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539B1 - 전자사진 감광 부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감광 부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539B1
KR100230539B1 KR1019960016350A KR19960016350A KR100230539B1 KR 100230539 B1 KR100230539 B1 KR 100230539B1 KR 1019960016350 A KR1019960016350 A KR 1019960016350A KR 19960016350 A KR19960016350 A KR 19960016350A KR 100230539 B1 KR100230539 B1 KR 100230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group
substituted
phthalocyanine
photosensi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6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2234A (ko
Inventor
고이찌 스즈끼
히데유끼 다까이
미쯔히로 구니에다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960042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2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64Dyes
    • G03G5/0675Azo dyes
    • G03G5/0694Azo dyes containing more than three azo group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64Dyes
    • G03G5/0675Azo dyes
    • G03G5/0679Disazo dy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64Dyes
    • G03G5/0675Azo dyes
    • G03G5/0687Trisazo dy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도전성 지지체 위에 감광층을 갖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가 기재되어 있다. 감광층은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 및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아조 안료를 함유한다.
또한,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사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장치도 기재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사진 감광 부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장치
제1도는 I형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의 CuKa 특성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A형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의 CuKa 특성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B형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의 CuKa 특성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낸 도면.
제4도는 Y형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의 CuKa 특성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된 전자사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사진 감광 부재 2 : 축
3 : 1차 대전 수단 4 : 화상 노광광
5 : 현상 수단 6 : 전사 수단
7 : 전사재 8 : 화상 정착 수단
9 : 세정 수단 10 : 예비 노광광
11 :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 레일
본 발명은 특정 전하 발생 물질을 함유한 감광층을 갖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 및 이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광도전성 물질을 이용한 전자사진 감광 부재는 전하 발생 물질을 함유한 전하 발생층 및 전하 운반 물질을 함유한 전하 운반층을 적층시킨 기능 분리형 감광 부재의 개발로 인해 감도 및 내구성 (또는 작동 성능)에 있어서 현저하게 개선되었고 광범위하게 실용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단말기용 프린터로서 종래의 충격형(impact type) 프린터 대신에 전자사진술을 응용한 비충격형(non-impact type) 프린터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광원으로서 레이저를 사용하는 레이저 비임 프린터이다. 광원으로는 비용, 장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반도체 레이저가 사용되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반도체 레이저는 그 발진 파장이 790 ± 20nm로 장파장이기 때문에 이러한 장파장 영역에 충분한 감도를 갖는 전자사진 감광부재가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장파장 영역에서 감도를 갖는 물질로서,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및 금속 프탈로시아닌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고 전하 발생 물질로서 실용화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중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이 매우 높은 감도를 갖는다.
그러나,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을 사용하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는 전위 안정성이나 포토메모리 (형광등으로 조사된 부분에서의 전위 감쇠)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 따라서, 전하 발생층을 보다 얇게 하거나 또는 전하 발생층 중에 함유된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의 비율을 감소시키는 등의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감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팬크로매틱한 감도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일본 특허 공개 제3-37656호에는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과 비스아조 안료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스아조 안료는 상기 특성들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복 사용시에도 감도가 높고 전위 안정성이 뛰어나며 포토메모리 특성이 우수한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도전성 지지체 및 이 도전성 지지체 위에 제공된 감광층으로 이루어지고, 이 감광층은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 및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아조 안료를 함유하는 것인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제공한다.
식 중, Ar은 연결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탄화수소기이거나, 또는 연결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시클릭기이고, Cp는 페놀성 히드록실기를 갖는 커플러 잔기이되, 단 Cp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 식(2)로 표시되는 커플러 잔기이며, n은 2 내지 4의 정수이다.
식 중, A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의 2가 기 또는 고리 중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시클릭 고리의 2가 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은 바와 같은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자사진 감광 부재는 도전층 위의 감광층을 갖고, 이 감광층은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 및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아조 안료를 함유한다.
식 중, Ar은 연결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거나, 또는 연결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시클릭기이고, Cp는 페놀성 히드록실기를 갖는 커플러 잔기이되, 단 Cp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 식(2)로 표시되는 커플러 잔기이며, n은 2 내지 4의 정수이다.
식 중, A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의 2가 기 또는 고리 중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시클릭 고리의 2가 기이다.
본 발명은 뛰어난 전위 안정성 및 뛰어난 포토메모리 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점 이외에 상기 특정 아조 안료가 800nm 부근에서 전혀 감도가 없다 하더라도 아조 안료의 화학적 증감 작용에 의해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이 갖는 800nm 부근에서의 감도가 증강된다는 점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은 하기 구조를 갖는다.
