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183B1 - 제빙접시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제빙접시의 구동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183B1
KR0137183B1 KR1019940003275A KR19940003275A KR0137183B1 KR 0137183 B1 KR0137183 B1 KR 0137183B1 KR 1019940003275 A KR1019940003275 A KR 1019940003275A KR 19940003275 A KR19940003275 A KR 19940003275A KR 0137183 B1 KR0137183 B1 KR 0137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displacement
cam
switch
ice m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3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070A (ko
Inventor
가스노리 니시가와
신이찌 요시가와
Original Assignee
야마다 로꾸이찌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061378A external-priority patent/JP307159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76293U external-priority patent/JP2581811Y2/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다 로꾸이찌,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야마다 로꾸이찌
Publication of KR940020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1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빙접시를 구동하는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모터(15)와 이 모터(15)의 회전을 감속하여 캠치차(11)에 전달하는 수단(16),17,18,19)과, 캠치차(11)에 설치된 제1캠(21), 제2캠(22) 및 제빙접시(2)의 구동부(4)와, 제1캠(21)과 결합하는 검빙레버(12)와, 제2캠(22)에 종동하는 스위치 작동레버(13)와, 상시 스위치 작동레버(13)의 변위를 검출하는 스위치(14)와, 상기 검빙레버(12)에 설치된 스위치 작동레버(13)에 대한 변위저지부(50)와, 제1캠(21)의 회전초기에 검빙레버(12)의 변위를 허용하는 제1캠(21)에 형성딘 제 1변위허용부(29)와, 제2캠(22)에 형성된 상기 제 1변위허용부(29)와 대응하는 스위치 작동레버(13)의 제 3변위허용부(32) 및 캠치차(11)의 회전이 끝나는 시기에서의 스위치 작동레버(13)의 제 4변위허용부(3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빙접시의 구동장치
제1도는 제빙접시의 구동장치의 전체적인 평면도.
제2도는 제빙접시의 구동장치의 전체적인 측면도.
제3도는 제빙접시의 구동장치 요부의 일부파단 확대배면도.
제4도는 캠치차의 밑에서 본 확대 수평단면도.
제5도는 검빙(檢氷)축의 구동부분의 확대단면도.
제6도는 캠치차의 제1캠의 확대정면도.
제7도는 캠치차의 제2캠의 확대수평단면도.
제8도는 캠치차에 대응하는 스위치 작동레버 및 록레버의 대응관계의 확대평면도.
제9도는 모터의 제에계의 블록선도.
제10도는 모터의 구동회로의 회로도.
제11도는 동작시의 타임챠트도.
제12도는 실시예2의 동작시의 타임챠트도.
제13도는 실시예2의 제2의 캠 확대평면도.
제14도는 실시예2의 타임챠트도.
제15도는 실시예3의 요부의 일부 파단 확대배면도.
제16도는 실시예1의 규제부재의 평면도.
제17도는 실시예4의 제2캠과 규제부재와의 관계의 평면도.
제18도는 실시예5의 제1캠과 규제부재와의 관계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구동장치2:제빙접시
3:검빙바4:구동부
5:지지축6:기틀
7:접촉면8:좌측 케이스
9:캠치차10:검빙축
11:캠치차12:검빙레버
13:스위치 작동레버14:스위치
15:모터16:워엄
17:워엄휘일18:제 1기어
19:제 2기어20:출력출
21:제1캠22:제2캠
23:제 1스톱퍼24:돌기
25:록레버26:스톱퍼받이
27:제 2스톱퍼받이28:캠을 따라 작동하는 축
29:제 1변위허용부30:캠을 따라 작동하는 부분
31:제 2변위허용부32:제 3변위허용부
33:제 4변위허용부34:록레버축
35:제 1인장스프링36:영구자석
37:프린트기판38:제 5변위허용부
39:레버축40:구멍
41:슬라이더42:슬라이드 가이드
43:스프링44:슬라이더 스프링받이
45:검빙레버 스프링받이46:결합돌기
47:단부48:결합핀
49:제 2인장스프링 50:변위저지부
51:변위저지편52:컨트롤러
53:구동회로54:전원단자
56:제 1규제부재57:제 1변위규제부
58:판스프링59:접촉부
60:절개부61:제 2스톱퍼
62:제 3스톱퍼63:제 2규제부재
64:제 2변위규제부65:제 1장공
66:제 1핀67:제 3규제부제
68:제 3변위규제부69:제 2장공
70:제 2핀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빙접시를 구동하는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런종류의 장치로서는 일본국 특개평2-203179호의 기술이 있으나, 그 장치에 의하면 구성이 복잡하고 장치가 크며 또 필요한 동작을 위하여 많은 스위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그 조정이 어렵고 오동작이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한 기능을 간단한 구성으로 행하고,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상기 종래기술의 결점을 개선하는 것이다.
또 이빙(離氷)후에 제빙접시(2)를 복귀시키기 위하여 모터(15)를 역회전시키는 과정에서 검빙신호가 발생하거나 또는 발생하지 않게 되는 불확정한 상황을 없애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제빙접시의 구동장치(1)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제빙접시의 구동장치(1)는 이빙동작시에 상향의 제빙접시(2)를 반전시킴과 동시에 검빙동작시에 검빙바(3)를 요동시키기 위하여 냉장고의 제빙실안에서 저빙(貯氷)용기위에 장착되어 있다.
제빙접시(2)는 장방형에 상면개구형의 것으로, 대향변의 한쪽에서 구동장치(1)의 구동부(4)에 연결되고 또 다른쪽에서 냉장고의 기틀(6)에 고정된 지지축(5)에 의해 반전 즉 회동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으며, 상향상태(즉 제빙위치)와 하향상태(즉 이빙위치)의 사이의 회동범위를 회동한다. 그리고 제빙접시(2)는 반전한 이빙위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기틀(6)에 고정된 접촉편(7)에 닿아 비틀어 변형함으로써 내부의 얼음을 이빙시켜서 아래쪽의 저빙용기에 낙하시킨다.
