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9277B1 -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9277B1
KR100229277B1 KR1019970060836A KR19970060836A KR100229277B1 KR 100229277 B1 KR100229277 B1 KR 100229277B1 KR 1019970060836 A KR1019970060836 A KR 1019970060836A KR 19970060836 A KR19970060836 A KR 19970060836A KR 100229277 B1 KR100229277 B1 KR 100229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door
hinge
sides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460A (ko
Inventor
차진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60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9277B1/ko
Publication of KR19990040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07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 Hing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A hinge bracket for door of a car)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개폐를 위한 힌지 브라케트에 개폐되는 도어의 가속과 정지를 위한 체커를 일체로하여 조립공정의 절감과 도어의 개폐동작이 용이하도록 하여 상품성이 증가되도록 하기 위하여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에 힌지의 삽입을 위하여 양측으로 결합부가 구비된 차체 브라케트와, 상기 차체 브라케트의 결합부와 힌지 결합되는 지지부 및 그 양측으로 도어에 고정을 위한 고정부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도어 브라케트로 이루어진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에 있어서, 차체 브라케트에 도어 브라케트가 힌지 결합되는 결합부의 내측으로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편을 연장하여 절곡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도어 브라케트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가이드구멍이 관통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도어 브라케트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구멍으로 삽입되어 그 가이드구멍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도어 브라케트의 힌지를 중심으로 만곡되는 띠형상의 회전지지편과, 상기 가이드구멍으로 삽입되는 회전지지편의 양측을 탄성 지지하여 이와 일체로 된 도어 브라케트의 회전을 제어하며 상기 가이드구멍의 양측과 회전지지편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져 차체 브라케트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도어 브라케트와 일체로 된 회전지지편이 가이드구멍을 따라 이동되며 그 양측을 탄성 지지하는 제어수단에 의하여 회전지지편의 이동이 제어되도록 하여 이와 일체로 된 도어 브라케트의 회전이 제어하도록 한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A hinge bracket for door of a car)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개폐를 위한 힌지 브라케트에 개폐되는 도어의 가속과 정지를 위한 체커를 일체로하여 조립공정의 절감과 도어의 개폐동작이 용이하도록 하여 상품성이 증가되도록 한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는 자동차의 차체에 부착되고 상기 브라케트에 도어를 고정시켜 도어가 상기 브라케트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개폐되도록 하였다.
한편 도어의 개폐를 위하여 차체에 고정되며 힌지(100)의 삽입을 위한 결합부(112)가 고정편(114)에 절곡 형성된 차체 브라케트(110)와, 상기 차체 브라케트(110)의 결합부(112)와 힌지(100)결합되는 지지부(122) 및 그 양측으로 도어에 고정을 위한 고정부(124)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도어 브라케트(120)로 이루어진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130)를 차체와 도어의 소정 위치에 각각 고정하여 상기 도어가 차체 브라케트(110)의 힌지(100)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개폐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도어를 회동 가능한 구조로 지지하는 브라케트는 단순히 차체에 도어를 회동 가능한 구조로 지지하는 것으로 회동되는 도어의 개폐각이나 개폐동작과는 무관한 상태로 제작 설치되어 사용되었다.
그리고 개폐되는 도어의 개폐각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도어체커 등을 구비하여 도어를 개폐할 때 절도감이 느껴지며 도어의 개폐각이 제어되도록 하였다.
즉, 도어를 개폐할 때 느껴지는 절도감은 개폐되는 도어 개폐각을 제어하기 위하여 개폐된 도어가 차체에 고정되는 도어체커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으로 개방된 도어의 개폐각을 제어하여 개폐되는 도어가 절도감을 갖도록 하고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의 자중에 의하여 힌지 브라케트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된 도어는 힌지 브라케트에 의하여 지지되며 개폐되는 도어의 개폐각을 제어하기 위한 도어 체커를 별도로 구비하여 각각 설치하여야 하는 작업공정의 증가로 인한 작업성이 저하되는 요인으로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를 지지하는 힌지 브라케트에 도어의 개폐각을 제어하는 도어체커가 일체로 되어 힌지 브라케트의 조립과 동시에 도어체커의 결합이 이루어져 작업공수가 절감될 수 있어 부품수의 감소와 작업성이 향상되며 동시에 도어의 개폐각에 따른제어와 절도감이 느껴지도록 하여 상품성의 고급화를 가져올 수 있는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를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힌지 브라케트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브라케트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브라케트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을 단면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브라케트의 요부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체 브라케트 12 : 고정편
14 : 결합부 20 : 도어 브라케트