식 중, X1, X2, X3및 X4는 Cl 또는 Br이고, k, m, p 및 r은 각각 0 내지 4의 정수이다.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은 임의의 결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합중국 특허 제4,664,997호 등에 개재된 바와 같은 A형, 미합중국 특허 제4,728,592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B형, 미합중국 특허 제5,132,197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I형 및 일본국 특허 공개 제64-1706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Y형을 들 수 있다. 특히, 이들 중 I형 결정이 바람직하다. 각 결정형의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의 CuKa 특성 X선 회절 패턴을 각각 제2도, 제3도, 제1도 및 제4도에 도시하였다.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은 상기 특허 문헌들에 개시된 방법 또는 다른 공지 방법에 의해 합성되고 상기 결정형을 갖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식(1)로 표시되는 아조 안료에서, 식 중 Ar로 표시되는 기의 예로는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예: 벤젠, 나프탈렌, 플루오렌, 페난트렌, 안트라센 및 피렌), 헤테로시클릭고리(예: 푸란, 티오펜, 피리딘, 인돌, 벤조티아졸, 카르바졸, 아크리돈, 디벤조티오펜, 벤족사졸, 옥사디아졸 및 티아졸), 및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들 또는 헤테로시클릭 고리들이 직접 결합되거나 또는 방향족기 또는 비방향족기를 통해 결합된기(예: 비페닐, 비나프틸, 디페닐아민, 트리페닐아민, N-메틸디페닐아민, 플루오레논, 페난트렌퀴논, 안트라퀴논, 벤잔트론, 테르페닐, 디페닐옥사디아졸, 스틸벤, 디스티릴벤젠, 아조벤젠, 아족시벤젠, 페닐벤족사졸, 디페닐메탄, 디페닐술폰, 디페닐에테르, 벤조페논, 테트라페닐-p-페닐렌디아민, 테트라페닐벤지딘, N-페닐-2-피리딜아민 및 N,N-디페닐-2-피리딜아민)이 있다.
Ar기는 알킬기(예: 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 알콕시기(예: 메톡시, 에톡시 및 프로폭시), 할로겐 원자(예: 불소, 염소, 요오드 및 브롬), 알킬아미노기(예: 디메틸아미노 및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실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및 할로메틸기로 치환될 수 있다.
식(2)에서, A로 표시되는 기의 예로는 o-페닐렌, 2,3-나프틸렌, 2,3-피라진-디-일, 3,4-피라졸-디-일, 2,3-피리딜-디-일, 4,5-피리딘-디-일 및 4,5-이미다졸-디-일이 있다.
A기는 알킬기(예: 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 알콕시기(예: 메톡시, 에톡시 및 프로폭시), 할로겐 원자(예: 불소, 염소, 요오드 및 브롬), 니트로기, 시아노기 및 할로메틸기로 치환될 수 있다. 특히, A는 바람직하게는 치환되지 않은 o-페닐렌이다.
식(1)에서 Cp로 표시되는 기 중에서 식(2)로 표시되는 커플러 잔기 이외에 하기식(3) 내지 (8)로 표시되는 커플러 잔기들이 존재할 수 있다.
식(3),(4),(5) 및 (6)에서 X는 벤젠 고리와 결합하여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고리 또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시클릭고리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원자군을 나타내며, 여기서 방향족 고리 및 헤테로시클릭 고리에는 예를 들면 나프탈렌 고리, 안트라센 고리, 카르바졸 고리, 벤즈카르바졸 고리 및 디벤조푸란 고리가 포함된다. 식(8)에서 Y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탄화수소의 2가 기 또는 고리 중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시클릭 고리의 2가 기이며, 구체적으로는 o-페닐렌, o-나프틸렌, 페리나프틸렌, 1,2-안트릴렌, 3,4-피라졸-디-일, 2,3-피리딘-디-일, 4,5-피리딘-디-일, 6,7-인다졸-디-일 및 6,7-퀴놀린-디-일이 있다. 식(3) 및 (4)에서 R1및 R2는 수소원자,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알킬기,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아릴기,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아랄킬기, 또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헤케로시클릭기이다. 또한, R1및 R2는 서로 결합되어 질소 원자를 통해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시클릭 아미노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식(5) 및 (6)에서 R3는 수소 원자,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알킬기,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아릴기,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아랄킬기, 또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시클릭기이다. 식(7)에서 R4는 수소 원자,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알킬기,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아릴기,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아랄킬기, 또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헤케로시클릭기이다. 상기 알킬기는 메틸, 에틸 및 프로필기를 포함하고, 아릴기는 페닐, 나프틸 및 안트릴기를 포함하며, 아랄킬기는 벤질 및 페네틸기를 포함하고, 헤테로시클릭기는 피리딜, 티에닐, 카르바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및 벤조티아졸릴기를 포함하며, 고리 중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시클릭 아미노기는 피롤, 피롤린, 피롤리딘, 피롤리돈, 인돌, 인돌린, 카르바졸, 이미다졸, 피라졸, 피라졸린, 옥사진 및 페녹사진을 포함한다. 치환기로는 할로겐 원자(예: 메톡시 및 에톡시), 알킬아미노기(예: 디메틸아미노 및 디에틸아미노), 페닐카르바모일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및 할로메틸기(예: 트리플루오로메틸)이 있다. 식(3) 및 (5)에서 Z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이며 m은 0 또는 1이다.
식(1)에서 n은 2 내지 4의 정수이며,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1)로 표시되는 아조 안료의 바람직한 예들을 하기에 예시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조 안료는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예들에서, 인용된 안료의 특정 구조는 먼저 기본식을 표시한 후 그 변형된 부분만을 표시하였다.
