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487B1 - 제빙접시 구동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제빙접시 구동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487B1
KR100201487B1 KR1019940004567A KR19940004567A KR100201487B1 KR 100201487 B1 KR100201487 B1 KR 100201487B1 KR 1019940004567 A KR1019940004567 A KR 1019940004567A KR 19940004567 A KR19940004567 A KR 19940004567A KR 100201487 B1 KR100201487 B1 KR 100201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ime
switch
mot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4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037A (ko
Inventor
가스노리 니시가와
신이찌 요시가와
히데오 사사끼
가쓰미 마쓰모도
Original Assignee
고구치 유죠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구치 유죠,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고구치 유죠
Publication of KR940022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4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접시의 복귀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빙접시(2)를 복귀시키기 위하여 모터(15)를 역전시키는 과정에서 통전상태 그대로 회전하지 않은 상태 즉 록상태를 길게 계속되지 않도록 하고 그 운전상태에 의한 모터(15)의 단수명화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구성은 만빙시의 검빙신호의 발생 후, 또는 이빙동작시의 이빙신호의 발생 후, 모터(15)를 시간제어하지 않은채 역전방향 즉 제빙접시(2)의 복귀방향으로 회전시켜가고, 그 후의 스위치(14)의 출력신호의 레벨변화와 컨트롤러(52) 속의 타이머시간의 종료상태와의 조합에 의해 1개의 스위치(14)의 출력신호의 발생위치를 검출하고, 이 위치로부터 모터(15)의 역전시간을 제한함으로써, 모터(15)의 록상태에서의 통전시간을 가급적으로 짧게 설정하고 있다.

Description

제빙접시의 구동장치의 제어방법
제1도는 제빙접시의 구동장치의 전체적인 평면도.
제2도는 제빙접시의 구동장치의 전체적인 측면도.
제3도는 제빙접시의 구동장치의 요부의 일부파단확대 배면도.
제4도는 캠치차 부분을 아래에서 본 확대수평단면도.
제5도는 검빙축의 구동부분의 확대단면도.
제6도는 캠치차의 제1캠 확대정면도.
제7도는 캠치차의 제2캠의 확대수평단면도.
제8도는 캠치차에 대응하는 스위치 작동레베 및 록 레버의 대응관계의 확대평면도.
제9도는 모터의 제어계의 블록선도.
제10도는 모터의 구동회로의 회로도.
제11도는 동작시의 타임챠트도.
제12도는 실시예1의 동작시의 타임챠트도.
제13도는 실시예1의 초기설정의 플로우 챠트도.
제14도는 실시예1의 잠금 해제 처리의 플로우 챠트도.
제15도는 실시예1의 기본동작의 플로우 챠트도.
제16도는 실시예2의 동작시의 타임 챠트도.
제17도는 실시예2의 기본동작의 플로우 챠트도.
제18도는 실시예2에서 사용하는 제2캠 확대 단면도.
제19도는 실시예3의 동작시의 타임 챠트도.
제20도는 실시예3의 동작시의 타임 챠트도.
제21도는 실시예3의 초기설정의 플로우 챠트도.
제22도는 실시예3의 기본동작의 플로우 챠트도.
제23도는 실시예3의 원위치 검출처리의 플로우챠트도.
제24도는 실시예4의 동작시의 타임챠트.
제25도는 제1캠 및 보조캠의 확대평면도.
제26도는 실시예4의 기본동작의 플로우 챠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동장치 2 : 제빙접시
3 : 검빙바 4 : 구동부
5 : 지지축 6 : 기틀
7 : 접촉편 8 : 좌측케이스
9 : 우측케이스 10 : 검빙축
11 : 캠치차 12 : 검빙레버
13 : 스위치작동레버 14 : 스위치
15 : 모터 16 : 워엄
17 : 워험휘일 18 : 제1기어
20 : 출력축 21 : 제1캠
22 : 제2캠 23 : 제1스톱퍼
24 : 돌기 25 : 록레버
26 : 스톱퍼받이 27 : 제2스톱퍼받이
28 : 캠을 따라 작동하는 축 29 : 제1변위허용부
30 : 캠을 따라 작동하는 부분 31 : 제2변위허용부
32 : 제3변위 허용부 33 : 제4변위 허용부
34 : 록 레버축 35 : 제1인장스프링
36 : 영구자석 37 : 프린트기관
38 : 제5변위 허용부 39 : 레버축
40 : 구멍 41 : 슬라이더
42 : 슬라이드가이드 43 : 스프링
44 : 슬라이더 스프링받이 45 : 검빙 레버 스프링받이
46 : 결합돌기 47 : 단부
48 : 결합핀 49 : 제2인장스프링
50 : 변위저지부 51 : 변위저지편
52 : 컨트롤러 53 : 구동회로
54 : 전원단자 55 : 제6변위허용부
60 : 보조캠 61 : 핀
62 : 장공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빙접시를 구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빙접시를 검빙(檢氷) 동작 후 또는 (離氷) 동작 후에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구동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1994. 2. 24일자로 제출한 선출원 특허출원 제94-3275호 특허출원에 의해 본 발명의 전제가 되는 제빙접시의 구동장치 를 출원하고 있으므로, 우선 그것을 상세히 설명하고 그 기술적 과제를 밝히고자 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제빙접시의 구동장치(1)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제빙접시의 구동장치(1)는 이빙동작시에 상향의 제빙접시(2)를 반전시킴과 동시에 검빙동작시에 검빙바(3)를 요동시키기 위하여 냉장고의 제빙실안에서 저빙(貯氷)용기 위에 장착되어 있다.
제빙접시(2)는 장방형의 상면개구형의 것으로 대향변의 한쪽에서 구동장치(1)의 구동부(4)에 연결되고 또 다른쪽에서 냉장고의 기틀(6)에 고정된 기지축(5)에 의해 반전 즉 회동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으며, 상향상태(즉 제빙위치)와 하향상태(즉 이빙위치)의 사이의 회동범위를 회동한다. 그리고 제빙접시(2)는 반전한 이빙위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기틀(6)에 고정된 접촉편(7)에 닿아 비틀어 변형함으로써 내부의 얼음을 이빙시켜서 아래쪽의 저빙용기에 낙하시킨다.
또 상기 검빙바(3)는 좌측 및 우측케이스(8)(9)의 측방위치에서 검빙축(10)에 부착되어 있고 수평위치에서 아래측으로 회동하여 얼음 저장(이하 저방이라 함)량을 검출한다. 즉 저빙용기내의 얼음에 접촉하여 소정각도 이내에서 회동이 정지한 경우에 얼음이 꽉 차 있을 때(이하 만빙(滿氷)이라 함) 상태를 검출하고 또 접촉되지 않게 되어 소정각도 이상 회동한 경우에 저빙량의 부족을 검출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최대 회동각도를 37°정도 만빙을 검출하는 소정 각도를 37°정도로 하고 있다.
