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323B1 - 지하구조물용 뚜껑 및 그 뚜껑본체와 수납틀 - Google Patents
지하구조물용 뚜껑 및 그 뚜껑본체와 수납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41323B1 KR100241323B1 KR1019970031234A KR19970031234A KR100241323B1 KR 100241323 B1 KR100241323 B1 KR 100241323B1 KR 1019970031234 A KR1019970031234 A KR 1019970031234A KR 19970031234 A KR19970031234 A KR 19970031234A KR 100241323 B1 KR100241323 B1 KR 1002413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lid body
- storage frame
- convex
- conca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빗물이나 토사 등의 체류물을 신속하게 배출시켜서, 체류물에 의해 미끄러짐이 배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구조물용 뚜껑 및 그 뚜껑본체와 수납틀이 개시된다. 상단면이 수납틀의 상단면과 거의 일치하는 높이를 가지며 각각 독립된 복수개의 볼록부와 이러한 볼록부를 둘러싼 오목부에 의해 요철모양을 표면에 형성한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뚜껑본체에 있어서, 오목부를 뚜껑본체의 중앙부에서 외주쪽으로 점차 깊어지도록 하는 한편, 수납틀에 대해서는 상단면의 둘레방향의 일부 또는 전체둘레에 오목부를 마련하고, 이 오목부에 수납틀의 외주쪽으로 위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한 배출 가이드를 마련하여, 이들 뚜껑본체와 수납틀과의 조합에 의해 지하구조물용 뚜껑을 얻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용 뚜껑 및 그 뚜껑본체와 수납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빗물이나 토사 등을 뚜껑본체 및 수납틀에서 신속하게 배출하여 보행자가 미끄러지거나 차량의 타이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하구조물용 뚜껑 및 그 뚜껑본체와 수납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지하구조물용 뚜껑」이란, 하수도에 있어서의 지하매설물, 지하구조시설 등과 지상을 연결하는 개구부를 폐쇄하는 대형 철뚜껑, 맨홀 뚜껑, 오수구 뚜껑, 전력·통신에서의 지하시설기기나 지하케이블 등을 보호하는 개폐가능한 공동홈용 철뚜껑, 송전용 철뚜껑, 배전용 철뚜껑, 상수도나 가스배관에서의 노면 밑의 매설도관 및 그 부속기기와 지상을 연결하는 개폐문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소화전 뚜껑, 제수밸브 뚜껑, 칸막이밸브 뚜껑, 공기밸브 뚜껑, 가스배관용 뚜껑, 양수기 뚜껑 등을 총칭한다.
보도나 차도 등에 설치되는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뚜껑본체와 수납틀의 표면에는, 그 장식을 겸한 요철모양이 형성되어, 우천시 등에 보행자나 미끄러지거나 차량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미끄러짐의 방지를 위하여 표면 모양을 개량한 뚜껑본체나 수납틀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실개소 60-27160호 공보 및 실공평 7-39974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전자는 뚜껑본체에 관한 것으로서, 뚜껑본체의 표면에 평면형상이 육각형의 볼록부와 Y자모양의 볼록부를 상호 일정한 모양의 패턴이 되도록 똑같이 분포시켜 형성하고, 이들 볼록부의 주위를 오목부로 만든 것이다.
이러한 볼록부와 오목부의 조합에 의한 표면모양의 패턴에 의하면, 보행자나 차량이 어느 쪽의 방향에서 진행되어 온 경우에도, 발이나 타이어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볼록부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는 모두 연속되어 있기 때문에, 토사 등이 표면에 퇴적되어도, 이 오목부를 통로로 하여 배출할 수 있는 등의 이점도 있다.
또한, 후자의 공보는 수납틀의 플랜지벽의 상면에 미끄러짐 방지 모양을 형성한 것으로서, 그 미끄러짐 방지 모양으로서 플랜지벽을 따라 원주형으로 마련한 파형홈과 이 파형홈의 솟은 부분과 패인 부분에 대응하여 형성된 구멍을 마련함으로써 미끄러짐의 방지를 꾀한 것이다.
그러나, 실개소 60-27160호 공보에 기재된 지하구조물용 뚜껑에서는, 뚜껑본체의 외주에 바깥테두리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목부 자체는 전부 연석되어 있지만, 뚜껑본체를 전체로 하여 보면, 이 오목부는 바깥테두리부에 의해 포위된 모양이 된다. 게다가, 오목부는 상면 레벨에 대하여 똑같은 깊이로 움푹 들어간 평탄면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오목부와 바깥테두리부 사이의 단차도 거의 직각이거나 혹은 주조시의 배기구배가 마련된 정도이므로, 오목부에 고인 빗물이나 토사 등을 외주측까지 끌어내어 뚜껑본체의 바깥으로 배출하기에는 어느 정도 인위적인 처리가 필요하며, 시간의 경과와 함께 지연적으로 배출되기를 기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볼록부의 상면도 동일한 높이의 평탄면으로 되어 있어, 이러한 볼록부의 상면에도 빗물이나 토사가 부착하여 침적된 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실공평 7-39964호 공보에 기재된 수납틀에 대해서도, 그 플랜지벽의 상면에 형성한 미끄러짐 방지 모양은 주위에 대해서 움푹 들어가 있고 폐쇄된 오목부로 되어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빗물이나 토사가 그대로 고이기 쉽다.
