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568B1 - 리드프레임의 흡착유지장치 - Google Patents

리드프레임의 흡착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568B1
KR100238568B1 KR1019960006990A KR19960006990A KR100238568B1 KR 100238568 B1 KR100238568 B1 KR 100238568B1 KR 1019960006990 A KR1019960006990 A KR 1019960006990A KR 19960006990 A KR19960006990 A KR 19960006990A KR 100238568 B1 KR100238568 B1 KR 100238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frame
paper
suction
adsorptio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6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8465A (ko
Inventor
에이지 기쿠치
고헤이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후지야마 겐지
가부시키가이샤 신가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야마 겐지, 가부시키가이샤 신가와 filed Critical 후지야마 겐지
Publication of KR970008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5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with gripping and holding devices using a vacuum; Bernoulli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4/00Handling: hand and hoist-line implements
    • Y10S294/907Sensor controlled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0Associated with forming or dispersing groups of intersupporting articles, e.g. stacking patterns
    • Y10S414/114Adjust to handle articles or groups of different sizes

Abstract

리드프레임의 리드표면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또 리드프레임을 안정하게 흡착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신속히 리드프레임의 공급이 가능하다.
상하방향으로 이동 및 가이드레일의 반송방향인 X방향과 직각이고 수평인 Y방향으로 이동케되는 흡착유지체(72)에 장치된 X방향가이드판(84A,85A,84B,85B)에는 리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양측단부측을 흡착유지하도록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120)을 2열 설치하고, 이 2열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120)의 중간부에 종이용 흡착노즐(110) 및 리드프레임인지 종이인지를 검출하는 검출단자(100)을 설치한다.

Description

리드프레임의 흡착유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리드프레임의 흡착유지장치를 사용한 리드프레임의 공급·배출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일부단면측면도이다.
제2도는 리드프레임의 흡착유지장치의 평면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2도의 측면도이다.
제5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2도의 C-C선 단면도이다.
제7도는 제2도의 D-D선 단면도이다.
제8도는 종래의 리드프레임의 흡착유지장치의 1예를 도시하고,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드프레임 2 : 종이
3 : 가이드레일 4 : 매거진
30 : 흡착유지장치구동수단 66 : 종이버림상자
70 : 흡착유지장치 72 : 흡착유지체
75 : Y축지지홀더 76 : Y축
77A, 77B, 78A, 78B : 슬라이더
84A, 85A, 84B, 85B : X방향 가이드판
100 : 검출단자 110 : 종이용 흡착노즐
120 : 리드프레임 흡착노즐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리드프레임의 공급·배출장치에 사용하는 리드프레임의 흡착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예를 들면, 리드프레임에의 다이본딩작업에 있어서는, 매거진에 겹쳐 쌓아진 리드프레임을 1매씩 흡착유지체에 설치된 복수개의 흡착노즐에 의하여 흡착유지하여 이송하고, 가이드 레일상에 얹어 놓는다. 그리고, 가이드레일상에 얹어 놓여진 리드프레임은, 가이드레일의 가이드홈에 가이드되어, 푸셔 또는 이송클릭에 의하여 본딩부에 반송된다.
더욱, 다른 종류의 리드프레임의 공급·배출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 62-175324호 공보를 열거할 수 있다.
그런데 매거진에 겹쳐 쌓여져서 수납된 리드프레임은, 리드프레임끼리 접촉하여 리드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드프레임사이에 종이를 끼워 수납한 것이 있다.
이와 같이 리드프레임과 종이를 번갈아 겹쳐 쌓은것에 적용하는 흡착유지장치는,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외에 종이용 흡착노즐을 갖는다. 이와 같은 흡착유지장치의 개략구성은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프레임(1) 사이에 종이(2)를 끼우고 겹쳐 쌓아 수납한 매거진(4)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위치결정판(140)상에 위치결정되어 얹어 놓여진다. 리드프레임(1) 및 종이(2)는 엘리베이터장치의 밀어올림막대(141)에 의하여 밀어 올려진다. 매거진(4)으로부터 리드프레임(1)을 흡착유지하여 가이드레일(3)로 이송하는 흡착유지장치(145)는 가이드레일(3)에 의하여 리드프레임 반송방향(X방향)과 직각인 Y방향으로 이동 및 상하방향(Z방향)으로 이동하는 유지체홀더(146)를 갖고, 유지체홀더(146)에는 리드프레임용 흡착유지체(147)와 종이용 흡착유지체(148)가 설치되어 있다.