다음에 제3도 내지 제8도는 좌측 및 우측케이스(8)(9)의 내부에 장착된 캠치차(11), 검빙레버(12), 스위치 작동레버(스위치 작동부재라고도 한다)(13) 및 스위치(14)의 구성 및 이들을 구동하는 직류모터(15) 등의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모터(15)는 제3도 외에,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케이스(8)의 내부에 프린트 기판(37)와 함께 고정되어 있으며, 그 회전은 감속용의 워엄(16), 워엄휘일(17), 제1 및 제2기어(18)(19)를 통하여 캠치차(11)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워엄(16), 워엄휘일(17), 제 1 및 제2기어(18)(19) 등에 의해 전달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캠치차(11)는 제4도나 제6도,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것과 일체의 출력축(20)에 의하여 좌측 및 우측케이스(8)(9)의 축받이 부분에 대하여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우측케이스(9) 외주의 윤곽에 의하여 제1캠(21)이 형성되고 또한 좌측케이스(8) 측으로 돌출하는 불연속한 원주상의 돌조에 의하여 제2캠(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치차(11)의 회전각도를 규제하기 위한 제1스톱퍼(23) 및 록레버(25)를 구동하기 위한 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출력측(20)의 일부는 좌측케이스(8)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여 돌출부분에서 타원형의 구동부(4)로 되어 있다.
제1스톱퍼(23)는 제6도와 같이 캠치차(11)의 역회전방향의 회전각도를 규제하기 위해 좌측케이스(8)에 형성된 스톱퍼받이(26)에 접촉하여 제빙접시(2) 외에 캠치차(11)나 출력축(20)의 회동범위의 제빙위치측을 규제하고 있다. 또 록레버(25)는 제4도와 같이 선단의 돌출부분에서 워엄(16)의 보스부분에 형성된 단부(47)와 접촉하여 이들의 접촉에 의해 모터(15)의 통전상태하에서도 모터(15) 및 워엄(16)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도면부호 27은 제2스톱퍼 받이이다.
그리고 상기 제1캠(21)은 제3도, 제6도와 같이 원호상의 윤곽부분에서 검빙레버(12)의 캠을 따라 작동하는 축(28)에 접촉하고 있고, 움푹한 부분에서 검빙레버(12)의 변위를 허용하는 제1변위허용부(29)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이 검빙위치이다. 또 제2캠(22)은 제7도와 같이 외주벽에서 스위치 작동 레버(13)의 캠을 따라 작동하는 부분(30)과 접촉하고 있는 불연속인 부분에서 스위치 작동레버(13)의 변위를 허용하는 제2, 제3, 제4변위허용부(31), (32), (33)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제2변위허용부(31)는 캠치차(11)의 표준원점위치 및 제빙위치와 대응하고 제3변위허용부(32)는 검빙위치에서 상기 제1변위허용부(29)와 대응하며 제4변위허용부(33)는 캠치차(11)의 회동범위의 일단의 이빙위치와 대응한다. 또한 캠치차(11)는 이빙위치를 회전의 마지막 시기로 하고 있다.
상기 스위치 작동레버(13) 및 록레버(25)는 제8도와 같이 함께 좌측케이스(8)와 일체의 록레버축(34)에 대하여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들의 사이에 마련된 제1인장스프링(35)에 의하여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스위치 작동레버(13)는 선단부분에서 예를들면 영구자석(36)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2캠(22)에 대응하여 이 영구자석(36)의 자속을 프린트기판(37)에 부착된 홀 IC 등의 스위치(14)에 대해 근접 및 이반시키도록 변위한다.
스위치(14)는 영구자석(36)에 근접하였을 때에 L 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고 멀어졌을 때에 H 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즉 스위치 작동레버는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작동 부재로서 기능한다.
검빙레버(12)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에서 좌측케이스(8)와 일체의 레버축(39)에 대하여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고, 구멍(40) 부분에서 출력축(20)과 간섭하지 않도록 교차하여 선단측의 부분에서 직접 또는 이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1)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검빙축(10)에 결합되어 있다. 즉, 슬라이더(41)는 검빙레버(12)에 형성된 슬라이드 가이드(4)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져 있고, 슬라이더 스프링받이(44)와 검빙레버 스프링받이(45)와의 사이의 스프링(43)을 통하여 일체화하여 있고, 선단에서 2개의 결합돌기(46)에 의하여 검빙축(10)과 일체의 결합편(48)과 결합되어 있다.
검빙축(10)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부분에서 좌측케이스(8)에 걸려있는 제2인장스프링(49)에 의하여 제5도에서 항상 시계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그 결과, 검빙바(3)는 제2도에서 항상 반시계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으며, 또 검빙레버(12)는 상기 제2인장스프링(49)에 의하여 제3도에서 항상 시계방향 즉 캠을 따라 작동하는 축(28)을 제1캠(21)의 윤곽에 접촉시키는 방향의 힘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이 검빙바(3), 검빙축(10) 및 검빙레버(12) 등에 의해 검빙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검빙레버(12)는 스위치 작동레버(13)와 대향하는 부분에 변위저지부(50)를 가지고 있고, 이 부분을 스위치 작동레버(13)의 일부 예를 들면 그것과 일체의 변위저지편(51)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스위치 작동레버(13)의 회동을 규제한다. 또한 상세하게는 뒤에 설명하지만 스위치 작동레버(13)의 회동은 검빙바(3)가 저빙량이 없거나 또는 그 양의 부족을 검출한 경우에 규제된다. 따라서 스위치 작동레버(13)는 원점위치, 검빙위치 및 이빙위치에서 제2캡(22)는 제2, 제3, 제4변위허용부(31)(32)(33)와 대응하고 있으므로 스위치(14)의 출력으로서 H레벨의 신호를 발생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변위저지부(50)에 의해 회동을 규제할 수 없는 경우에는 H 레벨의 신호를 발생하도록 변위한다.
다음에 제9도는 모터(15)의 제어계를 도시하고 있다. 컨트롤러(52)는 동작의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으며, 각종의 지령신호외에 스위치(14)로부터의 출력신호 등을 입력하여 구동회로(53)에 동작지령을 부여한다. 구동회로(53)는 검빙동작시 및 이빙동작시에 모터(15)를 필요로 한 토크로 정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 검빙동작 또는 이빙 후의 복귀 동작시에 정회전시의 전류보다도 작은 역방향의 전류를 보내고, 모터(15)를 작은 토크로 역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제10도는 구동회로(53)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구동회로(53)는 트랜지스터 구동방식의 것으로, DC12볼트의 전원단자(54)의 사이에 트랜지스터(Tr1) 모터(15) 및 트랜지스터(Tr4)를 직렬로 접속한과 동시에 마찬가지로 전원단자(54) 사이에 트랜지스터(Tr2), 저항기(R), 모터(15) 및 트랜지스터(Tr3)를 직렬로 접속하여 이들의 트랜지스터(Tr1), (Tr2), (Tr3), (Tr4)의 베이스, 커넥터 또는 베이스에미터나 제어용 입력단자 사이에 저항기(R1), (R2), (R3), (R4), (R5), (R6)를 접속하여 필요에 따라 써어지전류 흡수용의 다이오드(D1), (D2), (D3), (D4)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러(52)가 제어출력에 의하여 트랜지스터(Tr4)를 ON 시키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 전위가 내려가서 트랜지스터(Tr1)가 ON 상태로 되기 때문에 모터(15)는 정회전방향 즉 제빙위치 → 검빙위치 → 이빙위치의 방향으로 전환한다. 이 때 트랜지스터(Tr3)가 OFF 상태이므로 트랜지스터(Tr2)는 ON 상태로 되지 않는다.