식(2)로 표시되는 커플러 잔기를 갖는 커플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합성할 때 일반적으로 이성질체의 혼합물 형태로 얻어진다. 따라서, 그 실시예 역시 혼합물 형태로 제시한다. 일례로, 안료 1에서,
Cp1및 Cp2:
이라 함은 안료 1은 하기 화합물들의 혼합물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Cp1및 Cp2:
Cp1및 Cp2:
Cp1및 Cp2:
Cp1및 Cp2:
Cp1및 Cp2:
Cp1및 Cp2:
Cp1및 Cp2:
Cp1및 Cp2:
Cp1및 Cp2:
Cp1및 Cp2:
Cp1및 Cp2:
Cp1및 Cp2:
Cp1및 Cp2:
Cp1및 Cp2:
Cp1및 Cp2:
Cp1및 Cp2:
Cp1및 Cp2:
Cp1및 Cp2:
Cp1:
Cp2:
Cp1:
Cp2:
Cp1:
Cp2:
Cp1:
Cp2:
Cp1:
Cp2:
Cp1:
Cp2:
Cp1:
Cp2:
Cp1:
Cp2:
Cp1:
Cp2:
Cp1and Cp2:
Cp1and Cp2:
Cp1:
Cp2:
Cp1:
Cp2:
Cp1:
Cp2:
Cp1:
Cp2:
기본식 2:
Cp1, Cp2and Cp3:
Cp1, Cp2and Cp3:
Cp1, Cp2and Cp3:
기본식 3:
Cp1, Cp2,Cp3and Cp4:
Cp1, Cp2,Cp3and Cp4:
본 발명에서, 상기 예들 중 모든 Cp가 식(2)로 표시되는 커플러 잔기인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안료 예 1,3,4,5,6,28 및 29가 더욱 바람직하다.
식(2)로 표시되는 커플러 잔기를 갖는 커플러는 히드록시-1,8-나프탈산 무수물 및 상응하는 아미노아릴카르복실산 아미드를 적당한 용매 중에서 탈수 축합함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사용되는 용매로는 니트로벤젠, 디클로로벤젠, 트리클로로벤젠 및 크실렌 등이 있다. 축합제로서 옥시염화인 또는 폴리인산을 첨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합성된 식(2)로 표시되는 커플러 잔기를 갖는 커플러는 하기 식(2-a) 및 (2-b)로 표시되는 이성질체들의 혼합물 형태로 얻어진다. 이 중 어느 이성질체라도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합성예 1]
[커플러의 합성]
니프로벤젠 130ml에 3-히드록시-1,8-나프탈산 무수물 10.0g 및 o-아미노벤즈아미드 7.0g을 가하고 12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침전물을 여과하고 톨루엔에 이어 메탄올로 분산 및 세척한 후, N,N-디메틸포름아미드/메탄올 용액을 사용하여 2회 재침전시켰다. 그 후, 침전물을 다시 메탄올로 분산 및 세착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식(2-a) 및 (2-b)로 표시되는 커플러 혼합물 3.5g을 수득하였다. 융점 : 310-315℃; 질량 스펙트럼: m/z = 314
식(1)로 표시되는 아조 안료는, (a) 수계 내에서 알칼리 존재하에, 상응하는 아민을 디아조 형태로 전환시킨 후 식(2)로 표시되는 커플러 잔기를 갖는 커플러로 커플링하거나, 또는 (b) 디아조늄염을 플루오르화붕소 또는 염화아연 착물로 전환시킨 후, N,N-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메틸술폭시드와 같은 유기 용매 중에서 아세트산나트륨, 트리에틸아민 또는 N-메틸모르폴린과 같은 염기 존재하에 커플러와 커플링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분자 내에 식(2)로 표시되는 커플러 잔기 이외의 커플러 잔기가 존재하는 디아조 안료를 합성하는 경우 이들은, (a) 테트라졸륨염 1 몰을 먼저 식(2)로 표시되는 커플러 잔기를 갖는 커플러 1 몰과 커플링시키고, 이어서 다른 커플러 1 몰과 커플링시키거나, 또는 (b) 하나의 아미노기가 아세틸기 등으로 보호된 디아민을 디아조 형태로 전환시킨 후, 식(2)로 표시되는 커플러 잔기를 갖는 커플러와 커플링시키고, 이어서 보호기를 염산 등으로 가수분해하고, 다시 화합물을 디아조 형태로 전환시킨 후 다른 커플러와 커플링시킨다. 분자 내에 식(2)로 표시되는 커플러 잔기 이외의 커플러 잔기가 존재하는 트리스아조 안료 및 테트라키스아조 안료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합성예 2]
[안료 예 1의 합성]
300ml 비이커에 물 150ml, 진한 염산 20ml (0.23 몰) 및 하기 디아민 화합물
7.3g (0.032 몰)을 가하고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용액의 온도를 2℃이하로 유지하면서 물 10ml에 아질산나트륨 4.6g (0.067 몰)을 용해시킨 용액을 10분 동안 적가하였다. 15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탄소로 여과시키고, 이어서 여기에 물 90ml에 플루오르화붕소산나트륨 10.5g (0.096 몰)을 용해시킨 용액을 교반하면서 적가하였다. 침전된 플루오르화붕소를 여과시켜 모은 후, 냉수에 이어 아세토니트릴로 세척한 후 감압하에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수율 : 12.8g, 94%.
