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2929B1 - 가공 선재의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가공 선재의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2929B1
KR100232929B1 KR1019960700207A KR19960700207A KR100232929B1 KR 100232929 B1 KR100232929 B1 KR 100232929B1 KR 1019960700207 A KR1019960700207 A KR 1019960700207A KR 19960700207 A KR19960700207 A KR 19960700207A KR 100232929 B1 KR100232929 B1 KR 100232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rod
plug connector
connecto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0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지 카추노
히로지 코데라
Original Assignee
히로지 코데라
코데라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지 코데라, 코데라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히로지 코데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9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2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wire-feed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47Assembling terminal to base
    • Y10T29/49151Assembling terminal to base by deforming or shaping
    • Y10T29/49153Assembling terminal to base by deforming or shaping with shaping or forcing terminal into base aper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91Means to apply vacuum directly to position or hold work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61Means to align and advance work part

Abstract

가공 선재는 접속장치(11)는 작업판(13)을 구비하고, 작업판(13)에는 소정 길이로 절단된 복수의 가공 선재(15)를 보관하는 보관 케이스(14a)와 접속홀이 형성된 플러그 커넥터(17)를 홀딩하기 위한 커넥터 홀딩 부재(16)가 설치된다. 또한, 접속장치(11)에는 제1핸드척(46)이 설치되고, 제1핸드척(46)은 보관 케이스(14a)로부터 단 하나의 가공 선재(15)를 파지하여 취출한다. 이 가공 선재(15)는 커넥터 홀딩 부재(16)와 보관 케이스(14a) 사이에 설치된 센터링 장치(25) 및 회동 위치 수정장치(35)에 수용된다. 그 후, 상기 가공 선재(15)는 제2핸드척(51)에 의해 파지되고, 이 제2핸드척(51)을 커넥터 홀딩 부재(16)로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가공 선재(15)가 플러그 커넥터(17)의 접속홀로 삽입된다.

Description

가공 선재의 접속 장치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절단한 가공 선재를 커넥터의 접속홀에 자동 삽입하는 가공 선재의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 배경]
종래의 기술에서 복수의 선재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트 커넥터가 사용되어 왔다. 즉,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트 커넥터에는 복수의 접속홀이 각각 형성되고, 그 각각의 접속홀에는 복수개의 선재의 각 단부에 부착된 접속 단자가 삽입된다. 이 접속 단자의 접속홀으로의 삽입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따라 수행된다.
플러그 커넥터의 선재와 소켓트 커넥터의 선재의 접속 단자들은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가 결합될 때 서로 접속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양 커넥터의 각각의 선재는 다른 색으로 착색되고, 서로 접속되는 커넥터 선재들은 동일 색으로 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트 커넥터를 사용하여 선재들을 접속함으로써 복수의 선재들을 한 번에 접속할 수가 있다. 더욱이 양커넥터의 각각의 선재들을 색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양커넥터를 접속하면 선재들의 접속에서의 잘못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접속 단자의 접속홈으로의 삽입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따라 수행되어 왔기 때문에 선재를 양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작업에 시간이 소요되어 왔다. 따라서, 선재의 접속 단자를 커넥터의 접속홈에 자동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선재의 접속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 선재의 접속장치에는 복수의 선재공급부, 선재 가공부, 선재 반송부 및 커넥터 홀더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선재공급부에는 각각 색이 다른 선재가 끼워진 상태에서 보관되고, 각각의 선재 공급부는 상기 각 선재를 풀어 선재 가공부로 공급한다. 또한, 각 선재 공급부는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색이 다른 선재를 차례로 선재 가공부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선재 가공부는 선재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선재를 소정 길이로 절단함과 함께 그 절단된 선재의 단부에 접속 단자를 부착한다. 선재반송부는 선재 가공부에서 가공된 선재를 커넥터 홀딩부에 홀딩된 커넥터를 향해 반송하고, 그 선재의 접속 단자를 커넥터의 접속홀에 삽입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재의 접속장치에서는 색이 다른 복수의 선재 접속 단자를 커넥터의 접속홀에 자동적으로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선재를 커넥터로 접속하는 작업이 쉽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선재의 접속장치에서는 선재공급부를 선재의 색상수만큼 복수로 설치함과 함께 각 선재 공급부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선재의 접속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 선재의 접속 장치 구성을 간략화하는데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선재의 접속 장치는 선재 리프팅(lifting)수단을 구비하고 선재 리프팅 수단은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 한편으로 설치된 상태에 있는 가공 선재를 리프팅한다. 그래서, 리프팅된 후의 가공 선재는 선재 접속 수단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홀에 삽입된다. 따라서, 접속 장치에 선재가 끼워진 상태로 보관되어 있지 않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접속 장치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람의 손이 가지 않고 자동적으로 접속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 선재의 접속 장치를 표시한 정면도이다.
제2도는 가공 선재의 접속 장치를 표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제3도는 플러그 커넥터 및 접속 단자를 표시한 평단면도이다.
제4도는 클램핑(clamping) 부품 및 클램핑 판을 표시한 파단 사시도이다.
제5도는 클램핑 부품을 표시한 정면도이다.
제6도는 클램핑 판을 표시한 파단 정면도이다.
제7도는 제1핸드척(hand chuck)을 표시한 정면도이다.
제8도는 제1핸드척을 표시한 배면도이다.
제9도는 제1핸드척을 표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제10(a)도는 부조작판 및 부파지판(副把持板)을 표시한 정면도이다.
제10(b)도는 주조작판 및 주파지판을 표시한 정면도이다.
제11(a)도는 부조작판 및 부파지판을 표시한 정면도이다.
제11(b)도는 주조작판 및 주파지판을 표시한 정면도이다.
제12(a)도는 부조작판 및 부파지판을 표시한 정면도이다.