이와 같이, 종래의 구조에서는, 뚜껑본체나 수납틀의 표면에 빗물이나 토사가 고이게 되면 그것을 신속하게 배출하기 어려우므로, 표면에 고인 채 남아있게 된다. 이들 표면상의 빗물이나 토사 등의 체류물은, 차량 등이 통과할 때 타이어 등과 뚜껑본체 및 수납틀의 사이에 끼여서 예를 들면 산륜과 같은 작용을 하므로, 뚜껑본체나 수납틀의 표면에 미끄럼방지를 위한 요철모양을 마련하더라도 그 효과가 현격히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빗물이나 토사 등의 체류물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체류물에 의해 미끄럼이 배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하구조물용 뚜껑 및 그 뚜껑본체와 수납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뚜껑본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제2도는 뚜껑본체의 평면도이다.
제3도는 뚜껑본체 표면의 오목부의 단차 형상 및 바깥테두리부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일부 절단사시도이다.
제4도는 안내면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제5도는 뚜껑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계단상의 오목부를 동심원상으로 형성하는 구성도 아울러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6도는 볼록부의 네 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다.
제7도는 볼록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7(a)도는 사시도이며, 제7( b)도는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제8도는 볼록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8(a)도는 사시도이며, 제8(b)도는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제9도는 배출홈을 형성한 볼록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9(a)도는 사시도이며, 제9(b)도는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수납틀에 뚜껑본체를 결합했을 때의 평면도이다.
제11도는 제10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수납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2도는 제10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수납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3도는 수납틀에 뚜껑본체를 감합했을 때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납틀 2 : 뚜껑본체
3 : 돌출부 4 : 바깥테두리부
4a : 돌기 4b, 4c : 가이드면
5a~5e : 오목부 6 : 안내면
7 : 뚜껑본체 7a : 바깥테두리부
7b : 돌기 7c : 가이드면
7d : 안내면 8 : 오목부
8a~8e : 오목부 9 : 볼록부
9a : 경사면 9b : 배출홈
9c : 경사면 9d : 배출홈
9e : 경사면 9f : 소오목부
9g : 배출홈 9h : 소볼록부
10 : 볼록부 10a : 경사면
10b : 소볼록부 11 : 볼록부
11a : 경사면 11b : 소볼록부
12 : 볼록부 12a : 배출홈
12b : 소볼록부 13 : 수납틀
13a : 플랜지부 13b : 오목부
13c : 내주벽 13d : 돌기부
13e : 외주벽 13f : 돌기부
13g : 배출가이드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뚜껑본체는, 상단면이 수납틀의 상단면과 거의 일치하는 높이의 각각 독립된 복수의 볼록부와 이들 볼록부를 둘러싸는 오목부에 의해 요철모양을 표면에 형성한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뚜껑본체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가 뚜껑본체의 중앙부로부터 외주쪽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오목부가 외주쪽으로 갈수록 점점 깊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빗물 등을 뚜껑본체의 외주측으로 유도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뚜껑본체는, 표면에 요철모양을 형성함과 동시에 외주에 바깥테두리부를 형성한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뚜껑본체에 있어서, 바깥테두리부에 인접한 오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바깥테두리부의 상면까지의 사이에 뚜껑본체의 외주쪽으로 위를 향하여 경사진 안내면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안내면을 마련함으로써 오목부에 고인 빗물이나 토사 등을 뚜껑본체의 바깥으로 유도하는 것이 용이해지며, 이들 빗물이나 토사의 신속한 배출이 촉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뚜껑본체는, 볼록부의 상면에, 이 볼록부의 외주쪽으로 아래를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 및/ 또는 볼록부의 외주에서 개구되는 배출홈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볼록부의 상면에 그 자체의 외주쪽으로 아래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이나 배출홈을 형성함으로써, 볼록부 자체에 부착된 빗물이나 토사를 오목부측으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볼록부 표면에 의한 우수한 미끄러짐 방지 효과가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수납틀은, 수납틀의 상단면의 둘레방향의 일부 또는 전둘레에 오목부를 마련하고, 이 오목부에는 수납틀의 외주쪽으로 위를 향하여 경사지는 배출 가이드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출 가이드를 오목부에 마련함으로써, 뚜껑본체 안내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빗물이나 토사의 배출을 신속하게 촉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뚜껑본체와 수납틀의 조합에 의해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용 뚜껑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지하구조물용 뚜껑에서는, 뚜껑본체 및 수납틀 각각에 관한 체류물에 대한 배출 효과가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지하구조물용 뚜껑 전체에서 한층더 신속하게 체류물을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뚜껑본체에서는, 안내면을 뚜껑본체의 바깥 테두리부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이들 안내면끼리의 사이에, 뚜껑본체의 중앙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를 마련한 것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돌기를 마련함으로써, 타이어와의 마찰력을 증강시킬 수 있으며, 안내면에 의한 체류물의 배출효과와의 조합에 의해, 미끄러짐 방지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뚜껑본체에 형성한 볼록부에는, 그 자체에 경사면이나 배출홈을 마련함과 동시에, 이들 볼록부중 전부 또는 일부에, 그 상면에 소볼록부 및/ 또는 소오목부를 마련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볼록부의 상면에 소볼록부나 소오목부를 마련하면, 각 볼록부에 의한 타이어와의 마찰력이 증강된다.