이 후, 5 1 비이커에 DMF(N,N-디메틸포름아미드) 3 l를 가한 후, 여기에 식92-a) 및 (2-b)로 표시되는 커플러들의 혼합물 13.2g (0.042 몰)을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냉각시켜 용액의 온도를 5℃로 하였다. 그 후, 상기에서 얻은 플루오르화붕소 8.5g (0.020 몰)을 여기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5.1g (0.050 몰)을 5분간 적가하였다.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침전된 안료를 여과시켜 모으고, DMF로 4회 및 물로 3회 세척한 후 동결 건조시켰다. 수율 : 14.2g, 81%.
본 발명의 전자사진 감광 부재는 도전성 지지체, 및 그 위의 옥시티탄 프탈로시 아닌 및 식(1)로 표시되는 아조 안료를 함유하는 감광층으로 이루어진다. 감광층은 공지된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 및 식(1)로 표시되는 아조 안료를 함유하는 전하 발생층과, 그 위에 배치된 전하 운반 물질을 함유하는 전하 운반층으로 이루어지는 기능 분리형 감광층이다.
본 발명의 전하 발생층은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 및 식(1)로 표시되는 아조 안료를 모두 함유하는 층이거나 또는 두 물질을 각각 함유하는 층들을 적층시켜서 형성되는 층일 수 있다.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 및 아조 안료를 혼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 이들은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아조 안료의 중량비가 95/5 내지 70/30이 되도록 혼합될 수 있다.
95/5 이상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경우에는 목적하는 개선 효과가 덜하고, 반면 70/30이하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경우에는 장파장 쪽에서의 감도가 저하될 수 있다.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을 함유하는 전하 발생층 또는 아조 안료를 함유하는 전하 발생층을 적층시키는 경우, 이들은 아조 안료를 함유하는 층이 전하 운반층과 접촉하는 형태 또는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을 함유하는 층이 전하 운반층과 접촉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후자의 형태가 본 발명에서 더 효과적일 수 있으며, 따라서 바람직하다.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을 함유하는 층은 바람직하게는 층두께가 0.1 내지 0.5㎛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아조 안료를 함유하는 층은 그렇게 두꺼울 필요가 없으며, 약 0.05㎛ 내지 약 0.2㎛의 두께로 형성하였을 때 충분히 효과적일 수 있다.
전하 발생층은 본 발명의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 및 아조 안료를 도전성 지지체 위에 배치시키거나, 또는 이들을 결합제 수지와 함께 적합한 용매 중에 분산시켜서 제조한 코팅 용액을 공지 방법에 의해 도전성 지지체 위에 도포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이 층은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인 박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포법에 의해 상기 층을 형성할 때 사용되는 결합제 수지는 광범위한 절연성 수지 또는 유기 광도전성 중합체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그 예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부티랄, 폴리비닐 벤잘,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페녹시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아크릴 수지 및 폴리우레탄이 있다. 이들은 전하 발생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80 중량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 이하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용매로는 상기 수지는 용해시키면서도 전하 운반층 및 후술할 서빙층(subbing layer)은 용해시키지 않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예로는 구체적으로 에테르(예: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1,4-디옥산), 케톤(예: 시클로헥사논 및 메틸에틸 케톤), 아미드(예: N,N-디메틸포름아미드), 에스테르(예: 메틸 아세테이트 및 에틸 아세테이트), 방향족 화합물(예: 톨루엔, 크실렌 및 클로로벤젠), 알코올(예: 메탄올, 에탄올 및 2-프로판올), 지방족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클로로포름, 염화 메틸렌 디클로로에틸렌, 사염화탄소 및 트리클로로에틸렌)이 포함된다.
전하 운반층은 전하 발생층 위 또는 아래에 놓이며, 전하 운반 물질을 임의로 적당한 결합제와 함께 용매에 용해시켜 제조한 코팅 용액을 도포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이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5 내지 40㎛,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일 수 있다.
