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4823B1 -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823B1
KR100234823B1 KR1019970010896A KR19970010896A KR100234823B1 KR 100234823 B1 KR100234823 B1 KR 100234823B1 KR 1019970010896 A KR1019970010896 A KR 1019970010896A KR 19970010896 A KR19970010896 A KR 19970010896A KR 100234823 B1 KR100234823 B1 KR 100234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signal
rotation
tray
det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0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6427A (ko
Inventor
신이치 요시카와
가즈노리 니시카와
Original Assignee
고구치 유죠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구치 유죠,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고구치 유죠
Publication of KR970066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6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검빙암(3)에 사람등에 의한 외부힘이 가해진다고 해도 오동작하지 않고 확실하게 바른 동작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또한 제조원가의 증대를 억제함과 동시에 장치의 내구성 및 제빙접시의 복귀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해결수단으로는 이 자동제빙기(1)의 구동장치는 저빙용기내의 얼음의 부족을 검출한 경우에 제빙접시(2)를 반전시켜 얼음을 낙하시키고, 그 후 제빙접시(2)를 제빙위치에 되돌려 얼음을 제조한다. 그리고 저빙용기내를 이동하여 검빙동작을 행하는 검빙암(3)과, 이 검빙암(3)이 검빙동작의 중간에 정지했을 때 및 제빙접시(2)가 제빙위치로 되돌아갔을 때에 각각 같은 종류의 검지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 제어수단을 갖고, 이 제어수단은 검빙암(3)의 중간에 정지하는 것에 의한 최초의 검지신호만을 유효로하여 제빙접시(2)가 제빙위치로 되돌아 갈때까지의 사이에 발생하는 다른 검지신호를 무시하도록 동작하는 것으로 하거나, 최초의 검지신호와 제 2 번째의 검지신호를 유효로 하며 또한 이 제 2 번째의 검지신호가 검빙동작의 사이에서 OFF했을 경우 제 2 번째의 검지신호를 오검지신호로 간주하도록 동작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구동장치에 관한 자동제빙기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자동제빙기의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를 도시하고, 그 일부분을 파단하여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구동장치의 단면을 도시하고, 그 회전전달수단의 연결관계를 도시하는 전개도.
제5도는 제3도의 구동장치의 캠치차를 도시하고, (A)는 그 평면도, (B)는 (A)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제6도는 제3도의 구동자치에서 검빙(檢氷)레버와 커넥터와의 연결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7도는 제3도의 구동장치의 커넥터의 부착상태를 도시하는 분해도.
제8도는 제3도의 구동장치에서 스위치기구와 브레이크기구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제9도는 제3도의 구동장치의 제어계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10도는 제3도의 구동장치의 동작상황을 도시하는 도면.
제11도는 제3도에 도시하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의 콘트롤러가 실행하는 기본동작 프로그램을 도시하고, 그 전반부분의 플로우챠트도.
제12도는 제3도에 도시하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의 콘트롤러가 실행하는 기본동작 프로그램을 도시하고, 그 후반부분의 플로우챠트도.
제13도는 제3도에 도시하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의 콘트롤러가 실행하는 기본동작 프로그램을 도시하고 제11도에 이어지는 부분의 플로우챠트도.
제14도는 제3도의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의 동작상황을 도시하고, 제빙위치에서 제 1, 제 2, 제 3 캠면과 검빙기구, 스위치기구 및 브레이크기구와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제15도는 제3도의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의 동작상황을 도시하고, 검빙암을 하강시키고 있는 상태의 제 1, 제 2, 제 3 캠면과 검빙기구, 스위치기구 및 브레이크기구와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제16도는 제3도의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의 동작상황을 도시하고, 이빙(離氷)위치에서 제 1, 제 2, 제 3 캠면과 검빙기구, 스위치기구 및 브레이크기구와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제17도는 제3도의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의 동작상황을 도시하고, 제16도의 상태보다 약간 회전한 위치에서 제 1, 제 2, 제 3 캠면과 검빙기구, 스위치기구 및 브레이크기구와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제18도는 제3도의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의 동작상황을 도시하고, 식별신호가 올라간 상태에서 제 1, 제 2, 제 3 캠면과 검빙기구, 스위치기구 및 브레이크기구와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제19도는 제3도에 도시하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의 콘트롤러가 실행하는 초기설정 프로그램을 도시하고, 그 전반부분의 플로우챠트도.
제20도는 제3도에 도시하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의 콘트롤러가 실행하는 초기설정 프로그램을 도시하고, 그 후반부분의 플로우챠트도.
제21도는 제3도의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의 동작상황을 도시하고, 캠치차가 회전한계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의 위치에서 제 1, 제 2, 제 3 캠면과 검빙기구, 스위치기구 및 브레이크기구와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제22도는 제3도 도시하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의 콘트롤러가 실행하는 기본동작 프로그램을 도시하고, 제11도에 이어지는 부분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도.
제23도는 제3도에 도시하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의 H신호, L신호 및 모터의 회전방향의 3자의 관계를 도시하는 타이밍 챠트로서, (a)는 통상의 이빙(離氷)동작을 도시하고, (b)는 통상의 만빙(滿氷)동작을 도시하고, (c)는 동작시에 오검지신호가 발생한 경우를 도시하고, (d)는 제13도의 플로우챠트에서의 동작시에 오검지신호가 발생한 경우를 도시하며, (e)는 제2도의 플루우챠트에서의 동작시에 오검지신호가 발생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얼음을 자동적으로 제조함과 동시에 얼음을 저장하는 저빙용기내의 얼음의 부족을 검출한 경우에 제조한 얼음을 상기 저빙용기에 보급하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제빙기능을 갖춘 가정용 냉장고가 사용되고 있지만, 이 냉장고에 장착되어 있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로서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6-24955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제빙접시의 구동장치가 있다. 이 제빙접시의 구동장치에서는 제빙접시를 회전시켜 제조한 얼음을 제빙접시에서 꺼낼 경우의 모터의 회전토오크보다도 제빙접시를 제빙위치로 되돌리는 경우의 모터의 공급전압을 내려 회전토오크를 감소시키도록 하고, 제빙접시를 제빙위치로 되돌리는 경우에 있어서, 제빙접시에 연결되어 있는 캠치차가 가장자리에 충돌했을 때의 구동계에 주는 손실을 경감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캠치차가 상기 가장자리에 밀어대는 시간을 감소시켜 구동계로의 손실을 가볍게하기 위한 방책으로서 일본국 특개평 6-281305호 공보, 일본국 실개평 6-78770호 공보에 개시되는 기술이 있다. 