용되는 압출기는 통상의 단축 압출기여도 좋고, 스크루우도 적당한 전단력을 주는 것이라면 관계없다. 압출기에 의해 수지를 용융하여 원통상의 파리손(parsion)으로 압출하고, 압출된 파리손을 금형에 끼우고 브로핀에서 가압가스를 취입하고, 냉각하고, 성형한다.
얻어진 용기에서 GPC에 의해 측정된 용기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2∼26×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수지의 5중량% 미만으로 제어되는 것이 중요하다.
용기의 분자량 측정방법은 용기에서 절취한 수지조성물ㅇ르 용매(오르소-디클로벤젠)에 녹여 시료용액으로 하고, GPC로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를 측정한다. 중량평균분자량은 전기 식(2), 수평균분자량은 다음 식(3)에 의해 산출된다.
수평분자량 = Σw/Σ(w/M) (3)
단, M은 분자량, w은 중량분율이다.
성형방법은 상기한 취입성형 이외에, 인플레이션성형, 회전성형 등이 있다. 또 용융성형방법 중의 다층성형방법에서, 전기 수지조성물을 최내층, 중간층, 최외층의 어느 층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고순도 약품용 용기는 양호한 클린도를 갖는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조성물을 원료로 하여 용기의 내측표면이 그 수지조성물로 되도록 성형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내의 약품 중에 미립자가 침출되는 것이 저지된다. 또 본 발명의 고순도 약품용 용기는 양호한 클린도를 갖는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에 차광성안료를 첨가할 때, 양호하게 분산시킴으로써, 용기에서 약품중으로의 미립자의 침출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광에 의한 약품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밀도가 0.955g/㎤, 중량평균분자량이 15.2×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를 1.37중량% 함유하고 중압법에 따라 중합체로 되고, 중화제, 산화방지제 및 내광안정제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에틸렌 펠렛을 50m/m, L/D=22(D : 스크루우 직경, L : 스크루우 유효길이)인 압출기 중에서 185℃로 용융하고, 원통상의 파리손으로 압출하였다. 압출된 파리손을 금형에 끼우고, 브로핀에서 6kg/㎠의 압축공기를 취입하고, 20℃로 냉각된 금형에서 냉각하고, 용량 1000㎖, 중량 100g인 환형용기를 성형하였다. 성형한 용기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5.1×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수지의 1.38중량%였다.
다음에, 성형한 용기의 클린도를 측정했다.
성형용기에 초순수(상품명 : 토레퓨아 LV-10T(토레주식회사제)) 500㎖를 넣고, 15초간 진탕 세정하고 배수하였다. 이 진탕세정을 5회 반복하였다. 5회째의 세정수에서 5㎖를 채취하여, 그 속으로 침출된 0.2㎛ 이상인 미립자수를 파티클 카운터(타입 : KL-22(리온주식회사제))로 측정하였다.
수중의 미립자수(개/㎖)를 식(1)과 같은 다음 식(4)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성형용기에 다시 초순수 500㎖를 넣고 15초간 진탕하고, 그 상태로 상온에서 1주간 방치하였다. 1주간 경과한 물을 그 상태로 하여 다시 15초간 진탕하고, 다시 20분간 정치하였다. 이 20분간 정치한 물에서 5㎖을 채취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수중의 미립자수(개/㎖)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1주간 후의 수중의 미립자수는 200개/㎖ 이하이고, 지극히 클린이었다.
[표 1]
다음에, 이 용기를 이용하여 일본약전 무수에탄올(에탄올순도 99.5용량% 이상) 1000㎖을 넣고, 40℃의 항온조에 1개월 저장보관한 후, 일본약전에 준한 순도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 백탁(白濁)이 없이 투명하여 일본약전의 어느 순도시험에도 합격하였다.
[실시예 2]
밀도가 0.956g/㎤, 중량평균분자량이 15.0×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를 1.54중량% 함유하고, 저압법에 따라 중합체로 되고, 스테아린산 칼슘을 0.005중량%,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을 0.008중량%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펠렛을 실시예 1과 같은 압출기 중에서 178℃로 용융하여, 용량 1000㎖, 중량 100g인 환형용기를 성형하였다. 성형한 용기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4.9 × 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수지의 1.55 중량%였다.