리드프레임용 흡착유지체(147)에는 X방향으로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149)이 1열로 설치되고, 종이용 흡착유지체(148)에는 2개의 종이용 흡착노즐(150)과 2개의 검출단자(151)가 X방향으로 1열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149)과 종이용 흡착노즐(150)의 간격(Y1)은 가이드레일(3)의 중심과 매거진(4)의 중심의 간격(Y1)과 같게 되어 있다. 따라서 리드프레임용 흡착유지체(147)가 가이드 레일(3)의 상방에 위치하였을 때는, 종이용 흡착유지체(148)는 매거진(4)의 상방에 위치한다. 또 리드프레임용 흡착유지체(147)가 매거진(4)의 상방으로 위치하였을 때 종이용 흡착유지체(148)의 하방에는 종이(2)를 수납하는 종이수납상자(15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우선 유지체홀더(146)의 Y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종이용 흡착유지체(148)가 매거진(4)의 상방으로 이동하고, 계속 종이용 흡착유지체(148)의 Z방향의 이동에 의한 하강에 의하여 종이용 흡착노즐(150) 및 검출단자(151)가 매거진(4)의 최상의 리드프레임(1) 또는 종이(2)에 접촉한다. 검출단자(151)에 의한 검출결과, 종이(2)인 경우에는 종이용 흡착노즐(150)의 진공이 흡인으로 되고, 종이용 흡착노즐(150)은 종이(2)를 흡착유지한다. 그리고, 유지체홀더(146)가 상승하고, 계속하여 종이용 흡착유지체(148)가 종이버림 상자(152)의 상방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종이용 흡착노즐(150)의 진공이 정지로 되고, 종이(2)는 종이수납상자(152)에 수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이용 흡착노즐(150) 및 검출단자(151)가 매거진(4)의 최상의 리드프레임(1) 또는 종이(2)에 접촉하고, 검출단자(151)에 의한 검출결과 리드프레임(1)인 경우는 유지체홀더(146)는 상승하고, 다음에 리드프레임용 흡착유지체(147)가 매거진(4)의 상방으로 이동하고, 계속하여 하강하여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149)이 리드프레임(1)에 접촉한다. 다음에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149)의 진공이 흡인으로 되고, 리드프레임(1)을 흡착유지한다. 그리고, 유지체홀더(146)가 상승하고 계속하여 리드프레임용 흡착유지체(147)가 가이드레일(3)의 상방으로 이동하고, 다음에 리드프레임용 흡착유지체(147)가 하강하여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149)에 흡착유지된 리드프레임(1)을 가이드레일(3)상에 위치시켜,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149)의 진공이 정지로 되고, 리드프레임(1)을 가이드레일(3)에 얹어 놓는다. 그후 유지체홀더(146)는 상승한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 흡착유지장치(145)는 리드프레임용 흡착유지체(147)에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149)이 일렬로 설치되고, 리드프레임(1)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를 흡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리드프레임(1)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는 구멍이 뚫린 공간이 있고, 또 리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앙부를 흡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 폭이 넓은 리드프레임(1)에 있어서는 중앙부에서만 유지하는 것은 리드프레임(1)을 변형시키거나 하기 때문에 안정성에서 문제가 있다.
또 리드프레임용 흡착유지체(147)와 종이용 흡착유지체(148)와의 간격(Y1)은 가이드 레일(3)과 매거진(4)의 간격(Y1)에 같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품종류변경에 대하여 크게 변한다. 더욱 리드프레임(1)과 종이(2)는 반드시 번갈아 겹쳐쌓아져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때로는 리드프레임(1) 사이에 종이(2)가 존재하지 않는 일이 있다. 이때문에 검출단자(151)에서 매거진(4)의 최상의 것이 리드프레임(1) 인지 종이(2)인지를 우선 검출하고, 리드프레임(1)의 경우에는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149)에 의하여 리드프레임(1)을 흡착유지하도록 유지체홀더(146)를 Z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필요로 한다. 이 동작에 의하여 리드프레임(1)을 신속히 가이드 레일(3)싱에 공급할 수가 없다.
