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3980B1 -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용 도장막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용 도장막 제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33980B1 KR100233980B1 KR1019970057158A KR19970057158A KR100233980B1 KR 100233980 B1 KR100233980 B1 KR 100233980B1 KR 1019970057158 A KR1019970057158 A KR 1019970057158A KR 19970057158 A KR19970057158 A KR 19970057158A KR 100233980 B1 KR100233980 B1 KR 1002339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ating film
- peeling
- roll
- resin
- co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63/0013—Removing old coa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03—Separating plastics from plasti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29L2009/005—Layered products co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S156/934—Apparatus having delaminating means adapted for delaminating a specified article
- Y10S156/935—Delaminating means in preparation for post consumer recycl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53—Temperature change for delamination [e.g., heating during delaminating, et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15—Disassembling
- Y10T29/49822—Disassembling by applying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도장막 제거 장치에 따르면, 모재 수지의 한쪽 표면상에 피복된 도장막을 가진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은 가열실에서 평탄화 롤에 의해 평탄화된다. 또,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은 압연 및 신장시키기 위한 롤식 압연 수단의 박리 롤 및 이송 롤 사이에 공급된다. 박리 롤의 박리면의 속도는 이송 롤의 이송 표면의 속도 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서, 모재 수지와 도장막사이의 연신과 전단력 차이가 도장막을 박리할 때 발생한다. 도포식 공급 장치는 마찰력 감소 수단으로서 액체(예컨대, 물)가 박리면과 이송면에 공급된다. 따라서, 마찰력이 감소되며, 압연에 따른 신장이 완전히 실행된다. 결과적으로, 도장막은 파단 및 박리되기 쉬우며, 그 박리가 효율적으로 실행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지 재료(모재 수지)의 표면에 형성된 도장막을 보다 확실히 제거 가능할 수 있는 수지 성형물의 도장막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사용 종료가 된 도장막 피복 수지 재료(도장막으로 피복된 수지 성형물)를 재활용하는 필요성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수지 재료(모재 수지)상에 형성된 도료 등의 도장막을 가진 사용된 수지 재료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이것을 가공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공시에는, 도장막이 수지 재료에 혼입되어, 수지 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따라서, 도장막은 재사용을 위해 가공하기 전에 수지 재료의 표면으로부터 제기되어야 한다.
이 도장악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기법이 종래부터 제안되고 있다.
(1) 숏 블래스트에 의해 도장막을 제거하는 숏 블래스트법.
(2) 피복된 수지를 압출 성형기로 용융시켜 도장막을 필터를 통해 여과시키는 필터 여과법.
(3) 롤 쌍을 사용하여 건식으로 가공물을 압연하고, 롤 사이의 원주 속도차에 의한 전단 작용을 이용하여 도장막을 제거하는 건식 롤 압연법(예를 들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95-214558 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95-256640 호, 동 제 95-256641 호, 동 제 95-256642 호 및 동 제 95-256643호 등에 개시되어 있음).
그러나, 종래 제안되어 있는 상기 기술에는 각각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숏 블래스트법의 문제점]
숏 블래스트법으로는, 수지 성형물의 형상이 복잡하고, 균일하게 도장막을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처리 속도를 올리기 위해 블래스트의 숏을 강하게 하면, 수지 재료가 연소되어 품질 열화를 일으키거나, 블래스트가 수지 재료내에 매몰되어 수지 재료와 분리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필터 여과법의 문제점]
필터 여과법으로는, 얇은 도장막은 변형되어 필터를 통해 통과하여, 그 분리는 어렵게 된다. 또한, 처리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압출량을 증대시키면 수지 재료에 과대한 압축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수지 재료가 열화된다. 또한, 빈번히 필터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처리 시간의 단축, 처리 비용의 절감에 한계가 있다.
[건식 롤 압연법의 문제점]
건식 롤 압연법은 숏 블래스트법이나 필터 여과법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이다. 이 건식 롤 압연법에 따르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재 수지(011)에 도장막(012)을 도포한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010)을 고무(022a)를 주위면에 구비한 도장막측 롤(022)과 모재측 롤(021) 사이에서 압연된다.
그러나, 종래 제안되어 있는 건식 롤 압연법에는 다음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즉, 롤 온도가 30℃ 내지 40℃인 경우에, 도장막(012), 모재 수지(011)의 일부 및 프라이머는 도장막측 롤(022)에 현저히 부착된다. 이 부착이 일어나면 기대되는 도장막 박리 작용이 이뤄지지 않는다. 도장막이 최소로 분리되기 때문에, 연속 운전이 어렵다. 또, 프라이머는 도장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하부도포제이다.
한편, 롤 온도가 40℃ 이상에서는, 도장막, 모재 수지의 일부 및 프라이머가 보다 낮은 정도로 부착된다. 그러나 연속 운전으로서는 롤 표면 온도가 상승한다. 결과적으로, 롤 표면과 도장막 사이의 마찰 계수와, 롤 표면과 모재 수지사이의 마찰 계수가 변화하여 도장막 분리가 어렵게 되고 운전 가능한 롤 온도의 설정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식 롤 압연법에 의한 도장막 제거에 관한 상술한 종래의기술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수지 성형물의 도장막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 이다.
본 발명은 마찰 감소 수단으로서 액체 도포를 하는 기술을 채용하고 있다. 한편, 도장막 정형기의 냉각된 롤 표면에 액체를 도포하는 종래 기술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93-57093 호 및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89-285324 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냉각 롤의 표면에 액체를 도포하여, 도장막과 냉각 롤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냉각성을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들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본 발명의 목적, 작용 및 효과와 다르고, 본 발명의 진보성을 저해할 만한 것이 아닌 것을 여기서 부언해 놓는다.