성형한 용기의 5회 세정 직후와 1주간 후의 클린도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1주간 후의 수중의 미립자수는 300개/㎖이하이고, 지극히 클린이었다.
다음에, 이 용기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게 일본약전에 준한 순도시험을 한 결과, 무수에탄올에는 백탁이 없이 투명하여 일본약전의 어느 순도시험에도 합격하였다.
[실시예 3]
밀도가 0.957g/㎤, 중량평균분자량이 20.7×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를 1.43중량% 함유하고, 저압법에 따라 중합체로 되고, 중화제, 산화방지제 및 내광안정제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에틸렌 펠렛을 실시예 1과 같은 압출기 중에서 190℃로 용융하여 용량 1000㎖, 중량 100g인 환형용기를 성형하였다. 성형한 용기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5×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수지의 1.44중량%였다.
성형한 용기의 5회 세정 직후와 1주간 후의 클린도를 실시예 1과 같게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1주간 후의 수중의 미립자수는 100개/㎖이하이고, 지극히 클린이었다.
다음에, 이 용기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게 일본약전에 준한 순도시험을 한 결과, 무수에탄올에는 백탁이 없이 투명하여 일본약전의 어느 순도시험에도 합격하였다.
[비교예 1]
밀도가 0.958g/㎤, 중량평균분자량이 10×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를 3.58중량% 함유하고 저압법에 따라 중합체로 되고, 중화제, 산화방지제 및 내광안정제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에틸렌 펠렛을 실시예 1과 같은 압출기 중에서 173℃로 용융하여, 용량 1000㎖, 중량 100g인 환형용기를 성형하였다. 성형한 용기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9.9×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수지의 3.61중량%였다.
성형한 용기의 5회 세정 직후와 1주간 후의 클린도를 실시예 1과 같게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1주간 후 수중에는 다량의 미립자가 침출되어 있었다.
다음에, 이 용기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일본약전에 준한 순도시험을 행한 결과, 무수에탄올은 백탁이 되어 일본약전의 순도시험에 불합격이었다.
[비교예 2]
밀도가 0.947g/㎤, 중량평균분자량이 15.2×104이며,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를 2.94중량% 함유하고 중압법에 따라 중합체로 되고, 중화제, 산화방지제 및 내광안정제를 함유하지 않은 폴리에틸렌 펠렛을 실시예 1과 같은 압출기 중에서 185℃로 용융하여, 용량 1000㎖, 중량 100g인 환형용기를 성형하였다. 성형한 용기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5.1×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수지의 2.95중량%였다.
성형한 용기의 5회 세정 직후와 1주간 후의 클린도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1주간 후의 수중에는 다량의 미립자가 침출되어 있었다.
다음에, 이 용기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일본약전에 준한 순도시험을 행한 결과, 무수 에탄올은 백탁이 되어 일본약전의 순도시험에 불합격이었다.
[비교예 3]
밀도가 0.955g/㎤, 중량평균분자량이 30×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를 1.95중량% 함유하고 저압법에 따라 중합체로 되고, 스테아린산 칼슘을 0.005중량%, 디부틸 히드록시톨루엔을 0.008중량%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펠렛을 실시예 1과 같은 압출기 중에서 223℃로 용융하여 용량 1000㎖, 중량 100g인 환형용기를 성형하였다. 성형한 용기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9.1×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수지의 2.76중량%였다.
성형한 용기의 5회 세정 직후와 1주간 후의 클린도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1주간 후의 수중에는 다량의 미립자가 침출되어 있었다.
다음에, 이 용기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게 일본약전에 준한 순도시험을 행한 결과, 무수 에탄올에는 백탁 되어 일본약전의 순도시험에 불합격이었다.