또 상기 검빙바(3)는 좌측 및 우측케이스(8)(9)의 측방위치에서 검빙축(10)에 부착되어 있고, 스평위치에서 아래측으로 회동하여 저빙량을 검출한다.
즉 저빙용기내의 얼음에 접촉하여 소정 각도이내에서 회동이 정지한 경우에 만빙(滿氷)상태를 검출하고, 또 접촉되지 않게 되어 소정각도이상 회동한 경우에 저빙량의 부족을 검출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최대회동각도를 37。정도 만빙을 검출하는 소정각도를 30。정도로 하고 있다.
다음에, 제3도 내지 제8도는 좌측 및 우측케이스(8)(9)의 내부에 장착된 캠치차(11), 검빙레버(12), 스위치 작동레버(스위치 작동부재라고도한다)(13) 및 스위치(14)의 구성 및 이들을 구동하는 직류모터(15)등의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모터(15)는 제3도외에,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좌측케이스(8)의 내부에 프린트기판(37)와 함께 고정되어 있으며, 그 회전은 감속용의 워엄(16), 워엄휘일(17), 제 1 및 제 2기어(18)(19)를 통하여 캠치차(11)에 전달된다.
이와같이 워엄(16), 워엄휘일(17), 제 1 및 제 2기어(18)(19) 등에 의해 전달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캠치차(11)는 제4도나 제6도,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것과 일체의 출력축(20)에 의하여 좌측 및 우측케이스(8)(9)의 축받이 부분에 대하여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우측케이스(9) 외주의 윤곽에 의하여 제1캠(21)이 형성되고 또한 좌측케이스(8)측으로 돌출하는 불연속한 원주상의 돌조에 의하여 제2캠(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치차(11)의 회전각도를 규제하기 위한 제 1스톱퍼(23) 및 록레버(25)를 구동하기 위한 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출력축(20)의 일부는 좌측케이스(8)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여 돌출부분에는 타원형의 구동부(4)로 되어 있다.
제 1스톱퍼(23)는 제6도와 같이 캠치차(11)가 역회전방향의 회전각도를 규제하기 위해 좌측케이스(8)에 형성된 스톱퍼받이(26)에 접촉하여 제빙접시(2)외에 캠치차(11)나 출력축(20)의 회동범위의 제빙위치측을 규제하고 있다.
또 록레버(25)는 제4도와 같이 선단의 돌출부분에서 워엄(16)의 보스부분에 형성된 단부(47)와 접촉하여 이들의 접촉에 의해 모터(15)의 통전상태하에서도 모터(15) 및 워엄(16)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킬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부호 27은 제2스톱퍼받이이다.
그리고 상기 제1캠(21)은 제3도, 제6도와 같이 원호상의 윤곽부분에서 검빙레버(12)의 캠을 따라 작동하는 축(28)에 접촉하고 있고, 움푹한 부분에서 검빙레버(12)의 변위를 허용하는 제 1변위허용부(29)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이 검빙위치이다.
또 제2캠(22)은 제7도와 같이 외주벽에서 스위치 작돌레버(13)의 캠을 따라 작동하는 부분(30)과 접촉하고 있고 불연속인 부분에서 스위치 작동레버(13)의 변위를 허용하는 제 2, 제 3, 제 4변위허용부(31)(32)(33)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제 2변위허용부(31)는 캠치차(11)의 기준원점위치 및 제빙위치와 대응하고 제 3변위허용부(32)는 검빙위치에서 상기 제 1변위허용부(29)와 대응하며 제 4변위허용부(33)는 캠치차(11)의 회동범위의 일단의 이빙위치와 대응한다.
또한 캠치차(11)는 이빙위치를 회전의 마지막시기로 하고 있다.
상기 스위치 작동레버(13) 및 록레버(25)는 제8도와 같이 함께 좌측케이스(8)와 일체의 록레버축(34)에 대하여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들의 사이에 마련된 제 1인장스프링(35)에 의하여 서로다른 회전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스위치 작동레버(13)는 선단부분에서 예를들면 영구자석(36)의 자속을 프린트기판(37)에 부착된 홀 IC등의 스위치(14)에 대해 근접 및 이반시키도록 변위한다.
스위치(14)는 영구자석(36)에 근접하였을 때에 L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고 멀어졌을 때에 H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즉 스위치 작동레버는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작동부재로서 기능한다.
검빙레버(12)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단에서 좌측케이스(8)와 일체의 레버축(39)에 대하여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고, 구멍(40)부분에서 출력축(20)과 간섭하지 않도록 교차하여, 선단측의 부분에서 직접 또는 이 실시예에서 볼수 있는 바와같이 슬라이더(41)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검빙축(10)에 결합되어 있다.
즉, 슬라이더(41)는 검빙레버(12)에 형성된 슬라이드 가이드(42)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상태로 끼워져 있고, 슬라이더 스피링받이(44)와 검빙레버 스프링받이(45)와의 사이의 스피링(43)을 통하여 일체화하여 있고, 선단에서 2개의 결합돌기(46)에 의하여 검빙축(10)과 일체의 결합편(48)과 결합되어 있다.
검빙축(10)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측부분에서 좌측케이스(8)에 걸려있는 제 2인장스프링(49)에 의하여 제5도에서 항상 시계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그 결과, 검빙바(3)는 제2도에서 항상 반시계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으며, 또 검빙레버(12)는 상기 제 2인장스피링(49)에 의하여 제3도에서 항상 시계방향 즉 캠을 따라 작동하는 축(28)을 제1캠(21)의 윤곽에 접촉시키는 방향의 힘을 받고 있다.
이와같이 검빙바(3), 검빙축(10) 및 검빙레버(12)등에 의해 검빙부재가 구성되어있다.