또 상기 종래기술은, 제품종류에 각각 대응한 전용의 흡착유지장치이므로 제품종류변경에 의하여 리드프레임(1)의 길이 또는 폭이 변하였을 경우, 이에 적합하는 흡착유지 장치로 교환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때문에 제품종류에 대응한 흡착유지장치를 준비할 필요가 있고, 보관관리 및 경제성등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제1 의 목적은 리드프레임의 리드표면을 손상시킬 필요가 없고, 또 리드프레임을 안정하여 흡착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신속히 리드프레임의 공급이 가능한 리드프레임의 흡착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의 목적은 각 제품종류에 대응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는 리드프레임의 흡착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1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의 수단은 매거진에 수납된 리드프레임을 흡착 유지하여 가이드레일상에 얹어놓는 리드프레임의 흡착유지장치에 있어서, 상하방향 및 가이드레일의 반송방향인 X방향에 대하여 직각이고 수평한 Y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흡착유지체와, 리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양측단부측을 흡착유지하도록, 상기 흡착유지체에 복수개 2열로 설치된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과, 이 2열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의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흡착유지체에 설치된, 종이를 흡착유지하는 종이용 흡착노즐 및 리드프레임인지 종이인지를 검출하는 검출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의 수단은, 상기 제1 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2열의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은 각 열마다 리드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폭방향위치 조정가능하게, 또 각 열의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용 흡착 노즐은 리드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길이방향위치 조정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의 수단은 흡착유지체의 X방향의 양측에는 각각 Y방향으로 뻗은 Y축의 중앙부가 고정되고, 이 2개의 Y축의 양단측에는 각각 슬라이더가 슬라이딩가능하고 동시에 Y축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4개의 슬라이더의 X방향 대향하는 쌍의 슬라이더에는 각각 X방향으로 뻗은 X방향 가이드판에 고정되고, 이 X방향 가이드판에는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이 슬라이딩 가능하고 동시에 상기 X방향 가이드판에 고정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흡착유지체에 종이용 흡착노즐 및 리드프레임인지 종이인지를 검출하는 검출단자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제1 의 수단은, 리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양측단부측을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로 흡착유지함으로, 리드프레임의 리드표면을 손상시킴이 없이, 리드프레임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2열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의 중간부에 종이용 흡착노즐 및 검출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또 검출단자로 매거진의 최상의 리드프레임 또는 종이를 검출하였을 경우, 종이이면 그 상태에서 종이용 흡착노즐의 진공을 흡인하여 종이용 흡착노즐은 종이를 흡착유지한다.
또 리드프레임이면 그 상태에서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의 진공을 흡인하여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은 리드프레임을 흡착유지한다. 즉, 흡착유지체는 쓸데없는 동작을 하지 않으므로 리드프레임을 가이드레일상에 신속히 공급할 수 있다.
제2 의 수단은, 2열의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을 Y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리드 프레임의 폭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 각 열의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을 X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리드프레임의 길이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의 수단에 의한 효과외에 각 제품종류에 대응할 수 있고 범용성을 갖는다.
제3 의 수단은, 슬라이더를 Y축에 따라 움직임으로써 X방향 가이드판에 장치된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이 Y방향으로 이동하고, 리드프레임의 폭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 X방향 가이드판에 장치된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을 X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리드프레임의 길이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의 수단과 똑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 2열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의 중간부에 종이용 흡착노즐 및 검출단자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의 수단과 똑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제 1도 내지 제 7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프레임(1)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3)의 한쪽 측방의 정면측에는 리드프레임(1) 및 종이(2)를 수납한 매거진(4)을 위치결정 유지하는 엘리베이터장치(10)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매거진(4)에는 리드프레임(1)과 종이(2)가 번갈아 끼워져 겹쳐 쌓여지고, 리드프레임(1) 끼리가 접촉하여 회로면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에 엘리베이터장치(1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판(11), 측판(12) 및 매거진 얹어놓기판(13)으로 이루어지는 얹어놓기대의 상기 매거진 얹어놓기판(13)상에는 매거진(4)을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판(14)이 설치되어 있다. 기판(11)과 매거진 얹어놓기판(13)에는 나사축(15)의 상하단이 회전자유로이 지지되고, 또 2개의 회전고정축 (도시하지 않음)의 상하단이 고정되어 있다. 나사축에는 암나사(16)가 나사맞춤되어 있고 암나사(16)에는 상기한 회전고정축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끼워넣어진 상하동축홀더(17)가 고정되어 있다. 상하동축홀더(17)에는 매거진 얹어놓기판(13) 및 매거진(4)의 밑판(5)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뻗은 상하동축(18)이 고정되어 있고, 상하동축(18)의 상단에는 밀어올림판(19)이 고정되어 있다.
측판(12)에는 모터(20)가 고정되어 있고, 모터(20)의 출력축에는 타이밍풀리(21)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나사축(15)에는 상기 타이밍 풀리(21)에 대응하여 타이밍풀리(22)가 고정되어 있고, 타이밍 풀리(21)와 타이밍 풀리(22)에는 타이밍벨트(23)가 걸려있다. 더욱이 24는 노즐흡착위치를 도시한다.
이하, 가이드레일(3)에 따른 방향을 X방향, 이 X방향에 직각인 수평방향을 Y방향, 상하방향을 Z방향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3)의 타방의 측방의 뒷면측에는 후기하는 흡착유지장치(70)을 Z 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흡착유지장치구동수단(30)이 배열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흡착유지장치구동수단(3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4개의 지지다리(31)상에 고정된 고정판(32)상에는 2개의 축받이 홀더(33)가 고정되어 있고, 축받이 홀더(33)에는 축받이(34)를 사이에 두고 상하동축(35)이 상하이동 가능하게 끼워넣어져 있다.
