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2373B1 -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주원료 하는 송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송편 - Google Patents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주원료 하는 송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송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2373B1
KR100232373B1 KR1019970057274A KR19970057274A KR100232373B1 KR 100232373 B1 KR100232373 B1 KR 100232373B1 KR 1019970057274 A KR1019970057274 A KR 1019970057274A KR 19970057274 A KR19970057274 A KR 19970057274A KR 100232373 B1 KR100232373 B1 KR 100232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ato starch
starch
songpyeon
sweet potato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5471A (ko
Inventor
정희성
Original Assignee
정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성 filed Critical 정희성
Priority to KR1019970057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2373B1/ko
Publication of KR19990035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9/12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of potato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9/105Sweet potato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9/11Cassava, manioc, tapioca, or fermented products thereof, e.g. gar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주원료로 하여 외피를 성형하고 외피의 내부에 속을 충진시켜서 된 송편류의 떡과 그러한 송편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외피를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거나 이들을 적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반투명 상태로 유지시켜 줌으로써 그 외피의 내부에 충진되어지는 속의 내용물이 외부에 노출되어지도록 하고,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에 쑥분말, 칡분말, 쌀분말 등을 혼합하여 외피를 여러가지의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하는 것하며 속의 종류도 다양하게 변화시켜 시각적, 미각적 특성을 높일 수 있으며, 장기간보관과 재조리가 용이하여 기호식품으로 애용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주원료 하는 송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송편
본 발명은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주원료로 하여 외피를 성형하고 외피의 내부에 속을 충진시켜서 된 송편류의 떡과 그러한 송편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통식품인 송편류의 떡을 제조함에 있어서 기존의 송편이 쌀가루를 외피의 주원료 하는 것을 대신하여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외피의 주원료로 사용하고 그 내부에 충진되는 속은 팥, 밤, 콩, 다진콩, 복은깨, 체리즙, 각종 쨈등을 다양하게 사용하여서된 송편과 그러한 송편류의 떡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편의 특징은 외피를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거나 이들을 적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반투명 상태로 유지시켜 줌으로써 그 외피의 내부에 충진되는 속의 내용물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과,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에 쑥분말, 칡분말, 쌀분말 등을 혼합하여 외피를 여러 가지의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널리 알려진 송편(송편을 포함하여 외피의 내부에 속을 충진시킨 떡의 종류를 통칭함)은 쌀가루를 외피의 주성분으로 사용하였으나, 쌀을 이용하여 송편을 빗기가 번거로고 용이치 못하기 때문에 누구나 즐겨 먹는 전통식품임에는 불구하고 언제 어디서나 쉽게 구입하여 먹을 수 있는 기호식품으로는 각광을 받지 못하였다.
또한, 쌀을 주성분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많이 먹게 되면 위산이 과다하게 분비되어 속이 더부룩하고 신트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고, 장기간 보관하게 되면 쌀로 된 외피가 딱딱하게 굳어져 버리고 굳어진 송편을 재차 조리하게 되면 외피가 갈라지거나 터져버리는 문제도 있으며, 또한 외피가 불투명하고 둔탁한 색감을 유지하고 있어 시각적으로도 크게 어필하지 못하는 폐단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통 송편은 멥쌀과 찹쌀을 적정한 비율로 혼합하여야만 외피의 쫄깃한 맛이 가미될 수 있으나 이를 맞추기가 용이치 못하고 씹히는 맛이 푸석푸석하거나 느끼하여 간식대용으로 활용하기가 용이치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된 송편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감자전분 또는 고구마전분을 외피의 주원료로 사용함으로써 현대인의 입맛감각에 맞도록 쫄깃하고 담백한 송편과 그러한 송편의 제조 