전자에서는 모터의 제어에 타이머를 병용하는 것으로, 캠치차의 회전한계위치로의 도달을 검출하고 필요이상의 모터의 역회전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후자에서는 제빙접시의 제빙위치로의 복귀시에 있어서, 식별신호를 항상 출력하거나 생략하는 것으로 캠치차의 회전한계위치로의 도달을 확인하고, 모터의 역회전방향의 운전시간을 제한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자동제빙기가 이용되는 냉장고등에 있어서, 제빙접시를 회전시켜 제조한 얼음을 제빙접시에서 낙하시키도록 되어있지만 제조한 얼음을 제빙접시에서 꺼낼 지를 판단하기 위해 검빙암에 의해 저빙용기내의 얼음이 적당한 양인지를 검출하려고 한 경우, 그 검빙암에 사람등의 외부힘이 가해지면 즉, 어린이가 문을 열고 저빙용기내의 검빙암을 움직이는 등의 장난을 했을 경우, 이 오동작에 대한 대응을 고려한 것으로는 되어있지 않다. 이와같은 장난등에 의한 외부조작이 검빙암에 가해졌을 때 오동작하게되면 저빙용기내에 얼음의 적당량을 확보할 수 없고,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로서는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6-249556호의 제빙접시의 구동장치에서는 모터를 역회전시킨 경우에 모터의 공급전압을 내리기위해 제어회로중에 저항이나 다이오드등의 특별한 부품이 필요해지고, 또한 모터가 역회전하고 있는 경우의 회전토오크가 작으므로 제빙접시가 얼어붙어 제빙접시의 복귀가 불가능하게 되는 위험성이 증대하는 등, 제빙접시의 복귀동작의 신뢰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6-281305호, 일본국 실개평 6-78770호 공보의 기술에 있어서도 캠치차가 가장자리에 충돌하고, 밀려져 구동계에 손실을 주는 위험이 있는 것에 변함은 없고, 제빙접시의 복귀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검빙암에 사람등에 의한 외부힘이 가해진다고 해도, 오동작하는 일 없이 확실하게 바른동작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한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를 얻는 것을 제 1 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빙접시의 복귀시 구동계에 대한 손실을 경감하고, 장치의 내구성 및 제빙접시의 복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의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 1 발명은 저빙용기내의 얼음의 부족을 검출한 경우에 제빙접시에서 얼음을 낙하시키고, 그 후 제빙접시를 제빙위치로 되돌려 얼음을 제조하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저빙용기내를 이동하여 검빙동작을 행하는 검빙암과, 이 검빙암이 검빙동작의 도중에 정지했을 때 및 제빙접시가 제빙위치로 되돌아 갔을 때에 각각 같은 종류의 검지신호를 받는 제어수단을 갖고, 이 제어수단은 검빙암의 도중정지에 의한 최초의 검지신호를 유효로하여 제빙접시가 제빙위치로 되돌아갈때까지의 사이에 발생하는 다른 검지신호를 무시하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제 2 발명은 저빙용기내의 얼음의 부족을 검출한 경우에 제빙접시에서 얼음을 낙하시키고, 그 후 제빙접시를 제빙위치로 되돌려 얼음을 제조하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저빙용기내를 이동하여 검빙동작을 행하는 검빙암과, 이 검빙암이 검빙동작의 도중에 정지했을 때 및 제빙접시가 제빙위치로 되돌아갔을 때에 각각 같은 종류의 검지신호를 받는 제어수단을 갖고, 이 제어수단은 최초의 검지신호와 제 2 번째의 검지신호를 유효로 하지만 제 2 번째의 검지신호가 검빙동작의 사이에서 변화했을 경우, 제 2 번째의 검지신호를 오검지신호로 간주하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 3 발명은 저빙용기내의 얼음의 부족을 검출했을 때에 제빙접시의 얼음을 상기 저빙용기내에 낙하시키도록 한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빙용기내의 얼음의 부족을 검출하는 검빙동작을 행하는 검빙암과, 상기 제빙접시를 회전시켜 제빙접시의 얼음을 상기 저빙용기내에 낙하시키도록 하기 위한 회전구동수단과, 상기 검빙암에 의한 검빙신호와 상기 제빙접시의 제빙위치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상기 검빙암과 상기 회전구동수단과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갖고, 상기 제빙접시가 상기 제빙위치를 넘어 복귀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상기 제빙접시의 회전을 저지하는 회전한계위치를 마련하여,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빙접시를 상기 회전한계위치까지 회전시키지 안혹 상기 제빙위치에 정지시키도록 하여 전원을 ON 했을때에는 상기 제빙접시를 상기 회전한계위치까지 회전시킨 후에 상기 제빙위치에 정지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에 의하면 검빙암이 저빙용기내의 얼음을 검출한 후 다시 검빙암이 얼음의 검출신호와 같은 종류의 신호를 발생시켰을 때의 당해 검지신호를 무시하거나 오검지신호로 간주하거나 하므로 사람등에 의해 검빙암이 움직인다고 해도 오동작하지 않는 것이 된다.
또한 캠치차가 회전한계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캠치차의 캠면에 의해 조작되는 제동부재가 피제동부에 밀려 제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해 두면 캠치차는 회전한계위치의 직전에서 회전토오크를 감소시켜 회전한계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제빙접시를 상기 회전한계위치까지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제빙위치에 정지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제빙접시의 복귀시의 구동계에 대한 손실을 경감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도 및 제 2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제빙기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자동제빙기(1)는 냉장고의 제빙실내에 설치된다. 자동제빙기(1)는 이자동제빙기(1)에 의해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저빙용기의 위쪽에 배치된 제빙접시(2)와, 저빙용기내의 저빙량을 검지하기 위해 저빙용기외의 위치와 저빙용기내의 위치와의 사이를 승강하는 검빙암(3)과, 제빙접시(2) 및 검빙암(3)을 연동시켜 구동하는 구동장치(4)를 갖추고 있다. 이 구동장치(4)는 우선, 검빙암(3)의 선단을 저빙용기외의 위치에서 저빙용기내로 하강시켜 저빙용기내의 얼음의 유무, 즉, 얼음이 소정량인지를 검출하고, 얼음의 부족을 검출한 경우는 제빙접시(2)를 회전시켜 제빙접시(2)를 냉장고의 기계틀(6)에 마련한 접촉편(片)에 대어 비틀어 변형시키고, 이 변형을 이용하여 얼음을 저빙용기내로 낙하시킨다. 그 후 구동장치(4)는 제빙접시(2)를 원래상태로 되돌리고, 제빙접시(2)에 물을 부어 다시 얼음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 구동장치(4)는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빙접시(2)에 연결되고, 이것을 회전시키기 위한 캠치차(5)와, 이 캠치차(5)에 조작되는 검빙기구(10), 스위치기구(11) 및 브레이크 기구(12)를 갖추고 있다.
상기 캠치차(5)는 모터(13)에 의해 회전된다. 즉, 모터(13)의 회전은 모터(13)의 출력축(13a)에 일체회전하도록 연결된 웜(회전력 전달부재)(15)과 웜(15)의 회전을 순차로 감속시키는 제 1 치차(17) 및 제 2 치차(18)로 구성되는 회전전달수단(14)을 통하여 캠치차(5)에 감속하여 전달된다. 웜(15)에 맞물리는 제 1 치차(17)는 웜 휠(17a) 및 피니온(17b)이 일체성형되어 구성되고 또한 제 2 치차(18)는 기어(18a) 및 피니언(18b)이 일체성형되어 구성되며, 제 4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케이스(8)와 아래케이스(9)와의 사이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어(18a)는 제 1 치차(17)이 피니언(17b)에 맞물리며 피니언(18b)은 캠치차(5)의 기어(5a)에 맞물려 있다.
제 5 도는 캠치차(5)를 도시하고 있다. 이 캠치차(5)의 회전중심에는 제빙접시(2)에 연결되는 연결축(19)이 일체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위케이스(8)에 마련된 구멍(8a)에서 구동장치(4)의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캠치차(5)와 제빙접시(2)는 일체로 되어 회전할 수 있다. 제빙접시(2)는 그 윗면이 아래쪽을 향하고 얼음이 낙하할 수 있게 될 때까지 회전한다.
캠치차(5)의 위케이스(8)에 대향하는 측의 측면(5b)에는 위케이스(8)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21)가 삽입되는 홈(20)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캠치차(5)가 회전할 수 있는 각도를 소정의 범위에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캠치차(5)가 회전하여 홈(20)의 단면에 돌기(21)가 닿은 위치는 캠치차(5)의 회전한계위치이고, 본 실시의 경우 캠치차(5)는 -8 도에서 170도의 범위에서 회전한다.