또 컨트롤러(52)가 제어출력으로 트랜지스터(Tr3)를 ON 시키면 트랜지스터(Tr2)가 ON으로 되어 저항기(R)에서 분압되고, 전원전압보다도 낮은 전압이 모터(15)의 단자간에 가하여지므로, 모터(15)는 역회전하여 출력축(20)을 되돌릴 방향 즉 이빙위치 → 검빙위치 → 제빙위치 → 원점위치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저항기(R)의 개재에 의하여 역회전시의 모터(15)의 토크는 정회전시보다도 낮게 억제되어 있다.
다음, 제11도는 제빙접시 구동장치(1)의 일련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동작 프로그램에서의 주기적인 동작지령 또는 외부로부터의 강제적인 동작 지령에 의하여, 컨트롤러(52)는 구동회로(53)를 통하여 모터(15)를 필요한 토크로 정회전방향으로 구동하여, 캠치차(11)를 제3도, 제6도, 제7도, 제8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천천히 회전시킨다. 캠치차(11)가 170도 회전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약 10초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캠치차(11) 및 출력측(20)고 일체의 구동부(4)가 제3도 등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제빙접시는 천천히 반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와 동시에, 제1캠(21)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검빙레버(12)의 캠을 따라 작동하는 축(28)이 제2인장 스프링(49)의 탄력에 의하여 움푹한 즉 제1변위허용부(29)에 떨어지므로 검빙레버(12)는 제3도에서 레버축(39)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슬라이더(41)를 통하여 검빙축(10)을 제5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검빙축(10)의 회전은 검빙바(3)를 제2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저빙량이 없거나 그 양의 부족시에 검빙바(3)는 저빙 용기내에서 장해물이 없는 상태로 되어 최대동작각도 정도까지 회동한다. 이 때문에 검빙레버(12)는 검빙바(3)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제1변위허용부(29)의 깊은 위치까지 변위하고 제7도나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위저지부(50)를 변위저지편(51)에 접근하는 방향까지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검빙위치에 있어서 스위치 작동레버(13)의 회동이 저지된다.
그러나 저빙량의 충족시에는 검빙바(3)가 저빙용기내의 얼음에 닿아서 도중에서 정지하기 때문에 검빙축(1)은 얼음이 꽉 차 있는(이하 만빙(滿氷)이라 함) 검출 레벨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이 때 캠을 따라 작동하는 축(28)이 제1변위 허용부(29)에 떨어지지 않고 멋대로 뜨기 때문에 검빙레버(12)는 그것과 연동하여 변위저지부(50)를 변위저지편(51)에 접촉시키는 위치까지 변위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스위치 작동레버(13)가 제7도와 같이 검빙위치에 대응하는 제3변위 허용부(32)에 있어서도 회동가능하게 된다.
제1캠(21)은 캠치차(11)가 55도에서 85도까지 회전하는 범위에서 제1변위허용부(29)가 설정되어 있고 검빙레버(12)는 이 변위허용부에서는 상술한 저빙량에 따라 변위한다. 또한 제1변위허용부(29) 이외에서는 검빙레버(12)는 캠을 따라 작동하는 축(28)에 의하여 제1캠(21)의 원호상의 윤곽부분에 접하기 때문에 회동하기 않는 상태로 설정된다.
한편, 제2캠(22)은 -12도~11도의 범위의 제2변위허용부(31), 33도~47도의 범위의 제3변위 허용부(32), 170도~190도까지의 범위의 제4변위 허용부(3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제2, 제3, 제4변위허용부(31), (32), (33) 부분에 스위치 작동레버(13)의 캠을 따라 작동하는 부분(30)이 대응했을 때 검빙레버(12)의 변위저지부(50)가 저지되지 않는 한 스위치 작동레버(13)는 영구자석(36)을 스위치(14)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14)는 영구자석(36)에서 떨어져 있을 때에 H 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고 있으나, 영구자석(36)과 대향하여 그것에 접근하였을 때에, L 레벨의 출력신호로 변한다. 따라서 스위치(14)의 출력신호는 제2, 제3, 제4변위 허용부(31), (32), (33)와 대응하여 H레벨의 원위치 신호, 검빙신호 및 이빙 신호로서 컨트롤러(52)의 입력으로 되어있다.
컨트롤러(52)는 동작프로그램의 실행과정에서 동작지령을 받았을 때, 모터(15)를 정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출력발생을 계속한다. 이 정회전 방형의 운전중에 스위치(14)의 출력신호 L레벨에서 H레벨로 변화했을 때, 즉 검빙신호 또는 이빙신호가 발생했을 때 컨트롤러(52)는 스위치(14)의 출력신호에 의해 모터(15)를 역회전시킨다.
컨트롤러(52)는 모터(15)를 역회전시켜 출력측(20)을 -1도의 원점으로 되돌리고 그 후 일순간(극히 짧은 시간)만 예를 들면 0.2초만 정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킴(다음 이 조작을 일시정회전 이라함)에 따라 캠치차(11)를 제빙위치로 되돌린다. 이 조작은 잠금해제처리이고 캠치차(11)의 제1스톱처(23)를 스톱퍼받이(26)에 확실히 대고 기계적으로 위치 결정을 하므로서 짧은 0.2초의 시간에 대응하는 모터(15)의 정회전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계의 응력 즉 구동력의 작용상태를 없애고 되돌리는 동작을 종려시키기 위하여 설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저빙량이 부족한 경우 즉 검빙동작에 의하여 검빙레버(12)가 크게 변위하여 그 변위저지부(50)가 스위치 작동레버(13)의 변위저지편(51)에 접근하고 있는 경우의 작동을 설명한다. 우성 정회전방향 회전의 초기에는 스위치 작동레버(13)가 원위치에 대응하는 제2변위허용부(31)에 의하여 변위하고, 스위치(14)의 출력신호는 H레벨의 출력신호 위치신호이다. 모터(15)가 구동되면 이 출력신호는 스위치 작동레버(13)는 다음 제3변위허용부(32)에 떨어지려고 한다.
그러나 스위치 작동레버(13)의 변위저지편(51)이 변위상태의 검빙레버(12)의 변위저지부(50)에 닿아 있으므로 스위치 작동레버(13)는 제3변위허용부(32)에 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저빙량의 부족시에 스위치(14)는 출력신호는 L레벨 그대로이고, H레벨의 검빙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컨트롤러(52)는 H 레벨의 출력신호로서 이빙 신호를 얻을 때까지 모터(15)를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캠치차(11)를 170도 정도의 이빙위치까지 회전시킨다. 이로 인하여 제빙접시(2)는 반전하고 완전히 반전하기 직전에 즉 회전범위의 일단에서 접촉편(7)에 닿는 것에 의하여 비틀리게 변형되어 내부의 얼음을 이빙시키고 저빙용기내에 낙하시킨다.
캠치차(11)가 이빙위치까지 회전하면 스위치 작동레버(13)가 제4변위허용부(33)에 떨어져 들어가 스위치(14)의 출력신호가 L 레벨에서 H 레벨로 변화하고, 이빙신호가 얻어진다. 이 시점에서 컴트롤러(52)는 모터(15)를 역회전시키면서 타이머시간 예를 들면 16초 정도의 시간경과 후 스위치(14)의 최초의 H레벨의 출력신호로서 원위치신호를 확인하고 나서 다시 역회전 시간 1.5초 정도만 모터(15)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캠치차(11)를 -1도(度의)의 원점으로 되돌리고, 캠치차(11)의 제1스톱퍼(23)를 스톱퍼받이(26)에 대고 정지시킨다. 마지막으로 일시정회전에 의한 잠금해제 처리에 의해 0도의 제빙위치까지 정회(正回)하여 구동계의 응력을 해소시킨다.