방법을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량의 송편(떡)을 취식하더라도 위산이 과도하게 분비되는 것을 방지하여 속이 더부룩하는 포만감과 신트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송편(떡)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를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으로 제공함으로써 반투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하여 내부에 충진되는 속을 외부에서 투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내부에 충진되는 속을 다양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전혀 새로운 개념의 시각적 및 미각성 특성을 갖는 송편(떡)을 제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피로 사용되는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에 여러가지 생상의 천연재료를 첨가함으로써 외피의 색상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된 송편(떡)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함으로써 필요시마다 덥혀(증숙)서 시식할 수 있도록하여 간식대용의 기호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는 송편(떡)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잡하지 않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수작업에 의해 실시하거나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 실시할 수 있는 그러한 송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목적은, 감자전분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떡에 있어서,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 및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혼합시킨 것 중 어느 하나를 끊은 물로 반죽한 후 일정한 크기의 외피를 성형시키고 그 외피의 내부에 고체, 반고체 및 액상의 속중 어느 하나를 적정량 충진시켜 밀폐시키고 밀폐된 외피를 소정의 형상, 모양으로 재성형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편과, 감자전분을 이용하여 떡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 및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일정비율로 혼합시킨 혼합전분 중 어느 하나의 전분에 소량의 소금을 첨가하고 전분과 끓는 물을 혼합한 후 통상의 교반기로 교반하는 단계와, 교반물을 일정시간 숙성시키는 단계와, 숙성된 숙성물을 일정한 크기로 성형하여 외피를 형성하고 그 외피의 내부에 고체, 반고체 및 액상의 속중에서 어느 하나의 속을 충진하고 속이 충진된 외피를 밀폐형으로 성형시키는 성형단계와, 속이 충진된 제품을 일정한 형상, 모양으로 재차 성형시키는 단계와, 일정한 모양으로 재차 성형된 제품을 냉동시킨 후 소정의 개수만큼씩 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편(떡)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송편(떡)은 상기와 같이 그 외피가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 및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혼합시킨 것중 어느 하나의 전분을 이용하여 성형되어 반투명 상태를 유지하여 내장된 속이 투시되어 보이므로 쫄깃한 맛과 시각적 특성이 유지되며, 다량을 시식하더라도 과다한 위산의 분비가 억제되어지므로 속이 거북스럽거나 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편의 제조방업에 따르면 그 제조방법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성형된 제품(송편)을 냉동시켜주므로 장기간 보관이 용이하며, 냉동된 제품을 증기로 증숙시켜 재차 요리한 후 시식할 수 있으므로 간식용의 기호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편떡의 제조공정도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믹서기 2 : 교반기
3 : 숙성기 4 : 압출성형기
5 : 속 6 : 외피공급관
7 : 속공급관 8 : 성형절단원판
9 : 이송벨트콘베이어 10 : 원구형떡
12 : 성형틀 13 : 송편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편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도를 보인 일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편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도에서 제1단계는 통산의 믹서기(1)를 이용하여 외피의 주원료인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 및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시켜서 전분 혼합물 중 어느 하나에 소정의 첨가물 예컨대 쑥, 칡, 타피오카, 팥 등의 분말을 일정량 첨가하고 혼합시켜 혼합물(1-1)을 얻는 단계이다. 믹서기(1)를 이용한 혼합(믹서)단계는 순수(100%)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이들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 쑥가루, 칡가루와 같은 부수물을 첨가시키지 않을 경우에도 믹서단계를 실시하여 분말이 뭉쳐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믹서단계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단계는 교반기(2)를 이용하여 상기 1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1-1)과 끊은 물(100℃)(2-1)을 교반하여 교반물을 얻는 단계이다.