전하 운반 물질은 대략 전자 운반 물질 및 홀(hole) 운반 물질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 운반 물질에는 예를 들어, 2,4,7-트리니트로플루오레논, 2,4,5,7-테트라니트로플루오레논, 클로로아닐 및 테트라시아노퀴논디메탄과 같은 전자 친화성 물질, 또는 이들 전자 친화성 물질을 중합체로서 얻은 것들이 포함된다. 홀 운반 물질에는 폴리시클릭 방향족 화합물(예: 피렌 및 안트라센), 헤테로시클릭 화합물(예: 카르바졸형, 인돌형, 이미다졸형, 옥사졸형, 티아졸형, 옥사디아졸형, 피라졸형, 피라졸린형, 티아디아졸형 또는 트리아졸형), 히드라존 화합물(예: p-디에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N,N-디페닐히드라존 및 N,N-디페닐히드라지노-3-메틸리덴-9-에틸카르바졸), 트리아릴아민 화합물[예: 트리-p-톨릴아민, 4-(디-p-톨릴아미노)-비페닐, 2-(디-p-톨릴)-아미노-9,9'-디메틸플루오레논 및 1-디-p-톨릴-아미노피렌], 스티릴 화합물(예: a-페닐-4'-N,N-디페닐아미노스틸벤 및 5-[4-(디-p-톨릴아미노)벤질리덴]-5H-디벤조[a,d]시클로헵텐), 벤지딘 화합물, 트리아릴메탄 화합물, 트리페닐아민, 또는 골격 사슬 또는 측쇄로서 이들 화합물들로 이루어지는 기를 갖는 중합체(예: 폴리-N-비닐카르바졸 및 폴리비닐안트라센)이 포함된다. 이들 유기 전하 운반 물질 이외에, 셀레늄, 셀레늄-텔루륨, 비정질 규소 및 카드뮴 술피드와 같은 무기 물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전하 운반 물질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하 운반 물질이 성막성을 지니지 않는 경우에는 결합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미드 및 염소화된 고무와 같은 절연성 수지, 및 폴리-N-비닐카르바졸 및 폴리비닐안트라센과 같은 유기 광도전성 중합체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도전성 지지체의 예로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아연, 스테인레스강, 바나듐, 몰리브덴, 크롬, 티탄, 니켈, 인듐, 금 및 백금으로 제조된것들이 있다. 추가로, 이들 금속 또는 합금을 진공 증착시켜서 형성한 막을 가진 플라스틱(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아크릴 수지)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 도전성 입자(예: 카본 블랙 및 은 입자)를 적당한 결합제와 함께 상기 플라스틱, 금속 또는 합금 위에 도포하여 형성한 지지체, 및 도전성 입자가 혼입된 플라스틱 또는 종이로 이루어지는 지지체를 사용할 수 있다. 지지체는 드럼, 시트 또는 벨트 형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적용되는 전자사진 장치에 가장 적당한 형태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차단 기능 및 접착 기능을 하는 서빙층은 도전성 지지체와 감광층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서빙층은 카제인, 폴리비닐 알코올, 니트로셀룰로오스,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공중합체 나일론 및 알콕시메틸화된 나일론과 같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산화알루미늄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서빙층의 층두께는 바람직하게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태양에서, 전자사진 감광 부재는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 본 발명의 아조 안료, 및 상술한 바와 같은 전하 운반 물질이 동일층 내에 혼합된 감광층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전하 운반 물질로는 폴리-N-비닐카르바졸 및 트리니트로플루오레논으로 이루어지는 전하 운반 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태양의 전자사진 감광 부재는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 본 발명의 아조 안료, 및 전하 운반 물질 또는 상술한 전하 운반 착물을 적당한 수지 용액 중에 용해시켜 제조한 용액을 도포한 후 건조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두 가지 전자사진 감광 부재 모두에 있어서, 식(1)로 표시되는 아조 안료는 그 결정 형태가 무정질이거나 또는 결정질일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식(1)로 표시되는 아조 안료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공지의 전하 발생 물질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감광층 상에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보호층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사진 감광 부재는 전자사진 복사기 뿐만 아니라, 레이저 비임 프린터, CRT 프린터, LED 프린터, 액정 프린터, 레이저 비임 제판기 및 팩시밀리기와 같이 전자사진술이 적용되는 분야에도 널리 사용할 수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대전 부재가 장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갖는 전자사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5도에서, 참고 부호(1)은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나타내며, 이는 축(2)를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의 주변 속도로 회전 구동한다. 감광 부재(1)은 1차 대전 수단(3)을 통해 주변부가 양성 또는 음성의 주어진 전위로 균일하게 대전된다.
이와 같이 대전된 감광 부재는 이어서 슬릿 노광 또는 레이저 비임 주사 노광 등의 화상 노광 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조사되는 광(4)에 광화상 방식으로 노광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감광 부재(1)의 주변부에 정전 잠상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정전 잠상은 이어서 현상 수단(5)에 의해 토너로 현상된다. 이렇게 하여 얻은 토너 현상된 화상은 전사 수단(6)에 의해, 급지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감광 부재(1)의 회전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감광 부재(1)과 전사 수단(6)의 사이의 위치로 공급되는 전사재(7)의 표면으로 연속적으로 전사된다.
화상이 전사된 전사재(7)은 감광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어 화상 정착 수단(8)로 이동되어 화상이 정착되고, 이어서 복사물(카피)로서 장치로부터 출력되어 나온다.
화상 전사 후 감광 부재(1)의 표면 위에 잔류하는 토너는 세정 수단(9)에 의해 제거된다. 이와 같이 감광 부재의 표면을 세척하고, 추가로 예비 노광 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조사되는 예비 노광광(10)에 의해 전하를 제거시키고, 이어서 화상 형성에 반복적으로 사용한다. 1차 대전 수단이 대전 롤러 등을 사용한 접촉식 대전 수단일 경우 예비 노광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한 전자사진 감광 부재(1), 1차 대전 수단(3), 현상 수단(5) 및 세정 수단(9) 등의 구성 요소 중 복수개를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일체로 결합시켜서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복사기나 레이저 비임 프린터와 같은 전자사진 장치의 본체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대전 수단(3), 현상 수단(5) 및 세정 수단(9) 중 적어도 하나를 감광 부재(1)과 함께 카트리지화하여 장치의 본체 내에 제공된 레일(12)와 같은 유도 수단을 통해 장치의 본체로부터 탈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1)를 형성한다.