[실시예 4]
밀도가 0.955g/㎤, 중량평균분자량이 15.0×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를 1.54중량% 함유하고 저압법에 따라 중합체로 되고, 중화제, 산화방지제 및 내광안정제를 함유하지 않은 폴리에틸렌 펠렛을 준비하였다. 이 폴리에틸렌 펠렛 100중량부에, 이것과 같은 폴리에틸렌 펠렛 73.4중량%를 베이스 레진으로 하고, 차광성 안료로서 산화티탄 16.8중량% 및 카본블랙 1.3중량%와, 안료분산제로서 밀도 0.95g/㎤, 수평균분자량 3×103인 폴리에틸렌 8.5중량%를 첨가하여 반바리믹서로 작성한 마스터 배치을 3중량부 드라이블랜드하고, 50m/m, L/D-22(D : 스크루우 직경, L : 스크루우 유효길이)의 압출기 중에서 178℃로 용융하여 우통상의 파리손으로 압출하였다. 압출된 파리손을 금형에 끼우고, 브로핀에서 6kg/㎠의 압축공기를 취입하고, 20℃로 냉각된 금형에서 냉각하여 용량 1000㎖, 중량 100g인 차광환형용기를 성형하였다. 성형한 용기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4.9×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수지의 1.56중량%였다. 이 용기 수지조성물 특성과 안료첨가량 조건을 표 2에, 마스터 배치의 구성을 표 3에 나타냈다.
다음에, 성형한 용기의 클린도를 측정하였다. 성형한 용기의 5회 세정 직후와 1주간 후의 클린도를 실시예 1과 같게 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1주간 후의 수중의 미립자수는 200개/㎖이하이고, 지극히 클린이었다.
[표 2]
[표 3]
다음에, 이 용기의 동부(胴部)를 1×4㎝, 두께 1.57㎜로 절취하여, 분광광도계(타입 : ubest-55(일본분광주식회사제))로 파장 600∼200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00nm에서의 흡광도는 7.0(투과율 10-5%)이고, 매우 양호한 차광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5]
밀도가 0.956g/㎤, 중량평균분자량이 15.0×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를 1.54중량% 함유하고 저압법에 따라 중합체로 되고, 스테아린산 칼슘을 0.005중량%,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을 0.008중량%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펠렛 100중량부에, 실시예 4와 같은 마스터배치를 3중량부 드라이 블랜드하였다. 다음에, 실시예 4와 같은 압출기 중에서 178℃로 용융하여 용량 1000㎖, 중량 100g인 차광 환형용기를 성형하였다. 성형한 용기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4.9×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수지의 1.55중량%였다. 이 용기 수지조성물 특성과 안료첨가량 조건을 표 2에, 마스터 배치의 구성을 표 3에 나타냈다.
성형한 용기의 5회 세정 직후와 1주간 후의 클린도를 실시예 1과 같게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1주간 후의 수중의 미립자수는 200개/㎖이하이고, 매우 클린이었다.
다음에, 이 용기의 동부(胴部)를 1×4㎝, 두께 1.53㎜로 절취하고, 실시예 4와 같게 하여 파장 600∼200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00nm에서의 흡광도는 7.0(투과율 10-5%)이고, 매우 양호한 차광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6]
실시예 4와 같은 폴리에틸렌 펠렛 100중량부에 밀도가 0.955g/㎤, 중량평균분자량이 15.2×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를 1.37중량% 함유하고 중압법에 따라 중합체로 된 베이스 레진에 차광성 안료로서 산화티탄 16.8중량% 및 카본블랙 1.3중량%를 첨가하고, 2축 혼련하여 작성한 마스터배치를 3중량부 드라이 블랜드하였다. 다음에, 실시예 4와 같은 압출기 중에서 178℃로 용융하여 용량 1000㎖, 중량 100g인 차광 환형용기를 성형하였다. 성형한 용기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4.8×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수지의 1.58중량%였다. 이 용기 수지조성물 특성과 안료첨가량 조건을 표 2에, 마스터 배치의 구성을 표 3에 나타냈다.
성형한 용기의 5회 세정 직후와 1주간 후의 클린도를 실시예 1과 같게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1주간 후의 수중의 미립자수는 200개/㎖이하이고, 매우 클린이었다.
다음에, 이 용기의 동부(胴部)를 1×4㎝, 두께 1.61㎜로 절취하고, 실시예 4와 같게 하여 파장 600∼200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00nm에서의 흡광도는 7.0(투과율 10-5%)이고, 매우 양호한 차광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7]
밀도가 0.955g/㎤, 중량평균분자량이 15.2×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를 1.37중량% 함유하고 저압법에 따라 중합체로 되고, 중화제, 산화방지제 및 내광안정제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에틸렌 펠렛 100중량부에, 실시예 4와 같은 마스터배치를 3중량부 드라이 블랜드하였다. 다음에, 실시예 4와 같은 압출기 중에서 185℃로 용융하여 용량 1000㎖, 중량 100g인 차광 환형용기를 성형하였다. 성형한 용기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5.1×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수지의 1.38중량%였다. 이 용기 수지조성물 특성과 안료첨가량 조건을 표 2에, 마스터 배치의 구성을 표 3에 나타냈다.