검빙레버(12)는 스위치 작동레버(13)와 대향하는 부분에 변위저지부(50)를 가지고 있고, 이 부분을 스위치 작동레버(13)의 일부 예를 들면 그것과 일체의 변위저지편(51)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스위치 작동레버(13)의 회동을 규제한다.
또한 상세하게는 뒤에 설명하지만 스위치 작동레버(13)의 회동은 검빙바(3)가 저빙량이 없거나 또는 그 양의 부족을 검출한 경우에 규제된다.
따라서 스위치 작동레버(13)는 원점위치, 검빙위치 및 이빙위치에서 제 2캠(22)의 제 2, 제 3, 제 4변위허용부(31)(32)(33)와 대응하고 있으므로 스위치(14)의 출력으로서 H레벨의 신호를 발생하는 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변위저지부(50)에 의해 회동을 규제할 수 없는 경우에는 H레벨의 신호를 발생하도록 변위한다.
다음에, 제9도는 모터(15)의 제어계를 도시하고 있다.
컨트롤러(52)는 동작의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으며, 각종의 지령신호외에 스위치(14)로부터의 출력신호등을 입력하여 구동회로(53)에 동작지령을 부여한다.
구동회로(53)는 검빙동작시 및 이빙동작시에 모터(15)를 필요한 토크로 정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 검빙동작 또는 이빙후의 복귀동작시에 정회전시의 전류보다도 작은 역방향의 전류를 보내고, 모터(15)를 작은 토크로 역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제10도는 구동회로(53)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구동회로(53)는 트랜지스터 구동방식의 것으로, DC12볼트의 전원단자(54)의 사이에 트랜지스터(Tr1), 모터(15) 및 트랜지스터(Tr4)를 직열로 접속함과 동시에 마찬가지로 전원단자(54)사이에 트랜지스터(Tr2), 저항기(R), 모터(15) 및 트랜지스터(Tr3)를 직렬로 접속하여 이들의 트랜지스터(Tr1) (Tr2) (Tr3) (Tr4)의 베이스, 커넥터 또는 베이스에미터나 제어용 입력단자 사이에 저항기 (R1) (R2) (R3) (R4) (R5) (R6)를 접속하여 필요에 따라 써어진 전류 흡수용의 다이오드(D1)(D2)(D3)(D4)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러(52)가 제어출력에 의하여 트랜지스터(Tr4)를 ON시키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전위가 내려가서 트랜지스터(Tr1)가 ON상태로 되기 때문에, 모터(15)는 정회전방향, 즉 제빙위치 → 검빙위치 → 이빙위치의 방향으로 전환된다.
이 때 트랜지스터(Tr3)가 OFF상태이므로 트랜지스터(Tr2)는 ON상태로 되지 않는다.
또 컨트롤러(52)가 제어 출력으로 트랜지스터(Tr3)를 ON시키면 트랜지스터(Tr2)가 ON으로되어 저항기(R)에서 분압되고, 전원전압보다도 낮은 전압이 모터(15)의 단자간에 가하여지므로, 모터(15)는 역회전하여 출력축(20)을 되돌릴 방향 즉 이빙위치 → 검빙위치 → 제빙위치 → 원점위치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저항기(R)의 개재에 의하여 역회전시의 모터(15)의 토크는 정회전시보다도 낮게 억제되어 있다.
다음, 제11도는 제빙접시 구동장치(1)의 일련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동작 프로그램에서의 주기적인 동작지령 또는 외부로부터의 강제적인 동작지령에 의하여, 컨트롤러(52)를 통하여 모터(15)를 필요한 토크로 정회전방향으로 구동하여, 캠치차(11)를 제3도, 제6도, 제7도, 제8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천천히 회전시킨다.
캠치차(11)가 170도 회전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약 10초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캠치차(11) 및 출력축(20)과 일체의 구동부(4)가 제3도등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것에 의해 제빙접시는 천천히 반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와 동시에, 제1캠(21)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검빙레버(12)의 캠을 따라 작동하는 축(28)이 제 2인장스프링(49)의 탄력에 의하여 움푹한, 즉 제 1변위용부(29)에 떨어지므로 검빙레버(12)는 제3도에서 레버축(39)를 중심으로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슬라이더(41)를 통하여 검빙축(10)를 제5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검빙축(10)의 회전은 검빙바(3)를 제2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저빙량이 없거나 그 양의 부족시에, 검빙바(3)는 저빙 용기내에서 장해물이 없는 상태로 되어 최대동작각도 정도까지 회동한다.
이 때문에 검빙레버(12)는 검빙바(3)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제 1변위허용부(29)의 깊은 위치까지 변위하고 제7도나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변위저지부(50)를 변위저지편(51)에 접근하는 방향까지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검빙위치에 있어서 스위치 작동레버(13)의 회동이 저지된다.
그러나 저빙량의 충족시에는 검빙바(3)가 저빙용기내의 얼음에 닿아서 도중에서 정지하기 때문에 검빙축(10)은 만빙검출레벨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이 때 캠을 따라 작동하는 축(28)이 제 1변위허용부(29)에 떨어지지 않고 멋대로 뜨기 때문에 검빙레버(12)는 그것과 연동하여 변위저지부(50)를 변위 저지편(51)에 접촉시키는 위치까지 변위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스위치 작동레버(13)가 제7도와 같이 검빙위치에 대응하는 제 3변위허용부(32)에 있어서도 회동가능하게 된다.
제 1캠(21)은 캠치차(11)가 55도에서 85도까지 회전하는 범위에서 제 1변위허용부(29)가 설정되어 있고 검빙레버(12)는 이 변위허용부에서는 상술한 저빙량에 따라 변위한다.
또한 제 1변위허용부(29)이외에서는 검빙레버(12)는 캠을 따라 작동하는 축(28)에 의하여 제 1캠(21)의 원호상의 윤곽부분에 접하기 때문에 회동하지 않는 상태로 설정한다.