상하동축(35)에는 상하동판(36)이 고정되고, 상하동판(36)의 하면에는 작동판(37)이 고정 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32)상에는 캠지지판(38)이 고정되어 있고, 캠지지판(38)에는 작동판(37)이 압접하도록 캠(39)이 회전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축받이홀더(33)의 한쪽의 측면에는 실린더 지지판(40)이 고정되어 있고, 실린더 지지판(40)에는 에어실린더(41)가 회전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에어실린더(41)의 작동로드에 고정된 연결축(42)에는 핀(43)이 회전자유로이 지지되고, 핀(43)은 상기 캠(39)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상하동판(36)상에는 측판(50)이 고정되고, 측판(50)에는 레일지지판(51)이 고정되어 있다. 레일지지판(51)의 하면에는 Y방향으로 뻗은 레일(52)이 고정되고, 레일(52)에는 가이드판(53)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다. 가이드판(53)에는 Y방향 이동축 홀더(54)가 고정되고, Y방향 이동축 홀더(54)에는 Y방향으로 뻗은 Y방향 이동축(55)의 일단측이 고정되어 있다. Y방향 이동축(55)의 타단측의 가이드레일(3)측에는 흡착유지장치홀더(56)가 고정되고, 흡착유지장치홀더(56)에는 후기하는 흡착유지장치(70)가 고정되어 있다.
측판에는 Y방향 이동축(55)의 아래쪽의 좌우 타이밍 풀리(57,58)가 회전자유로이 지지되고, 또 측판(50)에는 타이밍 풀리(57,58) 사이에서 해당 타이밍풀리(57,58) 보다 약간 아래쪽에 근접하여 2개의 가이드롤러(59,60)가 회전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가이드롤러(59,60)의 아래쪽의 상기 상하동판(36)의 하면에는 모터지지판(61)이 고정되고, 모터지지판(61)에는 모터(62)가 고정되어 있다. 모터(62)의 출력축에는 타이밍풀리(63)가 고정되어 상기 타이밍풀리(57,58), 가이드롤러(59,60) 및 타이밍풀리(63)에는 타이밍벨트(64)가 걸쳐 있다. 그리고 타이밍 풀리(57,58) 사이의 타이밍벨트(64)의 상방부의 일부는 상기 Y방향 이동축 홀더(54)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축받이 홀더(33)의 가이드레일(3)측에는 상방부에 종이받이슈트(65)가 고정되고, 종이받이슈트(65)의 아래쪽에는 종이버림상자(66)를 유지하는 종이버림상자 유지부(67)가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흡착유지장치(70)의 구조를 제 2도 내지 제 7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2도 및 제 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흡착유지장치홀더(56) (제 1도 참조)에 고정되는 고정부(71)를 갖는 흡착유지체(72)에는 X방향으로 뻗은 2개의 긴구멍(73)이 형성되어 있다. 또 흡착유지체(72)의 하면에는 긴구멍(73)으로부터 폭이 넓은 회전고정홈(74)이 형성되어 있다. 흡착유지체(72)의 X방향의 단부측상에는 각각 Y축 지지홀더(75)가 고정되고 2개의 Y축 지지홀더(75)에는 각각 Y(76)의 중앙부가 고정되어 있다. 2개의 Y축(76)의 양단부측에는 각각 슬라이더(77A,77B) 및 (78A,78B)가 축받이(79)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딩 자유로이 끼워넣어져 있다.
슬라이더(77A,77B) 및 (78A,78B)의 내측의 Y축(76)부분에는 각각 고정홀더(80)가 끼워 통하게 되고, 고정홀더(80)의 Y축(76)의 끼워통하기 구멍부는 슬릿(81) (제 3도 참조)에 의하여 둘로 나누어져 있다.
고정홀더(80)의 슬릿(81)의 하부는 각각 슬라이더(77A,77B) 및 (78A,78B)에 나사(82)로 고정되고, 슬라이더(77A,77B) 및 (78A,78B)에는 상방으로부터 슬릿(81)의 상측부분을 꽉누르독록 슬라이더(77A,77B) 및 (78A,78B)의 슬릿(81)의 아래부분에 슬라이더 고정나사(83)가 나사맞춤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77A)와 (78A) 및 (77B)와 (78B)의 하면에는 각각 X방향으로 뻗은 2개의 X방향 가이드판(84A,85A) 및 (84B,85B)가 가이드부(86A,86B)(틈새)를 갖도록 양단이 각각 나사(87) (제 4도 참조)로 고정되고, X방향 가이드판(84A,85A) 및 (84A,85B)의 하면의 내측부분에는 회전고정홈(88A,88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착유지체(72)의 일방측에는 진공연결블록(80)이 고정되어 있고, 진공연결블록(90)에는 블라인드 구멍으로 이루는 2개의 통로(91,92)가 형성되어 있다.
통로(91,92)에는 각각 연결구(93,94)가 장치되어 있고, 연결구(93,94)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파이프 및 전자밸브를 사이에 진공펌프에 접속되어 있다.