성형한 용기의 5회 세정 직후와 1주간 후의 클린도를 실시예 1과 같게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1주간 후의 수중의 미립자수는 300개/㎖이하이고, 매우 클린이었다.
다음에, 이 용기의 동부(胴部)를 1×4㎝, 두께 1.52㎜로 절취하고, 실시예 4와 같게 하여 파장 600∼200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00nm에서의 흡광도는 7.0(투과율 10-5%)이고, 매우 양호한 차광성을 나타냈다.
[비교예 4]
밀도가 0.956g/㎤, 중량평균분자량이 15.0×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를 1.54중량% 함유하고 저압법에 따라 중합체로 되고, 중화제, 산화방지제 및 내광안정제를 함유하지 않은 폴리에틸렌 펠렛을 실시예 4와 같은 압출기 중에서 178℃로 용융하여 용량 1000㎖, 중량 100g인 환형용기를 성형하였다. 성형한 용기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4.9×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수지의 1.55중량%였다. 이 용기 수지조성물 특성과 안료첨가량 조건을 표 2에 나타냈다.
성형한 용기의 5회 세정 직후와 1주간 후의 클린도를 실시예 1과 같게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1주간 후의 수중의 미립자수는 200개/㎖이하이고, 매우 클린이었다.
다음에, 이 용기의 동부(胴部)를 1×4㎝, 두께 1.63㎜로 절취하고, 실시예 4와 같게 하여 파장 600∼200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00nm에서의 흡광도는 2.0(투과율 1%)이고, 충분한 차광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비교예 5]
실시예 4와 같은 폴리에틸렌 펠렛 100중량부에, 실시예 4의 마스터배치에서, 안료분산제를 밀도 0.92g/㎤, 수평균분자량이 1×103인 폴리에틸렌으로 한 마스터배치를 3중량부 드라이 블랜드하였다. 다음에, 실시예 4와 같은 압출기 중에서 178℃로 용융하여 용량 1000㎖, 중량 100g인 차광환형용기를 성형하였다. 성형한 용기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4.8×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수지에 대해서 2.54중량%였다. 이 용기 수지조성물 특성과 안료첨가량 조건을 표 2에, 마스터 배치의 구성을 표 3에 나타냈다.
성형한 용기의 5회 세정 직후와 1주간 후의 클린도를 실시예 1과 같게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1주간 후의 수중의 미립자수는 10000개/㎖이상이고, 다량의 미립자가 침출되어 있었다.
다음에, 이 용기의 동부(胴部)를 1×4㎝, 두께 1.55㎜로 절취하고, 실시예 4와 같게 하여 파장 600∼200nm의 흡광도를 측정했다. 400nm에서의 흡광도는 7.0(투과율 10-5%)이고, 매우 양호한 차광성을 나타냈다.
[비교예 6]
실시예 4와 같은 폴리에틸렌 펠렛 100중량부에, 밀도 0.93g/㎤, 수평균분자량이 2.8×104인 폴리에틸렌 안료분산제 81.9중량%에 차광성 안료로서 산화티탄 16.8중량% 및 카본블랙 1.3중량%를 첨가하고, 반바리 믹서에 의해 작성한 마스터배치를 10중량부 드라이 블랜드하였다. 다음에, 실시예 4와 같은 압출기 중에서 178℃로 용융하여 용량 1000㎖, 중량 100g인 차광환형용기를 성형하였다. 성형한 용기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4.7×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수지의 2.46중량%였다. 이 용기수지조성물 특성과 안료첨가량 조건을 표 2에, 마스터배치의 구성을 표 3에 나타냈다.
성형한 용기의 5회 세정 직후와 1주간 후의 클린도를 실시예 1과 같게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1주간 후의 수중의 미립자수는 9142개/㎖이고, 다량의 미립자가 침출되어 있었다.
다음에, 이 용기의 동부(胴部)를 1×4㎝, 두께 1.49㎜로 절취하고, 실시예 4와 같게 하여 파장 600∼200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00nm에서의 흡광도는 7.0(투과율 10-5%)이고, 매우 양호한 차광성을 나타냈다.