여기서 상기 타이머시간은 이빙 후의 역회전 과정 즉 복귀과정에서 검빙신호의 발생시에 당해 검빙신호를 무시하기 위하여 설정되어 있다. 즉 이빙 동작에 의하여 얼음이 저빙용기에 보충되었다 하더라고 저빙량이 아직 소정량에 달하지 않았을 때 복귀과정의 검빙동작으로도 검빙레버(12)가 제1캠(21)의 제1변위 허용부(29)로 정확히 따라가지 않고 변위저지부(50)가 변위저지편(51)에 닿는 위치까지 이동하지 않으므로, 스위치 작동레버(13)는 제7도에서 제3변위허용부(32)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결과 제빙접시(2)의 복귀과정에서도 스위치(14)는 H 레벨의 검빙신호를 발생할 경우가 있다. 상기 타이머시간은 반환동작으로 검빙신호의 발생시에 대비하여 그것을 무시하기 위하여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52)는 제빙접시(2)의 원상태의 복귀과정에서 타이머시간에 걸쳐서 모터(15)를 계속적으로 역회전시킨 후, 그 타이머 시간 경과 후, 스위치(14)로부터의 최초의 H 레벨의 신호 즉, 원위치신호를 입력한 시점에서 일정한 역회전시간만큼 모터를 역회전시켜 캠치차(11)를 -1도의 원점위치로 되돌리고, 캠치차(11)의 제1스톱퍼(23)를 스톱퍼받이(26)에 대고 정지시켜 다음의 일시정회전에 의한 잠금해제처리를 함으로써 0도의 제빙위치까지 정회하고 구동계의 응력을 해소시킨다.
이 역회전시에 모터(15)에 저항기(R)로 제한된 전류가 통하기 때문에, 모터(15)의 출력토크는 정회전시에 비교하여 1/2에서 1/4정도로 낮게 억제 되어있다. 이로 인하여 정회전시보다 가벼운 복귀동작이 확보될 수 있으며, 필요 이상의 힘이 작용하지 않고 구동계가 보호된다.
다음 검빙동작의 시점에서 저빙량이 충만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는 검빙바(3)의 회전량이 얼음에 대한 검빙바(3)의 접촉에 의하여 적어지므로, 이것과 연동하여 검빙레버(12)는 만빙검출레벨의 범위내에 있어서, 제1변위허용부(29)에 거의 떨어지지 않고 변위저지부(50)를 스위치 작동레버(13)의 변위저지편(51)에 닿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있지 않다.
따라서 캠치차(11)의 33도~47도까지의 회전범위 즉 검빙위치에서 스위치 작동레버(13)의 캠을 따라 작동하는 부분(30)이 제3변위허용부(32)에 떨어져 들어가 영구자석(36)을 스위치(14)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 변화시킨다. 이로 인하여 스위치(14)는 H레벨의 검빙신호를 출력하여 만빙상태인 것을 컨트롤러(52)에 알린다.
그래서 컨트롤러(52)는 스위치(14)의 L 레벨에서 H 레벨로의 신호변화를 검출하여 즉, 만빙 상태에 대응하는 검빙신호를 얻어 모터(15)를 소정의 역회전시간 예를 들면 16초 정도만 역회전시키고 캠치차(11)를 제1스톱퍼(23)와 스톱퍼받이(26)와의 접촉관계에 의하여 정지시키며, 그 후 일시정회전에 의한 잠금 해제 처리를 행하여 0도의 제빙위치로 되돌린다.
이때 캠치차(11)의 복귀에 필요한 회전각도는 역회전방향으로 34도 정도이고 상기 이빙동작시의 170도 정도보다도 충분히 작아서 좋다. 따라서 모터(15)에 대한 통전 그대로의 상태로 모터(15)의 회전정지상태 즉 잠금상태가 역회전시간의 대부분에 걸쳐서 계속하게 되지만, 역회전시의 전류가 저항기(R)에 의하여 낮게 억제되어 있으므로 구동계에 악영향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또 검빙레버(12)의 동작이 슬라이더(41) 및 스프링(43)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검빙축(10)에 전달되도록 안전기구가 부가되어 있다. 따라서 검빙바(3)에 외력이 가해져서 검빙축(10)이 역구동상태로 회동하였다 하더라도 그 힘이 슬라이더(4)의 변위에 따른 스프링(43)의 휘어짐에 의해 흡수된다. 이 때문에 검빙레버(12)에 전달되지 않고 그것에 의해 검빙레버(12)나 이에 관련되는 기어 등의 파괴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캠치차(11)가 정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과정에서 이상(異常)으로 인해 170도 이상이나 돌고 멈추지 않는다 하더라도 180도인 곳에서 캠치차(11)의 돌기(24)가 록레버(25)에 닿아 그것을 제8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돌리기 위해 록레버(25)는 그 선단부분을 제4도와 같이 워엄(16)의 단부(47)에 대고 통전상태 그대로 모터(15)를 강제적으로 정지시켜 잠금상태로 한다. 따라서, 캠치차(11)는 180도 이상 돌지 않으며, 이에 관련하는 제빙접시(2)나 내부의 부품은 큰 힘을 받아 파괴되는 경우도 없다. 또 워엄 휘일(17)은 고속회전하고 있고 토크가 작아 록레버(25)와 단부(47)와의 결합에 의해 비교적 작은 힘으로 강제적으로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선행기술의 것에서는 모터(15)의 역전시간이 16초로 설정되어 있으며, 아울러 그 역전시간은 이빙동작의 복귀동작의 경우와 검빙동작 후의 복귀 동작의 경우의 어느것이나 같은 긴 시간(16초)으로 주어져 있다. 직류의 모터(15)의 회전속도 특성의 불균일함이나 구동전압의 변동 등을 고려하면, 이 역전시간은 복귀동작의 확실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여유를 갖고 크게 설정되어야 한다. 역전시간이 크게 설정되면, 검빙시점에서 역전하였을 때 캠치차(11)가 역전에 의해 원점으로 복귀한 후, 모터(15)가 통전상태 그대로 회전하지 않는 잠금 상태가 길게 계속되며, 또 이빙 후의 원점으로의 복귀의 경우에서도 여유를 갖고 시간 모터에 통전하게 되므로 잠금상태의 시간이 길에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빙접시를 복귀시키기 위하여 모터를 역전시키는 과정에서 통전상태이나 회전하지 않는 상태 즉 잠금상태를 오래 계속되지 않도록 하여, 그 운전상태에 의한 모터의 수명단축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상기 목적하에, 본 발명은 만빙시의 검빙신호의 발생 후 또는 이빙동작시의 이빙신호의 발생 후 모터(15)를 시간제어하지 않은 상태로 역전방향 즉 제빙접시(2)의 복귀방향으로 회전시켜가고, 그후 스위치(14)의 출력신호의 레벨 변화와 컨트롤러(52) 중의 타이머 시간의 종료상태와의 조합에 의해 1개의 스위치(14)의 출력신호의 발생위치를 검출하고, 이 위치에서 모터(15)의 역전시간을 제한하는 것에 의해 모터(15)의 잠금상태에서의 통전시간을 가급적으로 짧게 설정하고 있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출력측(20)의 역전과정에서, 스위치(14)의 출력신호 레벨이 최초로 L 레벨에서 H레벨로 변화하기까지 시간제한하지 않은채 역전시키고 그 신호레벨이 변화하였을 때 즉 이빙에 의해 저빙량이 충만되어 있으며, 검빙신호가 나왔을 때 또는 이빙에 관계없이 저빙량이 아직 부족상태이거나 혹은 검빙시점에서 만빙상태이면, 원위치 신호가 나왔을 때 그 발생시점에서 필요한 타이머 시간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캠치차(11)의 제1스톱퍼(23)를 스톱퍼받이(26)에 접촉시키고, 출력축(20)을 정지시키는 예이다.