캠치차(5)의 아래케이스(9)에 대향하는 측의 측면(5c)에는 고리모양의 용입부(22)가 형성되어있다. 이 요입부(22)의 회전중심측이 측면은 검빙암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 1 캠면(23)을 구성하고 또한 외주측의 측면은 스위치기구(11)를 동작시키는 제 2 캠면(24) 및 브레이크기구(12)를 동작시키는 제 3 캠면(25)을 구성하고 있다.
이 캠치차(5)의 축부분에는 제 4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치차(5)의 측면(5c)과 아래케이스(9)와의 사이에 배치되며, 캠치차(5)에 대하여 마찰결합하는 프릭션링(42)이 장착되어 있다. 프릭션링(42)에는 제 3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42a)가 일체성형되고, 뒤에 설명하는 제빙레버(26)이 요동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프릭션링(42)의 아래케이스(9)측이 단면에는 홈이 마련되고, 이 홈은 아래케이스(9)에 일체성형된 돌기체에 감합하고 있으며 상기 홈은 상기 돌기체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프릭션링(42)은 캠치차(5)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홈이 상기 돌기체에 접촉할 때까지의 사이를 회동하여 프릭션링(42)의 돌기(42a)는 제빙레버(26)의 요동을 저지하는 위치와 허용하는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검빙기구(10)는 캠치차(5)의 제 1 캠면(23)에 의해 조작되는 검빙레버(전달부재)(26)와, 이 검빙레버(26)의 움직임을 검빙암(3)에 전달하는 커넥터(27)와, 검빙레버(전달부재)(26)를 요동시키는 코일스프링(28)을 갖추고 있다. 검빙레버(26)는 캠치차(5)와 아래케이스(9)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치차(18)와 같은 축에 요동자재하게 부착되어 있다. 검빙레버(26)의 일단에는 둥근기둥형상의 볼록부(26a)가 형성되고, 이 볼록부(26a)는 캠치차(5)의 제 1 캠면(23)에 접촉하는 캠플로어로 되어 있다. 또한 검빙레버(26)의 일단측의 아래케이스(9)에 대향하는 면에는 돌편(突片)(29)이 형성되고 이 돌편(29)은 뒤에 설명하는 마그네트레버(33)의 요동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검빙레버(26)의 타단은 제 6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래케이스(9)를 향해 개구하는 브릿지형상을 이루고 있고, 이 브릿지형상을 이용하여 커넥터(27)가 연결되어 있다. 커넥터(27)는 제 7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빙레버(26)측의 보호링(제 1 회전체)(31)과, 검빙암(3)측의 검빙축(제 2회전체)(30)과, 이들 사이에 개재된 토션 스프링(32)으로 구성되어 있다. 검빙축(30)의 작은 지름부(30a)는 보호링(31)내에 삽입되고, 검빙축(30)과 보호링(31)은 검빙축(30)에 일체성형된 걸림편(30b),(30c)과 보호링(31)에 일체성형된 걸림편(31a),(31b)이 서로 접촉할 때까지의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토션스프링(32)의 양단은 검빙축(30)의 걸림부(30d)와 보호링(31)의 걸림부(31c)에 걸리며, 검빙축(30)과 보호링(31)과의 사이에 비틀어진 방향의 예하중(豫荷重)을 주고 있다.
보호링(31)의 외주면에는 지름방향 바깥쪽에 암(31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암(31d)의 선단에는 검빙축(30)측을 향해 샤프트(31e)가 형성되어 있고, 이 샤프트(31e)에는 아래케이스(9)의 소정위치에 타단이 걸린 코일스프링(28)의 일단이 걸려있고, 보호링(31) 즉 커넥터(27)는 검빙암(3)을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예하중이 부여되고, 또한 검빙레버(26)도 검빙암(3)을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예하중이 부여되고 있다. 이 암(31d)은 검빙레버(26)의 브릿지형상의 개구부분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검빙레버(26)가 제 1 캠면(23)에 의해 요동한 경우 제 6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31d)의 선단도 이동되어 보호링(31)이 회전하고, 이 보호링(31)의 회전이 토션스프링(32)을 통하여 검빙축(30)에 전달되어 이 검빙축(30)에 부착된 검빙암(3)이 승강조작 되게 된다.
상기 커넥터(27)는 검빙암(3)측에서는 움직임을 흡수하고, 검빙레버(26) 및 캠치차(5)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즉, 검빙암(3)에 역방향의 외부힘이 작용했다고 해도 이 역방향의 회전은 토션 스프링(32)이 탄성변형하는 것으로 흡수되며 검빙레버(26)에 연결되어 있는 보호링(31)을 무리하게 회전시키는 일은 없다.
스위치기구(11)는 제 8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치차(5)의 제 2 캠면(24)에 의해 조작되는 마그네트레버(33)와, 마그네트레버(33)의 요동에 따라 검출신호를 변화시키는 홀소자(2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홀소자(34)와 대향가능한 영구자석(36)이 부착된 마그네트레버(33)는 아래케이스(9)에 일체성형된 축부(9a)에 요동자재하게 부착되어 있다. 마그네트레버(33)의 일단부에는 둥근기둥형상의 볼록부(33a)가 형성되고, 이 볼록부(33a)는 캠치차(5)의 제 2 캠면(24)에 접촉하는 캠플로어로 되어있다. 또한 마그네트레버(33)에는 걸림축(33)이 형성되고 이 걸림축(33b)에 마그네트레버(33)를 부세하는 스프링(38)이 걸려있다. 따라서 캠치차(5)가 회전한 경우 볼록부(33a)가 제 2 캠면(24)에 의해 캠 치차(5)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고 마그네트레버(33)는 제 8 도에 있어서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홀소자(34)와 대향한 비작동위치와, 실선으로 도시하는 홀소자(24)에서 떨어진 요동위치와의 사이를 요동한다. 또한 마그네트레버(33)에는 돌기(35)가 형성되고 이 돌기(35)에 검빙레버(26)의 돌편(29)이 닿은 상태에서는 마그네트레버(33)는 요동할 수 없다.
홀소자(34)는 아래케이스(9)에 부착된 프린트배선 기판위에 고정되어 있다. 이 홀소자(34)의 출력은 제 9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트롤러(39)에 입력되고 마그네트레버(33)가 비작동위치 즉, 영구자석(36)과 대향하는 위치에서는 검출신호로서 저레벨의 신호(다음 L신호라고함)를 콘트롤러(39)에 출력하고, 마그네트레버(33)가 요동된 경우, 즉 영구자석(36)에서 떨어진 위치에서는 고레벨의 신호(다음 H신호라고함)를 출력한다.
홀소자(3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캠치차(5)가 -8 도에서 170도까지 회전하는 사이의 3개소에서 H신호를 출력한다. 즉 캠치차(5)에 형성한 제 2 캠면(24)은 3개소에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마그네트레버(33)의 볼록부(33a)가 이 요입부에 위치하면 홀소자(34)는 H신호를 출력한다. 이 3개소에서 발생하는 H신호는 그 발생위치에 따라 제빙위치신호, 검빙위치신호(식별신호), 이빙위치신호가 된다.