한편, 제2캠(22)은 -12도 ∼ 11도의 범위의 제 2변위허용부(31), 33도 ∼ 47도의 범위의 제 3변위허용부(32), 170 ∼ 190도까지의 범위의 제 4변위허용부(3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제 2, 제 3, 제 4변위허용부(31)(32)(33)부분에 스위치 작동레버(13)의 캠을 따라 작동하는 부분(30)이 대응했을대 검빙레버(12)의 변위저지부(50)가 저지되지 않는 한 스위치 작동레버(13)는 영구자석(36)을 스위치(14)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상술한 바와같이, 스위치(14)는 영구자석(36)에서 떨어져 있을때에 H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고 있으나, 영구자석(36)과 대향하여 그것에 접근하였을 때에 L레벨의 출력신호로 변한다.
따라서 스위치(14)의 출력신호는 제 2, 제 3, 제 4변위허용부(31)(32)(33)와 대응하여 H레벨의 원위치신호, 검빙신호, 및 이빙신호로서 컨트롤러(52)의 입력으로 되어 있다.
컨트롤러(52)는 동작프로그램의 실행과정에서 동작지령을 받았을 때, 모터(15)를 정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출력 발생을 계속한다.
이 정회전방향의 운전중에 스위치(14)의 출력신호가 L레벨에서 H레벨로 변화했을 때, 즉 검빙신호 또는 이빙신호가 발생했을 때 컨트롤러(52)는 스위치(14)의 출력신호에 의해 모터(15)를 역회전시킨다.
컨트롤러(52)는 모터(15)를 역회전시켜 출력측(20)을 -1도의 원점으로 되돌리고 그후 일순간(극히 짧은시간)만 예를 들면 0.2초만 정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킴(다음 이 조작을 '일시정회전'이라함)에 따라 캠치차(11)를 제빙위치로 되돌린다.
이 조작은 잠금해제처리라고 캠치차(11)의 제 1스톱퍼(23)를 스톱퍼받이(26)에 확실히 대고 기계적으로 위치결정을 하므로서 짧은 0.2초의 시간에 대응하는 모터(15)의 정회전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계의 응력 즉 구동력의 작용상태를 없애고 되돌리는 동작은 종료시키기 위하여 설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저빙량이 부족한 경우, 즉 검빙동작에 의하여 검빙레버(12)가 크게 변위하여 그 변위저지부(50)가 스위치 작동레버(13)의 변위저지편(51)에 접근하고 있는 경우의 작동을 설명한다.
우선, 정회전방향회전의 초기에는 스위치 작동레버(13)가 원위치에 대응하는 제 2변위허용부(31)에 의하여 변위하고, 스위치(14)의 출력신호는 H레벨의 출력신호 위치신호이다.
모터(15)가 구동되면 이 출력신호는 스위치 작동레버(13)의 변위에 대응하여 L레벨로 변화하며 또한 스위치 작동레버(13)는 다음 제 3변위허용부로(32) 떨어지려고 한다.
그러나 스위치 작동레버(13)의 변위저지편(51)이 변위상태를 검빙레버(12)위 변위저지부(50)에 닿아 있으므로 스위치 작동레버(13)는 제 3변위허용부(32)에 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저빙량의 부족시에 스위치(14)의 출력 신호는 L레벨 그대로이고, H레벨의 검빙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컨트롤러(52)는 H레벨의 출력신호로서 이빙신호를 얻을때까지 모터(15)를 정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캠치차(11)를 170도 정도의 이빙위치까지 회전시킨다.
이로 인하여 제빙접시(2)는 반전하고 완전히 반전하기 직전에 즉, 회전범위의 일단에서 접촉편(7)에 닿는것에 의하여 비틀리게 변형전에 내부의 얼음을 이빙시키고 저빙용기내에 낙하시킨다.
캠치차(11)가 이빙위치까지 회전하면 스위치 작동레버(13)가 제 4변위허용부(33)에 떨어져 들어가 스위치(14)의 출력신호가 L레벨에서 H레벨로 변화하고, 이빙신호가 얻어진다.
이 시점에서 컨트롤러(52)는 모터(15)를 역회전시키면서 타이머시간 예를들면 16초정도의 시간경과후 스위치(14)의 최초의 H레벨의 출력신호로서 원위치신호를 확인하고 나서, 다시 역회전 시간 1.5초정도만 모터(15)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캠치차(11)를 -1도(度)의 원점으로 되돌리고, 캠치차(11)의 제 1스톱퍼(23)를 스톱퍼받이(26)에 대고 정지시킨다.
마지막으로 일시정회전에 의한 잠금해제처리에 의해 0도의 제빙위치까지 정회(正回)하여 구동계의 응력을 해소시킨다.
여기서 상기 타이머시간은 이빙후의 역회전과정 즉, 복귀과정에서 검빙신호의 발생시의 당해검빙신호를 무시하기 위하여 설정되어 있다.
즉, 이빙동작에 의하여 얼음이 저빙용기에 보충되었다 하더라도, 저빙량이 아직 소정량에 달하지 않았을 때 복귀과정의 검빙동작으로도 검빙레버(12)가 제1캠(21)의 제 1변위허용부(29)로 정확히 따라가지 않고 변위저지부(50)가 변위저지편(51)에 닿는 위치까지 이동하지 않으므로, 스위치 작동레버(13)는 제7도에서 제 3변위허용부(32)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결과 제빙접시(2)의 복귀과정에서도 스위치(14)는 H레벨의 검빙신호를 발생할 경우가 있다.
상기 타이머시간은 반환동작으로 검빙신호의 발생시에 대비하여 그것을 무시하기 위하여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52)는 제빙접시(2)의 원상태의 복귀과정에서 타이머시간에 걸쳐서 모터(15)를 계속적으로역회전시키고 그 사이에 검빙신호유무에 관계없이 모터(15)를 계속적으로 역회전시킨후, 그 타이머시간 경과후, 스위치(14)로부터의 최초의 H레벨의 신호 즉, 원위치신호를 입력한 시점에서 일정한 역회전시간만큼 모터를 역회전시켜 캠치차(11)를 -1도(度)의 원점위치로 되돌리고, 캠치차(11)에 제 1스톱퍼(23)를 스톱퍼받이(26)에 대고 정지시켜 다음의 일시정회전에 의한 잠금해제처리를 함으로써 0도의 제빙위치가지 정회하고 구동계의 응력을 해소시킨다.