제12(b)도는 주조작판 및 주파지판을 표시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접속장치 13 : 작업판
15 : 가공 선재 17 : 플러그 커넥터
18a-18h : 접속홀 22 : 접속 단자
25a : 회동 위치검출 수단 35 : 회동 수단
36, 37 : 클램핑판 45 : 선재 리프팅 수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1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가공 선재의 접속장치(11)에 따르는 베이스(12)는 박스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베이스(12) 상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작업판(13)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판(13)의 상부에 있어서 제1도 우측에는 보관 케이스(14a)가 설치되어 있다. 제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보관 케이스(14a)와 인접하고 병렬인 보관 케이스(14b)-(14h)가 설치되어 있다. 각 보관 케이스(14a)-(14h)내에는 각각 다른 색의 가공 선재(15)가 적층된 상태로 보관되어 있다. 이 가공선재(15)는 선재를 예를 들어 20㎝ 길이로 절단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도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판(13)의 상면에는 커넥터 홀딩 부재(16)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홀딩 부재(16)에는 선재 접속체로서의 플러그 커넥터(17)가 고정되어 있다. 제3도의 표시에서처럼 플러그 커넥터(17)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접속홀(18a)-(18h)이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접속홀(18a)-(18h)을 형성하는 측벽(20)의 돌출부(19)를 좁힌 양측에는 고정홀(21)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접속홀(18a)-(18h)에는 상기 가공 선재(15)가 접속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가공 선재(15)의 단부에는 접속단자(22)가 부착되어 있다. 접속 단자(22)의 선단부 측에는 막대형상의 접속부(23)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 단자(22)의 베이스 측에는 한쌍의 고정판(2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두 개의 고정판(24)은 제3도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심층측으로 돌출하고, 접속 단자(22)는 상기 양 고정판(24)에 의해 대략 U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양 고정판(24)의 접속부(23)측에는 그 접속부(23)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행부(24a)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한, 양 고정판(24)의 가공 선재(15)측에는 접속단자(22)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진 고정부(24b)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부(24b)는 탄성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접속 단자(22)를 상기 접속홀(18a)-(18h)에 삽입하면 접속 단자(22)에 따른 양 고정판(24)의 평행부(24a)는 접속홀(18a)-(18h)내의 돌출부(19)를 좁게한다. 더욱이 양 고정판(24)의 고정부(24b)는 자체의 탄성력에 따라 측벽(20)으로 행해 압착되고, 측벽(20)의 고정홈(21)내에 걸리게 함으로써 가공 선재(15)가 플러그 커넥터(17)에 접속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제1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작업판(13)의 상면에 있어서, 보관 케이스(14a)-(14h)와 커넥터 홀딩 부재(16)의 사이에는 센터링 장치(25)가 설치되어 있다. 센터링 장치(25)의 상면에는 회동 위치 검출 수단으로서 회동 위치검출 센서(25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센터링 장치(25)의 측부에는 이동 부재(26)가 센터링 장치(25)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센터링 장치(25)에는 진퇴용 전동 모터(27)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진퇴용 전동 모터(27)가 구동되면 상기 이동 부재(26)가 센터링 장치(25)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진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동 부재(26)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28)이 설치되어 있다. 제4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28)의 선단부에는 한쌍의 링(29)과 양 링(29)의 사이에 배치된 원통체(30)가 감겨져 있다. 이 양 링(29)과 원통체(30)는 지지축(28)에 대해 각각 별개로 회동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원통체(30)의 양 단부 및 양 링(29)으로부터는 클램핑 판(31), (32)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해 돌출되어 있다. 클램핑 판(31), (32)의 선단부는 핀(33), (3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클램핑 판(31), (32)은 지지축(28)을 중심으로 서로 접근 또는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제4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클램핑 판(31), (32)은 그 길이 방향 중앙부에 클램핑 판(31), (32)의 개폐방향 내측으로 향해 꺽어져 있다.
그래서, 클램핑 판(31), (32) 사이에 가공 선재(15)를 배치하여 클램핑 판(31), (32)을 닫으면 제5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가공 선재(15)가 클램핑 판(31), (32)의 길이방향 중앙부 사이를 좁게 한다.
이때, 가공 선재(15)는 상기 커넥터 홀딩 부재(16)에 홀딩된 플러그 커넥터(17)의 접속홀(18a)-(18h)에 대해 똑같은 높이 위치에 위치하고, 동시에 동일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위치를 정한다. 즉, 센터링 장치(25)의 지지축(28)은 가공 선재(15)가 클램핑 판(31), (32) 사이에서 좁아질 때 그 가공선재(15)가 접속홀(18a)-(18h)에 대해 동일 높이 위치에 위치하고 동시에 동일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사전에 배치되어 있다.
제1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2) 내의 작업판(13)의 하면에 있어서, 센터링 장치(25)와 보관 케이스(14a)-(14h) 사이에는 회동 위치 수정장치(35)가 회동 수단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회동 위치 수정장치(35)에는 한 쌍의 클램핑판(제1도에는 협지판(36)만 도시)이 연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4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판(36), (37)은 상기 지지축(28)의 축선 L의 반대쪽 연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정되어 있다. 클램핑판(36), (37) 사이의 거리는 가공 선재(15)의 지름과 각각 똑같은 값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회동 위치수정 장치(35)에는 구동축(38)이 설치되고, 구동축(38)에는 회동용 전동 모터(39)가 구동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구동용 전동 모터(39)가 구동하면 클램핑판(36), (37)이 엇갈리게 연직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베이스(12)의 상측에는 컬럼(column, 40)이 설치되어 있다. 컬럼(40)에 있어서, 제1도의 우측에는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헤드(41)가 지지되고 있다. 또한, 컬럼(40)에는 제1이동용 전동 모터(42)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제1이동용 전동 모터(42)가 구동되면 제1헤드(41)가 보관 케이스(14a)-(14h)의 위쪽 위치와 센터링 장치(25)의 위쪽 위치의 사이를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제1헤드(41)의 측면에는 제1슬라이드(43)가 제1헤드(41)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헤드(41)에는 제1슬라이드용 전동 모터(44)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제1슬라이드용 전동모터(44)가 구동하면 제1슬라이드(43)가 제1헤드(41)를 따라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제1슬라이드(43)에는 연직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실린더(45)가 설치되고, 실린더(45)의 하단에는 제1핸드척(hand chuck, 46)이 부착되어 있다. 실린더(45) 및 제1핸드척(46)은 선재리프팅 수단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제1핸드척(46)은 실린더(45)의 신축에 따라 연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컬럼(40)에 있어서, 제1도의 좌측에는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헤드(47)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컬럼(40)에는 제2이동용 모터(48)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제2이동용전동 모터(48)가 구동되면 제2헤드(47)가 커넥터 홀딩 부재(16)의 위쪽 위치와 센터링 장치(25)의 위쪽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제2헤드(47)의 측면에는 제2슬라이드(49)가 제2헤드(47)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헤드(47)에는 제2슬라이드용 전동 모터(50)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제2슬라이드용 전동 모터(50)가 구동되면 제2슬라이드(49)가 제2헤드(47)에 따라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제2슬라이드(49)에는 제2핸드척(51)이 부착되어 있다. 제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2핸드척(51)에는 서로 접근 또는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쌍의 헤드(5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헤드(52)는 커넥터 홀딩 부재(16)에 홀딩된 플러그 커넥터(17)와 동일 높이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 상기 커넥터 홀딩 부재(16), 센터링 장치(25), 회동 위치 수정장치(35), 제1헤드(41), 제1이동용 전동 모터(42), 제1슬라이드(43), 제1슬라이드용 전동 모터(44), 제2헤드(47), 제2이동용 전동 모터(48), 제2슬라이드(49), 제2슬라이드용 전동 모터(50) 및 제2핸드척(51)에 의해 선재 접속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홀딩 부재(16), 센터링 장치(25), 회동 위치 수정장치(35), 제1헤드(41), 제1이동용 전동 모터(42), 제2헤드(47), 제2이동용 전동 모터(48) 및 제2핸드척(51)에 의해 접속 수단이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커넥터 홀딩 부재(16), 센터링 장치(25), 회동 위치 수정장치(35), 제1슬라이드(43), 제1슬라이드용 전동 모터(49), 제2슬라이드(49), 제2슬라이드용 전동 모터(50) 및 제2핸드척(51)에 의해 위치 조절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핸드척(46)의 구체적 구성을 설명한다.