상술한 문제점의 해결책으로서, 본 발명은 모재 수지의 한쪽의 표면에 피복된 도장막을 가진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용 도장막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장막 제거 장치는 압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압연 수단은 도장막측에서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과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박리면과, 수지측에서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과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이송면을 구비하며, 박리면의 속도는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의 이동 방향에서 이송면의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으며, 상기 압연 수단은 박리면 및 이송면에 의해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을 압축 및 신장시키며, 2개의 표면에 의해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을 연속적으로 협지하여 이송시키기에 적합하며, 상기 도장막 제거 장치는 모재 수지와 도장막사이의 연신의 차이와, 이송면과 박리면사이의 상대 속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의 도장막과 모재 수지 사이에서 전단력을 작용시켜서, 모재 수지로부터 도장막을 박리시키며, 상기 도장막 제거 장치는 적어도 도장막과 박리면사이의 경계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마찰력 감소 수단을 더 포함하는 도장막 제거 장치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압연 수단에 의한 압연 작용에 앞서서,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을 가열시킬 수 있는 가열 수단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평행축에 배치된 2개의 롤로 구성되어, 상기 압연 수단의 압면 작용에 앞서서 3차원 형상의 수지 성형물을 2차원 형상으로 평탄화하는 평탄화 수단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연 수단은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의 유동 방향에 직교하여, 각기 도장막면 및 모재 수지면의 양측에서 평행축상에 배치된 2개의 원통형 롤인 박리 롤과 이송 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연 수단은, 원통형의 박리 롤과, 적어도 3개의 롤에 의해 무단 형상으로 지지되며, 박리 롤의 원주의 일부를 그 외주측에서 둘러싸도록 설치하여, 박리 롤의 표면과 협동하여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을 협지하여 박리 롤의 중심쪽으로 연속적으로 억제가능하게 한 금속 벨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연 수단은, 축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파형이며, 이 파형부가 축방향에 비틀려진 파형의 요철 표면을 갖는 박리면을 구비하는 박리 롤과, 널링 가공된 요철 표면인 이송면을 구비하는 이송 롤 또는 금속 벨트중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찰력 감소 수단은 도장막 또는 모재 수지를 용해시키지 않는 액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액체는 물, 세제 및 기름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물질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찰력 감소 수단은 이송면 또는 박리면에 피복한 표면 처리 도장막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찰력 감소 수단은 이송면 또는 박리면과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 표면사이의 경계면에 삽입된 미세 분말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액체는 도포식 또는 스프레이식 액체 공급 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 .
바람직하게, 상기 액체는 이송 롤 또는 박리 롤중 하나의 표면이 부분적으로 침적될 수 있게 구성된 액체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정면에서 본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정면에서 본 구성도.
제3도는 액체 도포 장치를 변경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정면에서 본 구성도.
제4도는 액체 도포 장치를 변경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정면에서 본 구성도.
제5도는 액체 도포 장치를 변경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정면에서 본 구성도.
제6도 액체 도포 장치를 변경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정면에서 본 구성도.
제7도는 마찰력 감소 수단을 변경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정면에서 본 구성도.
제8도는 마찰력 감소 수단을 변경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정면에서 본 구성도.
제9도는 마찰력 감소 수단을 변경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정면에서 본 구성도.
제10도는 마찰력 감소 수단을 변경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정면에서 본 구성도.
제11도는 압연 수단을 변경한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정면에서 본 구성도.
제12도는 마찰 계수의 온도 특성을 도시하는 특성도.
제13도는 전단 특성을 도시하는 특성도.
제14도는 박리면의 마찰 계수가 큰 경우의 압연 공정의 연신 작용과 도장막 제거 작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15도는 박리면의 마찰 계수가 작은 경우의 압연 공정의 연신 작용과 도장막제거 작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16도는 종래의 도장막 제거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또는 가공물)
11 : 모재 수지 12 : 도장막
20A : 롤식 압연 수단 20B : 벨트식 압연 수단
21 : 박리 롤 22 : 이송 롤
23 : 금속 벨트 24 : 지지 롤
25 : 장력 조정 롤 30A : 액체
41 : 도포식 공급 장치 42 : 스프레이식 공급 장치
43 : 스크래핑 장치 50 : 평탄화 롤
61 : 가열실 70 : 가이드
211 : 박리면 221, 231 : 이송면
이제 본 발명의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를 그들의 작용 및 효과를 중심으로 설명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는 하기와 같다.
모재 수지(모재)의 한쪽 표면상에 도장(도장막)을 실시한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가공물이라고도 함)은 도장막측에서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과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하나의 표면(박리면이라고 함)과, 수지측에서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과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하나의 표면(이송면이라고 함) 사이에 끼게된다. 결과적으로, 가공물은 연속적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압축 및 신장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수단의 공지된 일예로는 2개의 롤을 이용하는 압연 수단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가공물의 이송 속도는 이송면의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압연 수단의 박리 표면의 속도가 이송면의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크면, 도장막과 모재 수지사이의 속도차에 의해 전단력이 발생한다. 이 작용을 이용하여 도장막을 모재 수지로부터 박리시키는 것이 일반적으로 실행된다.
본 발명과 같이 도장막측에 마찰력 감소 수단을 제공하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발생한다.
1) 박리면의 표면 온도가 약 40℃의 저온에서는 도장막이 박리면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2) 박리면의 표면 온도가 운전 조건에 따라 고온이 되지만, 이러한 고온 조건하에서 도장막 박리 효율이 상승한다.
저온에서 박리면에 도장막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마찰력 감소 수단에 의해 부분적으로 이뤄진다. 이러한 방지의 다른 이유는 상술한 단점의 하기 원인이 마찰력 감소 수단의 존재에 의해 제거된다는 것이다.
저온에서, 도장막이 박리면에 부착하여 연속적인 박리가 저해된다. 이러한 원인은 도장막과 프라이머사이 또는 프라이머와 모재 수지사이의 접착 강도가 크고, 전단 동안의 발열이 크며, 이것은 모재 수지의 부분적인 응해를 발생리키며, 이 응해물은 박리면에 부착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마찰력 감소 수단은 박리면상에 또는 이송면 및 박리면상에 제공된다. 이 경우에, 마찰력 감소 수단은 박리 공정에서 박리면과 도장막 사이에 또는 이송면과 융해된 모재 수지 사이에 삽입된다. 따라서, 이송면 또는 박리면이 박리후의 도장막 또는 모재 수지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마찰력 감소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마찰력 감소 수단의 형태는 박리물과 함께 가지고 가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마찰력 감소 수단이 박리면 또는 이송면과 일체인 경우에는 융해된 수지에 비점착성의 물질이 바람직하다.