이 역회전시에 모터(15)에 저항(R)로 제한된 전류가 통하기 때문에, 모터(15)의 출력 토크는 정회전시에 비교하여 1/2에서 1/4정도로 낮게 억제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정회전시보다 가벼운 복귀동작이 확보될 수 있으며, 필요이상의 힘이 작용하지 않고 구동계가 보호된다.
다음, 검빙동작의 시점에서 저빙량이 충만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는 검빙바(3)의 회전량이 얼음에 대한 검빙바(3)의 접촉에 의하여 적어지므로, 이것과 동하여 검빙레버(12)는 만빙검출레벨의 범위내에 있어서 제 1변위허용부(29)에 거의 떨어지지 않고 변위저지부(50)를 스위치작동레버(13)의 변위저지판(51)에 닿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있지 않다.
따라서 캠치차(11)의 33도 ∼ 47도까지의 회전범위 즉 검빙위치에서 스위치 작동레버(13)의 캠을 따라 작동하는 부분(30)이 제 3변위허용부(32)에 떨어져 들어가 영구자석(36)을 스위치(14)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 변화시킨다.
이로인하여 스위치(14)는 H레벨의 검빙신호를 출력하여 만빙상태인 것을 컨트롤러(52)에 알린다.
그래서, 컨트롤러(52)는 스위치(14)의 L레벨에서 H레벨로의 신호변화를 검출하여, 즉, 만빙상태에 대응하는 검빙신호를 얻어 모터(15)를 소정의 역회전시간 예를 들면 16초정도만 역회전시키고 캠치차(11)를 제 1스톱퍼(23)와 스톱퍼받이(26)와의 접촉관계에 의하여 정지시키며, 그후 일시정회전에 의한 잠금해제처리를 행하여 0도의 제빙위치로 되돌린다.
이때 캠치차(11)의 복귀에 필요한 회전각도는 역회전방향으로 34도정도이고 상기 이빙동작시의 170도 정도보다도 충분히 작아서 좋다.
따라서 모터(15)에 대한 통전 그대로의 상태로 모터(15)의 회전정지상태 즉 잠금상태가 역회전시간의 대부분에 걸쳐서 계속하게 되지만, 역회전시의 전류가 저항기(R)에 의하여 낮게 억제되어 있으므로 구동계에 악영향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또 검빙레버(12)의 동작이 슬라이더(41) 및 스프링(43)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검빙축(10)에 전달되도록 안전기구가 부가되어 있다.
따라서 검빙바(3)에 외력이 가해져서 검빙축(10)이 역구동상태로 회동하였다 하더라도 그 힘이 슬라이더(41)의 변위에 따른 스프링(43)의 휘어짐에 의해 흡수된다.
이 때문에 검빙레버(12)에 전달되지 않고 그것에 의해 검빙레버(12)나 이에 관련되는 기어등의 파괴가 미연에 방지될수 있다.
한편 캠치차(11)가 정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과정에서 이상(異常)으로 인해 170도이상이나 돌고 멈추지 않는다 하더라도 180도인 곳에서 캠치차(11)의 돌기(24)가 록레버(25)에 닿아 그것을 제8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돌리기 위해 록레버(25)는 그 선단부분을 제4도와 같이 워엄(16)의 단부(47)에 대고 통전상태 그대로 모터(15)를 강제적으로 정지시켜 잠금상태로 한다.
따라서, 캠치차(11)는 180도 이상 돌지않으며, 이에 관련하는 제빙접시(2)나 내부의 부품은 큰힘을 받아 파괴되는 경우도 없다.
또 워엄휘일(17)은 고속회전하고 있고 토크가 작아 록레버(25)와 단부(47)와의 결합에 의해비교적 작은 힘으로 강제적으로 정지시키게 된다.
다음 제12도는 실시예2를 도시하고 있다.
제11도의 실시예에서는 모터의 역회전시간이 16초로 설정되어 있고, 더구나 그시간은 이빙동작의 복귀동작과 검빙동작후의 복귀시간이 함께 공통으로 부여되고 있다.
직류모터(15)의 회전특성의 불균형이나 구동전압의 변동등을 고려하면 그 역회전시간은 여유를 갖고 크게 설정되어야 한다.
역회전시간이 커지면, 검빙시점에서 역회전하였을 때, 캠치차(11)가 역회전에 의하여 원점으로 복귀하고 모터(15)가 통전상태 그대로 회전하지 않는 상태가 길게 계속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래서 제11도의 실시예는 캠치차(11)의 역회전과정에서 스위치(14)의 출력신호레벨이 최초에 L레벨에 서 H레벨로 변화하기 까지의 시간제한이 없이 역회전시켜 변화하였을 때, 즉 이빙에 의한 저빙량이 채워져 있으면 검빙신호가 발생했을 때 또는 이빙에 관계없이 저빙량이 아직 부족상태이거나 또는 검빙시점에서 만빙상태이면, 원위치신호가 발생했을 때 그 발생시점에서 필요한 한시(限時)시간 예를들면 5초간만 회전시키므로 캠치차(11) 제 1스톱퍼(23)를 스톱퍼받이(26)에 접촉시켜 캠치차(11)를 정지시키는 예이다.
이 경우 캠치차(11)의 한시시간에 대응하는 회전가곧 47도에서 -1도까지의 최대 48도정도로 충분하므로, 그것에 필요한 한시역회전시간도 여유가 있다 하더라도 5초정도로 충분하다.
따라서 모터(15)가 통전상태로 설정된 상태 그대로 역방향으로 돌지 않는 시간이 짧아지고 통전정지상태라고 하는 불필요한 동작을 회피할 수 있다.