제7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1의 핸드척(46)은 기판(55)을 구비하고 있다, 기판(55)의 상단부에는 부착부(56)가 설치되어 있다. 제9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기판(55)의 폭 방향 양측 하단부는 아래쪽으로 향하는 기판(55)의 폭이 축소되도록 테이퍼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55)의 하단에는 아래쪽으로 향해 돌출하는 한 쌍의 돌기(55a)가 설치되고, 양 돌기(55a) 사이에는 스토퍼(stopper, 55b)부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55)의 폭방향 양측에는 각각 한쌍의 나사홀(threaded holes)이 연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측의 양 나사홀(59) 사이에는 한 쌍의 나사홀(60)이 기판(55)의 수평방향으로 병렬 형성되고, 한 쌍의 나사홀(60)의 아래쪽에는 한 쌍의 긴 홈(61)이 기판(55)의 수평방향으로 병렬 형성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긴 홈(61)은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판(55) 앞측에는 축방향 양측의 나사홀(59)에 대응하는 위치에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판(6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양 가이드판(62)의 상기 각 나사홀(59)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각각 관통홈(63)이 설치되어 있다.
양 가이드판(62)의 사이에는 주조작판(64)이 설치되어 있다. 주조작판(64)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부(65a)와 헤드부(65a)의 긴 방향 중앙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는 몸통부(65b)와 몸통부(65b)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해 돌출하는 조작부(65c)로 구성되어 있다. 헤드부(65a)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나사홀(66)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65c)의 하단부에는 테이퍼부(67)가 설치되고, 테이퍼부(67)는 그 폭이 아래쪽으로 향하여 축소되어 있다.
몸통부(65b)의 폭방향 양측에는 각각 주파지판(68)이 설치되어 있다. 주파지판(68) 각각에는, 기판(55)의 나사홀(60)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69)가 설치되고 긴 홈(61)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홀(70)이 설치되어 있다. 양 주파지판(68)의 하단부에는 각각 아래쪽으로 향해 돌출하는 홀딩홈(71a)이 설치되어 있다. 양 파지부(71)의 대응하는 면에는 원호형으로 요부가 설치된 홀딩홈(71a)이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양 파지부(71)의 사이에는 상기 주조작판(64)의 조작부(65c)가 삽입되어 있다. 양 주파지판(68)의 대향면에는, 파지부(71)보다도 상측 위쪽으로 향하여 넓게 열리는 테이퍼면(7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주조작판(64)의 앞측에는 부조작판(73)이 설치되어 있다. 부조작판(73)은 주조작판(64)과 동일 형태로 헤드부(74a), 몸통부(74b) 및 조작부(74c)로 구성되어 있다. 헤드부(74a)에서, 주조작판(64)의 나사홀(66)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관통구(75)가 설치되어 있다. 몸체부(74b)의 상단부에서, 폭방향 양측부에는 후킹부(hooking, 76)가 각각 절단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74c)의 하단부에는 주조작판(64)의 조작부(65)와 동일 형태로 테이퍼부(77)가 설치되어 있다. 이 테이퍼부(77)는 그 폭이 아래쪽으로 향해 축소되어 있다.
몸통부(74b)의 폭방향 양측에는 각각 부파지판(78)이 설치되어 있다. 양부파지판(78)에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리트(79)가 형성되어 있다. 슬릿트(79)는 그 상단부가 양 주파지판(68)의 관통구(69)에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양 부파지판(78)에 있어서 양주파지판(78)의 나사홀(7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나사홀(80)이 설치되어 있다. 양 부파지판(78)의 상단부에는 대향하도록 돌출하는 후킹부(8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후킹부(81)는 상기 부조작판(73)의 후킹부(76)에 삽입되어 있다.
양 부파지판(78) 하단부에는 각각 아래쪽으로 향해 돌출하는 파지부(82)가 설치되어 있다. 파지부(82) 하단은 제10(a)도, 제10(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주파지판(68)에 따르는 하단 보다 아래쪽으로 위치해 있다. 양 파지부(82)가 대향하는 면은 아래쪽으로 향해 넓게 열리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양 파지부(82) 사이에는 상기 부조작판(73)의 조작부(74c)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74c)의 파지부(82)에 대한 삽입량은 상기 조작판(64)에 따른 조작부(65c)의 파지부(71)에 대한 삽입량보다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양 부파지판(78)이 대향하는 면에 있어서, 파지부(82)보다 상측에는 위쪽으로 향해 넓게 열리는 테이퍼면(8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제11(a)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부조작판(73)을 위쪽으로 끌어올려지면, 양 부파지판(78)에 따른 후킹판(81)의 하단부가 부조직판(73)의 후킹부(76)의 하단부에 걸리게끔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양 부피지판(78)에 따른 테이퍼 면(83)의 하단이 부조작판(73)의 테이퍼부(77)에 접하고, 양 파지부(82) 사이의 거리가 최소치가 된다. 상기 후킹부(76)의 연직 방향의 길이는 후킹부(81)의 하단부가 후킹부(76)의 하단부에 걸릴때에 테이퍼면(83)의 하단이 테이퍼부(77)에 접하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9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부조작판(73)의 앞측에는 보조판(84)이 설치되어 있다. 보조판(84)은 기판(55)에 따른 하단부와 동일 형태로 대략 오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조판(84)의 하단부에는 기판(55)과 동일 형상으로 돌기(84a) 및 스토퍼(stopper, 84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조판(8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62)의 관통구(6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관통구(85)가 설치되고, 부파지판(78)에 따른 슬릿트(79)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관통구(85)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기 보조판(84)에 있어서, 부파지판(78)의 나사홀(8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그 나사홀(80)을 둘러쌓도록 열리는 연통구(8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통구(87)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되고, 연통구(87)의 폭은 상기 나사홀(80)의 직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그래서, 기판(55)의 나사홀(60)에는 보조판(84)의 관통구(86), 양 부파지판(78)의 슬릿트(79), 양 주파지판(68)의 관통구(69)을 통해 제7도에 표시된 볼트(88)가 끼워져 있다. 상기 부파지판(78) 및 주파지판(68)은 볼트(88)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기판(55)의 나사홀(59)에는 보조판(84)의 관통구(85) 및 양 가이드판(62)의 관통구(63)를 통해 제7도에 표시된 볼트(89)가 끼워져 있다.