진공연결블록(90)상에는 통로(91)에 연통하도록 4개의 연결구와 통로(92)에 연통하도록 6개의 연결구(96)가 장치되어 있다.
상기 흡착유지체(72)에는 각각 긴구멍(73)에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1개의 검출단자(100)와 2개의 종이용 흡착노즐(110)이 장치되어 있다. 즉, 흡착유지체(72)에는 합계, 2개의 검출단자(100)와 4개의 종이용 흡착노즐(110)이 장치되어 있다.
상기 X방향 가이드판(84A,85A) 및 (84B,85B)에는 가이드부(86A,86B)에 각각 3개의 리드 프레임용 흡착노즐(120)이 슬라이딩 및 조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검출단자(100)의 구조를 제 5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흡착유지체(72)의 긴구멍(73)에는 회전고정홈(74)에 맞닿도록 절연체(101)가 끼워 통하게 되고, 절연체(101)의 상부에 형성한 나사부에는 너트(102)가 나사맞춤하고 있다.
절연체(101)에는 부시(103)을 사이에 금속제의 검출단자부(10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넣어져 있고, 검출단자부(104)의 상부에 형성한 나사부에는 너트(105)가 나사맞춤 되어 있다. 또, 너트(105)가 절연체(101)의 상면에 압접하도록 검출단자부(104)에는 스프링(106)이 배열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같이 형성된 2개의 검출단자(100)의 각각의 검출단자부(104)의 상단에는 코드(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고, 코드는 도시하지 않은 검출기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종이용 흡착노즐(110)의 구조를 제 6 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흡착유지체(72)의 긴구멍(73)에는 진공흡착패드(111)를 갖는 나사파이프(112)가 끼워 통하게 되고, 나사파이프(112)의 나사부에는 흡착유지체(72)의 상면측에 너트(114)가 나사맞춤되어 있다. 따라서, 나사파이프(112)는 너트(113)와 너트(114)에 의하여 흡착유지체(72)에 고정된다.
그리고, 4개의 종이용 흡착노즐(110)의 나사파이프(112)는 각각 제 2도에 도시하는 4개의 연결구(95)에 도시하지 않은 파이프로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120)의 구조를 제 6도 및 제 7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X방향 가이드판(84A,85A) 및 (84B,85B)사이의 가이드부(86A,86B)에는 홀더(121)의 나사부가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끼워 통하게 되고, 홀더(121)의 나사부에는 너트(122)가 나사맞춤되고, 홀더(121)는 각각 X방향 가이드판(84A,85A) 및 (84B,85B)에 고정되어 있다.
홀더(121)에는 나사축(123)이 나사맞춤되어 있고, 나사축(123)의 상단부에는 너트(124,125)가 나사맞춤되고, 더욱이 너트(125)에는 볼트(126)가 나사맞춤되어 있다.
나사축(123)의 하단에는 L자상의 노즐홀더(127)가 상하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넣어져 있고, 노즐홀더(127)는 회전하지 않도록 홀더(121)의 하방부의 절결측면(128)에는 상하슬라이딩 자유로이 끼워넣어져 있다. 그리고, 노즐홀더(127)가 나사축(123)의 하단의 스토퍼(129)에 압접하도록 홀더(121)와 노즐홀더(127) 사이에는 스프링(130)이 장착되어 있다. 노즐홀더(127)의 선단부에는 흡착노즐부(131)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6개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부(131)는 각각 제 2도에 도시하는 6개의 연결구(96)에 도시하지 않은 파이프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126)를 충분히 체결함으로써 너트(125)는 나사축(123)에 고정된 상태로 된다. 여기서, 너트(124)를 느슨하게 하고 너트(125)를 회전하면, 나사축(123)은 홀더(121)에 대하여 상하 이동한다.
즉, 흡착노즐부(131)가 장치된 노즐홀더(127)는 나사축(123)에 설치된 스토퍼(129)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흡착노즐부(131)도 상하 이동한다. 이로서 흡착노즐부(131)의 하단의 위치가 조정된다.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120)은 상기한 바와 같이 6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조작에 의하여 모든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120)의 흡착노즐부(131)의 하단의 위치를 동일평면상으로 조정할 수가 있다.
흡착노즐부(131)의 하단의 위치를 조정한 후는 너트(122)가 홀더(121)의 상면에 압접하도록 너트(122)를 체결하고, 나사축(123)의 위치를 고정한다.
다음에 흡착유지장치(70)의 조정방법을 제 2도 내지 제 7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2도 내지 제 3도는 가장 큰 리드프레임(1)에 적합한 경우를 도시한다.
제품종류변경에 의하여 리드프레임(1)의 폭 및 길이가 변경된 경우는 그 제품종류에 적합하도록 검출단자(100), 종이용 흡착노즐(110) 및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120)의 위치조정을 행한다.