그리고, 오목부가 뚜껑본체의 중앙부로부터 외주쪽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지도록함과 동시에 바깥테두리부에 안내면을 마련한 것에 대하여, 경사면이나 배출홈 또는 소볼록부나 소오목부를 형성한 볼록부를 마련함으로써, 한층더 신속하게 빗물이나 토사를 배출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타이어와의 마찰력도 증강된다.
한편, 수납틀에 대해서도, 그 상단면의 오목부에 배출 가이드를 마련함과 동시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외주벽 및/ 또는 내주벽에는, 오목부의 안쪽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를 마련하여도 좋다. 이렇게 구성하면, 뚜껑본체의 바깥테두리부에 안내면과 돌기를 마련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미끄러짐 방지 효과가 향상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뚜껑본체를 수납틀에 위치시킨 상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그 상단면을 노면의 레벨에 맞추어서 땅속에 설치되는 수납틀(1)에 대하여, 뚜껑본체(2)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테이퍼 결합되어 있다. 뚜껑본체(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표면에 요철모양을 가지지만, 모든 볼록부는 그 상단면의 높이가 수납틀(1)의 상단면의 높이와 거의 일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도는 뚜껑본체(2)의 평면도로서, 평면형상을 육각형으로 한 볼록부(3)를 각각 독립되게 배치한 표면모양을 가지며, 외주에는 바깥테두리부(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볼록부(3)의 상단면 및 바깥테두리부(4)의 상면의 높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납틀(1)의 상단면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다.
뚜껑본체(2)의 표면에는, 볼록부(3)에 의한 모양 외에, 동심원상으로 5개의 오목부(5a, 5b, 5c, 5d, 5e)를 계단상으로 형성한다. 제3도는 뚜껑본체(2) 표면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5a-5e) 각각의 바닥면은 수평이지만, 중앙부의 오목부(5a)가 가장 얕고, 바깥테두리부(4)에 인접하는 오목부(5e)가 가장 깊게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a~5e)을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강우시 빗물이 고였을 때, 빗물이 뚜껑본체(2)의 중앙부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쉽게 흘러간다. 또한, 뚜껑본체(2)의 표면에 부착된 토사에 대해서도, 강우에 의해 빗물과 함께 혹은 차량통과시의 풍압 등에 의해 마찬가지로 중앙부로부터 외주쪽으로 유도할 수 있어, 뚜껑본체(2)의 중앙부분에 빗물이나 토사가 체류하지 않으므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주측의 오목부(5e)에 인접하는 바깥테두리부(4)와의 경계부분에는, 이러한 오목부(5e)로부터의 빗물이나 토사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안내면(6)을 마련한다.