다음 제13도 및 제14도는 제2캠(22)에 70 ∼ 84도 구간에서 제 5변위허용부(38)를 형성함으로써 이 부분에서 스위치(14)에 의한 식별신호를 발생시키는 예이다.
컨트롤러(52)는 모터(15)시동후에 3초간의 타이머를 걸고 이 타이머시간 사이에 검빙신호를 발생했을 때, 만빙이라고 판단한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컨트로러(52)는 모터(15)를 역회전시키고 그후에 스위치(14)의 출력이 변화하면 즉, 원위치신호가 나오면, 타이머시간 1.5초후에 모터(15)를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캠치차(11)가 확실하게 원위치로 복귀된다.
시동후, 3초간의 타이머시간 사이에 검빙신호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컨트롤러(52)는 저빙량부족으로 판단하여 1회째의 신호레벨변화, 즉, 식별신호를 확인한 후, 2회째의 신호레벨변화, 즉, 이빙신호를 검출하여 모터(15)를 역회전시킨다.
역회전후의 최초신호레벨의 변화는 식별신호레벨의 변화는 식별신호이기 때문에 이 식별신호와 소실된 시점에서 3초간 타이머를 걸고, 이 타이머 시간중의 출력신호의 기립변화를 무시한다.
이것에 의해 검빙신호가 무효로 될 수 있다.
컨트롤러(52)는 타이머시간의 경과후, 최초의 출력신호의 상승변화에 의하여 원위치신호를 검출하고, 이 검출시점에서 타이머시간 1.5초후에 모터(15)를 정지시킨다.
이로 인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캠치차(11)는 확실히 원위치로 복귀되고 제 1스톱퍼(23)와 스톱퍼받이(26)와의 접촉상태에서의 모터(15) 통전시간을 최소한도의 에를들면 1초이하로 억제한다.
또 상기 실시예는 검빙레버(12)나 스위치 작돌레버913)를 회동형식의 것으로하여 구성되어 있으나, 이들의 변위는 직선방향의 변위라도 좋고 따라서 기존의 직선안내 기구등에 의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 스위치(14)는 홀소자(Holl 素子)등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촉식의 것으로서도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작동레버(13)와 스위치(14)의 조합은 스위치의 형식에 의하여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다.
실시예3은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출력축(20)에 링형상의 제 1류제부재(56)를 장착하고, 거기에 형성된 제 1변위규제부(57)를 검빙레버(12)의 접촉부(59)에 접촉시킴으로서, 제빙접시(2)의 복귀과정에서 저빙량과 상관없이 검빙신호를 확실하게 발생시키는 예이다.
즉, 상기 제 1규제부재(56)는 제 15도외에 제16도에서 볼수 있는 바와같이 출력축(20)에 대하여 독립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느슨하게 끼워져 있고, 그것에 부착된 판스프링(58)에 의하여 출력축(20)의 외주명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제 1규제부재(56)외측면에 형성된 제 1변위규제부(57)는 구멍(40)의 내측에 형성된 접촉부(59)에 접촉하는 관계에 있다.
또 구멍(40)은 그 일부의 절개부(60)에서 제 1변위 규제부(57)의 반시계방향의 움직임을 허용한다.
또 우측케이스(9)에 형성된 제 2스톱퍼(62) 및 구멍(40)의 일부에 형성된 제 3스톱퍼(62)는 제 1변위규제부(57)에 닿아서 그 회동범위를 규제하고 있다.
모터(15)의 정회전방향의 회전시에, 제 1규제부재(56)는 판스프링(58)에 의하여 출력축(20)의 회전을 받아서 제 15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1변위규제부(57)제 2스톱퍼(61)에 닿아 정지하고 있다.
이 때 제 1변위규제부(57)에서 절개부(60)에 대응하고 있으므로 검빙레버(12)는 실시예1 및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검빙동작을 행한다.
검빙동작에 의하여 저빙량의 부족이 확인되고 제빙접시(2)가 이빙동작은 끝낸후에, 복귀방향 즉 역호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 1규제부재(56)는 판스프링(58)에 의하여 출력축(20)의 회전을 받아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1변위규제부(57)를 제 3스톱퍼(62)에 접촉시켜서 접촉부(59)와 대향시킨다.
이 때문에 이빙후의 저빙량에 관계없이 검빙레버(12)는 접촉부(59)에서 제 1번위 규제부(57)에 닿아 검빙위치에서 제 1변위 허용부(29)의 움푹한 부분으로 따라 들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검빙바(3)도 검빙동작을 위한 요동운동을 하지 않는다.
이결과 이빙후의 저빙량에 관계없이 검빙위치에서 스위치 작동레버(13)는 변위저지부(50)에 의하여 규제되지 않으며, 반드시 제3변위허용부(32)에 떨어져 스위치(14)에서 떨어진다.
따라서 제빙접시(2)의 복귀과정에서 스위치(14)는 검빙위치에 대응하여 확실하게 H레벨의 검빙신호를 발생한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52)는 타이머시간을 설정함이 없이 모터(15)를 이빙후 시간제한을 하지 않은채 역회전시켜 스위치(14)의 첫 번째의 H레벨의 출력신호로서 원위치신호를 확인하면 역회전시간을 설정하여 출력축(20)을 원점위치로 되돌린후 잠금해제 처리를 한다.
또 복귀과정에서 H레벨의 신호가 소정수이상 발생하였을 때 컨트롤러(52)는 이상동작이라고 판단하여 필요한 처리를 실시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두 번째의 H레벨의 출력신호에 따라 원위치신호가 확실히 특정될 수 있기 때문에, 타이머시간의 설정조작이 필요하지 않고, 또 복귀과정에서의 2개의 신호확인에 의하여 출력축(20)의 회전위치가 정확히 확인될 수 있다.