리드프레임(1)의 폭에 적합시키려면, 4개의 슬라이더 고정나사(83)를 느슨하게 하면 슬라이더(77A,77B) 및 (78A,78B)는 Y축(76)에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120)의 흡착노즐(131)이 그 리드프레임(1)의 폭방향(Y방향)의 단부측에 위치하도록 X방향 가이드판(84A,85A)를 화살표 E방향으로, X방향 가이드판(84B,85B)를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슬라이더 고정나사(83)를 체결하면 고정홀더(80)의 슬릿(81)이 좁혀져서 고정홀더(86)는 Y축(76)에 고정된다.
리드프레임(1)의 길이방향(X방향)에 적합하도록 종이용 흡착노즐(110)의 위치를 조정하는 데는, 너트(114)를 느슨하게 하면, 나사파이프(112)는 긴구멍(73)에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종이용 흡착노즐(110)을 긴구멍(73)에 따라 이동시켜 그 리드프레임(1)에 적합한 위치로 한다. 그리고, 너트(114)를 체결한다.
검출단자(100)의 위치는 너트(102)를 느슨하게 하면 절연체(101)가 긴구멍(73)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으로 된다. 여기서, 검출단자(100)가 양측의 2개의 종이용 흡착노즐(110)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이동시켜, 너트(102)를 체결한다.
리드프레임(1)의 길이방향(X방향)에 적합하도록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120)의 위치를 조정하는데는 너트(122)를 느슨하게 하면 홀더(121)는 긴구멍(86A,86B)에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120)를 긴구멍(86A,86B)에 따라 이동시켜, 그 리드프레임(1)에 적합한 위치로 한다. 그리고 너트(122)를 체결한다.
다음에 매거진(4)내의 리드프레임(1)을 가이드레일(3)상에 이동적재하는 동작을 제 1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1도의 상태로부터 흡착유지장치 구동수단(30)의 모터(62)가 화살표 G방향으로 회전하고, 타이밍벨트(64)가 화살표 H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서, Y방향 이동축 홀더(54) 및 가이드판(53)이 레일(52)에 가이드되어 화살표 H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Y방향 이동축(55) 및 흡착유지장치홀더(56)가 화살표 H방향으로 이동하고 흡착유지장치(70)는 매거진(4)의 상방으로 위치한다.
다음에 에어실린더(41)가 작동하고, 해당 에어실린더(41)의 작동로드가 쑥 들어가고 캠(39)이 회전한다. 이로서, 작동판(37)을 사이에 두고 상하동판(36), 즉 흡착유지장치(70)가 하강하고, 검출단자(100)의 검출단자부(104), 종이용 흡착노즐(110)의 진공흡착패드(111) 및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120)의 흡착노즐부(131)의 각각의 선단부가 노즐흡착위치(24)보다 약간 아래로 위치하고, 매거진(4)내의 최상의 리드프레임(1) 또는 종이(2)에 맞닿는다.
지금, 매거진(4)내의 최상에 리드프레임(1)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2개의 검출단자(100)의 검출단자부(104)가 리드프레임(1)에 접촉하면 2개의 검출단자부(104)는 도통상태로 된다. 따라서 도시하지 않는 검출기는 흡착하는 것이 리드프레임(1)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로서, 연결구(94)가 진공흡인되고 통로(92), 도시하지 않은 파이프, 연결구(96)를 통하여 6개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120)의 흡착노즐부(131)가 진공흡인되고, 흡착노즐부(131)는 리드프레임(1)을 흡착한다.
다음에 에어실린더(41)의 작동로드가 상기와 역방향으로 돌출하여 캠(39)이 회전하고 작동판(37) 및 상하동판(36)이 상승한다. 즉, 흡착유지장치(70)는 리드프레임(1)을 흡착유지하여 상승한다. 또 흡착유지장치(70)가 리드프레임(1)을 흡착 유지하여 상승하면, 다음의 최상의 리드프레임(1)이 노즐흡착위치(24)에 위치하도록 모터(20)가 구동한다.
계속하여 모터(62)가 상기와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타이밍벨트(64)는 상기와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리드프레임(1)임을 나타내는 것을 검출하고 있으므로, 모터(62)는 흡착유지장치(70)가 가이드레일(3)의 상방에 위치할 때까지 구동한다.
다음에 에어실린더(41)의 작동로드가 쑥 들어가고, 작동판(37) 및 상하동판(36)이 하강하여 흡착유지장치(70)에 흡착된 리드프레임(1)이 가이드레일(3)에 맞닿는다.
계속하여, 연결구(94), 즉,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120)의 흡착노즐부(131)의 진공이 끊긴다.
다음에 에어실린더(41)의 작동로드가 돌출 및 모터(62)가 정회전하고, 흡착유지장치(70)는 리드프레임(1)을 가이드레일(3)에 얹어놓고 매거진(4)의 상방에 위치한다.