상기 혼합물(1-1)과 끊은물(2-1)은 1:0.7~1.2중량%비의 비율로 혼합시키며 50~70rpm의 속도를 20~60분 교반을 실시하여 교반물(2-2)을 얻되 교반중 첨가되는 끊은물은 일정량 만큼씩 점직적으로 첨가하여 완전히 교반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단계는 상기 제2단계의 교반단계에서 얻어진 교반물(2-2)을 통상의 용기와 같은 숙성기(3)에 담아 방치시키는 숙성단계이다. 숙성단계는 상온에서 대체로 10~14시간의 숙성시간을 유지하며 이와 같이 숙성시켜 줌으로써 교반물(2-2)들은 부드러우면서도 더욱 강한 점성력이 유지되어 연하면서 쫄깃한 맛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제4단계는 숙성된 교반물(2-2)을 일정한 크기로 성형하고 그 내부에 속을 충진시키는 1차성형단계로서, 이러한 과정은 인위적인 수작업에 의해 실시하거나 도시된 바와같이 압출성형기(4)를 이용하여 성형시킬 수 있는데, 수작업으로 실시하는 경우에는 작업능률이 떨어지고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유발되므로 생산성을 높이고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시된 바와같이 압출성형기(4)를 이용하여 성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편의 외피와 속의 무게는 1:0.5~1의 비율이 되도록 하고 전체무게는 15~30g이 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출성형기(4)는 모터(미도시됨)에 의해 이송스크류(4-1)가 구비된 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수납통에 수용되어 공급되는 교반물(2-2)을 외피공급관(6)으로 강제 압출시키고, 동시에 별도의 수납통에 수납통 속(5)은 별도의 강제공급수단(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속공급관을 통하여 일정량만큼씩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는데, 외피공급관(6)의 내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속공급관(7)을 내장시켜 외피의 내부에 속이 공급되어지도록 하되 속공급관(7)에는 별도의 강제공급장치 또는 수단(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장착하여 속(0)을 소정의 양 만큼씩만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피공급관(6)의 하측에는 한쌍의 성형절단원판(8)을 나란하게 구비하되 임의 동력수단에 의해 서로 대향되는 방향 즉,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성형절단원판(8)의 외주연에는 만곡면(8-2)이 상하면에 동일하게 성형된 성형절단날(8-1)을 각각 형성하되 상기 성형절단날(8-1)은 절삭면(8-3)을 기점으로하여 점진적으로 넓어지면서 그 절삭면(8-3)에서 끝나지도록 한다. 최초에는 성형절단날(8-1)의 가장 넓은 부분이 외피공급관(6)의 하측으로 회전되어 왔을 때 외피공급관(6)에서는 교반물(2-2)을 강제압출하여 그 교반물(2-2)이 성형절단날(8-1)의 가장 넓은 만곡면(8-2)위에 안치되도록 하고, 속공급관(7)을 통하여 속을 공급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성형절단원판(8)을 도시된 바와같이 서로 대향되는 엇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압출성형기(4)를 가동시켜 압송되는 교반물(2-2)을 외피공급관(6)을 통하여 공급시키면 누출되어 있던 외피용 교반물은 성형절단날(8-1)의 좁은면 사이를 통과하여 그 선단이 이송벨트콘베이어(9)의 위에 안치되도록 하며, 상기 외피용 압출 교반물(2-2)이 이송벨트콘베이어(9)에 안치되어짐과 동시에 압출성형기(4)의 작동은 순간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 압출성형기(4)의 작동이 정지되더라도 성형절단원판(8)은 회전을 지속하여 일회전의 실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성형절단원판(8)이 일회전하게 되면 압출된 외피용교반물(2-2)에서 하측에 있는 외피용교반물(2-2)의 상단과 상측에 있는 외피용교반물의 하단이 회전되는 외피용교반물의 상단과 상측에 있는 외피용 교반물(2-2)의 하단이 회전되는 성형절단원판(8)의 상, 하측의 만곡면(8-2)에 원구형상으로 성형되면서 그 상단과 하단은 밀폐상태로 된다.
상기 이송벨트콘베이어(9)의 위에 안치된 외피용 교반물(2-2)은 이송벨트콘베이어(9)의 작동에 의해 성형절단원판(8)의 하측을 벗어나 외부로 방출된다.