고온 조건하에서 적어도 마찰력 감소 수단이 박리면과 도장막 사이에 제공되는 경우에, 박리 효율은 상승된다. 이러한 작용의 작용은 전체적으로 명확하지 않지만 하기와 같이 추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장막 또는 모재 수지와 금속사이의 마찰 계수는 온도에 좌우된다. 이 마찰 계수의 온도 특성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마찰 계수 및 동마찰 계수를 포함한 도장막의 마찰 계수는 계면 온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한다. 한편, 정마찰 계수 및 동마찰 계수를 포함한 모재 수지의 마찰 계수는 증가하지 않지만, 계면 온도의 증가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도장막과 금속사이의 마찰 계수는 모재 수지와 금속사이의 마찰력 계수보다 대체로 높다.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이 모재 수지측과 도장막측에서 상대 속도를 가지며 특정 압연 성능으로 이동하는 2개의 표면 사이에 끼여있는 동안에 압연 및 가속되는 과정을 언급한다. 수지 성형물이 2개의 표면사이의 닙에 대응하는 크기로 압연되는 과정에는 큰 동력이 필요하다.
상세하게, 수지 성형물이 압연 수단의 간극에 맞물리는 경우 큰 동력이 필요하여, 수지 성형물은 가장 동력을 받기 쉬운 운동을 한다. 즉, 수지 성형물은 저속 이송면측에서 슬립되지 않으며, 수지의 표면은 이송면과 동일한 속도로 이동한다.
한편, 수지 성형물의 도장막측 표면은 보다 높은 속도로 박리면측에서 슬립한다. 요약하면, 속도차가 있는 압연 수단에 의해 압연된 수지 성형물의 표면의 이동 속도는 보다 낮은 속도의 이송면의 속도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송면의 속도 보다 박리 수단의 속도가 빠른 경우에도, 수지 성형물은 이송면의 속도로 반송된다. 이러한 과정 동안에 수지 성형물은 압연된다.
다음에,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도장막이 형성된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은 모재 수지측의 이송면과 도장막측의 박리면 사이에 끼워지며, 2개의 표면 사이에는 상대적인 속도차가 존재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재 수지 및 도장막은 압연 및 연신된다. 모재 수지 및 도장막은 파단에 이르는 신장이 상이하기 때문에, 파단 신장이 작은 도장막이 부분으로 분할된다. 동시에, 도장막과 프라이머사이 또는 프라이머와 모재 수지 사이에서 부분적인 파괴가 발생한다.
또 이송면과 박리면 사이에는 상대적인 속도차가 있기 때문에, 모재 수지와 이송면사이의 경계면 뿐만아니라 도장막과 박리면사이의 경계면에서 마찰력이 작동한다. 이러한 마찰력으로 인해서, 수지 성형물내에서는 도장막과 모재 수지 사이의 경계면과 평행하게 전단력이 작동한다.
상술한 압연에 의한 도장막의 분단과, 도장막과 모재 수지사이의 부분적인 파괴와, 상기 전단력에 의해 발생한 도장막층 또는 프라이머층내의 큰 변형 또는 프라이머와 모재 수지사이의 경계면에서의 전단 파괴는 모재로부터 도장막을 박리시키게 한다.
이상은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을 상대 속도차가 있는 모재 수지측 이송면과 도장막측 박리면 사이에 끼워 도장막을 모재 수지로부터 박리시키는 일반적인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 것이다.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이 모재 수지측 이송면과 도장막측 박리면 사이에 끼여 압연될 때, 모재 수지와 이송면 사이의 경계면과, 도장막과 박리면사이의 경계면, 특히 도장막과 박리면사이의 경계면의 마찰 계수가 크다. 이 경우에, 가공물은 박리면에 의해 당겨지고, 이송면과 박리면사이의 간극(압연닙)에 운반된 가공물의 양이 증가된다. 결과적으로, 경계면 부근에서의 도장막 및 모재 수지의 신장이 최소로 이루어지며, 도장막의 박리가 저해된다.
반대로, 도장막과 박리면 사이의 경계면에서의 마찰 계수가 작아지면, 모재 수지와 이송면의 경계면 및 도장막과 박리면의 경계면에서의 슬립이 커진다. 따라서, 이송면과 박리면사이의 간극내로 가공물이 이송되어 압력이 높아질 때, 가공물은 경계면에서 슬립되어 벗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경계면 근처의 도장막과 모재 수지의 신장이 발생하자마자 도장막의 박리가 촉진된다.
상기 신장의 메카니즘은 간단히 하기 위해 압축에 의해 신장만을 주목하여,이송면, 박리면 및 수지 성형물의 각 이동에 대해서는 무시하고, 이송면과 박리면 사이의 간극을 단축하기 위한 운동에 대하여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예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에서, 참조 번호(10)는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가공물)이고, 참조 번호(11)는 모재 수지이고, 참조 번호(12)는 도장막이고, 참조 번호(21)는 박리 롤이고, 참조 번호(211)는 박리면이고, 참조 번호(22)는 이송 롤이고, 참조 번호(221)는 이송면이고, V는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의 속도이고, Vc는 박리면의 원주속도이고, Vf는 박리면의 원주속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서 V, Vc및 Vf는 제로로 설정된다.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10)은 협지되며, 이송면(221)과 박리면(211) 사이의 간극을 단축하는 운동이 이뤄진다. 상기 압축에 따라서, 이송면(221)과 박리면(211) 사이의 간극내의 수지 성형물은 보다 큰 간극쪽으로 벗어나고자 한다.
그러나, 모재 수지(11)와 이송면(221)사이의 경계면 및 도장막(12)과 박리면(211) 사이의 경계면, 특히 도장막(12)과 박리면(211)사이의 경계면의 마찰 계수가 크면, 이송면(221) 또는 박리면(211)과 접촉하는 수지(11)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찰에 의해 운동이 억제된다. 이 경우에, 신장은 수지 성형물의 두께 방향 중앙부에서 약간 발생하거나, 수지의 체적 압축만이 발생한다. 이송면(221)과 박리면(211)과 접촉하는 수지(11)의 신장은 충분히 발생하지 않는다.
모재 수지(11)와 이송면(221)사이의 경계면 및 도장막(12)과 박리면(211)사이의 경계면, 특히 도장막(12)과 박리면(211)사이의 경계면의 마찰 계수가 작으면, 이송면(221) 또는 박리면(211)과 접촉하는 수지(11)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찰에 의해 운동이 억제되지 않는다. 이러한 수지(11)는 경계면에서 슬립되어 보다 큰 간극쪽으로 벗어난다. 따라서, 최소 간극부를 중심으로 경계면 부근의 수지에도 충분한 신장이 발생한다.