22 : 지지부 24 : 고정부
30 : 힌지 브라케트 40 : 가이드부
42 : 가이드구멍 44 : 제어수단
45 : 수납부 46 : 탄성체
47 : 지지편 50 : 회전지지편
52 : 록킹홈 100 : 힌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에 힌지의 삽입을 위하여 양측으로 결합부가 구비된 차체 브라케트와, 상기 차체 브라케트의 결합부와 힌지 결합되는 지지부 및 그 양측으로 도어에 고정을 위한 고정부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도어 브라케트로 이루어진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에 있어서, 차체 브라케트에 도어 브라케트가 힌지 결합되는 결합부의 내측으로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편을 연장하여 절곡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도어 브라케트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가이드구멍이 관통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도어 브라케트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구멍으로 삽입되어 그 가이드구멍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도어 브라케트의 힌지를 중심으로 만곡되는 띠형상의 회전지지편과, 상기 가이드구멍으로 삽입되는 회전지지편의 양측을 탄성 지지하여 이와 일체로 된 도어 브라케트의 회전을 제어하며 상기 가이드구멍의 양측과 회전지지편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져 차체 브라케트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도어 브라케트와 일체로 된 회전지지편이 가이드구멍을 따라 이동되며 그 양측을 탄성 지지하는 제어수단에 의하여 회전지지편의 이동이 제어되도록 하여 이와 일체로된 도어 브라케트의 회전이 제어하도록 함으로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제어수단은 상기 가이드구멍의 양측에 수납부를 형성하고 그 내부로 탄성체에 의하여 탄지되는 지지편을 가이드구멍으로 돌출되게 구비하고 상기 지지편이 록킹되는 록킹홈을 상기 가이드구멍을 이동하는 회전지지편의 양측면에 적당한 간격을 형성하여 도어 브라케트의 회동에 따라 회전지지편이 제어수단의 지지편에 탄성 지지되어 이동이 제어되도록 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인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브라케트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브라케트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며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단면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브라케트의 요부를 보인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편(12)에 힌지(100)의 삽입을 위하여 양측으로 결합부(14)가 구비된 차체 브라케트(10)와, 상기 차체 브라케트(10)의 결합부(14)와 힌지(100) 결합되는 지지부(22) 및 그 양측으로 도어에 고정을 위한 고정부(24)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도어 브라케트(20)로 이루어진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30)에 있어서, 차체 브라케트(10)에 도어브라케트(20)가 힌지(100) 결합되는 결합부(14)의 내측으로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편(12)을 연장하여 절곡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도어 브라케트(2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가이드구멍(42)이 관통되는 가이드부(40)와, 상기 도어 브라케트(20)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구멍(42)으로 삽입되어 그 가이드구멍(42)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도어 브라케트(20)의 힌지(100)를 중심으로 만곡되는 띠형상의 회전지지편(50)과, 상기 가이드구멍(42)으로 삽입되는 회전지지편(50)의 양측을 탄성 지지하여 이와 일체로 된 도어 브라케트(20)의 회전을 제어하며 상기 가이드구멍(42)의 양측과 이에 대응되도록 회전지지편(5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어수단(44)으로 이루어져 차체 브라케트(10)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도어 브라케트(20)와 일체로 된 회전지지편(50)이 가이드구멍(42)을 따라 이동되며 그 양측을 탄성 지지하는 제어수단(44)에 의하여 회전지지편(50)의 이동이 제어되도록 하여 이와 일체로 된 도어 브라케트(20)의 회전이 제어하도록 함으로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제어수단(44)은 상기 가이드구멍(42)의 양측에 수납부(45)를 형성하고 그 내부로 탄성체(46)에 의하여 탄지되는 지지편(47)을 가이드구멍(42)으로 돌출되게 구비하고 상기 지지편(47)이 록킹되는 록킹홈(52)를 상기 가이드구멍(42)을 이동하는 회전지지편(50)의 양측면에 적당한 간격을 형성하여 도어 브라케트(20)의 회동에 따라 회전지지편(50)이 제어수단(44)의 지지편(47)에 탄성 지지되어 이동이 제어되도록 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차체 브라케트(10)의 결합부(14)에 지지부(22)가 힌지(100) 결합된 도어 브라케트(20)는 상기 힌지(100)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 브라케트(20)의 고정부(24)가 고정된 도어가 힌지(100)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개폐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어 브라케트(20)는 차체 브라케트(10)의 결합부(14) 내측으로 고정편(12)을 연장하여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부(40)에 관통된 가이드구멍(42)으로 상기 도어 브라케트(20)의 일측으로 형성된 회전지지편(50)이 삽입되어 상기 도어 브라케트(20)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구멍(42)에서 슬라이드 이동된다.
한편, 상기 회전지지편(50)은 차체 브라케트(10)의 힌지(100)를 중심으로 된 원호상으로 만곡되도록 상기 도어 브라케트(20)에 일체로 되어 상기 힌지(100)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도어 브라케트(20)에 의하여 가이드부(40)의 가이드구멍(42)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40)의 가이드구멍(42)을 따라 이동되는 회전지지편(50)은 그 양측 단부에 형성된 록킹홈(52)으로 상기 가이드부(40)에 관통된 가이드구멍(42)의 양측 수납부(45)에 내설된 제어수단(44)의 지지편(47)이 록킹되어 상기 가이드구멍(42)을 이동하는 회전지지편(50)의 이동이 제어된다.