제12도는 이 실시예1에서의 스위치(14)로서의 홀 IC의 출력신호 즉 원위치신호, 검빙신호 및 이빙신호의 발생위치와 타이머시간 과의 시간적인 대응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 타이머시간 등은 각 구간의 회전에 필요한 시간과 대응하고 있다. 또 제13도, 제14도 및 제15도는 각각 컨트롤러(52)의 제어내용 즉 초기설정 플로우챠트, 잠금해제 처리 플로우챠트, 기본동작 플로우챠트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제13도의 초기설정 플로우챠트는 출력축(20)을 회전각도 0도의 제빙위치에 설정하기 위하여 초기의 사용단계에서 행해진다. 이 때문에 회전방향은 반시계(CCW) 방향으로만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제빙접시(2)에 물이 들어 왔을 때, 그 물 그대로의 상태로 저빙용기에 공급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최초의 스텝 1에서, 전원 ON 상태로 설정되고, 초기설정의 플로우챠트가 개시되고, 다음의 스텝 2에서 모터(1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출력축(2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다음의 스텝3에서 스위치 ON 즉 스위치(14)가 ON 상태로 되고, 스텝 4에서 타이머시간 . + α(여유) 시간의 설정이 된다. 여기에서, 조건으로서 하기의 대소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타이머시간 . + α .
타이머시간 . + α .
스텝 5에서, 타이머 종료전에 스위치(14)가 ON 상태로 되었을 때, 스텝3에서의 스위치 ON 이 검빙신호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스텝 4,5 가 반복된다. 그러나 스텝 5에서 스위치 ON 상태로 되지 않은채, 스텝6에서 타이머시간 . + α 시간이 경과하여, 타이머 종료로 되었을 때, 스텝 3의 스위치 ON이 원위치 신호에 의한 것이 확인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52)는 스텝7에서 1초간의 정지시간을 둔 후, 스텝 8에서 잠금해제의 처리를 행하고, 다음의 스텝 9에서 초기설정의 플로우챠트를 종료한다.
제14도는 상기 스텝8의 잠금해제 처리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잠금해제 처리는 출력축(20)을 -1도의 원점위치에서 0도의 제빙위치로 복귀하는 것에 의해, 구동계의 응력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스텝1에서 잠금해제 처리를 개시한 후, 스텝2에서 모터(15)를 정전(CW)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것과 동시에 스텝3에서 타이머에 0.2초의 역전시간을 설정하고, 다음의 스텝4에서 타이머시간의 종료를 확인하여, 스텝5에서 모터(15)를 정지시키고, 스텝6에 이르러 플로우챠트를 종료한다. 이것에 의하여 출력축(20)은 0도의 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제빙접시(2)는 수평한 상태로 된다.
다음에, 제15도는 기본동작의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스텝1의 제빙완료 후 또는 대기종료 상태에서 일정한 주기시간의 경과 후 또는 외부에서의 강제지령에 의거하여, 스텝2에서 모터(15)가 정전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텝3에서 스위치(14) OFF의 확인에 의해 원위치 신호의 오르내림이 확인되고, 계속해서 스텝4에서 검빙신호의 검출을 위하여, 타이머시간++ α 시간이 설정된다.
시텝5에서, 스위치(14)가 ON 하지 않은 중에, 스텝6에서 타이머시간의 경과가 확인된다면, 이 타이머 시간중에 검빙신호가 나온것, 즉 저빙량 부족의 상태가 확인되기 때문에, 모터(15)는 정전방향의 회전을 계속함으로써 이빙동작을 행한다.
계속해서 스텝 7에서 스위치(14)가 OFF로 된다면, 즉 이빙신호가 발생한다면, 다음 스텝8에서 모터(15)를 1초간 만큼 정지시킨 후, 스텝9에서 출력축(20)을 복귀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스텝 10의 스위치 OFF에 의한 이빙신호의 오르내림을 확인하고, 이어서, 스텝11에서 스위치 ON에 의해 검빙신호 또는 원위치 신호의 오르내림 위치를 확인한다. 이 스텝11의 시점에서는 스위치 ON 상태가 검빙신호에 의한 것이나 원위치 신호에 의한 특정은 할 수 없다.
그리고, 스텝12에서 어느신호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검빙신호의 발생한 시점에서 -1도의 원위치로 복귀하기까지 필요한 타이머시간시간의 설정이 되고, 다음 스텝 13에서 타이머 종료가 확인된 시점에서, 출력축(20)은 반드시 원점위치까지 회전하고 있다. 또 스텝10의 스위치 ON이 원위치 신호에 의한 것일 때, 타이머 시간시간만큼 여분으로 시간을 설정한 것으로 되기 때문에 이 시간에 상당하는 분만큼 모터(15)는 통전상태 그대로 잠금 상태에 있게 된다. 계속해서 스텝 14에서 1초간의 정지후, 스텝 15에서 전술한 잠금 해제 처리가 행해진 후, 스텝 16에서 제빙접시(2)에 급수동작이 행해지고, 이어서 스텝 17에서 동작종료가 된다.
전술한 스텝5에서 타이머시간시간의 경과전에 스위치(14)가 ON으로 되었을 때, 만빙상태인 것이 확인될 수 있기 때문에, 스텝 18에서 모터(15)의 1초간의 정지 후, 스텝 19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텝20에서의 검빙신호에 의한 스위치 OFF, 스텝21에서의 원위치 신호에 의한 스위치ON을 확인하고, 이어서 스텝22에서 타이머시간시간의 설정이 되며, 스텝 23에서 타이머시간시간의 종료를 확인하고, 스텝24에서의 1초간의 정지, 스텝 25에서의 잠금해제 처리를 거쳐 스텝 25의 대기상태로 되며, 이후의 검빙동작 또는 이빙동작에 대비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출력축(20)의 소정시간에 대응하는 회전각도가 47에서 -1도까지의 최대 48도 정도이면 충분하기 때문에, 그것에 필요한 소정의 역전시간(타이머시간시간)도 여유를 갖게 하여도 5초 정도로 족하다. 따라서 모터(15)가 통전상태에서 설정된 상태대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 시간을 짧게할 수도 있고, 통전정지의 잠금상태라는 쓸데없는 동작이 단축될 수 있다.
[실시예2]
이 실시예2는 제2캠(22)과 스위치(14)에 의하여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빙신호와 이빙신호 사이에서 식별신호를 강제적으로 발생시키는 예이다.
