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497B1 - 상태천이 제어방식 - Google Patents

상태천이 제어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497B1
KR100241497B1 KR1019910022886A KR910022886A KR100241497B1 KR 100241497 B1 KR100241497 B1 KR 100241497B1 KR 1019910022886 A KR1019910022886 A KR 1019910022886A KR 910022886 A KR910022886 A KR 910022886A KR 100241497 B1 KR100241497 B1 KR 100241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transition
processing
main routine
executed
subrout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2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906A (ko
Inventor
유리꼬 키시다까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20015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4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processor, e.g. micro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xecuting Machine-Instruction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등에 있어서의 상태천이가 시퀀셜처리를 요하고, 동시에 시간을 요하는 제어에 사용하기 적합한 상태천이 제어방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서의 상태천이처리를 실행하는 경우 ROM, RAM이나 스택이 다수 필요하고, 끼어듦, 포인터 혹은 스택관리의 처리가 복잡하게 되고, 처리실수가 많다.
또한, 상태천이중의 통상처리를 실행하지 않은 경우, 사람에 의한 기기의 기능선택의 조작, 소위 맨-머신 인터로큐션을 할 수 없게되어 장치의 조작성이 손상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이에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메인루프를 메인루틴과 상태천이처리와의 서브루틴화를 도모하고, 디씨젼에서 상태천이가 발생하고 있지않는다고 판단할때에 메인루틴에서 통상처리와 상태천이 대기관리처리를 행한다. 또, 상태천이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때에 상태천이처리에서 스텝마다에 처리를 가동함과 동시에 메인루틴내의 상태천이 대기관리처리에서 사용하는 처리대기의 파라메터를 설정하고, 그후에 메인루틴의 서브루틴 콜을 실행하므로써, 복잡한 상태천이처리가 간단한 처리순서로 실행할 수 있게되는 상태천이 제어방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태천이 제어방식
제1도는 본 발명의 상태천이 제어방식에 관련된 일실시예의 기능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기능블록의 처리순서에 대응한 플로우챠트도.
제3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메인루틴의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도.
제4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상태천이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도.
제5도는 VTR의 신호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선도.
제6도는 종래예의 설명에 제공되는 통상의 처리에 있어서의 메인루틴의 루프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도.
제7도는 종래예의 설명에 제공되는 상태천이중의 처리에 있어서의 상태천이의 끼어듦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도.
제8도는 종래예의 설명에 제공되는 상태천이중의 처리에 있어서의 상태천이의 포인터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도.
제9도는 종래예의 설명에 제공되는 상태천이중의 처리에 있어서의 상태천이의 스택(stack) 분리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도.
제10도는 종래예의 설명에 제공되는 상태천이중의 처리에 있어서의 상태천이의 단독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디씨젼 22 : 메인루틴
24 : 상태천이 처리부
본 발명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등에 있어서의 상태천이가 시퀀셜(sequential)처리를 요하고, 동시에 시간을 요하는 제어에 사용하기 적합한 상태천이 제어방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써, 상태천이가 시퀀셜처리, 동시에 시간이 관련된 제어는 예를들면 제5도에 나타낸 구성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에서는 이하의 처리가 행해지고 있다.
우선, 이 VTR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조작입력처리, 상태결정처리 및 상태천이 제어처리용의 프로그램을 구비한 마이크로 컴퓨터(2)에 키이보드(4), 리모콘 입력부(6), 편집기 입력부(8), 기구부(10), 서어보(servo)회로(12) 및 영상·오디오 신호회로(14)가 접속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2)의 제어, 즉 상태천이가 시퀀셜처리, 동시에 시간이 관련된 제어에는 우선 통상의 처리가 있다.