제4도는 안내면(6)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부분사시도로서, 오목부(5e)의 바닥면에 나란히 줄지어 있으며 뚜껑본체(2)의 외주쪽으로 위를 향하여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올라가는 안내면(6)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으로서, 각각의 사이에는 바깥테두리부(4)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뚜껑본체(2)의 중앙부를 향하여 돌출한 돌기(4a)가 위치하고 있다. 이들 돌기(4a)는, 뚜껑본체(2)의 중앙부로 향하는 면을 삼각형상으로 돌출하여 그 2면이 양옆의 안내면(6) 위치로 빗물이나 토사를 유도하는 가이드면(4b), (4c)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면(6)을 마련함으로써, 뚜껑본체(2)의 중앙부로부터 외주측의 오목부(5e)로 유도된 빗물이나 토사는, 차량의 타이어의 통과 등에 의해 안내면(6)을 통하여 원활하고도 신속하게 뚜껑본체(2)의 바깥으로 배출되므로, 미끄러짐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안내면(6)끼리의 사이에 뚜껑본체(2)의 중앙부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4a)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들 돌기(4a)의 모서리부 및 직선부에 의해 보행자의 구두나 차량의 타이어 등에 대한 마찰력을 높일 수 있어 미끄러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뚜껑본체(2)의 볼록부(3)는 모두 그 상단면의 높이가 수납틀(1)의 상단면의 높이와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도로에 설치된 경우에는, 그들 상단면의 높이가 노면의 높이와 거의 일치하게 되므로, 보행자나 차량의 진행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통행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5도는 뚜껑본체의 표면에 마련한 볼록부의 형상을 개선하고, 볼록부 자체에 빗물이나 토사의 배출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미끄러짐 방지를 꾀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뚜껑본체(7)는 이 바깥테두리부(7a)를 전체에서 가장 높은 레벨로 형성함과 동시에, 그 바깥테두리부(7a)로 둘러싸인 영역을 동일한 깊이의 오목부(8)로 만든 것이다. 그리고, 바깥테두리부(7a)가 오목부(8)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앞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4도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오목부(8)의 바닥면에서부터 바깥테두리부(7a)의 상면까지 위를 향하여 경사진 안내면(7d)을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각각의 사이에는 뚜껑본체(7)의 중앙부로 향하는 면을 가이드면(7c)으로 한 돌기(7b)를 마련하고 있다.
오목부(8)에는,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평면형상이 육각형으로서 그 상단면을 바깥테두리부(7a)의 상면 높이와 동일하게 하거나 혹은 약간 낮게 한 볼록부(9)를 각각 독립되게 마련한다.
제6도는 볼록부(9)의 구체적인 형상의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제6(a)도는, 상면의 중앙부를 제외하고 6면의 경사면(9a)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이들 경사면(9a)은, 각각의 지향 방향은 다르지만, 모두 볼록부(9)의 외주쪽으로 갈수록 아래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되어 있으므로, 볼록부(9)의 상면에 부착한 빗물이나 토사는 경사면(9a)을 통하여 오목부(8)를 향하여 쉽게 배출되어, 볼록부(9)에 의한 미끄러짐 방지의 효과가 유지된다.
제6(b)도는, 상면을 거의 평탄하게 함과 동시에, 세 곳에 배출홈(9b)을 새긴 것이다. 이들 배출홈(9b)은, 상면의 중앙부측에서는 폭이 좁고 얕으며 외주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고 점차 깊어지게 되며, 볼록부(9)의 외주에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배출홈(9b)에 의해, 볼록부(9)의 상면에 작은 요철을 만들어 미끄러짐 방지 효과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부착된 빗물이나 토사의 오목부(8)측으로의 배출을 촉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배출홈(9b)을 볼록부(9)의 외주를 향하여 폭이 넓어지고 깊어지도록 함으로써, 빗물이나 토사의 배출을 더욱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
제6(c)도는, 볼록부(9)의 상면 전체를 완만한 곡면상의 경사면(9c)으로 하고, 제6(b)도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세 곳에 배출홈(9d)을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경사면(9c)과 함께 배출홈(9d)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6(a)도 및 제6(b)도의 실시예의 경우보다는 빗물이나 토사의 배출효과가 높다.
또한, 제6(d)도는 볼록부(9)의 상면을 경사면(9c)으로 함과 동시에 중앙에 소오목부(9f)를 마련하고 여기에 연통하는 3개의 배출홈(9g)을 외주까지 형성하고, 이들 배출홈(9g) 사이에 부분에 반구형상의 소볼록부(9h)를 마련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제6(c)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경사면(9e)과 배출홈(9g)에 의한 빗물이나 토사의 배출효과와 함께, 소오목부(9f)와 소볼록부(9h)에 의한 작은 요철에 의해 타이어에 대한 마찰력을 늘릴 수 있어, 미끄러짐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볼록부(9) 대신에, 제7도 내지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의 볼록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7도에서의 볼록부(10)는, 6면의 아래쪽을 향하는 경사를 가진 경사면(10a)과 중앙에 배치한 편평한 소볼록부(10b)를 형성한 것으로서, 이들 볼록부(10)와 소볼록부(10b)의 평면형상은 정육각형으로서, 각각의 변을 상호 평행하게 위치시키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소볼록부(10b)가 경사면(10a)에서부터 올라가게 되므로, 타이어와의 마찰력을 향상시켜서 미끄러짐 방지에 효과를 가져다줄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경사면(10a)에 의한 빗물이나 토사의 신속한 배출이 가능하다.
또한, 소볼록부(10b)는 제7(a)도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30° 회전시킨 자세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볼록부(10)의 모서리부분과의 조합으로 12방향의 모서리부가 생기는 평면형상으로 만들 수 있으므로, 타이어의 진행방향이 여러 가지이더라도 마찰력을 크게 유지할 수 있다.