또한, 주조작판(64)의 나사홀(66)에는 부조작판(73)의 관통구(75)를 통해 제7도에 표시된 볼트(90)가 끼워져 있다. 상기 볼트(90)에 의해 부조작판(73)이 주조작판(64)에 연결되어 있다.
양 부파지판(78)의 나사홀(80)에는 보조판(84)의 연통구(87)를 통해 제7도에 표시된 한 쌍의 볼트(91)가 끼워져 있다. 상기 양 볼트(91) 사이에는 코일스프링(92)이 설치되고, 즉, 코일스프링(92)은 양 볼트(91)를 연결하고 있다. 그래서, 양 부파지판(78)은 코일스프링(92)에 의해 항시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 주파지판(68)의 나사홀(70)에는 기판(55)의 긴홈(61)을 통해 제8도에 표시된 한 쌍의 볼트(93)가 끼워져 있다. 이 양 볼트(93)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94)이 설치되고, 코일스프링(94)은 양 볼트(93)를 연결하고 있다. 그래서, 양 주파지판(68)은 코일스프링(94)에 의해 항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7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기판(55)의 전면 상부에는 연직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에어실린더(95)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에어실린더(95)의 하단부는 상기 주조작판(64) 및 부조작판(73)의 헤드부(65a), (74a)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공 선재의 접속장치(11)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제1헤드(41)는 제1이동용 전동 모터(42)의 구동에 따라 보관 케이스(14a)-(14h)의 위쪽, 즉 제1도의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 A에 위치하도록 이동된다. 그래서, 제1슬라이드(43)가 제1슬라이드용 전동 모터(44)의 구동에 의해 보관 케이스(14a)의 위쪽, 즉 제2도의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 B에 위치하도록 이동된다. 더욱이 실린더(45)가 신장함으로써 제1핸드척(46)이 아래쪽으로 향해 보관 케이스(14a)내로 이동된다. 즉, 보관 케이스(14a)내에 있는 복수의 가공선재(15)가 제1핸드척(46)에 있는 제10(a), 10(b)도에 표시된 양 주파지판(68)의 파지부(71) 사이 및 양 부파지판(78)의 파지부(82) 사이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주조작판(64) 및 부조작판(73)은 에어실린더(95)의 수축에 의해 제11(a), 11(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위쪽으로 이동된다.
즉, 양 부파지판(78)에 있는 후킹부(81)의 상단부가 부조작판(73)에 있는 양 후킹부(76)의 하단부에 걸리게 된다. 주조작판(64) 및 부조작판(73)의 조작부(65c), (74c)가 위쪽으로 이동되고, 부조작판(73)에 있는 조작부(74c)의 테이퍼부(77)가 양 부파지판(78)에 있는 테이퍼면(83)의 하단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양 부파지판(78)이 코일 스프링(92)의 탄성력에 의해 볼트(88)를 지점으로 하여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결과 양 부파지판(78)의 파지부(82)가 서로 접근하여 상기 복수의 가공 선재(15)를 파지한다.
파지부(82)가 복수의 가공 선재(15)를 파지한 후에 주조작판(64) 및 부조작판(73)이 더욱 위쪽으로 이동하면, 제12(a)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부조작판(73)에 걸러져 있는 양 부파지판(78)이 위쪽으로 이동한다. 그 이동에 따라 파지부(82)에 파지된 복수의 가공 선재(15)가 위쪽으로 걸러짐과 함께 주조작판(64)에 있는 조작부(65c)의 테이퍼부(67)가 제12(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주파지판(68)의 파지부(71) 사이로부터 위쪽으로 뽑혀 나온다. 위쪽으로 뽑혀 올려진 각각의 가공선재(15)는 기판(55) 및 보조판(84)의 스토퍼(55b), (84b)에 접촉하고, 위쪽으로 이동하는 파지부(82)에 대해 미끄러지면서 홀딩된다.
이때 각각의 가공 선재(15)는 양 주파지판(68)에 있는 파지부(71)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또한, 테이퍼부(67)가 파지부(71) 사이로부터 위쪽으로 빠져 나오면 양 주파지판(68)이 코일스프링(94)의 탄성력에 의해 볼트(88)를 지점으로 하여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결과 양주파지판(68)의 파지부(71)가 서로 접근하고, 이 양 파지부(71)는 상기 부파지판(78)에 있는 양 파지부(82) 사이에 파지된 각각의 가공 선재(15)로부터 헤드부(55b), (84b)와 접촉하는 위치에 홀딩된 단 하나의 가공 선재(15)만을 양 파지부(71)에 오목하게 설치된 홀딩홈(71a) 사이에 파지하게 된다. 또한, 양 파지부(71)의 홀딩홈(71a) 사이에 파지되지 않은 다른 가공 선재(15)는 양 부파지판(78)의 파지부(82)로부터 보관 케이스(14a)내로 저절로 떨어진다. 따라서, 양 파지부 사이에 단 하나의 가공 선재(15)만을 홀딩할 수 있게 된다.
하나의 가공 1선재(15)를 파지한 제1핸드척(46)은 실린더(45)를 수축시킴으로써 위쪽으로 이동된다. 그 후, 제1이동용 전동 모터(42) 및 제1슬라이드용 전동 모터(44)가 구동됨으로서 제1헤드(41) 및 제1슬라이드(43)가 각각 제2도의 이점쇄선으로 표시한 위치 C 및 위치 D에 위치하도록 이동된다. 제1헤드(41) 및 제1슬라이드(43)가 위치 C 및 위치 D에 위치하면 제1핸드척(46)은 센터링 장치(25)의 위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핸드척(46)은 실린더(45)를 신장시킴으로써 소정량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제1핸드척(46)에 파지된 가공 선재(15)는 제4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센터링 장치(25)에 있는 한 쌍의 클램핑판(31), (32)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회동 위치 수정장치(35)의 클램핑 판(36), (37) 사이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제1핸드척(46)의 에어실린더(95)가 신장되면 주조작판(64) 및 부조작판(73)이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주조작판(64) 및 부조작판(73)의 조작부(65c), (74c)가 양주파지판(68) 및 양 부파지판(78)의 파지부(71), (82) 사이에 삽입된다. 그 결과 양 주파지판(68) 및 양 부파지판(78)은 볼트(88)를 지점으로하여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양 주파지판(68) 및 양 부파지판(78)이 회동하면 양 주파지판(68) 및 양부파지판(78)의 파지부(71), (82)는 코일스프링(92), (94)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공 선재(15)를 풀어준다.