이 통상의 처리는 정기적인 버스라인의 제어와 상태천이 요인의 검출이 있다. 정기적인 버스라인의 제어는 외부버스라인, 인터페이스, 캐릭터 제너레이터, 영상신호 처리부 등의 각 IC와 LCD드라이브 마이크로 컴퓨터 등과의 통신처리이다. 또, 상태천이 요인의 검출은 키이보드(4), 리모콘 입력부(6), 편집기(8)로부터의 입력정보확인이나 기구부(10) 및 서어보회로(12)로부터의 비디오테이프의 톱(TOP)이나 앤드(END)의 검출 등이다.
또한, 상태천이중의 처리가 있으며, 이 상태천이중의 처리에서는 상기의 통상의 처리를 행함과 동시에 각 회로의 절환이나 기구부의 상태천이회로를 시퀀셜로 처리한다. 예를들면, 스톱(STOP)에서 재생이 되는 경우 자기헤드를 장비한 드럼을 회전시키고, 다음으로 기구부(10)와 대응하는 부분을 스톱으로부터 주행모드로 천이시킨다. 또한 캡스턴(Capstan)을 회전시키고, 드럼과 캡스턴의 서어보가 걸리고, 영상·오디오 신호처리부(14)가 재생동작하여 영상 및 음성출력을 행한다. 이 경우, 각 처리스텝마다에는 수초의 상태천이 대기가 있다.
이와같은 통상의 처리는 메인루틴으로서 제6도에 나타낸 스텝의 루프(Loop)처리가 있다.
또, 상태천이중의 처리는 타이머 끼어듦등의 끼어듦기능을 사용하는 제7(a)(b)도에 나타낸 상태천이의 끼어듦처리와, 포인터(Pointer)를 사용하여 메인루틴내에 조입하는 제8도에 나타낸 상태천이의 포인터처리가 있고, 또한, 상태천이용의 스택을 별도로 가지고 처리하는 제9(a)(b)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상태천이의 스택분리처리가 있다. 또한, 상태천이중의 통상의 처리를 커트(Cut)하는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상태천이의 단독처리가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 ROM, RAM이나 스택이 다수 필요하고, 또 끼어듦, 포인터 혹은 스택관리의 처리가 복잡하게 되고, 처리실수가 많다. 한편으로, 상태천이중의 통상처리를 실행하지 않은 경우, 요즘의 사람에 의한 기기의 기능선택의 조작, 소위 맨-머신 인터로큐션(Man-machine interlocution)을 할 수 없게 되어 장치의 조작성이 손상되는 등의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지고, 복잡한 상태천이처리가 간단한 처리순서로 실행할 수 있는 우수한 상태천이 제어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태천이 제어방식은 예를들면 제1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루프구조의 상태천이 제어방식에 있어서, 메인루프(main loop)를 서브루틴화한 메인루틴(22) 혹은 상태천이처리부(24)의 실행을 관리하기 위한 판단부(20)를 구비하고, 메인루틴(22)은 통상처리와 상태천이 대기관리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서브루틴처리를 실행하고, 상태천이처리부(24)는 스텝마다에 처리를 기동(起動)함과 동시에 메인루틴(22)내의 상태천이 대기관리처리에서 사용하는 처리대기의 파라메터(parameter)를 설정하고 그 후에 메인루틴(22)의 서브루틴 콜(subroutin call)을 실행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태천이 제어방식에서는 메인루프를 서브루틴화 한 메인루틴 혹은 상태천이처리의 어느쪽인가의 실행을 관리하고, 이 메인루틴에서는 통상처리와 상태천이 대기관리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서브루틴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상태천이처리에서는 스텝마다에 처리를 기동하고, 한편 메인루틴내의 상태천이 대기관리처리에서 사용되는 처리대기의 파라메터를 설정하고, 그후에 메인루틴의 서브루틴 콜을 실행한다. 이에의해 복잡한 상태천이처리가 단순한 처리순서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상태천이 제어방식의 일실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제5도에 나타낸 VTR에 적용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제5도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2)의 처리기능을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기능은 상태천이의 발생을 판단하는 디씨젼(판단부)(20)과, 이 디씨젼(decision)(20)에서 상태천이가 발생하고 있지 않는다고 판단할때에 통상처리와 상태천이 대기관리처리를 행하는 메인루틴(22)과, 상태천이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때에 상태천이를 처리하는 상태천이 처리부(24)와를 갖는 서브루틴화에 의한 메인루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메인루프의 처리순서로 대응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내고 있다.