도장막(12)의 박리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피복면 부근의 수지 성형물(10)을 충분히 신장시켜야 한다. 신장이 충분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재 수지(11)와 이송면(221)사이의 경계면 및 도장막(12)과 박리면(211) 사이의 경계면 모두의 마찰 계수를 낮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장막(12)과 박리면(211)사이의 경계면에서의 온도가 40℃ 또는 그 이하일때에는, 도장막(12)과 금속사이의 마찰 계수는 비교적 낮다. 따라서, 박리 수단이 마찰력에 의해 도장막(12)을 이송면(221)과 박리면(211) 사이의 간극으로 당겨 도장막(12)을 압축하는 작용은 매우 크지 않다. 대신에, 고온 조건과 같은 압연에 따르는 신장이 충분히 작용하여, 도장막(12)이 파단 및 박리되기 쉬운 경항이 있다.
상술한 조건에서 도장막(12)이 파단 및 박리되는 메카니즘은 고온 조건과 관련해서 상술한 작용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고온 조건에서 도장막(12)과 프라이머사이 또는 프라이머와 모재 수지(11)사이의 접착 강도가 크고, 전단시에 발열이 크다. 따라서, 모재 수지(11)의 부분적인 융해가 발생하며, 융해된 수지는 박리면(211)에 부착되어, 연속적인 박리를 저해한다.
도장막과 박리 수단 표면사이의 경계면의 온도가 40℃ 보다 큰 경우, 도장막과 박리 수단 표면사이의 마찰 계수는 비교적 크다. 따라서, 박리 수단이 마찰력에 의해 이송 수단과 박리 수단사이의 간극내로 도장막을 이동시켜 그 체적을 압축하는 작용은 커진다. 따라서, 도장막의 압연 동안에, 압축 및 팽창과 같은 체적 변화가 도장막에서 발생하여, 도장막이 충분히 신장되지 않으며, 파단되기 어렵게 된다.
여기서, 도장막 또는 모재 수지를 용해하지 않는 액체는 이송 수단과 모재 수지사이의 경계면 및/또는 박리 수단과 도장막 사이의 경계면에 위치된다. 이 경우에, 박리 수단과 도장막사이 또는 이송 수단과 모재 수지 사이의 마찰 계수는 윤활 효과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은 박리 수단이 마찰력에 의해서 이송 수단과 박리 수단사이의 간극내로 도장막을 이동시켜 도장막을 압축하는 작용은 저하된다. 결과적으로, 압연에 따른 신장이 충분히 작용하여, 도장막의 파단 및 박리가 용이해진다. 도장막과 모재 수지 사이에서 전단력이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어서, 박리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박리면상에 또는 이송면상에 및 박리면상에는 마찰력 감소 수단이 설치된다. 이 경우에, 마찰력 감소 수단은 박리 단계에서 박리면과 도장막 사이에 또는 박리면과 모재 수지사이에 존재한다. 결과적으로, 박리후의 도장막 또는 모재 수지가 이송면 또는 박리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연속적인 박리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마찰력 감소 수단은 도장막의 온도 또는 도장막과 박리면 사이의 경계면사이의 온도의 고저에 관계없이 연속적인 도장막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박리면 및 이송면 모두의 마찰 계수를 낮추면, 가공물이 양 표면 사이의 간극내에 맞물리는 정도가 낮게 된다. 따라서, 이송면측의 신장이 약간 희생되고, 이송면의 마찰 계수를 다소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가공물을 예열시키거나 박리면 또는 이송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가열 수단이 사용된다. 이 경우에, 압연 공정에서 고온 조건으로 설정하면, 시동 시간이 단축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예비가열하면 가공물을 연화시켜 평탄화 처리가 용이하게 된다. 동시에, 프라이머의 점착력이 낮게 되어 도장막의 박리를 용이하게 한다. 평탄화 처리는 폭방향에서 균일한 압연을 가능하게 하여 도장막의 박리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2개의 롤이 평행한 축에 설치되어, 소정의 중심 거리와, 소정의 회전 속도 또는 소정의 직경이 선택되어 주변속도가 상이한 압연 수단이 형성된다. 가공물이 이러한 압연 수단으로 공급되는 경우,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작용에 의해 압연이 실행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금속 벨트의 내측은 3점에서 롤러에 의해 지지되고 그리고 금속 벨트의 외측은 롤의 원주에 대하여 소정의 간극으로 접촉되며, 이에 의해 압연 수단이 형성된다. 이러한 압연 수단에 가공물을 공급하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작용에 의해 압연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이 약 100℃ 또는 그 이상의 온도에 도달하면, 프라이머의 접착 강도가 저하되어, 압연 작용에 대하여 전단에 의한 박리 작용의 비율이 증가한다. 동력을 절감하기 위해서, 압연이 감소되고, 박리가 전단에 의해 주로 실행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모재 수지와 이송 수단 표면사이의 마찰 계수는 이송 수단 표면의 온도 증가와 동시에 감소한다. 따라서, 모재 수지와 이송 수단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한다.