[비교예 7]
실시예 4와 같은 폴리에틸렌 펠렛 100중량부에, 실시예 4의 마스터배치에서, 안료분산제를 스테아린산 아연 0.2중량% 및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아미드 0.4중량%로 한 마스터배치를 3중량부 드라이 블랜드하였다. 다음에, 실시예 4와 같은 압출기 중에서 178℃로 용융하여 용량 1000㎖, 중량 100g인 차광환형용기를 성형하였다. 성형한 용기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4.9×104이고,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수지의 1.57중량%였다. 이 용기 수지조성물 특성과 안료첨가량 조건을 표 2에, 마스터배치의 구성을 표 3에 나타냈다.
성형한 용기의 5회 세정 직후와 1주간 후의 클린도를 실시예 1과 같게 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1주간 후의 수중의 미립자수는 10000개/㎖이상이고, 다량의 미립자가 침출되어 있었다.
다음에, 이 용기의 동부(胴部)를 1×4㎝, 두께 1.07㎜로 절취하고, 실시예 4와 같게 하여 파장 600∼200nm의 흡광도를 측정했다. 400nm에서의 흡광도는 7.0(투과율 10-5%)이고, 매우 양호한 차광성을 나타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 본 발명의 고순도 약품용 용기는 광에 노출됨에 의해 약품의 순도가 저하되는 일이 없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보관 저장하고 있는 약품중으로의 불순미립자의 침출이 매우 적고, 일본약전에 정해져 있는 품질기준을 만족할 수 있다.

Claims (4)

  1. 내측 표면이 밀도 0.940∼0.970g/㎤인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로 된 고순도 약품용 용기로서,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측정된 상기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2∼26×104이고, 그 수지중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그 수지의 2.5중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약품용 용기.
  2. 밀도 0.940∼0.970g/㎤인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에 차광성안료와 안료분산제가 첨가된 수지조성물로 된 고순도 약품용 용기로서,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라피로 측정된 상기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2∼26×104이고, 그 수지중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그 수지의 5중량% 미만, 상기 차광성안료가 산화티탄, 카본블랙 및 벵갈라의 무기안료, 프탈로시아닌계, 키나크리돈계 및 아조계의 유기안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류로 상기 수지조성물의 0.01∼5중량%, 상기 안료분산제가 수평균분자량 1×103이상인 올레핀계 중합체로 상기 수지조성물의 5중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약품용 용기.
  3. 내측 표면이 밀도 0.940∼0.970g/㎤인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에 중화제, 산화방지제 및 내광안정제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의 첨가제가 첨가된 수지조성물로 된 고순도 약품용 용기로서,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측정된 상기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2∼26×104이고, 그 수지중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그 수지의 2.5중량% 미만이며, 액체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량된 상기 수지조성물중의 중화제, 산화방지제 및 내광안정제의 각 함유량이 그 수지조성물의 0.01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약품용 용기.
  4. 밀도 0.940∼0.970g/㎤인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에 차광성안료와 안료분산제가 첨가되고, 중화제, 산화방지제 및 내광안정제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의 첨가제가 첨가된 수지조성물로 된 고순도 약품용 용기로서, 액체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량된 상기 수지조성물의 중화제, 산화방지제 및 내광안정제의 각 함유량이 그 수지조성물의 0.01중량% 이하이고,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라피로 측정된 상기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2∼26×104이고, 그 수지중 분자량 1×103이하인 중합체가 그 수지의 5중량% 미만, 상기 차광성안료가 산화티탄, 카본블랙 및 벵갈라의 무기안료, 프탈로시아닌계, 키나크리돈계 및 아조계의 유기안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류로 상기 수지조성물의 0.01∼5중량%, 상기 안료분산제가 수평균분자량 2×103이상인 올레핀계 중합체로 상기 수지조성물의 5중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약품용 용기.