반면에 성형절단원판(8)의 넓은 성형절단날(8-1)위에 안치되어 하단이 호형으로 만곡성형되면서 폐쇄된 외피용교반물(2-2)은 그 내부가 속공급관(7)에 의해 중공부를 형성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속(5)을 공급시키는 장치(미도시됨)가 소정의 시간동안만 작동하여 기히 설정된 량만큼의 속(5)을 외피공급관(6)을 통하여 외피용교 반물(2-2)의 중공부에 주입시켜 준다. 상기 속(5)의 주입이 완료되면 성형절단원 판(8)은 기히 전술한 바와같이 서서히 일회전을 실시히게 되고 동시에 압출성형기(4)의 모터가 회전되면서 이송스크류(4-1)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교반물(2-2)은 외피공급관(6)을 통하여 하향공급되면서 속(5)이 주입된 교반물(2-2)은 성형절단원판(8)의 성형절단날(8-1)의 짧은 부분을 통과하여 이송벨트콘베이 어(9)의 위에 안치된다.
상기 속(5)이 주입된 외피용 교반물(2-2)의 선단(하단)이 이송벨트콘 베이어(9)의 위에 안치되면 압출성형기(4)의 작동은 정지된다. 그러나 성형절단 원판(8)은 지속적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외피공급관(6)의 하측으로 노출된외피용 교반물(2-2)은 그 중간부분이 원형절단날(8-1)에 의해 절단되어지는데, 이때 원형절단날(8-1)의 상·하측에 위치하는 외피용교반물(2-2)의 하단과 상단은 성형절단날(8-1)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된 만곡면(8-2)에 의해 호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성형절단원판(8)의 하측에서 성형되는 떡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구형떡(10)으로 형성되며, 이송벨트콘베이어(9)에 의해 소정의 위치로 이송된다.
제5단계는 이차성형단계이다. 이송벨트콘베이어(9)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원구형떡(10)은 인위적인 방법에 의해 송편 또는 소정의 형상 모양으로 성형시킬 수 있고 성형구(12-1)가 요설된 성형틀(12)에 의해 소정의 형상 모양으로 성형시킬 수 있다.
상기 성형틀(12)에 형성되는 성형구(12-1)는 그 형상·모양을 다양하게 조각(요설)하여 줌으로써 성형되어지는 송편(떡)의 형상 모양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가 있는데 성형구(12-1)가 소정의 형상 모양으로 성형된 성형틀(12)을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떡을 다량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성형틀(12)의 성형구(12-1)에서 성형된 떡을 인출하게 되면 최종 목적물인 송편(13:송편은 이와 같이 성형되는 모든 떡을 의미함) 을 얻을수 있게 된다.
제6단계는 냉동보관하고 유통시키는 단계이다. 완제품을 영하 20℃이하로 냉동시키고 일정한 개수 만큼씩 포장하여 냉동상태에 보관 유통시킨다. 최대 유통 기간은 제품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6개월 내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송편(13)을 제조함에 있어 외피제조용으로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순수 100%의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사용할 수 있고,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적정비율로 혼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 및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혼합시킨 혼합전분에 타피오카전분을 첨가시킬 수 있는데, 이와같은 전분은 반투명성이 유지되어 내부의 속이 투시되어 보이게 된다.
외피의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주재료에 또 다른 부가재료를 첨가시켜 다양한 색상의 외피를 제조할 수 있는데 첨가량에 따라 그 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쑥분말을 첨가시키면 외피는 녹색을 띠게 되고, 칡분물을 첨가시키면 외피는 갈색을 띠게 되며, 쌀분말을 첨가시키면 흰색을 띠게 된다. 이와 같이 천연분말재료를 사용하여 외피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것외에 천연액상물질 또는 식용색상물질을 첨가시켜 외피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외피(2-2)의 내부에 충진되는 속(5)의 재료로서는 팥 또는 콩을 쪄서 으깬 팥고물, 콩고콜, 밤살, 볶아으깬 깨, 체리즙, 각종 쨈종류, 꿀, 엿, 젤리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님을 알려둔다.