이송 수단의 표면에 요철을 설치하면, 모재 수지와 이송 수단 표면사이의 마찰 계수는 상승하여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박리 수단의 표면에는 마찰 계수가 최소로 증가하는 부드러운 요철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박리 수단과 도장막사이의 경계면에서 슬립이 발생한다면, 도장막 및 모재 수지에 작은 변형이 가해져서 박리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 수단 및 박리 수단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의 표면상에 요철을 제공하면 이송 수단 또는 박리 수단의 표면 온도가 높은 경우에 모재 수지로부터 도장막을 효과적으로 박리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 수단 또는 박리 수단사이의 간극내로 가공물이 맞물려 들어가는 힘을 증가시키면 마찰 계수의 감소에 따른 역작용을 완화시킨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액체는 마찰 계수 감소제로서 기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액체는 마찰 계수 감소 수단으로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액체는 박리면에 침입하거나, 박리물의 표면을 둘러싸 박리물끼리의 결합을 방지하여, 박리물의 결합 및 성장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은 모재 수지측의 이송 수단과 도장막측의 박리 수단 사이에 끼워져, 도장막이 모재 수지로부터 박리되게 하며, 상기 수단의 표면사이의 상대 속도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처리 속도가 빨라지면, 도장막과 모재 수지 사이에서는 발열이 증가되어, 모재의 연화 또는 그 용융이 발생하여 박리율이 저하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모재 수지의 연화점 또는 용융점보다 높지 않은 비점을 가진 액체가 사유된다. 이 액체의 사용으로 인해서, 모재 수지는 연화점 또는 용융점 이상으로 가열될 때, 액체의 증발의 잠열에 의해 열을 빼앗아 온도 상승이 방지된다. 따라서, 모재 수지의 융해는 방지될 수 있으며, 박리율의 저하가 방지된다. 압연 공정의 온도에 따라 액체를 선택하면 소망의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표면 피막 처리는 마찰 계수의 저하의 기능을 충족시킨다. 구체적으로, 테플론(Teflon) 수지 피복 또는 세라믹 피복과 같은 표면 처리를 하면 좋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경계면에 공급된 미세 분말은 경계면에서 마찰 계수를 저하시킨다. 미세 분말로서는 무기질의 활석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렇게 사용하면 박리면내로의 침입 및 박리물의 표면의 피복 작용은 액체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액체를 사용하는 경우, 액체는 도포식 또는 스프레이식 액체 공급 장치에 의해 임의의 표면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마찰 계수는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액체 공급 장치는 롤의 한쪽 표면이 부분적으로 침적될 수 있는 침적조로 구성된다. 이렇게 하면 소정의 표면에 액체를 부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마찰 계수 저하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압연 수단으로서 롤식 압연 수단(20A)을 채용하고, 마찰력 감소 수단으로서 액체(30A)를 이용하고, 가열 수단으로서 가열실(61)을 배치하고, 평탄화 롤(50)을 구비하고 있다. 가공물인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10)은 모재 수지(11)의 한쪽 표면에 도장막(12)을 구비하고 있다.
롤식 압연 수단(20A)은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10)의 유동 방향에 직교하고 평행축상에 배치된 박리 롤(21) 및 이송 롤(22)로 구성된 금속 롤을 이용하고 있다. 박리 롤(21)의 표면(주위 표면)은 박리면(211)을 형성하며, 이송 롤(22)의 표면(주위 표면)은 이송면(221)을 형성한다. 실제 작업시에, 박리면(211)의 속도가 이송면(221)의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되도록 롤(21, 22)의 회전 속도는 조정된다.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10)의 이송 속도는 이송면(221)의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가공물인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10)의 전처리 공정으로서, 평행축상에 배치된 롤(51, 52)을 포함하는 평탄화 롤(50)이 제공된다. 상기 평탄화 롤(50)은 롤식 압연 수단(20A)에 의해 압연되기 전에 3차원 형상의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가공물)(10)을 2차원 형상으로 평탄화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평탄화 롤(50) 및 롤식 압연 수단(20A)은 가열실(61)내에 설치된다. 이 가열실(61)의 내측은 가열기(611) 및 송풍기(612)에 의해 소정의 대기 온도로 설정된다.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10)이 사전 가열되거나, 박리면(211) 또는 이송면(221)의 온도가 가열실(61)의 가열기(611) 및 송풍기(612)에 의해 온도가 제어되는 경우, 압연 공정에서의 온도 조건을 높게 설정하면 시동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10)은 예비 가열에 의해 연화되어, 평탄화 롤(50)에 의한 평탄화 처리가 용이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 평탄화 롤(50)의 롤(51, 52)과, 롤식 압연 수단(20A)의 롤(21, 22)의 온도는 가열 액체 또는 전기 가열기에 의해 소정의 수치로 또한 설정된다.
도포식 공급 장치(41)는 액체 저장소(411), 공급 파이프(412) 및 다공재(413)로 구성된다. 상기 다공재(413)는 박리 롤(21)의 박리면(211)과 이송 롤(22)의 이송면(221)과 접촉하여 배치된다. 액체 저장소(411)는 마찰력 감소 수단인 액체(30A)를 저장하고, 이 액체는 공급 파이프(412)를 통해서 스폰지재와 같은 다공재(413)로 공급된다.
다공재(413)는 롤식 압연 수단(20A)의 이송면(221)(모재 수지(11)측에 위치된 표면) 및 박리면(211)(도장막(12)측에 위치된 표면)에 액체(30A)를 공급한다.
비점도가 100℃보다 높고 후속 공정 동안에 처리가 간단하기 때문에 액체(30A)로서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재 수지(11)에 부착한 액체(30A)를 긁어내기 위한 스크래핑 장치(43)가 제공되면, 액체(30A)로서 오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후속 공정으로 세정이 실행되는 경우는, 계면활성제를 분산 및 용해하는 용액인 세제를 액체(30A)로 사용해도 좋다.
액체(30A)는 롤(21, 22)의 폭방향의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다공재(413)를 접촉시켜 도포된다. 또한, 박리 롤(21)에만 마찰력 감소 수단인 액체(30A)를 도포하도록 해도 좋다. 도 1에서 참조 번호(70)는 가이드이다.
다음에는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레탄 피복 폴리프로필렌 성형물(예를 들면 자동차의 범퍼)과 같은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10)이 평탄화 롤(50)에 주입되면, 보트 또는 박스 형상인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10)은 가열기(611)의 열에 의해 가열시에 연화된다. 연화된 가공물은 평탄화 롤(50)에 의한 압연에 의해 용이하게 소성변형하여 평탄한 형태가 된다.
평탄화 롤(50)을 통과한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10)은 공정사이의 가이드(70)를 따라 이동하며, 롤식 압연 수단(20A)에 주고 받아진다.
롤식 압연 수단(20A)에서는,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10)은 이송 롤(22)과 모재 수지(11)사이의 경계면 및 박리 롤(21)과 도장막(12) 사이의 경계면에 마찰력 감소 수단인 액체(30A)에 의해 윤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10)은 압연 및 전단이 가해져서 그 도장막(12)이 제거된다.
즉,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10)은 회전하는 이송 롤(22)과, 이 이송 롤(22)의 선회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회전 속도의 박리 롤(21) 사이에 협지되어 이송되며, 이에 의해 압연력 및 전단력이 발생하여 도장막(12)을 박리시킨다.