이때, 상기 회전지지편(50)의 록킹홈(52)에 록킹되는 제어수단(44)의 지지편(47)은 상기 가이드부(40)의 가이드구멍(42) 양측으로 마련된 수납부(45)에 탄성체(46)에 의하여 탄지 되도록 수납되고 그 탄성체(46)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지지편(47)이 가이드구멍(42)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지지편(50)의 양측면을 탄지하게 되며 이동되는 회전지지편(50)의 록킹홈(52)에 록킹되어 상기 회전지지편(50)의 이동이 제어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40)의 가이드구멍(42)의 양측에 구비된 제어수단(44)이 록킹되는 록킹홈(52)은 상기 회전지지편(50)의 양측면에 상기 힌지(100)를 중심으로 개폐되는 도어의 개폐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적당한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지지편(5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록킹홈(52)의 개수에 따라 상기 힌지(100)를 중심으로 개폐되는 도어의 개폐각을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인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를 제공하면 도어를 지지하는 힌지 브라케트에 도어의 개폐각을 제어하는 도어체커가 일체로 되어 힌지 브라케트의 조립과 동시에 도어체커의 결합이 이루어져 작업공수가 절감될 수 있어 부품수의 감소와 작업성이 향상되며 동시에 도어의 개페각에 따른 제어와 절도감이 느껴지도록 하여 상품성의 고급화를 가져오게 되는 이점이 제공된다.

Claims (2)

  1.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편(12)에 힌지(100)의 삽입을 위하여 양측으로 결합부(14)가 구비된 차체 브라케트(10)와, 상기 차체 브라케트(10)의 결합부(14)와 힌지(100) 결합되는 지지부(22) 및 그 양측으로 도어에 고정을 위한 고정부(24)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도어 브라케트(20)로 이루어진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30)에 있어서,
    차체 브라케트(10)에 도어 브라케트(20)가 힌지(100) 결합되는 결합부(14)의 내측으로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편(12)을 연장하여 절곡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도어 브라케트(2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가이드구멍(42)이 관통되는 가이드부(40)와,
    상기 도어 브라케트(20)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구멍(42)으로 삽입되어 그 가이드구멍(42)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도어 브라케트(20)의 힌지(100)를 중심으로 만곡되는 띠형상의 회전지지편(50)과,
    상기 가이드구멍(42)으로 삽입되는 회전지지편(50)의 양측을 탄성 지지하여 이와 일체로 된 도어 브라케트(20)의 회전을 제어하며 상기 가이드구멍(42)의 양측과 이에 대응되도록 회전지지편(5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어수단(4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44)은 상기 가이드구멍(42)의 양측에 수납부(45)를 형성하고 그 내부로 탄성체(46)에 의하여 탄지되는 지지편(47)을 가이드구멍(42)으로 돌출되게 구비하고 상기 지지편(47)이 록킹되는 록킹홈(52)을 상기 가이드구멍(42)을 이동하는 회전지지편(50)의 양측면에 적당한 간격을 형성하여 도어 브라케트(20)의 회동에 따라 회전지지편(50)이 제어수단(44)의 지지편(47)에 탄성지지되어 이동이 제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
KR1019970060836A 1997-11-18 1997-11-18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 KR100229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836A KR100229277B1 (ko) 1997-11-18 1997-11-18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836A KR100229277B1 (ko) 1997-11-18 1997-11-18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460A KR19990040460A (ko) 1999-06-05
KR100229277B1 true KR100229277B1 (ko) 1999-11-01

Family

ID=19524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836A KR100229277B1 (ko) 1997-11-18 1997-11-18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92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923A (ko) * 2001-09-11 2003-03-19 일진산업주식회사 차량용 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460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9277B1 (ko)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
KR960016478B1 (ko) 자동차용 도어힌지
KR100229276B1 (ko)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
KR19980034600U (ko)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
KR20020022414A (ko) 자동차용 도어힌지
KR200158036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 보강구조
JPH08216793A (ja) 自動車用コンソールにおけるドア開閉機構
KR100448837B1 (ko) 플랩도어용 도어래치조립체의 구조
KR0126195Y1 (ko) 차량 콘솔박스용 암레스트 힌지구조
KR100192267B1 (ko)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
KR100525637B1 (ko) 리어 셀프 트림 조립체
KR200146226Y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힌지구조
KR200156293Y1 (ko) 차량용 도어의 개폐구조
KR0119720B1 (ko) 코일스프링이 구비된 자동차 트렁크리드 개방장치
KR100328985B1 (ko) 차량용 쿼터 글래스 개폐 장치
KR920006240Y1 (ko) 카 스테레오 도난방지장치
KR0132843Y1 (ko) 차량의 연료주입구 도어 개폐구조
KR20050042854A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암장치
KR20010064474A (ko) 버스용 폴딩 도어
KR19980038940A (ko)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
KR200152404Y1 (ko) 대형버스의 화물칸 도어용 록킹장치
JPH0667191U (ja) 自動車の物入れ装置
JPH09142221A (ja) 蓋体の開閉機構
KR20030055473A (ko) 자동차 도어의 힌지 조립체
KR20030020587A (ko) 회전반경을 증가시킨 차량용 백도어의 힌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