제8도에 나타낸 볼록부(11)는, 제7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6면의 경사면(11a)을 구비함과 동시에, 중앙부 상면의 세 곳에 소돌기부(11b)를 형성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소돌기부(11b)가 복수개이므로, 제7도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타이어에 대한 마찰력이 더욱 강화되며, 미끄럼 방지에 효율적이다. 또한, 각 소돌기부(11b)끼리의 사이에는 빈큼을 두고 있으므로, 이들 소돌기부(11b)에 의해 둘러싸인 오목부 부분에 빗물이나 토사가 고이더라도, 이 소돌기부(11b) 사이의 빈틈에서 경사면(11a)으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제9도에 나타낸 돌기부(12)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대신에 세 곳에 배출홈(12a)을 형성하고, 그와 동시에 중앙부에 제8도의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의 소돌기부(12b)를 마련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배출홈(12a)에 의해 중앙부에서 빗물이나 토사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전체에 경사면을 형성하지 않아도 빗물이나 토사의 체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소돌기부(12b)에 의해 타이어에 대한 마찰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점은 제8도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제7도 내지 제9도에 나타낸 소돌기부에 대해서는, 상면을 평탄면으로 하였으나, 상면에는 경사면이나 배출홈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제6도 내지 제9도에 나타낸 각 돌기부(9-12)에 대해서는, 제5도의 뚜껑본체(7)의 오목부(8)의 위에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그 대신에 제2도에 나타낸 계단상으로 오목부를 마련한 것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5도에 있어서는, 제6(a)도에 나타낸 형상의 볼록부(9)를 평탄한 오목부(8)의 위에 형성하였으나, 상기 제5도 중에서 일점쇄선의 동심원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단상의 오목부(8a-8e)를 형성한 것에 대해서도 이들 볼록부(9)를 독립시켜서 형성할 수도 있다. 오목부(8a-8e)는,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중앙부의 오목부(8a)가 가장 얕고 외주측의 오목부(8e)를 향하여 계단상으로 점차 깊어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계단상의 오목부(8a-8e)를 갖는 것이라면, 볼록부(9)에서 그 경사면(9a)에 의해 배출된 빗물이나 토사는, 바깥테두리부(7a)에서 바깥으로 신속하게 배출된다. 이와 같이, 오목부(8a-8e)와 그 상면에 마련한 볼록부(9)는, 각각 빗물이나 토사의 배출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상승 효과에 의해 미끄러짐 방지 측면에서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제2도 및 제5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오목부를 동심원상의 단차로 구획하고, 각 오목부의 바닥면은 수평면으로 하였으나, 각 바닥면을 뚜껑본체의 중앙부에서 외주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하여도 좋으며, 단차는 동심원상이 아닌 예를 들면 동심의 육각형상(다각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오목부를 단차로 구획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그 바닥면을 하향경사지게 하여도 좋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볼록부의 평면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므로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볼록부의 배치방법에 대해서도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므로, 예를 들면 제6도 내지 제9도의 각 볼록부(9-12) 중 몇 개를 조합하여 배치하여도 좋으며, 이들을 뚜껑본체의 표면전체가 아닌 일부분에 배치하고, 그 밖의 부분에는 장식을 겸하여 종래부터 알려진 볼록 모양을 배치하여도 좋다.
제10도 내지 제13도는 수납틀에도 빗물이나 토사의 신속한 배출을 위한 적절한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로서, 제10는 그 평면도, 제11도 및 제12도는 각각 수납틀 상부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제10도에 있어서, 뚜껑본체(2)는 제1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며, 뚜껑본체(2)는 그 바깥테두리부(4)의 상단면이 수납틀(13)의 상단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결합 지지된다.
또한, 제11도 및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틀(13) 상부의 플랜지부(13a)의 상면에는, 동일한 깊이의 오목부(13b)를 마련하고, 상기 오목부(13b)의 내주벽(13c)에는 오목부(13b)의 안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거의 사각형 모양의 횡단면형상을 갖는 돌기부(13d)를 마련함과 동시에, 오목부(13b)의 외주벽(13e)에도 오목부(13b)의 안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거의 삼각형 모양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돌기부(13f)를 마련한다. 이들 각각의 돌기부(13d, 13f)는 모두 일정한 피치로 둘레방향으로 배치된 것이므로, 상호 반피치씩 물려서 서로 돌아가도록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외주벽(13e)의 돌기부(13f)들 사이에는, 빗물이나 토사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배출 가이드(13g)를 마련한다. 이러한 배출 가이드(13g)는 제12도의 평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13d), (13f)와 비교하여 둘레방향을 길게 형성하고 있으며, 수납틀(13)의 외주쪽으로 위를 향하여 올라가는 경사면(13a)을 가지며 그와 동시에 아랫부분이 약간 넓은 거의 사다리형 모양의 평면형상으로 하여 형성된 것이다.