더욱이, 마찰력 감소 수단인 액체(30A)가 롤에 도포된다. 따라서, 모재 수지(11)와 이송면(221)사이의 경계면에서의 슬립과, 도장막(12)과 박리면(211)사이의 경계면에서의 슬립은 크다. 경계면 근처의 도장막(12) 및 모재 수지(11)의 신장이 쉽게 발생하기 때문에, 도장막(12)의 박리가 촉진된다. 또, 박리후 모재 수지(11) 또는 도장막(12)이 이송면(221) 또는 박리면(211)에 부착하는 것이 방지되어, 연속적인 도장막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모재 수지(11)가 작동 조건에 따라 과열되는 경우에, 액(30A)의 증발 잠열에 의해 열을 빼앗아 온도 상승을 방지한다. 따라서, 모재 수지(11)의 용융이 방지될 수 있고, 박리율의 감소가 방지될 수 있다.
박리 롤(21)에 부착하는 것은 액체(30A)인 물을 롤에 도포한 경우와 도포하지 않는 경우를 조사했으며, 처리 롤의 온도는 40℃와 80℃로 설정했다. 그 결과는 표 1 및 표 2에 도시되어 있다.
표 1로부터 롤식 압연 수단(20A)의 롤(21, 22)의 온도가 40℃보다 낮은 경우 박리 롤(21)에 도장막(12)이 부착하여 연속 운전이 곤란하며, 이 경우에 상기 롤(21, 22)(적어도 박리 롤(21))에 물을 도포하면, 박리 롤(21)에 도장막(12)이 부착하는 것은 없게 되어 연속 운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로부터 롤식 압연 수단(20A)의 롤(21, 22)의 온도가 80℃보다 높은 경우 박리가 곤란하게 되어 박리율이 저하되며, 이 경우에 상기 롤(21, 22)(적어도 박리 롤(21))에 물을 도포하면 박리율은 저하하지 않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 및 표 2의 결과로부터, 롤식 압연 수단(20A)의 롤(21, 22)의 표면 온도가 낮거나 높은 경우에 있어서의 종래의 2개의 특징적인 문제점을 본 실시예로서 해결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제1실시예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부분은 동일 참조 번호 및 심볼을 사용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서, 액체(30A)를 공급하기 위해서, 스프레이식 공급 장치(42)를 이용하고 있다. 이 스프레이식 공급 장치(42)는 액체 저장소(421), 공급 파이프(422) 및 노즐 구멍(4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액체 저장소(421)에 적당한 가압 또는 액체 높이 차이가 주어지고, 공급 파이프(412)의 일 단부는 밀봉되며, 노즐 구멍(423)은 파이프의 측면상에 제공되며, 이에 의해 스프레이식 공급 장치 (42)가 형성된다. 이러한 스프레이식 공급 장치(42)는 박리면(211) 및 이송면(221)에 액체(30A)를 비접촉식으로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비접촉식의 스프레이식 공급 장치(42)는 접촉부의 마모가 없고 오래 사용하더라도 초기 때와 동일한 도포 성능을 얻을 수 있는 점이 우수하다.
또, 다른 부분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제1실시예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부분은 동일 참조 번호 및 심볼을 사용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에서, 박리 롤(21)의 표면은 액체(30A)를 저장하는 액조(침적조, 44)내에 잠기게 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액체(30A)는 박리 롤(21)의 표면에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또, 박리면(211) 또는 이송면(221)에 근접하여 각 표면의 박리된 수지를 세정하는 스크래핑 장치(43)인 회전 브러쉬, 스크래퍼 등을 액체 도포 장치(41)의 전단에 설치하면 효과적이다.
또, 다른 부부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제1실시예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부분은 동일 참조 번호 및 심볼을 사용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예에서, 박리 롤(21)의 주위 표면(박리면)에는 단면이 파형으로 롤 축방향에 비틀어진 파형 요철(마찰 계수의 상승이 적은 매끄러운 요철)(212)이 제공되고, 이에 의해 요철형 박리면(211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송 롤(22)의 주위 표면(이송면)에는 널링 가공부(222)가 제공되어, 요철형 이송면(2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요철형 이송면(221)으로 하면, 모재 수지(11)와 요철형 이송면 (221A)과의 마찰 계수가 상승하여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요철형 박리면 (211A)으로 하면, 요철형 박리면(211A)과 도장막(12)과의 경계면에서 슬립이 발생하면 도장막(12) 및 모재 수지(11)에 작은 변형을 인가하여 박리를 촉진시킬 수 있다.
즉,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10)이 약 100℃ 이상으로 되면, 프라이머의 접착 강도가 저하하여, 압연에 대해 전단에 의한 박리 효과의 비율이 커진다. 그래서, 동력 감소를 위해 압연을 감하여, 전단에 의해 주로 박리가 실시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모재 수지(11)와 이송 롤(22)의 표면 사이의 마찰 계수는 이송 롤 표면 온도의 증가와 동시에 감소된다. 따라서, 모재 수지(11)와 이송 롤 표면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한다. 상술한 요철을 제공하는 것은 이러한 단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
다음에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제1실시예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부분은 동일 참조 번호 및 심볼을 사용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5실시예에서, 박리 롤(21)의 주위 표면(박리면)에는 마찰 감소재인 수지 도장막(표면 처리막)(30B)이 제공되어, 도장막형 박리면(211B)이 형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박리면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요철형 박리면(211A)과, 이 요철형 박리면(211A)의 주위 표면에 도포된 마찰 감소재인 수지 도장막(30B)을 포함한 형태의 도장막형 요철 박리면일 수도 있다.
한편, 이송 롤(22)의 주위 표면(이송면)에는 마찰 감소재인 수지 도장막(표면 처리 도장막)(30B)이 제공되어, 도장막형 이송면(221B)이 형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이송면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요철형 이송면(221A)과, 이 요철형 이송면(221A)의 주위 표면에 도포된 마찰 감소재인 표면 처리 도장막(30B)을 포함한 형태의 도장막형 요철 이송면일 수도 있다. 또, 수지 도장막(표면 처리 도장막)(30B)으로서는 테플론 수지 피복이나 세라믹 피복과 같은 표면 처리가 채용된다.
이 경우, 표면 피복재인 수지 도장막(30B) 대신에 모재 수지(11) 또는 도장막(12)과의 마찰 계수가 저하하는 물질을 롤 형상에 피복해도 좋고, 그 물질로 롤을 구성해도 좋다.