KR1019950013944A 1994-06-09 1995-05-30 고순도약품용용기 KR100245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27476 1994-06-09
JP12747694A JP2805723B2 (ja) 1994-06-09 1994-06-09 高純度薬品用遮光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186A KR960000186A (ko) 1996-01-25
KR100245803B1 true KR100245803B1 (ko) 2000-04-01

Family

ID=14960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944A KR100245803B1 (ko) 1994-06-09 1995-05-30 고순도약품용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805723B2 (ko)
KR (1) KR1002458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317B1 (ko) * 2000-12-19 2003-03-03 케미타운 주식회사 고순도 폴리에틸렌계 수지조성물 및 그 수지조성물의중공성형체
KR100541264B1 (ko) * 1999-11-04 2006-01-10 아이세로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고순도 약품액용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774A (ko) * 1996-11-01 1998-08-05 성재갑 자외선 차단력을 가진 폴리에틸렌 용기
KR20000063319A (ko) * 2000-06-27 2000-11-06 전승호 고순도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이것으로 제조된 중공성형체
KR20020082242A (ko) * 2001-04-19 2002-10-31 케미타운 주식회사 고순도 약품보존용 차광성 플라스틱 용기
KR20110043587A (ko) 2008-07-01 2011-04-2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감광성 조성물이 충전된 용기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체
WO2014141817A1 (ja) * 2013-03-13 2014-09-18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溶媒用容器及び溶媒の保存方法
KR102092982B1 (ko) 2015-02-25 2020-03-24 고다마 플라스틱스 가부시키가이샤 투명성이 우수한 내약품성 취입 성형 적층 용기
WO2017031363A2 (en) * 2015-08-18 2017-02-23 Aspyrian Therapeutics, Inc. Methods for manufacturing phthalocyanine dye conjugates and stable conjugates
CN109328167B (zh) * 2016-06-17 2020-09-25 儿玉树脂工业株式会社 透明性优异且杂质微粒溶出量少的耐化学药品性吹塑成型层叠容器
WO2017216827A1 (ja) * 2016-06-17 2017-12-21 コダマ樹脂工業株式会社 不純微粒子溶出量の少ない耐薬品性吹込み成形積層容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79216A1 (en) * 1992-07-15 1994-01-19 Fuji Photo Film Co., Ltd. Package of rolled phototsensitive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9847A (en) * 1978-08-25 1980-03-03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Optical communication l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79216A1 (en) * 1992-07-15 1994-01-19 Fuji Photo Film Co., Ltd. Package of rolled phototsensitive materi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264B1 (ko) * 1999-11-04 2006-01-10 아이세로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고순도 약품액용 용기
KR100374317B1 (ko) * 2000-12-19 2003-03-03 케미타운 주식회사 고순도 폴리에틸렌계 수지조성물 및 그 수지조성물의중공성형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330074A (ja) 1995-12-19
JP2805723B2 (ja) 1998-09-30
KR960000186A (ko)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5803B1 (ko) 고순도약품용용기
US5641565A (en) Separator for a battery using an organic electrolytic solu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DE602004008951T2 (de) Niedrig extrahierbare thermoplastische spritze und endkappe
EP1057854B1 (en) Method for reycling waste styrene resin
EP0547237B1 (en) Separator of battery wherein organic electrolyte is used and production thereof
JP2749513B2 (ja) 高純度溶剤用容器
EP0721967A1 (en) Thermoplastic seal and wrapping film
JPH11290420A (ja) 高純度薬品液用容器および高純度薬品液の排出方法
US6225424B1 (en) Polyethylene resin as a material of a container for a high purity chemical, and a container for a high purity chemical made thereof
JP2805188B2 (ja) 高純度薬品用容器
Aharoni et al. Crystalline transitions and the solid‐state extrusion of polymers
US3515775A (en) Polyolefin blends for films and sheeting
KR101494964B1 (ko) 내충격성, 투명성 및 힌지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181260A1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よりなるフィルム
EP4130139A1 (en) Injection-molded article for medical use
JP6343886B2 (ja) ポリエチレン製医療容器
EP2526146B1 (en) Polypropylene copolymers with specific crystal nucleation
JP6699175B2 (ja)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よりなる医療容器
JP2010042824A (ja) 収容薬品視認性紫外線遮断多層容器
JP6705157B2 (ja) 超高純度薬品容器用ポリエチレン樹脂及びそれよりなる高純度薬品容器
KR100374317B1 (ko) 고순도 폴리에틸렌계 수지조성물 및 그 수지조성물의중공성형체
JPH07138423A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及びポリオレフィン一軸延伸フィルム
KR20020082242A (ko) 고순도 약품보존용 차광성 플라스틱 용기
JP2018115268A (ja) フィルム及び医療容器
KR100541264B1 (ko) 고순도 약품액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