제13도는 수납틀(13)에 뚜껑본체(2)를 결합했을 때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뚜껑본체(2)를 수납틀(13)에 결합했을 때에는 그 상단면끼리 즉 뚜껑본체(2)의 바깥테두리부(4)의 상면과 수납틀(13)의 플랜지부(13g)의 상면은 같은 높이로 한다. 또한, 수납틀(13)에 대한 뚜껑본체(2)의 둘레방향의 위치 관계는 어느 정도 임의대로 하며, 뚜껑본체(2)의 안내면(6)과 수납틀(13)의 배출 가이드(13g)와의 위치를 정합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제약이 전혀 없다.
또한, 뚜껑본체(2)에 대해서는 그 오목부(5a-5e)의 깊이 관계에 의해 빗물이나 토사를 바깥테두리부(4)측까지 유도하는 것이 용이하며, 안내면(6)에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점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뚜껑본체(2)에서 배출되는 빗물이나 토사는 수납틀(13)측에도 흐르게 되는데, 이 수납틀(13)에도 뚜껑본체(2)의 안내면(6)과 동일하게 외주쪽으로 위를 향하여 경사진 배출 가이드(13g)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뚜껑본체(2)측에서 흘러든 빗물이나 토사는, 차량의 타이어 통과 등에 의해 이 배출 가이드(13g)를 통하여 마찬가지로 신속하게 바깥으로 배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 가이드(13g)를 일정한 피치로 간격을 띄우고 배치하고, 이들 배출가이드(13g)끼리의 사이에 돌기부(13f)를 마련함과 동시에, 오목부(13b)의 내주벽(13c)에도 돌기부(13d)를 일정한 피치로 마련하고 있으므로, 배출 가이드(13g)에 의해 빗물이나 토사 등의 체류물이 신속하게 배출됨과 동시에, 돌기부(13d), (13f)에 의해 타이어 등과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미끄럼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배출 가이드(13g)와 돌기부(13d), (13f)의 배치 방법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배출 가이드(13g)를 오목부(13b)의 외주벽(13e)의 전둘레에 걸쳐 마련하고, 돌기부(13d)만을 일정한 피치로 오목부(13b)의 내주벽(13c)측에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돌기부(13d), (13f)를 마련하지 않고 배출 가이드(13g)만을 마련하여도 좋으며, 이 경우에도 배출 가이드(13g)에 의한 체류물의 배출 효과에 의해, 미끄러짐 방지를 꾀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수납틀과 뚜껑본체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다각형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뚜껑본체에서는, 그 오목부가 뚜껑본체의 중앙부에서 외주쪽으로 점차 깊어지도록 하였으므로, 오목부에 고인 빗물이나 토사 등을 원활하게 뚜껑본체의 외주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빗물이나 토사에 의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뚜껑본체의 바깥테두리부에 안내면을 마련한 뚜껑본체에서는, 오목부에 고인 빗물이나 토사를 원활하고도 신속하게 뚜껑본체의 바깥으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미끄러짐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볼록부의 상면에 경사면이나 배출홈 등을 마련함으로써, 미끄러짐 방지에 효율적인 복잡한 요철형을 볼록부에 형성하여도, 볼록부 자체에서 빗물이나 토사의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미끄러짐 방지에 효율적인 표면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의 상면에 소볼록부나 소오목부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도, 미끄러짐 방지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오목부를 외주쪽으로 점차 깊어지게 하면서 그와 동시에 바깥테두리부에 안내면을 형성한 뚜껑본체에 대하여, 경사면이나 배출홈 및 소볼록부나 소오목부를 형성한 볼록부를 배치함으로써, 빗물이나 토사의 배출이 신속하게 진행됨과 동시에 볼록부에 의한 미끄러짐 방지 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수납틀에 의하면, 그 오목부에 마련한 배출 가이드에 의해, 뚜껑본체에 마련한 안내면과 동일한 기능에 의해 오목부에 고인 빗물이나 토사를 신속하게 바깥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수납틀 자체의 미끄러짐 방지 효과도 상승된다.
또한, 이들 뚜껑본체와 수납틀로 구성된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용 뚜껑에서는, 뚜껑본체나 수납틀 자체의 표면에서 빗물이나 토사의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지하구조물용 뚜껑 전체로서 미끄러짐 방지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Claims (11)
- 상단면이 수납틀의 상단면과 거의 일치하는 높이의 각각 독립된 복수의 볼록부와 이들 볼록부를 감싸는 오목부에 의해 요철모양을 표면에 형성한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뚜껑본체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뚜껑본체의 중앙부로부터 외주를 향해 점차 깊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뚜껑본체.
- 표면에 요철모양을 형성함과 동시에 외주에 바깥테두리부를 형성한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뚜껑본체에 있어서, 바깥테두리부에 인접한 오목부의 저면으로부터 그 바깥테두리부의 상면까지의 사이에, 뚜껑본체의 외주쪽으로 위를 향하여 경사진 안내면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뚜껑본체.