제17도는 제2캠(22)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3변위허용부(32)와 제4변위 허용부(33) 사이에서, 70-84도의 범위에 걸쳐서 제5변위허용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5변위허용부(38)에 스위치 작동레버(13)의 캠을 따라 작동하는 부분(30)이 떨어지는 것에 의해 스위치(14)로서의 홀 IC는 ON 상태로 되어 H 레벨의 식별신호를 발생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도, 실시예1과 동일한 초기설정 플로우 챠트 및 잠금해제 처리 플로우챠트가 이용된다. 여기에서 다음 조건이 설정되어 있다.
제18도는 기본동작의 플로우챠트를 나타내고 있다. 스텝1의 제빙완료 후 또는 대기종료 상태에서 일정한 주기시간의 경과 후 또는 외부로부터의 강제 지령에 의거하여 스텝2에서 모터(15)가 정전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텝3에서 스위치(14)의 OFF의 확인에 의해 원위치신호의 오르내림이 확인되고, 계속해서 스텝4에서 검빙신호의 검출을 위하여, 타이머시간시간의 설정이 이루어진다. 스텝5에서 스위치(14)가 ON하지 않은 중에, 스텝6에서 타이머시간의 경과가 확인되면, 이 타이머시간중에 검빙신호가 나오는 것, 즉 저빙량 부족의 상태가 확인되기 때문에 모터(15)는 정전방향의 회전을 계속한다. 이어서 스텝7에서의 스위치(14)의 ON, 스텝8에서의 스위치(14)의 OFF에 의해 식별신호의 존재를 확인하고, 다음의 스텝9에서 스위치(14)가 ON으로 된다면, 즉 이빙신호가 발생한다면, 이빙동작이 완료한 것으로 되므로, 다음의 스텝10에서 모터(15)를 1초간 만큼 정지시킨 후, 스템11에서 모터(15)의 회전방향을 변환방향을 변환하여 출력축(20)을 복귀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스텝12의 스위치 OFF에 의한 이빙신호의 오르내림을 확인하고, 다음 스텝 13의 스위치 ON, 스텝14의 스위치 OFF에 의해 식별신호를 무효로 하여 넘어가므로, 스텝15에서 검빙신호의 넘어감을 위하여 타이머시간시간이 설정된다. 이 타이머시간시간의 설정에 의해 모터 (15)는 출력축(20)을 원위치신호의 발생각도 부근까지 복귀하고자, 이 타이머 시간시간 중의 검빙신호의 발생을 무시하여 간다. 스텝16에서 타이머시간시간의 경과 후, 계속해서 스텝 17의 스위치 ON에 의하여 원위치 신호의 오르내림 위치가 검출된다. 이후의 스텝18에서 원점 위치까지 복귀하기에 필요한 타이머시간시간이 설정된다.
다음 스텝19에서 타이머 종료가 확인된 시점에서, 출력축(20)은 반드시 원점위치까지 회전하고 있다. 계속해서 스텝20에서 1초간 정지 후, 스텝21에서 전술한 잠금해제 처리가 행해진 후, 스텝 22에서 제빙접시(2)에 급수동작이 행해지고, 계속해서 스텝23에서 동작종료로 된다.
전술한 스텝5에서 타이머시간시간의 경과전에 스위치(14)가 ON 되었을 때, 만빙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스텝 24에서 모터(15)의 1초간의 정지 후, 스텝25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텝26에서의 검빙신호에 의한 스위치(14)의 OFF, 스텝 27에서의 원위치 신호에 의한 스위치 ON을 확인하고, 계속에서 스텝 28에서 타이머시간시간의 종료를 확인하고, 스텝 30에서의 1초간 정지, 스텝 31에서의 잠금해제 처리를 거쳐 스텝 32의 대기상태로 되어, 이후의 검빙동작 또는 만빙동작에 대비한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52)는 복귀회전 중에 식별변호를 검출하고 나면, 타이머시간시간을 설정하고, 이 타이머시간의 경과 후, 최초의 출력 신호의 발생변화에 의해 원위치 신호를 검출하고, 이 검출시점에서 타이머시간시간 예를 들면 1.5초 후에 모터(15)를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와 같이, 캠치차(11) 및 출력축(20)은 확실하게 원위치로 복귀하며, 제1스톱퍼(23)과 스톱퍼받이(26)의 접촉상태에서의 모터(15)의 통전시간을 최소한도 예를 들면 1초 이하로 억제한다.
[실시예3]
이 실시예3은 제19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 신호와 검빙신호 사이에서 짧은 시간폭의 식별신호를 발생시키는 예이다.
여기에서 하기의 조건이 설정된다.
제20도는 그것을 위한 제2캠(22)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제2캠(22)은 식별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제2변위허용부(31)와 제3변위하용부(32) 사이에서 제6변위 허용부(55)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 제21도는 이 실시예3에서 초기설정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스텝1의 전원 ON에 의한 프로그램 개시 후, 스텝2에서 모터(15) 및 출력축(20)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텝3에서 스위치(14)의 ON 상태의 확인에 의해 이빙신호, 검빙신호, 식별신호 또는 원위치신호의 존재위치가 확인되지만, 이들 신호의 어느것인가가 아직 특정되어 있지 않다.
계속해서 스텝4에서 타이머1에 의해 타이머시간시간이 설정되고, 또 타이머2에 의해 타이머시간시간이 설정된다. 스텝5에서 타이머 1또는 타이머2의 타이머시간이 종료하기전에 스우치(14)가 OFF 상태로 된다면, 출력측(20)의 회전개시 위치가 이빙신호, 검빙신호 또는 식별신호의 오르내림 정도의 추정되기 때문에, 다음의 스텝6에서 그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타이머시간시간이 설정되고, 스텝7에서 이 타이머시간의 경과전에, 계속해서 스탭8에서 스위치(14)가 ON으로 되는 것을 확임함으로써 스텝 3, 5에서의 스위치 ON, OFF가 식별신호에 의한 것으로 특정할 수 있다.
그러나, 스텝7에서 스위치(14)의 ON 전에 타이머시간이 종료하였을 때 스텝3으로 복귀하며, 식별신호를 특정하기 위하여 이상의 스텝이 반복된다. 식별신호가 특정되면, 계속해서 스텝9에서 타이머시간시간이 설정되고, 스텝10에서 그 타이머시간의 종료를 확인하며, 스텝11에서 1초간의 정지 후, 스텝12의 잠금해제 처리를 행하여, 스텝13에서 초기설정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5에서 스위치가 OFF로 되지 않은 채, 스위치(14)에 있어서 타이머1의 타이머시간이 종료하고, 스텝15의 스위치(14)가 OFF 되었을 때, 스텝3으로 복귀하기 전에 2번 이상의 스텝이 반복된다. 계속해서 스텝16에서도 타이머2의 타이머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출력축은 원위치에 있으면 예측가능하나, 확인할 필요가 없다. 또 이때, 제빙접시(2)에 물이 채워져 있지 않고, 제빙접시(2)에 물이 들어가고 있는 것이 예측된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17에서 제빙동작에 필요한 시간만큼 모터(15)의 회전동작이 정지하고, 제빙접시(2)속의 물이 얼음으로 되는 것이 기다린다. 이것에 의해, 이후에 계속해서 출력축(20)의 정전방향의 회전과정에서, 제빙접시(2)의 내부의 물이 얼음으로 되어있지 않은 상태로 검빙 동작 및 이빙동작이 행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스텝17에서의 제빙시간에 필요한 시간이 경과한다면, 모터(1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비해, 원위치 신호의 발생부근에서의 출력축(20)을 1회약간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확실하게 원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스텝을 행한다. 즉, 스텝18에서 스위치(14)의 OFF를 확인하고, 계속해서 스텝19에서 스위치(14)의 ON, 스텝 20에서 스위치(14)의 OFF의 확인을 행하는 것에 의해 출력축(20)의 회전위치를 식별신호와 검빙신호 사이 부근에 설정하고, 스텝21에서의 1초간의 정지 후, 다시 스텝2로 복귀하여 초기설정의 동작을 반복한다. 이상의 초기설정의 동작에 의해, 출력축(20)은 제빙위치에 설정된다.