또 복귀회전시에 검빙바(3)가 검빙방향으로 변위하지 않으므로, 검빙방향으로서의 변위에 의한 문제 예를들면 내용물과 검빙바(3)와의 결합에 의한 정지나 검빙바(3)를 상하이동시키는 인위적인 문제의 발생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이 실시예4는 제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출력축(20)의 복귀를 위한 역회전시에, 제 3변위허용부(32)를 제 2규제부재(63)의 제 2변위규제부(64)로 막고 저빙량에 관계없이 검빙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 예이다.
제 2규제부재(64)는 링형상의 부분에서 출력축(20)에 회전가능한 상태를 끼워져 있고 제 3변위허용부(32)와 대응하는 부분에서 제 2변위규제부(64)를 가지고 있다.
이 제 2변위규제부(64)는 제2캠(22)의 외형보다는 약간 크고, 제 3변위허용부(32)를 막는 크기로 형성되어 제 2변위규제부(64)에 형성된 제 1장공(54)과 제2캠(22)에 고정된 제 1핀(66)에 의하여 제 1장공(65)의 중심각에 대응하는 각도만큼 변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출력축(21)이 검빙동작이나 이빙동작 때문에 정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 2규제부재(63)가 제2캠(2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시계방향의 회전위치에 엇갈려 있으므로, 스위치 작동레버(13)의 캠을 따라 작동하는 부분(30)은 제 2,제 3,제 4변위허용부(31,32,33)의 부분에 순차로 떨어져 들어가 원점위치 및 제빙위치에서 원위치신호를, 검빙위치에서 저빙량에 따라 검빙신호를, 또 이빙위치에서 이빙신호를 각각 발생한다.
한편, 이빙 동작후에 출력축(20)이 복귀하기 위하여 역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캠이 제 1장공(65)의 중심각에 상당하는 분만 선행하여 회전한후, 제 1핀(66)이 제 1장공(65)의 단부에 닿아서 제 2규제부재(63)가 제2캠(22)과 함께 회전한다.
이 때, 제 2변위규제부(64)는 제 3변위허용부(32)를 막고 저빙량에 관계없이 캠을 따라 작동하는 부분(30)이 제 3변위허용부(32)를 막고 저빙량에 관계없이 캠을 따라 작동하는 부분(30)이 제 3변위허용부(32)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출력축(20)의 복귀과정에서 그 회전각도가 검빙위치에 와도 스위치 작동레버(13)는 저빙량에 관계없이 변위하지 않고, 스위치(14)와 마주대하는 것에 의하여 스위치(14)의 출력신호를 L레벨로 유지하고 있다.
이와같이 이빙동작후의 저빙량에 관계없이 검빙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컨트롤러(52)는 이빙동작후의 복귀과정에서 모터(115)를 시간제한하지 않은채 역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스위치(14)에서의 최초의 H레벨의 출력신호를 즉시 원위치신호로 확정하여 그 시점에서 짧은 역회전시간으로 모터(15)의 역회전방향의 운전시간을 규제하고 그 역회전시간의 경과후 잠금해제 처리를 한다.
또 복귀과정에서 H레벨의 스위치 신호가 소정수이상 발생 하였을 때 컨트롤러(52)는 이상동작이라고 판단하여 필요한 동작을 실시한다.
실시예5는 제 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빙동작후의 출력축(20)의 역회전 즉, 복귀회전중에 저빙량에 관계없이 제 3규제부재(67)에 의하여 항상 만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검빙신호를 발생시키는 예이다.
제 3규제부재(67)는 출력축(20)에 대하여 회전자재하게 조합되어 있고 제1캠(21)의 제 2핀(70)에 대하여 제 3규제부재(67)의 제 2장공(69)에 의해 회전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출력축(20)이 정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 3규제부재(67)는 제 1변위허용부(29)를 개방상태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저빙량에 따라서 검빙신호가 발생하기도 하고 발생하지 않기도 한다.
한편, 출력축(20)이 역방향 즉 복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빙접시(2)가 반전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제 3규제부재(67)가 제 1변위허용부(29)를 막고 있기 때문에 검빙레버(12)의 변위저지부(50)가 스위치 작동레버(13)에서 떨어져 있다.
따라서, 스위치 작동레버(13)는 제 1변위허용부(29)에서 반드시 스위치(14)에서 떨러지는 방향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스위치(14)는 복귀과정에서 저빙량의 충족이나 부족상태에 관계없이 항상 검빙신호를 발생한다.
또 상기 실시예는 검빙레버(12)나 스위치 작동레버(13)를 회동형식의 것으로서 구성하고 있으나, 이들의변위는 직선방향의 변위라도 좋으며 따라서 기존의 직선안내기구등에 의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 스위치(14)는 홀소자 등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촉식의 것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작동레버(13)와 스위치(14)의 조합은 스위치의 형식에 의하여 적절히 변경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1개의 캠치차에 의하여 검빙레버의 검빙동작외에 제빙접시의 반전동작등이 동시병행적으로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움직임의 동기상태가 용이하게 설정될수 있고 더구나 검빙동작이나 이빙동작등의 동작상황이 하나의 스위치 작동레버 및 스위치에 의하여 검출될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부분의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고 종래의 것에 비교하여 외부신호에 의한 응동제어가 단순화될 수 있다.
또 제빙접시의 복귀과정에서, 검빙위치에서 검빙신호가 반드시 나오거나 또는 반드시 나오지 않도록 기계적으로 연구되어 있으므로, 검빙신호의 발생, 비발생에 대응하는 두 개의 제어가 불필요해지고, 제어프로그램의 간단화될수 있으며, 복귀 회전과정에서 타이머시간의 설정이 불필요해지고 최초의 H레벨의 스위치 신호 즉, 원점신호의 식별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수 있다.