[실시예 1]
단계 1 : 통상의 제조방법과 공정에 의해 제조된 순수(100%) 감자전분 25㎏을 믹서기(1)에 투입하고 믹서기(1)를 3분간 가동시켜 감사전분이 완료분말화 되도록 알갱이를 없애준다.
단계 2 : 분말화된 감자전분을 교반기(2)에 투입하고 100℃로 끊은물 25㎏을 순차적으로 첨가시키면서 교반시켜 교반물(2-2)을 성형하되 30분간 교반을 실시하여 감자전분이 끊은물과 충분히 교반(반죽)되어지도록 한다.
단계 3 : 교반된 교반물(2-2)을 숙성기(3)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방치하여 숙성시킨다. 교반물(2-2)이 숙성되는 동안 팥 25㎏을 삶고 으깨(다져)서 팥고물을 준비한다.
단계 4 : 숙성된 교반물(2-2)과 팥고물의 속(5)을 압출성형기(4)의 각 수납용기에 투입시킨 후 압출성형기(4)를 가동시켜 교반물(2-2)을 10g정도의 무게로 분할 성형시키되 그 내부에 10g의 속(5)이 충진되도록 하여 총 20g의 원구형떡(10)을 지속적으로 성형시킨다.
단계 5 : 성형된 원구형(10)을 성형틀(12)에 투입하여 일정한 형상 모양으로 성형시킨 후 인출하여 목적물인 송편(13)을 얻었다. 송편(13)은 맑은 반투명으로서 충진된 속(5)이 투시되어 보이게 된다.
단계 6 : 성형완료된 송편(13)을 영하 20℃에서 냉동시킨 후 일정한 개수씩 포장(비닐봉지)한 후 냉동상태에서 보관시키면서 출하한다.
[실시예 2]
단계 1 : 감자전분과 쑥가루(분말)을 중량% 대비 95:5의 비율로 믹서기(1)에 투입하고 10분간 믹서를 실시하여 녹색빛을 띤 혼합물(1-1)을 얻었다.
단계 2 : 감자전분과 쑥분말이 혼합된 혼합물(1-1)을 교반기(2)에 투입하고 혼합물(1-1)과 동일한 중량비의 끊은물100℃을 순차적으로 첨가시키면서 교반(반죽)을 실시하되 30분간 실시한다.
이하, 단계 3내지 단계 6은 실시예 1의 각 단계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외피의 색상이 녹색빛을 띠고 충진된 속(5)이 투시되어 보이는 송편(13)을 얻었다.
[실시예 3]
단계 1 : 감자전분과 칡가루(분말)을 중량% 대비 95:5의 비율로 믹서기(1)에 투입하고 10분간 믹서를 실시하여 갈색빛을 띤 혼합물(1-1)을 얻었다.
단계 2 : 갈색빛을 띤 혼합물(1-1)을 교반기(2)에 투입하고 혼합물(1-1)과 동일한 중량비의 끊은물(100℃)을 순차적으로 첨가시키면서 교반(반죽)을 실시하되 30분간 실시한다.
이하, 단계 3내지 단계 6은 실시예 1의 각 단계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외피의 색상이 갈색빛을 띠고 속(5)이 투시되어 보이는 송편(13)을 얻었다.
[실시예 4]
단계 1 : 순수100% 고구마전분 25㎏을 믹서기(1)에 투입하고 3분간 가동시켜 뭉쳐진 전분이 완전분말화되도록 한다.
단계 2 : 분말화되고구마전분을 교반기(2)에 투입하고 100℃로 끊은물 25㎏을 순차적으로 첨가시키면서 교반시켜 교반물(2-2)을 얻되 30분간 실시하여 완전히 교반(반죽)되도록 한다.