전자사진 장치가 복사기나 프린터로서 사용되는 경우, 화상에 대한 노광광(4)는 원본으로부터의 반사광 또는 투과광이거나, 또는 원본을 판독하여 데이터를 시그날로 전환시켜서 얻은 시그날에 따라 레이저 비임을 주사하거나, LED 어레이 또는 액정 셔터 어레이를 구동시켜서 조사시킨 광이다.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실시예 1]
10% 산화안티몬을 함유하는 산화주석으로 피복시킨 산화티탄 분말 50부(중량부; 이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됨), 레졸형 페놀 수지 25부, 메틸 셀로솔브 20부, 메탄올 5부 및 실리콘 오일(폴리디메틸실옥산-폴리옥시알킬렌 공중합체; 중량 평균 분자량: 3,000) 0.002부를 1mm 직경의 유리 비드를 사용하여 샌드 밀 장치에서 2시간 동안 분산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분산액을 알루미늄 실린더(직경 80mm, 길이 360mm)상에 침지 도포한 후 140℃에서 30분간 건조시켜서 막 두께가 20㎛인 도전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도전층 위에, 6-66-610-12 사원소계 폴리아미드 공중합체 5부를 메탄올 70부와 부탄올 25부의 혼합 용매 중에 용해시킨 용액을 침지 도포시킨 후 건조시켜 막 두께가 1㎛인 서빙층을 형성하였다.
시클로헥사논 400부에 폴리비닐 부티랄[상품명: S-LEC BX-1; 세끼스이 화학(주) 제] 10부를 용해시켜 제조한 용액에 CuKa 특성 X선 회절 패턴에 있어서 브래그 각(Bragg's angle)(2θ±0.2°)9.0°, 14.2°, 23.9° 및 27.1°에서 특정 피이크를 갖는 I형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 7부 (그 회절 패턴은 제1도에 도시됨) 및 아조 안료 예(1) 3부를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직경 1mm의 유리 비드를 사용하여 샌드 밀에 의해 분산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분산액을 에틸아세테이트 400부를 가하여 희석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분산액을 상기 서빙층 위에 침지 도포한 후 80℃에서 10분간 건조시켜서 막 두께가 0.25㎛인 전하 발생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하기 구조식
을 갖는 전하 운반 물질 10부 및 비스페놀-Z-폴리카르보네이트(중량 평균 분자량: 49,000) 10부를 클로로벤젠 60부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전하 발생층 위에 침지 도포한 후 110℃에서 1시간 동안 건조시킴으로써 막 두께 20㎛의 전하 운반층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I형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을 10부 사용하고 아조 안료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아조 안료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아조 안료로서 하기 구조식을 갖는 아조 안료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제조하였다.
[성능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각각 레이저 비임 프린터 (상품명 : LBP-SX; 케논 인크. 제)에 장착하여 그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먼저, 각 감광 부재의 암부 전위를 -700V로 만들고, 이어서 802nm 레이저로부터 조사된 광에 노광시켜 -150V의 명부 전위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레이저 광량, 즉 감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A4 용지 5,000 매에 연속 인쇄하였을 때 암부 전위(△ VD) 및 명부 전위(△VL)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변화량의 값이 음수인 경우는 인쇄 후 전위의 절대값이 작아진 것을 나타내고, 그것이 양수인 경우는 절대값이 커진 것을 나타낸다.
또한, 포토메모리 특성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형광등 [상품명: FVL18 백색등; 마쯔시타 전기(주) 제]을 사용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조도 1,500 럭스에 5분간 각각 부분적으로 노광시키고, 노광 후 실온에서 5분간 방치하였다(비노광부는 광을 차단함으로써 형성시켰다). 그 후, 이와 같이 처리한 감광 부재를 상기 레이저 비임 프린터에 장착하여 비노광부와 노광부의 명부 전위차를 측정하였다(포토메모리 = |비노광부에서의 전위 - 노광부에서의 전위 |).
이와 같이 하여 얻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상기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에서는 비교예 1과 동등한 감도가 얻어졌으며, 비교예 1보다 소량의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을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반복 성능 및 포토메모리 특성이 향상되었다. 반면, 비교예 2에서는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을 소량으로 사용하고 아조 안료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감도가 상당히 저조하며 반복 성능 및 포토메모리 특성이 덜 향상되었다. 통상의 비스아조 안료를 사용한 비교예 3에서는 본 발명에서와 같은 효과가 얻어지지 않았다.
[실시예 2]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 분산액 및 아조 안료 분산액을 따로 따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전하 발생층용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각 분산액 중의 안료 및 결합제 수지의 비율은 10/10이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전성 지지체 및 서빙층을 형성하고, 아조 안료 분산액을 상기 서빙층 위에 막 두께가 0.1㎛가 되도록 도포한 후 건조시키고, 이어서 그 위에 추가로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 분산액을 막 두께 0.25㎛로 도포한 후 건조시켜서 2층의 전하 발생층을 형성하였다. 그 위에 전하 운반층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아조 안료 전하 발생층 및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 전하 발생층을 역순으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및 3에서 제조한 전자사진 감광 부재에 대한 평가를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를 위해, 전하 발생층에 아조 안료를 함유하지 않는 실시예인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전자사진 감광 부재의 결과를 함께 제시하였다.