또 컨트롤러(52)는 복귀과정에서, H레벨의 신호가 2회이상 발생하였을 때, 이상동작으로 판단하여 필요한 처리를 실시한다. 이와같이 출력축(20)의 왕복회전에 있어서 검빙위치에서 검빙동작이 기계적으로 행하여지고, 더구나 복귀방향의 모터(15)의 복귀방향의 회전시간을 하나의 스위치(14)로부터의 H레벨의 신호에 의하여 행하는 경우에, 검빙신호의 발생시 또는 검빙신호의 비발생시의 두 개의 모드에 대하여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52)측에서의 제어가 복잡해지고, 또 제어과정의 시간적인 할당도 곤란해진다.

Claims (3)

  1. 제빙접시를 제빙위치에서 검빙위치 및 이빙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회동시키는 제빙접시의 구동장치로서, 모터(15)와, 제1캠(21)과 제2캠(22) 및 제빙접시(2)의 구동부(4)를 일체로 갖는 캠치차(11)와, 상기 모터(15)의 회전을 감속하여 상기 캠치차(11)에 전달하는 전달수단(16)(17)(18)(19)과,제1캠(21)에 대응하여 변위하는 검빙부재(3)(10)(12)와, 제2캠(22)과 대응하여 변위하는 스위치 작동부재(13)와, 상기 스위치 작동부재(13)의 변위를 검출하는 스위치와(14), 검빙위치에 있어서 상기 검빙부재(3)(10)(12)를 변위시키는 제1캠(21)에 형성한 제 1변위허용부(29)와, 상기 제 1변위허용부(29)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작동부재(13)를 변위시키는 제2캠(22)에 형성한 제 3변위허용부(32)와, 이빙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작동부재(13)를 변위시키는 제2캠(22)에 형성한 제 4제의 변위허용부(33)와, 이빙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작동부재(13)를 변위시키는 제2캠(22)에 형성한 제 4의 변위허용부(33)와, 상기 스위치 작동부재(13)의 변위를 저지하는 상기 검빙부재(3)(10)(12)에 마련한 변위저지부(50)를 갖춘 제빙접시의 구동장치.
  2. 모터(15)에 의해 회전하는 캠치차(11)와, 상기 캠치차(11)에 의해 변위하는 검빙부재(3)(10)(12)와, 상기 캠치차(11)에 의해 변위하는 스위치 작동부재(13)를 갖고, 상기 캠치차(11)에 의해 제빙접시(2)를 제빙위치에서 검빙위치 및 이빙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회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검빙부재(3)(10)(12)를 검빙위치에서 변위시키고 상기 스위치 작동부재(13)를 제빙위치, 검빙위치 및 이빙위치에서 변위시키는 제빙접시의 구동장치(1)에 있어서, 상기 캠치차(11)가 이빙위치에서 제빙위치로 복귀회동할 때의 검빙위치에서의 검빙부재 혹은 스위치 작동부재의 변위를 규제하는 변위규제부(57)(64)(68)를 마련한 규제부재(56)(63)(67)를 갖추고, 상기 캠치차(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규제부재(56)(63)(67)와 상기 캠치차(11)와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엇갈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접시의 구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저지부(50)는 검빙부재(3)(10)(12)가 소정량 변위한 경우에 상기 스위치 작동부재(13)의 변위를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접시의 구동장치.
KR1019940003275A 1993-02-26 1994-02-24 제빙접시의 구동장치 KR0137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61378 1993-02-26
JP5061378A JP3071599B2 (ja) 1993-02-26 1993-02-26 製氷皿の駆動装置
JP2376293U JP2581811Y2 (ja) 1993-04-09 1993-04-09 製氷皿の駆動装置
JP93-23762 1993-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070A KR940020070A (ko) 1994-09-15
KR0137183B1 true KR0137183B1 (ko) 1998-07-01

Family

ID=26361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3275A KR0137183B1 (ko) 1993-02-26 1994-02-24 제빙접시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37183B1 (ko)
CN (1) CN107870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023B1 (ko) * 1998-10-21 2002-11-18 엘지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얼음취출구 개폐장치
KR100792069B1 (ko) * 2006-06-29 2008-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트레이 어셈블리
US8381535B2 (en) * 2009-07-01 2013-02-26 Hankscraft Inc. Control module for automatic ice makers
MX357171B (es) 2013-09-06 2018-06-28 Hankscraft Inc Sistema ahorrador de energía de productor de hielo y módulo de control.
JP6889637B2 (ja) * 2017-08-31 2021-06-1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製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700C (zh) 2002-01-30
CN1098495A (zh) 1995-02-08
KR940020070A (ko) 199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2125B1 (ko) 자동제빙기 및 자동제빙기의 얼음트레이 위치제어방법
KR0137183B1 (ko) 제빙접시의 구동장치
US8025320B2 (en) Latch device
US20080088137A1 (en) Latch device
KR20090034357A (ko)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KR100622495B1 (ko) 개인 아이디카드 시스템용 스티어링컬럼 록
KR100414727B1 (ko)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및 자동제빙기 및 냉장고
JP2012111354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3296967B2 (ja) 自動製氷機の駆動装置
US10523138B2 (en) Motor control device
KR100201487B1 (ko) 제빙접시 구동장치의 제어방법
JP3071599B2 (ja) 製氷皿の駆動装置
JP2581811Y2 (ja) 製氷皿の駆動装置
KR100414728B1 (ko)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JP3086649B2 (ja) 自動製氷機の駆動装置
JP2008045289A (ja) 開閉体制御装置
JP3133284B2 (ja) 製氷皿の駆動装置
KR100292961B1 (ko) 제빙접시의기준위치를검출하여제빙접시의구동을제어하는제빙접시제어장치
JP2005256465A (ja) 自動車用自動閉扉の制御装置
KR20050047959A (ko) 자동변속차량의 인터록 장치
KR200154463Y1 (ko) 차량변속레버제어식도난방지장치
JPH08313129A (ja) 自動製氷機の駆動装置
KR100428189B1 (ko) 차량의 시동제어 방법
JP2000088413A (ja) 製氷装置
KR910002335Y1 (ko) 캠레버를 이용한 타이밍기어 이탈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