브레이크기구(12)는 캠치차(5)의 제 3 캠면(25)에 의해 조작되는 제동레버(제동부재)(40)와, 제동레버(40)에 의해 제동되는 피제동부인 웜(15)에 일체형성된 플랜지(41)로 구성되어 있다. 제동레버(40)는 위케이스(8)와 아래케이스(9)로 구성되는 축(43)에 요동자재하게 부착되어 있고, 제동레버(40)의 선단에는 둥근기둥형상의 볼록부(40a)가 일체성형되며 이 볼록부(40a)는 캠치차(5)의 제 3 캠면(25)에 접촉하는 캠플로어로 되어있다. 캠치차(5)가 회전하면 볼록부(40a)는 제 3 캠면(25)을 따라 캠치차(5)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고 제동레버(40)는 제 8 도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비작동위치와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제동위치의 사이를 요동하고, 제동위치에서는 제동레버(40)에 마련한 제동부(도시생략)가 웜(15)의 플랜지(41)에 마찰결합하여, 웜(15)에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제동레버(40)의 기단에는 암(40b)이 형성되고 이 암(40b)에 스프링(38)이 걸려있다. 따라서 제동레버(40)는 스프링(38)의 용수철힘에 의해 상시 비작동위치측에 부세되고 있다.
콘트롤러(39)는 타이머회로를 갖고, 아울러 기억장치를 갖으며, 콘트롤러(39)의 기억장치에는 기본동작 프로그램 및 초기설정 프로그램이 기억되어있다. 콘트롤러(39)는 홀소자(34)등에서 공급되는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모터(13)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도록 되어있고 이 콘트롤러(39)가 제어 수단을 구성한다.
다음은 이 자동제빙기(1)의 구동장치(4)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콘트롤러(39)는 기본동작 프로그램 또는 초기설정 프로그램을 적절히 실행하고, 제 10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동작한다. 기본동작 프로그램은 냉장고의 문이 열려있지않고 제빙접시의 제빙완료를 검지한 후 일정시간 경과했을 때에 실행된다. 또한 초기설정 프로그램은 예를들면 전원이 ON했을 때 또는 초기화의 어떤 신호가 콘트롤러(39)에 입력한 경우에 실행된다.
기본동작 프로그램의 실행전에는 캠치차(5)는 제빙위치(회전각 θ이 0도의 위치)에 복귀하고 있고 이 상태에서는 제빙접시(2)는 수평으로 유지되고 있다. 제 14 도는 이 상태의 각 캠면(23), (24), (25)과 이들 캠면에 의해 조작되는 각 기구와의 위치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검빙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제 1 캠면(23)은 검빙레버(26)의 볼록부(26a)를 캠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이동시키고 있고, 검빙레버(26)는 비작동위치에 있다. 이 위치에서는 검빙암(3)은 제 2 도의 실선위치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빙접시(2)의 옆쪽에 격납되어 있다. 한편 스위치기구(11)를 구성하는 볼록부(33a)는 제 2 캠면(24)에 의해 캠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있고, 브레이크기구(12)를 구성하는 볼록부(40a)는 제 3 캠면(25)에 의해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따라서 마그네트레버(33)는 홀소자(34)에서 떨어진 요동위치에 있고, 또한 제동레버(40)는 비작동위치로 되어있다.
다음은 제 11 도에서 제 13 도에 도시하는 기본동작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한다. 콘트롤러(39)는 냉장고의 문이 일단 열리고 다음은 닫힌 경우이며, 제빙접시(2)에 얼음이 생긴 경우등에 이 기본동작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 기본동작 프로그램에서는 저빙용기내의 저빙량에 따라 제 10 도에 도시하는 저빙량 부족시의 동작모드가 저빙량 충족시의 동작모드를 실시한다.
우선, 저빙용기내의 저빙량이 부족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1 도에 있어서, 콘트롤러(39)는 모터를 정회전시켜 제 14 도의 상태에서 캠치차(5)를 화살표시(CW) 방향으로 회전시키고(단계 S1), 홀소자(34)의 검출신호가 L신호로 되는 것을 기다린다(단계 S2). 홀소자(34)의 검출신호가 L신호가 되는 상태는 캠 치차(5)의 제 2 캠면(24)이 마그네트레버(33)의 볼록부(33a)를 지름방향 안쪽으로 이동시키고 마그네트레버(33)의 영구자석(36)이 홀소자(34)와 대향한 상태이며, 이 신호에 의해 제빙위치신호의 OFF를 확인한다. 다음은 콘트롤러(39)는 단계(S3)에 있어서 타이머회로에 저빙용기내의 저빙을 검출하는 데 충분한 시간(T1)을 셋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간(T1)은 6초로 설정되어 있다. 이 시간(T1)이 경고할 때까지 검빙위치에서 신호(검빙신호)가 검출되는지 즉, 홀소자(34)의 출력이 H신호로 되는지를 검출하고(단계 S4, S5), 검빙신호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저빙용기내의 저빙량은 부족하다고 콘트롤러(39)는 판단한다.
상기 검빙신호는 다음과 같이 검출된다. 즉, 캠치차(5)가 화살표시(CW)방향으로 회전하면 프릭션링(42)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링(42)의 돌편(42a)은 검빙레버(26)에서 떨어진 위치가 된다. 따라서 이 때 저빙용기내의 저빙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검빙암(3)은 저빙용기내를 소정위치까지 하강할 수 있고, 제 15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26a)가 제 1 캠면(23)의 요입부까지 이동하여 검빙레버(26)를 요동하고 이것에 의해 커넥터(27)가 회전조작되면서 검빙암의 선단을 하강시킨다. 그리고 검빙레버(26)가 요동위치까지 요동하면 이 요동레버(26)에 형성된 돌편(29)이 스위치기구(11)의 마그네트레버(33)에 형성된 돌기(35)에 닿으므로 마그네트레버(33)는 이 돌편(29)에 의해 요동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스위치기구(11)의 볼록부(33a)가 제 2 캠면(24)의 요입부에 도달해도 볼록부(33a)는 이 제 2 캠면(24)의 요입부로 이동은 할 수 없고 제 15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 2 캠면(24)에서 떨어진 상태가 된다. 이 위치에서는 영구자석(36)이 홀소자(34)에 대향한 채로 있으므로 이 홀소자(34)의 출력은 L신호에서 변화하지 않고 저빙량의 부족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캠치차(5)가 화살표시(CW)방향으로 회전되면 마그네트레버(33)의 볼록부(33a)가 다시 제 2 캠면(24)에 접촉하고, 검빙레버(26)의 돌편(29)에 의한 마그네트레버(33)의 이동규제가 해제된 경우에도 마그네트레버(33)는 요동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또한 캠치차(5)가 회전하면 검빙레버(26)의 볼록부(26a)가 제 1 캠면(23)의 요입부를 통과하고 검빙레버(26)는 비작동위치로 되돌아간다. 이 상태에 있어서 홀소자(34)는 L신호를 콘크롤러(39)에 계속공급하므로 H신호를 검출하지 않고 타이머의 셋트시간(T1)은 종료되고 저빙용기내의 저빙량이 부족한지 검출된다.
그 후 콘트롤러(39)는 단계(S6)에 있어서 검출신호가 H신호로 변화했는지를 판별한다. 또한 캠치차(5)는 화살표시(CW)방향으로 회전하고 있고, 그 회전각(θ)이 160도에 달하면 제 16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그네트레버(33)의 볼록부(33a)가 제 2 캠면(24)의 요입부에 도달하고 마그네트레버(33)가 요동하면 홀소자(34)는 H신호를 출력한다. 이 경우의 H신호는 얼음의 낙하종료를 나타내는 이빙위치신호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빙접시(2)는 접촉편(7)에 닿아 비틀어서 변형을 하고 있고, 제빙접시(2)에서 얼음이 떨어져 저빙용기내로 낙하한다. 콘트롤러(39)는 이빙위치신호를 검출하는 것으로 제빙접시(2)의 얼음이 저빙용기내로 보충되었다고 판단한다.