어느 쪽의 경우도, 도장막형 이송면(221B) 및 도장막형 박리면(211B)운 수지 도장막(30B)의 마찰 감소 작용과 표면의 요철 작용이 동시에 나타낸다. 따라서, 마찰력 감소 수단(수지 도장막)(30B)에 의한 작용과, 요철에 의한 작용에 근거하여 도장막의 제거가 촉진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제1실시예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부분은 동일 참조 번호 및 심볼을 사용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6실시예에서는 벨트식 압연 수단(20B)을 채용하고 있다. 이 벨트식 압연 수단(20B)은 박리 롤(21)과 금속 벨트(23)로 구성된다.
박리 롤(21)은 이미 설명한 것과 구성이 동일하다. 한편, 금속 벨트(23)는 그 내측에서 무단 형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또한 알맞은 장력을 인가되도록 2개의 지지 롤(24)과 적어도 1개의 장력 조정 롤(2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2개의 지지 롤(24) 사이에 위치된 벨트(23)는 박리 롤(21)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극을 두고 이격된 원주에서 그 외주연측으로부터 박리 롤(21)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10)은 박리 롤(21)에 접한 그 도장막(12)과, 금속 벨트(23)에 접한 그 모재 수지(11)와 함께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동시에,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10)은 금속 벨트(23)의 장력에 의해 금속 벨트(23)의 이송면(231)과 박리 롤(21)의 박리면(211) 사이에서 가압되어, 압연 작용이 실시된다.
박리 롤(21)의 박리면(211)의 속도가 금속 벨트(23)의 이송면(231)의 속도보다 크게 되면, 압연 작용을 하며 도장막측에서 상대 속도가 큰 2개의 표면이 형성된다. 이 2개의 표면은 박리 롤(21)에서는 박리면(221)이고, 벨트측에서는 이송면 (231)이다. 이러한 롤식 압연 수단에 의해 발생된 동일한 작용에 의해서 도장막(12)은 제거된다.
또한, 롤식 압연 수단의 경우에 적용한 마찰력 감소 수단은 이 경우에 적용하기 매우 어렵다. 따라서, 상술한 다양한 마찰력 감소 수단(액체의 도포나, 표면 처리 도장막을 제공함)을 이 벨트식 압연 수단(20B)에 채용하면 롤식 압연 수단의 경우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는다. 그러나, 벨트에는 장력에 제한이 있으므로, 전 처리로서, 가공물(10)을 예비 가열하는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또, 박리 롤(21)의 주위 표면(박리면)에 요철을 부여하는 기법을 채용하는 것도 할 수 있다.
또, 마찰력 감소 수단으로서 미세 분말(예를 들면, 무기질의 활석)을 채용하여 경계면에 공급하면, 박리면에의 침입과 박리물 표면의 피복 작용과 같은 액체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성형물의 도장막 제거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
1) 도장막의 박리가 가능하고, 이송 수단 및 박리 수단 표면의 온도 및 주변 속도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며, 또 박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조작성 및 처리 속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3) 신장 및 전단 변형을 효율적으로 도장막의 박리에 이용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처리에 요구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2)
- 모재 수지의 한쪽의 표면에 피복된 도장막을 가진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용 도장막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장막 제거 장치는 압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압연 수단은 도장막측에서 도장막 피복 추지 성형물과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박리면과, 수지측에서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과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이송면을 구비하며, 박리면의 속도는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의 이동 방향에서 이송면의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으며, 상기 압연 수단은 박리면 및 이송면에 의해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을 압축 및 신장시키며, 2개의 표면에 의해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을 연속적으로 협지하여 이송시키기에 적합하며, 상기 도장막 제거 장치는 모재 수지와 도장막사이의 연신의 차이와, 이송면과 박리면사이의 상대 속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의 도장막과 모재 수지 사이에서 전단력을 작용시켜서, 모재 수지로부터 도장막을 박리시키며, 상기 도장막 제거 장치는 적어도 도장막과 박리면사이의 경계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마찰력 감소 수단을 더 포함하는 도장막 제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압연 수단에 의한 압연 작용에 앞서서,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을 가열시킬 수 있는 가열 수단을 더 포함하는 도장막 제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평행축에 배치된 2개의 롤로 구성되어, 상기 압연 수단의 압연 작용에 앞서서 3차원 형상의 수지 성형물을 2차원 형상으로 평탄화하는 평탄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도장막 제거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 수단은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의 유동 방향에 직교하여, 각기 도장막면 및 모재 수지면의 양측에서 평행축상에 배치된 2개의 원통형 롤인 박리 롤과 이송 롤을 포함하는 도장막 제거 장치.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 수단은, 원통형의 박리 롤과, 적어도 3개의 롤에 의해 무단 형상으로 지지되며, 박리 롤의 원주의 일부를 그 외주측에서 둘러싸도록 설치하여, 박리 롤의 표면과 협동하여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을 협지하여 박리 롤의 중심쪽으로 연속적으로 억제가능하게 한 금속 벨트를 포함하는 도장막 제거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 수단은, 축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파형이며, 이 파형부가 축방향에비틀려진 파형의 요철 표면을 갖는 박리면을 구비하는 박리 롤과, 널링 가공된 요철 표면인 이송면을 구비하는 이송 롤 또는 금속 벨트중 하나를 포함하는 도장막 제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감소 수단은 도장막 또는 모재 수지를 용해시키지 않는 액체인 도장막 제거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물, 세제 및 기름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물질인 도장막 제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감소 수단은 이송면 또는 박리면에 피복한 표면 처리 도장막인 도장막 제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감소 수단은 이송면 또는 박리면과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 표면사이의 경계면에 삽입된 미세 분말인 도장막 제거 장치.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도포식 또는 스프레이식 액체 공급 장치로 공급할 수 있는 도장막 제거 장치.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이송 롤 또는 박리 롤중 하나의 표면이 부분적으로 침적될 수 있게 구성된 액체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될 수 있는 도장막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9138596A JPH10128746A (ja) | 1996-11-01 | 1996-11-01 | 樹脂成形物の塗膜除去装置 |