스텝(100)에서 상태천이가 발생한 것인지 아닌지의 판단처리(제1도에 있어서 디씨젼(판단부)(20)에 대응함)를 실행한다. 여기서 발생하지 않은 NO의 경우는 스텝(101)의 메인루틴(제1도에 있어서의 메인루틴(22)에 대응함)의 처리를 실행하고, 스텝(100)으로 리턴(Return)한다. 메인루틴은 통상처리와 상태천이 대기관리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서브루틴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스텝(100)에서 상태천이가 발생하는 YES의 경우는 스텝(102)에서 상태천이처리(제1도에 있어서의 상태천이 처리부(24)에 대응함)를 실행하여 스텝(100)으로 리턴한다. 상태천이처리는 스텝마다에 처리를 기동하고, 메인루틴내의 상태천이 대기관리처리에서 사용하는 처리대기의 파라메터를 설정하고, 그후에 메인루틴을 서브루틴 콜하는 것이다.
제3도에는 스텝(101)의 메인루틴의 처리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스텝(201)에서 CPU(1)와의 통신을 실행하고, 또한 스텝(202)에서 키이보드입력의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스텝(203)에서 다음의 상태가 결정되고, 또한 스텝(204)에서 CPU(2)와의 통신을 실행한다. 또, 스텝(205)에서 상태천이 대기의 파라메터가 있는가 없는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없다고 하는 NO의 경우는 스텝(201)으로 리턴하고, 있다고 하는 YES의 경우는 다음의 스텝(206A)에서 드럼입상(立上)이 O·K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또, 스텝(206B)에서는 기구부 상태변경이 O·K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또한 스텝(206C)에서는 캡스턴입상이 O·K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이와같이 메인루틴은 통상처리와 상태천이 대기관리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서브루틴처리를 실행한다.
제4도는 스텝(102)의 상태천이 처리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스텝(301)에서 드럼기동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302)에서는 파라메터설정과 메인루틴 콜하고, 스텝(303)에서는 기구부 상태변경 스타트가 실행처리된다. 또, 스텝(304)에서는 파라메터설정과 메인루틴 콜되고, 스텝(305)에서는 캡스턴기동을 실행한다. 스텝(306)에서는 파라메터설정과 메인루틴 콜하고, 스텝(307)에서는 영상·오디오신호회로 절환처리가 실행된다.
이와같이 상태천이처리는 스텝마다에 처리를 기동하고, 메인루틴내의 상태천이 대기관리처리에서 사용하는 처리대기의 파라메터를 설정하고, 그후에 메인루틴을 서브루틴 콜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여 끼어듦처리를 사용하지 않고, 또 스택을 분리하지 않기 때문에 간단한 마이크로 컴퓨터로 제어를 실행할 수 있게 되고, 처리실수가 저감된다. 또, ROM, RAM, 스텝, 끼어듦, 타이머 등의 처리를 행하는 기능이 한정된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라도 VTR에 있어서의 복잡한 상태천이 처리가 간단한 처리순서로 실행할 수 있다. 또, 멀티테스크(Multitask)나 리얼타임처리를 위한 복잡한 OS를 사용하지 않고,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태천이의 타이머챠트와 일치하도록 상태천이의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실시예의 처리프로그램이 완성되게 되고 처리순서의 실현이 용이하다.