또한 캠치차(5)가 화살표시(CW)방향으로 회전하고 캠치차(5)의 회전각(θ)이 170도에 달하면 캠치차(5)에 형성된 홈(20)의 단면이 위케이스(8)의 돌기 (21)에 닿아, 락(lock)상태가 되고 그이상의 화살표시(CW)방향으로의 회전이 불가능하게된다. 또한 이빙위치신호가 검출된 것에 의해 콘트롤러(39)는 모터(13)를 1초간만 정지시키고(단계(S7)), 그 후 제 12 도의 단계(S8)에 있어서 모터(13)를 역회전시켜 캠치차(5)를 역방향인 화살표시(CCW)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캠치차(5)는 복귀행정으로 들어간다. 또한 단계(S7)에 있어서, 모터(13)를 정지시키는 신호가 가해지지만 모터(13)의 로터는 관성을 갖고 있으므로 제 23(A)에 도시하는 타이밍챠트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약간동안은 구동을 계속한다. H신호가 나와 곧 모터(13)가 정지하도록 하면 마그네트레버(33)가 외적인 영향으로 홀소자(34)에 대해 약간 벗어나 L신호로 변화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같은 모터(13)의 정지지연은 모터(13)의 정회전뿐만아니라 역회전시도 마찬가지로 행한다.
캠치차(5)가 복귀행정으로 들어가면 콘트롤러(39)는 검출신호가 L신호로 변화했는 지를 검출한다(단계 (S9)). H신호가 검출되고 있는 동안은 캠치차(5)는 이빙위치에서 충분히 복귀했다고는 인식하지 않고, 캠치차(5)가 화살표시(CCW)방향으로 회전하여, 스위치기구(11)의 볼록부(33a)가 제 2 캠면(24)의 요입부를 통과하면 마그네트레버(33)가 비작동위치로 되돌아가서 검출신호가 L신호로 변화하고 이빙위치신호가 OFF된다. 한편 캠치차(5)가 화살표시(CCW)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이 캠치차(5)에 마찰결합하고 있는 프릭션링(42)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어 돌기(42a)가 검빙레버(26)의 지름방향 안쪽으로 들어간다(제 17 도참조).
콘트롤러(39)가 L신호를 검출하고 이빙위치신호가 OFF된 것을 확인하면 다음에 콘트롤러(39)는 검출신호가 L신호에서 H신호로 변화했는 지를 검출한다(단계(S10)). 이 과정에서 캠치차(5)는 제 17 도에 있어서 화살표시(CCW)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검빙비구(10)의 볼록부(26a)가 제 1 캠면(23)의 요입부에 도달하게 되지만 프릭션링(42)의 돌기(42a)가 검빙레버(26)의 볼록부(26a)의 안쪽으로 들어가므로 검빙레버(26)는 제 1 캠면(23)의 요입부에 요동할 수 없다. 따라서 캠치차(5)의 복귀행정에서는 검빙암(3)이 하강하는 일은 없다.
또한 검빙레버(26)가 요동하지 않으므로 검빙레버(26)의 돌편(29)이 마그네트레버(33)의 돌기(35)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고 스위치기구(11)의 볼록부(33a)가 제 2 캠면(24)의 다음의 요입부에 달하면 마그네트레버(33)는 요동하고 홀소자(34)의 검출신호는 L신호에서 H신호로 변화한다. 따라서 캠치차(5)의 복귀행정에서는 콘트롤러(39)는 제 10 도에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식별신호 ON(H신호로 변화)을 검출하고(단계(S10)), 그 후 식별신호의 OFF(L신호로 변화)를 검출한다(단계(S11)). 즉, 캠치차(5)의 화살표시(CCW)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그 회전각(θ)이 41도까지 되돌아오면 스위치기구(11)이 볼록부(33a)가 제 2 캠면(24)의 요입부에서 탈출하고, 마그네트레버(33)는 비작동위치로 되돌아가며, 홀소자(34)의 검출신호는 L신호로 변화하므로 콘트롤러(39)는 이 L신호를 검출하면 다음에 검출신호가 L신호에서 H신호로 변화했는 지를 검출한다(단계(S12)).
화살표시(CCW)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캠치차(5)가 최초의 원위치인 제빙위치까지 복귀하면 제 14 도에 도시하는 상태가 되고, 스위치기구(11)의 볼록부(33a)가 제 2 캠면(24)의 요입부에 위해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마그네트레버(33)가 요동하여 검출신호가 L신호에서 H신호로 변화하므로 제빙위치의 복귀가 검출되고 모터(13)의 회전을 정지시킨다(단계(S13)). 캠치차(5)가 제빙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는 빈 제빙접시(2)응 수평상태로 되돌아간다. 그래서 단계(S14)로 진행하여 빈 제빙접시(2)에 물을 붇고 이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다음은 저빙용기내의 저빙량이 충족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제빙접시(2)를 비틀어 회전시켜 이빙작업은 행하지 않고, 제빙접시(2)를 제빙위치로 복귀시킨다.
저빙용기내의 저빙량이 충족한 경우에는 검빙동작에 있어서, 검빙암(3)은 저빙용기내의 얼음에 닿아 하강할 수 없게된다. 따라서 제 14 도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캠치차(5)가 화살표시(CW)방향으로 회전되고, 검빙레버(26)의 볼록부(26a)가 제 1 캠면(23)의 요입부에 도달해도 검빙레버(26)는 요동할 수 없고 볼록부(26a)가 제 1 캠면(23)의 요입부에서 떨어진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돌편(29)은 스위치기구(11)를 구성하는 마그네트레버(33)의 돌기(35)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고 마그네트레버(33)의 볼록부(33a)는 제 2 캠면(24)의 요입부로 이동할 수 있고 마그네트레버(33)는 요동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11 도에 있어서, 타이머로 셋트한 시간(T1)의 경과전에 홀소자(34)의 신호는 H신호가 되고, 검빙위치신호가 올라간 것을 검출, 즉 저빙량이 충족한 지를 검출하고 콘트롤러(39)는 제 13 도의 단계(S15)로 진행하여 모터(13)를 1초간만 정지시키고, 그 후 모터(13)를 역회전시켜 캠치차(5)를 화살표시(CCW)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캠치차(5)를 복귀행정으로 이행시킨다(단계(S16)).