단계 3 : 교반된 교반물(2-2)을 숙성기(3)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방치하여 숙성시킨다. 교반물(2-2)이 숙성되는 동안 깨를 볶은 후 약간의 소금을 첨가시키면서 으깨서 볶은깨의 속(5)을 준비한다.
이하, 단계 4내지 단계 6은 실시예 1의 각 단계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외피가 맑은 반투명으로 되고 볶은깨의 속(5)이 투시되어 보이는 송편(13)을 얻었다.
[실시예 5]
단계 1 : 고구마전분과 쑥가루(분말)을 중량% 대비 95:5의 비율로 믹서기1에 투입하고 10분간 믹서를 실시하여 녹색빛을 띤 혼합물(1-1)과 동일 중량비의 끊는물을 순차적으로 교반(반죽)을 실시하되 30분간 실시한다.
이하, 단계 3내지 단계 6은 실시예 4의 각 단계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외피의 색상이 녹색빛을 띠고 볶은 깨로된 속(5)이 투시되어 보이는 송편(13)을 얻었다.
[실시예 6]
단계 1 : 감자전분과 칡가루(분말)을 중량% 대비 95:5의 비율로 믹서기1에 투입하고 10분간 믹서를 실시하여 녹색빛을 띤 혼합물(1-1)을 얻었다.
단계 2 : 갈색빛을 띤 혼합물(1-1)을 교반기(2)에 투입하고 혼합물(1-1)과 동일한 중량비의 끊는물100℃을 순차적으로 첨가시키면서 교반(반죽)을 실시하되 30분간 실시한다.
이하, 단계 3내지 단계 6은 실시예 4의 각 단계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외피의 색상이 갈색빛을 띠고 볶은 깨로된 속(5)이 투시되어 보이는 송편(13)을 얻었다.
[실시예 7]
단계 1 : 감자전분55중량%, 타피오카전분 20중량%, 고구마전분 15중량%, 쌀가루 10중량%씩의 비율로 투입하고 10분간 믹서를 실시하여 흰색빛을 띤 혼합물(1-1)을 얻었다.
단계 2 : 흰색빛을 띤 혼합물(1-1)을 교반기(2)에 투입하고 혼합물(1-1)과 동일한 중량비의 끊는물(100℃)을 순차적으로 첨가시키면서 교반(반죽)을 실시하되 30분간 실시하여 완전히 교반되도록 한다.
이하, 단계 3내지 단계 6은 실시예 4의 각 단계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외피의 색상이 흰색빛을 띠고 볶은 깨로된 속(5)이 투시되어 보이는 송편(13)을 얻었다.
[실시예 8]
단계 1 : 감자전분50중량%와 고구마전분 50중량%씩의 비율로 믹서기1에 투입하고 10분간 믹서를 실시하여 녹색빛을 띤 혼합물(1-1)을 얻었다.
단계 2 : 혼합물(1-1)을 교반기(2)에 투입하고 혼합물(1-1)과 동일한 중량비의 끊는물(100℃)을 순차적으로 첨가시키면서 교반(반죽)을 실시하되 30분간 실시하여 완전히 교반되도록 한다.
이하, 단계 3내지 단계 6은 실시예 4의 각 단계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외피는 맑은 반투명 상태로 되고 볶은 깨의 속(5)이 투시되어 보이는 송편(13)을 얻었다.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송편(13)은 서로 달라붙어 터지는 것을 방지하고 원래의 맛과 품질의 변질을 방지하도록 영하 20℃에서 냉동하고 일정한 개수씩 포장하여 재차 냉동고에 투입하여 보관한다.
이와 같이 각 실시예에 의해 얻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송편(13)의 특징을 기존(고유)의 송편과 대비하여 보면 다음의 대비표와 같다.