JP96-291385 | 1996-11-0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42001A KR19980042001A (ko) | 1998-08-17 |
KR100233980B1 true KR100233980B1 (ko) | 1999-12-15 |
Family
ID=17768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57158A KR100233980B1 (ko) | 1996-11-01 | 1997-10-31 |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용 도장막 제거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5932066A (ko) |
JP (1) | JPH10128746A (ko) |
KR (1) | KR100233980B1 (ko) |
CA (1) | CA2220164C (ko) |
DE (1) | DE19748028C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000566A1 (de) * | 2000-01-08 | 2001-07-26 | Messer Griesheim Gmbh | Verfahren zur Wiederverwertung eines eine Oberflächenbeschichtung aufweisenden Kunststoffbauteils |
JP4948553B2 (ja) * | 2009-02-12 | 2012-06-06 | カヤバ工業株式会社 | バンパ減容機 |
CN109774114A (zh) * | 2019-03-05 | 2019-05-21 | 江苏派恩新型材料有限公司 | 一种可调覆膜尺寸装置 |
CN112959553A (zh) * | 2021-01-27 | 2021-06-15 | 陈兴鑫 | 一种可处理变形路锥的反光条分离装置 |
WO2024002434A1 (de) * | 2022-07-01 | 2024-01-04 | FLAXTEC GmbH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ntfernung einer folienartigen kunststoffbeschichtung von einem trägersubstrat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02409A (ja) * | 1987-02-17 | 1988-08-22 | Mitsubishi Kasei Vinyl Co | 積層フイルムの剥離方法 |
JP2546336B2 (ja) * | 1988-05-12 | 1996-10-23 | 東レ株式会社 |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JPH0815591B2 (ja) * | 1990-06-26 | 1996-02-21 | ジー.ピー.リサーチ リミティド | 廃棄壁ボードから石膏を回収する方法 |
DE4322298A1 (de) * | 1992-08-04 | 1994-02-10 | Bayer Ag | Verfahren zur Auftrennung von Kunststoff-Nichtmetall-Verbundsystemen |
EP0652093B1 (en) * | 1993-11-08 | 2000-05-17 |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eling coating from coated plastics and method for recycling plastics |
JP3283682B2 (ja) * | 1994-02-07 | 2002-05-20 | 三菱化学株式会社 | 塗装プラスチック成形体の塗膜の剥離方法及び再生方法 |
JP3283681B2 (ja) * | 1993-11-08 | 2002-05-20 | 三菱化学株式会社 | 塗装プラスチック成形体の塗膜の剥離方法及び再生方法 |
JP3177373B2 (ja) * | 1994-03-22 | 2001-06-18 | 富士重工業株式会社 | 塗装樹脂製品のリサイクル方法 |
JP2829236B2 (ja) * | 1994-03-22 | 1998-11-25 | 富士重工業株式会社 | 塗装樹脂製品のリサイクル方法 |
US5376210A (en) * | 1994-03-23 | 1994-12-27 | Hydro-Quebec | Peeling aids for LPB electrolytes and method of use |
JP3177400B2 (ja) * | 1995-04-12 | 2001-06-18 | 富士重工業株式会社 | 塗装樹脂製品の塗膜剥離方法及び塗膜剥離装置 |
JP3177401B2 (ja) * | 1995-04-12 | 2001-06-18 | 富士重工業株式会社 | 塗装樹脂製品の塗膜剥離装置 |
-
1996
- 1996-11-01 JP JP29138596A patent/JPH10128746A/ja not_active Withdrawn
-
1997
- 1997-10-29 US US08/959,665 patent/US5932066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10-30 DE DE1997148028 patent/DE19748028C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10-31 CA CA 2220164 patent/CA2220164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10-31 KR KR1019970057158A patent/KR10023398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9748028A1 (de) | 1998-05-14 |
CA2220164C (en) | 2001-01-23 |
CA2220164A1 (en) | 1998-05-01 |
DE19748028C2 (de) | 2000-08-03 |
US5932066A (en) | 1999-08-03 |
JPH10128746A (ja) | 1998-05-19 |
KR19980042001A (ko) | 1998-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352136C (fr) | Procede et dispositif de revetement en continu d'au moins une bande metallique par un film fluide en polymere reticulable | |
KR100233980B1 (ko) | 도장막 피복 수지 성형물용 도장막 제거 장치 | |
JP2005525935A (ja) | 改良された高速エンボス加工及び接着剤転写方法 | |
EP1124006A1 (en) | Pollution control method for cylindrical dryer used in paper machine | |
EP1140375B1 (fr) | Procede et dispositif de revetement en continu d'au moins une bande metallique par un film fluide en polymere reticulable | |
KR0183504B1 (ko) | 수지표면도막제거방법 및 그 장치 | |
JP4609595B1 (ja) | 金型把持方法、円筒部材の製造方法及び円筒部材の製造装置 | |
CN102971094B (zh) | 用于通过轧辊芯棒来热轧金属的细长空心体的方法 | |
JP4093330B2 (ja) | 帯状材料の連続塗装方法及び装置 | |
KR0171504B1 (ko) | 수지물품상에 코팅된 박막을 박피하고 제거하는 장치와 방법 | |
US20240326315A1 (en) | Avoidance of Scratches on the Film | |
JP3823736B2 (ja) | 鋼板の処理設備及び鋼板の製造方法 | |
JPS5828093B2 (ja) | ネツカソセイブツシツデキザイオヒフクスルホウホウオヨビソノソウチ | |
KR100484228B1 (ko) | 철판의 표면에 폴리에틸렌 시트를 융착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
KR200352364Y1 (ko) | 라미네이팅 필름지 연마장치 | |
JP2779239B2 (ja) | 発泡体シートの拡幅・整形方法 | |
SU1442276A1 (ru) |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движущегос полосового проката | |
GB1565801A (en) | Method of producing a covered roller and a roller produced thereby | |
JPH10140381A (ja) | 金属ストリップ搬送方法および搬送設備 | |
JPH0429886Y2 (ko) | ||
JP3631355B2 (ja) | 銅又は銅合金被覆鋼トロリ線の製造方法 | |
JPH10328606A (ja) | 塗膜形成方法及びその装置 | |
KR0146883B1 (ko) | 유기피복강판 제조용 롤코터의 코팅롤 | |
JPH105664A (ja) | ダイコータ | |
JPS61254329A (ja) | プラスチツクフイルムの表面処理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908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