단계 S17에서는 타이머회로에 소정시간(T2)을 셋트한다. 이 시간(T2)은 외부에서 사람등이 검출암(3)을 조작하여 틀리는 H신호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고, 이 시간(T2)이 경과할 때까지는 검빙암(3)이 외부에서 움직여져 다시 H신호가 발생해도 무시하도록 되어있다. 이 시간(T2)이 경과하면 검빙위치신호가 OFF된 것을 확인하기 위해 검출신호가 H신호에서 L신호로 변화했는 지를 검출한다(단계(19)). 캠치차(5)가 화살표시(CCW)방향으로 회전하면 스위치기구(11)의 볼록부(33a)가 제 2 캠면(24)의 요입부에서 벗어나므로 마그네트레버(33)는 비작동위치로 되돌아가고 홀소자(34)의 신호는 신호가 된다. 이 결과, 콘트롤러(39)는 단계(S20)로 진행하여 검출신호가 L신호에서 제빙위치신호가 되는 H신호로 변화했는 지를 검출하고 이 H신호가 검출된 시점에서 콘트롤러(39)는 캠치차(5)가 제빙위치로 복귀한 것을 인식하여 모터의 정지를 행한다(단계(21)). 이상과 같이 통상의 만빙동작을 완료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빙접시(2)는 수평상태로 되돌려있다. 또한 이와같이 만빙동작시에 있어서는 모터(13)가 역회전하기 시작해서부터 첫 번째의 H신호에 의해 모터(13)를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타이머공정(단계(S17),(S18))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저빙용기내의 저빙량이 부족한 경우 검빙암(3)은 저빙용기내를 하강하고 다음은 통상의 이빙동작을 행하는 것이지만 이 통상의 이빙동작시의 H신호, L신호 및 모터(13)의 회전방향의 관계는 제 23 도(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되어 있고, 한편 저빙용기내의 저빙량이 충족한 경우, 검빙암(3)은 저빙용기내의 얼음에 닿아 하강할 수 없고, 통상의 만빙동작이 된다. 이 통상의 만빙동작시의 H신호, L신호 및 모터(13)의 회전방향의 관계의 타이밍챠트는 제 23 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그러나 검빙암(3)이 만빙을 검지하고(제 18 참조), 모터(13)가 역회전하기 시작한 후, 즉 캠치차(5)가 화살표시(CW)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 후 본래의 제빙위치신호가 올라가기 전에 검빙암(3)을 사람의 손등에 의해 들어올려지면 오검지신호(E)가 발행한다. 이것은 검빙암(3)의 회전에 끌려 마그네트레버(33)도 반시계방향(CCW방향)으로 회전하고, H신호가 재차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H신호를 오검지신호라고 판단할 수 없어 오동작을 일으킨다. 즉, 제 29 도(c)의 화살표시(E)로 도시하는 오검지신호(E)가 발생 경우 이 오검지신호(E)를 제빙위치신호로 판단하여 모터(13)는 정지해버린다. 이 결과 검빙암(3)이 저빙용기내로 들어간 상태에서 정지하게 되어 얼음을 꺼내는 작업에 지장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대해 제 13 도의 플로우챠트에 의하면 상기 오검지신호(E)가 발생해도 모터(13)가 정지하는 일은 없다. 즉, 제 23 도(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13)가 CCW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 후 타이머로 셋트되는(T2) 시간동안 콘트롤러(39)는 H신호도 L신호도 무시한다. 이 때문에 오검지신호(E)가 발생해도 모터(13)는 정지하지 않고 CCW방향의 회전을 계속한다.
또한 저빙용기내에 얼음이 없어 이빙동작을 해야하는 데 사람이 그 검빙암(3)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면 이 구동장치는 만빙이라고 판단하여 모터(13)를 정지한 후 원래 위치로 검빙암(3)을 되돌리는 동작을 한다. 이 동작은 사람이 검빙암(3)의 움직임을 멈추고있는 상태에서 제빙접시(2)를 회전시키는 이빙동작을 행하게하면 사람의 손에 위해를 가하는 위험성이 높으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즉시 정지하여,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이 안전상 바람직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복귀동작의 결과, 이빙동작이 행해지지 않는다고 해도 얼음이 완성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신호등은 이미 발생하고 있으므로 문이 닫히고나서 다시 이빙동작을 하도록 하면 좋다.
다음은 제 19 도 및 제 20 도에 도시하는 초기설정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한다. 콘트롤러(39)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4)의 전원이 ON되었을 경우에 이 초기설정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한 자동제빙기(1)의 동작중에 정전등의 트러블로 구동장치(4)로의 전기의 공급이 끊어진 후에 재개된 경우도 이 초기설정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동작중에 전기의 공급이 끊긴 경우, 콘트롤러(39)는 제빙접시(2)의 위치, 즉 캠차차(5)의 회전각(θ)을 보다가 놓치므로 콘트롤러(39)는 캠치차(5)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캠치차(5)를 제빙위치로 복귀시킨다.
우선 콘트롤러(39)는 제 19 도의 단계(S22)에 있어서 캠치차(5)를 제빙위치로 복귀시키기위해 모터(13)를 역회전시켜 캠치차(5)를 화살표시(CCW)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홀소자(34)의 검출신호가 H신호인지를 검출한다(단계(S23)). 홀소자(34)가 H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캠치차(5)의 위치가 제빙위치, 검빙(식별)위치 및 이빙위치의 경우뿐이므로 캠치차(5)가 이들의 위치중 어느쪽 위치에 달하는 지를 검출한다. 그리고 H신호가 검출되면 이 검출된 H신호가 제빙위치신호, 식별신호 및 이빙위치신호의 어느쪽인지는 불분명하지만 이들 3개의 신호중 식별신호와 이빙위치신호는 스위치기구(11)의 볼록부(33a)가 제 2 캠면(24)의 요입부를 통과하는 것으로 L신호로 변화한다. 즉, 식별신호와 이빙위치신호는 H신호가 된 후에 일정시간의 경과로 L신호가 된다. 따라서 검출한 H신호가 상기 일정시간 이상 계속되고 있으면 이 신호는 제빙위치신호이고, 캠치차(5)가 제빙위치로 복귀하고 있다고 판단되므로 콘트롤러(39)는 단계(S24)에 있어서 타이머에 소정시간(T3)을 셋트하고, H신호가 L신호로 변화했는 지를 검출한다(단계(S25)).
현재 단계(S24)에 있어서 타이머로 셋트된 시간(T3)의 경고전에 검출신호가 L신호로 변화하면 검출된 H신호는 식별신호 또는 이빙위치신호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다음의 H신호를 검출하고 타이머의 셋트시간(T3)이 경과한 후도 H신호가 계속되고 있으면 콘트롤러(39)는 제빙위치신호로 인식한다. 이 경우, 시간(T3)의 경과를 기다리는 사이에 화살표시(CCW)방향으로 계속회전하고 있었던 캠치차(5)는 제빙위치를 통과하여 회전 한계위치(회전각(θ)이 -8도의 위치)에 도달한다. 이 때 제 2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 3 캠면(25)은 브레이크기구(12)의 볼록부(40a)를 지름방향안쪽으로 이동시키고, 제동레버(40)를 서서히 요동시킨다. 따라서 제동레버(40)의 제동부(도시생략)가 플랜지(41)에 마찰결합하고, 웜(15)에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웜(15)은 모터(13)의 출력축(13a)에 연결되고, 출력축(13a)의 회전이 각 치차(17), (18)에 전해지는 것으로 감속되어 그 회전토오크가 증가되므로 이 전의 단계에서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회전토오크가 증가된 후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경우에 비해 회전토오크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고, 이 회전토오크에 대해 제동력을 유효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캠치차(5)는 이 작은 회전토오크로 회전되면서 회전한계위치에 도달하고 홈(20)의 단면이 위케이스(8)의 돌기(21)에 닿는다고 해도 이경우의 회전토오크는 작으므로 이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은 약하다. 또한 캠치차(5)는 회전한계위치에 도달한 후도 셋트시간(T3)이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는 이 회전한계위치로 밀어대어져 있지만 캠치차(5)에 입력하는 회전토오크는 작고 캠치차(5)나 회전전달수단(14)이 받는 손실이 매우 작다.