또, 상태천이중에서도 기기의 기능선책 등의 조작, 소위 상태천이 처리중의 맨-머신 인터로큐션이 가능하게 되어, 적용하는 장치의 조작성이 향상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상태천이 제어방식은 메인루프를 메인루틴 혹은 상태천이 처리의 서브루틴화 하여 그 어느쪽인가의 실행을 관리하고, 메인루틴에서는 통상처리와 상태천이 대기관리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서브루틴처리가 실행되고, 또한 상태천이처리에서는 스텝마다에 처리를 기동함과 동시에 메인루틴내의 상태천이 대기관리처리로 사용하는 처리대기의 파라메터를 설정하고, 그후에 메인루틴의 서브루틴 콜을 실행하도록 하였으므로, 복잡한 상태천이 처리가 간단한 처리순서로 실행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1)

  1. 루프구조의 상태천이 제어방식에 있어서, 서브루틴화한 메인루틴 혹은 상태천이처리의 실행을 관리하기 위한 판단부에서 상태천이가 발생하였는가 아닌가의 판단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판단부에서 상태천이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는 상기 메인루틴에서 통상처리와 상태천이 대기관리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서브루틴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판단부에서 상태천이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는 상기 상태천이처리에서 스텝마다 처리를 기동하는 동시에 상기 메인루틴내의 상기 상태천이 대기관리처리에서 사용하는 처리대기의 파라메터를 설정하고, 그후에 메인루틴의 서브루틴콜을 실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천이제어방식.
KR1019910022886A 1991-01-31 1991-12-13 상태천이 제어방식 KR100241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11329A JP2917535B2 (ja) 1991-01-31 1991-01-31 状態遷移制御方式
JP91-011329 1991-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906A KR920015906A (ko) 1992-08-27
KR100241497B1 true KR100241497B1 (ko) 2000-02-01

Family

ID=11774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2886A KR100241497B1 (ko) 1991-01-31 1991-12-13 상태천이 제어방식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355495A (ko)
JP (1) JP2917535B2 (ko)
KR (1) KR10024149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2785A (en) * 1977-04-18 1981-11-24 Sangamo West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ape recorder
US4165159A (en) * 1978-03-28 1979-08-21 The Singer Company Microprocessor controlled filmstrip projector
US4210785A (en) * 1978-09-28 1980-07-01 Bell & Howell Company Tape replay system
JPS61250838A (ja) * 1985-04-30 1986-11-07 Hashimoto Corp 操作容易なダブルカセツト用録音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17535B2 (ja) 1999-07-12
KR920015906A (ko) 1992-08-27
JPH04245542A (ja) 1992-09-02
US5355495A (en) 1994-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147656A (ja) マイクロプロセッサ
JPH04245879A (ja) 映像信号処理装置用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
KR100241497B1 (ko) 상태천이 제어방식
JPS63250702A (ja) シ−ケンスコントロ−ラ
JPH01246602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用特殊機能ユニット
JPS6045453B2 (ja) 多重プロセツサ
JPS598027A (ja) システムコントロ−ラの操作方法
JPH09237212A (ja) ファイル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
JPS62221729A (ja) マイクロプログラム制御方式
JPS642981B2 (ko)
JPS63211033A (ja) リラン時のジョブ制御方法
JPH02132544A (ja) インテリジェント端末の擬似tssコマンド化方式
JPH02136927A (ja) 言語処理プログラム
JPH04127214A (ja) 電源制御方式
JPS63200242A (ja) ホツトスタンバイシステムの系切替え方式
JPS61226820A (ja) 復電によるデ−タ処理再開方式
JPS62120681A (ja) ビデオテ−プレコ−ダの制御装置
JPS62177639A (ja) デバツグ装置
JPH0377150A (ja) デバックモニタプログラム起動方法
JPH02128230A (ja) プログラム終了処理方式
JPH04305755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バッチ処理方式
JPH01218872A (ja) プリンタ
JPH03113763A (ja) Vtr装置の予約録画方法
JPS6156814B2 (ko)
JPH03285569A (ja) 電力変換装置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