- 제2항에 있어서, 안내면을 뚜껑본체의 바깥테두리부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안내면들 사이에 뚜껑본체의 중앙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뚜껑본체.
- 제1항에 있어서, 뚜껑본체의 외주에 바깥테두리부를 형성하고, 이 바깥테두리부에 인접한 오목부의 저면으로부터 그 바깥테두리부의 상면까지의 사이에, 뚜껑본체의 외주쪽으로 위를 향하여 경사진 안내면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뚜껑본체.
- 제4항에 있어서, 안내면을 뚜껑본체의 바깥테두리부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안내면들 사이에 뚜껑본체의 중앙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뚜껑본체.
- 각각 독립된 복수의 볼록부와 이들 볼록부를 감싸는 오목부에 의해 요철모양을 표면에 형성한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뚜껑본체에 있어서, 볼록부의 상면에 이 볼록부의 외주쪽으로 위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 및/ 또는 볼록부의 외주로 개구된 배출홈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뚜껑본체.
- 제6항에 있어서, 볼록부들 전부 또는 일부에는, 그 상면에 작은 볼록부 및/ 또는 작은 오목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뚜껑본체.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볼록부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6항 또는 제7항에 기재된 볼록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뚜껑본체.
- 뚜껑본체가 놓이는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수납틀에 있어서, 수납틀의 상단면의 둘레방향의 일부 또는 전둘레에 걸쳐 오목부를 마련하고, 이 오목부에는 수납틀의 외주쪽으로 위를 향하여 경사진 배출가이드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수납틀.
- 제9항에 있어서, 오목부를 형성하는 외주벽 및/ 또는 내주벽에는, 오목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수납틀.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뚜껑본체와, 제9항 또는 제10항에 기재된 수납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하구조물용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8259308A JP2758589B2 (ja) | 1995-12-28 | 1996-09-30 | 地下構造物用蓋ならびにその蓋本体および受枠 |
JP8-259308 | 1996-09-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24080A KR19980024080A (ko) | 1998-07-06 |
KR100241323B1 true KR100241323B1 (ko) | 2000-02-01 |
Family
ID=17332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31234A KR100241323B1 (ko) | 1996-09-30 | 1997-07-05 | 지하구조물용 뚜껑 및 그 뚜껑본체와 수납틀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5997212A (ko) |
EP (1) | EP0833010B1 (ko) |
KR (1) | KR100241323B1 (ko) |
DE (1) | DE69722549T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6025B1 (ko) | 2007-04-20 | 2008-09-02 | 이민호 | 측면 전수접촉 맨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93771B1 (en) * | 2000-02-10 | 2002-05-28 | Michael Alan Stetson | Cover for closing surface disposed utility access opening |
JP3684188B2 (ja) * | 2001-10-16 | 2005-08-17 |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 滑り止め構造 |
ITMI20020659A1 (it) * | 2002-03-28 | 2003-09-29 | I C E A S R L | Dispositivo per segnaletica orizzontale e pavimentazione stradale peruna incrementata sicurezza ed una migliorata viabilita' |
US20040058050A1 (en) * | 2002-09-25 | 2004-03-25 | Peilin Guo | Herbal sweetening composition |
US7862729B2 (en) * | 2007-05-04 | 2011-01-04 | Stetson Development, Inc. | Deck drain cover |
KR100873095B1 (ko) * | 2007-06-08 | 2008-12-09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미끄럼 방지용 맨홀 뚜껑 |
US20090321442A1 (en) * | 2008-06-30 | 2009-12-31 | Stetson Michael A | Utility cover having a bowl cavity and a removable lid |
DE102012108392A1 (de) * | 2012-09-10 | 2014-05-28 | ACO Severin Ahlmann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 Abdeckung |
US10240332B1 (en) * | 2018-01-23 | 2019-03-26 | Stetson Development, Inc. | Channel drain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4781A (en) * | 1885-03-31 | Vault-cover | ||
GB191027088A (en) * | 1910-11-22 | 1911-07-20 | Samuel Henry Adams | Improvements in Manhole Covers, Surface Boxes, Gully Grate Frames and the like. |
GB201018A (en) * | 1922-07-08 | 1923-07-26 | Bryan Adams | Improvements in manhole covers and the like |
GB266482A (en) * | 1925-12-05 | 1927-03-03 | William Crabtree | Improvements relating to manhole and like boxes and covers |
