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6211B1 - 자동차의 정면충돌 에너지 흡수부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정면충돌 에너지 흡수부재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6211B1
KR100236211B1 KR1019950029925A KR19950029922A KR100236211B1 KR 100236211 B1 KR100236211 B1 KR 100236211B1 KR 1019950029925 A KR1019950029925 A KR 1019950029925A KR 19950029922 A KR19950029922 A KR 19950029922A KR 100236211 B1 KR100236211 B1 KR 100236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rame
stay
bump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9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257A (ko
Inventor
김정서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50029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6211B1/ko
Publication of KR970015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2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범퍼 조립안내대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범퍼 조립구조는 제4도와 같이 프레임(5) 선단부 변형 비드(6)에 의한 강성구조 약화 및 조립 위치 조정시 프레임(5) 측 금형 수정의 경우 비용손실이 많거나 프레임(5)선단에 고정구조물 설정으로 충돌시 프레임(5)변형에 의한 에너지 흡수를 방해하여 충돌시 나쁜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선한 것으로 제5도 내지 제7도와 같이 스테이 안내대(13)를 프레임(5)의 가이드 장공(11, 12)에 밀어넣어 스테이안내대(13)의 스테이 안내대(13)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걸림턱(9)을 걸림홈(10)에 걸게한 후 스테이 안내대(13)를 빼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공정이 감소하여 비용지출을 절감하고 가이드 장공(11, 12)에 스테이 안내대(13)를 이용하여 범퍼(1)를 고정하므로 조립하기 용이하고 스테이 안내대(13)의 회전으로 프레임(5)과 스테이측 도장에 손상을 적게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정면충돌 에너지 흡수부재
제1도는 종래의 프레임과 범퍼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범퍼의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범퍼의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로서,
(a)는 비드에 의한 위치설정의 단면도.
(b)는 브라켓에 의한 위치설정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조립안내대의 분리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결합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결합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범퍼 2 : 레인포스먼트 프론트 범퍼
3 : 에너지 업소버폼 프론트범퍼 4 : 페이스 프론트 범퍼
5 : 프레임 6 : 비드
7 : 브라켓 8 : 스테이
9 : 걸림턱 10 : 걸림홈
11 : 안쪽 가이드 장공 12 : 바깥쪽 가이드 장공
13 : 스테이 안내대 14 : 스테이홈
15 : 지지판 16 : 안내축
17 : 손잡이
본 발명은 자동차 범퍼 조립 안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범퍼를 자동차 차체에 조립할 때 범퍼위치 결정을 위한 자동차 범퍼 조립 안내대에 관한 것이다.
예시도면 제1도 내지 제3도와 같이 자동차에는 범퍼(1)가 형성되어 있다.
범퍼는 자동차의 앞뒤에서 보디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장치로서 부딪혔을 때 그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는 강철재료 보디에서 약간 튀어나온 정도였으나, 미국에서 대형 범퍼가 사용되게 되어 현재는 에너지 흡수 범퍼라고 불리우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우레탄등이 쓰이며, 충격흡수의 정도가 커져있으나 동시에 보디와 일체화한 디자인 등에 의하여, 장식을 겸한 부품으로 되어가고 있다.
에너지 흡수 범퍼(ENERGY ABSORBENT BUMPER)는 저속으로 충돌했을 때 차체가 손상받지 않도록, 또는 자동차가 충돌했을 때 기계적 에너지는 흡수하는 범퍼이며, 북미에서는 8Km/h 충돌에너지 흡수 범퍼의 설치가 법으로 의무화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4Km/h로 완화되었다. 각 메이커가 여러 가지 범퍼를 개발하고 있으나, 크게 나누어 우레탄등의 완충재를 쓰는것(예 : 우레탄 범퍼)과 오일의 점도를 이용한 것 (예 : 메나스코식 범퍼)이 있다.
예시도면 제2도는 종래의 범퍼 분리사시도로서 차체에 레인포스면트 프론트범퍼(2: REINFORCEMENT FRONTBUMPER), 에너지 업소버폼 프론트범퍼(3: ENERGY ABSOBAR FOAM FRONTBUMPER), 페이스 프론트범퍼(4: FOCE FRONTBUMPER)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예시도면 제3도는 범퍼단면도이다.
예시도면 제4도는 종래의 프레임과 스테이의 단면도로서, (a)는 비드에 의하여 위치 설정한 도면이고 (b)는 브라켓에 의하여 위치설정한 도면이며 범퍼(1) 조립할 때 범퍼(1)위치 결정 후 조립 고정하기까지 범퍼 장착자체 중량으로 처지는 경우가 많아 위치 결정을 위한 방법으로 제4도와 같이 사용한다.