가공 선재(15)를 풀어 놓은 제1핸드척(46)은 실린더(45)의 구동으로 위쪽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1헤드(41) 및 제1슬라이드(43)를 이동시킴으로써 보관 케이스(14b)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이동된다.
상기 제1핸드척(46)으로부터 가공 선재(15)를 받아 들인 클램핑 판(31), (32), 지지축(28)을 중심으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가공 선재(15)는 제5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판(31), (32)의 긴 방향 중앙부 사이에 걸리게 된다. 가공 선재(15)는 클램핑 판(31), (32) 사이에 걸리게 됨으로써 커넥터 홀딩 부재(16)에 고정된 플러그 커넥터(17)의 삽입구(18a)-(18h)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위치가 결정된다.
그 후, 진퇴용 전동 모터(27)가 구동됨으로써 이동 부재(26)가 센터링 장치(25)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진퇴하고, 클램핑 판(31), (32)에 걸려진 가공 선재(15)의 접속 단자(22)가 회동 위치검출 센서(25a)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회동용 전동 모터(39)가 구동되면, 제6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가공 선재(15)를 클램핑 협지판(36), (37)이 연직 방향으로 엇갈리게 이동시킨다. 협지판(36), (37)에 걸려진 가공 선재(15)는 그 축선을 중심으로 연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동하고 가공 선재(15)의 접속 단자(22)는 가공 선재(15)의 회동에 따라 회동한다.
회동 위치검출센서(25a)는 가공 선재(15)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접속 단자(22)의 회동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한 접속 단자(22)의 회동 위치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회동용 전동 모터(39)는 회동 위치검출센서(25a)가 출력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되고 가공 선재(15)는 회동용 전동 모터(39)의 가공에 따라 접속 단자(22)의 고정판(24)이 제3도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내측으로 향해 돌출된 상태로 되는 위치로 회동된다. 그 결과 제3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가공 선재(15)의 접속 단자(22)가 플러그 커넥터(17)의 접속홀(18a)-(18h)에 대해 삽입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 후, 제2슬라이드용 전동용 모터(50)가 구동됨으로써 제2핸드척(51)이 센터링 장치(25)에 대해 위치하도록 이동된다. 따라서, 제2이동용 전동 모터(48)가 구동됨으로써 제2헤드(47)가 센터링 장치(25)로 향해 제1도의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위치 E까지 이동한다. 제2헤드(47)가 위치 E에 위치하면 상기 가공 선재(15)에 있는 접속 단자(22)측이 제2핸드척(51)의 양 핸드(52) 사이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제2핸드척(51)은 양 핸드(52)를 서로 접근시켜 이 양 핸드(52)는 가공 선재(15)에 있는 접속 단자(22)측의 부분을 파지한다.
양 핸드(52)가 가공 선재(15)를 파지하면 이 가공 선재(15)를 클램핑하는 클램핑 판(31), (32)이 지지축(28)을 중심으로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 후, 제2헤드(47)는 제2이동용 전동 모터(48)의 구동에 따라 제1도의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 F까지 이동된다.
상기 제2헤드(47)의 이동중에 있어서 제2슬라이드(49)는 제2슬라이드용 전동 모터(50)의 구동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의 이동에 의해 제2헤드(47)가 상기 위치 F에 위치하기 전에 제2핸드척(51)에 파지된 가공 선재(15)의 축선이 제3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7)에 있는 접속홀(18a)의 축선과 일치된다.
제2헤드(47)가 위치 F에 위치하면 제2핸드척(51)에 파지된 가공선재(15)의 접속단자(22)가 플러그 커넥터(17)의 접속홀(18a) 내에 삽입된다. 접속홀(18a) 내에 설치된 돌출부(19)는 접속 단자(22)에 있는 양 고정판(24)의 평행부(24a) 사이에 삽입되고, 양 고정판(24)의 고정부(24b)는 자신의 탄성력에 따라 접속홀(18a) 내의 고정홈(21)에 후킹된다. 그 결과 가공 선재(15)는 접속홀(18a)로부터 뽑혀 나오지 않고 플러그 커넥터(17)에 접속된다. 상기 가공 선재(15)가 플러그 커넥터(17)에 접속된 후 제2핸드척(51)은 양 핸드(52)를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플러그 커넥터(17)에 접속된 가공선재(15)를 풀어 놓는다.
보관 케이스(14b)-(14h) 내의 가공 선재(15)는 상기와 동일 형태로 하여 플러그 커넥터(17)의 접속홀(18a)-(18h)로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색이 다른 복수의 가공 선재(15)가 플러그 커넥터(17)에 접속된다. 그래서, 각각의 보관 케이스(14a)-(14h)의 가공 선재(15)가 각각의 플러그 커넥터(17)에 접속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17)로의 가공 선재(15) 접속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공 선재의 접속 장치(11)에는 약 20㎝의 길이로 절단된 가공 선재(15)를 파지하는 제1핸드척(46)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핸드척(46)에 의해 보관 케이스(14a)-(14h)로부터 뽑혀 나온 가공 선재(15)가 플러그 커넥터(17)에 접속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접속 장치(11)에 선재가 끼워진 상태에서 보관된 것이 없기 때문에 접속 장치(11)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제1핸드척(46)은 각각의 보관 케이스(14a)-(14h)에 각각 보관된 색이 다른 가공 선재(15)를 차례로 보관 케이스(14a)-(14h)로부터 리프팅한다. 따라서, 색이 다른 복수의 가공 선재(15)가 플러그 커넥터(17)에 접속되는 경우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복수의 선재 공급장치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기구가 접속 장치(11)에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접속 장치(11)의 구성을 간략화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핸드척(46), (51)에 파지된 가공 선재(15)는 제1 및 제2헤드(41), (47)의 이동에 의해 커넥터 홀딩 부재(16)에 홀딩된 플러그 커넥터(17)로 향해 가공 선재(15)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가공 선재(15)의 접속 단자(22)를 확실하게 플러그 커넥터(17)의 접속홀(18a)-(18h)에 삽입할 수가 있다.