US2073814A (en) * | 1931-12-10 | 1937-03-16 | Small Francis Gordon | Nonslip surfaces for paving blocks |
GB492190A (en) * | 1937-03-18 | 1938-09-16 | Walter Needham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anhole and like covers and frames therefor for roads and pathways |
AT222052B (de) * | 1956-10-20 | 1962-07-10 | Passavant Werke | Deckel für Schachtabdeckungen in Fahrbahnen u. dgl. |
FR1451201A (fr) * | 1963-12-24 | 1966-01-07 | Tampon de regard | |
FR2252013A5 (en) * | 1973-10-30 | 1975-06-13 | Norinco | Manhole cover with anti-skid surface - has truncated pyramidal projections in rows at 45 degrees to the cover edge |
BE861949A (fr) * | 1977-01-05 | 1978-04-14 | Dumortier Robert | Dispositif de verrouillage pour tampon de regard de chaussee ou autres |
US4203686A (en) * | 1978-07-17 | 1980-05-20 | Bowman Harold M | Manhole construction |
JPS5842252A (ja) * | 1981-09-07 | 1983-03-11 | Toshiba Corp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JPS6027160A (ja) * | 1983-07-25 | 1985-02-12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半導体装置 |
JPS6386156A (ja) * | 1986-09-30 | 1988-04-16 | Toshiba Corp | デジタル再生装置 |
US4969770A (en) * | 1987-07-23 | 1990-11-13 | Bowman Harold M | Manhole cover support with topside flange |
US5312202A (en) * | 1992-09-25 | 1994-05-17 | 3-D Composits Ltd | Access cover assembly |
US5318376A (en) * | 1992-12-07 | 1994-06-07 | Prescott Sr Everett J | Manhole frame |
US5366317A (en) * | 1992-12-31 | 1994-11-22 | Solimar Keith F | Manhole cover apparatus and method |
JPH084854B2 (ja) * | 1993-07-30 | 1996-01-24 | 日本電気株式会社 | 金型製造方法 |
US5499888A (en) * | 1995-03-29 | 1996-03-19 | Hawkes; E. Gerry | Bidirectional roadway for wheeled vehicles |
US5807021A (en) * | 1995-11-29 | 1998-09-15 | Aaron; James F. | Ground cover mat manufactured from recycled plastic |
-
1997
- 1997-06-23 US US08/880,244 patent/US5997212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06-26 EP EP97110526A patent/EP0833010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06-26 DE DE69722549T patent/DE69722549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07-05 KR KR1019970031234A patent/KR10024132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6025B1 (ko) | 2007-04-20 | 2008-09-02 | 이민호 | 측면 전수접촉 맨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833010B1 (en) | 2003-06-04 |
EP0833010A1 (en) | 1998-04-01 |
US5997212A (en) | 1999-12-07 |
DE69722549T2 (de) | 2004-04-22 |
DE69722549D1 (de) | 2003-07-10 |
KR19980024080A (ko) | 1998-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41323B1 (ko) | 지하구조물용 뚜껑 및 그 뚜껑본체와 수납틀 | |
US5536110A (en) | Transition collar and spacing device for use in road construction | |
KR100249692B1 (ko) | 지하구조물용 뚜껑 | |
KR100954295B1 (ko) | 논두렁 구축용 블록 | |
KR101191138B1 (ko) | 미끄럼 방지용 맨홀 뚜껑 | |
JP2796087B2 (ja) | 地下構造物用蓋の蓋本体 | |
JP2758589B2 (ja) | 地下構造物用蓋ならびにその蓋本体および受枠 | |
JP2960706B2 (ja) | 地下構造物用蓋の蓋本体 | |
KR200430190Y1 (ko) | 방수를 위한 배수기능을 갖는 맨홀커버 | |
JP3897615B2 (ja) | 排水性舗装の側溝構造 | |
JP4722498B2 (ja) | マンホール蓋用受枠 | |
JP3785278B2 (ja) | 地下構造物用蓋 | |
JP4167619B2 (ja) | 地下構造物用カラー鉄蓋 | |
KR200429634Y1 (ko) | 미끄럼 방지구를 갖는 가로수 보호용 덮개판 | |
CN212279124U (zh) | 保护盘 | |
KR102179225B1 (ko) | 갓길 요철 구조 시공방법 및 갓길 요철 구조 | |
KR200301571Y1 (ko) | 삼각형 연접돌기 및 홈 부 보도블록 | |
CN214695753U (zh) | 一种道路管井及其周围维修和升降井时用的保护盖 | |
JP7200429B1 (ja) | 縁石一体型排水ブロック | |
JP2013023947A (ja) | 張出ブロックとこれを用いて形成される停車帯 | |
JPH11236715A (ja) | 地下構造物用蓋 | |
KR101120555B1 (ko) | 소형동물 탈출이 가능한 배수로 구조물 | |
KR200322152Y1 (ko) | 밀폐형 맨홀 구조 | |
JP3107942B2 (ja) | 蓋体の滑り止め材固着構造 | |
TWI504796B (zh) | Anti-slip hole co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1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1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