다음에 제22도는 기본동작의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스텝1의 제빙완료상태 또는 대기종료 상태로부터 검빙, 이빙동작을 위하여 스텝2에서 모터(1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계속해서 스텝3에서 스위치(14)의 OFF에 의해 원위치신호의 오르내림을 확인하고, 계속해서 스텝4, 5에서 스위치(14)의 ON, OFF에 의해 식별신호를 넘어가서 무효로 하고, 넘어간 시점의 스텝6에서 타이머시간시간의 설정이 행해진다.
스텝7에서 스위치(14)가 ON으로 되지 않은 채, 스텝8에서 타이머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저빙량이 부족하고 있으므로, 출력축은 제빙접시(2)를 반전하여 이빙동작으로 들어간다. 다음의 스텝9에서 스위치(14)의 ON 상태로부터 이빙신호를 확인하고, 스텝10에서 1초간의 정지후, 스텝11에서의 원위치 검출처리 스텝12에서의 급수동작을 행하여 스텝13에서 일련의 동작을 종료한다. 이 타이머시간시간이 종료하기 전의 스텝7의, 스위치(14)가 ON 상태로 되었을 때, 계속해서 스텝14에서 원위치 검출처리를 행한 후, 스텝15에서 급수동작을 행하여 스텝16에서 대기상태로 들어간다.
다음에 제23도는 원위치 검출처리의 동작의 일련의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스텝1의 개시 후, 스텝2의 모터(15) 및 출력축(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텝3에서의 스위치(14)의 OFF 후에, 스텝4에서 스위치(14)의 ON 상태의 확인에 의해 이빙신호, 검빙신호, 식별신호 또는 원위치신호의 존재 위치가 확인되지만, 이들 신호의 어느것인가가 아직 특정되어 있지 않다. 계속해서 스텝5에서, 타이머1에 의해 타이머시간시간이 설정된다. 스텝6에서 타이머1 또는 타이머2의타이머시간시간이 설정되고, 또 타이머2에 의해 타이머시간이 종료하기 전에 스위치(14)가 OFF 상태로 된다면, 출력축(20)의 회전개시 위치가 이빙신호, 검빙신호 또는 식별신호의 오르내림 정도로 추정되기 때문에, 다음의 스텝7에서 그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타이머시간시간이 설정되고, 스텝8에서 이 타이머시간의 경과전에, 계속해서 스텝9에서 스우치(14)가 ON으로 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스텝4, 6에서의 스위치 ON, OFF가 식별신호나 짧은 시간폭의 이상신호에 의한 것으로 특정할 수 있다.
그러나 스텝8에서 스위치(14)의 ON 전에 타이머시간이 종료하였을 때 스텝4으로 복귀하고, 식별신호를 특정하기 위하여 이상의 스텝이 반복된다. 식별신호가 특정된다면, 계속해서 스텝10에서 타이머시간시간이 설정되고, 계속해서 스텝11에서 그 타이머시간의 종료를 확인하고, 스텝12에서 1초간의 정지 후, 스텝13의 잠금해제 처리를 행하여, 스텝14에서 초기설정의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6에서 스위치(14)가 OFF로 되지 않은채, 스텝15에 있어서 타이머1의 타이머시간이 종료하고, 스텝16에서 스위치(14)가 OFF로 되었을 때에도 스텝4의 복귀전에 두 번 이상의 스텝이 반복된다. 계속해서 스텝17에서도 타이머2의 타이머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며 스텝18에서 모터를 정지한다. 스텝19에서 이상식별 처리를 행한 후, 스텝20에서 원위치 검출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 식별 신호에 의해 확실하게 원위치가 식별될 수 있으므로, 잠금상태는 짧게 할 수 있다.
[실시예4]
이 실시예4는 이빙동작 후의 출력축(20)의 역회전 즉 복귀회전중에 저빙량의 과부족에 관계없이 항상 만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검빙신호를 발생시키는 예이다. 이 때문에 제 24도에서 검빙신호는 파선이 아니라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25도는 이 실시예의 제1캠(21)과 보조캠(6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1캠(21)은 상기 실시예1의 것과 동일한 구성이다. 그리고 보조캠(60)은 출력축(20)에 대하여 회전자재하게 조합되어 있으며, 제1캠(21)의 핀(61)에 대하여 보도캠(60)의 장공(62)에 의해 회전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출력축(20)이 정전방향으로 회전할 때, 보조캠(60)은 제1변위허용부(29)를 개방상태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게 저빙량에 따라서 검빙신호가 발생하기도 하고 발생하지 않기도 한다.
한편 출력축(20)이 역방향 즉 복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빙접시(2)가 반전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보조캠(60)이 제1변위허용부(29)를 막고 있으므로, 검빙레버(12)의 변위저지부(50)가 스위치 작동레버(13)에서 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스위치 작동레버(13)는 제1변위허용부(29)에서 반드시 스위치(!4)에서 떨어진 방향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스위치(14)는 복귀과정에서 저빙량의 충족, 불충족에 관계없이 항상 검빙신호를 발생한다.
제26도는 기본동작의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도 초기설정 및 잠금해제 처리의 플로우챠트는 상기 실시예1의 것과 동일하게 행해진다. 스텝1의 제빙완료 후 또는 대기 종료 상태에서 일정한 주기시간의 경과 후 또는 외부로부터의 강제지령에 의거하여, 스텝2에서 모터(15)가 정전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텝3의 스위치(14)의 OFF 확인에 의해 원위치 신호의 오르내림이 확인되고, 계속해서 스텝4에서 검빙신호의 검출을 위하여 타이머시간시간이 설정된다.
스텝5에서 스위치(14)가 ON 하지 않은 중에, 스텝6에서 타이머시간의 경과가 확인된다면, 이 타이머시간 중에 검빙신호가 나오는 것, 즉 저빙량 부족의 상태가 확인되기 때문에, 모터(15)가 정전방향의 회전을 계속함으로써 이빙동작이 행해진다.
계속해서 스텝7에서 스위치(14)가 ON되면 즉 이빙신호가 발생하면, 다음의 스텝8에서 모터(14)를 1초간 정지시킨 후, 스텝9에서 출력축(20)을 복귀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스텝10의 스위치 OFFDP 의한 이빙신호의 오르내림을 확인하고, 계속해서 스텝11의 스위치 ON, 스텝12의 스위치 OFF에 의해 검빙신호를 확인한다.