[표 2]
상기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 반복 성능 및 포토메모리 특성이 향상되었고, 감도 면에서는 아조 안료를 함유하는 전하 발생층을 도전성 지지체 쪽에 제공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4 내지 6]
I형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을 각각 제2, 3 및 4도의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내는 A형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 B형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 Y형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4, 5 및 6의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내지 6]
I형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을 각각 A형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 B형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 Y형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4, 5 및 6의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예 4 내지 6에서 제조한 전자사진 감광 부재에 대한 평가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상기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의 결정형과 무관하게 효과가 있다.
[실시예 7 내지 16]
아조 안료 예 1을 각각 아조 안료 예 4, 29, 3, 28, 5, 20, 24, 26, 34 및 37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7 내지 16의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제조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를 위해,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결과를 함께 제시하였다.
[표 4]
[실시예 17 내지 20]
전하 운반 물질을 각각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7 내지 20의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7에 사용한 전하 운반 물질:
실시예 18에 사용한 전하 운반 물질:
실시예 19에 사용한 전하 운반 물질:
실시예 20에 사용한 전하 운반 물질:
[비교예 7 내지 10]
전하 운반 물질을 각각 실시예 17 내지 20의 것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7 내지 10의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내지 20 및 비교예 7 내지 10에서 제조한 전자사진 감광 부재에 대한 평가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상기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전하 운반 물질의 형태와 무관하게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도전성 지지체 및 이 도전성 지지체 위에 제공된 감광층으로 이루어지고, 이 감광층은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 및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아조 안료를 함유하는 것인 전자사진 감광 부재.
    식 중, Ar은 연결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거나, 또는 연결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시클릭기이고, Cp는 페놀성 히드록실기를 갖는 커플러 잔기이되, 단 Cp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 식(2)로 표시되는 커플러 잔기이며, n은 2 내지 4의 정수이다.
    식 중, A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의 2가 기 또는 고리 중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시클릭 고리의 2가 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식(1)에서 Cp가 모두 식(2)로 표시되는 기인 전자사진 감광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식(2)에서 A가 치환되지 않은 o-페닐렌인 전자사진 감광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식(1)에서 n이 2 또는 3인 전자사진 감광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이 CuKa 특성 X선 회절 패턴에 있어서 브래그 각(Bragg angles, 2θ ± 0.2°) 9.0°, 14.2°, 23.9° 및 27.1°에서 특성 피이크를 갖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이 CuKa 특성 X선 회절 패턴에 있어서 브래그 각 (2θ ± 0.2°) 9.0°, 14.2°, 23.9° 및 27.1°에서 특성 피이크를 갖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
  7.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세정 수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사진 감광 부재는 도전성 지지체 및 이 도전성 지지체 위에 제공된 감광층으로 이루어지고 이 감광층은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 및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아조 안료를 함유하며, 상기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세정 수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수단은 일체식으로 내장되어 있고 전자사진 장치의 본체에서 탈착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식 중, Ar은 연결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거나, 또는 연결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않은 헤테로시클릭기이고, Cp는 페놀성 히드록실기를 갖는 커플러 잔기이되, 단 Cp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 식(2)로 표시되는 커플러 잔기이며, n은 2 내지 4의 정수이다.
    식 중, A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의 2가 기 또는 고리 중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시클릭 고리의 2가 기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식(1)에서 Cp가 모두 식(2)로 표시되는 기인 프로세스 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식(2)에서 A가 치환되지 않은 o-페닐렌인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식(1)에서 n이 2 또는 3인 프로세스 카트리지.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이 CuKa 특성 X선 회절 패턴에 있어서 브래그 각 (2θ ± 0.2°) 9.0°, 14.2°, 23.9° 및 27.1°에서 특성 피이크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이 CuKa 특성 X선 회절 패턴에 있어서 브래그 각 (2θ ± 0.2°) 9.0°, 14.2°, 23.9° 및 27.1°에서 특성 피이크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전자사진 감광 부재, 대전 수단, 노광 수단, 현상 수단 및 전사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사진 감광 부재는 도전성 지지체 및 이 도전성 지지체 위에 제공된 감광층으로 이루어지고 이 감광층은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 및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아조 안료를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장치.
    식 중, Ar은 연결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거나, 또는 연결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시클릭기이고, Cp는 페놀성 히드록실기를 갖는 커플러 잔기이되, 단 Cp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 식(2)로 표시되는 커플러 잔기이며, n은 2 내지 4의 정수이다.
    식 중, A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의 2가 기 또는 고리 중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시클릭 고리의 2가 기이다.
  14. 제13항에 있어서, 식(1)에서 Cp가 모두 식(2)로 표시되는 기인 전자사진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식(2)에서 A가 치환되지 않은 o-페닐렌인 전자사진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식(1)에서 n이 2 또는 3인 전자사진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이 CuKa 특성 X선 회절 패턴에 있어서 브래그 각 (2θ ± 0.2°) 9.0°, 14.2°, 23.9° 및 27.1°에서 특성 피이크를 갖는 전자사진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티탄 프탈로시아닌이 CuKa 특성 X선 회절 패턴에 있어서 브래그 각(2θ ± 0.2°) 9.0°, 14.2°, 23.9° 및 27.1°에서 특성 피이크를 갖는 전자사진 장치.