[대비표]
Figure kpo00002
상기 대비표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기존의 송편은 쌀(멥쌀 또는 멥쌀 + 찹쌀)을 외피의 주재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외피가 탁하고 불투명하여 내부에 충진된 속을 볼 수가 없으며, 따라서 매우 둔감하고 탁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식욕을 돋우지 못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송편은 순수쌀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장기간이 보관이 용이치 못하고, 보관을 재 취식하기 위하여 찌게되면 외피가 손상(터짐)되는 현상이 많이 발생하여 미관상 좋기 못하였으며, 조금만 취식하여도 위산작용을 촉진시켜 위가 더부룩하고 신트름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특히 기존의 송편은 제조와 보관이 용이치 못하고 재조리(찌거나 하는 것)가 용이치 못하여 기호식품으로 활용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송편은 기존의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측, 본 발명에 따른 송편은 대비표에서 확인되는 바와같이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 및 이들을 적정하게 혼합시켜서 된 것을 외피의 주원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외피가 맑은 반투명 상태를 유지하고 이들 외피의 주원료에 천연재료인 쑥가루(분말) 또는 칡가루(분말)을 첨가시켜 줌으로써 색상이 있는 반투명의 외피를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내부에 충진된 속이 투시되어 보이므로 시각적 미적특성을 배가 시키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송편은 접착성이 강한 전분을 사용하기 때문에 응집력이 제조리를 실시할 때 외피가 터지거나 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뜨거운 증기에 의해 약 10여분의 짧은 시간동안만 증숙시켜도 되므로 재조리가 용이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없이 취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편은 외피의 주재료에 식용이 가능한 식물성 색소를 첨가시켜 주게되면 더욱 다양한 색상의 송편을 제공할 수 있고, 내부에 충진되는 속의 종류도 팥, 콩, 깨와 같은 기존의 재료외에 체리즙, 딸기, 사과, 복숭아쨈 등 각종의 쨈과 꿀 또는 엿과 같은 것을 충진시켜 주게 되며 더욱 다양한 종류의 송편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감자전분을 이용하여 떡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및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일정비율로 혼합시킨 혼합전분 중 어느하나의 전분에 소량의 소금을 첨가하고 상기 전분과 끊은물을 혼합 후 통산의 교반기로 교반하는 단계와; 교반물을 일정시간 숙성시키는 단계와; 숙성된 속성물을 일정한 크기로 성형하여 외피를 형성하고 그 외피의 내부에 고체, 반고체 및 액상의 속중에서 어느하나의 속을 충진하고 속이 충진된 외피를 밀폐형으로 성형시키는 성형단계와; 속이 충진된 제품을 일정한 형상, 모양으로 재차 성형시키는 단계와; 일정한 모양으로 재차 성형된 제품을 냉동시킨 후 소정의 개수만큼씩 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주원료 하는 송편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과 끊은물을 교반시켜서 된 교반물의 숙성시간은 상온에서 10~14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주원료 하는 송편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와 속의 중량비는 1:0.5~1이고 이들 중량을 15~30g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주원료 하는 송편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편은 영하 20℃이하에서 냉동하고 보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와 고구마전분을 주원료 하는 송편 제조방법.
  5. 감자전분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떡에 있어서, 상기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및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혼합시킨 것 중 어느하나를 끊은 물로 반죽하여 일정한 크기의 외피를 성형시키고, 그 외피의 내부에 고체, 반고체 및 액상의 속중 어느 하나를 적정량 충진시켜 밀폐시키고 밀폐된 외피를 소정의 형상, 모양으로 재성형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주원료 하는 송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편의 외피는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 및 이들을 혼합시켜서 된 것 중의 어느하나와, 쑥가루, 칡가루, 쌀가루, 식용색소 중에서 어느하나와 혼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주원료 하는 송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편의 외피는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및 이들을 혼합시켜서 된 것 중 어느하나와, 쑥가루, 칡가루, 쌀가루 중 어느하나와의 혼합비율은 중량% 대비 95:5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주원료 하는 송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편의 외피는 감자전분 55중량%, 타피오카전분 20중량%, 고구마전분 15중량%, 쌀가루 10중량%의 비율로 혼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주원료 하는 송편.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와 속의 중량% 대비는 1:0.5~1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하는 주원료 하는 송편.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편의 속은 삶은팥, 삶은콩, 으깬콩, 팥, 찐밤속, 볶아다진깨, 체리즙, 꿀, 엿, 딸기쨈, 사과쨈, 복숭아쨈 중 어느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및 둘이상을 선택적으로 혼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주원료 하는 송편.