그리고 타이머의 셋트시간(T3)이 경과하면 모터(13)의 회전을 1초간만 정지시키고, 다음에 콘트롤러(39)는 제 20 도의 단계(S28)로 진행하여 모터(13)를 정회전시켜 캠치차(5)를 화살표시(CCW)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캠치차(5)를 화살표시(CCW)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회전한계위치로 밀어대어져서 회전전달수단(14)등에 발생했던 스트레스를 해방시킬 수 있다. 그 후 콘트롤러(39)는 검출신호가 L신호로 변화했는 지를 검출하고(단계(S29)), 검출신호가 L신호로 변화한 경우는 제빙위치신호가 OFF된 경우이고, 캠치차(5)는 제빙위치에서 이탈한 위치, 즉, 캠치차(5)가 그 회전각(θ)이 0도에서 약간 진행한 위치이므로 콘트롤러(39)는 타이머에 시간(T4)을 셋트하고(단계(S30), 예를들면 0.2초), 이 시간(T4)이 경과할 때까지 캠치차(5)를 화살표시(CW)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다음에 콘트롤러(39)는 모터(13)를 1초간만 정지시킨 후(단계(S32)), 모터(13)를 역회전시키고 캠치차(5)를 화산표시(CCW) 방향으로 회전시키며(단계(S33)), 검출신호가 L신호에서 H신호로 변호한 점(단계(S34))이, 캠치차(5)가 제빙위치로 정확하게 복귀한 위치가 된다. 캠치차(5)가 제빙위치로 복귀하면 콘트롤러(39)는 단계(S35)로 진행하여 모토(13)를 정지시키고, 이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알맞은 예이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의에 있어서, 여러 가지로 변형가능하다. 예를들면 제 23 도(c)에 도시하는 오검지신호(E)가 발생한 경우에 오동작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 22 도에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에 의거하는 동작을 하도록 해도 좋다. 즉, 제 13 도에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와 마찬가지로 단계(S15), (S16), (S19), (S20), (S21)를 행한 후, 대기상태로 한다(단계 (S36)). 그 후 이 대기상태중에서 다른 처리가 행해지고 있는 사이 또는 일정시간 마다 단계(S37)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대기상태가 되는 단계(S36)를 마련하지 않고, 바로 단계(S37)에 들어가도록 해도 좋다. 이 단계(S37)는 H신호의 계속을 검출하는 단계(S38)와, H신호가 L신호로 변화했을 때 초기설정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S39)로 이루어진다. 또한 단계(S39)로서는 모터(13)를 재기동시키는 단계로 해도 좋다. 또한 단계(S38)와 단계(S39)와의 사이에 대기단계를 마련하고, 냉장고에 있어 최적시에 초기설정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제 22 도에 의거하는 플로우챠트는 오검지신호(E)가 발생한 경우, 일단 이 오검지신호(E)를 옳은 것으로 하여 동작시킨다. 그러나 단계(S38)에서는 그 오검지신호(E)가 옳은 신호인지 오검지했는지를 판별하고, 혹시 오검지한 오검지신호(E)라고 판단하면 초기설정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바른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고 있다. 이 오검지여부의 판단은 다음의 이유에 의거한다. 즉 상기신호가 통상의 제빙위치신호이면 H신호가 계속하여 출력하게되며, 한편 H신호에서 I신호로의 변화는 모터(13)가 회전하는 것만으로 행해지므로 혹시 L신호가 모터(13)의 정지상태시(=모터정지의 단계(21)를 경과후)에 발생하면 그 신호는 이상신호, 즉, 오검지신호(E)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을 행할 때의 H신호는 L신호 및 모터(13)의 회전방향의 3자의 관계를 도시하는 타이밍챠트를 제 23 도(e)에 도시한다. 또한 이 타이밍챠트는 단계(S37)의 대기상태를 약간의 시간으로 통과하고 초기설정 프로그램을 실행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단계(S38)의 판정은 적절한 간격, 예를들면 0.1초 간격등으로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의 브레이크기구(12)에서는 피제동부로서의 플랜지(41)를 모터(13)의 출력축(13a)위의 웜(15)에 일체성형하고 있지만, 피제동부를 마련하는 위치는 이 위치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들면 제 1 치차(17)나 제 2 치차(18)에 피제동부를 일체성형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만빙등을 검지한 후에 오검지신호가 발생해도 그 신호를 무시하도록 했으므로 검빙암이 저빙용기내에 들어간 채로 되는 경우가 없다. 이 때문에 얼음을 꺼내는 작업시에 검빙암이 방해가 되지 않고 향상 스무스하게 얼음을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만빙등을 검지한 후에 오검지신호가 발생해도 그 신호가 바른것인지 틀린것인지를 판별하고 있으므로 그 판별에 의거하여 바른 조치를 강구할 수 있다. 또한 오검지신호라고 판별했을 때는 제빙접시를 제빙위치로 되돌리고 있으므로 검빙암이 저빙용기내에 들어간 채로 되는 경우가 없어 얼음을 꺼내는 작업을 항상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만빙등을 검지한 후에 오검지신호가 발생해도 오동작하지 않는 효과에 더해 자동제빙기의 구동위치에 브레이크기구를 마련하고 이 브레이크기구를 회전전달수단을 구성하는 어느것의 회전력전달부재에 형성된 피제동부와, 이 피제동부에 밀려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부재와, 캠치차에 형성되어 제빙접시를 제빙위치를 넘어 복귀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 당해 캠치차가 회전한계위치에 달하기 직전에 제동부재를 피제동부로 미는 캠면을 갖도록 구성해두면 캠치차가 회전한계위치에 충돌하기 직전에 이 캠치차를 회전시키는 회전토오크를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캠치차가 회전한계위치에 충돌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캠치차나 회전전달수단이 받는 손실을 경감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상기 회전한계위치를 마련하는 한편, 상기 제빙접시를 상기 회전한계위치까지 회전시키지 않고 제빙위치에 정지시키도록 해두면 캠치차가 회전한계위치에 충돌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캠치차나 회전전달수단이 받는 손실을 경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전원이 ON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빙접시를 상기 회전한계위치까지 회전시키도록 해 두면 통상 동작시에는 캠치차가 회전한계위치에 닿는 일이 없어, 이 점에서도 캠치차나 회전전달수단이 받는 손실을 경감할 수 있다.