KR1019960016350A 1995-05-17 1996-05-16 전자사진 감광 부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장치 KR100230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142095 1995-05-17
JP95-141420 1995-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2234A KR960042234A (ko) 1996-12-21
KR100230539B1 true KR100230539B1 (ko) 1999-11-15

Family

ID=15291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6350A KR100230539B1 (ko) 1995-05-17 1996-05-16 전자사진 감광 부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743561B1 (ko)
KR (1) KR100230539B1 (ko)
CN (1) CN1085352C (ko)
DE (1) DE69611857T2 (ko)
HK (1) HK1011735A1 (ko)
SG (1) SG528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8063B1 (en) * 1998-08-26 2001-04-17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JP2000162806A (ja) 1998-11-30 2000-06-16 Canon Inc 電子写真感光体、該感光体の製造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装置
US6773856B2 (en) 2001-11-09 2004-08-10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CN100349070C (zh) * 2004-11-25 2007-11-14 同济大学 一种偶氮/酞菁复合单层有机光电导体及其制备方法
US8206880B2 (en) * 2009-06-05 2012-06-26 Ricoh Company, Lt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therefor using the photoreceptor
JP5610907B2 (ja) 2009-08-18 2014-10-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5623886B2 (ja) * 2009-12-09 2014-11-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着色感光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及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3165A (ja) * 1987-06-17 1988-12-21 Canon Inc 電子写真感光体
JP2591648B2 (ja) * 1988-03-29 1997-03-19 コニカ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
JPH01257862A (ja) * 1988-04-07 1989-10-13 Mitsubishi Paper Mills Ltd 電子写真平版印刷版
JP2583787B2 (ja) * 1988-04-22 1997-02-19 コニカ株式会社 感光体
US5190839A (en) * 1988-07-04 1993-03-02 Konica Corporation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JPH0337656A (ja) * 1989-07-04 1991-02-19 Konica Corp 電子写真感光体
US5411828A (en) * 1992-02-05 1995-05-02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device unit and facsimile machine having the photosensitive member
DE69419487T2 (de) * 1993-11-29 2000-03-30 Canon Kk Elektrophotographisches lichtempfindliches Element, ein das Element umfassendes elektrophotographisches Gerät, und eine Baueinheit eines elektrophotographischen Gerätes
TW382078B (en) * 1994-06-10 2000-02-11 Canon Kk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including same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43561A2 (en) 1996-11-20
DE69611857D1 (de) 2001-04-05
EP0743561B1 (en) 2001-02-28
EP0743561A3 (en) 1998-01-21
KR960042234A (ko) 1996-12-21
HK1011735A1 (en) 1999-07-16
CN1159613A (zh) 1997-09-17
SG52802A1 (en) 1998-09-28
CN1085352C (zh) 2002-05-22
DE69611857T2 (de) 200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69528A1 (en)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and facsimile employing the same
KR100230539B1 (ko) 전자사진 감광 부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장치
JPH0488349A (ja) 電子写真感光体、該電子写真感光体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並びにファクシミリ
JP3278351B2 (ja) 電子写真感光体、該電子写真感光体を有す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装置
EP0458346B1 (en)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and facsimile employing the same
EP0656567B1 (en) Electrophotographic memb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JP4072273B2 (ja)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装置
JPH11174701A (ja) 電子写真感光体、該電子写真感光体を有するプロセスカ−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装置
EP0469529A1 (en)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and facsimile employing the same
JP2940833B2 (ja) 電子写真感光体、該電子写真感光体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並びにファクシミリ
JP3096199B2 (ja) 電子写真感光体及び該電子写真感光体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
TW389852B (en)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JP2911691B2 (ja) 電子写真感光体、該電子写真感光体を有する電子写真装置、装置ユニット及びファクシミリ
JPH04362652A (ja) 電子写真感光体、該電子写真感光体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並びにファクシミリ
JPH0545909A (ja) 電子写真感光体、該電子写真感光体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並びにフアクシミリ
JPH04355767A (ja) 電子写真感光体、該電子写真感光体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並びにファクシミリ
JPH0545910A (ja) 電子写真感光体、該電子写真感光体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並びにフアクシミリ
JPH1029991A (ja) ペリレン系化合物、ペリレン系化合物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該電子写真感光体を有するプロセスカ−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装置
JPH0572768A (ja) 電子写真感光体、該電子写真感光体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並びにフアクシミリ
JPH04362651A (ja) 電子写真感光体、該電子写真感光体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並びにファクシミリ
JPH05281767A (ja) 電子写真感光体、該電子写真感光体を有する電子写真装置、装置ユニット及びファクシミリ
JPH11184115A (ja) 電子写真感光体、該電子写真感光体を有するプロセスカ−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装置
JPH0427955A (ja) 電子写真感光体、該電子写真感光体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並びにファクシミリ
JPH04366849A (ja) 電子写真感光体、該電子写真感光体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並びにファクシミリ
JPH04355768A (ja) 電子写真感光体、該電子写真感光体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並びにファクシミ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