KR1019970057274A 1997-10-31 1997-10-31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주원료 하는 송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송편 KR100232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274A KR100232373B1 (ko) 1997-10-31 1997-10-31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주원료 하는 송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송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274A KR100232373B1 (ko) 1997-10-31 1997-10-31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주원료 하는 송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송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471A KR19990035471A (ko) 1999-05-15
KR100232373B1 true KR100232373B1 (ko) 1999-12-01

Family

ID=19523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274A KR100232373B1 (ko) 1997-10-31 1997-10-31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주원료 하는 송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송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23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632B1 (ko) 2006-02-23 2008-04-16 최철수 산채찐빵 자동 제조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산채찐빵 제조방법
CN104757382A (zh) * 2015-03-24 2015-07-08 陈小洁 一种山药馅饼皮
CN104783045A (zh) * 2015-03-24 2015-07-22 陈小洁 一种紫薯馅饼皮
KR101614600B1 (ko) 2014-04-25 2016-04-21 최윤석 소를 가지는 발효 빵의 제조방법 및 발효 빵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632B1 (ko) 2006-02-23 2008-04-16 최철수 산채찐빵 자동 제조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산채찐빵 제조방법
KR101614600B1 (ko) 2014-04-25 2016-04-21 최윤석 소를 가지는 발효 빵의 제조방법 및 발효 빵
CN104757382A (zh) * 2015-03-24 2015-07-08 陈小洁 一种山药馅饼皮
CN104783045A (zh) * 2015-03-24 2015-07-22 陈小洁 一种紫薯馅饼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471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43722B (zh) 一种全谷物青稞面筋及其制备方法
CN1292677C (zh) 全豆干法生产豆制品的方法
KR100232373B1 (ko)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주원료 하는 송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송편
CN108366593A (zh) 挤压营养产品和其制造方法
KR101953021B1 (ko) 배를 이용한 타르트 제조방법
KR101418153B1 (ko) 찰떡을 내포하는 어묵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CN1985607A (zh) 芋饺皮用面团的生产方法
CN108244191B (zh) 一种橘香马铃薯酥的制备方法
CN107080204A (zh) 速冻南瓜汤圆
KR900009207B1 (ko) 루우의 제조방법
KR20170067365A (ko) 기능성 재료를 포함하는 별속떡국 제조방법
KR101346789B1 (ko) 감귤 호두과자와 그 제조방법
CN105639432A (zh) 一种果味牛奶蒸蛋糕及其制备方法
KR20090061993A (ko) 즉석 쌀국수 제조 방법
CN111000133A (zh) 一种坚果减脂面条及其制备方法
CN1265850A (zh) 膨化莲子及其制备方法
KR101566682B1 (ko) 연근을 주제로 한 즉석 떡국용 떡 및 그 제조방법
CN1215565A (zh) 杂豆方便面
JP4252146B2 (ja) 凝固状健康食品
CN105707196A (zh) 一种蜜桔酥及生产工艺
CN114521577A (zh) 一种促进人体吸收微量元素的营养糕点及其制备方法
CN111011446A (zh) 一种香酥油糕的制作方法
JPH10295316A (ja) 野菜の成形品
JPH07135920A (ja) 餅の製造法
CN111513111A (zh) 一种马铃薯全粉海绵蛋糕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