Claims (13)

  1. 저빙용기내의 얼음의 부족을 검출했을 때에 제빙접시(2)의 얼음을 상기 저빙용기내에 낙하시키도록 한 자동제빙기(1)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빙용기내의 얼음의 부족을 검출하는 검빙동작을 하는 검빙암(3)과, 상기 제빙접시(2)를 회전시켜 제빙접시(2)의 얼음을 상기 저빙용기내로 낙하시키도록 하기 위한 회전구동수단과, 상기 검빙암(3)에 의한 검빙신호와 상기 제빙접시(2)의 제빙위치신호가 같은 종류의 신호로서 입력됨과 동시에 상기 검빙암(3)과 상기 회전구동수단과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갖고, 이 제어수단은 상기 같은 종류의 신호중 최초의 검지신호를 상기 제빙접시(2)의 회전을 반전시키는 신호로서 유효로하여, 상기 제빙접시(2)가 제빙위치로 되돌아갈 때까지의 사이에 발생하는 다른 상기 같은 종류의 신호를 무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같은 종류의 신호는 캠을 갖는 상기 회전구동수단과, 상기 검빙암(3)에 의해 출력상태의 변화하는 센서출력이며, 상기 캠은 상기 검빙신호와 제빙위치신호를 도시하는 캠부를 갖추어 이루어지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접시(2)는 비틀어 회전시켜서 얼음을 낙하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최초의 검지신호에 의해 상기 제빙접시(2)의 회전을 중지하고, 상기 제빙접시(2)를 제빙위치에 되돌아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모터(13)와, 이 모터(13)의 회전을 전달하는 회전전달수단과, 이 회전전달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캠치차(5)와, 이 캠치차(5)에 마련되어 상기 제빙접시(2)를 비틀어 회전시키는 연결축(17)과, 상기 캠치차(5)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제빙접시(2)가 상기 제빙위치를 넘어 복귀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상기 회전전달수단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브레이크기구(12)를 갖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기구(12)는 상기 회전전달수단을 구성하는 어느것의 회전력전달부재에 형성된 피제동부와, 이 피제동부에 밀려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부재와, 상기 캠치차(5)에 형성된 상기 제동부재를 상기 피제동부로 미는 캠면을 갖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치차(5)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제빙접시(2)가 상기 제빙위치를 넘어 복귀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상기 제빙접시(2)의 회전을 저지하는 회전한계위치를 마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빙접시(2)를 상기 회전한계위치까지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제빙위치에 정지시키도록 하고 또한 전원이 ON일 때는 상기 제빙접시(2)를 상기 회전한계위치까지 회전시킨 후에 상기 제빙위치에 정지시키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7. 저빙용기내의 얼음의 부족을 검출했을 때에 제빙접시(2)의 얼음을 상기 저빙용기내에 낙하시키도록 한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빙용기내의 얼음의 부족을 검출하는 검빙동작을 행하는 검빙암(3)과, 상기 제빙접시(2)를 회전시켜 제빙접시(2)의 얼음을 상기 저빙용기내에 낙하시키도록 하기 위한 회전구동수단과, 상기 검빙암(3)에 의한 검빙신호와 상기 제빙접시(2)의 제빙위치신호가 같은 종류의 신호로서 입력됨과 동시에 상기 검빙암(3)과 상기 회전구동수단과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갖고, 이 제어수단은 상기 같은 종류의 신호중 최초의 검지신호를 상기 제빙접시(2)의 회전을 반전시키는 신호로서 유효로하고, 제2번째의 검지신호는 이 제2번째의 검지신호가 소정의 시간내에 변화한 경우에는 상기 제2번째의 검지신호를 상기 제빙접시(2)의 제빙위치신호로는 간주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접시(2)를 비틀어 회전시켜 얼음을 낙하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최초의 검지신호에 의해 상기 제빙접시(2)의 비틀어서 회전을 반전시키고, 상기 제2번째의 검지신호에 의해 상기 제빙접시(2)의 반전을 중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2번째의 검지신호가 소정의 시간내에 변화한 경우, 상기 제2번째의 검지신호를 오검지신호(E)로 간주하여 상기 제빙접시(2)를 다시 반저시키도록 한 것으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모터(13)와 이 모터(13)의 회전을 전달하는 회전전달수단과, 이 회전전달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캠치차(5)와, 이 캠치차(5)에 마련되어 상기 제빙접시(2)를 비틀어 회전시키는 연결축(17)과, 상기 캠치차(5)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제빙접시(2)가 상기 제빙위치를 넘어 복귀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상기 회전전달수단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브레이크 기구를 갖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기구(12)는 상기 회전전달수단을 구성하는 어느것의 회전력 전달부재에 형성된 피제동부와, 이 피제동부에 밀려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부재와, 상기 캠치차(5)에 형성된 상기 제동부재를 상기 피제동부재로 미는 캠면을 갖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11. 저빙용기내의 얼음의 부족을 검출했을 때에 제빙접시(2)의 얼음을 상기 저빙용기내에 낙하시키도록 한 자동제빙기(1)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빙용기내의 얼음의 부족을 검출하는 검빙동작을 행하는 검빙암(3)과, 상기 제빙접시(2)를 회전시켜 제빙접시(2)의 얼음을 상기 저빙용기내에 낙하시키도록 하기 위한 회전구동수단과, 상기 검빙암(3)에 의한 검빙신호와 상기 제빙접시(2)의 제빙위치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상기 검빙암(3)과 상기 회전구동수단과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갖고, 상기 제빙접시(2)가 상기 제빙위치를 넘어 복귀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상기 제빙접시(2)의 회전을 저지하는 회전한계위치를 마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빙접시(2)를 상기 회전한계위치까지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제빙위치에 정지시키도록 하며 또한 전원이 ON시에는 상기 제빙접시(2)를 상기 회전한계위치까지 회전시킨 후 상기 제빙위치에 정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빙접시(2)를 상기 회전한계위치까지 회전시켜 사익 제빙접시(2)의 위치검출을 행한 후 상기 제빙위치를 일단 통과하고나서 상기 제빙접시(2)를 되돌려 상기 제빙위치에 정지시키도록 한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빙접시(2)를 회전시키면서 저빙량을 확인하고, 상기 저빙량이 충족을 확인한 경우는 얼음을 낙하시키지 않고, 상기 제빙접시(2)를 되돌려 상기 제빙접시(2)를 상기 회전한계위치까지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제빙위치에 정지시키도록 한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KR1019970010896A 1996-03-27 1997-03-27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KR1002348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97546 1996-03-27
JP09754696A JP3296967B2 (ja) 1996-03-27 1996-03-27 自動製氷機の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6427A KR970066427A (ko) 1997-10-13
KR100234823B1 true KR100234823B1 (ko) 1999-12-15

Family

ID=14195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0896A KR100234823B1 (ko) 1996-03-27 1997-03-27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96967B2 (ko)
KR (1) KR1002348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2271B2 (ja) * 1998-05-15 2004-07-14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製氷装置および製氷装置の制御方法
JP5442117B2 (ja) * 2010-05-31 2014-03-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JP2013164170A (ja) * 2010-05-31 2013-08-22 Panasonic Corp 冷蔵庫
CN102410684A (zh) * 2011-11-01 2012-04-11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制冰盒、制冰机以及冰箱
CN103712393B (zh) * 2012-09-28 2016-04-27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制冰装置
KR102058033B1 (ko) 2018-01-08 2019-12-20 주식회사 박전자 냉장고용 제빙기 구동장치
KR102417855B1 (ko) * 2020-09-14 2022-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 어셈블리 및 그의 제어방법
CN113739467B (zh) * 2021-08-30 2023-04-11 江苏凯德电控科技有限公司 一种误动作阻挡装置、制冰机构及冰箱
CN115727581A (zh) * 2021-08-31 2023-03-03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出冰机构、制冰装置及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96967B2 (ja) 2002-07-02
JPH09264646A (ja) 1997-10-07
KR970066427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42271B2 (ja) 製氷装置および製氷装置の制御方法
KR100234823B1 (ko)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KR0182125B1 (ko) 자동제빙기 및 자동제빙기의 얼음트레이 위치제어방법
JP6133962B2 (ja) 遊技機
KR100273052B1 (ko) 자동 제빙장치
JP2010197015A (ja) 自動製氷機の駆動ユニット
US5893934A (en) Dewatering method for automatic washing machine
JP2552459B2 (ja) ロックアクチュエータ装置および安全装置
JP6828487B2 (ja) 便座装置
JP3582706B2 (ja) 自動製氷機の駆動装置および自動製氷機ならびに冷蔵庫
JPH0573433B2 (ko)
JP3086649B2 (ja) 自動製氷機の駆動装置
JPH11316070A (ja) 製氷装置および製氷装置の強制駆動方法
JP2002272943A (ja) 遊技機
JPH08313129A (ja) 自動製氷機の駆動装置
KR0137183B1 (ko) 제빙접시의 구동장치
JPH10311637A (ja) 自動製氷機
JP2000088413A (ja) 製氷装置
JP2002078915A (ja) 遊技機
JP4077918B2 (ja) 自動製氷機
JP3672177B2 (ja) 自動製氷機の駆動装置
JP3385204B2 (ja) 自動製氷機の駆動方法
JP2001165540A (ja) 自動製氷機の駆動装置およびこの装置の製造方法
JP3456564B2 (ja) 自動製氷機
JP2002181421A (ja) 自動製氷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