또한, 제2핸드척(51)에 파지된 가공 선재(15)가 제2슬라이드(49)의 이동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17)의 각각의 접속홀(18a)-(18h)이 일치된다. 따라서, 색이 다른 복수의 가공 선재(15)를 각각 정확하게 플러그 커넥터(17)의 각 접속홀(18a)-(18h)에 삽입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의 제1핸드척(46)에서는 양 부파지판(78)이 복수의 가공 선재(15)를 파지한 후 양 주파지판(68)이 상기 각각의 가공 선재(15)내의 일체를 양 홀딩홈(71a) 사이에 파지하도록 된다. 따라서, 복수의 가공 선재(15)가 보관된 보관 케이스(14a)-(14h)로부터 단 하나의 가공 선재(15)를 뽑아 내고 그 가공 선재(15)를 플러그 커넥터(17)에 접속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의 가공 선재 접속 장치(11)에서는 센터링 장치(25)의 클램핑 판(31), (32)에 걸린 가공 선재(15)가 회동 위치 수정장치(35)에 의해 가공 선재(15)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그래서, 상기 가공 선재(15)의 회동에 따라 접속 단자(22)는 플러그 커넥터(17)의 접속홀(18a)-(18h)에 삽입 가능한 회동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그 접속단자(22)를 정확하게 플러그 커넥터(17)의 접속홀(18a)-(18h)에 삽입할 수 있고, 상기 가공 선재(15)를 정확하게 플러그 커넥터(17)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센터링 장치(25)의 클램핑 판(31), (32)에 협지된 가공 선재(15)는 회동 위치 수정장치(35)의 협지판(36), (37)에 의해 협지된다. 그래서, 협지판(36), (37)이 연직 방향으로 엇갈리도록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공 선재(15)는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가공 선재(15)는 그 축선을 중심으로 되도록 쉽고도 확실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더욱이 회동 위치검출 센서(25a)는 협지판(36), (37)에 의해 가공선재(15)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접속 단자(22)의 회동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접속 단자(22)의 회동 위치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그래서, 협지판(36), (37)을 연직 방향으로 향해 엇갈리도록 이동시키는 구동용 전동 모터(39)는 상기 회전위치 검출센서(25a)가 출력하는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된다. 이 구동용 전동모터(39)의 구동에 의해 접속 단자(22)가 회동되기 때문에 접속 단자(22)를 플러그 커넥터(17)의 접속홀(18a)-(18h)에 삽입 가능한 회동 위치에 확실하게 위치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홀딩 부재(16)를 제1도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래서, 커넥터 홀딩 부재(16)와 제2의 슬라이드(49)의 적어도 한쪽을 제1도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핸드척(51)에 파지된 가공 선재(15)의 축선과 플러그 커넥터(17)에 있는 접속홀(18a)-(18h)의 축선을 일치시켜도 좋다. 이 경우 커넥터 홀딩 부재(16)와 제2슬라이드(49)의 양쪽을 이동시키면 보다 신속하게 제2핸드척(51)에 파지된 가공 선재(15)의 축선과 플러그 커넥터(17)에 있는 접속홀(18a)-(18h)의 축선을 일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홀딩 부재(16)를 제1 및 제2헤드(41), (47)와 동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래서, 커넥터 홀딩 부재(16)와 제2슬라이드(49)의 적어도 한쪽을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향해 이동시켜 제2핸드척(51)에 파지된 가공 선재(15)를 플러그 커넥터(17)에 접속하여도 좋다. 이 경우, 커넥터 홀딩 부재(16)와 제2헤드(47)의 양쪽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보다 신속하게 제2핸드척(51)에 파지된 가공 선재(15)를 플러그 커넥터(17)에 접속할 수가 있다.
상기 가공 선재의 접속장치(11)에 있어서, 제2헤드(47), 제2이동용전동 모터(48), 제2슬라이드용 전동 모터(50) 및 제2핸드척(51)을 생략한다. 그래서, 커넥터 홀딩 부재(16)를 제1도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해 이동시키고, 센터링 장치(25) 및 회동 위치 수정장치(35)에 홀딩된 가공 선재(15)의 축선과 플러그 커넥터(17)에 있는 접속홀(18a)-(18h)의 축선을 일치시켜도 좋다. 더우기 커넥터 홀딩 부재(16)를 상기 양 장치(25), (35)로 향해 이동시키고, 양 장치(25), (35)에 홀딩된 가공 선재(15)를 플러그 커넥터(17)에 접속해도 좋다. 이 경우 가공 선재의 접속 장치(11) 구성을 더욱 간략화할 수 있다.