계속해서 스텝13의 스위치 ON으로부터 원위치 신호가 확인된다. 다음의 스텝14에서 타이머시간시간이 설정되고, 스텝15에서의 스위치(14)의 OFF 상태로 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하는 스텝16에서의 타이머시간의 종료에 의하여 원위치로의 복귀를 확인한다. 이후의 스텝17에서 1초간의 정지 스텝18에서의 잠금해제처리, 스텝19에서의 급수동작을 거쳐, 스텝20에서 일련의 동작을 종료한다.
전술한 스텝5에서 타이머시간시간의 경과전에 스위치(14)가 ON 되었을 때, 만빙상태인 것이 확인될 수 있기 때문에, 스텝21에서 모터(15)의 1초간의 정지 후 스텝2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텝 23에서의 검빙신호에 의한 스위치의 OFF, 스텝 24에서의 원위치 신호에 의한 스위치 ON을 확인하여, 계속해서 스텝25에서 타이머시간시간이 설정되고, 스텝26에서의 스위치 OFF가 아닐때에, 스텝27에서 타이머시간시간의 종료를 확인하고, 스텝28에서의 1초간의 정지, 스텝29에서의 잠금해제 처리를 거쳐 스텝30의 대기상태로 되어, 이후의 검빙동작 또는 이빙동작에 대비한다.
기본적인 동작은 실시예1로 충분하나, 예상외의 상태 예를 들면 도중에서 가동부분이 무엇에 접촉하거나 혹은 가동부분에 물체가 걸리기도 하여, 출력축(20)이 잠겨지거나, 잠금상태인 방향으로 그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되기도 하는 것으로의 대응을 없게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실시예2나 실시예3 또는 실시예4가 이용된다.
또 상기 실시예4는 검빙레버(12)나 스위치 작동레버(13)을 회동형식의 것으로 하여 구성하고 있으나, 이들의 변위는 직선방향의 변위여도 좋으며, 따라서 기존의 직선안내기구 등에 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스위치(14)는 홀 소자 등에 한정되지 않고, 접촉식의 것으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스위치 작동레버(13)와 스위치(14)의 조합은 스위치의 형식에 의해 적절히 변경되는 것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하지 않았으나, 동작 플로우챠트는 별도로 감시 타이머를 설치하여 이상을 감시하는 것이 양호하다. 즉 이 감시타이머는 모터가 회전하였을 때의 예비 동작시간의 예를 들면 2배정도의 시간으로 설정 한다. 그렇게 하면, 동작이 이 타이머 시간내에 종료하지 않은 경우, 제어측은 유니트에 무엇인가의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모터로의 통전을 차단한다. 이것에 의해 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빙접시와 일체로 회전하는 캠기구와, 이에 연동하는 하나의 스위치의 신호출력에 의거하여, 제빙위치, 검징위치에서의 저장 얼음량 및 이빙위치를 검출하여 제빙접시의 구동장치를 제어함으로써 통상의 직류모터를 이용하여도, 통전정지의 잠금상태를 가급적으로 짧게할 수 있므로, 모터나 회전 부분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모터(15)에 의해 회전하는 캠치차(11)와, 상기 캠치차(11)에 의해 변위하는 검빙부재(3)(10)(12)와,상기 캠치차(11)에 의해 변위하는 스위치 작동부재(13)와, 상기 스위치작동부재(13)의 변위를 검출하여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14)와,상기 모터(15)의 한번 작동할때마다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가지며,상기 캠치차(11)에 의해 제빙접시를 제빙위치에서 검빙위치 및 이빙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회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검빙부재(3)(10)(12)를 검빙위치로 변위시키고, 상기 스위치작동부재(13)를 제빙위치, 검빙위치 및 이빙위치로 변위시키는 제빙접시의 구동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상기 스위치(14)의 선행하는 출력신호를 검출한 후, 다음에 출력이 예상되는 예상신호까지의 소요시간을 상기 타이머로 셋트하여 시간카운트를 하는 과정과,상기 소요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다음의 출력신호를 검출한 때에는 이 신호는 기 예상신호와는 다른 신호라고 판단하는 과정과,상기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다음의 출력신호를 검출한 때에는 이 신호는 상기 예상신호라고 판단하는 과정과,를 갖춘 제빙접시의 구동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모터(15)를 역회전시키는 제빙접시의 복귀회동에 있어서, 최초로 스위치 신호르 검출한 후 제빙위치까지의 소요시간을 상기 타이머로 셋트하고, 이 소요시간만 상기 모터(15)에 통전하며, 상기 모터(15)가 구동상태에 연속하여 통전정지상태가 되는 과정을 갖춘 제빙접시의 구동장치의 제어방법.
KR1019940004567A 1993-03-26 1994-03-09 제빙접시 구동장치의 제어방법 KR1002014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90549 1993-03-26
JP5090549A JP2847607B2 (ja) 1993-03-26 1993-03-26 製氷皿の復帰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037A KR940022037A (ko) 1994-10-19
KR100201487B1 true KR100201487B1 (ko) 1999-06-15

Family

ID=14001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4567A KR100201487B1 (ko) 1993-03-26 1994-03-09 제빙접시 구동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847607B2 (ko)
KR (1) KR100201487B1 (ko)
CN (1) CN108882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3527B (zh) * 2017-07-31 2020-09-15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用于出冰电机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冰箱
CN112805518A (zh) * 2018-10-02 2021-05-14 Lg电子株式会社 冰箱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1672A (ja) * 1990-03-20 1991-12-03 Matsushita Refrig Co Ltd 自動製氷装置
JP2568852Y2 (ja) * 1991-04-26 1998-04-15 株式会社ミヤマエ 製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037A (ko) 1994-10-19
JP2847607B2 (ja) 1999-01-20
CN1088824C (zh) 2002-08-07
JPH06281305A (ja) 1994-10-07
CN1098193A (zh) 1995-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2125B1 (ko) 자동제빙기 및 자동제빙기의 얼음트레이 위치제어방법
US6148620A (en) Ice mak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6364486B2 (ja) 車載制御装置または車載制御システム
US4257634A (en) Vehicle door lock control
US8025320B2 (en) Latch device
US5280423A (en)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washing machines
KR20070007122A (ko) 와이퍼 장치 제어 방법
US20080088137A1 (en) Latch device
JP2503970B2 (ja) 車両用ワイパ装置
KR100201487B1 (ko) 제빙접시 구동장치의 제어방법
GB2287280A (en) A latch power supplying apparatus with contact detecting means
KR0137183B1 (ko) 제빙접시의 구동장치
JP2012111354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9067275A (ja) 車両用ワイパ装置
JP3167110B2 (ja) リレー接点の溶着監視機能に特徴を有するキーレス式エンジン始動装置
JPS6371683A (ja) スイツチ機構
JP2581811Y2 (ja) 製氷皿の駆動装置
JP3296967B2 (ja) 自動製氷機の駆動装置
JP3693226B2 (ja) マイコンのバックアップ装置及び自動車用パワーウインドウ制御装置
JPH06249556A (ja) 製氷皿の駆動装置
JP3133284B2 (ja) 製氷皿の駆動装置
JP2000184598A (ja) 電気機器
JPH08313132A (ja) 自動製氷機の駆動装置
JP2005256465A (ja) 自動車用自動閉扉の制御装置
JP2007298083A (ja) 変速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