매거진(4)내의 최상에 종이(2)가 있는 경우는 흡착유지장치(70)가 하강하여 2개의 검출단자(100)의 검출단자부(104)가 맞닿는 것은 종이(2)이므로 도통하지 않고, 도시하지 않은 검출기는 흡착하는 것이 종이(2) 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로서, 연결구(93)가 진공흡인되어 통로(91), 도시하지 않은 파이프, 연결구(95)를 통하여 4개의 종이용 흡착노즐(110)의 진공흡착패드(111)가 진공흡인되고, 진공흡착패드(111)는 종이(2)를 흡착한다. 다음에 흡착유지장치(70)가 상승하도록 에어실린더(41)가 작동하고, 계속 흡착유지장치(70)가 종이받이슈트(65)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모터(62)가 회전한다. 그리고 연결구(93)의 진공이 끊기고, 즉 종이용 흡착노즐(110)의 진공흡착패드(111)의 진공이 끊기고, 진공흡착패드(111)에 흡착유지된 종이(2)는 종이받이슈트(65)에 낙하하고, 종이버림상자(66)내에 수납된다. 다음에 흡착유지장치(70)가 매거진(4)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모터(62)가 회전한다. 그리고, 에어실린더(41)가 작동하여 흡착유지장치(70)는 하강한다. 이 일련의 동작을 행하고, 리드프레임(1)은 가이드레일(3) 상에 얹어 놓여지고, 종이(2)는 종이버림상자(66)에 수납된다.
이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및 가이드레일(3)의 반송방향인 X방향과 직각이고 수평인 Y방향으로 이동케하는 흡착유지체(72)에는 리드프레임(1)의 폭방향의 양측단부측을 흡착유지하도록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120)을 2열 설치하였으므로, 리드프레임(1)의 리드표면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또 리드프레임(1)을 안정하여 흡착유지할 수 있다.
또 2열의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120)은 각 열마다 리드프레임(1)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폭방향위치 조정가능하게, 또 각 열의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120)은 리드프레임(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길이방향위치 조정가능하게 설치하였으므로 더욱더 각 제품종류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갖는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방향으로 이동 및 가이드레일의 반송방향인 X방향과 직각이고 수평인 Y방향으로 이동케되는 흡착유지체에는 리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양측단부측을 흡착유지하도록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을 2열 설치하였으므로, 리드프레임의 리드표면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리드프레임을 안정하게 흡착유지할 수 있다.
또 2열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의 중간부에 종이용 흡착노즐 및 검출단자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신속히 리드프레임의 공급이 행해진다.
또 상기 2열의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은 각 열마다 리드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폭방향위치 조정하게 설치하고 각 열의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은 리드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길이방향위치 조정가능하게 설치하였으므로, 상기 효과외에 각 제품종류에 대응할 수 있어 범용성을 갖는다.

Claims (3)

  1. 매거진에 수납된 리드프레임을 흡착유지하여 가이드레일 상에 얹어놓는 리드프레임의 흡착유지장치에 있어서, 상하방향 및 가이드레일의 반송방향인 X방향에 대하여 직각이고 수평인 Y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흡착유지체와, 리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측을 흡착 유지하도록, 상기 흡착유지체에 복수개 2열로 설치된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과, 이 2열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의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흡착유지체에 설치된, 종이를 흡착유지하는 종이용 흡착노즐 및 리드프레임인지 종이인지를 검출하는 검출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의 흡착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열의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은 각 열마다 리드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폭방향위치 조정가능하게, 또한 각 열의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은 리드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길이방향위치 조정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의 흡착유지장치.
  3. 흡착유지체의 X방향의 양측에는, 각각 Y방향으로 뻗은 Y축의 중앙부가 고정되고, 이 2개의 Y축의 양단측에는, 각각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가능하고 동시에 Y축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4개의 슬라이더의 X방향으로 대향하는 쌍의 슬라이더에는, 각각 X방향으로 뻗은 X방향 가이드판이 고정되고, 이 X방향 가이드판에는,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용 흡착노즐이 슬라이딩 가능하고 동시에 상기 X방향 가이드판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흡착 유지체에 종이용 흡착노즐 및 리드프레임인지 종이인지를 검출하는 검출단자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의 흡착유지장치.