상기 가공 선재의 접속장치(11)에 있어서, 접속 단자(22)가 가공선재(15)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 위치와 관계가 없고, 접속홀(18a)-(18h)에 삽입 가능한 것이라면 더욱 센터링 장치(25) 및 회동 위치 수정장치(35)를 생략해도 좋다. 이 경우 제1헤드(41)를 커넥터 홀딩 부재(16)의 근방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더욱기 제1핸드척(46)에 파지된 가공 선재(15)가 플러그 커넥터(17)의 접속홀(18a)-(18h)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하여 위치를 정하도록 상기 제1핸드척(46)을 구성한다. 그래서, 커넥터 홀딩 부재(16)와 제1슬라이드(43)의 적어도 일부를 제1도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핸드척(51)에 파지된 가공 선재(15)의 축선과 플러그 커넥터(17)에 있는 접속홀(18a)-(18h)의 축선을 일치시킨다. 또한, 커넥터 홀딩 부재(16)와 제1헤드(41)의 적어도 한쪽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핸드척(46)에 파지된 가공 선재(15)를 플러그 커넥터(17)에 접속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경우, 가공 선재(15)의 접속장치(11)의 구성을 간략화 할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 단자(22)를 가공 선재(15)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 위치에 관계없이 접속홀(18a)-(18h)에 삽입 가능한 것으로하여 센터링 장치(25) 및 회동 위치 수정장치(35)를 생략한다. 또한, 제1헤드(41)를 보관 케이스(14a)-(14h)의 위쪽에 고정하고, 제2헤드(47)를 상기 제1헤드(41)의 근방까지 이동되도록 설치한다. 그래서, 제1핸드척(46)에 의해 파지된 가공 선재(15)를 제2핸드척(51)에 파지시킨다. 더욱기 제2슬라이드(49)를 이동시킴으로써 제2핸드척(51)에 파지된 가공 선재(15)의 축선을 플러그 커넥터(17)에 있는 접속홀(18a)-(18h)의 축선과 일치시킨다. 또한, 제2헤드(47)를 커넥터 홀딩 부재(16)로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제2핸드척(51)에 파지된 가공 선재(15)를 플러그 커넥터(17)에 접속해도 좋다. 이렇게 구성되어도 접속장치(11)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센터링 장치(25) 및 회동 위치 수정장치(35)를 제1도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래서, 양 장치(25), (35)를 제1도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해 이동시켜 양 장치(25), (35)에 파지된 가공 선재(15)의 축선과 플러그 커넥터(17)에 있는 접속홀(18a)-(18h)의 축선을 일치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상기 실시예와 똑같은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센터링 장치(25) 및 회동 위치 수정장치(35)를 제1 및 제2헤드(41), (47)와 동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래서, 양 장치(25), (35)와 제1헤드(41)의 적어도 한쪽을 서로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핸드척(46)에 파지된 가공선재(15)를 양 장치(25), (35)에 홀딩되도록 해도 좋다. 더욱이 양 장치(25), (35)와 제2헤드(47)의 적어도 한쪽을 서로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양 장치(25), (35)에 홀딩된 가공 선재(15)를 제2핸드척(51)에 파지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상기 실시예와 똑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가공 선재의 접속 장치(11)에 있어서, 제2헤드(47), 제2이동용 전동 모터(48), 제2슬라이드(49), 제2슬라이드용 전동모터(50) 및 제2핸드척(51)을 생략한다. 그래서, 센터링 장치(25) 및 회동 위치 수정장치(35)를 커넥터 홀딩 부재(16)로 향해 이동시키고, 양 장치(25), (35)에 홀딩된 가공 선재(15)를 플러그 커넥터(17)에 접속시켜도 좋다. 이 경우 가공 선재의 접속 장치(11)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홀딩 부재(16)를 생략하고, 플러그 커넥터(17)를 제2핸드척(51)에 파지시켜 홀딩한다. 그래서, 제2핸드척(51)에 파지된 플러그 커넥터(17)에 있는 접속홀(18a)-(18h)의 축선과 센터링 장치(25) 및 회동 위치 수정장치(35)에 홀딩된 가공선재(15)의 축선을 일치시킨다. 더욱기 제2헤드(47)를 상기 양 장치(25), (35)를 향해 이동시키고, 이 양 장치(25), (35)에 홀딩된 가공 선재(15)를 제2핸드척(51)에 파지된 플러그 커넥터(17)에 접속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가공 선재의 접속 장치(11)의 구성을 더욱 간략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7)는 예를 들어 접속홀(18a)-(18h)을 하나만 설치된 것으로도 좋다. 이 경우 가공 선재(15)는 상기 접속홀(18a)-(18h)에 하나만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가공 선재 접속 장치(11)의 복수의 보관 케이스(14a)-(14h)를 설치하지 않고도 좋게 되는 접속 장치 구성을 간략화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플러그 커넥터(17), 센터링 장치(25), 회동 위치 수정장치(35) 및 보관 케이스(14a)를 제1 및 제2의 헤드(41), (47)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일직선 상에 배치하면 제1 및 제2슬라이드(43), (49)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좋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슬라이드(43), (49)와 제1 및 제2슬라이드용 전동모터(44), (50)를 생략할 수 있고, 가공 선재의 접속 장치(11)의 구성을 간략화 할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7)에 복수의 가공 선재(15)를 동시에 접속할 수 있도록 가공 선재의 접속 장치(11)를 구성하게 되면, 제1핸드척(46)에서 복수의 가공 선재(15)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공 선재(15)를 협지하는 협지판(36), (37)이 연직 방향으로 엇갈리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가공 선재(15)를 그 축선이 중심으로 되도록 회동시켰지만 가공 선재(15)를 그 축선이 중심이 되도록 회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회동 위치 수정장치(35)를 상기 이외의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공 선재(15)의 길이를 20㎝로 하였지만 그 수치는 적당하게 변경해도 좋다.
더욱이 가공 선재(15)에 접속단자(22)를 부착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가공 선재(15)의 단부가 플러그 커넥터(17)의 접속홀(18a)-(18h)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7)의 가공 선재(15)를 접속하였지만 선재 접속체로서의 소켓 커넥터에 가공 선재(15)를 접속해도 좋다.

Claims (6)

  1. 소정 길이로 절단되고, 적재함에 적층된 가공 선재(15)를 리프팅(lifting)하는 선재 리프팅 수단(45, 46)과; 상기 리프팅된 가공 선재(15)를 플러그 커넥터(17)에 대해 이동시켜 상기 플러그 커넥터(17)에 제공된 접속홀(18a)-(18h)에 삽입하는 선재 접속 수단(16, 25, 35, 41-44, 47-51)과; 상기 가공 선재(15) 각각의 단부에 설치된 접속 단자(22)를 구비하고; 상기 선재 접속 수단은 상기 각각의 가공 선재(15)를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상기 접속 단자(22)를 상기 접속홀(18a)-(18h)로 삽입하는 최적의 위치로 위치시키는 회동 수단(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선재 접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 접속 수단은 상기 가공 선재(15)를 상기 플러그 커넥터(17)에 대해 상기 가공 선재(15)의 축선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수단(16, 25, 35, 41, 42, 47, 48, 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선재 접속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가공 선재(15)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17)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가공 선재(15)를 상기 접속홀(18a)-(18h)과 정렬되는 축선으로 이동시키는 위치 조정 수단(16, 25, 35, 43, 44, 49, 50, 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선재 접속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수단(35)은 상기 가공 선재(15)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반대로 이동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클램핑 판(36, 3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선재 접속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22)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여, 상기 회동 수단(35)이 상기 검출 수단(25a)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가공 선재(15)를 그 축선에 대해 회동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접속단자(22)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17)의 상기 접속홀(18a)-(18h)에 삽입되는 위치로 조정 가능하게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선재 접속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 리프팅 수단(45, 46)은 상기 가공 선재(15)를 하나씩 리프팅 하는 핸드척(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선재 접속 장치.