그런데 종래의 범퍼 조립구조를 위한 위치설정방법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a)의 비드(6)에 의한 구조는 프레임(5) 선단부 변형비드(6)에 의한 강성 구조 약화 및 조립위치 조정시 프레임(5)측 금형 수정의 경우 비용손실이 많고 (b)의 브라켓(7)에 의한 지지구조는 프레임(5)측 금형 수정의 의한 지지구조는 프레임(5)선단에 고정 구조물 설정으로 충돌시 프레임(5) 변형에 의한 에너지 흡수를 방해하여 충돌시 나쁜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선한 것으로, 가이드 장공을 이용하여 스테이 안내대, 걸림턱 및 걸림홈이용하며 범퍼를 고정한 자동차 범퍼 조립안내대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 제5도 내지 제7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5)과 스테이(8)에 있어서, 프레임(5) 바깥쪽에 바깥쪽 가이드 장공(12)을 형성하고, 프레임(5)안쪽은 안쪽가이드 장공(11)을 형성하며, 사각형 형상의 스테이(8) 내측면 좌우쪽에 스테이홈(14)을 형성하고, 스테이(8)선단부에는 걸림턱(9)을 고정하며, 걸림턱(9)에 대응한 걸림홈(10)을 프레임(5) 선단부에 형성하고 가이드 장공(11, 12)에 삽입하도록 한 스테이안내대(13)를 설치한 구조로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스테이 안내대(13)의 손잡이(17)를 잡고 프레임(5)의 가이드 장공(11, 12)에지지판(15)이 프레임(5)의 좌측면에 접촉할 때까지 스테이안내대(13)를 밀어넣어 스테이홈(14)을 끼우고 스테이안내대(13)를 회전 시킴과 동시에 범퍼(1)를 조립위치 설정과 동시에 걸림턱(9)을 걸림홈(10)에 걸게 한 후 걸림턱(9)은 스테이(8)상단면에 용접 된 것이다.
제5도는 프레임(5)과 스테이(8)의 분리 사시도이다.
제6도는 제5도의 결합단면도이다.
제7도는 제5도의 결합측면도이다.
따라서본 발명은 작업공정이 감소하여 비용 지출을 절감가이드 장공(11, 12)에 스테이안내대(13)를 이용하여 범퍼(1)를 고정하므로 조립하기 용이하고, 스테이안내대(13)의 회전으로 프레임(5)과 스테이(8)측 도장에 손상을 적게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프레임(5)과 스테이(8)에 있어서, 프레임(5) 바깥쪽에 바깥쪽 가이드 장공(12)을 형성하고, 프레임(5)안쪽은 안쪽 가이드 장공(11)을 형성하며, 사각형 형상의 스테이(8) 내측면 좌우쪽에 스테이홈(14)을 형성하고, 스테이(8)선단부에는 걸림턱(9)을 고정하며, 걸림턱(9)에 대응한 걸림홈(10)을 프레임(5) 선단부에 형성하고 가이드 장공(11, 12)에 삽입하도록 한 스테이안내대(13)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 조립안내대.
KR1019950029925A 1995-09-14 1995-09-14 자동차의 정면충돌 에너지 흡수부재 KR100236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925A KR100236211B1 (ko) 1995-09-14 1995-09-14 자동차의 정면충돌 에너지 흡수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925A KR100236211B1 (ko) 1995-09-14 1995-09-14 자동차의 정면충돌 에너지 흡수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257A KR970015257A (ko) 1997-04-28
KR100236211B1 true KR100236211B1 (ko) 2000-01-15

Family

ID=19426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9925A KR100236211B1 (ko) 1995-09-14 1995-09-14 자동차의 정면충돌 에너지 흡수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62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965B1 (ko) * 2002-04-09 2005-04-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범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257A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25556B1 (en) An impact absorbing bumper unit for a vehicle
KR100236211B1 (ko) 자동차의 정면충돌 에너지 흡수부재
KR100188158B1 (ko) 자동차 조향축의 충격흡수장치
JPS5846920Y2 (ja) 自動車用バンパ−サイドの取付構造
KR950003309Y1 (ko) 자동차용 범퍼
KR19980043327A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 흡수장치
KR013905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측면 충격 흡수 구조
KR100231579B1 (ko) 자동차의 도어 사이드 프로텍터
KR200157029Y1 (ko) 범퍼의 스테이 결합구조
KR200141667Y1 (ko) 자동차 범퍼 장착구조
KR0128450Y1 (ko) 자동차의 범퍼장착구조
KR200140872Y1 (ko) 자동차용 도어 프레임 구조
KR200161583Y1 (ko) 자동차의 범버 보강재 취부용 브라킷
KR0118190Y1 (ko) 자동차의 도어 임팩트 빔
KR100428383B1 (ko) 자동차의 리어 범퍼
KR19980042531U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충격흡수장치
KR100422787B1 (ko) 차량용 범퍼 장착 구조
KR19980021828U (ko) 충격흡수식 브라켓스티어링 칼럼
KR200149568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0126784Y1 (ko) 자동차 엔진의 롤 제어장치
KR0119202Y1 (ko) 자동차의 측면도아 충격흡수 파이프의 장착구조
KR100190399B1 (ko) 차량용 범퍼의 가이딩식 장착구조
KR19980082756A (ko) 범퍼의 충격흡수 프레임
KR19990008707U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범퍼 커버 구조
KR19980048155U (ko) 범퍼사이드 처짐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