KR1019960006990A 1995-07-27 1996-03-15 리드프레임의 흡착유지장치 KR100238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10958 1995-07-27
JP21095895A JP3225340B2 (ja) 1995-07-27 1995-07-27 リードフレームの吸着保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465A KR970008465A (ko) 1997-02-24
KR100238568B1 true KR100238568B1 (ko) 2000-01-15

Family

ID=16597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6990A KR100238568B1 (ko) 1995-07-27 1996-03-15 리드프레임의 흡착유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85589A (ko)
JP (1) JP3225340B2 (ko)
KR (1) KR100238568B1 (ko)
TW (1) TW3696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9644A1 (fr) * 1994-09-22 1996-03-28 Advantest Corporation Conteneur pour plateaux a circuits integres et sa plaque de base de montage
JP3225336B2 (ja) * 1995-07-13 2001-11-05 株式会社新川 リードフレームの吸着保持装置
KR100190926B1 (ko) * 1995-12-14 1999-06-01 윤종용 슬라이딩 블록을 갖는 리드프레임 언로딩 장치
US5937993A (en) * 1997-01-14 1999-08-17 Tamarac Scientific C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handling and holding panels near and at the exact plane of exposure
JPH11163000A (ja) * 1997-12-02 1999-06-18 Mitsubishi Electric Corp リードフレーム移送装置
US6729837B1 (en) * 1999-09-17 2004-05-04 Fuji Photo Film Co., Ltd. Sheet feeder and sheet feeding method
US20030070584A1 (en) 2001-05-15 2003-04-17 Cynthia Gulian Dip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cellulose ethers
US8309118B2 (en) 2001-09-28 2012-11-13 Mcneil-Ppc, Inc. Film forming compositions containing sucralose
US7429619B2 (en) 2002-08-02 2008-09-30 Mcneil Consumer Healthcare Polyacrylic film forming compositions
US6979032B2 (en) * 2002-11-15 2005-12-27 Fmc Technologies, Inc. Vacuum pick-up head with vacuum supply valve
JP4984075B2 (ja) * 2005-07-08 2012-07-25 旭硝子株式会社 基板の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JP4935488B2 (ja) * 2007-04-25 2012-05-23 村田機械株式会社 板材搬送装置
KR20100087287A (ko) * 2007-09-17 2010-08-04 맥네일-피피씨, 인코포레이티드 폴리비닐 알코올과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공중합체 및 검을 포함하는 침지 코팅 조성물
JP2010076929A (ja) * 2008-09-29 2010-04-08 Ushio Inc 基板搬送アーム
CN102152978B (zh) * 2010-12-31 2013-01-02 东莞市金格机械有限公司 一种纸品四面包边机转弯送料装置
KR20150097535A (ko) * 2012-12-19 2015-08-26 이스메카 세미컨덕터 홀딩 에스.아. 힘을 제한하는 장치 및 방법
CN108573780A (zh) * 2018-06-19 2018-09-25 杭州良淋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柔性扁平线缆理线机
JP7282467B2 (ja) * 2019-08-14 2023-05-29 株式会社ディスコ 加工装置
CN110544657A (zh) * 2019-10-09 2019-12-06 青岛航天半导体研究所有限公司 用于自动金丝键合机上的工装、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62231B (ko) * 1972-01-18 1973-12-03 Asea Ab
SU1238834A1 (ru) * 1984-12-18 1986-06-23 Специа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е Бюро Аналитического Приборостро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ачи плоских заготовок в рабочую зону пресса
JPS62175324A (ja) * 1986-01-29 1987-08-01 Toshiba Seiki Kk リ−ドフレ−ムの供給・排出装置
US4685714A (en) * 1986-12-18 1987-08-11 Hoke Thomas A Lifting assembly
JPH04145641A (ja) * 1990-10-08 1992-05-19 Hitachi Electron Eng Co Ltd Icデバイスのロード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25340B2 (ja) 2001-11-05
TW369693B (en) 1999-09-11
US5685589A (en) 1997-11-11
JPH0945709A (ja) 1997-02-14
KR970008465A (ko) 199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8568B1 (ko) 리드프레임의 흡착유지장치
US8789265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providing a substrate standby area
KR100195797B1 (ko) 리드프레임의 흡착유지장치
KR100244688B1 (ko) 웨이퍼 반송장치
US20090049681A1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KR100290733B1 (ko) 표면실장기의 인쇄회로기판 평면도 보정장치
US5186719A (en) Apparatus for conveying semiconductor lead frame strip using guide rails
CN113911735B (zh) 一种上料设备
KR100724044B1 (ko) 반도체 제조 공정용 이송장치
US5768765A (e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CN108983012B (zh) 一种缓存式老化测试机
US4628594A (en) Electronic circuit element insertion apparatus
KR100428432B1 (ko) 반도체 소자 검사장치의 픽 엔드 플레이스
JP3172286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における押圧力測定装置
KR950012652B1 (ko) 이송장치
JP3402172B2 (ja) 導電性ボールの搭載装置および搭載方法
KR20040016239A (ko) 패널 이송장치
KR890000222B1 (ko) 칩형(chip Type) 전자부품 장착기
KR100289257B1 (ko) 기판 이송 장치
JP4849744B2 (ja) 表示用基板の検査装置
KR20060126204A (ko) 부품실장기용 기판지지장치
KR100312532B1 (ko) 표면실장기의 인쇄회로기판 푸싱 장치
CN220055320U (zh) 检测装置
KR100373230B1 (ko) 회로기판 제조장치의 회로기판 이송장치
JPH1032399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