KR1019960700207A 1995-07-10 1995-07-10 가공 선재의 접속 장치 KR100232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5/001370 WO1997003485A1 (fr) 1995-07-10 1995-07-10 Dispositif pour inserer un fil metallique a travail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2929B1 true KR100232929B1 (ko) 1999-12-01

Family

ID=14126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0207A KR100232929B1 (ko) 1995-07-10 1995-07-10 가공 선재의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38763A (ko)
EP (1) EP0785599B1 (ko)
JP (1) JP3053434B2 (ko)
KR (1) KR100232929B1 (ko)
BR (1) BR9601198A (ko)
DE (1) DE69519635T2 (ko)
WO (1) WO19970034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3739B1 (en) 2000-02-23 2002-07-23 Daiichi Pharmaceutical Co., Ltd. Method for aiding cerebral recovery following neurodegeneration
EP1429430B1 (de) * 2001-10-05 2008-03-19 Komax Holding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Bestückung von Steckergehäusen mit konfektionierten Kabelenden eines Kabels
DE50211928D1 (de) * 2001-10-05 2008-04-30 Komax Holding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Bestückung von Steckergehäusen mit konfektionierten Kabelenden eines Kabels
US8099857B2 (en) 2008-02-09 2012-01-24 Cirris Systems Corporation Apparatus for electrical pin installation and retention confirmation
WO2014011797A1 (en) * 2012-07-11 2014-01-16 Intact Vascu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ttaching radiopaque markers to a medical device
CN104124595A (zh) * 2013-04-24 2014-10-29 合肥普赛机械自动化有限公司 智能一体化三芯插头装置
JP6002628B2 (ja) * 2013-05-10 2016-10-0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挿入装置及び端子挿入方法
CN103956628A (zh) * 2014-04-23 2014-07-30 泰州市航宇电器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插孔的收口装置
CN107005016B (zh) 2014-12-04 2020-03-03 施洛伊尼格控股股份公司 定心单元、压接装置和线缆加工设备
RS60198B1 (sr) * 2014-12-17 2020-06-30 Komax Holding Ag Postavka i postupak za montažu kućišta konektora
JP6212191B1 (ja) * 2016-09-29 2017-10-11 株式会社ジェディック 電線把持部材及び端子自動挿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3722A1 (en) * 1986-11-11 1988-05-19 Amp Incorporated Lead or harness mak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4147A (en) * 1975-01-02 1976-06-22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assembly machine
JPS55163899A (en) * 1979-06-07 1980-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ead wire isolating and exhausting device
JPS5832135B2 (ja) * 1980-01-17 1983-07-11 東洋端子株式会社 端子圧着装置における電線送り込み装置
JPS6037189Y2 (ja) * 1981-05-15 1985-11-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被覆溶接棒の過量分抜取装置
JPS60130078A (ja) * 1983-12-16 1985-07-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への電線付端子插入確認装置
US4589817A (en) * 1984-02-22 1986-05-20 Westinghouse Electric Corp. Automated component handling system
EP0223330A3 (en) * 1985-11-08 1989-02-08 Nortel Networks Corporation Connecting conductors to terminals of a cross-connect connector for communication lines
JP2681123B2 (ja) * 1986-11-20 1997-11-26 アンプ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芯線撚り装置
JPS63152891A (ja) * 1986-12-16 1988-06-2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への端子自動挿入装置用端子付電線の受け渡し装置
GB8708280D0 (en) * 1987-04-07 1987-05-13 Amp Gmbh Block loading apparatus
US4779334A (en) * 1988-02-10 1988-10-25 Amp Incorporated Apparatus for inserting terminals on the ends of wires into cavities in an electrical connector
US4825537A (en) * 1988-02-23 1989-05-02 Molex Incorporated Automated crimped wire harness fabricator
PT90825B (pt) * 1988-06-13 1994-05-31 Yazaki Corp Processo e aparelho para inserir extremidades de fios que suportam terminais numa caixa de um conector
JPH0736352B2 (ja) * 1990-03-23 1995-04-19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付端子のコネクタハウジングへの挿入方法および装置
US4970777A (en) * 1990-04-20 1990-11-20 Amp Incorporated Apparatus for connector block loading of electrical leads
FR2681987B1 (fr) * 1991-09-26 1993-12-17 Aerospatiale Ste Nationale Indle Dispositif et machine pour brancher des elements de connexion dans des connecteurs.
JP3050250B2 (ja) * 1992-02-19 2000-06-12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電線のコネクタハウジングへの自動挿着方法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装置
JP3102445B2 (ja) * 1992-02-27 2000-10-23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の反転方法および反転装置
JP3118087B2 (ja) * 1992-07-16 2000-12-18 三菱製紙株式会社 古紙パルプの蛍光消去法
JP2706408B2 (ja) * 1992-09-02 1998-01-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挿入装置
JP2870342B2 (ja) * 1993-03-02 1999-03-17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挿入装置
JP2836725B2 (ja) * 1993-11-29 1998-12-14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挿入方法及び端子挿入装置
JP2888792B2 (ja) * 1995-07-04 1999-05-10 株式会社小寺電子製作所 ハンドチャッ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3722A1 (en) * 1986-11-11 1988-05-19 Amp Incorporated Lead or harness mak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7003485A1 (fr) 1997-01-30
EP0785599A4 (en) 1998-03-04
EP0785599A1 (en) 1997-07-23
US6038763A (en) 2000-03-21
DE69519635D1 (de) 2001-01-18
DE69519635T2 (de) 2001-05-31
EP0785599B1 (en) 2000-12-13
BR9601198A (pt) 1998-01-06
JP3053434B2 (ja) 200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2929B1 (ko) 가공 선재의 접속 장치
CA1309735C (en) Tool magazine with tool-change apparatus and workpiece magazine with workpiece-change apparatus
KR840000439B1 (ko) 공작기계용 공구자동교환장치
DE3620343C2 (ko)
EP0344954B1 (en) Gripper head
US4698475A (en) Machine tool pallet that clamps the workpiece to the pallet
JPH06343240A (ja) 固定子コイルのリード接続方法および装置
US4221043A (en) Automatic tool changer for multiple spindle machine tool
JPH05253780A (ja) プリント回路板加工機械用自動工具交換装置
CN217647939U (zh) 一种数控车床弹簧夹头夹紧机构
EP0483781A2 (en) Tool magazine
US4652188A (en) Centering tool
JPS60249549A (ja) 工具自動交換装置
CN213827192U (zh) 金手指斜边机
JP2000176776A (ja) 自動工具交換装置における工具チェック装置
GB2126136A (en) Automatic tool changer device
EP0040012A1 (en) Automatic tool changer for rotary tool head with cross-feed tool slide
CN1056475C (zh) 加工后的导线用的连接设备
CN112570775A (zh) 金手指斜边机
WO2000062979A1 (en) Gripper jaws for tools of different diameter
CN216297987U (zh) 一种杠杆式补偿型动力卡盘
SU148102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смены инструмента и инструментальных головок на металлорежущем станке
CN219986309U (zh) 一种自动上料设备及钻孔机
JPS6328874Y2 (ko)
CN216463222U (zh) 一种锁芯打孔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